KR102115884B1 -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 Google Patents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884B1
KR102115884B1 KR1020190066804A KR20190066804A KR102115884B1 KR 102115884 B1 KR102115884 B1 KR 102115884B1 KR 1020190066804 A KR1020190066804 A KR 1020190066804A KR 20190066804 A KR20190066804 A KR 20190066804A KR 102115884 B1 KR102115884 B1 KR 102115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rack
mounting
gear
han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Priority to KR1020190066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47B81/061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서가나 수장고 등을 포함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거치부재의 거치와 체결이 용이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지지부재의 양방향에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된 거치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양호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나아가 모빌랙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Mobile Rack with Improved Assembleability and Expandability}
본 발명은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 서가나 수장고 등을 포함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거치부재의 거치와 체결이 용이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지지부재의 양방향에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된 거치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양호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나아가 모빌랙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서가나 수장고 등을 포함하는 모빌랙은 다수 개의 랙이 배열되어 그 내부에 다량의 책이나 서류, 사무용품 및 각종 자료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수납 보관할 시에 랙과 랙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빌랙은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위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랙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각의 랙이 주행부재를 매개로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소정 랙의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랙 내부에 소정 물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빌랙을 구성하는 각각의 랙은 대략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부재를 매개로 대략 직육면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측면 등에는 패널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선반이 일정 간격(높이)을 이루도록 적층 설치되어 그 상면에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동식이나 자동식, 또는 수자동 겸용식의 모빌랙을 구성하는 각 랙의 일측면에는 해당 랙의 주행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핸들이나 주행모터의 구동을 위한 조작패널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 또는 조작패널의 조작을 통해 해당 랙에 주행을 위한 외력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모빌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모빌랙의 전면패널과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모빌랙의 구동조작부의 구조는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b)와 연결된 제1회동축(a)상에 잠금기어(c)(이때, 잠금기어(c)의 상부에는 잠금돌기(d)가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잠금돌기(d)가 하향 이동하여 잠금기어(c)의 기어치와 결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잠금기어(c)의 회동이 정지되어 구동조작부 전체의 구동이 정지하게 된다)와 제1구동기어(e)가 형성되어 손잡이부(b)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구동기어(e)에는 체인(p)이나 벨트 등에 의해 제2구동기어(f)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2구동기어(f)와 연결된 제2회동축(g)상에는 제3구동기어(h)가 형성되어 제2구동기어(f)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구동기어(h)에는 체인(p)이나 벨트 등에 의해 모빌랙 하부의 휠과 연결된 휠기어(i)들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기 회동축들이 모두 전면패널(j)에 고정수단(o)으로 결합고정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구동조작부의 모든 구성들의 하중이 전면패널(j)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b)의 회전시 회전력만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키다 보니 갑작스런 하중 전달로 인해 책 등이 수납되어 무거워진 모빌랙의 자중에 의한 관성으로 전면패널(j)이 뒤틀어져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단순한 선반(k)과 프레임의 조합에 있어서는 모빌랙을 확장하거나 조립하는 것에 있어 각기 다른 부재가 필요하여 경제성과 신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도 1과 같이 모빌랙이 이동하는 상황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기타 물체가 모빌랙의 이동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며 모빌랙과 충돌하거나 모빌랙 밑에 깔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지진 등으로 인한 외력 때문에 모빌랙이 흔들리거나 비틀림 또는 예상치 못한 하중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모빌랙의 자중으로 인하여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모빌랙과 연동되어 돌아가는 핸들부에 의해 주변 사물이나 사람에게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모빌랙의 시스템에도 손상이 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모빌랙을 임의로 조작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모빌랙 내에 수용된 문서들에 대한 보안성이 떨어지는 점, 모빌랙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 바퀴나 바퀴축 또는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등이 느슨해져 변형되어 이동시 소음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원활한 구동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622241호(2016.05.1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544호(2008.04.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재와 거치부재의 거치와 체결이 용이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지지부재의 양방향에 거치할 수 있으며 탈거가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치부재의 거치를 보조하는 거치수단과 거치수단이 삽입되는 거치공을 포함하여 거치수단을 매개로 거치부재가 거치되어 거치 및 탈거가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치수단이 지지부재의 거치공에 거치되면서 탈락을 방지하고, 양측에 거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재와 거치부재가 모듈화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전체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균일한 응력을 가지는 것을 통해 조립 및 확장이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치된 거치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양호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나아가 모빌랙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가 저항을 감지함에 따라 구동부의 운전을 정지시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부가 모빌랙의 진행방향에 대한 저항을 감지하고 저항감지부에서 계산되는 속력과 기 하달된 속력을 비교하여 모빌랙의 진행방향에 물체가 존재하여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판단가능한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체에서 발신된 전자기파가 수신체에 수신되는 주기를 통하여 이동부의 속도를 계산하고, 출력부에 하달된 속력과 비교하여 각 속력이 다른 경우 모빌랙에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판단하고 상기 이동부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체에서 발신된 전자기파는 저항감지부의 날개 사이 공간으로 진행하고, 저항감지부가 바퀴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바퀴의 회전속도에 따라 수신주기가 달라짐으로써 모빌랙의 속력 및 물체에 의한 저항을 판단하여 모빌랙을 정지시킴으로써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빌랙의 전후방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물체감지부를 포함하여 모빌랙의 진행방향에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구동부의 운전을 정지시켜 물체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빌랙의 잠금 시 임의로 이동부의 바퀴가 레일부 위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통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빌랙이 사용가능하도록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바퀴기어 수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바퀴기어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바퀴기어의 이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구비되어 바퀴기어가 미끄러짐 운동을 할 시 바퀴기어 수용체에 의해 그 변위가 제한됨으로써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 모빌랙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퀴기어 수용체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그 전후방으로의 길이가 상기 체결수단의 전후방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어 바퀴기어 수용체의 파손을 방지하고 바퀴기어가 수용체 내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모빌랙이 배열된 경우,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는 상기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됨으로써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등으로 인하여 모빌랙의 측방 또는 상하변위가 발생하여 전도가 발생하는 상황에 있어서, 프레임부의 측방 및 상하변위를 제한하여 모빌랙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모빌랙 사이에서 모빌랙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보조체 및 상기 이동보조체를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하도록 구비된 결합체를 포함하여 모빌랙의 이동을 지지체를 통해 가이드함으로써 모빌랙의 상부에서 외력에 대한 지지를 통해 모빌랙 하부에 토크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보조체는 내부에 상기 지지체를 관통수용하여 지지체를 따라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모빌랙을 기준으로 한 지지체의 수직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보조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회전체는 중심축이 상기 결합체와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모빌랙의 수직 및 측방변위를 제한할 수 있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보조체는 2개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각각 상기 지지체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체를 따라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모빌랙와 지지체의 상하변위를 제한하여 모빌랙이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레일부 상에서 이동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핸들부가 구동부의 핸들기어와 선택적으로 연동되거나 연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빌랙의 구동방식에 따라 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핸들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모빌랙 주변환경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들부는 핸들바디와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 또는 연결하도록 구비된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핸들부와 핸들기어의 연동을 선택적으로 단절시켜 모빌랙의 이동 시 주변의 물건이나 사람이 핸들부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의 조작을 통해 핸들부와 핸들기어의 연동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지 않도록 하여 회전하지 않아 전동식으로 모빌랙이 이동할 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동부가 수동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핸들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동되어 회전하여 핸들로부터의 동력을 전달가능한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빌랙의 이동부 및/또는 각 부분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인에 있어서, 고하중 및 반복하중이 재하됨에 따라 상기 체인이 신장되어 각 기어에서 탈락함으로써 동력전달이 불완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동력전달부는 체인과 연동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텐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조절부는 소정거리 이동가능하여 상기 체인의 텐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체인의 길이 변화량에 따라 텐션조절부를 이동시켜 체인의 신장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텐션조절부는 이동플레이트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소정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여 상기 체인의 텐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동력전달이 불완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거치부재와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거치부재가 양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부재의 탈거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거치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를 보조하는 거치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체는 상기 거치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거치체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으로 돌출되되, 양측에 상기 거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평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거치체는 상기 거치공으로부터 탈락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거치체는 삽입-회전-삽입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거치공에 삽입되고 거치되어 거치공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거치체는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측의 굴곡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으로 연장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서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전방절곡부 및 후방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방절곡부 및 후방절곡부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양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직선부로부터 절곡되어 좌우로 연장된 길이가 같도록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모빌랙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는 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패널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후방절곡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거치체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복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재는 양측단이 절곡연장되고 체결공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모빌랙의 상면 또는 하면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재는 하면에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처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거치부재와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거치부재가 양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부재의 탈거가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거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거치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를 보조하는 거치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체는 상기 거치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거치체를 매개로 거치부재가 거치되어 거치 및 탈거가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거치체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으로 돌출되되, 양측에 상기 거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평활부를 포함하여 안정적인 거치부재의 거치가 가능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거치체는 상기 거치공으로부터 탈락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굴곡부를 포함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 거치체는 삽입-회전-삽입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거치공에 삽입되고 거치되어 거치공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거치체는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측의 굴곡부로부터 연장되어 거치체의 삽입 시 지지부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돌출된 거치체의 길이가 동일하여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으로 연장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서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전방절곡부 및 후방절곡부를 포함하여 모듈화를 통해 조립과 확장이 용이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전방절곡부 및 후방절곡부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양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직선부로부터 절곡되어 좌우로 연장된 길이가 같도록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평면을 형성하여 양쪽으로의 균일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모빌랙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는 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패널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후방절곡부와 체결되어 모빌랙의 수용성을 강화하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거치체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복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여 수용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재는 양측단이 절곡연장되고 체결공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모빌랙의 상면 또는 하면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단일 부재로도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과 랙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기능이 가능한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 거치부재는 하면에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처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을 제공하는 효과를 안출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모빌랙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모빌랙의 전면패널과 구동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R)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문서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모빌랙의 구동부를 포함한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1)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12)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12)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체(13)의 사시도.
도 11은 상기 거치체(13)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2는 도 7의 A 부분에서 상기 거치체(13)가 삽입공(111a)에 삽입되고 정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 및 구동부(2)가 결합지지되는 지지패널(18)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1체인(210b)을 중심으로 한 동력전달부(21)의 기어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보조기어(216)가 제2체인(210a)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조기어(219)가 제1체인(210b)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상기 이동부(3) 내의 바퀴축(33)과 바퀴(34) 및 바퀴기어(218)가 레일부(6) 위를 진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를 도시한 블록도.
도 20은 도 17의 B부분에서 저항감지부(411)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중앙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9의 물체감지부(413)가 프레임부(1)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의 정면도.
도 23은 상기 핸들부(5)의 배면도.
도 24는 상기 핸들부(5)의 클러치부(53)가 핸들부 회전에 따라 핸들기어(219)에 걸리는 거동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부(53)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기어 수용체(61)가 레일부(6) 상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레일부(6) 상에 구비된 바퀴기어 수용체(61)에 바퀴기어(218)가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가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7)가 프레임부의 지지부재(11)와 거치부재(12) 상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상기 전도방지부(7)의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간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끼리 직접 접촉하며 체결된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체결되어있지 않더라도 소정의 힘이나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R)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모빌랙(R)은 이동식 서가나 수장고 등을 포함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거치부재의 거치와 체결이 용이하고 상기 거치부재를 지지부재의 양방향에 거치할 수 있으며 거치된 거치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양호한 체결력을 부여하고, 나아가 모빌랙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도록 하여 프레임부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빌랙(R)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프레임부(1), 구동부(2), 이동부(3), 제어부(4, 도 19 참조), 핸들부(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레일부(6) 및 전도방지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표시된 축을 기준으로 할때, x축 방향을 전후방, y축 방향을 측방, z축 방향을 상하방이라고 정의하고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랙의 문서 등을 수용하는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모빌랙의 구동부를 포함한 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부(1)는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프레임부(1)를 통해 형성된 모빌랙의 골조 내부에는 문서 등의 사물이 수용되고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는 지지부재(11), 거치부재(12) 및 거치수단(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측면패널(14,15) 및 후면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1)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11)는 수용공간의 측면에 구비되어 모빌랙 프레임부의 측벽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선반 등 후술하는 거치부재(12)를 거치할 수 있되, 상기 거치부재(12)를 양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좌우 구분없이 사용가능하여 모빌랙 조립시 경제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탈거가 용이하여 수용공간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는 직선부(111), 전방절곡부(112), 전방비드(113) 및 후방절곡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111)는 상기 프레임부(11)의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선부(111)는 수용공간의 측면을 폐색할 수 있으며, 수용된 물건들을 측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111)에는 후술하는 거치수단(1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거치공(11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단 또는 하단에 후술하는 거치부재(12)와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공(111a)은 지지부재(11)의 직선부(111)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상하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선부(111)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재(12)의 거치 또는 탈거를 통한 수용공간의 변화 시 용이하게 거치수단(13)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
상기 전방절곡부(112)는 상기 직선부(111)의 전단에서 절곡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절곡부(112)는 도 7에서와 같이 먼저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이후 반대로 절곡연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선부의 전단에서 양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곡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직선부의 전단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절곡연장된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이로 인하여 거치부재(12)의 거치 시 균일한 응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절곡부(11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절곡되어 형상을 이루어 단면이 'ㅜ' 모양을 형성하고, 절곡에 따라 겹쳐지게 함으로써 강도와 강성을 높여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비드(113)는 전방절곡부(112)의 소정 위치에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의 하중, 비틀림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직선부(111)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된 직선과 전방절곡부(112)가 교차하는 위치, 즉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방절곡부(112)의 중앙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절곡부(114)는 상기 직선부(111)의 후단에서 절곡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절곡부(114)는 도 7에서와 같이 먼저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이후 반대로 절곡연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선부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곡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직선부의 후단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절곡연장된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평면을 형성하여 거치부재(12)의 거치 시 균일한 응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전방절곡부(112)와 같이, 후방절곡부(114) 또한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절곡되어 형상을 이루어 단면이 'ㅜ' 모양을 형성하고, 절곡에 따라 겹쳐지게 함으로써 강도와 강성을 높여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절곡부(1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1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14a)은 후방절곡부(114) 상에 구비된 구멍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후방절곡부(114) 상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후면패널(16)을 좌측, 우측 또는 양측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결합수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12)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12)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및 9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재(12)는 상기 지지부재(11)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후술하는 거치수단(13)을 통해 지지부재(11)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12)가 지지부재(11)에 직접 체결 또는 거치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별도로 구비되는 거치수단(13)을 통해 지지부재(11)에 거치됨으로써 조립성과 확장성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12)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직사각형의 평면을 가지도록 구비되면서 바람직하게는 양측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전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부(121), 길이측절곡부(122) 및 폭측절곡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121)는 거치부재(12)의 상면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구비되어 평면부(121) 상에 물건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평면부(121)는 복수개의 삽입공(121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삽입공(121a)을 통해 파티션 등이 삽입되어 수용공간을 격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공(121a)은 전후방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측절곡부(122)는 상기 거치부재(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치부재의 전후단에서 절곡연장된 구성으로, 거치부재(12)의 깊이(depth)를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부가적으로 선택적으로 체결공을 포함함으로써 체결수단을 통해 지지부재(11) 또는 후술하는 베이스부재(17)와 체결됨으로써 후술하는 거치수단(13)에 거치되는 것 이상의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거치부재(12)가 지지부재(11) 및 후술하는 베이스부재(17)와 체결됨으로써 수용공간의 상면 및 하면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로 인해 모빌랙의 상면 및 하면을 폐색하는 것에 대하여 다른 부재가 사용되지 않고 거치부재(12)가 사용되므로 조립성과 확장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폭측절곡부(123) 또한 거치부재의 양측단이 절곡연장된 것으로, 거치부재(12)의 깊이(depth)를 증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부가적으로 체결공(123a)을 포함함으로써 지지부재(11)와 체결되어 수용공간의 상면 또는 하면을 폐색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12)는 보강부(1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24)는 평면부(121)의 아래, 즉 거치부재(12)의 하면에 구비되는데, 거치부재(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처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면, 제1보강부(124a)는 거치부재(12)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2보강부(124b)는 상기 제1보강부(124a)의 양옆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보강부(124a)보다 적은 깊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처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거치부재(12)의 하중을 지지하며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어떠한 형상에 대해서도 미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13)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상기 거치수단(13)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7의 A 부분에서 상기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에 삽입되고 정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거치수단(13)은 거치부재(12)의 거치를 보조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거치수단(13)이 지지부재의 거치공(111a) 내에 삽입되어 정착되고, 그 위에 거치부재(12)가 거치되어 조립성과 확장성이 증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13)은 거치공(111a)에 삽입될 시 지지부재(11)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거치공(111a)을 지나 타측으로 돌출되고, 그 중앙이 삽입공에 정착되어 안정적으로 거치부재(12)를 거치할 수 있다. 모빌랙의 경우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조립 시 물건이 수용되는 부분의 측면에 돌기 또는 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반 등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에 삽입되고 정착됨에 의해 거치부재(12)를 거치하게 되는 바, 거치수단(13)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거치부재(12)가 거치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용되는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며, 거치수단(13)의 삽입 및 탈거가 용이한 바 조립과 확장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13)은 전체적으로 양측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지지부재(11)를 기준으로 할 때 대칭되는 길이만큼 돌출되어 거치부재(12)를 양쪽으로 거치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13)은 평활부(131), 굴곡부(132), 중앙부(133) 및 스토퍼(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활부(131)는 거치수단(13)의 양쪽으로 전체적으로 평활하게 연장된 부분으로, 거치부재(12)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활부(131)는 양쪽으로 연장된 길이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어떤 측으로 거치부재를 거치하더라도 지지력과 응력이 균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부(132)는 거치공(111a)으로부터 거치수단(13)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굴곡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삽입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굴곡부(132)는 좌우대칭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32)는 평활부(131)로부터 연장된 상부에서는 내측으로 굴곡진 오목부(132a)를 포함하고, 하부에서는 외측으로 굴곡진 볼록부(132b)를 포함하여 거치공(111a)에 안착 시 탈락이 용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32a)는 상기 평활부(131)로부터 연장되고, 거치수단의 비교적 상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굴곡된 부분을 지칭하고, 상기 볼록부(132b)는 상기 오목부(132a)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면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부분을 지칭한다. 거치수단의 굴곡부(132)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함에 따라 오목부(132a)와 볼록부(132b)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거치공(111a)에 거치될 시 평활부(131)는 오목부(132a)로부터 충분한 돌출길이를 갖게 되고, 굴곡진 부분들로 인해 거치공(111a)에서 쉽게 탈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중앙부(133)는 상기 거치수단(13)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부(133)는 양측 굴곡부(132)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에 삽입되어 안착될 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4)는 상기 거치수단(13)의 삽입 정도를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34)는 일측 굴곡부(132)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거치수단(13)의 삽입 시 지지부재(11)와 접촉함으로써 거치수단(13)이 과도하게 삽입되어 정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거치수단(13)이 거치공(111a) 내로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일측 평활부(131)가 먼저 삽입되고, 이후 굴곡부(132)의 삽입을 위해 거치수단(13)을 상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굴곡부(132)를 삽입시키고 난 후에는 스토퍼(134)에 의해 더이상의 삽입이 제한되고, 거치수단(13)은 중력에 의해 중앙부(133)가 거치공(111a)에 걸쳐지면서 정착된다. 이에 따라 거치수단(13)이 삽입-회전-삽입의 방법으로 거치되고, 양측 평활부(131) 상에 거치부재(12)가 거치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거치수단(13)이 거치된 상태에서는 좌우 변위가 제한되며 거치수단(13)의 회전이 어려우므로 안정적인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수단(13)이 일측에서 지지부재의 거치공(111a) 내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돌출되고 고정됨으로써, 도 12의 (c)와 같이 지지부재(11)를 기준으로 양측에 평활부(131)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거치부재(12)를 양측의 평활부(131) 상에 거치할 수 있는 바 손쉽게 지지부재(11)의 양쪽으로 거치부재(12)의 거치 또는 연결이 가능하며, 나아가 모빌랙의 수평적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도 5 및 6을 참고하면, 상기 측면패널(14,15)은 상기 프레임부(11)의 측방에서 구비되고, 모빌랙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측면패널(14,15)은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결속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패널(14)은 모빌랙의 외관을 구성하는 바 측면을 폐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구동부(2)가 구비되는 측의 측면패널(15)은 구동부(2)가 구비되지 않는 측의 측면패널(14)과는 달리 핸들부(5)나 잠금부(23)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16)은 모빌랙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16)은 바람직하게는 모빌랙 내 수용공간의 후면을 폐색하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된 물건들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절곡부(114)와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외력으로 인한 비틀림힘을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부는 지지패널(18)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패널(18)은 제1지지패널(181)과 제2지지패널(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 및 구동부(2)가 결합지지되는 지지패널(18)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패널(18)은 상기 측면패널(14,15)과는 독립적으로 지지부재(11)에 결합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패널(18)은 후술하는 구동부(2)의 각 구성을 실질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구동부(2)의 각 구성은 지지패널(18)에 결합지지되어 상황에 따라 관리자가 측면패널(15)을 개방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8)은 지지부재(11)에 양단이 결합지지되는 제1지지패널(181)과 상기 제1지지패널(18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결합지지되는 제2지지패널(182)을 포함하며, 후술하는 구동부(2)의 각 구성은 제1지지패널(181) 및 제2지지패널(182)에 분할되어 결합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제1체인(210b)을 중심으로 한 동력전달부(21)의 기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텐션조절부(216)가 제2체인(210a)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텐션조절부(219)가 제1체인(210b)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6를 참고하면, 상기 구동부(2)는 후술하는 이동부(3)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2)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한 모빌랙의 측면에 위치하여 발생한 구동력을 모빌랙의 하부에 전달시킴으로써 이동부(3)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2)는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동력을 이동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1) 및 상기 동력전달부(21) 내의 동력 전달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가해지는 동력을 이동부(3)로 전달할 수 있다. 동력의 전달을 위해서 복수개의 기어와 체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이격된 기어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체인(210)과 구동축(211), 잠금기어(212), 주동기어(213), 핸들기어(214), 종동기어(215), 텐션조절부(216,219), 연동기어(217) 및 바퀴기어(2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제1체인(210b)은 후술하는 연동기어(217)와 바퀴기어(218) 및 제1텐션조절부(219)를 걸쳐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215) 및 제2구동축(211b)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연동기어(217)로부터의 동력을 이동부(3)와 연결된 바퀴기어(218)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체인(210a)은 주동기어(213)와 종동기어(215) 및 제2텐션조절부(216)를 걸쳐 구비되며, 제1구동축(211a)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제2구동축(211b)에 연결되어 구비된 종동기어(215)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체인(210b)과 제2체인(210a)은 모빌랙의 장기간 사용 시 하중에 의해 느슨해져 동력의 전달이 불완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잇어서는, 상기 제1체인(210b)과 제2체인(210a)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오랜기간 사용에도 온전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211a)은 제2지지패널(182)에 결합지지되고,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211a)의 상에는 후술하는 잠금부(23)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이 멈추도록 구비된 잠금기어(212)가 형성될 수 있고, 일단에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주동기어(213)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핸들부(5)와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연동되도록 구비된 핸들기어(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211b)은 제1지지패널(181)에 결합지지되고, 상기 제1구동축(211a)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이동부(3)까지 전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구동축(211b)의 일단에는 종동기어(215)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동기어(217)가 구비되어 상기 제2체인(210a)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제1체인(210b)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212)는 제1구동축(211a) 상에 형성되어 핸들기어(214)에 의한 제1구동축(211a)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잠금기어(212)의 상부에 위치하는 후술하는 잠금돌기(233)가 하향이동되어 기어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게 되면 잠금기어(212)는 잠금돌기(233)에 걸려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1구동축(211a) 및 제2구동축(211b)가 회전하지 못하여 이동부(3)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모빌랙의 이동을 제한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후술하는 잠금부(23)와 연동하여 사용된다.
상기 주동기어(213)는 상기 제1구동축(211a)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1구동축(211a)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주동기어(213)에는 상기 제2체인(210a) 등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종동기어(215)와 연결된다. 이때, 주동기어(213)의 직경에 비해 종동기어(215)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면 주동기어(213)에 연결된 제1구동축(211a)의 회전속도에 비해 종동기어(215)에 연결된 제2구동축(211b)의 회전속도는 줄어드나, 제2구동축(211b)에 가해지는 토크는 증가하므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기어(214)는 상기 제1구동축(211a)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1구동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핸들기어(214)는 후술하는 핸들부(5)와 선택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 핸들부(5)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경우에는 핸들부(5)의 회전을 제1구동축(211a)에 전달하여 결과적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215)는 상기 제2구동축(211b)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2구동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제2체인(210a)에 의해 전달되는 제1구동축(210a)의 회전을 제2구동축(211b)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도 13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2텐션조절부(216)는 제2체인(210a)과 연동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빌랙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이 느슨해져 변형되어 이동시 소음이 발생하거나 동력전달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제2텐션조절부(216)는 바람직하게는 주동기어(213)와 종동기어(215)의 사이에 위치하며, 소정거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2체인(210a)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제2텐션조절부(216)는 제2텐션조절기어(216a), 제2이동플레이트(216b), 체결공(216c) 및 체결수단(216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텐션조절기어(216a)는 제2이동플레이트(216b)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텐션조절기어(216a)의 이를 따라 제2체인(210a)이 걸쳐져 주동기어(213) 및 종동기어(215)와 함께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2텐션조절기어(216a)가 주동기어(213)와 종동기어(215) 사이에서 소정거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체인(210a)이 주동기어(213), 종동기어(215) 및 제2텐션조절기어(216a)를 커버하는데 필요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모빌랙의 사용에 따라 체인이 느슨해지는 경우 제2텐션조절기어(216a)를 이동시켜 체인이 상기 기어들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체인(210a)이 긴장되어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6b)는 후술하는 제2기준플레이트(216e) 상에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좌우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제2이동플레이트(216b)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텐션조절기어(216a)를 이동시켜 제2체인(210a)을 팽팽하게 또는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16c)은 상기 제2이동플레이트(216b) 상에 구비되며, 제2이동플레이트(216b)는 바람직하게는 체결수단(216d)을 통해 제2기준플레이트(216e)에 결합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16d)을 수용하는 체결공(216c)은 일방향으로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좌우로의 길이가 체결수단(216d)의 직경보다 소정 범위 길도록 형성되어 제2이동플레이트(216b)를 소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결수단(216d)을 풀고 제2이동플레이트(216b)를 이동시킨 후 다시 체결수단(216d)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수단이 결합된 채로 제2이동플레이트(216b)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텐션조절부(216)는 제2기준플레이트(216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준플레이트(216e)는 제2이동플레이트(216b)와 체결수단(216d)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텐션조절부(216)의 기저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기준플레이트(216e)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지지패널(181)에 결합지지되어 주동기어(213)와 종동기어(2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동기어(217)는 제2구동축(211b)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2구동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제2구동축(211b)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바퀴기어(218)에 전달하며, 결과적으로는 이동부(3)에 동력을 전달하여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기어(218)는 후술하는 이동부(3)의 바퀴(34)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제1구동축(211a)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종국적으로 바퀴기어(218)에 전달됨으로써 바퀴(34)를 회전시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기어(218)는 동력전달부(21)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도 14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텐션조절부(219)는 제1체인(210b)과 연동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빌랙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이 느슨해져 변형되어 이동시 소음이 발생하거나 동력전달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제1텐션조절부(219)는 바람직하게는 동력전달부(21)의 전후방에 구비된 바퀴기어(218)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소정거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1체인(210b)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제1텐션조절부(219a)는 제1텐션조절기어(219a), 제1이동플레이트(219b), 체결공(219c) 및 체결수단(219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텐션조절기어(219a)는 제1이동플레이트(219b)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텐션조절기어(219a)의 이를 따라 제1체인(219a)이 걸쳐져 연동기어(217) 및 바퀴기어(218)와 함께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1텐션조절기어(219a)가 양 바퀴기어의 사이에서 소정거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체인(210b)이 연동기어(217), 바퀴기어(218) 및 제1텐션조절기어(219a)를 커버하는데 필요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모빌랙의 사용에 따라 체인이 느슨해지는 경우 제1텐션조절기어(219a)를 이동시켜 체인이 상기 기어들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체인(210b)이 긴장되어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19b)는 후술하는 제1기준플레이트(219e) 상에서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좌우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제1이동플레이트(219b)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텐션조절기어(219a)를 이동시켜 제1체인(210b)을 팽팽하게 또는 느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19c)은 상기 제1이동플레이트(219b) 상에 구비되며, 제1이동플레이트(219b)는 바람직하게는 체결수단(219d)을 통해 제1기준플레이트(219e)에 결합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219d)을 수용하는 체결공(219c)은 일방향으로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상하로의 길이가 체결수단(219d)의 직경보다 소정 범위 길도록 형성되어 제1이동플레이트(219b)를 소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결수단(219d)을 풀고 제1이동플레이트(219b)를 이동시킨 후 다시 체결수단(219d)을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수단이 결합된 채로 제1이동플레이트(219b)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텐션조절부(219)는 제1기준플레이트(219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플레이트(219e)는 제1이동플레이트(219b)와 체결수단(219d)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텐션조절부(219)의 기저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기준플레이트(219e)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이동지지프레임(32)에 결합지지되어 양 바퀴기어(21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23)는 선택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21)의 동력 전달, 자세히는 각 기어의 회전을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이동부(3)의 바퀴(34)의 회전을 단속하게 됨으로써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3)는 잠금체(231) 및 잠금돌기(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체(231)는 모빌랙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잠금체(231)를 조작하여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상기 잠금체(231)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후술하는 잠금돌기(233)를 하향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돌기(233)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잠금기어(21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잠금돌기(233)는 사용자의 잠금체(231)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향이동되어 잠금기어(212)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상기 이동부(3) 내의 바퀴축(33)과 바퀴(34) 및 바퀴기어(218)가 레일부(6) 위를 진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18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3)는 상기 프레임부(1)의 하부에서 프레임부(1)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구동부(2)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바탕으로 이동부(3)가 이동함으로써 조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3)는 휠축연결프레임(31), 이동지지프레임(32), 바퀴축(33) 및 바퀴(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축연결프레임(31)은 모빌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병렬적으로 위치하는 다수개의 바퀴(34)와 바퀴축(33)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축연결프레임(31)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상부에 거치부재(12)를 거치하고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부의 프레임부(1)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은 레일부(6) 위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바퀴(34)와 바퀴축(33)을 내부에 포함하면서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통상적으로 모빌랙의 전후 이동방향을 따라 모빌랙의 하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바퀴(34)들을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 하나가 내부에 포함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연장방향은 레일부(6)의 연장방향과 같도록 형성되고 이는 모빌랙의 이동방향인 전후방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은 하부에서 바퀴(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과 상면은 폐쇄됨으로써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후술하는 저항감지부(411)가 구비되어 모빌랙의 진행에 대한 저항을 감지하고 구동부(2)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바퀴축(33)은 모빌랙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34)와 바퀴기어(21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바퀴(34)는 모빌랙의 하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면서 레일부(6) 위를 진행하면서 실질적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바퀴축(33)과 바퀴(34)는 상기 연동기어(217)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퀴기어(218)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축(33)은 이동지지프레임(32)의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바퀴기어(218)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B부분에서 저항감지부(411)가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중앙 부분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19의 물체감지부(413)가 프레임부(1)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21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는 상기 구동부(2)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부(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이동부(3)에 의한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는 상기 프레임부(1) 주위의, 바람직하게는 전후방의 물체 및/또는 물체에 의한 저항을 감지하여 구동부(2)의 운전 및/또는 이동부(3)의 속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는 감지부(41)와 출력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1)는 모빌랙 주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부(1) 주변의 저항 및/또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1)는 모빌랙에 작용하는 저항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저항감지부(411)와 모빌랙 주변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물체감지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저항감지부(411)는 모빌랙의 진행방향에 대한 저항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일부(6) 위에서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이동하는 모빌랙은 바람직하게는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모빌랙의 이동방향에 물건이나 사람이 존재하여 모빌랙에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불구하고 모빌랙이 계속 움직이게 된다면 구동부(2) 및 이동부(3)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안전상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감지부(411)는 바람직하게는 모빌랙에 대한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속력의 저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항감지부(411)는 회전체(4111), 복수개의 날개(4112), 감지프레임(4113), 발신체(4114) 및 수신체(4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4111)는 상기 이동지지프레임(32)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며, 이동지지프레임(32) 내부에 구비된 바퀴(4116)와 바퀴축(4117)으로 연결됨으로써 바퀴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4111)는 바퀴와 같은 각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날개(4112)는 상기 회전체(4111)를 중심으로 동일한 중심각을 가지면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날개(4112)는 회전체(4111)로부터 복수개가 방사상 연장됨에 따라 회전체 주변을 모두 폐색시키지 않고 날개(411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남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4112)는 바람직하게는 전자기파를 투과시키지 않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프레임(4113)은 후술하는 발신체(4114)와 수신체(4115)를 지지하고, 경우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감지프레임(4113)은 내부에 전자기파를 발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감지프레임(4113)의 몸체는 발신체(4114)가 구비된 일단은 상기 회전체(4111) 및 날개(41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수신체(4115)가 구비된 타단은 상기 회전체(4111) 및 날개(4112)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신체(4114)는 상기 회전체(4111) 및 날개(4112)의 일측에서 전자기파를 발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신체(4115)는 상기 회전체(4111) 및 날개(4112)의 타측에서 발신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발신된 전자기파는 상기 날개(4112) 사이의 공간으로 진행하여 수신체(4115)에 수신된다.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전후방 이동하는 경우, 후술하는 출력부(43)에서는 정해진 속력으로 이동부(3)가 이동하도록 구동부(2)를 운전시킬 수 있다. 이때 하달되는 속력에 따라 바퀴(34)의 각속도가 정해된다. 상기 저항감지부(411)는 상기 수신체(4115)에 수신되는 전자기파의 주기를 통하여 회전체(4111)의 각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현재 바퀴(34)의 각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지정된 바퀴의 각속도와 계산된 현재 바퀴의 각속도가 같다면 모빌랙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저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 볼 수 있고, 지정된 바퀴의 각속도와 계산된 현재 바퀴의 각속도가 다르다면 모빌랙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저항이 존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때 저항감지부(411)는 저항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출력부(43)에서 구동부(2) 또는 이동부(3)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상기 물체감지부(413)는 모빌랙 전후방 또는 주변의 물체 또는 인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체감지부(413)는 프레임부(1)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구비되어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의 상부에 구비된 물체감지부(413a)는 바람직하게는 광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빌랙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일정 영역에 사람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구동부(2)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의 하부에 구비된 물체감지부(413b)는 바람직하게는 압력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빌렉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물체감지부(413b)에 접촉하는 물체를 감지할 시 구동부(2)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출력부(43)는 상기 구동부(2)의 운전이나 구동부의 운전으로 인한 이동부(3)의 운동 및/또는 속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43)는 전동식으로 모빌랙을 수동할 시 상기 구동부(2)에 초기 이동속도를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상기 감지부(41)에서 감지한 저항 또는 물체에 따라서 속력을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의 정면도이고, 도 23은 상기 핸들부(5)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핸들부(5)의 클러치부(53)가 핸들부 회전에 따라 핸들기어(214)에 걸리는 거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부(5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25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핸들부(5)는 구동부(2)의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을 통하여 구동부(2)를 운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빌랙이 수동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가 핸들부(5)를 회전시키면 핸들부(5)는 핸들기어(214)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구동부(2)에 동력을 전달하고, 결과적으로 이동부(3)를 이동시켜 모빌랙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핸들기어(214)의 회전과 연동되어 핸들부(5)가 회전한다면 주변의 사람 또는 물체와 충돌하여 안전상 문제를 발생시킬수 있으며, 핸들부(5)가 걸림으로 인해 구동부(2)에 문제가 생기거나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는 선택적으로 구동부(2)와 연동되어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5)는 핸들바디(51)와 클러치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핸들바디(51)는 핸들기어(21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기어(214)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동식으로 운전되는 모빌랙의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핸들바디(51)를 조작함으로써 모빌랙을 이동시키는 바 상기 핸들바디(51)는 측면패널(15)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디(51)는 공동부(51a)를 포함하여 제1구동축(211a)를 수용하면서 핸들기어(214)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키홀(511)과 손잡이(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홀(511)은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와 연결되어 걸림차단체(533)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클러치부(53)와 핸들기어(214)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키홀(511)은 열쇠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열쇠를 회전시킴으로써 걸림차단체(533)를 이동시켜 클러치부(53)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쇠 등을 수용하여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열쇠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에서 걸림차단체(533)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에 대해서도 미칠 수 있다.
상기 손잡이(51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바디(51)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핸들바디(51)의 단부에서 수직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클러치부(53)는 핸들기어(214)로부터 핸들부(5)로 전달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반대로 핸들부(5)로부터 핸들기어(214)로 전달되는 동력 또한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부는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구동될 때에는 핸들기어(214)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고, 수동식으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핸들바디(5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53)는 걸림체(531), 걸림회전축(532), 걸림차단체(533) 및 연결노드(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체(531)는 상기 클러치부(53)에 적어도 한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핸들부(5)의 회전에 따라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연동됨으로써 핸들부(5)와 핸들기어(214)의 회전을 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체는 2개가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핸들부(5)의 거동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도 24를 참고하면, 핸들바디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있는 도 24의 (a)의 경우 상기 걸림체(531)가 정지한 상태로 핸들기어(214)와 연동되지 않지만, 도 24의 (b)의 경우에는 핸들바디가 회전하면서 걸림체(531)는 중력 또는 원심력 등의 힘에 의해 일부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연동하여 회전되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걸림체(531)는 후술하는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걸림체(531)가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각에 따라 도 24의 경우와 같이 걸림체(531)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어 연동됨으로써 핸들부(5)가 구동부(2)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걸림체(531)는 삽입부(531a), 몸체부(531b), 회전부(531c) 및 돌출부(53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31a)는 걸림체(531)의 일단에 형성되며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531a)는 전체적으로 단부로 갈수록 그 평면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되어 핸들기어의 이 사이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핸들기어의 회전과 연동됨에 따라 핸들부를 핸들기어와 같이 회전시켜 구동부(2)와 핸들부(5)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531b)는 걸림체(531)의 중단에 전체적으로 걸림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걸림체(531)가 회전할 때 상기 삽입부(531a)가 충분한 거리를 이동하여 핸들기어의 이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회전축(532)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531c)는 걸림체(531)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531c)는 소정 깊이 함입되도록 굴곡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회전부(531c)의 굴곡과 후술하는 걸림차단체(533)의 굴곡이 상보적임에 따라 회전 시 마찰 또는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1d)는 상기 회전부(531c)의 일측에서 소정의 굴곡을 형성하며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531c)를 기준으로 할 때 걸림회전축(532)이 구비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1d)는 걸림체(531)가 걸림회전축(532)을 기준으로 회전할 시 걸림차단체(533)와 상호작용하여 걸림체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걸림차단체(533)가 전진하는 경우에 하향회전이 막혀 걸림체의 회전각을 제한하게 되며, 이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회전축(532)은 상기 핸들기어(214)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체(531)가 걸림회전축(532)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체(531)는 삽입부(531a)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어 동력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차단체(533)는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함으로써 상기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차단체(533)가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제한함으로써 걸림체의 삽입부(531a)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핸들부(5)와 핸들기어(214) 사이의 동력 전달을 단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차단체(533)는 상기 키홀(511)과 연결노드(53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외부에서의 조작을 통해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5를 참고하면, 걸림차단체(533)가 후진하는 (a)의 경우, 걸림체(531)는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부(531a)가 핸들기어의 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구동부와 핸들부가 연동될 수 있다. 걸림차단체(533)가 전진한 (b)의 경우, 걸림체(531)는 걸림회전축(532)을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돌출부(531d)가 걸림차단체(533)에 의해 막혀 하향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각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삽입부(531a)가 핸들기어의 이 사이에 삽입될 수 없게 되어 구동부와 핸들부의 연동이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차단체는 상부 굴곡이 상기 걸림체의 회전부(531c)에 형성된 굴곡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하여 회전 시 마찰 또는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노드(534)는 상기 걸림차단체(533)와 키홀(511)을 연결하면서, 키홀(511)에서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걸림차단체(533)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캠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키홀(511)을 회전시켜 상기 키홀(511)과 연결된 연결노드(534)의 일단을 전진시키면, 연결노드(534)의 타단에 연결된 걸림차단체(533)도 전진하여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제한하게 되고, 키홀(511)을 회전시켜 연결노드(534)의 일단을 후퇴시키면, 연결노드(534)의 타단에 연결된 걸림차단체(533)도 후퇴하여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자유롭게 하여 걸림체(531)가 핸들기어(214)의 이 사이에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빌랙이 전동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키홀(511)을 회전시켜 연결노드(534)와 걸림차단체(533)를 전진시켜 상기 걸림체(531)의 회전각을 제한함으로써 핸들부(5)와 핸들기어(214) 사이의 동력전달을 차단시키고, 수동식으로 이동하는 경우 키홀(511)을 회전시켜 연결노드(534)와 걸림차단체(533)를 후퇴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기어 수용체(61)가 레일부(6) 상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레일부(6) 상에 구비된 바퀴기어 수용체(61)에 바퀴기어(218)가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가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한 잠금상태 시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28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레일부(6)는 이동부(3)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6)는 레일부(6)상을 이동하는 바퀴(34)의 전후방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면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퀴(34)는 레일부(6) 상에서 회전운동을 할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운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건 등을 꺼내거나 볼 수 없는 잠금상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상기 구동부(2)의 잠금부(23) 및 잠금기어(213)의 조작을 통해 바퀴(34)의 회전운동은 방지할 수 있으나, 외력으로 인하여 바퀴(34)가 레일부(6) 상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하여 모빌랙이 이동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6)는 바퀴기어 수용체(61)를 포함하여 상기 바퀴(34)의 미끄러짐 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모빌랙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레일부(6) 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바퀴기어(218)의 이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퀴기어 수용체(61)는 바퀴기어(218)의 이를 수용하면서, 바퀴(34)가 레일부(6) 상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바퀴기어(218)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바퀴(34)가 일정범위 이상 전후방으로 미끄러져 모빌랙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수용부(611) 및 결합부(613)를 포함할 수 있고, 체결수단(615)을 통해 레일부(6)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11)는 전체적으로 전후방으로 연장된 이동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공(611a)을 포함하여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용공(611a)이 수용부(611) 상에 두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개 형성되어 바퀴기어의 이를 수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공은 바퀴기어(218)의 이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바, 바퀴기어(218) 이의 단면보다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611a)이 바퀴기어(218) 이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바퀴기어(218)의 이가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소정거리 미끄러짐 이동을 하게 될 수는 있으나, 이동가능한 길이는 수 mm에 해당하는 바 보안성이 손상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결합부(613)는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를 레일부(6)의 소정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역시 전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이동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결합부(613)가 수용부(611)보다 전후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레일부(6)에 결합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결합부(613)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수단(615)를 수용하는 체결공(613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체결공은 그 전후방으로의 길이가 체결수단(615)의 전후방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됨으로써, 바퀴기어 수용체(61)가 소정거리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잇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모빌랙이 사용중에 이동하는 경우, 이동부(3)의 바퀴(34)는 레일부(6) 상에서 회전운동을 하면서 전후방으로 운동하는데, 회전운동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 운동도 같이 발생함에 따라 사용 후 초기 위치로 돌아오면서 후술하는 잠금상태가 될 시 바퀴기어(218)는 이의 위치가 사용 전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바퀴기어(218)의 이가 상기 수용부(611)와 충돌하여 바퀴기어 수용체(61)를 손상시킬 수 있는 바, 바퀴기어 수용체(61)를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퀴기어(218)의 이 수용 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615)은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를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하면서 레일부(6)에 체결되어 바퀴기어 수용체(61)를 레일부(6)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615)은 전후방으로의 길이, 즉 직경이 체결공(613a)의 전후방으로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615)의 직경이 체결공(613a)의 전후방 길이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여유공간이 남음으로써 바퀴기어 수용체(61)는 전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바퀴기어(218)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바퀴기어 수용체(61) 손상될 확률이 줄어든다.
도 27을 참고하면,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바퀴기어 수용체(218)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바퀴기어 수용체(61)의 일면, 즉 상면으로부터 바퀴기어(218)의 중심, 즉 바퀴축(33)까지의 거리가 상기 바퀴기어(218)의 이 끝으로부터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퀴기어(218)의 이가 바퀴기어 수용체(61)에 수용된 후 미끄러짐 운동으로 인해 바퀴기어 수용체(61)를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도 28을 참고하면, 상기 레일부(6)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모빌랙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모빌랙이 인접하여 내부에 수용된 물건 등을 꺼내거나 볼 수 없는 잠금상태에 있어서,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최외곽 모빌랙(R0)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구비됨으로써 전체 모빌랙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외곽 모빌랙의 이동부가 위치하는 곳에 바퀴기어 수용체(61)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바퀴기어 수용체(61)는 최외곽 모빌랙(R0)의 바퀴(34)가 미끄러짐 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외곽 모빌랙(R0)의 이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위치하는 모빌랙의 이동도 제한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모빌랙 시스템의 보안성이 향상된다.
도 29는 도 28의 C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부(7)가 프레임부의 지지부재(11)와 거치부재(12) 상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0은 상기 전도방지부(7)의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및 30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전도방지부(7)는 프레임부(1)와 구동부(2) 및 모빌랙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방지부(7)는 상기 프레임부(1)를 포함하는 모빌랙의 측방 및 상하변위를 제한하여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전도방지부(7)는 지지체(70),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체(70)는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70)는 원형의 긴 봉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부(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70)가 프레임부(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은 물론, 프레임부(1)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체(70)는 상기 레일부(6)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모빌랙이 비틀려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70)에는 복수개의 모빌랙이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가이드하기 위해 후술하는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가 각각의 모빌랙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체(70)는 1개 이상 구비되어 모빌랙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모빌랙의 좌우 양측에 지지체(70)가 구비되어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지지체(70)가 구비되어 모빌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도 3 및 29 내지 30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보조체(71)는 프레임부(1)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지지체(70)를 관통수용하여 상기 지지체(70)를 따라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보조체(7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운동을 통해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바, 모빌랙의 측방 또는 상하방 변위를 제한하면서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보조체(71)는 2개의 회전체(71a,71b)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71a,71b)들은 상하로 배열되되 그 사이로 지지체(70)를 관통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결합체(73)에 각각 체결수단(735a,735b)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71a,71b)가 상하로 배열됨에 따라 지지체(70)가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해 상하로 흔들리면서 모빌랙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9 및 30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체(73)는 프레임부(1)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보조체(71)를 프레임부(1)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보조체(71)가 프레임부(1)에 연결됨으로써 이동보조체(71)는 프레임부(1)를 포함하는 모빌랙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결합체(73)와 이동보조체(71)가 연결되어 함께 이동함에 따라 지지체(70) 주변을 폐색하면서 지지체를 수용하여 상기 지지체(70)가 이동보조체(71) 및 결합체(7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73)는 상기 프레임부(1)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1), 거치부재(12) 및 측면패널(14,15)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 프레임체결부(731)와 이동보조체(71)와 결합하면서 지지체(70)를 수용하여 모빌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지지체안내부(733)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회전체(71a,71b)와 체결수단(735a,735b)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체결부(731)는 결합체(73) 및 결합체와 연결된 이동보조체(71)를 프레임부(1)와 연결시킴으로써 관통수용된 지지체(70)와 함께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수단을 통해 프레임부(1)와 체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체결부(731)는 지지부재(11) 및 거치부재(12)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체결부(7311)와 측면패널(14,15)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체결부(7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7311)는 바람직하게는 모빌랙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지지부재(11) 및 거치부재(12)와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고, 제2체결부(7313)는 바람직하게는 모빌랙의 측방에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측면패널(14,15)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안내부(7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보조체(71)와 결합하면서 지지체(70)를 수용하여 모빌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지지체안내부(733)가 이동보조체(71)와 결합하고, 이동보조체의 회전체(71a,71b) 사이로 지지체(70)를 관통수용하게 되면서 지지체(70)가 결합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모빌랙의 전후방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안내부(733)는 제1체결부(731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상측으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이동보조체(71)와 체결수단(735)을 통해 결합되는 제1안내부(7331)와 역시 제2체결부(7313)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이동보조체(71)와 체결수단(735)을 통해 결합되는 제2안내부(7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안내부(7331) 및 제2안내부(7333)가 상하로 구비된 회전체(71a,71b)를 체결하면서 그 내부로 지지체(70)를 수용할 수 있는 바, 지지체(70)는 그 변위가 제한되면서 모빌랙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면 29 및 30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동보조체와 체결되면서 프레임부(1)와 이동보조체(71)를 연결하고, 지지체(70)를 관통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 권리범위가 미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 모빌랙 1: 프레임부
11: 지지부재 111: 직선부 111a: 거치공
112: 전방절곡부 113: 전방비드 114: 후방절곡부
12: 거치부재 121: 평면부 122: 길이측절곡부
123: 폭측절곡부 124: 보강부
13: 거치체 131: 평활부 132: 굴곡부
133: 중앙부 134: 스토퍼
14: 측면패널 15: 측면패널
18: 지지패널 181: 제1지지패널 182: 제2지지패널
2: 구동부 21: 동력전달부
210: 체인 211: 구동축 212: 잠금기어
213: 주동기어 214: 핸들기어 215: 종동기어
216: 제2텐션조절부 217: 연동기어 218: 바퀴기어
219: 제1텐션조절부
23: 잠금부 231: 잠금체 233: 잠금돌기
3: 이동부 31: 휠축연결프레임
32: 이동지지프레임 33: 바퀴축 34: 바퀴
4: 제어부 41: 감지부
411: 저항감지부 4111: 회전체 4112: 날개
4113: 감지프레임 4114: 발신체 4115: 수신체
413: 물체감지부 43: 출력부
5: 핸들부 51: 핸들바디 51a: 공동부
511: 키홀 513: 손잡이
53: 클러치부 531: 걸림체 532: 걸림회전축
533: 걸림차단체 534: 연결노드
6: 레일부 61: 바퀴기어 수용체
611: 수용부 613: 결합부
7: 전도방지부 70: 지지체 71:이동보조체
71a,71b: 회전체 73: 결합체

Claims (14)

  1. 모빌랙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서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모빌랙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거치부재와 지지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의 거치를 보조하는 거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으로 연장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수단을 수용하여 상기 거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거치공과,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서 양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전방절곡부 및 후방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거치부재가 지지부재 상에 양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면하는 폭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가지는 폭측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폭측절곡부의 길이는 거치부재의 폭보다 짧도록 구비되어 상기 폭측절곡부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으로 상기 거치수단을 통해 거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핸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핸들기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걸림차단체와 연결되어 상기 걸림차단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키홀을 가지는 핸들바디와,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 또는 연결하도록 구비된 클러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핸들기어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걸림회전축과 상기 걸림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핸들기어의 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연결시키는 걸림체 및 상기 걸림체와 결합되어 걸림체의 중력 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걸림차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삽입되어 타측으로 돌출되되, 양측에 상기 거치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평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거치공으로부터 탈락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삽입-회전-삽입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거치공에 삽입되고 거치되어 거치공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일측의 굴곡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절곡부 및 후방절곡부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절곡되어 좌우로 연장된 길이가 같도록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전방절곡부의 중앙 부분에 절곡형성된 전방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절곡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모빌랙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색시킬 수 있는 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패널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후방절곡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면에 복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양측단이 절곡연장되고 체결공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하면에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처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KR1020190066804A 2019-06-05 2019-06-05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KR102115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04A KR102115884B1 (ko) 2019-06-05 2019-06-05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04A KR102115884B1 (ko) 2019-06-05 2019-06-05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884B1 true KR102115884B1 (ko) 2020-05-29

Family

ID=7091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804A KR102115884B1 (ko) 2019-06-05 2019-06-05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4506A (zh) * 2020-10-21 2021-01-22 樊星宇 一种靠拢密封性好的密集架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866U (ko) * 1997-05-08 1997-08-12 모빌랙의 손잡이
KR200187220Y1 (ko) * 1999-12-27 2000-07-01 주식회사삼광씨스템 모빌 랙
JP2002238671A (ja) * 2001-02-15 2002-08-27 Okamura Corp 多連式収納棚への照明器具取付け装置
KR200315602Y1 (ko) * 2003-02-28 2003-06-09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조립식 책장의 선반구조
JP2006034494A (ja) * 2004-07-26 2006-02-09 Okamura Corp 手動式移動棚装置
KR200439544Y1 (ko) 2007-08-09 2008-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KR101541685B1 (ko) * 2015-02-02 2015-08-04 주식회사 심플라인 벽체 선반
KR101622241B1 (ko) 2015-11-04 2016-05-19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낙하 방지용 모빌랙 선반 지지 시스템
KR101806215B1 (ko) * 2017-05-02 2017-12-07 (주)대원모빌랙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서가
JP2018165202A (ja) * 2017-03-28 2018-10-25 日本ファイリング株式会社 移動棚用の制震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8866U (ko) * 1997-05-08 1997-08-12 모빌랙의 손잡이
KR200187220Y1 (ko) * 1999-12-27 2000-07-01 주식회사삼광씨스템 모빌 랙
JP2002238671A (ja) * 2001-02-15 2002-08-27 Okamura Corp 多連式収納棚への照明器具取付け装置
KR200315602Y1 (ko) * 2003-02-28 2003-06-09 주식회사 한국오에이 조립식 책장의 선반구조
JP2006034494A (ja) * 2004-07-26 2006-02-09 Okamura Corp 手動式移動棚装置
KR200439544Y1 (ko) 2007-08-09 2008-04-17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KR101541685B1 (ko) * 2015-02-02 2015-08-04 주식회사 심플라인 벽체 선반
KR101622241B1 (ko) 2015-11-04 2016-05-19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낙하 방지용 모빌랙 선반 지지 시스템
JP2018165202A (ja) * 2017-03-28 2018-10-25 日本ファイリング株式会社 移動棚用の制震装置
KR101806215B1 (ko) * 2017-05-02 2017-12-07 (주)대원모빌랙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서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4506A (zh) * 2020-10-21 2021-01-22 樊星宇 一种靠拢密封性好的密集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785B1 (ko) 냉장고
US8899297B2 (en) Rolling door, in particular fast-moving industrial door
KR102076747B1 (ko)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US8141968B2 (en) Support beam for a cabinet drawer
KR102115884B1 (ko)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JP6815018B2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KR102115897B1 (ko) 전도방지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KR102144784B1 (ko) 차량 도어용 플러시 핸들
EP3258195A2 (en) Refrigerator
KR20100122459A (ko)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CN113585888B (zh) 门锁装置及烹饪器具
KR102115894B1 (ko) 저항 감지시 안정성이 강화된 모빌랙
KR102091551B1 (ko) 보안성이 향상된 모빌랙
KR102091553B1 (ko) 안정성이 향상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RU2257126C2 (ru) Ходовой рельс направляющей выдвижного ящик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 высоте
EP3764038A1 (en) Refrigerator
EP2522799B1 (en)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s
US8510912B2 (en)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s
EP3258196B1 (en) Refrigerator
EP3764039A1 (en) Refrigerator
US11447994B2 (en) Drive device for an element to be driven
EP1164885A1 (en) Cord securing device
EP1911919A1 (en) Device for slowing the closing of sliding parts of pieces of furniture
EP287131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oors
JP3623073B2 (ja) 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