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459A -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 Google Patents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459A
KR20100122459A KR1020100044081A KR20100044081A KR20100122459A KR 20100122459 A KR20100122459 A KR 20100122459A KR 1020100044081 A KR1020100044081 A KR 1020100044081A KR 20100044081 A KR20100044081 A KR 20100044081A KR 20100122459 A KR20100122459 A KR 20100122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board
unit
pull
cupboard unit
control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베버
Original Assignee
페카-메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카-메탈 아게 filed Critical 페카-메탈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2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Abstract

찬장 유닛(1)은 닫힌 상태에서 찬장 유닛(1)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정면부를 형성하는 찬장문(6)을 포함한다. 찬장 유닛에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찬장 유닛에 삽입할 수 있고 찬장 유닛 밖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풀아웃 요소(7)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풀아웃 요소(7)는 선형 안내 수단(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보관칸이 풀아웃 요소에 배치되어 있다. 찬장문(6)은 수직으로 배치된 선회축(14)을 중심으로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대체로 수직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찬장문(6)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장치(15)를 통해 풀아웃 요소(7)에 연결되어 있다. 찬장문(6)이 수직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열리는 동안 풀아웃 요소(7)는 선회 운동을 통해 제어되어 찬장 유닛(1)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찬장 유닛(1)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하며, 그 역도 성립하고, 찬장문의 개방각(α)은 120°를 초과한다. 이러한 구성은 풀아웃 요소(7) 내의 보관칸에 최적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CUPBOARD UNIT WITH EXTENSIBLE PULL-OUT ELEMEN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측벽, 문 및 풀아웃(pull-out) 요소를 포함하는 찬장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문은 폐쇄 위치에 있으면 찬장 유닛에의 접근을 허용하는 정면부를 덮으며, 상기 풀아웃 요소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찬장 유닛에 밀어넣거나 찬장 유닛으로부터 당겨낼 수 있고, 상기 풀아웃 요소는 선형 안내 수단을 따라 활주할 수 있으며, 상기 풀아웃 요소에는 찬장 유닛에 보관할 물건을 담는 보관칸을 끼울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찬장 유닛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찬장 유닛은 단독으로 또는 다수를 조합하여 장착할 수 있다. 찬장 유닛은 여러 찬장 요소를 조립한 일련의 장식장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찬장 유닛의 높이는 특정 설치 용도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찬장 유닛은, 예컨대 바닥에 장착하거나 벽에 걸 수 있다.
이들 찬장 유닛에는 연장식 풀아웃 요소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연장식 풀아웃 요소는 물건을 담기 위한 보관칸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풀아웃 요소는 완전히 찬장 유닛 밖으로 연장되었을 때 최적의 방식으로 양쪽에서 접근할 수 있어, 풀아웃 요소 뒤쪽에 보관된 물건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풀아웃 요소를 밀어넣었을 때 찬장 유닛을 닫게 되는 찬장문은 보통 풀아웃 요소의 앞쪽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풀아웃 요소는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이 매우 쉽다. 하지만, 찬장문이 풀아웃 요소의 앞쪽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서는 풀아웃 요소에 접근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이 구역은 고정된 찬장문으로 덮여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면뿐만 아니라 정면에서도 최적의 방식으로 풀아웃 요소에 접근할 수 있고 매우 쉽게 풀아웃 요소를 찬장 유닛에 밀어넣고 당겨내어 풀아웃 요소를 개폐할 수 있도록, 찬장문을 갖는 찬장 유닛의 외측으로 당겨낼 수 있는 풀아웃 요소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문제는, 풀아웃 요소 상에 마련되는 대체로 수직으로 배향된 선회축을 중심으로 찬장문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선회할 수 있고, 찬장문이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를 통해 풀아웃 요소에 연결되어 있어, 찬장문이 수직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개방되는 동안, 이 선회 운동으로 작동되는 풀아웃 요소가 찬장 유닛 내부로 완전히 후퇴한 위치로부터 찬장 유닛 밖으로 연장된 위치로 이동하며 그 역으로도 이동하고, 찬장문의 개방각(α)은 120°를 초과한다는 점에서, 해결된다.
이 구성으로 인해, 찬장문이 개방되어 바깥쪽으로 선회함에 따라 풀아웃 요소가 찬장 유닛 밖으로 연장된다. 찬장문은 연장된 풀아웃 요소에서 충분히 멀리 선회함으로써 최적의 방식으로 양측면에서 풀아웃 요소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찬장문이 선회해 멀어짐으로써 풀아웃 요소의 앞부분에 최적의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찬장문을 위한 대체로 수직의 선회축이 풀아웃 요소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풀아웃 요소와 찬장문을 일체로 미리 조립하여 찬장 유닛에 끼울 수 있다. 찬장문을 찬장 유닛에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예컨대 찬장 유닛의 측벽을 배치하는 방식과 무관하게 되어, 찬장문을 구비한 이 풀아웃 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
유리하게는, 찬장문을 위한 수직 선회축이 전방측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풀아웃 요소에 배치되며, 선회암이 찬장문에 고정되는 동시에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연장부를 찬장 유닛에서 당겨낸 상태에서 찬장문이 풀아웃 요소로부터 최적의 방식으로 선회해 멀어지게 된다.
유리하게는, 결합 장치는 추가 선회암을 포함하며, 이 추가 선회암은 선회축과 평행하게 정렬된 추가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풀아웃 요소에 지지되고, 상기 추가 선회암의 선회 가능한 단부가 제어 곡선부와 상호 작용하며, 이 제어 곡선부에 대해 풀아웃 요소는 푸싱(pushing) 동작 동안 선형 안내 수단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수단에 의해서 풀아웃 요소를 당겨내고 밀어넣는 움직임이 찬장문의 선회 운동과 관련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선회암과 추가 선회암의 동시 이동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들 선회암은 결합 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선회암의 선회 운동이 추가 선회암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결합 수단은 무한 부재로 형성되며, 이 무한 부재는 선회암 및 추가 선회암에 고정된 회전 가능한 편향 휠 둘레에, 그리고 각각의 선회암 둘레에 미끄럼 없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이 결합 수단에 의해 매우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한 설계가 유지된다.
톱니 벨트(toothed belt)를 무한 부재로 사용함으로써 특히 간단한 해결책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곡선부는 풀아웃 요소의 이동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된 제 1 구역 및 풀아웃 요소의 이동 방향에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된 제 2 구역을 구비하며, 제어 곡선부의 제 1 및 제 2 구역은 호형 구역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수단에 의해 풀아웃 요소의 이동과 찬장문의 선회가 최적의 방식으로 동기화된다.
제어 곡선부를 판형 요소에 형성된 슬릿형 리세스로 형성하고, 추가 선회암의 선회 가능한 단부 구역에 슬릿형 리세스 내부로 돌출하는 캠핀을 배치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유리하게는, 선형 안내 수단을 신축식 안내부로 설계하며, 이 신축식 안내부는 풀아웃 요소에 고정되는 제 1 안내 요소, 찬장문에 고정되는 제 2 안내 요소, 및 이들 두 안내 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를 구비한다. 이 수단에 의하면 풀아웃 요소가 공지의 방식으로 완전히 찬장 유닛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어 곡선부를 중간 부재에 고정할 수 있고, 제어 곡선부를 찬장 유닛에 정적인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둘 중 한 가지 방식을 필요한 공간과 이용가능한 공간에 따라 유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찬장 유닛의 높이에 따라 찬장문과 풀아웃 요소 사이에 결합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찬장 유닛이 높은 경우에는 두 개의 결합 장치를 풀아웃 요소의 하부 구역과 상부 구역에 하나씩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이 제공하는 찬장 유닛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풀아웃 요소는 찬장 유닛을 닫기 위한 찬장문과 함께 작용하여, 풀아웃 요소를 완전히 당겨내고 찬장문을 완전히 선회시켜 개방했을 때 풀아웃 요소에 배치된 보관칸에 최적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풀아웃 요소가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찬장문이 부분적으로 선회하여 개방된 상태의 찬장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저장칸을 생략하고 찬장문과 결합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볼 수 있는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풀아웃 요소를 찬장 유닛 내부에 완전히 삽입하고 찬장문을 닫은 상태의 결합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찬장문이 부분적으로 선회하여 개방되고 풀아웃 요소가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도 3의 결합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찬장문이 부분적으로 선회하여 개방된 상태의, 결합 장치를 구비한 찬장 유닛의 상부 사시도.
도 6은 풀아웃 요소(보관칸 생략)가 완전히 연장되고 찬장문이 선회하여 완전 개방된 상태의 찬장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풀아웃 요소가 완전히 연장되고 찬장문이 완전히 선회하여 개방된 상태의 결합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결합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9는 풀아웃 요소를 찬장 유닛 내부에 완전히 삽입하고 찬장문을 닫은 상태의 도 8의 결합 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풀아웃 요소가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찬장문이 부분적으로 선회하여 개방된 상태의 도 9의 결합 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풀아웃 요소가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찬장문이 부분적으로 선회하여 개방된 상태의 도 10의 결합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풀아웃 요소가 완전히 연장되고 찬장문이 선회하여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도 9의 결합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찬장 유닛(cupboard unit)(1)은 기부(base part)(2), 두 개의 측벽(3, 4), 상부 커버(5) 및 찬장문(6)을 포함한다. 찬장 유닛(1)의 내부 공간에 풀아웃 요소(pull-out element)(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풀아웃 요소(7)는 지지 요소(8)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요소(8)에는 보관칸(9)을 공지의 방식으로 걸 수 있다. 풀아웃 요소는 선형 안내 수단을 따라 찬장 유닛(1) 내부에 완전히 밀어넣은 위치로부터 찬장 유닛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 역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풀아웃 요소(7)를 찬장 유닛 내부에 완전히 삽입한 위치에서는 찬장 유닛(1)의 정면부(11)를 찬장문(6)으로 닫을 수 있다.
두 개의 선회암(13)이 찬장문(6)에 고정되어 있으며, 찬장문(6) 반대쪽을 향하는 선회암의 단부는 풀아웃 요소(7)에 고정되어 있는 수직 배치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찬장문(6)과 선회암(13) 사이에 공지의 방식(도시 안됨)으로 조절 수단을 배치하여, 찬장문(6)이 찬장 유닛(1)을 닫을 때 상기 조절 수단에 의해 찬장문(6)을 선회암(13)에 대해, 결과적으로 찬장 유닛(1)에 대해 각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2에는 풀아웃 요소(7)를 설치한 찬장 유닛(1)이 도시되어 있으며, 풀아웃 요소(7)의 보관칸(9)(도 1 참조)은 제거되어 있다. 풀아웃 요소(7)의 하부 및 상부 구역에 결합 장치(15)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결합 장치는 각각의 경우 지지 요소(8)에 고정되어 있고, 여기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선형 안내 수단(10)이 결합 장치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하부 결합 장치(15)는 커버(16)로 덮여 있으며, 이 커버에는 보관칸(9)(도 1 참조)을 배치할 수 있다. 찬장문(6)에 고정된 선회암(13)은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결합 장치(15)에 각각 결합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선형 안내 수단(10)은 신축식 안내부(telescoping guide)로서 구현된다. 각각의 선형 안내 수단(10)은 풀아웃 요소(7)에 고정된 제 1 안내 요소(17), 찬장 유닛(1)에 고정된 제 2 안내 요소(18), 및 이들 두 안내 요소(17, 18)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재(19)를 구비한다. 이러한 형태의 신축식 안내부는 여러 형태가 공지되어 있으며, 제 1 안내 요소(17)는 제 2 안내 요소(18)에 대해 중간 부재(19)를 통해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이들 요소 사이에 롤러 안내부 또는 볼 안내부를 각각 배치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결합 장치(15)는 지지 프레임(20)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 프레임(20)은 풀아웃 요소(7)에, 그리고 선형 안내 수단(10)의 제 1 안내 요소(17)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결합 장치(15)의 평면도로서, 결합 장치(15)는 풀아웃 요소(7) 및 그 지지 요소(8)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20)에 배치된다. 찬장문(6)은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풀아웃 요소(7)는 찬장 유닛 내부에 완전히 밀어넣은 위치에 있다. 선회암(13)이 찬장문(6)에 위치하며, 이 선회암(13)은 결합 장치(15)의 지지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는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판형 요소(21)가 찬장 유닛(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판형 요소에는 제어 곡선부(2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제어 곡선부(22)는 판형 요소(21)에 슬릿형 리세스(23)로서 형성(inset)되어 있다. 추가 선회암(24)이 결합 장치(15)의 지지 프레임(20) 상의 추가 선회축(25)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추가 선회축(25)은 선회축(14)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이 추가 선회암(24)의 선회 가능한 단부(26)는 제어 곡선부(22)와 상호 작용하며, 추가 선회암(24)의 이 선회 가능한 단부(26)에는 제어 곡선부 종동부(27)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제어 곡선부 종동부(27)는 제어 곡선부(22)를 형성하는 슬릿형 리세스(23) 내부로 돌출한다. 제어 곡선부(22)를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예를 들면 추가 선회암(24)에 배치되는 활주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호형 프로파일 부재로서 공지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찬장문(6)이 고정되는 선회암(13)과 추가 선회암(24)은 서로 연합적인 관계로만 선회할 수 있도록 결합 수단(28)을 통해 결합되며, 이에 대해서는 더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곡선부는 풀아웃 요소(7)의 이동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된 제 1 구역(29)을 구비한다. 또한, 풀아웃 요소(7)의 이동 방향과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된 제 2 구역(30)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 곡선부(22)의 제 1 및 제 2 구역(29, 30)은 호형 구역(31)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찬장문(6)을, 예컨대 찬장문(6)에 고정된 손잡이(32)를 당겨 열려고 하면, 찬장문(6)은 선회해서 열리지 않는데, 왜냐하면 추가 선회암(24)의 제어 곡선부 종동부(27)가 제어 곡선부(22)의 제 1 구역(29)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회암(13)이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두 선회암(13, 25)이 결합 수단(28)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풀아웃 요소(7)가 먼저 찬장 유닛(1)으로부터 끌려나옴을 의미한다. 제어 곡선부 종동부(27)가 제어 곡선부(22)의 호형 구역(31)에 도달해야만 추가 선회암(24)이 선회암(13)과 함께 각각의 축(25, 14)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손잡이(32)를 계속 당겨 풀아웃 요소(7)가 찬장 유닛(1)에서 더 끌려나오면 추가 선회암(24)의 제어 곡선부 종동부(27)가 제어 곡선부(22)의 호형 구역(31)에 도달해서 이를 통해 이동한다. 그 결과 추가 선회암(24)이 추가 선회축(25)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되며, 이 선회 운동은 결합 수단(28)을 통해 선회암(13)으로 전달되어 선회암(13)이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시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선회암(24)의 제어 곡선부 종동부(27)는 이어서 제어 곡선부(22)의 제 2 구역(30)에 도달한다. 추가 선회암(24)은 추가 선회축(25)을 중심으로 더 선회하며, 이에 따라 선회암(13)도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찬장문이 선회해서 열리게 되며, 동시에 풀아웃 요소(7)가 찬장 유닛(1)으로부터 더 나오게 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이러한 위치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풀아웃 요소(7)가 찬장 유닛(1)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찬장문(6)이 부분적으로 열려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찬장문(6)이 선회해서 더 활짝 열리면, 선회암(13)이 선회축(14)을 중심으로 더 선회하며, 이에 따라 추가 선회암(24)도 결합 수단(28)을 통해 추가 선회축(25)을 중심으로 더 선회한다. 제어 곡선부 종동부(27)는 호형 구역(31)을 향해 제 2 구역(30)을 따라 후퇴하며, 제어 곡선부(22) 내의 제어 곡선부 종동부(27)를 통해 안내되는 선회암(24)의 이러한 이동의 결과 풀아웃 요소(7)가 찬장 유닛(1)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암(13)과 추가 선회암(24)의 각각의 선회축에는 편향 휠(33)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휠 주위에는 연속 톱니 벨트(34)가 배치되어 두 선회암(13, 24)이 미끄럼 없이 서로 연결된다. 이들 선회암(13, 24)의 선회는 연합적으로만 발생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결합 요소를 이용하여 두 선회암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링크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결합 요소로서 기어 드라이브, 벨트, 또는 케이블을 드라이브 독 요소(drive dog element)와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특히 완전히 개방된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즉, 찬장문(6)이 완전히 선회해서 열린 상태에 있고, 풀아웃 요소(7)는 찬장 유닛(1)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되어 있다. 선회암(13)의 선회축(14)이 정면부(11)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풀아웃 요소(7)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찬장문(6)은 완전히 선회해 개방된 상태에서 찬장 유닛(1)을 향해 뒤쪽으로 풀아웃 요소(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선회해 열린 찬장문 쪽에서 풀아웃 요소(7) 및 그 위에 배치된 보관칸(9)에 최적의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방각(α)은 120°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0°를 초과하는 것이 최적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약간 다른 본 발명 설계의 실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결합 장치(15)가 설치된 찬장 유닛(1)의 일부 구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결합 장치(15)가 배치된 풀아웃 요소(7)의 지지 요소(8)의 가장 낮은 부분만 볼 수 있다. 지지 요소(8)는 신축식 연장부로 설계된 선형 안내 수단(10)에 끼워져 있으며, 이 선형 안내 수단(10)은 풀아웃 요소(7)를 지지하는 제 1 안내 요소(17), 찬장 유닛(10)에 고정되는 제 2 안내 요소(18), 및 중간 부재(19)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안내 요소(17)는 공지의 방식으로 제 2 안내 요소(18)를 향해 중간 부재(19)를 통해서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찬장문(6)이 고정된 선회암(13)은 선행 실시 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결합 장치(15)의 지지 프레임(20)에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선회암(13)은 결합 수단(28)을 통해 추가 선회암(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추가 선회암(24)은 마찬가지로 추가 선회축(25)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추가 선회암(24)은 선행 실시 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 곡선부(22)와 상호 작용하는 제어 곡선부 종동부(27)를 구비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곡선부(22)가 형성된 판형 요소(21)가 선형 안내 수단(10)의 중간 부재(19)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풀아웃 요소(7)가 당겨나오고 찬장문(6)이 선회해 개방되었을 때 판형 요소(21)와 제어 곡선부(22)가 이동 속도의 절반으로 풀아웃 요소(7)를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또한 제어 곡선부(22)와 추가 선회암(24)을 선행 실시 형태보다 두 배 더 작게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왜냐하면 중간 부재(19)는 제 1 안내 요소(17)와 비교할 때 이동 속도의 절반으로 이동하며, 이것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공지의 방식으로 적절한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동기화되기 때문이다.
도 9는 찬장 유닛(1) 내부에 완전히 밀어넣은 위치에 있는 풀아웃 요소(7)와 결합 장치(15)의 평면도이다. 찬장문(6)은 폐쇄된 상태에 있고, 추가 선회암(24)은 제어 곡선부 종동부(27)가 제어 곡선부(22)의 제 1 구역(29)에 있는 위치에 있다. 선회암(13)과 추가 선회암(24)은 톱니 벨트(34) 및 해당 편항 휠(33)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찬장 유닛(1)을 열어 풀아웃 요소(7)가 찬장 유닛(1)에서 나오게 하려면 찬장문(6)의 손잡이(32)를 당기며, 제어 곡선부 종동부(27)가 제어 곡선부(22)의 제 1 구역(29)에 있기 때문에 찬장문(6)은 아직 바깥쪽으로 선회하지 않는다. 여기서도 풀아웃 요소(7)는 먼저 찬장 유닛(1)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이동한다. 제어 곡선부 종동부가 제어 곡선부(22)의 호형 구역(31)에 도달하면 찬장문(6)이 바깥쪽으로 선회하기 시작하며,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곡선부 종동부가 제어 곡선부(22)의 제 2 구역(30)에 도달한다. 여기서도 찬장문(6)이 선회하는 과정과 풀아웃 요소(7)가 찬장 유닛(1) 밖으로 이동하는 과정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찬장문(6)이 반쯤 개방된 위치와 풀아웃 요소(7)가 찬장 유닛(1)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된 위치가 도 11에도 도시되어 있다.
풀아웃 요소(7)가 찬장 유닛(1)으로부터 완전히 연장된 위치와, 이에 해당하는 찬장문(6)의 완전 선회 개방 위치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추가 선회암(24)의 제어 곡선부 종동부(27)는 제어 곡선부(22)의 제 2 구역(30)으로 다시 후퇴해서 풀아웃 요소(7)를 찬장 유닛(1) 밖으로 밀어내 찬장문(6)과 선회암(13)이 완전히 선회해 개방된 위치에 있어, 풀아웃 요소(7) 및 그 위에 배치된 보관칸(9)에 모든 방향에서 최적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찬장문(6)을 닫아 풀아웃 요소(7)를 찬장 유닛(1) 안으로 밀어넣기 위해서는 찬장문(6)을 선회시켜 닫으며, 이에 해당하는 선회암(13)의 선회 이동이 추가 선회암(24)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풀아웃 요소가 찬장 유닛(1) 안으로 밀려가며, 이때 개별 구성요소의 이동 순서는 당겨내는 과정 및 개방 과정과 관련하여 설명한 경우의 역순으로 일어난다.
풀아웃 요소(7)에는 공지의 방식(도시 생략)으로 인입 장치 및 완충 장치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들 수단에 의해 풀아웃 요소(7)를 밀어넣는 동작의 마지막 부분은 거의 자동적으로 일어나고 완충된다.
도 1 및 도 2에는 높이가 큰 찬장 유닛(1)에 결합 장치(15)를 두 개 배치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결합 장치(15) 중 하나는 찬장 유닛(1)의 바닥 부근에 위치하고, 두번째 결합 장치(15)는 맨위 보관칸(9) 아래 배치되어 있다. 이들 결합 장치(15)를 풀아웃 요소(7)의 다른 곳에 배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부 결합 장치(15)는, 예를 들면 찬장 유닛의 상부 커버(5)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설계 높이가 작은 찬장 유닛(1)의 경우에는 결합 장치(15)를 하나만 마련할 수도 있으며, 결합부는, 예컨대 그러한 찬장 유닛의 기부(base part)(2)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서는 선형 안내 수단(10)을 중앙에 배치한 경우를 각각 설명하였다. 물론 선형 안내 수단을 찬장 유닛의 측벽 구역에 배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설계 높이가 작은 찬장 유닛의 경우에는 상부 선형 안내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풀아웃 요소(7)를 도시한 바와 다르게 설계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풀아웃 요소(7)는 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지지 요소 사이에 보관칸을 삽입할 수 있다. 그 밖의 방식으로도 풀아웃 요소(7)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두 개의 측벽(3, 4), 찬장문(6), 및 풀아웃 요소(7)를 포함하는 찬장 유닛으로서, 상기 찬장문(6)은 정면부(11)를 형성하여 닫혔을 때 상기 찬장 유닛(1)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며, 상기 풀아웃 요소(7)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찬장 유닛(1)에 밀어넣고 상기 찬장 유닛(1)으로부터 당겨낼 수 있으며, 상기 풀아웃 요소(7)는 선형 안내 수단(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풀아웃 요소(7)에는 상기 찬장 유닛(1)에 보관할 물건을 담기 위한 보관칸(9)을 마련할 수 있는 찬장 유닛(1)에 있어서,
    상기 찬장문(6)은 상기 풀아웃 요소(7)에 장착된 대체로 수직의 선회축(14)을 중심으로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선회할 수 있으며, 상기 찬장문(6)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장치(15)를 통해 상기 풀아웃 요소(7)에 연결되어 상기 찬장문(6)이 상기 수직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열릴 때 상기 풀아웃 요소(7)가 이 선회 운동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찬장 유닛(1) 내부에 완전히 밀어넣은 위치에서 상기 찬장 유닛(1)으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또한 그 역으로 이동하고, 그 역도 성립하며, 상기 찬장문(6)의 개방각(α)은 120°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찬장문(6)을 위한 수직 선회축(14)은 상기 정면부(11)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풀아웃 요소(7)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찬장문(6)에는 선회암(13)이 고정되어 있고, 이 선회암(13)은 상기 선회축(1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장치(15)는 상기 선회축(14)과 평행하게 배향된 추가 선회축(25)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상기 풀아웃 요소(7)에 지지되는 추가 선회암(24)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선회암의 선회 가능한 단부(26)는 제어 곡선부(22)와 협동하여 상기 풀아웃 요소(7)가 상기 선형 안내 수단(10)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어 곡선부(22)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암(13)과 추가 선회암(24)은 결합 수단(28)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선회암(13)의 선회 운동이 상기 추가 선회암(24)으로 전달되고, 그 역도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28)은 상기 선회암(13) 및 추가 선회암(24) 상의 회전 가능한 편향 휠(33) 둘레에, 그리고 각각의 선회축(14; 25) 둘레에 미끄럼 없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무한 요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 요소는 톱니 벨트(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선부(22)는 상기 풀아웃 요소(7)의 이동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된 제 1 구역(29), 및 상기 풀아웃 요소(7)의 이동 방향에 대체로 수직하게 정렬된 제 2 구역(3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곡선부(22)의 제 1 구역(29)과 제 2 구역(30)은 호형 구역(3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선부(22)는 판형 요소(21)에 형성된 슬릿형 리세스(slit-shaped recess)(2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선회암(24)의 선회 가능한 단부 구역에 제어 곡선부 종동 핀(27)이 배치되며, 이 제어 곡선부 종동 핀(27)은 상기 슬릿형 리세스(23) 내부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안내 수단(10)은 상기 풀아웃 요소(7)에 고정되는 제 1 안내 요소(17), 상기 찬장 유닛(1)에 고정되는 제 2 안내 요소(18), 및 이들 두 안내 요소(17, 18)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19)를 구비하는 신축식 안내부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선부(22)는 상기 중간 부재(19)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12.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선부(22)는 상기 찬장 유닛(1)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결합 장치(15)가 상기 찬장문(6)과 풀아웃 요소(7)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 장치 중 하나는 상기 풀아웃 요소(7)의 하부 영역에, 나머지 하나는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찬장 유닛.
KR1020100044081A 2009-05-12 2010-05-11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KR201001224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0022.1 2009-05-12
EP20090160022 EP2250929B1 (de) 2009-05-12 2009-05-12 Schrankteil mit herausziehbarem Ausziehte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459A true KR20100122459A (ko) 2010-11-22

Family

ID=4122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081A KR20100122459A (ko) 2009-05-12 2010-05-11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250929B1 (ko)
KR (1) KR20100122459A (ko)
CN (1) CN1018844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47A1 (en) * 2015-02-13 2016-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60100099A (ko) * 2015-02-13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00221A (ko) * 2015-02-13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85075B1 (ko) * 2022-10-26 2023-10-06 주식회사 에디피카 수납공간을 확장 가능한 주방 싱크대용 가구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7675B (zh) * 2014-01-26 2015-12-16 平湖市陈达仓储办公设备有限公司 工具车
EP2976971B1 (de) * 2014-07-25 2021-04-07 Vauth-Sagel Holding GmbH & Co. KG Ausziehbeschlag mit Türmitnehmer und Vorratsschrank mit diesem Ausziehbeschlag
CN105333685B (zh) * 2014-07-31 2018-08-07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KR102423571B1 (ko) 2014-10-31 2022-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59037B1 (ko) * 2015-02-13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2387B1 (ko) * 2016-02-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907553A (zh) * 2019-01-28 2019-06-21 世塑有限公司 单向旋转电动收纳架
CN110236303A (zh) * 2019-04-25 2019-09-17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教育用文件夹存放设备
CN112498912B (zh) * 2020-11-10 2022-08-02 永康市第一人民医院 一种药物辅助存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7813A (en) 1916-08-30 1917-05-29 G I Sellers & Sons Company Sliding shelf for kitchen-cabinets.
DE3141072A1 (de) * 1981-10-16 1983-04-28 Dorn, Heinrich, 6450 Hanau "weitwinkelscharnier zur einstellung eines tueroeffnungswinkels von 180(pfeil hoch)0(pfeil hoch) in verbindung mit einer schrankseitenwand"
DE3239041A1 (de) * 1982-10-22 1984-05-03 Hetal-Werke Franz Hettich Gmbh & Co, 7297 Alpirsbach Moebelscharnier
DE8910778U1 (ko) 1989-09-09 1989-10-26 Heinrich J. Kesseboehmer Draht- Und Metallwarenfabrik, 4515 Bad Essen, D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47A1 (en) * 2015-02-13 2016-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60100099A (ko) * 2015-02-13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99911A (ko) * 2015-02-13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00221A (ko) * 2015-02-13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149415A4 (en) * 2015-02-13 2017-12-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939192B2 (en) 2015-02-13 2018-04-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85075B1 (ko) * 2022-10-26 2023-10-06 주식회사 에디피카 수납공간을 확장 가능한 주방 싱크대용 가구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84468A (zh) 2010-11-17
EP2250929B1 (de) 2012-05-23
EP2250929A1 (de)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2459A (ko)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CN101896785B (zh) 冰箱
US9217602B2 (en) Refrigerator
JP5279494B2 (ja) 収納ユニット
US8303056B2 (en) Cabinet or similar article of furniture with a sliding foldaway door
RU2424753C1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углового шкафа с выдвижной цельной полкой
RU2495989C2 (ru)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бельной дверцы
US9803916B2 (en) Refrigerator
JP6258344B2 (ja) 引戸の開閉装置
CN103826501A (zh) 配件
CN102548451A (zh) 家具
EP3742092B1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CN108086842A (zh) 一种用于家具推拉开闭的可调节同步机构
US11898792B2 (en) Refrigerator
KR2011008087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어셈블리
US11530871B2 (en) Refrigerator
KR101623044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CN109253581B (zh) 储物装置
KR10165492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반자동 개폐장치
US8517482B2 (en) Friction controlled drawer slide mechanism
KR20210037913A (ko) 높이 조절 냉장고 선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WO2018224263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oor rack with adjustable depth
ES2746906T3 (es) Bisagra, particularmente para un aparato electrodoméstico
CN210154180U (zh) 储藏结构及制冷设备
GB2488362A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sliding wardrobe door movable into two pl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