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57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571B1
KR102423571B1 KR1020177019275A KR20177019275A KR102423571B1 KR 102423571 B1 KR102423571 B1 KR 102423571B1 KR 1020177019275 A KR1020177019275 A KR 1020177019275A KR 20177019275 A KR20177019275 A KR 20177019275A KR 102423571 B1 KR102423571 B1 KR 10242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torage compartment
refrigerator
horizont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502A (ko
Inventor
유선일
권홍식
허준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9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7Profiled cabinet walls with grooves or protuberances for supporting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본 발명의 냉장고는, 캐비닛에 형성된 저장실 내에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내에는 프레임 가이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링크에 의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가 상기 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르는 사이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를 수평하게 절단한 단면은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드로워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가 상기 드로워와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상태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고 있고,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도 홈바,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도어를 닫았을 때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에 장착되는 선반이나 서랍과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장착된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섭되는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 즉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저장물 저장물 수용부(예를 들어, 선반 또는 서랍)의 전단부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후퇴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물 수용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저장실 안쪽으로 손을 깊숙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저장실의 안쪽 후방에 저장된 음식물은 사용자가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냉장고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저장실이 깊어질수록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0357호(이하, ‘357특허라고 함.)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이나 서랍이 수납 프레임에 놓이고, 다관절 링크의 전단부가 냉장고 도어의 저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프레임과 연결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를 회전시켜서 개방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반과 서랍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의 경우, 상기 선반과 서랍의 하중이 모두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은, 상기 선반과 서랍의 하중 및 상기 선반과 서랍에 수납된 음식물의 하중이 모두 수납 프레임에 집중되는 구조이며, 따라서, 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수납 프레임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였으며, 이로 인해, 수납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증가되어, 수납 프레임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수납 프레임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그 만큼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357특허의 경우, 도어와 연동하여 수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링크가 수납 프레임의 하면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은 상기 수납 프레임의 하면상에 위치하나, 드로워의 무게 중심은 상기 수납 프레임의 하면 상측에서 집중된다. 이 때문에, 링크에 의한 힘의 작용선과 상기 드로워의 관성에 의한 힘의 작용선이 동일 선상에 존재하지 않아, 상기 수납 프레임에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나 전단력이 작용하여 수납 프레임의 변형이 일으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드로워에 담긴 저장물의 무게가 증가될수록 심해진다. 특히, ‘357특허의 경우, 드로워의 하중이 수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드로워의 관성과 더불어 수납 프레임의 변형을 더욱 촉진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357특허의 경우, 수납 프레임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수납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 레일에 모두 집중되기 때문에, 레일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357특허에서는 정해진 규격 내에서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레일을 설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수납 프레임으로부터 가해지는 모든 하중이 레일에 집중되는 구조는 수납 프레임이 이동 간에 쉽게 흔들릴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흔들림이 지속되어 레일이나 수납 프레임에 변형이 이루어지는 경우, 결국에는 수납 프레임의 이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JP2004-93039A(이하, ‘039특허라고 함.)는 저장실 내에 구비된 선반이 암에 의해 도어와 연결되어, 도어가 개방될 시, 상기 선반이 상기 암에 의해 인출되는 냉장고를 개시하고 있다. 암은 선반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선반이 도어와 연동하여 함께 인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암 또한 다수개 구비되어 각각의 선반들에 연결된다.
또한, 암이 선반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암의 설치 위치가 제한적이다. 특히, 저장실의 중간에 위치하는 선반과 연결된 암은 상당 부분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357특허와 ‘039특허는, 수납 프레임의 구조가 저장실 내에서 그대로 노출된다. 이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 프레임이 점유하는 공간만큼 저장공간이 줄어들고, 상기 수납 프레임에 의해 저장실 내에서의 냉기의 순환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도어와 연동하며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드로워가 전방으로 이동) 또는 복귀(드로워가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프레임을 제공하되,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은 드로워 가이드가 전담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에 대해서는 그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에 작용하는 집중 하중을 감소시켜, 상기 프레임의 원활한 동작이 보장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상기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갖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에 의해 작용하는 반발력에 대해서 충분한 강성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내부 캐비닛과 외부 캐비닛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링크에 의해 도어와 연동되는 베이스부는 저장실의 내측에 배치되고, 사이드 플레이트가 내부 캐비닛에 형성된 프레임 안내 슬릿을 통과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캐비닛과 외부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가 저장실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째, 사용자가 연동유닛을 조작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인출되는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곱째, 연동유닛을 통해 드로워에 설치된 조명 등의 전장부품에 전원이 공급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덟째,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전후방향 길이를 베이스부의 측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그에 따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프레임 안내 슬릿의 길이 또한 줄인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홉째,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수직부로부터 돌출된 연결 마운트가 내부 캐비닛의 측벽에 형성된 연동유닛 안내 슬릿에 의해 지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열째, 연동유닛의 설치와 분리가 저장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열 하나째, 저장실 내에 배치된 복수의 드로워들 중에서 일부는 그 하중이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부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에 의해 지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열 둘째, 드로워(예를 들어, 선반)에 조명이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열 셋째, 연동유닛을 통해 상기 드로워에 구비된 조명 등의 전장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캐비닛에 형성된 저장실 내에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내에는 프레임 가이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링크에 의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가 상기 링크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르는 사이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를 수평하게 절단한 단면은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상기 드로워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가 상기 드로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하중이 상기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가 일체로 이동된다. 상기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의 하중은 상기 수직부에는 가해지지 않아,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과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구성이 분리될 수 있다.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링크에 의해 상기 도어와 연결된 프레임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링크와 연결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드로워와 연결된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링크가 작동하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된 드로워 역시 함께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수평한 단면이 상기 드로워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드로워로부터 가해지는 반발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내부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캐비닛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프레임 안내 슬릿과,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의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후단이 상기 저장실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캔틸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캔틸레버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되고, 상기 캔틸레버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드로워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저면에는,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의 이동 간에 상기 캔틸레버의 상단을 따라 안내되는 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후면에는 상기 캔틸레버의 후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롯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캔틸레버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르며 전후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수평한 판체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연장 구간, 및 상기 수직 연장 구간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수평 돌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돌출 구간은, 서로 다른 높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돌출 구간은, 상기 복수의 캔틸레버와 각각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한 단면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측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한 쌍의 지지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에는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고정 레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의 후단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하면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에는 돌기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드로워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돌기 체결구에 삽입 또는 상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연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 내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돌기 체결구는 상기 다수개의 드로워와 각각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는 돌기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수직부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돌기 체결구에 삽입 또는 상기 돌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연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기 드로워를 향해 돌출된 연결 마운트,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마운트와 결합되는 미들 연동부재, 및 상기 드로워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미들 연동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슬라이드 연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연동부재는 상기 연결 마운트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마운트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복수의 연결 마운트와 대응하여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하측 지지판, 및 상기 하측 지지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의 뒤쪽에 위치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연동부재에는 상기 드로워를 대향하는 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는, 상기 드로워 상에서의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홈 내로 삽입되거나 상기 삽입홈과 분리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는, 상기 드로워를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이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돌기 삽입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경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마운트에는 전원 공급선이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는, 상기 하측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연동부재 하우징, 및 상기 연동부재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연동부재는 상기 접속 단자가 삽입되는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마운트의 관통구를 통과한 상기 전원 공급선이 상기 소켓으로 안내되어 상기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미들 연동부재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을 상기 소켓으로 안내하는 전원선 유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중공을 갖는 관상의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는 조명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 내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 가능한 수평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지지바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바는,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 수평바, 및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수평바와 상기 수평 지지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결합을 이루는 이동 수평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평바는 상기 저장실의 후면을 대향하는 상기 드로워의 배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수평 지지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드로워 가이드와 상기 저장실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상기 수직부의 이동은 상기 드로워 가이드와 상기 저장실의 후면 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 레일, 및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이동 레일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벽과 상기 외부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매개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며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내부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수평한 판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된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르고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부와 상기 드로워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은 캔틸레버가 전담하고, 프레임은 상기 캔틸레버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수평한 단면이 드로워의 진행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프레임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드로워에 의해 작용하는 반발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둘째,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하기 위한 프레임을 적용하되,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내부 캐비닛과 외부 캐비닛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이 저장실 내에서 점유하는 용적을 줄여, 상기 프레임을 설치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저장실의 용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프레임은 링크와 연결되는 베이스부가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사이드 플레이트가 내부 캐비닛에 형성된 프레임 안내 슬릿을 매개로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된다. 특히,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통과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 캐비닛과 외부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수평부에 의해, 저장실 내에 배치된 수평 플레이트와 저장실의 외측(즉, 내부 캐비닛과 외부 캐비닛 사이 공간)에 배치된 수직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내부 캐비닛의 외측에 먼저 사이드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수평부를 상기 프레임 가이드를 통과시켜 상기 저장실 내로 삽입하고, 상기 수평부를 상기 저장실 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와 연결하는 간단한 절차를 통해 프레임을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드로워를 프레임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유닛이 상기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인출되는 드로워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섯째, 연동유닛은 드로워를 프레임과 연동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배전 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연동유닛을 통해 드로워에 설치된 조명 등의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프레임에는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로부터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에 대해서는,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기능만을 한다. 따라서, 베이스부의 양 측변 중 한 곳에만 사이드 플레이트를 설치하여도 충분하다. 하나의 격실이 양측으로 두 개의 저장실로 구성된 양문형 또는 4 도어형 냉장고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저장실의 경계(즉, 격실의 가운데 부분)에 사이드 플레이트를 설치할 필요 없이, 상기 드로워의 일측에만 사이드 플레이트를 설치하여도 상기 드로워의 자동 인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저장실 내에 노출되는 부분을 줄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냉기의 순환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의 하중은 프레임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전후방향 길이 역시, 드로워의 관성으로부터 기인한 반발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사이드 플레이트의 전후방향 길이를 베이스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프레임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켜 상기 프레임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이드 플레이트가 통과하는 프레임 안내 슬릿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통해 누설되는 냉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수직부로부터 돌출된 연결 마운트가 내부 캐비닛의 측벽에 형성된 연동유닛 안내 슬릿에 의해 안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레임의 이동 간에 사이드 플레이트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연동유닛의 설치와 분리가 저장실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냉장고를 분해하지 않고도, 쉽게 연동유닛의 설치, 분리,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열째, 저장실 내에 복수개의 드로워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드로워들이 각각 사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드로워들 각각이 도어의 개방 동작에 의해 인출되는 거리가 일정하며, 특히, 상기 도어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드로워들이 상하방향으로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냉장고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d)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모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을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냉장실의 좌측 냉장 저장실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3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프레임과 드로워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립체로부터 드로워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사이드 플레이트에 미들 연동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2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링크에 의해 도어와 베이스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미들 연동부재의 전면도(a)와 배면도(b)이다.
도 19는 냉장실을 아래에서 바라본 것으로, 특히, 링크에 의해 도어와 수평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연동유닛에 의해 선반과 사이드 플레이트의 수직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도 20에서 슬라이드 연동부재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0의 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선반과 캔틸레버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4는 냉장실내에서 좌우 양측에 구비된 선반들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I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을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내부 캐비닛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내부 캐비닛 내에 배치된 프레임과 드로워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냉장실 내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0은 냉장실의 좌측 냉장 저장실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1은 연동유닛에 의해 선반과 사이드 플레이트의 수직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도 31에서 슬라이드 연동부재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도 31의 III-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0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0의 C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후/좌/우/상/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내측으로 격실(RC, FC), 또는, 저장실(S1, S2, S3, S4))이 형성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격실(RC, FC)을 여닫는 도어(3a, 3b, 3c, 3d)를 포함할 수 있다. 격실(RC, FC)은 전면이 개구되며, 격실(RC, FC)의 개구된 전면이 도어(3a, 3b, 3c, 3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격실(RC, FC) 내로 냉기가 공급되며, 격실(RC, FC)로부터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격실(RC, FC)은 도어(3a, 3b, 3c, 3d)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격실(RC, FC)은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바틈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의 경우, 수평 파티션(7)에 의해 구획된 캐비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실(RC, FC)이 구비되며, 이 경우, 하측에 위치하는 격실(FC)은 내측의 온도가 섭씨 0도 이하로 유지되는 냉동실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격실(RC)은 내측의 온도가 섭씨 0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냉장실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격실”은, 필요에 따라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하지 않은 한, 냉장실 또는 냉동실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각 격실(RC, FC)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와 같이, 냉장실(RC)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a, 3b)가 구비되고, 냉동실(FC)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3c, 3d)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실(S1, S2, S3, S4)은 격실(RC, FC)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각각의 도어(3a, 3b, 3c, 3d)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냉장실(RC)은 개구된 전면이 좌측 냉장실 도어(3a)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1)과, 개구된 전면이 우측 냉장실 도어(3b)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필요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좌측 냉장 저장실(S1), 후자의 경우를 우측 냉장 저장실(S2)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냉동실(FC)은 개구된 전면이 좌측 냉동실 도어(3c)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3)과, 개구된 전면이 우측 냉동실 도어(3d)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필요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좌측 냉동 저장실(S3), 후자의 경우를 우측 냉동 저장실(S4)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하나의 격실 내에서 횡방향으로 두 개의 저장실이 마련된 경우, 상기 두 개의 저장실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냉장실(RC)은 전면에서 바라 보았을 시, 좌측 냉장 저장실(S1)과 우측 냉장 저장실(S2)을 구분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며, 좌측 냉장 저장실(S1)과 우측 냉장 저장실(S2) 간에는 자유롭게 냉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실(RC)을 하나의 저장실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냉동실(FC)은, 냉장실(RC)과는 다르게, 좌측 냉동 저장실(S3)과 우측 냉동 저장실(S4) 사이에 수직 파티션(20)이 제공됨으로써, 양쪽 저장실(S3, S4)이 구분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수직 파티션(20)에 의해 양쪽 저장실들(S3, S4) 간의 냉기의 순환이 완전히 차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 파티션(20)에는 양쪽 저장실들(S3, S4)을 서로 연통시키는 통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S1, S2, S3, S4)은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들을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향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들을 연결하는 하면과,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냉동실(FC)과 같이 하나의 공간이 수직 파티션(20)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횡으로 배치된 두 개의 저장실(S3, S4)을 형성하는 경우, 각 저장실(S3, S4)의 전면, 후면은 캐비닛(1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면은 냉장실(RC)과 냉동실(FC)를 구획하는 수평 파티션(7)의 저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는 캐비닛(1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과 대향하는 수직 파티션(20)의 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냉장실(RC)이 수직 파티션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한 쌍의 저장실이 구성되는 경우, 저장실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와, 후면은 캐비닛(1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고, 하면은 수평 파티션(7)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고, 양 측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는 상기 수직 파티션의 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는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저장실(S1, S2, S3, S4)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한다. 각각의 저장실(S1, S2, S3, S4)에 대응하여 도어(3a, 3b, 3c, 3d)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의 배면부, 즉, 저장실(S1, S2, S3, S4)의 개구된 전면을 대향하는 부분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도어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납부는 유제품, 음료수, 야채 등 꺼내는 빈도가 잦은 식품을 수용하는 보관실(8a), 얼음을 보관하는 트레이(8b), 작게 포장된 냉동식품 등을 보관하는 바스켓(8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수납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저장실(S1, S2, S3, S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격실(RC, FC) 또는 저장실(S1, S2, S3, S4) 내에는 드로워(D)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D)는 식품을 수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캔틸레버, 레일, 롤러와 같은 드로워 가이드(DG)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드로워(D)는 저장실(S1, S2, S3, S4) 내에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드로워(D)에 대응하여 드로워 가이드(DG)가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D)는 식품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320, 서랍 또는 빈(bin)이라고 함.)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320)는 상기 식품이 담기는 공간의 좌, 우 양측을 한정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들의 후단 사이를 막는 후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드로워(D)는 수평한 판체형의 선반(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반(310)은 저장실(S1, S2, S3, S4)의 후면에 고정된 캔틸레버(40a)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드로워(D)는 사용자가 드로워(D)를 직접 손으로 잡고 가하는 힘에 의해 드로워 가이드(DG)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드로워(D)는 도어(3a, 3b, 3c, 3d)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에는 링크(70)에 의해 도어(3a, 3b, 3c, 3d)와 연결된 프레임(50)이 적용되어, 프레임(50)이 도어(3a, 3b, 3c, 3d)의 개폐 동작에 따라 연동하며 드로워(D)를 이동시킨다.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1a)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좌측 냉동 저장실(S3)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하, 본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는 구조들은 다른 저장실들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냉장고(1a)는 캐비닛(10), 도어(3c), 드로워 가이드(DG, 이하, 캔틸레버(40a)를 예로 듦.), 드로워(D, 이하, 복수의 드로워들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D”에 번호를 더 첨부하여 D1, D2, D3 등으로 구분하기로 한다.), 프레임(50), 프레임 가이드(60), 링크(70) 및 연동유닛(90)를 포함할 수 있다.
캔틸레버(40a)는 드로워(D)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저장실(S3) 내에 배치된다. 캔틸레버(40a)는 후단이 저장실(S3)의 후면(S(r))에 결합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저장실(S3)의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S(f))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캔틸레버(40a)는 드로워(D)의 하측에 배치되어 드로워(D)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드로워(D)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캔틸레버(40a) 역시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3개의 드로워(D1, D2, D3)들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된 것(D1)은 베이스부(510)에 의해 지지되고, 나머지 2개의 드로워(D2, D3)들은 각각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었다.
저장실(S)의 후면(S(r))에는 캔틸레버(40a)의 후단과 분리 가능하게(또는,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슬롯(115, 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115)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다수개의 슬롯(115)들 중 원하는 것에 선택적으로 캔틸레버(40a)가 장착될 수 있다.
캔틸레버(40a)는 드로워(D)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고, 드로워(D)의 저면에는 캔틸레버(40a)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드로워(D)의 이동 간에 캔틸레버(40a)의 상단을 따라 안내되는 장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 드로워(D)가 한 쌍씩의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슬롯(115)은 횡방향으로는 각각의 캔틸레버(40a)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쌍이 일조로 배열되고, 다시 종방향으로 각 조의 슬롯(115)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로워(D)는 캔틸레버(40a)에 의해 역학적으로 균형 상태(state of static mechanical equilibrium)로 지지된다. 즉, 드로워(D)의 모든 하중이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며, 드로워(D)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캔틸레버(40a) 상에서 정지된 채로 유지된다. 이렇게 드로워(D)를 균형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실시예에서는 드로워(D)에 대해 상칭적(symmetrical)으로 한 쌍의 캔틸레버(40a)가 배치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캔틸레버(40a)와 드로워(D)간에 충분한 접촉 면적이 제공된다면, 하나의 캔틸레버(40a)에 의해서도 드로워(D)가 균형 상태로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50)은 링크(70)에 의해 도어(3c)와 연결되어, 도어(3c)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드로워(D)의 하측에서 링크(70)와 연결되는 베이스부(510)와, 베이스부(5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드로워(D)와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는 사이드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드로워(D3)의 하측에 배치된 수평 플레이트(5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부(510)는 수평 플레이트(511)만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베이스부(5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플레이트(511)로 상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벽(512, 51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평 플레이트(511)의 상면은 저장실(S3)의 상면(S(u))을 향하고, 수평 플레이트(511)의 상면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수평 플레이트(511)의 저면은 저장실(S3)의 하면(S(b))을 대향한다.
사이드 플레이트(520)가 드로워(D)와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도록 연장된다는 것은, 사이드 플레이트(520)가 프레임(50)에 의해 인출시키고자 하는 드로워(D)의 최하단 보다 더 높이까지 연장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510)로부터 이격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드로워(D2, D3)를 프레임(50)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이드 플레이트(520)는 2개의 드로워(D2, D3) 중 상측에 위치하는 드로워(D3)의 최하단 보다 높이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사이드 플레이트(520)는 수평 플레이트(511)와 결합되는 수평부(521)와, 수평부(521)로부터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522)는 드로워(D)와 저장실(S3)의 측면(S(s))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525)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직부(522)는 좌우 방향의 두께와, 상하/전후 방향으로 확장되는 면적을 갖는 평판(플레이트)의 형태로써, 도 3의 A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522)를 임의의 수평한 평면으로 절단할 시, 그 단면(525)은 두께(t) 보다 현저하게 긴 전후 방향 길이(w)를 갖는다. 이와 같은 평판 구조로 인해, 수직부(522)는 이동 과정에서 드로워(D)의 관성 또는 반발로 인한, 장력, 비틀림, 휨 등의 외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의 수직부(522)는, 저장실(S3) 내에서 점유하는 공간이 적기 때문에, 저장실(S3) 내의 용적(또는, 저장 용량)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직부(522)는 수평한 단면(525)의 전후방향의 길이(w)가 수평 플레이트(51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저장실(S3)의 측면(S(s)) 상에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수직부(522)에 의한 냉기의 순환 방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연동유닛(90)은 드로워(D)가 사이드 플레이트(520)와 연동하도록, 드로워(D)와 사이드 플레이트(5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동유닛(90)은 드로워(D)로부터 저장실(S3)의 측면(S(s))을 향해 돌출되어 사이드 플레이트(520)와 결합되는 연결 돌기(9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522)에는 연결 돌기(91)가 삽입되는 돌기 체결구(522c)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돌기(91)는 돌기 체결구(522c)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돌기(91)는 드로워(D)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된 위치에 따라 돌기 체결구(522c)에 삽입 또는 돌기 체결구(522c)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연결 돌기(91)는 저장실(S3)의 양 측면(S(s)) 중 사이드 플레이트(520)와 인접한 측면(S(s))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돌기 체결구(522c)와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520)와 인접한 측면(S(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돌기 체결구(522c)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D2, D3)가 상하로 복수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돌기 체결구는 사이드 플레이트(520) 상에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 체결구는, 복수의 드로워(D2, D3)와 각각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 체결구 각각은 어느 하나의 드로워(D2, D3)와 대응하는 것으로, 연동유닛(90)은 드로워(D1, D2, D3)를 그와 대응하는 돌기 체결구와 연결한다. 즉, 연동유닛(9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연동유닛(90)를 이용하여 원하는 드로워(D1, D2, D3)를 사이드 플레이트(520)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플레이트(520)에 의해 복수의 드로워(D1, D2, D3)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동유닛(90)이 사이드 플레이트(520)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 돌기(91)는 사이드 플레이트(52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드로워(D)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 체결구(미도시)와 결합 또는 상기 돌기 체결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베이스부(510)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D1)는, 연동유닛(90)에 의해 수직부(522)와 연결되지 않고도, 프레임(50)과 연동될 수 있기 때문에, 드로워(D1)에 대응하는 연동유닛(90)은 없어도 무방하다.
드로워(D)가 캔틸레버(40a)에 의해서 균형 상태로 지지되는 구조에서는, 연동유닛(90)에 의해 드로워(D)가 수직부(522)와 연결되더라도, 프레임(50)은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D2, D3)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전담할 뿐, 드로워(D2, D3)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로부터는 자유롭다. 따라서, 프레임(50)에 작용하는 하중이 적어 그만큼 프레임(50)이 변형될 우려가 없다. 특히, 베이스부(510)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D1)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수직부(522)에는 드로워(D1)로부터 하중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직부(522)를 플레이트 형태로 얇게 형성하더라도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가이드(60)에도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D2, D3)들로부터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도 프레임 가이드(60)가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프레임 가이드(60)를 구성하는 레일, 롤러 등의 베어링 부재가 쉽게 마모되거나, 부하 집중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못하고 구속되는 문제가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프레임 가이드(60)는 저장실(S3)의 하면(S(b))과 베이스부(510)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부(5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 가이드(60)는 저장실(S3) 내에 고정 배치되며, 베이스부(5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 가이드(60)가 저장실(S3) 내에서 폭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가이드(60)는 레일이나 롤러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 가이드(60)는 저장실(S3)의 하면(S(b))에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긴 고정 레일(61)과, 수평 플레이트(511)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레일(6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 레일(6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0)은 링크(70)에 의해 도어(3c)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c)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프레임(5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c)가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링크(70)가 프레임(50)을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프레임(50)이 전방으로 이동되며, 반대로,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링크(70)가 프레임(50)을 후방으로 밀어 주기 때문에 프레임(50) 역시 후방으로 이동된다.
링크(70)는 전단부가 도어(3c)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베이스부(5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3c)의 회전 동작에 따라 베이스부(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70)는 도어(3c)와 베이스부(510)를 연결할 수 있다. 링크(70)의 전단부는 도어(3c)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는 베이스부(5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링크(70)의 후단부는 수평 플레이트(521)의 저면과 연결된다. 링크(70)는 적어도 일부분이 수평 플레이트(511)와 저장실(S)의 하면(S(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3c)가 완전 개방된 상태, 즉, 링크(70)에 의해 프레임(50)이 전방으로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드로워(D)는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여, 캔틸레버(40a)에 의해 허용되는 드로워(D)의 이동 가능한 범위가, 드로워(D)가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드로워(D)는 프레임(50)에 의해서는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는 위치까지만 전방으로 이동되나, 이는 프레임(50)에 의해 드로워(D)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최종 위치가 그렇다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도어(3c)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자력으로, 즉, 수동으로 드로워(D)를 더 인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캔틸레버(40a)는 프레임(50)에 의한 자동 인출 거리를 더 넘어서까지 드로워(D)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프레임(50), 링크(70), 프레임 가이드(60), 캔틸레버(40a)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따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b)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3c)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3c)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냉장고(1b)는 드로워(D)를 지지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수평 지지바(40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지지바(40b)는 저장실(S3) 내에 배치되어, 저장실(S3)의 후면(S(r))과 드로워(D)를 연결하며, 드로워(D)가 저장실(S3) 내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한다.
수평 지지바(40b)는 저장실(S3)의 후면(S(r))과 드로워(D)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어(3)가 개방될 시에는 프레임(50)에 의해 드로워(D)가 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저장실(S3)의 후면(S(r))과 드로워(D)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이때 수평 지지바(40b)는 그 길이가 늘어난다. 반대로, 도어(3)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프레임(50)에 의해 드로워(D)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때 수평 지지바(40b)는 그 길이가 줄어든다.
수평 지지바(40b)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저장실(S3)의 후면(S(r))에 고정된 고정 수평바(41)와, 드로워(D)에 고정되고, 고정 수평바(41)와 수평 지지바(40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결합을 이루는 이동 수평바(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c)의 개방시, 드로워(D)와 함께 이동 수평바(42)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 이동 거리만큼 수평 지지바(40b)의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수평 지지바(40b)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일례로, 실시예에 따른 수평 지지바(40b)는 원통형의 고정 수평바(41)의 내측에 삽입된 이동 수평바(42)가 드로워(D)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수평 지지바(40b)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 수평바(42)는 일단(또는, 전단)이 저장실(S)의 후면을 대향하는 드로워(D)의 배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수평바(42)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고정 수평바(41) 역시 수평하게 연장되며, 일단(또는, 후단)이 이동 수평바(4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저장실(S)의 후면(S(r))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방에서 저장실(S) 내부를 들여다 볼 때, 수평 지지바(40b)가 드로워(D)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수평 지지바(40b) 또는 수평 지지바(40b)의 설치 구조가 은폐시키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부(510)와 이격된 다수의 드로워(D2, D3)가 구비되는 경우, 수평 지지바(40b)는 각 드로워(D2, D3)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드로워(D2, D3)가 수평 지지바(40b)에 의해 균형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드로워에 대해 상칭적으로 한 쌍의 수평 지지바(40b)가 제공된다.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3개의 드로워(D1, D2, D3)가 배치되고, 이들 중 2 개의 드로워(D2, D3)는 각각 저장실(S3)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씩의 수평 지지바(40b)에 의해 지지되었다. 다만, 3개의 드로워(D1, D2, D3)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D1)은 프레임(50)의 베이스부(510)에 의해 지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c)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냉장고(1c)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드로워 가이드(DG)는 드로워(D)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드로워(D)는 드로워 가이드(DG)에 의해 균형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드로워 가이드(DG)가 저장실(S3) 내에서 폭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드로워 가이드(DG)는 드로워(D)와 저장실(S3)의 측면(S(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 가이드(DG)는 레일이나 롤러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 가이드(40c)는 저장실(S3)의 측면(S(s))에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긴 고정 레일(47)과, 드로워(D)에 고정되어 드로워(D)의 이동 시 고정 레일(47)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 레일(48)을 포함하며, 이동 레일(48)은 바람직하게는 저장실(S3)의 측면(S(s))을 대향하는 드로워(D)의 측면에 고정된다.
다른 예로, 드로워 가이드(DG)는 저장실(S3)의 측면(S(s))에 고정된 고정 레일과, 드로워(D)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로워(D)의 이동 간에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구르며 이동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직부(522)는 이동 간에 드로워 가이드(40c)와 간섭되지 않도록, 드로워 가이드(40c)와 저장실(S3)의 후면(S(r)) 사이에서 배치되며, 도어(3c)의 회전 동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이동 범위 역시, 드로워 가이드(40c)와 저장실(S3)의 후면(S(r))사이로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연동 유닛(90)은 드로워(D)에 배치된 이동 레일(48)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직부(522)는 고정 레일(47)의 후방에 배치되고, 연동유닛(90)은 드로워(D)에 고정된 이동 레일(48)의 후방에 배치된다.
수직부(522)가 저장실(S3)의 측면(S(s))과 밀착되거나, 충분히 근접한 경우에도, 링크(70)에 의해 수직부(522)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직부(522)의 전단이 고정 레일(47)과 간섭되지 않도록, 프레임(50)에 의해 드로워(D)가 전방으로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수직부(522)는 고정 레일(47)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d)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캐비닛(10)은 내부 캐비닛(110)과 외부 캐비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캐비닛(110)에는 저장실(이하, 좌측 냉동 저장실(S)을 예로 듦.)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캐비닛(120)은 내부 캐비닛(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부 캐비닛(110)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특히, 저장실(S3)의 측면(S(s))은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과 외부 캐비닛(120) 사이의 공간에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직부(522)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510)가 내부 캐비닛(110) 내에 배치되고, 수직부(522)는 내부 캐비닛(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내부 캐비닛(110)에는 베이스부(510) 또는 사이드 플레이트(520)가 통과되는 프레임 안내 슬릿(1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 안내 슬릿(117)은 베이스부(510)와 사이드 플레이트(5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평부(521)가 프레임 안내 슬릿(117)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수평부(521)의 일단이 베이스부(510)와 결합된다.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부(522)가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과 외부 캐비닛(120)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 안내 슬릿(117)은 그 내측에 삽입된 수평부(5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부(521)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직부(522)가 내부 캐비닛(110)과 외부 캐비닛(12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직부(5222)에 의해 저장실(S3) 내에서의 냉기의 순환이 방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직부(522)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고 은폐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522)가 저장실(S3)의 외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드로워(특히, 선반(310))에 놓인 음식물이 수직부(522)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직부(522)가 내부 캐비닛(110)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동유닛(90)이 수직부(522)와 드로워(D)를 연결하기 위해서,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에는 연동유닛(90)이 통과되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이 형성될 수 있다.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드로워(D)의 이동 간에 연동유닛(90)이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D2, D3)가 복수가 구비되는 구성에 대응하여,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연동유닛(90)이 드로워(D2, D3)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연동유닛(90)의 연결 돌기(91, 도 3 참조)가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을 통과하여 수직부(522)에 형성된 돌기 체결구(522c, 도 3 참조)에 삽입되거나, 돌기 체결구(522c)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e)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e)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냉장고(1d)와 비교할 시, 드로워(D)가 연장 가능한 형태의 수평 지지바(40b)에 의해 지지되는 점이 차이가 있다. 수평 지지바(40b)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수평 지지바(40b)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이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f)를 모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좌측 냉동 저장실(S3)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조는 다른 저장실들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냉장고(1f)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냉장고(1c)와 비교할 시,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직부(522)가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과 외부 캐비닛(120)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기타, 도어(3), 드로워 가이드(40c), 드로워(D), 프레임 가이드(60), 링크(70), 연동유닛(90)은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에는 프레임 안내 슬릿(117)과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이 형성될 수 있다.
연동유닛(90)이 이동 간에 드로워 가이드(40c)와 간섭되지 않도록, 연동유닛(90)과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의 위치가 정해져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이 드로워 가이드(40c) 보다 위쪽에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은 드로워 가이드(40c)보다 아래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연동유닛(90)의 이동이 드로워 가이드(40c)와 저장실(S3)의 후면(S(r))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이 드로워 가이드(40c)의 뒤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g)의 냉장실(RC)을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냉장실(RC)의 좌측 냉장 저장실(S1)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3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프레임(50)과 드로워(310, 320a, 320b)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립체로부터 드로워(310, 320a, 320b)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사이드 플레이트(520)에 미들 연동부재(91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2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링크(70)에 의해 도어(3a)와 베이스부(510)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미들 연동부재(910)의 전면도(a)와 배면도(b)이다. 도 19는 냉장실(RC)을 아래에서 바라본 것으로, 특히, 링크(70)에 의해 도어(3a)와 수평 플레이트(511)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연동유닛(90)에 의해 선반(310)과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직부(522)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도 20에서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0의 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선반(310)과 캔틸레버(40a)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4는 냉장실(RC)내에서 좌우 양측에 구비된 선반들(310(L), 310(R))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I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저장실”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100)에서 냉장실(RC)을 구성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 중 어느 것을 구성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며, 하나의 격실이 횡방향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저장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저장실 중 어느 것도 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격실(냉장실 또는 냉동실) 전체가 하나의 저장실을 이룰 수도 있다.
캐비닛(10)은 내부 캐비닛(110)과 외부 캐비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캐비닛(120)은 내부 캐비닛(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부 캐비닛(110)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내에는 단열재(35, 도 16 참조.)가 충진될 수 있다.
냉장실(RC) 내에는 드로워(D)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D)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좌측 냉장 저장실(S1) 내에 상하로 4개의 드로워(D)가 배치되고, 위의 2개는 각각이 한 쌍의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310)이고, 아래의 두 개는 프레임(50)을 구성하는 베이스부(510)에 의해 지지되는 컨테이너(320a, 320b)이다.
하나의 선반(3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캔틸레버(40a)를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바(bar, 45)가 구비될 수 있다. 바(45)는, 하나의 선반(3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캔틸레버(40a)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이 한 쌍의 캔틸레버(40a)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캔틸레버(40a)는 냉장실(RC) 내에 배치되어, 선반(31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캔틸레버(40a)는 후단이 내부 캐비닛(110)의 후벽(113)과 결합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냉장실(RC)의 개구된 전면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냉장실(RC)의 후면(S(r))을 형성하는 내부 캐비닛(110)의 후벽(113)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슬롯(115)이 형성되고, 캔틸레버(40a)가 하나 이상의 체결구(115)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캔틸레버(40a)의 후단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411, 412)가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체결돌기(411, 412)가 각각 슬롯(115)과 결합될 수 있다. 슬롯들(115)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하나의 캔틸레버(40a)와 결합되는 두 개의 슬롯(115) 중,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제 1 슬롯(115a)이라 하고, 위 쪽에 위치하는 것을 제 2 슬롯(115b)이라고 한다 (도 12 참조.).
한 쌍의 체결돌기(411, 412) 중 아래 쪽에 위치하는 제 1 체결돌기(411)는 캔틸레버(40a)로부터 후방으로 직선형태로 연장되어, 전후방향으로 제 1 슬롯(115a)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으나, 제 2 체결돌기(412)는 끝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제 2 슬롯(115b)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슬롯(115b)의 둘레에 걸리게 되며, 따라서, 설치가 완료된 캔틸레버(40a)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더라도, 후벽(11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선반(310)에는 지지대(23)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23)는 선반(310)에 놓인 음식물 또는 용기가 뒤로 넘어지면서, 선반(310)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지지대(23)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강성 바가 n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선반(310)의 상면에 직립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소정의 높이와 선반(31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대가 선반(310)의 상면에서 뒤쪽 부분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캔틸레버(40a)는 선반(3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선반(310)은 사각 판체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선반(310)이 한 쌍의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슬롯들(115) 역시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선반(310)은 캔틸레버(40a)에 의해 역학적으로 균형 상태(state of static mechanical equilibrium)로 지지될 수 있다. 즉, 선반(310)의 모든 하중이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되며, 선반(310)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한, 선반(310)이 캔틸레버(40a) 상에서 정지된 채로 유지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프레임(50)은 베이스부(510)와 사이드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컨테이너(320b)의 하측(즉, 다수의 드로워들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한 것(320b)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511)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520)는 수평 플레이트(511)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4,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프레임(50)은 링크(70)에 의해 도어(3a)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a)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프레임(5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3a)가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링크(70)가 프레임(50)을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프레임(50)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도어(3a)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링크(70)가 프레임(50)을 후방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프레임(50) 역시 후방으로 이동된다. 링크(70)는 수평 플레이트(511)의 하측에 배치되어, 후단부가 수평 플레이트(511)의 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
링크(70)는 일단이 도어(3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부(510)의 수평 플레이트(51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3a)의 회전 동작에 따라 베이스부(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이드 플레이트(520)가 베이스부(510)와 일체로 이동됨으로써, 후술하는 연동유닛(90, 도 20 참조.)에 의해 사이드 플레이트(520)와 연결된 선반(310) 역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어(3a)가 완전 개방된 상태, 즉, 링크(70)에 의해 프레임(50)이 전방으로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선반(310)은 냉장실(RC)의 전면을 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여, 캔틸레버(40a)에 의해 허용되는 선반(310)의 이동 가능한 범위가, 선반(310)이 냉장실(RC)의 전면을 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어(3a)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선반(310)은 냉장실(RC)의 전면을 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나, 이는 도어(3a)와 연동하는 프레임(50)에 의해 선반(310)이 자동으로 인출되는 최종 위치가 그렇다는 것이다. 도어(3a)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자력으로, 즉, 수동으로 선반(310)을 더 인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캔틸레버(40a)는 프레임(50)에 의한 자동 인출 거리를 더 넘어서까지 선반(3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프레임 가이드(60)는 베이스부(5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며, 수평 플레이트(511)와 저장실(S1)의 하면(S(b))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가이드(60)는 저장실(S1)의 하면(S(b))에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고정 레일(61)과, 수평 플레이트(511)의 저면에 고정되며, 수평 플레이트(511)의 이동 간에 고정 레일(61)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레일(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어(3a)는 힌지 브래킷(150)에 의해 캐비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힌지 브래킷(150)은 캐비닛(10)의 전면(실시예에서는 수평 파티션(7)의 전면)과 결합되는 캐비닛 결합부(151)와, 캐비닛 결합부(151)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도어 서포터(152)와, 도어 서포터(152)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3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연결축(1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는 하방을 향하는 수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 연결축(153)은 상기 수평한 면에 형성된 축 결합구(12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평한 면은, 예를 들어, 도어(3a)의 저면(31)을 구성할 수 있다.
링크(70)는 전단부(71)가 도어(3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1 회전 관절(J1)을 구성하고, 후단부(72)는 수평 플레이트(51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2 회전 관절(J2)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회전 관절(J1)은 캐비닛(10)에 대한 도어(3a)의 회전의 중심, 즉, 도어(3a)의 회전축(c)으로부터 소정 거리(R) 이격된다. 따라서, 도어(3a)가 회전될 시, 제 1 회전 관절(J1)은 도어(3a)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반경 R을 갖는 원주 상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원주 상에서 제 1 회전 관절(J1)의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제 2 회전 관절(J2) 역시 변위되면서 베이스부(510)를 이동시킨다.
링크(70)는 전단부(71)로부터 연장되어 도어(3a)의 회전축(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제 1 절곡구간(73)과, 제 1 절곡구간(73)과 후단부(72) 사이에서 제 1 절곡구간(73)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제 2 절곡구간(7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제 1 회전 관절(J1)은 도어(3a)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링크(70)의 일부분, 특히, 제 1 회전 관절(J1)과 근접한 부분이 도어(3a)와 간섭될 수 있다. 특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70)의 전단부(71)가 도어(3a)의 최하단보다 상측에서 도어(3a)와 결합되는 경우, 링크(70)가 상기 최하단의 상측에 위치하는 도어(3a)의 일부분(예를 들어, 도어(3a)의 측면 모서리 부분(33))과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링크(70)가 도어(3a)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단부(71)와 인접한 부분에 도어(3a)의 회전축(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절곡구간(7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회전 관절(J2)이 수평 플레이트(511)의 측변(511a)과 근접할수록, 링크(70)에 의해 수평 플레이트(511)에 작용하는 힘이 수평 플레이트(51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작용하여, 수평 플레이트(511)의 이동 방향(즉, 전후 방향)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편심이 크지기 때문에, 링크(70)의 후단부(72)는 수평 플레이트(511)의 측변(511a)과 일정한 거리 이상은 이격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후단부(72)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 1 절곡 구간(73)과 후단부(72) 사이에는 제 1 절곡구간(73)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제 2 절곡구간(74)이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510)는 수평 플레이트(511)의 양측변으로부터 각각 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벽(512, 51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수평 플레이트(511)와 한 쌍의 지지벽(512, 513)에 의해 한정된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 공간에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320a, 32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 공간은 프레임(50)에 형성된 것인 바, 도어(3a)의 개폐 동작에 따라, 프레임(50)과 일체로 이동된다.
베이스부(510)는 한 쌍의 지지벽(512, 513)의 전단들 사이가 개구되고, 그 개구된 부분을 통해 컨테이터(320a, 320b)가 상기 수납 공간을 출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상하로 두 개의 컨테이너(320a, 320b)가 수납되며, 각각의 컨테이너(320a, 320b)는 베이스부(5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컨테이너(320a, 320b)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각각의 지지벽(512, 513)에는 컨테이너(320a, 320b)의 이동을 안내하는 컨테이너 가이드(59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컨테이너가 양 지지벽(512, 513)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컨테이터 가이드(5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컨테이너 가이드(590)는 지지벽(512, 513)에 고정된다. 컨테이너 가이드(59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 레일(591)과, 컨테이너(320a, 320b)에 배치되고 레일(59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59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롤러(592)가 지지벽(512, 513)에 배치되고, 롤러(592)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591)이 컨테이너(320a, 320b)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320a, 320b)는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상하로 복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320a, 320b)가 설치되는 개수에 따라, 적절한 수의 컨테이너 가이드(5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공간의 상측을 한정하는 커버 선반(27)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 선반(27)은 저장실(S1) 내에 고정 배치된 것으로써, 내부 캐비닛(110)의 후벽(113)(또는, 저장실(S1)의 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선반(27)의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홈(27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50)의 이동 간에 지지벽(512, 513)의 각 상단이 장홈(27a)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이드 플레이트(520)는 수평 플레이트(511)와 결합되는 수평부(521)와, 수평부(521)로부터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522)를 임의의 수평한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시, 그 단면은 수평 플레이트(511)의 측변(511a)과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긴 형태를 이룬다.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 플레이트(520)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판재를 설계된 형태대로 절단한 후, 절곡함으로써 수평부(521)와 수직부(522)를 형성할 수 있다.
수직부(522)의 전후방향 길이(d1+d2)는 수평 플레이트(511)의 측변(511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부(522)가 반드시 수평 플레이트(511)의 측변(511a)의 전 구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수평 플레이트(511)의 측변(511a)의 일부 구간, 바람직하게는, 수평 플레이트(511)의 후단(또는, 후방 코너 부근)과 근접한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직부(522)의 전후방향 길이가 어느 높이에서나 일정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수직부(522)는, 전후방향으로 d1의 길이를 가지며 수평부(521)와 연결되는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 구간(522a)과, 수직 연장 구간(522a)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수평하게 d2만큼 돌출되는 수평 돌출 구간(52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 돌출 구간(522b)은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은 서로 나란하다. 실시예에서는 3개의 수평 돌출 구간(522b)이 형성되었으며, 이들 중 위쪽의 2개는 각각 캔틸레버들(40a)과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었다. 수평 돌출 구간(522b)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수직부(522)가 전후 방향으로 더 긴 길이를 갖기 때문에, 프레임(50)의 이동 간에 선반(310)으로부터 작용하는 반발력에 대해 보다 높은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연동유닛(90, 도 20 참조.)은 냉장실(RC) 내에 배치되어, 선반(310)이 사이드 플레이트(520)와 연동하도록, 수직부(522)와 선반(310)을 연결할 수 있다. 연동유닛(90)은 연결 마운트(540)와, 미들 연동부재(910)와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마운트(540)는 미들 연동부재(910)가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 연장 구간(522a)에 고정되며, 수직 연장 구간(522a)로부터 선반(31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연결 마운트(540)는 수직 연장 구간(522a)으로부터 돌출된 쉘(shell)의 형태로 이루어져, 수직 연장 구간(522a)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마운트(540)에는 상기 쉘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541a, 54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관통구(541a, 541b)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원 공급선(19a, 19b)을 후술하는 미들 연동부재(910)에 형성된 소켓(912)으로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선(19a, 19b)이 연결 마운트(540)에 형성된 관통구(541b)를 통과한 후, 미들 연동부재(910)의 일면(도 8의 (b) 참조.)에 형성된 전원선 유도 홈(916)을 따라 소켓(912)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에는 연결 마운트(540)가 통과되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마운트(540)가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 내에 위치되며, 미들 연동부재(910)는 냉장실(RC) 내에서 연결 마운트(540)와 결합된다.
수직 연장 구간(522a)에는 한 쌍의 관통구(541b)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전원 공급선(19a, 19b)이 통과하는 관통구(522h)들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조명(370. 도 24 참조.)을 작동하는 회로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원 공급선(19a, 19b)이 각각 수직 연장 구간(522a)에 형성된 관통구(522h)들과, 연결 마운트(540)에 형성된 관통구(541b)들을 통과하여, 미들 연동부재(910)에 형성된 각 소켓(912)에 삽입된 접속 단자(9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 단자(952)는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를 구성하는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미들 연동부재(910)는 슬라이드 연동부재(950)와 수직부(522)를 연결하는 것으로, 캔틸레버(40a)와 수직부(5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연동부재(910)는 연결 마운트(54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마운트(540)는 프레임(50)과 연동시키고자 하는 선반(3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선반(310)과 대응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었다. 하나의 미들 연동부재(910)는 복수의 연결 마운트(54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미들 연동부재(910)는, 배면(즉,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을 대향하는 면, 도 18의 (b)참조.)으로부터 연결 마운트(540)와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결합홈(913)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마운트(540)가 결합홈(91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결합홈(913) 내에는 연결 마운트(540)의 관통구(54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구(911)가 형성될 수 있다.
미들 연동부재(910)를 수직 연장 구간(522a)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32)가 미들 연동부재(910)에 형성된 체결구(911)와, 연결 마운트(540)에 형성된 관통구(541)와 체결될 수 있다.
미들 연동부재(910)의 배면(냉장실(RC)의 측벽을 대향하는 면, 도 8의 (b) 참조.)으로부터 연결 마운트(540)와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결합홈(913)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마운트(540)가 결합홈(91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미들 연동부재(910)의 전면(도 8의 (a) 참조.)은 결합홈(913)과 대응하는 부분이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 체결구(91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는 선반(310)에 설치되어, 선반(310)과 일체로 이동되며, 선반(310)과 미들 연동부재(910)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는 미들 연동부재(91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는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를 이용하여 원하는 선반(310)을 미들 연동부재(910)와 연결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는 선반(310)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위치에 따라 미들 연동부재(910)와 연결되거나, 미들 연결부재(910)와 분리될 수 있다.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는 연동부재 하우징(951)과, 연동부재 하우징(951)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미들 연동부재(910)의 소켓(912)들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접속 단자(95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접속 단자(952)들은 각 소켓(912)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며, 연동부재 하우징(951)의 위치에 따라 소켓(912) 내로 삽입되거나, 소켓(912)과 분리된다.
연동부재 하우징(951)은 하우징 본체(951a)와, 하우징 본체(951a)로부터 측방향, 즉, 미들 연동부재(910)를 향해 돌출된 연결 돌기(95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돌기(951b)는 하우징 본체(951a)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돌출될 수 있다. 미들 연동부재(910)에는 연결 돌기(951b)가 삽입되는 삽입홈(912a)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310) 상에서의 슬라이드 연동부재(950)의 위치에 따라, 연결 돌기(951b)가 삽입홈(912a) 내로 삽입되거나, 삽입홈(912a)과 분리될 수 있다.
접속 단자(952)들은 연결 돌기(951b) 보다 더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접속 단자(952)들은 삽입홈(912a)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연결 돌기(951b)를 삽입홈(912a) 내로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접속 단자(952)들도 소켓(912)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는 선반(310)의 후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선반(310)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를 지지하는 홀더(330)가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는 홀더(3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홀더(330)는 선반(3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L”자 형태로써, 연결 돌기(951b)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측 지지판(331)과, 하측 지지판(33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연결 돌기(951b)의 뒤쪽에 위치되는 걸림돌기(332)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310)에는 하우징 본체(951a)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드 연동부재(950)의 이동 방향(즉,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하우징 본체(951a)의 뒤쪽에 위치되는 리브(316)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951a)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이 리브(316)에 의해 제지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연동부재 가이드(340)는 선반(3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연동부재 가이드(340)는 선반(310)과 결합되는 가이드 본체(341)와, 가이드 본체(341)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42)는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연동부재(950)의 전면에는 가이드 돌기(342)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951c)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삽입홈(951c)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342)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삽입홈(951c) 내에 가이드 돌기(342)가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연동부재(950)가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돌기 삽입홈(951c)은 가이드 돌기(342)의 폭(또는, 외경)보다는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42)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342h)을 갖는 관의 형태일 수 있고, 접속 단자(9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17, 도 24 참조.)이 중공(342h)을 통과하여, 선반(310)에 설치된 전장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부품으로써, 선반(310)에는 조명(370, 도 24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조명(370)은 전기에 의해 발광하는 광원(예를 들어, LED)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370)은 선반(310)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은 가이드 돌기(342)의 중공(342h)을 통과한 전선(17)과 연결될 수 있다.
조명(370)은 선반(310)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상하로 복수의 선반(310)이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선반(310)에 조명(3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선반(310)에 구비된 조명(370)에 의해 그 아래 위치하는 선반(310)이 조명될 수 있다. 통상 내장실(RC)과 냉동실(FC) 내에는 도어(3a, 3b, 3c, 3d)의 개방시 점등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 소등되는 고정 조명(미도시)가 구비되나, 이에 더하여, 선반(310)에 조명(370)을 더 설치함으로써, 인출된 선반(310) 상에 놓인 저장물이 보다 신선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격실(RC, FC)이 대형화될수록, 상기 고정 조명으로는 충분한 밝기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렇게 선반(310)에 추가적으로 조명(370)을 설치하여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격실(RC, FC) 내의 양쪽 저장실에는 각각 선반(3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냉장실(RC) 내의 좌측 냉장 저장실(S1)에 배치된 제 1 선반(310(L))과 우측 냉장 저장실(S2)에 배치된 제 2 선반(310(R))을 예로 든다.
제 1 선반(310(L))과 제 2 선반(310(R))은 같은 높이에 배치되며, 각각이 한 쌍의 캔틸레버(40a)에 의해 지지된다. 제 1 선반(310(L))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a)와 연동하는 프레임(50)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선반(310(R))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도어(3b)와 연동하는 프레임(5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그런데, 프레임(50)은 연동유닛(90)을 매개로 하여 선반(310(L), 310(R))을 이동시키며, 연동유닛(90)은 프레임(50)의 수직부(522)를 선반(310(L), 310(R))과 연결시키기 때문에, 연동유닛(90)을 통해 선반(310(L), 310(R))으로 가해지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는 힘은 선반(310(L), 310(R))의 양측 중 수직부(522)와 가까운 쪽으로 치우쳐 작용한다. 즉, 선반(310(L), 310(R))의 양측에 고르게 힘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힘이 한쪽에 치중되기 때문에, 선반(310(L), 310(R))이 프레임(50)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흔들릴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선반(예를 들어, 310(L))을 지지하는 두 개의 캔틸레버(40a)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못하여, 캔틸레버(40a)들이 흔들리거나, 캔틸레버(40a)들을 따라 안내되는 선반(310(L), 310(R))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선반(310(L))을 지지하는 2개의 캔틸레버(40a)와 제 2 선반(310(R))을 지지하는 2개의 캔틸레버(40a) 중에,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캔틸레버(40a(L), 40a(R))들이 일전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께 잡아주는 고정 브래킷(80)을 제공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80)에는 제 1 선반(310(L))을 지지하는 제 1 캔틸레버(40a(L))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81)과, 제 2 선반(310(R))을 지지하는 제 2 캔틸레버(40a(R))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8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삽입홈(81)과 제 2 삽입홈(82)은, 제 1 캔틸레버(40a(L))와 제 2 캔틸레버(40a(R))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며, 각각의 삽입홈(81, 82)은 캔틸레버(40a(L), 40a(R))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h)의 냉장실(RC)을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내부 캐비닛(11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내부 캐비닛(110) 내에 배치된 프레임(50)과 드로워(310, 320a, 320b)의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냉장실(S1) 내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0은 냉장실(RC)의 좌측 냉장 저장실(S1)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1은 연동유닛(90)에 의해 선반(310)과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직부(522)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도 31에서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도 31의 III-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0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0의 C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26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h)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g)와 비교하여, 내부 캐비닛(110)과 외부 캐비닛(120) 사이에 수직부(522)가 배치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이러한 차이점으로부터 기인한 구조적인 변경이 가해질 뿐, 그 밖의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냉장고(1g)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전술한 냉장고(1g)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캐비닛(10)은 내부 캐비닛(110)과 외부 캐비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캐비닛(120)은 내부 캐비닛(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부 캐비닛(110)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내에는 단열재(35, 도 33 참조.)가 충진될 수 있으며, 특히,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 112)과 외부 캐비닛(120) 사이의 공간은 사이드 플레이트(520)가 설치, 이동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프레임(50)은 베이스부(510)와 사이드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컨테이너(320)의 하측(즉, 다수의 드로워들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한 것(320b)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511)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520)는 수평 플레이트(511)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520)는 수평 플레이트(511)와 결합되는 수평부(521)와, 수평부(521)로부터 절곡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 112)에는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평부(521)가 통과하는 프레임 안내 슬릿(117)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안내 슬릿(117)은 수평부(521)의 전후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따라서, 링크(70)에 의해 프레임(50)이 이동될 시, 수평부(521)가 프레임 안내 슬릿(117)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9 및 도 31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에는 연결 마운트(540)가 통과되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마운트(540)가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 내에 위치되며, 미들 연동부재(910)는 냉장실(RC) 내에서 연결 마운트(540)와 결합된다.
프레임(50)을 이동시키는 힘은, 제 2 회전 관절(J2, 도 17 참조.)을 통해 프레임(50)에 작용한다. 그리고, 제 2 회전 관절(J2)은 제 1 회전 관절(J1)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것이므로, 제 2 회전 관절(J2)을 통해 프레임(50)에 작용하는 합력(resultant force)은 그 방향이 도어(3a)의 회전과정에서 가변되며, 상기 합력의 전후방향 성분이 프레임(50)을 이동시키는 힘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합력은 프레임(50)의 이동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 이외에도, 프레임(50)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도 작용하며, 이는 프레임(50)의 흔들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수직부(522)에 형성된 연결 마운트(540)를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 내에 위치시켜, 프레임(50)의 이동 간에 연결 마운트(540)가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50)의 흔들림을 저감토록 한 것이다.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연동유닛(90)은 연결 마운트(540)와, 미들 연동부재(910)와 슬라이드 연동부재(9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마운트(540)는 미들 연동부재(910)가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 연장 구간(522a)에 고정되며, 수직 연장 구간(522a)로부터 선반(31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수직부(522)가 내부 캐비닛(110)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연결 마운트(540)는 내부 캐비닛(110)의 외측에서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 내로 삽입된다.
연결 마운트(540)는, 내부 캐비닛(110)의 내측, 즉, 저장실(S1) 내에서 연결 마운트(540)와 연결될 수 있다. 수직 연장 구간(522a)에 형성된 관통구(522h)들을 통해 한 쌍의 전원 공급선(19a, 19b)이 통과한 후,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 내에 위치한 연결 마운트(540)의 관통구(541b)들을 통과하여 저장실(S1)의 내측에 배치된 미들 연동부재(910)까지 연장되고, 다시 미들 연동부재(910)의 일면에 형성된 전원선 유도 홈(916)을 따라 소켓(912)으로 안내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도 31 내지 도 32을 도 20 내지 도 21과 비교해 보면, 사이드 플레이트(520)의 수직부(522)가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과 외부 캐비닛(120) 사이에 위치하는 관계로, 수직 연장 구간(522a)에 고정된 연결 마운트(540)가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에 형성된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을 매개로 슬라이드 연동부재(950)와 연결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이러한 구조 상의 차이로 인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선(19a, 19b)이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과 외부 캐비닛(120) 사이에서 수직 연장 구간(522a)에 형성된 관통구(522h)들을 통과한 후, 연동유닛 안내 슬릿(118) 내에 위치한 연결 마운트(540)에 형성된 관통구(541b)들을 통과하여, 미들 연동부재(910)에 형성된 각 소켓(912)에 삽입된 접속 단자(9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34를 참조하면, 수직부(522)가 이동 과정에서 단열재(35)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캐비닛(110)의 측벽(111)의 외측면에는 수직부(522)를 감싸는 ㅖ(36)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커버(36)는, 수직부(522)가 링크(70)에 의해 이동되는 전구간에서 단열재(35)와 접촉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간은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구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구간의 의미 및 구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4)

  1.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후단이 상기 저장실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캔틸레버;
    저장물을 수용하고, 상기 캔틸레버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캔틸레버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르며 전후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가져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마주하는 프레임;
    상기 저장실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수평한 판체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절곡되어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를 이루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연장 구간; 및
    상기 수직 연장 구간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수평 돌출 구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돌출 구간은,
    서로 다른 높이에 다수개가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되고,
    상기 캔틸레버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드로워 각각을 지지하고,
    상기 수평 돌출 구간은,
    상기 복수의 캔틸레버와 각각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한 단면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측변의 길이보다 짧은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에는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고정 레일이 배치되는 냉장고.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후단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과 연결되는 냉장고.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과 연결되는 냉장고.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하면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는 돌기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드로워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돌기 체결구에 삽입 또는 상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 내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돌기 체결구는,
    상기 다수개의 드로워와 각각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는 돌기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수직부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돌기 체결구에 삽입 또는 상기 돌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수직부로부터 상기 드로워를 향해 돌출된 연결 마운트;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마운트와 결합되는 미들 연동부재; 및
    상기 드로워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미들 연동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슬라이드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연동부재는,
    상기 연결 마운트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마운트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복수의 연결 마운트와 대응하여 복수가 형성되는 냉장고.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가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홀더가 형성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하측 지지판; 및
    상기 하측 지지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의 뒤쪽에 위치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연동부재에는 상기 드로워를 대향하는 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는,
    상기 드로워 상에서의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홈 내로 삽입되거나, 상기 삽입홈과 분리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는,
    상기 드로워를 대향하는 전면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이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돌기 삽입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경 보다 길게 형성되는 냉장고.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마운트에는 전원 공급선이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연동부재는,
    상기 하측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연동부재 하우징; 및
    상기 연동부재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연동부재는,
    상기 접속 단자가 삽입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마운트의 관통구를 통과한 상기 전원 공급선이 상기 소켓으로 안내되어 상기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냉장고.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연동부재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을 상기 소켓으로 안내하는 전원선 유도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중공을 갖는 관상의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단자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는 조명과 연결되는 냉장고.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의 저면을 지지하는 냉장고.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저면에는,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의 이동 간에 상기 캔틸레버의 상단을 따라 안내되는 장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후면에는 상기 캔틸레버의 후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롯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냉장고.
  31.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대향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면과,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 내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 가능한 수평 지지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지지바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르며 전후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저장실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바는,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연결되고, 상기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 수평바; 및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수평바와 상기 수평 지지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결합을 이루는 이동 수평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평바는,
    상기 저장실의 후면을 대향하는 상기 드로워의 배면에 연결되는 냉장고.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수평 지지바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35.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르며 전후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가져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마주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저장실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드로워 가이드와 상기 저장실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이루어지는 상기 수직부의 이동은,
    상기 드로워 가이드와 상기 저장실의 후면 사이로 제한되는 냉장고.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 레일; 및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이동 레일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장고.
  40.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 캐비닛과, 상기 내부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캐비닛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프레임 안내 슬릿과,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의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후단이 상기 저장실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캔틸레버;
    저장물을 수용하고, 상기 캔틸레버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캔틸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벽과 상기 외부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매개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며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내부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링크;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드로워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41. 제 40 항에 있어서,
    수평한 판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는 돌기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드로워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돌기 체결구에 삽입 또는 상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 내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냉장고.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수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 내로 삽입되는 연결 마운트;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마운트와 결합되는 미들 연동부재; 및
    상기 드로워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미들 연동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슬라이드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45.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 캐비닛과, 상기 내부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캐비닛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프레임 안내 슬릿과,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의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 내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 가능한 수평 지지바;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벽과 상기 외부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매개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며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내부 캐비닛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
    일단이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링크;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드로워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46. 제 45 항에 있어서,
    수평한 판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는 돌기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드로워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돌기 체결구에 삽입 또는 상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 내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냉장고.
  49.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 캐비닛과, 상기 내부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캐비닛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프레임 안내 슬릿과,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의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벽과 상기 외부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매개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며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갖는 프레임;
    상기 내부 캐비닛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가이드;
    일단이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링크;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드로워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50. 제 49 항에 있어서,
    수평한 판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는 돌기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드로워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돌기 체결구에 삽입 또는 상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 내로 삽입되고, 상기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돌기 체결구와 분리되는 냉장고.
  53.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된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이르고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가져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마주하는 프레임;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링크;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수직부와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54.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면을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개구부를 대향하는 후면에 의해 규정되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 캐비닛과, 상기 내부 캐비닛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캐비닛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길게 연장되는 프레임 안내 슬릿과,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의 상측에서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동유닛 안내 슬릿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는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측벽과 상기 외부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안내 슬릿을 매개로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적어도 상기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며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갖는 프레임;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링크; 및
    상기 드로워가 상기 프레임과 연동하도록, 상기 연동유닛 안내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부와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는 연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77019275A 2014-10-31 2015-11-02 냉장고 KR102423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0145 2014-10-31
KR1020140150145 2014-10-31
PCT/KR2015/011666 WO2016068686A1 (ko) 2014-10-31 2015-11-0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502A KR20170090502A (ko) 2017-08-07
KR102423571B1 true KR102423571B1 (ko) 2022-07-21

Family

ID=5585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275A KR102423571B1 (ko) 2014-10-31 2015-11-02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10240857B2 (ko)
EP (1) EP3239631B1 (ko)
JP (1) JP6599458B2 (ko)
KR (1) KR102423571B1 (ko)
CN (1) CN107110597B (ko)
WO (1) WO2016068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9458B2 (ja) 2014-10-31 2019-10-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冷蔵庫
EP3258196B1 (en) * 2015-02-13 2022-05-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08698B1 (ko) * 2015-02-1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753673B2 (en) * 2015-10-08 2020-08-25 Arcelik Anonim Sirketi Water tank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or
KR102447530B1 (ko) * 2016-04-15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088164B (zh) * 2017-11-08 2020-06-19 广东顺德奉泰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清理的制冷柜用置物架
DE202018105107U1 (de) * 2018-09-06 2019-12-10 Vauth-Sagel Holding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Innenauszugschrank
CN111811178B (zh) * 2019-04-12 2024-04-12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
JP7272934B2 (ja) * 2019-11-13 2023-05-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11774172B2 (en) 2021-06-24 2023-10-0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awer in a refrigerator door
US11927388B2 (en) 2021-07-20 2024-03-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versible drawe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237B2 (ja) * 1995-04-11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抜止め手段付き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9306A (en) * 1925-03-09 1926-06-15 Short James Masellus Refrigerator
US1899171A (en) * 1928-12-26 1933-02-28 Virgil P Warren Refrigerator construction
US1835847A (en) * 1929-09-17 1931-12-08 Arch G Chandler Door shifted tray support for cabinets
US2780926A (en) * 1955-01-13 1957-02-12 Gen Motors Corp Wall mounted refrigerating apparatus
US2795117A (en) * 1956-05-02 1957-06-11 Whirlpool Seeger Corp Household refrigerators
JPS62135084A (ja) 1985-12-06 1987-06-18 Fuji Photo Film Co Ltd ビデオ画像記録装置
JPH0512705Y2 (ko) * 1986-02-20 1993-04-02
JPH03233281A (ja) 1990-02-09 1991-10-17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US5362145A (en) * 1991-03-07 1994-11-08 Donnelly Corporation Molded refrigerator shelf
US5299863A (en) * 1991-11-14 1994-04-05 Albright Jr Harold D Refrigerator with sliding interior frame
US5209555A (en) * 1992-03-26 1993-05-11 Lee Rowan Company Drawer and roller slide combination
JPH0636432A (ja) 1992-07-16 1994-02-10 Hitachi Ltd デイスク記録装置
JP2994524B2 (ja) * 1993-04-09 1999-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H085615Y2 (ja) * 1992-10-24 1996-02-21 榎本金属株式会社 棚付の収納ボックス
JPH11118343A (ja) * 1997-10-20 1999-04-30 Kimimori Saitou 冷蔵庫の使い勝手を高める後付け方式の収納ユニット と、これらの収納ユニットを一体に着設したマルチ収 納式の省エネ型冷蔵庫
IT1307933B1 (it) * 1999-01-27 2001-11-29 Franco Ferrari Guida per cassetti con apertura frenata.
JP3696022B2 (ja) * 2000-01-21 2005-09-14 東芝コンシューマ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冷蔵庫
JP2002267342A (ja) * 2001-03-12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3544374B2 (ja) 2002-02-06 2004-07-21 株式会社丸伸 収納家具
JP2004093039A (ja) * 2002-09-02 2004-03-25 Haimekku:Kk 扉に連動する水平移動可能な棚
JP4178892B2 (ja) * 2002-09-06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冷蔵庫
KR100585696B1 (ko) 2004-06-14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구조
KR100608688B1 (ko) * 2004-08-26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3112237U (ja) * 2005-05-02 2005-08-04 ヤイリ家具株式会社 収納庫
US8333446B2 (en) * 2006-05-30 2012-12-1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oling air for refrigerator
CN201036409Y (zh) * 2007-03-20 2008-03-19 威曦有限公司 可同步开启并左右共用的多层式收纳柜
MX2007008018A (es) * 2007-06-28 2009-01-07 Mabe Mexico S De R L De C V Sistema de corredera para cajon o anaquel.
KR101504361B1 (ko) * 2008-09-18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DE102009000855A1 (de) * 2009-02-13 2010-08-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EP2250929B1 (de) * 2009-05-12 2012-05-23 Peka-Metall A.G. Schrankteil mit herausziehbarem Ausziehteil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41392B1 (ko) 2010-01-04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US9074810B2 (en) * 2010-04-21 2015-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13325B1 (ko) * 2010-04-30 2017-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04817B1 (ko) * 2010-08-2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99159B1 (ko) * 2012-04-18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43198B1 (ko) * 2013-03-05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8022B1 (ko) * 2013-04-05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435580B2 (en) * 2014-07-17 2016-09-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awer assembly
EP2976971B1 (de) * 2014-07-25 2021-04-07 Vauth-Sagel Holding GmbH & Co. KG Ausziehbeschlag mit Türmitnehmer und Vorratsschrank mit diesem Ausziehbeschlag
JP6599458B2 (ja) * 2014-10-31 2019-10-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冷蔵庫
KR101650386B1 (ko) * 2014-12-04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증발기
KR101721883B1 (ko) * 2015-01-22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59037B1 (ko) * 2015-02-13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08698B1 (ko) * 2015-02-1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258196B1 (en) * 2015-02-13 2022-05-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256800A4 (en) * 2015-02-13 2019-03-20 LG Electronics Inc. FRIDGE
KR102423614B1 (ko) * 2016-02-05 202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0262B1 (ko) * 2016-02-05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726423B1 (en) * 2016-04-06 2017-08-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liding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237B2 (ja) * 1995-04-11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抜止め手段付き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7179B2 (en) 2022-03-29
CN107110597A (zh) 2017-08-29
WO2016068686A4 (ko) 2016-06-23
US11725873B2 (en) 2023-08-15
US10969160B2 (en) 2021-04-06
EP3239631A1 (en) 2017-11-01
US20210270518A1 (en) 2021-09-02
JP6599458B2 (ja) 2019-10-30
US20200191473A1 (en) 2020-06-18
JP2017534831A (ja) 2017-11-24
EP3239631B1 (en) 2022-10-26
EP3239631A4 (en) 2019-03-20
US20170314846A1 (en) 2017-11-02
US20190186813A1 (en) 2019-06-20
US10240857B2 (en) 2019-03-26
US20220260307A1 (en) 2022-08-18
KR20170090502A (ko) 2017-08-07
US20230341175A1 (en) 2023-10-26
US10508858B2 (en) 2019-12-17
CN107110597B (zh) 2019-11-26
WO2016068686A1 (ko) 2016-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571B1 (ko) 냉장고
KR102560477B1 (ko) 냉장고
KR102440261B1 (ko) 냉장고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6496419B2 (ja) 冷蔵庫
CN107148546B (zh) 冰箱
KR102472387B1 (ko) 냉장고
US11920859B2 (en) Refrigerator
KR2014011997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