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26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261B1
KR102440261B1 KR1020220083793A KR20220083793A KR102440261B1 KR 102440261 B1 KR102440261 B1 KR 102440261B1 KR 1020220083793 A KR1020220083793 A KR 1020220083793A KR 20220083793 A KR20220083793 A KR 20220083793A KR 102440261 B1 KR102440261 B1 KR 10244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protrusion
door
bas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0566A (ko
Inventor
양창완
김형일
장헌재
이부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3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2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Drawers with castors, rollers or wheels, supported directly on a surface below, e.g. on a floor, shelf or des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47B88/75Coupled drawers the secondary drawer being in or above the primary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47B88/75Coupled drawers the secondary drawer being in or above the primary drawer
    • A47B2088/76Coup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7Drawers with coupled rea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이 냉장고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식품이 담기는 서랍; 상기 서랍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서랍의 양측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상기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지지 레일; 상기 저장실 내, 상기 제 1 서랍의 하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및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라 상기 베이스를 이동시키되, 상기 도어가 열릴 시, 상기 베이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상기 베이스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인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 1 서랍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 1 서랍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시, 상기 연결 돌기와 결합 가능한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 레일은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 간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서랍이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서랍이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이 서로 분리되는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면 상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상태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고 있고,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도 홈바,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도어를 닫았을 때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에 장착되는 선반이나 서랍과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장착된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섭되는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예를 들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랍의 전단부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후퇴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저장실 안쪽으로 손을 깊숙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저장실의 안쪽 후방에 저장된 음식물은 사용자가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냉장고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저장실이 깊어질수록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0357호(이하, '357특허라고 함.)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이나 서랍이 수납 프레임에 놓이고, 다관절 링크의 전단부가 냉장고 도어의 저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프레임과 연결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를 회전시켜서 개방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반과 서랍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의 경우, 상기 선반과 서랍의 하중이 모두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선반과 서랍의 하중 및 상기 선반과 서랍에 수납된 음식물의 하중이 모두 수납 프레임에 집중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수납 프레임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였으며, 이로 인해 상기 수납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증가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 프레임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그 만큼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저장실 내에 구비된 서랍의 인출과 인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되, 특히, 상기 서랍의 하측에 배치된 베이스가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하며, 상기 서랍을 인출(저장실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 또는 인입(저장실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가 일정 거리 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서랍이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상태로 일체로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일정 거리를 넘어서 더 이동이 이루어지는 중에는 상기 서랍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서랍의 자동 인출 거리가 제한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서랍 간의 연결과 분리가, 상기 서랍의 높이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서랍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 레일에 상기 서랍이 상승되도록 안내하는 경사구간이 마련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저장실 내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개의 서랍이 배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서랍이 일체로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다수개의 서랍들은 그 모두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수개의 서랍 중 제 1 서랍만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서랍의 상측에서 위치하는 제 2 서랍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연결유닛에 의해 상기 제 1 서랍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서랍과 연동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 2 서랍은 제 2 지지 레일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서 그 이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연결유닛은 상기 제 1 서랍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 1 서랍과 상기 제 2 서랍을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서랍의 높이는 상기 제 1 지지 레일에 형성된 경사구간에 의해 제어된다.
셋째, 상기 제 2 서랍의 상측에 제 3 서랍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 3 서랍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 2 서랍과 상기 제 3 서랍을 서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제 2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유닛은 상기 제 3 서랍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 2 서랍과 상기 제 3 서랍을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서랍의 높이는 상기 제 3 서랍을 지지하는 제 3 지지 레일에 형성된 경사구간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고, 식품이 담기는 서랍; 상기 서랍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서랍의 양측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상기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지지 레일; 상기 저장실 내, 상기 제 1 서랍의 하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 및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라 상기 베이스를 이동시키되, 상기 도어가 열릴 시, 상기 베이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상기 베이스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인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 1 서랍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 1 서랍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시, 상기 연결 돌기와 결합 가능한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 레일은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 간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서랍이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서랍이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이 서로 분리되는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면 상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냉장고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식품이 담기는 공간을 제공하고, 양측으로 각각 롤러를 구비한 제 1 서랍;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제 1 서랍의 양측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상기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롤러가 안내되는 구간 중 일부분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구간이 형성된 제 1 지지 레일; 및 상기 저장실 내, 상기 제 1 서랍의 하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될 시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 1 서랍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 돌기와 대응하는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홈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서랍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이동되다가,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구간을 따라 상승되어 소정의 높이에 이르면 상기 연결 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도어의 개방이 완료되기 전에 서랍의 인출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서랍이 필요 이상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실 내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개의 서랍이 배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서랍이 일체로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입되되, 이러한 인출 또는 인입 과정이 서랍들 간의 연결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서랍들을 거치하기 위한 프레임 등의 별도의 부재가 필요치 않아, 간단한 구조로 서랍의 자동 인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베이스와 베이스 가이드의 조립도이다.
도 6은 서랍들과, 각 서랍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 1 서랍과 베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도어가 상승시작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서랍과 베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어가 분리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서랍과 베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어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서랍과 베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른 베이스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제 1 연결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제 1 연결유닛에 의해 제 1 서랍과 제 2 서랍이 연결된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것, (b)는 도어가 일정 각도 개방되어, 제 1 서랍과 제 2 서랍의 전단들이 계단형태로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어가 분리각도까지 개방되어 제 1 서랍과 제 2 서랍 간의 연결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제 2 서랍이 인입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을 시, 제 1 서랍의 인입 동작과, 그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1 연결유닛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의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 2 서랍과 제 3 서랍이 연결된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것, (b)는 도어가 일정각도 개방되어, 제 2 서랍과 제 3 서랍의 전단들이 계단형태로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어가 분리각도까지 개방된 상태가 되어 제 2 서랍과 제 3 서랍 간의 연결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제 3 서랍이 인입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을 시, 제 3 서랍의 인입 동작과, 그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2 연결유닛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1)의 도어(3a, 3b, 3c, 3d)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후/좌/우/상/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내측으로 격실(RC, FC)(또는, 저장실(S1, S2, S3, S4))이 형성된 캐비닛(10)과, 격실(RC, FC)을 여닫는 도어(3a, 3b, 3c, 3d)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는 캐비닛(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격실(RC, FC)은 식품이 출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구되며, 격실(RC, FC)의 개구된 전면이 도어(3a, 3b, 3c, 3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격실(RC, FC) 내로 냉기가 공급되며, 냉기가 격실(RC, FC)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격실(RC, FC)은 도어(3a, 3b, 3c, 3d)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격실(RC, FC)은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버틈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의 경우, 캐비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실(RC, FC)이 구비되며, 이 경우, 하측에 위치하는 격실(FC)은 내측의 온도가 섭씨 0도 이하로 유지되는 냉동실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격실(RC)은 내측의 온도가 섭씨 0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냉장실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격실”은, 필요에 따라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하지 않은 한, 냉장실 또는 냉동실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각각의 격실(RC, FC)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와 같이, 냉장실(RC)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a, 3b)가 구비되고, 냉동실(FC)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3c, 3d)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실(S1, S2, S3, S4)은 격실(RC, FC)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각각의 도어(3a, 3b, 3c, 3d)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냉장실(RC)은 개구된 전면이 좌측 냉장실 도어(3a)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1)과, 개구된 전면이 우측 냉장실 도어(3b)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필요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좌측 냉장 저장실(S1), 후자의 경우를 우측 냉장 저장실(S2)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냉동실(FC)은 개구된 전면이 좌측 냉동실 도어(3c)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3)과, 개구된 전면이 우측 냉동실 도어(3d)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필요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좌측 냉동 저장실(S3), 후자의 경우를 우측 냉동 저장실(S4)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하나의 격실 내에 횡방향으로 두 개의 저장실이 마련된 경우, 상기 두 개의 저장실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RC)은 전면에서 바라 보았을 시, 좌측 냉장 저장실(S1)과 우측 냉장 저장실(S2)을 구분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좌측 냉장 저장실(S1)과 우측 냉장 저장실(S2) 간에는 자유롭게 냉기가 순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냉동실(FC)은, 냉장실(RC)과 다르게, 좌측 냉동 저장실(S3)과 우측 냉동 저장실(S4) 사이에 수직 파티션(9)이 제공됨으로써, 양쪽 저장실(S3, S4)이 구분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수직 파티션(9)에 의해 양쪽 저장실들(S3, S4) 간의 냉기의 순환이 완전히 차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 파티션(9)에는 양쪽 저장실들(S3, S4)을 서로 연통시키는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냉동실(FC)과 같이 하나의 공간이 수직 파티션(9)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횡으로 배치된 두 개의 저장실(S3, S4)을 형성하는 경우, 각 저장실(S3, S4)의 하면은 캐비닛(10)의 내측 바닥면(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저장실(S3, S4)의 상면은 냉장실(RC)과 냉동실(FC)를 구획하는 수평 파티션(7)의 저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실(S3, S4)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2)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2)과 대향하는 수직 파티션(9)의 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냉장실(RC)이 수직 파티션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한 쌍의 저장실이 구성되는 경우, 냉장실(RC)을 구성하는 저장실(S1, S2)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2)에 의해 형성되고, 양 측면 중 다른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2)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파티션의 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저장실(S1, S2, S3, S4)에 대응하여 도어(3a, 3b, 3c, 3d)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의 배면부, 즉, 저장실(S1, S2, S3, S4)의 개구된 전면을 대향하는 부분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도어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납부는 유제품, 음료수, 야채 등 꺼내는 빈도가 잦은 식품을 수용하는 보관실(8a), 얼음을 보관하는 트레이(8b), 작게 포장된 냉동식품 등을 보관하는 바스켓(8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수납부(8a, 8b, 8c)는 적어도 일부분이 저장실(S1, S2, S3, S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격실(RC, FC) 또는 저장실(S1, S2, S3, S4)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랍(21, 22, 23)이 배치될 수 있다. 서랍(21, 22, 23)은 식품을 수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서랍(21, 22, 23)는 식품이 담기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서랍(21, 22, 23)의 양측에는 각각 롤러(61, 62, 63)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61, 62, 63)는 서랍2q1, 22, 23)으로부터 저장실(S1, S2, S3, S4)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후술하는 지지 레일(31, 32, 3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안내된다.
서랍(21, 22, 23)은 저장실(S1, S2, S3, S4) 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 우측 냉동 저장실(S4) 내에 높이를 달리하여 3 개의 서랍(21, 22, 23)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써, 후술하는 내용들은 다른 저장실(S1, S2, S3)들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명시한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베이스와 베이스 가이드의 조립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저장실(S4) 내에는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제 1 서랍(21), 제 2 서랍(22) 및 제 3 서랍(23)이 배치되고, 저장실(S4) 내에는 각각의 서랍(21, 22, 23)에 대응하여 한 쌍씩의 지지 레일(31, 32, 33)이 구비된다. 지지 레일들(31, 32, 33)은 제 1 서랍(21)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레일(31)과, 제 2 서랍(22)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지지 레일(32)과, 제 3 서랍(23)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제 3 지지 레일(3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랍(21, 22, 23)이 저장실(S4) 내에 고정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레일(31, 32, 33)에 의해 지지되며, 구체적으로는 서랍(21, 22, 23)의 양측에 구비된 롤러(61, 62, 63)들이 각각 서랍(21, 22, 23)의 양쪽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 레일(31, 32, 3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각각의 지지 레일(31, 32, 33)에는 롤러(311, 321, 331)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서랍(21, 22, 23)의 양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롤러(311, 321, 331)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리브(217, 227, 237)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311, 321, 331)는 서랍(21, 22, 23)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61, 62, 63) 보다 앞쪽에서 가이드 리브(217, 227, 237)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랍(21, 22, 23)에 구비된 롤러(61, 62, 63)가 지지레일(31, 32, 33)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 레일(31, 32, 33)에 구비된 롤러(311, 321, 331)에 의해 서랍(21, 22, 23)에 구비된 가이드 리브(217, 227, 237)가 지지됨으로써, 서랍(21, 22, 23)의 수평이 유지된다.특히, 제 1 서랍(21)과 제 3 서랍(23)의 경우, 서랍(21, 23)에 구비된 롤러(61, 63)들이 각각 제 1 지지 레일(31)과 제 3 지지 레일(33)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 후술하는 경사구간(S12, S32)을 지나면서 높이가 가변되더라도, 각 서랍(21, 23)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리브(217, 237)가 적절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 리브(217)에는 경사구간(S12)과 대응하는 경사진 부분(즉,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제 1 서랍(21)에 구비된 롤러(61)가 경사구간(S12)를 따라 상승하는 중에 가이드 리브(217)의 경사진 부분이 롤러(311)를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롤러(61)에 의해 지지되는 서랍(21)의 후방부 뿐만 아니라, 가이드 리브(311)가 지지되는 서랍(21)의 전방부도 함께 상승되고, 그로 인해 서랍(21)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 3 서랍(23)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237)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리브(217, 237)은 반드시 위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사진 부분이 없이 전구간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롤러(311, 331)는 항상 수평하게 이동되더라도, 롤러(61, 63)가 경사구간(S12, S32)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서랍(21, 23)의 적어도 일부분이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서랍(21, 23)의 부분적인 상승에 의해서도, 비록 서랍(21, 23)이 조금은 기울어지겠지만, 후술하는 서랍들(21, 22, 23)간의 연결 해제 동작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 2 지지 레일(32)은 전 구간이 수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도 6 참조), 이에 대응하여 제 2 서랍(22)에 구비된 가이드 리브(227) 역시 전구간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서랍(21, 22, 23)과 대응하는 한 쌍의 지지 레일(31, 32, 33) 중 어느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2)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12)을 대향하는 수직 파티션(9)에 고정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격실이 하나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냉장고의 경우에는 캐비닛의 양 내측면 상에 각각 지지 레일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각 서랍(21, 22, 23)에 대응하는 한 쌍의 지지 레일 중, 캐비닛(10)의 내측면(12)에 배치되는 것들 하나씩만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 레일(31, 32, 33)들은 캐비닛(10)의 내측면(12)을 대향하는 수직 파티션(9)의 일면에도 구비됨은 물론이다.
저장실(S4) 내에서, 제 1 서랍(21)의 하측에는 베이스(40)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40)는 도어(3d)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되는 것으로, 도어(3d)가 개방될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도어(3d)가 닫힐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베이스(40)는 제 1 서랍(21)의 저면을 대향하는 상면을 구성하는 플레이트(41, 도 5 참조.)와, 플레이트(41)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레그(42, 4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41)는 대략 수평한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후술하는 제 1 서랍(21)의 연결 돌기(215)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홈(45)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삽입홈(45)은 플레이트(41)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41)의 후단과 전단 중 전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그(42, 43)는 플레이트(41)의 폭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저장실(S4)의 바닥(11)에는, 저장실(S4)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 가이드(50a, 50b)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레그(42)는 수직 파티션(9)과 제 1 베이스 가이드(5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레그(43)는 캐비닛(10)의 내측면(12)과 제 2 베이스 가이드(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베이스 가이드(50a, 50b)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51)와, 가이드 본체(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5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51)에는 전후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 설치 홈(51a)이 형성되고, 롤러(52)는 롤러 설치 홈(5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롤러 설치 홈(51a)의 양 측벽(51b, 51c)을 통과하는 회전 축(5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롤러 설치 홈(51a)에 롤러(52)가 설치될 수 있으며, 롤러(52)들에 의해 플레이트(41)가 지지된다.
베이스(40)가 도어(3d)와 연동될 수 있도록 인출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출기구는 도어(3d)의 개방 각도에 따라 베이스(40)를 이동시키되, 도어(3d)가 열릴 시에는 베이스(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도어(3d)가 닫힐 시에는 베이스(4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 각도는 도어(3d)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를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며, 도어(3d)의 개방 각도가 증가될수록(즉, 도어(3d)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될수록), 베이스(40)가 전방에 위치되며, 반대로 도어(3d)의 개방 각도가 작을수록(즉, 도어(3d)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될수록), 베이스(40)는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인출기구는, 실시예와 같이, 전단부가 도어(3d)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베이스(4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72, 73은 각각 링크(70)의 전단부 회전축과 후단부 회전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링크(70)의 전단부는, 캐비닛(10)에 대한 도어(3d)의 회전축(C)과 소정 거리(r) 이격된 위치에서 도어(3d)와 결합되며, 따라서, 도어(3d)가 회전될 시, 링크(70)의 전단부 회전축(72)은 도어(3d)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하고 거리 r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후단부 회전축(73)도 변위되기 때문에, 후단부 회전축(73)과 연결된 베이스(40) 역시 이동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인출기구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motor)나 엑츄에이터(actuator) 등의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베이스(40)로 전달하여, 베이스(4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로써 회전 모터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크랭크(cran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서랍들(21, 22, 23)과, 각 서랍(21, 22, 23)을 지지하는 지지 레일들(31, 32, 33)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 1 서랍(21)과 베이스(40)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어(3d)가 열리는 과정에서, 도어(3d)가 상승시작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서랍(21)과 베이스(40)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어(3d)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서랍(21)과 베이스(4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어(3d)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서랍(21)과 베이스(4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어(3d)의 개방 각도에 따른 베이스(4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11에서 P(θi)는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링크(70)의 후단부 회전축(73)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P(θe)는 도어(3d)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후단부 회전축(73)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P(θf)는 도어(3d)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후단부 회전축(73)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이하, 이들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40)와 제 1 서랍(21)을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면, 도어(3d)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 1 서랍(21)이 베이스(4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것이다. 그런데, 베이스(40)는 도어(3d)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계속하여 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제 1 서랍(21)과 베이스(40)가 항시 연결되어 있다면, 제 1 서랍(21) 역시 도어(3d)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계속하여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 1 서랍(21)의 일부가 저장실(S4)의 전면을 넘어 캐비닛(10)의 외부까지 필요 이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3d)를 여는 경우라고 해서, 항시 제 1 서랍(21)에 식품을 담거나, 제 1 서랍(21)으로부터 식품을 꺼내기 위한 경우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어(3d)를 여는 동작은, 도어 수납부(8c)의 식품을 꺼내기 위해, 또는, 다른 서랍(22, 23)을 인출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도어(3d)가 열린다고 하더라도, 제 1 서랍(21)이 일정한 거리까지만 베이스(40)와 연동하며 전진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링크(70)에 의해 베이스(40)가 인출되어 일정한 위치에 이르면, 제 1 서랍(21)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40)와 제 1 서랍(21)이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연결수단으로써, 제 1 서랍(21) 및 베이스(4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결 돌기(215)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연결 돌기(215)와 결합되어 있다가, 제 1 서랍(21)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연결 돌기(215)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돌기 삽입홈(45)을 제안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연결 돌기(215)와 돌기 삽입홈(45)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돌기 삽입홈(45)이 플레이트(41)의 상면에 형성되고, 연결 돌기(215)가 제 1 서랍(2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었으나, 반대로, 돌기 삽입홈(45)이 제 1 서랍(21)에 형성되고, 연결 돌기(215)가 플레이트(4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 1 서랍(21)의 연결 돌기(215)는 돌기 삽입홈(45) 내에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도어(3d)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서랍(21)이 어느 위치에 있다고 하더라도, 도어(3d)가 닫히는 과정에서 연결 돌기(215)와 돌기 삽입홈(45)이 서로 결합되어 베이스(40)와 제 1 서랍(21)이 일체로 원위치로 복귀되기 때문에,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항시 연결 돌기(215)와 돌기 삽입홈(45)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 1 지지 레일(31)은, 제 1 서랍(21)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중에 롤러(61)가 일정한 구간을 지날 시, 적어도 상기 설정된 높이(ΔP, 도 9 참조.) 만큼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레일(31)은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차례로, 후방수평구간(S11), 경사구간(S12) 및 전방수평구간(S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 레일(31)은, 제 1 서랍(21)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내측으로 롤러(61)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롤러 안내홈(3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간들(S11, S12, S13)은 롤러 안내홈(310) 내에서 롤러(61)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후방수평구간(S11)과 전방수평구간(S13)에서는 롤러(61)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면이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길게 연장되고, 경사구간(S12)은 상기 상기 지지면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닫혀진 도어(3d)가 열리는 시작하면, 링크(70)에 의해 베이스(40)가 전방으로 끌려가고, 이때, 연결 돌기(215)는 돌기 삽입홈(45) 내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베이스(40)와 제 1 서랍(21)이 연동되며, 따라서, 제 1 서랍(21)의 롤러(61)가 후방수평구간(S11)을 따라 전방으로 굴러간다(도 7로부터 도 8에 이르는 과정). 이때의 서랍(21)의 높이가 도 7 내지 도 9에 P0로 표시되어 있다.
도어(3d)가 계속 회전되어, 도어(3d)의 개방각도가 일정 각도(이하, “상승시작각도”라고 함.)에 이르면, 롤러(61)가 경사구간(S12)에 진입하게 되고(도 8 참조.), 이때부터 롤러(61)가 경사구간(S12)을 따라 구르므로써, 제 1 서랍(21)의 높이가 상승하게된다. 상승시작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50도 이상의 예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d)가 더 개방되어, 제 1 서랍(21)의 롤러(61)가 경사구간(S12)을 따라 계속 굴러감으로써, 제 1 서랍(21)의 높이가 상승되면, 그에 따라 연결 돌기(215)의 높이도 상승하며, 제 1 서랍(21)이 일정한 높이(P1, 이하, “분리 높이”라고 함.)까지 상승하면, 연결 돌기(215)가 돌기 삽입홈(45)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참고로, 도면에서, “L”은 경사구간(S12)으로 진입할 시의 롤러(61)의 위치(즉, 경사구간(S12)의 후단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H”는 경사구간(S12)을 따라 최대 높이까지 상승된 롤러(61)의 위치(즉, 경사구간(S12)의 전단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연결 돌기(215)가 돌기 삽입홈(45)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 도어(3d)의 개방각도(θe, 이하, “분리각도”라고 함.)는, 바람직하게는, 90도를 넘지 않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닫혀진 도어(3d)가 분리각도(θe)만큼 개방될때까지, 롤러(61)가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d1, 도 11 참조.)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서랍(21)의 전단이 저장실(S4)의 전면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여기서, 거리 d1은, 사용자가 직접 제 1 서랍(21)을 끌어 당기지 않아도, 도어(3d) 개방시, 베이스(40)에 의해 제 1 서랍(21)이 자동으로 인출되는 거리이다.
도어(3d)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되었을 시(즉, 연결 돌기(215)와 돌기 삽입홈(45)이 서로 분리될 시), 롤러(61)는 경사구간(S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 돌기(215)와 돌기 삽입홈(45)이 서로 분리된 이후에도 도어(3d)가 계속하여 열릴 시, 베이스(40)는 더 전방으로 이동되나, 제 1 서랍(21)은 베이스(40)와의 연결이 해제되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롤러(61)가 경사구간(S12)을 따라 후방으로 일정 거리 하강하게되어, 연결 돌기(215)가 플레이트(41)의 상면과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d)가 분리각도(θe) 이상으로 개방된 상태(도 10 및 도 11의 (c) 참조.)에서 닫히게 되는 경우, 링크(70)에 의해 베이스(4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돌기 삽입홈(45)의 위치가 연결 돌기(215) 아래로 정렬되면, 연결 돌기(215)가 돌기 삽입홈(45) 내로 다시 삽입되며, 이때부터 제 1 서랍(21)은 도어(3d)가 완전히 닫힐때까지 베이스(4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전방수평구간(S13)은 경사구간(S12)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서랍(21)은, 롤러(61)가 경사구간(S12)을 지나는 과정에서, 베이스(40)와의 연결이 해제되었기 때문에, 도어(3d)가 분리각도(θe)를 넘어서 더 회전되더라도, 더 이상 이동되지 않으며, 베이스(40)만 계속하여 전진된다. 따라서, 제 1 서랍(21)를 더 인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제 1 서랍(21)을 잡아 당겨야 하며, 이 경우, 롤러(61)가 전방수평구간(S13)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 1 서랍(21)이 더 인출될 수 있다.
도 12는 제 1 연결유닛(10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제 1 연결유닛(400)에 의해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이 연결된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것, (b)는 도어(3d)가 일정 각도 개방되어,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의 전단들이 계단형태로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어(3d)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되어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 간의 연결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이 연동되는 구조를 살펴본다.
제 2 서랍(22)은 제 2 지지 레일(32)에 의해 지지 안내된다. 제 2 지지 레일(32)은 제 2 서랍(22)의 롤러(62)가 삽입되는 롤러 안내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롤러 안내홈(320)은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안내구간(S21)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안내홈(320) 내에서 롤러(63)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면은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안내구간(S21)을 포함한다. 제 1 지지 레일(31)은 경사구간(S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반해, 제 2 지지 레일(31)은, 경사구간(S12)과 대응하는 구간까지도 수평안내구간(S21)이 형성된다.
제 1 연결유닛(500)은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을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서랍(21)에 고정된 하부 연결부재(510)와, 제 2 서랍(22)에 고정된 상부 연결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랍(21)의 높이에 따라, 하부 연결부재(510)와 상부 연결부재(520)는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특히, 하부 연결부재(510)와 상부 연결부재(5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즉,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이 연동 가능한 상태)에서, 제 1 서랍(21)의 롤러(61)가 제 1 지지 레일(31)의 경사구간(S12)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 1 서랍(21)에 배치된 하부 연결부재(510)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면, 하부 연결부재(510)와 상부 연결부재(520) 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어(3d)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하부 연결부재(510)와 상부 연결부재(520)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어(3d)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될때까지는 베이스(40), 제 1 서랍(21) 및 제 2 서랍(22)이 일체로 이동된다. 그러다가, 도어(3d)의 개방각도가 분리각도(θe)에 이르면(즉, 롤러(61)가 제 1 지지 레일(31)의 경사구간(S12)을 따라 상승됨으로써, 제 1 서랍(21)에 고정된 하부 연결부재(510)가 일정 높이(ΔP, 도 9 참조.) 이상 상승되면), 하부 연결부재(510)와 상부 연결부재(520) 간의 연결(또는, 결합)이 해제되어, 이때부터는 도어(3d)가 더 개방되더라도, 제 1 서랍(21) 뿐만 아니라, 제 2 서랍(22) 역시 더 이상 전진되지 않고, 베이스(40)만 전진된다.
제 2 서랍(22)은 제 2 지지 레일(32)을 따라 수평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상부 연결부재(520)는 항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나, 제 1 서랍(21)은 경사구간(S12)에서는 상승 안내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하부 연결부재(510)도 함께 상승된다. 즉, 제 1 연결유닛(500)은, 하부 연결부재(510)가 상부 연결부재(520)와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면, 상부 연결부재(52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부 연결부재(520)는 제 2 서랍(22)의 하측에 위치하는 돌기 지지부(521)와, 돌기 지지부(52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 돌기(5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재(510)는 돌기 지지부(521)의 상측에 위치하고 연결 돌기(522)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는 돌기 삽입구(511h)가 형성된 돌기 연결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재(510)는 제 1 서랍(21)의 후면(211) 상단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512)와, 제 1 결합부(512)의 측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으로부터 돌기 연결부(511)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벽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연결부(511)는, 제 1 측벽부(513)의 상하방향 길이만큼 제 2 결합부(512)로부터 상측에 위치되어, 돌기 연결부(511)와 제 1 결합부(512) 사이에는 돌기 지지부(521)가 전후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는 홈(510h)이 형성된다.
상부 연결부재(520)는 제 2 서랍(22)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523)와, 제 2 결합부(52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돌출부(524)와, 전방 돌출부(524)로 연장되고, 하단으로부터 돌기 지지판(521)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벽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서랍(22)이 제 1 서랍(21) 보다 전후방향으로 더 긴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의 전단을 일정한 위치에 정렬하면 제 2 서랍(22)의 후단부가 제 1 서랍(21) 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구조에서, 제 2 서랍(22)의 후방부에 제 2 결합부(523)가 결합되더라도, 전방 돌출부(524)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 돌기(522)가 제 2 결합부(523)로부터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연결 돌기(522)가 제 1 서랍(21)의 후방부에 위치한 돌기 삽입구(511h)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2는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 1 연결유닛(500)을 도시한 것으로, 돌기 지지부(521)가 홈(510h) 내에 위치되고, 연결 돌기(522)가 돌기 삽입구(511h) 내로 삽입되어 있다. 돌기 삽입구(511h)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간격(즉, 돌기 삽입구(511h)의 전후 방향 길이)은, 연결 돌기(522)와 돌기 삽입구(521h)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거리(ds) 만큼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 연결 돌기(522)는 돌기 삽입구(511h)의 후단으로부터 거리 ds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돌기 삽입구(511h)의 전단과 접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3d)가 개방되면, 베이스(40)와 연동되는 제 1 서랍(21)이 전방으로 ds만큼 이동되어, 돌기 삽입구(511h)의 후단이 연결 돌기(522)와 접촉되기 전까지는 제 2 서랍(22)이 이동되지 않는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은 그 전단들이 같은 위치에 정렬되어 있으나(도 13의 (a) 참조.), 도어(3d)가 열리기 시작하여, 도어(3d)의 개방각도가 일정 각도에 이르기까지 제 1 서랍(21)만 ds만큼 인출되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랍(21)의 전단이 제 2 서랍(22) 보다 더 앞쪽의 Pi에 위치되고, 따라서, 제 1 서랍(21)의 전단이 제 2 서랍(22)의 전단보다 돌출된 계단 형태로 배치된다. 이후, 도어(3d)가 더 개방됨에 따라 서랍들(21, 22)이 계단 형태로 배치된 상태 그대로 함께 인출된다.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이 계단형태로 배치되는 구조는, 제 1 서랍(21)의 개구된 상면 중에 거리 ds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 2 서랍(22)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기 때문에, 제 1 서랍(21) 내에 담긴 식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부 연결부재(510)와 상부 연결부재(520)가 서로 결합(또는, 연결)된 상태로,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이 일체로 이동되다가, 제 1 서랍(21)이 제 1 지지 레일(31)의 경사구간(S12)에 의해 상향으로 안내되어, 일정 거리(ΔP, 도 9 참조.) 이상 상승되면, 제 1 서랍(21)에 결합된 하부 연결부재(510)의 돌기 연결부(511)가 함께 상승되어, 연결 돌기(522)가 돌기 삽입구(511h)로부터 이탈된다(도 14 참조.). 이와 같은, 연결 돌기(522)와 돌기 연결부(511) 간의 분리는, 바람직하게는, 도어(3d)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되었을 시에 이루어지며, 이때, 제 1 서랍(21)에 구비된 롤러(61)는 제 1 지지 레일(31)의 경사구간(S12)에 위치된다.
도 15는 제 2 서랍(22)이 인입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을 시, 제 1 서랍(21)의 인입 동작과, 그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1 연결유닛(100)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연결 돌기(522)는 돌기 지지부(521)와 힌지부(526)에 의해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돌기(522)의 피봇 동작은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힌지부(526)는 연결 돌기(522)의 피봇 동작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a)는, 제 2 서랍(22)이 제 1 서랍(21)과 분리(즉, 연결 돌기(522)가 돌기 삽입구(511h)으로부터 이탈)된 이후, 제 2 서랍(22)이 사용자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 넣어져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도어(3d)가 다시 닫히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서랍(21)은 베이스(4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제 1 서랍(21)이 제 1 지지 레일(31)의 경사구간(S12)에 의해 하강 안내됨으로써, 돌기 연결부(511) 역시 하강하게 된다. 도어(3d)가 계속하여 닫히는 회전을 하여, 제 1 서랍(21)과 제 1 지지 레일(31)의 후방 안내구간(S11)을 따라 안내되면, 이 과정에서, 돌기 연결부(511)의 후단이 연결 돌기(522)와 접촉되고(도 15의 (b) 참조.), 돌기 연결부(511)의 후단이 미는 힘에 의해 연결 돌기(522)가 후방으로 회전된다(도 15(c) 참조.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회전). 제 1 서랍(21)이 계속하여 후방으로 진행하여 돌기 연결부(511)와 연결 돌기(522)간의 접촉이 해제되고, 돌기 삽입구(511h)가 연결 돌기(522) 상측의 적절한 위치에 이르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 돌기(522)가 원 위치로 복귀되어, 돌기 삽입구(511h) 내로 삽입된다 (도 15의 (d) 참조.).
돌기 연결부(511)의 후단과 연결 돌기(522)가 접촉되는 위치(예를 들어, 제 2 서랍(22)의 롤러(62)가 제 2 지지 레일(32)의 수평안내구간(S21)의 종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경우)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계수에 따라서는, 연결 돌기(522)가 돌기 연결부(511)의 후단과 접촉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 2 서랍(22)이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서랍(22)은 롤러(62)가 제 2 지지 레일(32)의 수평 안내구간(S21)의 종단에 이르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위치가 구속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3d)가 계속하여 닫히게 되면, 결국 연결 돌기(522)가 돌기 연결부(511)의 미는 힘을 버티지 못하고 후방으로 회전되어, 돌기 삽입구(511h) 내로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어(3d)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연결 돌기(522)는 항시 돌기 삽입구(511h)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어(3d)가 개방됨에 따라, 제 1 서랍(21)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돌기 삽입구(511h)의 후단이 연결 돌기(522)를 전방으로 밀어줄 시에는, 연결 돌기(522)가 돌기 삽입구(511)의 후단이 미는 힘을 버텨서 회전되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힌지부(526)가 설계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힌지부(526)는,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돌기(522)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것은 허용하나, 연결 돌기(522)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도 15의 (d))에서는 전방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기 전방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기는 하되, 이러한 전방으로의 회전을 위해서는 후방으로 회전시킬 때보다 더 큰 충분한 힘이 가해져야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의 (a)는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 2 서랍(22)과 제 3 서랍(23)이 연결된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것, (b)는 도어(3d)가 일정각도 개방되어, 제 2 서랍(22)과 제 3 서랍(23)의 전단들이 계단형태로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어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된 상태가 되어 제 2 서랍(22)과 제 3 서랍(23) 간의 연결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 3 지지 레일(33)에는, 제 1 지지 레일(31)과 마찬가지로, 후방수평구간(S31), 경사구간(S32) 및 전방수평구간(S33)으로 구성된 롤러 안내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결유닛(600)은 제 2 서랍(22)과 제 3 서랍(23)을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2 서랍(22)에 고정된 하부 연결부재(610)와, 제 3 서랍(23)에 고정된 상부 연결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서랍(23)의 높이에 따라, 하부 연결부재(610)와 상부 연결부재(620)는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특히, 하부 연결부재(610)와 상부 연결부재(6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즉, 제 2 서랍(22)과 제 3 서랍(23)이 연동 가능한 상태)에서, 제 3 서랍(23)의 롤러(63)가 제 3 지지 레일(33)의 경사구간(S32)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 3 서랍(23)에 배치된 상부 연결부재(520)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면, 하부 연결부재(510)와 상부 연결부재(520) 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어(3d)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하부 연결부재(610)와 상부 연결부재(620)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도 16의 (a) 참조.), 따라서, 도어(3d)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될때까지 베이스(40), 제 1 서랍(21), 제 2 서랍(22) 및 제 3 서랍(23)이 일체로 이동된다. 베이스(40), 제 1 서랍(21) 및 제 2 서랍(22)이 연동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하였는 바, 이하, 제 2 서랍(22)과 제 3 서랍(23)이 연동되는 구조를 위주로 설명한다.
닫혀져 있던 도어(3d)가 분리각도(θe)까지 개방되면(즉, 롤러(63)가 제 3 지지 레일(33)의 경사구간(S32)을 따라 상승됨으로써, 제 3 서랍(23)에 고정된 상부 연결부재(620)가 일정 높이(ΔP) 이상 상승되면), 하부 연결부재(610)와 상부 연결부재(620) 간의 연결(또는, 결합)이 해제되어, 이때부터는 도어(3d)가 더 개방되더라도, 제 3 서랍(23)은 전진되지 않는다.
제 2 서랍(22)은 제 2 지지 레일(32)을 따라 수평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하부 연결부재(610)는 항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나, 제 3 서랍(23)은 경사구간(S32)에서는 상승 안내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상부 연결부재(620)도 함께 상승된다. 즉, 제 2 연결유닛(600)은, 상부 연결부재(620)가 하부 연결부재(610)와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면, 하부 연결부재(61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부 연결부재(620)는 제 3 서랍(23)의 저면에 결합되는 결합 마운트(621)와, 결합 마운트(6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연결 돌기(6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재(610)는 제 2 서랍(22)의 후면과 결합되고, 결합 마운트(621)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재(61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개구된 돌기 삽입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 연결 돌기(622)는 돌기 삽입홈(611)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 3 서랍(23)의 롤러(63)는 후방수평구간(S31) 내에 위치된다.
도어(3d)가 닫혀진 상태에서, 연결 돌기(622)는 돌기 삽입홈(611)의 후단으로부터 거리 ds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돌기 삽입홈(611)의 전단과 접해 있다 (도 16의 (a) 참조.). 이 상태에서, 도어(3d)가 개방되고, 제 2 서랍(22)이 이동되면, 돌기 삽입홈(611)의 후단이 거리 ds 만큼 전진되어 연결 돌기(622)와 접촉되기 전까지는 제 3 서랍(23)이 이동되지 않는다. 즉, 제 1 서랍(21)과 제 2 서랍(22)이 계단형태로 배치된 상태로 인출되는 것과 유사하게, 제 2 서랍(22)과 제 3 서랍(23)도 계단형태로 배치된 상태로 인출될 수 있다 (도 16의 (b)참조.).
도 17을 참조하면, 하부 연결부재(610)와 상부 연결부재(6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제 2 서랍(22)과 제 3 서랍(23)이 일체로 이동되다가, 제 3 서랍(23)이 제 3 지지 레일(33)의 경사구간(S32)에 의해 상향으로 안내되어, 일정 거리 이상 상승되면, 제 3 서랍(23)에 결합된 상부 연결부재(620)가 함께 상승되어, 연결 돌기(622)가 돌기 삽입홈(61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은, 연결 돌기(622)와 돌기 삽입홈(611) 간의 분리는, 바람직하게는, 도어(3d)가 개방각도가 분리각도(θe)에 도달하였을 때 이루어지며, 이때, 제 3 서랍(23)의 롤러(63)는 제 3 지지 레일(33)의 경사구간(S32)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연결 돌기(622)는 제 1 연결유닛(500)의 연결 돌기(522)와 유사하게 전후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돌기(622)의 피봇 동작은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상부 연결부재(620)는, 연결 돌기(622)를 결합 마운트(621)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625)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625)는 제 1 연결유닛(500)의 힌지부(526)와 마찬가지로, 연결 돌기(622)의 피봇 동작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8의 (a)는, 제 3 서랍(23)이 사용자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 넣어져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도어(3d)를 닫으므로써, 베이스(40), 제 1 서랍(21)과 함께 제 2 서랍(32)이 후방으로 인입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제 3 서랍(23)의 롤러(63)는 제 3 지지 레일(33)의 하부수평구간(S31)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서랍(22)이 제 1 서랍(21)과 연결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닫혀져 있던 도어(3d)를 완전히 개방시키면, 제 1 서랍(21)의 연결 돌기(215)와 베이스(40) 돌기 삽입홈(45)은 서로 분리된 상태이고, 제 1 연결유닛(500)의 하부 연결부재(510)와 상부 연결부재(520)도 서로 분리된 상태이나, 도어(3d)를 다시 닫으면, 링크(70)에 의해 베이스(4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 1 서랍(21)의 연결 돌기(215)가 베이스(40)의 돌기 삽입홈(45) 내에 삽입되어, 베이스(40)와 제 1 서랍(21)이 연동될 뿐만 아니라, 제 1 서랍(22)의 롤러(61)가 제 1 지지 레일(31)의 경사구간(S12)을 따라 하강됨으로써, 제 1 연결유닛(500)의 상부 연결부재(520)와 하부 연결부재(510)도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도어(3d)가 닫히는 과정에서 제 2 서랍(22)이 제 1 서랍(21)과 연동되는 과정에서, 제 2 연결유닛(600)의 하부 연결부재(610)가 연결 돌기(622)와 접촉되고(이때, 제 3 서랍(23)의 롤러(63)는 후방수평구간(S3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서랍(22)이 제 2 지지 레일(32)을 따라 후방으로 더 이동되면, 하부 연결부재(610)가 미는 힘에 의해 연결 돌기(622)가 후방으로 회전된다 (도 18a 참조, 도면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 회전). 제 2 서랍(22)이 계속하여 후방으로 진행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 돌기(622)가 원 위치로 복귀되어, 돌기 삽입홈(611) 내로 삽입된다. (도 18의 (b) 참조.)
바람직하게는, 도어(3d)가 개방됨에 따라, 제 2 서랍(22)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돌기 삽입홈(611)의 후단이 연결 돌기(622)를 전방으로 밀어줄 시에는, 연결 돌기(622)가 돌기 삽입홈(611)의 후단이 미는 힘을 버텨서 회전되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힌지부(625)가 설계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힌지부(625)는,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돌기(522)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것은 허용하나, 연결 돌기(522)가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도 18의 (b))에서는 전방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기 전방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기는 하되, 이러한 전방으로의 회전을 위해서는 후방으로 회전시킬 때보다 더 큰 충분한 힘이 가해져야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1)

  1.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실과 전방에 식품의 출입이 가능한 개구를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실 내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제1 서랍;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움직임에 연계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시 상기 개구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후방으로 이동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제1 서랍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결 돌기; 및
    상기 연결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제1 서랍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돌기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에 따라, 상기 베이스가 상기 개구를 향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에는,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 홈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서랍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개구를 향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더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연결 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랍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제1 서랍의 양측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상기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 지지 레일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레일은,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서랍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서랍이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이 서로 분리되는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면 상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향으로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레일은,
    상기 경사구간의 최저점에서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후방수평구간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레일은,
    상기 경사 구간의 최고점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전방수평구간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대향하는 상기 서랍의 저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돌기 삽입홈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 및 상기 서랍의 저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냉장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경사구간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 간에 분리가 이루어질 시, 상기 서랍의 전단은 상기 저장실 내에 위치하는 냉장고.
  8. 제3 항에 있어서,
    식품이 담기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서랍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서랍;
    상기 제2 서랍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제2 서랍의 양측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2 서랍에 구비된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 지지 레일; 및
    상기 서랍과 상기 제2 서랍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서랍에 구비된 롤러가 상기 제1 지지 레일의 경사구간을 따라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면, 상기 서랍과 상기 제2 서랍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1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닛은,
    상기 서랍에 구비되는 하부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서랍에 구비되는 상부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서랍과 상기 제2 서랍 간의 연결은 상기 하부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부재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연결부재는,
    상기 서랍과 일체로 상승되어, 상기 하부 연결부재와 분리되는 냉장고.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서랍의 하측에 위치하는 돌기 지지부;
    상기 돌기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부재에는,
    상기 돌기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연결부재의 연결 돌기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는 돌기 삽입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에 구비된 롤러가 상기 제1 지지 레일의 경사구간을 따라 상승될 시, 상기 하부 연결부재가 함께 상승됨으로써, 상기 하부 연결부재의 돌기 삽입구가 상승되어, 상기 돌기 삽입구로부터 상기 상부 연결부재의 연결 돌기가 분리되는 냉장고.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부재는,
    상기 상부 연결부재의 연결 돌기가 상기 돌기 지지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연결부재의 연결 돌기는 상기 돌기 삽입구 내에 위치하는 냉장고.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연결부재의 연결 돌기는 상기 돌기 삽입구의 후단과 이격되는 냉장고.
  15. 제8 항에 있어서,
    식품이 담기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제2 서랍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서랍;
    상기 제3 서랍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
    상기 저장실 내에서 상기 제3 서랍의 양측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제3 서랍에 구비된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3 지지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 레일은,
    상기 제3 서랍의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면 상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연장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랍과 상기 제3 서랍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제3 서랍에 구비된 롤러가 상기 제3 지지 레일의 경사구간을 따라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면, 상기 제2 서랍과 상기 제3 서랍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제2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계되어, 상기 도어 개방 시 상기 베이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상기 베이스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인출기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구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분리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연결 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냉장고.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각도는, 90도 미만인 냉장고.
  20. 제1 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 서랍이 일체로 원위치로 복귀되는 냉장고.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개구를 통과하기 전, 상기 연결 돌기와 상기 돌기 삽입홈이 분리되어 정지되는 냉장고.
KR1020220083793A 2016-02-05 2022-07-07 냉장고 KR10244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793A KR102440261B1 (ko) 2016-02-05 2022-07-0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032A KR102423614B1 (ko) 2016-02-05 2016-02-05 냉장고
KR1020220083793A KR102440261B1 (ko) 2016-02-05 2022-07-07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032A Division KR102423614B1 (ko) 2016-02-05 2016-02-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566A KR20220100566A (ko) 2022-07-15
KR102440261B1 true KR102440261B1 (ko) 2022-09-02

Family

ID=594975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032A KR102423614B1 (ko) 2016-02-05 2016-02-05 냉장고
KR1020220083793A KR102440261B1 (ko) 2016-02-05 2022-07-07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032A KR102423614B1 (ko) 2016-02-05 2016-02-05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7371B2 (ko)
KR (2) KR102423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9631B1 (en) 2014-10-31 2022-10-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59037B1 (ko) * 2015-02-13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08698B1 (ko) * 2015-02-1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2387B1 (ko) * 2016-02-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7530B1 (ko) * 2016-04-15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7124269A1 (de) * 2017-10-18 2019-04-18 Paul Hettich Gmbh & Co. Kg Vorrichtung zur Lagerung von Gegenständen und Verfahren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solchen Vorrichtung
US10655903B2 (en) * 2018-09-20 2020-05-19 Ernest Walls, JR. Front opening freezer chest
KR102614492B1 (ko) * 2018-12-21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62039B1 (ko) * 2021-08-17 2024-04-2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물재배장치
DE102022102063A1 (de) 2021-12-21 2023-06-22 Liebherr-Hausgeräte Marica EOOD Kühl- und/oder Gefriergerä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9171A (en) * 1928-12-26 1933-02-28 Virgil P Warren Refrigerator construction
US2966388A (en) * 1958-02-21 1960-12-27 Chamberlain Corp Roll out shelf structure
US3643464A (en) * 1970-06-29 1972-02-22 Gen Electric External ice service
US4087140A (en) * 1977-04-14 1978-05-02 Whirlpool Corporation Magnetic latch - movable ice receptacle
TR199501601A2 (tr) * 1994-12-19 1996-07-21 Bosch Siemens Hausgeraete Sogutucu.
DE4445319A1 (de) * 1994-12-19 1996-06-20 Bosch Siemens Hausgeraete Möbel insb. Haushaltsmöbel
JPH0989439A (ja) * 1995-09-20 1997-04-04 Toshiba Corp 冷蔵庫
JPH1163806A (ja) * 1997-08-20 1999-03-05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CA2492347A1 (en) * 2004-01-16 2005-07-16 Maytag Corporation Versatile refrigerator crisper system
KR100566617B1 (ko) * 2004-03-24 2006-03-31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도어 열림 구조
KR100705090B1 (ko) * 2004-09-22 200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분리형 이중서랍
KR100564412B1 (ko) * 2004-11-19 2006-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서랍 승강장치
US7380410B2 (en) * 2005-03-31 2008-06-03 U-Line Corporation Pull-out access cooler unit
KR100946784B1 (ko) * 2007-09-11 2010-03-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부 및 이를 이용한 서랍식 냉장고
KR101432304B1 (ko) * 2008-02-21 2014-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JP2010269113A (ja) * 2009-02-10 2010-12-02 Nifco Inc 引出しのガイド機構
DE102009000855A1 (de) * 2009-02-13 2010-08-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410460B1 (ko) * 2009-07-02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1757828B1 (ko) * 2010-09-09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형 도어의 가이드 레일 장착 구조
JP5246315B2 (ja) * 2011-03-02 2013-07-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KR101880098B1 (ko) * 2011-10-13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8022B1 (ko) * 2013-04-05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01619B1 (ko) * 2014-05-21 202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721882B1 (ko) * 2014-08-12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50543B1 (ko) * 2016-01-0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0262B1 (ko) * 2016-02-05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27280A1 (en) 2017-08-10
US9897371B2 (en) 2018-02-20
KR20170093521A (ko) 2017-08-16
KR102423614B1 (ko) 2022-07-20
KR20220100566A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0261B1 (ko) 냉장고
US11408668B2 (en) Refrigerator
KR102186243B1 (ko) 냉장고
US9464841B2 (en) Refrigerator
KR102423571B1 (ko) 냉장고
KR102472387B1 (ko) 냉장고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440262B1 (ko) 냉장고
EP2256444B1 (en) Refrigerator with height-adjustable receiving apparatus
US11920859B2 (en) Refrigerator
KR2014011997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