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09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099A
KR20160100099A KR1020150022648A KR20150022648A KR20160100099A KR 20160100099 A KR20160100099 A KR 20160100099A KR 1020150022648 A KR1020150022648 A KR 1020150022648A KR 20150022648 A KR20150022648 A KR 20150022648A KR 20160100099 A KR20160100099 A KR 20160100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link
door
storage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942B1 (ko
Inventor
한탁원
박민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942B1/ko
Priority to PCT/KR2016/001446 priority patent/WO2016129956A1/en
Priority to EP16749496.2A priority patent/EP3256800A4/en
Priority to CN201680015676.5A priority patent/CN107454934B/zh
Priority to JP2017542428A priority patent/JP6496419B2/ja
Priority to US15/550,691 priority patent/US10634422B2/en
Publication of KR2016010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는 수납 박스;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납 박스 이동 유닛; 및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이동하도록 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전단부가 상기 제 1 링크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및 전단부가 상기 제 2 링크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에 연결되는 제 3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한 시점부터 상기 수납 박스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와 상기 제 3 링크는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상태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고 있고,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도 홈바,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도어를 닫았을 때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에 장착되는 선반이나 수납 박스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장착된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섭되는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 즉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 또는 수납 박스의 전단부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후퇴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이나 수납 박스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저장실 안쪽으로 손을 깊숙히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저장실의 안쪽 후방에 저장된 음식물은 사용자가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형 냉장고에서는 더 크게 나타난다. 즉, 대형 냉장고의 경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전후 방향 깊이가 크기 때문에, 선반의 후단부 쪽에 깊숙히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은 사용자가 쉽게 인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0357호(2010년12월13일)의 경우,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이나 수납 박스가 L자 형태의 수납 프레임에 놓이고, 상기 수납 프레임은 다관절 링크에 의하여 냉장고 도어의 저면에 연결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를 회전시켜서 개방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반과 수납 박스가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의 경우, 상기 선반과 수납 박스의 하중이 모두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은, 상기 선반과 수납 박스의 하중 및 상기 선반과 수납 박스에 수납된 음식물의 하중을 모두 지지하는 구조이다.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냉장고 도어를 여는데 상당히 큰 힘이 들기 때문에, 노약자나 부녀자 또는 어린이들에게는 냉장고 도어를 여는 동작이 매우 힘들게 느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반과 수납 박스의 자동 인출 기능을 원하지 않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납 박스의 인출 속도를 제한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종래의 수납 박스 자동 인출 구조에 의하면, 도어를 설정 각도 이상 개방한 시점부터 수납 박스가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는 수납 박스;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납 박스 이동 유닛; 및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이동하도록 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전단부가 상기 제 1 링크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및 전단부가 상기 제 2 링크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에 연결되는 제 3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한 시점부터 상기 수납 박스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와 상기 제 3 링크는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는 수납 박스;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납 박스 이동 유닛;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이동하도록 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후단부 상면에 돌출되는 체결 돌기;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바닥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되는 힌지 이동홀; 상기 힌지 이동홀의 일부를 덮어서 상기 체결 돌기의 전후 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납 박스는 냉장고 캐비닛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인출 장치는 링크에 의하여 도어에 연결되므로, 수납 박스의 하중으로 인하여 도어 개방이 힘들어지는 단점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인출 장치도 수납 박스와 마찬가지로 냉장고 캐비닛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냉장고 도어를 개방할 때 인출 장치의 하중이 링크로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수납 박스의 자동 인출 기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인출 장치와 도어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가 다관절 링크로 이루어짐으로써,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 개방된 이후부터 수납 박스의 인출이 시작되므로, 수납 박스의 인출 속도를 적절히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수납 박스의 인출이 도어의 개방 시점보다 늦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가스켓이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시점에서는 수납 박스가 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스켓 분리에 필요한 힘과 수납 박스 인출에 필요한 힘이 분산되며, 그 결과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수납 박스를 인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인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수납 박스 인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납 박스 인출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랍 인출입을 위한 레일 어셈블리와 오토 클로징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오토 클로징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선택적 인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선택적 인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IX-I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어의 회전량에 따른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인출 거리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및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인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수납 박스 인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수납 박스 인출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2)와, 상기 도어(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실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저장실로 인입되는 인출 장치(20) 및 상기 인출 장치(20)와 함께 인출되는 다수의 수납 박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01)과 냉동실(102,10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장실(101)은 상기 냉동실(102,103)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01)과 냉동실(102,103)은 멀리언(111,112)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멀리언(111,112)은 수평 멀리언(111)과 수직 멀리언(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박스(13)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고, 일례로서 최상측의 제 1 수납 박스(131)와, 상기 제 1 수납 박스(131)의 하측에 놓이는 제 2 수납 박스(132) 및 최하측에 놓이는 제 3 수납 박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수납 박스(131,132,133)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은 후면보다 낮게 설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식물을 확인하고 인출입할 수 있다. 그리고, 최하측의 제 3 수납 박스(133)의 전면부는 후면부와 높이가 동일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 3 수납 박스(133)를 열기 위하여 허리를 숙이는 정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저장실의 측면벽 및/또는 상기 수직 멀리언(112)에는 레일 가이드(114)와 서포터 가이드(11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이 수직 멀리언(112)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경우, 상기 레일 가이드(114)와 상기 서포터 가이드(113)는 상기 수직 멀리언(112)의 좌측 면 및 우측 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박스들 각각의 양 측면에는 레일 어셈블리(40)가 장착되기 위한 레일 장착부(14)가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레일 어셈블리(40)에 의하여 상기 수납 박스(13)의 측면과 상기 레일 가이드(114)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수납 박스(13)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출 장치(20)는 상기 서포터 가이드(11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 장치(20)는, 최하측의 수납 박스(133)를 지지하는 로어 서포터(22)와, 상기 로어 서포터(22)와 상기 도어(12)의 저면을 연결하는 링크 부재(21)와,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23)과, 상기 한 쌍의 지 프레임(23)을 연결하는 지지 바(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바(24)가 없어도 상기 인출 장치(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 프레임(23)이 상기 수납 박스(13)의 후면을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 바(24)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세히, 상기 링크 부재(21)의 후단은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바닥부에 연결되는 서포터 연결단(211)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전단은 상기 도어(12)에 연결되는 도어 연결단(212)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부재(21)는 다수회 절곡 및 라운드지게 설계되어, 상기 도어(12)를 개방할 때 상기 링크 부재(21)가 상기 도어(12)의 저면이나 상기 도어(12)의 회전축 등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부재(21)의 전단부, 즉 상기 도어 연결단(212)은 상기 도어(12)의 최하단에 연결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의 도어 라이너 저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부재(21)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 전방에는 차폐 커버(15)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부재(21)는 상기 차폐 커버(15)의 하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링크 부재(2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부재(21)의 전단부는 상기 도어(12)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 부재(21)의 인출 거리는 상기 도어(12)의 회전축과 링크 부재(21)의 전단부 간의 거리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 부재(21)의 전단부의 회전 반경이 커지면 상기 링크 부재(21)의 인출 거리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서포터(22)는, 바닥판과 양 측면판 및 배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바닥판 저면 일측에는 링크 연결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부재(21)의 서포터 연결단(211)이 상기 링크 연결부(2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양 측면판에는 다수의 롤러들(221)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가이드(113)에는 상기 롤러들(22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양 측면판은 상기 롤러들(221)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서포터 가이드(113)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3 수납 박스(133)는 상기 로어 서포터(22)에 안착되고, 상기 제 3 수납 박스(133)의 후면은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배면판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판의 전면에는 완충 부재(25)가 장착되어, 상기 제 3 수납 박스(133)의 후면이 상기 배면판에 밀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수납 박스(133)의 양 측면부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의 측면벽과 상기 수직 멀리언(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수납 박스(133)의 하중은 상기 저장실의 측면벽과 상기 수직 멀리언(112)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상기 제 3 수납 박스(133)가 반드시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바닥판에 안착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벽과 상기 수직 멀리언(112)에는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3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배면판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3)이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3)은 상기 로어 서포터(22)와 한 몸으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되어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로어 서포터(2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3)의 폭은 상기 수납 박스(13)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 박스(13)를 밀어낼 수 있도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23)은 반드시 두 개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즉, 단일의 지지 프레임(23)이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배면판 중앙에 제공되어도 상기 수납 박스(12)를 밀어내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바(24)는 상기 수납 박스(1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 박스(13)의 배면을 가압하도록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바(24)는 상기 수납 박스(13)의 배면과 양 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고, 상기 지지바(24)의 양 단부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벽과 상기 수직 멀리언(1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바(24)의 양 단부는 전방으로 절곡되고, 외측면에 슬라이 부재(116)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측면벽과 상기 수직 멀리언(112)에는 인출 가이드(115)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116)가 상기 인출 가이드(115)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 가이드(115)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인출 장치(20)의 인출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 가이드(115)와 슬라이드 부재(116) 구조에 의하여 상기 지지바(24)의 양 단부가 고내 측벽에 지지됨으로써, 인출 장치(20)의 하중이 캐비닛(11)에 의하여 분산 지지되는 효과 외에, 수납 박스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인출 장치(20)의 후단부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 가이드(115)에 의하여 상기 지지 바(24)의 좌우 단부가 고내 측벽에 지지되지 않으면, 도어(1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수납 박스(13) 및 수납 박스(13)에 수납된 음식물의 하중에 의하여 인출 장치(20)의 후단부가 뒤로 밀리면서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맨 위쪽에 있는 수납 박스(131)가 제대로 인출되지 못하거나 덜 인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4)들이 저장실 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인출 장치(20)의 하중이 여러 지점에서 상기 캐비닛(11)으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바닥부에 레일 어셈블리가 제공되는 구조에 비하여, 상기 도어(12)를 회전하는데 드는 힘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실의 바닥이 인출 장치(20)의 하중에 의하여 가라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24)들의 전면에도 완충 부재(25)가 설치되어, 상기 서랍(13)의 후면이 상기 지지바(24)에 부딪혀서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랍 인출입을 위한 레일 어셈블리와 오토 클로징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오토 클로징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서랍(13)이 저장실로부터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하는 부재로서,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 고정 장착된 상기 레일 가이드(114)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레일 가이드(114)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41)과, 상기 고정 레일(4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레일(42)과, 상기 이동 레일(42)과 상기 수납 박스(13)의 레일 장착부(14)를 연결하는 박스 장착 브라켓(43) 및 상기 박스 장착 브라켓(43)에 구비되는 걸이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42)이 베어링 부재에 의하여 상기 고정 레일(4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종래의 다단 인출 레일 어셈블리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의 레일 어셈블리 구조와 차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40)의 특징은, 상기 이동 레일(42)에 별도의 박스 장착 브라켓(43)이 구비된다는 것과, 상기 박스 장착 브라켓(43)에 걸이부(44)가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44)와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30)이 연동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부(44)는, 상기 박스 장착 브라켓(43)의 일 지점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후 수평하게 절곡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하게 절곡되는 부분이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30)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걸이부(44)의 형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30)은,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를 덮는 커버(미도시)와, 상기 케이스(31) 내부에 제공되는 스프링(32)과, 상기 스프링(32)의 단부에 연결되는 스토퍼 어셈블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4)는 상기 스토퍼 어셈블리(33)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31)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 어셈블리(33)의 전후 방향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2)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31)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기 스토퍼 어셈블리(33)는 상기 스프링(32)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2)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용수철 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인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링크 부재(21)에 연결된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상기 냉동실(102) 내부로 완전히 후퇴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냉동실(102)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2)를 회전시키면, 상기 링크 부재(21)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링크 부재(21)에 연결된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23)과 지지바(24)가 한 몸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수납 박스(13)을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또한, 상기 도어(12)가 설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수납 박스(13)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2)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후퇴한다. 이때,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3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수납 박스(13)도 상기 로어 서포터(22)와 함께 후퇴한다. 여기서, 상기 로어 서포터(22)와, 지지 프레임(23) 및 상기 지지바(24)를 수납 박스 이동 유닛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2)를 열 때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자동으로 인출되면서 수납 박스(13)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도어(12)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연결 관계를 해제시킬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인출 여부를 사용자가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선택적 인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선택적 인출 메카니즘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바닥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바닥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홀 형태의 링크 연결부(222)와, 상기 링크 연결부(222)에 안착되는 커버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링크 연결부(222)는, 상기 커버 부재(50)가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바닥부에서 단차지는 커버 안착단(225)과, 상기 커버 안착단(225)의 내측에 타원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힌지 이동홀(22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부재(21)의 후단부, 즉 서포터 연결단(211)에는 상기 힌지 이동홀(226)에 끼워지는 체결 돌기(213)가 돌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링크 부재(21)의 전단부에 프런트 힌지(미도시)가 돌출되어 상기 도어(12)의 저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안착단(225)은 상기 커버 부재(50)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부재(50)의 상면과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바닥부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안착단(225)과 상기 힌지 이동홀(226)의 전후 단부는 상기 체결 돌기(213)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 돌기(213)가 상기 힌지 이동홀(226)과 상기 커버 안착단(225)의 후단에 밀착되고, 상기 수납 박스(13)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돌기(213)가 상기 힌지 이동홀(226)과 상기 커버 안착단(225)의 전단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50)의 전단부는 상기 커버 안착단(225)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체결 돌기(2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 돌기(213)가 상기 커버 안착단(225)의 후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50)를 상기 커버 안착단(225)에 결합하면, 상기 체결 돌기(213)는 상기 커버 부재(50)의 후단과 상기 커버 안착단(225)의 후단에 의하여 둘러싸여서, 전후 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수납 박스 자동 인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12)를 개방하고,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을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 돌기(213)는 상기 힌지 이동홀(226)에 항상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돌기(213)가 상기 힌지 이동홀(226)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도어(12)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링크 부재(21)의 후단부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50)를 상기 커버 안착단(225)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체결 돌기(213)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도어(1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함께 후퇴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수납 박스의 자동 인출 기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 부재(50)가 상기 커버 안착단(2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2)를 개방하여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 부재(50)를 상기 커버 안착단(225)으로부터 탈거시킨다. 그러면, 상기 체결 돌기(213)는 상기 힌지 이동홀(226) 내에서 자유로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체결 돌기(213)가 상기 힌지 이동홀(226)의 후단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도어(12)를 역회전시키면,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함께 후퇴하고, 상기 도어(12)를 완전히 닫으면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최대한 고내에 인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하여 정회전시키면,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체결 돌기(213)만이 상기 힌지 이동홀(226)을 따라 전진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가 최대로 개방되어도 상기 체결 돌기(213)가 상기 힌지 이동홀(226)의 전단부보다 더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선택적 인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선택적 인출 메카니즘은, 탈부착되는 커버 부재(50)와 달리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바닥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물론, 상기 커버 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 및 탈부착 가능한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의 선택적 인출 메카니즘은, 커버 부재(50)와, 커버 안착단(225) 및 힌지 이동홀(226)의 형상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커버 부재(5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51)가 돌출 형성되는 것과, 상기 커버 안착단(225)의 측방에 커버 수용홈(227)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커버 수용홈(227)에 상기 가이드 돌기(51)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릿(228)이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 수용홈(227)의 가로 방향 폭은 적어도 상기 커버 부재(5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 수용홈(227)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커버 부재(50)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수용홈(227)은 바닥부가 수평하게 단차지고, 상기 커버 부재(50)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단차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버 부재(50)를 상기 커버 안착단(225)에 결합시키면, 상기 커버 부재(50)의 상면과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바닥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가이드 돌기(51)가 상기 가이드 슬릿(228)의 입구단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슬릿(228)의 좌측단이 입구단이 되며 상기 힌지 이동홀(226)과 연통한다.
상기 커버 안착단(225)에 상기 커버 부재(5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 돌기(213)는 상기 힌지 이동홀(226)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즉, 수납 박스의 자동 인출 기능이 설정된 상태이다.
그러나, 수납 박스의 자동 인출 기능을 해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 부재(50)를 우측으로 밀어서 상기 커버 안착단(225)이 개방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커버 부재(50)를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 돌기(51)가 상기 가이드 슬릿(228)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51)가 상기 가이드 슬릿(228)의 우측 단부에 도달하면, 상기 커버 부재(50)의 우측 면이 상기 커버 수용홈(227)의 우측 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12)를 개방을 위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 돌기(213)가 상기 힌지 이동홀(226)을 따라 전전하게 되고,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과 상기 도어(12)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60)가 다관절 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링크 부재(60)가 단일 링크 구조일 경우에는, 상기 도어(12)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다관절 링크 구조일 경우에는 상기 도어(12)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한 이후부터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도어(12)의 회전이 시작되는 시점, 즉 도어(12)의 배면에 둘러진 가스켓이 캐비닛(11)의 전면에 밀착된 시점에서 상기 가스켓이 캐비닛(11)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는, 가스켓의 내부에 장착된 자석과 캐비닛 간의 자력을 극복하기 위한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상기 도어(12)에 작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일단 상기 가스켓이 상기 캐비닛(11)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힘으로 도어(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2)가 캐비닛(11)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요구되지 않고, 상기 도어(12)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된 이후부터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데 힘이 요구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링크 부재(50)가 다관절 링크로 이루어지면, 상기 도어(12)의 회전 시작 시점으로부터 약간의 딜레이 타임(delay time)이 경과된 이후부터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움직이기 시작하므로, 사용자가 단일 링크 부재가 적용된 인출 장치(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수납 박스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링크 형태의 링크 부재(60)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12)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1 링크(61)와, 상기 제 1 링크(61)의 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62)와, 상기 제 2 링크(6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 3 링크(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링크(63)의 후단부 상면에 체결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저면에 형성된 홀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61)의 후단부와 상기 제 3 링크(63)의 전단부는 모두 상기 제 2 링크(62)의 상면에 결합되어, 링크 연결 부위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 1 링크(61)의 후단부는 상기 제 2 링크(62)의 상면에 놓이고, 상기 제 3 링크(63)의 전단부는 상기 제 2 링크(62)의 하면에 놓여서 계단 형태로 결합될 경우, 링크 연결부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링크와 로어 서포(22)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제 1 링크(61)는 나머지 링크들(62,63)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링크(62,6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로어 서포터(22)의 인출 시작 시점은 상기 링크들(61,62,63)의 개수, 상기 링크들 각각의 기하학적 형상 및 길이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어의 회전량에 따른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인출 거리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및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우측의 그래프에서, L1은 수납 박스 이동 거리 곡선을 의미하고, L2는 도어 회전량 곡선을 의미한다.
좌측의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도어(12)가 닫힌 상태(a1,b1)에서는 수납 박스 이동 유닛, 구체적으로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62)와 제 3 링크(63)가 이루는 각도는 90도 보다 작은 예각을 이룬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시작하고, 개방 각도가 점점 증가하여 약 60도인 지점(a2,b2)에 도달하면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지점 b2는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정지 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변환되는 임계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전진하기 시작하면 상기 제 2 링크(62)와 제 3 링크(63)는 거의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펴진다. 즉, 제 2 링크(62)와 제 3 링크(63)가 상대 회전하여, 두 개의 링크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예각 상태에서 180도에 가까운 각도로 변화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2)가 최대로 회전한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최대로 전진한 상태가 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12)가 최대 개방 상태가 되기 전에 상기 링크 부재(60)의 전단부는 최대로 전진한 상태에 도달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12)가 더 회전하여 최대 개방 각도에 도달하더라도 상기 링크 부재(60)의 전단부는 오히려 후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가 최대 개방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최대로 전진한 상태가 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12)가 최대 개방 상태에 도달한 지점(a3,b3)에서 상기 로어 서포터(22)도 최대로 전방 인출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도어(12)가 최대로 개방된 시점에서도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최대로 인출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도어(12)가 최대로 개방된 시점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 도달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링크 부재(60)가 상기 로어 서포터(22)를 설정 시간 동안 잡아당기다가 중단하면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가지는 관성에 의하여 상기 로어 서포터(22)가 더 전진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5)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는 수납 박스;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납 박스 이동 유닛; 및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이동하도록 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부재는,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전단부가 상기 제 1 링크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및
    전단부가 상기 제 2 링크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에 연결되는 제 3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한 시점부터 상기 수납 박스가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와 상기 제 3 링크는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60도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전진하기 시작할 때, 상기 제 2 링크와 제 3 링크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배면 가장자리에 둘러지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밀착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가스켓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는, 상기 수납 박스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 및 상기 제 3 링크는 상기 제 1 링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되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3 링크는 제 2 링크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쪽 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의 전단부는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는 수납 박스;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 박스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수납 박스 이동 유닛;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이 이동하도록 하는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후단부 상면에 돌출되는 체결 돌기;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바닥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되는 힌지 이동홀; 및
    상기 힌지 이동홀의 일부를 덮어서 상기 체결 돌기의 전후 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바닥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이동홀은 상기 커버 안착단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커버 안착단에 안착되면, 상기 커버 부재의 상면과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바닥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안착단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안착단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안착단의 측방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바닥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커버 부재를 수용하는 커버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의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커버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저면에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커버 수용홈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는 다수 개가 제공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수납 박스 이동 유닛은,
    상기 제 3 링크의 후단이 연결되고, 최하측의 수납 박스를 밀어내는 로어 서포터와,
    상기 로어 서포터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수납 박스들의 후면을 미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수납 박스들 각각의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 바의 양 단부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22648A 2015-02-13 2015-02-13 냉장고 KR101662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48A KR101662942B1 (ko) 2015-02-13 2015-02-13 냉장고
PCT/KR2016/001446 WO2016129956A1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EP16749496.2A EP3256800A4 (en) 2015-02-13 2016-02-12 FRIDGE
CN201680015676.5A CN107454934B (zh) 2015-02-13 2016-02-12 冰箱
JP2017542428A JP6496419B2 (ja) 2015-02-13 2016-02-12 冷蔵庫
US15/550,691 US10634422B2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48A KR101662942B1 (ko) 2015-02-13 2015-02-1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99A true KR20160100099A (ko) 2016-08-23
KR101662942B1 KR101662942B1 (ko) 2016-10-14

Family

ID=5687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648A KR101662942B1 (ko) 2015-02-13 2015-02-1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1387A (zh) * 2019-12-23 2021-07-09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制冷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03A (ja) * 2002-02-06 2004-01-08 Marushin:Kk 収納家具
KR20050118585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구조
KR20100122459A (ko) * 2009-05-12 2010-11-22 페카-메탈 아게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03A (ja) * 2002-02-06 2004-01-08 Marushin:Kk 収納家具
KR20050118585A (ko) *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구조
KR20100122459A (ko) * 2009-05-12 2010-11-22 페카-메탈 아게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1387A (zh) * 2019-12-23 2021-07-09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制冷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942B1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243B1 (ko) 냉장고
EP2572149B1 (en) Refrigerator
KR102440261B1 (ko) 냉장고
KR100906882B1 (ko) 냉장고,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및 냉장고 도어 정렬방법
KR20230113714A (ko) 냉장고
KR102472387B1 (ko) 냉장고
US20060152118A1 (en) Refrigerator
KR20170093602A (ko) 냉장고
EP2725314B1 (en) Refrigerator
KR102620184B1 (ko) 냉장고
US11015863B2 (en) Refrigerator
KR20170052410A (ko) 냉장고
KR101869556B1 (ko) 냉장고
KR101662942B1 (ko) 냉장고
KR102491969B1 (ko) 냉장고
JP3471205B2 (ja) 貯蔵庫
KR102386702B1 (ko) 냉장고
KR102373830B1 (ko) 냉장고
KR102386701B1 (ko) 냉장고
KR102386700B1 (ko) 냉장고
KR102352400B1 (ko) 냉장고
KR102340235B1 (ko) 냉장고
KR102386709B1 (ko) 냉장고
KR20110117333A (ko) 냉장고
KR2019013596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