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91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911A
KR20160099911A KR1020150022198A KR20150022198A KR20160099911A KR 20160099911 A KR20160099911 A KR 20160099911A KR 1020150022198 A KR1020150022198 A KR 1020150022198A KR 20150022198 A KR20150022198 A KR 20150022198A KR 20160099911 A KR20160099911 A KR 20160099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door
slide member
receiv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698B1 (ko
Inventor
양창완
최승진
김한효
박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98B1/ko
Priority to CN201680001557.4A priority patent/CN106461312B/zh
Priority to CN201911263568.1A priority patent/CN111043821B/zh
Priority to US15/313,598 priority patent/US9939192B2/en
Priority to EP16749487.1A priority patent/EP3149415B1/en
Priority to PCT/KR2016/001423 priority patent/WO2016129947A1/en
Publication of KR20160099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98B1/ko
Priority to US15/927,848 priority patent/US1028119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놓이고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인너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되는 선반 지지암과, 상기 선반 지지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 어셈블리;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상기 도어의 회전과 함께 상기 선반이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 장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전단부가 상기 도어의 상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면을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선반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상태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고 있고,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도 홈바,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도어를 닫았을 때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에 장착되는 선반이나 수납 박스와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장착된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섭되는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 즉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 또는 수납 박스의 전단부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후퇴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이나 수납 박스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저장실 안쪽으로 손을 깊숙히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저장실의 안쪽 후방에 저장된 음식물은 사용자가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형 냉장고에서는 더 크게 나타난다. 즉, 대형 냉장고의 경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전후 방향 깊이가 크기 때문에, 선반의 후단부 쪽에 깊숙히 저장되어 있는 음식물은 사용자가 쉽게 인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0357호(2010년12월13일)의 경우,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이나 수납 박스가 L자 형태의 수납 프레임에 놓이고, 상기 수납 프레임은 다관절 링크에 의하여 냉장고 도어의 저면에 연결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를 회전시켜서 개방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반과 수납 박스가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의 경우, 상기 선반과 수납 박스의 하중이 모두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은, 상기 선반과 수납 박스의 하중 및 상기 선반과 수납 박스에 수납된 음식물의 하중을 모두 지지하는 구조이다.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냉장고 도어를 여는데 상당히 큰 힘이 들기 때문에, 노약자나 부녀자 또는 어린이들에게는 냉장고 도어를 여는 동작이 매우 힘들게 느껴질 수 있다.
또한, 선반을 인출하는 프레임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고내가 깔끔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고, 고내 청소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놓이고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과 인너 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인너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되는 선반 지지암과, 상기 선반 지지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 어셈블리;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상기 도어의 회전과 함께 상기 선반이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 장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과 인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전단부가 상기 도어의 상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면을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선반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선반의 하중이 인출 장치와 캐비닛에 분산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박스와 선반이 전방으로 인출되므로,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는데 상대적으로 힘이 덜 드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선반을 인출하는 슬라이드 부재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여도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슬라이드 부재와 선반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중 선반에 장착되는 리시버가 선반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자동 인출 기능의 사용 여부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슬라이드 부재와 선반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구조에 있어서, 선반을 전방으로 인출하면서 선반을 약간 들어올렸다 내려 놓는 동작, 또는 선반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 만으로 자동으로 커넥터가 리시버에 삽입되므로, 조립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인출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아우터 커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인너 커버의 사시도.
도 8은 도 3의 VIII-VI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가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상기 커넥터가 끼워지는 리시버가 장착된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3의 XI-X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의 연결 부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도.
도 14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인출 장치와 링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 및 도 16은 도어의 개방 정도에 따른 인출 장치의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 공간은, 음식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냉장실(111)과, 음식물을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냉동실(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은 상기 냉동실(112)의 상측, 하측 또는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멀리언(113)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111)이 냉동실(112)로부터 구획되고, 상기 냉장실(111)이 상기 냉동실(112)의 상측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111)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냉동실(112)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12)는 구조에 따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측방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단일의 회동식 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냉장실(111)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프렌치 도어(french do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프렌치 도어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13)도 상기 냉장실 도어(12)와 동이한 프렌치 도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드로어 타입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는 힌지 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전후 방향으로 두 개의 도어로 분할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부 측면 가장자리에 상기 힌지 어셈블리(1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11)의 전면 개구부 절반을 차폐하는 인너 도어(inner door)와, 상기 인너 도어의 전면에 배치되고 별도의 힌지 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인너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우터 도어(outer doo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도어가 회동하여 상기 인너 도어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인너 도어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도어가 회동하여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도어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한 상기 아우터 도어의 회동 방향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을 개방하기 위한 상기 인너 도어의 회동 방향은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도어에는 접근홀(access opening)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근홀에는 선반이나 바스켓 형태를 포함하는 수납 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도어의 배면에는 서브 저장실(sub storage compartment)이 정의되는 수납 케이스(12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인너 도어가 닫히고 상기 아우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접근홀을 통하여 상기 서브 저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거나, 상기 서브 저장실에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11) 내부에는, 다수의 수납 박스(115)와 다수의 선반 어셈블리(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수납 박스(115)는, 상기 냉장실(11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다수 개의 수납 박스(115)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선반 어셈블리(20)도 상기 냉장실(11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다수의 선반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냉장실(111)과 냉동실(112)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117)와, 상기 인너 케이스(117)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캐비닛(11)의 외형을 이루는 아우터 케이스(116), 및 상기 인너 케이스(117)와 아우터 케이스(116)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18 :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 어셈블리(2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7)의 후면에 고정되는 켄틸레버 형태의 선반 지지암(21)과, 상기 선반 지지암(2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지지암(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선반(2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의 냉장실 도어(12)를 개방하여 좌측의 수납 박스(115) 및 선반 어셈블리(20)에 수납된 음식물을 인출할 수 있고, 우측의 냉장실 도어(12)를 개방하면 우측의 수납 박스(115) 및 선반 어셈블리(20)에 수납된 음식물을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면, 해당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배치되는 선반 어셈블리(20)가 상기 냉장실(111)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인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 인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인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며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20)는, 상기 도어(12)를 열면 상기 선반 어셈블리(20)의 선반(22)을 전방으로 인출하고, 상기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선반(22)을 고내로 인입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세히, 상기 선반 어셈블리(20)는 상기 냉장실(111)의 후면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201)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선반 지지암(21)의 좌측과 우측 후단부에는 걸림 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201)에 형성된 걸림 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22)은 상기 선반 지지암(21)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선반 지지암(2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인출 장치(30)는, 상기 냉장실(111)의 측면 일부분, 즉 상기 인너 케이스(117)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인너 커버(34)와, 상기 인너 커버(34)의 맞은편에서 상기 인너 커버(34)와 결합되는 아우터 커버(32)와, 상기 인너 커버(34)와 아우터 커버(32)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냉장고(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33)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의 상면과 상기 도어(12)의 상면을 연결하는 링크 부재(31)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와 상기 선반(12)의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에 장착되는 커넥터(35)와, 상기 선반(22)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35)를 수용하는 리시버(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12)를 열면, 상기 링크 부재(31)가 상기 도어(12)의 회전 중심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링크 부재(31)의 후단에 연결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33)가 냉장고(1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33)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에 연결된 상기 선반(22)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아우터 커버(32)와 슬라이드 부재(33)는 상기 인너 케이스(117)와 아우터 케이스(117) 사이 공간에 놓이고, 상기 단열재(118)에 의하여 둘러싸여서 흔들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33)가 상기 인너 케케이스(34)의 외측에 놓이므로, 상기 도어(12)를 열어서 상기 냉장실(111)이 개방되어도 상기 슬라이드 부재(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아우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30)를 구성하는 아우터 커버(32)는, 소정의 폭(W)을 가지는 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네 개의 가장자리는 수직하게 절곡되어 두께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되는 상기 아우터 커버(32)의 테두리 부분에는 다수의 체결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커버(32)의 내측 면 중앙에는 다수의 체결 보스(3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커버(3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커버(32)에는 다수의 가이드 홈(32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커버(32)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들(321)은 상기 아우터 커버(3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30)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부재(33)는, 대략 사각형 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 부재(33)는 상기 아우터 커버(32)를 향하는 외측 면(336)과, 상기 외측면(336)의 반대면으로서 상기 인너 커버(34)를 향하는 내측 면(도 9 참조)과, 상기 냉장고(10)의 전면을 향하는 전단부(331)와, 상기 전단부(331)의 반대면을 정의하는 후단부(332)와, 상기 전단부(331)와 후단부(332)의 상면을 연결하는 상단부(333)와, 상기 전단부(331)와 후단부(332)의 하면을 연결하는 하단부(334)와, 상기 상단부(333)에서 수평하게 연장 돌출되는 링크 연결단(337) 및, 상기 링크 연결단(337)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링크 연결 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의 외측 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330b)와, 상기 아우터 커버(32)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3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의 이격 리브(330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330b)는 상기 아우터 커버(32)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32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321)에 끼워져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홈(321)은 상기 아우터 커버(32)의 내측 면으로부터 외측 면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홈(321)의 상하 방향 폭(또는 두께)은 상기 가이드 리브(330b)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330b)가 상기 가이드 홈(32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33)가 이동할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인너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30)를 구성하는 인너 커버(34)는, 상기 아우터 커버(34)에 대응하는 크기의 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바디(345)와, 상기 커버 바디(345)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링크 인너 커버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너 커버(34)는, 상기 커버 바디(345)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테두리부(34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테두리부(346)에는 다수의 체결 홀들(34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들(344)에는 상기 아우터 커버(32)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323)가 삽입되어, 상기 인너 커버(34)와 아우터 커버(32)가 한 몸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바디(345)의 중심부에는 다수의 체결홀(34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체결홀(342)은 상기 커버 바디(345)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커버(32)에 돌출된 상기 체결 보스들(322)이 상기 다수의 체결홀(342)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342)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가 상기 체결 보스(32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인너 커버(34)와 아우터 커버(32)가 한 몸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보스(322)의 돌출 길이 만큼 상기 인너 커버(34)의 커버 바디(345)와 상기 아우터 커버(32)가 이격되어, 내부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3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커버 바디(345)에는 상기 선반(2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가이드 슬릿(341)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슬릿(341)은 상기 커넥터(35)가 끼워져서 이동하는 이동 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20)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2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선반 가이드(21)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슬릿(34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링크 인너 커버부(343)는, 상기 링크 부재(3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도어(12)를 열었을 때 상기 링크 부재(31)가 고냉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히, 상기 링크 인너 커버부(343)는, 상기 커버 바디(345)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는, 전면벽(343a), 측면벽(343b), 및 후면벽(3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를 이루는 벽들의 단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17)의 상면, 즉 냉장실(111)의 천장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벽(343a)에는 상기 링크 부재(31)가 가 관통하는 링크 관통홀(343d)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 관통홀(343d)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링크 부재(31)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링크 커버부(343)에 의하여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인너 케이스(117)가 상기 커버 바디(345)를 대신하고, 상기 링크 커버부(343)만이 상기 인너 케이스(117)의 상측부와 천장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슬릿(341)은 상기 인너 케이스(117)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커버(32)는 상기 인너 케이스(117)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VIII-VI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인너 커버(34)는 상기 인너 케이스(117)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링크 커버부(343)가 상기 인너 케이스(117)의 천장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커버(32)는 상기 인너 커버(34)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커버(34)와 아우터 커버(32)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33)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의 외측 면에서 수평하게 돌출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리브(330b)는 상기 아우터 커버(32)에 형성된 가이드 홈(321)에 삽입된다.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의 내측 면(335)은 상기 인너 커버(34)의 커버 바디(345)에에 밀착되고, 상기 이격 리브(330a)는 상기 아우터 커버(32)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33)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링크 부재(31)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118)는 상기 인너 케이스(117)와 아우터 케이스(116) 사이 공간에 채워지면서 상기 아우터 커버(32)의 외측 면을 둘러싸기 때문에, 상기 아우터 커버(32)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가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커넥터가 끼워지는 리시버가 장착된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의 내측 면 전단부 가장자리에는 커넥터 보스(339)가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 보스(339)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의 내측 면에는 고정홈(339a)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와 선반(22)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커넥터(35)는, 상기 커넥터 보스(339)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35)는, 커넥팅 슬리브(352)와, 분리 방지판(351) 및 한 쌍의 고정 돌기(353)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 보스(339)가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 방지판(351)은,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의 일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의 외경보다 큰 폭과 너비로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 돌기(353)는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의 타측 단부에서 더 돌출되며,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의 중심에서 지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5)가 상기 커넥터 보스(339)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 돌기(353)는 상기 고정홈(339a)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35)가 외력에 의하여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5)와 커넥터 보스(39)는 상기 선반 어셈블리(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선반 어셈블리(20)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5)의 분리 방지판(351)은 상기 선반(22)의 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리시버(36)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리시버(36)는 상기 선반(22)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22)은, 선반 글라스(222)와, 상기 선반 글라스(222)의 테두리를 감싸는 선반 프레임(2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시버(36)는 상기 선반 프레임(221)에 장착된다. 상기 리시버(36)가 상기 선반(22)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선반의 자동 인출 기능을 원하지 않을 경우 상기 리시버(36)를 분리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선반의 자동 인출 기능의 사용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리시버(36)는, 전면부(361)와, 상기 전면부(361)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측면부(363)와, 상기 전면부(261)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363)의 단부를 연결하는 배면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부(361)와 상기 배면부(362)는 상기 측면부(363)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커넥터(35)의 분리 방지판(351)이 삽입된다. 즉, 상기 전면부(361)와 배면부(36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의 두께는 상기 분리 방지판(351)의 두께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363)는 상하 및 좌우 측면부를 포함하며, 좌우 측면부에는 한 쌍의 체결 플랜지(364)가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가 상기 체결 플랜지(364)를 관통하여 상기 선반 프레임(22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리시버(36)가 상기 선반(22)에 결합된다. 그리고, 자동 인출 기능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리시버(36)를 상기 선반(2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시버(36)의 측면부(363) 중에서 하측 측면에는 삽입구(365)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35)의 분리 방지판(351)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36)의 전면부(361)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움홈(367)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367)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는 가이드 경사면(366)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367)에는 상기 커넥터(35)의 커넥팅 슬리브(352)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경사면(366)에 의하여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가 상기 끼움홈(367)에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끼움홈(367)은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367)의 하측부는 상기 가이드 경사면(366)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경사면(366)의 상단부 폭은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하단부 폭은 상단부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가 상기 끼움홈(367)의 하측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가 상기 가이드 경사면(366)을 따라 상기 끼움홈(367)에 정확하게 끼워지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도 3의 XI-X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5)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의 내측 면에 형성된 커넥터 보스(339)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5)의 분리 방지판(351)은 상기 리시버(36)의 끼움홈(367)에 끼워져서, 상기 선반(2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35)가 상기 리시버(36)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분리 방지판(351)은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커넥팅 슬리브(35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 방지판(351)이 상기 리시버(36)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365)를 통하여 삽입되면, 상기 분리 방지판(351)이 상기 리시버(36)의 전면부(361)에 걸린다. 그러면, 상기 선반(2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더라도, 상기 커넥터(35)가 상기 리시버(36)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커넥터(35)가 상기 리시버(36)에 끼워지도록 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도어(12)를 개방하여 상기 링크 부재(31)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링크 부재(31)에 연결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33)도 상기 캐비닛(11)의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선반(22)을 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선반(22)이 상기 선반 지지 암(2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36)가 상기 커넥터(35)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선반(22)의 전단부를 약간 들어올린다. 상기 선반(22)의 전단부를 약간 들어올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더 잡아당겨서 상기 리시버(36)가 상기 커넥터(35)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선반(22)의 전단부를 내려놓으면, 상기 커넥터(35)의 분리 방지판(351)과 커넥팅 슬리브(352)가 상기 리시버(36)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35)가 상기 리시버(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33)와 상기 선반(22)이 한 몸으로 후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 장치의 연결 부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구성하는 커넥터(35)는, 이전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대부분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되, 분리 방지판의 형상이 다각형이 아닌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35)의 분리 방지판(351)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35)가 삽입되는 상기 리시버(36)의 형상도 이전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36)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되, 상기 선반(22)이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커넥터(35)를 향하는 측면부(363)가 부드럽게 라운드지거나 경사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커넥터(35)의 상하 측면부와 좌우 측면부 중 상기 커넥터(35)를 향하는 측면부는 우측 측면부라 할 수 있고, 상기 우측 측면부(363)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36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부드럽게 라운드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면부(361)의 좌우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부(363)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도 1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5)를 리시버(36)에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상기 도어(12)를 개방하여 상기 커넥터(35)가 최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선반(22)이 선반 지지 암(21)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반(22)의 전단부를 들어올릴 필요는 없다.
상세히, 상기 선반(22)이 전방으로 수평하게 인출되면, 상기 리시버(36)의 라운드진 측면부(363)가 상기 커넥터(35)의 분리 방지판(351)에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선반(22)이 전방으로 더 인출되면, 상기 분리 방지판(351)이 상기 리시버(36)의 라운드진 측면부를 따라 상대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선반(22)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상기 분리 방지판(351)이 상기 리시버(36)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365)에 삽입되면, 상기 선반(22)이 다시 하강하여 수평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5)는 상기 리시버(36)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35)의 분리 방지판(351)과 접촉하는 상기 리시버(26)의 측면부가 부드럽게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넥터(35)를 상기 리시버(36)에 삽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일부러 선반(22)을 들어올렸다 내릴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인출 장치와 링크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링크(34)의 후단부(312)는 점선 a1이 지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선반(22)이 냉장실(111)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링크 부재(31)의 전단부(311)는, 상기 도어(1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도어(12)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반경 R을 가지는 원주(T)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힌지축(123)은 힌지 브라켓(122)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122)의 후단부는 상기 캐비닛(1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12)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기 힌지축(123)이 삽입된다.
도 15 및 도 16은 도어의 개방 정도에 따른 인출 장치의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12)가 제 1 설정 각도(θ1)만큼 회전하여 개방되면, 상기 링크 부재(31)의 후단부(312)는 점선 a1이 위치하는 초기 위치에서 점선 a2가 지나는 지점까지 전진하게 된다. 상기 링크 부재(31)의 후단부가 전진한다는 것은 상기 선반(22)이 전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링크 부재(31)의 전단부는 상기 원주(T)를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2)가 도 15의 상태에서 제 2 설정 각도 (θ2)만큰 더 회전하여 개방되면, 상기 링크 부재(31)의 전단부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전진하게 된다. 이 상태는, 상기 선반(22)이 최대한으로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이고, 상기 선반(22)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22)의 전단부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거나, 상기 캐비닛(11)의 전면보다 약간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기 선반(22)의 전단부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위치에 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와의 간섭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선반(22)의 전단부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까지만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12)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선반(22)이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는 상기 링크 부재(31)의 전단부(311)를 상기 원주(T)를 따라 이동시키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에 놓이고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인너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되는 선반 지지암과, 상기 선반 지지암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 어셈블리;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상기 도어의 회전과 함께 상기 선반이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 장치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전단부가 상기 도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선반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되는 커넥터와,
    상기 선반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지점에는 가이드 슬릿이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리시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의 전단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천장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저장실 내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링크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덮는 아우터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슬라이드 부재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와,
    상기 아우터 커버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로부터 상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와 평행하게 돌출 및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는 커넥팅 슬리브와,
    상기 커넥팅 슬리브의 단부에서 상기 커넥팅 슬리브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 방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방지판은 상기 리시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형성되는 배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면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하 및 좌우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측면부에는 상기 분리 방지판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커넥팅 슬리브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전단부를 향하는 상기 리시버의 측면부는 라운드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면부의 좌우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상기 선반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022198A 2015-02-13 2015-02-13 냉장고 KR10170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98A KR101708698B1 (ko) 2015-02-13 2015-02-13 냉장고
CN201680001557.4A CN106461312B (zh) 2015-02-13 2016-02-12 冰箱
CN201911263568.1A CN111043821B (zh) 2015-02-13 2016-02-12 冰箱
US15/313,598 US9939192B2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EP16749487.1A EP3149415B1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PCT/KR2016/001423 WO2016129947A1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US15/927,848 US10281199B2 (en) 2015-02-13 2018-03-2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98A KR101708698B1 (ko) 2015-02-13 2015-02-1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911A true KR20160099911A (ko) 2016-08-23
KR101708698B1 KR101708698B1 (ko) 2017-02-21

Family

ID=5661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198A KR101708698B1 (ko) 2015-02-13 2015-02-13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39192B2 (ko)
EP (1) EP3149415B1 (ko)
KR (1) KR101708698B1 (ko)
CN (2) CN111043821B (ko)
WO (1) WO2016129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0857B2 (en) * 2014-10-31 2019-03-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472387B1 (ko) * 2016-02-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7530B1 (ko) * 2016-04-15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8075094A1 (en) 2016-10-17 2018-04-26 Whirlpool Corporation Hinge assembly
KR102573779B1 (ko) 2018-11-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1692810B (zh) * 2019-03-12 2022-04-2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储物装置、储物组件及冰箱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9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6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4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2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1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8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8709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08707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US11555647B2 (en) 2020-01-27 2023-01-17 Whirlpool Corporation Rear bracket for shelf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03A (ja) * 2002-02-06 2004-01-08 Marushin:Kk 収納家具
KR20100122459A (ko) * 2009-05-12 2010-11-22 페카-메탈 아게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5847A (en) * 1929-09-17 1931-12-08 Arch G Chandler Door shifted tray support for cabinets
US2095811A (en) * 1934-03-30 1937-10-12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761751A (en) * 1953-01-12 1956-09-04 Stockton Louise Haines Cabinet for household refrigerators, etc.
US2926507A (en) * 1958-12-05 1960-03-01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5474374A (en) * 1994-09-14 1995-12-12 Sandvig; Dennis L. Cabinet-mounted sliding tray
US6220682B1 (en) 2000-04-07 2001-04-24 Nicholas L. Vertullo Refrigerator shelving system
US6889237B2 (en) 2001-03-30 2005-05-03 Intel Corporation Two-dimensional pyramid filter architecture
KR20040059041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설치구조
KR100585696B1 (ko) * 2004-06-14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구조
CN2724513Y (zh) * 2004-08-31 2005-09-14 熊猫电子集团有限公司 组合式多功能厨柜
CN2832153Y (zh) * 2005-05-10 2006-11-01 广东亿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消毒柜
CN1940439B (zh) * 2005-09-27 2010-12-08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的搁板拔出装置
CH697995B1 (de) * 2006-05-05 2009-04-15 Forster Kuechen Und Kuehltechnik Ag Kühlschrank mit einem oder mehreren Tablaren.
CN201036409Y (zh) * 2007-03-20 2008-03-19 威曦有限公司 可同步开启并左右共用的多层式收纳柜
TWI448655B (zh) * 2008-02-29 2014-08-11 Panasonic Corp A track device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device
CN102947659B (zh) * 2010-04-21 2015-04-29 Lg电子株式会社 冰箱
EP2410270B1 (en) * 2010-07-20 2022-09-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3189695B (zh) * 2010-11-12 2016-08-17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一种包括带旋转盖的可滑动的门搁架的冰箱
KR101896466B1 (ko) * 2011-04-11 2018-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043198B1 (ko) * 2013-03-05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86243B1 (ko) * 2014-02-28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10016B1 (ko) * 2014-03-10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240857B2 (en) * 2014-10-31 2019-03-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20490B1 (ko) * 2014-12-31 201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23614B1 (ko) * 2016-02-05 202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2387B1 (ko) * 2016-02-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0262B1 (ko) * 2016-02-05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726423B1 (en) * 2016-04-06 2017-08-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liding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03A (ja) * 2002-02-06 2004-01-08 Marushin:Kk 収納家具
KR20100122459A (ko) * 2009-05-12 2010-11-22 페카-메탈 아게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9415A4 (en) 2017-12-06
CN106461312B (zh) 2020-01-10
WO2016129947A1 (en) 2016-08-18
CN106461312A (zh) 2017-02-22
US20170227279A1 (en) 2017-08-10
US10281199B2 (en) 2019-05-07
EP3149415A1 (en) 2017-04-05
CN111043821B (zh) 2021-10-22
EP3149415B1 (en) 2019-01-02
US20180209719A1 (en) 2018-07-26
US9939192B2 (en) 2018-04-10
CN111043821A (zh) 2020-04-21
KR101708698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698B1 (ko) 냉장고
KR102440261B1 (ko) 냉장고
KR101871266B1 (ko) 냉장고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KR102423571B1 (ko) 냉장고
EP3534096B1 (en) Refrigerator with a basket mounted on a door by a frame
EP2792978B1 (en) Food container
KR102447530B1 (ko) 냉장고
KR102472387B1 (ko) 냉장고
KR20100032178A (ko)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4912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101654994B1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32686A (ko) 냉장고 인출식 선반
KR100651278B1 (ko) 냉장고의 서랍 장착구조
KR101662942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