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994B1 -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994B1
KR101654994B1 KR1020140168615A KR20140168615A KR101654994B1 KR 101654994 B1 KR101654994 B1 KR 101654994B1 KR 1020140168615 A KR1020140168615 A KR 1020140168615A KR 20140168615 A KR20140168615 A KR 20140168615A KR 101654994 B1 KR101654994 B1 KR 10165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housing
latch
box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693A (ko
Inventor
김은정
김병현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9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직립하는 사이드 월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월의 상면에는 전방 힌지홈과 후방 힌지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양 측면 상딘이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양 측면 상단에는 전방 리프트와 후방 리프트가 돌출되는 수납 박스; 상기 수납 박스의 상면을 덮으며, 양 측면 하단이 상기 수납 박스의 양 측면 상단과 밀착되도록 경사지는 박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커버는,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방 힌지홈과 후방 힌지홈에 각각 안착되는 전방 힌지 및 후방 힌지; 양 측면 하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박스 커버의 상면과 접촉하는 커버 레일; 및 상기 커버 레일의 어느 지점에서 상기 커버 레일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납 박스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리프트와 상기 후방 리프트가 각각 삽입되는 전방 리프트 홈과 후방 리프트 홈을 포함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부 중앙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중앙에 배치되는 오토 클로징 유닛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Storage box assembly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 추세에 있다. 냉장고가 대형화됨에 따라서 고내에는 다수의 저장 공간이 구획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저장 공간에 수납된 음식물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서 외부 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밀폐 기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드로어 형태의 수납 박스가 수용되는 저장 공간의 경우, 수납 박스가 전방으로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수납 박스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커버 부재가 상기 수납 박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수납 박스가 부드럽게 안출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박스가 저장 공간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수납 박스의 상면을 완전히 밀착되어, 수납 박스 내부의 밀폐 성능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공개특허 제2008-0125370호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공개 특허에 개시된 수납 장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을 안고 있다.
첫째,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수납 장치의 경우, 서랍 커버(500)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메인 리브(610)와 서브 리브(620)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리브(610)와 서브 리브(620)의 경사면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전방 서랍 돌기(410)와 후방 서랍 돌기(420)가 상기 메인 리브(610)와 서브 리브(620) 각각의 최저점에 이르는 시점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서랍(30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서랍 커버(500)가 수평 상태로 상승하지 못하고, 전방으로 기울었다가 다시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서랍(300)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서랍 커버(500)의 전단부가 상기 서랍(300)의 상면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상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상기 전방 서랍 돌기(420)가 상기 서랍(300)의 전방에 가까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서랍(300)을 완전히 인출하면 상기 전방 서랍 돌기(420)가 상기 서랍 커버를 벗어나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면, 상기 전방 서랍 돌기가 파손되거나 상기 전방 서랍 돌기에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서랍(300)이 어느 정도 인출되면, 상기 메인 리브(610)와 서브 리브(620) 사이의 공간, 다시 말하면 상기 서랍(30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방 서랍 돌기가 안착되는 부분에 상기 후방 서랍 돌기(440)가 삽입되고, 이때 상기 서랍 커버가 상기 서랍(300)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덜컹"하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넷째, 상기 공개 특허에 의하면, 사용자가 서랍(300)을 완전히 닫지 않은 경우에는 서랍(300)의 상면과 서랍 커버(500)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직립하는 사이드 월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월의 상면에는 전방 힌지홈과 후방 힌지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양 측면 상단이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양 측면 상단에는 전방 리프트와 후방 리프트가 돌출되는 수납 박스; 상기 수납 박스의 상면을 덮으며, 하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의 상단부와 밀착되도록 경사지는 박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커버는,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방 힌지홈과 후방 힌지홈에 각각 안착되는 전방 힌지 및 후방 힌지; 양 측면 하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박스 커버의 상면과 접촉하는 커버 레일; 및 상기 커버 레일의 어느 지점에서 상기 커버 레일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납 박스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리프트와 상기 후방 리프트가 각각 삽입되는 전방 리프트 홈과 후방 리프트 홈을 포함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부 외면의 중앙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내면의 중앙에 배치되는 오토 클로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은,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부 후단에 구비되는 걸림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후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둘러지는 구획 리브와, 상기 구획 리브의 내측 공간에 해당하는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걸림 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래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수납 박스에 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획 리브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브라켓의 어느 지점에서 연장되며, 측면에 래치 홈이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리프트의 폭은, 적어도 상기 전방 리프트 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래치 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래치 헤드와, 일단이 상기 래치 헤드와 맞닿고, 타단이 상기 구획 리브의 모서리 부위에 닿는 래치 바디, 및 상기 래치 바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바디는, 상기 래치 헤드와 면접촉하는 조인트 헤드와, 상기 조인트 헤드로부터 연장되고 내부가 빈 통 형상의 조인트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 1 바디; 및 일단이 상기 조인트 실린더에 요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보스와, 상기 지지 보스의 타단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획 리브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라운드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 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조인트 실린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 박스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헤드와 상기 래치 바디가 상기 조인트 헤드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꺾인 상태이고, 상기 래치 헤드의 걸림 돌기는 상기 래치 홈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수납 박스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헤드와 상기 래치 바디가 회전하여 일직선 상태가 되고, 상기 스프링은 축소되어 최대의 복원력이 상기 스프링에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에서 제시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납 박스의 상면에 놓인 박스 커버를 들어올리는 후방 리프트의 폭이 전방 리프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납 박스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방 리프트가 전방 리프트홈에 걸려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후방 리프트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납 박스가 부드럽게 인출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수납 박스가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도, 전방 리프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전방 리프트가 파손되거나 상기 전방 리프트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오토 클로징 유닛이 수납 박스의 저면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수납 박스를 완전히 밀어넣지 않더라도 상기 수납 박스가 하우징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오토 클로징 유닛을 구성하는 링크가 상하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수납 박스의 저면과 하우징의 바닥부 간에 조립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오토 클로징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상기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수납 박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사이드 월의 외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상기 사이드 월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박스 커버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상기 박스 커버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상기 박스 커버의 측면도.
도 11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12는 수납 박스가 하우징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13은 수납 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오토 클로징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의 평면도.
도 16은 수납 박스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오토 클로징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20)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납 박스 어셈블리(20)는 도시되는 프렌치 도어가 구비된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 뿐만 아니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또는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냉장고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서 프렌치 도어라 함은, 단일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를 말하는 것으로서,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가 냉장고 본체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전부 또는 일부만 개방할 수 있는 도어를 의미한다.
또한,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라 함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냉장고를 의미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라 함은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측과 우측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형태의 냉장고를 의미하며,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라 함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냉장고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20)가 장착되는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01)과 냉동실(10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11)는 상기 냉장실(10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11)와, 상기 냉동실(102)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11)는 프렌치 도어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111)는 드로어 타입 도어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수납 박스 어셈블리(20)는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수납 박스 어셈블리(20)가 폭이 넓은 냉장실 내부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들 한 쌍의 수납 박스 어셈블리(20)가 단일 모듈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단일의 수납 박스 어셈블리(20)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장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단일의 수납 박스 어셈블리(20) 구조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111)는 좌측 냉장실 도어와 우측 냉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배면에는 제빙실(11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14)이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는 얼음 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114)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도 상기 디스펜서(12)를 통하여 취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11)의 배면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113)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도어 바스켓(113)은 상기 냉장실 도어(111)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01)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들(103)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선반들(103) 중 적어도 일부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선반들(103) 중 최하측의 선반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지점에는 수납 테이블(100)이 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테이블(100)은 상기 냉장실(101)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선반들(103)과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 테이블(100)의 직하방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01)의 폭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한 쌍의 수납 박스 어셈블리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와 같이 고내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에는 단일의 수납 박스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어 타입의 도어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냉장실 도어(111)와 같이 회동식 도어로 제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20)는, 상기 수납 테이블(100)의 하측에 놓일 수 있고, 상기 수납 테이블(100)은, 프레임(100a)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패널(10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100b)은 투명한 글라스 패널(glass panel) 또는 플라스틱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납 박스 어셈블리(20)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수납 박스(21)와, 상기 수납 박스(21)가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의 상면에 놓여서 상기 수납 박스(21)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하는 박스 커버(23)와, 상기 수납 박스(21)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22)의 바닥면을 연결하여 상기 수납 박스(21)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오토 클로징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하우징(22)은, 오토 클로징 유닛(40)이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6)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직립하게 연결되는 사이드 월(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 박스 어셈블리(20)가 좌우에 두 개가 설치되는 경우는, 세 개의 사이드 월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및 중앙에서 직립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가운데에 위치한 사이드 월의 경우, 좌측 면과 우측면 모두에 상기 수납 박스(21)의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40)은 상기 수납 박스(21)의 저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박스 어셈블리(2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수납 박스(21)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박스 커버(23)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 박스(21)가 상기 하우징(22)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박스 커버(23)는 하강하여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 커버(23)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상기 박스 커버(23)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동일 높이로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하여, 상기 박스 커버(21)의 저면이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대하여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수납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21)는, 바닥부(211)와, 상기 바닥부(211)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전면부(212)와, 상기 바닥부(21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면부(213) 및 상기 바닥부(211)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면부(2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은 개구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 박스(21)에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212)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수납 박스(21)를 인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40)은 상기 바닥부(211)의 저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부(211)의 후단부 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213)의 바깥쪽 면 하단에는 레일부(215)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측면부(213)의 바깥쪽 면 후단부 하측 모서리ㅔ는 박스 롤러(2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215)와 상기 박스 롤러(216)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13)의 상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리프팅 부재(2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부재(25)는 상기 수납 박스(21)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박스 커버(23)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부재이다. 상세히, 상기 리프팅 부재(25)는, 상기 측면부(213)의 대략 중심부 또는 중심부에서 후측으로 약간 치우치는 지점에 배치되는 전방 리프트(251)와, 상기 측면부(213)의 후단에 배치되는 후방 리프트(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213)의 중심부라 함은, 상기 측면부(213)를 전후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이 지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이 중심부에서 후측으로 약간 치우치는 지점에 상기 전방 리프트(251)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방 리프트(251)는, 상기 수납 박스(21)가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부(213)의 중심부 또는 중심부로부터 후측으로 약간 치우치는 지점이라 함은, 상기 전방 리프트(251)가 어떠한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전방 리프트(251) 및 후방 리프트(251)의 높이는 동일하되, 상기 후방 리프트(251)의 폭이 상기 전방 리프트(25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리프트(251)와 후방 리프트(252) 각각의 상측 전방 모서리 및 상측 후방 모서리는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박스 커버(23)와 접촉하는 면이 선접촉하도록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는 곡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마찰력 최소화 측면에서 좋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종래 기술에서 밝힌 공개 특허에 개시된 수납 박스 어셈블리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리프트(251)와 후방 리프트(252) 간의 간격은, 상기 수납 박스(21)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박스 커버(23)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정도의 간격이면 충분하다.
상기 전방 리프트(251)와 후방 리프트(252)가 상기 박스 커버(23)를 전후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보다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들 간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상기 수납 박스(21)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박스 커버(23)에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박스 커버(23)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수납 박스(21)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기 박스 커버(23)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에 접촉되어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 박스(21)의 측면부(213)의 높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즉, 상기 측면부(213)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리프트(251)와 후방 리프트(252)는 상기 측면부(213)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리프트(251)와 후방 리프트(252)는 각각 수직선으로부터 후측으로 소정 각도 만큼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리프트(251)와 후방 리프트(252)가 수직선과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측면부(213)의 상면이 수평선과 이루는 경사각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 박스(21)의 측면부 상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박스 커버(23)의 하중이 상기 수납 박스(21)의 경사진 상면에 작용하는 벡터 성분에 의하여,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이 수평한 경우보다 상기 수납 박스(21)를 인출하는데 더 적은 힘이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납 박스(21)와 박스 커버(23)가 수평하게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경사진 상태로 접촉하는 경우가 접촉 성능 측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즉, 밀폐력에 있어서 경사진 상태로 접촉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사이드 월의 외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사이드 월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사이드 월(24)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측면 가장자리에 직립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월(24)의 상면에는 상기 수납 테이블(100)이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22)과 상기 수납 테이블(100)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 내부에 상기 수납 박스(21)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 커버(23)는 상기 수납 박스(21)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승 및 하강하되, 상기 수납 테이블(100)과 간섭되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수납 테이블(100)과 상기 박스 커버(23)가 부딪혀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월(24)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월 바디(241)와, 상기 월 바디(241)의 하부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레일 가이드부(244)를 형성하는 레일 가이드 리브(243)와, 상기 월 바디(241)의 하부 내측면에 제공되는 가이드 롤러(201)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레일 가이드 리브(243)는 상기 수납 박스(21)의 측면부와 마주보는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지점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레일 가이드부(244)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는 상기 수납 박스(21)의 측면에 돌출된 상기 레일부(215)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롤러(201)는 상기 레일 가이드 리브(243)의 전방에 배치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레일 가이드 리브(243)를 구성하는 한 쌍의 리브 중 하측의 리브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15)의 저면은 상기 가이드 롤러(201)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 박스(21)를 상기 하우징(22)에 인입하거나 하우징(22)으로부터 인출시키면, 상기 레일부(215)는 상기 가이드 롤러(20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 내측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15)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20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 박스(21)의 측면부(213)의 후측 하단에 장착된 상기 박스 롤러(216)는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월(24)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중앙에서 직립하여, 두 개의 수납 박스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이드 월(24)의 내측면과 외측면 모두에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와 가이드 롤러(201)가 구비될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 가이드 리브(243)를 구성하는 한 쌍의 리브는 후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의 후단이 막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의 전단부는 개구되어, 상기 레일부(215)가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고, 후단부는 막혀서 상기 수납 박스(21)의 인입을 제한한다. 즉, 상기 수납 박스(21)의 박스 롤러(216)가 상기 렝리 가이드부(244)의 후단부에 접하는 순간이 상기 수납 박스(21)가 최대로 인입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의 후측 영역 일부는 수평선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각도(θ)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 박스(21)가 어느 정도 인입되면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22)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의 후측 어느 지점에서 후단부까지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244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부(244a)는 약 4.5° ~ 5.5°범위 내에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1°정도 하향 경사지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박스 롤러(216)가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경사부(244a)에 진입하면 상기 수납 박스(21)의 후단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수납 박스(21)의 전면부(212)의 좌우측 가장자리 후면이 상기 사이드 월(24)의 전면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월(24)의 상면에는 힌지홈(242)이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힌지홈(242)에는 박스 커버(23)의 커버 힌지(235: 도 8 참조)가 놓이는 홈이다.
상세히, 상기 힌지홈(242)은, 상기 사이드 월(24)의 전단부에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는 전방 힌지홈(242a)과, 상기 사이드 월(24)의 후단부에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는 후방 힌지홈(242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힌지홈(242a)과 후방 힌지홈(242b)은 동일한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박스 커버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박스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상기 박스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박스 커버(23)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커버 바디(231)와, 상기 커버 바디(231)의 전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면부(232)와, 상기 커버 바디(23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233) 및 상기 커버 바디(231)의 후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후면부(234)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박스 커버(23)의 측면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과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박스 커버(23)의 측면부(233)의 전단부 높이는 후단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스 커버(23)의 양 측면부에는 커버 힌지(235)가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 힌지(235)는, 상기 박스 커버(23)의 전단부 쪽에서 돌출되는 전방 힌지(235a)와, 상기 박스 커버(23)의 후단부 쪽에서 돌출되는 후방 힌지(235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힌지(235a)는 상기 사이드 월(24)의 전방 힌지홈(242a)에 안착되고, 상기 후방 힌지(235b)는 상기 사이드 월(24)의 후방 힌지홈(242b)에 안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후방 힌지(235b)는 상기 전방 힌지(235a) 보다 소정 길이(h)만큼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전방 힌지홈(242a)과 후방 힌지홈(242b)의 깊이는 동일한 반면, 상기 수납 박스(21)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낮게 하향 경사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사이드 월(24)에 형성된 상기 레일 가이드부(244)의 후측에 정의되는 상기 경사부(244a)로 인하여, 상기 수납 박스(21)가 하우징(22)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박스(21)의 후단이 전단보다 낮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박스 커버(23)의 저면이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박스 커버(23)의 후단부도 전단부보다 낮게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후방 힌지(235b)가 상기 전방 힌지(235a)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박스 커버(23)가 후방으로 갈수록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만일, 상기 후방 힌지홈(242b)이 상기 전방 힌지홈(242a)보다 깊게 함몰되도록 한다면, 상기 전방 힌지(235a)와 후방 힌지(235b)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납 박스(21)의 박스 롤러(216)가 상기 경사부(244a)를 벗어나서 수평한 레일 가이드부(244)에 진입하는 순간 상기 박스 커버(23)의 상면은 수평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박스 커버(23)의 양 측면 하단부에는 커버 레일(236)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박스 커버(23)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레일(236)에는 리프트 홈(237)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리프트 홈(237)은, 상기 리프팅 부재(25)가 안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함몰부로서, 상기 전방 리프트(251)의 돌출되는 부분이 삽입되는 전방 리프트 홈(237a)과, 상기 후방 리프트(252)의 돌출되는 부분이 삽입되는 후방 리프트 홈(237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리프트 홈(237a)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리프트 홈(237a)의 하측에 형성된 홈에 상기 전방 리프트(251)의 돌출 부분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리프트 홈(237b)은 상기 커버 레일(236)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단차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후방 리프트 홈(237b)은, 전방 리프트 홈(237a)과 달리, 상측으로 볼록하게 단차진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 또는 라운드지는 형태가 아니라, 후단부가 개구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방 리프트 홈(237b)은, 상기 커버 레일(236)이 상측으로 절곡된 후 상기 박스 커버(23)의 후단부까지 연장되는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후방 리프트 홈(237b)의 후단부는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리프트 홈(237b)은 상기 후방 리프트(252)의 일부분만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레일(236)의 후단부는 상기 후방 리프트(252)의 상면 일부만 덮기 때문에, 상기 수납 박스(21)를 세게 밀어 넣더라도, 상기 커버 레일(236)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 리프트(252)에 부딪혀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 커버(23)의 저면에는 가스켓 홈(238)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 홈(238)에는 가스켓(27)이 삽입된다.
도 11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월(24)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직립하여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월(24)의 상면에 상기 수납 테이블(100)이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 테이블(100)을 구성하는 프레임(100a)이 상기 사이드 월(24)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패널(100b)은 상기 프레임(100a)에 안착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단부에는 상기 수납 박스(21)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는 플랜지(217)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박스 커버(23)의 커버 레일(236)이 밀착된다. 즉, 상기 커버 레일(236)이 상기 플랜지(217)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박스 커버(23)의 저면에 장착되는 상기 가스켓(27)은 상기 플랜지(217)에 밀착되어, 상기 수납 박스(21) 내부 공간이 완전히 밀폐되도록 한다.
도 12는 수납 박스가 하우징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수납 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수납 박스(21)가 하우징(22)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리프트(251)는 전방 리프트 홈(237a)에 수용되고, 후방 리프트(252)는 후방 리프트 홈(237b)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리프트(251)의 폭이 후방 리프트(25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수납 박스(21)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방 리프트(252)가 상기 전방 리프트 홈(237a)에 빠지지 않고 지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후방 리프트(252)가 전방 리프트홈(237a)에 빠지면, 수납 박스(21)의 인출 과정에서 박스 커버(23)와 부딪혀서 소음을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납 박스(21)가 잠깐동안 걸려서 인출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사용자가 더 큰 힘으로 수납 박스를 잡아당겨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후방 리프트(252)의 폭이 적어도 전방 리프트홈(237a)의 하단부 폭보다 넓게 설계되어, 상기 후방 리프트(252)가 상기 전방 리프트 홈(237a)을 부드럽게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리프트들(251,252)의 전면 상측 모서리와 후면 상측 모서리도 곡면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리프트들(251,252)이 리프트홈들(237a,237b)로부터 소음없이 부드럽게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박스(21)가 하우징(22)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힌지(25)는 상기 사이드월(24)의 힌지홈(242)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박스 커버(23)의 상면은 수평선(H)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소정 각도(θ) 만큼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박스(21)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전방 리프트(251)와 후방 리프트(252)는 각각 상기 전방 리프트 홈(237a)과 후방 리프트 홈(237b)을 벗어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들(251,252)의 상면은 상기 박스 커버(23)의 커버 레일(236)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수납 박스(21)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커버 레일(236)과 상기 수납 박스(21)의 플랜지(217)는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된다. 상기 이격 거리(d)는, 상기 수납 박스(2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리프트 부재(25)가 돌출되는 높이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 박스(21)가 인출되면, 상기 커버 힌지(235)는 상기 힌지홈(242)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d) 만큼 이격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박스 롤러(216)가 상기 경사부(244a)를 따라 이동할 때는 상기 박스 커버(23)의 상면은 수평선(H)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박스 롤러(216)가 상기 경사부(244a)를 벗어나는 순간 상기 박스 커버(23)의 상면은 수평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수납 박스(21)가 상기 하우징(22)으로부터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리프트(251)는 상기 박스 커버(23)에 의하여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세히, 상기 수납 박스(21)가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방 리프트(25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전방 리프트(251)가 파손되거나 상기 전방 리프트(251)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오토 클로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40)은, 상기 하우징(22)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베이스(41)와, 힌지축(47)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헤드(42)와, 상기 래치 헤드(4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래치 바디(43)와, 상기 래치 바디(43)에 결합되는 스프링(46) 및 상기 수납 박스(21)의 바닥부(211) 후단에 고정되는 걸림 부재(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 부재(48)는 상기 수납 박스(21)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1)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 바디(43)는, 상기 래치 헤드(42)와 다관절 결합되는 제 1 바디(44)와, 상기 제 1 바디(44)에 연결되는 제 2 바디(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6)은 상기 제 1 바디(44)에 끼워진다.
상기 수납 박스(21)가 상기 하우징(2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부재(48)가 상기 래치 헤드(42)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 헤드(42)와, 힌지축(43)과, 래치 바디(43) 및 상기 스프링(46)의 결합체를 래치 부재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40)은, 크게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1)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1)에 놓이는 래치 부재 및 상기 수납 박스(21)에 고정되어 상기 래치 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 부재(48)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 부재(48)는, 전면이 상기 수납 박스(21)의 바닥부(211) 후단에 고정되는 브라켓(481)과, 상기 브라켓(481)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482)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48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브라켓(481)의 후면에서 연장되는 후크(4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크(483)의 일 측면에는 래치 홈(483a)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1)는, 상기 하우징(22)의 바닥면과 상기 수납 박스(21)의 바닥부(211)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정도의 높이로 돌출되고, 상면에는 슬라이딩면(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48)의 가이드 리브(482)는 상기 슬라이딩 면(411)에 접촉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41)의 상면에는 n자 형태의 구획 리브(412)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 리브(412)의 내측은 래치 수용부(413)로 정의되고, 외측은 상기 슬라이딩면(411)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수용부(413)의 전단부는 개구되어, 상기 후크(483)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 리브(412)의 일 측면은 단차져서 걸림턱(4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래치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래치 헤드(42)에는 상기 힌지축(47)이 관통삽입되는 힌지홀(4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헤드(42)는, 상기 힌지홀(423)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후크(483)에 형성된 상기 래치홈(483a)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4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 헤드(42)는, 상기 힌지홀(423)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걸림 돌기(421)의 연장 방향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치 바디 연결부(422)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 바디 연결부(422)의 단부에는 소정 곡률로 부드럽게 라운드지는 래치 바디 접촉면(4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421)의 일 측면에는 가이드 돌기(4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바디 연결부(422)와 상기 걸림 돌기(421)는 걸림판(42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래치 헤드(42)는 상기 힌지축(4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래치 헤드(4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래치 부재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래치 헤드(42)의 외주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림 돌기(421)와 상기 래치 바디 연결부(422)가 교차하는 모서리 부위에 스토퍼(427)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헤드(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427)가 상기 구획 리브(412)의 걸림턱(414)에 걸리면 상기 래치 헤드(42)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래치 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헤드(42)의 래치 바디 연결부(422)에 면접촉되어 연결되는 제 1 바디(44)와, 상기 제 1 바디(44)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바디(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바디(44)는, 조인트 헤드(441)와 조인트 실린더(4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인트 헤드(441)는 단면이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주면이 상기 래치 바디 연결부(422)의 래치 바디 접촉면(425)에 면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래치 헤드(42)가 회전할 때, 상기 조인트 헤드(441)의 원주면이 상기 래치 바디 접촉면(425)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 1 바디(44)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실린더(442)는 상기 조인트 헤드(441)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고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다각형 통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바디(45)는, 상기 조인트 실린더(442) 내부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지지 보스(454)와, 상기 지지 보스(454)의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451)와, 상기 지지부(45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지지 보스(454)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압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451)는, 상기 구획 리브(412)의 모서리 부위에 면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구획 리브(412)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는 곡면부(451a)와, 상기 곡면부(451a)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직선부(45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 1 바디(44)가 회전할 때, 상기 곡면부(451a)는 상기 구획 리브(412)의 모서리부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고, 상기 직선부(451b)가 상기 구획 리브(412)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래치 바디(43)는 회전 가능하다.
또한, 가압부(452)는, 상기 수납 박스(21)가 인입될 때 상기 후크(483)에 의하여 가압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452)의 단부에는 한 쌍의 간섭 돌기(453)가 연장되고, 그 사이에 간섭홈(4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홈(455)에는 상기 래치 헤드(42)의 걸림판(426)이 삽입된다. 상기 걸림판(426) 부분은 항상 상기 간섭홈(455)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래치 바디(43)와 래치 헤드(42)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 바디(43)가 상기 래치 헤드(42)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클로징 유닛(40)의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박스(21)가 상기 하우징(22)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483)가 상기 래치 부재에 걸린 상태가 되어, 상기 수납 박스(21)는 언제나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보스(445)가 상기 조인트 실린더(442)로부터 약간 빠져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6은 수납 박스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오토 클로징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박스(21)가 하우징(22)으로부터 인출되기 시작하면, 상기 걸림 부재(48)가 상기 수납 박스(21)와 한 몸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후크(483)가 사기 래치 헤드(42)의 걸림 돌기(421)를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래치 헤드(42)를 상기 힌지축(4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래치 헤드(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 바디(43)는 상기 지지부(45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래치 바디(43)는 상기 구획 리브(412)의 모서리부에 밀착된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치 헤드(42)가 계속 회전하여, 상기 래치 바디 연결부(422)와 상기 래치 바디(43)가 일직선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헤드(42)의 스토퍼(427)가 상기 구획 리브(412)의 걸림턱(414)에 걸리게 되고, 동시에 상기 지지부(451)의 직선부(451b)가 상기 구획 리브(412)의 직선 부분에 밀착되어, 상기 래치 헤드(42)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46)이 최소 길이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프링(46)에 축적된 복원력이 최대가 된다.
또한, 이 상태는 이미 상기 걸림 돌기(421)가 상기 후크(483)의 래치 홈(483a)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수납 박스(21)를 전방으로 더 당기면, 상기 걸림 부재(48)는 상기 래치 부재를 벗어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수납 박스(21)를 상기 하우징(22) 내부로 밀어넣기 위해서 후퇴시키면, 상기 후크(483)는 상기 래치 부재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상기 후크(483)가 상기 가압부(452)를 밀면, 상기 래치 헤드(4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 바디(4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직선 상태에 있던 래치 부재는 상기 조인트 헤드(441)를 기점으로 절곡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6)이 원위치로 신장되기 시작한다.
상기 래치 헤드(42)와 래치 바디(43)의 절곡 상태가 어느 시점을 넘어서면, 상기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수납 박스(21)를 밀어넣는 힘이 제거되어도 자동으로 도 15의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수납 박스(21)가 상기 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완전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수납 박스(21)를 하우징(22) 내부로 완전히 밀어넣기 전에 닫힘력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수납 박스(21)가 완전히 닫히게 되어, 수납 박스(21)의 밀폐력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직립하는 사이드 월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월의 상면에는 전방 힌지홈과 후방 힌지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양 측면 상단이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양 측면 상단에는 전방 리프트와 후방 리프트가 돌출되는 수납 박스;
    상기 수납 박스의 상면을 덮으며, 하단부가 상기 수납 박스의 상단부와 밀착되도록 경사지는 박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커버는,
    양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방 힌지홈과 후방 힌지홈에 각각 안착되는 전방 힌지 및 후방 힌지;
    양 측면 하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박스 커버의 상면과 접촉하는 커버 레일; 및
    상기 커버 레일의 어느 지점에서 상기 커버 레일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납 박스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리프트와 상기 후방 리프트가 각각 삽입되는 전방 리프트 홈과 후방 리프트 홈을 포함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부 외면의 중앙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내면의 중앙에 배치되는 오토 클로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토 클로징 유닛은,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부 후단에 구비되는 걸림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후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둘러지는 구획 리브와,
    상기 구획 리브의 내측 공간에 해당하는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걸림 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래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수납 박스에 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획 리브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리브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브라켓의 어느 지점에서 연장되며, 측면에 래치 홈이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리프트의 폭은, 적어도 상기 전방 리프트 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래치 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래치 헤드와,
    일단이 상기 래치 헤드와 맞닿고, 타단이 상기 구획 리브의 모서리 부위에 닿는 래치 바디, 및
    상기 래치 바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바디는,
    상기 래치 헤드와 면접촉하는 조인트 헤드와, 상기 조인트 헤드로부터 연장되고 내부가 빈 통 형상의 조인트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 1 바디; 및
    일단이 상기 조인트 실린더에 요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보스와, 상기 지지 보스의 타단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획 리브의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라운드지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 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조인트 실린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헤드와 상기 래치 바디가 상기 조인트 헤드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꺾인 상태이고,
    상기 래치 헤드의 걸림 돌기는 상기 래치 홈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박스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 헤드와 상기 래치 바디가 회전하여 일직선 상태가 되고, 상기 스프링은 축소되어 최대의 복원력이 상기 스프링에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박스 어셈블리.
  8.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 공간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납 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40168615A 2014-11-28 2014-11-28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5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615A KR101654994B1 (ko) 2014-11-28 2014-11-28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615A KR101654994B1 (ko) 2014-11-28 2014-11-28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93A KR20160064693A (ko) 2016-06-08
KR101654994B1 true KR101654994B1 (ko) 2016-09-06

Family

ID=5619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615A KR101654994B1 (ko) 2014-11-28 2014-11-28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352867U (zh) * 2022-06-24 2023-01-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预埋盒组件及制冷设备
CN115014038A (zh) * 2022-07-11 2022-09-06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用多功能储物盒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103B1 (ko) * 2008-12-10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서랍장치
KR20140013718A (ko) * 2012-07-26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닫힘장치를 적용한 냉장고의 진공 밀폐야채실
KR101398460B1 (ko) * 2012-09-18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채실 드로워에 밀폐유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93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135B1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10690401B2 (en) Refrigerator
CN106461312B (zh) 冰箱
KR100827777B1 (ko) 냉장고의 야채실 개폐구조
KR102440261B1 (ko) 냉장고
US8454103B2 (en) Refrigerator
KR100621110B1 (ko) 냉장고
US11015863B2 (en) Refrigerator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RU2517230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выдвижным контейнером
KR101654994B1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814690B1 (ko) 도어 선반 높이 연장 커버를 구비한 냉장고
KR102445184B1 (ko) 냉장고
KR102456241B1 (ko) 냉장고
JP3927983B2 (ja) 冷蔵庫
KR101803625B1 (ko) 냉장고
KR100624674B1 (ko) 냉장고
JP4406670B1 (ja) 冷蔵庫
KR100821560B1 (ko) 식품저장고
KR100632502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KR20150109946A (ko) 서랍식 김치냉장고
KR20210027913A (ko) 냉장고
KR20060036589A (ko) 냉장고 도어바스켓
KR19990032725U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