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589A - 냉장고 도어바스켓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589A
KR20060036589A KR1020040085606A KR20040085606A KR20060036589A KR 20060036589 A KR20060036589 A KR 20060036589A KR 1020040085606 A KR1020040085606 A KR 1020040085606A KR 20040085606 A KR20040085606 A KR 20040085606A KR 20060036589 A KR20060036589 A KR 2006003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main body
adjustment guide
refrigera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항복
김선규
곽상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6589A/ko
Publication of KR2006003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 가이드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은, 적어도 저면과 양측면이 형성되어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30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방으로 연장가능한 높이조절가이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300)와 높이조절가이드(400)의 양측면 일측에는 함몰형성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42)과 상기 높이조절홈(342)에 안착되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를 고정하는 높이조절돌기(4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편의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도어, 도어바스켓, 높이조절, 걸림부

Description

냉장고 도어바스켓 { A door-basket of refrigerator }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구조를 도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요부구성인 높이조절가이드가 연장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도어 200. 도어바스켓
300. 본체 320. 통기구
340. 이동부 342. 높이조절홈
360. 걸림부 400. 높이조절가이드
420. 높이조절돌기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바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의 탈거를 방지하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의 상변화를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장고 내부에 저장되는 식품들을 냉동 또는 냉장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들어서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다양한 기능과 대형을 선호하는 소비자 경향에 맞물려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대형 냉장고 중 대표적인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를 살펴보면,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식품을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10)과 식품을 저온으로 보관하는 냉장실(20)로 구분된다.
상기 냉장실(20)과 냉동실(10)은 각각을 차폐하는 도어(3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되어지고, 상기 도어(30)는 양측단부가 냉장고의 전면 양측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양측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에는 홈바와 디스펜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내부의 냉장실(20)과 냉동실(10)에는 다양한 식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개의 서랍(40)과 선반(50)들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30)의 내측에도 다수개의 선반(50)과 도어바스켓(6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60)은 음료수병이나 캔 등 주로 세워서 보관하는 식품들을 보관하는 것으로 제품의 설계시에 그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출시된다. 따라서, 높이가 높은 식품들의 수납시에는 상기 도어(30)가 회동할 때 식품들이 전복되어 상기 도어바스켓(6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0432733호가 있다. 이를 도 2 와 도 3 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도어바스켓(60)은 냉장고의 도어(30) 이면에 장착되어 적어도 저면과 양측면을 포함하는 본체(62)와, 상기 양측면의 전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커버(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64)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서로 내측을 향하는 슬라이딩돌기(64a)가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64a)가 결합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홈(64a)이 상기 본체(62)의 양측면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64)에 의하여 전면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면커버(64)는 상기 슬라이딩돌기(64a)와 슬라이딩홈(64a)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62)의 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커버(64)는 슬라이딩을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상기 전면커버(64)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할때 상기 전면커버(64)가 상기 본체(62)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도어바스켓(60) 내부의 식품들의 수납상태가 불량해지거나 상기 전면커버(64)의 분실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돌기(64a)와 슬라이딩홈(64a)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64)를 상방으로 슬라이딩 한 후에 높이를 고정하는 별도의 기구가 없어 상기 도어(30)의 회동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서 상기 전면커버(64)가 다시 하방으로 내려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커버(64)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64)의 상하방 슬라이딩을 조작하는데 있어서도 다소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와 높이조절가이드의 양측면에 높이조절돌기와 다수개의 높이조절홈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의 탈거를 방지하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바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저면과 양측면이 형성되어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방으로 연장가능한 높이조절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와 높이조절가이드의 양 측면 일측에는 함몰형성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과 상기 높이조절홈에 안착되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를 고정하는 높이조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돌기 중 상기 본체의 최상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돌기의 상측에는 상기 높이조절돌기가 탈거되지 않도록 돌출형성된 걸림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전면상단과 양측면 상단 일부를 따라서 외측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손으로 잡을 수 있는 직경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조절가이드의 높이조절이 보다 용이해지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지고, 원하는 높이에서의 고정이 용이하며, 탈거가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은 냉장고의 크기와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되며 다양한 냉장고에 적용가능하므로 전체적인 냉장고의 구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상기한 일반적인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의 대형 냉장고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전면을 구성하며 측방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도어(100)의 이면에는 도어바스켓(200)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바스켓(200)은 일반적으로 음료수병 또는 캔 등을 세워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을 수용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에 수납되는 식품이 전복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지지하는 높이조절가이드(4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식품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300)는 적어도 저면과 양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서 전면과 후면은 개구되기도 한다.
상기 본체(300)는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인식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면에는 냉기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통기구(320)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는 상기 본체에 수납되어진 식품중 길이가 긴것이 수납되거나 다수개의 식품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300)에서 상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는 상기 본체(300)의 전면과 양측면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300)의 전면 상단부와 양측면 상단부를 따라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 양측면의 후단부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된후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300)의 측면과 접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는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도록 전체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 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 (400)는 사각단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는 단면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바스켓(200)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도어(100)의 이면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00) 이면의 양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에 상기 돌기와 형합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바스켓(200)을 상기 도어(100)의 이면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정면도로서, 이하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도어바스켓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 중 일측은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은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과 전후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거나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 중에서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 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하단부에는 외측(도 5 에서 볼 때 우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된 높이조절돌기(420)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돌기(420)는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돌기(420)의 단부는 그 단면이 대략 반원 형 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300) 양측면의 내측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300)의 내측 양측면 하부는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돌기(42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3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40)의 외측(도 5 에서 볼 때 우측)에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42)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홈(342)은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연장할 때 상기 높이조절돌기(420)가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홈(342)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돌기(420)가 안착됨으로써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42)은 이동부(340)의 외측(도 5 에서 볼 때 우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형성된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돌기(420)의 단부와 형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들 각각은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42) 중에서 가장 상방에 형성된 높이조절홈(342)의 상측에는 걸림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60)는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가 상방으로 인출되어 연장될 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30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60)는 상기 높이조절돌기(420)의 길이만큼 돌출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가 최대한 상방으로 인출되었을때 상기 높이조절돌기(420)의 상면이 상기 걸림부(360)의 저면과 접하여 상기 높이조절돌기(420)를 구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340)를 제외한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은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내측과 접하거나 거의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상방인출에 의한 높이조절가이드(400) 높이의 연장시에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바스켓(200)에 일반적인 크기의 음료수병 또는 캔 등이 수납되어질 때에는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는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로 사용되어지며, 이때 상기 높이조절돌기(420)는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42) 중에서 최하방에 외치한 높이조절홈(342)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바스켓(200)에 비교적 길이가 긴 음료수병 또는 캔 등과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식품들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식품들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높이를 연장시켜야 한다.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높이를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를 파지한 다음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를 상방으로 당겨서 인출하게 된다. 이때 최하방의 높이조절홈(342)에 안착되어 있던 상기 높이조절돌기(420)는 상기 이동부(340)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에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인출을 멈추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돌기(420)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높이조절홈(342)에 안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를 최대한 인출하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돌기(420)는 상기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42) 중에서 최상방에 형성된 높이조절홈(342)에 안착되며, 이때 상기 높이조절돌기(420)의 상면은 상기 걸림부(360)의 저면과 접촉하여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가 더 이상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가 최대한 인출되면 상기 도어바스켓(200)의 저장공간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상기 도어바스켓(200)에 길이가 긴 식품이나 다수개의 식품들을 적층하여 보관할 때에도 식품들이 전복되거나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요부구성인 높이조절가이드가 연장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는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와 본체(300)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바스켓(200)을 이동시키거나 도어(100)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로 이용가능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를 다시 하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높이조절돌기(420)는 상기 이동부(340)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최하방의 높이조절홈에 위치되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는 다시 완전히 인입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 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상기 본체(300)의 양측면 내측에 높이조절홈(342)이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외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돌기(420)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300)에 높이조절홈(342)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에 높이조절돌기(4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높이조절홈(342)과 높이조절가이드(400)가 상호작용할 수 있다면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본체(300)에 높이조절돌기(420)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400)에 높이조절홈(342)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바스켓에서는, 본체와 높이조절가이드에 각각 다수개의 높이조절홈과 높이조절돌기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연장할때 상기 높이조절돌기가 상기 높이조절홈에 안착되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도어의 회동 또는 외부충격에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도어바스켓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가 최대한 인출될 때 상기 높이조절돌기가 더이상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가 상 방으로 인출시에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사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직경을 가진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의 인출/입은 물론 상기 도어바스켓의 운반이나 탈부착도 한층 더 용이해지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적어도 저면과 양측면이 형성되어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방으로 연장가능한 높이조절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와 높이조절가이드의 양측면 일측에는 함몰형성된 다수개의 높이조절홈과 상기 높이조절홈에 안착되어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를 고정하는 높이조절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바스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돌기 중 상기 본체의 최상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돌기의 상측에는 상기 높이조절돌기가 탈거되지 않도록 돌출형성된 걸림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바스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전면상단과 양측면 상단 일부를 따라서 외측으로 다소 돌출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바스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손으로 잡을 수 있는 직경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바스켓.
KR1020040085606A 2004-10-26 2004-10-26 냉장고 도어바스켓 KR20060036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606A KR20060036589A (ko) 2004-10-26 2004-10-26 냉장고 도어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606A KR20060036589A (ko) 2004-10-26 2004-10-26 냉장고 도어바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589A true KR20060036589A (ko) 2006-05-02

Family

ID=3714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606A KR20060036589A (ko) 2004-10-26 2004-10-26 냉장고 도어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6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6259A (zh) * 2016-04-06 2021-12-10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制冷器具的有基体和附加件的门搁架及家用制冷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6259A (zh) * 2016-04-06 2021-12-10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家用制冷器具的有基体和附加件的门搁架及家用制冷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285B2 (en) Refrigerator
US8864252B1 (en) Tilt out and removable door storage
JP5656751B2 (ja) 冷蔵庫
KR20100122229A (ko) 냉장고
JP4778993B2 (ja) 冷蔵庫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KR101350056B1 (ko) 냉장고
EP2682699B1 (en) Tower pantry in refrigerator
KR101349999B1 (ko) 냉장고 홈바
KR20060036589A (ko) 냉장고 도어바스켓
KR20080006268U (ko) 냉장고
KR101654994B1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35714Y1 (ko) 김치냉장고용 와인케이스
KR100751149B1 (ko) 냉장고 틸팅바스켓
KR20090078390A (ko) 냉장고
KR200319649Y1 (ko) 다목적 냉장고
KR100555761B1 (ko) 김치냉장고
KR200171453Y1 (ko) 냉장고의 병 가드
KR20050051324A (ko) 냉장고의 홈바
KR19980072591A (ko) 전면이 개폐가능한 서랍
KR20060030563A (ko) 냉장고 선반의 높이조절 구조
KR102036281B1 (ko) 냉장고
KR100834107B1 (ko) 도어바스켓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어셈블리
KR200165904Y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커버 구조
KR20080040999A (ko) 냉장고용 보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