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685B1 - 벽체 선반 - Google Patents

벽체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685B1
KR101541685B1 KR1020150016194A KR20150016194A KR101541685B1 KR 101541685 B1 KR101541685 B1 KR 101541685B1 KR 1020150016194 A KR1020150016194 A KR 1020150016194A KR 20150016194 A KR20150016194 A KR 20150016194A KR 101541685 B1 KR101541685 B1 KR 10154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lt
nut
finish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플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플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플라인
Priority to KR102015001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47B96/028Cantilever 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되는 다수의 걸이볼트; 상기 걸이볼트에 끼워져 걸림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선반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벽면에 밀착되는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폭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볼트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부의 선단은 상기 너트부에 끼워져 나사체결되고, 상기 볼트부의 후단에는 상기 너트부의 진입을 차단하는 턱이 형성되며, 상기 턱의 후단에는 둘레를 따라 요철이 형성된 볼트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부의 후단에도 상기 볼트노브와 동일한 형태의 너트노브가 구비되며, 상기 턱과 볼트노브 사이 및 상기 너트부와 너트노브 사이에는 각각 걸이부가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체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ㄴ' 형상의 걸이홈을 구비하여, 상기 걸이홈이 상기 걸이부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걸이홈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걸이홈이 형성된 측판의 하단이 고정프레임의 접지판에 접촉지지되는 회동점 1지점과 접촉점 1지점으로 이루어진 2개의 고정점을 통해 고정되게 구성된 벽체 선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벽체 선반{WALL SHELF}
본 발명은 벽체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 등에서 마감된 벽면에 쉽고 편리하게 장탈착할 수 있고, 하나의 선반걸이공만을 가지고도 걸어고정할 수 있어 부분적인 교체가 편리한 벽체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시공 후 콘크리트 내벽면은 마감재로 마감처리된다.
전통적인 마감재로는 타일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미장 후 붙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크기도 제한적이라 시공성, 작업성, 시공기간, 비용측면 등에서 많이 불리하므로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감 패널은 판상의 부재로서, 벽체에 떼고 붙일 수 있는 구조여서 마감작업이 편리하고, 타일 부착 방식에 비해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타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도 비용을 줄일 수 있어 많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마감 패널들은 통상 볼트를 이용하여 벽면에 체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일이 볼트를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이또한 만만치 않은 작업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마감 패널은 비단 콘트리트 벽체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고, 엘리베이터 내벽 마감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볼트 체결상의 불편을 해소한 예로, 공개특허 제1995-0032937호(1995-12-22) '벽면 장식 장치', 등록실용 제0300353호(2002-12-26) '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 등과 같이 끼움 조립식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끼움 조립식의 경우에는 작업성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유지 보수나 혹은 부분 교체를 원할 때 전체를 다 빼낸 다음 다시 작업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국부적인 교체가 어렵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다른 예로, 공개특허 제2012-0045593호(2012-05-09) '건물 벽면의 마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감시공방법'에서는 벽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레임에 다수의 슬릿형 홈을 형성한 다음 패널의 조립면에 상기 슬릿형 홈에 끼워져 걸림되는 다수의 후크형 걸이구를 구비하여 볼트 체결없이 단순히 후크형 걸이구를 슬리형 홈에 끼워 거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의 경우에도 조립하기는 쉽지만 패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후크형 걸이구가 모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등을 위해 패널이 벽체를 구성한 상태에서 중간 일부만을 분리 취출하고자 할 때 쉽게 분리할 수 없는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때문에, 유지 보수나 디자인 변경 등을 위해 국부적으로 마감 패널을 교체하고자 할 때 부득이하게 주변 다수의 마감 패널들을 모두 분리해내야만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시 다른 마감 패널들에 스크래치 등 상처를 입힐 수 있어 미관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 패널중 일부는 선반으로 대체하여 벽체 선반을 구성함으로써 특히 매장 등에서 상품을 올려 놓고 진열하는 용도로 활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선반도 상술한 마감 패널과 같은 장탈착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탈착시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선반은 물건이 올려지기 때문에 고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상술한 공개특허 제2012-00455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체결구조, 이를 테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후크형 걸이구가 모두 구비되어 있고, 이들 모두를 벽체에 각각 동시에 걸어 고정하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문에, 상,하 두 개의 후크형 걸이구를 벽체 상에 구비된 걸이구멍에 동시에 끼워 맞춰 걸거나 분리해 내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어려운 작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존과 달리 걸이구는 벽체에 구성하고, 선반에는 하나의 걸이홈만을 구비하고도 견실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여 장탈착의 용이성을 확보함은 물론 시공 설치가 간단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벽체 선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마감판, 이를 테면 간접 조명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조명판과의 조합 설치를 통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킨 벽체 선반을 제공함에도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면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되는 다수의 걸이볼트; 상기 걸이볼트에 끼워져 걸림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선반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벽면에 밀착되는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폭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볼트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부의 선단은 상기 너트부에 끼워져 나사체결되고, 상기 볼트부의 후단에는 상기 너트부의 진입을 차단하는 턱이 형성되며, 상기 턱의 후단에는 둘레를 따라 요철이 형성된 볼트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부의 후단에도 상기 볼트노브와 동일한 형태의 너트노브가 구비되며, 상기 턱과 볼트노브 사이 및 상기 너트부와 너트노브 사이에는 각각 걸이부가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체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ㄴ' 형상의 걸이홈을 구비하여, 상기 걸이홈이 상기 걸이부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걸이홈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걸이홈이 형성된 측판의 하단이 고정프레임의 접지판에 접촉지지되는 회동점 1지점과 접촉점 1지점으로 이루어진 2개의 고정점을 통해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선반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평판의 선단쪽 장변 상에는 라운드 절곡된 상해방지편이 더 형성되고, 후단쪽 장변 상에는 진열된 물건이나 상품들이 뒤로 넘어가 떨어지지 않도록 걸림편이 돌출되게 절곡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걸이볼트의 볼트노브 및 너트노브의 후단면 상에는 렌치홈이 요입되게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이볼트에는 상기 선반체와 병행설치되는 다수의 마감판이 더 걸려 배열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마감판은 배면 상측과 하측에 탄성클립 또는 'ㄱ'형상의 걸고리가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걸이볼트의 걸이부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마감판의 배면 상단 또는 하단에 각 마감판들간의 간격유지 및 모양형성용 상부모양편 또는 하부모양편이 각각 또는 함께 구비되며; 상기 마감판은 상부판, 중간판, 하부판으로 구분되어 벽면의 최하단에는 하부판이 장착되고, 벽면의 최상단에는 상부판이 장착되며, 상기 벽면의 최하단과 최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중간판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판과 중간판의 배면 상측 양단부에는 탄성클립이 고정되고, 배면 하측 양단부에는 걸고리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판의 배면 상측과 하측 양단부에는 모두 탄성클립이 고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마감판은 판의 배면을 일정크기의 홈 형태로 파내 중량을 줄이고, 상기 홈의 양측에 고정편을 부착하며, 상기 고정편 상에 상기 탄성클립 또는 걸고리를 장착하고, 상기 상부모양편 또는 하부모양편은 각각 상기 고정편의 각 상단 혹은 각 하단에 볼트나 나사로 체결고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판은 조명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판은 배면에 상기 탄성클립 또는 걸고리를 구비하고 하부모양편을 구비한 후판; LED와 이미지를 내장하여 LED 발광시 이미지가 비치도록 한 도광판체; 및 상기 도광판체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판이 상호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광판체는 상기 전판 쪽으로 배치되는 투명한 PC판과, 상기 PC판의 배면에 접지되는 그림, 글씨, 문양, 사진을 포함한 조명용 이미지와, 상기 PC판의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전판자석과, 상기 이미지의 배면에 구비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4변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도광판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과, 상기 도광판의 배면에서 테두리부에만 부착되는 포멕스와, 상기 포멕스 중 일부를 관통하고 상기 도광판 상에 고정되는 후판자석과, 상기 도광판의 장변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판 또는 선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키며, 시공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걸이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선반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하므로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효과와, 부분적으로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혹은 유지 보수를 위해 국부적으로 교체하고자 할 때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LED를 내장한 조명판을 병합 구성하여 간접 조명 효과 및 그에 따른 인테리어 효과도 높이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마감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감예에서 고정프레임 및 걸이볼트를 상세하게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과 병행 설치가능한 벽면 마감판의 설치예를 정면에서 본 부분적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과 병행 설치가능한 벽면 마감판의 마감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과 병행 설치가능한 마감판의 후방측을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과 병행 설치가능한 마감판의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과 병행 설치가능한 마감판들로 마감된 마감 벽체를 보인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의 다른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과 병행 설치가능한 LED 조명판의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매장을 포함한 실내 벽체를 구성하는 벽면 마감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은 상기 벽면 마감체 상에 벽면 마감판과 병행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벽면 마감체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벽면 마감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벽면(W)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벽면(W)은 콘크리트면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앞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하였듯이 엘리베이터와 같은 금속판으로 된 내벽면은 물론 인테리어가 필요하거나 혹은 깔끔한 마감이 필요한 벽면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벽면을 예시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벽면(W) 상에서의 고정구조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통상의 앵커식 고정구조 혹은 콘크리트못을 이용한 고정구조 등을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벽면(W)에 밀착되는 접지판(110)과, 상기 접지판(110)의 일측면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판(120)으로 이루어져 대략 'ㅗ'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0)에는 볼트공(130)이 관통형성되는데, 상기 볼트공(130)은 상기 지지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볼트공(130)에는 걸이볼트(140)가 끼워진다.
그런데, 상기 걸이볼트(140)는 단순한 통상의 볼트 구조가 아니라, 한 쌍이 상호 체결되어 조립되는 독특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걸이볼트(14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142)와, 상기 볼트부(142)에 체결되는 너트부(144)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볼트부(142)의 선단은 상기 너트부(144)에 끼워지면서 나사 체결되는 것이고, 상기 볼트부(142)의 후단에는 상기 너트부(144)의 진입을 차단하는 턱(T)이 형성되며, 상기 턱(T)의 후단에는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이 형성된 볼트노브(N1)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부(144)의 후단에도 상기 볼트노브(N1)와 동일한 형태의 너트노브(N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턱(T)과 볼트노브(N1) 사이 및 상기 너트부(144)와 너트노브(N2) 사이에는 각각 걸이부(146)이 일정길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46)는 후술될 마감판(200)이 걸려 고정되는 부위이다.
아울러, 상기 너트부(144)는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볼트부(142)와 너트부(144)를 서로 긴밀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노브(N1) 및 너트노브(N2)의 각 후단면에는 렌치홈(L)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렌치홈(L)은 육각렌치를 끼워 상기 볼트부(142) 또는 너트부(144)를 용이하게 돌릴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볼트(140)를 설치할 때는 상기 볼트부(142)를 상기 지지판(120)의 볼트공(130)에 끼운다.
그러면, 상기 턱(T)이 상기 지지판(120)의 일측면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142)는 상기 볼트공(130)을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노출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144)를 상기 볼트부(142)에 끼워 조이게 되면 상기 턱(T)과 상기 너트부(144)는 상기 지지판(120)을 문(bite) 상태에서 긴밀하게 체결 고정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걸이볼트(140)는 상기 지지판(120) 상에 관통된 상태로 체결되어 있어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이볼트(140)에는 다수의 마감판(200)이 장착되어 벽면(W)을 마감처리하게 된다.
이때, 벽면(W)의 마감은 상기 마감판(200) 다수장을 장착하여 도 7에서 처럼 단순 마감하는 형태가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이 경우, 도 7에서, 상기 다수의 마감판(200)과 함께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선반체가 병행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200)에 그림, 문양, 글씨 등을 디자인하여 퍼즐 맞추듯이 조립하여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도 있고, 또한 쇼핑센터, 매장 등의 경우에는 신제품 출시시 제품소개, 제품이미지나 제품사진 등을 디자인하여 인테리어할 수도 있으며, 또한 회사 로고를 디자인하여 인테리어할 수도 있고, 또한 그 외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하여 인테리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판(200)은 벽면(W)의 최상단에 부착되는 상부판(210)과, 상기 벽면(W)의 최하단에 부착되는 하부판(230) 및 상기 상부판(210)과 하부판(230) 사이를 채우는 중간판(220)으로 크게 구별된다.
여기에서, 상기 마감판(200)을 이와 같이 3종류로 구분하는 이유는 이들 마감판들을 부착시킬 때 부착시키는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상기 마감판(200)은 상기 걸이볼트(140)에 걸려 조립될 때 적어도 3가지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것은 마감판(200)이 조립될 위치에 따라 모양성 및 기능성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200), 즉 상부판(210), 중간판(220) 및 하부판(230)의 배면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탄성클립(240) 혹은 걸고리(250)가 고정된다.
이때, 고정방식은 나사체결, 볼트체결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고정방식이 아니라, 탄성클립(240) 혹은 걸고리(250)가 판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이를 테면, 상기 상부판(210)과 중간판(220)의 경우에는 배면 하측 좌우에 한 쌍의 걸고리(250)가 구비되고, 배면 상측 좌우에는 한 쌍의 탄성클립(240)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하부판(230)의 경우에는 배면 하측 및 상측 모두의 좌우에 각각 한 쌍의 탄성클립(240)만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마감판의 위치에 따른 특성 때문인데, 먼저 이들 탄성클립(240) 혹은 걸고리(250)는 모두 앞서 설명한 걸이볼트(140)의 걸이부(146)에 걸림되는 부자재이다.
이중에서, 탄성클립(240)는 선단 개방부가 벌어져 있고, 후단으로 갈수록 좁아져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닫힐 수 있는 통상의 클립구조이며, 상기 걸고리(250)는 대략 'ㄱ' 형상의 후크이다.
때문에, 탄성클립(240)은 선단 개방부를 사기 걸이볼트(140)의 걸이부(146)에 대고 일정한 힘을 가해 누르게 되면 탄성변형되면서 딸깍하고 끼워진 채 걸려 고정되게 되며, 상기 걸고리(250)는 단순히 걸이부(146)에 걸치도록 걸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마감처리시 특별한 기능이 없는 상부판(210)이나 중간판(220)의 경우에는 탄성클립(240)과 걸고리(250)를 조합하여 하측의 걸고리(250)를 먼저 건 다음 이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시키면서 탄성클립(240)을 눌러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고, 분리시에도 탄성클립(240)을 먼저 탈착한 후 걸고리(250)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역회전시킨 다음 들어 빼내면 된다.
이때, 이러한 착탈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상부판(210)과 중간판(22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면 좋은데, 이를 위해 상부판(210)의 배면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부모양편(260) 및 하부모양편(270)이 구비된다.
덧붙여, 이들 상부모양편(260)과 하부모양편(270)은 상기와 같이 상부판(210)과 중간판(2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이를 통해 원거리에서 보았을 때 판들이 붙어 있는 것보다 약간 떨어지게 하여 미감, 즉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아울러, 중간판(220)의 경우에는 상부판(210)에 이미 하부모양편(270)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굳이 배면 상단에 상부모양편(260)을 갖출 필요가 없다.
때문에, 중간판(220)의 경우에는 하부모양편(270)만 구비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하부판(230)의 경우에도 상기 중간판(220)에 이미 하부모양편(270)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상기 하부판(230)도 중간판(220)처럼 하부모양편(270)만 갖추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모양편(260) 및 하부모양편(27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고, 단지 각 판들이 덧대어질 수 있는 부분과, 판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부분만 있으면 되며, 각각의 판들에 볼트 혹은 나사고정되는 타입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210) 및 중간판(220)과 달리 상기 하부판(230)이 탄성클립(240)들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마감판(200)의 경우 간접조명 효과를 위해 내부에 LED 등을 비롯하여 각종 전장부품들을 내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은 대부분 하부판(230) 내부를 거쳐 이루어지게 되는데, 만약 유지 보수를 위해 국부적으로 하부판(230) 만을 들어낼 경우 하부판(230)은 바닥부근에 위치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하부판(230)을 상술한 상부판(210)이나 중간판(220)처럼 회동시키기 어려울 때에는 하부판(230)을 분리할 수 없어 중간판(220)까지 들어 내야 하는 복잡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하부판(230)의 위쪽에 중간판(220) 대신 선반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선반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하부판(230)을 선반 하부에서 회동시키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할 때, 상기 하부판(230)은 단순히 눌러 끼워나 당겨 빼기 쉬운 단순 클립형 고정구조, 즉 탄성클립(240)만으로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210)과 중간판(220) 및 하부판(230)의 걸이 구조를 달리하고 있다.
한편, 상기 마감판(200)은 도 6과 같은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마감판(200)은 단순한 판상의 부재에 탄성클립(240), 걸고리(250), 상부모양편(260), 하부모양편(270) 등이 부착 설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중량을 최소화시키면서 다양한 미감표현이 가능하도록 구조화시킨 것이다.
예컨대, 도 6에 따르면, 판(PL)의 배면을 일정크기의 홈(H) 형태로 파내 중량을 줄이도록 하고, 홈(H)의 양측에 고정편(P)을 부착하며, 상기 고정편(P) 상에 상술한 탄성클립(240) 또는 걸고리(250)를 부착고정하도록 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부모양편(260) 또는 하부모양편(270)의 경우에는 각각 상기 고정편(P)의 각 상단 혹은 각 하단에 볼트나 나사로 체결고정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홈(H)의 크기만큼 살을 뺄 수 있어 그만큼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마감판(200)은 도 11의 예시와 같은 조명판(400)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마감판(200)은 상술한 여러 종류를 병합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한 종류로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1에 예시된 조명판(400)의 경우는 이를 테면, LED 발광액자와 같은 것으로, 심미감을 높여 인테리어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시된 조명판(400)은 크게 후판(410), 도광판체(420) 및 전판(430)으로 이루어져 상호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후판(410)은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고, 상기 도광판체(420)가 상기 후판(410) 속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후판(410)의 개방부 반대면에는 앞서 설명한 탄성클립(240) 또는 걸고리(250)를 구비하고 하부모양편(270)이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후판(410)의 판면에는 다수의 방열구멍(412)이 형성되어 열을 방출시킴으로써 상기 도광판체(42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판(430)은 상기 후판(410)과 반대로 배열되나, 일종의 틀 형태로서 테두리만 남기고 중앙 부분이 뚫려 있는 구조이다.
물론, 뚫려 있는 것만 빼고 상기 후판(410)과 같은 박스형이다.
때문에, 상기 도광판체(420)의 일부는 상기 전판(430)에 끼워진다. 다시 말해, 테두리가 끼워져 안착된다.
한편, 상기 도광판체(4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LED를 내장하여 조명할 수 있는 판체로서, 도 11에 확대도시한 단면도에서와 같이, 전판(430) 쪽으로 배치되는 투명한 PC판(422)과, 상기 PC판(422)의 배면에 접지되는 그림, 글씨, 문양, 사진 등과 같은 조명하기 위한 이미지(423)와, 상기 PC판(422)의 모서리부에 고정되는 전판자석(424)과, 상기 이미지(423)의 배면에 구비되는 도광판(425)과, 상기 도광판(425)의 4변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도광판(425)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판(426)과, 상기 도광판(425)의 배면에서 테두리부에만 부착되는 포멕스(427)와, 상기 포멕스(427) 중 일부를 관통하고 상기 도광판(425) 상에 고정되는 후판자석(4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425)의 장변 상측과 하측에는 서로 평행하게 LED가 설치되어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PC판(422)은 폴리카보네이트판을 말하며, 상기 포멕스(427)는 PVC 발포시트를 말한다.
그리하여, 상기 도광판체(420)를 후판(410)에 삽입시키면 도광판체(420)의 네 모서리에 고정된 후판자석(428)에 의해 도광판체(420)가 후판(410)에 삽입된 채 자력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도광판체(420)가 후판(410)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남은 두께 부분에 전판(430)을 덮어 틀체인 전판(430) 속으로 남은 두께 부분이 삽입되게 하면 도광판체(420)의 전판자석(424)이 상기 전판(430)에 흡착되면서 전판(430)과도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조명판(400)이 완성되면 이를 상술한 마감판(200)의 일종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조명판(400)은 후술할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선반체와 병행설치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체(300)는 수평판(310)과, 상기 수평판(310)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320)의 일단에는 대략 'ㄴ' 형상을 갖는 걸이홈(330)이 한 개 형성된다.
즉, 기존에는 상기 걸이홈(330)이 상하로 하나씩 한 쌍이 형성되어 이들이 동시에 걸리는 구조로 장착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걸이홈(330)만을 구비하여 장탈착을 쉽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반체(300)의 상측에는 마감판(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판(200)은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마감판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조명판(400)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조명판(400)을 포함한 다수의 마감판(200)이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기 선반체(300)가 다수의 마감판(200)들과 함께 병행 설치된다는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선반체(300)들로만 벽면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걸이홈(330)은 상기 마감판(200)에 구비된 탄성클립(240)이나 혹은 걸고리(25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걸이볼트(140)의 걸이부(146)에 걸려 고정된다.
걸림 방식은 걸이홈(330)의 개방된 부위를 걸이부(146)에 끼운 다음 끝까지 밀어 넣는다. 그러면, 'ㄴ'형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홈의 단부에서 걸이부(146)가 걸리면서 장착되게 되고, 동시에 선반체(300), 더 정확하게는 측판(320)의 후단, 즉 걸이홈(330)이 형성된 단부의 하단이 고정프레임(100)의 접지판(110)에 접촉지지되면서 선반체(30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방식은 걸이홈(330)이 걸이부(146)에 걸린 상태에서 이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약간 회동되고, 그 순간 걸이홈(330)이 형성된 측판(320)의 하단이 고정프레임(100)의 접지판(110)에 접촉되면서 지지되게 하여 회동점 1지점과, 접촉점 1지점으로 이루어진 2개의 고정점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동점이 1개 지점이기 때문에 장탈착이 용이하게 된다.
반면에, 종래에는 회동점이 상하로 2개 지점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회동점 구성을 위해 각각 끼워 넣기가 무척 까다롭고 어려웠던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선반체(300)를 구성하는 수평판(310)의 선단, 즉 선단쪽 장변 상에는 라운드 절곡된 상해방지편(340)이 더 형성되고, 후단쪽 장변 상에는 수평판(310)에 안착 수납 혹은 진열된 물건이나 상품들이 뒤로 넘어가 떨어지지 않도록 걸림편(350)이 돌출되게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해방지편(340)과 걸림편(35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즉, 상해방지편(340)이 하향 절곡된 경우라면 상기 걸림편(350)은 상향 절곡된 형태이다.
특히, 상기 상해방지편(340)은 선반체(300) 앞쪽에서 움직이는 사람의 신체와 접촉시 날카로움을 없애 상해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한 것도 있지만, 절곡, 즉 포밍을 통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도 하나의 목적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걸림편(350)도 물건이 뒤로 넘어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목적도 있지만, 이에 더하여 절곡 가공을 통해 장변 부위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쉽게 휨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한편, 다른 예로 도 10과 같이 선반체(300)를 도 8과 반대로 뒤집어 설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의 경우에는 측판(320)이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물건이 좌우 양측방향으로 떨어지는 것도 방지하는 구조지만, 미감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반면, 도 10의 경우에는 측판(320)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깔끔하고 안정적인 미감을 제공하지만, 물건이 좌우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은 방지하지 못한다.
때문에, 이러한 배열들을 병행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하게 되면 실내 벽체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특히 1점 지지방식이고, 1점 회동점 고정방식이기 때문에 장탈착이 쉽고 빨라 교체 사용이 원만하고,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다른 마감판(200)들과 병행설치시에도 상기 선반체(300)의 설치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선반은 벽면(W)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0)과, 이 고정프레임(100)의 돌출된 지지판(120)을 좌우로 수직하게 관통하여 체결되는 걸이볼트(140)를 구비하고, 이 걸이볼트(140)에 끼워져 걸림되는 1점 회동방식의 'ㄴ'형 걸이홈(330)과, 측판(320) 하단으로 하여금 1점 지지방식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장찰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마감판(200)들 사이에는 일정간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부모양편(260) 및 하부모양편(270)을 구비함으로써 탈부착시 간섭을 없애 국부적인 교체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들 마감판(200)들과 상기 선반체(300)를 병행설치함으로써 기능상, 배열상, 디자인상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하부판(230)의 경우 탄성클립(240) 구조로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걸고리(250)가 없어 내장된 배선 및 전장품들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쉽고 편리하게 탈착시킬 수 있고, 특히 간섭체가 상측에 구비된 경우라도 그에 영향을 받지않고 다른 마감판들의 해체없이 국부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새로운 디자인 설계시 매우 유용하다.
이에 더하여, 마감판(200)을 조명판(400)을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 간접조명은 물론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00: 고정프레임 200: 마감판
300: 선반체 400: 조명판

Claims (6)

  1. 벽면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체결되는 다수의 걸이볼트; 상기 걸이볼트에 끼워져 걸림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선반체;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은 벽면에 밀착되는 접지판과, 상기 접지판의 폭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볼트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부의 선단은 상기 너트부에 끼워져 나사체결되고, 상기 볼트부의 후단에는 상기 너트부의 진입을 차단하는 턱이 형성되며, 상기 턱의 후단에는 둘레를 따라 요철이 형성된 볼트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너트부의 후단에도 상기 볼트노브와 동일한 형태의 너트노브가 구비되며, 상기 턱과 볼트노브 사이 및 상기 너트부와 너트노브 사이에는 각각 걸이부가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체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ㄴ' 형상의 걸이홈을 구비하여, 상기 걸이홈이 상기 걸이부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걸이홈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걸이홈이 형성된 측판의 하단이 고정프레임의 접지판에 접촉지지되는 회동점 1지점과 접촉점 1지점으로 이루어진 2개의 고정점을 통해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의 선단쪽 장변 상에는 라운드 절곡된 상해방지편이 더 형성되고, 후단쪽 장변 상에는 진열된 물건이나 상품들이 뒤로 넘어가 떨어지지 않도록 걸림편이 돌출되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선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볼트의 볼트노브 및 너트노브의 후단면 상에는 렌치홈이 요입되게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선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볼트에는 상기 선반체와 병행설치되는 다수의 마감판이 더 걸려 배열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마감판은 배면 상측과 하측에 탄성클립 또는 'ㄱ'형상의 걸고리가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걸이볼트의 걸이부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마감판의 배면 상단 또는 하단에 각 마감판들간의 간격유지 및 모양형성용 상부모양편 또는 하부모양편이 각각 또는 함께 구비되며;
    상기 마감판은 상부판, 중간판, 하부판으로 구분되어 벽면의 최하단에는 하부판이 장착되고, 벽면의 최상단에는 상부판이 장착되며, 상기 벽면의 최하단과 최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중간판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판과 중간판의 배면 상측 양단부에는 탄성클립이 고정되고, 배면 하측 양단부에는 걸고리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판의 배면 상측과 하측 양단부에는 모두 탄성클립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선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판의 배면을 일정크기의 홈 형태로 파내 중량을 줄이고, 상기 홈의 양측에 고정편을 부착하며, 상기 고정편 상에 상기 탄성클립 또는 걸고리를 장착하고, 상기 상부모양편 또는 하부모양편은 각각 상기 고정편의 각 상단 혹은 각 하단에 볼트나 나사로 체결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선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조명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판은 배면에 상기 탄성클립 또는 걸고리를 구비하고 하부모양편을 구비한 후판; LED와 이미지를 내장하여 LED 발광시 이미지가 비치도록 한 도광판체; 및 상기 도광판체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판이 상호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선반.
KR1020150016194A 2015-02-02 2015-02-02 벽체 선반 KR10154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94A KR101541685B1 (ko) 2015-02-02 2015-02-02 벽체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94A KR101541685B1 (ko) 2015-02-02 2015-02-02 벽체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685B1 true KR101541685B1 (ko) 2015-08-04

Family

ID=5388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194A KR101541685B1 (ko) 2015-02-02 2015-02-02 벽체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6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9911A (zh) * 2017-04-26 2017-07-11 国家海洋局第三海洋研究所 一种污损生物附着板的固定机构及其附着装置
KR101875746B1 (ko) * 2016-11-10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 쉘프 힌지 구조
CN109090972A (zh) * 2018-09-21 2018-12-28 浙江宏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家用墙壁挂件
KR20190072059A (ko) * 2017-12-15 2019-06-25 (주) 큰산인디컴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KR102115884B1 (ko) * 2019-06-05 2020-05-29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46B1 (ko) * 2016-11-10 2018-07-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 쉘프 힌지 구조
CN106939911A (zh) * 2017-04-26 2017-07-11 国家海洋局第三海洋研究所 一种污损生物附着板的固定机构及其附着装置
KR20190072059A (ko) * 2017-12-15 2019-06-25 (주) 큰산인디컴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KR102049054B1 (ko) * 2017-12-15 2020-01-08 (주)큰산인디컴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CN109090972A (zh) * 2018-09-21 2018-12-28 浙江宏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家用墙壁挂件
KR102115884B1 (ko) * 2019-06-05 2020-05-29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개선된 조립성과 확장성을 가진 모빌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685B1 (ko) 벽체 선반
KR101518230B1 (ko) 벽면 마감체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KR20190084215A (ko) 건축내장용 시스템 벽체
KR200442975Y1 (ko) 선반 설치 시스템
US5803274A (en) Article display system
KR101263735B1 (ko) 우물 천장의 경량틀 구조
KR101218299B1 (ko) 벽체 부착형 선반 본체 고정구를 갖는 선반
RU156393U1 (ru) Карниз
KR20120023518A (ko) 행거형 정보 표시장치
KR20110067427A (ko) 벽체 부착형 선반용 선반본체 고정구
JP5274729B1 (ja) 商品陳列装置
KR200388485Y1 (ko) 천정 마감용 몰딩
JP4777089B2 (ja) 浴室カウンタ及びこの浴室カウンタを有した浴室ユニット
KR200406897Y1 (ko) 장식판넬용 선반 체결구의 체결구조
KR101702265B1 (ko) 다용도 선반
JP2021168810A (ja) 商品陳列棚用照明装置及び商品陳列棚
RU191585U1 (ru) Панель фасадная
CN209972030U (zh) 一种易安装防脱落装饰画架
JPH0711367Y2 (ja) 天井埋込み型照明器具
KR200380207Y1 (ko) 상품 진열대
RU20008U1 (ru) Демонстрационный стенд
ITTO20030076U1 (it) Unita' a espositore, in particolare per rubinetteria.
JP2004113675A (ja) 陳列什器
KR200451099Y1 (ko) 진열대용 걸이봉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