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52Y1 - 책상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책상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52Y1
KR200291352Y1 KR2020020020708U KR20020020708U KR200291352Y1 KR 200291352 Y1 KR200291352 Y1 KR 200291352Y1 KR 2020020020708 U KR2020020020708 U KR 2020020020708U KR 20020020708 U KR20020020708 U KR 20020020708U KR 200291352 Y1 KR200291352 Y1 KR 200291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rotating plate
support le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호
Original Assignee
박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호 filed Critical 박철호
Priority to KR2020020020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52Y1/ko

Link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을 겹쳐지게 하고 다른 책상과 연결시에 회전판이 펼쳐지는 각을 임의로 조절하여 임의의 각도로 다른 책상의 상판에 부착시킬 수 있는 책상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 매설너트(11)가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상판(10)과; 상기 상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판(10)의 일측 하부에 중첩되게 위치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체결홈(22a,22b)을 가지며,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상판(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회전판(20)과; 상기 상판(10)과 회전판(20)의 대응하는 한쪽 모서리부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30)과; 상기 상판(10)의 한쪽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판(20)과 대응하는 수평위치에 그 체결홈(22a,22b)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체결구멍(43)을 구비하여 인접하는 다른 책상의 회전판과 체결수단(44)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제1지지다리(40)와; 상기 제1지지다리(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판(10)의 다른쪽 하부에 상기 회전판(20)을 사이에 두고 상판에 고정되는 제2지지다리(50);로 구성되어 다양한 수업방식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책상을 배열할 수 있고, 배열된 책상의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책상의 연결구조{A Connecting Structure for a Table}
본 고안은 책상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상의 상판 한쪽 모서리부근에서 하측으로 중첩되는 회전판이 힌지결합되어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판을 회전시켜 다른 책상과 연결시에 회전판의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임의의 각도로 다른 책상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책상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육용, 업무용 등에 사용되는 종래의 책상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모서리의 각을 없애고 둥그렇게 하거나 4변을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됨에 따라 컴퓨터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보조 책상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한쪽 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여 "ㄱ"자 형상이 되게 하는 등의 변형이 가해져 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상은 책상 연결시 양측면이 서로 접촉되는 상판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무실의 공간 활용을 제한하고 있으며, 특히 효율적인 토의 및 토론을 위하여 책상배치를 조정할 시 책상들을 서로 연결하기가 매우 불편하였으며, 또 연결한다 하더라도 책상과 책상의 연결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토론 및 토의시에 집중이 되지 않고 주의가 산만해지게 되는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책상은 단순한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므로 기본적으로 토론을 할 수 있는 배열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현대의 학교 학습시 중요시되는 토의 및 토론의 효율성을 위하여 다수의 구성원들을 원형으로 배열하거나 한 점을 중심으로 모아 놓는 등 다양한 배열을 취하는 경우 책상과 책상 사이에 틈이 생겨 토론을 위한 형태로 배열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또, 책상과 책상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와 같은 책상들로 서로를 최대한 붙이게 되면, 연결된 책상이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실내의 공간활용을 제한하게 되고, 이 역시 토론 및 토의시에 집중이 되지 않고 주의가 산만해지게 되는 등 토론 및 토의를 통한 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책상은 강의식 교육과 토론·토의식 수업 등을 병행하는 등의 최근의 다양한 형태의 교육형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책상을 연결할 시 최대한으로 공간 활용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책상의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00-19163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기술은 보조책상을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그 동작 상태도가 도1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의 상판(1a) 측면부에 힌지(2)에 의해 착탈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보조상판(3)으로 구성되는 보조책상이 구비된 책상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책상은 보조상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책상의 공간을 단순히 확장시키는 것에 지나지 않아 이 역시 토의 및 토론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책상을 배열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배열을 취하는 경우 각 책상 사이에 틈이 생겨 토론에 적합하지가 않다.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5,967,058호로 알려진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책상의 상판(1b)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일측면이 볼록면(4)으로 타측면이 오목면(5)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그 측면들이 볼록면으로만 형성되거나, 또는 오목면으로만 형성되어 책상을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책상 상판의 4면중 좌우측면에 볼록면 또는 오목면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책상의 오목면(5) 또는 볼록면(4)을 각각 수용하여 삽입하는 형태로써 인접 책상의 상판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밀착되어 연결되게 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책상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판의 일측 오목면(5)에 인접 책상 상판의 볼록면(4)을 끼우게 하기 위해서는 오목면의 양단부 사이로 볼록면을 유도하는 번거로운 홈삽입 작업이 요구되어지며, 또한 인접 책상의 상판을 연결함에 있어 삽입작업시 오목면(5)의 양단부 모서리부위가 부딪치게 되어 책상이 훼손되어지는 등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고,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도 없다.
또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제0248765호로 알려진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책상의 상판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책상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1c)의 일측면에서 소정길이의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직선부 (6)와, 이 제1직선부의 단부로부터 단차지는 단턱부(7)를 형성하고, 이 단턱부의 끝단에서 소정길이의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2직선부(8)를 구비함으로써 제1직선부와 제2직선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7)에 인접 책상 상판의 측면 돌출부(9) 또는 전단부 일부를 밀착시켜 연결되게 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책상구조는 상판(1c)의 일측면에서 제1직선부(6)와 제2직선부(8)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7)에 인접 책상 상판의 측면 돌출부(9) 또는 전단면 일부를 단순히 밀착시키게 함으로써 책상 상판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다는 점은 있으나, 그 형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흐트러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더구나 책상연결시 상판의 크기대로 책상을 배치할 수밖에 없어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지 못하는 제한사항이 있다.
즉, 책상의 연결이 단순히 밀착되는 형태로서 일체로 고정 연결되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책상 배열이 흐트러지는 문제점과, 책상 배열시 예를 들어 6명이 1개조로 이루어져서 배치되는 경우, 육각형의 형태로 책상을 배열하여야 하는데, 이때 인접 책상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이 역시 토론 및 토의시에 집중이 되지 않고 주의가 산만해지게 되는 등의 토론 및 토의를 통한 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학생용 책상 크기는 소형으로 그 크기를 고려하여 볼 때 추가적으로 책상의 여유공간을 확보하면서 연결할 수도 없다.
상기와 같이, 도2 및 도3에서 도시하는 종래의 책상들은 다수의 구성원이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책상의 배열을 염두에 두고 상판에 직접 연결부의 형상이 서로 맞닿아서 연결되도록 제작된 것이기는 하나, 책상을 연결함에 있어서 단순히 밀착되어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위 책상이 외력에 의하여 책상배열이 흐트러질 뿐만 아니라, 책상의 연결부 사이에 공간부가 발생하게 되어 산만한 분위기를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게 됨으로써 토의 및 토론시 그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상을 연결할 시 상판이외에 별도의 회전판을 구비하여 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알맞게 회전시켜 인접책상에 일체로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책상을 배열할 수 있게 하여, 강의식 교육과 토론·토의식 수업 등을 병행하는 등 최근의 다양한 형태의 교육형태에 적절히 대응하여 교육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고, 또한 한정된 책상의 공간을 인접책상과 연결되게 하여 최대한 공간을 활용하고자 본 고안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의 하측에 중첩되어진 회전판을 상판의 하부 일측 모서리에 힌지결합시켜 책상 연결시 회전판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인접 책상에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책상들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게 하여 상판의 공간을 확장하면서 연결된 책상들과 일체화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책상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책상사이를 연결하는 회전판의 회전각도를 조절 가능케 함으로써 다양한 수업방식에 맞추어 여러 가지 형태로 책상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책상과 책상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판을 책상의 상판의 하측으로 집어넣거나 빼낼 때 마찰에 의해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술로서 보조책상을 구비하는 책상의 평면도
도2는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볼록면과 오목면이 구비되는 책상의 평면도
도3은 종래의 또다른 기술로서, 책상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를 갖는 책상의 분리 사시도
도5는 상판으로부터 회전판을 분리하여 밑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를 갖는 책상의 일부 절결 결합 사시도
도7a는 상판의 하부에 회전판이 중첩된 상태의 정면도
도7b는 상판의 하부에 회전판이 중첩된 상태의 우측면도
도8은 도7a의 A-A선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를 갖는 책상이 모서리부에서 직각으로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10a 내지 도10e는 본 고안에 따라 배열되는 여러 형태의 책상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상판 11:매설너트 12:체결홈
13:커버 14:고정구 15:삽입부
16:체결부 17:체결구멍 18:나사
20:회전판 21:힌지축 삽입구멍 22a,22b:체결홈
23:앵글부재 23a:수직부 23b:수평부
24:체결구멍 25:각도 고정판 26:고정구멍
27:고정볼트 28:지지다리 29:높낮이 조절받침
30:힌지축 40:제1지지다리 41,51:상측 받침부재
42:결합구멍 43:체결구멍 44:체결수단
45a,45b,55a,55b:수직부재 46,56:볼트결합구멍 47,57:하측 받침부재
48,58:받침구 49:고정볼트 50:제2지지다리
52:힌지축 결합구멍 53:각도고정구멍 54a,54b:삽입홈
61:제1수평지지부재 62,64:볼스프링 63:제2수평지지부재
65:측면고정볼트 66a,66b:보강부재 67:고정볼트
P:고정나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연결구조는,
하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 매설너트(11)가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상판(10)과; 상기 상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판(10)의 일측 하부에 중첩되게 위치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체결홈(22a,22b)을 가지며,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상판(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회전판(20)과; 상기 상판(10)과 회전판(20)의 대응하는 한쪽 모서리부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30)과; 상기 상판(10)의 한쪽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판(20)과 대응하는 수평위치에 그 체결홈(22a,22b)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체결구멍(43)을 구비하여 인접하는 다른 책상의 회전판과 체결수단 (44)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제1지지다리(40)와; 상기 제1지지다리(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판(10)의 다른쪽 하부에 상기 회전판(20)을 사이에 두고 상판에 고정되는 제2지지다리(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를 갖는 책상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5는 상판으로부터 회전판을 분리하여 밑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를 갖는 책상의 일부 절결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를 갖는 책상은 상판(10), 회전판(20), 힌지축(30), 제1지지다리(40), 제2지지다리(50)의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0)은 소정크기의 수평한 패널로 형성되는데, 그 하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 힌지축(30)이 축결합되는 매설너트(11)가 설치되고, 그 전면 모서리 일측에 후술하는 제2지지다리의 상측 받침부재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구(14)의 상단이 체결되는 체결홈(12)이 형성되며, 그 하면 소정위치에 회전판(20)과 중첩되는 부분에 회전판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정크기의 커버(13)가 부착된다.
상기에서 힌지축(30)이 축결합되는 부재를 매설너트(11)로 한정하였으나, 힌지축(30)이 축결합되어 지지되는 유사한 부재를 포함하며, 커버(13)는 책상의 상판의 하측으로 회전판(20)을 집어넣거나 빼낼 때 마찰에 의해 회전판(20)의 상면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14)는 수평으로 돌출되는 삽입부(15)와, 상기 삽입부(15)의 일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면서 체결구멍(17)이 형성되어진 체결부(16)를 일체로 형성하여, 삽입부(15)가 후술하는 제2지지다리(50)의 상측 받침부재의 단부내로 끼워져서, 체결부(16)의 체결구멍(17)에 나사(18)를 끼워 앞쪽 모서리면의 체결홈(12)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판은 그 일측이 제1지지다리의 상측 받침부재에 얹어져서 상판의 하면에 직접 체결되어 지지되고, 타측은 제2지지다리(50)의 상측 받침부재에 회전판(20)을 사이에 두고 뒷쪽은 상기 힌지축(30)에 고정되며, 앞쪽은 고정구(14)에 의해 고정되어 상판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판(10)의 하면 일측 모서리에서 연결되어 힌지결합되는 힌지축(30)과, 제1지지다리(40)의 상측 받침부재를 결합시키는 고정볼트(49)들은 상판의 두께 내에서 결합되어지므로 상판의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판(20)은 상판(10)보다 작은 크기의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판(10)의 일측 하부에 중첩되게 위치되어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상판(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부재로서, 모서리 부위에 힌지축(30)이 끼워지는 힌지축 삽입구멍 (21)이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복수의 체결홈(22a,2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 삽입구멍(21)은 회전판의 회전이 자유롭게 힌지축(30)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며, 한편 복수의 체결홈(22a,22b)이 형성된 그 일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모서리를 감싸도록 강철 등의 고강도 재질로 제작된 수직부(23a)와 수평부(23b)로 구성되는 앵글부재(23)를 추가적으로 덧대어서 그 하측으로부터 고정나사(P)로 회전판의 하면에 고정 부착된다.
상기 앵글부재(23)의 수직부(23a)에는 회전판(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홈(22a,22b)과 대응하는 체결구멍(24)들이 형성되고, 수평부(23b)에는 지지다리 (28)와 힌지축(30)이 연결 고정되는 대응위치에 각각 고정구멍(2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0)의 밑면 힌지축(30)이 결합되는 반대쪽 모서리 부근에 상기 회전판(20)이 펼쳐졌을 때 실내의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다리(28)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지지다리(28)의 하단부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받침 (29)이 설치된다.
한편, 회전판(20)의 밑면 소정위치에 원호 형태의 각도 고정판(25)이 부착되어 회전판이 회전될 시 제2지지다리(50)의 상측 받침부재(5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각도고정구멍(53)을 통하여 고정볼트(27)를 결합하여 각도 고정판(25)의 하면에 마찰지지되게 한다.
상기 각도 고정판(25)은 회전판(20)이 임의의 각도로 펼쳐져서 그 펼쳐진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볼트(27)와 접촉하는 궤적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구멍(26)이 형성되어 그 고정구멍내로 고정볼트(27)의 단부가 조여져서 회전판(20)의 펼쳐진 각도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판(20)은 부채꼴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하나의 책상을 다른 책상에 붙여서, 4각형, 5각형, 6각형 등 다각형 배열을 형성할 때 해당 각도로 펼쳐서 회전판(20)의 펼쳐진 각도를 고정시킨 후, 인접하는 다른 책상의 제1지지다리의 상측 받침부재 사이에 체결수단(44)으로 연결 고정된다.
상기 힌지축(30)은 상판(10)과 회전판(20)의 대응하는 한쪽 모서리부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재로서, 후술하는 제2지지다리(50)의 상부 받침부재(51)의 힌지축 결합구멍(52)을 관통하여 회전판(20)의 힌지축 삽입구멍(21)을 경유하여 상판(10)의 일측 모서리 하면에 설치된 매설너트(11)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다리(40)는 상판(10)의 한쪽 하부에 고정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부재로서, 양단부근에서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구멍(42)을 형성하여 고정볼트(49)에 의해 상판의 일측 하면에 직접 고정되고, 회전판(20)에 형성된 체결홈(22a,22b)과 대응하는 수평위치에 복수의 체결구멍(43)이 형성되어 체결수단(44)으로 인접하는 다른 책상의 회전판과 결합하는 상측 받침부재(41)와, 상측 받침부재(41)로부터 하측으로 수직하게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수직부재(45a,45b)와, 상기 수직부재(45a, 45b)의 하단부가 일체로 용착되는 하측 받침부재(47)와, 하측 받침부재(47)의 하면 양측에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구(48)가 끼워진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쪽의 수직부재(45a)에는 상측 받침부재(41)와 하측 받침부재(47) 사이에서 상측 및 하측의 일정한 위치에서 볼트결합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다리(50)는 제1지지다리(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판(10)의 다른쪽 하부에 상기 회전판(20)을 사이에 두고 고정구(14)와 힌지축(30)으로 고정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제2지지다리(50)는 앞쪽에 상하로 관통되어 힌지축(30)이 끼워지는 힌지축 결합구멍(52)이 형성되며, 회전판(20)의 하면에 고정된 각도 고정판(25)의 고정구멍(2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도고정구멍(53)이 형성되고, 힌지축 삽입구멍의 반대쪽에 지지다리(28)의 상측을 수용하는 삽입홈(54a)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 받침부재 (51)와, 상측 받침부재(51)로부터 하측으로 수직하게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부재(55a,55b)와, 상기 수직부재(55a,55b)의 하단부가 일체로 용착되며, 지지다리 (28)의 하측을 수용하는 삽입홈(54b)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 받침부재(57)와, 하측 받침부재(57)의 하면 양측에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구(58)가 끼워진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쪽의 수직부재(55a)에는 상측 받침부재(51)와 하측 받침부재(57) 사이에서 상측 및 하측의 일정한 위치에서 볼트결합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다리(28)의 상하측을 수용하는 삽입홈(54a,54b)을 형성하는 이유는 지지다리(28)를 제2지지다리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제1지지다리(40)와 제2지지다리(50)의 사이에 제2지지다리의 상측 받침부재(51)의 높이에서 전후로 제1수평지지부재(61)와 제2수평지지부재(63)를 측면고정볼트(65)로 고정시킴으로써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다리와 제2지지다리 사이를 제1수평지지부재(61)와 제2수평지지부재(63)로 연결 고정시킴에 있어, 제1지지다리(40)는 h1만큼의 높은 위치에 상측받침부재(41)가 위치하기 때문에 수직부재(45a,45b)상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제2지지다리(50)는 상측 받침부재(51)의 측면을 관통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측면고정볼트(65)로 고정된다.
제1지지다리(40)의 받침부재(41)는 제2지지다리(50)의 받침부재(51)의 위치보다 h1만큼의 높은 위치에 받침부재가 놓이기 때문에 상판의 하측으로 회전판(20)을 중첩되게 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면서 양측 지지다리의 상측으로 상판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쪽 수직부재(45a,55a)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볼트결합구멍(46,56)에 제1지지다리(40)와 제2지지다리(50)사이에 보강부재(66a,66b)를 게재하여 고정볼트(67)들로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수평지지부재(61)와 제2수평지지부재(63)의 상면 소정위치에 볼스프링(62)(64)이 각각 설치되어 상판의 하측으로 중첩되어 수용되는 회전판(20)의 하면을 압압시킴으로써 회전판의 수용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7a는 상판의 하부에 회전판이 중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7b는 상판의 하부에 회전판이 중첩된 상태의 우측면도이며, 도8은 도7a의 A-A선 단면도로서, 회전판(20)이 상판(10)과 제2지지다리(50)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판(10)과 회전판(20) 및 제2지지다리의 상측 받침부재(51)는 힌지축(30)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회전판(20)은 상판(10)과 제2지지다리(50) 사이에서 회전이자유롭게 힌지축(30)에 지지된다.
고정구(14)는 제2지지다리의 상측 받침부재(51) 내로 그 삽입부(15)가 끼워지고 그 체결부(16)는 나사(18)에 의해 상기 상판(10)의 전면 모서리에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구(14)가 제2지지다리(50)와 상판(10)을 결합시키지만 그들 사이에 회전판(20)이 끼워질 수 있는 h1높이만큼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회전판(20)은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2지지다리 사이를 지지하는 제1,2수평지지부재(61)(63)의 위를 지나간다. 이때 회전판(20)의 좌측면이 제1수평지지부재(61)와 제2수평지지부재(63)에 부딪혀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수평지지부재(61)와 제2수평지지부재(63)의 윗면에 볼스프링(62,64)을 설치한다.
볼스프링(62,64)은 볼이 제1,2수평지지부재(61)(63)의 윗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으나, 상기 구멍의 직경보다 커서 외부로 튀어나가지 못하고 제1,2수평지지부재(61)(63)의 내부에 용수철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판(20)의 좌측면 하부 모서리가 볼스프링(62,64)에 부딪히면 볼의 굴림마찰에 의해 파손없이 제1,2수평지지부재(61)(63)를 미끄러져 지나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고정구(14) 및 힌지축(30)이 제2지지다리(50)에 끼워져서 상판(10)의 우측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지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1지지다리(40)와 제2지지다리(50)가 서로 바뀌어서 힌지축이 좌측에 설치되어 회전판(20)을 회전시키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지지다리(50)의 앞쪽이 고정구(14)에 의해 상판 (20)과 체결되고, 제2지지다리(50)의 뒷쪽은 힌지축(30)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변형으로서 고정구(14)가 제2지지다리(50)의 뒷쪽에 끼워지고, 제2지지다리(50)의 앞쪽이 힌지축(3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2지지다리는 평면상으로 조립되어 포장됨으로써 부피가 최소화되어 추후 조립시 운반이 용이하고, 적재량도 많이 적재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회전판이 펼쳐져서 인접책상간에 연결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를 갖는 책상의 모서리부에서 직각으로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로서, 책상이 서로 직각으로 놓여 한쪽 책상의 회전판이 다른쪽 책상의 제1지지다리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책상의 상판으로부터 회전판(20)이 직각으로 회전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앵글부재(23)로 감싸고 있는 회전판의 모서리면이 다른쪽 책상의 좌측 제1지지다리의 상측 받침부재(41)에 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판(20)이 직각으로 펼쳐지게 되면 회전판의 하면에 각도 고정판(25)을 고정볼트(27)로 고정시켜 회전판(20)의 유동을 방지한 다음에, 다른쪽 책상의 좌측 제1지지다리의 상측 받침부재(41)의 고정구멍(43)을 관통하여 체결수단(44)으로 펼쳐진 책상의 회전판(20)의 앵글부재(23)의 체결구멍(24)을 관통하여 회전판의 측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체결홈(22a,22b)에 체결됨으로써 인접 책상과 일체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판(20)이 펼쳐지는 각도를 90°로 나타내었지만 배열하려는 형태에 따라 결합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4각형, 5각형, 6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책상의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도10a 내지 도10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배열되는 여러 형태의 책상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10a는 4인 1개조로 하는 책상배치상태이고, 도10b는 6인 1개조로 하는 책상배치상태이고, 도10c 또는 도10d는 8인 1개조로 하는 책상배치상태이고, 도10e는 주제발표를 하는 형태의 책상배치상태이다.
회전판(20)이 펼쳐지는 각도를 90°로 나타내었지만 배열하려는 형태에 따라 결합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책상의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책상의 연결구조는 상판의 일측 모서리에서 힌지결합되어, 상판의 하측으로 겹쳐지게 수용되는 회전판을 구비함으로써 다수개의 책상들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수업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책상과 책상 사이를 일체로 연결 고정시켜서 배열할 수 있고 이렇게 배열된 형태를흐트러지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판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인접책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사무실의 공간 활용과 통상적인 강의식 수업은 물론, 서로 팀을 이루어 토론하거나 발표하는 토의식 또는 토론식 수업에도 적합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학습효과를 증진시키고, 사무실 또는 교실환경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게 되어 새로운 교육형태인 열린 교육에 보조를 맞출 수 있고, 사무실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3)

  1. 하면 일측 모서리 부근에 매설너트(11)가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상판(10)과;
    상기 상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판(10)의 일측 하부에 중첩되게 위치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체결홈(22a,22b)을 가지며, 한쪽 모서리를 중심으로 상판 (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회전판(20)과;
    상기 상판(10)과 회전판(20)의 대응하는 한쪽 모서리부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30)과;
    상기 상판(10)의 한쪽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판(20)과 대응하는 수평위치에 그 체결홈(22a,22b)과 대응하도록 복수의 체결구멍(43)을 구비하여 인접하는 다른 책상의 회전판과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제1지지다리(40)와;
    상기 제1지지다리(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판(10)의 다른쪽 하부에 상기 회전판(20)을 사이에 두고 상판에 고정되는 제2지지다리(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다리(40)와 제2지지다리(50)의 상측에서 제1지지다리(40)와 제2지지다리(50)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2수평지지부재(61,63)를 그 좌우측에서 측면고정볼트(65)로 각각 고정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수평지지부재(61,63)의 윗면 소정위치에 볼스프링(62,64)이 설치되어 중첩되는 회전판(20)의 하면 궤적을 따라 압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다리(50)의 상측 받침부재(51)에는 상기 회전판(20)을 사이에 두고 뒷쪽은 힌지축 결합구멍(52)을 경유하여 상기 힌지축(30)에 고정되어 상기 상판(10) 뒷쪽을 지지하고, 앞쪽은 고정구(14)에 의해 상기 상판 (10)의 앞쪽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4)는 수평으로 돌출되는 삽입부(15)와; 상기 삽입부(15)의 일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면서 체결구멍(17)이 형성되어진 체결부(16)를 일체로 형성하여, 삽입부(15)가 제2지지다리(50)의 단부에 끼워져서, 체결부(16)의 체결구멍(17)에 나사(18)를 끼워 상판(10) 앞쪽 모서리면에 체결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과 중첩되는 상판(10)의 하면 부분에 회전판(20)의 상면을 보호하는 커버(13)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의 일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모서리를 감싸도록 수직부(23a)와 수평부(23b)로 형성되는 앵글부재(23)를 덧대어서 회전판의 하면에 나사(P)로 고정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의 수직부(23a)에는 회전판(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홈(22a,22b)과 대응하는 체결구멍(24)이 형성되고, 수평부(23b)에는 지지다리(28)와 힌지축(30)이 회전판에 고정되는 대응위치에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의 밑면 힌지축(30)이 결합되는 반대쪽 모서리 부근에 상기 회전판(20)이 펼쳐졌을 때 실내의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다리(28)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8)의 하단부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받침(2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제2지지다리(50)의 상하측 받침부재에는 상기 회전판(20)이 중첩되었을 때 힌지축의 반대쪽에서 지지다리(28)를 수용하는 삽입홈(54a,5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의 밑면에 원호 형태의 각도 고정판(25)이부착되어 회전판이 회전될 시 제2지지다리(50)의 상측 받침부재(5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각도고정구멍(53)을 통하여 고정볼트(27)를 결합하여 각도 고정판의 하면에 마찰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고정판(25)은 회전판(20)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고정볼트(27)의 궤적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구멍(26)이 형성되어 그 고정구멍내로 고정볼트(27)의 단부가 조여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연결구조.
KR2020020020708U 2002-07-10 2002-07-10 책상의 연결구조 KR200291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708U KR200291352Y1 (ko) 2002-07-10 2002-07-10 책상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708U KR200291352Y1 (ko) 2002-07-10 2002-07-10 책상의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891A Division KR100403218B1 (en) 2002-07-10 2002-07-10 Connection structure of des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52Y1 true KR200291352Y1 (ko) 2002-10-09

Family

ID=7312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708U KR200291352Y1 (ko) 2002-07-10 2002-07-10 책상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3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730B2 (en) 2015-02-13 2019-12-10 Samhongsa Co., Ltd. Height-adjustable des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730B2 (en) 2015-02-13 2019-12-10 Samhongsa Co., Ltd. Height-adjustable de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567B1 (en) Portable exercise workstation
US8794436B2 (en) Protective sheath
KR102032188B1 (ko) 휴대용 가림판
US6234089B1 (en) Foldable table top
US20040051679A1 (en) Dual screen laptop computer
US10963207B2 (en) Portable video screen
KR200291352Y1 (ko) 책상의 연결구조
US6962312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US20140211424A1 (en) Hinged connector and modular video display assembly containing same
JP6719041B1 (ja) 多機能フェンス
KR200292867Y1 (ko) 절첩과 이동이 가능한 게시판 겸용 조립식 파티션
TWM606871U (zh) 蜂巢式空間結構
KR850000745B1 (ko) 관중 통제 장벽
CN112614448A (zh) 一种营销策略制定现场的投影装置
JP2015083748A (ja) 蝶番及び音調パネル群
CN206145365U (zh) 一种调节架和电子设备支架
CN214796277U (zh) 一种英语发音练习口型对照装置
JPH11244053A (ja) テーブルや棚等の天板、並びに天板等を構成する板材の連結具
TWI738530B (zh) 蜂巢式空間結構
KR200416860Y1 (ko) 실물화상기가 설치된 전자교탁
JP3245399B2 (ja) 家 具
CN220397028U (zh) 一种可以调节角度的显示装置
KR200378205Y1 (ko) 교구용 책상
KR200256463Y1 (ko) 디스플레이장치를 접을 수 있는 축 장치
CN217631718U (zh) 一种便携式电子围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