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73B1 - 접이식 이송대차 - Google Patents

접이식 이송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73B1
KR101426073B1 KR1020120142914A KR20120142914A KR101426073B1 KR 101426073 B1 KR101426073 B1 KR 101426073B1 KR 1020120142914 A KR1020120142914 A KR 1020120142914A KR 20120142914 A KR20120142914 A KR 20120142914A KR 101426073 B1 KR101426073 B1 KR 101426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guide
rod
hole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679A (ko
Inventor
고병기
Original Assignee
고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102012014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73B1/ko
Priority to PCT/KR2013/009713 priority patent/WO2014092331A1/ko
Publication of KR2014007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6Foldable with a scissor-lik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 및 보관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 및 탄성지지부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는 이송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적재부와 베이스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링크부재가 엑스자 형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 엑스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와, 성가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적재부에 지지되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이송대차 {Foldable transfer cart}
본 발명은 접이식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 및 보관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 및 탄성지지부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대차(移送臺車)는 적재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과, 적재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송대차는 운반하는 적재함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적재물을 옮길 때, 적재물의 적재 높이에 따라 허리나 다리를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06632호에는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이송대차는 푸시레버의 조작을 통해 입출되는 공압에 의해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이송대차는 사용자가 직접 상판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서 적재되는 적재물의 적재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적재함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적재물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적재물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송대차가 마련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본 신청인이 한국특허출원 제10-2008-0124682호와, 10-2009-0024421호에 자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송대차를 출원하였으며, 모두 특허 결정을 받은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송대차는 휴대나 보관시에 이송대차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휴대 및 보관 편의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06632호 :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001677호 :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탄성지지부와 손잡이를 접어 휴대성 및 보관편의성을 높인 접이식 이송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는 이송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적재부와 베이스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링크부재가 엑스자 형태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 엑스링크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와, 성가 베이스부 또는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 또는 적재부에 지지되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인출부재와, 일단이 상기 바디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인출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인출부재를 상기 바디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단이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적재부에는 상기 적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축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이 상기 축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적재부의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가이드부재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할 수 있는 장공형태의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위치일 때 상기 힌지축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꺾어져 연장된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 양측로부터 상기 적재부의 후방 상하면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의 상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와, 상기 가이드로드의 상단을 상호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탄성지지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부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구간이 상기 적재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적재부가 상기 가이드로드를 따라 승하강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클램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적재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드가 통과하여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된 파지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하로 연장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로드와 밀착되거나 상기 가이드로드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클램핑바디와, 상기 클램핑바디에 상기 절개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트결합홀에 삽입설치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파지홀의 직경을 조절하여 상기 클램핑바디와 가이드로드 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클램핑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는 휴대 또는 보관시에 적재부를 하강시키고 손잡이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성과 보관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이식 이송대차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접이식 이송대차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적재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탄성지지부재가 축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클램핑부를 더 구비하는 접이식 이송대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클램핑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이송대차(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접이식 이송대차(100)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부(120), 적재부(120)와 베이스부(110)를 연결하는 링크연결부(130), 적재부(1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140) 및 탄성지지부(140)의 힌지축(145)을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축가이드부재(16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10)에는 이송바퀴(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후방 양측에는 적재부(1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로드(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로드(112)는 상단은 연결로드(11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이 연결로드(113)가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적재부(120)는 이송대상물을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링크연결부(130)를 통해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면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링크연결부(130)의 상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가이드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부(120)의 상면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적재물의 형상이나 특성ㅇ 따라 적재부(120) 상면의 형상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적재물이 구형 또는 원통형인 경우 적재부(120)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테두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링크연결부(130)는 상술한 것처럼 적재부(120)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엑스링크(131)를 포함하고 있다.
엑스링크(131)는 각각 엑스자 형태로 교차되는 제1, 제2 링크부재(132,133)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앙에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적재부(120)와 베이스부(110)에 마련된 링큭이드부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적재부(120) 또는 베이스부(110)의 전단과 후단 측으로 이동하면 적재부(120)가 하강하고, 반대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가까워지도록 적재부(120)와 베이스부(110)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엑스링크(131)의 상하 높이가 높아지면서 적재부(120)도 상승하게 된다.
상기 탄성지지부(140)는 상기 엑스링크(131)의 회전축(134)을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지지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적재부(120)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것이다.
탄성지지부(140)는 적재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디(141)와, 바디(14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부재(142)와, 바디(141)와 인출부재(142)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43)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41)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중공형의 원통체로서 상부는 상기 중공이 막혀있는 상태이며, 적재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단에 힌지축(14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145)은 상기 적재부(1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재(142)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하단이 막혀있는 중공의 원통체로서 외경이 상기 바디(141)의 내경에 대응하여 상부가 바디(141)의 중공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143)은 상단이 바디(141)의 상부에, 하단이 인출부재(142)의 하부에 각각 지지되어 인출부재(142)가 바디(141)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한다.
인출부재(142)에는 링크연결부(130)의 회전축(134)과 연결하기 위한 축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축연결부재(144)는 인출부재(142)에 결합되고 양단이 회전축(13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탄성지지부(140)가 회전축(134)과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적재부(12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부재(142)가 회전축(134)을 하방으로 밀게 되는데, 바디(141)와 인출부재(142)의 상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베이스부(11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적재부(120)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적재부(120)에 적재물을 적재하여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143)이 압축되면서 인출부재(142)가 바디(141)의 내부로 인입되고, 바디(141)와 인출부재(142)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회전축(134)과 적재부(120) 사이의 거리도 짧아져야 하므로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전후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적재부(120)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적재물이 적재부(120)에 적재됨에 따라서 적재부(120)가 하강하면 적재물의 적재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적재부(120)가 낮아지므로 최상단측의 적재물은 거의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적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적재부(120)에 적재물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재물을 내리게 되면 적재부(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아지면서 상기 스프링(1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지지부(140)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회전축(134)과 적재부(12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제2 링크부재(132,133)의 상단과 하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축(134)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적재부(12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물을 내리더라도 적재부(120)가 점점 상승하면서 작업자가 적재물을 파지하는 파지 높이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지지부(140)로서 탄성스프링(143)이 적용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공기스프링(143)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지지부(140)의 바디(141)가 적재부(1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었으나, 바디(141)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인출부재(142)가 상방으로 인출되면서 회전축(134)을 베이스부(110)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여 적재부(120)를 승강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축가이드부재(160)는 바디(141)의 힌지축(145)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부(120)의 하면에 형성된다.
축가이드부재(160)는 힌지축(145)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두 개가 설치되며, 적재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축지지부재에는 힌지축(145)이 관통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홀(16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홀(161)은 적재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축(145)이 이 가이드홀(161)을 따라 적재부(1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홀(161)의 일측 단부에는 적재부(120)의 하면을 향해 꺾어져 연장된 고정홀(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홀(162)은 상기 탄성지지부(140)재가 상하로 연장되어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134)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일 때 힌지축(145)이 가이드홀(16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디(141)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145)이 상기 가이드홀(16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을 위해 부피를 줄여야할 때, 상기 힌지축(145)을 축가이드부재(160)에 형성된 가이드홀(161)의 타측 단부로 이동시키면서 바디(141) 및 인출부재(142)가 수평방향에 가깝도록 회전시킨다. 이렇게 탄성지지부(140)재가 회전하면 적재부(120)를 베이스부(110)에 최대한 가깝도록 하강시켜 적재부(120)의 높이를 낮춘다.
그리고 가이드로드(112)는 적재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바디(141) 및 인출부재(142)가 회전하여 적재부(1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적재부(120)의 상부로 돌출된 위치에서의 가이드로드(112)의 하부에는 가이드로드(112)를 적재부(1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가이드로드(112)는 상부로드(114)와 하부로드(115)로 분할되어 있고, 상부로드(114)의 하단이 하부로드(115)의 상부 중공을 통해 하부로드(11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로드(114)와 하부로드(115)는 회전링크(116)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로드(114)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링크(116) 및 상부로드(114)의 하단이 하부로드(115)의 상측 내부로 진입하여 상하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로드(114)를 절곡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부로드(114)를 위로 들어올려 상부로드(114)의 하단과 회전링크(116)가 하부로드(115)로부터 인출되게 한 다음 상부로드(114)를 적재부(1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전시킨다. 따라서 휴대 또는 보관시에는 상기 가이드로드(112)도 접어 대차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접이식 이송대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접이식 이송대차(100)는 가이드로드(112)의 승하강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적재부(120)에 적재물이 적재되더라도 적재부(120)가 하강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클램핑부(170)를 더 구비한다.
클램핑부(170)는 적재부의 하면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로드(11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된 파지홀(172)이 형성된 클램핑바디(171)와, 이 클램핑바디(171)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75)와, 볼트부재(175)와 연결되어 볼트부재(175)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클램핑레버(176)를 포함한다.
클램핑바디(171)는 상술한 것처럼 가이드로드(11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파지홀(1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파지홀(172)의 일측에 절개부(173)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절개부(173)를 벌리거나 오므려 파지홀(172)의 직경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홀(172)의 내주면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된 파지부재(177)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클램핑바디(171)가 가이드로드(112)와 밀착되어 적재부(120)의 승하강을 제한할 때, 상호 접촉하는 가이드로드(112)의 외주면과 클램핑바디(171)의 내주면 사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클램핑바디(171)에는 또한 상기 파지홀(172)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볼트결합홀(17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볼트결합홀(174)은 절개부(173)를 기준으로 양측에 연장되어 있다. 이 볼트결합홀(174)은 절개부(173)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볼트부재(175)는 볼트결합홀(174)에 삽입되는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나사산이 형성된 일측 볼트결합홀(174)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며 클램핑레버(176)와 연결되어 있다. 클램핑레버(176)는 볼트결합홀(17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결합홀(174)로 진입할 수 없으며, 클램핑레버(176)를 돌려 상기 볼트부재(17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볼트부재(175)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볼트부재(175)가 볼트결합홀(174)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부(173)를 중심으로 클램핑바디(171)의 일측단부(171a)가 타측단부(171b)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파지홀(172)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클램핑바디(171)와 가이드로드(112)가 상호 밀착된다. 이렇게 하면 적재부(12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볼트부재(175)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절개부(173)를 중심으로 클램핑바디(171)의 일측단부(171a)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램핑바디(171)의 타측 단부(17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파지홀(172)이 확장되고 가이드로드(112)와의 밀착이 해제되어 적재부(120)가 자유롭게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접이식 이송대차
110; 베이스부
111; 이송바퀴 112; 가이드로드
113; 연결로드
120; 적재부
121; 링크가이드부
130; 링크연결부
131; 엑스링크 132; 제1 링크부재
133; 제2 링크부재 134; 회전축
140; 탄성지지부
141; 바디 142; 인출부재
143; 스프링 144; 축연결부재
145; 힌지축
160; 축가이드부재
161; 가이드홀 162; 고정홀
170; 클램핑부
171; 클램핑바디 172; 파지홀
173; 절개부 174; 볼트결합홀
175; 볼트부재 176; 클램핑레버
177; 파지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이송바퀴(111)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120)와;
    상기 적재부(120)를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적재부(120)와 베이스부(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링크부재(132)(133)가 엑스자 형태로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 엑스링크(131)를 포함하는 링크연결부(130)와;
    상기 적재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3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34)을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상방으로 승강시키는 탄성지지부(140);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부(140)는 상기 적재부(120)에 지지되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지지부(140)는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중공을 가지는 바디(141)와, 상기 바디(14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인출부재(142)와, 일단이 상기 바디(141)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인출부재(142)에 지지되어 상기 인출부재(142)를 상기 바디(141)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43)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부재(142)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13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축연결부재(144)가 결합되며,
    상기 바디(141)는 상단이 상기 적재부(120)의 하부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14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적재부(120)에는 상기 적재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축(145)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된 두 개의 축가이드부재(1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145)이 상기 축가이드부재(160)를 따라 상기 적재부(120)의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0)의 후방 양측로부터 상기 적재부(120)의 후방 상하면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120)의 상하 승강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112)와, 상기 가이드로드(112)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113)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로드(112)는 상기 탄성지지부(140)가 회전하여 상기 적재부(120)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부(120)의 상부로 돌출된 돌출구간이 상기 적재부(1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로드(112)는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하부로드(115)와, 하단이 상기 하부로드(115)의 상부를 통해 상기 하부로드(115)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하부로드(115)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상부로드(114)와, 상기 하부로드(115)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로드(114)와 상기 하부로드(115)를 연결시키는 회전링크(1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송대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가이드부재(160)는 상기 힌지축(145)이 관통할 수 있는 장공형태의 가이드홀(161)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14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12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위치일 때 상기 힌지축(145)이 상기 가이드홀(16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161)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홀(161)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꺾어져 연장된 고정홀(16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이송대차.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20)가 상기 가이드로드(112)를 따라 승하강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클램핑부(17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부(170)는 상기 적재부(120)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로드(112)가 통과하여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로드(112)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된 파지홀(17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하로 연장된 절개부(173)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73)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내주면이 상기 가이드로드(112)와 밀착되거나 상기 가이드로드(112)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 클램핑바디(171)와,
    상기 클램핑바디(171)에 상기 절개부(173)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홀(172)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볼트결합홀(174)에 삽입설치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볼트부재(175)와,
    상기 볼트부재(175)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부재(17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파지홀(172)의 직경을 조절하여 상기 클램핑바디(171)와 가이드로드(112) 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클램핑레버(1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KR1020120142914A 2012-12-10 2012-12-10 접이식 이송대차 KR101426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14A KR101426073B1 (ko) 2012-12-10 2012-12-10 접이식 이송대차
PCT/KR2013/009713 WO2014092331A1 (ko) 2012-12-10 2013-10-30 승강형 이송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14A KR101426073B1 (ko) 2012-12-10 2012-12-10 접이식 이송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679A KR20140074679A (ko) 2014-06-18
KR101426073B1 true KR101426073B1 (ko) 2014-08-01

Family

ID=5112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914A KR101426073B1 (ko) 2012-12-10 2012-12-10 접이식 이송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4635A (zh) * 2016-11-16 2017-02-15 南通大学 多功能可折叠运载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175A (ko)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WO2016129971A1 (ko)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CN105365864A (zh) * 2015-11-14 2016-03-02 合肥天之通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新型运输推车
CN107215371A (zh) * 2017-06-14 2017-09-29 合肥易美特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力设备搬运的搬运车
CN111691727B (zh) * 2020-07-14 2021-08-03 北京交通大学 一种兼具泊车和双向载运功能的立体停车库结构
WO2022080584A1 (ko)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오케이오 다단 하중조절형 이동대차
CN112677072A (zh) * 2020-12-09 2021-04-2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丽江供电局 一种高压线夹安装工具及使用方法
CN113479568B (zh) * 2021-06-28 2022-10-04 浙江广厦建设职业技术大学 装配式建筑用外挂墙板生产转运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466A (en) * 1983-03-31 1987-04-07 Hanaoka Sharyo Co., Ltd. Cart
KR200314799Y1 (ko) * 2003-02-06 2003-05-27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자전거의 안장높이조절장치
JP2003275029A (ja) * 2002-03-20 2003-09-30 Yasuhiro Asai 折り畳みテーブル
KR100930085B1 (ko) * 2009-03-23 2009-12-07 고병기 이송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466A (en) * 1983-03-31 1987-04-07 Hanaoka Sharyo Co., Ltd. Cart
JP2003275029A (ja) * 2002-03-20 2003-09-30 Yasuhiro Asai 折り畳みテーブル
KR200314799Y1 (ko) * 2003-02-06 2003-05-27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자전거의 안장높이조절장치
KR100930085B1 (ko) * 2009-03-23 2009-12-07 고병기 이송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4635A (zh) * 2016-11-16 2017-02-15 南通大学 多功能可折叠运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679A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73B1 (ko) 접이식 이송대차
KR100930085B1 (ko) 이송대차
KR101426072B1 (ko) 이송대차
US8162190B2 (en) Ergonomic lift mechanism for a truck box
KR100671315B1 (ko)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1820931B1 (ko) 포크리프트용 집게형 매니퓰레이터
WO2014092331A1 (ko) 승강형 이송대차
KR20150049315A (ko) 승강형 대차의 적재부 고정장치
KR200463603Y1 (ko) 접이식 운반대차의 손잡이 브래킷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접이식 운반대차
US4105218A (en) Portable pallet carriers
KR102476247B1 (ko) 실린더 작용점 이동 방식 핸드크레인
KR101426074B1 (ko) 풋다운 방식 이송대차
JP2017100481A (ja) 台車
KR20100066048A (ko) 이송대차
KR200431212Y1 (ko)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JP2016022943A (ja) 引き寄せハンドル方式のフォルディング構造を有するパレット運搬装置
JP3194428U (ja) 台車
JP6223390B2 (ja) 貨物用ラック
CN110937386A (zh) 运输设备
KR101412952B1 (ko)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KR101341802B1 (ko) 이동 운반용 파렛트
CN211001470U (zh) 卷芯搬运小车
JP6605534B2 (ja) ハンドカート
US20230406383A1 (en) Cart with a foldable platform
TWI743389B (zh) 運輸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