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212Y1 -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 Google Patents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212Y1
KR200431212Y1 KR2020060022639U KR20060022639U KR200431212Y1 KR 200431212 Y1 KR200431212 Y1 KR 200431212Y1 KR 2020060022639 U KR2020060022639 U KR 2020060022639U KR 20060022639 U KR20060022639 U KR 20060022639U KR 200431212 Y1 KR200431212 Y1 KR 200431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dle
angle
cart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제
Original Assignee
김동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제 filed Critical 김동제
Priority to KR2020060022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2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4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을 싣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 손잡이의 각도를 변경함으로 작은 힘으로 무거운 화물을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적재된 화물이 이동충격에도 앞으로 기울어져 전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에 관한 것으로, 지지축에 체결되며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에 근접되며, 지지축에 용착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로 체결되어 카트를 이동시키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용착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중앙에 용착되며 스프링이 체결된 각도 조절봉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조절봉의 하부에 용착되며 지지판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손잡이부의 회동을 제어하는 스토퍼로 형성된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지지판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며, 지름을 하부지지대 보다 좁게 한 상부 지지대를 하부 지지대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형성된 수직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지지판, 스토퍼, 스프링, 각도조절장치,

Description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Cart the angle control of the handle was possible}
도 1은 종래의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를 나타내 사시도,
도 3a ~ 3d는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퀴 20 : 지지판
30 : 손잡이부 30 : 각도조절장치
50 : 지지대 60 : 적재부
본 고안은 각종 화물을 싣고 이동하기 편리하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설계된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을 싣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어 적재된 화물이 이동충격에도 앞으로 기울어져 전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를 운반한 물건은 차량으로부터 창고나 근거리의 화물운반을 위하여 카트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카트는 통상 한 쌍의 바퀴들과 이 바퀴들의 전방부로 화물이 적재되는 받침대가 구성되며, 그 뒤편으로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대가 입설되어 있다. 이 수직지지대는 받침대와 대략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잡고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물운반용 카트는 화물을 받침대상에 적재하면서 뒤편의 수직지지대에 기대서 쌓아 올리게 되며, 이렇게 화물을 적재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카트를 기울여서 받침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밀어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받침대가 약 45°기울어지게 되어 액체를 운반할 때는 액체가 흘러나오는 문제점이있었다.
또한 이동할 때 일체화된 받침대와 수직지지대는 적재된 화물의 하중이 바퀴들의 전방에 형성됨에 의해 앞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여, 카트 운전시 손잡이를 위로 큰 힘을 주어 들면서 밀어야 되므로 무거운 화물에 의하여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를 주어 사용시 힘이 들뿐만 아니라, 화물의 운반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동시 단턱이나 작은 물체에 카트의 바퀴가 걸리면 하중의 뒤 쏠림 으로 인해 적재된 화물이 이탈하거나 전도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해지고 화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 화물을 싣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변경함으로 작은 힘으로 무거운 화물을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고정할 수 있어 적재된 화물이 이동충격에도 앞으로 기울어져 전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한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는 지지축에 체결되며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에 근접되며, 지지축에 용착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로 체결되어 카트를 이동시키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용착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중앙에 용착되며 스프링이 체결된 각도 조절봉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조절봉의 하부에 용착되며 지지판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손잡이부의 회동을 제어하는 스토퍼로 형성된 각도조절장치와, 상기 지지판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며, 지름을 하부 지지대 보다 좁게 한 상부 지지대를 하부 지지대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형성된 수직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로 구 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를 나타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써,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는 크게 한 쌍의 바퀴(10)와 상기 바퀴(10)를 연결하는 지지축과, 한 쌍의 바퀴(10)와 근접되고 상기 지지축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요홈(22)이 형성된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일측에 힌지(24)로 체결되어 회동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손잡이부(30)에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40)와, 상기 지지판(20)의 전방부로 화물이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 지지대(5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50)의 전방 하부에는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의 결합상태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한 쌍의 바퀴(10)는 지지축으로 연결되어 베어링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판(20)은 한 쌍의 바퀴에 근접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축에 용착형성되며, 상부에는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요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0)의 하부 일측에는 카트를 이동시키는 손잡이부(30)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4)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에는 손잡이부(3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40)가 형성되는데, 손잡이부(30)의 상부에 연결바(42)가 용착되며, 상기 연결바의 중앙에는 스프링(48)이 체결된 각도 조절봉(46)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부(44)가 용착되며, 상기 조절봉(46)의 하부에는 지지판(20)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손잡이부(30)의 회동을 제어하는 스토퍼(49)가 용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0)의 전방부로 화물이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 지지대(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적재물의 높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가 형성되는데, 그 구성은 지름을 하부지지대(52)보다 좁게 한 상부 지지대(54)를 하부지지대 내에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한 후 그 측면에 형성된 볼트로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50)의 전방 하부에는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적재부(60)의 하부에는 카트의 이송시 편안하고 안정되게 이송할 수 있도록 보조바퀴(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손잡이부에 용착된 각도 조절장치의 조절봉을 당기면 상기 조절봉이 가이드부를 따라 상부로 수직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절봉의 하부에 형성된 스토 퍼가 지지편에 형성되 요홈에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편에서 각도조절장치를 이탈시킨 후 손잡이부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데, 이때 손잡이부는 힌지를 따라 지지편에서 회동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조절봉의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지지편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시킨 손잡이부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절봉은 그 일측에 체결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수직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조절봉에 형성된 스토퍼가 지지편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손잡이부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트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을 싣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어 작은 힘으로 무거운 화물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적재된 화물이 이동충격에도 앞으로 기울어져 전도되거나 이탈되지않는 안정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이 무거워도 카트가 앞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지 않아 적은 힘으로도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화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운반하여 화물의 파손이나 손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물품을 쉽게 이동하기 위한 카트에 있어서,
    지지축에 체결되며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한 쌍의 바퀴(10)와,
    상기 한 쌍의 바퀴에 근접되며, 지지축에 용착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요홈(22)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하부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4)로 체결되어 카트를 이동시키는 손잡이부(30)와,
    상기 손잡이부(30)의 상부에 용착되는 연결바(42)와, 상기 연결바의 중앙에 용착되며 스프링(48)이 체결된 각도 조절봉(46)이 수직으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부(44)와, 상기 조절봉(46)의 하부에 용착되며 지지판(20)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손잡이부(30)의 회동을 제어하는 스토퍼(49)로 형성된 각도조절장치(40)와,
    상기 지지판(20)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며, 지름을 하부지지대(52)보다 좁게 한 상부 지지대(54)를 하부지지대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형성된 수직 지지대(50)와,
    상기 지지대(5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어 화물을 적재하며 하부에 보조바퀴(62)가 형성되어 있는 적재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KR2020060022639U 2006-08-23 2006-08-23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KR200431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639U KR200431212Y1 (ko) 2006-08-23 2006-08-23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639U KR200431212Y1 (ko) 2006-08-23 2006-08-23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212Y1 true KR200431212Y1 (ko) 2006-11-23

Family

ID=4177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639U KR200431212Y1 (ko) 2006-08-23 2006-08-23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2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956A (ko) 2015-02-27 2016-09-06 정명래 화물 적재용 핸드카
KR20190126210A (ko) * 2018-05-01 2019-11-11 이흥관 소형 스태커
KR102464251B1 (ko) * 2021-05-13 2022-11-04 박상규 스틸 그레이팅 거상 운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956A (ko) 2015-02-27 2016-09-06 정명래 화물 적재용 핸드카
KR20190126210A (ko) * 2018-05-01 2019-11-11 이흥관 소형 스태커
KR102055243B1 (ko) * 2018-05-01 2019-12-12 이흥관 소형 스태커
KR102464251B1 (ko) * 2021-05-13 2022-11-04 박상규 스틸 그레이팅 거상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524B2 (en) Wheeled cart slidable onto horizontal surface
US5018930A (en)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US6857836B2 (en) Wheeled transports
US9758184B1 (en) Three wheel cargo cart with lifting drawbar
US8651500B2 (en) Dolly transport systems
US3540753A (en) Hand truck
CA3009156C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KR20140074679A (ko) 접이식 이송대차
EP3415382A1 (en) Portable trailer stand
US10562463B1 (en) Vehicle load carrier with integrated handling wheels
US7500683B2 (en) Filing cabinet dolly
KR200431212Y1 (ko)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JP5520707B2 (ja) 荷台、トレーラ、及びラック
WO2016015652A1 (zh) 手推车
US6575481B1 (en) Picnic table dolly and method therefor
AU2014286597B2 (en) A hand-operated and rolling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pallets with lifting effect by wheel camber change
KR200445099Y1 (ko) 화물운반용 카트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EP1970296B1 (en) Foldable bicycle
JP5827501B2 (ja) 運搬用台車及び荷下ろし小運搬方法
JP2011046281A (ja) 運搬台車装置
JP2015074442A (ja) 電動カート装置
KR200276973Y1 (ko) 카트(Cart)각도조절장치
KR20090000250U (ko) 무게 중심 축을 개량한 수직 적재식 손수레
KR20100000909U (ko) 대형 파이프 이송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