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142A - 운반용 카트 - Google Patents

운반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142A
KR20150029142A KR20130107911A KR20130107911A KR20150029142A KR 20150029142 A KR20150029142 A KR 20150029142A KR 20130107911 A KR20130107911 A KR 20130107911A KR 20130107911 A KR20130107911 A KR 20130107911A KR 20150029142 A KR20150029142 A KR 2015002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pport member
panel
cart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724B1 (ko
Inventor
정대원
Original Assignee
(주) 성원애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성원애드피아 filed Critical (주) 성원애드피아
Priority to KR102013010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7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카트 손잡이의 각도를 적재무게와 무관하게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손잡이가 원래 위치에 자동으로 세워질 수 있는 운반용 카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 형태로서, 그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 저면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휠부재와, 상기 패널부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패널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반용 카트{ Delivery cart}
본 발명은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 손잡이의 각도를 적재무게와 무관하게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손잡이가 원래 위치에 자동으로 세워질 수 있는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를 운반한 물건은 차량으로부터 창고나 근거리의 화물운반을 위하여 카트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카트는 통상 한 쌍의 바퀴들과 이 바퀴들의 전방부로 화물이 적재되는 받침대가 구성되며, 그 뒤편으로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대가 입설되어 있다. 이 수직지지대는 받침대와 대략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잡고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물운반용 카트는 화물을 받침대상에 적재하면서 뒤편의 수직지지대에 기대서 쌓아 올리게 되며, 이렇게 화물을 적재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카트를 기울여서 받침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밀어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받침대가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이동할 때 일체화된 받침대와 수직지지대는 적재된 화물의 하중이 바퀴들의 전방에 형성됨에 의해 앞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여, 카트 운전시 손잡이를 위로 큰 힘을 주어 들면서 밀어야 되므로 무거운 화물에 의하여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를 주어 사용시 힘이 들뿐만 아니라, 화물의 운반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동 시 단턱이나 작은 물체에 카트의 바퀴가 걸리면 하중의 뒤 쏠림으로 인해 적재된 화물이 이탈하거나 전도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해지고 화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 20-0431212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된 물건의 무게와 관계없이 손잡이의 각도 및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운반용 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카트는 평판 형태로서, 그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 저면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휠부재와, 상기 패널부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패널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부의 선단에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연결구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상단에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된 물건의 무게와 관계없이 손잡이의 각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으로 방향으로 젖혀진 손잡이가 원래 위치에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설계가 이루어져 작업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고, 손잡이의 방향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에 따라 적재된 물건의 이송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손잡이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손잡이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손잡이가 허용됨 범위에서만 회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후방으로 복귀된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카트는 카트 손잡이의 각도를 적재무게와 무관하게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손잡이가 원래 위치에 자동으로 세워질 수 있는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그 일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카트는 평판 형태로서, 그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패널부(110)와, 상기 패널부(110) 저면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휠부재(120)와, 상기 패널부(110)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30)와, 상기 손잡이부(130)를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패널부(11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11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평판의 형태를 취하고, 그 상면에 평면으로 이루어져 물건이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널부(110)의 저면에는 상기 패널부(110)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복수의 휠부재(120)가 연결된다. 상기 휠부재(120)는 바퀴, 캐스터 등과 같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양한 회전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부(110)의 후단 저면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130)는 막대의 형상을 취하며, 상기 패널부(110)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그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손잡이(131)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130)를 잡고 밀거나 끄는 방식으로 상기 패널부(110) 및 그 상면에 적재된 물건들을 이송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상기 손잡이부(130)를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패널부(110)에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140)는 상기 패널부(110)의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140)는 상기 손잡이부(13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130)의 하단과 힌지 등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패널부(110)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130)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경우, 패널부(110)에 적재된 물건의 무게와 관계없이 작업자의 편의에 맞춰 손잡이부(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손잡이부가 후방으로 복귀된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140)는 상기 패널부(110)의 선단에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지지부재(141)와, 상기 지지부재(141)의 연결구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상단에 상기 손잡이부(130)의 하단이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 힌지(143)로 연결되는 샤프트(142)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42)는 상기 연결구에 끼워지고, 연결구와 샤프트(142) 사이에는 마찰력 감소를 위해 베어링(144)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142)가 지지부재(141)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상단에 연결된 손잡이부(130) 역시 지지부재(141)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상기 샤프트(142)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부(130)를 밀거나 잡아당길 경우, 패널부(110) 및 지지부재(141)에 대한 손잡이부(13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140)의 하단에는 보조휠(145)이 장착된다. 상기 보조휠(145)은 상기 샤프트(142)의 하단 또는 지지부재(141)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샤프트(142)의 하단에 수평프레임(146)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146)의 양단에 보조휠(145)이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의 경우 상기 손잡이부(13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샤프트(142)의 하단에 연결된 수평프레임(146)과 보조휠(145)도 함께 좌우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카트의 이송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상기 휠부재(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142)의 외측에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손잡이부(130)의 하단과 지지부재(141)의 상단에 접촉되게 압축 코일스프링(150)이 끼워지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50)은 상기 손잡이부(130)가 전방으로 회전하면 손잡이부(130)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어 수축하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30)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이면 손잡이부(130)가 힌지(143)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50)을 가압하게 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150)은 수축한다. 따라서, 손잡이부(130)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손잡이부(130)는 자동으로 세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링 형상의 중간부재(151)가 배치된다. 상기 중간부재(151)는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상단과 손잡이부(130)의 하단, 압축 코일 스프링(150)의 하단과 지지부재(141)의 상단 사이에 끼워져 압축 코일 스프링(150)을 지지하고 보호함과 동시에 손잡이부(130)에서 가해진 압력을 압축 코일 스프링(150)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141)의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부(1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6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130)의 양측 하단에는 수직부171)와 수평부(172)를 포함하는 'ㄴ'가 형태의 브라켓(17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170)의 중심부는 상기 샤프트(142)와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143)로 연결된다.
상기 스토퍼(160)는 평판이 절곡된 형태로 그 절곡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41)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70)의 수직부(171)를 지지하는 제1 스토퍼(161)와, 평판이 절곡된 형태로 그 절곡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지지부재(141)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70)의 수평부(172)를 지지하는 제2 스토퍼(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161)는 상기 상기 손잡이부(130)가 전방 회전할 경우 상기 손잡이부(130) 또는 브라켓(170)의 수직부(171)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손잡이부(130)의 전방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제1 스토퍼(161)는 손잡이부(130)가 전방으로 젖혀질 때, 브라켓(170)의 수직부(171)를 지지하여 상기 손잡이부(130)가 전방으로 젖혀지는 각도를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토퍼(161)의 높이는 제2 스토퍼(16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토퍼(162)는 손잡이부(130)가 원래 상태로 세워질 때, 브라켓(170)의 수평부(172)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손잡이부(130)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각도를 제한하여 손잡이부(13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토퍼(161)와 제2 스토퍼(162)는 일체로 이루어져 정사각형, 마름모꼴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된 물건의 무게와 관계없이 손잡이의 각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전방으로 방향으로 젖혀진 손잡이가 원래 위치에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설계가 이루어져 작업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고, 손잡이의 방향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에 따라 적재된 물건의 이송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패널부 120 : 휠부재
130 : 손잡이부 140 : 연결부재
141 : 지지부재 142 : 샤프트
143 : 힌지 144 : 베어링
145 : 보조휠 146 : 수평프레임
150 : 압축 코일 스프링 160 : 스토퍼
170 : 브라켓

Claims (5)

  1. 물품을 쉽게 이동하기 위한 카트에 있어서,
    평판 형태로서, 그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 저면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휠부재와;
    상기 패널부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패널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패널부의 선단에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연결구가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연결구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상단에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샤프트의 하단에는 보조휠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손잡이부와 지지부재에 접촉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이 끼워지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은 상기 손잡이부가 전방으로 회전하면 손잡이부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어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후 방향에 대한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카트.
KR1020130107911A 2013-09-09 2013-09-09 운반용 카트 KR101504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11A KR101504724B1 (ko) 2013-09-09 2013-09-09 운반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11A KR101504724B1 (ko) 2013-09-09 2013-09-09 운반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142A true KR20150029142A (ko) 2015-03-18
KR101504724B1 KR101504724B1 (ko) 2015-03-20

Family

ID=5302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911A KR101504724B1 (ko) 2013-09-09 2013-09-09 운반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602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849U (ko) 2015-04-29 2016-1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통형 용기 승강 장치
KR101855827B1 (ko) 2017-12-11 2018-05-09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경사 조절가능한 카트장치
KR102384632B1 (ko) 2020-03-20 2022-04-11 (주)제이스코리아 관로 내부의 인베스티게이팅을 위한 전동 드라이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278Y2 (ja) * 1984-03-23 1985-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芝刈機
US6511080B2 (en) 2001-02-14 2003-01-28 Wen-Ching Lee Fork lift trolley
JP2006321338A (ja) 2005-05-18 2006-11-30 Sisiku Addkreis Corp 随行操作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602A (ko) *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724B1 (ko) 201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6610B1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apparatus
US8413999B2 (en) Wheeled apparatus having multiple wheelbase configurations
US7658388B1 (en) Cart apparatus
US10793176B2 (en) Pallet lift
US8408581B1 (en) Collapsible shopping cart device
US6053515A (en) Handy carrier
US8167322B2 (en) Stable shop and field welding cart
US6250655B1 (en) Leveraging transport system for tables plasterboard sheets and the like
KR101504724B1 (ko) 운반용 카트
US9156485B1 (en) Leverage cart assembly
CN109641606A (zh) 手推车
US9988063B2 (en) Stabilizing system for use with a reel car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16562B1 (ko) 파워 핸드 카트
US10137920B1 (en) Hand truck assembly
US20150321685A1 (en) Two wheel tilt steering wheelbarrow
US20170232986A1 (en) Keg Transporter
US8714580B2 (en) Kit for providing wheeled apparatus having multiple wheelbase use configurations
US9365226B1 (en) Transport dolly
FR2847222A1 (fr) Chariot de manutention et de levage d'un appareil pour son installation sur une structure haute, notamment un plafond
US10005483B1 (en) Hand truck with stabilizer plate
KR200313845Y1 (ko) 손수레
KR200460971Y1 (ko) 손수레
KR102158423B1 (ko) 물품 운반용 카트
JP6289994B2 (ja) 電動カート装置
JP5947166B2 (ja) 台車用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