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315B1 - 유리판 반송 팔레트 - Google Patents

유리판 반송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315B1
KR100671315B1 KR1020050134908A KR20050134908A KR100671315B1 KR 100671315 B1 KR100671315 B1 KR 100671315B1 KR 1020050134908 A KR1020050134908 A KR 1020050134908A KR 20050134908 A KR20050134908 A KR 20050134908A KR 100671315 B1 KR100671315 B1 KR 10067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support arm
pallet
support
cent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히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디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디알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디알에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32Non-integral, e.g. inserts
    • B65D2519/00457Non-integral, e.g. inserts on the lid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8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lifting, e.g. hooks, loops
    • B65D2519/00791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lifting, e.g. hooks, loops handles, 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88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 B65D71/0092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 B65D71/0096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the dimensions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oad, e.g.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llets (AREA)
  • Handcart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유리판이 반송 팔레트에 세로로 적층된 경우에도 이들 유리판의 중앙 근방에 휘어짐이 발생되는 일이 없고 이동시에도 유리판끼리의 미끄러짐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조작성이 우수한 유리판 반송 팔레트를 제공한다.
세로로 여러 장 적층한 유리판(17) 바닥부를 지지한 재치대(2)와, 유리판(17)의 배면을 경사 지지하는 배면 지지체로 구성하고, 배면 지지체의 상하에는 타단이 각각 회동축(13,26)에 장착된 상방의 제 1 지지아암(9) 및 조작핸들(22)을 구비한 하방의 제 2 지지아암(20)이 배설되고 회동축(13,26)이 연동수단(13,26,23,24,25,25')을 통하여 연결되며, 제 1 지지아암(9)의 일단에는 유리판(17)의 좌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바아(10)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팔레트, 센터바아, 지지아암, 회동축, 유리판

Description

유리판 반송 팔레트{Pallet for transporting plate gla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유리판 반송 팔레트의 정면측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의 배면측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
도 3은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에 의한 제 1 지지아암의 연동제어에 의하여 제 1 지지아암이 하방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에 의한 제 1 지지아암의 연동제어에 의하여 제 1 지지아암이 상방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유리커버체가 센터바아로부터 해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센터바아로 유리커버체가 보호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반송팔레트(유리판 반송 팔레트) 1a:팔레트본체
2:재치대 2a:완충재
3:배면지지재 3a:완충재
4:보강재 4a:상단 프레임재
4b:중간단 프레임재 4c:하단 프레임재
5:지주 5a:아암 수용 금속부재
6:아암 베어링 부재 7:유리커버체
7a:전면 7b:측면
7c:상면 7d:들어올림부
7e:완충재 8:케이스박스
9:제 1 지지아암 9a:슬라이딩홈
10:센터바아 10a:지지재(완충재)
10b:지축 11:댐퍼(댐퍼 기구의 일부)
12:회동편(댐퍼기구의 일부) 13:제 1회동축(연동수단)
14:지지재 15:보강재
17:적층된 유리판 17a:중앙부
17b:바닥부 17c:배면부
18:캐스터 19:하부 바닥지지대
20:제 2 지지아암 21,21':아암베어링 부재
22:조작핸들 23:제 1 회동반(연동수단)
23a,23b:지축핀 24:제 2 회동반(연동수단)
24a,24b:지축핀
25,25':선재(연동수단의 일부인 연결부재)
26:제 2 회동축
34:배면커버(차폐체의 일부) 35:측면커버(차폐체의 일부)
36:고정레버(고정기구)
본 발명은 유리판을 팔레트 본체에 세로로 여러 장 적층 지지시켜서 반송하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판을 가로로 두어서 여러 장 적층하여서 반송하는 반송 팔레트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반송 팔레트는 팔레트 기판의 폭 방향 양단부에 복수의 지주를 세워 설치하고 지주에 설치한 절결에 결합된 구속판을 팔레트 기판 위에 적재한 여러 장의 금속판에 얹어서 복수의 금속판의 흔들림으로 인한 금속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있다. 이 기술은 일본특허공개평9-30526호 공보(단락 0010, 0011 및 도 2, 도 4 참조)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있어서는 적재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금속판의 경우에는 편리하지만, 피반송체가 얇고 큰 유리판인 경우에는 적재 중량이 아래에 있는 유리체에 가해지므로 파손되기 쉽고, 적재량에 제한이 있다. 여기서, 팔레트 기판상에 많은 유리판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유리판에 적재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세로로 두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적하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층 유리체에 대하여 가로 세로로 래싱 벨트 등을 감아서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판을 세로로 세운 경우에는 유리판의 자중에 의하여 중앙부가 휘기쉽기 때문에 단단히 묶어도 래싱 벨트 등이 느슨해져 반송중에 유리판끼리 미끄러져 위치가 벗어나는 일이 발생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여러 장의 유리판이 반송 팔레트에 세로로 세워져 적층된 경우에도 이들 유리판의 중앙 근방에 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동에 있어서도 유리판끼리 미끄러지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 조작성이 우수한 유리판 반송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유리판을 팔레트 본체에 세로로 세워서 여러 장 적층 지지시켜 반송하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팔레트 본체는 유리판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재치대와 상기 유리판의 배면을 경사 지지하는 배면 지지체로 구성되고, 그 배면 지지체의 상하에는 타단이 축지지된 상방의 제 1 지지아암 및 하방의 제 2 지지아암이 배설되고 그 제 1 지지아암의 일단에는 상기 유리판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으로 상기 연동수단, 상기 제 1 지지암을 통하여 상기 센터바아가 요동시켜서 적층 지지한 유리판의 대략 중앙부를 보호 지지하여서 이동을 저지하거나 혹은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제 1 지지아암보다도 하방으로 제 2 지지아암이 배설됨으로써 항상 제 2 지지아암에는 손이 닿아 조작이 쉽고, 이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에 의해 연동수단을 통하여 센터바아의 올림 내림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유리판 반송 팔레트의 이송중이라도 센터바아에 의해 적층 지지한 유리판의 대략 중앙부를 보호 유지하여서 휘어짐을 방지하고 유리판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제 1 지지아암을 축지지하는 제 1 회동축과, 상기 제 2 지지아암을 축지지하는 제 2회동축과, 이들 상기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회동반과, 상기 제 1 회동반과 제 2 회동반에 축 장착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회동반에 연결부재의 양부분을 축 장착함으로써 이 제 1 및 제 2 회동반의 회동반경을 이용하여서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에 의해 제 2 회동반, 제 1 회동반을 통하여 제 1 회동축이 회동되어 제 1 지지아암이 연동 제어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센터바아의 올리고 내림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한 쌍의 선재(線材)가 이용되며, 그 한 쌍의 선재 양단의 축 장착 위치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한 쌍의 선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대칭위치에서 축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바아의 올리고 내림에 있어서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에 따른 제 1 지지아암의 연동제어가 항상 일정한 견인력으로 균등하게 무리없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항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제 2 지지아암에는 조작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제 2 지지아암에 손으로 쥐기 쉬운 핸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게 제 1 지지아암을 연동하여서 이동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조작시에 제 2 지지아암으로부터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조작핸들을 길게 형성하면 작업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항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제 1 지지아암에는 상기 센터바아아가 상기 배면 지지체의 상방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그 위치를 유지하는 고정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센터바아가 배면지지체의 상방위치에서 보호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센터바아가 제멋대로 적층된 유리판의 전면을 향하여 이동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유리판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항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센터바아가 유리판의 전면측으로부터 배면 지지체의 상방측으로 이동할 때는 가세하고, 상기 배면 지지체의 상방측에서 유리판의 전면측으로 이동할 때는 저항을 주는 댐퍼 기구가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댐퍼기구에 의하여 센터바아를 유리판의 전면측으로부터 해방 조작할 때는 가세되므로 조작이 가볍게 이루어지고, 센터바아를 유리판의 전면측을 향하여 누를 때는 힘있게 맞닿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항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팔레트 본체의 측면 및 후면을 덮는 커버체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커버체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연동수단이 차폐되므로 제 2 지지 아암의 조작에 의한 제 1 지지아암의 연동제어시에도 작업자가 잘못하여 팔레트 본체내에 손이나 손가락이 삽입되거나 연동수단에 끼워넣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항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적어도 재치대 또는 배면 지지체에는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반송 팔레트에 재치하는 작업중 및 반송 팔레트의 이동시에 진동이 생겨도 완충재에 의하여 유리판으로의 충격이 흡수되므로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는 청구항 1 내지 8의 어느 항에 기재된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팔레트 본체에는 복수의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유리판 반송 팔레트를 바닥면을 따라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복수의 캐스터에 의하여 유리판에 극력 진동을 주지않고서 이동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유리판 반송 팔레트의 정면측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의 배면측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며, 도 3은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에 의한 제 1 지지아암의 연동제어에 의하여 제 1 지지아암이 하방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는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에 의한 제 1 지지아암의 연동제어에 의하여 제 1 지지아암이 상방으로 이동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유리커버체가 센터바아로부터 해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센터바아로 유리커버체가 보호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유리판 반송 팔레트(이하, 반송 팔레트1)는 유리판을 여러 장 세로로 세워 적층시켜서 반송할 수 있으며, 유리판의 운반 및 이동용으로 사용되는 대차(臺車)로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근거로 설명하면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팔레트(1)는 주로 유리판을 지지하는 팔레트 본체(1a)와 유리판을 보호 유지하는 센터바아(10)를 지지하는 지지아암(9)(제 1지지아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에서 반송 팔레트(1)의 바로 앞쪽의 정면을 전방으로 하고, 반송팔레트(1)의 안쪽 방향의 배면측을 후방으로 하며 반송 팔레트(1)의 왼쪽을 좌방, 오른 쪽을 우방으로서 설명한다.
주로 금속제의 팔레트 본체(1a)는 유리판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재치대(2)와, 유리판의 배면측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체와, 재치대(2) 및 배면 지지체를 지지하는 하부 바닥지지대(19)로 이루어지며, 배면 지지체는 세로로 적층한 유리판의 배면을 직접 지지하는 배면지지재(3)와, 하부 바닥지지대(19)의 후방위치에서 입설된 지주 (5)와 이 지주(5)를 보강하는 보강재(15)와, 배면지지재(3)와 지주(5)를 연결하는 상단 프레임재(4a), 중간단 프레임재(4b), 하단 프레임재(4c)로 구성되어 있다.
재치대(2) 및 배면지지재(3)에는 적층된 유리판이 재치되며 이들 유리판의 전면, 측면 및 상면을 유리 커버체(이하, 커버체7)로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이 커버체(7)는 경량이고 단단한 경질 플라스틱재로 형성되고 커버체(7)의 전면(7a)에는 반원 고리 모양의 들어올림부(7d)가 소정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들어올림부(7d)를 이용하여서 커버체(7)의 이동조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팔레트본체(1a)의 좌우측면에는 그 내부를 차폐하는 차폐체의 일부인 금속판의 측면커버(35,35)가 부착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차폐체의 일부인 배면커버(34)가 부착되어 있다. 좌우측면의 측면커버(35,35) 외방에는 타단을 제 1 회동축(13)에 고정한 제 1 지지아암(9,9)이 설치되며, 이 제 1 지지아암(9,9)의 일단측에는 센터바아(10)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바아(10)는 팔레트본체(1a)의 폭방향으로 건너는 금속봉 형상의 지축(10b)과, 이 지축(10b)의 외주에 부착되는 것으로 완충성이 높은 지지재(10a)로 이루어지며, 지축(10b)의 양단부가 제 1 지지아암(9)의 일단에 회동 자유로이 축지지된다. 완충성이 높은 부재로서는 고무 형상의 충격흡수재나 해면형상의 스폰지체나 발포 스티롤 등이 사용된다.
제 1 지지아암(9)의 타단측에는 반원 모양의 슬라이딩 홈(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홈(9a)내에는 측면커버(35)로부터 연장한 핀이 삽입 통과하고 핀 선단에 고정레버(36)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레버(36)를 우회전함으로써 제 1 지지아암(9)은 고정레버(36)와 측면커버(35)에 삽입 유지되어서 이동 불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고정레버(36)를 좌회전시키면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제 1 지지아암(9)이 측면커버(35)에 지지되어서 회동된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바아(10)로 커버체(7)의 전면을 보호 지지한 상태에 있어서, 고정레버(36)를 우회전시켜서 센터바아(10)의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함으로써 반송 팔레트의 이동중이라 하더라도 적층된 유리체가 이동하는 일은 없다.
측면커버(35)의 제 1 지지아암(9)에서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간된 외방위치에는 타단을 제 2 회동축(26)에 고정한 제 2 지지아암(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지지아암(20)의 측부에는 'ㄷ'자 모양의 금속봉 형상의 조작핸들(22)이 용착되고, 측면커버(35)의 상부에는 제 1 지지아암(9,9)의 상방 요동시에 회동을 규제하는 아암 수용 금속부재(5a)가 좌우로 각각 고정 장착되어 있다.
도 2, 도 3에서와 같이 팔레트 본체(1a)의 내부에는, 상단 프레임재(4a,4a)의 하부에 아암 베어링 부재(6,6)가 부착되어 있고 팔레트본체(1a)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회동축(13)이 아암 베어링부재(6,6)에 회동 자유로이 축지지되며, 이 회동축(13)의 좌우 양단에 지지아암(9)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하단(4c,4c)의 양측에는 지지재(14)가 좌우방향으로 건너 질러져 고정되어 있다. 오른쪽의 하단 프레임재(4c)의 상부 및 지지재(14)의 중간부에는 아암베어링부재(21,21')가 장착되어 있다(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왼쪽의 하단 프레임재(4c)의 상부에도 아암베어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아암 베어링부재(21,21')에는 제 2 회동축(26)이 회동 자유로이 축 지 지되고 이 제 2 회동축(26)의 우측단에 제 2 지지아암(2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회동축(13)에는 제 1 회전반(23), 제 2 회동축(26)에는 동형의 제 2 회전반(24)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양회전반(23,24)은 연결부재인 한 쌍의 금속선재(25,25')(본 실시예에서는 공지의 와이어를 사용)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회동축(13)에 간격을 두어서 연결한 두 개의 회동편(12)이 각각 댐퍼(11)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댐퍼(11)의 하단부는 지지재(14)에 고정되어 있다. 댐퍼(11)는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부세력이 작용하는 유압식, 공압식 또는 스프링식의 댐퍼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댐퍼(11)의 상단부가 약간 비스듬히 후방으로 경사된 위치에서는 댐퍼(11)에 의해 회동편(12)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가해짐으로써 제 1 지지아암(9)이 하방을 향하여 밀어 내려지는 부세력이 주어져 제 1 지지아암(9)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한 쌍의 선재(25,25')의 구체적인 장착 위치는 선재(25,25')의 상단이 제 1 회동반(23)에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대칭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선재(25)의 상단을 지축핀(23a)으로 선재(25')의 상단을 지축핀(23b)으로 각각 축장착한다. 마찬가지로 선재(25,25')의 상단이 제 2 회동반(24)에 제 2 회동축(26)을 중심으로 대칭위치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선재(25)의 하단을 축지핀(24a)로 선재(25')의 하단을 지축핀(24b)로 각각 축장착하고 있다.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제 1 지지아암(9), 제 1 회동반(23), 회동편(12)은 회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 1 회동반(23)이 회동 제어되면 제 1 회동 축(13)을 통하여 제 1 지지아암(9)과 회동편(12)이 연동하여서 회동 제어된다. 또 제 1 지지아암(9)의 회동시에는 고정레버(36)는 고정 해방 위치에 있다.
또 제 2 회동축(26)에 대해서 제 2 지지아암(20), 제 2 회동반(24)은 회동 불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조작핸들(22)을 이용하여서 제 2 지지아암(20)이 조작되어 상방을 향하여 요동되어 가면 제 2 회동축(26)을 통하여 제 2 회동반(24)도 연동하여서 회동 제어된다. 그리고, 서서히 제 2 회동반(24)이 회동되어서 지축핀(24b)의 선재(25')가 하방으로 견인되기 시작되면서 동시에 지축핀(23b)가 하방으로 견인되어서 제 1 회동반(23)이 회동한다. 이 제 1 회동반(23)의 회동에 연동하도록 제 1회동축(13)을 통하여 회동편(12)도 같은 방향으로 하단측에서 서서히 전방으로 회동되어가면서 댐퍼(11)를 하방을 향하여 압축한다.
여기서, 제 4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재(25')의 양단이 하방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그 대칭에 있는 선재(25)의 양단이 상방을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제 1 회동축(13)이 제 2 회동축(26)의 회동에 연동하여서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 1 지지아암(9)이 제 2 지지아암(20)과 같은 방향으로 요동되면서 상방을 향하여 이동되어 센터바아(10)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 1 및 제 2 회동반(23,24)에 선재(25,25')의 양단부를 각각의 회동축(13,26)을 중심으로 대칭위치에 축장착함으로써 이 제 1 및 제 2 회동반(23,24)의 회동반경을 이용하여서 제 2 지지아암(20)의 조작에 의해 제 2 회동반(24), 제 1 회동반(23)을 통하여 제 1 회동축(13)을 회동하고 제 1 지지아암(9)이 연동 제어됨으로써 센터바아(10)의 올리고 내림에 있어서 제 2 지지아암(22)의 조작에 따른 제 1 지지아암(9)의 연동제어가 항상 일정한 견인력으로 균등하고 무리없이 수행되며 간소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센터바아(10)를 올리고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센터바아(10)가 상측방향으로 올려진 상태를 해방상태로 하고, 전방을 향하여 내려진 상태를 유리판의 보호 지지 상태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또한, 센터바아(10)가 해방되는 과정에서 제 1 회동축(13)을 통하여 회동편(12)이 회동되면서 댐퍼(11)의 상단이 제 1 회동축(13)을 축심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어 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아암(9)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댐퍼(11)에 의하여 회동편(12)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센터바아(10)의 밀어 올림 부하가 회전 도중에 댐퍼(11)의 부세력에 의하여 가벼워진다.
반대로 후술하는 센터바아(10)를 상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킬 때에는 저항을 주는 댐퍼(11)에 저항력이 가해지므로 댐퍼(10)가 자중에 의하여 힘있게 커버체(7)의 전면(7a)측을 향하여 이동되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댐퍼기구에 의하여 센터바아(10)를 유리판의 전면측으로부터 해방 조작할 때는 후반에 가세되므로 조작이 편해지고 센터바아(10)를 유리판의 전면측으로 내릴 때는 힘있게 회동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다.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복수 세로로 두어서 적층한 유리판(17)은 케이스박스(8)내에 케이스박스 단위로 수납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케이스박스(8,8)가 이용되고 있는데 케이스박스의 수는 유리판의 두께나 매수, 크기에 따 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이 케이스박스(8)를 입설시킨 상태에서 배면지지재(3)에 기울여서 재치대(2)에 재치하고, 그리고 케이스박스(8)를 덮도록 커버체(7)가 케이스박스(8)의 전면, 측면 및 상면을 커버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유리판이 간접적으로 팔레트 본체(1a)에 지지되어 있다.
또 재치대(2)의 상면에는 완충재(2a)가 설치되어 케이스박스(8) 및 커버체(7)의 바닥부가 맞닿면서 동시에 배면지지재(3)의 전면에도 완충재(3a)가 구비되어 있어서 케이스박스(8) 및 커버체(7)의 배면부가 맞닿아서 간접적으로 유리판이 보호된다. 또 이들 완충재(2a,3a)는 케이스박스(8) 및 커버체(7)의 미끄러짐 방지도 된다. 즉 완충재(2a,3a)에 의해 유리판 또는 케이스박스(8)를 반송 팔레트(1)에 재치하는 작업중이나 반송 팔레트(1)의 이동시에 케이스박스(8)가 이동되어서 내부에 수납된 유리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체(7)의 전면(7a)의 배면에는 여러 곳에 완충재(7e)가 설치되고 유리판(17)이 적층 수납된 케이스박스(8)에 맞닿아져 있어서 커버체(7)의 장착시나 외부로부터 커버체(7)에 충격이 가해져도 커버체(7)내의 케이스박스(8)나 유리판(17)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여 손상이 방지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박스(8)의 내면과 유리판(17) 사이에도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리판(17)에 극력 진동을 주는 일이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재치대(2)의 하면에는 회동 고정 기능을 구비한 캐스터(18)가 소정간격으로 여러 개 장착되어서 팔레트본체(1a)를 자유로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 여러 개의 캐스터(18)에 의하여 반송팔레트(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케이스박스 (8)내의 유리판 전체에 극력 진동을 주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하는 위치에서 캐스터(18)의 회동을 고정함으로써 반송팔레트(1)의 이동이 안이하게 수행되지 않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센터바아(10)를 이용한 커버체(7)의 보호 지지조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센터바아(10)의 개방상태에서는 제 1 지지아암(9)이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고, 아암 수용 금속부재(5a)에 의하여 제 1 지지아암(9)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또한 더 이상 뒤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위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제 1 지지아암(9)의 타단측의 고정레버(36)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 1 지지아암(9)의 타단측이 측면커버(35)와 고정레버(36) 사이에 단단히 삽입 유지되어서 제 1 지지아암(9)이 팔레트본체(1a)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센터바아(10)가 제멋대로 커버체(17)의 전면으로 이동되는 일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미연에 유리판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어서 센터바아(10)의 해방상태로부터 센터바아(10)를 이동시켜서 커버체(7)의 전방측에서 케이스박스(8)에 수납된 적층 유리체를 보호 지지하기 위해서는 조작핸들(22)에 작업자가 손을 걸어서 전방을 향하여 밀어 내리도록 조작함으로써 제 2 지지아암(20)이 제 2 회동축(26)을 회동하여 전술한 팔레트 본체(1a)내의 연동수단에 의하여 제 1 지지아암(9)이 연동제어되고 제 2 지지아암(20)과 같은 방향으로 요동 제어되어서 센터바아(10)가 커버체(7)의 전면의 대략 중앙부를 향하여 내려진다.
이와 같이 제 2 지지아암(20)에 손으로 잡기 쉬운 조작핸들(23)이 설치됨으로써 하방위치로부터 쉽게 상방위치에 있는 제 1 지지아암(9)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 2 지지아암(20)을 길게 형성하면 회전 토르크가 증대하여 작업자의 조작부하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 2 지지아암(20)에 조작핸들(22)을 설치하지 않고 바로 제 2 지지아암(20)을 조작하여서 제 1 지지아암(9)의 연동제어를 수행하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커버체(7)의 전면(7a)의 중앙부 근방에 센터바아(10)의 지지재(10a)가 맞닿는다. 이 센터바아(10)의 보호 지지상태에서는 전술한 댐퍼(11)(도3,4 참조)의 센터바아(10)를 한층 더 밀어 내리려고 하는 부세력이 계속적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커버체(7)의 전면(7a)을 항상 누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커버체(7)를 통하여 케이스박스(8)가 배면지지체(3)에 안정적으로 맞닿아 보호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 때 고정레버(36)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 1 지지아암(9)이 팔레트본체(1a)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또 이 지지상태로부터 고정레버(36)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고정상태를 해방하고 제 2 지지아암(2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조작하는 것만으로 쉽게 커버체(7)로부터 센터바아(10)를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 지지된 유리판(17)이 케이스박스(8)내에 수납되고 그리고 이 케이스박스(8)가 커버체(7)로 커버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박스(8)를 반송팔레트(1)로부터 내렸을 때도 케이스박스(8)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센터바 아(10)가 커버체(7)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그 중앙부 근방에서 맞닿아 있기 때문에 반송팔레트(1)의 이송중이라도 커버체(7)를 통하여 케이스박스(8)의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리판(17)을 반송 팔레트(1)에 세로로 두어서 적층한 경우에도 이들 유리판(17)의 중앙 근방에 휘어짐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이동에 있어서도 유리판끼리의 미끄러짐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그리고 커버체(7)의 고정과 해방은 작업자에 의해 항상 손이 닿기 쉬운 팔레트본체(1a)의 측면에 축 지지된 제 2 지지아암(20)의 조작에 연동하여서 제 1 지지아암(9)의 요동 운동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편하며 가령 유리판(17)의 척층 개수의 증감으로 케이스박스(8)의 수가 증감하여도 제 1 지지아암(9)의 요동 반경을 바꿈으로써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센터바아(10)와 제 1 지지아암(9)이 별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체(7)나 케이스박스(8)나 유리판(17)의 높이가 높은 경우라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제 1 지지아암이 긴 것을 사용하여서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팔레트본체(1a)의 내부는 좌우의 측면커버(35) 및 배면 커버(34)로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에 따른 제 1 지지아암의 연동제어시에도 작업자가 잘못하여서 팔레트본체(1a)내로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여서 연동수단에 끼워들어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된다(도 1 및 도 2 참조).
팔레트본체(1a)로의 유리판(17)의 재치형태로서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커버체(7)를 사용하지 않고 케이스박스(8)를 센터바아(7)로 직접 보호 지지하여도 좋다. 또 유리판(7)을 한 장씩 재치대(2)에 재치시키고 가장 후미의 유리판의 배면부를 배면지지재(3)에 재치시켜서 여러 장 적층시키고, 센터바아(10)로 맨 앞줄의 유리판(17)의 중앙 근방에 직접 맞닿게 하여서 보호 유지시켜도 좋다.
또 적층된 유리판(17)이 센터바아(10)로 직접 지지된 경우라도, 완충재(3a), 완충재(2a), 지지재(10a)에 의해 손상이 발생될 우려를 피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완충재(2a,3a)에 의하여 반송팔레트(1)에 재치하는 작업중 및 반송팔레트(1)의 이동시에 진동이 발생되어도 이들 완충재(2a,3a)에 의하여 유리판(17)으로의 충격이 흡수되므로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지지아암(9)보다도 하방으로 제 2 지지아암(20)을 배설함으로써 손이 닿기 쉬운 제 2 지지아암(20)의 조작에 의하여 연동수단(제 1, 2 회동축(13,26), 제 1, 2 회동반(23,24), 선재(25,25'))을 통하여 센터바아(10)의 올리고 내림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반송팔레트(1)의 이송중에도 센터바아(10)에 의해 적층 지지한 유리판(17)의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하여서 유리판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여 왔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어도 본발명에 포함되며,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재(25,25')로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 이외의 선재를 이용하여도 좋고 견인강도가 높고 또 견인시나 온도변화로 인하여 형상이 변화(신축)하기 어려운 튼튼한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 선재(25,25')를 대신하여서 제 1, 2 회동반(23,24)을 스프로킷휠로 하고 여기에 체인을 휘감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기구로서 핀선단에 나사 결합한 고정레버(36)를 사용하고 있는데, 제 1 지지아암(9)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기구라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핸들(22)을 제 2 지지아암(20)의 한 쪽에만 설치한 예로 설명하였는데, 조작핸들(22)을 제 2 지지아암(20)의 양측에 설치하여서 어느 쪽에서도 조작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장의 유리판이 반송 팔레트에 세로로 올려져 적층된 경우에도 이들 유리판의 중앙 근방에 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이동시에도 유리판끼리 미끄러지는 일이 없는 조작성이 우수한 유리판 반송 팔레트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유리판을 팔레트 본체에 세로로 두고 여러 장 적층 지지시켜서 반송하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로서, 상기 팔레트 본체는 유리판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재치대와, 상기 유리판의 배면을 경사 지지하는 배면 지지체로 구성되고, 그 배면 지지체의 상하에는 타단이 축 지지된 상방의 제 1 지지아암 및 하방의 제 2 지지아암이 배설되고 그 제 1 지지아암과 제 2 지지아암의 타단이 연동수단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 1 지지아암의 일단에는 상기 유리판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바아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지지아암의 조작으로 상기 연동수단, 상기 제 1 지지아암을 통하여 상기 센터바아를 요동시켜서 적층 지지한 유리판의 대략 중앙부를 보호 지지하여서 이동을 저지하거나 혹은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제 1 지지아암을 축 지지하는 제 1 회동축과, 상기 제 2 지지아암을 축 지지하는 제 2 회동축과, 이들 상기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회동반과, 상기 제 1 회동반과 제 2 회동반에 축 장착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한 쌍의 선재(線材)가 이용되며, 그 한 쌍의 선재 양단의 축 장착 위치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있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아암에는 조작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5. 제 1 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아암에는 상기 센터바아가 상기 배면 지지체의 상방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그 위치를 유지하는 고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센터바아가 유리판의 전면측에서 배면 지지체의 상방측으로 이동할 때는 가세하고, 상기 배면 지지체의 상방측에서 유리판의 전면측으로 이동할 때는 저항을 주는 댐퍼기구가 부설되어 있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팔레트 본체의 측면 및 후면을 덮는 커버체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적어도 재치대 또는 배면 지지체에는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본체에는 복수의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20050134908A 2005-09-30 2005-12-30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0671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8782A JP2007099312A (ja) 2005-09-30 2005-09-30 ガラス板搬送パレット
JPJP-P-2005-00288782 2005-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315B1 true KR100671315B1 (ko) 2007-01-19

Family

ID=3801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908A KR100671315B1 (ko) 2005-09-30 2005-12-30 유리판 반송 팔레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099312A (ko)
KR (1) KR100671315B1 (ko)
TW (1) TWI275552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20Y1 (ko) * 2007-01-19 2009-08-19 주식회사 유니빅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KR100918680B1 (ko) 2007-06-25 2009-09-22 김천식 글라스패널 운송용 팔레트
KR101143822B1 (ko) 2010-04-16 2012-05-04 (주)대성정공 글라스 패널 보관장치
KR200465374Y1 (ko) 2011-05-17 2013-02-1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커버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엘시디 원판 유리 운반 장치
KR101571014B1 (ko) 2014-08-11 2015-11-23 (주)젠틸패키징시스템 크레이트의 구름장치
KR101580304B1 (ko) * 2014-08-11 2015-12-24 (주)젠틸패키징시스템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885A (ja) * 2008-12-24 2010-07-08 Asahi Glass Co Ltd パレット
JP5673315B2 (ja) * 2011-04-08 2015-02-1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ブレース搬送用パレット
WO2012147373A1 (ja) * 2011-04-29 2012-11-0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矩形状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KR101385218B1 (ko) * 2012-08-03 2014-04-14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반송을 위한 적재 컨테이너
KR102612456B1 (ko) * 2015-10-19 2023-12-11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운송용 구조물 및 운송 방법
CN106185322B (zh) * 2016-07-28 2018-09-28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式a型架
CN106743642B (zh) * 2016-11-15 2024-03-15 北京海百川科技有限公司 3d显示器传输夹具
CN107511777A (zh) * 2017-08-08 2017-12-26 德阳市聚阳特种玻璃有限公司 能够避免玻璃倾倒的辅助固定方法
IT201900009537A1 (it) * 2019-06-19 2020-12-19 Lk Lab Srl Telaio per la logistica di manufatti lastriformi
CN113998322B (zh) * 2021-11-02 2023-02-28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tft-lcd玻璃基板包装机构
CN115610807B (zh) * 2022-12-19 2023-03-21 中建材佳星玻璃(黑龙江)有限公司 一种玻璃成品存放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20Y1 (ko) * 2007-01-19 2009-08-19 주식회사 유니빅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KR100918680B1 (ko) 2007-06-25 2009-09-22 김천식 글라스패널 운송용 팔레트
KR101143822B1 (ko) 2010-04-16 2012-05-04 (주)대성정공 글라스 패널 보관장치
KR200465374Y1 (ko) 2011-05-17 2013-02-1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커버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엘시디 원판 유리 운반 장치
KR101571014B1 (ko) 2014-08-11 2015-11-23 (주)젠틸패키징시스템 크레이트의 구름장치
KR101580304B1 (ko) * 2014-08-11 2015-12-24 (주)젠틸패키징시스템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5552B (en) 2007-03-11
TW200711967A (en) 2007-04-01
JP2007099312A (ja)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315B1 (ko)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1231162B1 (ko)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1319605B1 (ko) 쇼핑카트
JP2007045469A (ja) ガラス板搬送パレット
JPH0117897B2 (ko)
JP3226266B2 (ja) ロック機構付底開閉式ボックスコンテナ
JP4673671B2 (ja) 搬送台車装置
JP6995236B1 (ja) ガス容器搬送用台車
JP2006321412A (ja) 運搬用台車
JP2007076756A (ja) 搬送装置
JP3189153U (ja) 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
JP2721644B2 (ja) ストレージコンベヤ押動フック装置
JP3234260U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3822183B2 (ja) 階段昇降台車
KR101079507B1 (ko) 운송안정성이 우수한 선재 운송장치
JP3243830U (ja) 台車用運搬具
JP6656666B1 (ja) ロール反転機構を備えた運搬車
KR20170003307U (ko) 운반 카트
JP2001030910A (ja) ワーク搬送台車
JP2021030938A (ja) 台車用搬送装置および運搬物の運搬方法
JP2009029608A (ja) ピッキング作業用台車
JPH07206376A (ja) 長尺材の吊出し装置
KR200266880Y1 (ko) 짐수레 안내 레일
KR100812151B1 (ko) 후크 크레인의 후크간격 조절장치
JP5592756B2 (ja) 荷台移動式運搬車の後煽り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