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304B1 -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304B1
KR101580304B1 KR1020140103782A KR20140103782A KR101580304B1 KR 101580304 B1 KR101580304 B1 KR 101580304B1 KR 1020140103782 A KR1020140103782 A KR 1020140103782A KR 20140103782 A KR20140103782 A KR 20140103782A KR 101580304 B1 KR101580304 B1 KR 10158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support bar
rotation axis
han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길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주)젠틸패키징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틸패키징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젠틸패키징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0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지지바; 상기 회동지지바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레버부재; 상기 두 개의 레버부재들과 고정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동지지바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구동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 사이에 끼워지는 간지들의 눌리킴을 방지하는 글라스패널들의 하역 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Description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ONTACT OF PROTECT SHEET IN CREATE}
본 발명은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화면표시장치가 요구되며, 그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여러 가지 박판형 화면표시장치가 개발 생산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인 LCD는 컬러 필터층이 구비된 제1 기판과, 구동소자들이 배열된 제2 기판과, 제1,2 기판들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각각 글라스패널에 반도체 제조 공정들이 수행되어 회로가 형성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각각 글라스패널이라 통칭하고, 또한, 제1,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충진된 표시장치를 글라스패널이라 한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 글라스패널을 이송시키게 되며, 글라스패널 이송시 크레이트(일명, 적재장치라고도 함)에 글라스패널들을 적재한 후 크레이트를 이송시킴에 의해 글라스패널들을 이송시킨다. 또한, 화면표시장치가 OEM 방식으로 제작될 경우 글라스패널들을 장거리로 운반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020호(2011. 12. 01. 등록일)(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엘시디글라스 운반용 크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크레이트에 글라스패널들을 적재할 때, 로봇이 글라스패널을 한 장씩 픽업하여 크레이트에 경사지게 적재하게 되며, 글라스패널과 글라스패널 사이에 두 개의 글라스패널들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지를 위치시킨다.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된 크레이트를 운반하게 될 경우 크레이트에 구비된 측면 클램프와 전면 클램프로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양측면과 전면을 고정하고,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된 공간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라스패널들을 커버하게 된다.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커버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크레이트와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얇은 비닐시트로 수평 방향으로 다수 회 감싼다. 그리고 크레이트를 설정된 운반 장소에 운반한 후 크레이트 및 글라스패널을 감싼 비닐시트를 제거하고 글라스패널들을 하역하게 된다. 글라스패널의 하역을 마친 후 크레이트의 적재 공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시 비닐시트로 감싼 다음 크레이트를 운반하여 크레이트를 운반 중 크레이트의 적재공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비닐시트로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된 크레이트를 수평 방향으로 다수 회 감쌀 때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위쪽으로 위치하는 간지들이 비닐시트에 의해 눌리키게 되어 글라스패널들을 로봇으로 하역할 때 눌리킨 간지들에 의해 서로 간섭되어 글라스패널을 하역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간지들을 제거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어 하역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 사이에 끼워지는 간지들의 눌리킴을 방지하는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지지바; 상기 회동지지바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레버부재; 상기 두 개의 레버부재들과 고정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동지지바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축구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스포라켓과, 상기 회전축과 거리를 두고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2 스포라켓과, 상기 제1,2 스포라켓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은 상기 구동축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바와, 상기 제1 바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바와, 상기 제2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핸들의 제2바가 관통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구동유닛은 상기 한쪽 레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에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다른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부재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거치대와 그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비닐시트로 감싸기 전, 회전축구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동지지바를 글라스패널들의 상단부에 위치시킨 다음 비닐시트로 글라스패널 거치대와 글라스패널들을 감싸게 되므로 회동지지바가 글라스패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간지들의 상단부를 커버하게 되어 비닐시트가 간지들을 누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하역시 간지들의 간섭을 방지하여 글라스패널들의 하역 작업이 편리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글라스패널들의 하역 작업 효율을 높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크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크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구비된 크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구비된 크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일실시예는 회동지지바(200), 레버부재(300), 회전축(400), 회전축구동유닛(500)을 포함한다.
회동지지바(200)는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는 글라스패널(P)의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진 받침대(111)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은 설정된 면적을 갖는 사각 형태이며, 균일한 두께를 갖는 베이스부(112)와, 베이스부(112)의 상면 한쪽에 구비되며 상면이 경사진 받침대(111)를 포함한다.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글라스패널(P)의 전면(또는 후면)이 지지되는 전면 프레임부(121)와, 전면 프레임부(121)와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후면 프레임부(122)와, 전면 프레임부(121)와 후면 프레임부(12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123)들을 포함한다.
회동지지바(200)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회동지지바(200)의 길이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부재(300)는 회동지지바(2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레버부재(300)의 일예로, 레버부재(300)는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설정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개의 레버부재(300)의 한쪽 단부가 회동지지바(200)의 한쪽 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한 개의 레버부재(300)의 한쪽 단부가 회동지지바(200)의 다른 한쪽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회전축(400)의 양단부가 각각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400)의 길이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400)은 회동지지바(200)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회전축(400)의 한쪽 단부에 한 개의 레버부재(300)의 다른 한쪽 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회전축(400)의 다른 한쪽 단부에 다른 한 개의 레버부재(300)의 다른 한쪽 단부가 고정 결합된다. 회전축(400)의 회전에 따라 두 개의 레버부재(300)들에 연결된 회동지지바(2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각회전한다.
회전축구동유닛(500)은 회동지지바(2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도록 회전축(400)을 회전시킨다. 회전축구동유닛(500)의 제1 실시예로,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구동유닛(500)은 회전축(400)에 결합되는 제1 스포라켓(510)과, 회전축(400)과 거리를 두고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520)과, 구동축(520)에 결합되는 제2 스포라켓(530)과, 제1,2 스포라켓(510)(530)을 연결하는 체인(540)과, 구동축(520)을 회전시키는 핸들(550)을 포함한다. 제2 스포라켓(530)과 핸들(550) 사이에 속도를 감속시킴과 아울러 락 기능을 갖는 변속기(T)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동축(520)은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의 연결부(12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핸들(550)은 구동축(520)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바(551)와, 제1 바(551)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바(552)와, 제2바(5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바(55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핸들(5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554)이 구비된다. 가이드판(554)은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의 연결부(123)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554)은 핸들(550)의 제2바(552)가 관통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H)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구멍(H)은 균일한 폭을 가지며, 180도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회전축구동유닛(500)의 제1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5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550)의 회전력이 구동축(520)과 제2 스포라켓(530)과 체인(540)을 통해 제1 스포라켓(510)에 전달되어 제1 스포라켓(5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스포라켓(5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두 개의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각회전하게 된다. 두 개의 레버부재(300)가 시계방향으로 각회전함에 따라 회동지지바(200)가 위로 움직이면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과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한편, 핸들(5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550)의 회전력이 구동축(520)과 제2 스포라켓(530)과 체인(540)을 통해 제1 스포라켓(510)에 전달되어 제1 스포라켓(5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스포라켓(5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4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4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두 개의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각회전하게 된다. 두 개의 레버부재(300)가 반시계방향으로 각회전함에 따라 회동지지바(200)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과 가까워지게 된다.
회전축구동유닛(500)의 제2 실시예로, 도 4,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구동유닛(500)은 한쪽 레버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560)와, 제1 링크부재(560)에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570)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고정되며 제2 링크부재(570)의 다른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580)과, 제2 링크부재(570)에 연결되는 핸들(550')을 포함한다. 레버부재(3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메인레버부(311)와, 메인레버부(31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보조레버부(312)를 포함한다. 레버부재(300)의 메인레버부(311) 한쪽 단부에 회동지지바(200)의 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메인레버부(311)의 다른 한쪽 단부에 제1 링크부재(560)의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부재(300)의 보조레버부(312) 단부에 회전축(400)의 단부가 고정 결합된다. 제1 링크부재(560)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1 링크부재(560)의 반대편에 위치한 회동지지바(200)가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제1 링크부재(560)의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링크부재(570)의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부재(570)의 다른 한쪽 단부가 고정핀(5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550')은 직선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링크부재(560)의 다른 한쪽 단부와 제2 링크부재(570)의 한쪽 단부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핸들(5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55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554')은 핸들(550')이 관통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H)이 구비된다. 가이드구멍(H)은 균일한 폭을 가지며, 90도이거나 90도보다 약간 큰 원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판(554')에 핸들(550')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레버부재(300)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59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회전축구동유닛(500)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5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링크부재(560)와 제2 링크부재(570)가 직선상으로 위치하면서 회전축(400)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한쪽 레버부재(300)를 위로 밀면서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축(4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400)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된 다른 한쪽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두 개의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두 개의 레버부재(300)에 결합된 회동지지바(200)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과 가까워지게 된다. 한편, 핸들(5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링크부재(560)와 제2 링크부재(570)의 사이각이 좁아지면서 회전축(400)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한쪽 레버부재(300)를 아래로 당기면서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축(4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400)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된 다른 한쪽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두 개의 레버부재(300)가 회전축(40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두 개의 레버부재(300)에 결합된 회동지지바(200)가 위로 움직이면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과 멀어지게 된다.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의 전면 프레임부(121) 양쪽에 측면보호프레임(130)이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측면보호프레임(130)들은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 양쪽에 각각 위치한다. 두 개의 측면보호프레임(130)들이 구비된 경우 두 개의 레버부재(300)가 각각 두 개의 측면보호프레임(130)들 내부에 위치하며 아울러 회동지지바(200)의 양단부도 두 개의 측면보호프레임(130)들을 관통한다. 이때, 측면보호프레임(130)의 측면에 회동지지바가 움직이는 가이드 구멍(미도시)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글라스패널(P)들을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시 글라스패널(P)의 측면을 받침대(111)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글라스패널(P)의 전면(또는 후면)을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의 전면 프레임부(121)에 접촉되게 지지시킨다. 이어 간지를 위치시킨 다음 다른 한 장의 글라스패널(P)의 측면을 받침대(111)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글라스패널(P)의 후면(또는 전면)을 적재된 글라스패널(P)에 접촉 지지시킨다. 이때, 글라스패널(P)과 글라스패널(P) 사이에 간지(미도시)를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된 장 수의 글라스패널(P)들이 적재된 후 측면 클램프들과 전면 클램프로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양측면과 전면을 가압 고정시킨다. 회전축구동유닛으로 회전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회동지지바를 아래로 이동시켜 회동지지바를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상단 위쪽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비닐시트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와 적재된 글라스패널(P)들을 수평 방향으로 다수 회 감싼다.
한편, 글라스패널(P)들이 적재된 크레이트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P)들을 하역할 경우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와 적재된 글라스패널(P)들을 감싼 비닐시트를 제거한다. 그리고 회전축구동유닛으로 회전축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회동지지바가 위로 이동하여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상단과 멀어지게 된다. 글라스패널들의 양측면과 전면을 가압 고정하는 측면 클램프들과 전면 클램프의 가압을 해제한 후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P)들을 하역한다. 글라스패널(P)의 하역이 완료된 후 비닐시트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를 수평 방향으로 다수 회 감싸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적재 공간을 커버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적재공간을 비닐시트로 커버한 후 크레이트를 이동시킨다. 크레이트를 운반시 적재공간이 커버되므로 이물질이 적재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와 그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비닐시트로 감싸기 전, 회전축구동유닛(50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4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동지지바(200)를 글라스패널들의 상단부에 위치시킨 다음 비닐시트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와 글라스패널들을 감싸게 되므로 회동지지바(200)가 글라스패널들 사이에 위치하는 간지들의 상단부를 커버하게 되어 비닐시트가 간지들을 누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하역시 간지들의 간섭을 방지하여 글라스패널들의 하역 작업이 편리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글라스패널들의 하역 작업 효율을 높이게 된다.
100; 글라스패널 거치대 200; 회동지지바
300; 레버부재 400; 회전축
500; 회전구동유닛

Claims (7)

  1.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지지바;
    상기 회동지지바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레버부재;
    상기 두 개의 레버부재들과 고정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동지지바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구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스포라켓과, 상기 회전축과 거리를 두고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2 스포라켓과, 상기 제1,2 스포라켓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상기 구동축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바와, 상기 제1 바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바와, 상기 제2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바를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핸들의 제2바가 관통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지지바;
    상기 회동지지바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레버부재;
    상기 두 개의 레버부재들과 고정결합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동지지바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구동유닛은 상기 한쪽 레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에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와,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다른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상기 핸들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핸들이 관통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7. 삭제
KR1020140103782A 2014-08-11 2014-08-11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KR10158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82A KR101580304B1 (ko) 2014-08-11 2014-08-11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82A KR101580304B1 (ko) 2014-08-11 2014-08-11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304B1 true KR101580304B1 (ko) 2015-12-24

Family

ID=5508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782A KR101580304B1 (ko) 2014-08-11 2014-08-11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3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315B1 (ko) * 2005-09-30 2007-01-19 가부시키가이샤 디알에스 유리판 반송 팔레트
JP2007045469A (ja) * 2005-08-10 2007-02-22 Drs Co Ltd ガラス板搬送パレ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5469A (ja) * 2005-08-10 2007-02-22 Drs Co Ltd ガラス板搬送パレット
KR100671315B1 (ko) * 2005-09-30 2007-01-19 가부시키가이샤 디알에스 유리판 반송 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626B1 (ko) 필름 박리 장치 및 방법
KR102405122B1 (ko) 기판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분리 방법
KR101609782B1 (ko) 유리 기판 브레이킹장치
KR102033771B1 (ko) 패널 반전 시스템
WO2012115109A1 (ja) ガラス板積層体及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EP2718954A1 (fr) Procede de deconstruction au moins partielle d'un ecran plat de visualisation
KR101571821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80304B1 (ko)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US20060219688A1 (en)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method of transferr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JP6223439B2 (ja) 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
KR20200010731A (ko) 디스플레이부 세정장치 및 그 세정방법
KR101571010B1 (ko) 글라스패널 전면 클램프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71012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71744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크레이트
KR101571009B1 (ko) 글라스패널 거치대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365073B1 (ko) 판넬 박리 장치
KR101571745B1 (ko)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KR20130063146A (ko) 인쇄장치
JP5031908B2 (ja) フィルム剥離装置及びフィルム剥離方法
US20160346948A1 (en) Clamping system and substrate-cutt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1590563B1 (ko)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커버장치
WO2013118290A1 (ja) フィルム剥離装置及びフィルム剥離方法
KR100939682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면취기
KR101332505B1 (ko) 필름 이송용 로봇핸드의 주름방지장치
JP2008214033A (ja) 表示用パネル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