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745B1 -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 Google Patents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745B1
KR101571745B1 KR1020140103796A KR20140103796A KR101571745B1 KR 101571745 B1 KR101571745 B1 KR 101571745B1 KR 1020140103796 A KR1020140103796 A KR 1020140103796A KR 20140103796 A KR20140103796 A KR 20140103796A KR 101571745 B1 KR101571745 B1 KR 101571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glass panel
fixing
pressing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길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주)젠틸패키징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틸패키징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젠틸패키징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0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이 지지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압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움직이는 가압부재구동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을 포함한다.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고정함과 아울러 글라스패널의 적재공간을 비닐시트로 커버시 비닐시트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ROTATING TYPE SIDE CLAMP OF A CRATE}
본 발명은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화면표시장치가 요구되며, 그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여러 가지 박판형 화면표시장치가 개발 생산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인 LCD는 컬러 필터층이 구비된 제1 기판과, 구동소자들이 배열된 제2 기판과, 제1,2 기판들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각각 글라스패널에 반도체 제조 공정들이 수행되어 회로가 형성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각각 글라스패널이라 통칭하고, 또한, 제1,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충진된 표시장치를 글라스패널이라 한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 글라스패널을 이송시키게 되며, 글라스패널 이송시 크레이트(일명, 적재장치라고도 함)에 글라스패널들을 적재한 후 크레이트를 이송시킴에 의해 글라스패널들을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화면표시장치가 OEM 방식으로 제작될 경우 글라스패널들을 장거리로 운반하기도 한다.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된 크레이트를 운반하게 될 경우 크레이트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 측면 클램프로,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양측면을 고정하고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된 공간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라스패널들을 커버하게 된다.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커버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크레이트와 함께 얇은 비닐시트로 다수 회 감싼다. 그리고 크레이트를 설정된 운반 장소에 운반한 후 크레이트 및 글라스패널을 감싼 비닐시트를 제거하고 글라스패널들을 하역하게 된다. 글라스패널의 하역을 마친 후 크레이트의 적재 공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시 비닐시트로 감싼 다음 크레이트를 운반하여 크레이트를 운반 중 크레이트의 적재공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크레이트에서 글라스패널들을 하역한 후 크레이트를 비닐시트로 감쌀 때 측면 클램프가 돌출되어 비닐시트로 크레이트를 감싸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되어 적재 공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글라스패널을 크레이트에 적재시 글라스패널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020호(2011. 12. 01. 등록일)(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엘시디글라스 운반용 크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크레이트를 비닐시트로 감쌀 경우 클램프가 돌출되어 비닐시트가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고정함과 아울러 글라스패널의 적재공간을 비닐시트로 커버시 비닐시트의 파손을 방지하는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라스패널의 적재공간을 비닐시트로 커버하는 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하는 회전형 측면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글라스패널이 지지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압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움직이는 가압부재구동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을 포함하는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한쪽 단부에 축삽입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축삽입구멍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구동유닛은 내부에 암나사산부가 구비되며 한쪽이 가압부재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피동축과, 상기 피동축의 암나사산부에 체결되는 수사사산부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피동축의 직선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축에 핸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 고정하는 상부스토퍼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 고정하는 수평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스토퍼는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스토퍼핀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되어 스토퍼핀에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스토퍼는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니은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의 양쪽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글라스패널 거치대를 비닐시트로 감싸게 될 경우 베이스부재와 가압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닐시트를 감싸게 되어 비닐시트를 감싸는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비닐시트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글라스패널들이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적재된 상태에서 비닐시트를 감싸게 될 경우에도 베이스부재의 높이가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되어, 글라스패널 위로 약간 돌출되어 비닐시트를 감쌀 때 비닐시트의 파손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때 베이스부재가 상부스토퍼에 지지 고정되고, 베이스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때 베이스부재가 수평스토퍼에 지지 고정되므로 베이스부재의 위치 고정이 정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크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크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핸들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위치고정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크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크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2,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일실시예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구비되는 고정축(200), 베이스부재(300), 가압부재(400), 가압부재구동유닛(500), 위치고정유닛(600)을 포함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는 글라스패널의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진 받침대(111)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은 설정된 면적을 갖는 사각 형태이며, 균일한 두께를 갖는 베이스부(112)와, 베이스부(112)의 상면 한쪽에 구비되며 상면이 경사진 받침대(111)를 포함한다.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글라스패널의 전면(또는 후면)이 지지되는 전면 프레임부(121)와, 전면 프레임부(121)와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후면 프레임부(122)와, 전면 프레임부(121)와 후면 프레임부(12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123)들을 포함한다. 전면 프레임부(121)는 설정된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축(200)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고정축(200)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다.
베이스부재(300)는 고정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부재(300)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한쪽 단부에 축삽입구멍(310)이 구비된다. 베이스부재(300)는 축삽입구멍(310)에 고정축(200)이 삽입된다. 베이스부재(300)는 고정축(200)을 기준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된다.
가압부재(400)는 베이스부재(300)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글라스패널 측면에 가깝게 위치한다. 가압부재(400)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되는 글라스패널(들)의 측면(들)을 지지하도록 설정된 면적을 갖는다.
가압부재구동유닛(500)은 베이스부재(300)와 가압부재(4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가압부재(400)가 상기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움직이게 한다. 가압부재구동유닛(500)의 일예로, 가압부재구동유닛(500)은 내부에 암나사산부가 구비되며 한쪽이 가압부재(40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피동축(510)과, 피동축(510)의 암나사산부에 체결되는 수사사산부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구동축(520)과, 구동축(520)에 결합되는 베어링(530)과, 피동축(510)의 직선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바(540)를 포함한다. 구동축(520)을 정,역회전함에 따라 피동축(510)과 가압부재(400)가 직선으로 왕복 운동한다. 가압부재(400)가 베이스부재(300)와 거리가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부재(400)가 베이스부재(300)와 거리가 가까워지는 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글라스패널의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구동축(520)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5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550)은 구동축(52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바(551)와, 제1 바(551)의 단부에 절첩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552)를 포함한다.
위치고정유닛(600)은 베이스부재(300)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위치고정유닛(600)은 베이스부재(30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 베이스부재(300)를 고정하는 상부스토퍼(610)와, 베이스부재(300)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 베이스부재(300)를 고정하는 수평스토퍼(620)를 포함한다. 상부스토퍼(610)는 고정축(200)의 위쪽에 위치하고, 수평스토퍼(620)는 고정축(200)과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스토퍼(610)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구비되는 스토퍼핀(611)과, 베이스부재(300)에 구비되어 스토퍼핀(611)에 삽입되는 고정홈(6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300)에 브라켓(613)이 구비되고 그 브라켓(613)에 고정홈(61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고정홈(612)은 한쪽이 개구된 원호 형상의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스토퍼(620)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구비되는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의 양측면을 가압하도록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복수 개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글라스패널들을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시 베이스부재(300)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켜 베이스부재(300)를 상부스토퍼(610)에 지지 고정시킨다. 베이스부재(30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됨에 따라 베이스부재(300)에 연결된 가압부재(400)와 가압부재구동유닛(500)도 함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받침대(111)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글라스패널의 전면(또는 후면)을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의 전면 프레임부(121)에 접촉되게 지지시킨다. 이어, 다른 한 장의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받침대(111)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글라스패널의 후면(또는 전면)을 적재된 글라스패널에 접촉 지지시킨다. 이때, 글라스패널과 글라스패널 사이에 간지(미도시)를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된 장 수의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된 후 베이스부재(300)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축(200)을 기준으로 베이스부재(300)를 각회전시켜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키면서 베이스부재(300)를 수평스토퍼(620)에 지지 고정시킨다. 베이스부재(300)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을 회전시켜 가압부재(400)를 글라스패널들의 측면쪽으로 이동시켜 글라스패널들의 측면을 가압한다. 그리고 비닐시트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와 적재된 글라스패널들과 베이스부재(300)의 상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다수 회 감싼다. 이때, 베이스부재(300)가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측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글라스패널들의 위쪽으로 베이스부재(300)의 상단부의 일부분이 돌출되므로 비닐시트로 베이스부재(300)의 상단부를 감쌀 때 비닐시트가 파손되지 않는다.
한편,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된 크레이트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하역할 경우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와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감싼 비닐시트를 제거한다. 그리고 핸들(550)을 회전시켜 가압부재(400)를 베이스부재(300) 쪽으로 움직이면서 가압을 해제시킨 후 베이스부재(300)를 위쪽으로 각회전시켜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면서 상부스토퍼(610)에 지지 고정시킨다. 베이스부재(300)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하역한다. 글라스패널의 하역이 완료된 후 비닐시트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와 베이스부재(300)와 가압부재(400)를 수평 방향으로 다수 회 감싸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적재 공간을 커버한다. 이때, 베이스부재(300)와 가압부재(400)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이므로 비닐시트가 베이스부재(300)와 가압부재(400)의 측면을 감싸게 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적재공간을 비닐시트로 커버한 후 크레이트를 이동시킨다. 크레이트를 운반시 적재공간이 커버되므로 이물질이 적재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의 양쪽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각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를 비닐시트로 감싸게 될 경우 베이스부재(300)와 가압부재(400)를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닐시트를 감싸게 되어 비닐시트를 감싸는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비닐시트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글라스패널들이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상태에서 비닐시트를 감싸게 될 경우에도 베이스부재(300)의 높이가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되어, 글라스패널 위로 약간 돌출되어 비닐시트를 감쌀 때 비닐시트의 파손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30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때 베이스부재(300)가 상부스토퍼(610)에 지지 고정되고, 베이스부재(300)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할 때 베이스부재(300)가 수평스토퍼에 지지 고정되므로 베이스부재(300)의 위치 고정이 정확하게 된다.
100; 글라스패널 거치대 200; 고정축
300; 베이스부재 400; 가압부재
500; 가압부재구동유닛 600; 위치고정유닛

Claims (7)

  1. 글라스패널이 지지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압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움직이는 가압부재구동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 고정하는 상부스토퍼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 고정하는 수평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스토퍼는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스토퍼핀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핀에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한쪽 단부에 축삽입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축삽입구멍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구동유닛은 내부에 암나사산부가 구비되며 한쪽이 가압부재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피동축과, 상기 피동축의 암나사산부에 체결되는 수사사산부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피동축의 직선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5. 삭제
  6. 삭제
  7. 글라스패널이 지지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가압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글라스패널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움직이는 가압부재구동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 고정하는 상부스토퍼와, 상기 베이스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 고정하는 수평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스토퍼는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니은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KR1020140103796A 2014-08-11 2014-08-11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KR10157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96A KR101571745B1 (ko) 2014-08-11 2014-08-11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96A KR101571745B1 (ko) 2014-08-11 2014-08-11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745B1 true KR101571745B1 (ko) 2015-11-25

Family

ID=5484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796A KR101571745B1 (ko) 2014-08-11 2014-08-11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7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020B1 (ko) * 2011-07-05 2011-12-09 주식회사 코아테크시스템 엘시디글라스 운반용 크레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020B1 (ko) * 2011-07-05 2011-12-09 주식회사 코아테크시스템 엘시디글라스 운반용 크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849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
US20160320030A1 (en) Apparatus for installing led light bar and method of installing led light bar
TW201605704A (zh) 送料系統
JP2001077057A (ja) Csp基板分割装置
KR101571821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CN102004338B (zh) 显示装置的组装结构与组装方法
JP4614807B2 (ja) 容器溝へのガラス板の挿入方法および装置
KR101571010B1 (ko) 글라스패널 전면 클램프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71745B1 (ko)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JP2020155627A (ja) トレイ搬送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KR101571744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크레이트
KR102401361B1 (ko) 다이 본딩 장치
KR101571818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CN106455473B (zh) 托盘搬送装置以及安装装置
TW201832313A (zh) 對準裝置
CN210258945U (zh) 电子元件自动编带机
KR101571012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278197B1 (ko)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의 필름공급장치
KR20150115355A (ko) 글라스패널 거치대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WO2018003578A1 (ja) アライメント装置
KR101567552B1 (ko) 라미네이팅 장치
KR20050111448A (ko)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이조립장치를 이용한 티에프티-엘시디 모듈 어셈블리 조립방법
KR101318212B1 (ko) 글라스 이송 장치
KR101430670B1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US20190032840A1 (en) Carr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