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012B1 -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012B1
KR101571012B1 KR1020140040416A KR20140040416A KR101571012B1 KR 101571012 B1 KR101571012 B1 KR 101571012B1 KR 1020140040416 A KR1020140040416 A KR 1020140040416A KR 20140040416 A KR20140040416 A KR 20140040416A KR 101571012 B1 KR101571012 B1 KR 10157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cover member
unit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408A (ko
Inventor
한상길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주)젠틸패키징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틸패키징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젠틸패키징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4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0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들이 적층된 글라스패널 패키지들이 각각 적재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한쪽 측면과 정면 일부를 커버하는 우측커버부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다른 한쪽 측면과 정면 일부를 커버하는 좌측커버부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측커버부재; 및 상기 상측커버부재를 움직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측을 개폐시키는 커버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커버부재는 각각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들과,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커버판들을 연결하며, 상기 두 개의 단위커버판들이 포개지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인 연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라스패널을 커버하는 구성 부품을 간단하게 하고 글라스패널을 커버하거나 그 커버를 해제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Description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GLASS PANEL STACKING APPARATUS FOR CONVEYING GLASS PANEL}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화면표시장치가 요구되며, 그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여러 가지 박판형 화면표시장치가 개발 생산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인 LCD는 컬러 필터층이 구비된 제1 기판과, 구동소자들이 배열된 제2 기판과, 제1,2 기판들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각각 글라스패널에 반도체 제조 공정들이 수행되어 회로가 형성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각각 글라스패널이라 통칭하고, 또한, 제1,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충진된 표시장치를 글라스패널이라 한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 글라스패널을 이송시키게 되며, 글라스패널 이송시 적재대(일명, 크레이트 또는 적재장치라고도 함)에 글라스패널들을 적재한 후 적대대를 이송시킴에 의해 글라스패널들을 이송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적재대에 글라스패널들을 적재하거나 적재대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을 내릴 때 로봇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글라스패널들이 적재된 적재대를 장거리 운반하게 될 경우 적재대의 글라스패널이 적재된 공간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글라스패널이 적재된 공간을 커버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6034호(2012. 08. 16. 등록일)(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엘시디 글라스 크레이트용 차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차폐막으로 크레이트의 상면과 전면을 개폐시 와이어를 이용한 작동수단을 작동시켜 차폐막을 움직임에 의해 크레이트의 상면과 전면을 개폐하게 되므로 크레이트의 상면과 전면을 개폐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구성 부품이 많고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 또한, 차폐막이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파손시 차폐막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패널을 커버하는 구성 부품을 간단하게 하고 글라스패널을 커버하거나 그 커버를 해제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글라스패널들이 적층된 글라스패널 패키지들이 각각 적재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한쪽 측면과 정면 일부를 커버하는 우측커버부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다른 한쪽 측면과 정면 일부를 커버하는 좌측커버부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측커버부재; 및 상기 상측커버부재를 움직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측을 개폐시키는 커버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커버부재는 각각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들과,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커버판들을 연결하며, 상기 두 개의 단위커버판들이 포개지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인 연결판을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단위커버판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 형태의 판부와, 상기 판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관통홀들과, 상기 판부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홈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판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단위커버판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부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의 횡방향 단면 형상은 티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구동유닛은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축지지부들과, 상기 축지지부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상기 상측커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상측커버부재가 회동축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면서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축회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회전유닛은 일측이 상기 회동축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의 타측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레버와,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레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우측커버부재와 좌측커버부재 그리고 상측커버부재로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적재된 글라스패널 패키지들을 커버하게 되므로 글라스패널 패키지들이 적재된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측커버부재와 좌측커버부재가 각각 단위커버판들과 연결판으로 구성되므로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전면을 커버시 포개진 단위커버판들을 펴서 커버하게 되고 커버를 해제시 펴진 단위커버판들을 포개어 해제하게 되며, 또한 커버구동유닛으로 상측커버부재를 움직이게 되어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전면과 상면을 커버하고 그 커버를 해제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우측커버부재와 좌측커버부재가 각각 단위커버판들과 연결판으로 구성되므로 외력이 작용시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큰 외력에 의해 파손될 경우 파손된 단위커버판만 교체하면 되므로 부품의 손실이 적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우측커버부재를 접고 상측커버부재를 열림 상태로 위치시킨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우측커버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축회전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축회전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댐퍼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우측커버부재를 접고 상측커버부재를 열림 상태로 위치시킨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일실시예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 우측커버부재(200), 좌측커버부재(300), 상측커버부재(400), 커버구동유닛(500)을 포함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는 글라스패널들이 적층된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이 상하로 각각 적재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일실시예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 적재 플레이트(130)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설정된 면적을 갖는 사각 형태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적재 플레이트(130)들은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되,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적재 플레이트(130)들은 각각 균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다. 적재 플레이트(130)들에 각각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이 놓여진다. 글라스패널 패키지(P)는 다수 개의 글라스패널들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적층된 패키지(P)다. 글라스패널은 오엘이디(OLED) 글라스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 플레이트(130)의 상면이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과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측커버부재(200)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한쪽 측면과 정면 일부를 커버한다. 즉,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 부분으로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이 적재되는 공간을 사각 공간으로 설정할 때 우측커버부재(200)는 정면 우측 부분과 측면을 커버한다.
좌측커버부재(300)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다른 한쪽 측면과 정면 일부를 커버한다. 즉,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 부분으로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이 적재되는 공간을 사각 공간으로 설정할 때 좌측커버부재(300)는 정면 좌측 부분과 측면을 커버한다.
우측커버부재(200)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210)들과,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커버판(210)들을 연결하며 유연성을 갖는 재질인 연결판(220)을 포함한다. 단위커버판(210)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 형태의 판부(211)와, 판부(21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관통홀(212)들과, 판부(211)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홈(213)들을 포함한다. 결합홈(213)의 횡방향 단면 형상은 티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213)은 판부(211)의 길이 방향 양측면을 관통하며 균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연결판(220)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판부(221)와, 판부(22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단위커버판(210)의 결합홈(213)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부(222)들을 포함한다. 연결판(220)은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재질 등이 될 수 있다. 연결판(220)의 한쪽 걸림돌기부(222)는 한 개의 단위커버판(210)의 한쪽 결합홈(213)에 결합되고 연결판(220)의 다른 한쪽 걸림돌기부(222)는 단위커버판(210)에 인접한 다른 단위커버판(210)의 한쪽 결합홈(213)에 결합된다. 우측커버부재(200)는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210)들이 연결판(220)들로 연결되므로 한 개의 사각판이 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210)들을 포개어지게 접을 수 있다. 우측커버부재(200)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을 커버할 경우 우측커버부재(200)의 단위커버판(210)들 중 한 개의 단위커버판(210)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우측 측면에 위치하도록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고정 결합되고, 나머지 단위커버판(210)들은 평면 상태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전면에 위치한다.
좌측커버부재(300)는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310)들과,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커버판(310)들을 연결하며 유연성을 갖는 재질인 연결판(320)을 포함한다. 좌측커버부재(3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310)들과 연결판(320)들은 우측커버부재(2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210)들과 연결판(220)들과 각각 같게 구성된다. 따라서, 좌측커버부재(300)의 단위커버판(310)들과 연결판(320)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커버부재(300)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을 커버할 경우 좌측커버부재(300)의 단위커버판(210)들 중 한 개의 단위커버판(210)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좌측 측면에 위치하도록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고정 결합되고, 나머지 단위커버판(210)들은 평면 상태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전면에 위치한다.
상측커버부재(400)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상측을 커버한다. 즉, 상측커버부재(400)는 우측커버부재(200)와 좌측커버부재(300)의 상단부를 커버한다.
커버구동유닛(500)은 상측커버부재(400)를 움직여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상측을 개폐시킨다. 커버구동유닛(500)의 일예로,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구동유닛(500)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축지지부들(510)과, 축지지부(510)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520)과, 회동축(520)과 상측커버부재(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30)와, 상측커버부재(400)가 회동축(520)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면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회동축(52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유닛(M)을 포함한다. 축지지부(510)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회동축(520)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구비된다. 축지지부(510)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연결부재(5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축(520)을 감싸 고정하는 축고정부분과, 축고정부분에 연장 형성되어 상측커버부재(400)에 결합되는 결합부분을 포함한다.
커버구동유닛(5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축회전유닛(M)으로 회동축(520)을 설정된 회전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동축(520)에 연결된 상측커버부재(400)가 회동축(520)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면서 위로 움직이게 되어 열림 상태가 되고, 축회전유닛(M)으로 회동축(520)을 반대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측커버부재(400)가 회동축(520)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면서 원위치로 움직이게 되어 닫힘 상태가 된다.
축회전유닛(M)의 일예로, 축회전유닛(M)은 일측이 회동축(520)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레버(540)와, 제1 레버(540)의 타측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레버(550)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재(560)와, 회전지지부재(5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570)과, 핸들(570)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제2 레버(55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레버(580)를 포함한다. 제1 레버(540)와 제2 레버(550)는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레버(550)와 제3 레버(580)도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570)은 일측 가운데 구비되는 핸들축을 포함하며, 핸들축이 회전지지부재(560)에 관통 삽입되어 제3 레버(580)에 고정 결합된다. 축회전유닛(M)은 핸들(57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고정수단의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은 핸들(570)에 구비되는 삽입구멍(591)과, 회전지지부재(560)에 구비되는 위치설정구멍(592)과, 삽입구멍(591)과 위치설정구멍(59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핸들(57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593)을 포함한다.
축회전유닛(M)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570)을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570)에 연결된 제3 레버(580)가 회전하면서 제3 레버(580)와 연결된 제2 레버(550)의 한쪽 부분을 회전운동시킴과 아울러 제1 레버(540)와 연결된 제2 레버(550)의 다른 한쪽 단부를 왕복 운동시키게 된다. 제2 레버(550)의 다른 한쪽 단부가 왕복 운동함에 따라 제1 레버(540)의 한쪽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회동축(520)을 설정된 회전각으로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회동축(520)이 설정된 회전각으로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측커버부재(400)가 회동축(520)을 기준으로 각운동하면서 열림 상태가 되거나 닫힘 상태가 된다.
상측커버부재(400)와 글라스패널 거치대(100) 사이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커버부재(400)가 닫힘시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D)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구동유닛(500)을 작동시켜 회동축(520)을 기준으로 상측커버부재(400)를 위쪽으로 회전시켜 열림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좌측커버부재(300)의 단위커버판(210)들을 접어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좌측에 위치시키고, 우측커버부재(200)의 단위커버판(210)들을 접어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우측에 위치시킨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상측 적재 플레이트(130)와 하측 적재 플레이트(130)에 각각 복수 개의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을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킨다. 글라스패널 패키지(P)는 설정된 개수의 글라스패널을 적재 플레이트(130)에 수직방향으로 적층시킴에 의해 패키지(P)가 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글라스패널 패키지(P)를 적재한 다음 좌측커버부재(300)의 단위커버판(210)들을 판 형상으로 펼쳐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이 적재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전면 좌측을 커버하고, 우측커버부재(200)의 단위커버판(210)들을 판 형상으로 펼쳐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우측을 커버한다. 커버구동유닛(500)을 작동시켜 회동축(520)을 기준으로 상측커버부재(400)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닫힘 상태로 유지하여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상측, 즉 좌측커버부재(300)와 우측커버부재(200)의 상단을 커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우측커버부재(200)와 좌측커버부재(300) 그리고 상측커버부재(400)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을 커버하게 되므로 글라스패널 패키지(P)들이 적재된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측커버부재(200)와 좌측커버부재(300)가 각각 단위커버판(210)(310)들과 연결판(220)(320)으로 구성되므로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전면을 커버시 포개진 단위커버판(210)(310)들을 펴서 커버하게 되고 커버를 해제시 펴진 단위커버판(210)(310)들을 포개어 해제하게 되며, 또한 커버구동유닛(500)으로 상측커버부재(400)를 움직이게 되어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의 전면과 상면을 커버하고 그 커버를 해제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우측커버부재(200)와 좌측커버부재(300)가 각각 단위커버판(210)(310)들과 연결판(220)(320)으로 구성되므로 외력이 작용시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큰 외력에 의해 파손될 경우 파손된 단위커버판(210)(310)만 교체하면 되므로 부품의 손실이 적게 된다.
100; 글라스패널 거치대 200; 우측커버부재
300; 좌측커버부재 400; 상측커버부재
500; 커버구동유닛

Claims (8)

  1. 글라스패널들이 적층된 글라스패널 패키지들이 각각 적재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한쪽 측면과 정면 일부를 커버하는 우측커버부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다른 한쪽 측면과 정면 일부를 커버하는 좌측커버부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측커버부재; 및
    상기 상측커버부재를 움직여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측을 개폐시키는 커버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커버부재는 각각 복수 개의 단위커버판들과,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커버판들을 연결하며, 상기 두 개의 단위커버판들이 포개지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인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구동유닛은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축지지부들과, 상기 축지지부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상기 상측커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상측커버부재가 회동축을 기준으로 각회전하면서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의 상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축회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축회전유닛은 일측이 상기 회동축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의 타측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레버와, 상기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레버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레버를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커버판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 형태의 판부와, 상기 판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 개의 관통홀들과, 상기 판부의 양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결합홈들을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단위커버판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부들을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횡방향 단면 형상은 티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회전유닛은 상기 핸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핸들에 구비되는 삽입구멍과, 상기 회전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위치설정구멍과, 상기 삽입구멍과 위치설정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핸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커버부재와 글라스패널 거치대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20140040416A 2014-04-04 2014-04-04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7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16A KR101571012B1 (ko) 2014-04-04 2014-04-04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16A KR101571012B1 (ko) 2014-04-04 2014-04-04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08A KR20150115408A (ko) 2015-10-14
KR101571012B1 true KR101571012B1 (ko) 2015-11-23

Family

ID=5435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416A KR101571012B1 (ko) 2014-04-04 2014-04-04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2037B (zh) * 2019-07-03 2021-07-13 中建深业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玻璃放置架
CN113211025A (zh) * 2021-05-01 2021-08-06 上海世禹精密机械有限公司 连线型换盖板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937B1 (ja) * 2003-11-24 2005-04-13 サンスン コールニン プレシシオン ガ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用平面ガラス板の包装コンテナ
JP2006001597A (ja) 2004-06-17 2006-01-05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収納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937B1 (ja) * 2003-11-24 2005-04-13 サンスン コールニン プレシシオン ガ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用平面ガラス板の包装コンテナ
JP2006001597A (ja) 2004-06-17 2006-01-05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収納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08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387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12889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US8082858B2 (en) Display substrate accommodating tra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the display substrate
US7571808B2 (en) Packing materials for module of display apparatus
JP2007112463A (ja) 基板収納体
US20090194659A1 (en) Cassette and handling system
KR101571012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JP2000128272A (ja) コンテナ
KR101571821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209654B1 (ko) 트레이 틸트 장치
KR20100043367A (ko)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액상접착제 도포방법 및 그장치
KR101571009B1 (ko) 글라스패널 거치대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71818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20100034265A (ko) 기판 포장 케이스
KR101571010B1 (ko) 글라스패널 전면 클램프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561222B1 (ko) 기판 회전 장치
KR101571744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크레이트
KR101954920B1 (ko) 유기발광소자 패널 제조를 위한 기판이동 장치 및 방법
KR101571745B1 (ko) 크레이트의 회전형 측면클램프
KR101580304B1 (ko) 크레이트의 간지누름방지장치
KR101857966B1 (ko) 비접촉식 기판 틸팅장치
KR101590563B1 (ko)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커버장치
KR100875098B1 (ko) 전계발광소자 조립용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전계발광소자조립장치
KR101626021B1 (ko) 패널이송장치
KR200368588Y1 (ko) 탑샤시 핸들링용 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