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20Y1 -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20Y1
KR200445620Y1 KR2020070000993U KR20070000993U KR200445620Y1 KR 200445620 Y1 KR200445620 Y1 KR 200445620Y1 KR 2020070000993 U KR2020070000993 U KR 2020070000993U KR 20070000993 U KR20070000993 U KR 20070000993U KR 200445620 Y1 KR200445620 Y1 KR 200445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nveying
conveyor apparatus
support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810U (ko
Inventor
박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to KR2020070000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2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8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63Drive means, clutches, gearing or drive speed contro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8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Landscapes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반송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장치에 의한 유리의 반송시에 장치와 유리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유리를 직립반송하므로 유리의 크랙, 스크래치, 휨 등의 발생을 줄여서 제품손상 및 이로 인한 불량율 감소 및 설비운용 비용상을 감소할 수 있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유리를 직립반송하도록 유리의 전면 및 배면에서 접촉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방에서 고정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어 유리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70000993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 롤러, 벨트, 체인, 지지부, 반송부, 구동부

Description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A VERTICAL CONVEYOR FOR A FLAT-PLATE TYPE GLASS}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반송부와 지지부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반송부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서 도 3b의 반송부의 타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및 지지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7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반송부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반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반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D: 유리 B,E: FFU(팬필터유닛)
1,5: 구동부 2,6: 지지부
2a,6a: 전면상부지지부 2b,6b: 전면하부지지부
2c,6c: 배면지지부 3,7: 반송부
10,50: 구동축 11,51: 스프로켓
20,60: 배면지지부재 22a,62a: 전면상부지지롤러
22b,62b: 전면하부지지롤러 23,63 : 배면지지롤러
30,40: 반송롤러 32,42 : 이송체인
71: 반송접촉부재 72 : 타이밍벨트
73: 유리곡면안내홈 80 : 니들롤러
81: 구동롤러 90 : 실린더블록
100 : 셔틀 101, 102 : 가이드레일
103 : 가이드롤러 110 : 지지블럭
111 : 지지홈 120 : 핑거부재
본 고안은 유리반송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장치에 의한 유리의 반송시에 장치와 유리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유리를 직립반송하므로 유리의 크랙, 스크래치, 휨 등의 발생을 줄여서 제품손상 및 이로 인한 불량율 감소 및 설비운용에 필요한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형수평유리의 반송시 유리와 법선방향으로 공기가 롤러노즐을 통하여로 방사되면서 반송되는 유리의 휨 등을 방지하는 한편, 반송되는 대형수평유리의 수평양측면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반송롤러에 의하여 상기 유리를 접촉지지하면서 반송하였는 바, 이로써 유리와 롤러의 추돌에 의한 크랙, 스크래치, 휨, 미진(particle), 정전기 등이 주로 발생하여 제품손상 및 이로 인한 불량률 증가 및 설비운용 비용상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설비 설치상 단면적을 축소하여 초기 투자비용을 절감하면서 제품 손상없는 안정된 반송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리를 직립반송하도록 유리의 전면 및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방에서 고정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어 유리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유리를 직립반송하도록 유리의 전면 및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방에서 고정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어 유리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상단 및 하단에서 돌출된 프레임구조의 전면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이송되는 상기 유리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전면지지부와; 경사면에서 유리의 배면을 지향하여 층상구조로 형성된 다수의 배면지지부재와 상기 배면지지부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배면지지롤러를 포함하는 배면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70도 내지 90도의 기울기로서 형성되어 상기 구동 부 및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유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프로켓 또는 풀리 중의 어느 하나로서 상기 반송부를 구동시킨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스프로켓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체인핀에 조립되어 연속배열된 것으로 유리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은 단열 링크체인, 편측복열 링크체인, 또는 양측 단열 링크체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벨트와; 구동벨트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일부가 구동롤러와 롤러축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다수가 유리를 접촉반송시키는 니들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스프로켓 또는 풀리에 의해 구동되어 유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에 부착되어 유리와 미끄럼접촉하기 위해 곡선모양의 융기된 유리안내곡면홈을 갖고 상기 이송벨트에 고정되므로 유리를 지지하는 반송접촉부재;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9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제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평벨트 또는 타이밍벨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반송부와 지지부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반송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평판형 유리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는 평판형 유리(A, 이하에서는 유리로 명칭함)를 직립반송하도록 유리(A)의 전면 및 배면에서 접촉지지하는 지지부(2)와 상기 지지부(2)의 하방에서 고정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1)와 상기 구동부(1)에 의하여 구동되어 유리(A)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부(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는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유리(A)의 전면과 배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유리(A)가 경사진 기울기를 갖고 이송되도록 유리(A)를 지지하며, 이를 위해 유리(A)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2a, 2b)와 유리(A)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2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리(A)가 경사진 기울기를 갖고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지지부(2a, 2b) 및 배면지지부(2c)는 상호 일치되는 기울기를 갖고 형성된다.
상기 전면지지부(2a, 2b)는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전면 상측과 하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일정기울기를 갖고 이송되는 상기 유리(A)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롤러(22a,22b)와,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전면에서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하향 및 상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전면지지롤러(22a, 22b)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전면지지부재(21a,21b)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지지부재(21a,21b)는 상기 배면지지부(2c)의 상하측 경사각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상단 및 하단에서 돌출된 프레임구조로서 상기 전면지지롤러(22a,22b)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며, 좀 더 상세하게는, 브라켓구조로서 상기 전면지지롤러(22a,22b)의 축을 고정시킨다.
상기 전면지지롤러(22a,22b)는 상기 전면지지부재(21a,21b)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전면에서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유리(A)의 전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므로서 이송되는 유리(A)와의 마찰없이 유리(A)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지지롤러(22a,22b)는 유리(A)의 흠이나 휨 등을 방지하며 유리(A)의 안정된 반송을 가능케한다. 또한 상기 전면지지롤러(22a,22b)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열의 산업용 플라스틱 재질로서 마찰계수가 약 0.05, 쇼어경도D는 약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지지롤러(22a,22b)의 피치는 좌우로는 약 200 내지 약 300 mm , 상하로는 약 350 내지 약 45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지지부(2c)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서 경사면을 이룬 전면에서 다수개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배면지지부재(20)와, 상기 배면지지부재(20)에서 회 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유리(A)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롤러(23)를 포함하며, 그 구체적 구성은 도 3a에 기재된 바와 같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배면지지부재(20)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층상구조로서 최상측과 최하측의 프레임간에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은 전면에 'ㄷ'자형의 브라켓(25)이 부착되어 배면지지롤러(23)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롤러축(24)을 고정시킨다.
상기 배면지지롤러(23)는 브라켓(25)에 의해 상기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전면지지부(2a,2b)와 배면지지부(2c)사이에서 경사각(이하에서는 반송각이라함)을 갖고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상기 유리(A)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유리(A)가 이송됨에 따라 회전하므로서 유리(A)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면서 유리(A)의 배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배면지지롤러(23)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열의 산업용 플라스틱으로서 약 0.05의 마찰계수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지지롤러(23)의 피치는 좌우로는 약 200 내지 약 300 mm , 상하로는 약 350 내지 약 45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1)는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0)과, 상기 구동축(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므로서 결합되는 상기 반송부(3)를 회전시키는 스프로켓(11)으로 구성된다(도 3a 참조).
또한, 상기 반송부(3)는 상기 스프로켓(11)과 맞물려 회전하는 이송체인(32)과, 상기 이송체인(32)의 체인핀에 조립되어 유리(A)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롤 러(30)와, 상기 이송체인(32)과 반송롤러(30)를 구분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체인(32)을 가이드하는 안내부재(31, 도 3b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체인(32)은 구동부의 스프로켓(11)과 맞물려 회전하며 구동부(1)에 의한 구동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부가 직각모양으로 돌출된 긴 막대형상이다. 상기 이송체인(32)은 상기 이송체인(32)과 스프로켓(11)의 맞물림에 따라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안내부재(31, 도3b 참조)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이송체인(32)은 무급유 체인인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반송롤러(30)는 상기 반송부(3)의 상기 이송체인(32)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열되며, 상기 이송체인(32)의 체인핀에 조립되어 연속배열되며, 그 상측으로 상기 유리(A)가 안착된다. 또한, 최초 상기 반송롤러(30)는 곡면을 형성함에 따라 안착되는 상기 유리(A)의 하면이 곡면에 접선접촉되어 상기 스프로켓(11)의 회전에 따른 이송체인(32)과 반송롤러(30)의 구동에 의해 이송된다. 아울러 상기 반송롤러(30)는 내마모성의 피크(Peek)제품인 것이 유리하다.
상기 안내부재(31)는 상기 이송체인(32)의 외측에 위치시키므로 상기 이송체인(32)과 반송롤러(30)를 유리반송시 분리시키게 된다. 즉, 상기 안내부재(31)는 상기 이송체인(32)의 상하측에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이송체인(32)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체인(32)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체인(32)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배열되는 상기 반송롤러(30)를 상기 안내부재(3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이송체인(32)과 반송롤러(30)를 분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재(31)는 상기 구동부(1)의 구동, 예를들면, 모터와 스르포켓(11)과 이송체인(32) 등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주변의 미세분진 등이 분산됨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평판형 유리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의 작용설명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평판형 유리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의 구동에 의해 이송체인(32)이 회전되며, 상기 이송체인(32)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반송롤러(30)가 상기 이송체인(32)과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체인(32)에 접선접촉되는 유리(A)는 상기 지지부(2)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체인(32)의 회전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의 전면지지롤러(22a,22b)와 배면지지롤러(23)는 상기 유리(A)에 밀착되어 상기 유리(A)의 이송과 동시에 회전되므로 상기 유리(A)와 마찰이 최소화되어 상기 유리(A)를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A)는 상기 전면지지부재(21)와 배면지지부재(20)의 기울기에 따라 완전 직립상태에서 직립의 경사각을 갖는 기울기(반송각)로 이송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의 유리(A)의 반송각은 상기 지지부(2)에 의해 70도 내지 9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안내부재(31)를 통해 상기 유리(A)가 안착되는 반송롤러(30)와 상기 스르포켓(11) 및 이송체인(32)을 상기 안내부재(31)를 통해 분리시키게 되므로 상기 구동부(1)와 이송체인(32)등의 반송부(3)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주변의 분진 등의 비산이 억제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서 도 3b의 반송부(3)의 타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리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의 체인(32)은 상기 안내부재(31)에 의하여 이송체인(42)의 구동부(1)에 의한 구동시 이탈을 방지되는 형태로 일측에 이송체인(42)과 이송체인(42)이 직접결합된 복열형태로 반송롤러(40)가 체인핀에 의하여 연결된 편측복열 링크체인(42)을 적용함도 본 발명의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이송체인(32)은 반송롤러(30)의 이송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리(A)를 중심으로 양측에 일련의 체인핀에 의하여 연결된 이송체인(32)과 반송롤러(30)가 배치된 형태로 양측단열 링크체인으로 구비함도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이 가능하다(도시되지 않음).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로, 유리(D)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부(6a,6b)와 유리(D)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6c)를 포함하는 지지부(6)와, 상기 지지부(6)의 하방에서 고정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5)와 상기 구동부(5)에 의하여 구동되어 유리(D)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부(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반송부(7)와 구동부(5) 및 전면지지부(6a,6b)는 상 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임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부(6)에서 상기 배면지지부(6c)는 상하측이 경사각을 이루며 배면지지롤러(6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배면지지부재(60)와 유리(D)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롤러(63)를 포함한다.
상기 배면지지부재(60)는 경사면에서 다수개가 직립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는 직립프레임(64)과, 상기 직립프레임(64)의 최상측에서 상기 직립프레임(64)을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전면에 고정시키는 'ㄷ'자형의 브라켓(65)과, 상기 직립프레임(64)의 최하측을 상기 전면에 고정시키는 'ㅁ'자형 브라켓(6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직립프레임(64)은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경사면에서 고정됨에 따라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며,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지지부재(61a,61b)와 상기 배면지지부재(6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유리(D)의 반송각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D)의 반송각은 상기 지지부(6)에 의해 70도 내지 90도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응용에 따라 상기 배면지지롤러(63)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ㄷ'자형의 브라켓(65)을 직립프레임(64)의 전면에 배치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 배면지지롤러(63)는 상기 다수개의 직립프레임(64) 마다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및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유리(D)의 배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배면지지롤러(63)는 그 응용에 따라 상기 직립프레임(64)에 브라켓(65) 을 통한 롤러축의 고정 또는 상기 직립프레임(64)을 롤러축으로 하여 직립프레임(64) 자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됨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배면지지롤러(63)는 아이들롤러(Idle Roller)인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배면지지롤러(63)의 재질은 폴리올레핀(Poly-olefin)계열의 산업용 플라스틱으로 마찰계수가 약 0.05, 쇼어경도D가 약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지지롤러(63)의 피치는 좌우로는 약 200 내지 약 300 mm , 상하로는 약 350 내지 약 45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7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반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의 상기 반송부(7)는 스프로켓(51)에 맞물려 회전되는 타이밍벨트(72), 상기 타이밍벨트(72)의 상면에 융접되는 반송접촉부재(71)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벨트(72)는 모터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에 중심으로 한 스프로켓(51)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타이밍벨트는 유리(D)의 반송시 타이밍벨트(72)와 스프로켓(51) 간의 슬립이 없이 안정된 반송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벨트(72)의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유성, 내후성을 지니고, 우레탄과 융착이 용이한 NOK IRON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송접촉부재(71)는 상기 타이밍벨트(72)에 융접하여 고정되되, 상호 분리되어 마주보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되는 면 사이에서 이송되는 유리(D, 도6참조)의 저면을 지지하는 유리안내곡면홈(7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유리안내곡면홈(73)은 상기 반송접촉부재(71)에서 상기 유리안내곡면홈을 형성하는 상호 대향되는 양측면이 단면이 아닌 곡선모양의 융기된 면으로서 형성되므로 상기 유리(D)가 최초 접촉시에 에지부분에서 벗어난 지점으로 미끄럼접촉되므로 에지와 유리(D)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단과의 마찰에 의한 미진의 발생이 방지된다.
상기 반송접촉부재(71)의 재질은 타이밍 벨트와 동일하며 벨트 배면에 열융착될 수 있다(예를들면, 융착강도: 75~85kg/㎠).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그 응용예에 따라, 상기 타이밍벨트(72)은 평벨트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구동부(5)의 스프로켓(51)은 풀리로 대체된다. 기타 상기 평벨트 및 풀리의 기능은 각각 도7에서 설명한 스프로켓(51) 및 타이밍벨트(72)의 경우와 같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반송부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반송부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반송부(8)는 구동벨트(82), 구동롤러(81) 및 니들롤러(8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벨트(82)는 구동원으로서 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풀리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롤러(81)는 구동벨트(82)에 접촉연결되면서 회전하여 롤러축으로 연결된 일부 니들롤러(80)를 구동시킨다.
상기 니들롤러(80)의 일부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하부 입방프레임구조 안에서 내부적으로 상기 구동롤러(81)와 롤러축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81)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와 접촉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니들롤러(8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로인해 상기 유리(D)의 전면이 지지되면서 반송된다. 여기서 상기 니들롤러(80)의 외경과 피치를 최소화함으로써 연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니들롤러(80)의 피치는 약 30 mm, 직경은 약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제3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식 반송부외에 반송부 자체가 이동되어 평판유리를 이송시키는 셔틀을 포함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2개 이상의 핑거가 고정간(123)의 양쪽에 고정되어 함께 연동하는 핑거부재(120), 상기 핑거부재(120)를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1실린더(91)와 함께 핑거부재(120)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실린더(92)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실린더블록(90);,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1,102)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면서 평판유리(D)를 한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셔틀(100)과 상기 평판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10)을 포함한다.
또한 평판유리(D)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10)은 평판유리(D)의 하부측을 수용하도록 상부측이 개방되는 홈(111)이 구비되어 배면지지롤러 및 전면상하측지지롤 러에 의해 지지되는 평판유리를 지지한다.
평판유리(D)를 들어 이송하는 핑거부재(120)는 상면으로 평판유리(D)의 하부측이 끼워지는 홈(121)을 갖는 2개 이상의 핑거(122)가 고정간(123)의 양쪽에 나란히 고정하여 상기 지지블록(110)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이들이 함께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핑거부재(120)를 제어하는 실린더블록(90)은 상기 핑거부재(120)의 배면으로 조립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제1실린더(91)과, 상기 제1실린더(91)와 함께 핑거부재(120)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실린더(92)로 구성되어 이들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셔틀(100)에 고정된다.
상기 셔틀(100)은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01,102)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103)에 고정되어 평판유리(D)를 한쪽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고, 하부측에 내장되는 모터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제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자면, 평판유리의 하부가 상기 지지블럭(110)의 홈에 안착되므로, 상기 지지홈(111)과 지지블록(110)사이의 공간에 안착된 상기 평판유리(D)의 하부가 상기 핑거(122)의 상면에서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평판유리(D)는 상기 고정간(111)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직립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셔틀(100)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셔틀(100)은 상기 가이드레일(101, 102)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103)가 회전되므로 좌,우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셔틀(100)은 하측에서 회전되는 벨트 또는 체 인(104)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롤러(103)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셔틀(100)이 이동되므로 상기 실린더블럭(90)에 의해 연결고정되는 핑거부재(120) 역시 연동되어 이동되므로 상기 핑거(122)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간(123)에 의해 상기 핑거(122)가 고정된체로 상기 지지홈(111)의 내측에서 직립상태가 유지되는 평판유리(D)가 좌, 우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평판유리(D)는 전면과 배면의 지지롤러(21, 23)의 회전과 하측의 셔틀(100)의 구동에 의해 스크래치등이 없이 이송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에 의하면 본 고안은 장치의 지지부에 의한 유리 지지 및 유리의 반송중에 장치의 고정된 구동에 의해 유리를 반송시에 장치와 유리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유리를 직립반송하므로 유리의 크랙, 스크래치, 휨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장치의 상단 및 하단에서 돌출된 프레임구조의 전면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이송되는 상기 유리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면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전면지지부와, 경사면에서 유리의 배면을 지향하여 층상구조로 형성된 다수의 배면지지부재와 상기 배면지지부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배면지지롤러를 포함하는 배면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방에서 고정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어 유리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70도 내지 90도의 기울기로서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 및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유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프로켓 또는 풀리 중의 어느 하나로서 상기 반송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스프로켓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체인핀에 조립되어 연속배열된 것으로 유리를 접촉반송시키는 반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은 단열 링크체인, 편측복열 링크체인, 또는 양측 단열 링크체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벨트와; 구동벨트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일부가 구동롤러와 롤러축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다수가 유리를 접촉반송시키는 니들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스프로켓 또는 풀리에 의해 구동되어 유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에 부착되어 유리와 미끄럼접촉하기 위해 곡선모양의 융기된 유리안내곡면홈을 갖고 상기 이송벨트에 고정되므로 유리 를 지지하는 반송접촉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평벨트 또는 타이밍벨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본체의 하부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한쌍의 가이드롤러가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면에 안착되는 유리를 한쪽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셔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KR2020070000993U 2007-01-19 2007-01-19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KR200445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93U KR200445620Y1 (ko) 2007-01-19 2007-01-19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93U KR200445620Y1 (ko) 2007-01-19 2007-01-19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10U KR20080002810U (ko) 2008-07-23
KR200445620Y1 true KR200445620Y1 (ko) 2009-08-19

Family

ID=4135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993U KR200445620Y1 (ko) 2007-01-19 2007-01-19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494B1 (ko) 2011-01-20 2013-02-26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복층유리 이송용 컨베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558A (ja) * 1992-12-18 1994-07-05 Central Glass Co Ltd 板状体の移送装置
US20050126882A1 (en) 2002-11-22 2005-06-16 Peter Lise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cing glass plates during the machining of the same
KR100671315B1 (ko) * 2005-09-30 2007-01-19 가부시키가이샤 디알에스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0699028B1 (ko) 2006-02-17 2007-03-23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558A (ja) * 1992-12-18 1994-07-05 Central Glass Co Ltd 板状体の移送装置
US20050126882A1 (en) 2002-11-22 2005-06-16 Peter Lise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cing glass plates during the machining of the same
KR100671315B1 (ko) * 2005-09-30 2007-01-19 가부시키가이샤 디알에스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0699028B1 (ko) 2006-02-17 2007-03-23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494B1 (ko) 2011-01-20 2013-02-26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복층유리 이송용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810U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4883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AU2007302032B2 (en) Conveyor
US5699892A (en) Chain type transfer device
KR20130034493A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KR200445620Y1 (ko) 평판형 유리의 직립반송 컨베이어 장치
KR20120114113A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JP4269838B2 (ja) 物品の方向変更装置
KR200419872Y1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JP4217975B2 (ja) 搬送装置
JP6887616B2 (ja) ガラス板の搬送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101270532B1 (ko) 패널 이송용 컨베이어
JP6354593B2 (ja) 搬送装置
TWI677461B (zh) 可自動修正輸送帶偏移的輸送設備
KR101733844B1 (ko) 벨트 컨베이어 케로셀
JP2005060005A (ja) コンベア
EP2090531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US6742778B2 (en) Signature hopper loader
CA3085755A1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JP4826734B2 (ja) カーブコンベア装置
JP7318673B2 (ja) 物品仕分け方法及び物品仕分け装置
KR102646951B1 (ko) 물품 트레이를 갖는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KR100561240B1 (ko) 로프콘베이어
KR101613118B1 (ko) 경사 이송 시스템
KR102025509B1 (ko) 폭이 다른 컨베이어
KR100502247B1 (ko) 기판반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