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952B1 -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 Google Patents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952B1
KR101412952B1 KR1020130129702A KR20130129702A KR101412952B1 KR 101412952 B1 KR101412952 B1 KR 101412952B1 KR 1020130129702 A KR1020130129702 A KR 1020130129702A KR 20130129702 A KR20130129702 A KR 20130129702A KR 101412952 B1 KR101412952 B1 KR 10141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ink member
link
uni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기
Original Assignee
고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병기 filed Critical 고병기
Priority to KR102013012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952B1/ko
Priority to PCT/KR2013/009713 priority patent/WO201409233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25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rigid mechanical lifting mechanisms, e.g. levers, cam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6Foldable with a scissor-lik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는, 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이 베이스부의 상측에서 승강되게 설치되는 적재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와 적재부를 연결 지지하는 한쌍의 제1,2링크부재를 교차 배치하여 된 것으로 각 링크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단과 다른 하나의 하단은 각각 적재부와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직선 이동되게 연결되는 링크연결부 그리고 상기 적재부를 상승 이동되게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연결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 중 어느 하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부를 형성한 다단홀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적재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힌지부를 구비하고, 일측 외면에는 상기 다단홀측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다단홀에 삽입되어 복수의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걸림핀을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무게가 다른 다양한 적재중량을 가진 적재물에 대하여 무동력 방식의 간단한 원터치 조작을 통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된 탄성 지지부의 설치 방향의 변화로 인하여 적재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빈 박스 등의 물건을 적재할 수 있음에 따라 활용성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적재부를 하강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닥에 놓인 물건의 적재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나 보관시에 적재부를 하강시키고 손잡이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점유면적을 종전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성과 보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Foldable transfer cart}
본 발명은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자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총 적재 하중의 변화에 따라 원터치 방식으로 사용 하중을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대차(移送臺車)는 적재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과, 적재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송대차는 운반하는 적재함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적재물을 옮길 때, 적재물의 적재 높이에 따라 허리나 다리를 구부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06632호에는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이송대차는 푸시레버의 조작을 통해 입출되는 공압에 의해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이송대차는 사용자가 직접 상판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서 적재되는 적재물의 적재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적재함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적재물의 적재량에 관계없이 적재물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송대차가 마련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6048호의 ′이송대차′를 출원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이송바퀴가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 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적재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상호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적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연결부 또는 적재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송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085호의 ′이송대차′를 등록받은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이송바퀴가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 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각각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엑스(X)자 형태로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회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제2 링크부재와, 상기 제1,제2 링크부재의 회동로드의 교차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회동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상호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 또는 적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연결부 또는 적재부를 하강 또는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승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에 상기 승강홈과 연통되는 공기출입구가 형성된 실린더바디와, 상기 실린더바디에 상기 승강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연결부 또는 적재부를 지지하고 하단으로부터 상 방으로 소정깊이 연장된 스프링장착홈이 마련된 실린더로드와, 상단이 스프링장착홈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있고, 하단이 상기 실린더바디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실린더로드를 상 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스프링을 구비하여 외부 동력원의 동력 공급없이 상기 실린더바디 내에서 압축되는 공기의 압력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과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하중 사이의 힘의 평형을 통해 상기 적재부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 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공기식실린더를 포함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적재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비중에 따라 적재되는 적재물의 단위 중량당 적재부의 하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실린더바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압조절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압조절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실린더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출입구를 통해 유출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이동로를 제공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식실린더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송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본 출원인이 출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대차는 휴대나 보관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42914호를 통해 개선된 ′접이식 이송대차′를 출원한 바 있으나, 한 대의 대차로 다양한 무게의 제품을 적재 하중의 차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06632호 :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001677호 :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 지지부의 힌지 위치를 간단한 방법으로 변경함으로써 한 대의 대차로 다양한 무게의 제품을 적재 하중의 차이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빈 박스 적재를 위한 공간을 별도 확보하며 탄성 지지부와 손잡이를 접어 휴대성 및 보관 편의성을 높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부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에 대응하여 하강과 상승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항상 사용자의 허리춤에 물건의 끝점이 유지되는 기능이 무동력의 방식으로 작동되고 아울러 상부에 적재되는 물건의 총 적재 중량의 차이를 간단한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하록 하여 바닥에 놓인 적재물의 적재 작업성을 개선시키고, 작업 후 빈 박스 등의 운송에도 용이한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는, 바퀴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이 베이스부의 상측에서 승강되게 설치되는 적재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와 적재부를 연결 지지하는 한쌍의 제1,2링크부재를 교차 배치하여 된 것으로 각 링크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단과 다른 하나의 하단은 각각 적재부와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직선 이동되게 연결되는 링크연결부 그리고 상기 적재부를 상승 이동되게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연결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 중 어느 하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부를 형성한 다단홀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적재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힌지부를 구비하고, 일측 외면에는 상기 다단홀측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다단홀에 삽입되어 복수의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걸림핀을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링크연결부는, 길이재의 부재로 된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의 중심을 서로 교차 배치한 상태에서 링크축으로 힌지 결합한 것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는 그 상단이 적재부에 힌지 고정되고 하단은 베이스부에 형성된 레일슬롯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선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는 그 상단이 적재부에 마련된 레일슬롯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선 이동되게 구비되고 그 하단은 베이스부에 힌지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는 링크축을 중심으로 적재부에 근접하는 일단에 2~3개의 림홈부를 형성한 다단홀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의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개방된 일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몰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와 출몰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몰바디에 대하여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바디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이 커버부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다단홀이 형성된 링크부재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켓트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다단홀을 삽입 통과하되, 복수의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걸림핀을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는 무게가 다른 다양한 적재중량을 가진 적재물에 대하여 무동력 방식의 간단한 원터치 조작을 통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재부의 하부에 설치된 탄성 지지부의 설치 방향의 변화로 인하여 적재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빈 박스 등의 물건을 적재할 수 있음에 따라 활용성을 높인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나 보관시에 적재부를 하강시키고 손잡이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점유면적을 종전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성과 보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링크의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의 탄성 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에서 탄성 지지부의 위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면에는 구조물을 지탱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w)가 구비된 베이스부(110)와, 이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재부(120)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10)와 적재부(120)를 연결 지지하는 것으로 한쌍의 제1,2링크부재를 교차 배치하여 된 링크연결부(130) 및 상기 적재부(120)가 탄력적으로 상승 이동된 상태를 유지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40)로 구성된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1)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링크의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3개의 걸림부를 갖는 다단홀(131h)이 형성된 제1링크부재(131)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2개의 걸림부를 갖는 다단홀(131h)이 형성된 제1링크부재(131)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면에는 바퀴(w)를 구비한 베이스부(110)와, 이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면에 적재물을 올려 놓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120)와, 상기 베이스부(110)와 적재부(120)를 연결 지지하는 한쌍의 제1,2링크부재를 교차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적재부(12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연결부(130)와, 상기 적재부(120)에 대하여 상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상기 링크연결부(130)의 다단홀(131h)에 일단이 걸림되어 지지되는 탄성 지지부(140)로 구성된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1)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의 탄성 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에는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바디(141)와, 이 고정바디(141)의 개방된 일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몰바디(142) 그리고 상기 고정바디(141)와 출몰바디(14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몰바디(142)에 대하여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143) 및 상기 고정바디(141)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면서 그 양단이 링크연결부(130)의 제1링크부재(131)에 형성된 다단홀(131h)에 삽입 걸림되는 하우징(144)으로 구성된 탄성 지지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에서 탄성 지지부의 위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에는 탄성 지지부(140)가 링크연결부(130)를 구성하는 제1링크부재(131)의 다단홀(131h) 중 상부와 하부에 각각 걸림되었을 때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100)은 크게 베이스부(110)와. 이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부(120)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10)와 적재부(120)를 연결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적재부(120)를 승강되게 연결 지지하는 링크연결부(130) 그리고 상기 링크연결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적재부(120)를 상승되게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 지지부(140)로 구성된다.
베이스부(110)는 복수의 바퀴(w)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후방양측으로는 적재부(12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 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로드(113)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로드(113)의 상단은 작업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연결로드(1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성이며, 전방 양측으로는 후술할 링크연결부(130)의 제1링크부재(131)의 하단이 전·후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레일슬롯(110s)이 형성된다.
적재부(120)는 이송 대상물을 상면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면이 평탄하게 구비되는 일종의 받침요소로, 후술할 링크연결부(130)를 구성하는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의 상단이 각각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적재부(120)는 후술할 탄성 지지부(140)로부터 탄성 지지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승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의 적재부(120)는 상면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적재물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적재부의 상면의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적재물이 구형 또는 원통형인 경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돌출된 테두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링크연결부(130)는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로 구성되며, 이들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서로 중심 부분에서 교차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링크축(133)으로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며, 한 쌍의 링크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레일슬롯(110s)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진 이동되게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적재부(120)에 마련된 레일슬롯(120s)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진 이동되게 구성된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제1링크부재(131)의 상단은 상기 적재부(120)의 일측에 힌지 고정되고 하단은 베이스부(110)에 마련된 레일슬롯(110s)에 슬라이드 끼움되는 구성이며, 제2링크부재(132)의 상단은 상기 적재부(120)의 전방측에 제공되는 레일슬롯(120s)에 슬라이드 끼움되고, 그 하단은 베이스부(110) 측에 힌지 고정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한편, 이러한 링크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와 적재부(12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탄성 지지부(140)는 상기 적재부(120)가 상승 이동될 수 있게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스프링(14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140)는 상기 적재부(120)를 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상 방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적재부(120)를 상 방향으로 탄성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베이스부(110) 및 적재부(120) 및 링크연결부(130) 그리고 탄성 지지부(14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100)는 탄성 지지부(140)의 탄성력을 다단 조절하여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적재부(120)의 높이를 최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연결부(130) 및 이 링크연결부(130)에 다단 걸림으로 지지되는 탄성 지지부(140)의 구조적인 특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의 링크연결부(130)는 길이재의 부재로 된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로 구성되며, 이들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는 중심으로 서로 교차 배치한 상태에서 링크축(133)으로 힌지 결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부재(131)는 그 상단이 적재부(120)에 힌지 고정되고 하단은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레일슬롯(110s)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선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132)는 그 상단이 적재부(120)에 마련된 레일슬롯(120s)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선 이동되게 구비되고 그 하단은 베이스부(110)에 힌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는 상기 적재부(120)의 승강시 상기 링크축(133)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위치 변위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1링크부재(131)는 상기 링크축(133)을 중심으로 적재부(120)측으로 근접하는 일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2~3개의 걸림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 2에는 3개의 걸림홈부(h1,h2,h3)가 형성된 다단홀(131h)이 마련된 제1링크부재(131)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2개의 걸림홈부(h1),(h2)가 형성된 다단홀(131h)이 마련된 제1링크부재(13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례로 2~3개의 다단홀(131h)이 형성된 제1링크부재(131)를 예시하였으나, 대차의 크기나 취급하는 적재중량물이 다양한 경우에는 다단홀(131h)의 간격과 개수를 적절히 고려하여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탄성 지지부(140)는 상기 적재부(12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힌지부(145)를 구비하고, 일측 외면에는 상기 다단홀(131h)측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다단홀(131h)에 삽입되어 복수의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걸림핀(144c)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탄성 지지부(140)는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갖느 고정바디(141)와, 상기 고정바디(141)의 개방된 일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몰바디(142)와, 상기 고정바디(141)와 출몰바디(142)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출몰바디(142)를 고정바디(141)로부터 이격되게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143)과, 상기 고정바디(141)의 외면을 감싸는 것으로 그 일단이 연장되어 상기 링크연결부(130)의 제1링크부재(131)에 형성된 다단홀(131h)에 걸림되는 걸림핀(144c)을 구비한 하우징(14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44)는 도 6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141)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144a)와, 상기 커버부(144a)의 외면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131)에 형성된 다단홀(131h)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켓트(144b)와, 상기 브라케트(144b)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다단홀(131h)을 삽입 통과하되, 복수의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걸림핀(144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탄성 지지부(140)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출몰바디(142)의 끝단부측이 적재부(120)의 일단에 고정힌지부(145)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디(141)는 상기 하우징(144)에 의해 상기 링크연결부(130)를 구성하는 제1링크부재(131)의 다단홀(131h)에 끼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디(141)는 링크연결부(130)의 제1링크부재(131)에 하우징(144)를 통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바디(141)와 상기 출몰바디(142)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된 스프링(143)은 상기 출몰바디(142)를 탄성 지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출몰바디(142)는 그 끝단부가 고정힌지부(145)로 힌지 결합된 적재부(120)를 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재부(120)에 적재물을 적재하여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적재부(120)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40)의 스프링(143)이 압축되면서 출몰바디(142)가 고정바디(141)의 내부로 인입되어 결과적으로 고정바디(141)와 출몰바디(142)의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고 링크연결부(130)를 구성하는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의 상단과 하단이 벌어지면서 적재부(12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부(120)가 하강하면 적재물의 적재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적재부(120)가 낮아짐에 따라 최상단 측의 적재물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적재부(120)에 적재물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재물을 하역하게 되면, 상기 적재부(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 지지부(140)의 스프링(143)은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바디(141)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의 출몰바디(142)는 상기 고정바디(141)에서 돌출되면서 위치 복원되고, 상기 링크연결부(130)를 구성하는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의 상단과 하단 역시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재부(120)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재부(120)에서 적재물을 내리더라도 적재부(120)의 높이가 상승하면서 작업자가 적재물을 일정한 높이에서 하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100)은 적재물의 부피와 하중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적재부(120)의 높이점의 변화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링크부재(131)의 다단홀(131h)을 이루는 걸림홈부(h1,h2,..)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부에 상기 탄성 지지부(140)의 고정바디(141)와 결합구성된 하우징(20)의 걸림핀(144c)을 위치시킨다.
즉, 적재물의 부피와 하중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높이점의 변화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제1링크부재(131)의 다단홀(131h)을 이루는 복수의 걸림홈부(h1,h2,..) 중 제일 상단에 위치한 걸림홈부(이하, 편의상 제1걸림홈부(h1)라 함)가 적재하중이 무거운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제1걸림홈부(h1)의 아래측에 위치한 제2걸림홈부(h2)는 상기 제1걸림홈부(h1)에 대하여 가벼운 적재물의 적재시 사용하는 것이며,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제2걸림홈부(h2)의 아래측에 위치한 제3걸림홈부(h3)은 상기 제2걸림홈부(h2)에 대하여 더 가벼운 적재물의 적재시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의 상기 탄성 지지부(145)의 걸림핀(144c)을 다단홀(131h)의 각 걸림홈부(h1,h2,..)를 옮기는 방법은 하우징(144)의 브라켓트(144b)나 또는 출몰바디(142)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앞으로 당기면서 각 걸림홈부(h1,h2,..)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핀(144c)과 상기 고정힌지부(145)와의 간격은 상기 걸림핀(144c)이 다단홀(131h)의 걸림홈부 들 중 최상단에 위치하였을 때보다 최하단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걸림핀(144c)과 고정힌지부(145)와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하중에 따른 탄성 지지부(145)의 탄성 지지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핀(144c)과 고정힌지부(145)의 사이의 거리 변화량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고정바디(141)를 기준으로 출몰바디(142)의 최대 이동 거리가 감소되므로, 탄성 지지부(145)의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143)의 이격 격차가 감소되는 것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량이 약화됨에 따라 적재되는 하중이 적어져도 적재부(120)의 상승과 하강이 원활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물의 하중이 변화하는 경우라도 상기 다단홀(131h)의 걸림홈부(h1,h2,..)에 대한 걸림핀(144c)의 위치를 조정하는 간편한 작업만으로도 상기 적재부(120)를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 대차 110 : 베이스부 113 : 가이드로드
114 : 연결로드 120 : 적재부 120s : 레일슬롯
130 : 링크연결부 131 : 제1링크부재 131h : 다단홀
132 : 제2링크부재 133 : 링크축 140 : 탄성 지지부
141 : 고정바디 142 : 출몰바디 143 : 스프링
144 : 브라켓트 145 : 고정힌지부

Claims (3)

  1. 바퀴(w)가 구비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측에서 승강되게 설치되는 적재부(120); 상기 베이스부(110)와 적재부(120)를 연결 지지하는 요소로 제1링크부재(131)와 제2링크부재(132)의 중심을 서로 교차 배치한 상태에서 링크축(133)으로 힌지 결합하되 상기 제1링크부재(131)는 그 상단이 적재부(120)에 힌지 고정되고 하단은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레일슬롯(110s)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선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132)는 그 상단이 적재부(120)에 마련된 레일슬롯(120s)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직선 이동되게 구비되고 그 하단은 베이스부(110)에 힌지 고정되는 것을 링크연결부(130); 상기 적재부(120)의 일단에 고정힌지부(145)로 힌지 결합되어 상승 이동되게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의 고정바디(141) 및 상기 고정바디(141)의 개방된 일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출몰바디(142) 및 상기 고정바디(141)와 출몰바디(14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몰바디(142)에 대하여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143) 및 상기 고정바디(141)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144a)로 이루어진 하우징(144)을 구비한 탄성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중 조절형 대차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부(130)는 상기 제1,2링크부재(131,13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링크축(133)을 중심으로 상기 적재부(120)에 근접하는 일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홈부로 이루어진 다단홀(131h)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140)는 상기 커버부(144a)의 외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다단홀(131h)이 형성된 링크부재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켓트(144b)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다단홀(131h)을 삽입 통과하되 복수의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되는 걸림핀(144c)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2. 삭제
  3. 삭제
KR1020130129702A 2012-12-10 2013-10-30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KR10141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02A KR101412952B1 (ko) 2013-10-30 2013-10-30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PCT/KR2013/009713 WO2014092331A1 (ko) 2012-12-10 2013-10-30 승강형 이송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702A KR101412952B1 (ko) 2013-10-30 2013-10-30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952B1 true KR101412952B1 (ko) 2014-06-26

Family

ID=5113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702A KR101412952B1 (ko) 2012-12-10 2013-10-30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00A1 (ko) * 2020-08-06 2022-02-10 주식회사 오케이오 승강 작업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17B1 (ko) 2007-11-13 2008-10-08 박정식 적재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차
KR100930085B1 (ko) 2009-03-23 2009-12-07 고병기 이송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17B1 (ko) 2007-11-13 2008-10-08 박정식 적재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차
KR100930085B1 (ko) 2009-03-23 2009-12-07 고병기 이송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700A1 (ko) * 2020-08-06 2022-02-10 주식회사 오케이오 승강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9315A (ko) 승강형 대차의 적재부 고정장치
KR100930085B1 (ko) 이송대차
KR101426073B1 (ko) 접이식 이송대차
EP2807070B1 (en) Apparatus for self-levelling storing a plurality of objects such as trays
US8162190B2 (en) Ergonomic lift mechanism for a truck box
WO2014092331A1 (ko) 승강형 이송대차
JP5319784B2 (ja) ドックレベラー
KR101521210B1 (ko) 다단 하중조절형 대차
KR101412952B1 (ko) 다단 하중 조절형 대차
JP5267668B2 (ja) 移載装置
US20080138183A1 (en) Lift structure
KR101684360B1 (ko) 열진공챔버의 시편 반입리프트용 처짐보정 치구
JP6969392B2 (ja) 物品搬送装置
JP2006264965A (ja) リフタ装置
KR200401152Y1 (ko)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
KR102105866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JP3222203U (ja) 物品搬送機
KR20210034824A (ko)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KR200367791Y1 (ko)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적재부를 구비한운반대차
KR20170031440A (ko) 이동식 다단 사다리
KR101341802B1 (ko) 이동 운반용 파렛트
JP2013511417A (ja) 運搬装置
KR101256847B1 (ko)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KR200364950Y1 (ko)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적재부을 구비한운반대차
JP6242721B2 (ja) 紙葉類移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