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66B1 -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5866B1 KR102105866B1 KR1020180083304A KR20180083304A KR102105866B1 KR 102105866 B1 KR102105866 B1 KR 102105866B1 KR 1020180083304 A KR1020180083304 A KR 1020180083304A KR 20180083304 A KR20180083304 A KR 20180083304A KR 102105866 B1 KR102105866 B1 KR 1021058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body
- guide
- rollers
- bar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다리 붐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 이동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운반카의 자체 길이를 줄여 상하, 작동거리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운반카에 설치되는 적재대를 지면에 근접켜 작업의 편리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의 가이드판(11)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접촉되고,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는 사이드롤러(25)들이 각각 접촉된 상태로 적재대(24)가 탑재되어 윈치수단의 구동으로 승강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와, 이 이동체(210)의 안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체(22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200)에 있어서,
상기 운반카(200)의 제1이동체(210)는 전방으로 가로지르는 프론트바(211)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전방 안내로울러(213)들이 각각 구비되고, 후방으로 가로지르는 리어바(212)의 양쪽으로는 사이드롤러(215)와 후방 안내로울러(214)들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바(211)와 리어바(212) 사이에 원형 단면으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바(216)가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동체(220)는 제1이동체(210)의 상부에 탑재된 상태로 사각 틀체 형상으로 된 후레임(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유동로울러(222)와 후방 유동로울러(223)들이 구비되고, 후레임(221)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안내되는 한쌍의 가이드빔(226)이 마련되되, 이 가이드빔(226)은 연결브라켓트(225)를 통해 후레임(2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 사이에는 하강 과정에서 제2이동체(220)에 탄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보조스프링(230)이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의 가이드판(11)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접촉되고,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는 사이드롤러(25)들이 각각 접촉된 상태로 적재대(24)가 탑재되어 윈치수단의 구동으로 승강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와, 이 이동체(210)의 안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체(22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200)에 있어서,
상기 운반카(200)의 제1이동체(210)는 전방으로 가로지르는 프론트바(211)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전방 안내로울러(213)들이 각각 구비되고, 후방으로 가로지르는 리어바(212)의 양쪽으로는 사이드롤러(215)와 후방 안내로울러(214)들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바(211)와 리어바(212) 사이에 원형 단면으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바(216)가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동체(220)는 제1이동체(210)의 상부에 탑재된 상태로 사각 틀체 형상으로 된 후레임(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유동로울러(222)와 후방 유동로울러(223)들이 구비되고, 후레임(221)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안내되는 한쌍의 가이드빔(226)이 마련되되, 이 가이드빔(226)은 연결브라켓트(225)를 통해 후레임(2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 사이에는 하강 과정에서 제2이동체(220)에 탄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보조스프링(230)이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 붐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를 제1이동체와 제2이동체로 분할한 후 슬라이드바의 안내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운반카와 적재대의 이동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운반카의 자체 길이를 줄여 상하, 작동거리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적재대를 지면에 최대로 근접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는 다단의 붐을 길이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인출하여 소정 길이로 신장한 후 건물의 고소에 안착시키고, 다단의 붐을 따라 운반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이삿짐이나 화물 등의 중량물을 편리하게 상하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의 사다리차를 도시한 것으로, 사다리차(1)는 차량 위에서 다단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의 붐대(10)들과, 다단의 붐을 타고 승강하는 운반카(200)가 도시하지 않은 윈치수단의 작동으로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여 화물을 적재시키는 적재대(24)와 함께 운반카(200)를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붐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붐대 각도조절 실린더(4)가 구비되어 원하는 각도와 높이에서 건축물을 대상으로 운반카(200)를 승강시켜 적재물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운반카(200)에는 붐대(10)들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을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 다수개의 안내로울러(21)들이 장착된다.
붐대(10)는 좌우 대칭형으로 상부에는 안내로울러(21)들이 접촉된 상태로 경사상태에서도 이탈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11)들이 일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주로 압출 방법으로 성형된다.
또, 붐대(10)의 하부는 다수개의 크로스바(17)들이 고정 부착되어 좌우 붐대(10)들을 서로 견고히 연결시키게 된다.
한편, 운반카(200)의 양측 후레임 양 단부에는 고정용브라켓을 이용하여 사이드롤로(25)가 각각 설치되어 지되, 상기 사이드롤로(25)는 붐대(10)를 이루는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 접촉되어 함으로써, 운반카(200)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1-0112950 (2011년10월14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51991호 (2013년 4월 2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848687호 (2018년 4월 9일 등록)
통상적으로, 붐대(10)를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200)의 상부에 적재대(24)를 탑재한 상태로 주로 최선단과 최하단 위치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수행된다.
종래, 운반카(200)는 주행의 안정성을 위해 상하 주행방향으로 길이를 가급적 크게 설계하고, 그 상단부와 하단부 양쪽에 사이드롤러(25)들을 정위치에 브라켓트(26)들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최선단의 위치로 운반카(200)를 이동하여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적재대(24)가 운반카(200)의 중심으로부터 비교적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높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운반카(200)의 후레임 자체 길이가 길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최하단의 위치로 운반카(2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적재대(24)의 최하단에서의 작업 위치도 높아질 수 밖에 없으므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운반카(200)의 후레임 길이가 길게 되면 이동시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자제비용 면에서 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848687호에서는 운반카에 사이드롤러를 구비한 사이드빔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주행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적재대의 높이를 지면에 최대한 접근시키지 못하여 지면에서의 적재 작업에 다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작업중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이동하고자 하는 물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대에 연결되는 제2이동체를 제1이동체로부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특히 최하단 위치에서 지면에 근접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 안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반카의 자체 크기를 줄여 원가절감을 하면서 제1이동체의 슬라이드바에 제2이동체의 가이드빔이 끼워져 결합을 이루어 이동을 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이동체의 안내로 제2이동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좌우로 흔들림이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동작될 수 있어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이동체의 안내로 제2이동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좌우로 흔들림이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동작될 수 있어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의 가이드판(11)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접촉되고,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는 사이드롤러(25)들이 각각 접촉된 상태로 적재대(24)가 탑재되어 윈치수단의 구동으로 승강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와, 이 이동체(210)의 안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체(22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200)에 있어서,
상기 운반카(200)의 제1이동체(210)는 전방으로 가로지르는 프론트바(211)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전방 안내로울러(213)들이 각각 구비되고, 후방으로 가로지르는 리어바(212)의 양쪽으로는 사이드롤러(215)와 후방 안내로울러(214)들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바(211)와 리어바(212) 사이에 원형 단면의 파이프형상으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바(216)가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동체(220)는 제1이동체(210)의 상부에 탑재된 상태로 사각 틀체 형상으로 된 후레임(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유동로울러(222)와 후방 유동로울러(223)들이 구비되고, 후레임(221)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안내되도록 원형 단면으로 된 한쌍의 가이드빔(226)이 마련되되,
이 가이드빔(226)은 연결브라켓트(225)를 통해 후레임(2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 사이에는 하강 과정에서 제2이동체(220)에 탄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보조스프링(230)이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카(200)의 제1이동체(210)는 전방으로 가로지르는 프론트바(211)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전방 안내로울러(213)들이 각각 구비되고, 후방으로 가로지르는 리어바(212)의 양쪽으로는 사이드롤러(215)와 후방 안내로울러(214)들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바(211)와 리어바(212) 사이에 원형 단면의 파이프형상으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바(216)가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동체(220)는 제1이동체(210)의 상부에 탑재된 상태로 사각 틀체 형상으로 된 후레임(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유동로울러(222)와 후방 유동로울러(223)들이 구비되고, 후레임(221)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안내되도록 원형 단면으로 된 한쌍의 가이드빔(226)이 마련되되,
이 가이드빔(226)은 연결브라켓트(225)를 통해 후레임(2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 사이에는 하강 과정에서 제2이동체(220)에 탄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보조스프링(230)이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운반카를 제1이동체와 제2이동체로 분할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헤 제품의 전체 크기를 줄여 제품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 운반카(200)가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제1이동체(210)로부터 제2이동체(220)가 승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좌우 흔들림이나 유동됨이 없이 매우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과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 운반카(200)가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제1이동체(210)로부터 제2이동체(220)가 승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좌우 흔들림이나 유동됨이 없이 매우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과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한, 운반카(200)가 최하단으로 이동될 때 적재대(24)의 설치 위치를 지면에 더욱 근접시킬 수 있어 화물의 탑재나 하역이 보다 용이해지고, 전체적으로 운반카(200)의 기능성과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사다리차에 운반카가 탑재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운반카에 적재대가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운반카에 적재대가 탑재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운반카가 붐대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운반카가 상승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운반카에 적재대가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운반카에 적재대가 탑재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운반카가 붐대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운반카가 상승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통상의 사다리차(1)에는 붐대(10)가 다단으로 도시하지 않은 윈치 수단에 의해 안테나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으며, 붐대(10)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짐을 탑재하는 운반카(200)가 붐대(10)의 가이드판(11) 안내로 승강 이동된다.(도 2)
그리고, 붐대(10)는 붐대 각도조절 실린더(4)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가능하게 된다.
각 붐대(10)들은 좌우 양측이 대칭되게 "ㄷ" 단면 형상으로 거리를 두고 내부를 향해 가이드판(11)이 일체로 성형되어 운반카(200)에 구비되는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판(11)의 양쪽 측면에는 운반카(200)의 상부와 하부 양쪽 끝단에 위치된 사이드롤러(215)들이 접촉되어 주행과정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운반카(200)의 상부로는 적재대(24)가 탑재되어 윈치수단에 의해 와이어(2)가 상부로 당길 때는 붐대(10)를 따라 수개의 안내용 로울러들과 사이드롤러(215)들이 가이드판(11)의 상하 좌우 양쪽에서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운반카(200)가 붐대(10)의 최선단에 윈치수단의 와이어(2) 구동으로 도달하게 되고, 하강할 때는 화물과 운반카(200)의 자중에 의해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적재대(24)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운반카(200)를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로 분할되게 한 후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승하강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특히 적재대(24)가 최하강 위치에서 지면에 최대한 근접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이동체(210)는 전방으로 가로지르는 프론트바(211)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전방 안내로울러(213)들이 구비된다.
이 프론트바(211)에는 와이어(2)의 끝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연결구(217)가 중앙에 후방을 향해 구비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이동체(210)의 후방으로 가로지르는 리어바(212)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후방 안내로울러(214)들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 프론트바(211)와 리어바(212) 사이를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슬라이드바(216)를 연결하게 된다.
제2이동체(220)는 상기 제1이동체(210)의 상부에 탑재되며, 사각 틀체형상의 후레임(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유동로울러(222)와 후방 유동로울러(223)들이 구비되어 있게 된다.
전방 유동로울러(222)는 가스스프링(224)에 의해 붐대(10)에 강하게 접촉되어 운반대(200)의 흔들림을 방지해주게 된다.
후방 유동로울러(223)는 운반카(200)가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 유동로울러(223)의 링크부분과 제2이동체(220)의 가이드빔(226)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장착하여 봄대에 밀착되어 안정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후레임(221)의 하부 양쪽에는 상기 슬라이드바(216)에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 이동 안내되는 가이드빔(226)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이동체(220)가 제1이동체(210)로부터 운반카(20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후레임(221)의 각 코너부에는 지지대(228)들이 구비되어 적재대(24)를 각도 조절 가능한 상태로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 후레임(221)의 저면으로는 와이어롤러(229)가 설치되어 와이어(2)가 걸려져서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윈치수단이 구동되어 와이어에 장력이 발생하면 제2이동체(220)가 상승하면서 제1이동체(210)를 끌고 상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운반카(200)는 사다리차의 붐대(10)를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제2이동체(220)의 전방 양측으로 댐퍼가 설치되어 있어 제2이동체(220)가 상승하여 제1이동체와 맞닿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충격을 완화시키며 부드럽게 상승하게 된다.(도 9 참조)
상기 윈치수단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면(와이어에 장력발생) 운반카(200)는 붐대(10)를 따라 상승하게 되나 윈치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윈치수단의 정지상태를 해지하면, 와이어에 장력이 해지되어 운반카(200)는 자체하중에 의해 붐대(10)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해지된 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력유지로울러(242)를 포함한 장력유지장치와, 외면에 렉기어(243)를 갖춘 브레이크플레이트(244)를 포함한 브레이크장치가 제2이동체(22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력유지장치와 브레이크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사다리차의 운반카에 일반적으로 설치된 공지의 기술이나,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장력유지장치는 제2이동체(220)의 폭방향으로 회전봉(24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240)에는 한쌍 장력스프링(241)과 장력유지로울러(242)가 설치되어 와이어에 장력이 해지되면, 회전봉(240)에 설치된 장력스프링(241)에 의해 회전봉(240)이 회전되면서 장력유지로울러(242)가 와이어(2)를 눌러주게 되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장치는 상기 회전봉(240)의 양 단부에 렉기어(243)를 갖춘 브레이크플레이트(244)가 갖춰져 있어 와이어(2)에 문제(와이어 절단)가 발생하면 장력스프링(241)에 의해 회전봉(240)이 회전하면서 브레이크플에이트(244)의 렉기어(243)가 붐대(10)의 상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결과적으로 운반카(200)의 하강은 정지된다.
여기서 붐대(10)의 하단부에는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보조붐(12)이 갖춰져 있는데, 상기 지면과 접촉되는 보조붐(12)에 의해 운반카(200)는 지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붐(12)은 붐대(10)의 외측면과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될수 있도록 단면상 "ㄱ"형상을 이루고 하단부에는 크로스바(15)가 갖춰지고 상기 크로스바(15)의 양측에 측면상 "■"형상을 이루는 스톱퍼(16)가 갖춰지며, 상기 양측의 스토퍼(16) 사이에는 고리부(18)가 갖춰져 운반카(200)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조붐(12)은 사다리차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어 실시되고 있는 기술로서 그 작용과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의 보조붐(12)은 사다리차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어 실시되고 있는 기술로서 그 작용과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운반카(200)가 하강할 때, 붐대(10)의 하부에 위치해 있던 보조붐(12)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하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운반카(200)의 하강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반카(200)의 제1이동체(210)가 보조붐(12) 하단부에 설치된 스톱퍼(16)에 접촉되어 하강이 정지되고 제2이동체(220)는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더 지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하강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16)는 보조붐(12)의 크로스바(15) 양측으로 크로스바(15)를 감싸는 형태로 갖춰져 있고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어 운반카 하강시 그 충격과 소음을 완화기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제2이동체(220)에 연결된 적재대(24)는 지면에 최대한 근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적재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 사이에는 하강 과정에서 제2이동체(220)에 탄력을 가해지도록 하여 제2이동체(220)의 하강을 돕기 위한 보조스프링(23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스프링(230)은 제1이동체(210) 하강 후 제2이동체(220) 하강 시 와이어의 장력이 약해지는데 이런 현상을 보완하고 장력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빔(226)의 내부에는 슬라이드바(216) 사이에 마찰저항을 줄이도록 비금속재로 된 윤활패드(227)를 고정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빔(226)이 슬라이드 될 때 마찰저항을 줄이고 소음발생을 차단하게 된다.
또 윤활패드(227)와 가이드빔(226)의 경계에는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도 좋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체(210)에 갖춰진 슬라이드바(216)와 제2이동체(220)에 갖춰진 가이드빔(226)은 종단면상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바(216)와 가이드빔(226)이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졌을 때의 이점을 살펴보면, 첫째 아치형구조로 인하여 적재되는 하중에 따른 응력이 분산되어 동일한 단면적형상에 비해 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어 중량대비 강도가 매우 높다,
둘째, 성형시 면을 이루는 다각형에 비해 높은 진직도를 갖출 수 있으므로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셋째, 높은 진직도와 하중에 따른 응력이 분산됨으로써 슬라이드시 마찰력이 줄어들어 슬라이딩이 원활하다는 점 등이 있다.
둘째, 성형시 면을 이루는 다각형에 비해 높은 진직도를 갖출 수 있으므로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셋째, 높은 진직도와 하중에 따른 응력이 분산됨으로써 슬라이드시 마찰력이 줄어들어 슬라이딩이 원활하다는 점 등이 있다.
따라서,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에 갖춰진 슬라이드바(216)와 가이드빔(226)의 단면형상은 면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의 형상으로 해도 무방하나 바람직한 형상은 원형을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빔(226)은 연결브라켓트(225)를 통해 후레임(2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 부착된다.
이때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성형하게 되는데, 운반카의 강도와 윤활성 등을 감안하여 바람직하게는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약 1/2 내외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빔(226)의 길이를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빔(226)의 안내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의 이동가능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에 의하면, 운반카(200)가 최하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그 상부에 탑재되어 함께 이동된 적재대(24)는 운반카(200)의 높이가 종래에 비하여 더 지면에 근접되게 최대한 작업 위치를 낮출 수 있어 하적이나 탑재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빔(226)은 연결브라켓트(225)를 통해 후레임(2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 부착된다.
이때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성형하게 되는데, 운반카의 강도와 윤활성 등을 감안하여 바람직하게는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약 1/2 내외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빔(226)의 길이를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빔(226)의 안내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의 이동가능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에 의하면, 운반카(200)가 최하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그 상부에 탑재되어 함께 이동된 적재대(24)는 운반카(200)의 높이가 종래에 비하여 더 지면에 근접되게 최대한 작업 위치를 낮출 수 있어 하적이나 탑재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삭제
그리고, 운반카(2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2이동체(220)가 제1이동체(210)로부터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매우 부드럽게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을 반복하며 항상 안정된 주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1 - 사다리차 2 - 와이어
10 - 붐대 11 - 가이드판
12 - 보조붐 15 - 크로스바(보조붐)
16 - 스톱퍼 17 - 크로스바(붐대)
18 - 고리부 200 - 운반카
210 - 제1이동체 211 - 프론트바
212 - 리어바 216 - 슬라이드바
220 - 제2이동체 221 - 후레임
226 - 가이드빔 230 - 보조 스프링
240 - 회전봉 241 - 장력스프링
242 - 장력유지로울러 243 - 렉기어
244 - 브레이크플레이트
10 - 붐대 11 - 가이드판
12 - 보조붐 15 - 크로스바(보조붐)
16 - 스톱퍼 17 - 크로스바(붐대)
18 - 고리부 200 - 운반카
210 - 제1이동체 211 - 프론트바
212 - 리어바 216 - 슬라이드바
220 - 제2이동체 221 - 후레임
226 - 가이드빔 230 - 보조 스프링
240 - 회전봉 241 - 장력스프링
242 - 장력유지로울러 243 - 렉기어
244 - 브레이크플레이트
Claims (5)
-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의 가이드판(11)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접촉되고,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는 사이드롤러(25)들이 각각 접촉된 상태로 적재대(24)가 탑재되어 윈치수단의 구동으로 승강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와, 이 이동체(210)의 안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동체(22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200)에 있어서,
상기 운반카(200)의 제1이동체(210)는 전방으로 가로지르는 프론트바(211)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전방 안내로울러(213)들이 각각 구비되고, 후방으로 가로지르는 리어바(212)의 양쪽으로는 사이드롤러(215)와 후방 안내로울러(214)들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프론트바(211)와 리어바(212) 사이에 원형 단면의 파이프형상으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바(216)가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이동체(220)는 제1이동체(210)의 상부에 탑재된 상태로 사각 틀체 형상으로 된 후레임(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유동로울러(222)와 후방 유동로울러(223)들이 구비되고, 후레임(221)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측으로 조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안내되도록 원형 단면으로 된 한쌍의 가이드빔(226)이 마련되되,
이 가이드빔(226)은 연결브라켓트(225)를 통해 후레임(22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빔(226)의 길이는 상기 제2이동체(22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짧게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 사이에는 하강 과정에서 제2이동체(220)에 탄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보조스프링(230)이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304A KR102105866B1 (ko) | 2018-07-18 | 2018-07-18 |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304A KR102105866B1 (ko) | 2018-07-18 | 2018-07-18 |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9222A KR20200009222A (ko) | 2020-01-30 |
KR102105866B1 true KR102105866B1 (ko) | 2020-05-04 |
Family
ID=6932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3304A KR102105866B1 (ko) | 2018-07-18 | 2018-07-18 |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586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6242B1 (ko) * | 2020-06-23 | 2020-09-15 | 주식회사 알씨테크 | 사다리차에 적용되는 와이어 구동형 슬라이딩 운반용 대차 구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56661A (ja) | 2010-09-07 | 2012-03-22 | Toyota Industries Corp | 荷物移送用ロボットと該ロボットの制御方法 |
KR101592363B1 (ko) * | 2015-09-15 | 2016-02-05 | 강희곤 |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
KR101848687B1 (ko) * | 2017-09-29 | 2018-04-13 | 주식회사 호룡 |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7540A (ko) * | 2008-02-13 | 2009-08-18 | 하베코리아 주식회사 |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적재대가 구비된 고가 사다리차 |
KR20110112950A (ko) | 2010-04-08 | 2011-10-14 | 강희곤 |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시스템 |
KR101251991B1 (ko) | 2011-07-04 | 2013-04-12 | 양건이 | 고가 사다리차 |
-
2018
- 2018-07-18 KR KR1020180083304A patent/KR1021058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56661A (ja) | 2010-09-07 | 2012-03-22 | Toyota Industries Corp | 荷物移送用ロボットと該ロボットの制御方法 |
KR101592363B1 (ko) * | 2015-09-15 | 2016-02-05 | 강희곤 |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
KR101848687B1 (ko) * | 2017-09-29 | 2018-04-13 | 주식회사 호룡 |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9222A (ko) | 2020-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8687B1 (ko) |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 |
US6929113B1 (en) | Telescoping stacking conveyor having a single conveyor belt and single drive mechanism for the belt | |
KR101804278B1 (ko) | 사다리차 운반카의 각도 제어장치 | |
KR20140003277U (ko) | 고소작업용 리프트 | |
JP6285083B2 (ja) | パレットトラック互換床置き型荷物用エレベータ | |
KR102105866B1 (ko) |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 |
KR102296058B1 (ko) | 엘리베이터 보조결속장치 | |
KR102299046B1 (ko) |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 |
KR101824066B1 (ko) |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 |
KR200494059Y1 (ko) | 지게차 부착용 화물승강장치 | |
JP7168409B2 (ja) | 移動式リフト | |
KR101324543B1 (ko) |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 |
CN210634430U (zh) | 运输车车斗卸料装置 | |
JP6125602B1 (ja) | 引上装置 | |
KR102215267B1 (ko) |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 |
KR102476163B1 (ko) | 사다리차의 붐대 유격 방지장치 | |
KR102133833B1 (ko) | 사다리차의 운반카 | |
JP5173281B2 (ja) | エレベータ | |
KR102476161B1 (ko) | 사다리차의 붐대 | |
EP3208175A1 (en) | Pallet truck with retractable side-loading system | |
JP2003341411A (ja) | 貨物車両の荷受台昇降装置 | |
CN220660077U (zh) | 切割设备用物品装载平台的运料结构 | |
CN218202031U (zh) | 一种电梯安装用防护安全装置 | |
CN216071595U (zh) | 一种具有多自由度的物流仓储机器人 | |
JP7316660B2 (ja) | 多段昇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