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267B1 -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267B1
KR102215267B1 KR1020190135533A KR20190135533A KR102215267B1 KR 102215267 B1 KR102215267 B1 KR 102215267B1 KR 1020190135533 A KR1020190135533 A KR 1020190135533A KR 20190135533 A KR20190135533 A KR 20190135533A KR 102215267 B1 KR102215267 B1 KR 10221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transport car
guide
ca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현
김영식
김진성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9013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다리 붐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를 제1이동체와 제2이동체로 분할하여 슬라이드바의 안내로 슬라이드 될 때 그 접촉면에서 반영구적인 윤활 작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운반카와 적재대의 이동시 안정성과 정숙성을 향상시키고, 극한으로 오염된 환경에서도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의 가이드판(11)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접촉되고,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사이드롤러들이 접촉되도록 하며,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바(211)와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바(212)사이에 원형 단면의 파이프형상으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바(216)가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윈치수단의 구동으로 승강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와, 이 제1이동체(210)의 슬라이드바(216) 안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대(24)가 탑재되는 제2이동체(220)와, 상기 제1이동체(210)의 저면 양쪽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251)를 통해 부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빔(25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2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250)의 내부로 슬라이드바(216) 사이에는 관 형상의 윤활부재(300)를 설치하여 그 외부를 베어링 하우징(310)으로 감싸지게 하고, 베어링 하우징(310)의 개구부에는 스냅링(340)으로 이탈 방지되는 더스트실(32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Carriage car lubrication device of the ladder unit}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 붐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를 제1이동체와 제2이동체로 분할하여 슬라이드바의 안내로 슬라이드 될 때 그 접촉면에서 반영구적인 윤활 작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운반카와 적재대의 이동시 안정성과 정숙성을 향상시키고, 극한으로 오염된 환경에서도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는 다단의 붐을 길이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인출하여 소정 길이로 신장한 후 건물의 고소에 안착시키고, 다단의 붐을 따라 운반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이삿짐이나 화물 등의 중량물을 편리하게 상하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의 사다리차를 도시한 것으로, 사다리차(1)는 차량 위에서 다단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의 붐대(10)들과, 다단의 붐을 타고 승강하는 운반카(200)가 도시하지 않은 윈치수단의 작동으로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여 화물을 적재시키는 적재대(24)와 함께 운반카(200)를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붐대(10)의 각도를 조절하는 붐대 각도조절 실린더(4)가 구비되어 원하는 각도와 높이에서 건축물을 대상으로 운반카(200)를 승강시켜 적재물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운반카(200)에는 붐대(10)들에 접촉된 상태에서 승강을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 다수개의 안내로울러(21)들이 장착된다.
붐대(10)는 좌우 대칭형으로 상부에는 안내로울러(21)들이 접촉된 상태로 경사상태에서도 이탈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11)들이 일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주로 압출 방법으로 성형된다.
또, 붐대(10)의 하부는 다수개의 크로스바(17)들이 고정 부착되어 좌우 붐대(10)들을 서로 견고히 연결시키게 된다.
한편, 운반카(200)의 양측 후레임 양 단부에는 고정용브라켓을 이용하여 사이드롤러(25)가 각각 설치되어 지되, 상기 사이드롤러(25)는 붐대(10)를 이루는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 접촉되어 함으로써, 운반카(200)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1-0112950 (2011년10월14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51991호 (2013년 4월 2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848687호 (2018년 4월 9일 등록)
통상적으로, 붐대(10)를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200)의 상부에 적재대(24)를 탑재한 상태로 주로 최선단과 최하단 위치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수행된다.
종래, 운반카(20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주행의 안정성을 위해 상하 주행방향으로 길이를 가급적 크게 설계하고, 그 상단부와 하단부 양쪽에 사이드롤러(25)들을 정위치에 브라켓트(26)들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최선단의 위치로 운반카(200)를 이동하여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적재대(24)가 운반카(200)의 중심으로부터 비교적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높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운반카(200)의 후레임 자체 길이가 길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최하단의 위치로 운반카(2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적재대(24)의 최하단에서의 작업 위치도 높아질 수 밖에 없으므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운반카(200)의 후레임 길이가 길게 되면 이동시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자제비용 면에서 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848687호에서는 운반카에 사이드롤러를 구비한 사이드빔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주행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적재대의 높이를 지면에 최대한 접근시키지 못하여 지면에서의 적재 작업에 다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작업중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이동하고자 하는 물품이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운반카를 제1이동체와 제2이동체로 분할하여 제1이동체의 전방 후레임과 후방 후레임을 연결하는 슬라이드바의 안내로 제2이동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적재대의 높이를 최대한 지면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바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고, 제2이동체에 슬라이드바를 감싼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빔이 조립되고, 그 면접촉 부위로 윤활유만을 공급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오염된 작업 환경에서 운반카를 반복 사용할 때 슬라이드바의 면접촉 부위가 쉽게 오염되어 마찰저항으로 인해 정상적인 슬라이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작동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고 운반카의 수명이 짧아지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종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대에 연결되는 제2이동체를 제1이동체로부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특히 최하단 위치에서 지면에 근접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카의 자체 크기를 줄여 원가절감을 하면서 제1이동체의 슬라이드바에 제2이동체의 가이드빔이 끼워져 결합을 이루어 이동을 함으로서, 제품의 신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이동체에 마련된 슬라이드바의 안내로 제2이동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그 접촉면에 윤활장치를 마련하여 주행중 좌우로 흔들림이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정숙한 슬라이드 동작을 유도하여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윤활장치의 성능과 수명이 대폭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을 2중으로 차단하여 극한으로 오염된 작업 환경에서도 원활한 슬라이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의 가이드판(11)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접촉되고,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사이드롤러들이 접촉되도록 하며,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바(211)와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바(212)사이에 원형 단면의 파이프형상으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바(216)가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윈치수단의 구동으로 승강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와,
이 제1이동체(210)의 슬라이드바(216) 안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대(24)가 탑재되는 제2이동체(220)와,
상기 제1이동체(210)의 저면 양쪽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251)를 통해 부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빔(25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2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250)의 내부로 슬라이드바(216) 사이에는 관 형상의 윤활부재(300)를 설치하여 그 외부를 베어링 하우징(310)으로 감싸지게 하고,
베어링 하우징(310)의 개구부에는 스냅링(340)으로 이탈 방지되는 더스트실(32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더스트실(320)과 스냅링(340) 사이에는 스토퍼 플레이트(3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빔(250)의 외측으로는 내부로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윤활유 주입구(25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부에는 벨로우즈 커버(350)가 설치되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1이동체(210)의 저면 양쪽에는 제2이동체(220)의 상부로 돌출된 걸림부(218)(219)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228)(228a)들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윤활부재(300)는 플라스틱 베어링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운반카를 제1이동체와 제2이동체로 분할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제품의 전체 크기를 줄여 제품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 운반카(200)가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제1이동체(210)로부터 제2이동체(220)가 승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좌우 흔들림이나 유동됨이 전혀 없이 매우 정숙하고 부드러운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과 상품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윤활 성능이 우수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을 더스트실과 벨로우즈 커버에 의해 2중으로 차단하는 것에 의해 극한으로 오염된 작업 환경에서도 원활한 슬라이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1회의 그리스 주입으로도 반 영구적으로 우수한 윤활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운반카(200)의 기능성과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사다리차에 운반카가 탑재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운반카에 적재대가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운반카에 적재대가 탑재되어 최상단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제1이동체와 제2이동체 및 가이드빔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일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통상의 사다리차(1)에는 붐대(10)가 다단으로 도시하지 않은 윈치 수단에 의해 안테나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으며, 붐대(10)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짐을 탑재하는 운반카(200)가 붐대(10)의 가이드판(11) 안내로 승강 이동된다.(도 2)
그리고, 붐대(10)는 붐대 각도조절 실린더(4)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가능하게 된다.
각 붐대(10)들은 좌우 양측이 대칭되게 "ㄷ" 단면 형상으로 거리를 두고 내부를 향해 가이드판(11)이 일체로 성형되어 운반카(200)에 구비되는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판(11)의 양쪽 측면에는 운반카(200)의 제1이동체(21) 상부와 하부 양쪽 끝단에 위치된 사이드롤러(215)들이 접촉되어 주행과정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운반카(200)의 제2이동체(220) 상부로는 적재대(24)가 탑재되어 윈치수단에 의해 와이어(2)가 상부로 당길 때는 붐대(10)를 따라 수개의 안내용 로울러들과 사이드롤러(215)들이 가이드판(11)의 상하 좌우 양쪽에서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운반카(200)가 붐대(10)의 최선단에 윈치수단의 와이어(2) 구동으로 도달하게 되고, 하강할 때는 화물과 운반카(200)의 자중에 의해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적재대(24)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운반카(200)를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로 분할되게 한 후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승하강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특히 적재대(24)가 최하강 위치에서 지면에 최대한 근접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이동체(210)는 전방으로 가로지르는 프론트바(211)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전방 안내로울러(213)들이 구비된다.
이 프론트바(211)에는 와이어(2)의 끝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연결구(217)가 중앙에 후방을 향해 구비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이동체(210)의 후방으로 가로지르는 리어바(212)의 양쪽으로 사이드롤러(215)와 후방 안내로울러(214)들 및 후방 유동로울러(223)들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 프론트바(211)와 리어바(212) 사이를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슬라이드바(216)를 연결하게 된다.
제2이동체(220)는 상기 제1이동체(210)의 상부에 탑재되며, 사각 틀체형상의 후레임(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방 유동로울러(222)가 구비되어 있다.
전방 유동로울러(222)는 가스스프링(224)에 의해 붐대(10)에 강하게 접촉되어 운반대(200)의 흔들림을 방지해주게 된다.
후방 유동로울러(223)는 제1이동체(210)의 후방에 위치되어 운반카(200)가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제2이동체(220)의 틀체를 형성하는 후레임(221)의 하부 양쪽에는 지지부재(251)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바(216)에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 이동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빔(250)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재(251)는 주로 볼트로 후레임(221)에 체결 고정되고, 지지부재(251)와 가이드빔(250)은 용접으로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이동체(220)가 제1이동체(210)로부터 운반카(200)의 승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후레임(221)의 각 코너부에는 지지대(228)들이 구비되어 적재대(24)를 각도 조절 가능한 상태로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 후레임(221)의 저면으로는 와이어롤러(229)가 설치되어 와이어(2)가 걸려져서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윈치수단이 구동되어 와이어에 장력이 발생하면 제2이동체(220)가 상승하면서 제1이동체(210)를 끌고 상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운반카(200)는 사다리차의 붐대(10)를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제2이동체(220)의 전방 양측으로 댐퍼가 설치되어 있어 제2이동체(220)가 상승하여 제1이동체와 맞닿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충격을 완화시키며 부드럽게 상승하게 된다.
상기 윈치수단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면(와이어에 장력발생) 운반카(200)는 붐대(10)를 따라 상승하게 되나 윈치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윈치수단의 정지상태를 해지하면, 와이어에 장력이 해지되어 운반카(200)는 자체하중에 의해 붐대(1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해지된 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고 있는지 와이어의 장력음 감지하는 장력감지로울러(242)를 포함한 장력감지장치와, 상기 장력감지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외면에 렉기어를 갖춘 브레이크플레이트(244)를 포함한 브레이크장치가 제2이동체(22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력감지장치와 브레이크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사다리차의 운반카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운반카(200)가 하강할 때, 붐대(10)의 하부에 위치해 있는 보조붐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하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운반카(200)의 하강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반카(200)의 제1이동체(210)가 보조붐 하단부에 설치된 스톱퍼에 접촉되어 하강이 정지되고, 제2이동체(220)는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더 지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하강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는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어 운반카 하강시 그 충격과 소음을 완화기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제2이동체(220)에 연결된 적재대(24)는 지면에 최대한 근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적재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 사이에는 하강 과정에서 제2이동체(220)에 탄력을 가해지도록 하여 제2이동체(220)의 하강을 돕기 위한 보조스프링(23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스프링(230)은 제1이동체(210) 하강 후 제2이동체(220) 하강 시 와이어의 장력이 약해지는데 이런 현상을 보완하고 장력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빔(250)의 내부와 슬라이드바(216) 사이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윤활장치를 마련하여 가이드빔(250)이 슬라이드 될 때 마찰저항을 줄이고 소음발생을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빔(250)의 내부로 슬라이드바(216) 사이에는 관 형상의 윤활부재(300)를 설치하고, 이 윤활부재(300)의 외부를 베어링 하우징(310)으로 감싸게 한다.
베어링 하우징(310)은 윤활부재(300)가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갖는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310)의 개구부에는 더스트실(320)을 마련한 후 스냅링(340)으로 이탈을 방지되게 된다.
더스트실(320)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더스트실(320)과 스냅링(340) 사이에는 스토퍼 플레이트(330)를 더 설치하여 이물질의 차단과 아울러 윤활유의 방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윤활장치는 가이드빔(250)의 양쪽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빔(250)의 중앙부 외측으로는 내부로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윤활유 주입구(252)가 마련되어 있다.
주입된 윤활유는 방출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1회 주입으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부에는 가이드빔(250) 양쪽으로 벨로우즈 커버(350)가 각각 설치되어 신축 작용되면서 이물질이 윤활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벨로우즈 커버(350)는 주름관 구조로 신축성과 방수능력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제2이동체(220)의 상부로는 걸림부(218)(219)를 각각 돌출시키고, 제1이동체(210)의 저면 양쪽에는 이 걸림부(218)(219)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228)(228a)들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토퍼(228)(228a)와 양쪽 걸림부(218)(219)들에 의해 허용 슬라드 범위 이상으로 과도하게 이동되어 벨로우즈 커버(350)가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윤활부재(300)는 플라스틱 베어링이 포함된다.
플라스틱 베어링은 마찰계수가 낮고 강성과 열적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수명이 길고 비교적 저가이여서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체(210)에 갖춰진 슬라이드바(216)와 제2이동체(220)에 갖춰진 가이드빔(250)은 종단면상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바(216)와 가이드빔(250)이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졌을 때의 이점을 살펴보면, 첫째 아치형구조로 인하여 적재되는 하중에 따른 응력이 분산되어 동일한 단면적형상에 비해 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어 중량대비 강도가 매우 높다,
둘째, 성형시 면을 이루는 다각형에 비해 높은 진직도를 갖출 수 있으므로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셋째, 높은 진직도와 하중에 따른 응력이 분산됨으로써 슬라이드시 마찰력이 줄어들어 슬라이딩이 원활하다는 점 등이 있다.
따라서, 제1이동체(210)와 제2이동체(220)에 갖춰진 슬라이드바(216)와 가이드빔(250)의 단면형상은 면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의 형상으로 해도 무방하나 바람직한 형상은 원형을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운반카 윤활장치에 의하면, 운반카(200)가 최하단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그 상부에 탑재되어 함께 이동된 적재대(24)는 운반카(200)의 높이가 종래에 비하여 더 지면에 근접되게 최대한 작업 위치를 낮출 수 있어 하적이나 탑재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반카(2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2이동체(220)가 제1이동체(210)로부터 슬라이드바(216)의 안내로 슬라이드 될 때 그 동작이 매우 부드럽고 소음이 거의 없으며 항상 안정된 주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1 - 사다리차 2 - 와이어
10 - 붐대 11 - 가이드판
17 - 크로스바 200 - 운반카
210 - 제1이동체 211 - 프론트바
212 - 리어바 216 - 슬라이드바
220 - 제2이동체 221 - 후레임
250 - 가이드빔 251 - 지지부재
300 - 윤활부재 310 - 베어링 하우징
320 - 더스트실 330 - 스토퍼 플레이트
340 - 스냅링 350 - 벨로우즈 커버

Claims (6)

  1.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의 가이드판(11)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전방측과 후방측에 수개의 안내로울러들이 접촉되고, 가이드판(11)의 양쪽 내측면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사이드롤러들이 접촉되도록 하며, 전방에 위치되는 프론트바(211)와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바(212)사이에 원형 단면의 파이프형상으로 된 한쌍의 슬라이드바(216)가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윈치수단의 구동으로 승강 이동되는 제1이동체(210)와,
    이 제1이동체(210)의 슬라이드바(216) 안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대(24)가 탑재되는 제2이동체(220)와,
    상기 제1이동체(210)의 저면 양쪽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부재(251)를 통해 부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빔(25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2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250)의 내부로 슬라이드바(216) 사이에는 관 형상의 윤활부재(300)를 설치하여 그 외부를 베어링 하우징(310)으로 감싸지게 하고,
    베어링 하우징(310)의 개구부에는 스냅링(340)으로 이탈 방지되는 더스트실(32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실(320)과 스냅링(340) 사이에는 스토퍼 플레이트(33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250)의 외측으로는 내부로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윤활유 주입구(25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216)의 외부에는 벨로우즈 커버(350)가 설치되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체(210)의 저면 양쪽에는 제2이동체(220)의 상부로 돌출된 걸림부(218)(219)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228)(228a)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윤활부재(300)는 플라스틱 베어링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KR1020190135533A 2019-10-29 2019-10-29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KR10221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33A KR102215267B1 (ko) 2019-10-29 2019-10-29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33A KR102215267B1 (ko) 2019-10-29 2019-10-29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267B1 true KR102215267B1 (ko) 2021-02-15

Family

ID=7456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533A KR102215267B1 (ko) 2019-10-29 2019-10-29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2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681Y1 (ko) * 2005-01-26 2005-04-22 강경태 프레스 기계의 오일 비산 방지용 커버
KR20110112950A (ko) 2010-04-08 2011-10-14 강희곤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시스템
KR101251991B1 (ko) 2011-07-04 2013-04-12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KR101592363B1 (ko) * 2015-09-15 2016-02-05 강희곤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KR101848687B1 (ko) 2017-09-29 2018-04-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681Y1 (ko) * 2005-01-26 2005-04-22 강경태 프레스 기계의 오일 비산 방지용 커버
KR20110112950A (ko) 2010-04-08 2011-10-14 강희곤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시스템
KR101251991B1 (ko) 2011-07-04 2013-04-12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KR101592363B1 (ko) * 2015-09-15 2016-02-05 강희곤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KR101848687B1 (ko) 2017-09-29 2018-04-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0473A (en) Telescoping tower
KR101848687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US10309154B2 (en) Height actuated self-activating safety gate
EP2511198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EP2468677B1 (en) Stacker crane
US7143869B1 (en) Hydraulic vehicle lift
JP2010235024A (ja) 運搬台車及び運搬方法
JP6285083B2 (ja) パレットトラック互換床置き型荷物用エレベータ
US7823698B2 (en) Three stage mast
KR102215267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KR101967220B1 (ko) 승강작업대
KR101824066B1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JP5894408B2 (ja) 昇降機の停止調整装置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JP6514538B2 (ja) 昇降フェンス装置とそれを備えた駐車設備
KR102105866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WO2017153724A1 (en) Elevating platform
KR102133833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JP7328955B2 (ja) 高所作業車
KR102476163B1 (ko) 사다리차의 붐대 유격 방지장치
US20060070815A1 (en) Lift assembly
JP4125544B2 (ja) 貨物車両の荷受台昇降装置
EP2085327B1 (en) Transportable units
KR102709788B1 (ko) 사다리차의 아웃트리거 구동 장치
KR102476161B1 (ko) 사다리차의 붐대
US200501395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objects in a limited headroom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