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363B1 -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363B1
KR101592363B1 KR1020150130409A KR20150130409A KR101592363B1 KR 101592363 B1 KR101592363 B1 KR 101592363B1 KR 1020150130409 A KR1020150130409 A KR 1020150130409A KR 20150130409 A KR20150130409 A KR 20150130409A KR 101592363 B1 KR101592363 B1 KR 101592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body
ladder
coupled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곤
Original Assignee
강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곤 filed Critical 강희곤
Priority to KR1020150130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사다리차에 탑재되는 사다리 본체(110)에 구비되는 두 가이드 레일(111, 112)에 결합되어서 상기 두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운반대차 장치로서, 상기 두 가이드 레일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이동체(140)와, 상기 제1 이동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이동체(160)를 구비하는 이동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체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146a, 147a)가 형성된 제1 프레임(141)과, 상기 제1 프레임(141)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가이드 레일 각각에 결합되는 2개의 제1 전륜부(150a, 150b)와,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가이드 레일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전륜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후륜부(155a, 155b)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후륜부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CARRIER APPARATUS FOR LADDER TRUCK}
본 발명은 사다리차에 사용되는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안전성이 확보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차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서 길이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인출가능하고 경사와 방향이 조절되는 사다리 본체와, 사다리 본체를 따라서 이동하며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대차를 구비한다. 종래의 운반대차는 사다리 본체의 하단에서 정지하여 최저의 위치를 형성한다. 사다리 본체의 하단은 지면으로부터 비교적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운반대차에 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에 있어서 불편이 따른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16934 (2009.09.1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3-0005909 (2013.10.10.)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안전성이 확보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다리차에 탑재되는 사다리 본체(110)에 구비되는 두 가이드 레일(111, 112)에 결합되어서 상기 두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운반대차 장치로서, 상기 두 가이드 레일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이동체(140)와, 상기 제1 이동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이동체(160)를 구비하는 이동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체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146a, 147a)가 형성된 제1 프레임(141)과, 상기 제1 프레임(141)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가이드 레일 각각에 결합되는 2개의 제1 전륜부(150a, 150b)와,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가이드 레일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전륜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후륜부(155a, 155b)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후륜부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는 상기 이동부(125)를 구동시키는 대차 구동부(1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차 구동부는 윈치(132)와, 상기 윈치에 의해 감기고 풀리는 윈치 와이어(133)를 구비하며, 상기 윈치 와이어는 상기 제1 프레임(141)에 고정되고, 중간에 상기 제2 이동체에 구비되는 도르래부(163a)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는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이동체에 결합되는 적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체는 전방부와 후방부 각각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는 사다리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이동체와, 제1 이동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며 사다리 본체의 하단보다 더 하강하여 위치할 수 있는 제2 이동체를 구비하므로 제2 이동체에 결합된 적재부가 종래의 운반대차의 경우에 비해 더 아래에 위치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면서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대차 장치가 탑재된 사다리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반대차 장치를 사다리 본체 일부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운반대차 장치에서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제1 이동체에서 제1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제2 이동체에서 제2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대차 장치가 탑재된 사다리차가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다리차(100)는 차량(100a)과, 차량(100a)에 설치되고 운반대차 장치(130)가 탑재된 사다리부(10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반대차 장치(130)에 있으므로, 여기서는 운반대차 장치(130)의 구성 및 작용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운반대차 장치(1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 설명되거나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사다리차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100a)은 트럭 형태로서, 후방에 사다리부(100b)가 설치되는 베이스부(101)를 구비한다. 베이스(101)의 주변에는 사다리차의 전복을 방지하는 다수의 지지 다리(102)가 설치된다.
사다리부(100b)는 사다리 본체(110)와, 사다리 본체(110)를 차량(100a)에 선회가능하고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120)와, 사다리 본체(110)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대차 장치(130)를 구비한다.
사다리 본체(11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축가능한 다단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신축가능한 다단 구조는 사다리차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다리 본체(110)는 결합부(120)를 통해 차량(100a)에 선회가능하고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탑재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사다리 본체(110)는 양측에 이격되어서 설치되는 두 가이드 레일(111, 112)을 구비한다. 두 가이드 레일(111, 112)을 따라서 운반대차 장치(130)가 사다리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다리 본체(110)의 끝단 쪽(도 1에서 상단)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쪽(도 1에서 하단)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결합부(120)는 차량(100a)의 베이스(101) 후방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부(120)에 사다리 본체(110)가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결합부(120)에는 사다리 본체(110)의 경사를 변화시키기 위한 경사 조절용 구동부(121)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 조절용 구동부(121)로 유압실린더가 사용된다.
운반대차 장치(130)는 사다리 본체(110)에 사다리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화물을 운반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운반대차 장치(130)는 사다리 본체(110)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부(125)와, 이동부(125)를 구동시키는 대차 구동부(131)와,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190)를 구비한다.
이동부(125)는 대차 구동부(131)에 의해 구동되어서 사다리 본체(110)의 두 가이드 레일(111, 112)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부(125)의 이동에 의해 적재부(190)에 적재된 화물이 운반된다. 도 4와 도 5에는 이동부(125)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125)는 두 가이드 레일(111, 112)에 대해 이동하는 제1 이동체(140)와, 제1 이동체(1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체(160)를 구비한다.
제1 이동체(140)는 제1 프레임(141)과, 제1 프레임(141)에 설치되는 두 제1 전륜부(150a, 150b)와, 제1 프레임(141)에 설치되는 두 제1 후륜부(155a, 155b)를 구비한다.
도 6에는 제1 프레임(141)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141)은 길이방향 상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2개의 제1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 143)와, 폭방향 상에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두 제1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 143)를 연결하는 2개의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을 구비한다.
2개의 제1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 143)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와, 제1 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에 대해 상대적으로 길이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43)를 구비한다. 두 제1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 143)는 바아(bar) 형태로서 폭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두 제1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 143)는 두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에 의해 연결된다. 제1 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에는 윈치 와이어(133)가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부(142a)가 마련된다.
2개의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는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며 서로 평행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바아 형태이다. 두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의 양단은 각각 두 제1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 143)에 고정된다. 두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레일부(146a, 147a)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146a, 147a)에 의해 제2 이동체(160)가 제1 이동체(140)에 대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두 제1 전륜부(150a, 150b) 각각은 두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 각각에 제1 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42) 측에 가깝게 설치된다. 두 제1 전륜부(150a, 150b) 각각은 사다리 본체(110)의 두 가이드 레일(111, 112)과 각각 접촉한다. 두 전륜부(150a, 150b)는 길이방향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두 제1 후륜부(155a, 155b)는 두 제1 전륜부(150a, 150b)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43)에 가깝게 두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 각각에 설치된다. 두 제1 후륜부(155a, 155b) 각각은 사다리 본체(110)의 두 가이드 레일(111, 112)과 각각 접촉한다. 두 제1 후륜부(155a, 155b)는 길이방향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두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는 두 제1 후륜부(155a, 155b)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고, 그에 따라 레일부(146a, 147a)도 두 제1 후륜부(155a, 155b)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는 후방 연장 구간(A)이 존재한다. 이 후방 연장 구간(A)에 의해 제2 이동체(160)가 후방으로 더 이동할 수 있게 되어서 적재부(190)를 최대한 아래로 내려올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제1 전륜부(150a, 150b)와 제1 후륜부(155a, 155b) 사이의 거리는 통상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적재부(190)가 추가로 더 내려올 수 있으므로 안전을 확보하면서 작업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이동체(160)는 제2 프레임(161)과, 제1 프레임(161)에 설치되는 두 제2 전륜부(170a, 170b)와, 제2 프레임(161)에 설치되는 두 제2 후륜부(175a, 175b)를 구비한다.
도 7에는 제2 프레임(161)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161)은 길이방향 상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2개의 제2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 163)와, 폭방향 상에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두 제2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 163)를 연결하는 2개의 제2 폭방향 지지 부재(166, 167)을 구비한다. 제2 프레임(161)의 길이는 제1 프레임(141)의 길이보다 짧아서 제2 이동체(160)가 제1 이동체(14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2개의 제2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 163)는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와, 제2 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에 대해 상대적으로 길이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제2 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63)를 구비한다. 두 제2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 163)는 바아(bar) 형태로서 폭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두 제2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 163)는 두 제2 폭방향 지지 부재(166, 167)에 의해 연결된다. 제2 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에는 적재부(190)가 힌지결합된다. 제2 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63)에는 윈치 와이어(133)가 걸리는 도르래부(163a)가 고정된다.
2개의 제2 폭방향 지지 부재(166, 167)는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며 서로 평행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바아 형태이다. 두 제2 폭방향 지지 부재(166, 167)의 양단은 각각 두 제2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 163)에 고정된다.
제2 프레임(161)의 전방부와 후방부 각각에는 제1 프레임(141)과 충돌시 충격 흡수를 위해 탄성재질의 다수의 충격 흡수 부재(177)가 구비된다.
두 제2 전륜부(170a, 170b) 각각은 두 제2 폭방향 지지 부재(166, 167) 각각에 제2 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62) 측에 가깝게 설치된다. 두 제2 전륜부(170a, 170b) 각각은 두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의 각각에 마련된 레일부(146a, 147a)에 삽입된다.
두 제2 후륜부(175a, 175b)는 두 제2 전륜부(170a, 170b)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 후방 길이방향 지지 부재(163)에 가깝게 두 제2 폭방향 지지 부재(166, 167) 각각에 설치된다. 두 제2 후륜부(175a, 175b) 각각은 두 제1 폭방향 지지 부재(146, 147)의 각각에 마련된 레일부(146a, 147a)에 삽입된다.
두 제2 전륜부(170a, 170b)와 두 제2 후륜부(175a, 175b)에 의해 제2 이동체(160)는 제1 이동체(140)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부(131)는 이동부(125)가 사다리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동부(125)를 구동시킨다. 구동부(131)는 윈치(132)와, 윈치(132)에 의해 감기고 풀리는 윈치 와이어(133)를 구비한다. 윈치(132)는 사다리 몸체(110)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며, 윈치 와이어(133)의 끝단은 제1 이동체(140)의 와이어 고정부(142a)에 고정된다. 윈치 와이어(133)는 중간에 제2 이동체(160)의 도르래부(163a)에 걸려서 연장방향이 전환된다.
적재부(190)는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적재부(190)는 제2 이동체(160)에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제2 이동체(160)에 힌지 결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대(180)에 의해 지지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제1 이동체(140)가 사다리 본체(110)에서 최하단에 위치하고 제2 이동체(160)는 제1 이동체(140)에 대해 최상부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서 적재부(190)가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 상태에서 윈치(132)를 이용하여 윈치 와이어(133)를 풀어주면, 제1 이동체(140)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2 이동체(160)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도 1에서 적재부(190)가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에 대응한다. 적재부(190)가 종래 기술에 비해 추가로 더 하강하여 위치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3의 상태에서 윈치(132)를 이용하여 윈치 와이어(133)를 감아주면, 제1 이동체(140)에 대해 제2 이동체(160)가 상승하고, 제2 이동체(160)의 상단이 제1 이동체(140)의 상단과 접촉한 후에는 두 이동체(140, 160)가 함께 사다리 본체(110)를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다리차 100a : 차량
100b : 사다리부 110 : 사다리 본체
120 : 결합부 125 : 이동부
130 : 운반대차 장치 131 : 대차 구동부
140 : 제1 이동체 141 : 제1 프레임
150a, 150b : 제1 전륜부 155a, 155b : 제1 후륜부
160 : 제2 이동체 161 : 제2 프레임
170a, 170b : 제2 전륜부 175a, 175b : 제2 후륜부
190 : 적재부

Claims (8)

  1. 사다리차에 탑재되는 사다리 본체(110)에 구비되는 두 가이드 레일(111, 112)에 결합되어서 상기 두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운반대차 장치로서,
    상기 두 가이드 레일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이동체(140)와, 상기 제1 이동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이동체(160)를 구비하는 이동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체는 상기 제2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146a, 147a)가 형성된 제1 프레임(141)과, 상기 제1 프레임(141)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가이드 레일 각각에 결합되는 2개의 제1 전륜부(150a, 150b)와,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가이드 레일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전륜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후륜부(155a, 155b)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후륜부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25)를 구동시키는 대차 구동부(1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차 구동부는 윈치(132)와, 상기 윈치에 의해 감기고 풀리는 윈치 와이어(133)를 구비하며,
    상기 윈치 와이어는 상기 제1 프레임(141)에 고정되고, 중간에 상기 제2 이동체에 구비되는 도르래부(163a)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41)의 전방부에는 상기 윈치 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부(142a)가 마련되고, 상기 윈치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도르래부에 걸려서 연장방향이 전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체는 제2 프레임(161)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제2 전륜부(170a, 170b)와,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전륜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후륜부(175a, 17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부는 상기 제2 전륜부와 상기 제2 후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이동체에 결합되는 적재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체는 전방부와 후방부 각각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운반대차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KR1020150130409A 2015-09-15 2015-09-15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KR101592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09A KR101592363B1 (ko) 2015-09-15 2015-09-15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09A KR101592363B1 (ko) 2015-09-15 2015-09-15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363B1 true KR101592363B1 (ko) 2016-02-05

Family

ID=5535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409A KR101592363B1 (ko) 2015-09-15 2015-09-15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3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687B1 (ko) 2017-09-29 2018-04-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KR102026616B1 (ko) * 2019-04-05 2019-09-30 (주)오즈코리아 이동식 사다리대차
KR20200009222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CN111058759A (zh) * 2019-11-15 2020-04-24 国家电投集团江西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火力发电站厂房的锅炉检修装置
KR102133833B1 (ko) 2019-03-13 2020-07-22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KR102215267B1 (ko) * 2019-10-29 2021-02-15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KR102341869B1 (ko) * 2021-06-11 2021-12-21 강희곤 운반대와 목표지점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사다리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6661A (ja) 2010-09-07 2012-03-22 Toyota Industries Corp 荷物移送用ロボットと該ロボット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6661A (ja) 2010-09-07 2012-03-22 Toyota Industries Corp 荷物移送用ロボットと該ロボットの制御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687B1 (ko) 2017-09-29 2018-04-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KR20200009222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KR102105866B1 (ko) * 2018-07-18 2020-05-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KR102133833B1 (ko) 2019-03-13 2020-07-22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KR102026616B1 (ko) * 2019-04-05 2019-09-30 (주)오즈코리아 이동식 사다리대차
KR102215267B1 (ko) * 2019-10-29 2021-02-15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CN111058759A (zh) * 2019-11-15 2020-04-24 国家电投集团江西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火力发电站厂房的锅炉检修装置
CN111058759B (zh) * 2019-11-15 2021-05-07 国能濮阳热电有限公司 一种适用于火力发电站厂房的锅炉检修装置
KR102341869B1 (ko) * 2021-06-11 2021-12-21 강희곤 운반대와 목표지점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사다리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363B1 (ko)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US4795303A (en) Vehicle transporting apparatus
US7871232B2 (en) Line feed system with indexing cart
US9381867B2 (en) Utility lift hauler configured to transport motorcycles, ATVs and the like
US3595409A (en) Side loader vehicles
US11014747B2 (en) Driverless transport device for assembling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unloading a motor vehicle from a transport vehicle of this type
CN106740397A (zh) 清障车的全滑落式平板
US20150375663A1 (en) Trailer apparatuses
KR20140094969A (ko) 철도 레일 하화장비
JP4974705B2 (ja) 車輌運搬車
WO2010004615A1 (ja) 車輌運搬車
JP2008207573A5 (ko)
US7044704B1 (en) Portable load lifting bed
CN102092333A (zh) 具有小角度的平板清障车
CN206297450U (zh) 清障车的全滑落式平板
KR20120011383A (ko)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EP2374664A1 (en) Rack for transport of bicycles and the like
CN201951328U (zh) 具有小角度的平板清障车
WO2017129959A1 (en) Loading system
KR102105866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KR100884392B1 (ko) 세이프로더의 피견인차량 탑재장치
CN203079210U (zh) 一种自移式皮带输送机机头
JP2012011875A (ja)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車及び自動車の積込み方法
KR20120011384A (ko) 견인차량용 차량 적재장치
CN105752884B (zh) 随车式可爬车搬运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