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769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769A
KR20160037769A KR1020150133726A KR20150133726A KR20160037769A KR 20160037769 A KR20160037769 A KR 20160037769A KR 1020150133726 A KR1020150133726 A KR 1020150133726A KR 20150133726 A KR20150133726 A KR 20150133726A KR 20160037769 A KR20160037769 A KR 2016003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hread
sewing
cut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쿠몬
타카히로 오가타
유키요 노모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 절단 후의 윗실 및 밑실의 잔여 단부를 짧게 하는 것이다.
바늘판(40A)의 상면을 따라 피(被)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이송 기구(60B)와, 재봉바늘(11)을 상하이동시키는 바늘 상하이동기구(30)와, 북 기구(50B)와, 바늘판(40A)과 북 기구(50B)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 절단 장치(80A)와, 절단 후의 윗실(U)의 재봉바늘쪽 부분(U1)을 상측으로 끌어내는 와이퍼 기구(90)와, 바늘판의 상면과 실 절단 장치의 사이에 배치된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와, 실 절단 장치의 실 절단 후에 밑실 및 윗실의 잔여 단부를 절제시키는 제어장치(120B)를 구비하며, 제어장치는, 실 절단 전에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를 가동 메스(81A)의 실 절단부의 이동 경로에 접근시켜, 잔여 단부 절제의 전에,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가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의 실 절제 위치에 근접하도록 피봉제물을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장치를 구비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북(釜, hook) 기구와의 협동에 의해, 윗실과 밑실의 실 매듭에 의한 바늘땀 형성을 행하는 재봉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재봉기는, 바늘판의 하측에서 밑실 및 윗실의 천쪽 부분과 윗실의 재봉바늘쪽 부분으로 골라내는 실 처리(thread handling)를 행하고 나서 소정의 재봉실의 절단을 행하는 실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 절단 장치로서는, 메스가 북의 주위를 회동(回動)하는 동작을 행하는 회동식과, 메스가 수평면을 따라 동작하는 수평식이 알려져 있다.
상기 수평식의 실 절단 장치는, 바늘 낙하 위치를 통과하도록 수평면을 따라 앞뒤로 왕복 회동 동작을 행하는 실 절단용 가동 메스와, 바늘 낙하 위치 근방에 설치된 실 절단용 고정 메스를 구비하며, 실 절단용 가동 메스는 왕동(往動) 회동시에 실을 골라내는 처리를 행하고, 복동(復動) 회동시에 실 절단용 고정 메스와 협동하여 밑실 및 윗실의 천쪽 부분의 절단을 행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029437호
그러나, 상기 재봉기의 실 절단 장치는, 바늘판의 하측에서 실 절단을 행하기 때문에, 절단 위치가 바늘 낙하 위치 근방이 되도록 실 절단용 고정 메스를 바늘판에 근접시켜 배치하여도, 실 절단 후의 천에는 잔여 단부(殘端, 남은 실)가 남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잔여 단부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절제(切除)해야 했다.
본 발명의 재봉기는, 윗실 및 밑실의 잔여 단부를 보다 짧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하의 (1)~(3) 중의 어느 특징을 구비한다.
(1)
재봉기로서,
재봉바늘이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늘판과,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피(被)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 동작을 행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상기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기 재봉바늘로부터 윗실을 포착(捕捉)하여 밑실을 얽는 북 기구와,
상기 바늘판과 상기 북 기구의 사이에 설치되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장치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윗실의 재봉바늘쪽 부분을 상기 피봉제물의 상측으로 끌어내는 와이퍼 기구
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바늘판의 상면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실 절단 장치보다 상방에 배치된 잔여 단부 절제 기구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한 후에, 상기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밑실 및 윗실의 잔여 단부를,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 절단 장치의 실 절단의 전에,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최종 바늘 또는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가 바늘구멍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기 실 절단 장치의 가동 메스의 실 절단부의 이동 경로에 접근하도록 상기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제 1 공이송(空送)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한 잔여 단부 절제의 전에,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최종 바늘 또는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가 바늘구멍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한 실 절제 위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제 2 공이송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재봉기로서,
재봉 바늘이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늘판과,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 동작을 행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상기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기 재봉바늘로부터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는 북 기구와,
상기 바늘판과 상기 북 기구의 사이에 설치되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장치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윗실의 재봉바늘쪽 부분을 상기 피봉제물의 상측으로 끌어내는 와이퍼 기구
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재봉기는 피봉제물에 단추의 재봉부착을 행하는 단추 달기 재봉기이며,
상기 바늘판의 상면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실 절단 장치보다 상방에 배치된 잔여 단부 절제 기구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한 후에, 상기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밑실 및 윗실의 잔여 단부를,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바늘판 및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북 기구보다 상방에 배치된, 상기 윗실의 봉제 개시의 단부(端部)를 유지하는 윗실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단추 재봉부착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후에 상기 끼움지지수단을 상기 해방 상태로부터 상기 끼움지지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단추 재봉부착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후에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실 절단을 행하며,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한 실 절단의 실행 후에, 상기 끼움지지수단을 상기 해방 상태로 전환하는 실 유지 제어를 행하고,
4개의 실 통과 구멍을 갖는 구멍이 4개인 단추를 건넘 실(jump thread)을 이용하여 재봉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끼움지지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끼움지지수단으로부터 보다 먼 곳에 위치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 중 어느 일방(一方)의 실 통과 구멍으로부터 봉제를 개시하는 봉제 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재봉기로서,
재봉바늘이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늘판과,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 동작을 행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상기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기 재봉바늘로부터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는 북 기구와,
상기 바늘판과 상기 북 기구의 사이에 설치되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장치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윗실의 재봉바늘쪽 부분을 상기 피봉제물의 상측으로 끌어내는 와이퍼 기구
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재봉기는 피봉제물에 단추의 재봉부착을 행하는 단추 달기 재봉기이며,
상기 바늘판의 상면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실 절단 장치보다 상방에 배치된 잔여 단부 절제 기구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한 후에, 상기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밑실 및 윗실의 잔여 단부를,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단추의 봉제를 개시하는 하나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하여 봉제 개시로부터 3바늘 이상의 바늘 낙하에 의해 백택(backtack)을 행하는 백택 제어와,
상기 백택에 이어서, 해당 백택을 행한 실 통과 구멍과는 다른 또 하나의 실 통과 구멍과 상기 백택을 행한 실 통과 구멍을 번갈아 왕복하는 복수 바늘의 바늘 낙하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백택의 최후의 바늘 낙하와 이것에 이어서 행해지는 2바늘의 바늘 낙하에 의한 3점의 바늘 낙하 위치를 정점(頂点)으로 하는 삼각형의 외형선상(外形線上) 및 그 내측 영역 중의 어느 곳에 상기 백택의 2바늘째의 바늘 낙하가 행해지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봉기는, 잔여 단부 절제 기구가, 바늘판의 상면보다 하방이면서 실 절단 장치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실 절단 장치에 의한 실 절단의 실행 후에 잔여 단부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밑실 및 윗실의 잔여 단부를 보다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1)의 특징을 구비하는 재봉기에서는, 제어장치가, 상기의 제 1 공이송 제어와 제 2 공이송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 절단 장치에 의한 윗실 또는 밑실의 절단 동작을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윗실 또는 밑실의 잔여 단부를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한 실 절제 위치로 끌어 모아 윗실 또는 밑실의 잔여 단부를 보다 짧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2)의 특징을 구비하는 재봉기에서는, 제어장치가, 실 유지 제어와 봉제 개시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 유지가 행해지는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를 밑실에 꿰매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절제 후의 윗실의 잔여 단부가 천의 하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봉제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 상기 (3)의 특징을 구비하는 재봉기에서는, 제어장치가, 백택 제어와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밑실의 실 매듭의 분해를 억제하며, 밑실의 봉제 개시 단부를 백택의 최후의 바늘 낙하를 포함하는 3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에 걸치는 밑실에 꿰매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절제 후의 밑실의 잔여 단부가 천의 하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봉제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재봉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추 달기 재봉기의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윗실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윗실 유지 장치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끼움지지수단, 구동 수단,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초기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A) 평면도 (B) 측면도이다.
도 6은 끼움지지수단의 「초기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끼움지지수단, 구동 수단,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중간 유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A) 평면도 (B) 측면도이다.
도 8은 끼움지지수단, 구동 수단,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대기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A) 평면도 (B) 측면도이다.
도 9는 끼움지지수단의 「대기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 절단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잔여 단부 절제 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는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한 잔여 단부 절제 전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B)는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한 잔여 단부 절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잔여 단부 절제 기구 및 흡인 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바늘판을 생략한 평면도로서 잔여 단부 절제 전이면서 흡인 개시 전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잔여 단부 절제 기구 및 흡인 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바늘판을 생략 한 평면도로서 잔여 단부 절제 전이면서 흡인 개시 후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잔여 단부 절제 기구 및 흡인 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바늘판을 생략 한 평면도로서 잔여 단부 절제 후이면서 흡인 개시 후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도 1의 단추 달기 재봉기의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의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도 17은 도 1의 단추 달기 재봉기의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이어지는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이어지는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이어지는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이어지는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2는 단추 달기 재봉기에 있어서의 바늘구멍, 실 절단 장치의 실 절단용 가동 메스 및 실 절단용 고정 메스의 위에서 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공이송 제어를 도입한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24(A)는 봉제 개시 제어를 도입한 제 1 봉제 패턴의 바늘운동(運針)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B)는 제 1 봉제 패턴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와 끼움지지수단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C)는 봉제 개시 제어를 도입하지 않은 제 1 봉제 패턴의 바늘운동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4(D)는 제 1 봉제 패턴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와 끼움지지수단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A)는 봉제 개시 제어를 도입한 제 2 봉제 패턴의 바늘운동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B)는 제 2 봉제 패턴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와 끼움지지수단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C)는 봉제 개시 제어를 도입하지 않은 제 2 봉제 패턴의 바늘운동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D)는 제 2 봉제 패턴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와 끼움지지수단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A)는 봉제 개시 제어를 도입한 제 3 봉제 패턴의 바늘운동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B)는 제 3 봉제 패턴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와 끼움지지수단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C)는 봉제 개시 제어를 도입하지 않은 제 3 봉제 패턴의 바늘운동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6(D)는 제 3 봉제 패턴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와 끼움지지수단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백택(backtack) 제어 및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를 도입한 봉제 패턴의 바늘운동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송 톱니를 사용하는 이송 기구 이외의 이동 기구를 탑재한 다른 형식의 재봉기로서는, 예컨대,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로서, X-Y 평면(혹은 R-θ 평면)에 임의로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재봉기(예컨대, 후술하는 단추 달기 재봉기, 전자 사이클 봉제 재봉기 등)를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추 달기 재봉기(10B)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도 2는, 단추 달기 재봉기(10B)의 제어계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추 달기 재봉기(10B)는, 재봉기 프레임(20), 바늘 상하이동기구(30), 바늘판(40A), 실 절단 장치(80A), 와이퍼 기구(90),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도 11~도 15 참조), 흡인 기구(110A)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단추 달기 재봉기(10B)는, 단추(B) 및 천(C)을 재봉바늘(11)에 대하여 X-Y 평면을 따라 임의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로서의 이송 기구(60B)와, 반(半)회전 북(semi-rotary hook)인 북 기구(50B)와, 윗실(U)의 봉제 개시 단부(端部, U0)를 유지하는 윗실 유지 장치(130)와, 전체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20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 장력조절 장치 및 실채기에 대해서는 종래의 재봉기에 탑재되어 있는 주지(主知)의 기구이므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재봉기 프레임]
재봉기 프레임(20)은, 하부에 위치하는 재봉기 베드부(21)와, 재봉기 베드부(21)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한 재봉기 기립 몸체부(22)와, 재봉기 기립 몸체부(22)의 상부로부터 재봉기 베드부(21)를 따르도록 연장 설치된 재봉기 아암부(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재봉기(1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늘대(12)의 상하이동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재봉기 베드부(21) 및 재봉기 아암부(23)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재봉기(10)를 수평면상에 설치한 경우에, Z축 방향은 연직(鉛直) 상하 방향이 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 된다.
재봉기 아암부(23)의 내측에서는, 그 길이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게 향하는 주축(3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바늘 상하이동기구]
바늘 상하이동기구(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기 기립 몸체부(22)의 상부에 설치된 서보 모터로 이루어지는 재봉기 모터(31)와, 상기 재봉기 모터(31)의 출력축에 접속되어 회전을 행하는 주축(32)과, 해당 주축(32)의 재봉기 면부(面部)측의 단부(端部)에 고정 장비된 바늘대 크랭크(34)와, 바늘대 크랭크(34)에 있어서 주축(32)에 의한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偏心)된 위치에 일단부가 연결된 크랭크 로드(crank rod, 35)와, 바늘대 홀더(36)를 통해 크랭크 로드(35)의 타단부에 연결된 바늘대(12)를 구비하고 있다.
바늘대(12)는, 그 하단부에 재봉바늘(11)을 유지하는 동시에, Z축 방향을 따른 왕복 상하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재봉기 아암부(23)에 지지되어 있다.
재봉기 모터(31)는 서보 모터이며, 인코더(37)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제어장치(120)가 인코더(37)로부터 재봉기 모터(31)의 회전 속도, 주축 각도 등의 검출을 행하여, 재봉기 모터(31)에 대한 동작 제어를 실시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늘대 크랭크(34), 크랭크 로드(35), 바늘대 홀더(36) 등의 구성은, 주지의 것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 기구]
이송 기구(60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인 바늘판(40A)의 상면을 따라 단추(B) 및 천(C)을 이동시켜, 재봉바늘(11)에 대하여 임의로 이동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를 위해, 이송 기구(60B)는, 재봉기 베드부(21)의 상면에 있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하판(61B) 및 토대(土臺, 62B)와, 토대(62B)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단추(B)의 유지를 행하는 단추 홀딩 풋(button holding foot, 63B)과, 토대(62B)를 통해 단추 홀딩 풋(63B)을 하판(61B)의 상면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67B)과, 가압 스프링(67B)에 대항하여 단추 홀딩 풋(63B)을 상승시키는 승강용 모터(64B)와, 하판(61B) 및 토대(62B)를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되는 X축 모터(65B)와, 하판(61B) 및 토대(62B)를 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되는 Y축 모터(66B)를 구비하고 있다.
하판(61B)은 X-Y 평면을 따라 설치된 길이가 긴(長尺) 평판으로서, 그 일단부는 바늘판(40A)의 상면에 재치(載置)된 상태로 되어 있다.
토대(62B)는 하판(61B)의 상면 후단(後端) 측에 있어서 X축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해당 회동에 의해 토대(62B)의 전단(前端) 측에 설치된 단추 홀딩 풋(63B)을 승강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하판(61B)의 전단부의 상측에 단추 홀딩 풋(63B)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추 홀딩 풋(63B)은, 단추(B)를 끼움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클로(claw)를 구비하며,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단추(B)의 끼움지지압력이 부여되고 있다. 즉, 스프링에 대항하여 한 쌍의 클로를 X축 방향을 따라 확대 개방(擴開)함으로써 단추(B)를 사이에 끼워 끼움지지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 홀딩 풋(63B)은 가압 스프링(67B)에 의해 하판(61B)의 상면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가압하도록 가압력이 부여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하판(61B)의 일단부의 상면에 천(C)을 재치함으로써 단추 홀딩 풋(63B)이 단추(B)와 함께 천(C)의 유지를 행한다.
또, 단추 홀딩 풋(63B)은, 복수의 링크체를 통해 승강용 모터(64B)로부터 상방으로의 가압력이 부여되어 상승하여, 천(C)의 유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X축 모터(65B) 및 Y축 모터(66B)는, 예컨대, 단추(B)가 구멍이 4개인 단추인 경우에, 4개의 구멍이 정해진 순서대로 재봉바늘(11)의 하방에 위치결정되도록 하판(61B) 및 토대(62B)를 바늘대(12)의 상하이동에 동기(同期)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X축 모터(65B) 및 Y축 모터(66B)의 동작은, 제어장치(120B)에 의해 제어된다.
또, 최후의 1바늘은 직전(直前)의 1바늘과 거의 같은 위치에서 바늘 낙하가 행해져, 윗실(U) 및 밑실(D)의 잔여 단부가 다른 위치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어,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와이퍼 기구]
와이퍼 기구(90)는, 주지의 것과 동일하며, 그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와이퍼 기구(90)는, 재봉기 아암부(23)의 선단 하부에 있어서 바늘대(12)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X축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와이퍼(91)와, 해당 와이퍼(91)에 대해 회동 동작을 부여하는 와이퍼 솔레노이드(9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와이퍼(91)는, 그 하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에 의해 하단부가 상(上) 정지 위치에 있는 재봉바늘(11)의 하방을 횡(橫)으로 베듯이 통과하도록 장비되어 있다. 이로써, 실 절단 장치(80A)에 의해 바늘판(40)의 하측에서 절단된 윗실(U)의 재봉바늘쪽 부분(U1)을 피봉제물의 위로 뽑아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북 기구]
상기 북 기구(5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회전 북이며, 도시되지 않은 바깥북(外釜)과, 칼끝(54B)을 구비하는 안북(中釜, 53B)(도 5 및 도 7 참조)과, 안북(53B)에 왕복 회동 동작을 전달하는 도시되지 않은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의 왕복 회동 동작은 재봉기 모터(31)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으며, 주축(32)과 드라이버에 왕복 회동 동작을 전달하는 드라이버 축(51B)의 사이에는 캠 크랭크(cam crank) 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달 기구(52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주축(32)은 전(全)회전을 행하며, 주축(32)에 고정 장비된 편심 캠을 그 일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와, 드라이버 축(51B)을 중심으로 하여 그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회동 아암을 구비하고(모두 도시 생략), 커넥팅 로드의 타단부가 회동 아암의 회동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커넥팅 로드의 일단부가 편심 캠에 의해 주회(周回) 운동을 행하면, 타단부의 회동 아암에는 왕복 회동 동작이 발생하여, 드라이버 축(51B)을 통해 드라이버에 왕복 회동 동작이 부여된다.
[윗실 유지 장치]
윗실 유지 장치(130)는, 도 3~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의 단부를 유지면과 끼움지지면의 사이에서 끼움지지(유지)하는 유지 상태와, 끼움지지(유지)한 윗실의 단부를 개방하는 해방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끼움지지수단(A)과, 끼움지지수단(A)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유지 상태와 해방 상태를 전환하는 구동 수단(B)과, 구동 수단(B)의 동작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끼움지지수단(A)은, 유지면(1316)을 갖는 유지 부재로서의 하판(131)과, 유지면(1316)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끼움지지면(1325)을 구비하는 상판(144)을 구비하고 있다.
하판(13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긴 대략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구동 수단(B)에 지지된 상태로 그 길이방향이 Y축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하판(131)의 전단부(1311)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구멍(1312)이 하판(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관통구멍(1312)의 사각형에 상당하는 4개의 내주면 중, 가장 선단측이 되는 내면이 유지면(1316)이 된다. 이러한 유지면(1316)은, 하판(131)이 구동 수단(B)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X-Z 평면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판(131)의 후단측에는 하판(131)의 길이방향을 따른 슬릿(slit) 형상의 구멍부(13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판(131)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전방 핀(1314)과, 전방 핀(1314)의 약간 좌측 후방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좌측 핀(131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지면(1316)은, 끼움지지면(1325)과의 사이에 윗실(U)을 끼워넣기 위한 유지면으로서 기능한다.
상판(144)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지지면(1325)을 갖는 선단 부재(132)와, 전단부(1331)에 선단 부재(132)를 연결하여 유지하는 상판 본체(1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단 부재(132)는, 선단 부재 본체(1321)의 전단측에 있어서 도 3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끼움지지부(1322)와, 끼움지지부(1322)의 하단으로부터 도 3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323)를 가지고 있으며, 선단 부재 본체(1321)의 후단측에는 연결구멍(1324)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지지부(1322)의 앞쪽의 면은, 유지면(1316)과의 사이에 윗실(U)을 끼워넣기 위한 끼움지지면(1325)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끼움지지면(1325)은, 선단 부재(132(상판(144))가 구동 수단(B)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X-Z 평면에 평행하게 된다.
상판 본체(133)는, 하판(131)보다 약간 짧은 대략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상판 본체(133)의 전단부(1331)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연결 돌기(133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판(144)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후방 핀(1333)과, 후방 핀(1333)의 약간 우측 전방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우측 핀(133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 부재(132)의 연결구멍(1324)과, 상판 본체(133)의 연결 돌기(1332)를 끼움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선단 부재(132)와 상판 본체(133)가 일체로 조립 부착되어, 상판(144)이 된다.
끼움지지수단(A)에 있어서, 상판(144)에 있어서의 선단 부재(132)의 끼움지지부(1322) 및 돌기부(1323)가, 하판(131)의 관통구멍(1312)에 삽입통과되는 동시에, 상판(144)의 후방 핀(1333)이 하판의 구멍부(1313)에 삽입통과되도록, 상판(144)과 하판(131)은 포개져, 상판(144)과 하판(131)은 그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판(131)의 전방 핀(1314)과, 상판(144)의 후방 핀(1333)은, 후술하는 가이드(137)의 중공부(中空部, 1372)에 삽입통과되어, 그 가이드(137)의 하방에서, 코일 스프링(139)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39)이 가장 줄어든 상태에 있어서, 하판(131)의 전방 핀(1314)과 상판(144)의 후방 핀(1333)은 가장 접근하는 동시에, 하판(131)의 좌측 핀(1315)과, 상판(144)의 우측 핀(1334)도 가장 접근한다. 즉,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좌측 핀(1315)과 우측 핀(1334)은, 하판(131(상판(144))을 사이에 끼우고, 하판(131(상판(144))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39)은 인장(引張) 스프링으로서, 항상(常時) 전방 핀(1314)과 후방 핀(1333)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세(付勢, bias)하고 있으며, 이로써 하판(131)의 유지면(1316)과, 상판(144)의 끼움지지면(1325)은 외력(外力)을 가하지 않는 한, 항상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
구동 수단(B)은, 윗실 유지 장치(130)의 구동원이며, 끼움지지수단(A)의 상태 전환을 행하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유지용 모터(134)와, 유지용 모터(134)의 회동축(1341)에 고정 장비된 요동 링크(140)와, 요동 링크(140)의 요동 단부(1402)에 그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후술하는 캠판 링크(136)를 통해 끼움지지수단(A)에 접속되는 연결 부재(135)와, 캠판 링크(136)에 접속되는 끼움지지수단(A)을 유지하는 동시에, 그 이동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137)와, 가이드(137)에 유지되는 끼움지지수단(A)을 덮는 가이드 덮개(138)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용 모터(134)는, 제어장치(120B)의 동작 지령 신호에 따라, 소정 각도씩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로서, 인코더(37)가 출력한 주축(32)의 각도에 근거하는 펄스 신호에 따라 규정된 주축 각도로 끼움지지수단(A)을 구동한다.
연결 부재(135)는, 도면 중 Y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그 일단부에는 구멍부(1351)가 형성되어 있고, 또 타단부에는 구멍부(1352)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35)는, 요동 링크(140)의 요동 단부(1402)에 있어서의 Y방향 변위(變位)를 캠판 링크(136)를 통해 끼움지지수단(A)에 전달한다.
캠판 링크(136)는, 하판(131(상판(144))에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그 길이방향을 도면 중 X축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된다. 캠판 링크(136)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캠판 핀(136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캠판 링크(136)는 캠판 핀(136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다. 또, 캠판 링크(136)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좌측 구멍부(1362), 타단부에 우측 구멍부(1363)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구멍부(1362), 우측 구멍부(1363)에는 각각 하판(131)의 좌측 핀(1315)과, 상판(144)의 우측 핀(1334)이 연결되어 있다. 또, 캠판 링크(136)의 좌단부(左端部)에는, 후술하는 롤러(142)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약간 만곡된 캠 형상부(1364)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137)는, 재봉기 베드부(21)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137)는, 그 중앙부에 소정 폭을 갖는 홈부(1371)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또한 홈부(1371)에는, 중공부(1372)가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137)의 홈부(1371)의 좌우 양측에는, 슬릿형상의 좌측 구멍부(1373) 및 우측 구멍부(1374)가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좌측 구멍부(1373) 및 우측 구멍부(1374)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좌측 구멍부(1373) 및 우측 구멍부(1374)는 서로 전후방향에 있어서 약간 어긋난 위치 관계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좌측 구멍부(1373)는 앞쪽에, 우측 구멍부(1374)는 뒤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137)의 좌측 가장자리의 하부에는, 나사(1375)에 의해, 롤러(14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홈부(1371)의 폭은, 하판(131) 및 상판(144)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가이드 덮개(138)는, 대략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4개의 나사(1381)에 의해 앞쪽 및 뒤쪽의 각각 2개소(箇所)의 위치에서 가이드(137)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상술한 하판(131) 및 상판(144)은, 가이드(137) 및 가이드 덮개(138)와의 사이에 끼워져, 가이드(137)의 홈부(1371)로 안내되어, 하판(131) 및 상판(144)의 덜거덕거림(rattle)을 방지한다.
구동 수단(B)에 있어서, 유지용 모터(134)의 회동축(1341)에는, 요동 링크(140)의 일단부인 축부(140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135)의 일단부에 형성된 구멍부(1351)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도록 삽입통과된 단붙이 나사(stage screw, 141)에 의해 요동 링크(140)의 요동 단부(端部)(1402)에 연결 부재(135)는 연결되어 있다. 또, 연결 부재(135)의 타단부에 형성된 구멍부(1352)에는, 캠판 링크(136)가 캠판 핀(1361)에 의해 축지지된 상태로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지용 모터(134)의 회동축(1341)의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의 회동에 수반하는 요동 링크(140)의 요동에 의해, 연결 부재(135)는 Y축 방향을 따라 앞뒤로 이동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135)의 전후 이동의 동력은, 캠판 링크(136)에 전달된다.
또, 가이드(137)의 좌측 구멍부(1373)와 우측 구멍부(1374)에는, 각각 하판(131)의 좌측 핀(1315)과, 상판(144)의 우측 핀(1334)이 삽입통과되어 있으며, 좌측 핀(1315)과 우측 핀(1334)은 각각 캠판 링크(136)의 좌측 구멍부(1362)와 우측 구멍부(1363)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스토퍼(143, 143)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용 모터(134)의 회동축(1341)의 회동에 수반하는 구동력은, 캠판 링크(136)를 통해 좌측 핀(1315)과 우측 핀(1334)에 전달된다. 그리고, 좌측 핀(1315)과 우측 핀(1334)은 각각 좌측 구멍부(1373)와 우측 구멍부(1374)에 의해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동력은, 하판(131)과 상판(144(끼움지지수단(A))을 앞뒤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달된다.
검출 수단(C)은, 연결 부재(135)에 고정된 슬릿(slit)판(150)과, 재봉기 베드부(21)의 내측에 고정되며, 연결 부재(135)와 함께 이동하는 슬릿판(150)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 1 센서(151)와 제 2 센서(152)를 구비하고 있다.
슬릿판(150)은, 연결 부재(135)에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 부재(135)와 함께 앞뒤로 이동하는 부재이다. 슬릿판(150)은, 제 1 센서(151)에 대응된 위치에서 출입하며, 제 1 센서(151)에 의해 그 유무가 검출되는 제 1 피검출부(1501)와, 제 2 센서(152)에 대응된 위치에서 출입하며, 제 2 센서(152)에 의해 그 유무가 검출되는 제 2 피검출부(150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센서(151) 및 제 2 센서(152)는, 각각 발광(發光)소자(1511, 1521)와 수광(受光)소자(1512, 1522)를 구비하며, 예컨대, 발광소자로서는 LED, 수광소자로서는 포토 센서가 사용된다. 이하, 발광소자가 출력하는 발광 광을 수광소자가 수광하는 경우를 오프 상태, 발광소자가 출력하는 발광 광을 수광소자가 수광하지 않는 경우를 온 상태로 정의하고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릿판(150)의 전후 이동에 수반하여, 제 1 피검출부(1501)가 제 1 센서(151)의 발광 광을 차폐할 때, 제 1 센서(151)는 제 1 피검출부(1501)를 검출하여 온 상태가 되며, 차폐하지 않을 때 제 1 센서(151)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1 센서(151)는, 그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제어장치(120B)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피검출부(1502)가 제 2 센서(152)의 발광 광을 차폐할 때, 제 2 센서(152)는 제 2 피검출부(1502)를 검출하여 온 상태가 되며, 차폐하지 않을 때 제 2 센서(152)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2 센서(152)는, 그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제어장치(120B)에 출력한다.
또한, 도 5, 도 7, 도 8에 있어서는, 발광소자가 출력한 발광 광이 수광소자를 향하는 광로(光路, 155)를 (A) 평면도에서는 점선으로, (B) 측면도에서는 점(dot)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검출 수단(C)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조합에 의한 위치 검출 외에, 유지용 모터(134)에 인코더를 설치하여, 인코더의 각도 검출에 의해 위치 검출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윗실 유지 장치(13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봉제 개시 전부터 봉제 개시 직후에 걸친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장치(120B)로부터의 초기 위치 신호에 근거하여, 유지용 모터(134)는 회동축(1341)을 도면 중 반(反)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회동축(1341)의 회동에 수반하여, 요동 링크(140)는, 축부(1401)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요동한다(도 5(A) 중 화살표 L0 참조). 또, 연결 부재(135)는, 요동 링크(140)의 요동에 수반하여, 앞쪽으로 이동(전방 이동)한다(도 5(A) 중 화살표 M0 참조).
캠판 링크(136)는, 연결 부재(135)의 전방 이동에 수반하여 전체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한다.
상판(144)의 우측 핀(1334)은, 캠판 링크(136)의 전방 이동에 수반하여, 가이드(137)의 우측 구멍부(1374)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여 우측 구멍부(1374)의 전방 벽에 부딪혀(맞닿아), 우측 핀(1334)의 전방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우측 핀(1334)과 일체인 상판(144)도 앞쪽으로 이동하여, 상판(144)은 최전방(最前方) 위치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하판(131)의 좌측 핀(1315)은, 캠판 링크(136)의 전방 이동에 수반하여, 가이드(137)의 좌측 구멍부(1373)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가이드(137)의 좌측 구멍부(1373)와 우측 구멍부(1374)에서는, 상대적으로 좌측 구멍부(1373)쪽이 우측 구멍부(1374)보다 약간 전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144)의 우측 핀(1334)이 우측 구멍부(1374)의 전방 벽에 부딪힌(맞닿은 상태) 후에도, 하판(131)의 좌측 핀(1315)은, 상판(144)의 우측 핀(1334)을 지점으로 하도록 가이드(137)의 좌측 구멍부(1373)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좌측 핀(1315)의 전방 이동, 즉 하판(131)의 전방 이동은, 하판(131)의 관통구멍(1312)이 바늘판(40A)의 바늘구멍(431A)의 수직 하방(直下)의 소정의 최전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며, 소정의 최전방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장치(120B)가 유지용 모터(134)를 정지시킴으로써 정지한다.
하판(131) 및 상판(144)이 최전방 위치에 위치할 때, 하판(131)의 전방 핀(1314)과 상판(144)의 후방 핀(1333)은, 서로 코일 스프링(139)의 가세력(付勢力)에 대항하여 Y축 방향에 대해 이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코일 스프링(139)의 가세력에 의해 하판(131)의 전방 핀(1314)과 상판(144)의 후방 핀(1333)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세되고 있지만, 코일 스프링(139)의 가세력보다 유지용 모터(134)의 구동력 쪽이 크기 때문에, 하판(131)은, 코일 스프링(139)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최전방 위치에 위치할 수가 있다.
또, 하판(131) 및 상판(144)이 최전방 위치에 위치할 때, 하판(131)의 관통구멍(1312)에 있어서의 유지면(1316)과, 상판(144)의 전단부(1331)에 부착된 선단 부재(132)의 끼움지지면(1325) 및 돌기부(1323)의 전단은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 관통구멍(1312)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관통구멍(1312)과 바늘판(40A)의 바늘구멍(431A)이 상하로 포개진 상태로 되어 있어, 봉제 개시 후의 제 1 바늘째의 재봉바늘(11)이 이들 관통구멍(1312) 및 바늘판(40A)의 바늘구멍(431A)을 관통하여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끼움지지수단(A)이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는 위치를, 이하의 설명에서는 「초기 위치」라고 한다. 이러한 초기 위치에 있어서, 끼움지지수단(A)은 윗실을 유지하지 않거나 또는 끼움지지하지 않는 「해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초기 위치」에 있어서, 검출 수단(C)의 제 1 센서(151)와 제 2 센서(152)는, 각각 오프 상태이다.
그리고, 끼움지지수단(A)이 「초기 위치」에 위치하면, 윗실(U)의 봉제 개시측의 단부(U0)가 삽입통과되어 있는 제 1 바늘째의 재봉바늘(11)이, 바늘구멍(431A) 및 관통구멍(1312)을 관통하도록 상하이동한다. 또한, 윗실(U)의 단부(U0)는, 재봉바늘(11)이 하강했을 때 북 기구(50B)의 안북(53B)의 칼끝(54B)에 의해 하방으로 끌려나오며, 그 후, 재봉바늘(11)이 상승했을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1312)에 윗실(U)의 단부(U0)가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아래로 늘어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봉제 개시 후(제 1 바늘째의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 후)에 있어서의 윗실 유지 장치(13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장치(120B)로부터의 중간 유지 위치 신호에 근거하여, 유지용 모터(134)는 회동축(1341)을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회동축(1341)의 회동에 수반하여, 요동 링크(140)는, 축부(1401)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도 7(A) 중 화살표 L1 참조). 또, 연결 부재(135)는, 요동 링크(140)의 요동에 수반하여, 뒤쪽으로 이동(후방 이동)한다(도 7(A) 중 화살표 M1 참조).
캠판 링크(136)는, 연결 부재(135)의 후방 이동에 수반하여 전체적으로 뒤쪽으로 이동한다.
캠판 링크(136)가 후방 이동을 시작하면, 우선, 코일 스프링(139)의 가세력에 의해, 상판(144)의 후방 핀(1333)이 하판(131)의 전방 핀(1314)의 방향으로 당겨지고 있기 때문에, 상판(144)의 우측 핀(1334)이 가이드(137)의 우측 구멍부(1374)의 전방 벽과 맞닿은 채인 상태에서, 하판(131)만이 후방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하판(131)이 소정량의 이동을 행하고 정지하면, 하판(131)의 유지면(1316)이 상판(144)의 돌기부(1323)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관통구멍(1312)이 폐쇄된 「중간 유지 위치」가 된다.
또한, 상기 「중간 유지 위치」는, 하판(131)만이 뒤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로서, 캠판 링크(136)의 캠판 핀(1361)과, 상판(144)의 우측 핀(1334)과, 하판(131)의 좌측 핀(1315)이, 끼움지지수단(A(하판(131), 상판(144))의 길이방향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때까지의 동안의 배치인 것이다. 그동안, 유지용 모터(134)가 「중간 유지 위치」에 대응된 소정의 각도의 회동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유지 위치」에 있어서, 검출 수단(C)의 제 1 센서(151)는, 온 상태이다. 또, 제 2 센서(152)는, 오프 상태이다.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중간 유지 위치」로의 하판(131)의 이동은, 실채기의 상승이 개시될 때까지 완료되며, 상기 「중간 유지 위치」에 있어서는, 하판(131)의 유지면(1316)과 상판(144)의 끼움지지면(1325)은 맞닿아 있지 않아, 윗실을 끼움지지하지 않고 있거나 또는 유지하지 않고 있다. 이 상태에 의해, 실채기가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윗실(U)을 굴곡시켜, 그 윗실(U)의 끌어올림에 대한 저항을 부여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중간 유지 위치」 후, 끼움지지수단(A)이 윗실(U)을 끼움지지, 유지하기 전후의 윗실 유지 장치(13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중간 유지 위치」로부터 유지용 모터(134)는 도면 중 시계방향의 회동을 행하여 요동 링크(140)를 요동하고, 그 요동 링크(140)의 요동에 수반하는 연결 부재(135)의 후방 이동에 의해, 캠판 핀(1361)과, 우측 핀(1334)과, 좌측 핀(1315)이, 끼움지지수단(A)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139)의 가세력에 의해 하판(131)의 전방 핀(1314)과 상판(144)의 후방 핀(1333)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가장 가까워지도록 가세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판(131)의 유지면(1316)과 상판(144)의 끼움지지면(1325)이 맞닿아(실제로는 윗실(U)이 사이에 존재(介在)하므로 완전히 접촉하지 않고 맞닿음에 가까운 상태가 됨),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A)이 윗실(U)을 끼움지지하는 「윗실 끼움지지 위치」가 된다. 이 윗실 끼움지지 위치에 있어서 끼움지지수단(A)은 「끼움지지 상태」가 된다.
「윗실 끼움지지 위치」가 된 후, 제어장치(120B)로부터의 퇴피(退避) 위치 신호에 근거하여, 유지용 모터(134)는 회동축(1341)을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계속해서 회동한다. 회동축(1341)의 회동에 수반하여, 요동 링크(140)는, 축부(1401)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도 8(A) 중 화살표 L2 참조). 또, 연결 부재(135)는, 요동 링크(140)의 요동에 수반하여, 뒤쪽으로 이동(후방 이동)한다(도 8(A) 중 화살표 M2 참조).
캠판 링크(136)는, 연결 부재(135)의 후방 이동에 수반하여 전체적으로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끼움지지면(1325)과 유지면(1316)이 맞닿음 상태가 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39)이 가세하는 상판(144)과 하판(131)의 상호 근접 방향으로의 이동은 더 이상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캠판 링크(136)의 후방 이동에 의해, 하판(131), 상판(144) 모두 동량(同量)씩 뒤쪽으로 이동한다. 즉, 끼움지지수단(A)은 끼움지지 상태가 되어 윗실(U)을 끼움지지하면서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끼움지지수단(A)은, 윗실(U)의 끼움지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윗실 끼움지지 위치」보다 약간 뒤쪽으로 이동한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퇴피 위치」는, 바늘판(40A)의 바늘구멍(431A)의 후방측이며, 바늘구멍(431A)으로부터 끼움지지수단(A)에 걸친 윗실(U)의 단부(U0)가 실 절단 장치(80A)가 실 절단을 행할 때에 왕복 회동 동작을 행하는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검출 수단(C)의 제 1 센서(151)와 제 2 센서(152)는, 모두 온 상태이다.
그리고, 끼움지지수단(A)이, 상기 「퇴피 위치」로 퇴피한 상태에 있어서, 최종 바늘까지 봉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윗실 유지 장치(130)는, 초기 위치와 대기 위치의 사이에서 끼움지지수단(A)의 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의 끼움지지 상태와 해방 상태를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 절단 장치]
도 10에 실 절단 장치(80A)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실 절단 장치(80A)는, Z축 둘레로 회동을 행하는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와,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와 협동하여 윗실(U) 및 밑실(D)을 절단하는 실 절단용 고정 메스(82A)와, 재봉기 모터(31) 혹은 다른 액추에이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에 왕복 회동을 전달하는 복수의 링크체(83A~85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에 의해 실 절단 동작을 행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재봉기 모터(31)와는 독립된 실 절단 모터(86A)(도 2 참조)를 갖는 경우를 예시한다.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는, 회동에 의해 바늘구멍(441A)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일방(一方)의 측가장자리부(側緣部)에는, 윗실(U)의 루프(loop)의 재봉바늘쪽 부분(U1)과 피봉제물쪽 부분(U2) 및 밑실(D)로 골라내는 실 처리부(811A) 및 눈구멍(目孔) 칼날부(812A)를 구비하며, 타방(他方)의 측가장자리부는 윗실(U)의 피봉제물쪽 부분(U2) 및 밑실(D)을 포착하여 실 절단용 고정 메스(82A)까지 옮기는 포착부(813A)로 되어 있다.
또, 실 절단용 고정 메스(82A)는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회동 범위에 장비되며, 그 일방의 측가장자리부에 칼날부(8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에 대하여 구동원으로부터 왕복 회동이 부여되면, 왕로(往路)의 회동으로 바늘구멍(441A)의 하방을 통과할 때에, 실 처리부(811A)에 의해, 윗실(U)의 루프의 재봉바늘쪽 부분(U1)을 회동 반경 내측으로, 피봉제물쪽 부분(U2) 및 밑실(D)을 회동 반경의 외측으로 골라낸다.
그리고,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복로(復路)의 회동 시에는, 회동 반경의 외측으로 골라내어진 피봉제물쪽 부분(U2) 및 밑실(D)이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타방의 측가장자리부쪽으로 돌아 들어가며,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와 실 절단용 고정 메스(82A)의 칼날부(821A)에 끼워져 절단되게 되어 있다.
또, 실 절단 장치(80A)와 같이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가 수평면 내에서 회동을 행하는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수평면 내에서 왕복의 직동(直動)을 행하는 실 절단용 가동 메스를 구비하는 실 절단 장치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잔여 단부 절제 기구 및 흡인 기구]
도 11~도 15에 의해 잔여 단부 절제 기구 및 흡인 기구를 설명한다.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는, 바늘판(40A)의 상층이 되는 상판(41A)과 하층이 되는 하판(42A)의 사이에 내장된 절제용 메스로서의 절제용 고정 메스(101A) 및 절제용 가동 메스(102A)와, 절제용 가동 메스(102A)를 작동시키는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와, 해당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의 플런저에 연결된 메스 작동 부재(104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늘판(40A)의 상판(41A) 및 하판(42A)은, 모두 직접 바늘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바늘 낙하 위치에는 바늘구멍보다 큰 개구(411A, 4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41A)의 바늘 낙하 위치의 개구(411A)에는, 바늘구멍(431A)이 형성된 바늘구멍 형성판(43A)이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 장비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하판(42A)의 바늘 낙하 위치의 개구(421A)에는, 바늘구멍(441A)이 형성된 바늘구멍 가이드(44A)(도 10 참조)가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 장비되어 있다.
절제용 고정 메스(101A)는, 상판(41A)의 개구(411A)에 부착되어 있고, 바늘구멍(431A)과 겹치는 위치에 재봉바늘을 삽입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해당 관통구멍의 Y축 방향 일단측의 내측 가장자리부에는 칼날부(101Aa)가 형성되어 있다.
절제용 가동 메스(102A)는 하판(42A)의 오목부(422A) 내에서, 그 길이방향을 X축 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절제용 가동 메스(102A)는, 상판(41A)의 하면에 대하여 단붙이 나사(105A)에 의해 Z축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일단부의 상면은 절제용 고정 메스(101A)의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해당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일단부에는, 바늘구멍(431A)과 겹치는 위치에 재봉바늘을 삽입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해당 관통구멍의 Y축 방향 타단측의 내측 가장자리부에는 칼날부(102Aa)가 형성되어 있다.
하판(42A)의 오목부(422A) 내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구멍(4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관통구멍(423A)의 하측에는 메스 작동 부재(104A)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메스 작동 부재(104A)는 그 상면에 보스(boss, 104Aa)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보스(104Aa)는 관통구멍(423A)을 지나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긴 구멍(長穴, 102Ab)에 삽입되어 있다.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는, 하판(42A)의 하면측에 있어서, 그 플런저의 진퇴 방향을 Y축 방향을 따르게 한 상태로 고정 장비되어 있으며, 해당 플런저에는 메스 작동 부재(104A)가 장비되어 있다. 이로써,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는, 메스 작동 부재(104A)를 통해, 절제용 가동 메스(102A)를 회동하게 하여, 칼날부(102Aa)가 형성된 단부(端部)를 Y축 방향을 따라 왕동(往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는 통상시에는 그 플런저가 전진한 상태이며,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구멍(431A)을 통과하는 윗실(U) 및 밑실(D)을 사이에 끼우고 절제용 고정 메스(101A)의 칼날부(101Aa)와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칼날부(102Aa)가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의 플런저를 후퇴 이동시키면, 도 12(B)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제용 가동 메스(102A)가 절제용 고정 메스(101A)의 칼날부(101Aa)측을 향해 전진하여, 서로의 칼날부(101Aa, 102Aa)에 의해 윗실(U) 및 밑실(D)을 절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흡인 기구(110A)는,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기 베드부(21)내에 있어서, 바늘판(40A)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흡인 기구(110A)는, 흡인 노즐(111A)과, 흡인 노즐(111A)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112A)을 소정 방향으로 왕복 회동 이동시키는 노즐 구동 수단으로서의 노즐 이동용 에어 실린더(113A)를 구비하고 있다.
흡인 노즐(111A)은, 그 일단부가 개구되어 흡인구(吸引口)로 되어 있으며, 그 타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집진(集塵) 트랩(trap)을 통해 음압(負壓) 발생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인 노즐(111A)은 흡인구측이 높아지도록 지지 아암(112A)에 경사져 지지되어 있다.
또, 도시되지 않은 흡인용 전자 밸브에 의해 흡인의 개시와 정지를 전환할 수 있는 점은 상술한 흡인 기구(110)와 동일하다.
지지 아암(112A)은 그 일단부로 흡인 노즐(111A)을 지지하고, 타단부는 너클(knuckle, 115A)을 통해 노즐 이동용 에어 실린더(113A)의 플런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 아암(112A)은 바늘판(40A)의 하판(42A)의 하면 또는 재봉기의 프레임에 의해 Z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회동에 의해, 흡인 노즐(111A)의 흡인구를 바늘구멍(431A)으로부터 이격된 퇴피 위치(도 13의 위치)와, 흡인 노즐(111A)의 흡인구를 바늘구멍(431A)의 수직 하방 위치 근방(도 14 및 도 15의 위치)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너클(115A)과 지지 아암(112A)의 타단부는, 해당 지지 아암(112A)의 타단부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긴 구멍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 및 흡인 기구(110A)는, 상술한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 및 흡인 기구(110)와 같은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실 절단 장치로 윗실(U) 및 밑실(D)을 절단한 후, 와이퍼 기구(90)에 의해 윗실(U)의 재봉바늘쪽 부분(U1)을 피봉제물로부터 뽑아내고, 그 후, 흡인을 행하면서 흡인 노즐(111A)을 퇴피 위치(도 13 상태)로부터 바늘구멍 수직 하방 위치 근방까지 회동시킨다(도 14 상태). 그리고, 흡인 노즐(111A)에 의해 윗실(U) 및 밑실(D)의 잔여 단부를 하방으로 잡아늘인 상태에서,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의 절제용 가동 메스(102A)를 회동시켜, 윗실(U) 및 밑실(D)의 잔여 단부의 절제를 행한다(도 15 상태). 절제된 윗실(U) 및 밑실(D)의 잔여 단부는, 흡인 노즐(111A)에 의해 포집한다.
[재봉기의 제어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120B)는, CPU(121), ROM(122), RAM(123), EEPROM(12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20B)에는, 시스템 버스(bus) 및 구동 회로 등을 통해, 바늘 상하이동기구(30)의 재봉기 모터(31) 및 인코더(37), 이송 기구(60B)의 X축 모터(65B), Y축 모터(66B), 승강용 모터(64B), 실 절단 장치(80A)의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회동 동작을 행하는 실 절단 모터(86A),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의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 와이퍼 기구(90)의 와이퍼 솔레노이드(92), 흡인 기구(110A)의 흡인용 전자 밸브(114A) 및 노즐 이동용 에어 실린더(113A), 윗실 유지 장치(130)의 유지용 모터(134), 제 1 센서(151), 제 2 센서(152)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 노즐 이동용 에어 실린더(113A)는, 실제로는, 이들을 작동시키는 전자 밸브에 대하여 제어장치(120B)는 제어를 행하지만, 여기에서는 각 전자 밸브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 제어장치(120B)에는, 조작 입력부(12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조작 입력부(125)는, 예컨대, 재봉부착할 단추의 구멍의 수, 각 구멍의 치수, 각 구멍에 대한 바늘 운동(運針)의 순서, 바늘 수 등의 설정을 행한다.
또, 본 단추 달기 재봉기(10B)는, 미리 설정된 규정의 바늘 수로 단추 재봉부착을 행하기 때문에, 봉제 실행의 지령을 입력하는 시작 페달(126B)이 설치되어 있다.
[재봉기의 봉제 제어의 흐름]
다음으로, 상기 단추 달기 재봉기(100B)의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에 대해 도 16의 플로우 차트 및 도 17~도 21의 동작 설명도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하판(61B)의 상면에 피봉제물인 천(C)이 재치되고, 단추 홀딩 풋(63B)에 단추(B)가 세팅되며, 시작 페달(126B)이 눌리면, 제어장치(120B)는, 이송 기구(60B)의 승강용 모터(64B)를 제어하여 단추 홀딩 풋(63B)을 천(C)의 위로 하강시킨다. 이로써 단추(B)와 천(C)이 단추 홀딩 풋(63B)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단계 S101).
다음으로, 제어장치(120B)는, 유지용 모터(134)를 제어하여, 윗실 유지 장치(130)의 끼움지지수단(A)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바늘구멍(431A)의 하측에 있어서, 끼움지지수단(A)의 유지면(1316)과 끼움지지면(1325)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단계 S103, 도 17, 해방 상태).
다음으로, 제어장치(120B)는, 재봉기 모터(31)의 구동을 개시한다(단계 S105). 이로써, 제 1 바늘째의 바늘 낙하가 끼움지지수단(A)의 유지면(1316)과 끼움지지면(1325)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제어장치(120B)는, 인코더(37)의 출력을 감시하며, 재봉바늘(11)이 상승하여 끼움지지수단(A)의 유지면(1316)과 끼움지지면(1325)의 사이로부터 상방으로 빠지는 소정의 주축 각도로 유지용 모터(134)를 작동시켜, 끼움지지수단(A)을 중간 유지 위치까지 이동시킨다(단계 S107). 이로써, 끼움지지수단(A)은 대기 위치 측으로 이동하여, 유지면(1316)과 끼움지지면(1325)이 근접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실채기에 의해 윗실(U)이 끌어올려졌을 때에, 윗실(U)의 소정의 저항력을 부여할 수 있어, 윗실(U)의 느슨함이 억제된다.
또한, 제어장치(120B)는, 인코더(37)의 출력을 감시하여, 실채기가 그 상사점(上死点)을 통과하면, 유지용 모터(134)를 작동시켜, 끼움지지수단(A)을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킨다(단계 S109, 끼움지지 상태).
이로써, 끼움지지수단(A)은 바늘구멍(431A)으로부터 이격되며, 유지면(1316)과 끼움지지면(1325)이 가장 근접한 상태가 되어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가 끼움지지된다.
그 후, 설정된 단추 재봉부착의 바늘 수로 단추의 구멍에 대해 규정된 순서로 바늘 낙하가 행해진다(단계 S111).
그리고,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후의 재봉바늘(11)의 상승시에, 제어장치(120B)는 실 절단 모터(86A)를 작동시켜 실 절단 장치(80A)에 의해 실 절단을 개시한다(단계 S113).
즉, 실 절단 장치(80A)의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가 왕복 회동의 왕로에서 천(C)의 하측에서 안북(53B)에 의해 형성된 윗실(U)의 루프 중의 재봉바늘(11)쪽에 이어지는 부분만을 선별하고(도 18), 왕복 회동의 복로에서 윗실(U)의 루프 중의 천(C)쪽에 이어지는 부분과 안북(53B)으로부터 천(C)에 걸친 밑실(D)을 실 절단용 고정 메스(82A)측으로 옮겨 절단한다(도 19).
이 때, 윗실의 봉제 개시의 단부(U0)는 끼움지지수단(A)이 대기 위치쪽으로 잡아당겨 퇴피시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회동 범위 밖에 있어, 절단되지 않는다.
그리고, 재봉기 모터(31)가 소정의 상(上)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면(단계 S115), 제어장치(120B)는, 와이퍼 솔레노이드(92)를 제어하여 와이퍼에 의한 실 제거를 실행한다(단계 S117). 이로써, 실 절단 장치(80A)에 의해 절단된 윗실(U)의 재봉바늘(11)쪽의 부분이 단추(B)의 상방으로 끌려 나온다(도 20).
그리고, 제어장치(120B)는,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103A)를 작동시켜, 천(C)의 하측에 남아 있는 실 절단 장치(80A)의 절단 후의 윗실(U) 및 밑실(D)의 잔여 단부와, 천(C)으로부터 끼움지지수단(A)에 걸친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를 천(C)의 하면 부근의 위치에서 절제한다(단계 S119).
이어서, 제어장치(120B)는, 유지용 모터(134)를 작동시켜 끼움지지수단(A)을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121). 이로써, 끼움지지수단(A)이 해방 상태가 되어, 절제된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가 유지면(1316)과 끼움지지면(1325)의 끼움지지 상태로부터 해방된다(도 21).
또한, 제어장치(120B)는, 노즐 이동용 에어 실린더(113A)와 흡인용 전자 밸브(114A)를 작동시켜, 흡인 노즐(111A)의 선단부를 바늘구멍(431A)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흡인을 행하여, 절제된 윗실(U) 및 밑실(D)의 잔여 단부와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를 흡인한다(단계 S123).
그리고, 제어장치(120B)는, 이송 기구(60B)의 승강용 모터(64B)를 제어하여 단추 홀딩 풋(63B)을 상승시킨다(단계 S125). 이로써 천(C)이 단추 홀딩 풋(63B)으로부터 해방되어, 봉제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단추 달기 재봉기(10B)에서는, 윗실 유지 장치(130)에 의해,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가 최종 바늘까지 끼움지지수단(A)에 의해 대기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봉제의 과정에서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가 윗실(U)이나 밑실(D)에 얽혀 이른바 불필요한 매듭 상태(의도치않게 천 이면에 불필요한 매듭이 생기는 상태)가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유지된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는, 최종적으로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에 의해 절제되므로, 천(C)에 있어서의 윗실(U)의 봉제 개시의 단부(U0)의 잔여 단부를 보다 짧게 할 수 있어, 외관이 양호한 단추 재봉부착 봉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공이송 제어]
도 22는 단추 달기 재봉기(10B)에 있어서의 바늘구멍(441A), 실 절단 장치(80A)의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 및 실 절단용 고정 메스(82A)의 위에서 본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의 부호 m은, 실 절단용 고정 메스(82A)의 칼끝에 대한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 부호 G는 바늘구멍(441A)의 중심, 부호 t0은 천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 부호 t1은 천의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는,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이 바늘구멍(441A)의 중심(G)에 대하여 좌측으로 비스듬한 전방측을 통과해 왕복의 회동을 행함으로써, 실을 골라내는 처리 및 실 절단을 실행한다.
한편, 일반적인 실 절단의 동작 제어에서는, 천(C)에 있어서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가 바늘구멍(441A)의 중심(G)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을 골라내는 처리 및 실 절단이 실행된다.
따라서,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는, 바늘구멍(441A)의 중심(G)에 일치하는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윗실의 루프를 실을 골라내는 처리에 의해 바늘쪽 부분과 천쪽 부분으로 골라내어, 천쪽 부분이 짧아지도록 절단한다.
또, 밑실은, 최종 바늘에서는 윗실과 실 매듭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상태에서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에 의해 골라내어져, 절단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실 절단의 동작 제어에서는, 윗실은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또, 밑실은 봉제 데이터가 정하는 봉제 패턴에 따라서는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가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으로부터 떨어진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을 골라내는 처리를 거쳐 실 절단을 행할 때에, 윗실 또는 밑실이 접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우가 있어, 절단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제어장치(120B)에서는, 실 절단 장치(80A)의 실 절단의 전에, 이동 기구로서의 이송 기구(60B)에 대하여,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가 바늘구멍(441A)의 내측에 있어서의 실 절단 장치(80A)의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실 절단부인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경로(m)에 접근하도록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제 1 공이송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공이송이란, 바늘 상하이동기구(30)에 의한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에 동기하여 일정한 주축 각도로 행해지는 천 이송과는 달리,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의 유무에 관계없이 행하는 천의 이송을 말한다.
도 22에 있어서, 벡터(a)는 최종 바늘의 천 이동 벡터이고, 벡터(b)는 실 절단점 벡터이며, 벡터(c)는 제 1 공이송 제어에 있어서 행해지는 제 1 공이송 벡터이다.
천 이동 벡터(a)는,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로부터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로 천(C)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23은, 단추 달기 재봉기(10B)에서는, EEPROM(124)에 봉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며, 해당 봉제 데이터는, 단추에 형성된 단춧구멍에 대하여 정해진 순서와 정해진 바늘 수로 바늘 운동을 행하는 봉제 패턴을 실행하기 위하여, 1바늘마다의 단추 및 천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이동량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봉제 데이터로부터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로부터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로 천(C)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취득할 수가 있다.
실 절단점 벡터(b)는, 바늘구멍(441A)의 중심(G)에 위치하는 천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점을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천에 있어서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는, 바늘구멍(441A)의 범위 내이면,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의 어느 위치로 이동시켜도 무방하지만, 최단 거리가 되는 위치 또는 최단 거리가 되는 위치로부터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와 실 절단용 고정 메스(82A)의 절단 위치쪽 부근이 되는 위치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은,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회동 중심 위치 및 해당 중심 위치로부터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까지의 길이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구할 수가 있다. 또, 바늘구멍(441A)의 중심도 설계 데이터로부터 구할 수 있으므로, 이들로부터 실 절단점 벡터(b)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산출할 수가 있다.
제 1 공이송 벡터(c)는,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가 바늘구멍(441A)의 중심(G)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를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의 선상(線上)까지 천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1 공이송 벡터(c)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이동 벡터(a)의 길이가 바늘구멍(441A)의 반경(半徑)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공이송 벡터(c)]=[실 절단점 벡터(b)]-[천 이동 벡터(a)]
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 천 이동 벡터(a)의 길이가 바늘구멍(441A)의 반경을 넘는 경우에는,
[제 1 공이송 벡터(c)]=[실 절단점 벡터(b)]-(바늘구멍의 반경/천 이동 벡터(a)의 길이)·[천 이동 벡터(a)]
로부터 구할 수 있다.
제어장치(120B)는, 상기 식에 의해 제 1 공이송 벡터(c)를 구하여,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를 행한 재봉바늘(11)이 천으로부터 뽑히고 나서 실 절단 장치(80A)가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할 때까지의 타이밍으로 천을 공이송에 의해 이동시킨다.
이로써, 천에 있어서의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가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의 선상으로 이동하므로, 밑실은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에 의해 종래보다 확실히 포착되어, 안정적으로 절단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제 1 공이송 제어에서는, 천에 있어서의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를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의 선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천에 있어서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를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의 선상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그 경우, [천 이동 벡터(a)]의 길이가 바늘구멍(441A)의 반경 이하인지 그것보다 큰 지에 관계없이,
[제 1 공이송 벡터(c)]=[실 절단점 벡터(b)]
가 된다.
이 경우에도, 제어장치(120B)는, 상기 식에 의해 제 1 공이송 벡터(c)를 구하여,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를 행한 재봉바늘(11)이 천으로부터 뽑히고 나서 실 절단 장치(80A)가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할 때까지의 동안의 타이밍으로 천을 공이송에 의해 이동시킨다.
이로써, 천에 있어서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가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의 선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윗실은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에 의해 종래보다 확실히 포착되어, 안정적으로 절단이 행해진다.
또, 단추의 재봉부착 봉제의 경우를 포함하는 각종의 봉제에 있어서, 최종 바늘에 가까운 복수의 바늘 낙하에 있어서의 이송 피치를 작게 함으로써 실 매듭을 잘 풀리지 않게 하거나, 최종 바늘의 이송 피치를 작게 함으로써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윗실의 종단부(終端部)와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밑실의 종단부의 간격을 줄여 봉제의 완성 후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봉제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와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가 근접하기 때문에, 제 1 공이송 제어에 있어서,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와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 중 어느 것을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의 선상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어느 쪽의 경우이든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와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의 쌍방(雙方)이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에 근접하기 때문에, 윗실도 밑실도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에 의해 종래보다 확실하게 포착되어, 안정적으로 절단이 행해진다.
실 절단 장치(80A)의 실 절단의 전에 상기 제 1 공이송 제어를 행한 경우에는, 그 후의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에 의한 잔여 단부 절제의 전에, 이동 기구로서의 이송 기구(60B)에 대하여,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 또는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가 바늘구멍(441A)의 내측에 있어서의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에 의한 실 절제 위치(t3)에 근접하도록 천 및 단추를 이동시키는 제 2 공이송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에 있어서, 부호 t2는, 제 1 공이송 제어에 의해 천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 또는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가 도달하는 실 절단용 가동 메스(81A)의 눈구멍 칼날부(812A)의 접점의 이동 궤적(m)의 선상의 소정 위치를 나타낸다.
또, 도 22에 있어서, 부호 101Ab는, 절제용 고정 메스(101A)의 칼날부(101Aa)가 형성된 관통구멍을 나타내고, 부호 102Ab는,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칼날부(102Aa)가 형성된 관통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절제용 고정 메스(101A)의 관통구멍(101Ab)은, 바늘구멍(441A)과 동심(同心)이며 그 내경(內徑)도 대략 일치하고 있다.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관통구멍(102Ab)은, 절제 동작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바늘구멍(441A)과 동심이 되는 위치에서 대기하고, 또한, 해당 관통구멍(102Ab)의 내경은 바늘구멍(441A)의 내경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절제 동작시에는, 절제용 가동 메스(102A)는 회동하고, 관통구멍(102Ab)은 도시된 위치를 향해 이동하며, 절제용 고정 메스(101A)의 칼날부(101Aa)와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칼날부(102Aa)가 윗실 및 밑실의 잔여 단부를 사이에 끼우는 실 절제 위치(t3)에 있어서, 잔여 단부의 절제를 행한다.
또, 도 22에 있어서의 벡터(d)는 제 2 공이송 제어에 있어서 행해지는 제 2 공이송 벡터이다.
제 2 공이송 벡터(d)는, 천에 있어서의 도달점(t2)에 위치하는 점을 실 절제 위치(t3)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달점(t2)의 위치는, 상술한 실 절단점 벡터(b)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 실 절제 위치(t3)의 위치는,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회동 중심 위치 및 해당 중심 위치로부터 절제용 가동 메스(102A)의 관통구멍(102Ab)까지의 길이, 관통구멍(102Ab)의 내경의 설계 데이터 및 절제용 고정 메스(101A)의 관통구멍(101Ab) 위치, 관통구멍(101A)의 내경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구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달점(t2)의 위치와 실 절제 위치(t3)의 위치로부터 제 2 공이송 벡터(d)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산출할 수가 있다.
제어장치(120B)는, 산출된 제 2 공이송 벡터(d)에 근거하여, 와이퍼 기구(90)에 의해 실 제거가 행해지고 나서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에 의한 윗실 및 밑실의 잔여 단부를 절제할 때까지 동안의 타이밍으로 천을 공이송에 의해 이동시킨다.
이로써, 천에 있어서의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t1) 또는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위치(t0)가 실 절제 위치(t3)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밑실의 잔여 단부 또는 윗실의 잔여 단부가 실 절제 위치(t3)에 의해 접근하여, 밑실의 잔여 단부 또는 윗실의 잔여 단부를 더 짧게 절제할 수 있게 된다.
단추 달기 재봉기(10B)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이송 제어를 도입한 경우의 단추 재봉부착 봉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기본적인 봉제 동작은 도 16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와 같으므로, 상기 도 16의 동작과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하판(61B)의 상면에 피봉제물인 천(C)이 재치되고, 단추 홀딩 풋(63B)에 단추(B)가 세팅되며, 시작 페달(126B)이 눌리면, 제어장치(120B)는, 단추 홀딩 풋(63B)을 하강시켜 천을 유지하며, 그 이후, 도 16의 단계 S101~S111까지와 같은 제어가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111에 있어서, 봉제 데이터에 정해진 순서대로 규정된 바늘 수의 바늘 낙하가 행해지며,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후의 재봉바늘(11)의 상승시에, 제어장치(120B)는, 제 1 공이송 제어를 실행한다(단계 S1111). 즉, 제어장치(120B)는, 제 1 공이송 벡터(c)를 산출하며, 해당 제 1 공이송 벡터(c)에 근거하여 천 및 단추의 이동을 실행한다.
이어서, 제어장치(120B)는, 실 절단 장치(80A)에 의한 실 절단을 실행하고, 그 이후, 도 16의 단계 S113~S117까지와 같은 제어가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117에 있어서, 와이퍼 기구(90)에 의한 실 제거가 행해지면, 제어장치(120B)는, 제 2 공이송 제어를 실행한다(단계 S1171). 즉, 제어장치(120B)는, 이미 산출되어 있는 제 2 공이송 벡터(d)에 근거하여 천 및 단추의 이동을 실행한다.
이어서, 제어장치(120B)는, 잔여 단부 절제 기구(100A)에 의한 잔여 단부 절제를 실행하고, 그 이후, 도 16의 단계 S119~S125까지와 같은 제어를 실행하여 재봉부착 봉제 동작을 종료한다.
이러한 재봉부착 봉제 동작에 의해, 윗실 또는 밑실에 대해 절단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키며, 윗실 또는 밑실의 잔여 단부를 보다 짧게 하여 단추 재봉부착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및 제 2 공이송 제어는, 단추 달기 재봉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천을 평면상에 임의로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하여 소정의 봉제 패턴으로 봉제를 행하는, 이른바 전자 사이클 봉제 재봉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봉제 개시 제어]
또, 상술한 단추 달기 재봉기(10B)는, 단추 재봉부착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후에 끼움지지수단(A)을 해방 상태로부터 끼움지지 상태로 전환하여, 단추 재봉부착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후에 실 절단 장치(80A)에 의해 실 절단을 행하고, 실 절단 장치(80A)에 의한 실 절단의 실행 후에, 윗실 유지 장치(130)를 해방 상태로 전환하는 실 유지 제어를 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실 유지 제어를 행하여 건넘 실(jump thread)을 이용한 구멍이 4개인 단추의 재봉부착 봉제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봉제 개시 제어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이 4개인 단추(B)는, 그 중앙에 정사각형의 4개의 정점에 위치하는 배치로 4개의 실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단추 달기 재봉기(10B)의 이송 기구(60B)의 단추 홀딩 풋(63B)은, 4개의 실 통과 구멍이 배치된 정사각형의 2변이 X축 방향으로 평행이 되고, 다른 2변이 Y축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구멍이 4개인 단추의 유지를 행한다. 이 상태로 유지된 구멍이 4개인 단추(B)의 4개의 실 통과 구멍을, 편의상,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전방에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을 h1로 하고, 우측 전방에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을 h2로 하며, 좌측 후방에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을 h3으로 하고,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을 h4로 한다.
구멍이 4개인 단추(B)의 각 실 통과 구멍(h1~h4)에 대한 봉제 패턴은 각종의 것이 존재하는데, 봉제 개시 제어는, 2개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하여 번갈아 복수 회의 바늘 운동을 행한 후에 실 절단을 행하지 않고, 남은 2개의 실 통과 구멍의 일방(一方)에 건넘 실을 통해 바늘 낙하 위치를 이동시키고, 남은 2개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해 번갈아 복수 회의 바늘 운동을 행함으로써 재봉부착 봉제를 행하는 봉제 패턴을 대상으로 한다.
또, 이와 같이 건넘 실을 통해 4개의 실 통과 구멍에 바늘 운동을 행하는 봉제 패턴에 대해서는, 이하의 3종류의 봉제 패턴을 들 수 있다.
(1)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각선으로 나란한 2개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해 바늘 운동을 행하고, Y축 방향(X축 방향이어도 무방함)을 따른 건넘 실을 통해 남은 대각선으로 나란한 2개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해 바늘 운동을 행하는 제 1 봉제 패턴.
(2)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Y축 방향이어도 무방함)으로 나란한 2개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해 바늘 운동을 행하고, Y축 방향(X축 방향이어도 무방함)을 따른 건넘 실을 통해 남은 X축 방향(Y축 방향이어도 무방함)으로 나란한 2개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해 바늘 운동을 행하는 제 2 봉제 패턴.
(3)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Y축 방향이어도 무방함)으로 나란한 2개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해 바늘 운동을 행하고, 대각선을 따른 건넘 실을 통해 남은 X축 방향(Y축 방향이어도 무방함)으로 나란한 2개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해 바늘 운동을 행하는 제 3 봉제 패턴.
도 24에 나타내는 제 1 봉제 패턴에 있어서, 각 실 통과 구멍의 부호 h1~h4에 인접하는 괄호 안의 수치는, 바늘 운동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도 25, 도 26도 마찬가지임). 즉 상기 제 1 봉제 패턴에서는,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전방의 실 통과 구멍(h2)에 1바늘째의 바늘 낙하가 행해지고, 대각선으로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h3)과의 사이에서 3회 왕복으로 번갈아 바늘 낙하가 행해진 후에, 우측 전방의 실 통과 구멍(h2)으로부터 우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4)으로 건넘 실이 건너가, 우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4)으로부터 대각선으로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h1)과의 사이에서 3회 왕복으로 번갈아 바늘 낙하가 행해지고 우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4)에서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가 행해진다.
상기 제 1 봉제 패턴에서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보다 먼 곳이 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h1, h2) 중의 일방인 실 통과 구멍(h2)에 1바늘째의 바늘 낙하를 행하는 봉제 개시 제어를 행하면서 봉제가 개시된다.
그 경우,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끼움지지수단(A)에 끼움지지되어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구멍이 4개인 단추(B)의 하측에 있어서, 실 통과 구멍(h1)과 실 통과 구멍(h4)의 사이에 걸친 밑실과 천의 사이에 꿰매어 넣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윗실의 개시 단부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해방되어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가 행해진 후에는, 그 절제 후의 선단부가 천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일이 없으며, 이로써 재봉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보다 먼 곳이 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h1, h2) 중의 어느 것도 아닌 실 통과 구멍(h4(실 통과 구멍(h3)도 마찬가지임))으로부터 단추 재봉부착 봉제를 개시하면, 도 2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끼움지지수단(A)에 끼움지지되어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구멍이 4개인 단추(B)의 하측에 있어서,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어떠한 밑실에도 꿰매어 넣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윗실의 개시 단부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해방되어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가 행해진 후에는, 그 절제 후의 선단부가 천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져,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다.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봉제 패턴에서는, 우측 전방의 실 통과 구멍(h2)에 1바늘째의 바늘 낙하가 행해지고, 그 왼쪽에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h1)과의 사이에서 3회 왕복으로 번갈아 바늘 낙하가 행해진 후에, 우측 전방의 실 통과 구멍(h2)으로부터 우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4)으로 건넘 실이 건너가, 우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4)으로부터 그 왼쪽에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h3)과의 사이에서 3회 왕복으로 번갈아 바늘 낙하가 행해지고 우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4)에서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가 행해진다.
상기 제 2 봉제 패턴에서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보다 먼 곳이 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h1, h2) 중의 일방인 실 통과 구멍(h2)에 1바늘째의 바늘 낙하를 행하는 봉제 개시 제어를 행하면서 봉제가 개시된다.
그 경우,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구멍이 4개인 단추(B)의 하측에 있어서, 실 통과 구멍(h3)과 실 통과 구멍(h4)의 사이에 걸친 밑실과 천의 사이에 꿰매어 넣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윗실의 개시 단부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해방되어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가 행해진 후에는, 그 절제 후의 선단부가 천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일이 없으며, 이로써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2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보다 먼 곳이 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h1, h2) 중의 어느 것도 아닌 실 통과 구멍(h4(실 통과 구멍(h3)도 마찬가지임))으로부터 단추 재봉부착 봉제를 개시하면, 도 2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구멍이 4개인 단추(B)의 하측에 있어서, 어느 밑실에도 꿰매어 넣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윗실의 개시 단부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해방되어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가 행해진 후에는, 그 절제 후의 선단부가 천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져,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다.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봉제 패턴에서는, 우측 전방의 실 통과 구멍(h2)에 1바늘째의 바늘 낙하가 행해지고, 그 왼쪽에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h1)과의 사이에서 3회 왕복으로 번갈아 바늘 낙하가 행해진 후에, 우측 전방의 실 통과 구멍(h2)으로부터 좌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3)으로 건넘 실이 건너가, 좌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3)으로부터 그 오른쪽에 위치하는 실 통과 구멍(h4)과의 사이에서 3회 왕복으로 번갈아 바늘 낙하가 행해지고 좌측 후방의 실 통과 구멍(h3)에서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가 행해진다.
상기 제 3 봉제 패턴에서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보다 먼 곳이 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h1, h2) 중의 일방인 실 통과 구멍(h2)에 1바늘째의 바늘 낙하를 행하는 봉제 개시 제어를 행하면서 봉제가 개시된다.
그 경우,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구멍이 4개인 단추(B)의 하측에 있어서, 실 통과 구멍(h3)과 실 통과 구멍(h4)의 사이에 걸친 밑실과 천의 사이에 꿰매어 넣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윗실의 개시 단부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해방되어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가 행해진 후에는, 그 절제 후의 선단부가 천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일이 없으며, 이로써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2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보다 먼 곳이 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h1, h2) 중의 어느 것도 아닌 실 통과 구멍(h3(실 통과 구멍(h4)도 마찬가지임)으로부터 단추 재봉부착 봉제를 개시하면, 도 2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구멍이 4개인 단추(B)의 하측에 있어서, 어느 밑실에도 꿰매어 넣어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윗실의 개시 단부는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해방되어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가 행해진 후에는, 그 절제 후의 선단부가 천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져,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봉제 개시 제어를 행함으로써, 구멍이 4개인 단추의 재봉부착 봉제에 있어서, 각종의 봉제 패턴으로 봉제를 행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의 천의 하측으로부터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어,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봉제 개시 제어는, 구멍이 4개인 단추의 재봉부착 봉제를 행하기 위한 봉제 패턴을 정한 봉제 데이터 중에, 끼움지지수단(A)으로부터 보다 먼 곳이 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h1, h2) 중의 어느 일방(一方)을 1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로 하도록, 바늘 운동의 위치 설정을 행하고, 제어장치(120B)가 그 봉제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이송 기구(60B)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백택 제어와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
또, 상술한 단추 달기 재봉기(10B)는, 단추의 재봉부착 봉제를 행하는 경우에, 이하에 설명하는 백택 제어와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백택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단추 재봉부착 봉제에 있어서, 1바늘째의 바늘 낙하는 윗실의 봉제 개시 단부가 천의 하측으로 끌려 나오기 때문에, 1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에서는 밑실과의 실 매듭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2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에서는 윗실과 밑실의 실 매듭은 형성되지만, 3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를 다른 실 통과 구멍으로 이동시키면, 밑실은 다른 실 통과 구멍쪽에 장력을 받아, 실 매듭이 분해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백택 제어에서는, 단추의 봉제를 개시하는 하나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하여 봉제 개시로부터 복수 바늘의 바늘 낙하에 의해 백택을 행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3바늘의 바늘 낙하에 의해 백택을 행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27은, 실 통과 구멍(h1~h4)을 갖는 구멍이 4개인 단추의 재봉부착 봉제의 봉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괄호 안의 숫자는 바늘 운동을 행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실 통과 구멍(h1~h4)의 배치에 대해서는, 상술한 봉제 개시 제어의 구멍이 4개인 단추(B)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제 패턴에서는, 실 통과 구멍(h2)에 대하여, 1바늘째로부터 3바늘째까지의 바늘 낙하를 행하는 동시에 1바늘째와 3바늘째에서 같은 위치에 바늘 낙하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같은 실 통과 구멍(h2)에 바늘 낙하를 행하는 백택 제어를 행함으로써, 2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에 형성되는 실 매듭이 다른 실 통과 구멍쪽으로 당겨지는 경우가 회피되기 때문에, 실 매듭이 분해되지 않고, 강고하게 실 매듭 형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백택 제어는, 단추의 재봉부착 봉제를 행하기 위한 봉제 패턴을 정한 봉제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의 실 통과 구멍의 내측이 되는 범위 내에 1바늘째부터 3바늘째까지의 바늘 낙하가 행해지도록 바늘 운동의 위치 설정을 행하고, 제어장치(120B)가 그 봉제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이송 기구(60B)를 제어함으로써 실현한다.
다음으로,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밑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천의 하측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밑실의 봉제 개시 단부가 비어져 나온 상태인 경우, 봉제 품질의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에서는, 백택에 이어서, 해당 백택을 행한 실 통과 구멍과는 다른 또 하나의 실 통과 구멍과 백택을 행한 실 통과 구멍을 번갈아 왕복하는 복수 바늘의 바늘 낙하를 행하는 동시에, 백택의 최후의 바늘 낙하(봉제 개시로부터의 3바늘째)와 이것에 이어서 행해지는 2바늘의 바늘 낙하(봉제 개시로부터의 4바늘째와 5바늘째)에 의한 3점의 바늘 낙하 위치를 정점(頂点)으로 하는 삼각형의 외형선상 및 그 내측 영역 중의 어느 곳에 백택에 있어서의 2바늘째(봉제 개시로부터의 2바늘째)의 바늘 낙하가 행해지도록 이송 기구(60B)를 제어한다.
이로써, 봉제 개시로부터의 2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에서 하방으로 비어져 나온 밑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봉제 개시로부터의 3바늘째로부터 5바늘째까지의 3점의 바늘 낙하 위치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형성하는 밑실과 천의 사이에 꿰매어 넣어져, 비어져 나온 상태가 해소됨에 따라,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도 27의 봉제 패턴은, 상술한 도 24에 나타내는 제 1 봉제 패턴과 마찬가지로, 우선 맨 먼저 대각선으로 나란한 2개의 실 통과 구멍(h2, h3)의 사이에서 바늘 운동을 행하고, Y축 방향(X축 방향이어도 무방함)을 따른 건넘 실을 통해 남은 대각선으로 나란한 2개의 실 통과 구멍(h4, h1)에 대해 바늘 운동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실 통과 구멍(h2) 내에 바늘 낙하를 행하는 봉제 개시로부터의 3바늘째 및 5바늘째와 실 통과 구멍(h3) 내에 바늘 낙하를 행하는 4바늘째에 의해 삼각형을 형성하고, 2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는, 4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와 5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를 잇는 선분(線分) 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2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비어져 나온 잔여 단부 절제 후의 밑실의 봉제 개시 단부는, 4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로부터 5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에 걸친 밑실과 천의 사이에 꿰매어 넣어져, 비어져 나오는 것이 억제되어 봉제 품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특히, 상기 봉제 패턴에서는, 봉제 개시로부터의 4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와 5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의 사이에서 4바늘째에서 8바늘째까지 복수 회 반복하여 번갈아 바늘 낙하가 행해지기 때문에, 복수 회에 걸친 밑실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밑실의 봉제 개시 단부가 꿰매어 넣어진다.
즉, 밑실의 봉제 개시 단부가 비어져 나오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여, 봉제 품질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는, 단추의 재봉부착 봉제를 행하기 위한 봉제 패턴을 정한 봉제 데이터 중에, 3바늘째에서 5바늘째까지의 3개의 바늘 낙하 위치에 둘러싸이는 영역 내 및 3개의 바늘 낙하 위치를 잇는 선분 상의 어느 위치에 바늘 낙하가 행해지도록 2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의 위치 설정을 행하고, 제어장치(120B)가 그 봉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송 기구(60B)를 제어함으로써 실현한다.
또, 백택 제어는 봉제 개시로부터의 1바늘째에서 3바늘째로 하고 있으나, 3바늘 이상의 바늘 낙하로 행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의 예에서는, 3바늘째에서 5바늘째의 3점의 바늘 낙하에 의해 둘러싸인 삼각형의 외형선상 및 그 내측 영역 중의 어느 곳에 2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를 설정하고 있지만, 백택 제어를 3바늘보다 많이 행하는 경우에는, 백택의 최후의 바늘 낙하와, 이것에 이어지는,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의 최초의 2바늘의 바늘 낙하에 의한 3점에 둘러싸인 삼각형의 외형선상 및 그 내측 영역에 봉제 개시로부터의 2바늘째의 바늘 낙하 위치를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10; 재봉기
11; 재봉바늘
12; 바늘대
20; 재봉기 프레임
30; 바늘 상하이동기구
31; 재봉기 모터
32; 주축
37; 인코더
40A; 바늘판
41A; 상판(상층의 바늘판)
42A; 하판(하층의 바늘판)
50B; 북 기구
60B; 이동 기구
80A; 실 절단 장치
81A; 실 절단용 가동 메스
82A; 실 절단용 고정 메스
90; 와이퍼 기구
91; 와이퍼
100A; 잔여 단부 절제 기구(실 절제 기구)
101A; 절제용 고정 메스(절제용 메스)
101Ab; 관통구멍
102A; 절제용 가동 메스(절제용 메스)
102Ab; 관통구멍
103A; 실 절제용 에어 실린더
110A; 흡인 기구
111A; 흡인 노즐
113A; 노즐 이동용 에어 실린더(노즐 구동 수단)
114; 흡인용 전자 밸브
120; 제어장치(흡인 제어장치)
130; 윗실 유지 장치
134; 유지용 모터(액추에이터)
431A; 바늘구멍
B; 단추, 구멍이 4개인 단추
D; 밑실
U; 윗실
U1; 윗실 루프의 바늘쪽 부분
U2; 윗실 루프의 피봉제물쪽 부분
h1~h4; 실 통과 구멍

Claims (3)

  1. 재봉바늘이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늘판과,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피(被)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 동작을 행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상기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기 재봉바늘로부터 윗실을 포착(捕捉)하여 밑실을 얽는 북(釜, hook) 기구와,
    상기 바늘판과 상기 북 기구의 사이에 설치되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장치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윗실의 재봉바늘쪽 부분을 상기 피봉제물의 상측으로 끌어내는 와이퍼 기구
    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바늘판의 상면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실 절단 장치보다 상방에 배치된 잔여 단부 절제 기구(殘端切除機構)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한 후에, 상기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밑실 및 윗실의 잔여 단부를,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 절단 장치의 실 절단의 전에, 상기 이동 기구에 대하여, 최종 바늘 또는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가 바늘구멍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기 실 절단 장치의 가동 메스의 실 절단부의 이동 경로에 접근하도록 상기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제 1 공이송(空送)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한 잔여 단부 절제의 전에, 상기 이동 기구에 대하여, 최종 바늘 또는 최종 바늘의 하나 앞의 바늘 낙하 위치가 바늘구멍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한 실 절제 위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제 2 공이송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재봉바늘이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늘판과,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 동작을 행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상기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기 재봉바늘로부터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는 북 기구와,
    상기 바늘판과 상기 북 기구의 사이에 설치되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장치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윗실의 재봉바늘쪽 부분을 상기 피봉제물의 상측으로 끌어내는 와이퍼 기구
    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재봉기는 피봉제물에 단추의 재봉부착을 행하는 단추 달기 재봉기이며,
    상기 바늘판의 상면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실 절단 장치보다 상방에 배치된 잔여 단부 절제 기구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한 후에, 상기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밑실 및 윗실의 잔여 단부를,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바늘판 및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북 기구보다 상방에 배치된, 상기 윗실의 봉제 개시의 단부를 유지하는 윗실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단추 재봉부착의 1바늘째의 바늘 낙하 후에 상기 끼움지지수단을 상기 해방 상태로부터 상기 끼움지지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단추 재봉부착의 최종 바늘의 바늘 낙하 후에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실 절단을 행하며,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한 실 절단의 실행 후에, 상기 끼움지지수단을 상기 해방 상태로 전환하는 실 유지 제어를 행하고,
    4개의 실 통과 구멍을 갖는 구멍이 4개인 단추를 건넘 실(jump thread)을 이용하여 재봉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끼움지지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끼움지지수단으로부터 보다 먼 곳에 위치하는 2개의 실 통과 구멍의 어느 일방(一方)의 실 통과 구멍으로부터 봉제를 개시하는 봉제 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3. 재봉바늘이 삽입되는 바늘구멍이 관통 형성된 바늘판과,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피봉제물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 동작을 행하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상기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기 재봉바늘로부터 윗실을 포착하여 밑실을 얽는 북 기구와,
    상기 바늘판과 상기 북 기구의 사이에 설치되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 장치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윗실의 재봉바늘쪽 부분을 상기 피봉제물의 상측으로 끌어내는 와이퍼 기구
    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재봉기는 피봉제물에 단추의 재봉부착을 행하는 단추 달기 재봉기이며,
    상기 바늘판의 상면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실 절단 장치보다 상방에 배치된 잔여 단부 절제 기구와,
    상기 실 절단 장치에 의해 밑실과 윗실을 절단한 후에, 상기 피봉제물에 이어지는 밑실 및 윗실의 잔여 단부를, 상기 잔여 단부 절제 기구에 의해 절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단추의 봉제를 개시하는 하나의 실 통과 구멍에 대하여 봉제 개시로부터 3바늘 이상의 바늘 낙하에 의해 백택(backtack)을 행하는 백택 제어와,
    상기 백택에 이어서, 해당 백택을 행한 실 통과 구멍과는 다른 또 하나의 실 통과 구멍과 상기 백택을 행한 실 통과 구멍을 번갈아 왕복하는 복수 바늘의 바늘 낙하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백택의 최후의 바늘 낙하와 이것에 이어서 행해지는 2바늘의 바늘 낙하에 의한 3점의 바늘 낙하 위치를 정점(頂点)으로 하는 삼각형의 외형선상 및 그 내측 영역 중의 어느 곳에 상기 백택의 2바늘째의 바늘 낙하가 행해지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밑실 봉제 개시 단부 처리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150133726A 2014-09-29 2015-09-22 재봉기 KR201600377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7891 2014-09-29
JP2014197891A JP6374745B2 (ja) 2014-09-29 2014-09-29 ミシ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769A true KR20160037769A (ko) 2016-04-06

Family

ID=5548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726A KR20160037769A (ko) 2014-09-29 2015-09-22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74745B2 (ko)
KR (1) KR20160037769A (ko)
CN (1) CN105463717B (ko)
DE (1) DE1020151161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7534B2 (ja) * 1990-05-18 1998-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糸切りミシン
JP3347821B2 (ja) * 1993-06-30 2002-11-20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2本針二重環縫いミシンの針板
JP4698862B2 (ja) * 2000-04-04 2011-06-08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007042B2 (ja) * 2002-03-08 2007-11-14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2005278929A (ja) * 2004-03-30 2005-10-13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4707489B2 (ja) 2005-07-27 2011-06-22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釜機構
JP2007282747A (ja) * 2006-04-14 2007-11-01 Juki Corp ミシン
JP2008068001A (ja) * 2006-09-15 2008-03-27 Juki Corp ミシン
JP5073272B2 (ja) * 2006-11-17 2012-11-14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1191279A (zh) * 2006-11-22 2008-06-04 顾飞龙 可调整切断缝线长度的下切线装置
JP2009207820A (ja) * 2008-03-06 2009-09-17 Juki Corp 穴かがりミシン
JP2011125387A (ja) * 2009-12-15 2011-06-30 Nakanihon Juki Kk ミシン
CN201835107U (zh) * 2010-08-10 2011-05-18 启翔针车(上海)有限公司 一种缝纫机自动切线机构
CH704524A1 (de) * 2011-02-28 2012-08-31 Bernina Int Ag Verfahren zum Schneiden des Unter- und mindestens eines Oberfadens und ein Verfahren zum Ansticken sowie ein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r Verfahren.
US20130047905A1 (en) * 2011-08-22 2013-02-28 Shui-Chun Tseng Embroidery sewing machine and method
CN203668663U (zh) * 2013-12-31 2014-06-25 上海标准海菱缝制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短线头自动剪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74745B2 (ja) 2018-08-15
JP2016067462A (ja) 2016-05-09
DE102015116113A1 (de) 2016-03-31
CN105463717A (zh) 2016-04-06
CN105463717B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272B2 (ja) ミシン
CN106283422B (zh) 缝纫机
JP6108742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US8893631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KR20140106431A (ko) 재봉기
KR101809269B1 (ko) 미싱
JP6441221B2 (ja) ミシン
CN112703283B (zh) 能够缝制线材的缝纫机及线切割装置
WO2020054556A1 (ja) コード材を縫着可能なミシン及びコード材を供給する装置並びにコード案内体
KR20160037769A (ko) 재봉기
TWI727017B (zh) 布料之縫製方法及雙環縫合縫紉機
JP4782526B2 (ja) ミシン
CN110629418B (zh) 缝纫机
JP2640307B2 (ja) 偏平縫いミシンの返し縫い方法及びその装置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4017732B2 (ja) ミシン
JP4642545B2 (ja) 糸切り装置
CN108360163B (zh) 制造线缝开头面线的方法和配置成实施这种方法的缝纫机
JP2010063571A (ja) ミシン
WO2020054557A1 (ja) コード材を縫着可能なミシン及びコード材の縫い出しを制御する方法
JPH06178888A (ja) 偏平縫いミシンの返し縫い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50036746A (ko) 재봉기
JP2006026374A (ja) 空環縫込み装置付きミシン
JP2005211311A (ja) 多頭ミシン
JP2017225790A (ja) 生地の縫製方法及び二重環縫いミシ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