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330A -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 - Google Patents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330A
KR20160003330A KR1020157036160A KR20157036160A KR20160003330A KR 20160003330 A KR20160003330 A KR 20160003330A KR 1020157036160 A KR1020157036160 A KR 1020157036160A KR 20157036160 A KR20157036160 A KR 20157036160A KR 20160003330 A KR20160003330 A KR 20160003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shape
sheet
rod
corner
cor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603B1 (ko
Inventor
후레쯔 카스야
Original Assignee
후레쯔 카스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레쯔 카스야 filed Critical 후레쯔 카스야
Publication of KR2016000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41F15/36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41N1/248Mechanical details, e.g. fixation holes, reinforcement or guiding means; Perforation lines; Ink holding means; Visually or otherwise detectable marking means; Stenci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B44D3/185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Abstract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는, 최소의 조정 개소에서 균일한 장력으로 전체에 걸쳐서 시트 형상 소재를 신장하기 위하여, 사각형의 4개의 코너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4개의 코너 부재; 사각형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그 측면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대향하는 단부에서 코너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4개의 프레임; 및 4개의 프레임을 각각 관통하도록 배치된 4개의 로드를 포함한다. 사각형의 대각선으로 위치한 1조의 코너 부재는 각각 사각형의 변을 따라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는 전달 기구를 더 포함하며, 전달 기구는, 하나의 코너 부재로부터 다른 하나의 코너 부재와 쌍을 이루는 다른 코너 부재를 향하는 방향(또는 그 역방향)으로의 사각형의 한 측면에서의 로드의 이동을, 다른 코너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또는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다른 코너 부재로부터 연장하는 다른 로드의 이동으로 변환시킨다.

Description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EXTENDING TOOL OF SHEET-LIKE MATERIAL}
본 발명은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에 사용되는 스크린(screen)이 늘어나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 형상 소재(sheet-like material), 예를 들어 스크린 프린팅에 사용되는 금속, 수지 등으로 제조되는 시트 형상 또는 메시(mesh)형상 소재, 오일 페인팅(oil painting)에서의 질감(texture)을 위해 사용되는 캔버스(canvas)와 같은 시트 형상 소재, 또는 드럼(drum) 등의 타악기 본체 상에서 신장되는 가죽과 같은 시트 형상 소재를 신장하기 위한 목적의 신장기구(extension tool)에 관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 프린팅 스크린 시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미지가 형성될 부분에 대해 작은 탄력성(elasticity)을 갖는 금속 메시(metal mesh)가 스크린 시트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큰 탄력성을 갖는 메시가 이미지가 형성될 부분의 가장자리에 지지 부재(support member)로서 배치된다.
스크린에 대하여, 이미지가 형성되는 부분의 크기에 따라서 또는 사용되는 스크린의 소재에 따라서, 탄력성과 신축성(expandability)이 완전히 다르다. 이와 관련하여, 프린팅될 물체의 요구되는 목적에 따라 스크린을 준비하기 위하여, 스크린을 조정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고, 이런 조정은 수행하기가 어렵다.
스크린 프린팅을 위한 스크린은 스크린에 장력(tension)을 인가함으로써 신장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스크린 프레임은 장력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해야 하고, 큰 강도를 갖는 나무 또는 금속 소재가 사용된다. 따라서, 스크린 프레임은 무거우며 부피가 크다.
이런 스크린 프레임은 스크린 프레임의 변(sides)의 길이를 조정할 때 대규모 인장 수단(large-scale pulling means)이 필요하고, 대규모 인장 수단이 사용되어야 하며, 대규모 인장 수단은 취급하기가 편리하지 않다.
또한, 스크린 프레임의 각 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하기 위한 스크린 프레임과 스크린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의 결합에 의해 스크린을 신장하거나 펼쳐진 스크린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스크린이 고정되는 인장 수단을 자유롭게 부착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더욱이, 프린팅될 물체가 왜곡되거나 스크린의 연장(extension)에서 불균일해질 경우에, 또는 양각으로 새겨진 프린팅(embossed printing)에서 왜곡 또는 굴곡(deviation)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런 문제들을 조정하거나 보상함에 의해 프린팅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은 어렵다.
스크린이 스크린 프레임 상에 고정된 후에는, 이미지의 왜곡이나 굴곡을 조정하는 것이 더 어렵다.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에 사용되는 종래의 기구는 신장가능한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며, 신장가능한 프레임 본체는 프레임 변들 간의 거리를 변화시켜서 프레임의 네 변의 위치를 각각 조정함으로써 신장기구에서 신장되는 시트 형상 소재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실행된다.
신장된 스크린의 장력을 정밀하게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구를 갖는 프레임이 일본 공개 실용신안출원 제1-141027호, 일본 공개 실용시안출원 제55-136533호 및 국제특허공개 WO 92/03231에 나타나 있다.
스크린에 미리 장력을 부가하기 위해 앵커핀(anchor pin)에 의해 지지 프레임(support frame) 상에 스크린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연장 프레임에 부착되며, 장력이 스크류에 의해 조정되는, 프레임이 미국특허 제3,482,343호, 미국특허 제3,485,165호 및 미국특허 제6,427,588호에 나타나 있다.
그루브(grooves)와 고정 부재(fixing members)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 상에 스크린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스크린의 신장을 위하여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mounted), 프레임 변들의 길이가 스크류 기구 또는 프레임 상의 유체 실린더를 사용하여 변화되는, 스크린의 신장을 위한 프레임이 미국특허 제5,113,611호에 나타나 있다.
스크린이 신장되는 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장력이 정밀하게 조정되는, 프레임이 미국특허 제5,076,162호, 미국특허 제5,271,171호 및 미국특허 제5,265,534호에 나타나 있다.
접착제(adhesive agent)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 상에 스크린을 고정함으로써 미리 장력이 부가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앵커에 의해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프레임이 스크류 또는 프레임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정밀하게 조정되는, 프레임이 미국특허 제5,802,971호에 나타나 있다.
이런 종류의 스크린 연장 프레임에서, 조정될 개소(points)가 많다. 또한, 한 개소가 조정될 때, 다른 개소들의 장력이 변화되어, 시트 형상 소재의 전면에 걸쳐서 원하는 장력 상태로 시트 형상 소재를 신장하는 것은 어렵다. 이는 장력을 조정하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크린이 프레임 상에 장착될 때, 장착 및 제거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본 발명자는, 국제특허공개 WO 02/55304에서, 펼쳐지는 4개의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를 갖는 신장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JPU 1-147027
[특허문헌 2] JPU 55-136533
[특허문헌 3] WO 92/03231
[특허문헌 4] 미국특허 제3,482,343호
[특허문헌 5] 미국특허 제3,485,165호
[특허문헌 6] 미국특허 제6,427,588호
[특허문헌 7] 미국특허 제5,113,611호
[특허문헌 8] 미국특허 제5,076,162호
[특허문헌 9] 미국특허 제5,271,171호
[특허문헌 10] 미국특허 제5,265,534호
[특허문헌 11] 미국특허 제5,802,971호
[특허문헌 12] WO 02/55304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실용적으로 시트 형상 소재를 용이하게 신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조정 개소들에서 균일한 장력에 의해 시트 형상 소재의 전면에 걸쳐서 시트 형상 소재를 신장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 형상 소재를 신장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데, 상기 기구는 사각형의 코너에 각각 배치된 4개의 코너 부재로 이루어진 기본 형체(basic figure); 양단이 코너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프레임 부재(frame members)를 포함하는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각각 인접하는 코너 부재들 사이에서 인접하는 코너 부재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의 양단을 지지하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들과 함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고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로드(rods)를 포함하며, 각각의 프레임 부재 또는 각각의 코너 부재는 시트 형상 소재의 주변 가장지리가 고정되는 앵커링 요소(anchoring element)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에 있어서, 이동 기구(moving mechanism)가 코너 부재의 코너에 장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4개의 코너 부재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내측면을 향하는 코너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삽입도구(insert)와, 볼(ball)을 가진다. 상기 볼은 삽입도구의 선단(forward end)과 각 로드의 각각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는 이동 기구를 갖는 코너 부재와 인접하는 코너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로드의 단부는 이동 기구를 갖는 코너 부재에 더 접근하며, 이로써 볼은 삽입도구의 선단과 각 로드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이동 기구를 갖는 코너 부재에 가까운 각 로드의 단부에 항상 인접해 있다.
이 경우에, 이동 기구를 갖는 코너 부재에는, 스토퍼(stopper)가 제공될 수 있고, 스토퍼는 4개의 코너 부재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삽입도구의 이동량을 규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서,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은 추가구성이 제안된다. 4개의 코너 부재 중 하나의 코너 부재가 이동 기구를 갖추고, 이동 기구는 코너 부재와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중 하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의 단부에 항상 인접해 있고,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중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를 이동시키며, 코너 부재와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중 다른 하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의 단부에 고정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전달 기구(transmission mechanism)가 제공되는데, 코너 부재의 각각을 향해, 이동 기구를 구비한 코너 부재와 다른 코너 부재의 각각을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은 각각의 코너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다른 로드의 이동으로 변환되며, 또한 각각의 코너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2개의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은 각각의 코너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다른 로드의 이동을 수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 구성의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에 있어서,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각각 중공부, 및 4개의 로드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고, 로드는 각각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여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프레임 부재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지지 부재에 의해 각각 중공부 내에서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프린팅에 사용되는 금속, 수지 등으로 제조되는 시트 또는 메시와 같은 시트 형상 소재는 적은 조정 개소에서 스크린 연장 프레임 상에서 균일한 장력으로 용이하게 신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신장기구에서 로드(rod)의 지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는 프레임 내부에 앵커링 요소(anchoring elements)가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신장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신장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신장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작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신장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9는 앵커링 요소가 프레임 부재 상의 상부 표면 상에 구비된 경우에 본 발명의 신장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펴지고 장력이 조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펴지고 장력이 조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프레임 부재의 상부 표면 상에 앵커링 요소가 구비된 발명의 신장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펴지고 장력이 조정되는 고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펴지고 장력이 조정되는 고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프레임 내부에 앵커링 요소(anchoring elements)가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신장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6은 프레임 내부에 앵커링 요소(anchoring elements)가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되는 경우에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은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된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19는 장력을 조정함에 의해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0은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된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나타난 상태(condition) 후에 장력을 조정함에 의해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 상에서 시트 형상 소재가 신장된 다른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하여 아래에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1]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 형상 소재를 위한 신장기구의 실시예1이 기술되어 있다.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는 4개의 코너 부재(2 3, 4, 5); 4개의 프레임 부재(6, 7, 8, 9); 4개의 로드(10, 11, 12, 13)를 포함한다. 4개의 코너 부재(2, 3, 4, 5)는 사각형의 코너에 각각 배치되고, 4개의 프레임 부재(6, 7, 8, 9)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프레임 부재(6)는 인접하는 코너 부재(4, 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고; 프레임 부재(7)는 인접하는 코너 부재(3, 4)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며; 프레임 부재(8)는 인접하는 코너 부재(5, 3)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고; 프레임 부재(9)는 인접하는 코너 부재(2, 5)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6, 7, 8, 9)는 각각 인접하는 코너 부재에 의해 양단부에서 각각 지지된다. 그 결과, 프레임 부재(6)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2, 4)와 함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8)로부터 멀어지는 또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2, 4)는 프레임 부재(6)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프레임 부재(8)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3, 5)와 함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6)로부터 멀어지는 또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3, 5)는 프레임 부재(8)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프레임 부재(7)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4, 3)와 함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9)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4, 3)는 프레임 부재(7)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프레임 부재(9)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5, 2)와 함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7)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5, 2)는 프레임 부재(9)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도면번호 41 내지 48은 각각 이동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화살표를 나타낸다.
로드(10, 11, 12, 13)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사이에 프레임 부재(6, 7, 8, 9)의 각각을 관통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로드(10)는 로드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칼라(14, 1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8)는 코너 부재(2)의 바깥쪽 가장자리(16)와 칼라(14)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9)는 코너 부재(4)의 바깥쪽 가장자리(17)와 칼라(15)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체(18, 19)에 의해 로드(10)의 한 단부는 코너 부재(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지고 로드(10)의 다른 단부는 코너 부재(4)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진다.
로드(11)는 로드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칼라(20, 21)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4)는 코너 부재(4)의 바깥쪽 가장자리(22)와 칼라(20)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5)는 코너 부재(3)의 바깥쪽 가장자리(23)와 칼라(21)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체(24, 25)에 의해 로드(11)의 한 단부는 코너 부재(4)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지고 로드(11)의 다른 단부는 코너 부재(3)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진다.
로드(12)는 로드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칼라(26, 27)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0)는 코너 부재(3)의 바깥쪽 가장자리(28)와 칼라(26)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1)는 코너 부재(5)의 바깥쪽 가장자리(29)와 칼라(27)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체(30, 31)에 의해 로드(12)의 한 단부는 코너 부재(3)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지고 로드(12)의 다른 단부는 코너 부재(5)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진다.
로드(13)는 로드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칼라(32, 3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6)는 코너 부재(5)의 바깥쪽 가장자리(34)와 칼라(32)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7)는 코너 부재(2)의 바깥쪽 가장자리(35)와 칼라(33)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체(36, 37)에 의해 로드(13)의 한 단부는 코너 부재(5)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지고 로드(13)의 다른 단부는 코너 부재(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진다. 이에 따라, 탄성체(18, 19, 24, 25, 30, 31, 36, 37)는 각각 서로로부터 그들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코너 부재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칼라의 뒤를 미는 동일한 힘을 갖는다.
프레임 부재(6, 7, 8, 9)의 각각은 신장될 시트 형상 소재의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구멍의 각각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와 앵커링 요소를 가지며, 앵커링 요소는 리지(ridge)와 결합될 그루브 또는 그루브와 결합하는 리지이다.
한 쌍의 코너 부재(2, 3)는 로드(10, 11, 12, 13) 각각의 단부에 각각 인접하고, 로드(10, 11, 12, 13)는 다른 한 쌍의 코너 부재(4, 5)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인접하는 코너 부재(4, 5)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10, 11, 12, 13)를 이동한다.
코너 부재(2)는 로드(10)의 단부(10a)에 인접하고, 상기 로드(10)는 코너 부재(4)와 코너 부재(2) 사이에 배치되며, 코너 부재(4)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10)가 이동하고, 코너 부재(2)와 코너 부재(5)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13)의 일단(13a)에 인접하고, 코너 부재(5)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13)가 이동한다.
코너 부재(3)는 로드(11)의 일 단(11a)에 인접하고, 상기 로드(11)는 코너 부재(3)와 코너 부재(4) 사이에 배치되며, 코너 부재(4)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11)가 이동하고, 코너 부재(3)와 코너 부재(5)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12)의 일단(12a)에 인접하고, 코너 부재(5)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12)가 이동한다.
코너 부재(2)는 이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동 기구는 코너 부재(2)의 코너에 장착되고, 이동 기구는 삽입도구(51)와 볼(55)을 포함하고, 여기서 삽입도구(51)는 화살표(71, 72)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코너 부재(2, 3, 4, 5)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내부 측의 개소(point)에 연결되는 코너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삽입도구(51)는, 예를 들어, 코너 부재(2)의 코너에 배치되는 암스크류구멍으로 삽입되는 스크류이다.
볼(55)은 공간(space)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공간은 코너 부재(2)에 대하여 로드(10) 및 로드(13)의 인접한 단부인 단부(10a) 및 단부(13a)와 삽입도구(51)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코너 부재(3) 상에 구비된 이동 기구는 코너 부재(3)의 코너에 장착되고 삽입도구(52)와 볼(56)을 가지며, 여기서 삽입도구(52)는 화살표(73, 74)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코너 부재(2, 3, 4, 5)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내부 측의 개소(point)에 연결되는 코너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삽입도구(52)는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코너 부재(3)의 코너에 배치되는 암스크류구멍으로 삽입되는 스크류이다.
볼(56)은 공간(space)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공간은 코너 부재(2)에 대하여 각각 인접하는 로드(11) 및 로드(12)의 단부(11a) 및 단부(12a) 각각과 삽입도구(52)의 선단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볼(56)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너 부재(3)에 인접한 로드(11) 및 로드(12)의 단부(11a) 및 단부(12a)와 삽입도구(52)의 선단에 항상 인접하도록 하기 위해서 로드(12)의 단부(12a) 및 로드(11)의 단부(11a)와 삽입도구(52)의 선단 사이에 개재된다.
공간 내에서 볼(55)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됨에 의해, 로드(10)로 전달될 힘과 로드(13)로 전달될 힘은 삽입도구(51)가 이동할 때 균일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공간은 코너 부재(2)에 대하여 각각 인접하는 로드(13)의 단부(13a) 및 로드(10)의 단부(10a)와 삽입도구(51)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코너 부재(3) 상에 이동 기구가 구비되고, 이동 기구는 코너 부재(3)의 코너에 장착되며 삽입도구(52)와 볼(56)을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도구(52)는 화살표(73, 74)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코너 부재(2, 3, 4, 5)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내부 측의 개소(point)에 연결되는 코너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삽입도구(52)는, 예를 들어, 코너 부재(3)의 코너에 배치되는 암스크류 구멍으로 삽입되는 스크류이다.
볼(56)은 공간(space)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공간은 코너 부재(2)에 대하여 로드(11) 및 로드(12)의 인접한 단부인 단부(11a) 및 단부(12a)와 삽입도구(52)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볼(56)은 코너 부재(2)에 인접한 로드(12)의 단부(12a) 및 로드(11)의 단부(11a)와 삽입도구(52)의 선단에 인접하도록 하기 위해서 로드(12)의 단부(12a) 및 로드(11)의 단부(11a)와 삽입도구(52)의 선단 사이에 개재된다.
공간 내에서 볼(56)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됨에 의해, 로드(11)로 전달될 힘과 로드(12)로 전달될 힘은 삽입도구(51)가 이동할 때 균일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공간은 코너 부재(3)에 대하여 각각 인접하는 로드(12)의 단부(12a) 및 로드(11)의 단부(11a)와 삽입도구(52)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전달 기구를 더 포함한다.
전달 기구에 의해, 이동 기구를 구비한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1조의 코너 부재(2, 3)에 인접하는,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4, 5)를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로드(10 및 11) 또는 2개의 로드(12 및 13) 중 어느 하나의 각각의 코너 부재(4, 5)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4, 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다른 로드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또한,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4, 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2개의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은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4, 5)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다른 로드의 이동을 수반한다.
이동 기구가 구비된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1조의 코너 부재(2, 3)에 인접하는 코너 부재(4) 상의 전달 기구는 캠(63)을 가지며, 캠(63)은 코너 부재(4) 상에 고정된 지지 샤프트(64)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로드(10)의 단부(10a)는 캠(63)의 측면(63a)에 인접하고, 로드(11)의 단부(11b)는 캠(63)의 다른 측면(63b)에 인접한다.
이동 기구가 구비된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1조의 코너 부재(2, 3)에 인접하는 코너 부재(5) 상의 전달 기구는 캠(67)을 가지며, 캠(67)은 코너 부재(5) 상에 고정된 지지 샤프트(68)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로드(13)의 단부(13a)는 캠(67)의 측면(67a)에 인접하고, 로드(12)의 단부(12b)는 캠(67)의 다른 측면(67b)에 인접한다.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코너 부재(2) 상에 구비된 이동 기구는 삽입도구(51)와 볼(55)을 갖는다. 볼(55)은 공간 내에 있고, 여기서 공간은 로드(10) 및 로드(13)의 단부(10a) 및 단부(13a)와 삽입도구(52)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것이으로, 그래서 삽입도구(51)의 선단과 로드(13)의 단부(13a) 및 로드(10)의 단부(10a)에 각각이 항상 인접할 수 있고 삽입도구(51)의 선단과 로드(13)의 단부(13a) 및 로드(10)의 단부(10a)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개재된다.
앞에서 언급한 스프링(18, 19)의 작용에 의해, 한편으로 로드(10)는 항상 코너 부재(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밀려지고(화살표 42로 표시된 방향), 다른 한편으로 코너 부재(4)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밀려진다(화살표 41로 표시된 방향).
또한, 앞에서 언급한 스프링(36, 37)의 작용에 의해, 한편으로 로드(13)는 항상 코너 부재(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밀려지고(화살표 47로 표시된 방향), 다른 한편으로 코너 부재(5)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밀려진다(화살표 48로 표시된 방향).
여기서, T-형상 렌치(53)는 회전하도록 삽입도구(51)로 삽입되고, 삽입도구(51)는 화살표(7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앞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화살표(48)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3)를 이동시키도록 요구된 힘이 화살표(4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0)를 이동시키는데 요구된 힘보다 더 약하면, 화살표(7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삽입도구(51)의 전방 이동은 화살표(48)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3)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 다음, 스프링(18)의 작용에 의해 단부(10a)가 볼(55)에 인접하는 동안 로드(10)는 화살표(4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런 방법으로, 화살표(4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된 힘과 화살표(48)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3)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된 힘이 같아질 때, 화살표(7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삽입도구(51)의 전방 이동(forward movement)에 의해 야기된 미는 힘(pushing force)은 화살표(41)의 방향으로 로드(10)를 이동시키는 힘과 화살표(48)의 방향으로 로드(13)를 이동시키는 힘으로 동일하게 분산된다. 그 결과로, 로드(10)와 로드(13)는 화살표(48, 4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일한 힘에 의해 각각 밀리기 시작한다.
한편, T-형상 렌치(53)는 삽입도구(51)로 삽입되고, 삽입도구(51)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삽입도구(51)는 화살표(7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후방(backward) 이동한다. 여기서, 로드(10)가 볼(55)에 인접함에 의한 힘이 로드(13)가 볼(55)에 인접함에 의한 힘보다 더 강해지면, 화살표(72)의 방향으로 삽입도구(51)의 후방 이동과 함께, 로드(10)의 단부(10a)가 볼(55)에 인접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화살표(4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0)가 이동한다.
로드(10)가 볼(55)에 인접하도록 만드는 힘과 로드(13)가 볼(55)에 인접하도록 만드는 힘이 동일해 질 때, 로드(10)와 로드(13)는 화살표(72)의 방향으로 삽입도구(51)의 후방 이동과 함께 화살표(42, 47)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각각 균일하게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런 후,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전달 기구의 작용에 의해, 예를 들어 로드가 화살표(48)의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캠(67)은 지지 샤프트(68) 주위에서 화살표(70)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12)는 화살표(46)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코너 부재(5)를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로드(13, 12) 중 하나인 로드(13)의 코너 부재(5)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코너 부재(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른 로드(12)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에서, 이동 기구는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1조의 코너 부재(2, 3)에 각각 배치되고 로드(10, 13, 11, 12)의 단부들(10a, 13a, 11a, 12a)에 항상 인접한다. 여기서, 로드들(10, 13, 11, 12)은 코너 부재(2, 3)와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4, 5) 사이에 배치된다. 이동 기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4, 5)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들(10, 13, 11, 12)를 이동시킨다.
이동 기구는 코너 부재(2, 3)의 각각의 코너에 장착되고, 삽입도구(51 또는 52)와 볼(55 또는 56)을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도구(51 또는 52)는 4개의 코너 부재(2, 3, 4, 5)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내측면의 개소에 연결되는 코너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볼(55, 56)은 공간 내에서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여기서 공간은 삽입도구(51 또는 52)의 선단과 로드(10, 13, 11, 12)의 단부인 단부들(10a, 13a, 11a, 12a) 사이에 형성 것이며, 로드(10, 13, 11, 12)는 각각 이동 기구를 갖는 코너 부재(2, 3)와 이동 기구를 갖는 코너 부재(2, 3)에 인접한 인접하는 코너 부재(4, 5) 사이에 배치된다. 볼(55, 56)은 로드(10, 13, 11, 12)의 단부(10a, 13a, 11a, 12a)와 삽입도구(51 또는 52)의 선단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그래서 볼은 이동 기구가 구비된 코너 부재(2 또는 3)에 인접한 로드(10, 13, 11, 12)의 단부 및 삽입도구(51 또는 52)의 선단에 각각 인접한다.
그 결과, 힘의 정밀한 균형을 유지함에 의해 로드(10, 13, 11, 12)의 각각으로 힘이 적용된다.
이동 기구가 구비된 코너 부재(2, 3)의 각각 위에, 스토퍼(stopper)가 배치되고, 스토퍼는 4개의 코너 부재(2, 3, 4, 5)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내측면을 향하는 화살표(71, 73)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삽입도구(51, 52)의 이동을 규제한다.
*스토퍼는 코너 부재(2)의 내측면 상의 코너에 있는 암스크류홀로 삽입되는 스크류(57, 58) 또는 코너 부재(3)의 내측면 상의 코너에 있는 암스크류홀로 삽입되는 스크류(60, 61)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6, 7, 8, 9)의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다. 4개의 로드(10, 11, 12, 13)의 각각은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프레임 부재(6, 7, 8, 9)의 각각을 관통하며, 지지 부재(509)에 의해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사이의 중공부 내에서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지지 부재(509)는 지지 부재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프레임 부재(6, 7, 8, 9)의 각각의 중공부 내에 배치된다.
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중공부를 갖는 프레임 부재(6)에서, 지지 부재(509)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고 프레임 부재(6)의 내부 벽의 단면 형상과 매치하는 외부 주변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코너 부재(2, 4) 사이에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로 배치된다. 로드(10)가 지지 부재(509)의 각각의 중심에 구비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기 때문에 로드(10)는 지지 부재(509)에 의해 지지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으로, 로드(10, 11, 12, 13)는 로드가 너무 길거나 또는 로드가 쉽게 구부러질 때조차 안정한 방법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구부러짐이 없이 안정한 방법으로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 사이의 로드(10, 11, 12, 13)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면에 로드(10, 11, 12, 13) 각각의 무게는 신장기구(1)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줄어든다.
앞에서 기술된 전달 기구의 작용에 의해, 로드(10)가 화살표(4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예를 들어, 캠(63)은 지지 샤프트(64) 주위에서 화살표(66)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11)는 화살표(44)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2개의 로드(10, 11) 중 하나의 로드(10)의 이동(여기서, 이동은 코너 부재(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임)은 코너 부재(4)를 향하는 방향으로 다른 로드(11)의 이동을 수반한다. 여기서, 2개의 로드(10, 11)는 코너 부재(4)를 향해 연장하고 있다.
유사하게, 로드(13)가 화살표(47)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예를 들어, 캠(67)은 지지 샤프트(68) 주위에서 화살표(69)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12)는 화살표(45)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이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 2개의 로드(12, 13) 중 하나의 로드(13)의 이동(코너 부재(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임)은 코너 부재(5)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다른 로드(12)의 이동을 수반한다. 여기서, 2개의 로드(12, 13)는 코너 부재(5)를 향해 연장하고 있다.
또한, 로드(10)가 화살표(4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캠(63)은 지지 샤프트(64) 주위에서 화살표(65)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11)는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이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 2개의 로드(10, 11) 중 하나의 로드(10)의 이동(코너 부재(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임)은 코너 부재(4)를 향하는 방향으로 다른 로드(11)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2개의 로드(12, 13)는 코너 부재(5)를 향해 연장하고 있다.
앞에서, 설명은 코너 부재(2) 상에 구비된 이동 기구에 대하여 주로 이루어져 있고, 반면에 이동 기구는 유사하게 코너 부재(3) 내에 구비될 수 있고, 여기서 코너 부재(3)는 코너 부재(2)에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며, 코너 부재(3) 내의 이동 기구도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다.
T-형상 렌치(59, 62)를 사용함에 의해, 스크류(57, 58)는 화살표(75) 또는 화살표(76)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는 스크류(60, 61)는 화살표(77) 또는 화살표(78)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고, 화살표(71, 73)의 방향으로 삽입도구(51, 52)를 밀기 위한 힘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 부재 상의 앵커링 요소에 시트 형상 소재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동 기구를 이용하여 화살표(41, 42, 43, 44, 45, 46, 47 또는 48)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0, 11, 12, 13)를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시트 형상 소재를 용이하게 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기술한 전달 기구와 이동 기구의 작용에 의해, 더 적은 조정 점에서 장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즉 이동 기구의 몇몇의 작동 단계만으로 정교한 균형을 유지하고 또는 로드(10)를 이동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장력으로 시트 형상 소재를 펼 수 있다.
[실시예2]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2에 대한 설명이 이하에 기술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언급되고,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실시예2는 다음과 같은 점들에서 실시예1과 다르다: 로드(10, 11, 12, 13)는 인접하는 코너 부재(204, 205)에 인접한 단부에서 인접하는 코너 부재(204, 205) 상에서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로드(10, 11, 12, 13)는 인접하는 코너 부재(204, 205)를 향해 연장되어 있고, 이동 기구가 구비된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1조의 코너 부재(2, 3)와 인접하는 코너 부재(204, 205) 사이에 배치된다.
로드(10, 11, 12, 13)는 이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코너 부재(2, 3)와 인접하는 코너 부재(204, 205)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인접하는 코너 부재(204, 205)를 향해 연장된 부분인 로드(10, 11, 12, 13)의 각각의 단부는 이런 인접하는 코너 부재(204, 205) 상에 각각 고정된다.
로드(10, 11, 12, 13)의 단부 상에 구비된 칼라(15, 20, 27, 32)가 각각 결합되는 그루브(204b, 204a, 205b, 205a)는 코너 부재(204, 205) 상에 형성된다. 로드(10)의 단부에의 칼라(15)는 그루브(204a)와 결합하고, 로드(11)의 단부에의 칼라(20)는 그루브(204a)에서 결합된다. 코너 부재(204)를 향해 연장된 부분인 2개의 로드(10, 11)의 단부는 코너 부재(204) 상에 고정된다.
로드(12)의 단부에의 칼라(27)는 그루브(205b)와 결합하고, 로드(13)의 단부에의 칼라(32)는 그루브(205b)에서 결합된다. 코너 부재(205)를 향해 연장된 부분인 2개의 로드(12, 13)의 단부는 코너 부재(205) 상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신장기구는 전달 기구를 가지지 않고,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기구를 갖는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1조의 코너 부재에 인접하는 각각의 코너 부재를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은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다른 막대의 이동으로 변환되고, 그리고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느 하나의 로드의 이동은 각각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다른 로드의 이동을 수반한다.
실시예2에 따르는 신장기구는 실시예1의 신장기구보다 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부품의 숫자가 절감된다.
[실시예3]
조정 점(adjusting point)이 하나로 줄어든 경우의 신장기구의 실시예3이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1 처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되고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4,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4개의 코너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코너 부재에 이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동 기구는 도 4에 도시된 코너 부재(2), 도 6에 도시된 코너 부재(3), 및 도 7에 도시된 코너 부재(113) 상에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코너 부재(2)와 도 6에 도시된 코너 부재(3) 상에 구비된 것과 같은 이동 기구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너 부재(2, 3) 상에 구비된 이동 기구과 같다.
이동 기구는 인접하는 코너 부재(104, 105)를 향하는 로드(11, 12)를 각각 이동시키고, 이동 기구는 코너 부재와 인접하는 코너 부재(104, 105)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11)와 로드(12)의 단부에 항상 인접한다. 이동 기구는 링킹 기구(linking mechanism)을 포함하고, 링킹 기구는 링킹 부재(114, 115, 120)와 핀(116, 117, 118, 119)을 갖는다.
삽입도구(52a)가 T-형상 렌치(54)를 이용함에 의해 화살표(74) 또는 화살표(7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드(11)와 로드(12)는 앞에서 언급한 링킹 기구에 의해 화살표(44 또는 43)과 화살표(45 또는 46)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T-형상 렌치(54)는 삽입도구(52a)로 삽입되고, 삽입도구(52a)는 회전되고 화살표(7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화살표(45)의 방향으로 로드(1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이 화살표(44)의 방향으로 로드(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보다 더 약하다고 가정한다면, 방향(73)으로 삽입도구(52a)의 전방 이동에 의해 야기된 미는 힘(pushing force)은 화살표(45)의 방향으로 로드(1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그 결과, 로드(11)는 링킹 기구에 의한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화살표(45)의 방향으로 로드(12)를 이동하도록 만드는 힘과 화살표(44)의 방향으로 로드(11)를 이동하도록 만드는 힘이 동일해 질 때, 방향(73)으로 삽입도구(52a)의 전방 이동에 의해 야기된 미는 힘은 화살표(44) 방향으로 로드(11)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과 화살표(44)의 방향으로 로드(12)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로드(11)와 로드(12)는 힘에 의해 동일하게 밀리고 이런 로드들은 화살표(44, 45)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기 시작한다.
T-형상 렌치(54)는 삽입도구(52a)로 삽입되고, 삽입도구(52a)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화살표(74)의 방향으로 후방 이동한다. 코너 부재(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르(11)를 이동하기 위한 힘이 코너 부재(113)을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12)를 이동하기 위한 힘보다 더 크다고 가정한다면, 로드(11)는 삽입도구(52a)가 화살표(74)의 방향으로 후방 이동하는 것과 같이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각 실시예는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와 이동 기구를 갖는 코너 부재에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코너 부재를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로드의 단부가 코너 부재 상에서 고정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 기구를 갖는 코너 부재(2)에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코너 부재(103)를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로드(11, 12)의 각 단부는 코너 부재(103) 상에 고정된다. 이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그루브(103b, 103a)는, 로드(11, 12)의 단부 상에 구비된 칼라(21, 26)가 각각 결합되는, 코너 부재(103) 상에 형성된다. 로드(11)의 단부에서의 칼라(21)는 그루브(103b)에 결합되고, 로드(12)의 단부에서의 칼라(26)는 그루브(103a)에서 결합되며, 2개의 로드(11, 12)의 각 단부는 코너 부재(103) 상에서 각각 고정된다.
도 4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신장기구는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에서의 것과 유사한 전달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의 신장기구와 비교하면, 도 4에 표시된 실시예의 신장기구는 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필요한 부품의 수는 절감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에 표시된 실시예가 도 4와 도 2에 각각 표시된 실시예와 다른점은 코너 부재(4, 5)의 배치(또는 장치)에 있다.
도 6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코너 부재(104, 105)에서, 도 6에 표시된 실시예는 도 4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코너 부재(4, 5)에 대응한다, 링킹 기구는 도 4에 표시된 경우의 캠 기구(cam mechanism)의 대신에 적용될 수 있다.
로드(10) 또는 로드(13)과 링킹 부재(107)은 핀(112)을 통하여 연결되고, 로드(11) 또는 로드(12)과 링킹 부재(106)은 핀(109)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다. 링킹 부재(108)로서 구비된 링킹 기구는 회전 가능하게 핀(110) 상에 장착되고, 링킹 기구는 핀(109, 110, 112)과 링킹 부재(106, 107, 108), 및 핀(111)을 포함하고, 핀(110)은 코너 부재(104, 105) 상에서 각각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링킹 기구가 도 6에 표시된 실시예의 코너 부재(104, 105)에 구비된 도 4에 도시된 캠 기구를 대신하여 적용될 때, 본 발명의 신장기구에 사용되는 전달 기구는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너 부재(104, 105)는 도 4의 실시예의 코너 부재(4, 5)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로드(13)가 화살표(48)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드(12)는 코너 부재(105) 상에 구비된 링킹 기구에 의해 화살표(46)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로드(13)의 코너 부재(105)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코너 부재(1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다른 로드(12)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로드(13)는 코너 부재(105)를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로드(13, 12) 중 하나일 것이다.
또한, 로드(10)가 화살표(42)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드(11)는 코너 부재(105) 상에 구비된 링킹 기구에 의해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앞에서 언급한 전달 기구의 작용에 의해, 코너 부재(104)를 향하는 방향으로 코너 부재(104)를 향해 연장하는 2개의 로드(10, 11) 중 한 로드(10)의 이동은 코너 부재(10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른 로드(11)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도 4와 도 2에 각각 표시된 실시예의 신장기구와 비교하면, 도 6에 표시된 실시예의 신장기구는 사용된 탄성체의 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7에 표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장치(또는 배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기구의 구조가 도 1, 도 4 또는 도 6에 표시된 것과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6에 표시된 실시예의 구조 및 장치(또는 배치)와 동일하다.
도 6에 표시된 실시예의 신장기구와 비교하면, 도 7의 실시예의 신장기구는 사용된 탄성체의 수를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4]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장기구의 실시예4에 대한 설명이 지금부터 기술된다.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되고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런 신장기구에서, 이동 기구는 4개의 코너 부재 중 어느 하나인 코너 부재(303) 상에 구비된다. 이동 기구는 코너 부재(303)와 코너 부재(105)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12)의 단부(12a)에 항상 인접하고, 여기서 코너 부재(105)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104, 105)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동 기구는 코너 부재(105)를 향하는 화살표(45)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2)를 이동시킨다. 코너 부재(303)와 2개의 인접하는 코너 부재(104, 105) 중 다른 코너 부재(105) 사이에 배치된 로드(11)의 단부는 이동 기구가 구비된 코너 부재(303)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동 기구가 구비된 코너 부재(303)에서, T-형상 렌치(54)가 회전하기 위하여 삽입도구(81)로 삽입될 때, 삽입도구(81)는 화살표(79)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인접하는 코너 부재(105)와 코너 부재(303) 사이에 배치된 로드(12)는 코너 부재(105)를 향하는 화살표(45)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전달 기구의 작용에 의해, 코너 부재(405, 205, 104)의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로드들 중 하나의 이동은 코너 부재(105, 202, 104)의 각각을 향하는 방향으로 다른 로드의 이동을 수반한다.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의 신장기구와 비교하여, 도 8에 표시된 실시예의 신장기구는 사용된 탄성체의 수를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5]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신장기구에 대하여 시트 형상 소재를 신장하기 위한 기구에 대한 설명에 아래에 주어져 있다.
도 9와 도 10에 표시된 각각의 예의 경우에, 리지(96)는 프레임 부재(6, 7, 8)의 각각의 상부 측면 상에 구비되고, 리지(96)와 결합하기 위한 그루브(97)는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 상에 형성되며, 시트 형상 소재(91)는 신장기구에 대하여 신장된다.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의 프레임 부재(6, 7, 8, 9)가 화살표(501, 50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밀려질 때, 리지(96)는 그루브(97)로 밀려지고 화살표(505, 506)의 방향으로 연장과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작업(operation)이 수행된다. 그 후, 시트 형상 소재는 도 10(b)와 도 11(b)에 각각 표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장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펴질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에 표시된 장치(또는 배치) 및 도 11(a)와 도 11(b)에 표시된 장치(또는 배치)에서, 프레임 부재(6, 7, 8, 9) 각각의 상부 측면 상에 구비된 리지(96)의 경사 방향(tilting direction)은 다르다. 리지는 도 10(a)과 도 10(b)에 표시된 장치의 경우에 외부 위치에서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그루브(97)로 결합되고, 반면에 도 11(a)과 도 11(b)에 표시된 장치의 내부 위치에서 결합한다.
도 13(a)와 도 13(b)의 각각 및 도 14(a)와 도 14(b)의 각각은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 상에서 신장된 시트 형상 소재(91)가 스크린 프린팅에 사용된 금속 시트인 경우와 도 12와 도 2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변 가장자리에 리지(99, ridge)가 구비된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그루브(98)가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9)의 상부 측면 상의 리지(99)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구조에서 시트 형상 소재(91)가 신장되는 경우를 기술한 것이다.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의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9)는 리지(99)를 그루브(98)로 결합하기 위하여 화살표(501, 502)의 방향으로부터 밀리고 연장(extension)과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작업은 실시예1에 설명된 바와 같이 화살표(507, 508, 505 및 506)의 방향으로 수행되며, 시트 형상 소재(91)는 도 13(b), 도 20 및 도 14(b)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장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신장된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9) 상에 구비된 그루브(97)의 경사 방향은 도 13(a)와 (b)에 표시된 장치와 도 14(a)와 (b)에 표시된 장치 사이에서 다르다. 따라서,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 상에 구비된 리지(99)는 도 13(a)과 (b)에 표시된 장치에서 외부 위치에서 결합하고, 반면에 도 14(a)와 (b)에 표시된 바와 같은 장치에서 내부 위치에서 결합한다.
앵커링 요소가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9)에 구비된 경우의 배치된 경우 대신에, 시트 형상 소재의 주변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앵커링 요소는 각각의 코너 부재(2, 3, 4, 5) 상에 구비된다.
[실시예6]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의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6이 아래에 더 기술된다. 도 1에 표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되고,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1과 실시예6이 다른 점은, 내측 피스(6a, 7a, 8a, 9a)가 내측 방향으로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의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9)로부터 신장되고, 결합 돌기(90)가 각각의 내측 피스(6a, 7a, 8a, 9a, inner piece) 상에 형성된다는 것이다.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의 프레임 부재(6, 7, 8, 9)로부터 내향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내측 피스(6a, 7a, 8a, 9a)는 도 16에 7a 및 9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6, 7, 8, 9)에 의해 형성된 평면(plane)으로부터 이러한 내측 피스가 돌출되지 않은 그러한 위치에서 각각 장착 된다. 도 16에 표시된 경우에, 다소 낮은 위치로부터 경사져 상향하는 방향으로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의 프레임 부재(9)와 프레임 부재(7)의 내측면 상에 내측 피스가 각각 구비된다. 각각의 내측 피스(7a, 9a) 위에는 결합 돌기(90)가 형성되고, 내측 피스 각각은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9)가 형성된 평면(plane)과 같이 동일한 위치에 단부 표면(end surface)을 갖는다.
도 16(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소재(91) 상의 결합구멍(92)은 각각의 내측 피스(6a, 9a) 상에 돌출된 각각의 결합 돌기(90)와 각각 결합하고, 결합된 돌기와 구멍은 피팅장치(94, fitting device)에 의해 화살표(501, 502)의 방향으로 각각 가압된다. 그 후, 장력이 도 16(b)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503)의 방향으로 펴지도록 조정된다.
내측 피스(7a, 9a)가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로부터 경사져 상향 및 내향해 배치되기 때문에, 시트 형상 소재(91)는 각각의 내측 피스(7a, 9a)의 상부 단부의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되고 도 16(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신장된며, 각각의 결합 돌기(90)의 상부 단부는 시트 형상 소재(91)가 수평 상태로 신장되는 평면 위로 상향해 돌출되지 않는다. 그 결과, 프린팅(printing) 할 때 시트 형상 소재에 의해 형성된 평면은 항상 단일 평탄한 평면과 같이 형성된다.
도 17, 도 18, 도 19, 도 20 및 도 21은 금속 시트가 실시예6에 표시된 신장기구(1) 상에서 신장된 예를 나타낸다.
금속 시트(91)에서, 4개의 코너의 각각은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기 위해 컷오프(cut off)된다. 이 컷오프 부분(510)은 금속 시트(91)의 4개의 코너가 접혀질 때 접힌 부분이 서로 중첩되는 경우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 상의 4개의 코너 부재(2, 3, 4, 5) 각각의 내측면에는, 컷오프 부분(510)의 형상과 매칭(matching)되는 그러한 형상을 갖는 돌출 부재(511)가 구비되어 있다.
돌출 부재(511)는 오퍼레이터(operator)가 신장기구(1) 상에 시트 형상 소재(91)를 펼 때 손에 상처와 같은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내측 피스(6a, 7a, 8a, 9a)는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의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9)의 내측에 내향되게 배치되고, 결합 돌기(90)는 각각의 내측 피스(6a, 7a, 8a, 9a) 상에 돌출된다.
이런 결합 돌기(90)는 도 17에 표시된 바와 같은 직선 배치로 설계되거나 또는 도 20에 표시된 바와 같은 신장기구(1)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 배치로 설계된다.
*결합 돌기(90)는 도 1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바깥 가장자리가 정렬된 것처럼 배치되고,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돌기(92, 93) 각각은 적어도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가 도 23(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신장기구(1)의 내향 방향으로 볼록한 구부러진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90)는 적어도 돌기의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가 직선으로 배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90)의 배치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9)의 각각에 대하여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의 중심으로부터 그려진 직선에 수직이다.
한편, 시트 형상 소재(93)의 주변 가장자리 상에 구비된 결합 돌기(92, 93)는 각각의 내측 피스(6a, 7a, 8a, 9a)의 바깥 측면 상에 배치된 결합 구멍(93)의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가 더 바깥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내측 피스(6a, 7a, 8a, 9a) 상의 중심에 인접한 위치 상에 배치된 결합돌기(92)의 바깥 가장자리는 도 23(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더 내부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런 방법으로, 결합 돌기(92, 93)는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가 적어도 아크 형상(arc shape)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아크 형상은 신장기구(1)의 내부를 향하는 내향 볼록 내에서 구부러진 형상이다.
여기서, 도 23(a)에 표시된 시트 형상 소재(91)는 도 17에 표시된 신장기구(1) 상에서 예비적으로 펴지고, 결합돌기(90)와 결합 구멍(92, 93)의 관계는 도 18에 나타나 있다.
그 후, 펴짐과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작업(operation)이 실시예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되고, 결합돌기(90)와 결합 구멍(92, 93)의 관계는 도 19에 나타나 있으며, 시트 형상 소재(91)는 균일한 장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펴질 수 있다.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 상에 배치된 결합 구멍(92, 93)의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들이 적어도 아크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측 피스(6a)의 바깥 측면 상에 배치된 각각의 결합 구멍(93)은 타원형상으로 설계되거나 도 23(a)와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직선과 2개의 반원에 의해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아크 형상은 신장기구(1)의 내부를 향하는 내향 볼록 내에서 구부러진 형상이다.
추가적으로, 내측 피스(6a)의 바깥 측면 상에 배치된 결합 구멍(93)은, 도 23(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피스(6a)의 중심에 인접한 내측면 상에 배치된 결합 돌기(9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풀 라운드니스(full roundness)가 구비된 원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원이 시트 형상 소재(91)의 바깥 주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direct) 하기 위하여 결합 구멍은 도 23(d)에 표시된 바와 같이 더 큰 직경을 갖는 원 상에 배치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원의 형태, 소위 눈사람과 같은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구멍은 점점 작아지는 단부(tapered end)가 시트 형상 소재(91)의 바깥 주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direct) 도 23(e)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tapered shape)을 갖는 눈물 방울(tear drop)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결합 돌기(90)가 신장기구(1)의 내부를 향하는 내향 볼록 내에서 구부러진 형상인 아크 형상(arc shape)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도 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 상에 배치된 결합 구멍(92, 93)은, 도 24(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일 직선으로 정렬된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로 및 신장기구(1)의 내부를 향하는 내향 볼록 내에서 구부러진 형상인 아크 형상을 형성하는 내부 가장자리의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90)는 신장기구(1)의 바깥 측면을 향하는 바깥 돌기 내에서 구부러진 배치를 형성하는 아크(arc) 내에 배치된다.
한편,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에 배치된 결합 구멍(92, 93)은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가 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직선은 각각의 프레임 부재(6, 7, 8 및 9)에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 중심으로부터 그려진(drawn) 직선에 수직이다.
내측 피스(6a, 7a, 8a, 9a)의 외부 측면 상에 배치된 결합 구멍(93)의 내부 가장자리의 위치는 더 내부의 위치에서 배치되고, 내측 피스(6a, 7a, 8a, 9a)의 중심에 인접하여 배치된 결합 구멍(92)의 내부 가장자리의 위치는 더 바깥 위치에 배치된다. 이런 방법으로, 결합 구멍(92, 93)은 적어도 내부 가장자리의 위치들이 아크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여기서 아크 형상은 신장기구(1)의 바깥 측면을 향하는 바깥 돌기 내에서 구부러진 형상이다.
도 24(a)에 나타난 시트 형상 소재(91)가 도 20에 나타난 신장기구(1) 상에 펴질 때, 결합 돌기(9)와 결합 구멍(92, 93)의 관계는 도 21과 같이 표시된다.
그런 후, 펴짐(stretching)과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작업이 실시예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면, 결합 돌기(90)와 결합 구멍(92, 93)의 관계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고, 시트 형상 소재(91)는 균일한 장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펴질 수 있다.
도 24(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가 직선 배치로 정렬되고 내부 가장자리의 위치가 바깥 가장자리의 위치가 신장기구(1)의 바깥 측면을 향하는 바깥 돌기 내에서 구부러진 형상인 아크 형상을 형성하도록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 상에 배치된 결합 구멍(92, 93)가 설계되기 위하여, 내측 피스(6a)의 바깥 측면 상에 배치된 결합 구멍(93)은 도 23(a)와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타원으로 설계되거나 2개의 반원과 2개의 직선에 의해 형성된 타원으로 설계될 것이다.
추가로, 내측 피스(6a)의 바깥 측면 상에 배치된 바와 같은 결합 구멍(93)은, 도 24(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피스(6a)의 중심에 인접한 내측면 상에 배치된 결합 구멍(9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풀 라운드니스(full roundness)가 구비된 원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원(93a)이 시트 형상 소재(91)의 바깥 주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direct) 하기 위하여 결합 구멍은 도 2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더 큰 직경을 갖는 원 상에 배치된 더 작은 직경의 원을 갖는 형태, 소위 눈사람과 같은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23(e)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결합 구멍은 점점 작아지는 단부(tapered end)가 시트 형상 소재(91)의 바깥 주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direct) 점점 작아지는 형상(tapered shape)을 갖는 눈물 방울(tear drop)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의 프레임 부재(6, 7, 8, 9)로부터 각각 신장된 내측 피스(6a, 7a, 8a, 9a)는, 아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로부터 경사져 내향 및 상향하도록 배치된다.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1) 상에서 펴질 시트 형상 소재가 금속 시트 또는 메시-같은 소재인 경우에, 프레임에 부착되고 앵커링 홀(131, anchoring hole)은 프레임의 4개의 코너에 각각 배치되며, 결합돌기(130)가 도 25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코너 부재(2, 3, 4, 5)의 상부 측면 상의 앵커링 홀(anchoring hole)과 결합되도록 설계함에 의해 시트 형상 소재 상의 불필요한 장력의 적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응용성(applicability)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는 금속, 수지, 가죽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형, 메시-같은 형상, 평면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소재를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응용성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는 스크린 프린팅과 같은 프린팅 분야에서 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에 프린팅 시트(printing sheet)를 준비하기 위한 기구로서 또는 페인팅(painting)을 위한 캔버스(canvas)를 준비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는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가 사용된다면, 펴질 시트 형상 소재는 용이하게 부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고, 이는 사용된 공간의 절감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광고판 표시 패널(signboard display panel)용 프레임 본제, 프린팅 표시 패널(printing display panel)용 프레임 본체, 픽쳐 프레임(picture frame)용 프레임 본체, 또는 포스터 또는 깃발을 신장하기 위한 프레임 본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는 신장기구가 사용된 경우에, 펴질 시트 형상 소재는 용이하게 부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사용된 공간의 절감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진공식 접촉 시트(vacuum contact sheet)용 프레임 또는 사진 필름(photographic film)을 신장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장기구는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발광 표시 패널, 유기 전기발광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 이미지 프로젝션(image projection)을 위한 스크린, 또는 스테인드글라스(stained glass), 라이트 픽스쳐(light fixture) 등을 위한 광 전송 패널(light transmission panel)을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창문 프레임, 텐트, 창문, 문, 스크린 도어(screen door), 벽, 천장, 바닥, 지붕, 파티션(partition) 등을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테이블, 선반, 또는 다양한 형태의 물체를 건조하는 데 사용되는 랙(rack)과 같은 스탠드(stand) 또는 랙(rack), 물체가 적재되는 테이블, 파티션, 커텐 등을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구(furniture) 또는 가전제품(household appliance)에 사용되는 응용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침대의 매트리스, 또는 의자 시트(seat)를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침대 또는 의자의 단단함(hardness)은 바람직하게 장력을 변화시킴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거울 본체를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에 따르면, 미러-피니쉬(mirror-finish)를 갖는 소재는 바람직하게 장력에 의해 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충분한 평탄함(flatness)이 유지될 수 있고, 또는 신장기구는 큰-사이트 또는 경량무계(lightweight) 설계를 적절히 적합하게 하고 매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안테나를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 신장기구는 라켓의 거트(gut)가 펴질 때 또는 트램펄린(trampoline)용 네트(net)가 펴질 때 또는 볼 게임(ball game)을 위한 리풀션 벽(repulsion wall) 또는 타겟의 연장(extension)을 위하여 또는 바리케이트를 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타악기에 사용되는 가죽, 현악기 또는 키보드 악기(keyboard instrument)의 공명판을 신장하기 위한 기구, 또는 스피커 콘(speaker cone)과 같은 물체를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비행기의 날개 또는 프로펠러, 또는 풍력 발전의 회전식 베인(rotary vane)을 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물고기 그물과 같은 그물-같은 또는 메시-같은 소재, 또는 수산양식에 사용되는 직선 또는 줄-같은 소재를 신장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런 그물-같은, 메시-같은, 직선 또는 줄-같은 소재를 펴기 위해 및 그 위에 배치된 소재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신장기구는 요리에서 잡아당기는데(straining in cooking)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장기구는 비행기를 제조하기 위한 경량 패널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장기구에 따르면, 장력이 펴질 시트 형상 소재에 대하여 모든 방향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신장기구의 장치는 잠금 기구(fastening tool), 분리 기구(separating tool), 바이스(vise) 등과 같은 기계장치 기구 분야, 또는 터널 건축, 해안 또는 강-둑 보호 작업, 또는 피트 프롭(pit props)의 설치 또는 목재 채굴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
2, 3, 4, 5 코너 부재
6, 7, 8, 9 프레임 부재
6a, 7a, 8a, 9a 내측 피스
10, 11, 12, 13 로드
10a 로드(10)의 단부
10b 로드(10)의 단부 개소
11a 로드(11)의 단부
11b 로드(11)의 단부 개소
12a 로드(12)의 단부
12b 로드(12)의 단부 개소
13a 로드(13)의 단부
13b 로드(13)의 단부 개소
14, 15, 20, 21, 26, 27, 32, 33 칼라(collar)
18, 19, 24, 25, 30, 31, 36, 37 탄성체(스프링)
16, 17, 22, 23, 28, 29, 34, 35 코너 부재의 바깥 가장자리
51, 51a, 52, 52a 삽입도구
53, 54, 59, 62, T-형상 렌치(T-shaped wrench)
55, 56 볼(ball)
57, 58, 60, 61 스크류
63, 67 캠
63a 캠(63)의 일 측면
63b 캠(63)의 다른 측면
64, 68 지지 샤프트(support shaft)
67a, 67b 캠(67)의 일 측면
90 결합 돌기(engaging projection)
91 시트 형상 소재
92, 93 결합구멍(engaging hole)
96 그루브(97)와 결합하는 리지
97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에 배치된 그루브
98 리지(99)와 결합하는 그루브
99 시트 형상 소재(91)의 주변 가장자리에 배치된 리지
104, 105 코너 부재
114, 115, 120 링킹 부재(linking piecce)
116, 117, 118, 119 핀(pin)
131 시트 형상 소재(91)의 4개의 코너에 각각 구비된 앵커링 홀
130 코너 부재의 상부 측 상에 배치된 결합돌기
103b, 103a, 204a, 204b, 205a, 205b 그루브
104, 105 코너 부재
106, 107, 108 링킹 부재
109, 110, 111, 112 핀
204, 205, 303 코너 부재

Claims (12)

  1. 장방 형상을 가지고,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원형의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직경이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내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2.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와 결합되고 견인되는 방향으로 긴 달걀 형상의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견인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내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3.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에 결합되고 견인되는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의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견인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내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4.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와 결합되고 견인되는 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의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견인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내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5.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와 결합되고 견인되는 방향에 배치된 견인되는 부분이 작은 2개의 원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견인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내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6.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와 결합하는 원형의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직경이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외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7.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와 결합되고 견인되는 방향으로 긴 달걀 형상의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견인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외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8.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와 결합되고 견인되는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의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견인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외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9.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와 결합되고 견인되는 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눈물방울 형상의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견인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외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10. 장방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에, 시트 신장기구의 결합 돌기와 결합되고 견인되는 방향에 배치된 견인되는 부분이 작은 2개의 원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결합구멍(92, 93)이 형성되고,
    결합구멍(92, 93)의 견인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장방 형상의 주연의 중앙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결합구멍(92, 93)의 외측단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11. 장방 형상을 가지며,
    장방형의 4개의 코너가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컷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 소재.
  12. 대향되게 배치된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각각이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신장기구에 장착된 장방 형상을 가지는 시트 형상 소재로서,
    금속 시트의 4개의 코너가 접혀질 때 접힌 부분이 서로 중첩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4개의 코너가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컷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시트.
KR1020157036160A 2006-02-08 2007-02-08 금속시트의 신장기구 KR101819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31145 2006-02-08
JP2006031145A JP2009101514A (ja) 2006-02-08 2006-02-08 シート状素材の張設具
PCT/JP2007/052211 WO2007091630A1 (ja) 2006-02-08 2007-02-08 シート状素材の張設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166A Division KR20150046364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859A Division KR20170053734A (ko) 2006-02-08 2007-02-08 금속시트의 신장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30A true KR20160003330A (ko) 2016-01-08
KR101819603B1 KR101819603B1 (ko) 2018-02-22

Family

ID=38345224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160A KR101819603B1 (ko) 2006-02-08 2007-02-08 금속시트의 신장기구
KR1020157036161A KR20160003331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
KR1020177011859A KR20170053734A (ko) 2006-02-08 2007-02-08 금속시트의 신장기구
KR1020157009166A KR20150046364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
KR1020087019906A KR20080110580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같은 재료의 연장 툴
KR1020177009103A KR20170055977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같은 재료의 연장 툴
KR1020187028250A KR20180110232A (ko) 2006-02-08 2007-02-08 금속시트의 신장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161A KR20160003331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
KR1020177011859A KR20170053734A (ko) 2006-02-08 2007-02-08 금속시트의 신장기구
KR1020157009166A KR20150046364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형상 소재의 신장기구
KR1020087019906A KR20080110580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같은 재료의 연장 툴
KR1020177009103A KR20170055977A (ko) 2006-02-08 2007-02-08 시트 같은 재료의 연장 툴
KR1020187028250A KR20180110232A (ko) 2006-02-08 2007-02-08 금속시트의 신장기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44526B2 (ko)
EP (3) EP1982834A4 (ko)
JP (1) JP2009101514A (ko)
KR (7) KR101819603B1 (ko)
CN (2) CN101426650B (ko)
AU (1) AU2007213036B8 (ko)
BR (1) BRPI0706978B1 (ko)
HK (1) HK1131771A1 (ko)
MX (1) MX2008010206A (ko)
MY (1) MY165775A (ko)
RU (1) RU2422286C2 (ko)
SG (1) SG169391A1 (ko)
TW (2) TWI422492B (ko)
WO (1) WO2007091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5493A (en) 2007-10-08 2009-06-17 Dek Int Gmbh Frame assembly for tensioning de-mountable printing screens
JP5344694B2 (ja) * 2009-07-01 2013-11-20 Nke株式会社 張力付加装置
EP2529931A4 (en) * 2010-01-29 2014-06-18 Furetsu Kasuya SCREEN STRETCH FRAME
US20120162760A1 (en) * 2010-12-23 2012-06-28 Yin-Wen Chen Portable Projection Screen
TW201313489A (zh) * 2011-09-16 2013-04-01 Askey Technology Jiangsu Ltd 佈錫於印刷電路板用的網板
TW201315322A (zh) * 2011-09-16 2013-04-01 Askey Technology Jiangsu Ltd 佈錫於印刷電路板用的固定框及組合式固定裝置
CN103042819A (zh) * 2011-10-13 2013-04-17 亚旭电子科技(江苏)有限公司 布锡于印刷电路板用的网板
WO2013061438A1 (ja) * 2011-10-27 2013-05-02 株式会社メイコー スクリーン印刷版
WO2015019384A1 (ja) * 2013-08-07 2015-02-12 株式会社辰巳菱機 風力発電装置
HU4533U (en) * 2014-10-18 2015-04-28 Péter Kászli Stencil frame
JP6936992B2 (ja) * 2015-03-23 2021-09-22 粕谷 普烈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10189299B2 (en) 2015-07-21 2019-01-29 Tracer Imaging Llc System for mounting a covering upon a frame
CA3023027A1 (en) * 2016-05-13 2017-11-16 Tracer Imaging Llc System for mounting a covering upon a frame
US10039392B2 (en) * 2016-06-23 2018-08-07 Vitali Servutas Modular poster print stretch frame
WO2018119135A2 (en) 2016-12-20 2018-06-28 Tracer Imaging Llc System for retaining an image within a frame
JP6971579B2 (ja) * 2017-01-27 2021-11-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タクト印刷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クリーン版
KR200486814Y1 (ko) * 2017-05-23 2018-07-03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CN107672294B (zh) * 2017-11-10 2020-06-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丝网印刷装置以及用于调整其印刷丝网的张力的方法
BE1025762B1 (nl) * 2017-12-08 2019-07-08 Peleman Industries Naamloze Vennootschap Inrichting voor opspannen van een canvas
DK3762241T3 (da) * 2018-03-03 2023-01-16 Gesplan Gestion Conseil Inc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at spænde et lærred på en ramme
US11419436B2 (en) 2019-06-19 2022-08-23 Tracer Imaging Llc Method for retaining a substrate within a frame
GB2586610A (en) * 2019-08-28 2021-03-03 Asm Assembly Systems Singapore Pte Ltd Reinforced tensioning frame
CN110549620B (zh) * 2019-09-16 2022-12-09 杭州聚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配合3d打印机底板使用的脱模纸绷紧固定装置
JP7006725B2 (ja) * 2020-05-28 2022-01-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タクト印刷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クリーン版
CN111845025A (zh) * 2020-07-02 2020-10-30 惠州市特创电子科技有限公司 印刷网版及其制备方法、施工方法、应用
RU203504U1 (ru) * 2020-07-20 2021-04-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Евробокс" Интерьерная картина для раскрашивания по номерам
CA3186739A1 (en) 2020-07-31 2022-02-03 Steven M. Spiro Snap-fit framing system
KR20230115532A (ko) 2022-01-27 2023-08-03 (주)플렉시고 샘플의 스트레치 테스트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샘플의 스트레치 테스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5165A (en) 1968-01-08 1969-12-23 Richard G Hughes Silk-screening frame
US3482343A (en) 1968-01-22 1969-12-09 Kaino J Hamu Frame for stressing sheet material
US3914887A (en) * 1974-10-07 1975-10-28 Stretch Devices Inc Artist{3 s canvas tensioning and painting frame
AT345242B (de) * 1974-10-22 1978-09-11 Zimmer Peter Flachschablone fuer den textildruck
US3949500A (en) * 1975-08-27 1976-04-13 Dorothy Connors Adjustable needlepoint holding frame
NL7612062A (en) * 1976-10-29 1978-05-03 Guido Nicola Painters canvas tensioning frame - has mitred members with slotted mitre face to receive Y=shaped element and wedge tightened by screw nut (PT 12.10.77)
US4144660A (en) * 1977-08-09 1979-03-20 Art Products, Inc. Adjustable stretching frame
JPS55136533U (ko) 1979-03-20 1980-09-29
JPS5953134B2 (ja) 1979-04-09 1984-12-24 株式会社日本アルミ キヤツプシ−ル用口金の成形方法
US4625440A (en) * 1985-07-29 1986-12-02 The Dow Chemical Company Tentering frame for sheet-like members
JPH01141027A (ja) 1987-11-27 1989-06-02 Nok Corp ポリアミド樹脂とクロロプレンゴムの接着方法
JPH01141027U (ko) 1988-03-22 1989-09-27
JPH0219532A (ja) 1988-07-04 1990-01-23 Kazuo Yamazaki 複合糸
JPH0737868Y2 (ja) * 1988-07-27 1995-08-30 富士通株式会社 印刷用メタルマスクの固定構造
JPH0737134B2 (ja) * 1988-10-11 1995-04-26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US5163367A (en) * 1989-09-06 1992-11-17 Stretch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adjustment of printing frame
WO1992003231A1 (en) 1990-08-20 1992-03-05 Carpenter Robert C Adjustable tension silk screen frame
US5076162A (en) 1990-10-04 1991-12-31 Goin Bobby G Expandable mesh frame
US5113611A (en) 1991-05-11 1992-05-19 Rosson Gene T Expandable screen tensioning frame with expansion devices
US5390596A (en) 1992-01-06 1995-02-21 Farr; Gregory C. Stretching system for flexible planar materials
US5271171A (en) 1992-02-10 1993-12-21 Smith David C Compressible and expandable stretching frame with adjustable corner brackets
US5379691A (en) 1992-09-14 1995-01-10 Hamu; Alan J. Screen printing frame assembly with screen anchors
US5265534A (en) 1993-03-23 1993-11-30 Hamu Kaino J Screen roller printing frame improvements
US5941171A (en) * 1994-11-05 1999-08-24 Bebro-Electronic Bengel & Bross Gmbh Stencil holder
GB2292115B (en) * 1994-11-17 1996-07-10 Nicholas Mark Baker Solder stencil mounting frame
EP0817683A4 (en) * 1995-02-17 1999-04-21 Gregory C Farr CLAMPING DEVICE FOR A FLEXIBLE SURFACE MATERIAL
GB2356809B (en) * 1999-11-16 2001-10-17 Robert Anthony Peppett Screens
US6493968B2 (en) * 2000-01-11 2002-12-17 Clyde J. Chinitz Frame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tching flexible material
JP3292194B2 (ja) * 2000-02-01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印刷用版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方法
US6427588B1 (en) 2000-09-05 2002-08-06 Christopher Kline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tensioning a silk screen
DE10061304A1 (de) * 2000-12-08 2002-01-03 Mechatronic Systems Gmbh Ak Schnellspannrahmen für Druckschablonen des Sieb- und Schablonendrucks
JP3596762B2 (ja) * 2001-01-12 2004-12-02 東海商事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用メタルマスク板
WO2002055304A1 (fr) 2001-01-16 2002-07-18 Furetsu Kasuya Pochoir pour serigraphie, planche tramee, cadre de pochoir, procede de collage de pochoir, procede d'agrandissement de pochoir, toile support de peinture, feuille publicitaire et miroir plat
JP4013485B2 (ja) * 2001-02-16 2007-11-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軸挿入装置
US6494134B2 (en) * 2001-04-17 2002-12-17 Gunter Erdmann Frame for foil stencil and stencil foil assembly
DE10145244B4 (de) * 2001-09-13 2005-10-13 Manfred Kluth Beleuchtungskörper
US8069783B2 (en) * 2002-05-02 2011-12-06 Dek Vectorguard Limited Printing screens, frames therefor and printing screen units
FR2840851B1 (fr) * 2002-06-13 2004-09-03 Novatec Sa Soc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 pochoir de serigraphie adapte permettant de dissocier le traitement des phases de remplissage et de moulage
CN1323835C (zh) * 2002-08-21 2007-07-04 唐纽曼 具有预应力加力部件的丝网印刷框架
JP2004262216A (ja) * 2003-03-04 2004-09-24 Daishin Seiki:Kk クリーム半田印刷用メタルマスクとメタルマスクのセット枠
DE102004028448B4 (de) * 2004-06-14 2007-08-02 Lpkf Laser & Elektronika D.O.O. Schutzvorrichtung zum Halten einer Druckschablone und Schablonenspannrah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2834A1 (en) 2008-10-22
AU2007213036B2 (en) 2012-02-16
WO2007091630A1 (ja) 2007-08-16
EP2522512A3 (en) 2013-12-04
KR20080110580A (ko) 2008-12-18
US20090031593A1 (en) 2009-02-05
TWI378866B (ko) 2012-12-11
RU2422286C2 (ru) 2011-06-27
AU2007213036A1 (en) 2007-08-16
SG169391A1 (en) 2011-03-30
AU2007213036B8 (en) 2012-07-05
HK1131771A1 (en) 2010-02-05
KR20170053734A (ko) 2017-05-16
KR20160003331A (ko) 2016-01-08
EP1982834A4 (en) 2010-04-14
EP2522512A2 (en) 2012-11-14
EP2522511A2 (en) 2012-11-14
MX2008010206A (es) 2009-01-27
KR20150046364A (ko) 2015-04-29
CN101426650B (zh) 2010-12-01
EP2522511A3 (en) 2014-03-19
TW201113156A (en) 2011-04-16
KR20170055977A (ko) 2017-05-22
MY165775A (en) 2018-04-24
BRPI0706978B1 (pt) 2018-09-18
RU2008135962A (ru) 2010-03-20
JP2009101514A (ja) 2009-05-14
CN102009522A (zh) 2011-04-13
BRPI0706978A2 (pt) 2011-04-12
KR20180110232A (ko) 2018-10-08
TWI422492B (zh) 2014-01-11
US7644526B2 (en) 2010-01-12
TW200744853A (en) 2007-12-16
KR101819603B1 (ko) 2018-02-22
CN101426650A (zh)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603B1 (ko) 금속시트의 신장기구
TWI273336B (en) Self-standing manual lifting screen
US5113611A (en) Expandable screen tensioning frame with expansion devices
JP4679853B2 (ja) シート状素材の張設具
JP5106582B2 (ja) シート状素材張設具
JP5106620B2 (ja) シート状素材及びシート状素材張設具
JP5022473B2 (ja) シート状素材張設具
JP5106581B2 (ja) シート状素材張設具
JP5179541B2 (ja) シート状素材
KR20060052642A (ko) 현수막 거치대
JP2012058679A (ja) 光学映像投影用半球スクリーン
KR100828227B1 (ko) 광고면 설치대
KR20210008751A (ko) 다용도 체결장치
JPH02282237A (ja) スクリーン装置
CA2273442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stretched banner, in particular for a display panel
KR20190127298A (ko) 조립식 다리
KR20160106030A (ko) 파라솔
KR20140134427A (ko) 접이식 의자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