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814Y1 -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814Y1
KR200486814Y1 KR2020170002532U KR20170002532U KR200486814Y1 KR 200486814 Y1 KR200486814 Y1 KR 200486814Y1 KR 2020170002532 U KR2020170002532 U KR 2020170002532U KR 20170002532 U KR20170002532 U KR 20170002532U KR 200486814 Y1 KR200486814 Y1 KR 200486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tension
tension adjusting
circuit boa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화
오승훈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알브이테크
Priority to KR2020170002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부; 및 상기 측면 프레임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LED의 광을 투과시키는 판형 확산 부재인 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는, 상기 확산부의 제1 부분을 고정 지지하고, 패널 형태의 부재가 안착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고정 프레임부; 및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는 패널로,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핀을 통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확산부의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시소 운동을 통하여 상기 확산부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LED LIGHTING DEVICE WITH PANEL FOR CONTROLLING TENSION OF DIFFUSE PLATE}
본 고안은 LED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확산판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확산판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전력 소비로 높은 휘도를 발생시키고, 친환경적이며, 수명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최근 들어 다양한 조명장치로 응용되고 있는데, 경관조명등, 광고용 조명등, 기타 일반 조명장치 등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를 이용한 종래의 조명 기구는 복수개의 LED가 장착된 회로기판이 조명용 프레임에 설치된 것으로서, 확산판을 통해 LED 광원의 빛을 확산시킨다. 한편, 최근 LED 조명 기구가 대면적화되면서 이에 따라 확산판 역시 그 면적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확산판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 확산판이 하측을 향하도록 LED 조명 기구가 설치될 경우, 확산판의 자중에 의해 확산판의 중심부가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확산판은 LED 광원의 빛을 외부로 확산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확산판이 휘어질 경우, LED 광원의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0419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확산판이 LED 조명 프레임이 부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패널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확산판의 장력을 조절하고, 이를 통하여 확산판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부; 및 상기 측면 프레임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LED의 광을 투과시키는 판형 확산 부재인 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는, 상기 확산부의 제1 부분을 고정 지지하고, 패널 형태의 부재가 안착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고정 프레임부; 및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는 패널로,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핀을 통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확산부의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시소 운동을 통하여 상기 확산부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력 조정부는 상기 축핀의 주위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복수의 무두볼트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장력 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무두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핀의 축방향을 시소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무두볼트가 회전하여 상기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확산부의 장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무두볼트가 회전하여 상기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확산부의 장력이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확산판이 연결된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짐으로써, 확산판에 가해지는 장력을 증가시켜 확산판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확산판이 결합된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짐으로써, 확산판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소시켜 IR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오목하게 휘어진 확산판의 중심부를 향하여 모여진 상태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서 측면 프레임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서 측면 프레임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서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서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명용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서 측면 프레임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서 측면 프레임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는 발광부(미도시), 측면 프레임부(1) 및 확산부(2)를 포함한다.
먼저, 발광부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LED를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부(1)는 회로기판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고정 프레임부(100) 및 장력 조정부(200)를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부(1)는 사각 조명 기구 형태인 경우 사각 회로 기판의 네 면을 둘러싸기 위하여 각각 4개의 고정 프레임부(100) 및 장력 조정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측면 프레임부(1)는 금속재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압출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프레임부(1)를 프로파일로 구성하는 경우 프로파일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측면 프레임부(1)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부(1)의 고정 프레임부(100)는 상하면에 복수개의 제1 나사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나사홀(110)은 고정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사 등의 결합부재(1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면에는 후술할 LED 조명 기구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버는 금속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프레임부(100)의 제1 나사홀(110)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즉, 나사 등의 결합부재가 커버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고정 프레임부(100)의 제1 나사홀(1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는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발광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프레임부(100)는 상하면에 제1 나사홀(110) 대신에 레일형 너트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레일형 너트홈은 고정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 너트(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너트(미도시)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판스프링이 레일형 너트홈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레일형 너트홈에 삽입된 스프링 너트는 레일형 너트홈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하면에 레일형 너트홈이 형성될 경우, 나사홀의 위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고정 프레임부(100)에 제1 나사홀(110) 또는 레일형 너트홈을 선택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프레임부(100)는 타면, 즉, 조명 기구의 내측에 해당하는 면에 회로기판의 일측이 삽입되는 기판홈(13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홈(130)은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즉, 장력 조정부(200)가 위치한 고정 프레임부(100)의 하부에 확산부(2)가 장착되면, 확산부(2)와 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이 적절하도록 기판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LED가 발광하면 광이 확산부(2)를 통해 투과되는데, 확산부(2)는 반투명한 광투과성 아크릴 재질로 형성된 판형 확산 부재일 수 있으므로, LED의 종류에 따라 내부의 복수의 LED가 보일 수 있다. 즉, 확산부(2)와 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복수의 LED가 그대로 눈에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IR(Infrared ray) LED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이므로 확산부(2)를 통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않게 하기 위해서는 확산부(2)와 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이 약 4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이트 LED는 눈에 보이는 빛이므로 확산부(2)를 통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확산부(2)와 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이 약 3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LED의 종류에 따라 확산부(2)와 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은 일정 간격 이상으로 떨어질 필요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LED의 종류에 따라 기판홈(130)의 위치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확산부(2)와 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프레임부(100)는 하부 중앙에 장력 조정부(200)가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 프레임부(100)의 삽입홈은 장력 조정부(200)의 형태에 대응한 모양으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 조정부(200)가 무두 볼트(40)가 형성된 부분은 얇고 그 외 부분(210)은 두꺼운 경우에는 그에 맞게 삽입홈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장력 조정부(200)의 하면은 제2 나사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사홀(220)은 장력 조정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나사 등의 결합부재(1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부(2)는 고정 프레임부(100)의 제1 나사홀(110) 및 장력 조정부(200)의 제2 나사홀(220)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즉, 나사 등의 결합부재(10)가 확산부(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고정 프레임부(100)의 제1 나사홀(11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 프레임부(100)의 하면과 접하는 확산부(2)의 제1 부분은 고정 프레임부(100)에 고정 지지된다. 또한, 결합부재(10)가 확산부(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장력 조정부(200)의 제2 나사홀(220)에 결합됨으로써, 장력 조정부(200)의 하면과 접하는 확산부(2)의 제2 부분은 장력 조정부(200)에 연결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두볼트(40)의 일단은 고정 프레임부(100)의 단턱면(161)에 접하면서 전후 방향(축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은 억제되는 한편 회전 운동은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무두볼트(40)의 타단은 렌치, 스패너 등의 외부 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복수의 관통홀(240)에 결합된 복수의 무두볼트(40)의 타단이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회전하면, 장력 조정부(200)의 상측 및 하측은 복수의 무두볼트(40)가 결합되어 회전 운동이 억제되는 한편 직선 운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복수의 무두볼트(40)의 회전 운동이 장력 조정부(20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축핀(30)을 기준으로 시소 운동을 하듯이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장력 조정부(200)의 시소 운동을 통하여, 장력 조정부(200)와 연결된 확산부(2)의 제2 부분은 장력이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서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에서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 기구는 확산부(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확산부(2)는 가장자리만이 고정 프레임부(100) 및 장력 조정부(20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자중에 의해 확산부(2)의 중심부가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확산부(2)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 심화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무두볼트(40)을 회전시킬 경우, 복수의 무두볼트(40)가 결합된 장력 조정부(200)의 하측은 축핀(30)의 축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력 조정부(200)에 연결된 확산부(2)의 제2 부분에 가해지는 장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부(2)는 휘어진 중심부가 외측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휘어지지 않고 평평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확산부(2)를 평평하게 유지함으로써 광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카메라 모듈 등의 광학 소자 검사용 LED 조명 기구의 경우, 조명과 일정 간격을 두고 검사용 차트가 설치되는 경우에 확산부(2)의 중심부가 아래로 휘어짐에 따라 검사용 차트의 형태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무두볼트(40)을 회전시킬 경우, 복수의 무두볼트(40)가 결합된 장력 조정부(200)의 하측은 축핀(30)의 축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장력 조정부(200)에 연결된 확산부(2)의 제2 부분에 가해지는 장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부(2)는 중심부가 오목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LED가 IR LED인 경우, IR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오목하게 휘어진 확산부(2)의 중심부를 향하여 모여진 상태로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LED의 광을 확산부(2)의 중심부를 향하여 모여진 상태로 투과시키고자 할 경우, 확산부(2)에 연결된 장력 조정부(200)를 이용하여 확산부(2)의 제2 부분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확산부(2)의 중심부를 오목하게 휘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장력 조정부(2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렌치, 스패너 등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의 무두볼트(40c, 40d)를 나사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부의 무두볼트(40a, 40b)를 나사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무두볼트(40)의 일측은 단턱면(161)에 의해 고정되고 무두볼트(40)의 풀어지거나 조여지는 힘은 장력 조정부(200)의 패널을 축핀(30)의 축방향을 시소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시키는 힘으로 전환되는 바, 장력 조정부(200)의 패널이 도 4의 아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된다. 즉, 장력 조정부(2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확산부(2)인 판형 확산 부재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렌치, 스패너 등의 외부 장치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의 무두볼트(40c, 40d)를 나사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부의 무두볼트(40a, 40b)를 나사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무두볼트(40)의 일측은 단턱면(161)에 의해 고정되고 무두볼트(40)의 풀어지거나 조여지는 힘은 장력 조정부(200)의 패널을 축핀(30)의 축방향을 시소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시키는 힘으로 전환되는 바, 장력 조정부(200)의 패널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된다. 즉, 장력 조정부(2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확산부(2)인 판형 확산 부재의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측면 프레임부 2: 확산부
30: 축핀 40: 무두볼트
100: 고정 프레임부 200: 장력 조정부

Claims (4)

  1.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측면 프레임부; 및
    상기 측면 프레임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LED의 광을 투과시키는 판형 확산 부재인 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는,
    상기 확산부의 제1 부분을 고정 지지하고, 패널 형태의 부재가 안착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고정 프레임부; 및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는 패널로,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핀을 통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확산부의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시소 운동을 통하여 상기 확산부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정부를 포함하는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정부는 상기 축핀의 주위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복수의 무두볼트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장력 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무두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핀의 축방향을 시소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하는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두볼트가 회전하여 상기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외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확산부의 장력이 증가하는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두볼트가 회전하여 상기 장력 조정부의 하측이 내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확산부의 장력이 감소하는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KR2020170002532U 2017-05-23 2017-05-23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KR200486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32U KR200486814Y1 (ko) 2017-05-23 2017-05-23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532U KR200486814Y1 (ko) 2017-05-23 2017-05-23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14Y1 true KR200486814Y1 (ko) 2018-07-03

Family

ID=6290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32U KR200486814Y1 (ko) 2017-05-23 2017-05-23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87A (ko) 2018-10-23 2020-05-06 (주)나린 엘이디 조명기구
KR20200094973A (ko) 2019-01-31 2020-08-10 (주)나린 안정기 및 led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조명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593A1 (en) * 2006-02-08 2009-02-05 Furetsu Kasuya Extending Tool of Sheet-Like Material
JP2009134251A (ja) * 2007-08-08 2009-06-18 Rohm & Haas Denmark Finance As 拘束された非対称拡散体を備える光学素子
KR101070419B1 (ko) 2010-04-22 2011-10-06 주태문 Led 조명장치
KR20140127607A (ko) * 2013-04-25 2014-11-04 고충훈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1593A1 (en) * 2006-02-08 2009-02-05 Furetsu Kasuya Extending Tool of Sheet-Like Material
JP2009134251A (ja) * 2007-08-08 2009-06-18 Rohm & Haas Denmark Finance As 拘束された非対称拡散体を備える光学素子
KR101070419B1 (ko) 2010-04-22 2011-10-06 주태문 Led 조명장치
KR20140127607A (ko) * 2013-04-25 2014-11-04 고충훈 조명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87A (ko) 2018-10-23 2020-05-06 (주)나린 엘이디 조명기구
KR20200094973A (ko) 2019-01-31 2020-08-10 (주)나린 안정기 및 led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5021B2 (ja) 照明装置
US8439522B2 (en) Angle-adjusting LED lighting apparatus
JP4564917B2 (ja) Led照明灯
JP6103201B2 (ja) 照明器具
KR101221196B1 (ko) 매입형 led 평판조명기구
WO2009034762A9 (ja) 照明装置
KR200486814Y1 (ko) 확산판 장력 조정 패널을 구비한 led 조명 기구
JP2011014316A (ja) 照明装置
JP6238173B2 (ja) Led照明器具
JP2009283140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KR20140120088A (ko) 천장직착식 led조명등기구
KR101931972B1 (ko) 조명장치
JP6298252B2 (ja) 照明器具
WO2009031240A1 (ja) 自発光型の発光装置
KR101506435B1 (ko) 일자형 엘이디 기판과 일자형 압출렌즈를 이용한 엘이디 면발광 조명기구
KR20140145061A (ko) 직관형 발광램프 및 조명기구
JP6460805B2 (ja) 照明器具
KR102447527B1 (ko) 조명 장치
KR101812320B1 (ko) 조명 장치
KR100972633B1 (ko) 형광램프 대체용 led 램프의 제작방법 및 배광방법
WO2012157145A1 (ja) 照明装置
KR101824150B1 (ko) 조명 장치
KR20210151269A (ko) 평판형 조명장치
JP2016076457A (ja) 電球型照明装置
KR101502869B1 (ko)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