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869B1 -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 Google Patents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869B1
KR101502869B1 KR1020130042791A KR20130042791A KR101502869B1 KR 101502869 B1 KR101502869 B1 KR 101502869B1 KR 1020130042791 A KR1020130042791 A KR 1020130042791A KR 20130042791 A KR20130042791 A KR 20130042791A KR 101502869 B1 KR101502869 B1 KR 101502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lens
led module
lamp housing
support bol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088A (ko
Inventor
강재인
곽구희
장명윤
Original Assignee
곽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구희 filed Critical 곽구희
Priority to KR102013004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86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LED모듈과 편볼록렌즈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광원인 LED소자로 부터 발광되는 광속(루멘)을 균일하게 피사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하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이루고 있는 등기구 하우징(10)과; 상기 등기구 하우징(1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져 있으며, 저면이 일정곡률의 곡면부를 이루고 상면은 평탄면을 형성하는 편볼록렌즈(20)와; 상기 등기구 하우징(10) 내부에서 편볼록렌즈(20)에 대항하여 다수의 LED소자가 구비되어져 있는 LED모듈(30)과; 상기 LED모듈(30)을 지지하기 위해 연결 구성되어진 지지볼트(40)와; 상기 LED모듈(3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등기구 하우징(10) 상부에서 지지볼트(40)에 나사결합되어진 조절너트(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구형의 편볼록렌즈를 장착시켜 광원인 엘이디소자로 부터 발광되는 광속을 균일하게 피사체에 비춰줌으로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등기구는 용도나 설치장소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요한 조도를 달리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공장이나 작업장의 경우 조도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밝기에 따라 균일하게 조사되지 않거나 조명등의 직하부를 조금만 벗어나도 조도가 많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정밀작업의 경우 오작동이 우려되며 작업자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LED조명등의 경우 광원이 도달되는 직하부를 약간만 벗어나거나 또는 기계장비들의 이동이 있을 경우 시인성에 많은 변화가 유발되고 있다.
한편, 종래 등기구의 일 예로 특허등록 제552927호(엘이디 조명등)에서는 복수의 엘이디를 배열한 엘이디 모듈 전방에 반구형의 구면렌즈를 설치하여 보다 넓은 구역에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엘이디 모듈과 구면렌즈 상호간의 거리가 고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여건에 따른 균일한 밝기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등기구 사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반구형의 편볼록렌즈와 엘이디 모듈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등기구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피사체의 여건에 따른 균일한 밝기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등기구는,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하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이루고 있는 등기구 하우징과; 상기 등기구 하우징의 하단부에 고정되어져 있으며, 저면이 일정곡률의 곡면부를 이루고 상면은 평탄면을 형성하는 편볼록렌즈와; 상기 등기구 하우징 내부에서 편볼록렌즈에 대항하여 다수의 LED소자가 구비되어져 있는 LED모듈과; 상기 LED모듈을 지지하기 위해 연결 구성되어진 지지볼트와; 상기 LED모듈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등기구 하우징 상부에서 지지볼트에 나사결합되어진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는, LED모듈과 편볼록렌즈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 광원인 LED소자로 부터 발광되는 광속(루멘)을 균일하게 피사체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부 단면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 등기구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등기구의 동작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의 분리상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등기구의 수평방향 설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등기구 하우징(10)은 하향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등기구 하우징(10)의 하단부에는 저면이 일정곡률의 곡면부를 이루고 상면은 평탄면을 형성하는 편볼록렌즈(20)가 고정 설치되고, 등기구 하우징(10) 내부에서 편볼록렌즈(20)에 대항하여 다수의 LED소자가 구비되어져 있는 LED모듈(30)가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구비되며, LED모듈(30)은 일정 길이를 이루고 있는 지지볼트(40)가 상부에 연결 구성되었고, 등기구 하우징(10) 상부에서 LED모듈(3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절너트(50)가 지지볼트(40)에 나사결합되어져 있다.
특히, 등기구 하우징(10)의 후단부에는 가이드브라켓(11)이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조절너트(50)는 가이드브라켓(11) 내에서 지지볼트(40)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조절너트(50) 상부에는 지지볼트(4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너트(55)가 지지볼트(40)에 나사체결되었다.
한편, LED모듈(30) 후면에는 LED구동에 따른 발생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갓(31)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LED모듈(30)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선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등기구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등기구는 가이드브라켓(11)에 별도의 거치용 고리를 장착하여 다양한 위치에 거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이 인가되어짐에 따라 LED모듈(30)의 구동이 이루어짐으로서 발생된 광은 편볼록렌즈(2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저면이 볼록하고 상면은 평탄면을 이루고 있는 편볼록렌즈(20)의 특성으로 인하여 광의 집중 또는 확산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즉 초점거리에 위치할 때에는 렌즈에 빛이 도달하면 렌즈의 축과 평행하게 전달이 되어지고, 초점거리 이내에 위치할때는 빛이 렌즈축에서 확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LED모듈(30)의 높이를 적절하게 승강시켜서 편볼록렌즈(20)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서 필요에 따른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즉, LED모듈(30)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유격너트(55)를 돌려서 일정 거리 하강시킨 상태에서 조절너트(50)를 돌려주게 되면 지지볼트(40) 와의 나사작용으로 인해 도 4에서와 같이 지지볼트(40)가 상승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LED모듈(30)의 상승이 이루어짐으로서 편볼록렌즈(20) 와의 거리가 증가 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유격너트(55)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가이드브라켓(11)에 밀착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지지볼트(4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LED모듈(30)의 하강시에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함으로서 편볼록렌즈(20)와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절너트(50)를 이용하여 LED모듈(30)과 편볼록렌즈(20)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서, 피사체의 여건에 따라 광속을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등기구 하우징(10) 내벽면에는 복수의 개소에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2)과 대응되는 LED모듈(3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32)가 돌출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등기구 하우징(10) 내에서 LED모듈(30)의 회전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가이드홈(12)을 따라 보다 안정적인 직선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등기구 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등기구가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상태가 도시되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작업장 담벼락이나 펜스 등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후미진 지역을 비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등기구 하우징 11 : 가이드브라켓
20 : 편볼록렌즈 30 : LED모듈
40 : 지지볼트 50 : 조절너트
55 : 유격너트

Claims (4)

  1.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하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이루고 있는 등기구 하우징(10)과, 상기 등기구 하우징(1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져 있으며, 저면이 일정곡률의 곡면부를 이루고 상면은 평탄면을 형성하는 편볼록렌즈(20)와, 상기 등기구 하우징(10) 내부에서 편볼록렌즈(20)에 대항하여 다수의 LED소자가 구비되어져 있는 LED모듈(30)과, 상기 LED모듈(30)을 지지하기 위해 연결 구성되어진 지지볼트(40)와, 상기 LED모듈(3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등기구 하우징(10) 상부에서 지지볼트(40)에 나사결합되어진 조절너트(50)로 구성되는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 하우징(10)의 후단부에는 가이드브라켓(11)이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조절너트(50)는 가이드브라켓(11) 내에서 지지볼트(40)에 나사 체결됨과 함께 조절너트(50) 상부에는 지지볼트(4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너트(55)가 지지볼트(40)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등기구 하우징(10) 내벽면에는 복수의 개소에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2)과 대응되는 LED모듈(3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32)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볼록렌조를 이용한 등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30) 후면에는 LED구동에 따른 발생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갓(31)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4. 삭제
KR1020130042791A 2013-04-18 2013-04-18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KR101502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791A KR101502869B1 (ko) 2013-04-18 2013-04-18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791A KR101502869B1 (ko) 2013-04-18 2013-04-18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088A KR20140125088A (ko) 2014-10-28
KR101502869B1 true KR101502869B1 (ko) 2015-03-17

Family

ID=5199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791A KR101502869B1 (ko) 2013-04-18 2013-04-18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8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086A (ko) * 2006-11-02 2008-05-08 주식회사 다원전기에너지사업부 고휘도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090104589A (ko) * 2008-03-31 2009-10-06 김성식 방사각 조절형 스포트램프
KR100919760B1 (ko) * 2009-01-23 2009-10-14 김진헌 집광구조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02817B1 (ko) * 2011-03-31 2012-11-20 엠엔티(주) 수냉식 방열부가 구비된 치과 수술용 엘이디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086A (ko) * 2006-11-02 2008-05-08 주식회사 다원전기에너지사업부 고휘도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090104589A (ko) * 2008-03-31 2009-10-06 김성식 방사각 조절형 스포트램프
KR100919760B1 (ko) * 2009-01-23 2009-10-14 김진헌 집광구조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02817B1 (ko) * 2011-03-31 2012-11-20 엠엔티(주) 수냉식 방열부가 구비된 치과 수술용 엘이디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088A (ko)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4324B2 (en) LED-based illumination assembly with adjustable irradiation angle
KR101221196B1 (ko) 매입형 led 평판조명기구
TWI452232B (zh) Lens and lighting device
US9091417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reflector and outer lens
KR101215381B1 (ko) 조명 장치
KR100856725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등
JP2013140792A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KR100936942B1 (ko) 조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KR20170000589A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KR101274014B1 (ko) 빛 조사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조명기기
JP2009277552A (ja) Led照明器具
KR200485097Y1 (ko)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가로등
KR101027438B1 (ko) 엘이디조명등기구의 반원구조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장치
KR101779062B1 (ko) 경관조명용 led 등기구
JP2015159028A (ja) 配光角可変型ダウンライト
KR101541889B1 (ko) 산업용 엘이디(led) 조명 램프
KR101502869B1 (ko) 편볼록렌즈를 이용한 등기구
CN102767701B (zh) Led广角度球泡灯
KR20090008917U (ko) 엘이디 광원 인쇄회로 기판을 빗각으로 지지하여 방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매입형 엘이디 형광등 등 기구 장치.
KR102112523B1 (ko) 조명기구
CN103672461A (zh) 发光二极管灯具
CN101258358B (zh) 发光光学模块
US20170328554A1 (en) Led light source apparatus
KR101339039B1 (ko)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 장치
CN215001239U (zh) 一种模组led明装式筒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