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342A - 마찰 전동 벨트 - Google Patents

마찰 전동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342A
KR20150135342A KR1020157027957A KR20157027957A KR20150135342A KR 20150135342 A KR20150135342 A KR 20150135342A KR 1020157027957 A KR1020157027957 A KR 1020157027957A KR 20157027957 A KR20157027957 A KR 20157027957A KR 20150135342 A KR20150135342 A KR 20150135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einforcing cloth
rubber
pulley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871B1 (ko
Inventor
김성진
히데아키 카와하라
오사무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1/10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textile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08Toothed driv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10Driving belts having wedge-shaped cross-section
    • B29D29/103Multi-ribbed driving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06Driving-belts made of rubber
    • F16G1/08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1/12Driving-belts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metal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5/0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textile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16G5/1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with metal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2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벨트 본체(10)가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마찰 전동 벨트에 있어서, 벨트 본체(10)의 적어도 풀리 접촉측 표면은, 편포(編布)인 보강포(reinforced fabric)(14)에 의해 피복된다. 보강포(14)는, 앞이 외측이 되도록 풀리 접촉측 표면을 피복한다.

Description

마찰 전동 벨트{FRICTION TRANSMISSION BELT}
본원은, 마찰 전동 벨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 모터 등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구동축과 종동축에 풀리 등을 고정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각각의 풀리에 V 리브드 벨트(V-ribbed belt), V 벨트 등의 전동벨트를 걸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벨트는, 예를 들어, 운전 중에 물에 젖은 때에 스틱 슬립(stick slip) 등으로 불리는 현상을 일으키는 것, 즉, 전동벨트와 풀리와의 사이에서 슬립이 생겨, 이상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동벨트의 슬립음은, 장치 소음의 원인이 되므로, 여러 가지 대책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V 벨트나 V 리브드 벨트를 리브 풀리에 감아 걸어 사용할 때, 풀리 접촉 부분을 저(低) 마찰계수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V 리브의 표면을 천에 의해 피복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벨트 본체 전체가 통형상의 커버포로 피복된 V 벨트, 평벨트 등이 개시되고, 커버포로서 편물(編物)을 이용하여도 된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접착처리된 보강포(reinforced fabric)를 벨트 표면에 구비한 전동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벨트의 배면(背面)에 편물을 갖는 벨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성 5-27259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0-291743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03-51420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3에 대해서는, 이상음을 억제하는 관점에 대해서는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라, 한층 더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전동벨트의 목적은, 물에 젖은 때 등의 이상음 억제 효과를 더욱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들은 벨트의 풀리 접촉면을 피복하는 보강포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를 행하고, 편포(編布)를 이용할 시에는 이 표리(表裏) 및 방향(웨일(wale)방향·코스(course)방향)의 차이가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에 주목하였다. 특히, 편포의 표리가 의외로 이상음 내구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초래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에 상도(想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마찰 전동 벨트는,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벨트 본체가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마찰 전동 벨트에 있어서, 벨트 본체의 적어도 풀리 접촉측의 표면은, 편포인 보강포에 의해 피복되고, 보강포는, 앞이 외측이 되도록 풀리 접촉측의 표면을 피복한다.
이와 같은 마찰 전동 벨트에 의하면, 마찰의 억제, 내(耐)마모성의 향상, 양산성(量産性) 등이 우수하고, 물에 젖은 때 등의 이상음 억제 효과가 높은 마찰 전동 벨트가 실현된다.
또한, 벨트 본체의 풀리 접촉측의 표면에서, 보강포의 웨일방향은, 마찰 전동 벨트의 주행방향이고, 보강포의 적어도 일부는, 벨트 본체를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에 매설(埋設)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마찰의 억제, 내마모성의 향상 및 양산성 등에 대해, 더욱 우수한 마찰 전동 벨트가 된다.
마찰 전동 벨트는, 벨트 내주(內周)측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V 리브를 갖는 V 리브드 벨트이며, 보강포는, 상기 V 리브의 표면을 피복하여도 된다.
본 개시의 마찰 전동 벨트는, V 리브드 벨트에 있어서도 양호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개시의 마찰 전동 벨트는, 마찰의 억제, 내(耐)마모성, 양산성, 이상음 억제의 효과 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V 리브드 벨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도 2(c)는, 평짜기(plain knitting)의 구조에 대해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V 리브드 벨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편포의 절단방법에 대해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웨일방향 조인트용 니트와, 이를 통형상으로 접착한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코스방향 조인트용 니트와, 이를 통형상으로 접착한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이상음 내구시험에서의 벨트 주행시험기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내(耐)마모성 시험에서의 벨트 주행시험기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벨트 본체에 대한 리브측 보강포의 접착성 시험방법에 대해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V 리브드 벨트)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예시적 V 리브드 벨트(B)를 나타낸다. 이 V 리브드 벨트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엔진 룸 내에 설치되는 보조기계(補助機械) 구동 벨트 전동장치에 이용되는 것이며, 벨트 둘레길이 700∼3000㎜, 벨트 폭 10∼36㎜, 및 벨트 두께 4.0∼5.0㎜로 형성된다.
이 V 리브드 벨트(B)는, 벨트 외주(外周)측의 접착 고무층(11)과, 벨트 내주(內周)측의 압축 고무층(12)과의 이중 층(層)으로 구성된 벨트 본체(10)를 구비한다. 벨트 본체(10)의 벨트 외주측 표면에는, 배면 고무층(17)이 붙여진다. 벨트 본체(10)의 리브측 표면에는, 편포(니트)인 리브측 보강포(14)가 형성된다. 또한, 접착 고무층(11)에는, 심선(16)이 벨트 폭 방향으로 피치를 갖는 나선을 형성하도록 매설(埋設)된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접착 고무층(11)은, 단면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두께 1.0∼2.5㎜이다. 접착 고무층(11)은, 원료 고무성분에 여러 가지 배합제가 배합된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 고무층(11)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의 원료 고무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ethylene propylene rubber)나 에틸렌프로필렌 디엔모노머 고무(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등의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ethylene-α-olefin elastomer), 클로로프렌고무(CR; chloroprene rubbe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고무(CSM;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rubber), 수소 첨가 아크릴로 니트릴고무(HNBR)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내열성(耐熱性) 및 내한성(耐寒性)의 점에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접착 고무층(11)에 이용되는 배합제로서는, 예를 들어, 가교제(예를 들어, 유황, 유기과산화물), 노화방지제, 가공조제(加工助劑), 가소제(可塑劑), 카본 블랙 등의 보강재, 충전재 등을 들 수 있다. 접착 고무층(11)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에는, 단섬유(短纖維)가 배합되어도 되나, 심선(16)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는 단섬유가 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착 고무층(11)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원료 고무성분에 배합제를 배합하여, 혼련(混鍊)한 미가교(未架橋) 고무 조성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가교제에 의해 가교시킨 것이다.
다음에, 심선(16)은, 접착 고무층(11)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벨트 폭 방향으로 피치를 갖는 나선을 형성하도록 매설된다. 심선(16)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섬유, 아라미드 섬유, 비닐론 섬유, 폴리케톤(polyketone) 섬유 등의 꼰 실(twisted yarn)(16’)로 구성된다. 심선(16)은, 예를 들어 바깥 지름이 0.7∼1.1㎜이다. 심선(16)에는, 벨트 본체(10)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성형 가공 전에 RFL 수용액에 침지(浸漬)한 후에 가열하는 접착처리, 및/또는, 고무풀에 침지한 후에 건조시키는 접착처리가 실시된다.
다음에, 압축 고무층(12)에는, 복수의 V 리브(13)가 벨트 내주(內周)측에 늘어지도록(수하(垂下)하도록) 형성된다. 이들 복수의 V 리브(13)는, 각각이 벨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斷面)이 거의 삼각형인 돌조형로 형성됨과 동시에, 벨트 폭 방향으로 나열 형성된다. 각 V 리브(13)는, 예를 들어, 리브 높이가 2.0∼3.0㎜, 기단(基端) 사이의 폭이 1.0∼3.6㎜이다. 또, 리브 수는, 예를 들어, 3∼6개이다(도 1에서는, 리브 수가 6개).
또한, 압축 고무층(12)은, 원료 고무성분에 여러 가지 배합제가 배합된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압축 고무층(12)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의 원료 고무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 디엔모노머 고무(EPDM) 등의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 클로로프렌고무(C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고무(CSM), 수소 첨가 아크릴로 니트릴 고무(HNBR)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내열성 및 내한성의 점에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압축 고무층(12)에 이용되는 배합제로서는, 예를 들어, 가교제(예를 들어, 유황, 유기과산화물), 노화방지제, 가공조제, 가소제, 카본 블랙 등의 보강재, 충전재, 단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압축 고무층(12)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원료 고무성분에 배합제를 배합하여, 혼련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가교제에 의해 가교시킨 것이다.
압축 고무층(12)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에 배합되는 단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 단섬유, 비닐론 단섬유, 아라미드 단섬유,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면 단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단섬유는, 예를 들어, 길이가 0.2∼5.0㎜, 및, 섬유 지름이 10∼50㎛이다. 단섬유는, 예를 들어, RFL 수용액 등에 침지(浸漬)한 후에 가열하는 접착처리가 실시된 장섬유를,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단섬유 중 일부분은, V 리브(13) 표면에 분산되어 노출되어도 되며, V 리브(13) 표면에 노출된 단섬유는, V 리브(13)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도 된다.
접착 고무층(11)과 압축 고무층(12)은, 다른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며, 완전히 동일한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다음에, 배면 고무층(17)은, 접착 고무층(11)과 마찬가지의 원료 고무성분 및 배합제로 이루어진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단, 벨트 배면과 평풀리와의 접촉에 의해 점착(粘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배면 고무층(17)은, 접착 고무층(11)보다 약간 단단한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 고무층(17)의 두께는 예를 들어 0.4㎜∼0.8㎜이다. 배면 고무층(17) 표면에는, 벨트 배면이 접촉하는 평풀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직포의 결(texture)이 전사(轉寫)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면 고무층(17) 대신에, 배면측 보강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면측 보강포는, 예를 들어, 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실을 이용하여, 평직(平織), 능직(綾織), 주자직(朱子織) 등으로 제직(製織)한 천 재료, 편물(編物), 부직포 등에 의해 구성된다. 배면측 보강포는, 벨트 본체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성형 가공 전에 RFL 수용액에 침지하여 가열하는 접착처리, 및/또는, 벨트 본체(10)측이 되는 표면에 고무풀을 코팅하여 건조시키는 접착처리가 실시된다.
다음에, 벨트 본체(10)의 리브측 표면을 피복하는 리브측 보강포(14)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면, 나일론 섬유 등을 가연(假撚) 가공(울리 가공)하여 얻어지는 울리(wooly) 가공사, 또는,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심사(芯絲)로 하고 피복할 실로 커버링한 커버링사(covering yarn) 등을 편포로 한 것이다.
리브측 보강포(14)는, RFL 층에 의해 섬유 표면이 피복된다. RFL 피막은, 마찰계수 저하제를 분산된 상태로 함유한다. 마찰계수 저하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tetrafluoroethylene-ethylene copolymer),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tetrafluoroetylene-perfluoroalkylvinylether copolymer)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마찰계수 저하제로서는, 가장 마찰계수 저하 효과가 높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의 입자가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측 보강포(14)가 마찰계수 저하제를 함유한 RFL 피막에 의해 표면 피복되므로, 먼지나 녹이 발생하는 환경 하에서 사용된 경우라도, 리브측 보강포(14)의 내부에까지 먼지나 녹이 부착하는 일 없이, 저(低) 마찰계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마찰계수가 크게 되어 벨트가 조기에 마모되는 문제, 마찰계수가 큼에 따라 이상음이 발생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편포 구조 중 하나인 평짜기(천축(天竺) 짜기)에 대해, 도 2(a)∼도 2(c)에 나타낸다. 도 2(a)의 짜기(knitting)구조에서, A-B선의 방향을 웨일(wale)방향, C-D선의 방향을 코스(course)방향이라 한다. 또한, 도 2(b)에는 평짜기의 앞, 도 2(c)에는 평짜기의 뒤를 나타낸다. 도 2(b)에 나타내는 편포의 앞에서는, 편포를 구성하는 실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1)이 상측이 된다. 도 2(c)에 나타내는 편포의 뒤에서는, 편포를 구성하는 실의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2)이 상측이 된다.
리브측 보강포(14)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1.0㎜이다. 또한, 리브측 보강포(14)의 실의 밀도는, 코의 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55∼80코스/2.54㎜이며 또한 40∼70웨일/2.54㎜이다.
여기서, 리브측 보강포(14)는, 앞이 외측이 되도록(V 리브드 벨트(B)를 보았을 때, 앞이 보이도록) 벨트 본체(10)의 리브측 표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리브측 보강포(14)의 뒤가 외측이 되는 경우보다, 마찰의 억제, 내마모성, 이상음의 억제 등이 우수하다.
그 이유로는,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먼저, 리브측 보강포(14)를 구성하는 실은, 부분적으로 벨트 본체의 고무에 매설되어, 일부만이 표면에 나온 상태가 된다. 여기서, 실이 표면에 많이 나와 있는 쪽이, 마모의 억제 등의 효과가 높다.
리브측 보강포(14)의 앞이 외측이 된 경우, 편포를 구성하는 실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1)이 벨트 표면에 나오고,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2)이 벨트의 고무에 매설되게 된다. 도 2(b) 및 도 2(c)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1)과,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2)을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21) 쪽이 2배 정도 길다. 따라서, 벨트 표면에 보다 많은 실(섬유)이 위치하게 되므로, 앞을 외측으로 하는 쪽이 마모의 억제 등의 각종 효과는 높다.
또한, 리브측 보강포(14)는, 웨일방향이 V 리브드 벨트(B)의 벨트 주행방향이 되도록 벨트 본체(10)의 리브측 표면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리브측 보강포(14)의 코스방향이 벨트 주행방향으로 되는 경우보다, 풀리에 접촉할 시의 슬라이딩 저항이 억제되어, 마찰의 억제, 내마모성, 이상음 억제 등이 향상된다.
리브측 보강포(14)에는, 2개의 편포의 접속단(端)이 연속하도록 접속된 부분인 조인트부를 갖는다.
여기서, 조인트부를 벨트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면,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조인트부가 벨트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구성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조인트부는, 열 압착됨에 따라 융착 접속된 것이다. 조인트부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리브측 보강포(14)가 편포의 앞을 외측으로 함과 동시에 웨일방향을 벨트 주행방향으로 하여 벨트 본체(10)의 풀리 접촉측의 표면(리브측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마찰의 억제, 내마모성, 이상음 억제 등이 우수한 마찰 전동 벨트인 V 리브드 벨트(B)가 실현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3∼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벨트 본체의 재료 준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접착 고무층(11) 및 압축 고무층(12)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 고무재료(11a’, 11b’), 및 압축 고무재료(12’)를 제작하고, 또한, 심선(16)이 되는 꼰 실(16’)에 공지된 접착처리를 행한다.
-보강포 제조-
먼저, 편포(14’)에 RFL 접착처리를 행하기 위한 PTFE 함유 RFL 수용액을 제조한다. PTFE 함유 RFL 수용액은, 레조르신(resorcin)과 포르말린(formalin)과의 초기 축합물에 라텍스를 혼합한 것에, 추가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PTFE) 등의 마찰계수 저하제를 배합하여 제조한다. RFL 수용액의 고형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10∼30질량%이다. 레조르신(R)과 포르말린(F)과의 몰비(mol ratio)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R/F=1/1∼1/2이다. 라텍스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디엔모노머 고무 라텍스(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latex),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라텍스(EPR; ethylene propylene rubber latex), 클로로프렌 고무 라텍스(C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라텍스(CSM), 수소 첨가 아크릴로 니트릴 고무 라텍스(HNBR) 등을 들 수 있다. 레조르신과 포르말린과의 초기 축합물(RF)과 라텍스(L)의 질량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RF/L=1/5∼1/20로 한다. 마찰계수 저하제는, 예를 들어, 배합량이 RFL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10∼50질량부이다.
이 RFL 수용액에 편포(14’)를 침지한 후, 건조로(乾燥爐)를 이용하여 120∼170℃에서 가열 건조한다. 이 때, RFL 수용액의 수분이 비산(飛散)됨과 동시에 레조르신과 포르말린과의 축합반응이 진행되어, 편포(14’)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RFL 피막이 형성된다. RFL 부착량은, 예를 들어, 편포(14’)의 100질량부에 대해 5∼30질량부이다.
이어서, RFL 피막에 의해 표면 피복된 편포(14’)를, 통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를 위해서는, 편포(14’)를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여, 이 절단편(fragment)의 양단(兩端) 변끼리를 맞추도록 하여 접어 겹치고, 이들의 양단 변의 위치를 초음파 가열장치 상에 세팅함과 동시에, 이들 상방(上方)에 커터를 장착한다. 그리고, 초음파 가열장치에 의해 고주파수(예를 들어, 10∼30㎑)의 진동을 부여함과 동시에 열 압착하고, 동시에 커터로 이 열 압착한 부분을 절단하여, 접힌 상태의 편포(14’)를 펼쳐 통형상의 편포(14’)를 형성한다.
이 때의 절단방법에 의해, 편포(14’)의 웨일방향 및 코스방향 중 어느 한 쪽이 벨트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지가 정해진다. 또한, 접는 방법에 의해, 편포(14’)의 표리 중 어느 한 쪽이 V 리브드 벨트(B)의 외측이 되는 지가 정해진다(물론, 통형상으로 형성한 후에 뒤집는 것은 가능하다).
도 5에는, 편포(14’)의 절단 방법에 대해 나타낸다. 도 5에서, 앞을 외측으로 하여 통형상으로 감긴 편포(14’)의 일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편포(14’)는, 펼쳐진 부분의 도면에 나타난 면(面)이 뒤이며, 이 반대측(및 감겨진 부분의 도면에 나타난 면)이 앞이다. 또한, 편포(14’)의 길이방향이 웨일방향이며, 폭 방향이 코스방향이다.
도 5에서, 웨일방향 양단에 조인트부(53)를 갖도록 절단된 웨일방향 조인트용 니트(51)의 형상과, 코스방향 양단에 조인트부(53)를 갖도록 절단된 코스방향 조인트용 니트(52)의 형상이 나타난다. 어느 쪽도 평행 사변형으로 절단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벨트 사용 시(역(逆)굽힘 시)에 리브 선단(先端)의 조인트부(53)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내(耐)균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형상이다.
도 6에는, 웨일방향 조인트용 니트(51)와, 이를 양단의 조인트부(53)에서 접착하여, 원통형으로 한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를 나타낸다. 단, 상기와 같이 열 압착과 동시에 절단을 행하여도 된다.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에 있어서, 원(元) 편포(14’)의 폭이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의 폭이 되며, 편포(14’) 길이방향의 조인트부(53)끼리 사이의 거리가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의 둘레 길이가 된다. 따라서,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에 대해, 폭은 편포(14’)의 폭에 의해 결정되며, 둘레 길이는 조인트부(53)끼리의 거리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평짜기의 편포의 경우, 코스방향의 신장률(伸長率) 쪽이 웨일방향의 신장률보다 크다. 따라서,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에서, 폭 방향의 신장률 쪽이 둘레 길이방향의 신장률보다 크게 된다. 이에 대해, 십자로 교차하는 화살표의 길이로 나타낸다.
또한, 도 7에는, 코스방향 조인트용 니트(52)와, 이를 양단의 조인트부(53)에서 접착하여, 원통형으로 한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를 나타낸다.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에서, 원 편포(14’)의 폭 방향이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의 둘레 길이방향이 된다. 따라서,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의 둘레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복수 장의 코스방향 조인트용 니트(52)를 연결시킬 필요가 있고, 그 경우에는 조인트부(53)가 복수(도 7에서는 2개) 존재하게 된다.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의 경우, 편포의 방향에 따른 신장률의 차이로부터, 둘레 길이방향의 신장률 쪽이 폭 방향의 신장률보다 크게 된다. 이에 대해서도, 교차하는 화살표의 길이로 나타낸다.
-V 리브드 벨트의 성형-
다음에, V 리브드 벨트(B)의 제조방법을, 도 3 및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벨트 성형장치(30)를 사용한다. 벨트 성형장치(30)는, 원통형의 고무 슬리브틀(rubber sleeve mold)(31)과, 이를 감합(嵌合)하는 원통형 외틀(outer mold)(32)을 구비한다.
고무 슬리브틀(31)은, 예를 들어 아크릴 고무제의 가요성(可撓性)의 것이며, 원통 내측으로부터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고무 슬리브틀(31)을 반지름방향 외방(外方)으로 팽창시켜, 원통형 외틀(32)에 압접(壓接)시킬 수 있다. 고무 슬리브틀(31)의 외주면(外周面)은, 예를 들어, V 리브드 벨트(B)의 배면측이 되는 면을 평활하게 성형하기 위한 형상이 된다. 고무 슬리브틀(31)은, 예를 들어, 바깥 지름이 700∼2800㎜, 두께가 8∼20㎜, 및 높이가 500∼1000㎜이다.
원통형 외틀(32)은, 예를 들어 금속제의 것이며, 내측면에, V 리브드 벨트(B)의 V 리브(13)를 형성하기 위한 단면이 거의 삼각형인 돌조(rib)부(32a)가, 둘레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높이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된다. 돌조부(32a)는, 예를 들어, 높이방향으로 140개 나열 형성된다. 원통형 외틀(32)은, 예를 들어, 바깥 지름이 830∼2930㎜, 안쪽 지름(돌조부(32a)를 포함하지 않음)이 730∼2830㎜, 높이가 500∼1000㎜, 돌조부(32a)의 높이가 2.0∼2.5㎜, 및 돌조부(32a) 1개당 폭이 3.5∼3.6㎜이다.
이 벨트 성형장치(30)에 순차로 벨트 재료를 세팅한다. 먼저, 배면 고무층(17)이 되는 통형상의 고무 시트(17’)를 고무 슬리브틀(31)에 끼운 후, 시트상의 접착 고무재료(11a’)를 감음과 동시에 꼰 실(16’)을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복수 감는다. 이 때, 고무 슬리브틀(31)의 높이방향으로 피치를 갖는 나선을 형성하도록 꼰 실(16’)을 감는다. 이어서, 꼰 실(16’)의 위로부터 시트상의 접착 고무재료(11b’)를 감아, 추가로, 시트상의 압축 고무재료(12’)를 감는다. 그리고, 압축 고무재료(12’)의 위로부터 통형상의 편포(14’), 즉,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 또는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를 끼워 넣는다. 이 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슬리브틀(31) 쪽으로부터 차례로, 고무 시트(17’), 접착 고무재료(11a’), 꼰 실(16’), 접착 고무재료(11b’), 압축 고무재료(12’), 및 편포(14’)가 적층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이들 외측에 원통형 외틀(32)을 장착한다.
이어서, 원통형 외틀(32)을 고무 슬리브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고무 슬리브틀(31)에, 예를 들어 고온의 수증기를 공급하여 열 및 압력을 가한다. 이에 의해, 고무 슬리브틀(31)을 팽창시켜 원통형 외틀(32)에 압접시키고, 고무 슬리브틀(31)과 원통형 외틀(32)에 의해 벨트 재료를 사이에 끼운다. 이 때 벨트 재료는, 예를 들어, 온도가 150∼180℃가 되고, 반지름방향 외방으로 0.5∼1.0㎫의 압력이 가해진 상태가 된다. 이로써, 고무 성분이 유동(流動)함과 동시에 가교반응이 진행되고, 편포(14’) 및 꼰 실(16’)로의 접착반응도 진행되며, 또한, V 리브(13) 형성부인 원통형 외틀(32)의 내측면의 돌조부(32a)에 의해 V 리브(13) 사이의 V 홈이 성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V 리브를 갖는 벨트 슬래브(slab)(벨트 본체 전구체(前驅體))가 성형된다.
마지막으로, V 리브를 갖는 벨트 슬래브를 냉각하고 나서 이를 벨트 성형장치(30)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분리한 V 리브를 갖는 벨트 슬래브를 예를 들어 10.68∼28.48㎜의 폭으로 절단하고, 각각의 표리를 뒤집는다. 이에 따라 V 리브드 벨트(B)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상의 접착 고무재료(11’) 및 압축 고무재료(12’)를 고무 슬리브틀(31)에 감아 세팅하였으나, 미리 통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고무 슬리브틀(31)에 끼워 세팅하여도 된다.
또한, 벨트 성형장치(30)는, 원통형 외틀(32)의 내측면에 V 리브드 벨트(B)의 V 리브(13)를 형성하기 위한 V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무 슬리브틀(31)의 외주(外周) 측면에 V 리브드 벨트(B)의 V 리브(13)를 형성하기 위한 돌조부(32a)가 형성됨과 동시에 원통형 외틀(32)의 내주면은 V 리브드 벨트(B)의 배면을 성형하기 위해 평활하게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편포(14’), 압축 고무재료(12’), 접착 고무재료(11’), 꼰 실(16’), 접착 고무재료(11’), 고무시트(17’)의 순으로 고무 슬리브틀(31)로의 감기를 행한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V 리브드 벨트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벨트, V 벨트 등이어도 된다.
실시예
(시험 평가용 벨트)
이하와 같이, 시험 평가용 벨트로서 4 가지 V 리브드 벨트(B)를 작성하였다.
-벨트 본체의 재료 준비-
접착 고무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 고무 재료로서, EPDM(JSR Corporation, 상품명: JSR EP123)을 원료고무로 하고, 이 원료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Asahi carbon co., ltd, 상품명 : asahi#60) 50질량부, 가소제(Japan sun oil company, ltd., 상품명 : Sunflex 2280) 15질량부, 가교제(Nof corporation, 상품명: Percumyl D) 8질량부, 노화방지제(Kawag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상품명: Antage MB) 3질량부, 산화아연(Sakai chemical industry co.,ltd., 상품명: 산화아연 2종) 6질량부, 및 스테아린산(Kao corporation, 상품명: 스테아린산) 1질량부를 배합하여 혼련(混鍊)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롤을 이용하여, 이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두께 0.45㎜의 시트상으로 가공하였다.
또, 압축 고무층을 형성하기 위한 압축 고무재료로서, EPDM을 원료고무로 하고, 이 원료고무 100질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 55질량부, 가소제 15질량부, 가교제 8질량부, 노화방지제 3질량부, 산화아연 6질량부, 및 스테아린산 1질량부를 배합하여 혼련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롤을 이용하여, 이 미가교 고무 조성물을 두께 0.7㎜의 시트상으로 가공하였다.
마찬가지로 하여, 배면 고무층을 형성하기 위한 미가교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진 시트를 작성하였다.
또한, 심선을 형성하기 위한 꼰 실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꼰 실을 준비하고, 이것을 RFL 수용액에 침지(浸漬)하여 가열 건조하는 처리를 행하였다.
-편포의 제조-
이하의 순서에 따라, 리브측 보강포(14)가 되는 편포를 제조하였다.
사용한 편포는, 우레탄 탄성사를 6-나일론사(絲)로 커버링한 실을 이용한 평짜기(천축 짜기)의 편포이다. 우레탄 탄성사의 섬도(纖度)는 22데니어(24.4dtex)이고, 6-나일론사는 섬도가 78데니어(86.7dtex)이며 또한 필라멘트(filament) 수가 52가닥이다. 또한, 편포의 짜기 밀도는, 웨일이 66가닥/2.54㎝, 코스가 70가닥/2.54㎝이다. 편포의 두께는 0.52㎜이다.
이와 같은 편포에 RFL 접착처리를 행하기 위한 PTFE 함유 RFL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레조르신(R)과 포르말린(F)을 혼합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더해 교반하여, RF 초기 축합물(R/F 몰비=1/1.5)을 얻었다. 그리고, RF 초기 축합물에 VP라텍스(L)를 RF/L 질량비=1/8이 되도록 혼합하고, 이어서, 물을 더해 고형분 농도 20%가 되도록 조정한 후, 추가로, RFL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PTFE(Asahi Glass Co.,ltd., 상품명: Fluon PTFE AD911, PTFE 평균 입자지름 0.25㎛, PTFE 60질량% 함유) 30질량부를 배합하고, 24시간 교반(攪拌)을 행하여 PTFE 함유 RFL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PTFE 함유 RFL 수용액에 편포를 침지하여 가열 건조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편포의 표면에 RFL 피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RFL 접착처리가 완료된 편포의 단부(端部)(조인트부(53))끼리를, 초음파 진동(진동 수 약 80㎑)을 부여하면서 열 압착함으로써, 편포를 통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여기서, 도 5∼도 7에 설명한 바와 같이,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 및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를 작성하였다. 또한, 각각에 대해, 편포의 앞을 외측으로 하는 것 및 뒤를 외측으로 하는 것을 준비하였다.
-V 리브드 벨트의 성형-
벨트 성형장치(30)의 고무 슬리브틀(31)에, 배면 고무층(17)이 되는 고무 시트, 접착 고무층을 형성하기 위한 미가교 고무재료, 꼰 실을 차례로 감고, 이어서, 접착 고무층을 형성하기 위한 미가교 고무재료, 압축 고무층을 형성하기 위한 미가교 고무재료, 및, 상기 접착처리를 행한 통형상의 편포(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 또는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를 감았다.
이어서, V 홈이 형성된 원통형 외틀(32)을 벨트재료의 위로부터 고무 슬리브틀에 끼워 팽창시켜, 고무 슬리브틀(31)측으로 누름과 동시에 고무 슬리브틀(31)을 고열의 수증기 등에 의해 가열하였다. 이 때, 고무 성분이 유동(流動)함과 동시에 가교반응이 진행되고, 더불어, 꼰 실, 리브측 니트 보강포의 고무로의 접착반응도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통형상의 벨트 전구체가 얻어졌다.
마지막으로, 이 벨트 전구체를 벨트 성형장치(30)로부터 분리하고, 길이방향으로, 폭 10.68㎜(3PK: 리브 수가 3개) 또는 폭 21.36㎜(6PK: 리브 수가 6개)가 되도록 절단하고, 표리를 뒤집음으로써 V 리브드 벨트를 얻었다. 여기서, 이상음 내구시험에는 6개 리브의 벨트, 마모성 시험 및 접착 시험에는 3개 리브의 벨트를 이용한다. 또한, 벨트의 둘레 길이는 1210㎜이다.
시험 평가용 벨트로서, 이하의 벨트 1∼4를 작성하였다(표 1에도 나타낸다).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를 이용하여, 앞을 외측으로 하고 고무 슬리브틀(31)에 감은 경우, 작성되는 벨트의 전동면을 피복하는 니트는, 앞이 외측이 되며 또한 웨일방향이 벨트의 주행방향이 된다. 이 벨트를 벨트 1로 하였다.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를 이용하여, 뒤를 외측으로 하고 고무 슬리브틀(31)에 감은 경우, 작성되는 벨트의 전동면을 피복하는 니트는, 뒤가 외측이 되며 또한 웨일방향이 벨트 주행방향이 된다. 이 벨트를 벨트 2로 하였다.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를 이용하여, 앞을 외측으로 하고 고무 슬리브틀(31)에 감은 경우, 작성되는 벨트의 전동면을 피복하는 니트는, 앞이 외측이 되며 또한 코스방향이 벨트의 주행방향이 된다. 이 벨트를 벨트 3으로 하였다.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를 이용하여, 뒤를 외측으로 하고 고무 슬리브틀(31)에 감은 경우, 작성되는 벨트의 전동면을 피복하는 니트는, 뒤가 외측이 되며 또한 코스방향이 벨트의 주행방향이 된다. 이 벨트를 벨트 4로 하였다.
Figure pct00001
(시험 평가 방법)
<이상음 내구시험>
도 8은, 이상음 내구시험에서의 벨트 주행시험기(80)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벨트 주행시험기(80)는, 상하에 배치된 상측의 소경(小徑) 종동리브 풀리(81)(풀리 지름 60㎜) 및 하측의 아이들러 풀리(idler pulley)(82)(풀리 지름 80㎜)와, 아이들러 풀리(82)의 좌방(左方)에 배치된 구동리브 풀리(83)(풀리 지름 80㎜)와, 아이들러 풀리(82)의 우방(右方)에 배치된 수지제의 대경(大徑) 종동리브 풀리(84)(풀리 지름 130㎜)를 구비한다. V 리브드 벨트(B)는, V 리브가 소경 종동리브 풀리(81), 구동리브 풀리(83) 및 대경 종동리브 풀리(84)에 접함과 동시에, 배면측이 아이들러 풀리(82)에 접하도록 하며, 이 벨트 주행시험기(80)에 감아 걸린다. 상기와 같이, 이 시험에는 리브 수가 6개(6PK)인 벨트를 이용하였다.
벨트 주행시험기(80)에 대해, 시험 평가용 벨트 1∼4를 세팅하고, 아이들러 풀리(82)와의 사이의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량이 3°가 되도록 대경 리브 풀리(84)를 앞에서 오프셋(offset)하여 풀리의 어긋남에 의한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를 발생시키고, 분위기 온도 5℃ 하, 구동리브 풀리(83)를 750rpm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상음이 청각에 의해 관측되기까지 벨트를 주행시켰다.
여기서, 벨트의 장력은 267±25N으로 하였다. 그리고, 대경 종동리브 풀리(84)에 대해 벨트가 맞물리기 시작하는 부근(화살표로 나타냄)에 대해, 주수(注水)(분무기로 10회 분무)를 1시간에 1회 행하였다.
<마모성 시험>
도 9는, V 리브드 벨트의 내(耐)마모성 시험 평가용 벨트 주행시험기(90)의 풀리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벨트 주행시험기(90)는, 좌우에 배치된 풀리 지름 60㎜인 한 쌍의 구동리브 풀리(91) 및 종동리브 풀리(92)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시험에는, 3개 리브(3PK)의 벨트를 이용하였다.
성형한 시험 평가용 벨트 1∼4 각각에 대해, 먼저, 초기벨트 질량을 계측하였다. 다음에, V 리브측이 접촉하도록 구동리브 풀리(91)와 종동리브 풀리(92)에 V 리브드 벨트를 감아 걸어, 1176N(120kgf)의 사중(dead weight)이 부하되도록 구동리브 풀리(91)를 측방으로 당김과 동시에, 3.8㎾(5.2PS)의 회전부하를 종동리브 풀리(92)에 가하였다. 실온에서 구동리브 풀리(91)를 3500rpm의 회전속도로 24시간 회전시키는 벨트 주행시험을 실시한 후, 주행 후 벨트 질량을 측정하고, 질량의 감소율을 산출하여 마모율로 하였다.
<편포의 접착성 시험>
도 10은, 벨트 본체(10)에 대한 리브측 보강포(14)의 접착성을 시험하는 방법에 대해 나타낸다.
시험 평가용 벨트 1∼4에 대해, 3개 리브의 벨트를 이용하여, 리브측 보강포(14)를 벨트 본체(10)보다 길게 남기도록 절단함으로써 시험편을 작성하였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시험편에 대해, 벨트 본체(10)를 고정하고, 리브측 보강포(14)를 벨트 주행방향(도 10에서는 상하방향)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타단(他端)으로 접히도록(리브측 보강포(14)가 연장되었던 방향에 대해 180도의 각도로) 인장력을 가하였다. 여기서, 분위기 온도는 실온이다.
이상의 조건으로, 벨트 본체(10)로부터 리브측 보강포(14)를 박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측정하였다.
(시험 평가 결과)
표 1에, 벨트 1∼4의 벨트 전동면의 편포 방향성(벨트 주행방향이 웨일방향·코스방향 중 어느 쪽인지) 및 표리와, 이상음 내구성, 접착성, 내(耐)마모성 및 양산성에 대해 나타낸다.
이상음 내구성에 대해서는, 확실히 벨트 1이 우수하다. 여기서, 보강포 표리의 차이에 따라 이상음 내구성이 10배나 다른 것은, 전혀 새로운 지견(知見)이다.
이에 반해, 벨트 3 및 4는 이상음 내구성이 낮다. 벨트 2는, 벨트 1과, 벨트 3 및 4와의 사이의 성능이다.
접착성에 대해서도, 벨트 1이 가장 우수하고, 벨트 2도 허용할 수 있는 값이다. 이들과 비교하면, 벨트 3 및 4는 접착성이 떨어진다.
내마모성에 대해서는, 벨트 1의 마모가 가장 크고, 코스방향이며 또한, 앞인 벨트 3의 마모성이 가장 작다. 그러나, 어떠한 벨트도 규격을 충족시키는 범위이다.
양산성은, 앞서 설명한 원통 니트의 작성과 관계한다. 즉, 편포(14’)의 길이방향을 둘레 길이방향으로 할 수 있는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의 경우, 둘레 길이가 크게 되어도 편포(14’)의 한 부분을 접착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의 경우, 편포(14’)의 폭 방향이 둘레 길이가 되므로, 둘레 길이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복수 부분에서 편포(14’)를 접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작성의 공수(工數)가 증가한다.
또한,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의 폭 방향의 양단을 편포(14’)의 단으로 할 수 있는 것에 반해,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의 폭 방향의 양단은 편포(14’)를 절단한 부분이 되고, 절단 부분으로부터의 실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이,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4)는 양산성이 우수하고,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55)는(작성은 가능하나) 양산성이 떨어진다.
종합하면, 벨트 주행방향이 리브측 보강포(14)의 웨일방향이며, 리브측 보강포(14)의 앞이 외측을 향하는 벨트 1이 가장 우수하다. 이 다음으로, 벨트 주행방향은 마찬가지로 리브측 보강포(14)의 웨일방향이며, 리브측 보강포(14)의 뒤가 외측이 되는 벨트 2가 우수하다.
벨트 주행방향이 리브측 보강포(14)의 코스방향인 벨트 3 및 4에 대해서는, 이상음 내구성, 접착성 및 내마모성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보강포의 앞이 외측을 향하는 벨트 3 쪽이 우수하다.
이상과 같이, 리브측 보강포로서 편포를 이용할 시, 앞을 외측으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이상음 내구성 등의 성능이 현저하게 우수한 벨트가 되며, 또한, 웨일방향을 벨트 주행방향으로 함으로써 이상음 내구성 등의 성능이 우수한 벨트가 된다.
본 개시의 마찰 전동 벨트는, 마찰의 억제, 내마모성의 향상, 양산성 등이 우수하며, 물에 젖은 때 등의 이상음 억제 효과가 높으므로, 예를 들어 자동차의 보조기계 구동 벨트 전동장치 등에 유용하다.
10 : 벨트 본체 11 : 접착 고무층
11’ : 접착 고무재료 11a’, 11b’ : 접착 고무재료
12 : 압축 고무층 12’ : 압축 고무재료
13 : V 리브 14 : 리브측 보강포
14’ : 편포 16 : 심선
16’ : 실 17 : 배면 고무층
17’ : 고무 시트
21 : 편포를 구성하는 실의 웨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22 : 편포를 구성하는 실의 코스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30 : 벨트 성형 장치 31 : 고무 슬리브틀
32 : 원통형 외틀 32a : 돌조부
51 : 웨일방향 조인트용 니트 52 : 코스방향 조인트용 니트
53 : 조인트부
54 : 웨일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
55 : 코스방향 조인트 원통 니트
80 : 벨트 주행시험기 81 : 소경 종동리브 풀리
82 : 아이들러 풀리 83 : 구동리브 풀리
84 : 대경 종동리브 풀리 90 : 벨트 주행시험기
91 : 구동리브 풀리 92 : 종동리브 풀리

Claims (7)

  1. 고무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벨트 본체가 풀리에 감아 걸려 동력을 전달하는 마찰 전동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적어도 풀리 접촉측 표면은, 편포(編布)인 보강포(reinforced fabric)에 의해 피복되고,
    상기 보강포는, 앞이 외측이 되도록 상기 풀리 접촉측 표면을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풀리 접촉측 표면에서, 상기 보강포의 웨일(wale)방향은, 상기 마찰 전동 벨트의 주행방향이고,
    상기 보강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벨트 본체를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전동 벨트는, 벨트 내주(內周)측에 벨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V 리브를 갖는 V 리브드 벨트(V-ribbed belt)이며,
    상기 보강포는, 상기 V 리브 표면을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4.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는, 평짜기(plain knitt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5.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면 또는 나일론 섬유를 가연(假撚) 가공하여 얻은 울리(wooly) 가공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6.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는,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심사(芯絲)로 하고, 피복할 실에 의해 커버링한 커버링사(covering yarn)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7. 청구항 1∼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의 섬유 표면은, 마찰계수 저하제가 분산된 RFL 피막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전동 벨트.
KR1020157027957A 2013-03-21 2014-02-13 마찰 전동 벨트 KR102330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8664 2013-03-21
JPJP-P-2013-058664 2013-03-21
PCT/JP2014/000727 WO2014147948A1 (ja) 2013-03-21 2014-02-13 摩擦伝動ベル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342A true KR20150135342A (ko) 2015-12-02
KR102330871B1 KR102330871B1 (ko) 2021-11-24

Family

ID=5157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957A KR102330871B1 (ko) 2013-03-21 2014-02-13 마찰 전동 벨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27002B2 (ko)
JP (2) JP5727683B2 (ko)
KR (1) KR102330871B1 (ko)
CN (2) CN105051411B (ko)
DE (1) DE112014001531T5 (ko)
WO (1) WO2014147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7009B2 (ja) * 2015-04-27 2019-06-05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
JP6529323B2 (ja) * 2015-04-24 2019-06-12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歯付ベルト
WO2016170795A1 (ja) * 2015-04-24 2016-10-2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
JP6529327B2 (ja) * 2015-04-28 2019-06-12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
CN106224436A (zh) * 2016-09-12 2016-12-14 周杰 一种风机制造中用高耐磨同步齿形带
DE102016223782A1 (de) 2016-11-30 2018-05-30 Leybold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akuumpumpensystems
JPWO2018142843A1 (ja) * 2017-02-01 2019-02-0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
CN108458050A (zh) * 2017-02-22 2018-08-28 盖茨优霓塔传动系统(苏州)有限公司 多楔带
CN107152495A (zh) * 2017-03-24 2017-09-12 盖茨优霓塔传动系统(苏州)有限公司 包布有齿v带及其制造方法
JP6648198B2 (ja) * 2017-07-11 2020-02-14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はす歯ベルトおよびベルト伝動装置
WO2019017101A1 (ja) * 2017-07-19 2019-01-24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7215654A1 (de) * 2017-09-06 2019-03-07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ntriebsriemen mit einer profilierten Riemenrückseite
JP6505335B1 (ja) * 2017-10-02 2019-04-24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
DE102017219339A1 (de) * 2017-10-27 2019-05-02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rtikel mit mehrfach abwechselnd plattierter Textilauflage
JP6755430B1 (ja) * 2019-02-25 2020-09-16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740494B1 (ja) * 2019-03-19 2020-08-12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伝動ベルト用心線の処理剤、並びに心線とその製造方法
WO2020246191A1 (ja) * 2019-06-07 2020-12-1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伝動ベルト
ES2748214B2 (es) * 2019-06-13 2022-02-01 Gates Corp Correa de transmision de potencia con superficie a franjas y una tela de recubrimiento a franjas.
EP4092173A4 (en) * 2020-01-16 2024-04-03 Mitsuboshi Belting Ltd CORE WIRE FOR DRIVE BELTS, DRIVE BEL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WIRE AND DRIVE BELTS
JP7323560B2 (ja) * 2021-01-29 2023-08-0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
DE102021201705A1 (de) 2021-02-23 2022-08-25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Keilrippenriemen
DE102021210962A1 (de) * 2021-09-30 2023-03-30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filierten Endlosriemen unter Verwendung von mindestens zweischichtigen dehnbaren Trennfolien, und entsprechend hergestellte Verbundprodukte
WO2023055602A1 (en) * 2021-09-30 2023-04-06 Gates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belt with textile surface laye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4284A (en) * 1971-05-17 1973-04-03 Sveriges Forenade Trikafab Ab V-belt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H05272593A (ja) 1992-03-30 1993-10-19 Bando Chem Ind Ltd 工業用ベルト
US5529545A (en) * 1993-02-23 1996-06-25 Unitta Co., Ltd. Toothed belt
JP2000291743A (ja) 1999-04-13 2000-10-20 Bando Chem Ind Ltd 伝動ベルト
JP2001140988A (ja) * 1999-11-12 2001-05-22 Mitsuboshi Belting Ltd 動力伝動用ベルト
JP2003514206A (ja) 1999-11-12 2003-04-15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動力伝達ベルト
US20100173740A1 (en) * 2007-09-14 2010-07-08 The Gates Corporation V-Ribbed Be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1206A (en) * 1975-08-20 1976-09-21 Dayco Corporatio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US4027545A (en) * 1976-03-19 1977-06-07 Dayco Corporatio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833442A (ja) * 1981-08-24 1983-02-26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きベルトの製造法
JPS58128547A (ja) * 1982-01-27 1983-08-01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ベルト
JPS58170946A (ja) * 1982-03-30 1983-10-07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ベルト
JPS58175246U (ja) * 1982-05-19 1983-11-24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ベルト
JPS6081536A (ja) * 1983-10-07 1985-05-09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きベルト
JP2651910B2 (ja) * 1987-03-27 1997-09-10 ニッタ 株式会社 紙葉類搬送用無端ベルト
US5171190A (en) * 1991-04-30 1992-12-15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Synchronous belt
JP2545208Y2 (ja) * 1992-10-13 1997-08-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歯付ベルト
JP2892262B2 (ja) * 1993-11-02 1999-05-1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紙葉類搬送用ベルト
US5616090A (en) * 1995-09-18 1997-04-01 Mcgee, Jr.; James N. Bias cut, knit V-belt cover
US5645504A (en) * 1995-09-29 1997-07-08 The Gates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belt with teeth reinforced with a fabric material
JPH11166596A (ja) * 1997-12-02 1999-06-22 Bando Chem Ind Ltd 歯付ベルト
ITTO980530A1 (it) * 1998-06-19 1999-12-19 Dayco Europe Spa Cinghia dentata.
US6358171B1 (en) * 1998-11-19 2002-03-19 The Gates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belt
DE60032937T2 (de) * 1999-11-12 2007-10-18 The Gates Corp., Denver Treibriemen mit schlauchförmigem deckgestück
JP4012021B2 (ja) * 2002-09-05 2007-11-21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平ベルトの製造方法
JP2004162899A (ja) * 2002-09-27 2004-06-10 Bando Chem Ind Ltd 摩擦伝動ベルト
JP4414673B2 (ja) * 2003-04-25 2010-02-1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
JP2004353806A (ja) * 2003-05-30 2004-12-16 Mitsuboshi Belting Ltd 歯付ベルト
US8197372B2 (en) * 2006-04-07 2012-06-12 The Gates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belt
US7749120B2 (en) * 2006-11-03 2010-07-06 Dayco Products, Llc Power transmission belt
CN101688586A (zh) * 2007-07-03 2010-03-31 盖茨公司 动力传输带
DE102007042917B4 (de) * 2007-09-08 2020-06-18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Biegeelastischer Antriebsriemen, oder Keilrippenriemen, mit einer Textilauflage auf seiner verschleißanfälligen Arbeitsseite
JP2009097701A (ja) * 2007-10-19 2009-05-07 Nitta Ind Corp 捻り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8037561B4 (de) * 2008-11-18 2020-06-18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rtikel, insbesondere Antriebsriemen, mit einer Textilaufl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triebsriemens
JP5302074B2 (ja) * 2009-04-03 2013-10-02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26077A1 (de) * 2009-07-01 2011-01-05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Elastischer Antriebsriemen, insbesondere Keilrippenriemen, mit vermindertem Spannungsverlus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4284A (en) * 1971-05-17 1973-04-03 Sveriges Forenade Trikafab Ab V-belt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H05272593A (ja) 1992-03-30 1993-10-19 Bando Chem Ind Ltd 工業用ベルト
US5529545A (en) * 1993-02-23 1996-06-25 Unitta Co., Ltd. Toothed belt
JP2000291743A (ja) 1999-04-13 2000-10-20 Bando Chem Ind Ltd 伝動ベルト
JP2001140988A (ja) * 1999-11-12 2001-05-22 Mitsuboshi Belting Ltd 動力伝動用ベルト
JP2003514206A (ja) 1999-11-12 2003-04-15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動力伝達ベルト
US20100173740A1 (en) * 2007-09-14 2010-07-08 The Gates Corporation V-Ribbed Be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51411B (zh) 2017-04-05
JPWO2014147948A1 (ja) 2017-02-16
CN106895111B (zh) 2019-06-11
JP6342760B2 (ja) 2018-06-13
CN105051411A (zh) 2015-11-11
JP2015042903A (ja) 2015-03-05
WO2014147948A1 (ja) 2014-09-25
US20160010722A1 (en) 2016-01-14
US9927002B2 (en) 2018-03-27
JP5727683B2 (ja) 2015-06-03
CN106895111A (zh) 2017-06-27
DE112014001531T5 (de) 2015-12-03
KR102330871B1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5342A (ko) 마찰 전동 벨트
JP5302074B2 (ja)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70476B1 (ko) 전동 벨트
JP4745789B2 (ja) Vリブドベルト及びvリブドベルトの製造方法
JP5704752B2 (ja) 摩擦伝動ベルト
WO2010007741A1 (ja) 伝動ベルト
WO2014069588A1 (ja)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133223B (zh) 传动带
WO2017033392A1 (ja) 摩擦伝動ベルト
JP2010053935A (ja) Vリブドベルト
JP2022116915A (ja) 摩擦伝動ベルト
JP2023001240A (ja) 摩擦伝動ベルト
JP2020033686A (ja) 摩擦伝動ベルト用心線および摩擦伝動ベルト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WO2018216738A1 (ja) 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7041B2 (ja) Vリブドベルト
JP7116023B2 (ja) 結合ベルトの製造方法
WO2018142843A1 (ja) 摩擦伝動ベルト
JP6868575B2 (ja) 両面伝動ベルトの製造方法
JP6082853B1 (ja) 摩擦伝動ベルト
WO2022230872A1 (ja) 歯付ベルト
JP2014095452A (ja) 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4004769A1 (ja) 伝動ベルト用ゴム組成物、伝動ベルトおよび伝動ベルトの製造方法
JP2022168845A (ja) 摩擦伝動ベルト
JP2010002049A (ja) 摩擦伝動用ベルト
JP2020041693A (ja) 伝動用vベ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