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175A - 원 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원 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175A
KR20150104175A KR1020157021249A KR20157021249A KR20150104175A KR 20150104175 A KR20150104175 A KR 20150104175A KR 1020157021249 A KR1020157021249 A KR 1020157021249A KR 20157021249 A KR20157021249 A KR 20157021249A KR 20150104175 A KR20150104175 A KR 20150104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rdation film
display device
film
polarizer
retar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로우 다케다
히로노리 야기누마
히로시 스미무라
나오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51/50
    • H01L51/52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8Filters employing polarising elements, e.g. Lyot or Sol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1Circular 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7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우수한 반사 색상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굴곡에 의한 색 변화가 억제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원 편광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사용된다. 이 원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의 일방의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한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는, Re (450) < Re (550) < Re (650) 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해 20°∼ 70°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원 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BEN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주로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원 편광판 및 그러한 원 편광판이 사용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또 디지털 사이니지나 윈도우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가 강한 외광하에 사용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표시 장치 자체 또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부나 유리 기판, 금속 배선 등의 반사체에 의한 외광 반사나 배경의 비침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실용화되어 있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EL) 패널은, 반사성이 높은 금속층을 갖기 때문에, 외광 반사나 배경의 비침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그래서, 위상차 필름 (대표적으로는 λ/4 판) 을 갖는 원 편광판을 시인측에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유기 EL 패널의 플렉시블화ㆍ굴곡 가능화에 대한 요망이 강해지고 있다. 또한, 단순한 플렉시블화ㆍ굴곡 가능화가 아니라, 매우 작은 곡률 반경에 의한 굴곡 가능화의 실현이 요망되게 되었다. 그러나, 유기 EL 패널을 매우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시키면, 원 편광판의 위상차 필름에 큰 힘 (일부에는 인장력, 일부에는 압축력) 이 가해져, 그 부분의 위상차가 변화되어 버린다. 그 결과, 굴곡 부분에서의 원 편광판의 반사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굴곡 부분만 색이 변화되어 버려 이것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역분산 파장 특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원 편광판은, 우수한 반사 특성이 얻어지는 한편, 굴곡에 의한 색 변화의 문제가 현저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395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076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26842호 일본 특허 제381579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우수한 반사 색상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굴곡에 의한 색 변화가 억제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원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원 편광판으로서, 편광자와, 그 편광자의 일방의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한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는, Re (450) < Re (550) < Re (650) 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해 20°∼ 70°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곡률 반경 10 ㎜ 이하에서 굴곡된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이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은, 2 × 10-12 (㎡/N) 이상이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된 다른 위상차 필름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표시 장치는, 상기의 원 편광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원 편광판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으로서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 (역분산 파장 특성) 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고, 또한, 당해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해 소정 방향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우수한 반사 색상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굴곡에 의한 색 변화가 억제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원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1 개의 실시형태에 의한 원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 ∼ 도 2(d) 는, 각각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굴곡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1 개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1 개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EL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유기 EL 소자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1) 굴절률 (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즉, 지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 (즉, 진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2) 면내 위상차 (Re)
「Re (λ)」는, 23 ℃ 에 있어서의 파장 λ ㎚ 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예를 들어, 「Re (450)」은, 23 ℃ 에 있어서의 파장 450 ㎚ 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Re (λ) 는, 필름의 두께를 d (㎚) 로 했을 때, 식 : Re = (nx - ny) × d 에 의해 구해진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Rth (λ)」는,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예를 들어, 「Rth (450)」은, 23 ℃ 에 있어서의 파장 450 ㎚ 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 (λ) 는, 필름의 두께를 d (㎚) 로 했을 때, 식 : Rth = (nx - nz) × d 에 의해 구해진다.
(4) Nz 계수
Nz 계수는, Nz = Rth/Re 에 의해 구해진다.
A. 원 편광판의 전체 구성
도 1(a) 는, 본 발명의 1 개의 실시형태에 의한 원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원 편광판 (100) 은, 편광자 (10) 와, 편광자 (10) 의 편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 (20) 을 구비한다. 원 편광판 (100) 은, 필요에 따라, 편광자 (10) 의 다른 일방의 측에 보호 필름 (40) (이하, 외측 보호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편광자 (10) 와 위상차 필름 (20) 사이에, 다른 보호 필름 (이하, 내측 보호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 도시 생략) 을 배치해도 된다.
도 1(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원 편광판 (100') 은, 편광자 (10) 와, 편광자 (10) 의 편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 (20) 과, 편광자 (10) 의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 (30) 을 갖는다. 도시예는, 외측 보호 필름 (40) 이 구비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외측 보호 필름 (40) 이 구비된 경우, 위상차 필름 (30) 은, 외측 보호 필름 (40) 의 더욱 외측 (시인측) 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 보호 필름 (40) 은 생략되어도 된다. 이 경우, 위상차 필름 (30) 이 외측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의상, 위상차 필름 (20) 을 제 1 위상차 필름이라고 칭하고, 위상차 필름 (30) 을 제 2 위상차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사용된다.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는, 유기 EL 표시 장치, 원 편광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대표적으로는, VA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 MEMS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매우 작은 곡률 반경에 의한 굴곡이 가능하고, 그리고,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을 사용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반사 색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곡률 반경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에서 굴곡된다. 이와 같은 매우 작은 곡률 반경으로 굴곡된 상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우수한 반사 색상을 유지하면서, 굴곡에 의한 색 변화를 억제한 것이, 본 발명의 성과 중 하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부분에서 굴곡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접이식의 표시 장치와 같이 중앙부에서 굴곡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 디자인성과 표시 화면을 최대한으로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단부 (端部) 에서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c) 및 도 2(d)). 또한, 도 2(a) ∼ 도 2(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되어 있어도 되고, 그 폭 방향을 따라 굴곡되어 있어도 된다. 용도에 따라 표시 장치의 특정 부분이 (예를 들어, 네 모서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경사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면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그 면내 위상차는, Re (450) < Re (550) < Re (650) 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유기 EL 패널의 정면 방향에 있어서 우수한 반사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대표적으로는, 굴절률 특성이 nx > ny 의 관계를 나타내고, 지상축을 갖는다. 도 2(a) ∼ 도 2(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지상축 방향은,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해 각도 (α) 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각도 (α) 는 20°∼ 7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5°근방이다. 각도 (α) 가 이와 같은 범위가 되도록 제 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굴곡에 의한 색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편광 선글라스를 쓰고 표시 장치를 보는 경우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목적에서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도 되고, 나타내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도로 언급할 때에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당해 각도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방의 방향의 각도를 포함한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은 장척상 (長尺狀) 이고, 따라서, 편광자 (10) 및 제 1 위상차 필름 (20) (및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2 위상차 필름 (30)) 도 또한 장척상이다. 장척상의 원 편광판은, 예를 들어, 롤상으로 권회되어 보관 및/또는 운반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표적으로는,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척 방향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지상축과 장척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 는, 바람직하게는 35°≤ θ ≤ 55°,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θ ≤ 52°, 더욱 바람직하게는 39°≤ θ ≤ 51°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은 단판상 (單板狀) 이고, 이 경우, 편광자의 흡수축은 대표적으로는 장척 방향에 대해 각도 (θ) 를 이루며,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지상축은, 대표적으로는 장척 방향에 직교 또는 평행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도 (θ) 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와 같다.
본 발명의 원 편광판 전체의 두께는 그 구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표적으로는 40 ㎛ ∼ 300 ㎛ 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A-1. 편광자
편광자 (10) 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 색성 염료 등의 2 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 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가 사용된다.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1 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 ∼ 7 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실시해도 된다. 또, 연신하고 나서 염색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를 들어,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불균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 ㎛ ∼ 80 ㎛ 정도이다.
편광자 (10) 와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편광자 (10) 의 흡수축과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지상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편광자 (10) 의 흡수축과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 (θ) 는, 바람직하게는 35°≤ θ ≤ 55°,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θ ≤ 52°, 더욱 바람직하게는 39°≤ θ ≤ 51°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A-2. 제 1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굴절률 특성이 nx > ny 의 관계를 나타낸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100 ㎚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 ∼ 155 ㎚ 이다.
제 1 위상차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그 면내 위상차는, Re (450) < Re (550) < Re (650) 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Re (450)/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0.95 이다. Re (550)/Re (650) 은,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0.97 이다.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nx > ny 의 관계를 갖는 한, 임의의 적절한 굴절률 타원체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필름의 굴절률 타원체는, nx > ny ≥ nz 의 관계를 나타낸다. 위상차 필름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1 ∼ 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3 이다.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그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바람직하게는 2 × 10-12 (㎡/N)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12 (㎡/N) ∼ 100 × 10-12 (㎡/N)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10-12 (㎡/N) ∼ 40 × 10-12 (㎡/N) 이다.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큰 것이 많아, 작은 곡률 반경으로 표시 장치를 굴곡시킨 경우에 색 변화가 현저한 바,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의 우수한 효과를 유지하면서, 작은 곡률 반경으로 표시 장치를 굴곡시킨 경우라 하더라도 굴곡에 의한 색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원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범위이면, 작은 두께에서도 충분한 위상차를 확보하면서 표시 장치의 굴곡성을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굴곡시의 응력에 의한 색 변화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상기와 같은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로 형성된다.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다. 제 1 위상차 필름 (20) 을 형성하는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원하는 특성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에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n-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n-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sec-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tert-부틸-6-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하이드록시-2,2-디메틸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외에,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디드, 스피로글리콜, 디옥산글리콜, 비스페놀류 등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67300호 및 일본 특허 제3325560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특허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10 ℃ 이상 2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230 ℃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내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필름 성형 후에 치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또 얻어지는 유기 EL 패널의 화상 품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 성형시의 성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 필름의 투명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121 (1987)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적어도 2 종류의 알데히드 화합물 및/또는 케톤 화합물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축합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구체예 및 상세한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61994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상기 수지 필름의 형성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압출법 (예를 들어, T 다이 성형법), 캐스트 도공법 (예를 들어, 유연법), 캘린더 성형법, 열 프레스법, 공압출법, 공용융법, 다층 압출, 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T 다이 성형법, 유연법 및 인플레이션 성형법이 사용된다.
수지 필름 (미연신 필름) 의 두께는, 원하는 광학 특성, 후술하는 연신 조건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 250 ㎛ 이다.
상기 연신은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 연신 조건 (예를 들어, 연신 온도, 연신 배율, 연신 방향) 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단 연신, 고정단 연신ㆍ자유단 수축, 고정단 수축 등의 여러 가지 연신 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동시 혹은 축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연신 방향에 관해서도,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두께 방향, 대각 방향 등 여러 가지 방향이나 차원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연신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 20 ℃ 의 범위이다.
상기 연신 방법, 연신 조건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광학 특성 (예를 들어, 굴절률 타원체, 면내 위상차, Nz 계수) 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수지 필름을 1 축 연신 혹은 고정단 1 축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1 축 연신의 구체예로는, 수지 필름을 장척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길이 방향 (세로 방향) 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1 축 연신의 다른 구체예로는,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0 % ∼ 500 % 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은,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장척 방향에 대해 각도 (θ) 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경사 연신을 채용함으로써,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해 각도 (θ) 의 배향각을 갖는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고, 예를 들어, 편광자와의 적층시에 롤 투 롤이 가능해져,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경사 연신에 사용하는 연신기로는, 예를 들어,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에, 좌우 상이한 속도의 이송력 혹은 인장력 또는 인취력을 부가할 수 있는 텐터식 연신기를 들 수 있다. 텐터식 연신기에는, 횡 1 축 연신기, 동시 2 축 연신기 등이 있지만,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연신기가 사용될 수 있다.
경사 연신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0-834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139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827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99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65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2944호 등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 (연신 필름)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80 ㎛ 이다.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시판되는 필름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시판되는 필름을 목적에 따라 2 차 가공 (예를 들어, 연신 처리, 표면 처리) 하여 사용해도 된다. 시판 필름의 구체예로는, 테이진사 제조의 상품명 「퓨어에이스 WR」을 들 수 있다.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편광자 (10) 측의 표면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레임 처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를 들 수 있다. 코로나 처리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기에 의해 상압 공기 중에서 방전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플라즈마 처리는, 예를 들어, 플라즈마 방전기에 의해 상압 공기 중에서 방전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프레임 처리는, 예를 들어, 필름 표면에 직접 화염을 접촉시키는 방식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 도포 처리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등을 용매로 희석시키고, 당해 희석액을 얇게 도포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비누화 처리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중에 침지시키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이다.
A-3. 제 2 위상차 필름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상기와 같이, 편광자 (10) 의 제 1 위상차 필름 (20) 과 반대측의 면 (즉, 원 편광판의 외측 (시인측) 표면) 에 배치된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편광자로부터 시인측으로 출사된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이른바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그 지상축이, 편광자 (10) 의 흡수축과 바람직하게는 30°∼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근방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 2 위상차 필름 (30) 을 상기와 같은 축 관계로 편광자 (10) 보다 시인측에 배치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 등의 편광 렌즈를 통해서 표시 화면을 시인한 경우에서도, 우수한 시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옥외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에도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위상차 필름 (30) 으로는,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위상차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위상차 필름 (30) 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100 ㎚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 ∼ 155 ㎚ 이다. 그 밖의 광학 특성, 기계적 특성, 구성 재료 및 제조 방법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상기 A-2 항에 기재된 필름이어도 되고, 다른 폴리머 (예를 들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를 사용한 필름이어도 되고, 액정 재료의 도공 필름이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예를 들어 면내 위상차 Re (550) 이 3000 ㎚ 이상인 초고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파장에 의한 편광 상태의 어긋남이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편광 선글라스 등의 편광 렌즈를 통해서 표시 화면을 시인한 경우에 있어서도, 우수한 시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위상차 필름 (30) 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의 연신 필름일 수 있다.
A-4. 보호 필름
보호 필름 (40) 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르보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측사슬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사슬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바람직하게는 1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온사 제조의 아크리페트 VH 나 아크리페트 VRL20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0296호에 기재된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 Tg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에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03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545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질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 500,000 이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바람직하게는 1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 ℃,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 이상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란, 아크릴계 및/또는 메타크릴계를 말한다.
보호 필름 (40)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 95 ㎛ 이다. 보호 필름 (40) 은, 면내 위상차 Re (550) 이 예를 들어 0 ㎚ ∼ 10 ㎚ 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550) 이 예를 들어 -80 ㎚ ∼ +80 ㎚ 이다.
보호 필름 (40) 의 편광자와 반대측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 150 ㎛ 이다.
내측 보호 필름 (도시 생략)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당해 내측 보호 필름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이다」란, 면내 위상차 Re (550) 이 0 ㎚ ∼ 10 ㎚ 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550) 이 -10 ㎚ ∼ +10 ㎚ 인 것을 말한다.
내측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 95 ㎛ 이다.
A-5. 접착 용이층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편광자 (10) 측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도 된다.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경우, 제 1 위상차 필름 (20) 은, 상기 서술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실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위상차 필름 (20) 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접착 용이층과 표면 처리를 조합함으로써, 편광자 (10) 와 제 1 위상차 필름 (20) 사이의 원하는 접착력의 실현이 촉진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란을 함유한다. 이와 같은 접착 용이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 (10) 와 제 1 위상차 필름 (20) 사이의 원하는 접착력의 실현이 촉진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71707호에 기재되어 있다.
A-6. 기타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의 적층에는,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이 사용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지만, 원 편광판의 제 1 위상차 필름 (20) 측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제층이 미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다른 광학 부재 (예를 들어, 유기 EL 표시 장치) 에 용이하게 첩합 (貼合) 할 수 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사용에 제공될 때까지 박리 필름이 첩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원 편광판을 구비한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유기 EL 표시 장치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1 개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 (300) 는, 유기 EL 소자 (200) 와, 유기 EL 소자 (200) 의 시인측에 원 편광판 (100) 을 구비한다. 원 편광판은, 상기 A 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이다. 원 편광판은, 제 1 위상차 필름 (20) 이 유기 EL 소자측이 되도록 (편광자 (10) 가 시인측이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또한, 원 편광판은 도 3 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 편광판 (100') 이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원 편광판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 편광판은, 상기와 같이,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지상축 방향이, 유기 EL 표시 장치 (300) (또는 유기 EL 소자 (200)) 의 굴곡 방향에 대해 각도 (α) 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각도 (α) 는 20°∼ 7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5°근방이다. 각도 (α) 가 이와 같은 범위가 되도록 원 편광판 (100) 과 유기 EL 소자 (200) 를 적층함으로써, 굴곡에 의한 색 변화가 억제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기 EL 표시 장치 (300) (또는 유기 EL 소자 (200)) 의 굴곡 방향은,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폭 방향) 이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 편광판의 편광자 (10) 의 흡수축을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에 대해 직교 또는 평행하게 설정하면, 유기 EL 소자에 적층될 때, 제 1 위상차 필름 (20) 의 지상축을 위치 맞춤할 필요는 없고, 편광자 (10) 의 흡수축 방향을 위치 맞춤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롤 투 롤에 의한 제조가 가능해진다.
B-1. 유기 EL 소자
유기 EL 소자 (200) 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유기 EL 소자를 채용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 EL 소자의 한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유기 EL 소자 (200) 는, 대표적으로는 기판 (210) 과, 제 1 전극 (220) 과, 유기 EL 층 (230) 과, 제 2 전극 (240) 과, 이들을 덮는 봉지층 (250) 을 갖는다. 유기 EL 소자 (200) 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층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 상에 평탄화층 (도시 생략) 을 형성해도 되고,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층 (도시 생략) 을 형성해도 된다.
기판 (210) 은, 상기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굴곡 가능한 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 (210) 은, 대표적으로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가요성을 갖는 기판을 사용하면, 상기의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장척상의 원 편광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이른바 롤 투 롤 프로세스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 및 대량 생산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판 (210) 은, 바람직하게는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판은, 유기 EL 층 (230) 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배리어성 및 가요성을 갖는 재료의 구체예로는, 가요성을 부여한 얇은 유리, 배리어성을 부여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필름, 합금, 금속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실리콘 (silicone) 계 수지, 불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를 들 수 있다.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36 앨로이, 42 앨로이를 들 수 있다.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구리, 니켈, 철, 알루미늄, 티탄을 들 수 있다. 기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30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200 ㎛ 이다. 이와 같은 두께이면, 유기 EL 표시 장치를 상기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굴곡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가요성, 취급성 및 기계적 강도의 밸런스가 우수하다. 또, 유기 EL 소자를 롤 투 롤 프로세스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전극 (220) 은, 대표적으로는 양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정공 주입성을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일함수가 큰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료의 구체예로는, 인듐주석 산화물 (ITO), 인듐아연 산화물 (IZO), 산화규소를 첨가한 인듐주석 산화물 (ITSO), 산화텅스텐을 함유하는 인듐 산화물 (IWO), 산화텅스텐을 함유하는 인듐아연 산화물 (IWZO),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인듐 산화물 (ITiO),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인듐주석 산화물 (ITTiO), 몰리부덴을 함유하는 산화인듐주석 (ITMO) 등의 투명 도전성 재료 ; 그리고, 금, 은, 백금 등의 금속 및 그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유기 EL 층 (230) 은, 여러 가지의 유기 박막을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도시예에서는, 유기 EL 층 (230) 은, 정공 주입성 유기 재료 (예를 들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로 이루어지고, 양극으로부터의 정공 주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정공 주입층 (230a) 과, 예를 들어 구리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수송층 (230b) 과, 발광성 유기 물질 (예를 들어, 안트라센, 비스〔N-(1-나프틸)-N-페닐〕벤지딘, N,N'-디페닐-N-N-비스(1-나프틸)-1,1'-(비페닐)-4,4'-디아민 (NPB)) 으로 이루어지는 발광층 (230c) 과, 예를 들어 8-퀴놀리놀알루미늄 착물로 이루어지는 전자 수송층 (230d) 과, 전자 주입성 재료 (예를 들어, 페릴렌 유도체, 불화리튬) 로 이루어지고, 음극으로부터의 전자 주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전자 주입층 (230e) 을 갖는다. 유기 EL 층 (230) 은,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층 (230c) 에 있어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을 일으킬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이 채용될 수 있다. 유기 EL 층 (230) 의 두께는, 가능한 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한 광을 가능한 한 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유기 EL 층 (230) 은, 예를 들어 5 ㎚ ∼ 200 ㎚, 바람직하게는 10 ㎚ 정도의 매우 얇은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 (240) 은, 대표적으로는 음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극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발광 효율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일함수가 작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료의 구체예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이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봉지층 (250) 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된다. 봉지층 (25) 은, 바람직하게는 배리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된다. 봉지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대표예로는,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아를 들 수 있다. 1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봉지층 (250) 은, 에폭시 수지 (대표적으로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 를 도공하고, 그 위에 배리어성 시트를 첩부 (貼付) 하여 형성해도 된다.
유기 EL 소자 (200) 는, 바람직하게는, 롤 투 롤 프로세스로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기 EL 소자 (200) 는, 예를 들어 2012-169236호에 기재된 순서에 준한 순서로 제조될 수 있다.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 (200) 는, 장척상의 원 편광판 (100) 과 롤 투 롤 프로세스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유기 EL 표시 장치 (300) 가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굴곡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601463호 또는 일본 특허 제470799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의 기재는,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편광자의 제작)
장척상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비 (速比) 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6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방향에 흡수축을 갖는 장척상의 편광자를 얻었다. 이 장척상의 편광자는, 연신 후에 권취하여 권회체로 하였다.
(보호 필름)
보호 필름으로서, 장척상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두께 40 ㎛,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상품명 : KC4UYW) 을 사용하였다. 이 보호 필름은 권회체로서 준비하였다. 또한, 이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5 ㎚ 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550) 은 45 ㎚ 였다.
(위상차 필름)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시판되는 위상차 필름 (테이진사 제조, 상품명 「퓨어에이스 WR」) 을 사용하였다. 이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147 ㎚ 이고, Re (450)/Re (550) 은 0.89 이며, 광탄성 계수는 65 × 10-12- 1 (㎡/N) 이었다.
(원 편광판의 제작)
상기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각각 200 ㎜ × 300 ㎜ 로 잘라냈다.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하였다. 편광자/보호 필름의 적층체와 위상차 필름을,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이 인접하도록 하여 첩합하여, 보호 필름/편광자/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구성을 갖는 원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그 후, 제작한 원 편광판을 50 ㎜ × 80 ㎜ 의 사이즈로 트리밍하였다. 또한, 위상차 필름은, 첩합했을 때에, 그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잘라냈다. 또, 편광자의 흡수축은 길이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유기 EL 표시 장치 대체품의 제작)
굴곡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대체품을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하였다. 먼저, 40 ㎜ × 120 ㎜ × 두께 20 ㎜ 의 사이즈이고, 길이 방향의 양 단부가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갖는 5 종류의 아크릴 블록을 준비하였다. 각각의 아크릴 블록의 곡률 반경은, 2 ㎜, 3.5 ㎜, 5 ㎜, 8 ㎜ 및 15 ㎜ 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아크릴 블록에, 알루미늄 증착 필름 (토오레 필름 가공사 제조, 상품명 「DMS 증착 X-42」, 두께 50 ㎛) 을 점착제로 첩합하여, 굴곡 가능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대체품으로 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원 편광판을, 길이 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유기 EL 표시 장치 대체품에 감고, 굴곡부가 뜨지 않도록 단부를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그 결과,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은, 유기 EL 표시 장치 대체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었다. 즉,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에 대하여, 당해 굴곡 부분의 위상차 분포와 위상차 변화를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1) 위상차 분포 및 위상차 변화
평가용 샘플을, 25 ℃, 습도 50 % 의 환경에서 24 시간 유지한 후, 원 편광판을 떼어냈다. 떼어낸 원 편광판의 굴곡시키고 있던 부분과 평탄했던 부분의 위상차를 Axometrics 사 제조의 Axoscan 으로 측정하고, 당해 측정 결과를 기초로 Axoscan 부속의 다층 해석 소프트를 사용하여, 위상차값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추정하였다. 원 편광판의 굴곡시키고 있던 부분의 위상차와 평탄했던 부분의 위상차의 차를 위상차 변화로 하였다. 또, 떼어낸 원 편광판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색 변화가 적은 것을 「○」, 색 변화가 큰 것을 「×」로 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위상차 분포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XY 이동 스테이지 상에서 측정하였다.
(2) 광탄성 계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위상차 필름을, 20 ㎜ × 100 ㎜ 의 사이즈로 잘라내어 시료를 제작하였다. 이 시료를 엘립소미터 (니혼 분광사 제조, M-150) 에 의해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하여, 광탄성 계수를 얻었다.
[실시예 2]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퓨어에이스 WR」 대신에 하기의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이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일본 특허 제4938151호의 실시예 2 에 따라 수지를 준비하고, 당해 수지를 필름 성형하고, 150 ℃ 의 온도에서 자유단 1 축 연신하여 (연신 배율 : 2 배),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이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145 ㎚ 이고, Re (450)/Re (550) 은 0.89 이며, 광탄성 계수는 39 × 10-12- 1 (㎡/N) 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50 ㎜ × 80 ㎜ 사이즈의 원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원 편광판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표시 장치 대체품에 감고, 굴곡부가 뜨지 않도록 단부를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그 때,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이, 유기 EL 표시 장치 대체품의 폭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적층하였다. 즉,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직교하도록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2 의 원 편광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2 의 원 편광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3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3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6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60°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1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7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의 지상축을, 굴곡 방향에 대해 75°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평가]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굴곡부의 색 변화 및 굴곡시킨 부분의 위상차 변화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보다 작은 곡률 반경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은,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유기 EL 표시 장치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0 : 편광자
20 : 위상차 필름 (제 1 위상차 필름)
30 : 제 2 위상차 필름
40 : 보호 필름
100 : 원 편광판
100' : 원 편광판
200 : 유기 EL 소자
300 : 유기 EL 표시 장치

Claims (6)

  1.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원 편광판으로서,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일방의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Re (450) < Re (550) < Re (650) 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상기 표시 장치의 굴곡 방향에 대해 20°∼ 70°의 각도를 규정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원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곡률 반경 10 ㎜ 이하에서 굴곡되는, 원 편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인, 원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2 × 10-12 (㎡/N) 이상인, 원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된 다른 위상차 필름을 추가로 구비하는, 원 편광판.
  6. 제 1 항에 기재된 원 편광판을 구비하는,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KR1020157021249A 2013-02-07 2014-01-29 원 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KR201501041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1904 2013-02-07
JPJP-P-2013-021904 2013-02-07
JP2014008568A JP2014170221A (ja) 2013-02-07 2014-01-21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JPJP-P-2014-008568 2014-01-21
PCT/JP2014/051874 WO2014123038A1 (ja) 2013-02-07 2014-01-29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175A true KR20150104175A (ko) 2015-09-14

Family

ID=5129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249A KR20150104175A (ko) 2013-02-07 2014-01-29 원 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6840B2 (ko)
JP (1) JP2014170221A (ko)
KR (1) KR20150104175A (ko)
CN (1) CN104969101B (ko)
TW (1) TWI544239B (ko)
WO (1) WO201412303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405A (ko) * 2015-12-02 2018-08-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장척상의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90040969A (ko) * 2016-08-30 2019-04-1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KR20200007455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편광판 및 이의 용도
KR20200017427A (ko) * 2017-06-28 2020-02-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KR20200061401A (ko) * 2017-11-10 2020-06-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200072830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725217B2 (en) 2016-11-30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ensation film and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5099B2 (en) * 2014-07-31 2016-12-06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wire having reinforced por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07545B1 (ko) * 2014-09-25 2021-01-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
JP2016126130A (ja) * 2014-12-26 2016-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有機el表示装置
KR20160088131A (ko) * 2015-01-15 201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용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7430238B (zh) 2015-03-31 2020-03-03 富士胶片株式会社 圆偏振片以及可弯曲的显示装置
WO2016190406A1 (ja) * 2015-05-28 2016-1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水平配向型液晶表示装置
WO2016194801A1 (ja) 2015-05-29 2016-12-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6301885B2 (ja) 2015-08-31 2018-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JP2017049536A (ja) * 2015-09-04 2017-03-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反射防止積層体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6808372B2 (ja) * 2015-09-16 2021-01-06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6542089B2 (ja) * 2015-09-30 2019-07-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車両用ミラー
KR101700772B1 (ko) * 2015-10-30 2017-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17102443A (ja) * 2015-11-20 2017-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CN111948742B (zh) * 2015-11-20 2023-04-28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使用了该光学层叠体的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KR102438249B1 (ko) * 2015-11-30 2022-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곡면 액정표시패널
JP6920047B2 (ja) 2015-12-10 2021-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な画像表示装置
JP6059830B1 (ja) * 2016-01-08 2017-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6059831B1 (ja) * 2016-01-08 2017-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WO2017170527A1 (ja) * 2016-03-29 2018-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偏光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509462B1 (ko) * 2016-04-05 202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JP6826376B2 (ja) 2016-04-28 2021-02-0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光学パネル
JP6904666B2 (ja) * 2016-05-17 2021-07-2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7039195B2 (ja) * 2016-07-08 2022-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6857477B2 (ja) * 2016-09-30 2021-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6600611B2 (ja) * 2016-10-24 2019-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6600612B2 (ja) * 2016-10-24 2019-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1995977B1 (ko) 2016-11-28 2019-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90091451A (ko) * 2016-12-12 2019-08-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원편광판
JP6992006B2 (ja) * 2016-12-16 2022-01-1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480968B1 (ko) * 2017-04-17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207644B1 (ko) 2017-07-26 2021-01-2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CN107656333B (zh) * 2017-10-10 2019-12-06 惠科股份有限公司 偏光板及其制作方法、曲面显示面板
JP6589033B2 (ja) * 2017-11-10 2019-10-09 住友化学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9091023A (ja) 2017-11-10 2019-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
KR102245934B1 (ko) * 2017-12-11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TW201942605A (zh) * 2018-02-09 2019-11-0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圓偏光板及光學顯示器件
CN110133786A (zh) 2018-02-09 2019-08-16 住友化学株式会社 圆偏振板和光学显示设备
CN111869323B (zh) * 2018-03-23 2023-07-25 东洋纺株式会社 电致发光显示装置
JP7390101B2 (ja) * 2018-05-10 2023-12-0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JP7198683B2 (ja) 2018-07-25 2023-01-04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
US20200133060A1 (en) * 2018-10-30 2020-04-30 Sharp Kabushiki Kaisha Thin circular polarizer for display applications
JP6712335B2 (ja) * 2019-01-16 2020-06-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WO2020162120A1 (ja) * 2019-02-08 2020-08-13 東洋紡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及び携帯端末機器
KR20210125514A (ko) * 2019-02-08 2021-10-1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용도
KR20200098751A (ko) * 2019-02-11 2020-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939499B2 (en) * 2019-05-28 2024-03-26 Toyobo Co., Ltd. Multilayer film and use of same
CN113874191B (zh) * 2019-05-28 2024-03-12 东洋纺株式会社 聚酯薄膜及其用途
KR20220016132A (ko) * 2019-05-28 2022-02-0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 필름 및 그 용도
WO2021005996A1 (ja) * 2019-07-10 2021-01-14 住友化学株式会社 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873208B2 (ja) * 2019-10-21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位相差フィルムを用いた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2748490A (zh) * 2019-10-31 2021-05-04 住友化学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
JP7094578B2 (ja) * 2020-01-06 2022-07-04 株式会社Joled タイリングパネル、自発光パネル、および、製造方法
JP2020149065A (ja) * 2020-05-26 2020-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有機el表示装置
KR102564155B1 (ko) * 2020-08-27 202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2022178799A (ja) 2021-05-21 2022-12-02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23124578A (ja) 2022-02-25 2023-09-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8636B2 (ja) * 1999-12-16 2010-04-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板の製造方法
KR100812271B1 (ko) * 2000-05-17 2008-03-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판,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원편광판, 1/2 파장판 및 반사형 액정표시 장치
JP3570415B2 (ja) 2001-05-10 2004-09-2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位相差板
TW583191B (en) * 2001-05-10 2004-04-11 Sumitomo Chemical Co Phase retarder
US6664730B2 (en) * 2001-07-09 2003-12-1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Electrode structure of el device
JP3960520B2 (ja) 2002-02-05 2007-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144943A (ja) 2002-10-23 2004-05-20 Fuji Photo Film Co Ltd 円偏光板
JP4283551B2 (ja) * 2003-01-24 2009-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6008894A1 (ja) 2004-07-16 2006-01-26 Nitto Denko Corporation 新規変性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3815790B1 (ja) * 2004-07-16 2006-08-30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CN100579993C (zh) * 2004-07-16 2010-01-13 日东电工株式会社 相位差膜及其用途以及新型改性聚合物
CN100447593C (zh) * 2004-08-26 2008-12-31 日东电工株式会社 相位差膜及制法,使用其的光学膜、液晶面板和显示装置
JP2006091836A (ja) 2004-08-26 2006-04-06 Nitto Denko Corp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位相差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618675B2 (ja) 2005-02-08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素子、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859648B2 (en) 2005-05-25 2014-10-14 Toray Industries, Inc. Retardation film and polyester resin for optical use
JP4622765B2 (ja) 2005-09-15 2011-02-02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位相差板及び複合光学部材の製造方法
EP2023168A4 (en) * 2006-05-01 2012-12-26 Mitsui Chemicals Inc METHOD FOR COMPENSATING THE WAVE LENGTH DEPENDENCE OF DOUBLE BREAKING OF AN OPTICAL PART, OPTICAL PART AND DISPLAY THEREWITH
JP5213407B2 (ja) * 2007-10-10 2013-06-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CN108132497A (zh) 2007-10-11 2018-06-08 瑞尔D股份有限公司 弯曲光学滤光器
US8134987B2 (en) 2007-11-19 2012-03-13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plit policy enforcement in wireless networks
JP5397741B2 (ja) 2008-12-09 2014-01-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装置
CA2787576A1 (en) * 2010-01-22 2011-07-28 Oakley, Inc. Lenses for 3d eyewear
KR20110122345A (ko) 2010-05-04 2011-11-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30046425A (ko) 2010-07-20 2013-05-07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JP5478553B2 (ja) 2010-09-0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続ウェブ状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361941B2 (ja) 2010-09-03 2013-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474869B2 (ja) 2010-09-03 2014-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511730B2 (ja) 2010-09-03 2014-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的パネル組立体の連続的製造方法及び装置
JP5502023B2 (ja) 2010-09-03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の製造方法
JP5701679B2 (ja) 2010-09-03 2015-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矩形形状のパネルに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を順次的に貼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JP4691205B1 (ja) *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2113275A (ja) * 2010-11-25 2012-06-14 Takashi Matsukubo 形体順応型表示装置
US9442233B2 (en) 2010-12-06 2016-09-13 Nitto Denko Corporation Anti-reflectio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for organic EL display and organic EL display
WO2012091009A1 (ja) * 2010-12-28 2012-07-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樹脂組成物、位相差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長尺の円偏光板
JP2012226231A (ja) * 2011-04-22 2012-11-15 Nitto Denko Corp 長尺状円偏光板の製造方法
US9891361B2 (en) 2011-08-05 2018-02-13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405A (ko) * 2015-12-02 2018-08-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장척상의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90040969A (ko) * 2016-08-30 2019-04-1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US10725217B2 (en) 2016-11-30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ensation film and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KR20200017427A (ko) * 2017-06-28 2020-02-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KR20200061401A (ko) * 2017-11-10 2020-06-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200007455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편광판 및 이의 용도
KR20200072830A (ko) * 2018-12-13 202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69981A1 (en) 2015-12-24
WO2014123038A1 (ja) 2014-08-14
CN104969101A (zh) 2015-10-07
US10036840B2 (en) 2018-07-31
TWI544239B (zh) 2016-08-01
JP2014170221A (ja) 2014-09-18
TW201435404A (zh) 2014-09-16
CN104969101B (zh)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6840B2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bendable display device
US962765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113522A (ko) 광학 적층체 및 해당 광학 적층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2518911B1 (ko) 위상차 필름, 원편광판 및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JP7252924B2 (ja) 有機el表示装置
KR20200100068A (ko) 위상차판,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 화상 표시 장치
WO2017154447A1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JP6301885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KR102441977B1 (ko) 화상 표시 장치
WO2019123947A1 (ja) 位相差フィルム、光学補償層付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画像表示装置
WO2017135239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220076468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JP7240364B2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板を用いた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563131B1 (ko) 염색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해당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조정 방법
KR20230145362A (ko) 적층체 및 화상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JP2023118722A (ja) 位相差フィルム、光学補償層付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画像表示装置
JP2018109778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2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30

Effective date: 201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