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425A -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 Google Patents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425A
KR20130046425A KR1020137001255A KR20137001255A KR20130046425A KR 20130046425 A KR20130046425 A KR 20130046425A KR 1020137001255 A KR1020137001255 A KR 1020137001255A KR 20137001255 A KR20137001255 A KR 20137001255A KR 20130046425 A KR20130046425 A KR 2013004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rdation film
film
region
phase difference
retar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사이토
마나부 하라구치
겐타로 다무라
히로마사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6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polarised or coloured light separating different viewpoint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면 내에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제1 위상차 필름과, 다른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영역이 면 내에 패턴화되어 존재하는 제2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 형상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 및 그를 포함하는 편광판 복합체, 표시 장치, 및 그와 대응하는 편광 안경.

Description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PHASE DIFFERENCE FILM LAYERED BODY USED IN STEREOSCOPIC IMAGE DEVICE}
본 발명은 입체 표시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패시브 방식으로 불리는 면적적으로 2분할된 화상을 각각 다른 편광 상태로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사용한 표시 장치를 관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안경과의 조합 방식 및 안경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입체 화상 표시와 평면 화상 표시를 양립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하여 급속히 개발이 진행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는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크게는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분류된다. 패시브 방식은 동일 화면 내에 우안(右眼)용 화상과 좌안(左眼)용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여, 이들의 화상을 전용 안경을 이용하여 좌우의 눈 각각에 할당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표시 장치의 표면 상의 좌우 화상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다른 편광 상태의 화상을 작성하도록, 특허문헌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이하, 패턴화 위상차 필름)을 필요로 한다. 또한, 관찰자측은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으로부터 동시에 출사된 다른 편광 상태를 갖는 우안용, 좌안용 화상을 각각 확실히 좌우의 눈에 할당하기 위해서, 보통은 한쪽의 편광 상태의 광만을 투과하도록 편광 안경에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이나, 이것과 위상차 필름의 조합을 편광 안경의 좌우의 렌즈 개구부에서 변경하고 있다.
한편, 패턴화 위상차 필름의 제법으로서는, 특허문헌 4에 개시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중합성 액정층을 단계적으로 가열 온도를 변화시켜, 다른 상(相) 상태로 하여, 각 단계에서 그 배향 상태를 자외선 경화 등의 수법으로 고정하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의 표면에 배치되는 패턴화 위상차 필름은 특허문헌 5에서 개시되는 것과 같이 유리 기판 상에 매엽(枚葉) 방식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충분한 생산성과 경제성을 구비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특허문헌 3에서는, 기재(基材)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액정 재료를 도포하고, 중합시켜 패터닝을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기재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이 필요하고, 또한 공정 수가 많아, 경제성이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충분한 배향 규제력을 얻는 것이 어려워, 불균일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고,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경우, 처리면에 상처가 들어가면 결함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장척의 패턴화 위상차 필름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며, 다른 광학 부재와 조합하여, 장척의 패턴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얻을 수 없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4-264338호 공보(국제공개 WO2004/068213호,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6/192746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개 제2005-164916호 공보 국제공개 WO2010/032540호(유럽 특허출원공개 제2239602호 명세서,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0/073604호 명세서) 일본 특허공개 제2002-26782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5-4986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상황에 비추어, 장척 형상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구성 및 그 제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 장치 상에 형성되는 좌우 화상이 다른 파장 분산성을 갖는 경우에도, 이것을 보정하면서 선명한 입체 화상 관찰이 가능한 편광 안경의 구성 및 표시 장치와의 조합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면 내에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제1 위상차 필름과, 다른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영역이 면 내에 패턴화되어 존재하는 제2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 형상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
〔2〕 〔1〕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이, 필름의 길이 방향과 비평행한 지상축(遲相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3〕 〔1〕 또는 〔2〕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이, 필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투과하는 빛에 대하여 대략 λ/4의 위상차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이,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한 연신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5〕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이,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한 지상축을 갖는 액정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위상차 필름이 필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 처리된 기재 상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위상차 필름이 위상차가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적어도 갖고, 제1 영역은 입사한 편광을, 그 편광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출사하고, 제2 영역은 입사한 편광과 직교한 편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8〕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위상차 필름이 위상차가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적어도 갖고, 제1 영역은 입사한 편광을, 그 편광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출사하고, 제2 영역은 입사한 원 편광을 실질적으로 회전 방향을 반전시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9〕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원측으로부터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이 이 순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10〕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원측으로부터 제2 위상차 필름과 제1 위상차 필름이 이 순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이,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12〕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 및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복합체.
〔13〕 우안용 표시 영역과 좌안용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7〕 또는 〔8〕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재단물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용 표시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표시 영역에, 상기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재단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패턴화 위상차 필름 적층체가, 효율적이고 연속적으로 저비용으로 실현된다. 또한, 표시 장치측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좌우에서 다른 파장 분산성이나 시야각 특성을 갖는 경우에도 이를 보상하여, 선명한 입체 화상을 관찰할 수 있는 편광 안경과 관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구성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입체 화상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입체 화상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입체 화상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입체 화상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위상차 필름 적층체와 편광판의 복합체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위상차 필름 적층체와 편광판의 복합체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와 편광판의 복합체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위상차 필름 적층체와 편광판의 복합체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위상차 필름 적층체와 편광판의 복합체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입체 화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3은 입체 화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4는 입체 화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5는 입체 화상 장치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제1 위상차 필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위상차 필름은 면 내에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5-2108호 공보에 나타낸 것과 같은 연신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3-177242호 공보에 나타낸 것과 같은 액정 도포형, 일본 특허공개 제2006-51796호 공보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 복굴절성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가장 경제성이 우수한 것은 연신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한 연신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일본 특허공개 제2003-34238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7-90532호 공보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경사 연신한 것이 유효하다. 또한, WO2003/102639호와 같이 경사 연신 필름을 조합한 것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액정 도포형이어도 경제성이 허락되면, 필름의 길이 방향에 비평행한 지상축을 갖는 것,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2000-66192호 공보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제법으로 배향막과 배향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경사 방향으로 배향시킨 상태로 배향 상태를 고정한 액정 수지층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원에서, 액정 수지층(단지 「액정층」이라고도 한다.)이란, 수지를 포함하여 액정 상태를 나타내는 재료의 층을, 그 분자 배향을 유지한 채로 경화시켜 얻어지는 층을 말한다.
본원에서, 필름의 위상차가 필름의 「면 내」에 있어서 동일하다는 것은, 위상차가, 필름의 광학적인 용도의 사용에 제공되는 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위상차가 면 내에서 「동일」하다는 것은, 면 내에서 발생하는 위상차의 분포가 균일하다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필름면 내를 수직으로 투과하는 광의 파장 550nm에 있어서 면 내 위상차가, 투과하는 광의 파장 범위의 중심값에서, 중심값의 1/4의 값으로부터 ±65nm, 바람직하게는 ±3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의 범위이거나, 또는 중심값의 3/4의 값으로부터 ±65nm, 바람직하게는 ±3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의 범위인 것을 말한다.
면 내에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제1 위상차 필름은, 추가로 위상차의 파장 의존성 및 시야각 특성에 대해서도, 면 내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지상축의 배향각의 면 내에서의 격차가 평균 배향각에 대하여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위상차 필름의 평균 배향각은,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한 각도로서, 45° 또는 1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면 내를 수직으로 투과하는 광의 파장 550nm에서의 면 내 위상차와 기준 파장 400nm에서의 면 내 위상차의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내는 파장 분산값이 1.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파장 분산비를 상기 범위에 넣음으로써, 투과하는 광을 보다 균일한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정면 색상의 착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파장 분산값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연신 폴리머의 소재로서, 일본 특허공개 평5-3108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환상 올레핀계 랜덤 다원 코폴리머, 일본 특허공개 평5-9797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수소 첨가 폴리머, 일본 특허공개 평11-12442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열가소성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계 개환 폴리머 및 그 수소 첨가 폴리머 등을 이용하거나, WO2003/102639호 또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3-177242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복수 장의 연신 폴리머 또는 액정 도포형의 위상차 필름을 조합시키는 등의 방법이 적당할 수 있다. 또한, 시야각 특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2-40258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이용하는 소재의 굴절률 이방성이나 복수 장의 위상차 필름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연신 폴리머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투명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쇄상 올레핀계 폴리머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폴리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폴리에터설폰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스계 폴리머 수지, 폴리염화바이닐계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쇄상 올레핀계 폴리머 수지 및 지환식 올레핀계 폴리머 수지가 바람직하다.
제1 위상차 필름이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것인 경우,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는 습도 팽창 계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통 1×10-5%RH 이하, 더욱이는 5×10-6%RH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한편, 습도 팽창 계수는 필름 샘플을 폭 방향이 측정 방향으로 되도록 JIS K7127에 기재된 시험편 타입 1B에 준거하여 잘라내고, 항온 항습조 부착 인장 시험기(예컨대 인스트론사제)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그 때, 습도 35%RH(23℃의 질소 분위기) 또는 습도 70%RH(23℃의 질소 분위기)로 유지하여, 그 때의 샘플의 길이를 각각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습도 팽창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측정 방향이 잘라낸 시료의 길이 방향이며, 5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습도 팽창 계수로 한다.
습도 팽창 계수 = (L70-L35)/(L35×△H)
(여기서, L35: 35%RH인 때의 샘플 길이(mm), L70: 70%RH인 때의 샘플 길이(mm), △H:35(=70-35)%RH이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하는 필름을 제공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지환식 올레핀계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습도 팽창 계수가 상기 이하이면, 흡습에 의한 필름의 변형이 없고, 필름 상에 자외선 등에 의한 에너지를 조사하여 다른 층을 형성한 때의 경화 수축에 의한 컬(curl)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필름을 다른 광학 부재, 예컨대, 편광판과 접합하는 경우, 흡습에 의한 필름의 팽창이 없어 접합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다른 부재에 접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다른 부재의 광학 보상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와 같은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패널의 휨을 완화할 수 있고 안정한 화상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고온 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변형이나 응력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 제1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유리전이온도(시차 주사 열량 분석(DSC)에 의해 측정)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의 범위이다.
액정 도포형의 제1 위상차 필름의 조제에 사용될 수 있는 액정 화합물로서는, 중합성 기를 갖는 막대 형상 액정 화합물이나 측쇄형 액정 폴리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막대 형상 액정 화합물은, 일본 특허공개 제2002-03004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4-20419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5-26378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7-11941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7-186430호 공보 등에 기재된 종래 공지된 중합성 기를 갖는 막대 형상 액정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측쇄형 액정 폴리머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3-177242호 공보 등에 기재된 측쇄형 액정 폴리머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장척 방향에 대하여 대략 45°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략 45°란, 45°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의 범위를 말한다. 또한, 제1 위상차 필름은, 대략 λ/4 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투과광에 대하여 대략 λ/4 파장의 위상차를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 Re가, 투과광의 파장 범위의 중심값에서, 중심값의 λ/4의 값으로부터 보통 ±65nm, 바람직하게는 ±3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의 범위인 경우에, 투과광에 대하여 대략 λ/4 파장의 위상차 Re를 발현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보통, 화상 표시에 사용되는 빛은 가시광이기 때문에, 가시광의 파장 범위의 중심값인 파장 550nm에 대하여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면, 대략 λ/4 파장의 위상차 Re를 갖게 된다.
제1 위상차 필름이 이들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의 요건을 만족시킴으로써, 이 제1 위상차 필름에 적합한 제2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방성 영역 내의 지상축이 장척 방향과 병행인 것을 채용할 수 있고, 그 결과,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연속적인 생산이 보다 용이해진다.
제1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최종적인 표시 장치의 외관 사양으로부터의 요청 또는 표시 장치 내부에 사용되는 광학 보상 필름과 협업적으로 패널의 휨을 해소할 목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제2 위상차 필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2 위상차 필름은 다른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영역이 면 내에 패턴화되어 존재하는 제2 위상차 필름이다.
여기서, 「패턴화된다」란, 어떤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태양을 말한다. 즉, 복수의 영역이 면 내에 「패턴화된다」란, 면 내에, 2종류 이상의 영역이, 면 내의 어떤 방향을 따라 관찰한 경우 같은 순서로 반복하여 나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가 패시브형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것인 경우에는, 제2 위상차 필름은, 가늘고 긴 띠 형상의 영역이 평행하게 나란히 선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턴화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가늘고 긴 띠 형상의 영역이 평행하게 나란히 서서, 필름면 내에서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관찰한 경우 이러한 띠 형상의 영역이 반복하여 나타나도록 배치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턴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영역이란, 예컨대, 위상차를 갖는 영역과 위상차를 갖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는 태양을 나타낸다. 즉, 제2 위상차 필름은, 위상차가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적어도 갖고, 제1 영역은 입사한 편광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출사하고, 제2 영역은 입사한 원 편광을 실질적으로 회전 방향을 반전시켜 출사하는 태양으로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제2 위상차 필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도 1은 도 2에 나타내는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위상차 필름(1A)은, 기재(11)와, 기재(11)의 상면에 형성된 수지층(12)을 갖고 있다. 수지층(12)은, 액정 배향 수지 영역(1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12b)을 갖고 있다.
액정 배향 수지 영역(12a)은, 기재(11)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조성물이 액정상을 나타낸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며, 대략 λ/2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이방성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본원에서 대략 λ/2의 위상차란, 투과광에 대하여 대략 1/2 파장의 위상차 Re를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위상차 Re가, 투과광의 파장 범위의 중심값에서, 중심값의 1/2의 값으로부터, 보통 ±65nm, 바람직하게는 ±3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경우에, 투과광에 대하여 대략 1/2 파장의 위상차 Re를 발현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보통, 화상 표시에 사용되는 광은 가시광이기 때문에, 가시광의 파장 범위의 중심값인 파장 550nm에 대하여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면, 대략 1/2 파장의 위상차 Re를 갖게 된다.
한편, 등방성 수지 영역(12b)은, 액정 분자가 랜덤으로 배치된 등방상을 나타낸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등방성 수지 영역(12b)은, 제1 영역은 입사한 편광을, 그 편광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고서 출사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편광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란, 입사한 편광이 직선 편광의 경우는 그대로 직선 편광으로 출사되고, 입사한 편광이 원 편광인 경우는 그대로 원 편광으로 출사된다고 하는 의미이다. 본원에서 「실질적으로」 편광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란, 직선 편광의 경우는, 그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의 어긋남 각도가, 엄밀한 각도 0°±5°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을 의미한다. 엄밀한 각도와의 오차는, 4°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미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원 편광의 경우는, 파장 550nm에서의 타원율(오우지계측기기(주)제의 위상차 측정 장치 「KOBRA-21 ADH」)이 0.96 내지 1.0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타원율이란, 타원 편광의 장축에 대한 단축의 비(단축/장축)를 말하고, 타원율=1은 원 편광을, 타원율=0은 직선 편광을 나타낸다. 또한, 원 편광의 회전 방향을 「실질적으로」 반전시킨다란, 예컨대, 투과광의 대략 λ/2의 크기의 위상차를 갖고, 투과광의 파장 범위의 중심값에서, 중심값의 1/2의 값으로부터, 보통 ±65nm, 바람직하게는 ±3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입사하는 편광과 직교한 편광이 출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예에서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12a)과 등방성 수지 영역(12b) 사이에는 물질적인 연속성이 있어, 예컨대 공극 등을 품은 불연속인 것과는 구별된다.
기재에의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는,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 다이렉트 그라비어 코팅, 다이 코팅, 바 코팅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지층의 두께는, 원하는 경화막 두께가 얻어지도록,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수지층의 두께는, 사용하는 액정 화합물의 Δn 값 또는 2종류 이상의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우는, 각 액정 화합물의 굴절률 이방성 Δn 값과 각 함유 비율로부터 구한 Δn 값에 의존하며, 0.5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기재는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고, 후술한 것과 같은 러빙(rubbing) 배향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도 3은 제2 위상차 필름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 요소에 더하여, 추가로 배향막(33)을 포함한 태양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위상차 필름(3A)은, 기재(31)와, 기재(31)의 상면에 형성된 배향막(33)과, 배향막(33)의 상면에 형성된 수지층(32)을 갖고 있다. 수지층(32)은, 액정 배향 수지 영역(3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32b)을 갖고 있다. 이 예에서도, 액정 배향 수지 영역(32a)과 등방성 수지 영역(32b) 사이에는 물질적인 연속성이 있어, 예컨대 공극 등을 품은 불연속인 것과는 구별된다.
도 4는 제2 위상차 필름의 추가적인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 제2 위상차 필름(4A)은 수지층(42)만으로 구성된다. 수지층(42)은 액정 배향 수지 영역(4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42b)을 갖고 있다. 이 예는, 도 1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의 수지층(12)을 기재로부터 박리하여, 수지층만을 제2 위상차 필름으로 한 태양이다.
보통, 「다른 위상차」란, 지상축 및 진상축에서 위상의 차이가 다른 것을 의미하지만, 제2 위상차 필름에서의 「다른 위상차」는, 보다 광의로 풀이하면, 입사한 편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정도가 다른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위상차 필름은, 위상차가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적어도 갖고, 제1 영역은 입사한 편광을 그 편광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출사하고, 제2 영역은 입사한 편광과 직교한 편광을 출사한 태양으로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그와 같은 태양의 제2 위상차 필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도 5는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위상차 필름(5A)은, 기재(51)와, 기재(51)의 상면에 형성된 수지층(52)을 갖고 있다. 수지층(52)은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영역(5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52b)을 갖고 있다.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52a)은 직선 편광을 90° 선광(旋光)시키는 영역이며, 등방성 수지 영역(52b)은, 액정 분자가 랜덤으로 배치된 상태로 경화된 영역이다.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은, 액정 분자가 트위스티드 네마틱 상을 나타낸 상태로 고정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의 구성 요소에 더하여, 추가로 배향막(73)을 포함한 태양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위상차 필름(7A)은, 기재(71)와, 기재(71)의 상면에 형성된 배향막(73)과, 배향막(73)의 상면에 형성된 수지층(72)을 갖고 있다. 수지층(72)은,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7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72b)을 갖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위상차 필름(8A)은, 수지층(82)만으로 구성된다. 수지층(82)은,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8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82b)을 갖고 있다. 이 예는, 도 5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의 수지층(52)을 기재로부터 박리하여, 수지층만을 제2 위상차 필름으로 한 태양이다.
도 1 내지 4에 나타내는 예, 및 도 5 내지 8에 나타내는 예의 각각에서는, 대략 λ/2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 또는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을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 처리를, 장척 방향과 대략 평행한 처리(예컨대, 수지층에 직접 접하는 면에, 장척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행하는 러빙 처리)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연속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어떤 2개의 방향이 「대략」 평행 또는 「대략」 직교란, 평행 또는 직교 방향에서 ±10°, 바람직하게는 ±5°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제2 위상차 필름이 대략 λ/2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을 갖는 경우에서, 장척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배향막에의 배향 처리를 행한 경우는, 보통, 대략 λ/2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 내의 분자의 배향 방향도 장척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의 배향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등방성 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의 지상축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실시 형태도 포함된다. 이 경우도 배향 처리가 장척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실시되는 경우는, 연속 생산이 가능해진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위상차 필름(9A)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9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92b)을 갖는 수지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수지층에 직접 접하는 층의 러빙 방향(91)은 필름 길이 방향과 평행이며, 그것에 의하여 배향된 액정 배향 수지 영역(92a)의 지상축(93)은 러빙 방향(91)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러한 배향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2-6242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2-268068호 공보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배향 처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 규제력이 발생하는 특수한 배향막 소재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추가로 45° 선광시키는 뒤틀림 방향이 서로 반대인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이 교대로 배열된 실시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위상차 필름(10A)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103a, 103b)을 갖는 수지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수지층에 직접 접하는 층의 러빙 방향(101)은 필름의 길이 방향과 평행이며, 그것에 의하여 배향된 영역(103a, 103b)은 각각 화살표(102a, 102b)에 의해 나타낸 방향으로 편광을 선광시킬 수 있다. 이 경우도 배향 처리 방향을 장척 방향에 평행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배향 규제력과 배향이 평행 또는 직교하는 성질을 갖는 배향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제2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유용한 액정 화합물로서는, 전술의 액정 도포형의 위상차 필름에 사용되는 액정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유용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시판 중인 것, 예컨대, BASF사제 「LC242」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Δn 값은, 0.05 이상 0.3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 0.25 이하이다. Δn 값은 세나몬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화합물의 Δn 값이란,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이 1종류만의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는 그 액정 화합물의 Δn 값을 말하며,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이 2종류 이상의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는, 각 액정 화합물의 Δn 값과 각 함유 비율로부터 구한 Δn 값을 말한다. Δn 값이 0.05 미만에서는 원하는 광학적 기능을 얻기 위해서 수지층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배향 균일성이 저하되고, 또한 경제 비용적으로도 불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0.30 이상에서는 원하는 광학적 기능을 얻기 위해서 수지층의 두께가 얇아져, 두께 정밀도에 대하여 불리하지만,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장파장측의 흡수단이 가시 영역에 미치는 경우가 있어, 상기 스펙트럼의 흡수단이 가시 영역에 미치더라도 원하는 광학적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 한, 사용가능하다.
제2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제조 방법이나 최종적인 성능에 대하여 적정한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유기 용제나 계면 활성제, 키랄제, 중합 개시제, 자외선 흡수제, 가교제, 산화 방지제 등을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유기 용제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케톤류, 알킬할라이드류, 아마이드류, 설폭사이드류, 헤테로 환 화합물, 탄화수소류, 에스터류, 및 에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환상 케톤류, 환상 에터류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환상 케톤 용매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프로파논, 사이클로펜탄온, 사이클로헥산온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사이클로펜탄온이 바람직하다. 환상 에터 용매로서는,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3-다이옥솔레인, 1,4-다이옥세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1,3-다이옥솔레인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으며,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로서의 상용성이나 점성, 표면 장력의 관점 등으로부터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유기 용제의 함유 비율은, 유기 용제 이외의 고형분 전량에 대한 비율로서 30 내지 95중량%로 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배향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의 예를 들면, 소수기 부분에 실록세인, 불화알킬기를 함유하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소수기 부분을 갖는 올리고머가 특히 적합하다. 이들의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OMNOVA사 PolyFox의 PF-151N, PF-636, PF-6320, PF-656, PF-6520, PF-3320, PF-651, PF-652; 네오스사 후타젠트의 FTX-209F, FTX-208G, FTX-204D; 세이미케미칼사 사플론의 KH-40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계면 활성제는 1종류를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계면 활성제의 배합 비율은,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수지층 중에서의 계면 활성제의 농도가 0.05중량% 내지 3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의 배합 비율이 0.05중량%보다 적으면 공기 계면에서의 배향 규제력이 저하되어 배향 결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역으로 3중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과잉의 계면 활성제가 액정 화합물 분자 사이에 들어가, 배향 균일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키랄제는, 중합성 화합물이어도, 비중합성 화합물이어도 좋다. 키랄제로서는, 분자 내에 키랄인 탄소 원자를 갖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어지럽히지 않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키랄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키랄제 화합물로서는, 시판 중인 것(예컨대, BASF사제 「LC756」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일본 특허공개 평11-193287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제2003-1378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키랄제는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열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도 좋지만, 보통은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해서 라디칼 또는 산을 발생시키는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예를 들면, 벤조인, 벤질메틸케탈, 벤조페논, 바이아세틸, 아세토페논, 미힐러(Michler) 케톤, 벤질, 벤질아이소뷰틸에터, 테트라메틸싸이유람모노(다이)설파이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벤조일퍼옥사이드, 다이-tert-뷰틸퍼옥사이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페인-1-온, 1-(4-아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페인-1-온, 싸이오잔톤, 2-클로로싸이오잔톤, 2-메틸싸이오잔톤, 2,4-다이에틸싸이오잔톤, 메틸벤조일포메이트, 2,2-다이에톡시아세토페논, β-아이오논, β-브로모스타이렌, 다이아조아미노벤젠, α-아밀신남알데하이드, p-다이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다이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2-클로로벤조페논, pp'-다이클로로벤조페논, pp'-비스다이에틸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에틸에터, 벤조인아이소프로필에터, 벤조인n-프로필에터, 벤조인n-뷰틸에터, 다이페닐설파이드, 비스(2,6-메톡시벤조일)-2,4,4-트라이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페인-1-온, 2-벤질-2-다이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뷰테인-1-온, 안트라센벤조페논, α-클로로안트라퀴논, 다이페닐다이설파이드, 헥사클로로뷰타다이엔, 펜타클로로뷰타다이엔, 옥타클로로뷰텐, 1-클로로메틸나프탈렌, 1,2-옥테인다이온, 1-[4-(페닐싸이오)-2-(o-벤조일옥심)]이나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졸-3-일]에탄온1-(o-아세틸옥심) 등의 카바졸옥심 화합물, (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3-메틸-2-뷰틴일테트라메틸설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다이페닐-(p-페닐싸이오페닐)설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원하는 물성에 따라 중합 개시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로 공지된 광 증감제나 중합 촉진제로서의 3급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성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광중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액정 화합물이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평균 몰 흡광 계수를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에는, 예컨대,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2-n-부틸말로네이트, 4-(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1-(2-(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의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흡수제;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뷰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등의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2,4-다이-t-뷰틸페닐-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아크릴로나이트릴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원하는 내광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 비율은, 액정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통 0.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 비율이 0.0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흡수능이 불충분해져 원하는 내광성을 얻을 수 없고, 5중량부보다 많은 경우에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시켜 수지층으로 할 때에 경화가 불충분해져, 수지층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거나 내열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원하는 기계적 강도에 따라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예로서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2-(2-바이닐옥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글라이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라이시딜에터, 글리세린트라이글라이시딜에터,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글라이시딜에터 등의 에폭시 화합물;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뷰탄올-트리스[3-(1-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4,4-비스(에틸렌이미노카보닐아미노)다이페닐메테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아지리딘 화합물;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되는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형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바이유렛형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어덕트형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기를 측쇄에 갖는 폴리옥사졸린 화합물; 바이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글라이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1,3-다이메틸뷰틸리덴)-3-(트라이에톡시실릴)-1-프로페인아민 등의 알콕시실레인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가교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가교제의 반응성에 따라 공지된 촉매를 포함하여, 막 강도나 내구성 향상에 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 비율은,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경화 수지 중에서의 가교제의 농도가 0.1중량% 내지 2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배합 비율이 0.1중량%보다 적으면 가교 밀도 향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역으로 20중량%보다 많으면 경화 수지층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산화 방지제에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테인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싸이오에터계 산화 방지제를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점착층의 투명성이나 점착력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이다.
또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배향시키는 수단으로서 배향막을 이용하는 경우, 기재 상에 셀룰로스, 실레인 커플링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폴리바이닐알코올,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실란올 올리고머,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페놀 수지, 폴리옥사졸, 환화 폴리아이소프렌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배향막의 두께는, 원하는 액정층의 배향 균일성이 얻어지는 막 두께로 할 수 있고, 0.00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배향 수단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6-289374호 공보, 일본 특허공표 제2002-507782호 공보, 일본 특허 제4267080호 공보, 일본 특허 제4647782호 공보, 일본 특허 제4022985호, 미국 특허 제5389698호에 나타낸 것과 같은 광 배향막과 편광 UV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고서 적당한 기재 표면을 직접 러빙하는 것과 같은 배향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고, 이러한 기재로서는, 보통, 투명 수지 기재를 이용한다. 투명이란, 예컨대 1mm 두께에서 전광선 투과율(JIS K7361-1997에 준거하여, 탁도계(니폰전색공업사제, NDH-300A)를 이용하여 측정)이 80% 이상인 것을 말한다.
투명 수지 기재의 구체예를 들면, 지환식 올레핀계 폴리머,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쇄상 올레핀계 폴리머,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이미드,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터설폰, 변성 아크릴 폴리머, 에폭시 수지, 폴리스타이렌, 아크릴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적층의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지환식 올레핀계 폴리머 또는 쇄상 올레핀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지환식 올레핀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투명 수지 기재의 재료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조합 및 비율로 병용하여도 좋다.
기재로서 연신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는, 러빙 처리를 하지 않고 배향 처리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물론 러빙 처리나 배향막을 사용한 러빙 처리나 편광 UV 조사에 의해서 배향 처리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기재의 두께는, 제조 장치에서의 취급성, 재료의 비용, 박형화 및 경량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또한, 시판 중인 저렴한 복굴절성이 있는 기재에 일단 제2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제1 위상차 필름 상에 전사하여 형성하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일본 특허공개 제2010-9161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지만, 점착층이나 접착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나 접착제의 예로서는, 경화에 의해서 상온 하에서 점착성을 잃는 협의의 접착제(가열 용융 접착제, UV 경화형 점착제, EB형 경화 점착제 등을 포함한다.)와, 점착성을 잃지 않는 점착제(감압 접착제 등)를 들 수 있다. 접착제의 선택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보통은 투명성이 높은 접착제를 이용한다. 또한, 제조 공정의 시간 단축을 위해, 접합 직후로부터 물성이 변화하지 않는 점착제이거나, 빠르게 경화하는 접착제(예컨대, 가열 용융 접착제, UV 경화형 접착제, EB 경화형 접착제 등)가 바람직하다. 추가로 제품의 신뢰성과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UV 경화형 접착제 및 EB 경화형 접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접착층은, 효과를 현저히 손상하지 않는 한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첨가제의 예를 들면, 광 확산제를 들 수 있다. 광 확산제는 광선을 확산시키는 성질을 갖는 입자이며, 무기 충전재와 유기 충전재로 대별할 수 있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예컨대, 유리,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타이타늄, 산화아연, 황산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충전재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실록세인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불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및 이들의 가교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유기 충전재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실록세인 수지, 및 이들의 가교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가, 고분산성, 고내열성, 성형시의 착색(황변)이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투명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아크릴 수지의 가교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 확산제로서 2종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광 확산제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광 확산제의 양은, 미경화 상태의 접착제에 포함되는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통 0.5 내지 20중량부이다. 광 확산제의 구체적인 양은, 원하는 헤이즈 값과 접착층의 막 두께로 결정된다. 헤이즈 값(JIS K7361-1에 준거하여, 니폰전색공업사제 「탁도계 NDH-300A」를 이용하여 측정)은 3% 이하가 바람직하다. 접착층의 두께는, 광학 특성, 신뢰성 및 기계적 강도를 손상하지 않는 한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100㎛보다도 두꺼우면 투과율이 낮아지거나 접착층의 경화가 불충분해져 신뢰성 및 기계적 강도가 낮아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0.5㎛보다도 얇으면, 접합하는 부재의 표면 요철의 영향 등에 의해서, 접합 공정에서 기포가 혼입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자외선의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 전술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위상차 필름 표면의 내찰상성(예컨대, 스틸 울(steel wool) 시험)이나 표면 경도(예컨대, 연필 경도 시험)의 관점에서, 사용되는 점착층 및 접착층의 굳기는 높은 쪽이 바람직하고, 단체(單體)로 측정한 경우의 연필 경도는 HB 이상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2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제2 위상차 필름은,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면 상에 도포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층을 형성하고, 이러한 층에 대하여 영역마다 다른 경화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대상의 면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또는 기재 상에 형성된 배향막 상의 면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는, 필요에 따라, 도포에 앞서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향 처리의 예로서는, 전술한 각종의 러빙 처리를 들 수 있다. 또한, 기재로서 연신 폴리머를 채용한 경우, 배향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킬 수 있다. 도포 방법의 예로서는, 전술한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영역마다 다른 경화 처리의 예로서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고, 그 상태로 일부의 영역에만 미약한 자외선 노광을 행하고, 그 후, 배향 상태를 변화시키고, 그 상태로 비교적 강한 자외선 노광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영역마다 다른 경화 처리의 다른 예로서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고, 그 상태로 일부의 영역만을 가열하고,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를 영역마다 다른 것으로 하고, 그 상태로 자외선 노광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방법을 들 수 있다.
(i) 하나는 선택적인 UV 노광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UV 노광을 이용하는 경우에서는, 부여하고 싶은 패턴 형상에 대응된 투과부와 차광부를 구비하는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층에 선택적인 UV 노광을 행하는 것으로 원하는 패턴을 액정층에 부여할 수 있다. 포토 마스크에는, 고정식과 반송식이 상황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식 포토 마스크란, 공정 라인 상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가리키고, 반송식 포토 마스크란, 장척의 필름 형상으로 공정 라인 상을 반송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반송식 포토 마스크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대상의 기재를 겸할 수 있다. 즉, 포토 마스크의 한쪽 면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층을 형성하고, 포토 마스크의 다른 쪽 면에 UV를 조사함으로써 선택적인 UV 노광을 행할 수 있다. 포토 마스크의 차광부는 레지스트, 인쇄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인쇄에는 다이, 그라비어, 잉크 젯, 스크린, 로타리 스크린과 같은 수법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는 패턴의 작성 방법은, 최종적으로 설정하고 싶은 폭과, 포토 마스크와 액정층간의 거리, 이용하는 광원의 배광 특성 등으로부터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배율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도 11은,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장척의 제2 위상차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제2 위상차 필름(11A)은, 그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11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112b)을 갖고 있다. 장척의 필름으로서 형성된 제2 위상차 필름은 롤 체(110)의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필름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턴화된 영역은, 고정식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반송식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길이 방향에 평행한 스트라이프 형상의 차광부를 형성하고, 그것을 통해 UV 노광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러빙 처리나 편광 UV에 의한 배향 처리를 부여한 기재 상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하여 유기 용제를 제거하여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킨 후, 배향된 층에 전술한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UV 노광함으로써 경화된 수지층 영역과 미경화된 수지층 영역을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가열에 의해서 배향시키는 조건은 보통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보통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이다. 또한, 가열 처리에서의 처리 시간은, 보통 1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5초 이상이며, 보통 3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초 이하이다. 광 조사는, 예컨대 파장 200 내지 500nm의 광을 0.01초 내지 3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행하면 좋다. 또한, 예컨대 0.01 내지 50mJ/cm2의 미약한 자외선을 질소나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중 또는 공기 중에서 배향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층의 원하는 영역에 조사하여, λ/2의 위상차를 갖는 수지층 영역을 고정화하고, 그 후, 미경화된 수지층 영역을 액정 조성물의 투명점(NI 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미경화된 수지층 영역을 등방상으로 한 상태로, 예컨대 50 내지 10,000mJ/cm2의 비교적 강한 자외선을 질소나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중 또는 공기 중에서 조사하는 것으로, 동일층 내에 λ/2의 위상차를 갖는 이방성 영역과 등방성 영역을 가진 수지층을 얻을 수 있다.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UV 노광하는 경우,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기재의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층측에 UV를 조사하여도 좋고, 이면측에 UV를 조사하여도 좋다. 제2 위상차 필름의 Re는, 예컨대, 2차원 복굴절 평가 시스템 「(주)포토닉라티스사제; WPA-micro」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턴화된 영역의 연장 방향은, 필름 길이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필름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 또는 직교 방향이어도 좋다.
도 12 및 도 13은, 각각,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장척의 제2 위상차 필름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제2 위상차 필름(12A)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12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122b)을 갖고 있다. 장척의 필름으로서 형성된 제2 위상차 필름은 롤 체(120)의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도 13에서, 제2 위상차 필름(13A)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하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13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132b)을 갖고 있다. 장척의 필름으로서 형성된 제2 위상차 필름은, 롤 체(130)의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필름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스트라이프 형상, 또는 도 13에 나타낸 필름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패턴은, 고정식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사 또는 직교하는 것과 같은 스트라이프 형상의 차광부를 형성하고, 그것을 통해 반송 속도에 맞춘 플래시 노광을 하는 것에 의해 부여할 수 있고, 반송식의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사 또는 직교하는 것과 같은 스트라이프 형상의 차광부를 형성하고, 그것을 통해 UV 노광하는 것에 의해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를 구비한 도포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WO2008/007782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ii) 하나는 열 엠보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14A)에 원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에 요철 형상(140)을 부여한다. 이 롤을 가열하고, 필름에 근접시키면, 요철 형상(140)의 볼록부만이 필름에 접하고, 그 부분만을 가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 볼록부에서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액정 화합물이 등방상으로 되고, 오목부에서는 액정 화합물이 배향 질서를 유지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를 UV 노광 등의 수법에 의해 경화·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액정층 상에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화된 복수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라이프 방향은, 롤에 부여하는 요철 형상의 스트라이프의 방향에 의해 적절히 선택이 가능하다.
(iii) 상기 (i)의 방법에서, 포토 마스크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한 선택적인 노광 대신에, 발광 롤을 이용한 선택적인 노광을 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발광 롤이란, 롤 면 상으로부터 UV 광을 출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예컨대, 도 15에 나타내는 롤(15A)과 같이, 차광성이 높은 롤 내부에 UV 광원(151)을 배치하고, 롤 표면에는 UV 광 취출용 개구부(152) 및 차광부(153)를 형성하는 것으로 발광 롤을 구성할 수 있다. UV 광 취출용 구멍을 원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에 대응시키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이 롤상을 통과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층에 UV 노광부/미노광부를 만들어 내어,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iv) 또 하나의 발광 롤의 구체예로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롤(16A)과 같이 롤 면 상에 도광체(164)를 형성하고, 도광체 단면(167)으로부터 UV 광을 입사하고, 도광부(162)의 출광부로부터 UV 광을 취출하는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광체(164)의 출광부 상에 원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에 대응한 차광부(163)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 롤 상을 통과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층에 UV 노광부/미노광부를 만들어 내어,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단면(167)에의 UV 광의 공급은, UV 광원(161)으로부터 광 섬유(168)를 통해서 행할 수 있다.
(v) 또 하나의 발광 롤의 구체예로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롤(17A)과 같이 롤 축 내부에 UV 광원(171)을 형성하고, 도광 디스크(175)와 차광 디스크(176)를 나란히 배치하는 것으로, 이 롤 상을 통과하는 액정층에 UV 노광부/미노광부를 만들어 내어,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택적인 노광 또는 선택적인 가열을 행하는 것에 의해, 도포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및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면에 영역마다 차이가 없어도, 영역마다 다른 위상차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영역마다 다른 배향 처리(러빙 처리 등)를 행하거나, 영역마다 다른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하는 곤란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면 전체에 동일한 배향 처리를 행하고,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전체 면에 같은 조성물을 도포한 상태로, 복수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장척 형상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는,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예를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다.
도 18은, 도 4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을, 점착층을 개재시켜 제1 위상차 필름에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도 18에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18A)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4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42b)을 갖는 수지층(42)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 필름을 갖고 있다. 위상차 필름 적층체(18A)는 추가로 수지층(42)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185)을 개재시켜 접합된 제1 위상차 필름(180)을 갖고 있다.
도 19는, 도 1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을, 점착층을 개재시켜 제1 위상차 필름에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도 19에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19A)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1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12b)을 갖는 수지층(12)과 기재(11)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 필름을 갖고 있다. 위상차 필름 적층체(19A)는 추가로 수지층(12)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195)을 개재시켜 접합된 제1 위상차 필름(190)을 갖고 있다.
도 20은, 도 19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지시켜 제1 위상차 필름에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지만, 이 예는, 제2 위상차 필름을 기재측에서 제1 위상차 필름과 접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 19의 예와는 다르다. 즉, 도 20에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20A)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1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12b)을 갖는 수지층(12)과 기재(11)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 필름을 갖고 있다. 위상차 필름 적층체(20A)는 추가로 기재(11)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05)을 개재시켜 접합된 제1 위상차 필름(200)을 갖고 있다.
도 21은, 도 3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을, 점착층을 개재시켜 제1 위상차 필름에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도 21에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21A)는, 기재(31)와, 기재(31)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33)을 개재시켜 접합된, 액정 배향 수지 영역(3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32b)을 갖는 수지층(32)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 필름을 갖고 있다. 위상차 필름 적층체(21A)는 추가로 수지층(32)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15)을 개재시켜 접합된 제1 위상차 필름(210)을 갖고 있다.
도 22는, 도 3에 나타낸 제2 위상차 필름을, 점착층을 개재시켜 제1 위상차 필름에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도 22에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22A)는, 기재(31)와, 기재(31)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33)을 개재시켜 접합된, 액정 배향 수지 영역(3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32b)을 갖는 수지층(32)으로 이루어지는 제2 위상차 필름을 갖고 있다. 위상차 필름 적층체(22A)는 추가로 기재(31)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25)을 개재시켜 접합된 제1 위상차 필름(220)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접착층이나 점착층에 사용되는 접착제나 점착제는 경화에 의해서 상온 하에서 점착성을 잃는 접착제(가열 용융 접착제, UV 경화형 점착제, EB형 경화 점착제 등을 포함한다.)와, 점착성을 잃지 않는 점착제(감압 접착제 등)를 들 수 있다. 접착제의 선택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보통은 투명성이 높은 접착제를 이용한다. 또한, 제조 공정의 시간 단축을 위해, 접합 직후로부터 물성이 변화하지 않는 점착제이거나, 빠르게 경화하는 접착제(예컨대, 가열 용융 접착제, UV 경화형 접착제, EB 경화형 접착제 등)가 바람직하다. 추가로 제품의 신뢰성과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UV 경화형 접착제 및 EB 경화형 접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제1 및 제2 위상차 필름을 조합하여, 장척 형상의 적층체로서 연속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위상차 필름 및 제2 위상차 필름을 롤-투-롤(roll to roll)로 연속적으로 접합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장척 형상」의 필름이란, 필름의 폭에 대하여, 적어도 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10배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갖고, 구체적으로는 롤 형상으로 감아서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을 말한다.
본원에서 「적층체」란, 복수의 층을 갖는 구조물이며, 「필름 적층체」란, 복수의 층을 갖는 필름이다. 「적층체」의 문언은, 그것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의 형성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2 층을 갖는 적층체는, 1 층을 형성한 후, 그 한쪽 면에 다른 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고, 2 층을 따로따로 형성한 후 접합하는 것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우안용 표시 영역과 좌안용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재단물(裁斷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우안용 표시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표시 영역에, 상기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위상차 필름 적층체가 배치된다. 재단물은, 장척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표시 장치에 적합한 치수로 적절히 재단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표시부(231)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235)를 배치한 형태를 들 수 있다. 도 23에서는, 232는 제1 위상차 필름, 232a는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233은 제2 위상차 필름, 233a는 제1 영역, 233b는 제2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233c는 제1 영역에서의 지상축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영역(233b)은 등방(等方)인 영역이다. 이들과 편광 안경(234)이 조합되어, 입체 화상 장치(236)가 구성된다.
도 23과 같은 배치로 구성되는(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편광의 편광축(즉,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응하는 방향)(231a)이 표시부의 세로 방향에 평행한) 경우,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232a)은,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편광의 편광축(231a)에 대하여 비평행한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가령,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실질적으로 편광축(231a)에 평행한 경우, 입사광(230)은 전혀 복굴절 작용을 받지 않고 투과해 버리고, 다음의 제2 위상차 필름에서 원 편광 또는 대략 원 편광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제2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을 각 영역에서 장척 방향에 대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교차시킬 필요성이 발생한다. 그 경우, 효율성과 생산성을 희생해 버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도 2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편광 상태의 편광을 출사하는 보통의 액정 TV 등에서는,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장척 방향에 대하여 35° 내지 5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5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24는 다른 타입의 표시부와의 조합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 나타낸 예에서는, 표시부(241)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245)가 조합되어 표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24에서는, 242는 제1 위상차 필름, 242a는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243은 제2 위상차 필름, 243a는 제1 영역, 243b는 제2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243c는 제1 영역에서의 지상축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영역(243b)은 등방인 영역이다. 이들과 편광 안경(244)이 조합되어, 입체 화상 장치(246)가 구성된다. 241a는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편광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3의 표시부(231)와는 달리, 표시부(241)는, 표시부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편광축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242a)은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240)의 편광축(241a)에 대하여 비평행한 방향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지만, 보통, 연신 폴리머나 액정 수지층에 의해 제1 위상차 필름을 작성하는 경우, 제품의 폭을 가능한 한 넓게 잡을 필요성으로부터 지상축은 장척 방향과 대략 직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교차각으로서는 35° 내지 5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5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태양에서는, 표시 장치의 관찰자측 최표면에 제2 위상차 필름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태양에서, 제2 위상차 필름의 최표면측에, 필요에 따라, 추가로 하드 코팅층이나 반사 방지막을 직접 배치하여도 좋고, 점착층이나 접착층을 개재시켜, 적당한 기재에 하드 코팅층이나 반사 방지층이 형성된 필름을 접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드 코팅층은 WO2006/019086호에 개시되는 재료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기재의 표면 경도를 높이는 기능을 갖는 층이며, JIS K5600-5-4에서 나타내는 연필 경도 시험(시험판은 유리판을 이용한다)에서 「H」 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하드 코팅 재료)로서는, 열이나 광으로 경화하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아크릴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유기 하드 코팅 재료; 이산화규소 등의 무기계 하드 코팅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층은 WO2005/001525호에 개시되는 재료 등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외광의 고스트 이미지(ghost image)를 방지하기 위한 층이며, 기재의 표면에 직접 또는 하드 코팅층 등의 다른 층을 개재시켜 적층된다. 반사 방지층이 형성된 기재는, 입사각 5°, 파장 430nm 내지 700nm에서의 반사율(예컨대, 니폰분광제,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V-570을 이용하여 측정)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사각 5°, 파장 550nm에서의 반사율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재로서는 복굴절이 작은 것이 최적이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같은 아세테이트계 폴리머 수지(예컨대, 코니카미놀타제 TAC 필름)나 지환식 올레핀계 폴리머 수지(예컨대, 니폰제온제 제오노아 필름(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복굴절성이 있는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이나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 놓고, 점착층이나 접착층을 개재시켜 제2 위상차 필름 상에 전사하는 방법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및 점착층 또는 접착층은 적절히 전술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위치 맞춤을 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의 화소 위치와 제2 위상차 필름의 패턴 위치가 원하는 관계 배치가 되도록, 위치 맞춤을 위한 표준점을 형성하여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점을 형성한 다른 부재를 보조 부재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도 25 및 도 26은, 상기의 것과는 다른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에 나타낸 예에서는, 표시부(251)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255)가 조합되어 표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25에서는, 252는 제1 위상차 필름, 252a는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253은 제2 위상차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과 편광 안경(254)이 조합되어, 입체 화상 장치(256)가 구성된다. 251a는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250)의 편광축을 나타내고 있다. 253a는, 이 영역으로 입사한 직선 편광(250)을 90° 선광시키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N)영역이며, 253b는 액정 분자가 랜덤하게 배치된 상태로 경화된 등방성 영역이다.
도 26에 나타낸 예에서는, 표시부(261)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265)가 조합되어 표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26에서는, 262는 제1 위상차 필름, 262a는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263은 제2 위상차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과 편광 안경(264)이 조합되어, 입체 화상 장치(266)가 구성된다. 261a는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260)의 편광축을 나타내고 있다. 263a는, 이 영역에 입사한 직선 편광(260)을 90° 선광시키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N)영역이며, 263b는 액정 분자가 랜덤하게 배치된 상태로 경화된 등방성 영역이다.
도 25 및 도 26의 경우, 관찰자측의 최표면에 제1 위상차 필름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도, 전술한 것과 같이 하드 코팅층이나 반사 방지층, 점착층 또는 접착층 등과 조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제1 위상차 필름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도입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1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자외선 흡수제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수지를 포함하는 복수층을 동시에 압출(押出)한 후에 연신되는 다층 압출 필름이 바람직하다. 다층 압출 필름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6-18801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6-231763호 공보 등에 개시되는 다층 압출기를 이용하여, 일본 특허 제4461795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6-21298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6-21298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8-7389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9-178899호 공보 등에 개시된 다층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는 표시 장치 상의 2색성 편광자(도시하지 않음) 상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접합되지만, 안팎으로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의 경우, 한쪽의 보호층을 생략한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 사이에는 점착층 또는 접착층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목적의 점착층 또는 접착층에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마이드, 폴리바이닐에터,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아세탈, 폴리바이닐폼알,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계, 에틸렌-아크릴산에스터계, 에틸렌-염화바이닐계,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등의 합성 고무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편광판으로서 만곡(灣曲) 등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에폭시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터계 등의 비수계 자외선 경화형 접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 복합체>
본 발명의 편광판 복합체는, 상기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 및 편광판을 포함한다. 도 27 내지 도 31에 본 발명의 편광판 복합체의 예(편광판 보호층은 도시하지 않음)를 나타낸다. 장척 형상의 편광판과 본 발명에 의한 장척 형상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접합하는 경우, 편광판의 투과축과 제2 위상차 필름의 패턴 방향을 교차시킬 필요성이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패턴의 방향이 장척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제2 위상차 필름은 전술한 것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도 27에서, 편광판 복합체(27A)는, 기재(271)와, 기재(271) 상에 형성된 배향막(273)과, 배향막(273) 상에 형성되고 액정 배향 수지 영역(27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272b)을 갖는 수지층(272)과, 수지층(272) 상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75)을 개재시켜 형성된 제1 위상차 필름(270)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갖고 있다. 편광판 복합체(27A)는, 또한 기재(271)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76)을 통해서 형성된 편광판(278)을 갖고 있다.
도 28에서, 편광판 복합체(28A)는, 기재(281)와, 기재(281) 상에 배향막을 개재시키지 않고 형성되고 액정 배향 수지 영역(28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282b)을 갖는 수지층(282)과, 수지층(282) 상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85)을 개재시켜 형성된 제1 위상차 필름(280)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갖고 있다. 편광판 복합체(28A)는, 또한 기재(281)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86)을 개재시켜 형성된 편광판(288)을 갖고 있다.
도 29에서, 편광판 복합체(29A)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29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292b)을 갖는 수지층(292)과, 수지층(292) 상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95)을 개재시켜 형성된 제1 위상차 필름(290)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갖고 있다. 편광판 복합체(29A)는, 또한 수지층(292)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296)을 개재시켜 형성된 편광판(298)을 갖고 있다.
도 30에서, 편광판 복합체(30A)는, 기재(301)와, 기재(301) 상에 형성된 배향막(303)과, 배향막(303) 상에 형성되고 액정 배향 수지 영역(30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302b)을 갖는 수지층(302)과, 기재(301) 상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305)을 개재시켜 형성된 제1 위상차 필름(300)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갖고 있다. 편광판 복합체(30A)는, 또한 수지층(302)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306)을 개재시켜 형성된 편광판(308)을 갖고 있다.
도 31에서, 편광판 복합체(31A)는, 기재(311)와, 기재(311) 상에 배향막을 개재시키지 않고서 형성되고 액정 배향 수지 영역(312a) 및 등방성 수지 영역(312b)을 갖는 수지층(312)과, 기재(311) 상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315)을 개재시켜 형성된 제1 위상차 필름(310)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를 갖고 있다. 편광판 복합체(31A)는, 또한 수지층(312)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316)을 개재시켜 형성된 편광판(318)을 갖고 있다.
<위상차 필름 적층체와 편광 안경의 관계>
보통의 패시브 방식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입체 화상을 시인하기 위해서는 좌우에 각각 다른 회전 방향의 원 편광에 대해서만 투과성을 갖는 원 편광 안경이 필요해진다. 도 32 및 도 33은 입체 화상을 시인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32의 325 및 326은 원 편광 안경(324)을 구성하는 부재의 조합(323)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3의 335 및 336은 원 편광 안경(334)을 구성하는 부재의 조합(333)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동시에 표시되어 화살표(320, 330)로 나타낸 대로 입사한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의 각각은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321, 331)에 의해서 각각 좌우의 원 편광 화상(322, 332)으로 변환된다. 323L, 323R, 333L 및 333R은 λ/4판, 326 및 336은 편광판이다.
도 32의 태양의 경우, 좌우의 원 편광 화상(322) 중 제2 위상차 필름의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을 통과한 화상을 좌안용 화상, 등방성 수지 영역을 통과한 화상을 우안용 화상으로 한다. 좌안용 화상은 좌원 편광(322a)으로 하여 위상차 필름 적층체(321)로부터 출사된다. 우안용 화상은 우원 편광(322b)으로 하여 위상차 필름 적층체(321)로부터 출사된다.
좌원 편광(322a)의 화상은, 편광 안경의 한쪽의 λ/4판(323L)에 의해서, 편광판(326)의 투과축에 대하여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고, 편광 안경의 또 한 쪽의 λ/4판(323R)에 의해서, 편광판(326)의 투과축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좌안용 편광판(326L)을 투과하고, 우안용 편광판(326R)에서 차광되어 관찰자의 한쪽 눈에 도달한다. 이에 비하여, 우원 편광(322b)의 화상은, 편광 안경의 한편의 λ/4판(323R)에 의해서, 편광판(326)의 투과축에 대하여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고, 편광 안경의 또 한쪽의 λ/4판(323L)에 의해서, 편광판(326)의 투과축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우안용 편광판(326L)을 투과하고, 좌안용 편광판(326R)에서 차광되어 관찰자의 또 한쪽 눈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시차를 생성함에 의해 관찰자는 이것을 입체적으로 인식한다.
또한, 도 33의 태양의 경우, 도 32와 같이, 제2 위상차 필름의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을 통과한 화상을 좌안용 화상, 등방성 수지 영역을 통과한 화상을 우안용 화상으로 한다. 좌안용 화상은 좌원 편광(332a)으로 하여 위상차 필름 적층체(331)로부터 출사된다. 우안용 화상은 우원 편광(332b)으로 하여 위상차 필름 적층체(331)로부터 출사된다.
좌원 편광(332a)의 화상은, 편광 안경의 한쪽의 λ/4판(333L)에 의해서, 편광판(336)의 투과축에 대하여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고, 편광 안경의 또 한쪽의 λ/4판(333R)에 의해서, 편광판(336)의 투과축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좌안용 편광판(336L)을 투과하고, 우안용 편광판(336R)에서 차광되어 관찰자의 한쪽 눈에 도달한다. 이에 비하여, 우원 편광(332b)의 화상은, 편광 안경의 한쪽의 λ/4판(333R)에 의해서, 편광판(336)의 투과축에 대하여 평행한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고, 편광 안경의 또 한쪽의 λ/4판(333L)에 의해서, 편광판(336)의 투과축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우안용 편광판(336L)을 투과하고, 좌안용 편광판(336R)에서 차광되어 관찰자의 또 한쪽 눈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시차를 생성함에 의해 관찰자는 이것을 입체적으로 인식한다.
상기한 대로, 도 33에서 설명한 재료 및 방법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와 편광 안경을 배치한 경우, 우안용 화상(332b)이 좌안용 안경에 입사했을 때에, 위상차 필름 적층체(331)의 제2 위상차 필름의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의 지상축과 편광 안경의 λ/4판(333L)의 지상축이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파장 분산을 지워 합하여, 입사광과 같은 직선 편광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우안용 화상은 편광 안경의 좌안용 편광판(336L)에서 이상적으로 차단되어 관찰자에게는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을 통과한 좌안용 화상(332a)이 우안용 안경에 입사한 경우, 편광 안경의 우안용 편광판(336R)에서 차광하지 못하여 누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의 누출은, 액정의 파장 분산성에 의해, 파장이 550nm 부근(녹색의 영역)의 광에 대해서는 λ/2판으로서 기능하지만, 단파장 영역(청색의 영역)이나 장파장 영역(적색의 영역)의 광에 대해서는 정확한 λ/2판으로서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직선 편광의 상태에서 편광 방향이 변환하지 않고, 타원 편광이 되는 것에 기인한다. 이와 같이, 원래부터 우안으로 보여서는 안되는 좌안용 화상이 보여져 버려,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할 수 없어지는 현상(크로스토크(crosstalk))이 생길 염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하는 편광 안경에, 표시 장치로 사용한 위상차 필름에서 생긴 파장 분산을 해소하도록 보상층을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염려를 해결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와 λ/4판(343b 또는 353b) 사이에, 제2 위상차 필름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보상층(343a 또는 353a)을 배치하면 좋다. 도 34 및 도 35는 이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관찰자측에서 보아 표시 장치측의 제2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보상층(343a 또는 353a)의 지상축의 관계가 직교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3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341)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편광 안경(344)이 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편광 안경(344)은, 우안만 λ/2판인 보상층(343a)과, λ/4판(343b)과, 편광판(346)을 포함하는 부재의 조합(343)을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표시부로부터 화살표(340)를 따라 위상차 필름 적층체(341)에 입사한 직선 편광의 화상 중 좌안용 화상의 광은 λ/4판 및 λ/2판을 투과하고,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하여 좌원 편광(342a)이 된다. 이 좌원 편광은, 편광 안경의 부재의 조합(343)에서, λ/4판(345L)을 투과하고, 그것에 의하여 직선 편광(345)으로 변환되고, 편광판(346L)을 통과하여, 좌안에 도달한다. 한편, 표시부로부터 화살표(340)를 따라 위상차 필름 적층체(341)에 입사한 직선 편광의 화상 중 우안용 화상의 광은 λ/4판을 투과하고,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하여 우원 편광(342b)이 된다. 이 우원 편광은, 편광 안경의 부재의 조합(343)에서, λ/2판(343a) 및 λ/4판(345R)을 투과하고, 그것에 의하여 직선 편광(345)으로 변환되어, 편광판(346R)을 통과하여, 우안에 도달한다.
도 3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351)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편광 안경(354)이 조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편광 안경(354)은, 좌안만 λ/2판인 보상층(353a)과, λ/4판(353b)과, 편광판(356)을 포함하는 부재의 조합(353)을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표시부로부터 화살표(350)를 따라 위상차 필름 적층체(351)에 입사한 직선 편광의 화상 중 좌안용 화상의 광은 λ/4판 및 λ/2판을 투과하고,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하여 좌원 편광(352a)이 된다. 이 좌원 편광은, 편광 안경의 부재의 조합(353)에서, λ/2판(353a) 및 λ/4판(355L)을 투과하고, 그것에 의하여 직선 편광(355)으로 변환되고, 편광판(356L)을 통과하여, 좌안에 도달한다. 한편, 표시부로부터 화살표(350)를 따라 위상차 필름 적층체(351)에 입사한 직선 편광의 화상 중 우안용 화상의 광은 λ/4판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하여 우원 편광(352b)이 된다. 이 우원 편광은, 편광 안경의 부재의 조합(353)에서, λ/4판(355R)을 투과하고, 그것에 의하여 직선 편광(355)으로 변환되고, 편광판(356R)을 통과하여, 우안에 도달한다.
이러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우안용 화상이 좌안용 안경에, 좌안용 화상이 우안용 안경에 입사한 경우에, 입사광과 같은 직선 편광 상태(편광 안경의 편광자의 투과축과 직교 관계)로 되어, 편광 안경의 편광자에 의해서 이상적으로는 완전히 차광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편광 안경에는, 적절히 전술한 것과 같은 하드 코팅층이나 반사 방지층, 점착층 또는 접착층 등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조예 1. 배향막을 갖는 투명 수지 기재의 제작)
지환식 올레핀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주식회사오푸테스제, 상품명 「제오노아 필름(등록상표) ZF14-100」)의 양면을, 젖음 지수가 56dyne/cm가 되도록 가스가전기(주)제 콘베이어식 코로나 방전 표면 처치를 이용하여, 출력 0.12kW, 라인 속도 5m/min, 필름/처리 전극 사이 거리 10mm의 조건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했다. 5중량%의 폴리바이닐알코올 수용액을 상기 필름의 한 면에 #2 와이어 바(wire bar)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도막을 건조시키고, 막 두께 0.1㎛의 배향막을 형성했다. 이어서, 상기 배향막을 러빙 처리하여, 배향막을 갖는 투명 수지 기재를 제조했다.
(제조예 2.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1의 조제)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중량부)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한편,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는, 상품명 LC242(BASF사제)를 이용했다. Δn 값: 0.14(세나몬법)
중합 개시제로서는, 상품명 이가큐어 OXE02(치바·재팬사제)를 이용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불소계 계면 활성제(상품명 후타젠트 209F, 네오스사제)를 이용했다.
(제조예 3.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2의 조제)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중량부)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Δn 값: 0.14(세나몬법)
화합물 1로서는, 하기 화합물을 사용했다. 이 화합물 1은 액정성을 갖지 않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가교제로서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아크릴레이트를 이용했다.
(제조예 4.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3의 조제)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중량부)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3을 조제했다. Δn 값: 0.14(세나몬법)
한편, 키랄제로서는, 상품명 LC756(BASF사제)을 이용했다.
Figure pct00002
(제조예 5. 제2 위상차 필름 1의 제작)
온도 23℃에서, 제조예 1에서 조제한 배향막을 갖는 투명 수지 기재의 배향막을 갖는 면에,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1을 #4의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막을 성막했다.
이 도막을 75℃에서 2분간 배향 처리하고, 그 후, 제1 자외선 조사로서, 상기 막에 대하여 미약한 자외선 조사를 행했다. 제1 자외선 조사의 공정에서는, 선원으로부터 자외선을, 레지스트로 제작된 차광부를 갖는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투명 수지 기재의 이면(즉, 도막이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측에 조사했다. 자외선의 양은 0.1 내지 45mJ/cm2로 했다. 이러한 조사에 의해, λ/2의 위상차를 갖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130℃에서 10초간의 가온 처리에 의해서, 액정 배향 수지 영역 이외의 도막을 액정상으로부터 등방상으로 전이시키고, 이 상태로 제2 자외선 조사를 행했다. 제2 자외선 조사의 공정에서는, 선원으로부터 자외선을, 포토 마스크를 통하지 않고서, 도막면측(즉, 전술한 「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조사했다. 자외선의 양은 2000mJ/cm2로 했다. 또한, 이 조사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이러한 조사에 의해, 도막을 경화시키고, 위상차 λ/2의 액정 배향 수지 영역과 등방성 수지 영역을 동일 수지층 내에 갖는 제2 위상차 필름 1을 제작했다. 수지층의 건조막 두께는 2㎛였다. 또한,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의 Re는 280nm였다.
(제조예 6. 제2 위상차 필름 2의 제작)
온도 23℃에서, 제조예 1에서 조제한 배향막을 갖는 투명 수지 기재의 배향막을 갖는 면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2를 #2의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막을 성막했다.
이 도막을 65℃에서 2분간 배향 처리하고, 그 후, 제1 자외선 조사로서, 상기 막에 대하여 미약한 자외선 조사를 행했다. 제1 자외선 조사의 공정에서는, 선원으로부터 자외선을, 레지스트로 제작된 차광부를 갖는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투명 수지 기재의 이면(즉, 도막이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측에 조사했다. 자외선의 양은 0.1 내지 45mJ/cm2로 했다. 이러한 조사에 의해, λ/2의 위상차를 갖는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90℃에서 10초간의 가온 처리에 의해서, 액정 배향 수지 영역 이외의 도막을 액정상으로부터 등방상으로 전이시키고, 이 상태로, 제2 자외선 조사를 행했다. 제2 자외선 조사의 공정에서는, 선원으로부터 자외선을, 포토 마스크를 통하지 않고서, 도막면측(즉, 전술한 「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조사했다. 자외선의 양은 2000mJ/cm2으로 했다. 또한, 이 조사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이러한 조사에 의해, 도막을 경화시키고, 위상차 λ/2의 액정 배향 수지 영역과 등방성의 수지 영역을 동일 수지층 내에 갖는 제2 위상차 필름 2을 제작했다. 수지층의 건조막 두께는 1.5㎛였다. 또한, 액정 배향 수지 영역의 Re는 270nm였다.
(제조예 7. 제2 위상차 필름 3의 제작)
온도 23℃에서, 제조예 1에서 조제한 배향막을 갖는 투명 수지 기재의 배향막을 갖는 면에,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3을 #36의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막을 성막했다.
이 도막을 110℃에서 2분간 배향 처리하고, 그 후, 제1 자외선 조사로서, 상기 막에 대하여 미약한 자외선 조사를 행했다. 제1 자외선 조사의 공정에서는, 선원으로부터 자외선을, 레지스트로 제작한 차광부를 갖는 포토 마스크를 통해서, 투명 수지 기재의 이면(즉, 도막이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측에 조사했다. 자외선의 양은 0.1 내지 45mJ/cm2로 했다. 이러한 조사에 의해, 네마틱 배향이 고정화된 수지 영역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130℃에서 10초간의 가온 처리에 의해서, 네마틱 배향이 고정화된 수지 영역 이외의 도막을 액정상으로부터 등방상으로 전이시키고, 이 상태로, 제2 자외선 조사를 행했다. 제2 자외선 조사의 공정에서는, 선원으로부터 자외선을, 포토 마스크를 통하지 않고서, 도막면측(즉, 전술의 「이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조사했다. 자외선의 양은 2000mJ/cm2으로 했다. 또한, 이 조사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했다. 이러한 조사에 의해, 도막을 경화시키고, 네마틱 배향이 고정화된 수지 영역과 등방성의 수지 영역을 동일 수지층 내에 갖는 제2 위상차 필름 3을 제작했다. 수지층의 건조막 두께는 20㎛였다.
2장의 직선 편광판 사이에 상기 제2 위상차 필름 3을 배치하고, 2장의 직선 편광판의 직선 편광의 투과축과 상기 제2 위상차 필름 3의 러빙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한 바, 네마틱 수지층 부분만 소광위(消光位)였다. 이것은, 즉 직선 편광은 상기 제2 위상차 필름 3의 네마틱 수지층에서 90° 선광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제2 위상차 필름 3의 네마틱 수지층은 두께 방향으로 향하여 90° 틀어진 네마틱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8. λ/2 필름 1의 제작)
제1 자외선 조사를, 포토 마스크를 통하지 않고 행한 것 이외는, 제조예 5의 제2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λ/2 필름 1을 제조했다(필름은, 제2 위상차 필름 1과 다르고, 이방성 영역만으로 구성된다). 수득된 λ/2 필름 1의 Re는 280nm였다.
(제조예 9. λ/2 필름 2의 제작)
제1 자외선 조사를, 포토 마스크를 통하지 않고 행한 것 이외는, 제조예 6의 제2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λ/2 필름 2를 제조했다(필름은, 제2 위상차 필름 2와 다르고, 이방성 영역만으로 구성된다). 수득된 λ/2 필름 2의 Re는 270nm였다.
(제조예 10. 트위스티드 네마틱 수지 필름의 제작)
제1 자외선 조사를, 포토 마스크를 통하지 않고 행한 것 이외는, 제조예 7의 제2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트위스티드 네마틱 수지 필름을 제조했다(필름은, 제2 위상차 필름 3과 다르고, 이방성 영역만으로 구성된다).
(제조예 11. 원 편광판 1의 제작)
아크릴계 점착제(SK다인2094(소켄화학사제, 폴리머 함유 비율 30중량%)에 경화제 E-AX(소켄화학사)를, SK다인2094 중의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여, 감압성 접착제(이하, PSA라고 한다.)를 조제했다.
편광판(산릿쓰사제, HLC2-5618) 상에 PSA를 개재시켜, 제1 위상차 필름(경사 연신 제오노아 필름(등록상표), 니폰제온사제)을 접합하여, (제1 위상차 필름)/(PSA)/(편광판)의 층 구성을 갖는 원 편광판 1을 얻었다.
원 편광판 1에서,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의 관계는, 하기한 대로 했다. 즉, 관찰자가 편광판측의 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으로 45° 기울어진 방향으로 했다.
(제조예 12. 원 편광판 2의 제작)
원 편광판 1의 제1 위상차 필름측의 면 상에 PSA를 개재시켜, 제조예 8에서 수득된 위상차 λ/2 필름 1을 접합하여, (λ/2 필름 1)/(PSA)/(제1 위상차 필름)/(PSA)/(편광판)의 층 구성을 갖는 원 편광판 2를 얻었다.
원 편광판 2에서, λ/2 필름 1의 지상축 방향과,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의 관계는, 하기한 대로 했다. 즉, 관찰자가 편광판측의 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λ/2 필름 1의 지상축은 편광판의 투과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고,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으로 45° 기울어진 방향으로 했다.
(제조예 13. 원 편광판 3의 제작)
원 편광판 1의 제1 위상차 필름측의 면 상에 PSA를 개재시켜, 제조예 9에서 수득된 위상차 λ/2 필름 2를 접합하여, (λ/2 필름 2)/(PSA)/(제1 위상차 필름)/(PSA)/(편광판)의 층 구성을 갖는 원 편광판 3을 얻었다.
원 편광판 3에서, λ/2 필름 2의 지상축 방향과,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의 관계는, 하기한 대로 했다. 즉, 관찰자가 편광판측의 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λ/2 필름 2의 지상축은 편광판의 투과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고,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으로 45° 기울어진 방향으로 했다.
(제조예 14. 원 편광판 4의 제작)
편광판(산릿쓰사제, HLC2-5618) 상에 PSA를 개재시켜 제조예 10에서 얻은 트위스티드 네마틱 수지 필름을 접합하고, 추가로 트위스티드 네마틱 수지 필름 상에 PSA를 개재시켜 제1 위상차 필름(경사 연신 제오노아 필름(등록상표))을 접합하여, 제1 위상차 필름/PSA/제조예 10에서 얻은 트위스티드 네마틱 수지 필름/PSA/편광판의 순서로 적층된 원 편광판 4를 얻었다.
원 편광판 4에서,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의 관계는, 하기한 대로 했다. 즉, 관찰자가 편광판측의 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으로 45° 기울어진 방향으로 했다.
(제조예 15. 편광 안경 1의 제작)
원 편광판 1과 원 편광판 2가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시야 상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편광 안경 1을 얻었다.
편광 안경 1에서, 원 편광판 1 및 원 편광판 2는, 어느 것이든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편광판측의 면이 관찰자측으로 되도록 배치됐다. 또한, 원 편광판 1 및 원 편광판 2는, 어느 것이든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편광판 투과축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됐다. 따라서,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원 편광판 1의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은 좌상~우하 방향이 되고, 원 편광판 2의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은 좌상~우하 방향이 되고, λ/2 필름 1의 지상축 방향은 좌우 방향이 되었다.
(제조예 16. 편광 안경 2의 제작)
원 편광판 1과 원 편광판 3이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시야 상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편광 안경 2를 얻었다.
편광 안경 2에서, 원 편광판 1 및 원 편광판 3은, 어느 것이든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편광판측의 면이 관찰자측으로 되도록 배치됐다. 또한, 원 편광판 1 및 원 편광판 3은, 어느 것이든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편광판 투과축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됐다. 따라서,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원 편광판 1의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은 좌상~우하 방향이 되고, 원 편광판 3의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은 좌상~우하 방향이 되고, λ/2 필름 1의 지상축 방향은 좌우 방향이 되었다.
(제조예 17. 편광 안경 3의 제작)
원 편광판 1과 원 편광판 4가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시야 상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편광 안경 3을 얻었다.
편광 안경 3에서, 원 편광판 1 및 원 편광판 4는, 어느 것이든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편광판측의 면이 관찰자측으로 되도록 배치됐다. 또한, 원 편광판 1 및 원 편광판 4는, 어느 것이든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편광판 투과축이 상하 방향이으로 되도록 배치됐다. 따라서,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원 편광판 1의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은 좌상~우하 방향이 되고, 원 편광판 4의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은 좌상~우하 방향이 되었다.
(제조예 18. 원 편광판 5의 제작)
각 층의 투과축 및 지상축의 각도 관계를 하기한 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제조예 11과 같이 조작하여, 원 편광판 5를 얻었다.
원 편광판 5에서,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의 관계는, 하기한 대로 했다. 즉, 관찰자가 편광판측의 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이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으로 45° 기울어진 방향으로 했다.
(제조예 19. 원 편광판 6의 제작)
각 층의 투과축 및 지상축의 각도 관계를 하기한 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제조예 13과 같이 조작하여, 원 편광판 6을 얻었다.
원 편광판 6에서, λ/2 필름 2의 지상축 방향과,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의 관계는, 하기한 대로 했다. 즉, 관찰자가 편광판측의 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λ/2 필름 2의 지상축은 편광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고,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으로 45° 기울어진 방향으로 했다.
(제조예 20. 편광 안경 4의 제작)
원 편광판 5와 원 편광판 6이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시야 상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편광 안경 4를 얻었다.
편광 안경 4에서, 원 편광판 5 및 원 편광판 6은, 어느 것이든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편광판측의 면이 관찰자측으로 되도록 배치됐다. 또한, 원 편광판 5 및 원 편광판 6은, 어느 것이든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편광판 투과축이 좌우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됐다. 따라서, 관찰자가 착용했을 때, 원 편광판 5의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은 좌상~우하 방향이 되고, 원 편광판 6의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은 좌상~우하 방향이 되고, λ/2 필름 1의 지상축 방향은 좌우 방향이 되었다.
(실시예 1. 위상차 필름 적층체 1의 제작)
제1 위상차 필름으로서, 경사 연신 제오노아 필름(등록상표, 니폰제온사제, 배향각 45° 복굴절 계측 장치[오우지계측기기(주)제, KOBRA-WIST]를 이용하여 측정)의 한 면을 젖음 지수가 56dyne/cm로 되도록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과 제조예 5에서 제작한 제2 위상차 필름 1이 면하도록 마주보게 하고, 아크릴계 점착제(SK다인2094(소켄화학사제, 폴리머 함유 비율 30중량%)에, 경화제 E-AX(소켄화학사제)를, SK다인2094 중의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것)로 접합하여, 위상차 필름 적층체 1을 제작했다. 점착층의 두께는 20㎛였다.
(실시예 2. 위상차 필름 적층체 2의 제작)
제2 위상차 필름으로서, 제조예 5에서 제작한 제2 위상차 필름 1 대신에, 제조예 6에서 제작한 제2 위상차 필름 2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위상차 필름 적층체 2를 제작했다.
(실시예 3. 위상차 필름 적층체 3의 제작)
제2 위상차 필름으로서, 제조예 5에서 제작한 제2 위상차 필름 1 대신에, 제조예 7에서 제작한 제2 위상차 필름 3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위상차 필름 적층체 3을 제작했다.
(평가)
실시예 1에서 얻은 위상차 필름 적층체 1을 디스플레이 장치(소니사제, BRAVIA(등록상표) EX700 32inch)의 시인측 편광판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 패널의 화소 위치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 1의 스트라이프 위치가 대응하도록 위치 맞춤을 실시한 후에, PSA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얻었다.
수득된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수직으로 세운 위치의 디스플레이를 관찰자가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시인측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하 방향, 디스플레이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이 오른편 위쪽~왼편 아래쪽 방향, 디스플레이 제2 위상차 필름의 이방성 영역 지상축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었다.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평가용 화상을 입력하고, 표시된 화상을 편광 안경 1을 통해서 육안 평가를 실시했다. 양호한 입체 화상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 2를 디스플레이 장치(소니사제, BRAVIA(등록상표) EX700 32inch)의 시인측 편광판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 패널의 화소 위치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 2의 스트라이프 위치가 대응하도록 위치 맞춤을 실시한 후에, PSA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얻었다.
수득된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수직으로 세운 위치의 디스플레이를 관찰자가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시인측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하 방향, 디스플레이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이 오른편 위쪽~왼편 아래쪽 방향, 디스플레이 제2 위상차 필름의 이방성 영역 지상축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었다.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평가용 화상을 입력하고, 표시된 화상을 편광 안경 2를 통해서 육안 평가를 실시했다. 양호한 입체 화상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3에서 수득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 3을 디스플레이 장치(소니사제, BRAVIA(등록상표) EX700 32inch)의 시인측 편광판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 패널의 화소 위치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 3의 스트라이프 위치가 대응하도록 위치 맞춤을 실시한 후에, PSA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얻었다.
수득된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수직으로 세운 위치의 디스플레이를 관찰자가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시인측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하 방향, 디스플레이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이 오른편 위쪽~왼편 아래쪽 방향, 디스플레이 제2 위상차 필름의 이방성 영역 지상축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었다.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평가용 화상을 입력하고, 표시된 화상을 편광 안경 3을 통해서 육안 평가를 실시했다. 양호한 입체 화상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 2를 디스플레이 장치(소니사제, BRAVIA(등록상표) EX700 32inch)의 시인측 편광판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 패널의 화소 위치와 위상차 필름 적층체 2의 스트라이프 위치가 대응하도록 위치 맞춤을 실시한 후에, PSA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얻었다.
수득된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수직으로 세운 위치의 디스플레이를 관찰자가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시인측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하 방향, 디스플레이 제1 위상차 필름 지상축이 오른편 위쪽~왼편 아래쪽 방향, 디스플레이 제2 위상차 필름의 이방성 영역 지상축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었다.
평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평가용 화상을 입력하고, 표시된 화상을 편광 안경 4를 통해서 육안 평가를 실시했다. 양호한 입체 화상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는, 입체 표시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 사용된다.
1A, 3A, 4A, 5A, 7A, 8A, 9A, 10A, 11A, 12A, 13A: 제2 위상차 필름
11, 31, 51, 71, 271, 281, 301, 311: 기재
12, 32, 42, 272, 282, 292, 302, 312: 액정 배향 수지 영역 및 등방성 수지 영역으로 구성되는 수지층
12a, 32a, 42a, 92a, 112a, 122a, 132a, 272a, 282a, 292a, 302a, 312a: 액정 배향 수지 영역
12b, 32b, 42b, 52b, 72b, 82b, 92b, 112b, 122b, 132b, 272b, 282b, 292b, 302b, 312b: 등방성 수지 영역
33, 73, 273, 303: 배향막
52, 72, 82: 90°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 및 등방성 수지 영역으로 구성되는 수지층
52a, 72a, 82a: 90°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
91, 101: 배향(러빙 방향)
93: 지상축
102a, 102b: 편광의 선광 방향
103a, 103b: 45° 트위스티드 네마틱 영역
110, 120, 130: 제2 위상차 필름의 롤 체(기재 등은 도시하지 않음)
14A, 15A, 16A, 17A: 제2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
140: 요철 형상
151, 161, 171: UV 광원
152: 광 취출부
153, 163: 차광부
162: 도광부
164: 도광체
167: 광 입사 단면(端面)
168: 광 섬유
175: 도광 디스크
176: 차광 디스크
18A, 19A, 20A, 21A, 22A: 위상차 필름 적층체
180, 190, 200, 210, 220, 270, 280, 290, 300, 310: 제1 위상차 필름
185, 195, 205, 215, 225, 275, 276, 285, 286, 295, 296, 305, 306, 315, 316: 점착층 또는 접착층
230, 240: 제1 위상차 필름에의 입사광
250, 260: 제2 위상차 필름에의 입사광
231, 241, 251, 261: 표시부
231a, 241a, 251a, 261a: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편광의 편광축
232, 242, 252, 262: 제1 위상차 필름
232a, 242a, 252a, 262a: 제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233, 243, 253, 263: 제2 위상차 필름
233a, 243a, 253a, 263a: 제2 위상차 필름의 액정 배향 수지 영역(제1 영역)
233b, 243b, 253b, 263b: 제2 위상차 필름의 등방성 수지 영역(제2 영역)
233c, 243c: 제2 위상차 필름의 액정 배향 수지 영역(제1 영역)의 지상축
234, 244, 254, 264: 편광 안경
235, 245, 255, 265: 위상차 필름 적층체
236, 246, 256, 266: 입체 화상 장치
27A, 28A, 29A, 30A, 31A: 편광판 복합체
278, 288, 298, 308, 318: 편광판
320, 330, 340, 350: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입사광
321, 331, 341, 351: 위상차 필름 적층체
322, 332: 위상차 필름 적층체로부터 출사되는 좌우의 원 편광 화상
323, 333, 343, 353: 편광 안경의 부재의 조합
323L, 323R, 333L, 333R: λ/4판
324, 334, 344, 355: 편광 안경
325, 335: 편광 안경의 부재
326, 336, 346, 346L, 346R, 356, 356L, 356R: 편광판
342, 342a, 342b, 352, 352a, 352b: 원 편광
343a, 353a: 제2 위상차 필름에 의한 파장 분산의 보상층
345L, 345R, 353b, 355L, 355R: λ/4판
345, 355: 직선 편광

Claims (13)

  1. 면 내에 동일한 위상차를 갖는 제1 위상차 필름과, 다른 위상차를 갖는 복수의 영역이 면 내에 패턴화되어 존재하는 제2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 형상의 위상차 필름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이 필름의 길이 방향과 비평행한 지상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이 필름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투과하는 빛에 대하여 대략 λ/4의 위상차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이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한 연신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이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한 지상축을 갖는 액정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위상차 필름이 필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 처리된 기재 상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위상차 필름이 위상차가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적어도 갖고, 제1 영역은 입사한 편광을, 그 편광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출사하고, 제2 영역은 입사한 편광과 직교한 편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위상차 필름이 위상차가 다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적어도 갖고, 제1 영역은 입사한 편광을, 그 편광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출사하고, 제2 영역은 입사한 원 편광을 실질적으로 회전 방향을 반전시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9. 제 1 항에 있어서,
    광원측으로부터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이 이 순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광원측으로부터 제2 위상차 필름과 제1 위상차 필름이 이 순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이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12. 제 1 항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 및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복합체.
  13. 우안용 표시 영역과 좌안용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재단물(裁斷物)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용 표시 영역 및 상기 좌안용 표시 영역에, 상기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위상차 필름 적층체의 재단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37001255A 2010-07-20 2011-07-14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KR20130046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3359 2010-07-20
JPJP-P-2010-163359 2010-07-20
PCT/JP2011/066151 WO2012011435A1 (ja) 2010-07-20 2011-07-14 立体画像装置に用いられる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425A true KR20130046425A (ko) 2013-05-07

Family

ID=4549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255A KR20130046425A (ko) 2010-07-20 2011-07-14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14136A1 (ko)
JP (1) JPWO2012011435A1 (ko)
KR (1) KR20130046425A (ko)
CN (1) CN103003730A (ko)
TW (1) TW201219930A (ko)
WO (1) WO20120114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017A1 (ko) * 2014-12-23 2016-06-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KR20160092172A (ko) * 2015-01-27 2016-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7155B (zh) * 2011-09-15 2016-03-16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聚合性液晶组合物和取向膜
JP5782531B2 (ja) * 2012-01-31 2015-09-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並びにそれを有する偏光板、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JP5885530B2 (ja) * 2012-02-15 2016-03-15 株式会社有沢製作所 位相差板及び位相差板の貼付方法
WO2013137093A1 (ja) * 2012-03-14 2013-09-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KR101878329B1 (ko) * 2012-04-04 2018-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퀀텀 로드 소자를 포함하는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
JP2014170221A (ja) * 2013-02-07 2014-09-18 Nitto Denko Corp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JP6008758B2 (ja) * 2013-03-01 2016-10-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中間製品、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4157102A1 (ja) * 2013-03-25 2014-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板、円偏光板、3d画像表示装置
WO2014157081A1 (ja) * 2013-03-25 2014-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板、円偏光板、3d画像表示装置
JP2015052695A (ja) * 2013-09-06 2015-03-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位相差板の製造方法
WO2015064581A1 (ja) 2013-10-28 2015-05-0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光学異方性積層体、円偏光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製造方法
KR102426386B1 (ko) * 2014-04-18 2022-07-2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패턴 편광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3849525U (zh) * 2014-05-26 2014-09-24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3d显示装置
JP6492836B2 (ja) * 2015-03-23 2019-04-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制御装置用フィルム材、光制御装置用板材、光制御装置
TWI560501B (en) * 2015-06-10 2016-12-01 Sumika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TWI542928B (zh) * 2015-06-10 2016-07-2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205334883U (zh) 2016-01-26 2016-06-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偏光片及显示装置
JP7203027B2 (ja) * 2016-12-22 2023-01-12 三星電子株式会社 フォルダブル円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CN106959531A (zh) 2017-03-31 2017-07-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液晶显示光栅及制备方法
US10151932B1 (en) * 2017-09-01 2018-12-11 Volfoni R&D 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projection system using elliptical polarization
JP2019159198A (ja) * 2018-03-15 2019-09-1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粘着層付き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9159199A (ja) * 2018-03-15 2019-09-19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層付き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9159200A (ja) * 2018-03-15 2019-09-1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粘着層付き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210102363A (ko) * 2018-12-12 2021-08-19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중합성 액정 잉크 제형
CN112014989A (zh) * 2019-05-31 2020-12-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显示设备、显示设备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0908030A (zh) * 2019-11-08 2020-03-24 浙江怡诚光电科技有限公司 圆偏光板及其制备方法,显示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6001A (en) * 1996-03-15 1999-09-2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JP3380132B2 (ja) * 1996-03-15 2003-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767962B2 (ja) * 1997-02-19 2006-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GB2331812A (en) * 1997-11-26 1999-06-02 Sharp Kk Optical retardation devices
JP2005037736A (ja) * 2003-07-16 2005-02-10 Sony Chem Corp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7064B2 (ja) * 2005-12-29 2011-09-21 株式会社リコー 光学モジュール及びイメージング装置
TWI381191B (zh) * 2007-12-03 2013-01-01 Au Optronics Corp 立體顯示器及其製作方法
TWI425257B (zh) * 2008-12-15 2014-02-01 Sony Corp Phase difference element and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017A1 (ko) * 2014-12-23 2016-06-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KR20160092172A (ko) * 2015-01-27 2016-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19930A (en) 2012-05-16
CN103003730A (zh) 2013-03-27
US20130114136A1 (en) 2013-05-09
WO2012011435A1 (ja) 2012-01-26
JPWO2012011435A1 (ja) 201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6425A (ko) 입체 화상 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 적층체
EP3260905B1 (en) Combiner and head-up display system
US10353128B2 (en) Laminated body
EP3260906A1 (en) Windshield glass and head-up display system
TWI502220B (zh) 光學裝置與包含其的立體影像顯示裝置
WO2012111464A1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4188935A1 (ja) 位相差フィルム、該位相差フィルムを用いた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3137188A1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境界ムラの低減方法、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並びにパターン位相差板
WO2018110066A1 (ja) 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積層フィルム
JP6492397B2 (ja) 光制御素子及び車載用液晶表示装置
JP2014174468A (ja) 円偏光層、円偏光層の積層体、メガネおよび3d画像鑑賞システム
JP2013015563A (ja)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評価方法
TW201331644A (zh) 圖案相位差膜、其製造方法、光學積層體的製造方法、3d影像顯示裝置以及圖案曝光用遮罩
US20170336555A1 (en) Optical member, optical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near-to-eye optical member
TWI461739B (zh) 立體畫像顯示裝置以及其製造方法
US10854852B2 (en) Organic EL image display device
JP2013015564A (ja)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評価方法
JP5782531B2 (ja) 積層体、並びにそれを有する偏光板、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2256007A (ja)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用液晶組成物、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及び立体表示装置
JP2014164142A (ja) 配向基材と位相差フィルムとの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3137093A1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9192983A (ja) 選択反射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50301232A1 (en) Retardation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WO2017033929A1 (ja) 可搬表示装置及び半鏡面フィルム
JP2012242547A (ja) 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偏光メガ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