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830A -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830A
KR20200072830A KR1020180160854A KR20180160854A KR20200072830A KR 20200072830 A KR20200072830 A KR 20200072830A KR 1020180160854 A KR1020180160854 A KR 1020180160854A KR 20180160854 A KR20180160854 A KR 20180160854A KR 20200072830 A KR20200072830 A KR 20200072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layer
glass structure
primer layer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478B1 (ko
Inventor
오경환
장세진
원유림
박영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478B1/ko
Priority to US16/702,345 priority patent/US11281041B2/en
Publication of KR2020007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02F2001/13333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박막 커버 글라스, 박막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배치되는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액정 및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층, 편광층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학 접착층, 및 광학 접착층의 배면에 배치된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COVER GLASS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NIG THEREOF}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 물질이 코팅된 커버 글라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전계 발광 소자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무기발광다이오드(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퀀텀닷 다이오드(quantum-dot diode), 페로브스카이트 엘이디(Perovskite LED),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한 커버 글라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외광을 흡수하고, 플렉서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커버 글라스 구조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커버 글라스 구조물에 외광 흡수 기능을 제공하여, 커버 글라스 구조물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외광 명암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커버 글라스에 편광층을 직접 코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커버 글라스에 편광층을 직접 코팅할 경우,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하여 커버 글라스와 편광층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커버 글라스에 코팅된 편광층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편광 선글라스 착용시, 편광층에 의해서 특정 시청 각도에서 영상이 차단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편광 선글라스 착용과 무관하게 영상을 표시 할 수 있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플렉서블 성능을 향상시키고, 커버 글라스와 편광층 사이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 글라스와 편광층 사이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 편광 선글라스와 상관 없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은 박막 커버 글라스, 박막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배치되는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액정 및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층, 편광층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학 접착층 및 광학 접착층의 배면에 배치된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커버 글라스, 플렉서블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배치된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액정 및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층, 편광층의 배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 광학 접착층의 배면에 배치된 위상 지연층 및 위상 지연층의 배면에 배치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은 외광을 흡수하고, 플렉서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은 외광 흡수를 통해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외광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은, 커버 글라스에 코팅된 편광층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은, 편광 선글라스 착용과 무관하게 영상을 표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은, 두께가 최소화됨에 따라 플렉서블 성능이 향상되고, 커버 글라스와 편광층 사이의 계면 접착력이 향상되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명세서가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은 커버 글라스(120), 프라이머(primer)층(130), 편광층(140), 광학 접착층(150) 및 위상 지연층(1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120)의 배면에 프라이머층(130)이 배치된다. 프라이머층(130)의 배면에 편광층(140)이 배치된다.
커버 글라스(120)는 후술될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 글라스(120)는 폴딩이 가능한 특정 두께의 유리로 이루어진다. 커버 글라스(120)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영률(Young's modulus)이 높은 강화 유리일 수 있다. 폴딩 특성 향상을 위해서 커버 글라스(120)의 두께는 50μm 내지 90μ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 글라스(120)의 두께는 70μm일 수 있다. 커버 글라스(120)는 에칭(etching)된 박형 강화유리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120)의 플렉서빌리티가 향상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120)는 강화처리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글라스(120)의 강화처리는 에칭 강화, 열 강화, 화학 강화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30)은 커버 글라스(120)의 배면에 배치된다. 프라이머층(130)과 커버 글라스(120)는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프라이머층(130) 제조 시 사용되는 용제(solvent)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계열일 수 있다. 프라이머층(130)의 두께는 3μm 내지 7μ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라이머층(130)의 두께는 5μm일 수 있다.
프라이머층(130)에 의해서 편광층(140)과 커버 글라스(120) 사이의 박리 현상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연 설명하면, 편광층(140)의 액정이 커버 글라스(120)와 직접 접촉할 경우, 계면 접착력이 부족하여, 편광층(140)이 커버 글라스(120)에서 박리될 수 있다. 하지만 프라이머층(130)에 의해서 편광층(140)과 커버 글라스(12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프라이머층(130)의 두께를 7μm 이하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편광층(140)은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시켜,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을 흡수할 수 있다. 편광층(140)은 선형-편광층으로 구성된다. 편광층(140)은 직선 형태의 편광축(Polarizing Axis)을 갖는다. 편광층(140)은 편광되지 않은 외부광이 입사하는 경우 편광축과 평행한 방향의 광 성분만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의 광 성분은 차단한다. 따라서 편광층(140)을 통과한 광은 선편광된다. 선편광된 광은 편광축의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전파된다. 그리고 편광층(140)은 편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광을 흡수시킨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은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전계 발광 소자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금속 층을 포함한다. 이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로 입사된 외광은 금속 층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고, 외광의 반사로 인해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의 시인성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편광층(140)이 배치되는 경우, 편광층(140)은 외광을 흡수하여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의 외광 명암비(ambient contrast ratio)를 높일 수 있다.
편광층(140)은 프라이머층(130)의 배면에 배치된다. 편광층(140)과 프라이머층(130)은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편광층(140)의 두께는 1μm 내지 5μ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편광층(140)의 두께는 3μm일 수 있다.
편광층(140)은 혼합된 액정 및 염료(dye)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염료는 블랙 계열, 또는 노란색, 마젠타, 및 시안 계열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편광층(140)의 액정은 자외선(UV) 배향 기술을 사용하여 배향될 수 있다.
편광층(140)은 광에 반응하는 액정과 염료의 혼합체를 액정 배향막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액정의 배향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염료를 액정의 배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액정 배향막은 액정의 분자 배열 방향을 정렬하는 기능을 갖는 광반응 액정과 염료의 혼합체를 필름화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정 배향막은 게스트-호스트 방식(Guest-host type)의 편광자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배향막을 이용하여, 코팅된 광반응 액정의 배향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염료가 액정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염료가 선택적으로 광을 흡수하는 선편광판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코팅된 광반응 액정 및 염료의 혼합물이 경화될 수 있다. 액정 배향막 상에서 균일한 두께로 경화되는 경우, 광반응 액정 및 염료의 혼합물은 필름화된 편광층(140)으로 제조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편광층(140)의 제조를 위해서 배향막을 도포한다. 배향막은 폴리머로 구현될 수 있다. 배향막은 편광된 자외선(UV)을 노광함으로써 분자 수준의 물리/화학적인 배향성인 이방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즉, 편광된 자외선(UV)을 조사하는 경우 액정의 배향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정의 배향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염료를 액정의 배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편광층(140)을 고체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종래에는 편광층 형성을 위해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비누화된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연신하여 제조했으나, 이러한 연신된 수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폴딩에 따른 인장 또는 압축 스트레스에 손상될 수 있었다.
하지만 편광된 자외선(UV)으로 배향된 액정과 혼합된 염료로 편광층(140)을 형성할 경우, 편광층(140)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폴딩에 따른 스트레스에 의해서 편광층(140)의 손상이 종래와 비교해서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편광층(140)의 두께를 5μm 이하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폴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학 접착층(150)은 편광층(140)의 하면에 배치된다. 광학 접착층(150)은 편광층(140)에 직접 접착되도록 구성된다. 광학 접착층(150)은 OCR(Optical Clear Resin) 또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등의 투명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접착층(150)의 두께는 3μm 내지 8μ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광학 접착층(150)의 두께는 5μm일 수 있다. 광학 접착층(150)은 위상 지연층(160)을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상 지연층(160)은 광학 접착층(150)의 하면에 배치된다. 위상 지연층(160)은 지연 각도가 미리 설정된 지연축(Retardation Axis)을 갖는다. 위상 지연층(160)은 입사하는 외부광의 위상을 위상차 값만큼 지연시킨다. 위상 지연층(160)은 사분의 일 파장판(Quarter Wave Plate, QW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상 지연층(160)은 필름형태로 제조된 후 광학 접착층(150)에 의해서 편광층(140)에 부착될 수 있다. 사분의 일 파장판의 위상차 값은 중심 파장의 4분의 1이다. 위상 지연층(160)은 편광층(140)에 의해서 선편광된 외부광이 입사하는 경우, 선편광된 광을 원편광된 광으로 변화시킨 후, 원편광된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위상 지연층(160)은 원편광된 광이 입사하는 경우, 원편광된 광을 선편광된 광으로 변화시킨 후, 선편광된 광을 출력한다. 즉, 위상 지연층(160)은 λ/4만큼 위상을 변환 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편광층(140)에서 선 편광된 외광이 위상 지연층(160)을 통과한 다음 위상 지연층(160) 배면에 배치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에 반사되어서 다시 위상 지연층(160)을 통과할 경우, 광축이 90º 회전된 선편광된 광을 출력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위상 지연층(160)은 포지티브 C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 설명하면, 반사된 광은 편광층(140)을 투과하여 선편광되고, 위상 지연층(160)을 투과하여 원편광되고,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에서 반사되고, 위상 지연층(160)을 투과하여 90º 회전되고, 그리고 편광층(140)에서 흡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120), 프라이머층(130), 편광층(140), 광학 접착층(150) 및 위상 지연층(160)이 순서대로 형성됨에 따라서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두께는 70μm 두께의 커버 글라스(120), 5μm 두께의 프라이머층(130), 3μm 두께의 편광층(140), 5μm 두께의 광학 접착층(150), 및 6μm 두께의 위상 지연층(160)이 적층되어 89μm 정도의 두께로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특히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두께가 99μm 이하의 두께로 구현될 경우, 폴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프라이머층(130)과 편광층(140)이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고, 커버 글라스(120), 프라이머층(130)이 직접 접촉하고, 편광층(140) 및 프라이머층(130)이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 두께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2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과 비교할 때, 프라이머층(230)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이기 때문에,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210)의 프라이머층(230)은 프라이머층을 이루는 물질에 특정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층(130)과 액정을 혼합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층(230)을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230)의 액정은 특정 방향으로 배향된다. 프라이머층(230)의 액정은 자외선(UV) 배향 기술을 사용하여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프라이머층(230)은 광에 반응하는 액정을 프라이머층(230)에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230)은 액정을 정렬시킬 수 있다. 프라이머층(230)은 액정의 분자 배열 방향을 정렬하는 기능을 갖는 광반응 액정과 프라이머 혼합체를 필름화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230)에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코팅된 광반응 액정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230)이 경화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230)은 지연 각도가 미리 설정된 지연축(Retardation Axis)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230)은 입사하는 외부광의 위상을 위상차 값만큼 지연시킨다. 프라이머층(230)의 위상차는 4/λ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에서 출력되어 편광층(140)을 투과하여 선편광된 영상이 액정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230)에 의해서 원편광된 영상으로 변화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영상을 시청하더라도 영상이 편광 선글라스에 의해서 차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프라이머층(230)이 액정을 더 포함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두께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230)의 접착력이 실질적으로 저하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210) 및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 하다.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의 배면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이 배치된다. 커브 글라스 구조물(110)과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은 OCR 또는 OCA 등의 투명 접착층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은 영상이 구현되는 패널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은 폴더블(foldable) 표시 패널, 롤러블(rollable) 표시 패널, 플렉서블 표시 패널 등 일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 상부에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이 배치된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다. 표시 영역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소자는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부는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등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의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다양한 IC 및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IC 및 구동 회로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의 비표시 영역에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 등의 방식으로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은 예를 들면, 폴더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은 폴딩 영역 및 비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이 폴딩되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포함한다. 비폴딩 영역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의 다른 일부를 포함한다. 비폴딩 영역은 폴딩 영역의 양측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 하부에 백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의 기판이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판 하부에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이 배치된 상황에서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진행되고, 지지 기판 상에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을 제조한 후 지지 기판이 릴리즈(release)될 수 있다. 지지 기판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다만, 지지 기판이 릴리즈 된 이후에도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필요하므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백 플레이트가 기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백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을 외부의 습기, 열,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와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은 접착층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커버 글라스(120)의 양 측면의 끝 단은 모따기(chamfered)된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모따기 구조에 의해서 커버 글라스(120)의 내 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모따기 구조는 커버 글라스(120)의 적어도 상측 모서리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모따기 구조는 커버 글라스(120)의 상측 및 하측 모서리에 제공될 수 있다. 모따기 구조가 커버 글라스(120)의 양측 모서리에 제공될 경우, 내 충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커버 글라스(120) 상에 지문 방지층이 제공될 수 있다. 지문 방지층은 커버 글라스(120) 상면에 자국이 남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문 방지층은 코팅 방식으로 커버 글라스(120) 상면에 제공될 수 있다. 지문 방지층은 표면 에너지가 낮은 불소 화합물이 커버 글라스(120) 상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170)과 커버 글라스(120) 사이에 터치 패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에 대한 화면 터치나 제스쳐 등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로,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 또는 전자기 방식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커버 글라스(120), 프라이머층(130)과 편광층(140)을 순차적으로 코팅하여 박형으로 구현된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에 의해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의 두께 증가가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는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커버 글라스 구조물(110)은 프라이머층(130)과 편광층(140)을 코팅하여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구조물은 박막 커버 글라스, 박막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배치되는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액정 및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층, 편광층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학 접착층 및 광학 접착층의 배면에 배치된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라이머층과 편광층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와 프라이머층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라이머층은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와 편광층 사이의 접착력은 프라이머층에 의해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3μm 내지 7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의 두께는 50μm 내지 90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편광층의 두께는 1μm 내지 5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 구조물의 두께는 99μ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라이머층과 편광층은 자외선 배향된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편광층은 선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위상 지연층은 원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라이머층은 원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선글라스-프리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라이머층은 박막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편광층은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커버 글라스, 플렉서블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배치된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액정 및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층, 편광층의 배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 광학 접착층의 배면에 배치된 위상 지연층 및 위상 지연층의 배면에 배치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라이머층은 플렉서블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편광층은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라이머층과 편광층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와 프라이머층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0, 210: 커버 글라스 구조물
120: 커버 글라스
130, 230: 프라이머층
140: 편광층
150: 광학 접착층
160: 위상 지연층
170: 플렉서블 표시 패널

Claims (19)

  1. 박막 커버 글라스;
    상기 박막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배치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액정 및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배면에 배치되는 광학 접착층; 및
    상기 광학 접착층의 배면에 배치된 위상 지연층;을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편광층은 직접 접촉하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라스와 상기 프라이머층은 직접 접촉하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라스와 상기 편광층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프라이머층에 의해서 증가된, 커버 글라스 구조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3μm 내지 7μm인, 커버 글라스 구조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라스의 두께는 50μm 내지 90μm인, 커버 글라스 구조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두께는 1μm 내지 5μm인 커버 글라스 구조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라스 구조물의 두께는 99μm 이하인, 커버 글라스 구조물.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편광층은 자외선 배향된 액정을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구조물.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선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원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 커버 글라스 구조물.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원편광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선글라스-프리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커버 글라스 구조물.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박막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코팅되어 형성된, 커버 글라스 구조물.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코팅되어 형성된, 커버 글라스 구조물.
  15. 플렉서블 커버 글라스;
    상기 플렉서블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배치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액정 및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배면에 배치된 광학 접착층;
    상기 광학 접착층의 배면에 배치된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의 배면에 배치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플렉서블 커버 글라스의 배면에 코팅되어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프라이머층의 배면에 코팅되어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편광층은 직접 접촉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라스와 상기 프라이머층은 직접 접촉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180160854A 2018-12-13 2018-12-13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1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54A KR102614478B1 (ko) 2018-12-13 2018-12-13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6/702,345 US11281041B2 (en) 2018-12-13 2019-12-03 Cover glass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854A KR102614478B1 (ko) 2018-12-13 2018-12-13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30A true KR20200072830A (ko) 2020-06-23
KR102614478B1 KR102614478B1 (ko) 2023-12-14

Family

ID=7107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854A KR102614478B1 (ko) 2018-12-13 2018-12-13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81041B2 (ko)
KR (1) KR102614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6757A1 (en) * 2020-07-24 2022-01-27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edge-to-edge displa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5154A (ja) * 2013-12-25 2015-07-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50104175A (ko) * 2013-02-07 2015-09-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원 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KR20160067860A (ko) * 2013-10-10 2016-06-1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KR20170050690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부재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17171943A (ja) * 2016-03-18 2017-09-28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80022010A (ko) * 2016-08-23 2018-03-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US20180357462A1 (en) * 2017-06-12 2018-12-13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nwanted reflections in display systems incorporating an under display biometric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512B1 (ko) 2013-05-13 2019-1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일체형 윈도우 필름
WO2018190208A1 (ja) * 2017-04-11 2018-10-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ならびにこれを有する画像表示装置の前面板、画像表示装置、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US20200133060A1 (en) * 2018-10-30 2020-04-30 Sharp Kabushiki Kaisha Thin circular polarizer for display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175A (ko) * 2013-02-07 2015-09-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원 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KR20160067860A (ko) * 2013-10-10 2016-06-1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JP2015125154A (ja) * 2013-12-25 2015-07-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70050690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부재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17171943A (ja) * 2016-03-18 2017-09-28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80022010A (ko) * 2016-08-23 2018-03-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US20180357462A1 (en) * 2017-06-12 2018-12-13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unwanted reflections in display systems incorporating an under display biometric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81041B2 (en) 2022-03-22
KR102614478B1 (ko) 2023-12-14
US20200192144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5218B2 (en) Display device
US1019960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isplay device
WO2017061768A1 (ko) 광학 필름
JP2020034916A (ja) フォルダブル表示装置
KR2016011843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0743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055855A1 (en) Retarder film, polarizer with built-in retarder, and LCD device having the polarizer
KR102146739B1 (ko)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US20230054670A1 (en) Partially curved 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614478B1 (ko) 커버 글라스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116118A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550176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hase retardation module having a conductive layer formed directly on a substrate of a polarizing film
KR20190098876A (ko) 편광유닛,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편광유닛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85082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819534B (zh) 顯示裝置
KR2020007536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00062827A (ko) 폴더블 표시 장치
WO2022270402A1 (ja) 表示装置
US20220209201A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WO2023054595A1 (ja)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60067298A (ko) 곡면 액정표시장치
JP2023066393A (ja) 表示装置
KR2016008748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55902A (ko)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TW202105016A (zh) 光學積層體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