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827A - 폴더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827A
KR20200062827A KR1020180148702A KR20180148702A KR20200062827A KR 20200062827 A KR20200062827 A KR 20200062827A KR 1020180148702 A KR1020180148702 A KR 1020180148702A KR 20180148702 A KR20180148702 A KR 20180148702A KR 20200062827 A KR20200062827 A KR 20200062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ealing
sealing portion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660B1 (ko
Inventor
손혜선
우상욱
최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6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복수의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비폴딩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프레임,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부, 및 표시 패널, 프레임, 및 커버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영역별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된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 장치{FO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측면 보호 능력이 향상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전계 발광 소자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무기발광다이오드(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퀀텀닷 다이오드(quantum-dot diode), 페로브스카이트 엘이디(Perovskite LED),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의 측면은 폴딩 시 다양한 계면간의 슬립(slip) 특성에 의해서 박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더블 표시 장치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이드 실링부(side sealing unit)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이드 실링부의 영률(Young's modulus)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보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폴딩 시 발생되는 계면간의 슬립 특성과 사이드 실링부의 영률에 따른 신뢰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더블 표시 장치의 측면을 고정하고 수분 및 산소의 측면 침투를 저감하면서, 폴딩 시 발생되는 계면간의 슬립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복수의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비폴딩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프레임,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부, 및 표시 패널, 프레임, 및 커버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영역별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된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특징에 따르면, 사이드 실링부는 제1 영률을 가지는 제1 사이드 실링부 및 제1 영률보다 더 큰 제2 영률을 가지는 제2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프레임 및 커버부와 접촉하고,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제2 사이드 실링부와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제1 영률에 의해서 프레임, 커버부, 및 표시 패널의 측면의 슬립에 따른 계면 스트레스를 저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제2 영률에 의해서 제1 사이드 실링부를 적어도 이물, 먼지, 수분, 및 산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 표시 패널, 및 커버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폴딩에 의한 소정의 슬립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 및 표시 패널 및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프레임, 표시 패널, 및 커버부의 측면을 덮으며, 폴딩에 의한 프레임, 표시 패널, 및 커버부의 슬립에 따른 계면 스트레스를 완화하도록 구성된 제1 사이드 실링부, 및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덮으며,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보다 더 높은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된 제2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의 영률은 104 Pa 내지 106 P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표시 패널보다 더 돌출되고,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커버부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커버부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커버부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복수의 비폴딩 영역 및 복수의 비폴딩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프레임,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부, 및 영역별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표시 패널, 프레임, 및 커버부의 슬립에 따른 스트레스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 장치는 프레임 및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접착층이 배치된 백 플레이트, 및 표시 패널 및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폴더블 표시 장치는 상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접착층이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이드 실링부의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제1 내지 제4 접착층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이드 실링부의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커버부 및 프레임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의 영률은 108 Pa 내지 109 Pa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아크릴, 고무, 실리콘, 소프트 실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는 사이드 실링부를 폴더블 표시 장치의 측면에 제공함으로써, 폴더블 표시 장치의 측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슬립이 발생하더라도, 사이드 실링부가 스트레스를 흡수하여 사이드 실링부의 박리를 저감하면서 동시에 사이드 실링부의 표면을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IIa-II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 폴딩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아웃 폴딩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명세서가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중 표시 패널(150)만을 도시하였다.
표시 패널(150)은 영상이 구현되는 패널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50)은 표시 영역(AA), 비표시 영역(NA),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을 포함한다.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적어도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복수의 화소가 배치된다. 표시 영역(AA)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소자는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부는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등과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AA)의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다양한 IC 및 구동 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IC 및 구동 회로는 표시 패널(150)의 비표시 영역(NA)에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실장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 등의 방식으로 표시 패널(15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5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으로도 정의될 수 있으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패널(150)이 폴딩되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의 일부를 포함한다.
비폴딩 영역(NFA)은 표시 패널(150)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비폴딩 영역(N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한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각각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의 다른 일부를 포함한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폴딩 영역(FA)의 양측에 배치된다. 즉,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50)이 폴딩될 때,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한다.
도 2a는 도 1의 IIa-II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프레임(110), 백 플레이트(130), 표시 패널(150), 편광판(170), 커버부(190), 복수의 접착층(120) 및 사이드 실링부(14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50) 하부에 백 플레이트(130)가 배치된다. 표시 패널(150)이 포함하는 기판이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판 하부에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이 배치된 상황에서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진행되고, 표시 패널(150) 상에 편광판(170) 등의 구성요소를 형성한 후 지지 기판이 릴리즈(release)될 수 있다. 지지 기판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다만, 지지 기판이 릴리즈된 이후에도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필요하므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백 플레이트(130)가 기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백 플레이트(130)는 표시 패널(150)을 외부의 습기, 열,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30) 하부에 프레임(110)이 배치된다. 프레임(110)은 프레임(110) 상의 백 플레이트(130), 표시 패널(15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폴딩 영역(FA)을 제외한 비폴딩 영역(NFA)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제1 프레임(111)이 배치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제2 프레임(11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폴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 사이에는 힌지(hinge)가 제공될 수 있다. 힌지가 제공될 경우 힌지는 제1 프레임(111)과 제2 프레임(112)을 연결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50) 상부에 편광판(170)이 배치된다. 편광판(170)은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시켜, 표시 패널(15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50)은 박막 트랜지스터, 배선, 전계 발광 소자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금속 층을 포함한다. 이에, 표시 패널(150)로 입사된 외광은 금속 층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고, 외광의 반사로 인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시인성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편광판(170)이 배치되는 경우, 편광판(170)은 외광을 흡수하여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외광 명암비(ambient contrast ratio)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편광판(170)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구현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편광판(170)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편광판(170)과 표시 패널(150) 사이에 터치 패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대한 화면 터치나 제스쳐 등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로,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 또는 전자기 방식일 수 있다.
편광판(170) 상부에 커버부(190)가 배치된다. 커버부(190)는 커버부(190) 아래의 편광판(170), 표시 패널(15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190)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커버부(190)의 상면은 곡면이다.
커버부(190)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영률(Young's modulus)이 큰 재질, 즉 고경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영률이 큰 재질의 경우, 폴딩될 때, 휘어지지 않고 깨지게 되므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적용되기 어렵다. 그러나, 영률이 큰 재질이라도 일정 두께 이하가 되면 폴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90)가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 커버부(190)는 0.1 mm 이하의 두께여야 폴더블 표시 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특성을 위해서 커버부(190)의 두께는 0.1m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접착층(120)은 상술한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구성을 다른 구성과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접착층(120)은 커버부(190)와 편광판(170) 사이, 편광판(170)과 표시 패널(150) 사이, 표시 패널(150)과 백 플레이트(130) 사이, 백 플레이트(130)와 프레임(11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접착층(120)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이드 실링부(140)는 제1 사이드 실링부(141) 및 제2 사이드 실링부(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사이드 실링부(140)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측면에 배치되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제1 사이드 실링부(141)와 제2 사이드 실링부(142)는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사이드 실링부(141)의 영률은 제2 사이드 실링부(142)의 영률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 사이드 실링부(142)는 제1 사이드 실링부(141)를 덮도록 구성된다. 즉, 제2 사이드 실링부(142)는 측면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제1 사이드 실링부(141)는 제2 사이드 실링부(142)에 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실링부(141)는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폴딩에 의한 구성 요소 간 발생되는 계면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으며, 계면 슬립에 의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1 사이드 실링부(141)는 인가되는 스트레스에 대응되어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 간에 발생되는 계면의 스트레스를 흡수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 간의 슬립에 의한 스트레스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 요소간의 분리, 또는 박리가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이드 실링부(141)의 영률은 104 Pa 내지 106 Pa 일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 실링부(141)는 104 Pa 내지 106 Pa 영률을 가지는 아크릴(acryl),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 소프트 실런트(soft sealant)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사이드 실링부(142)는 제1 사이드 실링부(141)의 낮은 영률에 의한 끈적임, 변형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 사이드 실링부(141)는 낮은 영률을 가지고 있으며, 장시간 외부에 노출 시 끈적거리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사이드 실링부(142)가 제1 사이드 실링부(141)의 외부를 덮기 때문에, 이물, 먼지, 수분, 산소 등이 제1 사이드 실링부(141)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으며, 제1 사이드 실링부(141)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실링부(142)는 높은 영률을 가지고 있으며, 강성이 제1 사이드 실링부(141)보다 높다. 따라서 장시간 노출되어도 끈적거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원형을 유지하려는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원복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예를 들면, 제2 사이드 실링부(142)의 영률은 108 Pa 내지 109 Pa 일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실링부(142)는 108 Pa 내지 109 Pa 영률을 가지는 아크릴일 수 있으며, 자외선(UV)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인 폴딩(in-folding) 및/또는 아웃 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프레임(111)의 상면 및 제2 프레임(112)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커버부(190)의 상면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의 커버부(190)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되는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프레임(111)의 하면 및 제2 프레임(112)의 하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서의 커버부(190)의 하면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의 하면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상태 및 아웃 폴딩된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b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인 폴딩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가 아웃 폴딩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IF 방향을 따라 폴딩된 경우가 인 폴딩(in-folding)된 경우이고, 도 2a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OF 방향을 따라 폴딩 된 경우가 아웃 폴딩(out-folding)된 경우이다.
그러므로, 도 2b는 도 2a에서 IF 방향을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에서 OF 방향을 따라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된 단면도이다.
한편, 도 2b 및 도 2c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외곽 부분, 즉,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측면에 인접한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일부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2b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측면은 슬립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평한 상태일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들의 측면은 슬립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되면, 스트레스에 의해 커버부(190)의 측면이 최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커버부(190) 하부에 배치된 편광판(170)의 측면은 커버부(190)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170)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150)의 측면은 편광판(170)의 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커버부(190)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프레임(110)으로 갈수록 구성 요소들의 측면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90), 편광판(170), 표시 패널(150), 백 플레이트(130) 및 프레임(110)의 측면들이 폴딩 시 스트레스에 의해 이동하므로 접착층(120)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측면과 측면간의 간격, 즉, 접착층(120)이 늘어나는 현상을 슬립이라 정의할 수 있다.
슬립의 정도는 접착층(120)의 경도, 접착층(120)의 접착력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20)의 접착력이 높을수록 슬립의 정도가 저감지고, 접착층(120)의 접착력이 낮을수록 슬립의 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만약, 슬립이 과도하게 커진 경우, 접착층(120)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고, 접착층(120)으로 합착된 두 구성 요소들 서로 탈착되거나,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립이 25μm 이상으로 커진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박리되거나,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된 경우,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 요쇼들의 측면은 슬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되면, 커버부(190)의 측면이 최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커버부(190) 하부에 배치된 편광판(170)의 측면은 커버부(190)의 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170)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150)의 측면은 편광판(170)의 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커버부(190)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프레임(110)으로 갈수록 측면이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아웃 폴딩된 경우와 인 폴딩된 경우에서 각 구성들의 측면이 이동된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한편,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인 폴딩된 경우,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커버부(190) 상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커버부(190) 상면은 서로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190) 상면, 특히 커버부(190) 상면의 측면 부근은 폴딩되었을 때, 최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고, 크랙 불량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표시 장치(100)가 평평한 상태이거나, 아웃 폴딩된 경우, 커버부(190) 상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의 충격을 그대로 전달받으므로, 인 폴딩 보다 크랙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할 수 있다.
즉,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커버부(190)가 폴딩되기 위해,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버부(190)의 강성이 높더라도 커버부(190)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커버부(190)의 내충격성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폴더블 표시 장치(100)의 커버부(190)는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특히, 커버부(190)의 측면 부근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사이드 실링부(140)에서 제2 사이드 실링부(142)는 영률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커버부(190)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2 사이드 실링부(142)에 의해서 커버부(190)의 측면 파손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의 폴더블 표시 장치(300)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커버부(390) 및 사이드 실링부(340) 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300)의 커버부(390)는 표시 패널(150)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된다. 그리고 제1 사이드 실링부(341)는 돌출된 커버부(390)의 배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이드 실링부(342)는 제1 사이드 실링부(341)를 밀봉하면서 돌출된 커버부(390)의 배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341)가 커버부(390)의 배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1 사이드 실링부(341)의 상측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300)가 인 폴딩 시 제일 많이 슬립되는 상측부의 구성 요소, 예를 들면 편광판(170)에 의해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 실링부(340)가 커버부(390) 배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이드 실링부(340)가 노출되지 않게 되는 심미적인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의 폴더블 표시 장치(400)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커버부(490), 사이드 실링부(440) 및 프레임(410) 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400)의 커버부(490) 및 프레임(410)은 표시 패널(150)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410)은 제1 프레임(411) 및 제2 프레임(4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사이드 실링부(441)는 돌출된 커버부(490) 및 돌출된 프레임(410)의 배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이드 실링부(442)는 제1 사이드 실링부(441)를 밀봉하면서 돌출된 커버부(490)의 배면의 일부와 돌출된 프레임(410)의 상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441)가 커버부(490)의 배면 및 프레임(410)의 상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1 사이드 실링부(441)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400)가 인 폴딩 또는 아웃 폴딩 시 제일 많이 슬립되는 상측부 또는 하측부의 구성 요소, 예를 들면 편광판(170) 또는 백 플레이트(130)에 의해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의 폴더블 표시 장치(500)는 도 2a의 폴더블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커버부(590), 사이드 실링부(540) 및 프레임(510) 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500)의 커버부(590) 및 프레임(510)은 표시 패널(150)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510)은 제1 프레임(511) 및 제2 프레임(5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사이드 실링부(541)는 돌출된 커버부(590) 및 돌출된 프레임(510)의 배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이드 실링부(542)는 제1 사이드 실링부(541)를 밀봉하면서 돌출된 커버부(590)의 측면과 돌출된 프레임(510)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541)가 커버부(590)의 배면 및 프레임(510)의 상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1 사이드 실링부(441)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더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이드 실링부(542)가 커버부(590)의 측면과 프레임(510)의 측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커버부(590)의 측면과 프레임(510)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500)의 측면의 보호 능력을 상대적으로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커버부 상에 지문 방지층이 제공될 수 있다. 지문 방지층은 커버 글라스 상면에 자국이 남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문 방지층은 코팅 방식으로 커버부 상면에 제공될 수 있다. 지문 방지층은 표면 에너지가 낮은 불소 화합물이 커버부 상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는 에칭(etching)된 박형 강화유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의 상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커버부가 받는 외부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므로, 커버부의 측면 부근에서 크랙 불량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커버부는 고분자 수지층 및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층은 편광판(170), 표시 패널(15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층은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I(Poly imide), PC(Poly Carbon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Cyclo Olefin Polymer), TAC(Tri-Acetyl Cellulos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분자 수지층 상에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층을 스크래치, 습도, 열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고분자 수지층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보호층은 고분자 수지층보다 단단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P(Poly propylene), PA(Poly Arami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복수의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비폴딩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프레임,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부, 및 표시 패널, 프레임, 및 커버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영역별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된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특징에 따르면, 사이드 실링부는 제1 영률을 가지는 제1 사이드 실링부 및 제1 영률보다 더 큰 제2 영률을 가지는 제2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프레임 및 커버부와 접촉하고,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제2 사이드 실링부와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제1 영률에 의해서 프레임, 커버부, 및 표시 패널의 측면의 슬립에 따른 계면 스트레스를 저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제2 영률에 의해서 제1 사이드 실링부를 적어도 이물, 먼지, 수분, 및 산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 표시 패널, 및 커버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폴딩에 의한 소정의 슬립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 및 표시 패널 및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프레임, 표시 패널, 및 커버부의 측면을 덮으며, 폴딩에 의한 프레임, 표시 패널, 및 커버부의 슬립에 따른 계면 스트레스를 완화하도록 구성된 제1 사이드 실링부, 및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덮으며,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보다 더 높은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된 제2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의 영률은 104 Pa 내지 106 P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버부는 표시 패널보다 더 돌출되고,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커버부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커버부의 배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커버부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는 복수의 비폴딩 영역 및 복수의 비폴딩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프레임,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부, 및 영역별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표시 패널, 프레임, 및 커버부의 슬립에 따른 스트레스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더블 표시 장치는 프레임 및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접착층이 배치된 백 플레이트, 및 표시 패널 및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폴더블 표시 장치는 상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접착층이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이드 실링부의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제1 내지 제4 접착층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이드 실링부의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커버부 및 프레임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사이드 실링부의 영률은 108 Pa 내지 109 Pa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아크릴, 고무, 실리콘, 소프트 실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300, 400, 500 : 폴더블 표시 장치
110, 410, 510 : 프레임
111, 411, 511 : 제1 프레임
112, 412, 512 : 제2 프레임
120 : 접착층
130 : 백 플레이트
140, 340, 440, 540 : 사이드 실링부
141, 341, 441, 541 : 제1 사이드 실링부
142, 342, 442, 542 : 제2 사이드 실링부
150 : 표시 패널
170 : 편광판
190, 390, 490, 590 : 커버부
AA : 표시 영역
NA : 비표시 영역
FA : 폴딩 영역
NFA1 : 제1 비폴딩 영역
NFA2 : 제2 비폴딩 영역

Claims (20)

  1. 복수의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비폴딩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프레임;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부; 및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영역별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된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링부는 제1 영률을 가지는 제1 사이드 실링부 및 상기 제1 영률보다 더 큰 제2 영률을 가지는 제2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제2 사이드 실링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폴더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제1 영률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의 슬립에 따른 계면 스트레스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폴더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제2 영률에 의해서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를 적어도 이물, 먼지, 수분, 및 산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폴더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폴딩에 의한 소정의 슬립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된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8. 순차적으로 배치된 프레임, 표시 패널, 및 커버부의 측면을 덮으며, 폴딩에 의한 상기 프레임,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부의 슬립에 따른 계면 스트레스를 완화하도록 구성된 제1 사이드 실링부; 및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덮으며,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보다 더 높은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된 제2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의 영률은 104 Pa 내지 106 Pa 인, 폴더블 표시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자외선 경화된 아크릴인, 폴더블 표시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표시 패널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커버부의 배면과 접촉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커버부의 배면과 접촉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과 접촉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제1 사이드 실링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폴더블 표시 장치.
  15. 복수의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비폴딩 영역 사이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부; 및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영역별로 서로 다른 영률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커버부의 슬립에 따른 스트레스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사이드 실링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이 배치된 백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제3 접착층 및 제4 접착층이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링부의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제1 접착층 내지 상기 제4 접착층의 측면에 접촉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링부의 제2 사이드 실링부는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프레임과 접촉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링부의 제2 사이드 실링부의 영률은 108 Pa 내지 109 Pa 인, 폴더블 표시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링부의 제1 사이드 실링부는 아크릴, 고무, 실리콘, 소프트 실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0180148702A 2018-11-27 2018-11-27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5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02A KR102654660B1 (ko) 2018-11-27 2018-11-27 폴더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702A KR102654660B1 (ko) 2018-11-27 2018-11-27 폴더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827A true KR20200062827A (ko) 2020-06-04
KR102654660B1 KR102654660B1 (ko) 2024-04-03

Family

ID=7108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702A KR102654660B1 (ko) 2018-11-27 2018-11-27 폴더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2058A1 (zh) * 2020-08-24 2022-03-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015A (ko) * 2011-12-29 2013-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29181A (ko) * 2012-08-28 2014-03-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20140148176A (ko) * 2013-06-21 2014-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9583A (ko) * 2015-01-19 2016-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51854A (ko) * 2015-11-02 2017-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73304A (ko) * 2015-12-18 2017-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015A (ko) * 2011-12-29 2013-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29181A (ko) * 2012-08-28 2014-03-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20140148176A (ko) * 2013-06-21 2014-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9583A (ko) * 2015-01-19 2016-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51854A (ko) * 2015-11-02 2017-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73304A (ko) * 2015-12-18 2017-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2058A1 (zh) * 2020-08-24 2022-03-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660B1 (ko)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5991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458903B1 (ko) 표시 장치
JP6681947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US1133411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1935552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46292B1 (ko) 휴대용 전자장치
CN111128011A (zh) 柔性显示设备和包括该柔性显示设备的电子装置
KR10240841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0347864B2 (en) Display device
US11329250B2 (en) Display device
EP3876079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9007074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70071662A (ko) 가요성 표시 장치
KR20210085194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5466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070904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07536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20210320283A1 (en) Display device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US11281041B2 (en) Cover glass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KR20170072526A (ko) 기능성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2006325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placing window module of display device
KR20210026578A (ko) 표시 장치
KR2021007463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300181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