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345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345A
KR20110122345A KR1020100041785A KR20100041785A KR20110122345A KR 20110122345 A KR20110122345 A KR 20110122345A KR 1020100041785 A KR1020100041785 A KR 1020100041785A KR 20100041785 A KR20100041785 A KR 20100041785A KR 20110122345 A KR20110122345 A KR 20110122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er
liquid crystal
retardation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오형
김봉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2345A/ko
Publication of KR2011012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의 양면에 서로 독립적으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층 또는 경사연신 필름인 λ/4 위상차층이 형성됨으로써, 연속적인 접합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고, 종래에 비해 재료의 손실 및 이물관리가 용이하여 고수율로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박형화가 가능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사용하여 입사되는 외부광에 대한 반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액정셔터안경방식 입체화상표시장치는 안경 착용자가 머리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도 입체화상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대량생산에 용이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하게 하는 자발광형 표시장치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소자는 애노드로부터 공급받는 정공과 캐소드로부터 받은 전자가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다시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통상 유리 기판상에, ITO 투명전극, 발광층 및 금속전극이 적층된다. 외부광이 입사되면 유리기판의 표면 및 금속전극에서 반사광이 발생하여 화상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편광자와 λ/4 위상차판으로 구성된 원편광화 필름을 발광소자 전면에 배치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액정셔터안경방식 입체화상표시장치는 안경 착용자측에 편광자 및 λ/4 위상차판으로 구성된 원편광화 필름을 배치하여 착용자가 머리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도 화상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원편광화 필름은 편광자의 투과축과 λ/4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45°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편광자 및 위상차판은 통상 제조 공정내에서 연신되므로 연신 방향이 흡수축 또는 지상축이 된다.
원편광화 필름은 시트(시트 투 시트) 또는 롤(롤 투 시트, 도 1 참고) 상의 편광자상에 λ/4 위상차판을 잘라 편광자의 투과축과 λ/4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45° 각도를 유지하도록 붙이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일본특허공개 평04-123008호, 일본특허공개 평06-300918호). 이러한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재료의 손실이 많아 대량생산에 불리하고 이물관리가 어려워 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액정셔터안경방식 입체화상표시장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반사방지기능과 동시에 안경 착용자가 머리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도 화상인식이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은 롤 투 롤 등의 연속적인 접합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고, 종래에 비해 재료의 손실 및 이물관리가 용이하여 고수율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박형화가 가능한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액정셔터안경방식 입체화상표시장치에 적용하여 외부광에 대한 반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안경 착용자가 머리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도 입체화상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1. 편광자의 양면에 λ/4 위상차층이 형성되고, 이들 두 위상차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층 또는 경사연신 필름인 편광판.
2. 위 1에 있어서, 상기 두 λ/4 위상차층 중 어느 하나는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층이고, 다른 하나는 경사연신 필름인 편광판.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투명보호필름이 접합된 편광판.
4. 위 3에 있어서, 상기 투명보호필름과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배향막이 형성된 편광판.
5. 위 1에 있어서, 편광자의 투과축은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45° 각도를 이루는 것인 편광판.
6.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λ/2 위상차층이 형성된 편광판.
7. 위 6에 있어서, λ/2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15° 각도,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75° 각도를 이루는 것인 편광판.
8. 위 1 내지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롤 형상인 것인 편광판.
9. 위 8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0. 편광자의 양면에, 서로 독립적으로 경사연신 필름을 접합하거나 편광자 상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도포하여 λ/4 위상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1. 위 10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차층 형성 전에 편광자의 한 면 이상에 투명보호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2. 위 10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차층 형성 전에 편광자의 한 면 이상에 필름을 접합하거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도포하여 λ/2 위상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편광판은 롤 투 롤 등의 연속적인 접합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고, 종래에 비해 재료의 손실 및 이물관리가 용이하여 고수율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박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소자의 발광면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의 반사광을 제어할 수 있어 유기전계발광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셔터안경방식 입체화상표시장치에 적용 시 원편광의 빛이 안경에 입사되어 정면에서 안경 착용자가 머리를 상하 좌우로 움직여도 입체화상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일례의 편광자와 λ/4 위상차층을 롤 투 시트로 접합하는 방법이고,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편광판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의 투과축과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의 관계(왼쪽), 편광자의 투과축과 λ/2 위상차층의 지상축 및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의 관계(오른쪽)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입체화상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반사방지원리를 나타낸 것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의 입체화상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대량생산에 용이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양면에 λ/4 위상차층이 형성된다. 상기 두 λ/4 위상차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층 또는 경사연신 필름이다.
본 발명에서 경사연신 필름인 λ/4 위상차층은 λ/4 위상차 필름층이고,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λ/4 위상차층은 λ/4 위상차 액정층이라 한다. 동일하게 경사연신 필름인 λ/2 위상차층은 λ/2 위상차 필름층이고,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λ/2 위상차층은 λ/2 위상차 액정층이라 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일례로 편광자의 한 면은 경사연신 필름이 접합된 4 위상차층이고, 다른 한 면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λ/4 위상차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일례로 편광자의 양면에 경사연신 필름이 접합된 λ/4 위상차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일례로 편광자의 양면에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어 λ/4 위상차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투명보호필름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투명보호필름과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λ/2 위상차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와 상기 λ/2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투명보호필름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보호필름과 상기 λ/2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 또는 상기 λ/2 위상차층과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의 편광판 구성이다.
도 2는 λ/4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λ/4 위상차 필름층이고; 도 3은 λ/4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편광자/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4는 λ/4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투명보호필름/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5는 λ/4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투명보호필름/배향막/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6은 λ/4 위상차 액정층/편광자/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7은 λ/4 위상차 액정층/편광자/접착제층/투명보호필름/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8은 λ/4 위상차 액정층/투명보호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투명보호필름/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9는 λ/4 위상차 액정층/편광자/접착제층/투명보호필름/배향막/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10은 λ/4 위상차 액정층/배향막/투명보호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투명보호필름/배향막/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11은 λ/4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λ/2 위상차 필름층/배향막/λ/4 위상차 액정층이고; 도 12는 λ/4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λ/2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λ/4 위상차 필름층이고; 도 13은 λ/4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편광자/배향막/λ/2 위상차 액정층/배향막/λ/4 위상차 액정층이며; 도 14는 λ/4 위상차 필름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투명보호필름/배향막/λ/2 위상차 액정층/배향막/λ/4 위상차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한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의 예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비닐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이다.
본 발명의 λ/4 위상차층은 λ/4 위상차 필름층 또는 λ/4 위상차 액정층이 사용될 수 있다.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과 45°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한다(도 15의 왼쪽).
λ/4 위상차 필름층은 입사광(λ)을 지상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성분에 대해 1/4만큼 위상을 지연시켜 출사한다. 이는 가시광선 영역의 입사광(λ) 중 어떤 기준 파장에 대해 1/4만큼 위상을 지연시키며, 통상 기준파장 589.3nm의 입사광을 기준으로 110 내지 170nm의 위상 지연값을 가진다.
λ/4 위상차 필름층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고유 복굴절치가 양, 음 또는 이들의 혼합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유 복굴절치가 양인 재료」라는 것은, 분자가 일축성의 질서를 가지고 배향된 경우에, 광학적으로 양의 일축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유하는 재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양의 재료가 수지인 경우에는 분자가 일축성의 배향을 가지고 형성된 층에 빛이 입사될 때 상기 배향 방향의 빛의 굴절율이 상기 배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빛의 굴절율 보다도 크게 되는 수지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유 복굴절치가 음인 재료」라는 것은 분자가 일축성의 질서를 가지고 배향된 경우에 광학적으로 음의 일축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유하는 재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음의 재료가 수지인 경우 분자가 일축성의 배향을 가지고 형성된 층에 빛이 입사될 때, 상기 배향 방향의 빛의 굴절율이 상기 배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빛의 굴절율 보다도 작아지는 수지를 말한다.
양 또는 음인 재료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의 수지로는 구체적으로 올레핀계 중합체(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노르보넨계 중합체, 시클로올레핀계 중합체 등),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릴렌술파이드계 중합체(예컨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등),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중합체(상기 고유 복굴절치가 음인 것도 있음), 폴리에테르술폰계 중합체, 폴리술폰계 중합체, 폴리알릴술폰계 중합체, 폴리염화비닐계 중합체, 또는 이들의 다원(이원, 삼원 등) 공중합 중합체 등이 있다. 이들은 1종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음의 수지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기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중합체(상기 고유 복굴절치가 양인 것도 있음), 또는 이들의 다원(이원, 삼원 등)공중합체 중합체 등이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로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아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복굴절치 발현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며, 내열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스티렌 및/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무수말레인산과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λ/4 위상차 필름층은 일례로 용액제막법 또는 압출성형법으로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경사연신한다. 경사연신은 장척필름의 연신과정에서 양 끝단의 이동속도를 다르게 하여 지상축의 방향이 MD(Machine Direction)방향에 대해서 평행 혹은 수직이 아닌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게 하는 연신법이다.
본 발명의 λ/4 위상차 필름층은 편광자면 또는 편광자의 보호필름면에 롤 투 롤(roll to roll)에 의해 접합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에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이방성을 가지고, 광 또는 열에 의한 가교성을 갖는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λ/4 위상차 액정층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일례로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이 포함될 수 있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의 예로서는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 10권 1호(반응성 액정 단량체(RM)의 최신 연구 동향)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메조겐(mesogen)과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를 포함하여 액정상을 갖게 되는 단량체 분자를 말한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게 되면 액정의 배열된 상을 유지하면서 가교된 고분자 네트워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 분자는 투명점(clearing point)으로부터 냉각하게 되면 같은 구조의 액정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액정상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에서 보다 잘 배향된 구조를 갖는 대면적의 도메인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λ/4 위상차층은 액정이 가지는 광학 이방성이나 유전율 등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고체상의 박막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이나 열적으로 안정하다.
상기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은 코팅 공정의 효율성 및 코팅층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매에 희석시켜 액정 코팅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액정 화합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에 용해되어 균일함을 갖는 것이 좋다.
일례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이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 구체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메틸에틸케톤(MEK), 자일렌 및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액정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이를 중합 및 가교시키기 위한 개시제를 포함하여 코팅층 형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개시제는 공지의 광중합 개시제 또는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광중합 개시제가 반응시간 및 제어가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개시제는 반응성 액정 화합물 전체 고형분에 대해서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이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코팅층 형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첨가제는 일례로 분산제, 결합제(예컨대, 유리 라디칼 중합성 및 양이온성 중합성 결합성분), 방부제(예컨대, 글루타르디알데히드, 테트라메틸올아세틸렌우레아), 실란커플링제, 레벨링제, 가교제, 산화방지제, 탈기제, 소포제, 점도조절제, 유동 개선제, 침강방지제, 광택개선제, 윤활제, 접착 촉진제, 항피부제, 메팅제, 유화제, 안정제, 소수성 제제, 광안정화 첨가제, 처리 개선제 및 대전방지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액정 코팅용 조성물 내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의 함량은 5 내지 30중량%를 유지하도록 한다. 함량이 5중량% 미만으로 낮으면 위상차 구현이 불가능하고,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석출되어 균일한 액정 코팅층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λ/4 위상차 액정층은 편광자면에 직접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λ/4 위상차 액정층은 편광자에 공지의 접착제로 투명보호필름을 접합하고 상기 투명보호필름면에 직접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코팅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핀 코팅, 롤 코팅, 디스펜싱 코팅, 또는 그라비아 코팅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코팅 방법에 따라 용매의 종류 및 사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된 λ/4 위상차 액정층은 건조 후 두께가 0.01 내지 10㎛가 되도록 도포된다. 상기 두께 범위에서 균일한 광학특성을 갖는 λ/4 위상차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용매는 공지의 건조 공정을 통하여 증발하게 된다.
또한, λ/4 위상차 액정층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한 후, 편광된 자외선, 편광된 전자기파 등을 조사하여 광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λ/4 위상차층을 출사하는 빛은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일 수 있다.
또한, λ/4 위상차 액정층은 투명보호필름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 화합물(RM)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보호필름상에 형성된 배향막은 편광된 광으로 노광 또는 러빙롤로 러빙하여 배향성을 부여한다. 상기 배향막상에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자외선 등의 전자기파 등을 조사하여 광경화시켜 λ/4 위상차층을 형성한다.
상기 배향막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유기 배향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국제특허 제2005/096041호, 일본특허공개 평10-123461호, 일본특허공개 평10-227998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기 배향막은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이미드계 또는 폴리아믹산이 함유된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믹산은 디아민(di-amine)과 이무수물(dianhydride)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머이고 폴리이미드는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이들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압력을 가해도 쉽게 유동하지 않아 균일한 두께의 배향막 형성이 어려우며,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퍼짐성은 좋으나 배향막의 두께 조절이 어렵다. 일례로 25℃에서 1cP 내지 13cP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표면 장력, 고형분의 함량 및 용제의 휘발성 등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특히 고형분의 함량은 점도나 표면장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배향막의 두께나 경화 특성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조절하는 것이 좋다. 고형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점도가 높아 배향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용매의 비율이 높아 용액의 건조 후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고형분의 함량이 0.1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이미드계 또는 폴리아믹산 등의 고형분이 용매에 용해된 용액상인 것이 좋다. 용매는 고형분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부틸셀로솔브, 감마-부티로락톤, N-메틸-2-피롤리돈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용해도, 점도, 표면장력 등을 고려하여 균일한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외에 배향막 조성물은 효과적인 배향막 형성을 위하여 가교제 및 커플링제 등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배향막은 투명보호필름의 한 면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다.
도포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데 도포는 배향막 조성물을 유동 주조법, 및 에어 나이프(air knife), 그라비아(gravure), 리버스 롤(reverse roll), 키스 롤(kiss roll), 스프레이(spray) 또는 블레이드(blade) 등의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적당한 전개방식으로 직접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향막 조성물의 도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조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건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가열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온도는 통상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고, 건조시간은 통상 10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초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λ/2 위상차층은 λ/2 위상차 필름층 또는 λ/2 위상차 액정층이 사용될 수 있다. λ/2 위상차층은 가시광선 영역의 입사광(λ) 중 어떤 기준 파장에 대해 1/2만큼 위상을 지연시킨다. 이외에 층의 제조방법, 재료 등은 상기 λ/4 위상차층과 동일하다.
이때, λ/2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15° 각도,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75°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한다(도 15 오른쪽). 여기서, 본질적으로 15° 및 본질적으로 75°란, 각각의 각도를 중심으로 ±5°정도까지 허용되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20°및 70 내지 8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통상 λ/2 위상차층상에 λ/4 위상차층이 형성된 위상차층은 광대역 위상차층이라 한다. 광대역 위상차층은 가시광 전영역에 걸쳐서 1/4만큼 위상지연 효과를 가진다. 광대역 위상차층이 적용된 화상표시장치는 λ/4 위상차층에 비해 빛샘 등의 발생이 현저히 개선되어 화상표시가 선명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위상차층과 편광자를 통과한 빛은 타원편광(원편광 포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광대역 위상차층은 λ/2 위상차층과 λ/4 위상차층이 각각 위상차 필름층 또는 위상차 액정층이거나, 이들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상에 λ/2 위상차층과 λ/4 위상차층이 각각 형성되거나, 광대역 위상차층(λ/2 위상차층+λ/4 위상차층)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양면에 각각 λ/4 위상차층 또는 광대역 위상차층(λ/2 위상차층+λ/4 위상차층)이 형성되거나, 이들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λ/4 위상차층 상에 표면 보호 및 번들거리는 형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현성 적층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방지층, 확산방지층, 눈부심방지층 등의 표면처리층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콜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투명보호필름은 적절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함유된 것일 수도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필름 및 위상차판 등의 접착에 사용되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는 당 업계에서 공지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롤 투 롤 등의 연속적인 접합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고, 종래에 비해 재료의 손실 및 이물관리가 용이하여 고수율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롤 형상의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을 을 화상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화상표시장치의 크기에 맞도록 낱장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손실이 적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유기전계발광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액정셔터안경방식 입체화상표시장치에 적용 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도 2와 같이, PVA 편광자의 양면에 시클로올레핀계 경사연신 λ/4 위상차 필름층을 PVA(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로 접합하여 롤(roll) 형상의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45°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였다(도 15의 왼쪽).
실시예 2
도 3과 같이 PVA 편광자의 한 면은 시클로올레핀계 경사연신 λ/4 위상차 필름층을 PVA(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로 접합하고 다른 한 면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Merck사, RMS03-013)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 후, 1.5㎛의 액정 코팅층을 형성하고 14mW 노광 램프로 500초간 편광된 자외선으로 광경화하여 λ/4 위상차 액정층이 형성된 롤 형상의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45°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였다.
실시예 3
도 11과 같이 PVA 편광자의 한 면은 시클로올레핀계 경사연신 λ/4 위상차 필름층을 PVA(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로 접합하고, 다른 한 면은 PVA(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로 접합된 시클로올레핀계 경사연신 λ/2 위상차 필름층 및 λ/4 위상차 액정층이 형성된 롤 형상의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λ/4 위상차 필름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45°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고(도 15의 왼쪽), λ/2 위상차 필름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15° 각도, λ/4 위상차 액정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75°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였다(도 15의 오른쪽).
상기 λ/4 위상차 액정층은 λ/2 위상차 필름층 상에 배향막을 도포하여 건조 후, 14mW 노광 램프로 편광된 자외선을 75초간 조사하여, 건조후 두께 1.5㎚의 배향막을 형성하고, 상기 배향막 상에 반응성 액정 화합물(Merck사, RMS03-013)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 후, 1.5㎛의 액정 코팅층을 형성하고 14mW 노광 램프로 500초간 자외선으로 광경화하여 형성하였다.
실험예
도 16, 도 17과 같이 입체화상물이 상영되는 42” 화상표시장치(유기전계발광소자) 화면을 준비하였다. 42” 화상표시장치 전(前)면에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각각의 편광판을 배치하였다.
실시예 1의 편광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도 16과 같이 배치하고, 편광자(21)를 통과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λ/4 위상차층(23)을 포함하는 편광판(20)을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λ/4 위상차층(33), 시분할된 표시면 주기에 동기화된 액정패널(31) 및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편광자(35)를 포함하는 액정셔터안경(30)을 배치하였다. 이때, 액정패널(31)은 STN 모드를 사용하고, 액정셔터안경(30)의 좌/우는 동일하게 배치하였다. 편광판(20)의 λ/4 위상차층(23)과 액정셔터안경(30)의 λ/4 위상차층(33)은 각 지상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하였다. 또한 편광판(20)의 편광자(21)와 액정셔터안경(30)의 편광자(35)는 각 투과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3의 편광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도 17과 같이 배치하고, 편광자(21)를 통과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λ/2 위상차층(41), λ/4 위상차층(23)을 포함하는 편광판(20)을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λ/4 위상차층(33), λ/2 위상차층(37), 시분할된 표시면 주기에 동기화된 액정패널(31) 및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편광자(35)를 포함하는 액정셔터안경(30)을 배치하였다. 이때, 액정패널(31)은 STN 모드를 사용하고, 액정셔터안경(30)의 좌/우는 동일하게 배치하였다.
편광판(20)의 λ/4 위상차층(25)은 편광자(21)의 투과축(22)에 대해서 45°각도를 이루고, λ/2 위상차층(41)의 지상축(42)은 편광자(21)의 투과축(22)에 대해서 15° 각도를 이루고, λ/4 위상차층(23)의 지상축(24)는 편광자(21)의 투과축(22)에 대해서 75° 각도를 이루고, 액정셔터안경(30)의 λ/4 위상차층(33)의 지상축(34)는 편광자(21)의 투과축(22)에 대해서 165° 각도를 이루고, λ/2 위상차층(37)의 지상축(38)은 편광자(21)의 투과축(22)에 대해서 105° 각도를 이루었다. 또한, 편광판의 편광자(21)와 액정셔터안경(30)의 편광자(35)는 각 투과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하였다.
도 18은 실시예 1을 사용한 화상표시장치의 입체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과 같이, 화상표시장치(유기전계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자연광)은 λ/4 위상차층(25)을 통과하고(자연광), 편광자(21)에서 수평 성분의 선편광으로 투과되며, λ/4 위상차층(23)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원편광된 빛은 액정셔터안경(30)의 λ/4 위상차층(33)을 통과하여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은 액정패널(3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수직 방향 성분으로 선편광이 통과되고, 수직 방향의 선편광은 편광자(35)의 투과축과 동일하므로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반면 전압이 인가되면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이 액정패널에서 편광자의 투과축과 수직인 수평 방향 성분으로 통과되어 화상을 볼 수 없게 된다.
도 19는 실시예 1을 사용한 화상표시장치의 반사방지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와 같이, 외부에서 입사된 빛(자연광)은 λ/4 위상차층(23)을 통과하고(자연광), 편광자(21)를 통과하여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이 된다. 상기 편광자를 통과한 선편광은 λ/4 위상차층(25)을 통과하여 좌원 편광으로 변환된다.
좌원 편광은 화상표시장치(유기전계발광소자)서 반사되어 편광방향이 반대인 우원 편광이 된다. 상기 우원 편광은 λ/4 위상차층(25)을 통과하여 수직 방향 성분의 선편광으로 변환되어 편광자(21)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도 20은 실시예 3을 사용한 화상표시장치의 입체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과 같이, 화상표시장치(유기전계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자연광)은 λ/4 위상차층(25)을 통과하고(자연광), 편광자(21)에서 수평 성분의 선편광으로 투과되며, λ/2 위상차층(41)을 통과하여 편광자(21)의 투과축(22)에 대해서 30°각도를 이룬 선편광이 되고, λ/4 위상차층(23)을 통과하여 좌원 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원편광된 빛은 액정셔터안경(30)의 λ/4 위상차층(33)을 통과하여 편광자(21)의 투과축(22)에 대해서 30°각도를 이룬 선편광이 되고, λ/2 위상차층(37)을 통과하여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은 액정패널(3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수직 방향 성분으로 선편광이 통과되고, 수직 방향의 선편광은 편광자(35)의 투과축과 동일하므로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반면 전압이 인가되면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이 액정패널에서 편광자의 투과축과 수직인 수평 방향 성분으로 통과되어 화상을 볼 수 없게 된다.
10 : 화상표시장치(유기전계발광소자)
1 : 전극 2: 전자 수송층
3 : 발광층 4 : 정공 수송층
5 : ITO 층 6 : 기판
20 : 편광판 21 : 편광자
22 : 편광자의 투과축 23, 25, 33 : λ/4 위상차층
24, 26, 34 :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 28 : λ/4 위상차층의 접합부
37 및 41 : λ/2 위상차층 38 및 42: λ/2 위상차층의 지상축
30 : 액정셔터안경 31 : 액정패널
35 : 편광자 36 : 편광자의 투과축

Claims (12)

  1. 편광자의 양면에 λ/4 위상차층이 형성되고, 이들 두 위상차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층 또는 경사연신 필름인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λ/4 위상차층 중 어느 하나는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층이고, 다른 하나는 경사연신 필름인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투명보호필름이 접합된 편광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명보호필름과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배향막이 형성된 편광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편광자의 투과축은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45° 각도를 이루는 것인 편광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λ/2 위상차층이 형성된 편광판.
  7. 청구항 6에 있어서, λ/2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15° 각도, λ/4 위상차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75° 각도를 이루는 것인 편광판.
  8. 청구항 1 내지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롤 형상인 것인 편광판.
  9. 청구항 8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0. 편광자의 양면에, 서로 독립적으로 경사연신 필름을 접합하거나 편광자 상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도포하여 λ/4 위상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차층 형성 전에 편광자의 한 면 이상에 투명보호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차층 형성 전에 편광자의 한 면 이상에 필름을 접합하거나, 반응성 액정 화합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도포하여 λ/2 위상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20100041785A 2010-05-04 2010-05-04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10122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785A KR20110122345A (ko) 2010-05-04 2010-05-04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785A KR20110122345A (ko) 2010-05-04 2010-05-04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345A true KR20110122345A (ko) 2011-11-10

Family

ID=4539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785A KR20110122345A (ko) 2010-05-04 2010-05-04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234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727A (ko) * 2011-12-30 201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코팅형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20150004050A (ko) * 2013-07-02 2015-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표시장치
KR20150106457A (ko) * 2013-03-18 2015-09-2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재료, 광학 필름,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
KR20170033228A (ko) * 2015-09-16 2017-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US10036840B2 (en) 2013-02-07 2018-07-31 Nitto Denko Corporatio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bendable display device
US11226445B2 (en) 2019-11-01 2022-01-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viewable with polarizing sunglass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727A (ko) * 2011-12-30 201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코팅형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US10036840B2 (en) 2013-02-07 2018-07-31 Nitto Denko Corporatio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bendable display device
KR20150106457A (ko) * 2013-03-18 2015-09-2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재료, 광학 필름,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
KR20150004050A (ko) * 2013-07-02 2015-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표시장치
KR20170033228A (ko) * 2015-09-16 2017-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US11226445B2 (en) 2019-11-01 2022-01-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viewable with polarizing sunglass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155B1 (ko) 광흡수 이방성막, 3차원 광흡수 이방성막 및 그 제조 방법
TWI471618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element
WO2018164126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位相差フィルム、円偏光板
TWI826618B (zh) 光學各向異性堆疊體及其製造方法、圓偏光板, 以及影像顯示裝置
KR20160078356A (ko) 복층 필름, 광학 이방성 적층체, 원편광판, 유기 전기발광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10122345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473674B1 (ko) 보상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7294908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60076701A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KR102140552B1 (ko) 광학 소자,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6224128A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光学異方性積層体、円偏光板、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23053981A (ja) 偏光膜の製造方法
JP7321005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20017664A (ko) 패턴화된 마스크와 이를 이용한 패턴화 리타더의 제조방법
TWI638214B (zh) 配向膜形成用組成物
WO2017170019A1 (ja) 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JP6797499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21261344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694871B1 (ko) 입체화상시스템
WO2021065107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7321004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30104384A (ko) 광학부재,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입체화상표시장치
US20200003942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phase difference film, an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JP2018060150A (ja) Ipsモード用の偏光板の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ipsモード液晶表示装置
KR20160107585A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