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377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377A
KR20150044377A KR20140117521A KR20140117521A KR20150044377A KR 20150044377 A KR20150044377 A KR 20150044377A KR 20140117521 A KR20140117521 A KR 20140117521A KR 20140117521 A KR20140117521 A KR 20140117521A KR 20150044377 A KR20150044377 A KR 20150044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operated
upstream
state
thre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155B1 (ko
Inventor
데츠야 나카지마
세이지 노리타
유키후미 야마나카
마미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04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자가 쉽게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원동부의 부근의 설계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원동부(6)의 동력이 전달되는 상류측 전동계(9, 10)가, 탈곡 장치(3)에 접속되는 탈곡 전동계(13, 14, 17, 21)와, 작업 장치(31)에 접속되는 작업 전동계(34, 35, 36)로 분기된다. 상류측 클러치(12)를 상류측 전동계(9)에 구비하고, 탈곡 클러치(30)를 탈곡 전동계(14)에 구비하고, 작업 클러치(39)를 작업 전동계(35)에 구비한다.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및 작업 클러치(39)를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탈곡 형식이 자탈형이나 보통형, 주행 형식이 크롤러형이나 휠형 등인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 장치 등에의 전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탈곡 장치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 및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가 구비된 콤바인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이 탈곡 장치 및 배출 스크류에 병렬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엔진의 출력축의 동력이 전동 벨트(탈곡 전동계에 상당)를 통해 탈곡 장치에 전달되고, 엔진의 출력축의 동력이 전동 벨트(작업 전동계에 상당)를 통해 배출 스크류에 전달된다.
탈곡 장치에의 전동 벨트 및 배출 클러치에의 전동 벨트에 클러치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에 상당), 전동 모터에 의해 탈곡 장치에의 전동 벨트의 클러치 및 배출 클러치에의 전동 벨트의 클러치가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스위치 등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전동 모터에 의해 쉽게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90607호 공보(도 3 및 도 9 참조)
콤바인에서는 엔진, 탈곡 장치 및 그레인 탱크의 위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엔진의 출력축과 탈곡 장치 및 배출 스크류에 걸친 전동 벨트의 위치도 정해져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프레임의 배치의 변경이나 다른 장치의 배치의 변경 등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의 출력축과 탈곡 장치 및 배출 스크류에 걸친 전동 벨트의 위치가 정해져 있으면, 이 전동 벨트가 전술한 설계 변경의 저해 요인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콤바인에 있어서도, 자원 절약 및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연비 향상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자가 쉽게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또한 원동부의 부근의 설계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연비 향상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성)
본 발명은, 콤바인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는 별도의 작업 장치가 구비되고,
원동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상류측 전동계가, 상기 탈곡 장치에 접속되는 탈곡 전동계와, 상기 작업 장치에 접속되는 작업 전동계로 분기되어, 상기 원동부의 동력이 상기 상류측 전동계, 상기 탈곡 전동계 및 작업 전동계를 통해 상기 탈곡 장치 및 작업 장치에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류측 클러치가 상기 상류측 전동계에 구비되고, 탈곡 클러치가 상기 탈곡 전동계에 구비되고, 작업 클러치가 상기 작업 전동계에 구비되고,
상기 상류측 클러치, 상기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문헌 1과 같이 원동부의 동력이 탈곡 전동계 및 작업 전동계를 통해 탈곡 장치 및 작업 장치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원동부의 동력이 상류측 전동계에 전달되어 있고, 상류측 전동계로부터 탈곡 전동계 및 작업 전동계로 분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류측 전동계는 원동부에 비해 위치의 변경 등을 비교적 행하기 쉬우므로, 원동부의 부근의 설계 변경을 행할 때, 탈곡 전동계 및 작업 전동계의 위치의 변경 등이 곤란해도, 원동부의 부근의 설계 변경에 적응하도록 상류측 전동계의 위치 등의 변경을 행함으로써, 원동부의 부근의 설계 변경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동부의 동력이 상류측 전동계에 전달되고, 상류측 전동계로부터 탈곡 전동계 및 작업 전동계를 통해 탈곡 장치 및 작업 장치에 전달되도록 구성하면, 원동부로부터 탈곡 장치 및 작업 장치에의 전동계가 상류측 전동계의 분만큼 길어지므로, 이하의 점에 있어서 연비의 면에서 불리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여, 탈곡 장치 및 작업 장치를 정지시켜도, 원동부의 동력이 상류측 전동계에 전달되어 있으므로(상류측 전동계의 전동축이 회전 구동되고 있으므로), 상류측 전동계의 분만큼 원동부의 동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하면,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여, 탈곡 장치 및 작업 장치를 정지시키는 경우, 상류측 클러치도 차단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상류측 전동계의 많은 부분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원동부의 동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상태를 작게 할 수 있어, 연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상기 조작 장치에, 상기 상류측 클러치, 상기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는 중립 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장치를 중립 위치라고 하는 1개소로 조작함으로써, 상류측 클러치,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 장치를 중립 위치로 조작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류측 클러치,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의 차단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상기 조작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작동하면, 상기 상류측 클러치가 최초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장치를 중립 위치로부터 작동시킨 경우, 상류측 클러치보다도 먼저 탈곡 클러치(작업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탈곡 클러치(작업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상류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됨으로써, 원동부의 동력이 탈곡 장치(작업 장치)에 급격하게 전달되어 쇼크가 발생한다고 하는 상태를 억제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상기 상류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상기 조작 장치가 다시 작동하면, 상기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 장치는 급동(扱胴)이나 선별부, 1번 및 2번 스크류, 배진 팬 등과 같이, 구동되는 부분이 많고, 구동되는 부분의 총 중량도 큰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탈곡 장치에의 동력의 전달 개시시에 쇼크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류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다음으로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므로, 원동부의 동력이 원동부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차례로 전달되어 탈곡 장치에 도달한다고 하는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원동부로부터 탈곡 장치에 무리 없이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 탈곡 장치에의 동력의 전달 개시시의 쇼크를 억제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상기 조작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한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상기 조작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다른 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와는 별도의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탈곡 장치와는 동시에 작동하지 않는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장치를 중립 위치(탈곡 장치와 작업 장치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한쪽으로 작동시키면, 작업 장치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탈곡 장치가 작동하고, 조작 장치를 중립 위치로부터 다른 쪽으로 작동시키면, 탈곡 장치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류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작업 장치가 작동하는 것으로, 탈곡 장치와 작업 장치가 동시에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무리 없이 얻을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데 적합하다.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장치가 상기 배출 스크류이고,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배출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배출 클러치이고,
상기 조작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다른 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배출 클러치가 동시에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 장치와 동시에 작동시키지 않는 작업 장치로서,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가 있다(탈곡 장치를 작동시키는 예취 작업에서는, 배출 스크류를 정지시켜, 탈곡 장치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에 저류하는 것으로, 그레인 탱크가 가득차면, 예취 작업을 중단하고 탈곡 장치를 정지시키고, 배출 스크류를 작동시켜 그레인 탱크의 곡립을 배출함).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장치를 배출 스크류로 하고, 작업 클러치를 배출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배출 클러치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콤바인에 있어서, 배출 스크류는 비교적 중량이 작으므로, 배출 스크류에의 동력의 전달 개시시에 쇼크는 발생하기 어렵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장치를 중립 위치로부터 다른 쪽으로 작동시키면, 상류측 클러치 및 배출 클러치가 동시에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배출 스크류가 작동하므로, 배출 스크류에의 동력의 전달 개시시의 쇼크의 발생을 피하면서, 상류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다음으로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비해, 배출 스크류를 지연되는 일 없이 빠르게 작동시킬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예취된 곡간의 이삭끝측을 상기 탈곡 장치에 넣으면서 곡간을 끼움 지지하여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피드 체인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상기 조작 장치가 또한 한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자탈형 콤바인에서는, 예취된 곡간의 이삭끝측을 탈곡 장치에 넣으면서 곡간을 끼움 지지하여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피드 체인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다.
자탈형 콤바인에서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 회전 구동되는 급동에 의해 곡간의 이삭끝측이 탈곡 처리되면서, 피드 체인에 의해 곡간이 반송되므로, 급동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피드 체인에 의해 곡간을 반송하면서 곡간의 이삭끝측을 탈곡 장치에 넣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탈곡 장치가 작동하고 나서, 피드 체인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피드 체인이 작동하므로, 탈곡 장치가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피드 체인에 의해 곡간을 반송하면서 곡간의 이삭끝측을 탈곡 장치에 넣는 것과 같은 상태가 발생하는 일은 없어, 곡간의 이삭끝측을 탈곡 장치에 무리하게 넣으려고 하는 것에 의한 곡간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예취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예취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상기 조작 장치가 또한 한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예취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콤바인에서는,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곡간이 탈곡 장치로 반송되어 탈곡 처리되므로,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곡간이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 반송될 때, 탈곡 장치가 작동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탈곡 장치가 작동하고 나서, 예취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예취부가 작동하므로,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곡간이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 반송될 때, 탈곡 장치는 사전에 작동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곡간이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에 무리 없이 원활하게 반송되어 탈곡 처리된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상기 조작 장치에,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조작되는 캠 기구와, 상기 캠 기구 및 각 클러치를 접속하는 복수의 연계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상기 캠 기구가 조작되고, 상기 캠 기구의 동작이 상기 연계 기구를 통해 각 클러치에 전달되어, 각 클러치가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배치 장소를 필요로 하는 전동 모터와 캠 기구를 1개소에 통합하여 배치할 수 있는 것으로, 캠 기구로부터 각 클러치에 연계 기구(와이어나 연계 링크 등)를 연장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조작 장치를 낭비 없이 배치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가 구비되고,
기체의 후방부에 상기 탈곡 장치 및 그레인 탱크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배출 스크류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 및 캠 기구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배출 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콤바인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체의 후방부에 탈곡 장치 및 그레인 탱크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배출 스크류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탈곡 장치와 그레인 탱크(배출 스크류)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전동 모터 및 캠 기구를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와 배출 스크류 사이에 배치하고 있어, 전동 모터 및 캠 기구를 무리 없이 배치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기체 가로 외측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상기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에 상기 배출 스크류가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 및 캠 기구가 상기 경사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모터 및 캠 기구를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와 배출 스크류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그레인 탱크의 저부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으므로, 전동 모터 및 캠 기구를 무리 없이 배치할 수 있다.
(구성)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적합하다.
복수의 상기 연계 기구가, 상기 캠 기구로부터 동일한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의 연장 부분으로부터 각 클러치로 나뉘어 연장되어 있다.
(작용 및 발명의 효과)
전동 모터 및 캠 기구를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와 배출 스크류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연계 기구가 캠 기구로부터 동일한 전방으로 연장되므로, 복수의 연계 기구를 통합하여 무리 없이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탈곡 장치 및 그레인 탱크의 부근의 종단 배면도.
도 4는 전체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5는 그레인 탱크의 전방부의 전동 벨트 및 텐션 풀리의 부근의 정면도.
도 6은 그레인 탱크의 전방부의 전동 벨트 및 텐션 풀리의 부근의 평면도.
도 7은 조작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조작 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 9는 조작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 10은 조작 장치와 상류측 클러치, 탈곡 클러치, 피드 체인 클러치, 예취 클러치 및 배출 클러치와의 연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조작 장치가 중립 위치, 제1 위치 및 제5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제1, 2, 3 캠판의 측면도.
도 12는 조작 장치가 제2 위치, 제3 위치 및 제4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제1, 2, 3 캠판의 측면도.
도 13은 조작 장치의 제1, 2, 3 캠판의 중립 위치, 제1∼제5 위치의 위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조작 장치의 중립 위치, 제1∼제5 위치와, 상류측 클러치, 탈곡 클러치, 피드 체인 클러치, 예취 클러치 및 배출 클러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1]
콤바인의 전체 구성 및 상류측 전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지지된 기체의 전방부에 예취부(2)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체의 후방부에 탈곡 장치(3)와, 탈곡 장치(3)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4)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탈곡 장치(3)가 좌측이고, 그레인 탱크(4)가 우측], 자탈형 하이브리드 형식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도 1, 2,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의 전방부의 우측에 운전부(5)가 구비되고, 운전부(5)의 하부에 엔진(6)(원동부에 상당)이 구비되어 있고, 엔진(6)의 출력축(6a)이 우측으로 나와 있다. 엔진(6)의 출력축(6a)의 우측에 라디에이터(7)가 구비되고, 엔진(6)과 라디에이터(7) 사이에 라디에이터 팬(8)이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6)의 후방측의 하측에 있어서 엔진(6)과 그레인 탱크(4) 사이에, 전동축(9)(상류측 전동계에 상당)이 기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동축(9)의 우측 단부에 풀리(9a)(상류측 전동계에 상당)가 연결되어 있고, 엔진(6)의 출력축(6a)에 연결된 풀리(6b)와 전동축(9)의 풀리(9a)에 걸쳐, 전동 벨트(10)(상류측 전동계에 상당)가 권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벨트(10)에 대해 요동 조작 가능한 텐션 풀리(11)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 벨트(10)와 텐션 풀리(11)에 의해, 텐션 형식의 상류측 클러치(12)가 구성되어 있다(상류측 클러치가 상류측 전동계에 구비된 상태에 상당).
텐션 풀리(11)가 전동 벨트(10)를 압박하여 엔진(6)의 출력축(6a)의 동력이 전동축(9)에 전달되는 전동 상태, 및 텐션 풀리(11)가 전동 벨트(10)로부터 이격되어 엔진(6)의 출력축(6a)의 동력이 차단되는 차단 상태로, 상류측 클러치(12)가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
다음으로, 탈곡 전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축(9)의 좌측 단부에 풀리(9b)(상류측 전동계에 상당)가 연결되어 있다. 탈곡 장치(3)의 전방부의 하부에, 풍구(도시하지 않음)의 입력축(13)(탈곡 전동계에 상당)이 기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입력축(13)의 우측 단부[탈곡 장치(3)와 그레인 탱크(4) 사이]에 풀리(13a)(탈곡 전동계에 상당)가 연결되어 있고, 전동축(9)의 풀리(9b)와 입력축(13)의 풀리(13a)에 걸쳐 전동 벨트(14)(탈곡 전동계에 상당)가 권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의 우측에 급동(15)의 입력축(16)(탈곡 전동계에 상당)이 구비되어 있고, 입력축(13)에 연결된 풀리(13b)(탈곡 전동계에 상당)와, 입력축(16)에 연결된 풀리(16a)(탈곡 전동계에 상당)에 걸쳐, 전동 벨트(17)(탈곡 전동계에 상당)가 권취되어 있다.
탈곡 장치(3)의 좌측에, 1번 스크류(도시하지 않음) 및 세로 스크류(도시하지 않음)의 입력축(18), 2번 스크류(도시하지 않음)의 입력축(19), 요동 선별부(도시하지 않음) 및 배진 팬(도시하지 않음)의 입력축(20)이 구비되어 있다. 입력축(13)의 좌측 단부에 연결된 풀리(13c)(탈곡 전동계에 상당)와, 입력축(18, 19, 20)에 연결된 풀리(18a, 19a, 20a)에 걸쳐, 전동 벨트(21)(탈곡 전동계에 상당)가 권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2)에 의해 예취된 곡간의 이삭끝측을 탈곡 장치(3)에 넣으면서 곡간을 끼움 지지하여 반송하는 피드 체인(22)이, 탈곡 장치(3)의 좌측에 구비되고, 피드 체인(22)의 입력축(23)과 입력축(20)에 걸쳐 기어식 전동 기구(24)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 기구(24)에 맞물림 형식의 피드 체인 클러치(25)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3)의 후방측에 배출 볏짚 커터(26)가 구비되어 있고, 배출 볏짚 커터(26)의 입력축(27)에 연결된 풀리(27a)와, 입력축(20)에 연결된 풀리(20b)에 걸쳐, 전동 벨트(28)가 권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벨트(14)에 대해 요동 조작 가능한 텐션 풀리(29)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 벨트(14)와 텐션 풀리(29)에 의해, 텐션 형식의 탈곡 클러치(30)가 구성되어 있다(탈곡 클러치가 탈곡 전동계에 구비된 상태에 상당).
텐션 풀리(29)가 전동 벨트(14)를 압박하여 전동축(9)의 동력이 입력축(13)에 전달되는 전동 상태, 및 텐션 풀리(29)가 전동 벨트(10)로부터 이격되어 전동축(9)의 동력이 차단되는 차단 상태로, 탈곡 클러치(30)가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3]
다음으로, 작업 전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4)의 좌측면으로부터 기체 가로 외측인 우측의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a)이, 그레인 탱크(4)의 저부에 구비되어 있고, 그레인 탱크(4)의 경사면(4a)의 하단부에, 배출 스크류(31)(작업 장치에 상당)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배출 스크류(31)가 그레인 탱크(4)의 저부에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언로더(32)가 그레인 탱크(4)의 후방부에 구비되어 있고, 배출 스크류(31)의 동력이 언로더(32)에 전달되도록, 배출 스크류(31)의 후방부와 언로더(32)의 하부가 베벨 기어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언로더(32)의 상하 방향의 종축심(P1) 주위로, 그레인 탱크(4)가 우측 외측의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는 그레인 탱크(4)를 작업 위치에 위치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와 그레인 탱크(4) 사이에 베벨 기어 기구(34)(작업 전동계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축(9)의 좌측 단부에 연결된 풀리(9c)(상류측 전동계에 상당)와, 베벨 기어 기구(34)의 풀리(34a)(작업 전동계에 상당)에 걸쳐 전동 벨트(35)(작업 전동계에 상당)가 권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스크류(31)의 입력축(33)이 그레인 탱크(4)의 전방부에 구비되고, 입력축(33)에 연결된 풀리(33a)와, 베벨 기어 기구(34)의 풀리(34b)(작업 전동계에 상당)에 걸쳐, 전동 벨트(36)(작업 전동계에 상당)가 권취되어 있고, 전동 벨트(36)에 대해 텐션 풀리(37)가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벨트(35)에 대해 요동 조작 가능한 텐션 풀리(38)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 벨트(35)와 텐션 풀리(39)에 의해, 텐션 형식의 배출 클러치(39)(작업 클러치에 상당)가 구성되어 있다[배출 클러치(작업 클러치)가 작업 전동계에 구비된 상태에 상당].
텐션 풀리(28)가 전동 벨트(35)를 압박하여 전동축(9)의 동력이 베벨 기어 기구(34)로부터 배출 스크류(31)에 전달되는 전동 상태, 및 텐션 풀리(38)가 전동 벨트(35)로부터 이격되어 전동축(9)의 동력이 차단되는 차단 상태로, 배출 클러치(39)가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전항 [1] [2] 및 본항 [3] 참조), 엔진(6)의 동력이 전동 벨트(10)[상류측 클러치(12)] 및 전동축(9)에 전달되어 있다.
전동축(9)으로부터 탈곡 장치(3)로 분기된 동력이, 전동 벨트(14)[탈곡 클러치(30)], 입력축(13) 및 전동 벨트(17, 21)를 통해 탈곡 장치(3)에 전달되는 것으로, 전동 기구(24) 및 피드 체인 클러치(25)를 통해 피드 체인(22)에 전달되고, 전동 벨트(28)를 통해 배출 볏짚 커터(26)에 전달된다.
전동축(9)으로부터 그레인 탱크(4)[배출 스크류(31)]로 분기된 동력이, 전동 벨트(35)[배출 클러치(39)], 베벨 기어 기구(34) 및 전동 벨트(36)를 통해 배출 스크류(31)에 전달된다.
[4]
다음으로, 텐션 풀리(37)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에 연결된 프레임(72)의 기체 전후 방향의 횡축심(P2) 주위로, 텐션 아암(73)의 중간부가 천칭 형상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텐션 아암(73)의 좌측부[탈곡 장치(3)측]에 텐션 풀리(37)가 지지되어 있고, 프레임(72)의 브래킷(72a)과, 텐션 아암(73)의 우측부[그레인 탱크(4)의 우측 벽부(4b)측]에 걸쳐, 스프링(74)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74)의 가압력에 의해 텐션 아암(37)이 도 5의 (a)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텐션 풀리(37)가 전동 벨트(36)에 압박되어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텐션 아암(73)의 우측 단부에, 조작 아암(75)이 기체 전후 방향의 횡축심(P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4)를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위치에 위치시키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아암(75)을 상하 방향의 격납 자세로 조작해 두고, 조작 아암(75)이 그레인 탱크(4)의 우측 벽부(4b)로부터 우측 외측으로 나오지 않도록 해 둔다.
그레인 탱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도 5의 (b)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아암(75)을 횡방향의 작업 자세로 조작하는 것으로, 작업 자세에 있어서 조작 아암(75)은 그레인 탱크(4)의 우측 벽부(4b)로부터 우측 외측으로 나온다. 이 경우, 조작 아암(75)의 절곡부(75a)가 텐션 아암(73)의 우측 단부의 하변부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 자세의 조작 아암(75)을 스프링(74)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조작함으로써, 텐션 아암(73)을 도 5의 (b)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텐션 풀리(37)를 전동 벨트(36)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켜, 전동 벨트(36)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동 벨트(36)를 제거함으로써, 그레인 탱크(4)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5]
다음으로, 크롤러 주행 장치(1)에의 전동계 및 예취부(2)에의 전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6)의 좌측에 발전기(40)가 구비되어 있고, 엔진(6)에 의해 발전기(40)가 구동된다. 기체의 전방부의 기체 좌우 방향 중앙부에 미션 케이스(41)가 구비되어 있고, 운전부(5)의 하측에 전동 모터(42)(원동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전기(40)의 전력이 전력 변환부(인버터)(43)를 통해 전동 모터(42)에 공급되고, 전동 모터(42)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41)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41)에 전달된 동력이, 미션 케이스(41)의 내부의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조향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전달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41)의 좌측에 출력축(44)이 구비되어 있고, 미션 케이스(41)에 전달된 동력이 분기되어, 전술한 변속 장치 및 조향 장치와 출력축(44)에 전달된다. 예취부(2)의 입력축(45)이 예취부(2)의 베이스부의 우측에 구비되어 있고, 출력축(44)에 연결된 풀리(44a)와, 입력축(45)에 연결된 풀리(45a)에 걸쳐 전동 벨트(46)가 권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벨트(46)에 대해 요동 조작 가능한 텐션 풀리(47)가 구비되어 있고, 전동 벨트(46)와 텐션 풀리(47)에 의해, 텐션 형식의 예취 클러치(48)가 구성되어 있다.
텐션 풀리(47)가 전동 벨트(46)를 압박하여 출력축(44)의 동력이 예취부(2)에 전달되는 전동 상태, 및 텐션 풀리(47)가 전동 벨트(46)로부터 이격되어 출력축(44)의 동력이 차단되는 차단 상태로, 예취 클러치(48)가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6]
다음으로,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피드 체인 클러치(25), 배출 클러치(39) 및 예취 클러치(48)를 조작하는 조작 장치(49)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벨 기어 기구(34)의 후방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3)의 우측 벽부(3a)와 배출 스크류(31) 사이에, 조작 장치(49)[후술하는 전동 모터(50) 및 제1, 2, 3 캠판(51, 52, 53)(캠 기구에 상당)]가 배치되어 있고, 그레인 탱크(4)의 경사면(4a)의 하방에, 조작 장치(49)[후술하는 전동 모터(50) 및 제1, 2, 3 캠판(51, 52, 53)]가 배치되어 있다.
도 7, 8, 9,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측판(54)에 조작축(5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1 캠판(51), 제2 캠판(52) 및 제3 캠판(53)이 키(76)에 의해 조작축(55)에 연결되어, 제1, 2, 3 캠판(51, 52, 53) 및 조작축(55)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축(55)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56)가 조작축(55)의 단부에 접속되어 우측의 측판(54)에 연결되어 있고, 위치 센서(56)의 검출값이 제어 장치(57)에 입력되어 있다.
도 7, 9,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측판(54)에 전동 모터(50) 및 감속 기구(58)가 연결되어 있고, 제1 캠판(51)의 외주부에 형성된 기어부에 감속 기구(58)의 피니언 기어(58a)가 맞물려 있다. 제어 장치(57)에 의해 전동 모터(50)가 조작되는 것으로, 전동 모터(50)의 동력에 의해 감속 기구(58)의 피니언 기어(48a)가 회전 구동되고, 제1, 2, 3 캠판(51, 52, 53) 및 조작축(55)이 회전 구동된다.
도 7, 9,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측판(54)에 지지축(59)이 연결되어 있고, 상류측 클러치 아암(62), 탈곡 클러치 아암(60) 및 예취 클러치 아암(68)이 지지축(59)에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이 제1 캠판(51)에 대향하고, 탈곡 클러치 아암(60)이 제2 캠판(52)에 대향하고, 예취 클러치 아암(68)이 제3 캠판(53)에 대향하고 있다.
도 7, 9,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측판(54)에 지지축(61)이 연결되어 있고, 피드 체인 클러치 아암(65) 및 배출 클러치 아암(69)이, 지지축(61)에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드 체인 클러치 아암(65)이 제2 캠판(52)에 대향하고, 배출 클러치 아암(69)이 제3 캠판(53)에 대향하고 있다.
도 7, 9,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측판(54)의 전방부에, 와이어 받침(63)이 연결되어 있다. 3개의 와이어(64)(연계 기구에 상당)에 있어서, 와이어(64)의 이너의 일단부가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및 예취 클러치(48)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64)의 아우터의 타단부가 와이어 받침(63)에 접속되고, 와이어(64)의 이너의 타단부가 융통용 스프링(66)을 통해 상류측 클러치 아암(62), 탈곡 클러치 아암(60) 및 예취 클러치 아암(68)에 접속되어 있다.
도 7, 9,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측판(54)의 전방부에, 와이어 받침(67)이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와이어(64)(연계 기구에 상당)에 있어서, 와이어(64)의 이너의 일단부가 피드 체인 클러치(25) 및 배출 클러치(39)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64)의 아우터의 타단부가 와이어 받침(67)에 접속되고, 와이어(64)의 이너의 타단부가 피드 체인 클러치 아암(65) 및 배출 클러치 아암(69)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전동 모터(50), 제1, 2, 3 캠판(51, 52, 53) 및 5개의 와이어(64)에 의해, 조작 장치(49)가 구성되어 있다.
도 2, 7,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장치(49)에 있어서, 5개의 와이어(64)가 제1, 2, 3 캠판(51, 52, 53)으로부터 동일한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의 연장 부분으로부터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피드 체인 클러치(25), 배출 클러치(39) 및 예취 클러치(48)로 나뉘어 연장되어 있다.
[7]
다음으로, 클러치 레버(70)를 중립 위치(N1)로 조작한 경우의 조작 장치(49)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70) 및 배출 스위치(71)가 운전부(5)에 구비되어 있고, 클러치 레버(70) 및 배출 스위치(71)의 조작 위치가 제어 장치(57)에 입력되어 있다.
도 4 및 도 10에 도시하는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배출 클러치(39) 및 예취 클러치(48)는, 텐션 형식인 것에 의해 차단 상태로 되려고 한다(차단 상태로 가압된 상태). 피드 체인 클러치(25)는 맞물림 형식으로, 내장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동 상태로 가압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는, 클러치 레버(70)가 중립 위치(N1)로 조작되고, 배출 스위치(71)가 오프 조작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어 장치(57) 및 전동 모터(50)에 의해, 제1, 2, 3 캠판(51, 52, 53)이 도 10, 11, 13, 14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N)로 조작되어 있다.
도 10, 11, 13,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장치(49)[제1, 2, 3 캠판(51, 52, 53)]가 중립 위치(N)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류측 클러치 아암(62), 탈곡 클러치 아암(60), 예취 클러치 아암(68) 및 배출 클러치 아암(69)에,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접촉하지 않고, 와이어(64)가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예취 클러치(48) 및 배출 클러치(39)로 복귀되어 있고,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예취 클러치(48) 및 배출 클러치(39)는 차단 상태로 되어 있다[조작 장치(49)에,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및 배출 클러치(39)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는 중립 위치(N)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 상당].
피드 체인 클러치 아암(65)의 롤러(65a)가 제2 캠판(52)에 올라타 있고, 와이어(64)가 피드 체인 클러치 아암(65)에 당김 조작되어, 피드 체인 클러치(25)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있다.
[8]
다음으로, 클러치 레버(70)를 제1 조작 위치(B1)로 조작한 경우의 조작 장치(49)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70)를 중립 위치(N1)로부터 제1 조작 위치(B1)로 조작하면, 제어 장치(57) 및 전동 모터(50)에 의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중립 위치(N)로부터 지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우선 도 11, 13, 14에 도시하는 제1 위치(A1)로 조작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제1 위치(A1)로 조작되면, 제1 캠판(51)이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의 롤러(62a)에 접촉하고, 제1 캠판(51)에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의 롤러(62a)가 올라타,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이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0, 11, 13,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64)가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에 당김 조작되어, 상류측 클러치(12)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탈곡 클러치(30), 피드 체인 클러치(25), 예취 클러치(48) 및 배출 클러치(39)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있음][조작 장치(49)가 중립 위치(N)로부터 작동하면, 상류측 클러치(12)가 최초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
다음으로, 제어 장치(57) 및 전동 모터(50)에 의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제1 위치(A1)로부터 또한 지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도 12, 13, 14에 도시하는 제2 위치(A2)로 조작된다.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제2 위치(A2)로 조작되면, 제2 캠판(52)이 탈곡 클러치 아암(60)의 롤러(60a)에 접촉하고, 제2 캠판(52)에 탈곡 클러치 아암(60)의 롤러(60a)가 올라타, 탈곡 클러치 아암(60)이 도 12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0, 12, 13,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64)가 탈곡 클러치 아암(60)에 당김 조작되어, 탈곡 클러치(30)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상류측 클러치(12)는 전동 상태로 유지되고, 피드 체인 클러치(25), 예취 클러치(48) 및 배출 클러치(39)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있음][상류측 클러치(12)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조작 장치(49)가 또한 작동하면, 탈곡 클러치(30)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조작 장치(49)가 중립 위치(N)로부터 한쪽으로 작동하면, 상류측 클러치(12) 및 탈곡 클러치(30)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
[9]
다음으로, 클러치 레버(70)를 제2 조작 위치(B2)로 조작한 경우의 조작 장치(49)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70)를 제1 조작 위치(B1)로부터 제2 조작 위치(B2)로 조작하면, 제어 장치(57) 및 전동 모터(50)에 의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제2 위치(A2)로부터 지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우선 도 12, 13, 14에 나타내는 제3 위치(A3)로 조작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제3 위치(A3)로 조작되면, 제2 캠판(52)이 피드 체인 클러치 아암(65)의 롤러(65a)로부터 이격되어, 피드 체인 클러치 아암(65)이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0, 12, 13,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64)가 피드 체인 클러치(25)로 복귀되어, 피드 체인 클러치(25)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상류측 클러치(12) 및 탈곡 클러치(30)는 전동 상태로 유지되고, 예취 클러치(48) 및 배출 클러치(39)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있음][상류측 클러치(12) 및 탈곡 클러치(30)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조작 장치(49)가 또한 한쪽으로 작동하면, 피드 체인 클러치(25)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
다음으로, 제어 장치(57) 및 전동 모터(50)에 의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제3 위치(A3)로부터 또한 지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도 12, 13, 14에 도시하는 제4 위치(A4)로 조작된다.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제4 위치(A4)로 조작되면, 제3 캠판(53)이 예취 클러치 아암(68)의 롤러(68a)에 접촉하고, 제3 캠판(53)에 예취 클러치 아암(68)의 롤러(68a)가 올라타, 예취 클러치 아암(68)이 도 12의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0, 12, 13,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64)가 예취 클러치 아암(68)에 당김 조작되어, 예취 클러치(48)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및 피드 체인 클러치(25)는 전동 상태로 유지되고, 배출 클러치(39)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있음][상류측 클러치(12) 및 탈곡 클러치(30)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조작 장치(49)가 또한 한쪽으로 작동하면, 예취 클러치(48)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
[10]
다음으로, 배출 스위치(71)를 온 조작한 경우의 조작 장치(49)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스위치(71)를 오프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레버(70)를 중립 위치(N1)로부터 제1 및 제2 조작 위치(B1, B2)로 조작하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클러치 레버(70)를 중립 위치(N1)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배출 스위치(71)를 온 조작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레버(70)를 중립 위치(N1)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배출 스위치(71)를 온 조작하면, 제어 장치(57) 및 전동 모터(50)에 의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중립 위치(N)로부터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도 11, 13, 14에 도시하는 제5 위치(A5)로 조작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제5 위치(A5)로 조작되면, 제1 캠판(51)이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의 롤러(62a)에 접촉하고, 제1 캠판(51)에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의 롤러(62a)가 올라타,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이 지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0, 11, 13,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64)가 상류측 클러치 아암(62)에 당김 조작되어, 상류측 클러치(12)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탈곡 클러치(30), 피드 체인 클러치(25) 및 예취 클러치(48)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있음][조작 장치(49)가 중립 위치(N)로부터 작동하면, 상류측 클러치(12)가 최초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
전술한 바와 같이 상류측 클러치(12)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것과 동시에, 제3 캠판(53)이 배출 클러치 아암(69)의 롤러(69a)에 접촉하고, 제3 캠판(53)에 배출 클러치 아암(69)의 롤러(69a)가 올라타, 배출 클러치 아암(69)이 도 11의 지면 시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 10, 11, 13,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64)가 배출 클러치 아암(69)에 당김 조작되어, 배출 클러치(3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탈곡 클러치(30), 피드 체인 클러치(25) 및 예취 클러치(48)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있음][조작 장치(49)가 중립 위치(N)로부터 작동하면, 상류측 클러치(12)가 최초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조작 장치(49)가 중립 위치(N)로부터 다른 쪽으로 작동하면, 상류측 클러치(12) 및 배출 클러치(3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조작 장치(49)가 중립 위치(N)로부터 다른 쪽으로 작동하면, 상류측 클러치(12) 및 배출 클러치(39)가 동시에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상태에 상당].
[발명의 제1 다른 실시형태]
도 4에 도시하는 전동 벨트(10) 및 텐션 풀리(11)를 폐지하고, 엔진(6)의 출력축(6a)과 전동축(9)에 걸쳐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고, 이 전동축에 마찰 다판 형식의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상류측 클러치(12)로서 구비해도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전동 벨트(14) 및 텐션 풀리(29)를 폐지하고, 전동축(9)과 입력축(13)에 걸쳐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고, 이 전동축에 마찰 다판 형식의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탈곡 클러치(30)로서 구비해도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전동 벨트(35) 및 텐션 풀리(38)에 의한 배출 클러치(39)를 폐지하고, 전동 벨트(36) 및 텐션 풀리(37)에 의해 배출 클러치(39)를 구성해도 된다. 베벨 기어 기구(34)의 내부에 맞물림식의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 맞물림식의 클러치를 배출 클러치(39)로 해도 된다.
도 7, 9, 10에 도시하는 와이어(64) 대신에, 연계 로드나 연계 링크를 연계 기구로서 사용해도 된다.
[발명의 제2 다른 실시형태]
도 4에 도시하는 배출 스크류(31) 및 배출 클러치(39)를 폐지하고, 그레인 탱크(4)를 덤프 조작(옆으로 쓰러뜨림 조작)하여, 그레인 탱크(4)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그레인 탱크(4)를 덤프 조작하는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및 유압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배출 스크류(31) 대신에 작업 장치로 하고, 유압 펌프에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 펌프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배출 클러치(39) 대신에 작업 클러치로 하면 된다.
[발명의 제3 다른 실시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10]에 있어서, 배출 스위치(71)를 온 조작하면, 상류측 클러치(12) 및 배출 클러치(39)가 동시에 전동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 아니라, 상류측 클러치(12) 및 탈곡 클러치(30)와 마찬가지로, 배출 스위치(71)를 온 조작하면, 상류측 클러치(12)가 최초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다음으로 배출 클러치(3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제4 다른 실시형태]
도 10에 도시하는 클러치 레버(70)를 제1 조작 위치(B1)로 조작하면, 상류측 클러치(12)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다음으로 탈곡 클러치(30) 및 피드 체인 클러치(25)가 동시에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클러치 레버(70)를 제2 조작 위치(B2)로 조작하면, 예취 클러치(48)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클러치 레버(70)를 제1 조작 위치(B1)로 조작하면, 상류측 클러치(12)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다음으로 탈곡 클러치(30)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클러치 레버(70)를 제2 조작 위치(B2)로 조작하면, 피드 체인 클러치(25) 및 예취 클러치(48)가 동시에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제5 다른 실시형태]
도 10에 도시하는 배출 스위치(71)를 폐지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 스위치(71)를 폐지한 경우, 클러치 레버(70)를 중립 위치(N1)로부터 한쪽으로 제1 및 제2 조작 위치(B1, B2)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더하여, 클러치 레버(70)를 중립 위치(N1)로부터 다른 쪽[제1 및 제2 조작 위치(B1, B2)의 반대측]의 제3 조작 위치(도시하지 않음)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클러치 레버(70)를 제3 조작 위치로 조작하면, 제1, 2, 3 캠판(51, 52, 53)이 중립 위치(N)로부터 제5 위치(A5)로 조작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발명의 제6 다른 실시형태]
도 7, 9, 10에 도시하는 와이어(64) 대신에, 로드나 링크 부재를 연계 기구로 하여, 제1, 2, 3 캠 부재(51, 52, 53)와,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피드 체인 클러치(25), 배출 클러치(39) 및 예취 클러치(48)에 걸쳐 접속해도 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탈곡 장치(3)의 우측 벽부(3a)와 그레인 탱크(4)의 좌측 벽부(4c)의 간격이 비교적 넓은 경우, 그레인 탱크(4)의 경사면(4a)의 하방에 조작 장치(49)[전동 모터(50) 및 제1, 2, 3 캠판(51, 52, 53)]를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평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3)의 우측 벽부(3a)와 그레인 탱크(4)의 좌측 벽부(4c) 사이에, 조작 장치(49)[전동 모터(50) 및 제1, 2, 3 캠판(51, 52, 53)]가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제7 다른 실시형태]
도 7, 8, 9, 10에 도시하는 전동 모터(50), 제1, 2, 3 캠 부재(51, 52, 53), 와이어(64)를 폐지하고, 상류측 클러치(12), 탈곡 클러치(30), 피드 체인 클러치(25), 배출 클러치(39) 및 예취 클러치(48)의 각각에,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조작 장치(49)를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제8 다른 실시형태]
도 4에 도시하는 엔진(6)의 동력을 전동축(9)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엔진(6)에 의해 발전기(40)를 구동하여, 발전기(40)의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모터(42)의 동력을 전동축(9) 및 미션 케이스(41)에 전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전동 모터(42)와 전동축(9) 사이에 상류측 클러치(12)를 구비하면 된다.
[발명의 제9 다른 실시형태]
그레인 탱크(4)를 폐지하고 배깅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해도 되고,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출 스크류(31) 및 배출 클러치(39)가 불필요해진다.
이 경우, 세차용 워터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장비하여, 워터 펌프를 배출 스크류(31) 대신 작업 장치로 하고, 워터 펌프에 동력을 전달하는 워터 펌프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배출 클러치(39) 대신 작업 클러치로 해도 된다.
[발명의 제10 다른 실시형태]
기체의 후방부의 우측에 탈곡 장치(3)를 구비하고, 그레인 탱크(4)를 기체의 후방부 좌측에 구비하여, 탈곡 장치(3)와 그레인 탱크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제11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을, 피드 체인(22)을 구비하지 않는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드 체인 클러치(25)가 불필요해지므로, 피드 체인 클러치(25)에 대응하는 피드 체인 클러치 아암(65) 및 와이어(64)가 불필요해져, 조작 장치(49)가 조작하는 클러치의 수가 적어진다.
본 발명은, 그레인 탱크를 구비한 자탈형 콤바인뿐만 아니라, 피드 체인을 구비하지 않는 보통형 콤바인이나, 그레인 탱크 대신에 배깅 장치를 구비한 자탈형 및 보통형 콤바인, 크롤러 주행 장치 대신에 우측 및 좌측의 전륜, 우측 및 좌측의 후륜을 구비한 휠 형식의 자탈형 및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발전기(40) 및 전동 모터(42)를 폐지하고, 전동축(9)과 미션 케이스(41)의 입력축(도시하지 않음)에 걸쳐 전동 벨트(도시하지 않음)나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여, 엔진(6)의 동력을 직접적으로 미션 케이스(41)에 전달하도록 구성한 하이브리드 형식이 아닌 자탈형 및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 예취부
3 : 탈곡 장치
4 : 그레인 탱크
4a : 경사면
6, 42 : 원동부
9, 9a, 9b, 9c : 상류측 전동계
10 : 상류측 전동계
12 : 상류측 클러치
13, 13a, 13b, 13c : 탈곡 전동계
14, 17, 21 : 탈곡 전동계
16, 16a : 탈곡 전동계
22 : 피드 체인
25 : 피드 체인 클러치
30 : 탈곡 클러치
31 : 작업 장치, 배출 스크류
34, 34a, 34b : 작업 전동계
35, 36 : 작업 전동계
39 : 작업 클러치, 배출 클러치
48 : 예취 클러치
49 : 조작 장치
50 : 전동 모터
51, 52, 53 : 캠 기구
64 : 연계 기구
N : 중립 위치

Claims (12)

  1.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는 별도의 작업 장치가 구비되고,
    원동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상류측 전동계가, 상기 탈곡 장치에 접속되는 탈곡 전동계와, 상기 작업 장치에 접속되는 작업 전동계로 분기되어, 상기 원동부의 동력이 상기 상류측 전동계, 상기 탈곡 전동계 및 작업 전동계를 통해 상기 탈곡 장치 및 작업 장치에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류측 클러치가 상기 상류측 전동계에 구비되고, 탈곡 클러치가 상기 탈곡 전동계에 구비되고, 작업 클러치가 상기 작업 전동계에 구비되고,
    상기 상류측 클러치, 상기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를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에, 상기 상류측 클러치, 상기 탈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는 중립 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작동하면, 상기 상류측 클러치가 최초로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상기 조작 장치가 다시 작동하면, 상기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한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상기 조작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다른 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작업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장치가 상기 배출 스크류이고,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배출 스크류에 동력을 전달하는 배출 클러치이고,
    상기 조작 장치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다른 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배출 클러치가 동시에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예취된 곡간의 이삭끝측을 상기 탈곡 장치에 넣으면서 곡간을 끼움 지지하여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는 피드 체인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상기 조작 장치가 또한 한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피드 체인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취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예취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상류측 클러치 및 탈곡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나서, 상기 조작 장치가 또한 한쪽으로 작동하면, 상기 예취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에,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조작되는 캠 기구와, 상기 캠 기구 및 각 클러치를 접속하는 복수의 연계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상기 캠 기구가 조작되고, 상기 캠 기구의 동작이 상기 연계 기구를 통해 각 클러치에 전달되어, 각 클러치가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스크류가 구비되고,
    기체의 후방부에 상기 탈곡 장치 및 그레인 탱크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배출 스크류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 및 캠 기구가 평면에서 보아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배출 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10항에 있어서, 기체 가로 외측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상기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에 상기 배출 스크류가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터 및 캠 기구가 상기 경사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계 기구가, 상기 캠 기구로부터 동일한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의 연장 부분으로부터 각 클러치로 나뉘어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40117521A 2013-10-16 2014-09-04 콤바인 KR102307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5701A JP6041783B2 (ja) 2013-10-16 2013-10-16 コンバイン
JPJP-P-2013-215701 2013-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377A true KR20150044377A (ko) 2015-04-24
KR102307155B1 KR102307155B1 (ko) 2021-10-01

Family

ID=5300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21A KR102307155B1 (ko) 2013-10-16 2014-09-04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41783B2 (ko)
KR (1) KR102307155B1 (ko)
CN (1) CN1045417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6351B1 (ja) * 2016-03-25 2017-08-0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569955B2 (ja) * 2017-02-24 2019-09-0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126353B2 (ja) * 2018-02-09 2022-08-2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11698900A (zh) * 2018-02-09 2020-09-22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JP7050514B2 (ja) * 2018-02-09 2022-04-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262171B2 (ja) * 2018-02-09 2023-04-2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12823254A (zh) * 2018-10-25 2021-05-18 株式会社久保田 收获机以及作业车
JP7094198B2 (ja) * 2018-10-25 2022-07-01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US11732639B2 (en) 2019-03-01 2023-08-22 Pratt & Whitney Canada Corp. Mechanical disconnects for parallel power lanes in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s
US11628942B2 (en) 2019-03-01 2023-04-18 Pratt & Whitney Canada Corp. Torque ripple control for an aircraft power train
WO2020180374A1 (en) 2019-03-01 2020-09-10 United Technologies Advanced Projects Inc. Distributed propulsion configurations for aircraft having mixed drive systems
EP3941830A4 (en) 2019-03-18 2023-01-11 Pratt & Whitney Canada Corp. ARCHITECTURES FOR ELECTRIC HYBRID PROPULSION
JP7190970B2 (ja) * 2019-05-31 2022-12-1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WO2020241157A1 (ja) * 2019-05-31 2020-12-0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及び収穫機
US11486472B2 (en) 2020-04-16 2022-11-01 United Technologies Advanced Projects Inc. Gear sytems with variable speed dri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170A (ja) * 1998-11-05 2000-05-23 Kubota Corp 作業車
JP4109403B2 (ja) * 2000-04-03 2008-07-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作業クラッチの継断制御装置
JP2010075118A (ja) * 2008-09-26 2010-04-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1250750A (ja) * 2010-06-03 2011-12-15 Yanmar Co Ltd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2090607A (ja) 2010-10-28 2012-05-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2946U (ja) * 1982-03-04 1983-09-07 株式会社クボタ グレンタンク付き脱穀機
US4455812A (en) * 1983-01-24 1984-06-26 Allis-Chalmers Corp. Combine drive with double clutch assembly
CN2178416Y (zh) * 1993-06-15 1994-10-05 金明 新型自走式谷物联合收割机
CN1087136C (zh) * 1996-12-06 2002-07-10 洋马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JPH10276547A (ja) * 1997-04-02 1998-10-2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刈取フレーム支持装置
JP3435305B2 (ja) * 1997-04-09 2003-08-11 三菱農機株式会社 移動収穫機の伝動カウンタ
JP4805973B2 (ja) * 2008-05-09 2011-11-02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の刈取部昇降構造
JP5628483B2 (ja) * 2009-01-23 2014-11-1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JP2010187583A (ja) * 2009-02-17 2010-09-02 Yanmar Co Ltd 作業車両
KR101854468B1 (ko) * 2010-10-28 2018-05-0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202857341U (zh) * 2012-09-16 2013-04-10 嵊州市天成机械有限公司 一种收割机的动力传递机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170A (ja) * 1998-11-05 2000-05-23 Kubota Corp 作業車
JP4109403B2 (ja) * 2000-04-03 2008-07-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作業クラッチの継断制御装置
JP2010075118A (ja) * 2008-09-26 2010-04-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1250750A (ja) * 2010-06-03 2011-12-15 Yanmar Co Ltd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2090607A (ja) 2010-10-28 2012-05-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155B1 (ko) 2021-10-01
JP2015077091A (ja) 2015-04-23
CN104541791A (zh) 2015-04-29
JP6041783B2 (ja)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4377A (ko) 콤바인
JP2010161985A (ja) コンバイン
JP6145367B2 (ja) コンバイン
JP5814535B2 (ja) コンバイン
JP2010200666A (ja) コンバイン
KR101417631B1 (ko) 콤바인 곡물 이송 회전 장치
JP5257245B2 (ja) コンバイン
JP5443450B2 (ja) コンバイン
JP4886608B2 (ja) 走行車両
JP5749672B2 (ja) コンバイン
JP2013193474A (ja) 走行車両
JP2007174941A5 (ko)
JP2007174941A (ja) コンバイン
JP5749671B2 (ja) コンバイン
JP5018134B2 (ja) コンバイン
JP5814862B2 (ja) コンバイン
JP5648728B1 (ja) コンバイン
JP2006325557A (ja) 脱穀装置
JP2016202086A (ja) コンバイン
JP2010252704A (ja) コンバイン
KR20140118669A (ko) 콤바인
KR20160089258A (ko) 링크기구를 이용한 일체형 정역회전 장치를 갖는 콤바인
JP4453277B2 (ja) コンバイン
JP2022097209A (ja) 収穫機
JP2007223464A (ja) 作業車のクローラ履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