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468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4468B1 KR101854468B1 KR1020110096871A KR20110096871A KR101854468B1 KR 101854468 B1 KR101854468 B1 KR 101854468B1 KR 1020110096871 A KR1020110096871 A KR 1020110096871A KR 20110096871 A KR20110096871 A KR 20110096871A KR 101854468 B1 KR101854468 B1 KR 1018544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ine
- rotational speed
- speed
- rotation speed
- clu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곡 작업과, 언로더로 곡립의 배출을 행하는 작업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회전 속도로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로부터 탈곡 처리부를 작동시키는 탈곡 작업 위치(M)로 조작되면,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부터 정격 속도까지 상승시키고,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오프 위치 「오프」로부터 곡립의 배출을 행하는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되면,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부터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로 설정되는 다이얼 값까지 상승시키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체에 구비한 엔진으로부터 탈곡 처리부에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탈곡 클러치를 구비하고, 비작업 위치와 상기 탈곡 클러치를 온 조작하는 탈곡 작업 위치로 조작 가능한 작업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에 구비한 엔진으로부터 주행 장치로 전달되는 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인위 조작에 의해 상기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 조작구와, 차체에 구비한 곡립 탱크의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언로더에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배출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단일의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고, 이 레버는 전후 방향에의 조작으로,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를 오프로 하는 제1 조작 위치와, 탈곡 클러치만 온으로 하는 제2 조작 위치와,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를 온으로 하는 제3 조작 위치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탈곡·예취 클러치 레버의 조작 가이드가 제1 조작 위치로부터 제2 조작 위치의 조작 영역과, 제2 조작 위치로부터 제3 조작 위치의 조작 영역을 오프셋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2개의 레버 위치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레버 위치 검출 스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의 온 오프 조작이 행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면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속도로 하고, 작업 클러치를 온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엔진으로부터 탈곡 장치에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작업 클러치로서 벨트 텐션식 탈곡 클러치가 구비되고,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회전 속도와 정격 회전 속도로 전환하는 액셀러레이터 수단으로서 액셀러레이터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서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인위 조작된 경우 및 전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조작된 경우에 액셀러레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액셀러레이터 장치를 조작함과 함께 탈곡 클러치의 단속 조작을 행한다.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아이들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동 모터에 의해 탈곡 클러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는 작동이 개시되면, 탈곡 클러치의 온 조작에 연계하여 작동하는 조작부의 접촉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이동 조작되어 정격 회전 속도의 위치에 도달하고, 엔진도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는 특허문헌 3에는 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해 주행 속도를 변속하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구비하고, 그레인 탱크의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를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3에서는 엔진 부하에 기초하여 차속을 변경하는 차속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엔진 스톱을 회피하면서 엔진의 능력을 유효 활용하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면,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속도로 하고, 작업 클러치를 온 상태로 설정하는 제어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엔진으로부터 탈곡 장치에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행하는 작업 클러치로서 벨트 텐션식 탈곡 클러치가 구비되고,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회전 속도와 정격 회전 속도로 전환하는 액셀러레이터 수단으로서 액셀러레이터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서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인위 조작된 경우 및 전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조작된 경우에 액셀러레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액셀러레이터 장치를 조작함과 함께 탈곡 클러치의 단속 조작이 행해지는 제어 형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2에서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아이들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동 모터에 의해 탈곡 클러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는 작동이 개시되면, 탈곡 클러치의 온 조작에 연계하여 작동하는 조작부의 접촉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이동 조작되어 정격 회전 속도의 위치에 도달하고, 엔진도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된다.
콤바인으로 벼의 수확 작업을 행할 때에는 엔진 회전을 정격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킴과 함께 차체를 포장에 도입하여, 탈곡 처리부를 작동시키고 있다. 즉, 비작업시에는 엔진을 아이들링 속도로 회전시키고, 수확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엔진으로부터 최대의 출력을 얻는 고속의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키고 있다.
또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를 구비하고, 이 곡립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를 구비한 콤바인에서는, 언로더를 작동시켜 곡립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할 때에도 엔진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언로더로 곡립을 배출할 때에 엔진을 정격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정격 회전 속도는 탈곡 장치와 예취 전처리부에 의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고출력을 얻는 것이기 때문에, 정격 회전 속도로 언로더를 작동시킨 경우에는 스크류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고속화되어 곡립을 손상시키는 점이나, 연료를 불필요하게 소비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곡 작업과, 언로더로 곡립의 배출을 행하는 작업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회전 속도로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또한, 종래로부터의 콤바인에서는 비작업시에 엔진을 아이들링 속도로 회전시키고, 벼의 수확 작업을 행할 때나 차체를 주행시킬 때에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키고 있다. 즉,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엔진으로부터 최대의 출력을 얻는 고속의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킴으로써 탈곡 처리부와 예취 전처리부로부터의 부하에 의해 엔진 스톱을 초래하지 않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또한, 수확 작업을 행하지 않고 차체를 주행시키는 경우라도 엔진 스톱을 초래하지 않도록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는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를 구비하고, 이 곡립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를 구비한 콤바인에서는, 언로더를 작동시켜 곡립 탱크로부터 곡립을 배출할 때에도 엔진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언로더로 곡립을 배출할 때에 엔진을 정격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정격 회전 속도는 탈곡 장치와 예취 전처리부에 의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높은 출력을 얻는 것이기 때문에, 이 정격 회전 속도로 언로더를 작동시킨 경우에는 스크류 등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고속화되어, 스크류 등이 곡립에 강하게 접촉하여 곡립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점이나 연료를 불필요하게 소비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를 주행시키는 경우와 언로더로 곡립의 배출을 행하는 작업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회전 속도로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차체에 구비한 엔진으로부터 탈곡 처리부에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탈곡 클러치를 구비하고, 비작업 위치와 상기 탈곡 클러치를 온 조작하는 탈곡 작업 위치로 조작 가능한 작업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으로,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의 목표 회전 속도를 인위적으로 설정하는 회전 속도 설정구와, 상기 차체에 구비한 곡립 탱크의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언로더에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배출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작업 조작구가 상기 비작업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작업 조작구가 상기 탈곡 작업 위치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상기 회전 속도 설정구로 설정되는 목표 회전 속도로 설정하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작업 조작구가 비작업 위치에 있고 또한 배출 클러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엔진 가동음의 저감과 연료 소비의 억제를 실현한다. 또한, 작업 조작구가 탈곡 작업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탈곡 장치에서의 탈곡 작업은 고부하인 점에서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엔진 스톱을 초래하는 일이 없는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조작된 경우에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엔진의 회전 속도를, 회전 속도 설정구로 설정된 목표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즉, 곡립 탱크의 곡립을 배출할 때에는 작업자가 설정한 임의의 회전 속도로 엔진의 회전 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언로더의 스크류 등으로부터 곡립에 대하여 과잉의 힘이 작용하는 문제를 억제함과 함께 연료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한다.
그 결과, 탈곡 작업과, 언로더로 곡립의 배출을 행하는 작업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회전 속도로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는 콤바인이 구성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의 주행 장치에 대하여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전달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인위 조작에 의해 상기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 조작구를 구비하고, 이 변속 조작구는 상기 차체를 정차시키는 정차 위치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무단계로 변속하는 변속 영역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정차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변속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여도 된다.
이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하여 연료의 소비를 억제하고, 이 변속 조작구가 변속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엔진 스톱을 초래하는 일이 없는 주행을 실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무단 변속 장치가 상기 차체의 전진 속도와 후진 속도를 무단계로 변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속 조작구는 상기 정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형성되는 전진 영역과, 상기 정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타측에 형성되는 후진 영역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정차 위치로부터 상기 전진 영역과 후진 영역 중 어느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도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여도 된다.
이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연료의 소비를 억제하고, 변속 조작구가 전진 영역와 후진 영역 중 어느 곳으로 조작된 경우에도 엔진 스톱이 없는 주행을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차체에 구비한 엔진으로부터 주행 장치로 전달되는 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인위 조작에 의해 상기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 조작구와, 차체에 구비한 곡립 탱크의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언로더에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배출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변속 조작구는 상기 차체를 정차시키는 정차 위치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무단계로 변속하는 변속 영역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의 목표 회전 속도를 인위적으로 설정하는 회전 속도 설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정차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변속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상기 회전 속도 설정구로 설정되는 목표 회전 속도로 설정하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가 정차 위치에 있고 또한 배출 클러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엔진 가동음의 저감과 연료의 소비를 억제한다. 또한, 변속 조작구가 변속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엔진 스톱을 초래하는 경우가 없는 주행을 실현한다. 또한,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조작된 경우에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엔진의 회전 속도를 회전 속도 설정구로 설정된 목표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즉, 곡립 탱크의 곡립을 배출할 때에는 작업자가 설정한 임의의 회전 속도로 엔진의 회전 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언로더에 있어서 곡립에 대하여 과잉의 힘이 작용하는 문제를 억제함과 함께 연료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한다.
그 결과, 차체를 주행시키는 경우와 언로더로 곡립의 배출을 행하는 작업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회전 속도로 엔진을 가동시킬 수 있는 콤바인이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무단 변속 장치가 상기 차체의 전진 속도와 후진 속도를 무단계로 변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속 조작구는 상기 정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형성되는 전진 영역과, 상기 정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타측에 형성되는 후진 영역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정차 위치로부터 상기 전진 영역과 후진 영역 중 어느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도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여도 된다.
이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연료의 소비를 억제하고, 변속 조작구가 전진 영역와 후진 영역 중 어느 곳으로 조작된 경우에도 엔진 스톱이 없는 주행을 실현한다.
도 1은 콤바인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전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운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조향 레버의 측면과 정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는 작업 클러치 레버의 조작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프런트 조작 패널과 사이드 조작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작업 클러치 레버의 조작 위치와 검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의 조작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삭 끝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조향 제어와 승강 제어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12는 엔진 회전 속도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13은 엔진 회전 제어 루틴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레버류와 엔진 회전 제어의 관계를 일람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엔진 회전수의 변화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콤바인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전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운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조향 레버의 측면과 정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는 작업 클러치 레버의 조작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프런트 조작 패널과 사이드 조작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작업 클러치 레버의 조작 위치와 검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의 조작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삭 끝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조향 제어와 승강 제어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12는 엔진 회전 속도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회로도이다.
도 13은 엔진 회전 제어 루틴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레버류와 엔진 회전 제어의 관계를 일람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엔진 회전수의 변화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로 주행하는 차체(A)의 전방부 위치에 캐빈(Ba)을 갖는 운전부(B)와 예취 전처리부(D)를 병렬 배치함과 함께 차체(A)에 예취 전처리부(D)로부터의 곡물대가 공급되는 탈곡 처리부(E)와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F)(곡립 탱크)를 구비하여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캐빈(Ba)의 내부의 운전 좌석(2)의 하방 위치에 엔진(3)이 배치되고, 차체(A)의 전방부의 중앙 위치에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4)가 구비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4)의 상부에는 주행 방향의 전후진의 전환과 주행 속도의 무단계의 변속을 행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5)가 구비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4)는 무단 변속 장치(5)로부터 전달되는 주행 속도를 고저 2단으로 전환하는 부 변속 장치(도시 생략)와,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의 구동 스프로킷(1S)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는 유압 작동형 조향 클러치(4C)를 내장하고 있다.
엔진(3)의 출력축에 구비한 제1 출력 풀리(3a)와 무단 변속 장치(5)의 입력 풀리(5a)에 걸쳐 무단 벨트(6)를 권회하여 주행 전동계가 형성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부(D)는 식립 곡물대를 분초하는 디바이더(11)와, 직립 곡물대를 다수의 기립 갈고리로 일으켜세우는 복수의 기립 장치(12)와,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는 예취 장치(13)와, 예취된 곡물대를 반송하는 곡물대 반송 장치(14)와, 원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1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 프레임(15)은 전단부측이 경사 하방을 향하는 자세로 배치되고, 그 기단부가 횡방향 축심(P)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차체(A)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프레임(15)은 승강 실린더(16)의 구동력으로 횡방향 축심(P) 주위로 요동하고, 이 요동에 의해 예취 전처리부(D)의 승강이 실현된다.
지지 프레임(15)은 내부에 구비한 구동축(도시 생략)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예취 전처리부(D)의 기립 장치(12)와 예취 장치(13)와 곡물대 반송 장치(14)에 대하여 전달하는 전동 케이스로서 기능한다. 이 지지 프레임(15)의 기단부에서 횡방향 축심(P)과 동축심 상에 지지 프레임 내부의 구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예취 입력 풀리(21)를 구비하고, 이 예취 입력 풀리(21)와 미션 케이스(4)의 예취 출력 풀리(22)에 걸쳐 무단 벨트(23)를 권회하고, 무단 벨트(23)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텐션 풀리(24)를 구비하여 벨트 텐션식이 되는 예취 클러치(Cd)가 구성되어 있다.
탈곡 처리부(E)는 예취 전처리부(D)로부터 공급되는 곡물대를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31)과, 피드 체인(31)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되는 곡물대의 이삭 끝부에 훑기 작용을 부여하는 급동(32)과,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3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탈곡 처리부(E)에서는 급동(32)의 훑기 작용에 의해 이삭 끝으로부터 분리한 처리물을 수망(도시 생략)으로부터 아래로 낙하시켜, 풍구(33)로부터의 선별풍과 요동 선별부(도시 생략)에 의한 비중 선별에 의해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 회수하는 선별 처리를 행하고, 선별 회수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F)로 송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엔진(3)의 출력축에 한 쌍의 제2 출력 풀리(3b)를 구비하고, 탈곡 처리부(E)에는 급동(3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급동 입력 풀리(32b)와, 풍구(3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풍구 입력 풀리(33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출력 풀리(3b)의 한쪽과 급동 입력 풀리(32b)에 걸쳐 무단 벨트(26)를 권회하고, 제2 출력 풀리(3b)의 다른 쪽과 풍구 입력 풀리(33b)에 걸쳐 무단 벨트(26)를 권회하고, 이 한 쌍의 무단 벨트(26)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한 쌍의 텐션 풀리(27)를 구비하여 벨트 텐션식 탈곡 클러치(Ce)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 클러치(Ce)는 한 쌍의 텐션 풀리(27)를 동시에 조작하게 된다.
그레인 탱크(F)는 탈곡 처리부(E)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곡립을 반출하는 언로더(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언로더(34)는 배출단부의 상하 위치의 조절과, 종축심 주위에서의 선회가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어, 곡립의 배출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F)의 저부에 구비한 바닥 스크류(38)와 언로더(34)에 내장된 배출 스크류(34S)가 기어식으로 연동하고, 바닥 스크류(38)의 전단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중간 전동 기구(39)에 배출 구동 풀리(39a)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배출 구동 풀리(39a)와 엔진(3)의 출력축에 구비한 제3 출력 풀리(3c)의 사이에 무단 벨트(40)를 권회하고, 이 무단 벨트(40)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텐션 풀리를 구비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텐션식 배출 클러치(Cf)가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배출 클러치(Cf)가 온 상태로 설정됨으로써, 엔진(3)의 구동력을 바닥 스크류(38)로부터 언로더(34)의 배출 스크류(34S)에 전달하여, 그레인 탱크(F)의 곡립의 배출이 행해진다.
[운전부]
전술한 캐빈(Ba)은 상부에 루프(36)를 구비하고, 전방부나 측부에 유리(37) 등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운전 공간을 형성하고, 이 운전 공간에 전술한 운전 좌석(2)이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2)의 전방부 위치에는 조향 레버(41)와 미터 유닛(42)과 프런트 조작 패널(FP)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2)의 좌측부 위치에는 변속 조작구로서의 주변속 레버(43)와 부변속 레버(44)와 작업 조작구로서의 작업 클러치 레버(45)와 사이드 조작 패널(SP)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2)의 좌후방 위치에는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배치되고, 운전 좌석(2)의 양측부에는 언로더(34)의 배출측 단부의 방향과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곡립의 배출 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7)의 배치 공간(S)이 형성되고, 이 운전 좌석(2)의 후방부에는 에어 클리너(5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2)의 후방의 벽부(W)에는 전력을 취출하는 커넥터(5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57)에는 언로더(34)의 방향을 정하는 복수의 버튼이 구비됨과 함께 취급의 자유도를 높이도록 코드에 의해 제어계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59)는 캐빈(Ba)의 내부에서 전기 기기를 사용할 때(휴대 전화기의 충전 등)의 전원으로서 이용된다.
조향 레버(41)는 차체(A)의 조향 제어와 예취 전처리부(D)의 승강 제어를 실현한다. 즉, 이 조향 레버(41)는 비조작 상태에서 도 5의 (a), (b)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N)에 지지되고, 이 중립 위치(N)에 지지됨으로써 좌우의 조향 클러치(4C)를 온 상태(전동 상태)로 유지하고,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등속 구동하여 차체(A)를 직진시킨다. 또한, 조향 레버(41)를 좌우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요동 조작 방향에 대응한 조향 클러치(4C)를 오프 조작(전동을 차단하는 조작)하여 요동 조작 방향으로 차체(A)를 선회(조향)시킨다.
이 조향 레버(41)를 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승강 실린더(16)를 제어하여 요동량(요동각)에 대응한 속도로 예취 전처리부(D)를 하강시키고, 조작을 해제하여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킴으로써 예취 전처리부(D)의 하강이 정지한다. 또한, 조향 레버(41)를 후방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승강 실린더(16)를 제어하여 요동량(요동각)에 대응한 속도로 예취 전처리부(D)를 상승시키고, 조작을 해제하여 중립 위치(N)로 복귀시킴으로써 예취 전처리부(D)의 상승이 정지한다.
또한, 이 조향 레버(41)의 그립부에는 차체(A)의 롤링 제어를 행하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41a)가 구비됨과 함께 버튼식 상승 스위치(41U)와 하강 스위치(41D)가 구비되어 있다. 상승 스위치(41U)는 누름 조작함으로써, 누름 조작을 계속하지 않더라도 설정 높이까지 예취 전처리부(D)를 상승시키고, 이 상승 상태에 있어서 하강 스위치(41D)를 조작함으로써, 누름 조작을 계속하지 않더라도 설정 높이까지 예취 전처리부(D)를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현한다. 또한, 차체(A)의 롤링 제어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접지측을 독립적으로 상하 작동시킴으로써 실현하는 것인데, 공지의 기술이므로 작동 구성이나 작동 형태의 설명은 생략한다.
미터 유닛(42)은 엔진 회전 속도, 부변속 위치, 연료 잔량 등이 표시된다. 프런트 조작 패널(FP)에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3)의 목표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목표 회전 속도 설정구의 일례)과, 이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의 인위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3)을 상시 회전시키는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47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미터 유닛(42)에는 차체의 롤링 제어의 제어 조건 등을 설정하는 복수의 버튼이나 램프를 갖는 롤링 설정부(48)와, 수확 작업시에 있어서의 차체(A)의 예취 조건을 설정하는 복수의 버튼을 갖는 예취 조건 설정부(4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엔진(3)의 회전 속도란 단위 시간당 엔진(3)의 회전수이다.
주변속 레버(43)(변속 조작구의 일례)는 전술한 무단 변속 장치(5)의 제어계와 기계적으로 연계하고 있고, 조작을 행함으로써 차체(A)의 전진과 후진의 전환과, 속도의 설정을 실현한다. 부변속 레버(44)는 미션 케이스(4)에 내장된 기어식 부변속 장치와 기계적으로 연계하고 있어, 조작을 행함으로써 주행 속도를 고저 2단의 변속을 실현한다. 특히, 주변속 레버(43)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차 위치(ST)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측의 전진 영역(Fa)과 후방측의 후진 영역(Ra)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정차 위치(ST)로부터 전진 영역(Fa)으로 조작함으로써 조작량에 수반하여 차체(A)의 전진 속도를 증대시키고, 정차 위치(ST)로부터 후진 영역(Ra)으로 조작함으로써 조작량에 수반하여 차체(A)의 후진 속도를 증대시킨다. 또한, 전진 영역(Fa)과 후진 영역(Ra)이 변속 영역의 구체예이다.
작업 클러치 레버(45)(작업 조작구의 일례)는 탈곡 클러치(Ce)와 예취 클러치(Cd)를 단속하는 조작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위치에 대응하는 비작업 위치(OFF)로부터 수확 작업 모드를 실현하는 수확 작업 위치(ON)에 걸친 직선적인 조작 영역에 있어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조작 영역의 중간 위치에 탈곡 작업 모드를 실현하는 탈곡 작업 위치(M)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작업 클러치 레버(45)의 조작에 의한 탈곡 클러치(Ce)와 예취 클러치(Cd)의 제어 형태는 후술한다.
사이드 조작 패널(SP)에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A)의 측부에 출퇴 가능하게 구비한 분초 레버(도시 생략)의 자세를 정하는 한 쌍의 분초 레버 조작 스위치(51)와, 예취 전처리부(D)의 대(對) 지면 높이를 설정하는 다이얼이나 버튼류를 갖는 예취 높이 설정부(52)와, 탈곡 처리부(E)의 급동(32)에 대한 곡물대의 삽입량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훑기 깊이(threshing depth) 제어를 실현하도록 ON 상태와 OFF 상태로 전환 가능한 훑기 깊이 스위치(53)와, 전술한 상승 스위치(41U) 및 하강 스위치(41D)의 조작에 의한 예취 전처리부(D)의 상승시 및 하강시에 있어서 예취 클러치(Cd)의 오프 조작 및 예취 클러치(Cd)의 온 조작을 실현하는 오토 클러치 스위치(54)와, 차체(A)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차속 설정 다이얼이나 버튼류를 구비한 차속 설정부(55)와, 탈곡 처리부(E)에 있어서 요동 선별부의 선별 성능을 설정하는 다이얼 및 풍구(33)의 풍량을 설정하는 다이얼 등을 갖는 선별 성능 설정부(56)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클러치 레버(46)는 배출 클러치(Cf)와 기계적으로 연계하고 있고, 도 12에 도시하는 「오프」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배출 클러치(Cf)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고, 「온」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배출 클러치(Cf)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온 상태에서는 그레인 탱크(F)의 곡립을 언로더(34)를 통하여 배출하는 작동을 실현한다.
[작업 클러치 레버 등의 구체 구성]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클러치 레버(45)는 레버 가이드(61)의 조작 영역에 있어서 직선적인 조작을 실현하도록 지지축(6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이 작업 클러치 레버(45)와 일체적으로 작동하는 캠체(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체(63)의 캠면(63S)에 접촉함으로써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탈곡 작업 위치(M)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탈곡 위치 센서(64)와, 수확 작업 위치(ON)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수확 위치 센서(65)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작업 클러치 레버(45)는 비작업 위치(OFF)와 수확 작업 위치(ON)와 탈곡 작업 위치(M) 중 어느 작업 위치에도 지지되도록 마찰식이나 볼 디텐트식 등의 조작 위치 지지 기구로부터의 지지력이 작용한다.
또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로부터 탈곡 작업 위치(M)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조작되면 탈곡 위치 센서(64)가 검출 상태에 도달하고, 이 검출 상태는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수확 작업 위치(ON)까지 조작되어도 계속된다. 또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수확 작업 위치(ON)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조작되면 수확 위치 센서(65)가 검출 상태에 도달한다. 이 검출계는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탈곡 작업 위치(M)를 포함하는 영역과, 수확 작업 위치(ON)를 포함하는 영역과, 이들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비작업 위치(OFF)) 중 어느 곳에 존재하는지의 판별을 가능하게 한다.
탈곡 위치 센서(64)와 수확 위치 센서(65)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이들에 근접 센서나 포토 인터럽터형 비접촉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들 대신에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하여 작업 클러치 레버(45)의 요동 각도를 계측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특히,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한 경우에는 작업 클러치 레버(45)의 조작 위치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6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축(67)과 일체 회전하도록 섹터 기어(68)와 제1 캠 플레이트(69)와 제2 캠 플레이트(70)를 구비하고, 섹터 기어(68)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71)를 구동하도록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클러치 모터(72)를 프레임(66)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축(67)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포텐시오미터로 이루어지는 회전각 센서(67S)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66)에 지지한 축체(73)에 제1 아암(74)과 제2 아암(75)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 아암(74)의 일단부측에는 제1 캠 플레이트(69)의 캠면에 접촉 가능한 제1 롤러(74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아암(75)의 일단부측에는 제2 캠 플레이트(70)의 캠면에 접촉 가능한 제2 롤러(75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1 아암(74)의 타단부측에 탈곡 클러치(Ce)를 조작하는 제1 조작 와이어(76)의 이너부(76a)를 연결하고, 제2 아암(75)의 타단부측에 예취 클러치(Cd)를 조작하는 제2 조작 와이어(77)의 이너부(77a)를 연결하고 있다.
전술한 탈곡 클러치(Ce)의 텐션 풀리(27)는 텐션 아암(27A)에 지지되고, 이 텐션 아암(27A)은 축(27S)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텐션 아암(27A)에 대하여 제1 조작 와이어(76)의 이너부(76a)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예취 클러치(Cd)의 텐션 풀리(24)는 텐션 아암(24A)에 지지되고, 이 텐션 아암(24A)은 축(24S)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텐션 아암(24A)에 대하여 제2 조작 와이어(77)의 이너부(77a)가 연결되어 있다.
[훑기 깊이 제어 기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곡물대 반송 장치(14)는 예취 직후의 곡물대를 피드 체인(31)에 전달하도록 곡물대의 밑동을 무단 체인과 끼움 지지 레일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밑동 반송부(14A)와,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다수의 걸림 갈고리에 의해 걸림 반송하는 이삭 끝 반송부(14B)를 구비하고 있고, 밑동 반송부(14A)의 반송 종단부측에는 밑동을 피드 체인(31)에 전달하는 공급 반송부(14AF)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급 반송부(14AF)는 축심(Q)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곡물대 반송 장치(14)에 지지되고, 이 공급 반송부(14AF)의 축심(Q)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이 공급 반송부(14AF)로부터 피드 체인(31)에 전달하는 곡물대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여 훑기 깊이 조절을 행하는 훑기 깊이 제어를 실현한다.
이 훑기 깊이 제어 기구는 공급 반송부(14AF)의 축심(Q) 주위에서의 요동을 행하도록 전동 모터를 갖는 훑기 깊이 조정 유닛(17)을 구비함과 함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대 반송 장치(14)의 반송 종단부에 2개의 이삭 끝 센서(19)를 구비하고 있다. 이삭 끝 센서(19)는 곡물대의 이삭 끝 부분에 접촉하여 요동 가능한 센서 바(19a)와, 이 센서 바(19a)의 요동을 검출하는 센서 본체(19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시에는 2개의 이삭 끝 센서(19)의 센서 바(19a)의 중간 위치에 곡물대의 이삭 끝 위치가 존재하도록 공급 반송부(14AF)의 요동 제어가 행해진다.
[제어 구성]
이 콤바인에서는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 등을 갖고 복수의 처리를 병행하여 실행 가능한 제어 장치(81)를 갖고 있다. 이 제어 장치(81) 중 조향 레버(41)의 조작에 기초한 예취 전처리부(D)의 승강 제어와 조향 제어를 행하는 기능 구성을 도 11에 도시하고, 작업 클러치 레버(45)나 주변속 레버(43) 등의 조작에 기초한 엔진(3)의 회전 속도의 제어와 훑기 깊이 제어를 행하는 기능 구성을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81)에 대하여 조향 레버(41)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요동 조작량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 유닛(41S)과 상승 스위치(41U)와 하강 스위치(41D)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신호계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81)에서는 승강 실린더(16)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행하는 전자 제어형 승강 제어 밸브(82)와 좌우의 조향 클러치(4C)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형 조향 제어 밸브(83)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신호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81)에는 예취 전처리부(D)의 승강 제어를 실현하는 승강 제어 수단(85)과 차체(A)의 조향 제어를 실현하는 조향 제어 수단(8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승강 제어 수단(85)과 조향 제어 수단(86)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예를 들면 이들을 로직 등의 논리 회로로 구성하는 것이나 논리 회로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작업자가 조향 레버(41)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이 조작이 조작 검출 유닛(41S)에 의해 검출되고, 조향 제어 수단(86)이 조향 제어 밸브(83)를 제어함으로써 대응하는 조향 클러치(4C)가 오프 조작되어, 요동 조작 방향으로의 선회(조향)가 실현된다. 또한, 작업자가 조향 레버(41)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한 경우에는, 이 조작이 조작 검출 유닛(41S)에 의해 검출되고, 승강 제어 수단(85)이 승강 제어 밸브(82)를 제어하여 승강 실린더(16)를 작동시킴으로써 요동량(요동각)에 대응한 속도에 의한 예취 전처리부(D)의 하강 또는 상승이 실현된다. 또한, 조향 레버(41)가 중립 위치(N)로 복귀된 경우에는 예취 전처리부(D)의 하강 또는 상승이 정지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81)는 주변속 레버(43)의 조작 영역을 검출하는 변속 영역 센서(43S)와, 배출 클러치 레버(46)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센서(46S)와, 모드 스위치(47A)와, 회전 속도 설정구로서 기능하는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의 설정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형 액셀러레이터 설정기(47S)와, 훑기 깊이 스위치(53)와, 작업 클러치 레버(45)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탈곡 위치 센서(64) 및 수확 위치 센서(65)와, 회전각 센서(67S)와, 2개의 이삭 끝 센서(19)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신호계가 형성되어 있다.
변속 영역 센서(43S)는 주변속 레버(43)가 정차 위치(ST)와 그 외의 변속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되고,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하여도 된다. 조작 위치 센서(46S)는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오프」 위치와 「온」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되고, 리미트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81)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엔진 회전 제어 유닛(84)과 클러치 모터(72)와 훑기 깊이 조정 유닛(17)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신호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81)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의 제어를 실현하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과 탈곡 클러치(Ce) 및 예취 클러치(Cd)의 제어를 실현하는 클러치 제어 수단(87)과 훑기 깊이 제어를 실현하는 훑기 깊이 제어 수단(8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 제어 수단(87)과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과 훑기 깊이 제어 수단(89)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예를 들면 이들을 로직 등의 논리 회로로 구성하는 것이나 논리 회로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에 있는 경우에는, 탈곡 클러치(Ce)와 예취 클러치(Cd)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탈곡 작업 위치(M)로 설정된 경우에는, 클러치 제어 수단(87)이 클러치 모터(72)를 작동시켜 탈곡 클러치(Ce)를 온 상태로 한다. 또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수확 작업 위치(ON)로 설정된 경우에는, 클러치 제어 수단(87)이 클러치 모터(72)를 작동시킴으로써 탈곡 클러치(Ce)를 온 상태로 유지한 채, 예취 클러치(Cd)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클러치 모터(72)가 작동할 때에는 전술한 회전각 센서(67S)의 검출 결과가 클러치 제어 수단(87)에 피드백됨으로써 제1 캠 플레이트(69)와 제2 캠 플레이트(70)의 회전량이 파악된다. 그리고, 클러치 모터(72)의 작동에 의해 제1 캠 플레이트(69)가 제1 아암(74)의 제1 롤러(74R)에 접촉함으로써 제1 조작 와이어(76)을 통하여 탈곡 클러치(Ce)를 먼저 온 상태로 설정한다. 이후, 제2 캠 플레이트(70)가 제2 아암(75)의 제2 롤러(75R)에 접촉함으로써 제2 조작 와이어(77)를 통하여 예취 클러치(Cd)를 온 상태로 설정하는 작동 순서로 작동이 행해진다.
또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수확 작업 위치(ON)로 설정된 경우에는,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훑기 깊이 제어 수단(89)이 훑기 깊이 제어를 실행하고, 이 훑기 깊이 제어에서는 이삭 끝 센서(19)의 신호를 피드백하는 형태로 훑기 깊이 조정 유닛(17)이 공급 반송부(14AF)를 작동시킨다. 또한, 훑기 깊이 제어는 훑기 깊이 스위치(53)가 ON 상태에 있는 경우에 실행되는 것으로, 훑기 깊이 스위치(53)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훑기 깊이 제어는 실행되지 않는다.
특히, 이 제어 장치(81)에서는 주변속 레버(43)와 배출 클러치 레버(46)와 작업 클러치 레버(45) 중 어느 조작에 기초하여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이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점에 특징을 갖고 있고, 이 제어 형태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작업 클러치 레버 등의 조작에 기초한 제어의 개요]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은 작업 클러치 레버(45)와 주변속 레버(43)와 배출 클러치 레버(46)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 제어는 모드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는 경우에 실행되는 것으로, 모드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항상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의 다이얼 값(목표 회전 속도)으로 설정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즉,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도면에서는 아이들링이라고 기재)에 설정하고, 비작업 위치(OFF)로부터 탈곡 작업 위치(M)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도면에서는 정격 회전이라고 기재)까지 상승시키고, 수확 작업 위치(ON)로 설정된 경우에는 정격 회전 속도를 유지한다. 또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수확 작업 위치(ON)로부터 탈곡 작업 위치(M)로 조작에 복귀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유지하고,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로 복귀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한다. 여기서, 정격 회전 속도란 엔진(3)으로부터 가장 높은 출력을 얻는 회전 속도이고 상한에 가까운 회전 속도이다.
또한,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43)가 정차 위치(ST)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하고, 전진 영역(Fa)과 후진 영역(Ra) 중 어느 하나의 변속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주변속 레버(43)가 변속 영역[전진 영역(Fa)과 후진 영역(Ra) 중 어느 하나]으로 조작된 후에 정차 위치(ST)로 복귀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한다.
또한,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오프 위치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하고,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로 설정된 다이얼 값(목표 회전 속도)으로 설정한다. 이 조작 후에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오프 위치 「오프」로 복귀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한다.
특히, 이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은 작업 클러치 레버(45)와 주변속 레버(43)와 배출 클러치 레버(46) 중 2개 이상이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탈곡 작업 위치(M)와 수확 작업 위치(ON)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된 경우, 또는 주변속 레버(43)가 변속 영역[전진 영역(Fa) 혹은 후진 영역(Ra)]으로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또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탈곡 작업 위치(M) 또는 수확 작업 위치(ON)로 조작되고, 또한 주변속 레버(43)가 변속 영역[전진 영역(Fa) 혹은 후진 영역(Ra)]으로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그 구체예를 들면,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온」 위치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가 다이얼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지만,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탈곡 작업 위치(M)로 조작되는 경우와, 주변속 레버(43)가 변속 영역[전진 영역(Fa) 혹은 후진 영역(Ra)]으로 설정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 있으면,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이후,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에 복귀되고, 주변속 레버(43)가 정차 위치(ST)로 복귀되는 상태에 도달하면,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이미 「온」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엔진(3)의 회전 속도를 다이얼 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은 작업 클러치 레버(45)와 주변속 레버(43)와 배출 클러치 레버(46)의 조작에 의해 엔진(3)이 목표로 하는 회전 속도가 상이한 경우에는 고속이 되는 회전 속도를 선택하고, 엔진(3)이 목표로 하는 회전 속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회전 속도를 선택하도록 제어 형태가 설정되고, 모드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이들의 제어에 우선하여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의 다이얼 값(목표 회전 속도)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엔진 회전 제어 루틴]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에 의한 엔진(3)의 회전 속도의 제어의 개요를 도 13의 흐름도와 같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모드 스위치(47A)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레버류가 어떻게 조작되어도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로 설정되는 목표 회전 속도로서의 다이얼 값으로 설정한다(#01, #02 스텝). 이와 같이 모드 스위치(47A)가 OFF 상태에 있으면,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스위치(47A)가 ON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에 없는 경우 및 주변속 레버(43)가 정차 위치(ST)에 없는 경우에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흐름도에는 정격 회전이라고 기재)로 설정한다(#03 내지 #05 스텝). 즉,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탈곡 작업 위치(M) 또는 수확 작업 위치(ON)로 조작된 경우 또는 주변속 레버(43)가 전진 영역(Fa)과 후진 영역(Ra) 중 어느 하나의 변속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한쪽의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은 주변속 레버(43)가 정차 위치(ST)로부터 전진 영역(Fa)과 후진 영역(Ra) 중 어느 하나의 변속 영역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시간 내에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기 때문에 엔진(3)의 구동력이 부족한 일 없이 주행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변속 조작량에 대응하여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과 같이 엔진(3)의 회전 속도가 신속하게 행해지지 않는 것에서는 도 15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서서히 높이게 되지만, 이 회전 속도 제어 수단(88)과 같이 단시간 내에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는 것에서는 주변속 레버(43)의 조작에 신속히 반응하여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켜 변속을 실현한다.
또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에 있고, 또한 주변속 레버(43)가 정차 위치(ST)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오프 위치 「오프」에 있는 경우에는 엔진(3)을 아이들링 속도(흐름도에는 아이들링이라고 기재)로 회전시키고,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온 위치 「온」에 있는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로 설정되는 목표 회전 속도로서의 다이얼 값으로 설정한다(#06, #07, #02 스텝).
이와 같이 작업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엔진(3)의 불필요한 가동을 억제하여 연료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한다. 또한,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레버류를 조작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속도까지 증대시킴으로써 과부하에 의한 엔진 스톱을 회피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히,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온 위치 「온」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다이얼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보다 저속이 되는 다이얼 값으로 설정하여 곡립(벼)에 과잉의 힘을 작용시키는 문제를 회피하여 벼를 손상시키지 않고 배출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클러치 레버(46)가 오프 위치 「오프」로 복귀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한다.
또한,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훑기 깊이 스위치(53)가 ON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와 탈곡 작업 위치(M)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훑기 깊이 제어는 행해지지 않고,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수확 작업 위치(ON)로 조작된 경우에만 훑기 깊이 제어가 행해지고,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수확 작업 위치(ON)로부터 탈곡 작업 위치(M)로 복귀된 경우에 훑기 깊이 제어가 정지한다. 이와 같은 훑기 깊이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특별히 스위치류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이에 의해, 작업 클러치 레버(45)를 탈곡 작업 위치(M) 이외의 위치로 설정한 경우라도, 훑기 깊이 제어에 의해 공급 반송부(14AF)가 작동하는 문제를 회피하여 불필요한 작동이 억제된다. 또한, 훑기 깊이 스위치(53)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수확 작업 위치(ON)로 조작되어도 훑기 깊이 제어는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훑기 깊이 스위치(53)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공급 반송부(14AF)를 작동시켜, 인위 조작에 의한 훑기 깊이의 조절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a) 모드 스위치(47A)가 OFF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레버가 조작된 경우에만,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도록 제어 형태를 설정하여도 된다. 그 구체예로서 모드 스위치(47A)가 OFF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도, 주변속 레버(43)가 정차 위치(ST)로부터 전진 영역(Fa) 또는 후진 영역(Ra)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키고, 이에 대하여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로부터 탈곡 작업 위치(M)나 수확 작업 위치(ON)로 조작되어도 엔진(3)의 회전 속도를 다이얼 값으로 유지하도록 제어 형태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제어 형태에서는 주변속 레버(43)가 정차 위치(ST)에 있는 경우 및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비작업 위치(OFF)에 있는 경우에서는 엔진(3)의 회전 속도가 다이얼 값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 형태를 설정함으로써, 모드 스위치(47A)가 OFF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도 레버의 조작에 의해 부하가 증대할 가능성이 높은 것에 대해서는 엔진(3)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까지 상승시키는 제어에 의해 엔진 스톱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b)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탈곡 작업 위치(M)와 수확 작업 위치(ON) 중 어느 위치로 조작된 경우라도, 훑기 깊이 제어를 실행하도록 제어 형태를 설정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제어 형태를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작업 클러치 레버(45)를 비작업 위치(OFF)로부터 수확 작업 위치(ON)에 대하여 단시간 내에 조작한 경우라도, 탈곡 작업 위치(M)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훑기 깊이 제어가 개시되어, 수확 작업으로 신속하게 이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 탈곡 클러치(Ce)와 예취 클러치(Cd)를 온 상태로 설정하는 조작구를 누름 버튼형 스위치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작 형태가 단순화된다. 또한, 조작구를 레버형이 아니라 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47)과 마찬가지로 회전 조작형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작업 조작구에 의해 조작되는 탈곡 클러치와 작업 클러치를 구비하고, 곡립의 배출을 행하기 위한 배출 클러치를 갖는 자탈형이나 보통형의 콤바인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속도를 무단계로 설정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곡립의 배출을 행하기 위한 배출 클러치를 갖는 자탈형이나 보통형의 콤바인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1 : 주행 장치
3 : 엔진
5 : 무단 변속 장치
34 : 언로더
43 : 변속 조작구(주변속 레버)
45 : 작업 조작구(작업 클러치 레버)
47 : 회전 속도 설정구(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
88 : 회전 속도 제어 수단
A : 차체
E : 탈곡 처리부
F : 곡립 탱크(그레인 탱크)
Ce : 탈곡 클러치
Cf : 배출 클러치
OFF : 비작업 위치
M : 탈곡 작업 위치
ST : 정차 위치
Fa : 변속 영역·전진 영역
Ra : 변속 영역·후진 영역
3 : 엔진
5 : 무단 변속 장치
34 : 언로더
43 : 변속 조작구(주변속 레버)
45 : 작업 조작구(작업 클러치 레버)
47 : 회전 속도 설정구(액셀러레이터 설정 다이얼)
88 : 회전 속도 제어 수단
A : 차체
E : 탈곡 처리부
F : 곡립 탱크(그레인 탱크)
Ce : 탈곡 클러치
Cf : 배출 클러치
OFF : 비작업 위치
M : 탈곡 작업 위치
ST : 정차 위치
Fa : 변속 영역·전진 영역
Ra : 변속 영역·후진 영역
Claims (5)
- 차체에 구비한 엔진으로부터 탈곡 처리부로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탈곡 클러치를 구비하고, 비작업 위치와 상기 탈곡 클러치를 ON 조작하는 탈곡 작업 위치에 조작 가능한 작업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의 목표 회전 속도를 인위적으로 설정하는 단일의 회전 속도 설정구와, 상기 차체에 구비한 곡립 탱크의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언로더에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배출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가 상기 회전 속도 설정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변경되도록 구성하고,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됨으로써,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고, 상기 작업 조작구가 상기 비작업 위치에 있으며, 또한, 상기 배출 클러치가 OFF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고, 상기 작업 조작구가 상기 탈곡 작업 위치로 설정된 경우,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 스위치가 온 상태에 있고, 상기 작업 조작구가 상기 비작업 위치에 있으며, 또한, 상기 배출 클러치가 ON 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상기 회전 속도 설정 도구로 설정되는 목표 회전 속도로 설정하고, 이후, 상기 배출 클러치가 OFF 상태로 되돌려진 경우,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상기 회전 속도 설정구로 설정되는 목표 회전 속도로 설정하는 콤바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주행 장치에 대하여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여 전달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인위 조작에 의해 상기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 조작구를 구비하고, 이 변속 조작구는 상기 차체를 정차시키는 정차 위치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무단계로 변속하는 변속 영역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정차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아이들링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변속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는, 콤바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변속 장치가 상기 차체의 전진 속도와 후진 속도를 무단계로 변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속 조작구는 상기 정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 형성되는 전진 영역과, 상기 정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타측에 형성되는 후진 영역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상기 변속 조작구가 상기 정차 위치로부터 상기 전진 영역과 후진 영역 중 어느 영역으로 조작된 경우에도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정격 회전 속도로 설정하는, 콤바인.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242631 | 2010-10-28 | ||
JPJP-P-2010-242630 | 2010-10-28 | ||
JP2010242631A JP5797890B2 (ja) | 2010-10-28 | 2010-10-28 | コンバイン |
JP2010242630A JP5801546B2 (ja) | 2010-10-28 | 2010-10-28 | コンバイン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881A KR20120044881A (ko) | 2012-05-08 |
KR101854468B1 true KR101854468B1 (ko) | 2018-05-03 |
Family
ID=4626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6871A KR101854468B1 (ko) | 2010-10-28 | 2011-09-26 | 콤바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446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41783B2 (ja) * | 2013-10-16 | 2016-12-14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1467A (ja) | 1998-07-30 | 2000-02-15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 |
JP2001251941A (ja) | 2000-03-15 | 2001-09-18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JP2004321106A (ja) * | 2003-04-25 | 2004-11-18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 |
JP2008000145A (ja) * | 2007-09-21 | 2008-01-1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コンバイン |
-
2011
- 2011-09-26 KR KR1020110096871A patent/KR1018544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1467A (ja) | 1998-07-30 | 2000-02-15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 |
JP2001251941A (ja) | 2000-03-15 | 2001-09-18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JP2004321106A (ja) * | 2003-04-25 | 2004-11-18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 |
JP2008000145A (ja) * | 2007-09-21 | 2008-01-1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コンバイ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881A (ko) | 2012-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01546B2 (ja) | コンバイン | |
JP5797890B2 (ja) | コンバイン | |
KR101854468B1 (ko) | 콤바인 | |
JP2007228837A (ja) | 作業車輌 | |
JP4897744B2 (ja) | コンバイン | |
JP5507204B2 (ja) | コンバイン | |
JP6474218B2 (ja) | 汎用コンバイン | |
JP3570955B2 (ja) | コンバイン | |
KR20110047121A (ko) | 콤바인 | |
JP2012170333A (ja) |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 |
JP3499523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5261280A (ja) | コンバイン | |
JP4526086B2 (ja) | コンバイン | |
JP4526087B2 (ja) | コンバイン | |
JP7392684B2 (ja) | コンバイン | |
JP7156448B2 (ja) | コンバイン | |
JP6080015B2 (ja) | コンバイン | |
JP4315846B2 (ja) | コンバイン | |
JP5507205B2 (ja) | コンバイン | |
JPH06105610A (ja) |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 |
JP2688145B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構造 | |
JP2007014350A (ja) | コンバイン | |
JP2009159892A (ja) | コンバイン | |
JP3652264B2 (ja) | 刈取収穫機の姿勢制御装置 | |
JP4420388B2 (ja) | コンバ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