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850A -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850A
KR20150022850A KR1020147035620A KR20147035620A KR20150022850A KR 20150022850 A KR20150022850 A KR 20150022850A KR 1020147035620 A KR1020147035620 A KR 1020147035620A KR 20147035620 A KR20147035620 A KR 20147035620A KR 20150022850 A KR20150022850 A KR 2015002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insulating
insulated
deform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2286B1 (ko
Inventor
히로시 오오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adhesiveness or hard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01M50/529Intercel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e.g. in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제1 절연 부재(170), 제2 절연 부재(180), 전지 케이스 덮개(113), 및 삽입 관통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175) 및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되기 전, 절연 삽입부(175)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1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175)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R1), 및 상기 절연 접촉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지{BATTERY}
본 발명은 전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본체,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체,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덮개, 및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받침대부와, 상기 받침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삽입 관통부와, 상기 받침대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저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체 접속부를 갖는 전극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전지는 전기 절연성을 갖고, 상기 받침대부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하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를 갖는 제1 절연 부재,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극 접속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 단자 부재, 전기 절연성을 갖고, 상기 외부 단자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를 갖는 제2 절연 부재, 및 상기 외부 단자 부재와 상기 받침대부 사이에, 상기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와 상기 제1 절연 부재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고정 수단은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의 선단부로 이어지는 코오킹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절연 부재(가스킷)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전극 접속 부재의 상기 삽입 관통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절연 삽입부를 갖고 있다. 이 절연 삽입부는, 그 선단부가 상기 제2 절연 부재에 접촉하면서, 상기 압축력(코오킹력)에 의해 당해 절연 삽입부의 축선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와 상기 전극 접속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8246호 공보
그런데, 고정 수단(코오킹부)에 의해, 상기 외부 단자 부재와 상기 받침대부 사이에, 상기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와 상기 제1 절연 부재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제1 개재부를 압축하여, 상기 받침대부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하면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시일)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과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 사이를 확실하게 절연하기 위해서,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제2 절연 부재에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삽입부(775)는 전지 케이스 덮개(713) 등의 제조 오차 등을 고려하여 좀 길게[전지 케이스 덮개(713)의 관통 구멍(713h)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부 단자 부재(737)와 받침대부(73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780)와 전지 케이스 덮개(713)와 제1 절연 부재(770)를 끼워 압축력(도 30 및 도 31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의 압축력)을 가하였을 때, 절연 삽입부(775)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의 대부분을 받아내어 버려[절연 삽입부(7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크게 되어],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상세하게는, 절연 삽입부(775)의 축선 방향 길이[축선(AX)을 따른 방향의 길이]가 관통 구멍(713h)의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압축력을 가하기 전은, 제2 절연 부재(780)의 제2 개재부(783)와 전지 케이스 덮개(713)의 상면(713p) 사이에 간극(Q)이 형성되어 있다(도 30 및 도 31 참조). 이로 인해, 상기 압축력을 가하면, 먼저 절연 삽입부(775)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을 받아내면서 절연 삽입부(775)가 압축되고, 그 후, 절연 삽입부(775)의 길이가 관통 구멍(713h)의 길이까지 압축되면, 제2 절연 부재(780)의 제2 개재부(783)가 전지 케이스 덮개(713)의 상면(713p)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 이후에 있어서, 제2 개재부(783) 및 전지 케이스 덮개(713)를 통해서,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의 압축이 개시된다.
그런데, 절연 삽입부(775)의 길이가 관통 구멍(713h)의 길이에 이르기 전에, 절연 삽입부(775)에 큰 압축 응력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이에 의해 큰 반력이 발생), 상기 압축력(코오킹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775)를 더 이상 압축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로 인해,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없어, 받침대부(731)와 전지 케이스 덮개(7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절연 삽입부(775)를 더 압축시키기 위해서[이에 의해,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를 적절하게 압축시킴], 상기 압축력을 크게 하는 것은 전지 케이스 덮개(713) 등이 변형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2 절연 부재(780) 중 절연 삽입부(775)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부위[이것을 절연 접촉부(783f)라고 함]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의 대부분을 받아내어 버려[절연 접촉부(783f)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크게 되어],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절연 접촉부(783f)를 압축시킴으로써, 제2 절연 부재(780)의 제2 개재부(783)를 전지 케이스 덮개(713)의 상면(713p)에 접촉(밀착)시키는 동시에, 제2 개재부(783) 및 전지 케이스 덮개(713)를 통하여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를 압축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2 개재부(783)가 전지 케이스 덮개(713)의 상면(713p)에 밀착하여 제1 개재부(771)에 압축 응력이 가해지기 전에, 절연 접촉부(783f)에 큰 압축 응력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이에 의해 큰 반력이 발생), 상기 압축력(코오킹력)에 의해 절연 접촉부(783f)를 더 이상 압축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절연 삽입부를 제2 절연 부재에 설치하고, 이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제1 절연 부재에 접촉시켜서,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과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 사이를 절연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삽입부를 제1 절연 부재에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받침대부와 전지 케이스 덮개의 하면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나아가, 받침대부와 전지 케이스 덮개의 하면 사이 외에, 또는 이 대신에, 외부 단자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면 사이를 밀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이들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과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 사이를 확실하게 절연하면서, 전극 접속 부재의 받침대부와 전지 케이스 덮개의 하면 사이 및 외부 단자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적절하게 밀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1 절연 부재 및 제2 절연 부재 중 어느 한쪽의 절연 부재에 설치한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다른 쪽의 절연 부재에 접촉시키면서, 절연 삽입부 및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1 절연 부재 및 제2 절연 부재 중 어느 한쪽의 절연 부재에 설치된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다른 쪽의 절연 부재의 절연 접촉부에 접촉시키면서, 절연 삽입부 및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본체,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체,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덮개,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받침대부와, 상기 받침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삽입 관통부와, 상기 받침대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저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체 접속부를 갖는 전극 접속 부재, 전기 절연성을 갖고, 상기 받침대부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하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를 갖는 제1 절연 부재,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극 접속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 단자 부재, 전기 절연성을 갖고, 상기 외부 단자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상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를 갖는 제2 절연 부재, 및 상기 외부 단자 부재와 상기 받침대부 사이에, 상기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와 상기 제1 절연 부재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전지이며, 상기 제1 절연 부재 및 상기 제2 절연 부재 중 어느 한쪽의 절연 부재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전극 접속 부재의 상기 삽입 관통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절연 삽입부이며, 그 선단부가 다른 쪽의 절연 부재의 절연 접촉부에 접촉된 절연 삽입부를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 및 상기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의 축선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연 부재, 상기 제2 절연 부재,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 및 상기 삽입 관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 및 상기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되기 전,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절연 접촉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 및 상기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변형된 부위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이다.
상술한 전지에서는, 제1 절연 부재 및 제2 절연 부재 중 어느 한쪽이,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절연 삽입부이며, 그 선단부가 다른 쪽의 절연 부재에 접촉된 절연 삽입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과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 사이를 확실하게 절연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전지에서는, 제1 절연 부재, 제2 절연 부재, 전지 케이스 덮개, 및 삽입 관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 및 절연 접촉부(절연 삽입부를 갖지 않는 절연 부재 중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부위를 말함)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되기 전(직전)의 상태에서(즉, 당해 전지의 제조 시에, 외부 단자 부재와 받침대부 사이에, 제2 절연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와 제1 절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압축력을 가하기 직전의 상태에서),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절연 삽입부가 받는 압축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절연 접촉부의 압축 시에 절연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제1 절연 부재 및 제2 절연 부재 중,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전지는,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 및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변형된 부위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전지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적어도 절연 삽입부가 압축된 상태에서, 당해 변형된 부위(절연 삽입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전지가 된다. 또한, 절연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적어도 절연 접촉부가 압축된 상태에서, 당해 변형된 부위(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의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전지가 된다.
절연 삽입부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할 경우, 이에 의해,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할 경우, 이에 의해, 절연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받침대부와 전지 케이스 덮개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즉, 받침대부와 전지 케이스 덮개에 의해, 제1 개재부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를 받침대부와 전지 케이스 덮개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와 전지 케이스 덮개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단자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외부 단자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에 의해, 제2 개재부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를 외부 단자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외부 단자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연 삽입부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과,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양쪽을 설치할 경우, 이들을 따로따로(다른 부위에) 설치해도 되고, 일체로(하나의 수용 공간으로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절연 삽입부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설치할 경우, 이 수용 공간을, 1개만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복수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설치하는 경우도, 이 수용 공간을, 1개만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복수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고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의 선단부(상단부)에 이어진 코오킹부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수단은, 전극 접속 부재에 포함된다. 이 코오킹부는, 예를 들어 코오킹되기 전은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코오킹될 때는 제1 절연 부재의 관통 구멍,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 제2 절연 부재의 관통 구멍, 및 외부 단자 부재의 관통 구멍 내에, 이 순서대로 코오킹부를 선단부측으로부터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하방(받침대부측)으로 찌부러지면서 원반 형상으로 변형되어, 외부 단자 부재를 하방으로(받침대부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외부 단자 부재와 받침대부 사이에, 제2 절연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와 제1 절연 부재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고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의 선단부측을 원통 형상으로 하고, 이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해 두고, 이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를 갖는 축부와, 헤드부를 구비한 고정 볼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절연 부재의 관통 구멍,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 제2 절연 부재의 관통 구멍, 및 외부 단자 부재의 관통 구멍 내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부를 선단부측으로부터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 고정 볼트의 수나사를 삽입 관통부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면서, 고정 볼트의 헤드부에 의해 외부 단자 부재를 하방으로(받침대부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외부 단자 부재와 받침대부 사이에, 제2 절연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와 제1 절연 부재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고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와 외부 단자 부재를 용접한 용접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절연 부재의 관통 구멍,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 제2 절연 부재의 관통 구멍, 및 외부 단자 부재의 관통 구멍 내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부를 선단부측으로부터 삽입시켜서, 외부 단자 부재와 받침대부 사이에, 제2 절연 부재와 전지 케이스 덮개와 제1 절연 부재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와 외부 단자 부재를 용접하고, 이들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의 전지이며, 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의 상기 절연 삽입부는, 그 외주측면이, 상기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하는 외측 테이퍼면을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외측 테이퍼면과,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 사이에,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 중 상기 외측 테이퍼면을 갖는 부위가,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로 하면 된다.
상술한 전지를 구성하는 절연 삽입부는, 압축되기 전, 그 외주측면이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하는 외측 테이퍼면을 갖고 있으며, 이 외측 테이퍼면과 전지 케이스 덮개의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당해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 중 외측 테이퍼면을 갖는 부위(그 일부)가 수용 공간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술한 전지는 절연 삽입부 중 외측 테이퍼면을 갖는 부위(그 일부)가, 수용 공간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전지가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전지는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된 전지가 된다.
또한, 외측 테이퍼면은 절연 삽입부의 외주측면이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하는 형태이면 되고, 그 모선(절연 삽입부를 그 축선을 따라 절단한 절단면에 있어서, 외측 테이퍼면의 위치에 나타나는 선)이 직선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전지이며, 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의 상기 절연 삽입부는, 그 내주측면이 상기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내측 테이퍼면을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내측 테이퍼면과, 상기 전극 접속 부재의 상기 삽입 관통부 사이에,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 중 상기 내측 테이퍼면을 갖는 부위가,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로 하면 된다.
상술한 전지를 구성하는 절연 삽입부는, 압축되기 전, 그 내주측면이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내측 테이퍼면을 갖고 있으며, 이 내측 테이퍼면과 전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 중 내측 테이퍼면을 갖는 부위(그 일부)가 수용 공간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술한 전지는 절연 삽입부 중 내측 테이퍼면을 갖는 부위(그 일부)가, 수용 공간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전지가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전지는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된 전지가 된다.
또한, 내측 테이퍼면은 절연 삽입부의 내주측면이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형태이면 되고, 그 모선(절연 삽입부를 그 축선을 따라 절단한 절단면에 있어서, 내측 테이퍼면의 위치에 나타나는 선)이 직선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전지이며,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상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구멍 테이퍼면을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구멍 테이퍼면과 상기 절연 삽입부의 외주측면 사이에,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로 하면 된다.
상술한 전지를 구성하는 전지 케이스 덮개와 절연 삽입부는,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전지 케이스 덮개의 구멍 테이퍼면과 절연 삽입부의 외주측면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의 일부(수용 공간에 인접하는 부위)가, 수용 공간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술한 전지는 절연 삽입부의 일부(수용 공간에 인접하는 부위)가 수용 공간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전지가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전지는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된 전지가 된다.
또한, 구멍 테이퍼면은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형태이면 되고, 그 모선(전지 케이스 덮개를 상기 관통 구멍의 축선을 따라 절단한 절단면에 있어서, 구멍 테이퍼면의 위치에 나타나는 선)이 직선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전지이며, 상기 전극 접속 부재의 상기 삽입 관통부의 외주측면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삽입 관통 오목부를 갖고, 상기 삽입 관통 오목부가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의 일부가, 상기 삽입 관통 오목부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삽입 관통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로 하면 된다.
상술한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 접속 부재는, 삽입 관통부의 외주측면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삽입 관통 오목부를 갖고 있으며, 이 삽입 관통 오목부가 수용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의 일부(삽입 관통 오목부에 인접하는 부위)가 삽입 관통 오목부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삽입 관통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술한 전지에서는 절연 삽입부의 일부(삽입 관통 오목부에 인접하는 부위)가 삽입 관통 오목부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삽입 관통 오목부 내에 수용된 전지가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전지는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된 전지가 된다.
또한, 삽입 관통 오목부는 삽입 관통부의 외주측면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형태이면 되고, 그 오목 형상(삽입 관통부의 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삽입 관통 오목부의 위치에 나타나는 형상 선)은 모두 형상이어도 된다. 그 오목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각형이나 원호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전지이며, 상기 제1 절연 부재 및 상기 제2 절연 부재 중 상기 절연 삽입부를 갖고 있지 않은 절연 부재는,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와 상기 축선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면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오목해진 절연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절연 오목부가,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가, 상기 절연 오목부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절연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로 하면 된다.
상술한 전지를 구성하는 제1 절연 부재 및 제2 절연 부재 중 절연 삽입부를 갖고 있지 않은 절연 부재는,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와 축선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면이(당해 대향면의 일부에) 축선 방향으로 오목해진 절연 오목부를 갖고 있으며, 이 절연 오목부가 수용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가, 절연 오목부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절연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술한 전지는,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에,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가 절연 오목부측으로(즉,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말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절연 오목부 내에 수용된 전지가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전지는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된 전지가 된다.
또한, 절연 오목부는 대향면에 있어서 절연 삽입부의 축선 방향으로 오목해진 형태이면 되고, 그 오목 형상(절연 삽입부의 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절연 오목부의 위치에 나타나는 형상 선)은 모두 형상이어도 된다. 그 오목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각형이나 원호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전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B부 및 C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E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 코오킹 부재를 코오킹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D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극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전극체를 구성하는 정극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전극체를 구성하는 부극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전극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전지의 제조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관한 전지에 대해서, 도 2와 동일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G부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 코오킹 부재를 코오킹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H부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관한 전지에 대해서, 도 2와 동일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I부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6과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 코오킹 부재를 코오킹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J부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예에 관한 전지에 대해서, 도 2와 동일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K부의 확대도이다.
도 22는 도 20과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 코오킹 부재를 코오킹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L부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제5 실시예에 관한 전지에 대해서, 도 2와 동일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M부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도 24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 코오킹 부재를 코오킹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N부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제1 변형예의 전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와 동일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9는 제2 변형예의 전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와 동일한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0은 종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의 F부의 확대도이다.
(제1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전지(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B부 및 C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C부에 있어서의 부재 중 B부와 다른 것에 대해서는, 도 2에 있어서 부호를 괄호 쓰기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E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115)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전지(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11d)를 갖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본체(111)와,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체(150)를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다. 또한, 전지(100)는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개구(111d)를 폐색하는 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덮개(113)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 케이스 본체(11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는, 용접에 의해 일체가 되어, 전지 케이스(110)를 구성하고 있다.
전지 케이스 덮개(113)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그 길이 방향(도 1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는, 이 전지 케이스 덮개(113)를 관통하는 원 형상의 관통 구멍(113h, 113k)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안전 밸브(113j)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 밸브(113j)는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안전 밸브(113j)는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면에는 홈부(113jv)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에 의해, 안전 밸브(113j)는 전지 케이스(110) 내부의 내압이 소정 압력에 달했을 때에 작동한다. 즉, 내압이 소정 압력에 달했을 때에 홈부(113jv)가 파단되어, 전지 케이스(110)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안전 밸브(113j)와 관통 구멍(113k) 사이에는, 전해액(도시없음)을 전지 케이스(110)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액구(113n)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주액구(113n)는 주액 마개(113m)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전지(100)는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에서 전극체(150)에 접속함과 함께,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 113k)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전극 단자 부재[정극 단자 부재(130) 및 부극 단자 부재(140)]를 구비하고 있다.
정극 단자 부재(130)는 정극 접속 부재(135)와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정극 체결 부재(139)(볼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 도 4 참조). 이 중, 정극 접속 부재(135)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전극체(150)에 접속함과 함께,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전지 케이스 덮개(113) 위[전지 케이스(1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전지 케이스(110)의 외부에 있어서 정극 접속 부재(13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정극 체결 부재(139)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전지 케이스 덮개(113) 위[전지 케이스(1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에 전기적으로 접속(또는 접속 가능하게)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정극 접속 부재(135)는 받침대부(131)와 삽입 관통부(132)와 전극체 접속부(134)와 코오킹부(133)를 갖고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이 중, 받침대부(131)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삽입 관통부(132)는 받침대부(131)의 상면(131f)으로부터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을 삽입 관통하여 전지 케이스(110)[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코오킹부(133)는 삽입 관통부(132)의 상단부에 이어진 부위이며, 코오킹되어(직경 확장하도록 변형되어) 원반 형상을 이루고,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전극체 접속부(134)는 받침대부(131)의 하면(131b)으로부터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저면(111b)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전극체(150)의 정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1b)에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접속 부재(135)와 전극체(150)가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서 볼 때 대략 Z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는 코오킹부(133)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37f), 정극 체결 부재(139)와 접속하는 접속부(137g), 및 고정부(137f)와 접속부(137g)를 연결하는 연결부(137h)를 갖고 있다. 고정부(137f)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37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37b) 내에는 정극 접속 부재(135)의 삽입 관통부(13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137g)에도, 이것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37c)이 형성되어 있다.
정극 체결 부재(139)는 금속으로 된 볼트이며, 직사각형 판 형상의 헤드부(139b)와, 원기둥 형상의 축부(139c)를 갖고 있다. 축부(139c) 중 선단부측의 부위는, 나사부(139d)로 되어 있다. 정극 체결 부재(139)의 축부(139c)는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의 관통 구멍(137c)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부극 단자 부재(140)는 부극 접속 부재(145)와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부극 체결 부재(149)(볼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1, 도 4 참조). 이 중, 부극 접속 부재(145)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전극체(150)에 접속함과 함께,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k)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전지 케이스 덮개(113) 위[전지 케이스(1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전지 케이스(110)의 외부에 있어서 부극 접속 부재(14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극 체결 부재(149)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전지 케이스 덮개(113) 위[전지 케이스(110)의 외부]에 위치하고,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에 전기적으로 접속(또는 접속 가능하게)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부극 접속 부재(145)는 받침대부(141)와 삽입 관통부(142)와 전극체 접속부(144)와 코오킹부(143)를 갖고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이 중, 받침대부(141)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삽입 관통부(142)는 받침대부(141)의 상면(141f)으로부터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k)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코오킹부(143)는 삽입 관통부(142)의 상단부에 이어진 부위이며, 코오킹되어(직경 확장하도록 변형되어) 원반 형상을 이루고,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전극체 접속부(144)는 받침대부(141)의 하면(141b)으로부터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저면(111b)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전극체(150)의 부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8b)에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극 접속 부재(145)와 전극체(150)가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극 접속 부재(135) 및 부극 접속 부재(145)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전극 접속 부재에 상당한다.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서 볼 때 대략 Z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는 코오킹부(143)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47f), 부극 체결 부재(139)와 접속하는 접속부(147g), 및 고정부(147f)와 접속부(147g)를 연결하는 연결부(147h)를 갖고 있다. 고정부(147f)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47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47b) 내에는 부극 접속 부재(145)의 삽입 관통부(14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147g)에도, 이것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47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 및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외부 단자 부재에 상당한다.
부극 체결 부재(149)는 금속으로 된 볼트이며, 직사각형 판 형상의 헤드부(149b)와, 원기둥 형상의 축부(149c)를 갖고 있다. 축부(149c) 중 선단부측의 부위는, 나사부(149d)로 되어 있다. 부극 체결 부재(149)의 축부(149c)는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의 관통 구멍(147c)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전지(100)는 정극 단자 부재(130)[상세하게는, 정극 접속 부재(135)]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고, 양자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1 절연 부재(1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절연 부재(170)는 부극 단자 부재(140)[상세하게는, 부극 접속 부재(145)]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도 개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절연 부재(170)는 전기 절연성을 갖고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 개재부(171)와 절연 측벽부(173)와 절연 삽입부(175)를 갖고 있다(도 2, 도 4 참조). 이 중, 제1 개재부(171)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 정극 단자 부재(130)[부극 단자 부재(140)]의 삽입 관통부(132)[삽입 관통부(142)]를 삽입 관통시키는 원형의 관통 구멍(171b)을 갖고 있다. 이 제1 개재부(171)는 정극 단자 부재(130)[부극 단자 부재(140)]의 받침대부(131)[받침대부(141)]의 상면(131f)[상면(141f)]과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하면(113b)[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오목부(113c, 113d) 내의 하면(113b)]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절연 측벽부(173)는 제1 개재부(171)의 주연에 위치하는 사각 링 형상의 측벽부이다. 이 절연 측벽부(173)는 받침대부(131)[받침대부(141)]의 외주측면(131g)[외주측면(141g)]을 둘러싸고 있다.
절연 삽입부(175)는 제1 개재부(171)의 상면(171f)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절연 삽입부(175)는 정극 접속 부재(135)[부극 접속 부재(145)]의 삽입 관통부(132)[삽입 관통부(142)]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관통 구멍(113k)] 내에 삽입되어, 축선 방향[축선(AX)을 따른 방향]으로 압축되고 있다. 또한, 압축되기 전의 절연 삽입부(175)의 축선 방향 길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13h)[관통 구멍(113k)]의 길이(깊이)보다도 길다.
또한, 전지(100)는 전기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전지 케이스 덮개(113) 위에 배치된 제2 절연 부재(18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절연 부재(180)는 정극 단자 부재(130)[상세하게는,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 및 정극 체결 부재(139)]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상면(113p) 사이에 개재되고, 양자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또한, 이 제2 절연 부재(180)는 부극 단자 부재(140)[상세하게는,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 및 부극 체결 부재(149)]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도 개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절연 부재(180)는 정극 체결 부재(139)의 헤드부(139b)[부극 체결 부재(149)의 헤드부(149b)]가 배치되는 헤드부 배치부(181), 및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상면(113p)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183)를 갖고 있다. 이 제2 개재부(183) 위에는,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의 고정부(137f)[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의 고정부(147f)]가 배치되어 있다. 제2 개재부(183)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8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83b) 내에는 정극 단자 부재(130)의 삽입 관통부(132)[부극 단자 부재(140)의 삽입 관통부(14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정극 단자 부재(130)의 코오킹부(133)가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받침대부(13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하고 있다(도 2 참조).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절연 부재(170)[절연 삽입부(175)]는 제2 절연 부재(180)에 비하여, 축선 방향으로 압축 변형하기 쉬운(부드러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코오킹부(133)는 코오킹하기 전은,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코오킹할 때는, 먼저 코오킹부(133) 및 삽입 관통부(132)를 그 선단부측으로부터, 제1 절연 부재(170)의 관통 구멍(171b),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 제2 절연 부재(180)의 관통 구멍(183b),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의 관통 구멍(137b) 내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시킨다. 계속해서, 이 상태에서, 코오킹부(133)를 코오킹하고,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31)측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코오킹부(133)를 하방[받침대부(131)측]으로 찌부러뜨리면서 원반 형상으로 변형시켜 가고, 변형시킨 코오킹부(133)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31)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받침대부(13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절연 부재(170)의 절연 삽입부(175)는 그 선단부(175b)가 제2 절연 부재(180)[제2 개재부(183)]에 접촉(밀착)하면서, 상기 압축력에 의해, 자신의 축선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부극 단자 부재(140)의 코오킹부(143)가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받침대부(14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하고 있다(도 2 참조). 또한, 코오킹부(133, 143)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고정 수단에 상당한다.
이 코오킹부(143)도, 코오킹하기 전은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코오킹할 때는, 먼저 코오킹부(143) 및 삽입 관통부(142)를 그 선단부측으로부터, 제1 절연 부재(170)의 관통 구멍(171b),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k), 제2 절연 부재(180)의 관통 구멍(183b),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의 관통 구멍(147b) 내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시킨다. 계속해서, 이 상태에서, 코오킹부(143)를 코오킹하고,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41)측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코오킹부(143)를 하방[받침대부(141)측]으로 찌부러뜨리면서 원반 형상으로 변형시켜 가고, 변형시킨 코오킹부(143)에 의해,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41)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받침대부(14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절연 부재(170)의 절연 삽입부(175)는 그 선단부(175b)가 제2 절연 부재(180)[제2 개재부(183)]에 접촉(밀착)하면서, 상기 압축력에 의해, 자신의 축선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함으로써,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정극 단자 부재(130)와 부극 단자 부재(140)와 제1 절연 부재(170, 170)와 제2 절연 부재(180, 180)가 일체가 되어, 이들이 일체가 된 단자가 달린 덮개 부재(115)가 형성된다.
전극체(150)는 띠 형상의 정극판(155), 부극판(156), 및 세퍼레이터(157)를 편평 형상으로 권회한 편평형의 권회 전극체다(도 7 내지 도 10 참조). 정극판(155)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DA)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기재(151)와, 이 정극 기재(151)의 표면의 일부에 배치된 정극 합재층(152)을 갖고 있다. 정극 합재층(152)은 정극 활물질(153)이 아세틸렌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재와 PVDF(결착제)를 포함하고 있다.
정극 기재(151) 중, 정극 합재층(152)이 도포 시공되어 있는 부위를, 정극 합재층 도포 시공부(151c)라고 한다. 한편, 정극 합재층(152)이 도포 시공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정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1b)라고 한다. 정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1b)는, 정극 기재(151)[정극판(155)]의 폭 방향(DB)(도 8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단부(도 8에 있어서 좌측 단부)에 위치하고, 정극 기재(151)[정극판(155)]의 한쪽 긴 변을 따라, 정극 기재(151)[정극판(155)]의 길이 방향(DA)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부극판(156)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DA)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구리박으로 이루어지는 부극 기재(158)와, 이 부극 기재(158)의 표면의 일부에 배치된 부극 합재층(159)을 갖고 있다. 부극 합재층(159)은 부극 활물질(154)과 SBR(결착제)과 CMC(증점제)를 포함하고 있다.
부극 기재(158) 중, 부극 합재층(159)이 도포 시공되어 있는 부위를, 부극 합재층 도포 시공부(158c)라고 한다. 한편, 부극 기재(158) 중, 부극 합재층(159)이 도포 시공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부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8b)라고 한다. 부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8b)는 부극 기재(158)[부극판(156)] 중 한쪽 긴 변을 따라, 부극 기재(158)[부극판(156)]의 길이 방향(DA)(도 9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런데, 본 제1 실시예의 전지(100)에서는, 제1 절연 부재(170)가 정극 접속 부재(135)[부극 접속 부재(145)]의 삽입 관통부(132)[삽입 관통부(142)]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관통 구멍(113k)] 내에 삽입된 절연 삽입부(175)를 갖고 있다. 게다가, 이 절연 삽입부(175)는 그 선단부(175b)가 제2 절연 부재(180)[제2 개재부(183)]에 접촉(밀착)하면서, 자신의 축선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절연 삽입부(175)에 의해,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관통 구멍(113k)]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113r)(113s)과 정극 접속 부재(135)[부극 접속 부재(145)]의 삽입 관통부(132)[삽입 관통부(142)] 사이를, 확실하게 절연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제1 실시예의 전지(100)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175)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력에 의해 변형된 절연 삽입부(175)의 일부[변형부(175d), 도 3 참조]가 수용 공간(R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 삽입부(175)의 일부[변형부(175d)]를 수용 공간(R1) 내에 수용함으로써, 절연 삽입부(1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하기 전(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의 절연 삽입부(175)는 그 외주측면(175f)이 선단부(175b)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하는 외측 테이퍼면(175c)을 갖고 있다. 또한, 절연 삽입부(175)가 압축되기 전, 외측 테이퍼면(175c)과,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관통 구멍(113k)]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113r)(113s) 사이에, 링 형상의 수용 공간(R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R1)은, 절연 삽입부(175)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1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절연 삽입부(175)가 축선(AX) 방향으로 받는 압축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175)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변형부(175d), 도 3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175)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175) 중 외측 테이퍼면(175c)을 갖는 부위가, 수용 공간(R1)측[절연 삽입부(17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R1) 내에 수용된다. 즉, 절연 삽입부(175) 중 외측 테이퍼면(175c)을 갖는 부위가, 상기 압축력으로부터 도피 방향으로(환언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수용 공간(R1) 내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절연 삽입부(1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했을 때,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171)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1 절연 부재(170)의 제1 개재부(171)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171)를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1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183)를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전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1(덮개 조립 공정)에 있어서, 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115)를 조립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덮개(113)를 준비한다. 또한, 이때,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주액구(113n)는 주액 마개(113m)에 의해 밀봉되어 있지 않다[주액 마개(113m)는 설치되어 있지 않음].
또한, 정극 접속 부재(135)와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정극 체결 부재(139)를 준비한다. 또한, 부극 접속 부재(145)와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부극 체결 부재(149)를 준비한다. 또한, 제1 절연 부재(170) 2개와, 제2 절연 부재(180) 2개를 준비한다. 이때, 정극 접속 부재(135)의 코오킹부(133) 및 부극 접속 부재(145)의 코오킹부(143)는 코오킹되기 전이기 때문에,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4, 도 5 참조).
계속해서, 이들 부재를 일체로 조립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정극 접속 부재(135)의 코오킹부(133)(이때는,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음) 및 삽입 관통부(132)를 그 선단부측으로부터 제1 절연 부재(170)의 관통 구멍(171b),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 제2 절연 부재(180)의 관통 구멍(183b),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의 관통 구멍(137b)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시킨다(도 4, 도 5 참조). 또한, 이보다 전에, 정극 체결 부재(139)의 헤드부(139b)를 제2 절연 부재(180)의 헤드부 배치부(181) 내에 배치함과 함께, 정극 체결 부재(139)의 축부(139c)를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의 관통 구멍(137c) 내에 삽입 관통시켜 둔다.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재를 배치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와 동일한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절연 부재(170)의 절연 삽입부(175)의 외측 테이퍼면(175c)과,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113r) 사이에, 링 형상의 수용 공간(R1)이 형성된다. 이 수용 공간(R1)은, 절연 삽입부(175)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1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절연 삽입부(175)가 축선(AX) 방향으로 받는 압축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175)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변형부(175d), 도 3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전의 절연 삽입부(175)의 축선 방향 길이는, 관통 구멍(113h)의 길이(깊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상면(113p) 사이에는, 간극(Q)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그 후, 이 상태에서, 코오킹부(133)를 코오킹하여,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31)측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원기둥 형상의 코오킹부(133)를 하방[받침대부(131)측]으로 찌부러뜨리면서 원반 형상으로 변형시켜 가고, 변형시킨 코오킹부(133)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31)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받침대부(13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개재부(183)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의 간극(Q)은 없어지고, 제1 절연 부재(170)의 절연 삽입부(175)는 그 선단부(175b)가 제2 절연 부재(180)[제2 개재부(183)]에 접촉(밀착)하면서, 상기 압축력에 의해, 자신의 축선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종래, 도 30 및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단자 부재(737)와 받침대부(73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780)와 전지 케이스 덮개(713)와 제1 절연 부재(770)를 끼워 압축력(도 30 및 도 31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의 압축력)을 가하였을 때, 절연 삽입부(775)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의 대부분을 받아내어 버려[절연 삽입부(7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크게 되어],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상세하게는, 절연 삽입부(775)가 관통 구멍(713h)의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압축력을 가하기 전은 제2 절연 부재(780)의 제2 개재부(783)와 전지 케이스 덮개(713)의 상면(713p) 사이에 간극(Q)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압축력을 가하면, 먼저 절연 삽입부(775)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을 받아내면서 절연 삽입부(775)가 압축되고, 그 후, 절연 삽입부(775)의 길이가 관통 구멍(713h)의 길이에까지 압축되면, 제2 절연 부재(780)의 제2 개재부(783)가 전지 케이스 덮개(713)의 상면(713p)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 이후에 있어서, 제2 개재부(783) 및 전지 케이스 덮개(713)를 통해서,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의 압축이 개시된다.
그런데, 절연 삽입부(775)의 축선 방향 길이가 관통 구멍(713h)의 길이에까지 압축된 시점에서, 절연 삽입부(775)에 큰 압축 응력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이에 의해 큰 반력이 발생), 상기 압축력(코오킹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775)를 더 이상 압축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로 인해,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없어, 받침대부(731)와 전지 케이스 덮개(7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R1)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했을 때, 절연 삽입부(175) 중 외측 테이퍼면(175c)을 갖는 부위가, 수용 공간(R1)측[절연 삽입부(17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R1) 내에 수용된다(도 3 참조). 즉, 절연 삽입부(175) 중 외측 테이퍼면(175c)을 갖는 부위가, 상기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환언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수용 공간(R1) 내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절연 삽입부(1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따라서, 절연 삽입부(175)의 반력이 저감됨] 수 있다.
이리하여, 절연 삽입부(175)의 축선 방향 길이가 관통 구멍(113h)의 길이에까지 압축된 후도, 상기 압축력(코오킹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175)를 더 압축할 수 있으므로,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 및 전지 케이스 덮개(113)를 통해서, 제1 절연 부재(170)의 제1 개재부(1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3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171)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부(13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1 절연 부재(170)와 제1 개재부(171)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171)를 받침대부(13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3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1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183)를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부극 접속 부재(145)의 코오킹부(143) 및 삽입 관통부(142)를 그 선단부측으로부터 제1 절연 부재(170)의 관통 구멍(171b),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k), 제2 절연 부재(180)의 관통 구멍(183b),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의 관통 구멍(147b)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시킨다. 또한, 이보다 전에, 부극 체결 부재(149)의 헤드부(149b)를, 제2 절연 부재(180)의 헤드부 배치부(181) 내에 배치함과 함께, 부극 체결 부재(149)의 축부(149c)를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의 관통 구멍(147c) 내에 삽입 관통시켜 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절연 부재(170)의 절연 삽입부(175)의 외측 테이퍼면(175c)과,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k)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113s) 사이에, 링 형상의 수용 공간(R1)이 형성된다. 또한, 압축 전의 절연 삽입부(175)의 축선 방향 길이는, 관통 구멍(113k)의 길이(깊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상면(113p) 사이에는, 간극(Q)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계속해서, 이 상태에서, 코오킹부(143)를 코오킹하여,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41)측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원기둥 형상의 코오킹부(143)를 하방[받침대부(141)측]으로 찌부러뜨리면서 원반 형상으로 변형시켜 가고, 변형시킨 코오킹부(143)에 의해,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41)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받침대부(14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개재부(183)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의 간극(Q)은 없어지고, 제1 절연 부재(170)의 절연 삽입부(175)는 그 선단부(175b)가 제2 절연 부재(180)[제2 개재부(183)]에 접촉(밀착)하면서, 상기 압축력에 의해, 자신의 축선 방향(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런데,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용 공간(R1)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했을 때, 절연 삽입부(175) 중 외측 테이퍼면(175c)을 갖는 부위가, 수용 공간(R1)측[절연 삽입부(17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R1) 내에 수용된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절연 삽입부(1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따라서, 절연 삽입부(175)의 반력이 저감됨]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 및 전지 케이스 덮개(113)를 통해서, 제1 절연 부재(170)의 제1 개재부(1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171)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부(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1 절연 부재(170) 제1 개재부(171)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171)를 받침대부(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1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183)를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함으로써,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정극 단자 부재(130)와 부극 단자 부재(140)와 제1 절연 부재(170, 170)와 제2 절연 부재(180, 180)가 일체로 조립되어, 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115)가 형성된다.
이어서, 스텝 S2(전극체 형성 공정)로 진행되어, 전극체(15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띠 형상의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정극 기재(151)의 표면에, 정극 활물질(153)을 포함하는 정극 합재층(152)을 형성하여, 정극판(155)을 얻는다(도 8 참조). 또한, 띠 형상의 구리박으로 이루어지는 부극 기재(158)의 표면에, 부극 활물질(154)을 포함하는 부극 합재층(159)을 형성하여, 부극판(156)을 얻는다(도 9 참조).
그 후, 부극판(156), 세퍼레이터(157), 정극판(155), 및 세퍼레이터(157)를 이 순으로 겹치도록 하여 권회한다(도 10 참조). 상세하게는, 정극판(155)의 정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1b)와 부극판(156)의 부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8b)가 폭 방향(도 10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부극판(156), 세퍼레이터(157), 정극판(155), 및 세퍼레이터(157)를 편평 형상으로 권회하여, 전극체(150)를 형성한다(도 7 참조). 권회수는, 예를 들어 30회로 한다.
이어서, 스텝 S3(용접 공정)으로 진행되어, 정극 접속 부재(135)의 전극체 접속부(134)를 전극체(150)의 정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1b)에 용접한다. 또한, 부극 접속 부재(145)의 전극체 접속부(144)를 전극체(150)의 부극 합재층 미도포 시공부(158b)에 용접한다. 이에 의해, 정극 단자 부재(130)와 정극판(15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부극 단자 부재(140)와 부극판(156)을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115)와 전극체(150)를 일체로 한다.
계속해서, 스텝 S4(수용 공정)로 진행되어,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에 전극체(150)를 수용함과 함께,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개구(111d)를 폐색한다. 이 상태에서, 스텝 S5(밀봉 공정)로 진행되어,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전지 케이스 본체(111)를 전체 둘레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그 후, 스텝 S6(주액 공정)으로 진행되어,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주액구(113n)를 통해서, 전해액(도시없음)을 전지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에 주입하고, 이 전해액을 전극체(150)의 내부에 함침시킨다. 계속해서,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주액구(113n)를 주액 마개(113m)에 의해 밀봉한다. 그 후, 소정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본 제1 실시예의 전지(100)(도 1 참조)가 완성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의 전지(200)[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215)]는 제1 실시예의 전지(100)[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115)]와 비교하여, 제1 절연 부재의 절연 삽입부의 형태 및 수용 공간의 형태가 다르며, 그 밖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인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절연 삽입부(175)는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하기 전(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 그 외주측면(175f)이 절연 삽입부(175)의 선단부(175b)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하는 외측 테이퍼면(175c)을 갖고 있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에 반해, 본 제2 실시예의 절연 삽입부(275)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하기 전(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 그 내주측면(275g)이 절연 삽입부(275)의 선단부(275b)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내측 테이퍼면(275c)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절연 부재(270)[절연 삽입부(275)]는 제2 절연 부재(180)에 비해, 축선 방향으로 압축 변형하기 쉬운(부드러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절연 삽입부(275)가 압축되기 전, 내측 테이퍼면(275c)과, 정극 접속 부재(135)의 삽입 관통부(132)의 외주측면(132b)[부극 접속 부재(145)의 삽입 관통부(142)의 외주측면(142b)] 사이에, 링 형상의 수용 공간(R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R2)은, 절연 삽입부(275)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2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절연 삽입부(275)가 축선(AX) 방향으로 받는 압축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275)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변형부(275d), 도 12 및 도 13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275)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275) 중 내측 테이퍼면(275c)을 갖는 부위가, 수용 공간(R2)측[절연 삽입부(275)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R2) 내에 수용된다(도 12 및 도 13 참조). 즉, 절연 삽입부(275) 중 내측 테이퍼면(275c)을 갖는 부위가, 상기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환언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수용 공간(R2) 내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절연 삽입부(2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텝 S1(덮개 조립 공정)에 있어서,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했을 때,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271)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1 절연 부재(270)의 제1 개재부(271)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271)를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1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183)를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의 전지(300)[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315)]는 제1 실시예의 전지(100)[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115)]와 비교하여, 제1 절연 부재의 절연 삽입부의 형태, 전지 케이스 덮개의 형태, 및 수용 공간의 형태가 다르며, 그 밖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인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1 실시예의 절연 삽입부(175)는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하기 전(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 그 외주측면(175f)이 절연 삽입부(175)의 선단부(175b)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하는 외측 테이퍼면(175c)을 갖고 있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에 반해, 본 제3 실시예의 절연 삽입부(375)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하기 전(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 테이퍼면을 갖는 일 없이, 일정한 두께로 축선 방향[축선(AX)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절연 부재(370)[절연 삽입부(375)]는 제2 절연 부재(180)에 비하여, 축선 방향으로 압축 변형하기 쉬운(부드러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3 실시예의 전지 케이스 덮개(313)는 제1 실시예의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달리, 관통 구멍(313h)[관통 구멍(313k)]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313r)(313s)이 전지 케이스 덮개(313)의 상면(313p)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구멍 테이퍼면(313t)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제3 실시예에서는, 절연 삽입부(375)가 압축되기 전, 구멍 테이퍼면(313t)과 절연 삽입부(375)의 외주측면(375f) 사이에, 링 형상의 수용 공간(R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R3)은, 절연 삽입부(375)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3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절연 삽입부(375)가 축선(AX) 방향으로 받는 압축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375)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변형부(375d), 도 16 및 도 17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375)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375)의 일부가, 수용 공간(R3)측[절연 삽입부(37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R3) 내에 수용된다(도 16 및 도 17 참조). 즉, 절연 삽입부(375)의 일부가, 상기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환언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수용 공간(R3) 내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절연 삽입부(3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텝 S1(덮개 조립 공정)에 있어서,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했을 때,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313)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371)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313)에 의해, 제1 절연 부재(370)의 제1 개재부(371)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371)를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313)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3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313)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1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313)에 의해,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183)를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3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3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의 전지(400)[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415)]는 제1 실시예의 전지(100)[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115)]와 비교하여, 제1 절연 부재의 절연 삽입부의 형태와, 정극 접속 부재 및 부극 접속 부재의 삽입 관통부의 형태와, 수용 공간의 형태가 다르며, 그 밖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인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제4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제1 절연 부재(370)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제1 절연 부재(370)의 절연 삽입부(375)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오킹부(433, 443)를 코오킹하기 전(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 일정한 두께로 축선 방향[축선(AX)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제4 실시예의 정극 접속 부재(435)의 삽입 관통부(432)는 제1 실시예의 삽입 관통부(132)와 달리, 그 외주측면(432b)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삽입 관통 오목부(43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관통 오목부(432c)는 삽입 관통부(432)의 외주측면(432b)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제4 실시예의 부극 접속 부재(445)의 삽입 관통부(442)도, 그 외주측면(442b)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삽입 관통 오목부(44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관통 오목부(442c)도, 삽입 관통부(442)의 외주측면(442b)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도 22 및 도 23 참조).
이에 의해, 본 제4 실시예에서는 절연 삽입부(375)가 압축되기 전, 삽입 관통 오목부(432c, 442c)에 의해 수용 공간(R4)이 형성되어 있다(도 22 및 도 23 참조). 이 수용 공간(R4)[삽입 관통 오목부(432c, 442c)]은 절연 삽입부(375)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3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절연 삽입부(375)가 축선(AX) 방향으로 받는 압축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375)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변형부(375d)]를 수용할 수 있다(도 20 및 도 21 참조).
이로 인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375)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375)의 일부가, 수용 공간(R4)측[절연 삽입부(375)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되어서 수용 공간(R4) 내에 수용된다(도 20 및 도 21 참조). 즉, 절연 삽입부(375)의 일부가, 상기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환언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수용 공간(R4) 내[즉 삽입 관통 오목부(432c, 442c)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절연 삽입부(3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텝 S1(덮개 조립 공정)에 있어서, 코오킹부(433, 443)를 코오킹했을 때, 받침대부(431, 4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371)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부(431, 4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1 절연 부재(370)의 제1 개재부(371)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371)를 받침대부(431, 4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431, 4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1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183)를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의 전지(500)[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515)]는 제1 실시예의 전지(100)[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115)]와 비교하여, 제1 절연 부재의 절연 삽입부의 형태와, 제2 절연 부재의 형태와, 수용 공간의 형태가 다르며, 그 밖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찬가지인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제5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제1 절연 부재(370)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제1 절연 부재(370)의 절연 삽입부(375)는,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하기 전(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 일정한 두께로 축선 방향[축선(AX)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제5 실시예의 제2 절연 부재(580)는 제1 실시예의 제2 절연 부재(180)와 달리,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삽입부(375)가 압축되기 전, 제2 개재부(583) 중 절연 삽입부(375)의 선단부(375b)와 축선 방향[축선(AX)을 따른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면(583c)이 축선 방향(도 26 및 도 27에 있어서 상방)으로 오목해진 절연 오목부(583d)를 갖고 있다. 이 절연 오목부(583d)는 원환 형상의 대향면(583c)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절연 부재(370)[절연 삽입부(375)]는 제2 절연 부재(580)에 비하여, 축선 방향으로 압축 변형하기 쉬운(부드러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제5 실시예에서는 절연 삽입부(375)가 압축되기 전, 절연 오목부(583d)에 의해 수용 공간(R5)이 형성되어 있다(도 26 및 도 27 참조). 이 수용 공간(R5)[절연 오목부(583d)]은 절연 삽입부(375)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3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절연 삽입부(375)가 축선(AX) 방향으로 받는 압축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375)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변형부(375d)]를 수용할 수 있다(도 24 및 도 25 참조).
이로 인해, 상기 압축력에 의해 절연 삽입부(375)를 압축시켰을 때, 절연 삽입부(375)의 선단부(375g)의 일부가, 수용 공간(R5)측[절연 오목부(583d)측]으로 변형되어, 수용 공간(R5)[절연 오목부(583d)] 내에 수용된다. 즉, 절연 삽입부(375)의 일부가, 상기 압축력으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으로(환언하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수용 공간(R5) 내[즉 절연 오목부(583d)]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절연 삽입부(3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텝 S1(덮개 조립 공정)에 있어서,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했을 때,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371)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1 절연 부재(370)의 제1 개재부(371)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371)를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5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2 절연 부재(580)의 제2 개재부(583)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583)를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입각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각각 수용 공간(R1 내지 R5)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 수용 공간을 조합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수용 공간(R1과 R2)을 마련한 전지로 해도 된다. 즉, 절연 삽입부의 외주측면에 외측 테이퍼면을 형성함과 함께, 내주측면에도 내측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외측 테이퍼면과 전지 케이스 덮개의 구멍 내주면 사이에 수용 공간(R1)을 마련함과 함께, 내측 테이퍼면과 삽입 관통부의 외주측면 사이에 수용 공간(R2)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수용 공간(R3과 R4)을 마련한 전지로 해도 된다. 즉, 전지 케이스 덮개의 구멍 내주면에 구멍 테이퍼면을 형성함과 함께, 삽입 관통부의 외주측면에 삽입 관통 오목부를 형성하고, 구멍 테이퍼면과 절연 삽입부의 외주측면 사이에 수용 공간(R3)을 마련함과 함께, 삽입 관통 오목부에 의해 수용 공간(R4)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절연 부재(170 내지 370)에 절연 삽입부(175 내지 375)가 설치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제2 절연 부재에 절연 삽입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절연 부재(170)의 절연 삽입부(175)에 외측 테이퍼면(175)을 설치한 형태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절연 부재(170)에 절연 삽입부(175)를 설치하지 않고, 제2 절연 부재(180)에 절연 삽입부를 설치하고, 제2 절연 부재(180)의 절연 삽입부의 외주측면에 외측 테이퍼면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코오킹부(133, 143)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어 코오킹부(133, 143)를 설치하지 않고, 삽입 관통부(132, 142)의 선단부측을 원통 형상으로 하고, 이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해 두고, 이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를 갖는 축부와, 헤드부를 구비한 고정 볼트를,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절연 부재(170)의 관통 구멍(171b),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 113k), 제2 절연 부재(180)의 관통 구멍(183b), 및 외부 단자 부재(137, 147)의 관통 구멍(137b, 147b) 내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부(132, 142)를 선단부측으로부터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 고정 볼트의 수나사를 삽입 관통부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하면서, 고정 볼트의 헤드부에 의해 외부 단자 부재(137, 147)를 하방으로[받침대부(131, 141)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외부 단자 부재(137, 147)와 받침대부(131, 14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8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의 전지(600)와 같이, 정극 접속 부재(635), 부극 접속 부재(645)로서, 삽입 관통부(632, 642)의 선단부측의 외주면에 수나사(632b, 642b)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고, 이 수나사(632b, 642b)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를 갖는 너트(655)를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절연 부재(170)의 관통 구멍(171b),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 113k), 제2 절연 부재(180)의 관통 구멍(183b), 및 외부 단자 부재(137, 147)의 관통 구멍(137b, 147b) 내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부(632, 642)를 선단부측으로부터 삽입시켜서, 삽입 관통부(632, 642)의 수나사(632b, 642b)를 외부 단자 부재(137, 147)의 관통 구멍(137b, 147b)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너트(655)의 암나사를 삽입 관통부(632, 642)의 수나사(632b, 642b)에 나사 결합하면서, 너트(655)에 의해 외부 단자 부재(137, 147)를 하방으로[받침대부(631, 641)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외부 단자 부재(137, 147)와 받침대부(631, 64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도 29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의 전지(800)와 같이, 코오킹부(133, 143)를 형성하지 않고, 삽입 관통부(132, 142)와 외부 단자 부재(137, 147)를 용접한 용접부(W)를, 고정 수단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절연 부재(170)의 관통 구멍(171b),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관통 구멍(113h, 113k), 제2 절연 부재(180)의 관통 구멍(183b), 및 외부 단자 부재(137, 147)의 관통 구멍(137b, 147b) 내에, 이 순서대로 삽입 관통부(132, 142)를 선단부측으로부터 삽입시켜서, 외부 단자 부재(137, 147)와 받침대부(131, 141) 사이에, 제2 절연 부재(180)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와 제1 절연 부재(170)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삽입 관통부(132, 142)와 외부 단자 부재(137, 147)를 용접(예를 들어 전체 둘레 용접)해서[이에 의해 용접부(W)를 형성해서], 이들을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절연 삽입부(275)가 압축되기 전, 내측 테이퍼면(275c)과, 정극 접속 부재(135)의 삽입 관통부(132)의 외주측면(132b)[부극 접속 부재(145)의 삽입 관통부(142)의 외주측면(142b)] 사이에, 링 형상의 수용 공간(R2)을 형성했다(도 14 및 도 15 참조).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이 수용 공간(R2)을, 절연 삽입부(275)의 압축 시에 절연 삽입부(275)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절연 삽입부(275)가 축선(AX) 방향으로 받는 압축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절연 삽입부(275)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변형부(275d), 도 12 및 도 13 참조]를 수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수용 공간(R2)은 절연 접촉부(183f)[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 중 절연 삽입부(275)의 선단부(275b)와 접촉하는 부위]의 압축 시에 절연 접촉부(183f)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상세하게는, 절연 접촉부(183f) 및 이 직경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절연 인접부(183g)]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절연 인접부(183g)는 수용 공간(R2)에 노출되는(대향하는) 부위에 상당한다.
이것이 적용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절연 접촉부(183f)를 압축시킴으로써,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상면(113p)에 접촉(밀착)시키는 동시에, 제2 개재부(183) 및 전지 케이스 덮개(113)를 통하여 제1 절연 부재(270)의 제1 개재부(271)를 압축하고자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절연 부재(180)가 제1 절연 부재(270)[절연 삽입부(275)]에 비하여, 축선 방향으로 압축 변형하기 쉬운(부드러운)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종래는 제2 절연 부재(780)의 절연 접촉부(783f)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의 대부분을 받아내어 버려[절연 접촉부(783f)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크게 되어], 제1 절연 부재(770)의 제1 개재부(7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도 30 및 도 31 참조). 상세하게는, 제2 개재부(783)가 전지 케이스 덮개(713)의 상면(713p)에 밀착하여 제1 개재부(771)에 압축 응력이 가해지기 전에, 절연 접촉부(783f)에 큰 압축 응력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이에 의해 큰 반력이 발생), 상기 압축력(코오킹력)에 의해 절연 접촉부(783f)를 더 이상 압축하는 것이 곤란해져, 제1 개재부(771)를 적절하게 압축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수용 공간(R2)을 마련해 두는 것으로, 절연 접촉부(183f)를 압축시켰을 때, 제2 개재부(183)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수용 공간(R2) 내에 수용할 수 있어, 절연 접촉부(183f)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상면(113p)에 접촉(밀착)시키는 동시에, 제2 개재부(183) 및 전지 케이스 덮개(113)를 통하여 제1 절연 부재(270)의 제1 개재부(271)를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텝 S1(덮개 조립 공정)에 있어서, 코오킹부(133, 143)를 코오킹했을 때,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271)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1 절연 부재(270)의 제1 개재부(271)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1 개재부(271)를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부(131, 141)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1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압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즉,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의해, 제2 절연 부재(180)의 제2 개재부(183)를 끼워 압축시켜서, 제2 개재부(183)를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정극 외부 단자 부재(137)[부극 외부 단자 부재(147)]와 전지 케이스 덮개(113) 사이를 적절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는 절연 삽입부(375)의 일부[변형부(375d)]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R4)으로서, 삽입 관통부(432, 442)의 외주측면(432b, 442b)에 삽입 관통 오목부(432c, 442c)를 형성했다(도 22 및 도 23 참조). 그러나 이 외에, 또는 이 대신에, 제2 개재부(183)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다른 수용 공간으로서, 삽입 관통부(432, 442)의 외주측면(432b, 442b) 중, 제2 개재부(183)의 관통 구멍(183b)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 관통 오목부(432c, 442c)와 마찬가지인 형태의 삽입 관통 오목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절연 접촉부[제2 절연 부재(180) 중 절연 삽입부(375)의 선단부(375b)와 접촉하는 부위]를 압축시켰을 때, 제2 개재부(183)의 일부(변형된 부위)를 다른 수용 공간 내에 수용할 수 있어, 절연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절연 삽입부(175)의 외주측면(175f)에 외측 테이퍼면(175c)을 형성하여, 외측 테이퍼면(175c)과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구멍 내주면(113r)(113s) 사이에, 수용 공간(R1)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외주측면(175f)(그 일부)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측면(175f)과 전지 케이스 덮개(113)의 구멍 내주면(113r)(113s)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주측면(175f)(그 일부)을 성형하면 된다. 제2,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는 수용 공간(R4)으로서, 삽입 관통부(432)의 외주측면(432b)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원환 형상의 삽입 관통 오목부(432c)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수용 공간(R4)은 이와 같은 형태(원환 형상의 오목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 관통부(432)의 외주측면(432b)과 절연 삽입부(375)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삽입 관통부(432)의 외주측면(432b)을 성형하면 된다. 제5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원환 형상의 오목부에 한정되지 않음).
100, 200, 300, 400, 500, 600, 800 : 전지
110 : 전지 케이스
111 : 전지 케이스 본체
111b : 저면
111d : 개구
113, 313 : 전지 케이스 덮개
113b : 하면
113h, 113k, 313h, 313k : 관통 구멍
113p, 313p : 상면
113r, 113s, 313r, 313s : 구멍 내주면
115, 215, 315, 415, 515 : 단자를 구비한 덮개 부재
130 : 정극 단자 부재(전극 단자 부재)
131, 141, 431, 441, 631, 641 : 받침대부
131b, 141b : 하면
131f, 141f : 상면
131g, 141g : 외주측면
132, 142, 432, 442, 632, 642 : 삽입 관통부
132b, 142b, 432b, 442b : 외주측면
133, 143, 433, 443 : 코오킹부(고정 수단)
134, 144 : 전극체 접속부
135, 435, 635 : 정극 접속 부재(전극 접속 부재)
137 : 정극 외부 단자 부재(외부 단자 부재)
139 : 정극 체결 부재
140 : 부극 단자 부재(전극 단자 부재)
145, 445, 645 : 부극 접속 부재(전극 접속 부재)
147 : 부극 외부 단자 부재(외부 단자 부재)
149 : 부극 체결 부재
150 : 전극체
155 : 정극판
156 : 부극판
157 : 세퍼레이터
170, 270, 370 : 제1 절연 부재
171, 271, 371 : 제1 개재부
171b : 관통 구멍
175, 275, 375 : 절연 삽입부
175b, 275b, 375b : 선단부
175c : 외측 테이퍼면
175d, 275d, 375d : 변형부
175f, 375f : 외주측면
180, 580 : 제2 절연 부재
183, 583 : 제2 개재부
183f : 절연 접촉부
275c : 내측 테이퍼면
275g : 내주측면
313t : 구멍 테이퍼면
375g : 선단부
432c, 442c : 삽입 관통 오목부
583c : 대향면
583d : 절연 오목부
655 : 너트(고정 수단)
W : 용접부(고정 수단)
R1, R2, R3, R4, R5 : 수용 공간

Claims (6)

  1.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본체,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체,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판 형상의 전지 케이스 덮개,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받침대부와, 상기 받침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삽입 관통부와, 상기 받침대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저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체 접속부를 갖는 전극 접속 부재,
    전기 절연성을 갖고, 상기 받침대부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하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1 개재부를 갖는 제1 절연 부재,
    상기 전지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극 접속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외부 단자 부재,
    전기 절연성을 갖고, 상기 외부 단자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상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2 개재부를 갖는 제2 절연 부재, 및
    상기 외부 단자 부재와 상기 받침대부 사이에, 상기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와 상기 제1 절연 부재를 끼워 압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전지이며,
    상기 제1 절연 부재 및 상기 제2 절연 부재 중 어느 한쪽의 절연 부재는,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전극 접속 부재의 상기 삽입 관통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절연 삽입부이며, 그 선단부가 다른 쪽의 절연 부재의 절연 접촉부에 접촉된 절연 삽입부를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 및 상기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의 축선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가 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절연 부재, 상기 제2 절연 부재,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 및 상기 삽입 관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 및 상기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되기 전,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절연 접촉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접촉부를 갖는 절연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 및 상기 절연 접촉부 중 적어도 한쪽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변형된 부위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의 상기 절연 삽입부는, 그 외주측면이, 상기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축소하는 외측 테이퍼면을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외측 테이퍼면과,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 사이에,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 중 상기 외측 테이퍼면을 갖는 부위가,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에 의해 압축되기 전의 상기 절연 삽입부는, 그 내주측면이, 상기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내측 테이퍼면을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내측 테이퍼면과, 상기 전극 접속 부재의 상기 삽입 관통부 사이에,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 중 상기 내측 테이퍼면을 갖는 부위가,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관통 구멍을 구성하는 구멍 내주면은, 상기 전지 케이스 덮개의 상기 상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장되는 구멍 테이퍼면을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구멍 테이퍼면과 상기 절연 삽입부의 외주측면 사이에,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접속 부재의 상기 삽입 관통부의 외주측면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삽입 관통 오목부를 갖고,
    상기 삽입 관통 오목부가,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의 일부가, 상기 삽입 관통 오목부측으로 변형되어서 상기 삽입 관통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부재 및 상기 제2 절연 부재 중 상기 절연 삽입부를 갖고 있지 않은 절연 부재는,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와 상기 축선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면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오목해진 절연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절연 삽입부가 압축되기 전, 상기 절연 오목부가, 상기 절연 삽입부의 압축 시에 상기 절연 삽입부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이 저감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 삽입부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당해 변형된 부위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을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절연 삽입부를 압축시켰을 때, 상기 절연 삽입부의 선단부가, 상기 절연 오목부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절연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KR1020147035620A 2012-06-29 2013-06-18 전지 KR101682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6378 2012-06-29
JP2012146378 2012-06-29
PCT/JP2013/066652 WO2014002819A1 (ja) 2012-06-29 2013-06-18 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850A true KR20150022850A (ko) 2015-03-04
KR101682286B1 KR101682286B1 (ko) 2016-12-05

Family

ID=4978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620A KR101682286B1 (ko) 2012-06-29 2013-06-18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11779B2 (ko)
JP (1) JP5930033B2 (ko)
KR (1) KR101682286B1 (ko)
CN (1) CN104412413B (ko)
WO (1) WO20140028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854A (ko) * 2017-10-06 2019-04-16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및 전지의 제조방법
KR20210132160A (ko) * 2020-04-17 2021-11-03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단부 커버 어셈블리, 전지 셀, 전지 모듈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5487A1 (ja) *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リチウムエナジージャパン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6398655B2 (ja) * 2014-11-26 2018-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299570B2 (ja) * 2014-12-01 2018-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子付き電池ケース蓋、及び、密閉型電池
JP6241676B2 (ja) * 2015-03-27 2017-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6550863B2 (ja) * 2015-03-31 2019-07-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6460413B2 (ja) * 2016-08-26 2019-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JP6693899B2 (ja) * 2017-03-03 2020-05-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電極端子
JP7001957B2 (ja) * 2018-03-02 2022-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CN110176558B (zh) * 2019-04-09 2024-04-1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顶盖组件及二次电池
CN209658246U (zh) * 2019-05-14 2019-11-1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顶盖组件及二次电池
PL3926741T3 (pl) 2020-04-17 2023-04-11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Zespół pokrywy końcowej, ogniwo akumulatorowe, moduł akumulatorowy i urządzenie
CN116799380B (zh) * 2023-08-24 2023-10-17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电池单体及用电设备
CN117374491B (zh) * 2023-12-07 2024-02-20 蜂巢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及用电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295A (ja) * 2003-02-21 2004-09-09 Toyota Motor Corp 蓄電素子
JP2009110687A (ja) * 2007-10-26 2009-05-21 Nok Corp 蓄電素子の端子部シール構造
JP2012028246A (ja) 2010-07-27 2012-02-09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
WO2012086031A1 (ja) * 2010-12-22 201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5751B2 (ja) * 1989-12-28 1998-05-25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式電池の製造方法
JP5213404B2 (ja) 2007-09-28 2013-06-19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87729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密閉型電池
JP5344603B2 (ja) 2009-07-16 2013-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JP2011243381A (ja) * 2010-05-17 2011-12-01 Toyota Motor Corp 電池の製造方法
JP2012033339A (ja) * 2010-07-29 2012-02-16 Daiwa Kasei Co Ltd 自動車および住宅用、産業機器用大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5679271B2 (ja) * 2010-08-30 2015-03-04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電極端子付き電池蓋、電極端子付き電池蓋の製造方法および密閉型電池
US20140363731A1 (en) * 2010-08-30 2014-12-11 Eliiy Power Co., Ltd. Battery lid with electrode terminal,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lid with electrode terminal, and sealed battery
JP5533617B2 (ja) * 2010-12-13 2014-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車両および機器
JP5636330B2 (ja) 2011-04-12 2014-12-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202268392U (zh) * 2011-09-07 2012-06-06 东莞乔登节能科技有限公司 锂电池芯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295A (ja) * 2003-02-21 2004-09-09 Toyota Motor Corp 蓄電素子
JP2009110687A (ja) * 2007-10-26 2009-05-21 Nok Corp 蓄電素子の端子部シール構造
JP2012028246A (ja) 2010-07-27 2012-02-09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
WO2012086031A1 (ja) * 2010-12-22 201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854A (ko) * 2017-10-06 2019-04-16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및 전지의 제조방법
US10950916B2 (en) 2017-10-06 2021-03-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an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210132160A (ko) * 2020-04-17 2021-11-03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단부 커버 어셈블리, 전지 셀, 전지 모듈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02819A1 (ja) 2016-05-30
WO2014002819A1 (ja) 2014-01-03
CN104412413B (zh) 2017-05-10
JP5930033B2 (ja) 2016-06-08
US9711779B2 (en) 2017-07-18
US20150180007A1 (en) 2015-06-25
KR101682286B1 (ko) 2016-12-05
CN104412413A (zh)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86B1 (ko) 전지
KR101540900B1 (ko) 전지
KR100670526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US10665827B2 (en) Cap assembly for a second battery and second battery
KR101663398B1 (ko) 전지
US20150024260A1 (en) Rechargeable battery
CN102593409A (zh) 电存储装置
JP5969282B2 (ja)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7115854A1 (ja)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2015111573A (ja)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47598B2 (ja) 密閉型電池及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845855B1 (ko) 단자-구비형 전지 케이스 덮개 및 밀폐형 전지
KR102361706B1 (ko) 이차 전지
JP4590911B2 (ja) 電池
JP6907509B2 (ja) 蓄電素子、導電部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US20230402727A1 (en) Cylindrical battery
JP7236033B2 (ja) 密閉型電池
KR20180001063A (ko) 이차 전지
KR101228700B1 (ko) 커패시터
JP6394983B2 (ja) 車載用電池の端子構造
JP2014006975A (ja) 端子付蓋部材、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20240014473A1 (en) Cylindrical battery
KR20230082944A (ko) 원통형 이차 전지
CN112927905A (zh) 一种导电杆及其装配方法
JP2014229487A (ja) 電池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