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794A -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794A
KR20150004794A KR20147025050A KR20147025050A KR20150004794A KR 20150004794 A KR20150004794 A KR 20150004794A KR 20147025050 A KR20147025050 A KR 20147025050A KR 20147025050 A KR20147025050 A KR 20147025050A KR 20150004794 A KR20150004794 A KR 20150004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group
substituted
resin
photo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콴퀴 장
신지로 수주키
펭큉 주
마스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57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64Polycarbo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5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7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non-six-membered 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9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12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03G5/0614Amines
    • G03G5/06142Amines arylamine
    • G03G5/06147Amines arylamine alkenylarylami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66Dyes containing a methine or polymethine group
    • G03G5/0672Dyes containing a methine or polymethine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methine or polymethine grou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 G03G5/047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 transport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광 응답성을 가지며, 반복 사용하여도 전기 특성이 안정적이고, 또한 고(高)내구성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전성 기체(基體) 상에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이다. 감광층이, 적어도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수지 바인더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와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며, 전하 수송 재료가 하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또한, 첨가제가 하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41

Description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PHOTORECEPTOR FOR ELECTROPHOTOGRAPHY,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 복사기, 팩스 등에 이용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이하, 단순히 「감광체」라고도 칭함),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구조를 갖는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의 조합에 의해 뛰어난 내(耐)마모성, 광 응답성 및 가스에 대한 내성을 구비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도전성 기체(基體) 상에, 광 도전 기능을 갖는 감광층을 설치한 구조를 기본 구조로 한다. 근년, 전하의 발생이나 수송을 담당하는 기능 성분으로서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는 유기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대하여, 재료의 다양성이나 고(高)생산성, 안전성 등의 이점에 의해,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 대한 적용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감광체에는, 어두운 곳에서 표면 전하를 유지하는 기능이나, 광을 수용해 전하를 발생하는 기능, 나아가, 발생한 전하를 수송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감광체로서는, 상기한 기능을 겸비한 단층(單層)의 감광층을 구비한, 이른바 단층형 감광체와, 주로 광 수용시의 전하 발생의 기능을 담당하는 전하 발생층과, 어두운 곳에서 표면 전하를 유지하는 기능 및 광 수용시에 전하 발생층에서 발생한 전하를 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전하 수송층으로 기능 분리된 층을 적층한 감광층을 구비한, 이른바 적층형(기능 분리형) 감광체가 있다.
상기 감광층은, 전하 발생 재료 및 전하 수송 재료와 수지 바인더를 유기용제에 용해 혹은 분산시킨 도포액을, 도전성 기체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유기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특히 최(最)표면이 되는 층에는, 수지 바인더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종이와의 사이나, 토너 제거를 위한 블레이드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에 강하고, 가요성이 뛰어나며, 또한, 노광의 투과성이 양호하다는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수지 바인더로서는,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수지 바인더로서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기술은, 예컨대, 특허 문헌 1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 외에도, 지금까지, 감광체 표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구조에 관한 각종 검토가 이루어져 왔지만,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한편, 근년, 오피스 내의 네트워크화에 따른 인쇄 매수의 증가나, 전자 사진에 의한 경(輕)인쇄기의 급속적인 발전 등에 수반하여, 전자 사진 방식의 인자 장치에는, 더욱 고내구성이나 고감도, 나아가 고속 응답성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또, 전자 사진 방식의 인자 장치에는,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오존이나 NOx 등의 기체에서 유래하는 영향이나, 사용 환경(실온 및 습도)의 변동에 따른 화상 특성의 변동 등이 작을 것도,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컬러 프린터의 발전이나 보급율의 향상에 수반하여, 인자 속도의 고속화나 장치의 소형화 및 부재의 절약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각종 사용 환경에 대한 대응도 요구되고 있다. 컬러 프린터에서는, 토너의 색겹침(overlap) 전사(轉寫)나 전사 벨트의 채용에 의해, 전사 전류가 증대하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용지에 인자(印字)할 경우에, 용지 사이즈나 지간부(紙間部)에서의 전사 피로(疲勞) 차가 생겨, 화상 농도 차가 조장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소(小)사이즈의 용지를 많이 인자했을 경우, 용지가 통과하는 감광체 부분(용지 통과부)에 대해, 용지가 통과하지 않는 감광체 부분(용지 비통과부)은, 전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계속 받게 되어, 전사 피로가 커진다. 그 결과, 다음에 대(大)사이즈의 용지에 인자했을 경우에, 상기 용지 통과부와 용지 비통과부간의 전사 피로의 차로 인해, 현상부에 전위 차가 생겨, 농도 차가 나타난다. 전사 전류의 증대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보다 현저한 것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흑백 프린터에 비해, 특히 컬러 프린터에 있어서, 반복 사용이나 사용 환경(실내 온도 및 습도)의 변동에 따른 화상 특성이나 전기 특성의 변동이 작고, 또한, 전사 회복성이 뛰어난 감광체에 대한 요구가 현저하게 높아지고 있으며, 종래의 기술로는, 이러한 요구를 동시에 충분하게는 만족시킬 수 없게 되어 오고 있다.
또, 특히, 음대전 적층형 감광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표면층인 전하 수송층 내의 수지 바인더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 경우, 상대적으로 전하 수송 재료의 비율이 저하됨에 따라, 전하 수송층의 전하 이동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하 수송 재료의 전하 이동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수지 바인더와 전하 수송 재료간의 상용성(相溶性)을 배려하면서, 수지 바인더와 전하 수송 재료간의 조합의 선택 및 비율의 조정을 행하는 것도 필요하게 된다.
또,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기체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오존을 들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을 행하는 대전기나 롤러 대전기에 의해 오존이 발생하고, 이것이 장치 내에 잔류 또는 체류하는 등에 의해 감광체가 오존에 노출되면, 감광체를 구성하는 유기물질이 산화됨에 따라 본래의 구조가 파괴되어, 감광체 특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키는 경우가 고려된다. 또한, 오존에 의해, 공기중의 질소가 산화되어 NOx가 되고, 이 NOx가 감광체를 구성하는 유기물질을 변성(變性)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기체에 의한 감광체 특성의 악화에 관해서는, 감광체의 최표면층 그 자체가 침범될 뿐만 아니라, 감광층 내부에 기체가 유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악영향도 고려된다. 감광체의 최표면층 자체는, 양의 많고 적음(多少)은 있지만, 상술한 각종 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깎이는 경우도 고려되는데, 감광층 내부에 유해 기체가 유입되면, 감광층 내의 유기물질의 구조가 파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유해 기체의 감광층 내부로의 유입을 억제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감광체를 복수 개 사용하는 탠덤(tandem) 방식의 컬러 전자 사진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내에서의 감광체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기체에 의한 영향의 정도에 차이가 생기면, 색조의 변동이 발생하여, 충분한 화상을 생성하는 데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따라서, 탠덤 방식의 컬러 전자 사진 장치에 있어서는, 기체에 의한 특성 악화는, 특히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또, 감광체의 대전시에 생기는 오존이나 질소산화물 등에 의해, 감광체 표면이 오염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오염물질 그 자체에 의한 화상 번짐(image bleeding) 외에, 부착한 물질이 감광체 표면의 윤활성을 저하시켜, 종이 가루나 토너가 부착되기 쉬워지고, 블레이드의 스퀼링과 필링(squealing and peeling), 감광체 표면의 흠집 등이 생기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광체의 최표면층에 관한 개량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감광체 표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2, 3에서는, 특정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제안되어 있으나, 각종 전하 수송 재료나 첨가제와의 상용성이나, 수지의 용해성에 관한 검토가 충분하지 않다. 또, 특허 문헌 4에서는 특정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제안되어 있지만, 부피가 큰 구조를 갖는 수지는 폴리머들의 공간이 많아, 대전시 방전 물질이나 접촉 부재, 이물(異物) 등이 감광층에 침투하기 쉽기 때문에, 충분한 내구성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특허 문헌 5에서는, 인쇄 내구성(printing durability)과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수한 구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제안되어 있으나, 조합하는 전하 수송 재료나 첨가제에 관한 기재가 충분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시에 있어서의 안정적인 전기 특성의 유지가 어렵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높은 응답성을 가지며, 캐리어 이동도가 높은 다양한 전하 수송 재료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6에는 스틸벤 유도체, 특허 문헌 7에는 트리스(4-스티릴페닐) 아민 유도체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서는, 전하 수송 재료에 조합하는 수지 바인더나 첨가제에 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동작 환경의 변화나 장기간 사용시의 전기 특성의 유지, 내마모성의 향상, 내오염성의 유지에 대해, 모두 실현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가스에 대한 내성의 향상에 대해서는, 힌다드 페놀 화합물이나 인계 화합물, 유황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힌다드 아민계 화합물 등 각종 첨가제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서는, 가스에 대한 충분한 내성을 나타내는 감광체가 얻어지지 않았거나, 또는, 가스에 대한 내성에 대해서는 만족스러운 특성을 나타낸다 하더라도, 수지나 전하 수송 재료와의 조합에 의해, 전기 특성, 예컨대, 응답성, 화상 메모리나 인쇄를 견딜 때에 있어서의 전위 안정성 등에 대해서도, 만족할만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이 현 상황이다. 한편, 본 출원인들은, 특허 문헌 8, 9에 있어서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안한 바 있으나, 보다 적절한 수지 바인더와 고(高)이동도의 전하 수송 재료를 조합하는 검토를 더욱 진행시켜 오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S61-62040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354759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4-179961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85644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3-273256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S59-216853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2-27139호 국제 공개 제2011/108064호 팜플렛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7-279446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8-209023호 미국 특허 제 573628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 5874570호 명세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의 표면층의 개량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각종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모두 광 응답성 등의 전기 특성이나 내마모성, 솔벤트 크랙에 대한 내성 모두에 있어서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광 응답성을 가지며, 반복 사용하여도 전기 특성이 안정적이고, 또한, 고내구성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구조를 갖는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의 조합에 의해, 뛰어난 내마모성과 응답성, 가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광층의 조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한 결과, 특정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지 바인더로 하고, 여기에, 특정한 전하 수송 재료와 특정한 첨가제를 조합해 이용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높은 광응답성을 가지며, 또한, 전기 특성이 뛰어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실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도전성 기체상에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로서,
상기 감광층이, 적어도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상기 수지 바인더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와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전하 수송 재료가 하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첨가제가 하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일반식 (1) 중, R1 및 R2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이며, c는 0~4의 정수(整數)이고, X는, 단일 결합, -O-, -S-, SO-, CO-, -SO2- 또는 -CR3R4-(R3 및 R4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이다), 탄소수 5~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시클로알킬리덴기, 탄소수 2~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α, ω 알킬렌기, -9,9-플루오레닐리덴기,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렌기, 또는, 탄소수 6~12의 아릴기 혹은 아릴렌기를 함유하는 2가(價)의 기이며, m, n은 각 모노머의 몰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일반식 (3) 중, R5 및 R6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 또는, 메톡시기이며, Ar1, Ar2, Ar3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이다)
Figure pct00003

(일반식 (4) 중, R7, R8, R9 및 R10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이다)
Figure pct00004

(일반식 (5) 중, R11, R12, R13, R14 및 R15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이다)
Figure pct00005

(일반식 (6) 중, A는 하기 식 (7) 중의 어느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기이며, B는 하기 식 (8) 중의 어느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기이다)
Figure pct00006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는, 상기 감광층이, 감광체의 최표면층을 이루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감광층이,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전하 수송층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스틸벤 화합물 및 상기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감광체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식 (1) 중,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또한, X가 시클로헥실리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감광체에 있어서는, 상기 공중합물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 비가, 15 몰% 이상 9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에스테르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감광층의 고형분의 전량(全量)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0.05 질량%~20 질량%이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제조 방법은, 도전성 기체상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포액으로서,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와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및 상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층의 수지 바인더로서 상기 특정한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동시에, 여기에, 특정한 전하 수송 재료와 특정한 첨가제를 조합해 이용함으로써, 감광체의 전자 사진 특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광 응답성, 가스에 대한 내성 및 솔벤트 크랙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며, 환경 특성이 양호한 감광체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적층형(기능 분리형) 감광체로서의, 이른바 음대전 적층형 감광체 및 양대전 적층형 감광체와, 주로 양대전형으로 이용되는 단층형 감광체로 대별(大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로서, 도 1(a)는 음대전형의 적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 도 1(b)는 양대전형의 단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 도 1(c)는 양대전형의 적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체(1) 위에, 언더코트층(undercoating layer; 2)과, 전하 발생 기능을 구비하는 전하 발생층(3) 및 전하 수송 기능을 구비하는 전하 수송층(4)을 갖는 감광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한편, 양대전 단층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체(1) 위에, 언더코트층(2)과, 전하 발생 및 전하 수송의 양 기능을 겸비하는 단층형의 감광층(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양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체(1) 위에, 언더코트층(2)과, 전하 수송기능을 구비하는 전하 수송층(4)과 전하 발생 및 전하 수송의 양 기능을 구비하는 전하 발생층(3)을 갖는 감광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 어떠한 타입의 감광체에 있어서든, 언더코트층(2)은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의 「감광층」은,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을 적층한 적층형 감광층과, 단층형 감광층의 양자(兩者)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광체에 있어서는, 감광층이, 적어도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수지 바인더가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와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며, 전하 수송 재료가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또한, 첨가제가 상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소기(所期)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틸벤 화합물 및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층이, 감광체의 최(最)표면층인 경우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감광체는, 도전성 기체상에, 적어도 감광층을 갖는 것이면 되지만, 적합하게는, 감광층이, 적어도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을 구비하는 적층형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감광체는, 적합하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이, 이러한 순서로 도전성 기체상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음대전 적층형 감광체이며, 감광체의 최표면층을 구성하는 전하 수송층이, 상기 특정 구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틸벤 화합물 및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음대전 적층형 감광체)
도전성 기체(1)는, 감광체의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갖는 동시에, 감광체를 구성하는 각 층의 지지체도 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이나 판형상, 필름형상 등의 어느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전성 기체(1)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강(鋼), 니켈 등의 금속류, 혹은, 유리나 수지 등의 표면에 도전 처리를 실시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언더코트층(2)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나, 알마이트 등의 금속 산화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언더코트층(2)은, 도전성 기체(1)로부터 감광층으로의 전하의 주입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도전성 기체(1)의 표면 결함의 피복, 감광층과 도전성 기체(1)간의 접착성의 향상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언더코트층(2)에 이용되는 수지 재료로서는, 카제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미드, 멜라민, 셀룰로오스 등의 절연성 고분자,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혹은 조합해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수지에, 이산화 티탄이나 산화 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을 함유시켜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전하 발생층(3)은, 전하 발생 재료의 입자를 수지 바인더 중에 분산시킨 도포액을 도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며, 광을 수용하여 전하를 발생한다. 또, 그 전하 발생 효율이 높은 것과 동시에, 발생된 전하의 전하 수송층(4)에 대한 주입성이 중요하며, 전장(電場) 의존성이 적고, 저(低)전장에서도 주입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하 발생 재료로서는,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τ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α형 티탄일프탈로시아닌, β형 티탄일프탈로시아닌, Y형 티탄일프탈로시아닌, γ형 티탄일프탈로시아닌, 비정질(amoRphous)형 티탄일프탈로시아닌, ε형 구리 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각종 아조 안료, 안탄트론(Anthanthrone) 안료, 티아피릴륨 안료, 페릴렌 안료, 페리논 안료, 스쿠아릴륨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등을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노광 광원의 광파장 영역에 따라 적합한 물질을 선택할 수가 있다. 전하 발생층(3)에 있어서의 전하 발생 재료의 함유량은, 전하 발생층(3)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80~2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30~70 질량%이다.
전하 발생층(3)의 수지 바인더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초산비닐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술폰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수지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전하 발생층(3)에 있어서의 수지 바인더의 함유량은, 전하 발생층(3)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20~8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30~70 질량%이다.
전하 발생층(3)은 전하 발생 기능을 가지면 되기 때문에, 그 막두께는 전하 발생 재료의 광 흡수 계수에 따라 정해지며, 일반적으로는 1㎛ 이하이고, 적 합하게는 0.5㎛이하이다. 전하 발생층(3)은, 전하 발생 재료를 주체(主體)로 하고, 여기에 전하 수송 재료 등을 첨가해 형성할 수도 있다.
전하 수송층(4)은, 주로 수지 바인더와, 전하 수송 재료와, 첨가제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하 수송층(4)의 수지 바인더로서는, 상기 일반식 (1) 및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 상기 일반식 (1) 및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단,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본 예시 구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식 중, m과 n의 비율은, m과 n의 합계량을 100 몰%로 했을 때, m이 통상적으로 15~90 몰%, 적합하게는 25~75 몰%, 보다 적합하게는 30~60 몰%가 되도록 선정한다.
Figure pct00007

또, 본 발명에 관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적합하게는 10000~100000이며, 보다 적합하게는 20000~70000이고, 더욱 적합하게는 40000~6000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하 수송층(4)의 수지 바인더로서는, 상기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며, 또한, 다른 수지와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다른 수지로서는, 상기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외의,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Z형, 비스페놀 A형-비페닐 공중합체, 비스페놀 Z형-비페닐 공중합체 등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초산비닐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다른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술폰 수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분자량이 다른 동종(同種)의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전하 수송층(4)에 있어서의 수지 바인더의 함유량은, 전하 수송층(4)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10~9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20~80 질량%이다.
전하 수송층(4)의 전하 수송 재료로서는,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이용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의 구조예를 나타낸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전하 수송층(4)에 있어서의 전하 수송 재료의 함유량은, 전하 수송층(4)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10~9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20~80 질량%, 한층 더 적합하게는 30~60 질량%이다.
전하 수송층(4)의 전하 수송 재료로서는,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과 함께, 히드라존 화합물, 피라졸린 화합물, 피라졸론 화합물, 옥사디아졸 화합물, 옥사졸 화합물, 아릴 아민 화합물, 벤지딘 화합물, 다른 스틸벤 화합물, 스티릴 화합물, 폴리-N-비닐칼바졸, 폴리실란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하 수송층(4)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들 전하 수송 재료의 함유량은,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0~9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80 질량%, 한층 더 적합하게는 10~80 질량%이다.
전하 수송층(4)의 첨가제로서는, 상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상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의 구조예를 나타낸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010

전하 수송층(4)에 있어서의 상기 첨가제의 함유량은, 전하 수송층(4)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0.05~2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1~20 질량%, 한층 더 적합하게는 0.5~10 질량%, 특히 적합하게는 5~10 질량%이다.
또한, 전하 수송층(4)의 막두께는, 실용상 유효한 표면 전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4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층형 감광체)
본 발명에 있어서, 단층형인 경우의 감광층(5)은, 주로 전하 발생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억셉터성 화합물) 및 수지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전하 발생 재료로서는, 예컨대,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아조 안료, 안탄트론(Anthanthrone) 안료, 페릴렌 안료, 페리논 안료, 다환(多環) 퀴논 안료, 스쿠아릴륨 안료, 티아피릴륨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전하 발생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는, 아조 안료로서는, 디스 아조 안료, 트리스 아조 안료, 페릴렌 안료로서는, N, N'-bis(3,5-디메틸페닐(dimethylphenyl))-3,4:9,10-페릴렌(perylene)-bis(카르복시이미드(carboxyimide)), 프탈로시아닌계 안료로서는,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구리 프탈로시아닌, 티탄일 프탈로시아닌이 바람직하다. 또,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τ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ε형 구리 프탈로시아닌, α형 티탄일 프탈로시아닌, β형 티탄일 프탈로시아닌, Y형 티탄일프탈로시아닌, 비정질(amorphous) 티탄일 프탈로시아닌,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8-209023호, 미국 특허 제 5736282호 명세서 및 미국 특허 제 5874570호 명세서에 기재된 CuKα: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 브래그 각(角, 2θ)이 9.6°를 최대 피크로 하는 티탄일 프탈로시아닌을 이용하면, 감도, 내구성 및 화질의 측면에서 현저하게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전하 발생 재료의 함유량은, 단층형 감광층(5)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0.1~2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5~10 질량%이다.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와 동시에, 히드라존 화합물, 피라졸린 화합물, 피라졸론 화합물, 옥사디아졸 화합물, 옥사졸 화합물, 아릴 아민 화합물, 벤지딘 화합물, 다른 스틸벤 화합물, 스티릴 화합물, 폴리-N-비닐칼바졸, 폴리실란 등을,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광 조사시에 발생하는 정공의 수송 능력이 우수해야 하며 이에 추가하여, 전하 발생 재료와의 조합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 재료의 함유량은, 단층형 감광층(5)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3~8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5~60 질량%이다.
전자 수송 재료(억셉터성 화합물)로서는, 무수 호박산, 무수 말레산, 디브로모 무수 호박산, 무수 프탈산, 3-니트로 무수 프탈산, 4-니트로 무수 프탈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프탈이미드, 4-니트로프탈이미드,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클로라닐, 브로마닐, o-니트로 안식향산, 말로노니트릴(malononitrile), 트리니트로플루오레논, 트리니트로티옥산톤, 디니트로벤젠, 디니트로안트라센, 디니트로아크리딘, 니트로안트라퀴논, 디니트로안트라퀴논, 티오피란계 화합물, 퀴논계 화합물, 벤조퀴논 화합물, 디페녹시논 화합물, 나프토 퀴논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스틸벤 퀴논계 화합물, 아조퀴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자 수송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으로 조합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수송 재료의 함유량은, 단층형 감광층(5)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1~5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5~40 질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층형 감광층(5)의 수지 바인더로서, 상기 일반식 (1) 및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들 수가 있다.
단층형 감광층(5)의 수지 바인더로서, 상기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며, 또한, 다른 수지와 혼합해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다른 수지로서는, 상기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외의,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Z형, 비스페놀 A형-비페닐 공중합체, 비스페놀 Z형-비페닐 공중합체 등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초산비닐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술폰 수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이 다른 동종의 수지를 혼합해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수지 바인더의 함유량은, 단층형 감광층(5)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10~9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20~80 질량%이다.
단층형 감광층(5)의 첨가제로서는, 상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층형 감광층(5)에 있어서의 상기 첨가제의 함유량은, 단층형 감광층(5)의 고형분에 대하여, 적합하게는 0.05~2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1~15 질량%, 한층 더 적합하게는 0.5~10 질량%이다.
단층형 감광층(5)의 막두께는, 실용적으로 유효한 표면 전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3~1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4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양대전 적층형 감광체)
양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 전하 수송층(4)은, 주로 전하 수송 재료와 수지 바인더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전하 수송층(4)의 전하 수송 재료 및 수지 바인더로서는, 음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관한 전하 수송층(4)에 대해 예로 든 것과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 각 재료의 함유량, 및 전하 수송층(4)의 막두께에 대해서도, 음대전 적층형 감광체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수지 바인더로서는, 상기 일반식 (1) 및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임의로 이용할 수가 있다.
전하 수송층(4) 상에 설치되는 전하 발생층(3)은, 주로 전하 발생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억셉터성 화합물) 및 수지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하 발생층(3)의 전하 발생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 및 수지 바인더로서는, 단층형 감광체에 있어서의 단층형 감광층(5)에 대해 예로 든 것과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각 재료의 함유량, 및 전하 발생층(3)의 막두께에 대해서도, 단층형 감광체에 있어서의 단층형 감광층(5)과 마찬가지로 할 수가 있다.
양대전 적층형 감광체에 있어서는, 전하 발생층(3)의 정공 수송 재료로서,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시키고, 전하 발생층(3)의 수지 바인더로서, 상기 일반식 (1) 및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 전하 발생층(3)의 첨가제로서 상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중 적어도 1종을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전하 수송층(4)에도, 첨가재로서 구조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형 또는 단층형의 어느 감광층 내에나, 상기 첨가제에 추가하여, 내(耐)환경성이나 유해한 광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산화 방지제나 광 안정제 등의 열화(劣化) 방지제를 함유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이용되는 화합물로서는, 토코페롤 등의 크로마놀 유도체 및 에스테르화 화합물, 폴리 아릴 알칸 화합물, 하이드로 퀴논 유도체, 에테르화 화합물, 디에테르화 화합물,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티오에테르 화합물, 페닐렌 디아민 유도체, 포스폰산 에스테르, 아인산 에스테르, 페놀 화합물, 힌다드페놀 화합물, 직쇄(直鎖) 아민 화합물, 환상(環狀) 아민 화합물, 힌다드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감광층 내에는, 형성한 막의 레벨링성(leveling property)의 향상이나 윤활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하여, 실리콘 오일이나 불소계 오일 등의 레벨링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막 경도(硬度)의 조정, 마찰 계수의 저감, 윤활성의 부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산화 규소(실리카),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산화칼슘, 산화 알류미늄(알루미나), 산화 지르코늄 등의 금속 산화물, 황산바륨, 황산칼슘 등의 금속 황화물, 질화 규소, 질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질화물 미립자, 또는, 4 플루오르화 에틸렌 수지 등의 불소계 수지 입자, 불소계 빗형 그래프트 중합 수지 등을 함유시켜도 무방하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 전자 사진 특성을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광체의 제조 방법은, 도전성 기체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도포액으로서,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와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 및 상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이용한다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도포액에는, 침지 도포법 또는 분무 도포법 등의 각종 도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도포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각종 머신 프로세스에 적용함으로써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롤러나, 브러시를 이용한 접촉 대전 방식, 코로트론, 스코로트론 등을 이용한 비접촉 대전 방식 등의 대전 프로세스, 및 비자성 1성분, 자성 1성분, 2 성분 등의 현상 방식을 이용한 접촉 현상 및 비접촉 현상 방식 등의 현상 프로세스에 있어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일례로서, 도 2에,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탑재한 전자 사진 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60)는, 도전성 기체(1)와, 그 외주면 상에 피복된 언더코트층(2) 및 감광층(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7)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사진 장치(60)는, 감광체(7)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롤러 대전 부재(21)와, 상기 롤러 대전 부재(21)에 인가 전압을 공급하는 고압 전원(22)과, 이미지(像) 노광 부재(23)와, 현상 롤러(241)를 구비한 현상기(24)와, 급지(給紙) 롤러(251) 및 급지 가이드(252)를 구비한 급지 부재(25)와, 전사 대전기(직접 대전형)(26)와, 클리닝 블레이드(271)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27)와, 제전(除電)부재(28)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장치(60)는, 컬러 프린터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양태를,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코올 가용성 나일론(토오레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CM8000」) 3질량부와, 아미노실란 처리된 산화 티탄 미립자 7질량부를, 메탄올 90 질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도포액(A)을 조제하였다. 도전성 기체(1)로서의 외부 지름 30 mm의 알루미늄제 원통의 외주에, 상기 도포액(A)을 침지 도포하고, 온도 10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막두께 3㎛의 언더코트층(2)을 형성하였다.
전하 발생 재료로서의 Y형 티탄일 프탈로시아닌 1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세키스이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에스렉 KS-1」) 1.5 질량부를 디클로로 메탄 60 질량부에 용해, 분산시켜, 도포액(B)을 조제하였다. 상기 언더 코트층(2)상에, 상기 도포액(B)을 침지 도포하고, 온도 8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막두께 0.25㎛의 전하 발생층(3)을 형성하였다.
전하 수송 재료로서의 상기 식 (3-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70 질량부와, 수지 바인더로서의 하기 식,
Figure pct00011
으로 나타내어지는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수지(1), 점도 평균 분자량 40000) 130 질량부와, 상기 화학식 (6-1)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 10 질량부를, 디클로로 메탄 1000 질량부에 용해하여, 도포액(C)을 조제하였다. 상기 전하 발생층(3) 상에, 도포액(C)을 침지 도포하고, 온도 90℃로 60분간 건조하여, 막두께 25㎛의 전하 수송층(4)을 형성하여, 음대전 적층형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상기 화학식 (6-1)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상기 화학식 (6-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지(1)의 분자량을 50000으로 바꾸고, 첨가제의 양을 0.2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1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2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1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2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3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4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상기 화학식 (6-1)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상기 화학식 (6-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1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2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1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2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3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첨가제의 양을 4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5에 있어서, 또한 상기 화학식 (6-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2 질량부 추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6에 있어서, 또한 상기 화학식 (6-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10 질량부 추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7에 있어서, 또한 상기 화학식 (6-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20 질량부 추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수지(1)의 양을 140 질량부로 변경하고, 전하 수송 재료의 양을 6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수지(1)의 양을 140 질량부로 변경하고, 전하 수송 재료의 양을 6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수지(1)의 양을 110 질량부로 변경하고, 전하 수송 재료의 양을 9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수지(1)의 양을 110 질량부로 변경하고, 전하 수송 재료의 양을 9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지(1)의 분자량을 6000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수지(1)의 분자량을 6000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4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5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7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8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9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7)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9)
실시예 14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0)
실시예 15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1)
실시예 16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2)
실시예 17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3)
실시예 18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4)
실시예 19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5)
실시예 20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0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6)
실시예 21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7)
실시예 22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8)
실시예 23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9)
실시예 24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4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0)
실시예 25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지(1)를 하기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수지(2)(점도 평균 분자량 500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12

(실시예 52)
실시예 51에서 사용한 상기 화학식 (6-1)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상기 화학식 (6-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3)
실시예 51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4)
실시예 52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2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지(1)를 하기 구조식으로 나타내는 수지(3)(점도 평균 분자량 500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56)
실시예 55에서 사용한 상기 화학식 (6-1)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상기 화학식 (6-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7)
실시예 55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8)
실시예 56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4-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지를 하기 구조식에으로 나타내는 수지(4)(점도 평균 분자량 500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14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수지를 수지(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26에서 사용한 수지를 수지(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27에서 사용한 수지를 수지(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7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1에서 사용한 수지를 하기 구조식으로 나타내는 수지(5)(점도 평균 분자량 5000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15

(비교예 6)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수지를 수지(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3에서 사용한 수지를 수지(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8)
비교예 4에서 사용한 수지를 수지(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4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6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하기 구조식 (9)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16
(비교예 10)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전하 수송 재료를 상기 식 (9)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6에 있어서, 첨가제를 추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35에 있어서, 첨가제를 추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9)
실시예 6의 첨가제의 양을 5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0)
실시예 35의 첨가제의 양을 5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5와 같은 방법으로, 감광체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감광체의 평가>
상술한 실시예 1~60 및 비교예 1~12에서 제작한 감광체의 전기 특성, 실기(實機) 특성 및 솔벤트 크랙에 대한 내성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중에 나타낸다.
<전기 특성>
실시예 1~60 및 비교예 1~12에서 제작한 감광체에 대해, 온도 22℃, 습도 50%의 환경에서, 감광체의 표면을 어두운 곳에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650V로 대전시킨 후, 대전 직후의 표면 전위(V0)를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어두운 곳에서 5초간 방치한 후, 표면 전위(V5)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1),
Vk5 = V5/V0×100 (1)
에 따라, 대전 후 5초 후에 있어서의 전위 유지율(Vk5)(%)을 구하였다. 다음으로, 할로겐 램프를 광원으로 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780nm로 분광한 1.0㎼/㎠의 노광 광을, 감광체에, 표면 전위가 -600V가 된 시점부터 5초간 조사하여, 표면 전위가 -300V가 될 때까지 광 감쇠하는데 필요로 하는 노광량을 E1 /2(μJ/㎠), 노광 후 5초 후의 감광체 표면의 잔류 전위를 Vr5(-V)로 하여 평가하였다.
<광 응답성>
실시예 1~60 및 비교예 1~12에서 제작한 감광체에 대해, 온도 5℃, 습도 10%의 환경에서, Cynthia 93을 이용하여, 감광체의 표면을 어두운 곳에서-800V로 대전시킨 후, 감광체를 회전시키고(167 rpm), 0.35μJ/㎠의 광량으로의 노광을 실시하여, 노광으로부터 30 ms 후 및 90 ms 후의 위치가 되도록 표면 전위계를 배치하고, 표면 전위의 측정을 행하였다. 90 ms 후와 30 ms 후의 표면 전위의 차를 응답성으로서 평가하였다.
<실기(實機) 특성>
실시예 1~60 및 비교예 1~12에서 제작한 감광체에 대해, 감광체의 표면 전위도 측정할 수 있도록 개조한 HP제(製) 프린터 LJ4250에 탑재하고, 저온저습(LL)으로부터 고온 고습(HH)까지의 사용 환경마다 감광체의 노광부 전위를 평가하였다. 또, 화상 평가(메모리 평가)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60 및 비교예 1~12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감광체의 표면 전위도 측정할 수 있도록 개조를 실시한, 2 성분 현상 방식의 디지털 복사기(캐논사 제품, image Runner color 2880)에 탑재하고, 또한 A4용지 10000매를 인자하여, 인자 전후의 노광부 전위(VL)를 측정함으로써 전위 안정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감광체의 막두께를 측정하여, 인자(印字) 후의 마모량(㎛)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동시에 화상 평가(메모리 평가)도 실시하였다.
또한, 화상 평가는, 전반(前半) 부분에 체커 플래그 모양, 후반 부분에 하프 톤을 실시한 화상 샘플의 인자 평가에 있어서, 하프톤 부분에 체커 플래그가 비치는 메모리 현상의 유무를 판독함으로써 행하였다. 결과는, 메모리가 관찰되지 않은 것에는 ○를, 메모리가 약간 관찰된 것에는 △를, 메모리가 명확하게 관찰된 것에는 ×를 표시하고, 원래의 화상과 농담(濃淡)이 동일하게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포지티브)의 판정, 원래의 화상과 농담이 반대로, 즉, 반전되어 화상이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네거티브)의 판정을 실시하였다.
<솔벤트 크랙에 대한 내성>
상기 실기 특성의 평가와 같은 조건에서, 실시예 1~60 및 비교예 1~12에 있어서 제작한 감광체를 이용하여 10매 인자한 후, 각 감광체를 케로신(kerosene)에 60분간 침지시켰다. 그 후, 다시 동일 조건 하에서 백지를 인쇄하여, 크랙에 의해 생기는 인자 문제(검은 줄)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화상의 검은 줄이 있는 경우를 ○, 없는 경우를 ×로서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를 하기의 표 중에 각각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의 조합을 사용했을 경우, 초기의 전기 특성에 대해, 비교예 1~10에 비해 고감도 및 저잔류 전위가 실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는 비교예 11, 12에 비해서도, 본 발명에 관한 첨가제를 사용함에 따른 커다란 초기 감도의 변동은 거의 볼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의 조합을 사용했을 경우, 전위나 화상의 환경 의존성이 작아지고, 특히, 저온 저습에서의 메모리가 크게 개선되는 것이 분명해졌다.
더욱이, 상기 표 중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한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의 조합을 사용했을 경우, 초기의 전기 특성 및 각 환경에서의 전위 특성이 양호하고, 인쇄를 견딜 때에 있어서, 장치 내의 오존이나 NOx 등의 영향 없이 안정적인 전위 추이를 나타내고 있어, 전위 변화나 막 깎임량이 저감되는 동시에, 솔벤트 크랙에 대한 내성이 양호하게 얻어짐이 확인되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전기 특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마모량이 적은 뛰어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1; 도전성 기체(基體)
2; 언더코트층
3; 전하 발생층
4; 전하 수송층
5; 단층형 감광층
7; 감광체
21; 롤러 대전 부재
22; 고압 전원
23; 이미지(像) 노광 부재
24; 현상기
241; 현상 롤러
25; 급지(給紙) 부재
251; 급지 롤러
252; 급지 가이드
26; 전사 대전기(직접 대전형)
27; 클리닝 장치
271; 클리닝 블레이드
28; 제전(除電) 부재
60; 전자 사진 장치
300; 감광층

Claims (13)

  1. 도전성 기체(基體) 상에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로서,
    상기 감광층이, 적어도 수지 바인더, 전하 수송 재료 및 첨가제를 함유하고, 상기 수지 바인더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와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전하 수송 재료가 하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첨가제가 하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Figure pct00029


    (일반식 (1) 중, R1 및 R2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탄소 수 1~12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 탄소 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이며, c는 0~4의 정수(整數)이고, X는, 단일 결합, -O-, -S-, -SO-, -CO-, -SO2- 또는 -CR3R4-(R3 및 R4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이다), 탄소수 5~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시클로알킬리덴기, 탄소수 2~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α, ω 알킬렌기, -9,9-플루오레닐리덴기,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렌기, 또는, 탄소수 6~12의 아릴기 혹은 아릴렌기를 함유하는 2가(價)의 기이며, m, n은 각 모노머의 몰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30


    (일반식 (3) 중, R5 및 R6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 또는, 메톡시기이고, Ar1, Ar2, Ar3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이다)
    Figure pct00031


    (일반식 (4) 중, R7, R8, R9 및 R10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이다)
    Figure pct00032


    (일반식 (5) 중, R11, R12, R13, R14 및 R15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이다)
    Figure pct00033


    (일반식 (6) 중, A는 하기의 식 (7) 중의 어느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기이며, B는 하기의 식 (8) 중의 어느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기이다)
    Figure pct00034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감광체의 최(最)표면층을 이루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이,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전하 수송층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상기 스틸벤 화합물 및 상기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중,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또한, X가 시클로헥실리덴기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물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 비가, 15 몰% 이상 90 몰% 이하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스테르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감광층의 고형분의 전량(全量)에 대해, 0.05 질량%~20 질량%인 전자 사진용 감광체.
  7. 도전성 기체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포액으로서,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와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의 공중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하기 일반식 (3), (4) 또는 (5)로 나타내어지는 스틸벤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 및 하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디에스테르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5


    (일반식 (1) 중, R1 및 R2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이며, c는 0~4의 정수이고, X는, 단일 결합, -O-, -S-, -SO-, -CO-, -SO2- 또는 -CR3R4-(R3 및 R4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이다), 탄소수 5~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시클로 알킬리덴기, 탄소수 2~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α, ω 알킬렌기, -9,9-플루오레닐리덴기,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렌기, 또는, 탄소수 6~12의 아릴기 혹은 아릴렌기를 함유하는 2가(價)의 기이며, m, n은 각 모노머의 몰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36


    (일반식 (3) 중, R5 및 R6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 또는, 메톡시기이고, Ar1, Ar2, Ar3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릴기이다)
    Figure pct00037


    (일반식 (4) 중, R7, R8, R9 및 R10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이다)
    Figure pct00038


    (일반식 (5) 중, R11, R12, R13, R14 및 R15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수소 원자,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킬기이다)
    Figure pct00039


    (일반식 (6) 중, A는 하기의 식 (7) 중의 어느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기이며, B는 하기의 식 (8) 중의 어느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유기기이다)
    Figure pct00040
  8. 제 1항에 기재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장치.
  9. 제 2항에 기재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장치.
  10. 제 3항에 기재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장치.
  11. 제 4항에 기재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장치.
  12. 제 5항에 기재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장치.
  13. 제 6항에 기재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장치.
KR20147025050A 2012-04-20 2012-04-20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 KR20150004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0784 WO2013157145A1 (ja) 2012-04-20 2012-04-20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794A true KR20150004794A (ko) 2015-01-13

Family

ID=4938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5050A KR20150004794A (ko) 2012-04-20 2012-04-20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54665B2 (ko)
JP (1) JP5871061B2 (ko)
KR (1) KR20150004794A (ko)
CN (1) CN104169803B (ko)
TW (1) TWI599860B (ko)
WO (1) WO20131571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525A1 (ko) * 2017-06-30 2019-01-0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밀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3229A1 (ja) * 2016-06-30 2018-01-0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子写真装置
JP6558334B2 (ja) * 2016-09-27 2019-08-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812959B2 (ja) * 2017-04-28 2021-01-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784238B2 (ja) * 2017-07-21 2020-11-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825586B2 (ja) * 2018-01-31 2021-02-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825584B2 (ja) * 2018-01-31 2021-02-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825585B2 (ja) * 2018-01-31 2021-02-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187958B2 (ja) 2018-10-09 2022-12-13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子写真装置
US11086245B2 (en) * 2019-12-26 2021-08-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cartridge se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6853A (ja) 1983-05-20 1984-12-06 Ricoh Co Ltd スチルベ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JPS60175052A (ja) * 1984-02-21 1985-09-09 Ricoh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US4606988A (en) * 1984-02-21 1986-08-19 Ricoh Company, Ltd. Styryl derivatives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comprising one styryl derivative
JPS6162040A (ja) 1984-09-04 1986-03-29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3273256A (ja) 1990-03-23 1991-12-04 Idemitsu Kosan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JP2531852B2 (ja) 1990-11-15 1996-09-04 出光興産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H0895264A (ja) * 1994-09-28 1996-04-12 Konica Corp 電子写真感光体
US6677091B2 (en) * 2001-03-22 2004-01-13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2004085644A (ja) 2002-08-23 2004-03-18 Mitsubishi Gas Chem Co Inc 電子写真感光体
JP4093917B2 (ja) * 2003-05-29 2008-06-04 出光興産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4544038B2 (ja) * 2005-06-01 2010-09-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該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有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798494B2 (ja) * 2006-04-07 2011-10-19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47245B2 (ja) * 2007-06-28 2013-11-20 三菱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007971B2 (en) * 2008-06-30 2011-08-30 Xerox Corporation Tris(enylaryl)amine containing photoconductors
JP2010277991A (ja) * 2009-04-28 2010-12-0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
JP5477625B2 (ja) * 2009-09-10 2014-04-23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WO2011092850A1 (ja) * 2010-01-29 2011-08-04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WO2011108064A1 (ja) * 2010-03-01 2011-09-09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46326B2 (ja) 2010-07-21 2013-11-20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4948670B2 (ja) * 2010-10-14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装置および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WO2012077206A1 (ja) * 2010-12-09 2012-06-1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525A1 (ko) * 2017-06-30 2019-01-0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밀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54665B2 (en) 2019-04-09
CN104169803A (zh) 2014-11-26
TW201351073A (zh) 2013-12-16
JPWO2013157145A1 (ja) 2015-12-21
WO2013157145A1 (ja) 2013-10-24
US20140369715A1 (en) 2014-12-18
TWI599860B (zh) 2017-09-21
CN104169803B (zh) 2018-09-04
JP5871061B2 (ja)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4794A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
JP655849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KR101645781B1 (ko) 전자사진용 감광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72972A1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TWI476546B (zh) A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7180717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KR20160103970A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그 제조방법 및 전자 사진 장치
WO2009133747A1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77441B2 (ja) 電子写真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KR101525655B1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6741165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6311839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CN109643073B (zh) 电子照相感光体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了电子照相感光体的电子照相装置
WO2019142342A1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1066805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US20040180279A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187958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子写真装置
KR101808815B1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