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102A -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102A
KR20140145102A KR20140149924A KR20140149924A KR20140145102A KR 20140145102 A KR20140145102 A KR 20140145102A KR 20140149924 A KR20140149924 A KR 20140149924A KR 20140149924 A KR20140149924 A KR 20140149924A KR 20140145102 A KR20140145102 A KR 2014014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distal end
longitudinal direction
end port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고마츠바라
하지메 미치히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05D1/265Extrusion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05C5/0266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adjustable in length, e.g. for coating webs of different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 코터에 구비된 2개의 다이 블록에 협지되는 심 부재로서,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이의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연장부로 상기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의 선단부,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의 전부인 제1 부분과, 상기 기단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이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심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SHIM MEMBER, DIE CO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AT FILM}
본 발명은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포 장치의 하나로서, 도포액을 토출하는 슬롯을 다이에 구비한 다이 코터가 알려져 있다. 그 다이 코터는, 공급된 도포액을 슬롯으로부터 압출함과 함께, 필름 등의 기재를 그 슬롯에 근접시켜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재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다이 코터에서는, 용도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상이한 도포 폭으로, 기재에 대하여 도포가 행하여지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와 같이 도포 폭이 상이한 복수의 다이 코터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낭비가 많다.
그래서, 2개의 다이 블록과 복수의 심 부재를 구비하고, 심 부재를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캐비티와 슬롯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다이 코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다이 코터에 의하면,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심 부재를, 그 심 부재와는 도포 폭이 상이한 심 부재로 교환함으로써, 도포 폭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8227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다이 코터에서는, 도포 폭을 변경할 때마다 다이 코터를 분해하여 심 부재를 다이 코터로부터 제거하고, 이것과는 도포 폭이 상이한 심 부재를 다시 부착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도포 폭의 변경 작업이 번잡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이 코터에 있어서의 도포 폭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 부재는, 다이 코터에 구비된 다이의 선단부에 도포액의 토출구인 슬롯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이가 갖는 대향해서 배치된 2개의 다이 블록에 협지되어 상기 슬롯측으로 개구되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심 부재로서,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다이의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연장부로 상기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의 선단부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의 전부인 제1 부분과, 상기 기단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이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의 선단부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의 전부인 제1 부분과, 기단부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이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부분을 상대 이동시켜, 도포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제1 부분용 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그 복수의 제1 부분용 부재로부터 하나의 부재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제1 부분을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부분용 부재를 교환함으로써, 도포 폭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 코터를 분해하지 않고, 도포 폭을 원하는 폭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포 폭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슬롯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심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 도포 폭을 원하는 폭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포 폭의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부이며, 그 선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선단부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선단부를 상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도포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용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부재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선단부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선단부용 부재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도포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 폭의 변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선단부가, 상기 슬롯의 개구측을 향하여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상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기재 등에 도포된 도포막의 두께를, 보다 확실하게 폭 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형상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분용 부재가 각각 복수 구비되어 있고, 그 복수의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그 복수의 부재로부터 하나의 부재가 선택 사용되어 상기 제1 부분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사용되는 부재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부재를 교환하여 제1 부분을 구성하는 것만으로, 도포 폭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도포 폭의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 코터는, 상기 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포막의 제조 방법은, 기재 상에 도포막을 제작하는 도포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를 사용하고,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슬롯으로부터 상기 도포액을 토출하여 상기 기재 상에 상기 도포막을 제작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포막의 제조 방법은, 기재 상에 도포막을 제작하는 도포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를 사용하고, 상기 복수의 부재로부터 선택 사용한 부재를 다른 부재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슬롯으로부터 상기 도포액을 토출하여 상기 기재 상에 상기 도포막을 제작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포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교환한 상기 부재를, 더욱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 코터에 있어서의 도포 폭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다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다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b는 도 2의 다이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4a는 도 3의 다이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
도 4b는 도 4a의 제1 다이 블록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4c는 도 4a의 심 부재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4d는 도 4a의 제2 다이 블록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5a는 심 부재에 의해 도포 폭이 비교적 좁게 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5b는 심 부재에 의해 도포 폭이 비교적 넓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6a는 제1 부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6b는 제1 부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6c는 제1 부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6d는 제1 부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6e는 제1 부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7은 다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8a는 제1 다이 블록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8b는 제1 다이 블록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9a는 제1 부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9b는 제1 부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10a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제1 부분용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10b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제1 부분용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11a는 본 실시 형태의 심 부재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제1 부분용 부재가 선택 사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11b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제1 부분용 부재가 선택 사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12a는 본 실시 형태의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에 있어서의 다이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제1 다이 블록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12c는 도 12a의 심 부재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12d는 도 12a의 제2 다이 블록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13a는 제1 부분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3b는 제1 부분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a는 본 실시 형태의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에 있어서의 다이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
도 14b는 도 14a의 제1 다이 블록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14c는 도 14a의 심 부재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14d는 도 14a의 제2 다이 블록의 개략적인 상면도.
도 15a는 본 실시 형태의 심 부재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제1 부분용 부재가 선택 사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15b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제1 부분용 부재가 선택 사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16a는 제1 부분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6b는 제1 부분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심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로서, 도포 폭이 비교적 좁게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심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로서, 도포 폭이 비교적 넓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심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19는 참고예에서 사용한 일 실시 형태의 심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면도.
도 20은 도포막의 폭 방향 위치와 두께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이 코터(1)는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2개의 다이 블록)을 갖는 다이(2)와, 2개의 다이 블록에 협지되어 상기 슬롯(10) 측으로 개구되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심 부재(3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다이 코터(1)는 예를 들어 롤러 부재(53)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기재(51) 상에 도포액(5)을 토출함으로써, 상기 기재(51) 상에 도포막(55)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이(2)는 그 선단부에 슬롯(10)이 형성되도록 대향해서 배치된 제1 다이 블록(2a) 및 제2 다이 블록(2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다이 블록(2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가 제2 다이 블록(2b)으로 막힘으로써, 도포액(5)이 공급되는 캐비티(22)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캐비티(22)와 슬롯(10)은 연통되어 있고, 캐비티(22)로부터 슬롯(10)으로 도포액(5)이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에는 각각, 볼트(47)가 나사 삽입되는 나사 구멍(41, 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이 대향 배치됨으로써 이들 오목부가 합장한 캐비티(22)가 형성되어도 된다.
캐비티(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하나의 단부(22a)에는, 도포액(5)이 공급되도록 제1 다이 블록(2a)에 형성된, 급액 포트(25)가 연통되어 있고, 그 급액 포트(25)를 거쳐서 도포액(5)이 캐비티(22)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캐비티(22)에 공급된 도포액(5)은 상기 하나의 단부(22a)로부터 다른 단부(22b)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슬롯(10)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급액 포트(25)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비티(22)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비티(2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1개씩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심 부재(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이하, 2개의 다이 블록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협지됨으로써, 개구(10a)로부터 도포액(5)을 토출하는 슬롯(10)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심 부재(30)는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기단부(31)와, 그 상기 기단부(31)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개구(10a) 측을 향해서(즉, 다이(2)의 선단부를 향해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연장부(33)로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31)는 상기 제1 다이 블록(2a)의 오목부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의 단부 모서리(도 3b의 좌우 방향)를 따라 배치되고, 2개의 연장부(33)는 상기 오목부에 있어서의 짧은 방향(도 3b의 상하 방향)의 단부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고, 이들이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캐비티(22)의 벽면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심 부재(30)는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선단부(34),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전부인 제1 부분(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과, 기단부(31)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31) 및 잔부(35))이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 부재(30)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기단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심 부재(30)로서 コ자 형상으로 배치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면이, 기단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쪽의 연장부(33)의 선단부(34)가 제1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연장부(33)는 각각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단부(31)와 평행하게, 또한, 적어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34)를 갖고 형성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연장부(33)의 양쪽의 선단부(34)가 제1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34)를 갖고,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34)가 제1 부분으로 되어 있다(도 3b 참조). 이와 같이, 선단부(34)의 일부가 다이 블록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이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34)를 갖고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연장부(33)에 있어서의 기단부(31) 측의 잔부(35)는 기단부(31)와 불가분의 일체물로 되어 있고, 상기 일체물이 제2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1매의 심 부재(30)를 예를 들어 커터 등의 공지된 절단 방법을 사용하여 절단함으로써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1매의 판상의 재료로부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각각 펀칭함으로써 형성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2개의 선단부(34)(제1 부분)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슬롯(10)이 형성되게 되어 있고, 이러한 2개의 선단부(34)의 간격은, 도포 폭 W를 결정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하여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들 선단부(34)는 연장부(33)의 잔부(35)의 개구측 선단부(35a)에 각각 접촉되어 있고, 또한, 개구측 선단부(35a)에 대하여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즉, 제2 부분에 대하여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2개의 선단부(34)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일체물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선단부(34)를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근접하도록 한 쌍의 연장부(33)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시켰을 때에는, 도포 폭 W를 비교적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멀어지도록 한 쌍의 연장부(33)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시켰을 때에는, 도포 폭 W를 비교적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선단부(34)의 한쪽만을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선단부(34)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이며 코너부가 모따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이며, 코너부가 R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그 밖에, 도 6c 내지 도 6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가 개구(10a)(도 3 및 도 4 참조) 측을 향하여 도포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즉, 개구(10a)(도 3 및 도 4 참조) 측을 향하여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34a)가 이렇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포막(55)의 두께를, 보다 확실하게, 슬롯(1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기재(21) 상에 도포액(5)이 도포되었을 때, 그 표면 장력에 의해, 도포액(5)의 폭 방향 양단부가 말리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그 양단부가 중앙측보다도 융기된 상태로 된다.
이 점에 관하여, 선단부(34)가 개구(10a) 측을 향하여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상이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캐비티(22)로부터 슬롯(10)에 유입된 도포액(5)은 슬롯(10)의 개구(10a) 측에 있어서, 폭 방향 외측으로 확산된다. 이렇게 확산되는 분만큼, 양단부의 융기가 저감되게 된다. 이에 의해, 기재(21) 상에 도포된 도포액(5)의 폭 방향 양단부의 두께를, 중앙측에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포막(55)의 두께를, 보다 확실하게 폭 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20 참조).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31)에는,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을 체결할 때 볼트(47)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심 부재(30)가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 사이에 끼워져서, 이들이 볼트(47)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심 부재(30)가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심 부재(30)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잔부(35)와 선단부(34) 사이로부터, 또는, 심 부재(30)와, 제1 다이 블록(2a) 및 제2 다이 블록(2b) 사이로부터, 도포액(5)이 누설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한 심 부재(30)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플라스틱 필름, 스테인리스(SUS)나 놋쇠 등의 금속박을 들 수 있다. 또한, 심 부재(30)는 1매의 판에서 잘라내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1매의 판에서 잘라내져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심 부재(30)를 구성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이에 의해, 도포액(5)의 누설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선단부(34)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34)의 짧은 방향의 길이는 슬롯(10)의 짧은 방향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34)의 짧은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롯(10)의 짧은 방향의 길이 보다도 짧아도 되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길이 보다도 길어도 된다.
또한, 연장부(33)에 있어서의 잔부(35)의 짧은 방향의 길이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선단부(34)의 짧은 방향의 길이에 맞추어, 캐비티(22)의 짧은 방향의 길이 보다도 길어도 되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비티(22)의 짧은 방향의 길이 보다도 짧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심(30)이 다이(2)에 장착되었을 때, 제1 부분에 있어서의 개구(10a) 측의 단부 모서리(여기서는 2개의 선단부(34)의 단부 모서리)가, 제1 다이 블록(2a) 및 제2 블록(2b)에 있어서의 개구(10a) 측의 양쪽 단부 모서리(양쪽 선단 모서리)와 편평하게 되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들 양쪽 단부 모서리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들 양쪽 단부 모서리보다도 내측으로 물러나게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심 부재(30)가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47)로 체결함으로써, 심 부재(30)를 2개의 선단부(34)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도포 폭 W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도포액(5)이 슬롯(10)으로부터 토출되게 되어 있다.
도포 폭 W를 변경할 때에는, 볼트(47)를 풀고, 2개의 선단부(34)의 고정을 해제시킨다. 계속해서, 이들 선단부(34)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이동시켜서 도포 폭 W를 원하는 폭으로 변경한 후, 다시, 볼트(47)를 조인다. 이에 의해,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 부재(30)를 제거하지 않고,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분용 부재가, 각각 복수 구비되어 있고, 그 복수의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그 복수의 부재로부터 하나의 부재가 선택 사용되어 상기 제1 부분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사용되는 부재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심 부재(30)는 제1 부분용 부재(여기서는 선단부(34)용의 선단부용 부재(70))가 각각 복수 구비되어 있다(도 10 참조). 상기 복수의 선단부용 부재(70)는 제1 부재(여기서는 선단부(34))로서 사용했을 때의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선단부용 부재(70)로부터 하나의 선단부용 부재(70)가 선택 사용되어 상기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이 구성되어 있다(도 11a 또는 도 11b 참조), 또한, 사용되는 선단부용 부재(70)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복수의 선단부용 부재(70)는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L1인 선단부용 부재(70)와,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L2인 선단부용 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볼트(47)(도 4a 참조)를 사용하여, 기단부(31) 및 선단부용 부재(70)가 고정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1인 선단부용 부재(70)(도 11a 참조)가 선택 사용되고,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선단부(34)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 상태로부터, 볼트(47)를 풀어줌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선단부용 부재(7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이 해제 상태에서,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상기 선단부용 부재(70)를 다이(2)의 측방(기단부(3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이(2)의 한쪽 또는 양쪽의 외측)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거한 상기 선단부용 부재(70) 대신에, 예를 들어,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2인 선단부용 부재(70)를 선택하고,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삽입하고, 연장부(33)의 잔부(35)의 개구측 선단부(35a)에 접촉시킨다(도 11b 참조). 이 상태에서 볼트(47)를 조임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선단부용 부재(70)를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부(34)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1인 선단부용 부재(70)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2인 선단부용 부재(70)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교환에 의해, 도포 폭 W를 좁게 할 수 있다(도 11b 참조).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2인 선단부용 부재(70)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1인 선단부용 부재(70)로 교환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도포 폭 W를 넓게 할 수 있다(도 11a 참조). 이와 같이, 선단부용 부재(70)를 교환함으로써,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교환한 제1 부분용 부재(여기서는 상기 길이 L1 또는 L2를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를 다시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다(도 11a 또는 도 11b의 파선 화살표 참조).
상기에서는, 심 부재(30)가 볼트(47)를 사용하여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심 부재(30)가, 그 밖에 예를 들어 압박 볼트(49)(도 12 내지 도 16 참조)를 사용하여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볼트(47)에 의해, 기단부(31) 및 선단부(34)가 고정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2 다이 블록(2b) 측에서 제1 다이 블록(2a)를 가압함으로써,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의 간격을 조정 가능한 압박 볼트(49)를 구비하고, 그 압박 볼트(49)의 가압력에 의해, 상대 이동 가능한 선단부(34)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다.
즉, 제2 다이 블록(2b)에는, 압박 볼트(49)가 나사 삽입되는 나사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34)에는, 압박 볼트(49)가 관통되는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50)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 구멍(50) 내에 압박 볼트(49)가 관통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단부(34)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압박 볼트(49)는 제2 다이 블록(2b)의 나사 구멍(48)에 비틀어 박아짐으로써, 선단부(34)의 관통 구멍(50)을 관통하고, 그 선단(49a)이 제1 다이 블록(2a)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압박 볼트(49)에 의한 제1 다이 블록(2a)의 가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볼트(47)에 의한 체결력에 의해 선단부(34)가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되어 있다(도 13a 참조).
이 상태로부터, 압박 볼트(49)를 조임으로써, 선단(49a)이 제1 다이 블록(2a)을 가압할 수 있고, 이 가압력에 대한 반작용에 의해, 제2 다이 블록(2b)에 있어서의 개구(10a) 측이, 상기 볼트(47)에 의한 체결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게 되어 있다(도 13b 참조). 이에 의해, 개구(10a) 측에 있어서 제1 다이 블록(2a) 및 제2 다이 블록(2b)의 간격이 넓어져서 선단부(34)의 고정이 해제되고, 그 선단부(34)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기단부(31)는 볼트(47)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34)의 고정만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압박 볼트(49)를 풀어줌으로써, 선단(49a)에 의한 제1 다이 블록(2a)의 가압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선단부(34)를 볼트(47)에 의한 체결력에 의해,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 부재(30)가 압박 볼트(49)에 의해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압박 볼트(49)를 조이거나, 또는 푸는 것만으로, 제1 부분의 고정만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도포 폭 W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심 부재(30)가 압박 볼트(49)를 사용하여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구성으로서는, 상기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 외에,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47)에 의해, 기단부(31) 및 선단부(34)(또는 선단부용 부재(70))가 고정되게 되어 있다. 한편, 선단부(34)(또는 선단부용 부재(7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관통 구멍(50)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 다이 블록(2b) 측으로부터 제1 다이 블록(2a)을 가압함으로써,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의 간격을 조정 가능한 압박 볼트(4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압박 볼트(49)의 가압력에 의해, 상대 이동 가능한 선단부(34)(또는 선택 사용 가능한 선단부용 부재(70))의 고정 상태와 고정 해제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33)의 잔부(35)에는, 압박 볼트(49)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73)이 형성되어 있고, 압박 볼트(49)는 제2 다이 블록(2b)의 나사 구멍(48)을 관통하고, 또한 잔부(35)의 관통 구멍(73)을 관통하여, 그 선단(49a)이 제1 다이 블록(2a)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선단부(34)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가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에서, 압박 볼트(49)를 비틀어 조인다. 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10a) 측에 있어서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의 간격이 넓어져서 선단부(34)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선단부(34)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도 14c의 파선 화살표 참조). 한편, 압박 볼트(49)를 풀어줌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를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선단부용 부재(70)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선단부용 부재(70)를 선택 사용하여 제1 부분을 구성시킨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심 부재(30)가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1인 선단부용 부재(70)(도 15a 참조)가 선택 사용되고,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선단부(34)가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압박 볼트(49)를 비틀어 박음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용 부재(7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의 상기 선단부용 부재(70)를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거한 상기 선단부용 부재(70) 대신에 예를 들어,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2인 선단부용 부재(70)를 선택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연장부(33)의 잔부(35)의 개구측 선단부(35a)와 접촉시키고(도 15b 참조), 이 상태에서 압박 볼트(49)를 풀어준다. 이에 의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선단부용 부재(70)를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부(34)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1인 선단부용 부재(70)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2인 선단부용 부재(70)로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선단부용 부재(70)를 교환할 때는, 상기 선단부용 부재(70)를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빼고 넣어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2인 선단부용 부재(70)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L1인 선단부용 부재(70)로 교환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교환한 제1 부분용 부재(여기서는 상기 길이 L1 또는 L2를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를 또한,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다(도 15a 또는 도 15b의 파선 화살표 참조).
계속해서, 상기 다이 코터(1)를 사용한 도포막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포막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기재(51) 상에 도포막(55)을 제작하는 도포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이 제2 부분(여기서는, 기단부(31) 및 잔부(35))에 대하여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심 부재(30)를 구비한 다이 코터(1)를 사용하고(도 1 참조), 선단부(34)를 기단부(31) 및 잔부(35)에 대하여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을 변경하는 단계와, 슬롯(10)으로부터 도포액(5)을 토출하여 기재(51) 상에 도포막(55)을 제작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좁게 할 때에는,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선단부(34),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전부인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을 한 쌍의 연장부(33)의 내측을 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고,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넓게 할 때에는, 선단부(34)를 한 쌍의 연장부(33)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즉,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좁게 할 때에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선단부(34) 중 어느 쪽인가 적어도 한쪽을, 한 쌍의 연장부(33)가 근접하는 측을 향하여, 즉, 한 쌍의 연장부(33)의 내측(도 5a의 화살표 방향)을 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한편,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넓게 할 때에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선단부(34) 중 어느 한쪽을, 한 쌍의 연장부(33)가 이격되는 측을 향하여, 즉, 한 쌍의 연장부(33)의 외측(도 5b의 화살표 방향)을 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막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기재(51) 상에 도포막(55)을 제작하는 도포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용 부재(여기서는 선단부용 부재(70))가 각각 복수 구비되어 있고, 그 복수의 선단부용 부재(70)는 선단부(34)로서 사용했을 때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그 복수의 선단부용 부재(70)로부터 하나의 선단부용 부재(70)가 선택 사용되어 선단부(34)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사용되는 부재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심 부재(30)를 구비한 다이 코터(1)를 사용하고(도 1 참조), 상기 복수의 선단부용 부재(70)로부터 선택 사용한 선단부용 부재(70)를 다른 선단부용 부재(70)와 교환함으로써,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변경하는 단계와, 슬롯(10)으로부터 도포액(5)을 토출하여 기재(51) 상에 도포막(55)을 제작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좁게 할 때에는,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선단부(34),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전부인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용 복수의 부재(여기서는 상기 길이 L1을 갖는 선단부용 부재(70) 및 상기 길이가 L2인 선단부용 부재(70))로부터 선택 사용한 하나의 부재(여기서는 상기 길이 L1을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를, 이것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 길이가 긴 다른 부재(여기서는, 상기 길이 L2를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로 교환한다. 한편, 예를 들어,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넓게 할 때에는, 복수의 부재로부터 선택 사용한 하나의 부재(여기서는, 상기 길이 L2를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를, 이것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 길이가 짧은 다른 부재(여기서는 상기 길이 L1을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로 교환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선단부용 부재(70)를 교환할 때는, 상기 선단부용 부재(70)를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빼고 넣어 교환할 수 있다.
즉,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좁게 할 때에는, 도 11a 또는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선단부(34) 중 어느 쪽인가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 선단부용 부재(70)를 복수 구비하고(여기서는 상기 길이 L1을 갖는 선단부용 부재(70) 및 상기 길이 L2를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를 구비하고), 복수의 선단부용 부재(70)로부터 선택 사용한 하나의 선단부용 부재(70)(여기서는 상기 길이 L1을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를, 이것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 길이가 긴 다른 선단부용 부재(70)(여기서는 상기 길이 L2를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로 교환한다. 한편, 예를 들어,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넓게 할 때에는, 도 11b 또는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선단부용 부재(70)로부터 선택 사용한 하나 또는 한 쌍의 선단부용 부재(70)(여기서는 상기 길이 L2를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를, 도 11a 또는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것보다도 상기 길이 방향 길이가 짧은 다른 선단부용 부재(70)(여기서는 상기 길이 L1을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로 교환한다.
또한,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교환한 제1 부분용 부재(여기서는 상기 길이 L1 또는 L2를 갖는 선단부용 부재(70))를, 다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슬롯(10)의 길이 방향의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다(도 11a, 도 11b, 도 15a, 도 15b의 파선 화살표 참조).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심 부재(30)는 다이 코터(1)에 구비된 다이(2)의 선단부에 도포액(5)의 토출구인 슬롯(10)이 형성되도록, 다이(2)가 갖는 대향해서 배치된 2개의 다이 블록에 협지되어 슬롯(10) 측으로 개구되도록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심 부재(30)이며,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기단부(31)와, 기단부(31)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다이(2)의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연장부(33)로 상기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선단부(34),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전부인 제1 부분(선단부(34))과, 적어도 기단부(31)를 포함하는 제2 부분(기단부(31) 및 잔부(35))이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기단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선단부(34),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전부인 제1 부분과, 기단부(31)를 포함하는 나머지 부분인 제2 부분이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부분을 상대 이동시켜서,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제1 부분용 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용 부재를 교환함으로써 제1 부분을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부분용 부재를 교환함으로써, 도포 폭 W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 코터(1)를 분해하지 않고, 도포 폭 W를 원하는 폭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포 폭 W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분용 부재를 교환함으로써 제1 부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부분용 부재를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고, 또한, 그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1 부분용 부재를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분용 부재를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빼고 넣을 수 있다.
여기서, 다이(2)의 개구a 측의 선단 부분은, 기재(51) 상으로의 도포액(5)의 도포(슬릿(10)로부터의 도포액(5)의 토출)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기 선단 부분에는, 다이(2) 내에서 가장 높은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다이(2)의 전방으로부터(슬롯(10) 측으로부터) 2개의 다이 블록간에 상기 제1 부분용 부재를 빼고 넣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 부분에 손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슬롯(10)의 폭 방향으로 균일한 도포막(55)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이 점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분용 부재를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빼고 넣을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선단 부분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2개의 다이 블록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대하여 슬롯(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심 부재(30)를 제거하지 않고 도포 폭 W를 원하는 폭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포 폭 W의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부이며, 그 선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분은,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부(3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선단부(34)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선단부(34)를 상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도포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용 부재(선단부용 부재(70))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상기 선단부용 부재(70)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선단부(34)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선단부용 부재(70)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도포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 폭 W의 변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34)를 갖고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부분은, 선단부(34)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한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한쪽의 선단부이며, 그 선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선단부(34)의 일부가 다이 블록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이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선단부(34)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킨 경우에는, 선단부(34)를 상대 이동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선단부용 부재(70)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선단부용 부재(70)를 선택 사용하여 선단부(34)를 구성시킨 경우에는, 선단부용 부재(70)를 교환하기 쉬워진다.
또한, 선단부(34)의 양쪽이, 상기 제1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이(2)의 길이 방향의 중심과 도포 폭 W의 중심을 맞추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번거로운 조정을 하지 않고 용이하게 기재(51)의 중심에 도포액(5)을 도포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부분용 부재가, 각각 복수 구비되어 있고, 그 복수의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상기 길이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그 복수의 부재로부터 하나의 부재가 선택 사용되어 상기 제1 부분이 구성되어 있고, 또한, 사용되는 부재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부재를 교환하여 제1 부분을 구성하는 것만으로, 도포 폭 W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도포 폭 W의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넓게 도포 폭 W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부재를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빼고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2)의 개구(10a) 측의 선단 부분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의 일부가, 다이 블록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상대 이동시키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도포 폭 W가 넓어지도록 선단부(34)를 외측으로 너무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외측으로 너무 돌출되어, 그 부분의 주위에 배치된 장치나 작업자 등과의 불의의 충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포 폭 W가 좁아지도록 선단부(34)를 내측으로 너무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내측으로 너무 인입되어, 상기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분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킨 경우에는, 도포 폭의 변경의 정도를 크게 할 수 없어, 도포 폭 W의 변경의 정도가 제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분용 부재(여기서는 선단부용 부재(70))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부재를 선택 사용하여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을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는, 도포 폭 W의 변경의 정도를 비교적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부분용 부재를 교환하여 제1 부분으로 했을 때에, 상기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돌출의 정도를 적당한 것으로 하면서, 도포 폭 W를 원하는 폭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부재를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다이(2)의 측방으로부터 빼고 넣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부분용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부재를 선택 사용하여 제1 부분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에 부가해서, 교환한 상기 부재를, 더욱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교환한 상기 부재를, 더욱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상세하게 도포 폭 W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재를 교환함으로써 도포 폭 W를 비교적 큰 정도로 변경하고, 교환한 상기 부재(제1 부분)를 제2 부분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도포 폭 W를 비교적 작은 정도로 변경하는 식으로 하여, 도포 폭 W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분이, 한 쌍의 연장부(33) 중 양쪽의 연장부(33)의 선단부(34)인 구성을 예시했지만, 제1 부분은,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선단부(34), 또는, 그 적어도 한쪽 연장부(33)의 전부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공통되는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연장부(33)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34)를 갖고 형성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연장부(33)의 한쪽의 선단부(34)가 상기 제1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연장부(33) 중 한쪽 연장부(33)(도 17의 우측의 연장부(33))는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34)를 갖고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른 쪽의 연장부(33)(도 17의 좌측의 연장부(33))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34)를 갖고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연장부(33) 중 상기 우측의 연장부(33)의 선단부(34)가 상기 제1 부분으로 되어 있다.
즉, 심 부재(30)는, 한쪽 연장부(33)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2개로, 기단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은, 별체로 되어 있는 선단부(34)이며, 상기 제2 부분은, 기단부(31)와, 선단부(34)가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는 쪽의 연장부(33)의 잔부(35)와, 선단부(34)가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은 쪽의 연장부(33)가 불가분하게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일체물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불가분한 일체물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볼트(47)에 의해 제1 다이 블록(2a) 및 제2 다이 블록(2b)과 함께 체결되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 심 부재(30)가 고정되게 되어 있다. 한편, 볼트(47)를 풀어줌으로써 심 부재(3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별체로 되어 있는 선단부(34)를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연장부(33)의 내측(도 17a의 화살표 방향)을 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포 폭 W를 비교적 좁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연장부(33)의 외측(도 17b의 화살표 방향)을 향하여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포 폭 W를 비교적 넓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부분용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부재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제1 부분을 구성시키거나, 압박 볼트(49)를 사용하여 제1 부분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하도록 구성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이들도 포함시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 부재(30)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1개의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시키거나, 제1 부분용 부재(여기서는 선단부용 부재(70))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부재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1개의 제1 부분(여기서는 선단부(34))을 구성하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심 부재(30)의 작성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도포 폭의 변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심 부재를 구비한 다이 코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공통되는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 부재(30)는 제1 부분이,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의 전부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분이, 한 쌍의 연장부(33)의 양쪽의 전부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심 부재(30)는 한 쌍의 직사각 형상의 연장부(33)를 갖고 있고, 상기 연장부(33)의 양쪽의 전부인 상기 제1 부분과, 기단부(31)인 제2 부분이, 기단부(31)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33)의 일부가 다이 블록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연장부(33)가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부분용 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이들로부터 하나의 부재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제1 부분을 구성시키거나, 볼트(47)를 사용하여 제1 부분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하도록 구성시키거나, 압박 볼트(49)를 사용하여 제1 부분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행하도록 구성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이들도 포함시켜,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분이,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한쪽의 전부이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형상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33)가 직사각 형상인 것에 의해, 심 부재(30)의 형성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심 부재(30)가 제1 다이 블록(2a)과 제2 다이 블록(2b)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구성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볼트(47)나 압박 볼트(49)를 사용하여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구성 이외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부분(예를 들어 선단부(34)나 연장부(33))이 다이 블록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이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제1 부분을 형성하는 것도, 제1 부분을 2개의 다이 블록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참고예 1)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선단부(34)를 갖는 심 부재를 구비한, 도 1에 도시하는 다이 코터(1)를 사용하였다.
도포액으로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톨루엔과 아세트산에틸의 혼합액에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기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MRF38, 두께: 38 ㎛, 폭 1300㎜, 미쯔비시 쥬시사제)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기재의 이동 속도를 28m/분, 도포 폭 W를 1280㎜로 설정하였다. 상기 다이 코터(1)를 사용하여 기재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 후, 건조시킴으로써, 기재 상에 도포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도포막의 두께를, 광학 간섭식 두께계(MCPD 시리즈, 오쯔까 덴시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여, 폭 방향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포막의 폭 방향 양단부측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졌기 때문에, 도 20에서는, 도포막의 폭 방향 일단부측에 관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는, X축은, 일단부 모서리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참고예 1에서 사용한 선단부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모따기량은, 0㎜에 상당한다.
(참고예 2)
도 6c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의 내측에 있어서의 개구(10a) 측(각 도면의 상측)이 모따기된 것처럼 형성된, 즉, 개구(10a) 측을 향하여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선단부(34)를 사용하였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4)의 내측단부 모서리(34a)(도 19의 상하 방향)에 대한 모따기 부분의 경사 각도 θ를 30°로 하고, 선단부(3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단부 모서리(34a)로부터의 모따기 부분의 길이(모따기량, 즉, 한쪽의 선단부(34)의 개구(10a) 측단부 모서리에 있어서 다른 쪽의 선단부(34)의 개구(10a) 측단부 모서리와의 간격이 넓어진 양) L을 5㎜로 하고, 도포 폭(선단부(34)에 있어서의 개구(10a) 측단부 모서리간의 거리) W를, 1280㎜로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선단부(34)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기재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기재 상에 형성된 도포막의 두께를 폭 방향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참고예 3)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단부 모서리(34a)로부터의 모따기 부분의 길이 L(모따기량)을 10㎜로 한 것 이외는 참고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기재 상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기재 상에 형성된 도포막의 두께를 폭 방향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따기 부분을 마련한 경우에는(5㎜, 10㎜), 마련하지 않은 경우(0㎜)보다도, 도포막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부의 융기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막의 두께를, 보다 확실하게 폭 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 참고예에서는, 모따기량이 10㎜인 경우에는, 5㎜인 경우보다도, 상기 양단부의 융기를 억제할 수 있었던 반면, 5㎜인 경우에 비하여, 양단부에 있어서 중앙측보다 얇은 부분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상기한 것으로부터, 선단부에 모따기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도포막의 폭 방향 양단부의 융기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막의 두께를, 보다 확실하게 폭 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모따기량이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상기 양단부의 두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막의 두께를, 한층 확실하게 폭 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1 : 다이 코터
2 : 다이
2a, 2b : 다이 블록
10 : 슬롯
22 : 캐비티
25 : 급액 포트
30 : 심 부재
31 : 기단부
33 : 연장부
34 : 선단부
47 : 볼트
49 : 압박 볼트
70 : 선단부용 부재

Claims (1)

  1. 다이 코터에 구비된 다이의 선단부에 도포액의 토출구인 슬롯이 형성되도록, 상기 다이가 갖는 대향해서 배치된 2개의 다이 블록에 협지되어 상기 슬롯측으로 개구되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심 부재.
KR20140149924A 2012-03-07 2014-10-31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 KR20140145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50944 2012-03-07
JP2012050944 2012-03-07
JPJP-P-2012-266744 2012-12-05
JP2012266744A JP5315453B1 (ja) 2012-03-07 2012-12-05 シム部材、ダイコーター及び塗布膜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768A Division KR20130102490A (ko) 2012-03-07 2013-03-06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02A true KR20140145102A (ko) 2014-12-22

Family

ID=491143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768A KR20130102490A (ko) 2012-03-07 2013-03-06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
KR20140149924A KR20140145102A (ko) 2012-03-07 2014-10-31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768A KR20130102490A (ko) 2012-03-07 2013-03-06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30236651A1 (ko)
JP (1) JP5315453B1 (ko)
KR (2) KR20130102490A (ko)
CN (1) CN103301994B (ko)
TW (1) TWI4495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5453B1 (ja) * 2012-03-07 2013-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ム部材、ダイコーター及び塗布膜の製造方法
WO2014178818A1 (en) * 2013-04-29 2014-1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ve slot coating
JP6042356B2 (ja) * 2014-01-16 2016-1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330414B2 (ja) * 2014-03-27 2018-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塗布ヘッド、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6272138B2 (ja) * 2014-05-22 2018-01-3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塗布処理装置
JP6367076B2 (ja) * 2014-10-08 2018-08-01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ダイ
SG11201806808XA (en) * 2016-02-12 2018-09-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lot die with actively controlled coating width
CN110198792B (zh) * 2017-02-03 2021-10-26 日本汽车能源株式会社 涂敷模具、涂敷装置、涂敷方法以及二次电池的制造方法
EP3381571B1 (de) 2017-03-27 2019-11-06 Robatech AG Schlitzdüse
KR102248306B1 (ko) 2017-07-13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팅 장치
JP6936139B2 (ja) * 2017-12-21 2021-09-15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塗工装置
JP6397598B1 (ja) * 2018-04-25 2018-09-26 日東電工株式会社 塗工装置及び塗工膜の製造方法
CN109317355B (zh) * 2018-10-30 2021-01-15 怡定兴科技股份有限公司 淋幕式涂布装置及淋幕式涂布系统
CN109701817B (zh) * 2019-01-04 2020-05-12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挤压涂布垫片及涂布机
JP7316717B2 (ja) * 2019-05-14 2023-07-28 Aiメカテック株式会社 シム、ノズルおよび塗布装置
JP7352409B2 (ja) * 2019-08-20 2023-09-28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位置調整部材と位置調整方法
KR20220056171A (ko) * 2019-09-10 2022-05-04 토레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도포기,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JP7194152B2 (ja) * 2019-09-10 2022-12-21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布器、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20210061578A (ko) 2019-11-20 2021-05-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전극 제조용 슬롯다이
EP4151320A4 (en) * 2020-11-05 2023-11-15 LG Energy Solution, Ltd. SLOT DIE COATING DEVICE
KR20220088069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밀링 가공을 이용한 다이 코터용 심의 제조방법
CN113042326A (zh) * 2021-02-03 2021-06-29 万向一二三股份公司 涂布模头垫片
DE102021110121A1 (de) * 2021-04-21 2022-10-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inlage für ein Werkzeug zur Schlitzdüsen-Beschichtung, Werkzeug zur Schlitzdüsen-Besch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eschichtung
CN113275200B (zh) * 2021-06-04 2022-04-08 深圳市曼恩斯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涂布垫片、涂布模头及涂布装置
EP4272877A1 (en) * 2022-05-04 2023-11-08 LG Energy Solution, Ltd. Deposition system
JP2023177169A (ja) * 2022-06-01 2023-12-13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6931A (en) * 1952-10-27 1954-08-24 Du Pont Apparatus for extruding beaded film
GB786449A (en) * 1955-07-06 1957-11-20 Ici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extrusion of film
US3133313A (en) * 1962-10-30 1964-05-19 Nat Distillers Chem Corp Extrusion die mechanism
US3241183A (en) * 1963-12-23 1966-03-22 Allied Chem Film extrusion die
US3841557A (en) * 1972-10-06 1974-10-15 Nat Steel Corp Coating thickness control and fluid handling
US3829274A (en) * 1972-10-19 1974-08-13 Beloit Corp Interchangeable die lips for extrusion die and independently adjustable deckles therefor
JP2772858B2 (ja) * 1990-07-24 1998-07-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嵌合型デッケル
KR100272064B1 (ko) * 1992-10-27 2000-12-01 미우라 아끼라 다이 도장기
US5894994A (en) * 1995-03-14 1999-04-20 Nordson Corporation Adjustable slot coating die
US5622315A (en) * 1995-03-14 1997-04-22 Nordson Corporation Adjustable slot goating die
US6423144B1 (en) * 1996-08-07 2002-07-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US5773080A (en) * 1997-04-17 1998-06-30 Simmons; George Pattern coating of thick film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4005194B2 (ja) * 1997-12-11 2007-11-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塗布方法
US6319316B1 (en) * 1998-02-17 2001-11-20 Fastar,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low contamination extrusion for microelectronics applications
US6410094B2 (en) * 1998-02-19 2002-06-25 Fuji Photo Film Co., Ltd. Extrusion coating head and coating method for flexible support
JP4324998B2 (ja) * 1998-11-24 2009-09-02 東レ株式会社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6443639B1 (en) * 1999-06-29 2002-09-03 Applied Science Fiction, Inc. Slot coater device for applying developer to film for electronic film development
JP2002066420A (ja) * 2000-08-31 2002-03-05 Toppan Printing Co Ltd 品種切替えに容易なスロットダイヘッド
JP2002136910A (ja) * 2000-11-07 2002-05-14 Nitto Denko Corp ダイコ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工方法
JP4015823B2 (ja) * 2001-05-14 2007-11-28 株式会社東芝 アルカリ現像液の製造方法,アルカリ現像液,パターン形成方法,レジスト膜の剥離方法,及び薬液塗布装置
US6813820B2 (en) * 2001-12-19 2004-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improving coating uniformity
WO2004078360A1 (ja) * 2003-03-03 2004-09-16 Toray Industries, Inc. スリットダイ、ならびに、塗膜を有する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4283779A (ja) * 2003-03-25 2004-10-14 Hirata Corp 液体塗布装置および液体塗布方法
JP2007505737A (ja) * 2003-09-17 2007-03-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実質的に均一な厚さを有するコーティング層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ダイコータ
US7291362B2 (en) * 2004-01-20 2007-1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ating width
JP2005246337A (ja) * 2004-03-08 2005-09-15 Tomoegawa Paper Co Ltd 塗料供給装置
JP4565990B2 (ja) * 2004-09-30 2010-10-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塗工装置および塗工方法
JP2008178818A (ja) * 2007-01-25 2008-08-07 Chugai Ro Co Ltd スリットダイ及びシム
JP5098396B2 (ja) * 2007-03-29 2012-12-12 東レ株式会社 スロットダイおよび塗膜を有する基材の製造装置および塗膜を有する基材の製造方法
US10137472B2 (en) * 2007-04-06 2018-11-27 Illinois Tool Works Inc. Dual pattern shim assembly for use in conjunction with hot melt adhesive dispensing systems
JP5007168B2 (ja) * 2007-07-10 2012-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コーター調整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9718081B2 (en) * 2009-08-31 2017-08-01 Illinois Tool Works Inc. Metering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ensing two different adhesives from a single metering device or applicator onto a common substrate
JP5491250B2 (ja) * 2010-03-26 2014-05-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エクストルージョン塗布装置及び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8632837B2 (en) * 2010-05-17 2014-01-21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Direct fluid coating of drug eluting balloon
KR101125649B1 (ko) * 2010-05-24 2012-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활물질 코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US8875653B2 (en) * 2012-02-10 2014-11-04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icro-extrusion printhead with offset orifices for generating gridlines on non-square substrates
JP5315453B1 (ja) * 2012-03-07 2013-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ム部材、ダイコーター及び塗布膜の製造方法
JP5912762B2 (ja) * 2012-03-29 2016-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コーター及び塗布膜の製造方法
US9700912B2 (en) * 2012-06-27 2017-07-11 William K. Leonard Fluid transport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12492A (ja) 2013-10-17
US20140154421A1 (en) 2014-06-05
JP5315453B1 (ja) 2013-10-16
KR20130102490A (ko) 2013-09-17
TW201336590A (zh) 2013-09-16
TWI449575B (zh) 2014-08-21
US20130236651A1 (en) 2013-09-12
CN103301994A (zh) 2013-09-18
CN103301994B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5102A (ko) 심 부재, 다이 코터 및 도포막의 제조 방법
TW200301188A (en) Method of improving coating uniformity
JP5912762B2 (ja) ダイコーター及び塗布膜の製造方法
KR102056479B1 (ko) 멀티 코팅이 가능한 슬롯다이
JP2006239664A (ja) ダイヘッド及びスリットギャップ調整方法
KR102316972B1 (ko)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
JP2010005508A (ja) スロットコートガン
US20110236570A1 (en) Extrusion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film forming method
JP5023335B2 (ja) ダイ、ダイ方式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07260643A (ja) ダイヘッド及び塗布装置
JP2004174489A (ja) エクストルージョン型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布装置
JP2009202141A (ja) スリットダイ及びスリットダイコータ
JP6330414B2 (ja) 塗布ヘッド、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5098420B2 (ja) 板材の塗装方法
US20030037728A1 (en) Coating apparatus
JP5437867B2 (ja) エクストルージョン塗布装置及びその塗布方法並びに塗布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264765A (ja) 塗工用ダイ、非接触ダイ塗工装置及び塗工方法
JP4830754B2 (ja) 塗布装置および塗膜の形成方法
JPH02107368A (ja) 塗布装置
JP3960040B2 (ja) シート成形装置
JP5699370B2 (ja) ドクターブレード装置
JP6794759B2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ヘッドの調整方法
JP7234363B2 (ja) ダイヘッド
JP2016078012A (ja) 塗布器
JP2014193443A (ja) 塗布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