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767A - 롤러 레벨러 및 그것을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롤러 레벨러 및 그것을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767A
KR20140132767A KR1020147028094A KR20147028094A KR20140132767A KR 20140132767 A KR20140132767 A KR 20140132767A KR 1020147028094 A KR1020147028094 A KR 1020147028094A KR 20147028094 A KR20147028094 A KR 20147028094A KR 20140132767 A KR20140132767 A KR 20140132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ing
plate material
plate
width direction
leve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556B1 (ko
Inventor
게이조 아베
도루 아오야마
도루 사노
Original Assignee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587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3276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5Stretching combined with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21Rolls for sheet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6Pushing or forcing work into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3/00Shape of product
    • B21B2263/04Flatness
    • B21B2263/06Edge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02Roll dimensions
    • B21B2267/06Roll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3Sleeved rolls
    • B21B27/032Rolls for sheet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롤러 레벨러(100)는, 판재(P)를 끼워 압압하면서 판재를 통판시키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레벨링 롤(6,8a,8b)을 가지는 레벨링 롤 유닛(20)과, 레벨링 롤 유닛(20)의 입측 및 출측에서 레벨링 롤(6,8a,8b)을 개재하여 판재(P)를 압입하는 압입 실린더(4a, 4b)와, 레벨링 롤(6,8a,8b)을 회전시켜 판재(P)를 통판시키는 구동 기구(15)를 구비한다. 복수의 레벨링 롤(6,8a,8b)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롤(8b)은,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폭방향 중앙부(21)와, 판재의 판폭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소직경의 폭방향 단부(22)를 가진 단붙이 구조이다.

Description

롤러 레벨러 및 그것을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ROLLER LEVELER AND PLATE MATERIAL CORRECTION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금속판 예를 들면 강판 등의 판재를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 및 그것을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판 등의 판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압연이나 냉각 등이 실시되는데, 이들 공정에서는 판재에 휨이나 파형상(波形狀)의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휨이나 파형상 변형을 교정하여 판재를 평탄화할 목적으로 복수개의 레벨링 롤을 상하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롤러 레벨러가 이용된다.
롤러 레벨러는, 교정해야 할 판재를 복수의 하(下)레벨링 롤에 대해 복수의 상(上)레벨링 롤을 압입(押入)한 상태(밀어넣은 상태), 또는 복수의 상레벨링 롤에 대해 복수의 하레벨링 롤을 밀어넣은 상태에서 통판(通板)시켜 판재를 반복적으로 구부림으로써 판재의 휨이나 파형상을 평탄화한다.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하레벨링 롤 및 복수의 상레벨링 롤을 각각 롤 프레임에 보유지지시킨 상태로 하여 하레벨링 롤을 고정시키고 상레벨링 롤을 입측(入側) 및 출측(出側)에 설치된 압하 실린더(이하, 압입 실린더라고도 한다)에 의해 밀어넣어 판재의 교정을 행한다.
판재의 교정시에는 구동 모터에 의해 레벨링 롤이 구동되어 레벨링 롤과 교정해야 할 판재가 접촉함으로써, 판재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판재가 상하의 레벨링 롤 사이에 물려들어간다. 이 때 압하 실린더에 의한 상레벨링 롤의 압입량(이하, 압하량이라고도 한다)은 판재의 두께, 재료, 형상, 레벨링 롤의 직경, 롤 피치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필요한 평탄도를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런데 교정의 대상이 되는 금속판 예를 들면 강판 등의 판재에는 통상적으로 판폭(板幅)방향 단부의 파형상 변형, 즉 소위 에지웨이브(耳波, edge wave)의 발생이 포함된다. 에지웨이브는 하기 3점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1) 압연 공정에서의 롤 갭 불균일(단부쪽이 강하게 압연).
(2) 열간 압연 후의 냉각 불균일.
(3) 판폭방향 중앙부와 비교하여 판폭방향 단부쪽이 항복 응력이 작은 재료의 압연 또는 교정.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직경 360㎜정도의 대직경 롤을 가지는 롤러 레벨러에서 이 에지웨이브를 가진 두께 6∼10㎜의 판재를 교정하면, 교정되지 않거나 또는 에지웨이브가 더 커져 버리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즉, 판폭방향 중앙부와 비교하여 판폭방향 단부쪽이 항복 응력이 작기 때문에 판폭방향 단부의 신장량이 크며, 교정 전에는 에지웨이브가 존재하지 않아도 교정 과정에서 에지웨이브가 발생하고, 이미 에지웨이브가 발생한 경우에는 에지웨이브가 더 커진다. 따라서 에지웨이브가 존재하는 두께 6∼10㎜의 판재, 또는 에지웨이브가 존재하지 않아도 판폭방향으로 50MPa정도 이상의 항복 응력 편차를 가진 두께 6∼10㎜의 판재를 직경 360㎜정도의 대직경 롤을 가진 롤러 레벨러에 의해 교정하기는 어렵다.
판폭방향 단부가 파형상이 되는 에지웨이브가 발생한 두께 6∼10㎜의 판재를 교정하는 기술로서 레벨링 롤을 길이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로 교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소60-17052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 소61-037322호 공보
그러나 레벨링 롤이 직경 190∼230㎜정도의 소직경 롤인 경우에는 레벨링 롤의 강성이 작기 때문에 레벨링 롤을 길이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지만,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직경 360㎜정도의 대직경 롤은 강성이 커서 만곡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 2와 같은 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레벨링 롤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금속판, 예를 들면 강판 등 판재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에 기인하여 판재에 생기는 에지웨이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 혹은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와 관계없이 판재에 발생한 에지웨이브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롤러 레벨러 및 그것을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서는, 통판(通板) 라인을 통과시켜 판재를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로서, 상기 통판 라인의 상하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판재를 끼워 상기 판재를 교정하면서 통판시키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레벨링 롤을 가지는 레벨링 롤 유닛과, 상기 레벨링 롤 유닛에서의 상기 판재의 입측 및 출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레벨링 롤을 개재하여 상기 판재를 압입하는 압입 실린더와, 상기 레벨링 롤을 회전시켜 상기 판재를 통판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폭방향 중앙부와,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소직경의 폭방향 단부를 가진 단(段)붙이 구조인 롤러 레벨러를 제공한다.
상기 롤러 레벨러에서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은, 상기 통판 라인의 위에 배치된 복수의 상레벨링 롤과, 상기 통판 라인의 아래에 배치된 복수의 하레벨링 롤을 가지며, 상기 하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이어도 된다. 또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2 이상의 상기 하레벨링 롤이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측에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을 가지며,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타방측은 스트레이트 형상의 레벨링 롤뿐이며,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Δσ)가 Δσ>0.08×σMAX일 때 및/또는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일방측을 입측으로 하여 상기 판재의 교정이 행해지고, Δσ≤0.08×σMAX이고 또한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타방측을 입측으로 하여 상기 판재의 교정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단, Δσ=σMAXMINMAX는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대치, σMIN은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소치이다).
또한,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의 상기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와 상기 폭방향 단부의 길이는, 교정하고자 하는 상기 판재의 폭 및 상기 판재의 재질이나 열처리에 응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은 상기 폭방향 중앙부와 동일한 직경의 링을 상기 폭방향 단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링에 의해, 상기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서는, 통판 라인을 통과시켜 판재를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에 의해 상기 판재를 교정하는 판재의 교정 방법으로서, 상기 롤러 레벨러는, 상기 통판 라인의 상하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레벨링 롤을 가지는 레벨링 롤 유닛과, 상기 레벨링 롤 유닛에서의 상기 판재의 입측 및 출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레벨링 롤을 개재하여 상기 판재를 압입하는 압입 실린더와, 상기 레벨링 롤을 회전시켜 상기 판재를 통판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에 의해 상기 판재를 끼우고, 상기 압입 실린더에 의해 상기 레벨링 롤을 개재하여 상기 판재를 압입하면서 상기 레벨링 롤을 회전시키고, 상기 판재를 통판시켜 상기 판재를 교정하고,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폭방향 중앙부와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소직경의 폭방향 단부를 가진 단붙이 구조로 하고, 이로써 상기 판재를 교정할 때에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압입량을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단부의 압입량보다 크게 하여 판폭방향 단부에 에지웨이브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및/또는 판폭방향 단부에 발생한 에지웨이브를 해소하는 상기 판재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판재의 교정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은 상기 통판 라인의 위에 배치된 복수의 상레벨링 롤과, 상기 통판 라인의 아래에 배치된 복수의 하레벨링 롤을 가지며, 상기 하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이어도 된다. 또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2 이상의 상기 하레벨링 롤이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측에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을 가지며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타방측은 스트레이트 형상의 레벨링 롤뿐이며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Δσ)가Δσ>0.08×σMAX일 때 및/또는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일방측을 입측으로 하여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에 의해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압입량을 판폭방향 단부의 압입량보다 크게 하여 판폭방향 단부에 에지웨이브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및/또는 판폭방향 단부에 발생한 에지웨이브를 해소하도록 상기 판재의 교정이 행해지고, Δσ≤0.08×σMAX이고 또한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타방측을 입측으로 하여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과 판폭방향 단부의 신장량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상기 판재의 교정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단, Δσ=σMAXMINMAX는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대치, σMIN은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소치이다).
또한,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의 상기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와 상기 폭방향 단부의 길이는, 교정하고자 하는 상기 판재의 폭 및 상기 판재의 재질이나 열처리에 응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은 상기 폭방향 중앙부와 동일한 직경의 링을 상기 폭방향 단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링에 의해, 교정하고자 하는 상기 판재의 폭 및 상기 판재의 재질이나 열처리에 응하여 상기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를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폭방향 중앙부와, 판재의 판폭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소직경의 폭방향 단부를 가진 단붙이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 쪽이 판폭방향 단부보다 압입량(압하량)을 크게 할 수 있어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는 판폭방향 단부보다 교정 경로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판재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가 큰 경우, 항복 응력이 작아 신장시키기 쉬운 판폭방향 단부의 압입량(압하량)을 판폭방향 중앙부보다 작게 하여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강성이 큰 대직경의 레벨링 롤을 이용한 경우에도 교정중 에지웨이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미 에지웨이브가 발생한 경우에는 항복 응력 편차의 크기와 상관없이 에지웨이브가 된 판폭방향 단부의 압입량(압하량)을 작게 하여 신장량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강성이 큰 대직경의 레벨링 롤을 이용한 경우에도 에지웨이브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레벨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레벨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레벨러의 레벨링 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레벨러에 이용하는 단붙이 구조의 하레벨링 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단붙이 구조의 하레벨링 롤을 이용하여 판재를 교정하는 경우의, 판폭방향 중앙부와 판폭방향 단부의 판재(P)의 교정 경로 길이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단붙이 구조의 하레벨링 롤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롤러 레벨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그 정면도, 도 3은 레벨링 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롤러 레벨러(100)는, 하우징(1)과, 하우징(1)의 내측에 마련된 상(上)프레임(2)과, 하우징(1)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下)프레임(3)을 가지고 있다. 상프레임(2)의 하방에는 상(上)롤 프레임(5)이 상롤 그립 실린더(미도시)에 매달려 있다. 한편 하프레임(3) 상에는 하(下)롤 프레임(10)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프레임(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입 실린더(전술한 것처럼, 압하 실린더라고도 한다)에 의해 누름으로써 상하로 동작하기 때문에 작동 프레임이라고 부를 수 있다. 작동 프레임은 상프레임(2)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프레임(3)을 작동 프레임으로서 구성하고 그 아래에 마련한 압입 실린더에 의해 누름으로써 상하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상롤 프레임(5)과 하롤 프레임(10) 사이에는, 강판 등의 금속판인 판재(P)의 패스(통판) 라인을 사이에 형성하도록 상하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레벨링 롤(6)과 복수의 제1 하레벨링 롤(8a) 및 제2 하레벨링 롤(8b)을 가지는 레벨링 롤 유닛(20)이 마련되어 있다. 레벨링 롤 유닛(20)에서 상레벨링 롤(6)은 상롤 프레임(5) 아래에서 상롤 프레임(5)에 지지되고, 제1 하레벨링 롤(8a) 및 제2 하레벨링 롤(8b)은 하롤 프레임(10) 위에서 하롤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레벨링 롤 유닛(20)의 판재(P)의 반송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판재(P)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14)이 마련되어 있다. 상레벨링 롤(6) 및 제1 및 제2 하레벨링 롤(8a),(8b)은 구동 기구(15)에 의해 정역(正逆)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판재(P)를 양방향(도 1의 A방향 및 B방향)으로 이동시켜 판재(P)를 교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도 1에서는, 편의상 구동 기구(15)를 상하 레벨링 롤(6),(8a),(8b)의 각 열 전체에 접속하도록 묘사하였으나, 실제로는 상레벨링 롤(6) 및 제1 및 제2 하레벨링 롤(8a),(8b)을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레벨링 롤(6) 및 제1 및 제2 하레벨링 롤(8a),(8b)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레벨링 롤(6) 및 제1 하레벨링 롤(8a)은 스트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제2 하레벨링 롤(8b)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을 이루는 폭방향 중앙부(21)와 소직경을 이루는 폭방향 단부(22)를 가진 단붙이 구조로 되어 있다. 폭방향 중앙부(21)는 판재(P)의 판폭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며, 폭방향 단부(22)는 판재(P)의 판폭방향 단부에 대응한다. 폭방향 중앙부(21)와 폭방향 단부(22)의 길이는 판재(P)의 폭 및 재질이나 열처리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제2 하레벨링 롤(8b)의 폭방향 중앙부의 직경은 상레벨링 롤(6) 및 제1 하레벨링 롤(8a)의 직경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레벨링 롤(6)은 4개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하레벨링 롤(8a)은 레벨링 롤 유닛(20)의 일방의 단부측에 2개, 제2 하레벨링 롤(8b)은 타방 단부측에 3개 배치되어 있다.
상레벨링 롤(6)의 위에는, 상레벨링 롤(6)을 백업하는 직사각형상의 상백업 롤(7)이 상레벨링 롤(6)의 축방향을 따라 상롤 프레임(5)에 지지되도록 복수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하레벨링 롤(8a),(8b) 아래에는, 이들을 백업하는 직사각형상의 백업 롤(9)이 제1 및 제2 하레벨링 롤(8a),(8b)의 축방향을 따라 하롤 프레임(10)에 지지되도록 복수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과 상프레임(2) 사이의 레벨링 롤 유닛(20)의 판재(P) 반송 방향의 양단에는, 각각 판재(P)를 교정하기 위한 압하력(이하, 압입력이라고도 한다)을 부여하는 압하 실린더(전술한 것처럼, 압입 실린더라고도 한다) (4a) 및 (4b)가 배치되어 있다. 압하 실린더(4a) 및 (4b)는, 판재(P)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2기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단, 도 2에서는 압하 실린더(4b)만 도시).
본 명세서에서 「압하」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을 하향으로 가하는 경우뿐 아니라, 나중에 변경예로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압력을 상향으로 가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바꿔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압하」라는 용어는 「압입」라는 용어로 치환할 수 있다.
압하 실린더(4a) 및 (4b)는, 하롤 프레임(10)에 고정적으로 마련된 제1 및 제2 하레벨링 롤(8a),(8b)에 대해 상롤 프레임(5) 및 상백업 롤(7) 및 상레벨링 롤(6)을 개재하여 판재(P)를 압하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레벨링 롤(6)을 고정적으로 마련하여 제1 및 제2 하레벨링 롤(8a),(8b)을 압하 실린더에 의해 압하(즉 압입 실린더에 의해 상향으로 압입하는 것)하도록 해도 좋다.
판재(P)를 A방향을 따라 레벨링 롤 유닛(20)에 반입할 때에는, 압하 실린더(4a)측이 입측이 되어 상레벨링 롤(6)과 제2 하레벨링 롤(8b) 사이에 판재(P)가 삽입된다. 이 경우에는 압하 실린더(4a)가 입측의 압하 실린더로서 기능하며, 압하 실린더(4b)가 출측의 압하 실린더로서 기능한다. 또 판재(P)를 B방향을 따라 레벨링 롤 유닛(20)에 반입할 때, 압하 실린더(4b)측이 입측이 되며 상레벨링 롤(6)과 제1 하레벨링 롤(8a) 사이에 판재(P)가 삽입된다. 이 경우에는 압하 실린더(4b)가 입측의 압하 실린더로서 기능하며, 압하 실린더(4a)가 출측의 압하 실린더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의 롤러 레벨러(100)의 각 구성요소의 제어, 예를 들면 압하 실린더(4a),(4b)에 의한 상레벨링 롤(6)의 압하량(전술한 것처럼, 압입량이라고도 한다)의 제어나 구동장치의 제어는 제어장치(3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 레벨러(100)에 의해 판재(P)를 교정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롤러 레벨러(100)의 레벨링 롤 유닛(20)의 상류측에서 가이드 롤(14)로 가이드된 상태에서 판재(P)를 레벨링 롤 유닛(20)을 향해 반송하여 레벨링 롤 유닛(20)에 의해 판재(P)의 교정을 행한다.
판재(P)의 두께 등에 따라 판재(P)의 교정에 필요한 압하 실린더(4a) 및 (4b)의 압입량(압하량)이 제어장치(30)에 설정되어 있으며 그 설정된 압입량(압하량)으로 판재(P)가 교정된다. 압입량(압하량)은 최입측에서 가장 크고 출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그런데 교정하고자 하는 판재(P)의 판두께가 6∼10㎜이고,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가 큰 경우(Δσ=σMAXMIN>0.08×σMAX인 경우), 직경 360㎜정도의 대직경의 레벨링 롤에 의해 교정을 행하면 항복 응력이 작은 판폭방향 단부쪽의 신장량이 커진다. 따라서 판재(P)의 교정 전에는 에지웨이브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교정 과정에서 에지웨이브가 발생하고, 이미 에지웨이브가 발생한 경우에는 에지웨이브가 더 커진다. 판재(P)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가 작은 경우에도 판폭방향 중앙부에 비해 단부가 강하게 압연되는 경우에는 에지웨이브가 발생하고, 일단 에지웨이브가 발생한 판재를 직경 360㎜정도의 대직경의 레벨링 롤에 의해 교정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직경을 이루는 폭방향 중앙부(21)와 소직경을 이루는 폭방향 단부(22)를 가진 단붙이 구조의 제2 하레벨링 롤(8b)을 압하 실린더(4a)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판재(P)가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가 큰 것인 경우 등, 구체적으로는 판재(P)가 이하의 (1)∼(3)에 나타내는 조건하에 있는 경우에는, 판재(P)를 A방향을 따라 반송하여 압하 실린더(4a)측을 입측으로 하고 상레벨링 롤(6)과 제2 하레벨링 롤(8b) 사이에 삽입하여 판재(P)의 교정을 행한다. (1)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대치를 σMAX, 최소치를 σMIN으로 하였을 때, Δσ=σMAXMIN>0.08×σMAX(전형적으로는Δσ가 50MPa정도 이상)이며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또는 (2)Δσ=σMAXMIN≤0.08×σMAX로 항복 응력 편차는 작지만 판폭방향 중앙부에 비해 단부가 강하게 압연됨으로써 에지웨이브가 발생한 경우. 또는 (3) 이들 모두인 경우, 즉Δσ=σMAXMIN>0.08×σMAX이면서 에지웨이브가 발생한 경우. 아울러 (1)의 경우에는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리 파악해 둔 교정하고자 하는 판재(P)의 항복 응력 편차 정보에 기초하여 압하 실린더(4a)측을 입측으로 할지, 압하 실린더(4b)측을 입측으로 할지를 판단한다.
제2 하레벨링 롤(8b)에 의해 판재(P)를 압하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의 폭방향 중앙부(21)에서는 판재(P)가 실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압하되어 도면 중 δ로 표시한 압입량(압하량)이 되는데 반해, 소직경의 폭방향 단부(22)에서는 판재(P)가 점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압하되지 않거나 또는 압입량(압하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판재(P)의 판폭방향 중앙부는 판폭방향 단부보다 교정 경로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압입량(압하량)이 큰 입측에서 제2 하레벨링 롤(8b)을 이용함으로써 판재(P)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을 크게 한 후 레벨링 롤 유닛(20)의 후단부에서 스트레이트 롤인 상레벨링 롤(6) 및 제1 하레벨링 롤(8a)을 이용하여 균등하게 교정된다.
따라서 판재(P)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가 큰 경우(Δσ=σMAXMIN>0.08×σMAX의 경우)에 항복 응력이 작아 신장시키기 쉬운 판폭방향 단부의 압입량(압하량)을 판폭방향 중앙부보다 작게 하여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강성이 큰 대직경의 레벨링 롤을 이용한 경우에도 교정 중에 판재(P)에 에지웨이브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미 판재(P)에 에지웨이브가 발생한 경우에는 항복 응력 편차의 크기와 상관없이, 에지웨이브가 된 판폭방향 단부의 압입량(압하량)을 줄여 신장량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강성이 큰 대직경의 레벨링 롤을 이용한 경우에도 에지웨이브를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것처럼 단붙이 구조의 제2 하레벨링 롤(8b)의 폭방향 중앙부(21)와 폭방향 단부(22)의 길이는, 교정하고자 하는 판재(P)의 폭 및 판재(P)의 재질이나 열처리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즉, 판재(P)의 판폭에 의해 에지웨이브가 발생하는 위치가 다르고, 또 재질이나 열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에지웨이브의 폭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에 대응하여 폭방향 중앙부(21)와 폭방향 단부(22)의 길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판재(P)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가 작고(Δσ=σMAXMIN≤0.08×σMAX), 또한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적인 레벨링 롤에 의해 교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러한 판재(P)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제1 하레벨링 롤(8a)이 배치되어 있는 압하 실린더(4b)측을 입측으로 하여 판재(P)를 레벨링 롤 유닛(20)에 반입하고 판폭방향 중앙부와 판폭방향 단부에서 신장량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교정을 한다. 이 때 판재(P)의 반송 방향이 A방향인 경우에는 상레벨링 롤(6)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레벨링 롤 유닛(20)을 통과시킨 후 반송 방향을 B방향으로 바꾸어 판재(P)를 반입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압입량(압하량)이 큰 입측 부분에서 폭방향 중앙부 및 단부에서 균등한 신장량을 얻을 수 있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레벨링 롤에 의해 통상의 교정을 행할 수 있다. 후단 부분에는 단붙이 구조의 제2 하레벨링 롤(8b)이 배치되어 있지만, 후단 부분에서는 압입량(압하량)이 작기 때문에 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벨링 롤 유닛(20)에 판재(P)가 반입되는 측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1대의 레벨러로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가 큰 경우이든 작은 경우이든 교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하레벨링 롤(8b)에서는 폭방향 중앙부(21)의 폭은 판재(P)의 폭, 재질이나 열처리 등에 따라 변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판재(P)의 종류마다 대응하는 제2 하레벨링 롤(8b)을 준비하여 교환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하레벨링 롤(8b)의 폭방향 중앙부(21)의 폭을 가변으로 하여 판재(P)의 폭, 재질이나 열처리 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 중앙부(2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링(23)을 장착할 수 있도록 제2 하레벨링 롤(8b)을 구성하여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부(21)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링(23)으로서 폭이 다른 복수의 것을 준비해 둠으로써 다양한 판재에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레벨링 롤의 일부를 단붙이 구조로서 예시하였으나 상레벨링 롤을 단붙이 구조로 해도 무방하고, 상하 레벨링 롤을 단붙이 구조로 해도 무방하다. 단, 롤 교환의 용이성 관점에서는 하레벨링 롤을 단붙이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3개의 하레벨링 롤을 단붙이 구조로 한 예를 나타냈으나,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을 크게 할 수 있다면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의 수는 적어도 1개이면 되고, 또 복수개인 경우의 배치도 임의이다. 단, 일방의 단부로부터 2개 이상의 하레벨링 롤을 단붙이 구조로 함으로써 롤 교환의 용이성을 유지하면서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을 크게 하는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 항복 응력 편차가 큰 판재의 교정만을 행할 경우에는, 레벨링 롤 유닛의 양 단부의 레벨링 롤(상레벨링 롤 또는 하레벨링 롤 또는 둘 다)이 단붙이 구조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하에 배치된 레벨링 롤의 수를 합계 9개로 한 롤러 레벨러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으나, 레벨링 롤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상레벨링 롤을 압하 실린더에 의해 압하(즉 압입 실린더에 의해 하향으로 압입)하여 판재의 형상을 교정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냈으나, 하레벨링 롤을 압하 실린더에 의해 압하(즉 압입 실린더에 의해 상향으로 압입)하여 판재를 교정하도록 해도 좋다.
1;하우징
2;상프레임(작동 프레임)
3;하프레임
4a, 4b;압하 실린더(압압 실린더)
5;상롤 프레임
6;상레벨링 롤
7;상백업 롤
8a;제1 하레벨링 롤
8b;제2 하레벨링 롤
9;하백업 롤
10;하롤 프레임
15;구동 기구
20;레벨링 롤 유닛
21;폭방향 중앙부
22;폭방향 단부
23;링
30;제어장치
100;롤러 레벨러
P;판재(피교정재)

Claims (12)

  1. 통판(通板) 라인을 통과시켜 판재를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로서,
    상기 통판 라인의 상하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판재를 끼워 상기 판재를 교정하면서 통판시키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레벨링 롤을 가지는 레벨링 롤 유닛과,
    상기 레벨링 롤 유닛에서의 상기 판재의 입측(入側) 및 출측(出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레벨링 롤을 개재하여 상기 판재를 압입(押入)하는 압입 실린더와,
    상기 레벨링 롤을 회전시켜 상기 판재를 통판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폭방향 중앙부와,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소직경의 폭방향 단부를 가지는 단(段)붙이 구조인 롤러 레벨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은, 상기 통판 라인의 위에 배치된 복수의 상(上)레벨링 롤과, 상기 통판 라인의 아래에 배치된 복수의 하(下)레벨링 롤을 가지며, 상기 하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인 롤러 레벨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2 이상의 상기 하레벨링 롤이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인 롤러 레벨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측에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을 가지며,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타방측은 스트레이트 형상의 레벨링 롤뿐이며,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Δσ)가 Δσ>0.08×σMAX일 때 및/또는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일방측을 입측으로 하여 상기 판재의 교정이 행해지고, Δσ≤0.08×σMAX이고 또한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타방측을 입측으로 하여 상기 판재의 교정이 행해지며 단, Δσ=σMAXMINMAX는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대치, σMIN은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소치인 롤러 레벨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의 상기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와 상기 폭방향 단부의 길이는, 교정하고자 하는 상기 판재의 폭 및 상기 판재의 재질이나 열처리에 응하여 설정되는 롤러 레벨러.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은, 상기 폭방향 중앙부와 동일한 직경의 링을 상기 폭방향 단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링에 의해, 상기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롤러 레벨러.
  7. 통판 라인을 통과시켜 판재를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에 의해 상기 판재를 교정하는 판재의 교정 방법으로서,
    상기 롤러 레벨러는, 상기 통판 라인의 상하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레벨링 롤을 가지는 레벨링 롤 유닛과, 상기 레벨링 롤 유닛에서의 상기 판재의 입측 및 출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레벨링 롤을 개재하여 상기 판재를 압입하는 압입 실린더와, 상기 레벨링 롤을 회전시켜 상기 판재를 통판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에 의해 상기 판재를 끼우고, 상기 압입 실린더에 의해 상기 레벨링 롤을 개재하여 상기 판재를 압입하면서 상기 레벨링 롤을 회전시키고, 상기 판재를 통판시켜 상기 판재를 교정하고,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폭방향 중앙부와,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소직경의 폭방향 단부를 가지는 단붙이 구조로 하고,
    이로써, 상기 판재를 교정할 때에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압입량을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단부의 압입량보다 크게 하여, 판폭방향 단부에 에지웨이브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및/또는 판폭방향 단부에 발생한 에지웨이브를 해소하는 판재의 교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벨링 롤은, 상기 통판 라인의 위에 배치된 복수의 상레벨링 롤과, 상기 통판 라인의 아래에 배치된 복수의 하레벨링 롤을 가지며, 상기 하레벨링 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인 판재의 교정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2 이상의 상기 하레벨링 롤이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인 판재의 교정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일방측에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을 가지며 상기 레벨링 롤 유닛의 타방측은 스트레이트 형상의 레벨링 롤뿐이며,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 편차(Δσ)가Δσ>0.08×σMAX일 때 및/또는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일방측을 입측으로 하여,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에 의해,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압입량을 판폭방향 단부의 압입량보다 크게 하여 판폭방향 단부에 에지웨이브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및/또는 판폭방향 단부에 발생한 에지웨이브를 해소하도록 상기 판재의 교정이 행해지고, Δσ≤0.08×σMAX이고 또한 에지웨이브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상기 타방측을 입측으로 하여, 상기 판재의 판폭방향 중앙부의 신장량과 판폭방향 단부의 신장량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상기 판재의 교정이 행해지며 단, Δσ=σMAXMINMAX는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대치, σMIN은 판폭방향의 항복 응력의 최소치인 판재의 교정 방법.
  11.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의 상기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와 상기 폭방향 단부의 길이는, 교정하고자 하는 상기 판재의 폭 및 상기 판재의 재질이나 열처리에 응하여 설정되는 판재의 교정 방법.
  12. 청구항 7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붙이 구조의 레벨링 롤은, 상기 폭방향 중앙부와 동일한 직경의 링을 상기 폭방향 단부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링에 의해, 교정하고자 하는 상기 판재의 폭 및 상기 판재의 재질이나 열처리에 응하여 상기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를 조정하는 판재의 교정 방법.
KR1020147028094A 2012-04-26 2013-04-08 롤러 레벨러 및 그것을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 KR101544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1004A JP5856535B2 (ja) 2012-04-26 2012-04-26 ローラレベ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板材の矯正方法
JPJP-P-2012-101004 2012-04-26
PCT/JP2013/060621 WO2013161555A1 (ja) 2012-04-26 2013-04-08 ローラレベ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板材の矯正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767A true KR20140132767A (ko) 2014-11-18
KR101544556B1 KR101544556B1 (ko) 2015-08-13

Family

ID=4945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094A KR101544556B1 (ko) 2012-04-26 2013-04-08 롤러 레벨러 및 그것을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7526B2 (ko)
EP (1) EP2845659B1 (ko)
JP (1) JP5856535B2 (ko)
KR (1) KR101544556B1 (ko)
CN (1) CN103372585B (ko)
WO (1) WO2013161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4015085B1 (pt) * 2014-05-29 2023-11-14 M.E.P. Macchine Elettroniche Piegatrici S.P.A. Unidade de estiramento, aparelho de estiramento e método correspondente
CN105834251B (zh) * 2016-06-06 2018-01-12 山东济钢鲍德金属复合板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9‑13米不锈钢复合板矫直机
CN105947749A (zh) * 2016-06-23 2016-09-21 湖南众满轮胎科技有限公司 防扎穿安全轮胎的环形链板带链块冲压的薄钢带输送机
CN107774714A (zh) * 2016-08-31 2018-03-09 安徽应流久源核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热轧机矫平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913853B1 (ko) 2017-02-18 2018-12-28 김공섭 금속 판재를 평탄화하고 절단하는 제조 시스템
EP3437749A1 (fr) * 2017-08-04 2019-02-06 Primetals Technologies France SAS Planeuse multi-rouleaux de bande métallique
CN108380701A (zh) * 2018-05-23 2018-08-10 文丹 一种冷轧钢卷的上料矫直一体机
US11400502B2 (en) * 2018-09-13 2022-08-02 Fuelcell Energy, Inc. Edge leveler with offset rollers
CN111618139B (zh) * 2020-05-11 2022-02-08 武汉科技大学 一种用于金属板带材的非对称循环弯曲变形装置
CN113465482B (zh) * 2021-09-04 2021-11-02 南通冠准材料贸易有限公司 一种平板类金属构件制造用平整度检测设备
CN115446962B (zh) * 2022-10-11 2023-12-05 山东宜居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墙板出料侧弯整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172A (en) 1914-05-02 1914-08-04 Johann Martin Wetcke Rolling-mill for sheet metal.
JPS60162524A (ja) 1984-02-03 1985-08-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ロ−ラ矯正機
JPS60170526A (ja) 1984-02-14 1985-09-0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ロ−ラ−矯正装置
US4599770A (en) 1984-04-06 1986-07-15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Roll for rolling mill
JPS6137322A (ja) 1984-07-30 1986-02-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ロ−ラ−レベラ−
JPS63199024A (ja) * 1987-02-12 1988-08-17 Fuji Photo Film Co Ltd ロ−ラレベラ
JPH0747928B2 (ja) 1989-08-10 1995-05-2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触媒コンバータ
JPH0370809U (ko) * 1989-11-08 1991-07-17
JP2851954B2 (ja) * 1991-08-22 1999-01-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テンションレベラーおよび矯正方法
JP2910025B2 (ja) * 1994-08-08 1999-06-23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板状形材の製造装置
JPH11192510A (ja) * 1998-01-07 1999-07-21 Nippon Steel Corp ローラレベラのロール位置の制御方法
JP4277344B2 (ja) * 1999-02-24 2009-06-1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テンションレベラおよびストリップの矯正方法
CN2502816Y (zh) * 2001-09-28 2002-07-31 中国第二重型机械集团公司 中厚钢板变辊距矫直机
DE50301499D1 (de) * 2002-03-15 2005-12-01 Siemens Ag Rechnergestütztes ermittlungsverfahren für sollwerte für profil- und planheitsstellglieder
JP4164111B2 (ja) * 2007-01-22 2008-10-08 生田産機工業株式会社 異形断面を有する帯状金属薄板の矯正装置
US8893537B2 (en) * 2007-11-07 2014-11-25 The Bradbury Company,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drive material conditioning machines
RU2507020C1 (ru) * 2010-01-29 2014-02-20 ДжейПи СТИЛ ПЛЭНТЕК КО. Валковое прав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2028639U (zh) * 2010-06-22 2011-11-09 张挺胜 辊式板材矫正机上辊升降装置和辊型调整装置
CN203400957U (zh) * 2013-04-23 2014-01-22 钢铁普蓝特克股份有限公司 辊式矫直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2585A (zh) 2013-10-30
EP2845659A4 (en) 2015-04-22
CN103372585B (zh) 2015-09-09
WO2013161555A1 (ja) 2013-10-31
US9387526B2 (en) 2016-07-12
US20150128675A1 (en) 2015-05-14
KR101544556B1 (ko) 2015-08-13
JP2013226582A (ja) 2013-11-07
JP5856535B2 (ja) 2016-02-09
EP2845659A1 (en) 2015-03-11
EP2845659B1 (en)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556B1 (ko) 롤러 레벨러 및 그것을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
KR101508711B1 (ko) 롤러 레벨러 및 금속판의 교정 방법
KR101559159B1 (ko) 롤러 레벨러 및 판재의 교정 방법
KR101461043B1 (ko) 롤러 레벨러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
JP6007597B2 (ja) 形鋼用曲り矯正装置および形鋼の曲り矯正方法
KR101651313B1 (ko) 금속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신장-굽힘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21978B1 (ko) 스트립 압연기용 가이드 장치
WO2014084144A1 (ja) レベラ設備および板材の矯正方法
WO2013035449A1 (ja) ローラレベ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金属板の矯正方法
JPH09225531A (ja) 厚鋼板のローラレベラ
JP4736321B2 (ja) 鋼板の矯正方法
JP6479556B2 (ja) 圧延加工装置、湾曲加工方法
JP4525037B2 (ja) 鋼板のローラ矯正方法
CN203400957U (zh) 辊式矫直机
KR101603652B1 (ko) 스트립 형상 교정장치
JPH1133628A (ja) 金属板の矯正方法、金属製品の製造法および矯正装置
KR20130099336A (ko) 강판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JP7070959B1 (ja) 短尺金属板圧延用の圧延装置、当該圧延装置による短尺金属板の形状制御方法及び短尺金属板の製造方法
JP6954196B2 (ja) 被矯正板のローラ矯正方法およびローラ矯正設備
JP2007007708A (ja) 厚鋼板の矯正方法および矯正装置
KR101510283B1 (ko) 강판 처리장치
JP3385278B2 (ja) 金属製品の製造法
KR20200020478A (ko) 판재의 형상 교정이 가능한 롤러장치
JPH0671610B2 (ja) 板圧延の形状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I505879B (zh) Roller straightening machine and plate corr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