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439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439A
KR20140099439A KR20147007631A KR20147007631A KR20140099439A KR 20140099439 A KR20140099439 A KR 20140099439A KR 20147007631 A KR20147007631 A KR 20147007631A KR 20147007631 A KR20147007631 A KR 20147007631A KR 20140099439 A KR20140099439 A KR 20140099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iston
damping force
cylind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862B1 (ko
Inventor
미키오 야마시타
후미유키 야마오카
마사루 고우야마
구니오 다키구치
아츠후미 이시모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9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2Throttling passages operating with meterin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9Stops limiting fluid passage, e.g. hydraulic stops or elastomeric elements inside the cylinder which contribute to changes in 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F16F9/5165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use of spherical valve elements or like free-mov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완충기는, 피스톤(15)의 이동에 의해 2실(16),(17)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111),(112) 및 제2 통로(32),(99),(235)를 구비하고,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며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는 최대 길이측 특성과,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최소 길이측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성이 되도록,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 제2 통로(99),(235)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236)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기{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1년 11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26200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완충기에는, 감쇠력을 발생하는 디스크 밸브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설치하고,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서 가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변화시켜, 감쇠력을 가변시키는 변위 감응형 완충기가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이 종류의 완충기에서는, 감쇠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가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크게 하면 스프링의 반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감쇠 특성이나 반력 등의 설정 자유도가 낮았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2-28392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2-283929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감쇠 특성이나 반력 등의 설정 자유도를 높게 한 완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를 포함하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는 최대 길이측 특성과,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최소 길이측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특성이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를 포함하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며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완충기는,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를 포함하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며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쇠 특성이나 반력 등의 설정 자유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한쪽의 통로 면적 조정 기구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스트로크 위치와 오리피스의 통로 면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스트로크 위치와 감쇠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피스톤 속도와 감쇠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탑재한 차량의 악로 주행시의 주파수와 스프링상 가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스트로크 위치와 오리피스의 통로 면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스트로크 위치와 감쇠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형태에 대해서, 완충기와 차고(車高)를 조정하는 기구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 1∼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의 하측을 일방측 및 하측으로 하고, 반대로 도면의 상측을 타방측 및 상측으로서 정의한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감쇠력 조정식이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위 복통식의 유압 완충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는, 작동 유체로서의 유액이 봉입되는 원통형의 실린더(11)와, 이 실린더(11)보다 대직경이고 실린더(11)를 덮도록 동심형으로 설치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통(12)을 갖고 있다. 이들 실린더(11)와 외통(12) 사이에 리저버실(13)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1) 내에는, 피스톤(15)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피스톤(15)은, 실린더(11) 내를 상부실(16)과 하부실(17)의 2실로 구획하고 있다. 실린더(11) 내의 상부실(16) 및 하부실(17) 내에는 유액이 봉입되고, 실린더(11)와 외통(12) 사이의 리저버실(13) 내에는 유액과 가스가 봉입된다.
실린더(11) 내에는, 일단이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18)의 타단이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15)은, 이 피스톤 로드(18)의 실린더(11) 내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8)는, 실린더(11) 및 외통(12)의 일단 개구부에 장착된 로드 가이드(21)와, 외통(12)의 일단 개구부에 장착된 오일 시일(22)에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1)는, 그 외주부가 하부보다 상부가 대직경이 되는 단차형을 이루고 있고, 하부에서 실린더(11)의 상단의 내주부에 감합되며, 상부에서 외통(12)의 상부의 내주부에 감합된다. 실린더(11)의 하단의 내주부는, 외통(12)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실린더(11) 내의 하부실(17)과 리저버실(13)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23)에 감합되어 있다. 외통(12)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코킹되어 있고, 실린더(11)와 함께 오일 시일(22) 및 로드 가이드(21)를 협지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18)는, 로드 가이드(21) 및 오일 시일(22)에 삽입 관통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 본체(26)와, 로드 본체(26)의 실린더(11) 내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선단 로드(27)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 본체(26)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르는 삽입 구멍(28)이, 선단 로드(27)측으로부터 반대측의 단부 근방의 도중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 로드(27)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축방향을 따르는 관통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삽입 구멍(28)과 관통 구멍(29)이 피스톤 로드(18)의 삽입 구멍(30)을 구성하고 있다. 이 삽입 구멍(30) 내에, 베이스 밸브(23)측에 지지된 미터링 핀(31)이 삽입되어 있다. 삽입 구멍(30)과 미터링 핀(31) 사이는, 피스톤 로드(18) 내에서 유액이 유동 가능한 로드내 통로(제2 통로)(32)로 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8)의 로드 본체(26)의 외주측에는, 피스톤(15)측에 원환형의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이,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피스톤(15)과는 반대측에 원환형의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 및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은, 로드 본체(26)를 내측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로드 본체(26)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 및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이, 그 내측에 로드 본체(26)를 삽입 관통시키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의 리바운드 스프링(38)과는 반대에는, 원환형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완충체(39)가 설치되어 있다. 완충체(39)도 로드 본체(26)를 내측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로드 본체(26)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완충기의, 예컨대 일방측은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타방측에 차륜측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 로드(18)가 차체측에 연결되고, 외통(12)의 바닥부의 외측에 부착된 부착 아이(40)가 차륜측에 연결된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완충기의 타방측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완충기의 일방측에 차륜측이 고정되도록 해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 본체(26)의 선단 로드(27)측의 단부에는, 삽입 구멍(28)보다 대직경이고 삽입 구멍(28)에 연통되는 나사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 로드(27)의 로드내 통로(32)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29)은, 로드 본체(26)측의 대직경 구멍부(47)와, 로드 본체(26)와는 반대측의, 대직경 구멍부(47)보다 소직경인 소직경 구멍부(48)로 구성되어 있다. 선단 로드(27)에는, 로드 본체(26)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통로 구멍(49), 통로 구멍(50) 및 통로 구멍(51)이, 모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로 구멍(49∼51)은, 모두 선단 로드(27)의 축방향의 대직경 구멍부(47)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 로드(27)는, 축방향의 로드 본체(26)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나사축부(55)와, 플랜지부(56)와, 유지 축부(57)와, 중간 축부(58)와, 부착축부(59)를 갖고 있다. 나사축부(55)는, 로드 본체(26)의 나사 구멍(43)에 나사 결합된다. 그 때에 로드 본체(26)를 접촉시키기 때문에, 플랜지부(56)는, 나사축부(55) 및 로드 본체(26)보다 대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유지 축부(57)는, 플랜지부(56)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고, 축방향의 플랜지부(56)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수나사(61)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축부(57)의 수나사(61)보다 플랜지부(56)측에는, 상기한 통로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축부(58)는, 유지 축부(57)의 수나사(61)의 골직경보다 약간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부착 축부(59)는, 중간 축부(58)보다 더욱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부착 축부(59)의, 축방향의 중간 축부(58)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수나사(62)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 축부(59)에는, 수나사(62)보다 중간 축부(58)측의 범위에, 중간 축부(58)측에 위치되어 상기한 통로 구멍(50)이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62)측에 위치되어 상기한 통로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은, 원통형부(65)와, 원통형부(65)의 축방향 일단측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촉 플랜지부(66)와, 접촉 플랜지부(66)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의 원통형부(65)와는 반대측으로 약간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출부(67)를 갖고 있다. 이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은, 원통형부(65)를 리바운드 스프링(38)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로 접촉 플랜지부(66)에서 리바운드 스프링(38)의 축방향의 단부에 접촉된다.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과 선단 로드(27)의 플랜지부(56) 사이에는, 전달 부재(71)와 웨이브 스프링(72)이 장착되어 있다. 전달 부재(71)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고, 웨이브 스프링(72)보다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달 부재(71)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기판부(75)와, 그 외주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부(76)를 갖고 있다. 통형부(76)는, 기판부(75)와는 반대측이 대직경이 되는 단차형을 이루고 있고, 그 선단부의 내주측에 모따기가 형성됨으로써, 통형부(76)의 선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직경 방향으로 박육인 접촉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전달 부재(71)는, 내측에 로드 본체(26)를 삽입 관통시키고, 그 기판부(75)가,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돌출부(67)의 내측에 감합되면서 접촉 플랜지부(66)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웨이브 스프링(72)은, 평면에서 보아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웨이브 스프링(72)은, 자연 상태에서는, 도 2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및 주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위치 변화에 의해서 축방향 위치가 변화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웨이브 스프링(72)은, 그 내측에 로드 본체(26)를 삽입 관통시키며, 전달 부재(71)의 통형부(76)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달 부재(71)의 기판부(75)의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웨이브 스프링(72)은, 축방향으로 평탄해지도록 탄성 변형됨으로써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웨이브 스프링(72)은, 그 축방향 양측에 있는 선단 로드(27)의 플랜지부(56)와 전달 부재(71)를 축방향으로 정해진 거리를 이격시키도록 가압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로부터 돌출되는 신장측, 즉 상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 로드(18)의 선단 로드(27)의 플랜지부(56)와 함께, 웨이브 스프링(72), 전달 부재(71),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 리바운드 스프링(38), 도 1에 도시된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 및 완충체(39)가, 로드 가이드(21)측으로 이동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완충체(39)가 로드 가이드(21)에 접촉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18)가 돌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완충체(39)가 변형된 후, 완충체(39) 및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이, 실린더(11)에 대하여 정지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이동하는 선단 로드(27)의 도 2에 도시된 플랜지부(56), 웨이브 스프링(72), 전달 부재(71) 및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이 리바운드 스프링(38)을 압축시키고, 이 때의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이 피스톤 로드(18)의 이동에 대하여 저항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린더(11) 내에 설치된 리바운드 스프링(38)이, 피스톤 로드(18)에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피스톤 로드(18)의 신장을 억제한다. 또한, 이와 같이 리바운드 스프링(38)이 피스톤 로드(18)의 신장 저항이 됨으로써, 탑재된 차량의 선회시 내주측의 차륜의 부상을 억제하여 차체의 롤량을 억제한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18)가 돌출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에 도시된 완충체(39)가 로드 가이드(21)에 접촉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이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과의 사이에서 리바운드 스프링(38)을 압축시키기 전에, 도 2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8)의 플랜지부(56)가 전달 부재(71)와 함께 웨이브 스프링(72)을 그 가압력에 대항하여 눌러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전달 부재(71)를 약간 축방향의 플랜지부(56)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로드(27)의 플랜지부(56)의 축방향의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과는 반대측에는, 플랜지부(56)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복수매의 디스크(85)와, 개폐 디스크(밸브부)(86)와, 복수매의 중간 디스크(87)와, 접촉 디스크(88)와, 통로 형성 부재(89)와, 개재부(90)와, 너트(91)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매의 디스크(85)는, 모두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고, 전달 부재(71)의 통형부(76)의 내직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개폐 디스크(86)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고, 전달 부재(71)의 통형부(76)의 외경과 대략 동일 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개폐 디스크(86)의 외주측에는, 축방향의 일면으로부터 축방향 타측으로, 오목 축방향의 다른 면으로부터 축방향 타측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의 개폐부(93)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93)는 전달 부재(71)의 접촉부(80)와 동일 직경으로 되어 있다.
복수매의 중간 디스크(87)는, 모두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고, 개폐 디스크(86)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촉 디스크(88)측의 중간 디스크(87)의 외주측에는, 복수의 노치(87A)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 디스크(88)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고, 개폐 디스크(86)와 동일 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다. 접촉 디스크(88)의 직경 방향 중간부에는, C자형의 관통 구멍(88A)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형성 부재(89)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고, 접촉 디스크(88)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통로 형성 부재(89)의 내주측에는, 복수의 노치(89A)가 형성되어 있다. 개재부(90)는 복수매의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통로 형성 부재(89)보다 대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중간 디스크(87), 접촉 디스크(88) 및 통로 형성 부재(89)에는, 중간 디스크(87)의 직경 방향 외측, 즉 상부실(16)을 통로 구멍(49)에 연통시키는 통로(96)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96)는, 중간 디스크(87)의 외주부에 형성된 상기의 노치(87A)와, 접촉 디스크(88)의 직경 방향 중간 위치에 형성된 상기의 관통 구멍(88A)과, 통로 형성 부재(89)의 내주부에 형성된 상기의 노치(89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복수매의 디스크(85)와, 개폐 디스크(86)와, 복수매의 중간 디스크(87)와, 접촉 디스크(88)와, 통로 형성 부재(89)와, 개재부(90)가, 각각의 내측에 유지 축부(57)를 삽입 관통시키도록 하여 선단 로드(27)에 배치되고, 이 상태로 너트(91)의 암나사(97)가 수나사(61)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복수매의 디스크(85), 개폐 디스크(86), 복수매의 중간 디스크(87), 접촉 디스크(88), 통로 형성 부재(89) 및 개재부(90)가, 선단 로드(27)의 플랜지부(56)와 너트(91)에 축방향으로 협지된다.
도 3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 부재(71)가 웨이브 스프링(72)의 가압력으로 선단 로드(27)의 플랜지부(56)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접촉부(80)를 개폐 디스크(86)의 개폐부(93)로부터 이격시키고 있고, 따라서, 개폐부(93)를 접촉 디스크(88)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여기서, 개폐 디스크(86)의 개폐부(93)와 접촉 디스크(88)의 간극과, 중간 디스크(87), 접촉 디스크(88) 및 통로 형성 부재(89)의 통로(96)가 오리피스(98)를 구성하고 있고, 이 오리피스(98)와, 선단 로드(27)의 통로 구멍(49)이, 상부실(16)과 로드내 통로(32)를 연통시키는 통로(제2 통로)(99)를 구성하고 있다.
도 3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에 의해 전달 부재(71)가 기판부(75)를 플랜지부(56)측으로 이동시켜 웨이브 스프링(72)을 눌러 변형시키면, 그 접촉부(80)가 개폐 디스크(86)의 개폐부(93)에 접촉하여 개폐부(93)를 접촉 디스크(88)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오리피스(98)를 폐색시켜 상부실(16)과 로드내 통로(32)의 통로(99)를 통하게 하는 연통을 차단한다.
전달 부재(71),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 리바운드 스프링(38), 도 1에 도시된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 및 완충체(39)는, 실린더(11) 내에 설치되며, 일단이 도 3에 도시된 개폐 디스크(86)와 접촉 가능하고 타단이 실린더(11)의 단부측의 도 1에 도시된 로드 가이드(21)에 접촉 가능한 스프링 기구(100)를 구성하고 있다. 이 스프링 기구(10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스프링력에 의해 개폐 디스크(86)를 웨이브 스프링(7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이 스프링 기구(100)와, 오리피스(98)를 개폐하는 개폐 디스크(86) 및 접촉 디스크(88)가,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 변화되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에 따라서 오리피스(98), 즉 통로(99)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를 구성하고 있다. 오리피스(98)는, 바꿔 말하면 통로 면적이 가변적인 가변 오리피스로 되어 있다.
상기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에 의한, 완충기의 스트로크 위치에 대한 오리피스(98)의 통로 면적은, 도 4에 나타내는 실선과 같이 되어 있다. 즉, 오리피스(98)의 통로 면적은, 수축측의 전체 스트로크 범위 및 신장측의 정해진 위치 S3까지는, 중립 위치[1G의 위치(수평 위치에 정지한 차체를 지지하는 위치)]를 포함하여 최대 일정값이며, 신장측의 정해진 위치 S3에서 스프링 기구(100)가 웨이브 스프링(7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개폐 디스크(86)를 폐쇄하기 시작하면, 신장측만큼 비례하여 작아져, 개폐 디스크(86)의 개폐부(93)가 접촉 디스크(88)에 접촉하는 정해진 위치 S4에서 최소가 되고, 정해진 위치 S4보다 신장측에서는 최소 일정값이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15)은, 선단 로드(27)에 지지되는 피스톤 본체(105)와, 피스톤 본체(105)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실린더(11)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원환형의 미끄럼 이동 부재(10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05)에는, 상부실(16)과 하부실(17)을 연통시키고, 피스톤(15)의 상부실(16)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서 상부실(16)로부터 하부실(17)을 향해서 유액이 유출되는 복수(도 2에서는 단면인 관계상 1개소만 도시)의 통로(제1 통로)(111)와, 피스톤(15)의 하부실(17)측으로의 이동, 즉 수축 행정에서 하부실(17)로부터 상부실(16)을 향해서 유액이 유출되는 복수(도 2에서는 단면인 관계상 1개소만 도시)의 통로(제1 통로)(112)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111)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1개소의 통로(112)를 끼워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15)의 축방향 일측(도 2의 상측)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축방향 타측(도 2의 하측)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반수(半數)의 통로(111)에 대하여, 감쇠력을 발생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114)가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114)는, 피스톤(15)의 축방향 일단측인 하부실(17)측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111)는,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 밖으로 신장되는 신장측으로 피스톤(15)이 이동할 때에 유액이 통과하는 신장측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에 대하여 설치된 감쇠력 발생 기구(114)는, 신장측 통로(111)의 유액의 유동을 규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나머지의 반수를 구성하는 통로(112)는, 원주 방향에서, 각각 사이에 1개소의 통로(111)를 끼워 등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112)는, 피스톤(15)의 축선 방향 타측(도 2의 하측)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축선 방향 일측(도 2의 상측)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나머지 반수의 통로(112)에, 감쇠력을 발생하는 감쇠력 발생 기구(115)가 설치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115)는, 피스톤(15)의 축방향의 타단측인 축선 방향의 상부실(16)측에 배치되어 있다. 통로(112)는,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 내에 들어가는 수축측으로 피스톤(15)이 이동할 때에 유액이 통과하는 수축측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에 대하여 설치된 감쇠력 발생 기구(115)는, 수축측 통로(112)의 유액의 유동을 규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05)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한 선단 로드(27)의 부착 축부(59)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116)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05)의 하부실(17)측의 단부에는, 신장측 통로(111)의 일단 개구 위치의 외측에, 감쇠력 발생 기구(114)를 구성하는 시트부(117)가,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05)의 상부실(16)측의 단부에는, 수축측 통로(112)의 일단 개구 위치의 외측에, 감쇠력 발생 기구(115)를 구성하는 시트부(118)가,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105)에 있어서, 시트부(117)의 삽입 관통 구멍(116)과는 반대측은, 시트부(117)보다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고, 이 단차형의 부분에 수축측 통로(112)의 타단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동일하게, 피스톤 본체(105)에 있어서, 시트부(118)의 삽입 관통 구멍(116)과는 반대측은, 시트부(118)보다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고, 이 단차형의 부분에 신장측 통로(111)의 타단이 개구되어 있다.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는, 압력 제어형의 밸브 기구이다. 감쇠력 발생 기구(114)는, 축방향의 피스톤(15)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복수매의 디스크(121)와, 감쇠 밸브 본체(122)와, 복수매의 디스크(123)와, 시트 부재(124)와, 복수매의 디스크(125)와, 밸브 규제부(126)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124)는, 축직교 방향을 따르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바닥부(131)와, 바닥부(131)의 내주측에 형성된 축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의 내측 원통형부(132)와, 바닥부(131)의 외주측에 형성된 축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의 외측 원통형부(133)를 갖고 있다. 바닥부(131)는, 내측 원통형부(132) 및 외측 원통형부(133)에 대하여 축방향의 일측으로 어긋나 있고, 바닥부(131)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132)의 내측에는, 축방향의 바닥부(131)측에 선단 로드(27)의 부착 축부(59)를 감합시키는 소직경 구멍부(135)가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의 바닥부(131)와는 반대측에는, 소직경 구멍부(135)보다 대직경인 대직경 구멍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124)의 외측 원통형부(133)에는, 그 축방향의 바닥부(131)측의 단부에, 환형의 시트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부(137)에 복수매의 디스크(125)가 착좌(着座)한다.
시트 부재(124)의 바닥부(131)와 내측 원통형부(132)와 외측 원통형부(133)로 둘러싸인 축방향의 바닥부(131)와는 반대측의 공간과, 시트 부재(124)의 관통 구멍(134)은, 감쇠 밸브 본체(122)에 피스톤(15)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파일럿실(제2 통로)(140)로 되어 있다. 선단 로드(27)의 상기한 통로 구멍(51)과, 시트 부재(124)의 대직경 구멍부(136)와, 후술하는 디스크(123)에 형성된 오리피스(151)가, 로드내 통로(32)와 파일럿실(140)에 접속되어, 이 파일럿실(140)에 로드내 통로(32)를 통해 상부실(16) 및 하부실(17)로부터 유액을 도입할 수 있는 파일럿실 유입 통로(제2 통로)(141)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매의 디스크(121)는, 피스톤(15)의 시트부(117)보다 소직경인 외경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감쇠 밸브 본체(122)는, 피스톤(15)의 시트부(117)에 착좌 가능한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디스크(145)와, 디스크(145)의 피스톤(15)과는 반대의 외주측에 고착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환형의 시일 부재(146)로 구성되어 있다. 감쇠 밸브 본체(122)와 피스톤(15)의 시트부(117)가, 피스톤(15)에 설치된 통로(111)와 시트 부재(124)에 설치된 파일럿실(140)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15)의 신장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유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감쇠 밸브(147)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감쇠 밸브(147)는 디스크 밸브로 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145)에는, 피스톤 로드(18)의 부착 축부(59)를 삽입 관통시키는 중앙의 구멍 이외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감쇠 밸브 본체(122)의 시일 부재(146)는, 시트 부재(124)의 외측 원통형부(133)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감쇠 밸브 본체(122)와 외측 원통형부(133)의 간극을 시일한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22)와 시트 부재(124) 사이의 상기한 파일럿실(140)은, 감쇠 밸브 본체(122)에, 피스톤(15)의 방향, 즉 시트부(117)에 접촉하는 폐쇄 밸브 방향으로 내압을 작용시킨다. 감쇠 밸브(147)는, 파일럿실(140)을 갖는 파일럿 타입의 감쇠 밸브로서, 감쇠 밸브 본체(122)가 피스톤(15)의 시트부(117)로부터 이좌(離座)하여 개방되면, 통로(111)로부터의 유액을 피스톤(15)과 시트 부재(124) 사이의 직경 방향의 통로(148)를 통해 하부실(17)로 흘린다.
복수매의 디스크(123)는, 디스크(145)보다 소직경인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고, 그 중 시트 부재(124)측인 것에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1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오리피스(151)에 의해서 시트 부재(124)의 대직경 구멍부(136) 내와 파일럿실(140)이 연통된다.
복수매의 디스크(125)는, 시트 부재(124)의 시트부(137)에 착좌 가능한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복수매의 디스크(125)와 시트부(137)가, 시트 부재(124)에 설치된 파일럿실(140)과 하부실(17) 사이의 유액의 흐름을 억제하는 디스크 밸브(153)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매의 디스크(125) 중 시트부(137)측인 것에는, 시트부(137)와 접촉 상태에 있더라도 파일럿실(140)을 하부실(17)에 연통시키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154)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53)는, 복수매의 디스크(125)가 시트부(137)로부터 이좌함으로써 오리피스(154)보다 넓은 통로 면적으로 파일럿실(140)을 하부실(17)에 연통시킨다. 밸브 규제부(126)는, 복수의 원환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복수매의 디스크(125)에 접촉하여 그 개방 방향에 대한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도, 신장측과 동일하게 압력 제어형의 밸브 기구이다. 감쇠력 발생 기구(115)는, 축방향의 피스톤(15)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복수매의 디스크(181)와, 감쇠 밸브 본체(182)와, 복수매의 디스크(183)와, 시트 부재(184)와, 복수매의 디스크(185)와, 밸브 규제부(186)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184)는, 축직교 방향을 따르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바닥부(191)와, 바닥부(191)의 내주측에 형성된 축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의 내측 원통형부(192)와, 바닥부(191)의 외주측에 형성된 축방향을 따르는 원통형의 외측 원통형부(193)를 갖고 있다. 바닥부(191)는, 내측 원통형부(192) 및 외측 원통형부(193)에 대하여 축방향의 일측으로 어긋나 있고, 바닥부(191)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19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원통형부(192)의 내측에는, 축방향의 바닥부(191)측에 선단 로드(27)의 부착 축부(59)를 감합시키는 소직경 구멍부(195)가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의 바닥부(191)와는 반대측에 소직경 구멍부(195)보다 대직경인 대직경 구멍부(196)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원통형부(193)에는, 그 축방향의 바닥부(191)측의 단부에, 환형의 시트부(19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시트부(197)에 복수매의 디스크(185)가 착좌한다.
시트 부재(184)의 바닥부(191)와 내측 원통형부(192)와 외측 원통형부(193)로 둘러싸인 바닥부(191)와는 반대측의 공간과 관통 구멍(194)은, 감쇠 밸브 본체(182)에 피스톤(15)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파일럿실(제2 통로)(200)로 되어 있다. 선단 로드(27)의 상기한 통로 구멍(50)과, 시트 부재(184)의 대직경 구멍부(196)와, 후술하는 디스크(183)에 형성된 오리피스(211)가, 로드내 통로(32)와 파일럿실(200)에 접속되고, 이 파일럿실(200)에 로드내 통로(32)를 통해 상부실(16) 및 하부실(17)로부터 유액을 도입할 수 있는 파일럿실 유입 통로(제2 통로)(201)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매의 디스크(181)는, 피스톤(15)의 시트부(118)보다 소직경인 외경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감쇠 밸브 본체(182)는, 피스톤(15)의 시트부(118)에 착좌 가능한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디스크(205)와, 디스크(205)의 피스톤(15)과는 반대의 외주측에 고착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원환형의 시일 부재(206)로 이루어져 있다. 감쇠 밸브 본체(182)와 피스톤(15)의 시트부(118)가, 피스톤(15)에 설치된 통로(112)와 시트 부재(184)에 설치된 파일럿실(200)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15)의 수축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유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측의 감쇠 밸브(207)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감쇠 밸브(207)는 디스크 밸브로 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205)에는, 피스톤 로드(18)의 부착 축부(59)를 삽입 관통시키는 중앙의 구멍 이외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시일 부재(206)는, 시트 부재(184)의 외측 원통형부(193)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감쇠 밸브 본체(182)와 시트 부재(184)의 외측 원통형부(193)의 간극을 시일한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82)와 시트 부재(184) 사이의 상기한 파일럿실(200)은, 감쇠 밸브(207)의 감쇠 밸브 본체(182)에, 피스톤(15)의 방향, 즉 시트부(118)에 접촉하는 폐쇄 밸브 방향으로 내압을 작용시킨다. 감쇠 밸브(207)는, 파일럿실(200)을 갖는 파일럿 타입의 감쇠 밸브이다. 감쇠 밸브 본체(182)가 피스톤(15)의 시트부(118)로부터 이좌하여 개방되면, 통로(112)로부터의 유액을 피스톤(15)과 시트 부재(184) 사이의 직경 방향의 통로(208)를 통해 상부실(16)로 흘린다.
복수매의 디스크(183)는, 디스크(205)보다 소직경인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고, 그 중 시트 부재(184)인 것에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211)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184)의 대직경 구멍부(196) 내와 파일럿실(200)이 연통된다.
복수매의 디스크(185)는, 시트 부재(184)의 시트부(197)에 착좌 가능한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복수매의 디스크(185)와 시트부(197)가, 시트 부재(184)에 설치된 파일럿실(200)과 상부실(16) 사이의 유액의 흐름을 억제하는 디스크 밸브(213)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매의 디스크(185) 중 시트부(197)측인 것에는, 시트부(197)와 접촉 상태에 있더라도 파일럿실(200)을 상부실(16)에 연통시키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214)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213)는, 복수매의 디스크(185)가 시트부(197)로부터 이좌함으로써 오리피스(214)보다 넓은 통로 면적으로 파일럿실(200)을 상부실(16)에 연통시킨다. 밸브 규제부(186)는, 복수의 원환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복수매의 디스크(185)에 접촉하여 그 개방 방향에 대한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선단 로드(27)의 선단의 수나사(62)에는, 너트(22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220)는, 수나사(6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221)가 내주부에 형성되며, 외주부에 렌치 등의 체결 공구가 장착되는 본체부(222)와, 본체부(222)의 축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플랜지부(223)를 갖고 있다.
너트(220)는, 그 본체부(222)의 내플랜지부(223)와는 반대측을 밸브 규제부(126)측으로 하여 선단 로드(27)에 나사 결합된다. 너트(220)가 체결되면, 밸브 규제부(126), 복수매의 디스크(125), 시트 부재(124), 복수매의 디스크(123), 감쇠 밸브 본체(122), 복수매의 디스크(121), 피스톤(15), 복수매의 디스크(181), 감쇠 밸브 본체(182), 복수매의 디스크(183), 시트 부재(184), 복수매의 디스크(185) 및 밸브 규제부(186)의 각각의 내주측을, 선단 로드(27)의 중간 축부(58)의 부착 축부(59)측의 단차면(225)과의 사이에서 협지한다.
미터링 핀(3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밸브(23)에 지지되는 지지 플랜지부(230)와, 지지 플랜지부(230)보다 소직경이고 지지 플랜지부(230)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직경 축부(232)와, 대직경 축부(232)의 지지 플랜지부(230)와는 반대측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퍼 축부(233)와, 테이퍼 축부(233)의 대직경 축부(232)와는 반대측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직경 축부(234)를 갖고 있다. 대직경 축부(232)는 일정 직경이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 축부(234)는 대직경 축부(232)보다 소직경인 일정 직경이다. 테이퍼 축부(233)는, 대직경 축부(232)의 소직경 축부(234)측의 단부에 연속되며, 소직경 축부(234)의 대직경 축부(232)측의 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이들을 연결하도록 소직경 축부(234)측만큼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미터링 핀(31)은, 너트(220)의 내플랜지부(223)의 내측과, 피스톤 로드(18)의 관통 구멍(29)과 삽입 구멍(28)으로 이루어지는 삽입 구멍(30)에 삽입되어 있다. 미터링 핀(31)은, 피스톤 로드(18)와의 사이에 로드내 통로(32)를 형성하고 있다. 너트(220)의 내플랜지부(223)와 미터링 핀(31)의 간극은, 로드내 통로(32)와 하부실(17)을 연통시키는 오리피스(제2 통로)(235)로 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235)는, 대직경 축부(232)가 내플랜지부(223)와 축방향 위치를 맞추면, 통로 면적이 가장 좁아져 실질적으로 유액의 유통을 규제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오리피스(235)는, 소직경 축부(234)가 내플랜지부(223)와 축방향 위치를 맞추면, 통로 면적이 가장 넓어져 유액의 유통을 허용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오리피스(235)는, 테이퍼 축부(233)가 내플랜지부(223)와 축방향 위치를 맞추면, 테이퍼 축부(233)의 소직경 축부(234)측만큼 통로 면적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너트(220)는 피스톤 로드(18)와 일체로 이동함에 따라, 너트(220)의 내플랜지부(223)와 미터링 핀(31)이,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를 구성하고 있고, 오리피스(235)는,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따라서 통로 면적이 변화되는 가변 오리피스로 되어 있다.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는, 바꿔 말하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미터링 핀(31)에 의해 조정한다.
상기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에 의한, 완충기의 스트로크 위치에 대한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은, 도 4에 나타내는 파선과 같이 되어 있다. 즉,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은, 수축측의 정해진 위치 S1보다 수축측에서는, 내플랜지부(223)와 대직경 축부(232)가 축방향 위치를 맞추게 되어 최소 일정값이 되고, 정해진 위치 S1로부터 중립 위치를 사이에 두고 신장측의 정해진 위치 S2까지는 내플랜지부(223)와 테이퍼 축부(233)가 축방향 위치를 맞추게 되어 신장측만큼 비례하여 커지고, 이 정해진 위치 S2로부터 신장측에서는 내플랜지부(223)와 소직경 축부(234)가 축방향 위치를 맞추게 되어 최대 일정값이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12)의 바닥부와 실린더(11) 사이에는, 상기한 베이스 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밸브(23)는, 하부실(17)과 리저버실(13)을 구획하는 대략 원판형의 베이스 밸브 부재(241)와, 이 베이스 밸브 부재(241)의 아래쪽, 즉 리저버실(13)측에 설치되는 디스크(242)와, 베이스 밸브 부재(241)의 상측, 즉 하부실(17)측에 설치되는 디스크(243)와, 베이스 밸브 부재(241)에 디스크(242) 및 디스크(243)를 부착하는 부착핀(244)과, 베이스 밸브 부재(241)의 외주측에 장착되는 걸림 부재(245)와, 미터링 핀(31)의 지지 플랜지부(230)를 지지하는 지지판(246)을 갖고 있다. 부착핀(244)은, 디스크(242) 및 디스크(243)의 직경 방향 중앙측을 베이스 밸브 부재(241)와의 사이에서 협지한다.
베이스 밸브 부재(241)는, 직경 방향의 중앙에 부착핀(244)이 삽입 관통되는 핀 삽입 관통 구멍(248)이, 이 핀 삽입 관통 구멍(248)의 외측에 하부실(17)과 리저버실(13) 사이에서 유액을 유통시키는 복수의 통로 구멍(249)이, 이들 통로 구멍(249)의 외측에 하부실(17)과 리저버실(13) 사이에서 유액을 유통시키는 복수의 통로 구멍(25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실(13)측의 디스크(242)는, 하부실(17)로부터 내측의 통로 구멍(249)을 통해 리저버실(13)로의 유액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리저버실(13)로부터 하부실(17)로의 내측의 통로 구멍(249)을 통한 유액의 흐름을 규제한다. 디스크(243)는, 리저버실(13)로부터 외측의 통로 구멍(250)을 통해 하부실(17)로의 유액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하부실(17)로부터 리저버실(13)로의 외측의 통로 구멍(250)을 통한 유액의 흐름을 규제한다.
디스크(242)는, 베이스 밸브 부재(241)에 의해서, 수축 행정에서 밸브를 개방하여 하부실(17)로부터 리저버실(13)로 유액을 흘리면서 감쇠력을 발생하는 수축측의 감쇠 밸브(252)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243)는, 베이스 밸브 부재(241)에 의해서, 신장 행정에서 밸브를 개방하여 리저버실(13)로부터 하부실(17) 내로 유액을 흘리는 석션 밸브(253)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석션 밸브(253)는, 피스톤(15)에 설치된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와의 관계로부터, 주로 피스톤 로드(18)의 실린더(11)로의 진입에 의해 생기는 액의 잉여분을 배출하도록 하부실(17)로부터 리저버실(13)로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액을 흘리는 기능을 한다.
걸림 부재(245)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내측에 베이스 밸브 부재(241)를 감합시킨다. 베이스 밸브 부재(241)는, 이 걸림 부재(245)를 통해 실린더(11)의 하단의 내주부에 감합되어 있다. 걸림 부재(245)의 피스톤(15)측의 단부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 플랜지부(255)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246)은, 외주부가 걸림 플랜지부(255)의 피스톤(15)과는 반대측에서 걸리게 되고, 내주부가 미터링 핀(31)의 지지 플랜지부(230)의 피스톤(15)측에서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 부재(245) 및 지지판(246)이 미터링 핀(31)의 지지 플랜지부(230)를 부착핀(244)에 접촉시키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의 구성의 제1 실시형태의 유압 회로도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상부실(16) 및 하부실(17) 사이에 병렬로,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 및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가 설치되어 있고, 로드내 통로(32)가, 리바운드 스프링(38)으로 제어되는 오리피스(98)를 통하여 상부실(16)에 연통되며 미터링 핀(31)으로 제어되는 오리피스(235)를 통하여 하부실(17)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파일럿실(140)이, 로드내 통로(32)에 오리피스(151)를 통해 연통되고,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파일럿실(200)이, 로드내 통로(32)에 오리피스(211)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완충체(39)가 로드 가이드(21)에 접촉되고,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가 압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의 모두가 중심선으로부터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가, 스프링 기구(100)의 전달 부재(71)에 의해서 웨이브 스프링(72)을 눌러 변형시켜 개폐 디스크(86)를 접촉 디스크(88)에 접촉시켜 통로(99)를 폐색시킨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소직경 축부(234)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한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32)가 상기 오리피스(235)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며,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파일럿실(140)과,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파일럿실(200)이, 오리피스(235),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 201)를 통하여 함께 하부실(17)에 연통된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22)에 시트부(117)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140)은, 오리피스(235),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실(17)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어, 파일럿압이 내려간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22)는, 받는 차압이 커져, 비교적 쉽게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지도록 개방되고, 피스톤(15)과 시트 부재(124) 사이의 직경 방향의 통로(148)를 통해 하부실(17)측으로 유액을 흘린다. 이에 따라,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감쇠 밸브(207)의 감쇠 밸브 본체(18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82)에 시트부(118)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200)은, 오리피스(235),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201)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실(17)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어, 하부실(17)의 압력 상승과 함께 파일럿압도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 속도가 느릴 때, 파일럿실(200)의 압력 상승이 하부실(17)의 압력 상승에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감쇠 밸브 본체(182)는, 받는 차압이 작아지고,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부실(17)부터의 유액은, 오리피스(235),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201)로부터 파일럿실(200)을 통과하고, 디스크 밸브(213)의 복수매의 디스크(185)의 오리피스(214)를 통해 상부실(16)로 흘러, 오리피스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상기보다 빠를 때에도, 감쇠 밸브 본체(182)가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상태이며, 하부실(17)로부터의 유액은, 오리피스(235),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201)로부터 파일럿실(200)을 통과하고, 디스크 밸브(213)의 복수매의 디스크(185)를 개방하면서, 시트부(197)와 복수매의 디스크(185) 사이를 통과하여 상부실(16)로 흘러,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률은 약간 내려간다. 이상에 의해, 수축 행정의 감쇠력은, 신장 행정의 감쇠력에 비교해서 높아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한편,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의 수축 행정이라도, 노면의 단차 등에 의해 생기는 임팩트 쇼크 발생 시 등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더욱 고속의 영역이 되면, 파일럿실(200)의 압력 상승이 하부실(17)의 압력 상승에 추종할 수 없게 되어,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감쇠 밸브(207)의 감쇠 밸브 본체(182)에 작용하는 차압에 의한 힘의 관계는, 피스톤(15)에 형성된 통로(112)로부터 가해지는 개방 방향의 힘이, 파일럿실(200)로부터 가해지는 폐쇄 방향의 힘보다 커진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는,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감쇠 밸브(207)가 개방되어 감쇠 밸브 본체(182)가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고, 디스크 밸브(213)의 시트부(197)와 복수매의 디스크(185) 사이를 통과하는 상부실(16)로의 흐름에 더하여, 피스톤(15)과 시트 부재(184) 사이의 직경 방향의 통로(208)를 통해 상부실(16)로 유액을 흘리기 때문에, 감쇠력의 상승을 억제하게 된다. 이 때의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률이 거의 없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가 빠르고 주파수가 비교적 높은, 노면의 단차 등에 의해 생기는 임팩트 쇼크 발생 시 등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감쇠력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쇼크를 충분히 흡수한다.
이상,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는, 도 6의 위치 S4보다 신장측(도 6의 우측)의 범위이며,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고,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는 최대 길이측 특성이 된다.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가 느린 경우도 빠른 경우도,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는 최대 길이측 특성이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이 압축되지 않으며, 도 2 및 도 3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에 의해 압박되지 않고서 개폐 디스크(86)를 접촉 디스크(88)로부터 이격시켜 통로(99)의 오리피스(98)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한다. 또한,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대직경 축부(232)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를 폐색시킨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32)가 상기 통로(99)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고,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파일럿실(140)과,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파일럿실(200)이, 로드내 통로(32)를 통해 함께 상부실(16)에 연통된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22)에 시트부(117)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140)은, 통로(99),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실(16)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고, 상부실(16)의 압력 상승과 함께 파일럿압도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는, 피스톤 속도가 느릴 때, 파일럿실(140)의 압력 상승이 상부실(16)의 압력 상승에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감쇠 밸브 본체(122)는, 받는 차압이 작아지고,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실(16)로부터의 유액은, 통로(99) 및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로부터 파일럿실(140)을 통과하고, 디스크 밸브(153)의 복수매의 디스크(125)의 오리피스(154)를 통해 하부실(17)로 흘러, 오리피스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의 2승에 거의 비례)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비교적 감쇠력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또한, 피스톤 속도가 상기보다 빠를 때에도 감쇠 밸브 본체(122)가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상부실(16)로부터의 유액은, 통로(99),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로부터 파일럿실(140)을 통과하고, 디스크 밸브(153)의 복수매의 디스크(125)를 개방하면서, 시트부(137)와 복수매의 디스크(125) 사이를 통과하며, 하부실(17)로 흘러,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에 대한 감쇠력의 특성은,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하여 감쇠력의 상승률은 약간 내려가게 된다. 이상에 의해, 신장 행정의 감쇠력은 높아지고,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감쇠 밸브(207)의 감쇠 밸브 본체(18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82)에 시트부(118)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200)은, 통로(99),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201)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실(16)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고, 파일럿압이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82)는, 받는 차압이 커져, 비교적 쉽게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도록 개방되고, 피스톤(15)과 시트 부재(184) 사이의 직경 방향의 통로(208)를 통해 상부실(16)측으로 유액을 흘린다. 이상에 의해, 수축 행정의 감쇠력은, 신장 행정의 감쇠력에 비교해서 감쇠력이 낮아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이상,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는, 도 6의 위치 S1보다 수축측(도 6의 좌측)의 범위이며,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도 6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최소 길이측 특성이 된다. 도 7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가 느린 경우도 빠른 경우도,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최소 길이측 특성이 된다. 또한, 예컨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도 7에 신장측을 이점쇄선으로, 수축측을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속도가 느린 경우도 빠른 경우도, 신장측 감쇠력이 미디엄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이상에서 설명한 위치 감응의 감쇠력 변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은, 위치 감응형의 완충기이지만, 피스톤에 형성된 통로를 개폐하는 디스크 밸브에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을 직접 부하하여 개방 밸브압을 올리도록 되어 있고, 신장측의 위치와, 수축측의 위치에서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이 신장측과 수축측에서 2개 필요하게 된다. 또한, 감쇠력 가변폭을 크게 잡기 위해서는, 스프링 레이트를 높게 해야 하지만, 스프링 레이트를 높게 하면, 스프링 반력의 작용도 커져, 감쇠력의 변화가 급격해질 뿐만 아니라, 피스톤 로드(18)의 스트로크가 작아져, 탑재 차량의 승차감이 나빠져 버린다. 또한, 감쇠력 가변폭을 크게 하며, 반력을 작게 하는 설정은 할 수 없고, 완충기의 특성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는 최대 길이측 특성과,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최소 길이측 특성을,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서 오리피스(98)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와,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서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액이 유통하는 오리피스(98, 235)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기 때문에, 감쇠력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고, 탑재 차량의 승차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설계 단계에 있어서도,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에 있어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의 스프링 레이트는 바꾸지 않고서 개폐 디스크(86)의 특성이나 중간 디스크(87)의 노치부(87A)의 면적을 바꾸는 것만으로 반력 특성을 거의 바꾸지 않고서 감쇠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에 있어서는, 미터링 핀(31)의 프로필을 바꾸는 것으로 반력 특성을 바꾸지 않고서 감쇠력 특성을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자유도도 높아지고, 감쇠 특성의 튜닝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각 실시의 형태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최대 길이측 특성 및 최소 길이측 특성이 얻어짐으로써, 스프링 상을 가진(加振)하는 힘을 작게(즉, 소프트)하고, 스프링 상을 제진(制振)하는 힘을 크게(즉, 하드)할 수 있어, 전자제어 없이 스카이 후크 제어와 같은 높은 질의 승차감을 얻을 수 있다. 도 8에 탑재 차량의 악로 주행시의 승차감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스프링상 가속도를 나타낸다. 도 8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감응의 기능이 없는 경우에 대하여,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감응 기능을 갖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히 주파수가 f1∼f2의 범위에서 스프링상 가속도가 내려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스프링 상의 움직임이 작아져, 승차감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신장측 통로(111)에 설치된 감쇠 밸브(147)의 파일럿실(140)과, 수축측 통로(112)에 설치된 감쇠 밸브(207)의 파일럿실(200)에, 통로(99), 로드내 통로(32),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 파일럿실 유입 통로(201) 및 오리피스(235)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 236)로 감쇠 밸브(147, 207)의 파일럿실(140, 200)의 파일럿압을 조정하여 감쇠 밸브(147, 207)의 개방 밸브압을 조정하는 것이 된다. 즉,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 236)는,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감응하여 감쇠 밸브(147, 207)의 개방 밸브압을 조정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감쇠력을 보다 매끄럽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는, 오리피스(235)를 미터링 핀(31)에 의해 조정하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따라서 통로 면적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감쇠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는, 실린더(11) 내에 설치되며, 일단이 통로(99)를 개폐하는 개폐 디스크(86)와 접촉 가능하고, 타단이 실린더(11)의 단부측의 로드 가이드(21)에 접촉 가능한 스프링 기구(100)의 스프링력으로 개폐 디스크(86)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개폐 디스크(86)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기구(100)를, 피스톤 로드(18)의 신장을 규제하는 기구와 겸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터링 핀(31)의 직경은 상기한 바와 같이, 대직경 축부(232)와 소직경 축부(234)의 2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3단계 이상으로 해도 좋다. 예컨대, 대직경 축부(232)와 소직경 축부(234) 사이에 대직경 축부(232)보다 소직경이고, 소직경 축부(234)보다 대직경인 일정 직경의 내직경 축부를 설치하면,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 사이의 중간 정해진 범위에 있을 때에, 이하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피스톤 로드(18)가 중간 정해진 범위에 있을 때,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와 동일하게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가, 스프링 기구(100)에 의해 압박되지 않고서 개폐 디스크(86)를 접촉 디스크(88)로부터 이격시켜 통로(99)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하고 있지만,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중직경 축부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고 있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보다 넓게 한다. 이 중간 정해진 범위에서는, 파일럿실(140) 및 파일럿실(200)의 압력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을 때보다 하부실(17)의 압력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신장 행정에서는, 파일럿실(140)의 압력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가 받는 차압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보다 커지고, 감쇠력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을 때의 하드 상태보다는 낮지만,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는 소프트 상태보다는 높은 미디엄 상태가 된다. 한편, 수축 행정에서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가, 통로(99)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와 동일하게 감쇠력이 낮아지고, 소프트 상태가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9 및 도 10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18)가 일부 상이하다. 제2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18)는, 제1 실시형태의 로드 본체(26) 및 선단 로드(27)와 같이 분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외주측에 제1 실시형태의 플랜지부(56)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별개 부재인 플랜지 부재(270)가 코킹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미터링 핀(31)과 함께 로드내 통로(32)를 형성하는 삽입 구멍(271)이 일정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통로 구멍(49, 51)은 삽입 구멍(271)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제1 실시형태의 통로 구멍(50)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전달 부재(71)의 통형부(76)가 축방향으로 짧게 되어 있고, 제1 실시형태의 접촉부(80)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기판부(75)와 플랜지 부재(270) 사이에는, 웨이브 스프링(7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원통형의 돌출부(67)가, 전달 부재(71)를 넘어서 피스톤(15)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돌출부(67)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27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제1 실시형태의 복수매의 디스크(85), 개폐 디스크(86), 복수매의 중간 디스크(87), 접촉 디스크(88), 통로 형성 부재(89), 개재부(90) 및 너트(91)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18)에는, 너트(91)를 나사 결합시키는 수나사(61)도 형성되어 있지 않고, 통로 구멍(49)과 단차면(225) 사이의 거리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수축측의 감쇠 밸브 본체(182), 복수매의 디스크(183), 시트 부재(184) 및 밸브 규제부(186)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수축측의 디스크(185)가, 피스톤(15)의 시트부(118)에 직접 접촉하여 통로(112)를 개폐한다. 즉, 수축측의 디스크(185)와 피스톤(15)의 시트부(118)가 디스크 밸브(21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18)의 단차면(225)과, 디스크(185)의 피스톤(15)은 반대측과의 사이에, 압박 기구(27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압박 기구(274)는, 스프링 베어링(275)과 스프링 베어링(276)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압박 스프링(277)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프링 베어링(275)은, 원통형부(280)와 원통형부(280)의 축방향 일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81)를 갖고 있다. 스프링 베어링(275)은, 원통형부(280)가, 그 내측에 피스톤 로드(18)의 부착 축부(59)를 삽입 관통시킨 상태로, 그 플랜지부(281)측의 단부가 단차면(225)에 접촉되어 있다. 원통형부(280)의 외주부는, 플랜지부(281)측의 대직경부(282)와 플랜지부(281)와는 반대측의 소직경부(283)로 이루어져 있고, 소직경부(283)는 대직경부(282)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 베어링(276)은, 원통형부(286)와, 원통형부(286)의 축방향 일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87)를 갖고 있고, 플랜지부(287)에는, 직경 방향의 중간 위치에 원환형을 이루어 축방향의 원통형부(286)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볼록형부(288)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베어링(276)은, 플랜지부(287)를 피스톤(15)측을 향한 상태로, 원통형부(286)에 있어서, 스프링 베어링(275)의 소직경부(283)에 감합되어 있고, 이 소직경부(283)의 범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박 스프링(277)은, 스프링 베어링(275)의 플랜지부(281)와 스프링 베어링(276)의 플랜지부(287)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 베어링(276)을 볼록형부(288)에서,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에 피스톤(15)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접촉하게 한다. 또한, 디스크(185)로부터 피스톤(15)과는 반대 방향의 힘을 받으면, 스프링 베어링(276)은, 압박 스프링(27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스프링 베어링(275)의 소직경부(283)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디스크(185)의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변형을 허용한다.
피스톤 로드(18)가 돌출 방향으로 정해진 값 이상 이동하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스프링 기구(100)가 리바운드 스프링(38)을 압축시키면서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을 피스톤(15)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지만, 그 전에, 도 9의 중심선으로부터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8)에 고정된 플랜지 부재(270)가 전달 부재(71)와 함께 웨이브 스프링(72)을 그 가압력에 대항하여 눌러 변형시키고, 이에 따라, 전달 부재(71) 및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을 약간 축방향의 플랜지 부재(270)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원통형의 돌출부(67)가, 스프링 베어링(276)의 플랜지부(287)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 기구(100)의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이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에 폐쇄 밸브 방향으로 직접 작용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 기구(10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웨이브 스프링(72)의 가압력에 의해서, 도 9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 부재(71) 및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이 약간 축방향의 플랜지 부재(270)와는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 기구(100)의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이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에 작용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상의 구성의 제2 실시형태의 유압 회로도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상부실(16) 및 하부실(17) 사이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와,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파일럿실(140)이 로드내 통로(32)에 오리피스(151)를 통해 연통되는 한편,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에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가 압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기구(100)의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이, 전달 부재(71)를 통해 웨이브 스프링(72)을 스프링 베어링(276)과의 사이에서 눌러 변형시키고,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소직경 축부(234)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한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32)가 오리피스(235)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는 한편, 피스톤 로드(18)의 오리피스로서의 통로 구멍(49)을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된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22)에 시트부(117)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140)은, 오리피스(235),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며, 로드내 통로(32),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구멍(49) 및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통로 구멍(272)을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중간의 압력 상태가 되어, 파일럿압이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22)는, 받는 차압이 커져, 비교적 쉽게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지도록 개방되고, 피스톤(15)과 시트 부재(124) 사이의 직경 방향의 통로(148)를 통해 하부실(17)측으로 유액을 흘린다. 이에 따라,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에 작용한다. 이때, 스프링 기구(100)가 스프링 베어링(276)을 통해 디스크(185)에 시트부(118)의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작용시키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 밸브(213)가 밸브 개방되기 어려워지며, 수축측 감쇠력이 신장 행정의 신장측 감쇠력에 비교해서 높아져, 하드 상태가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이 압축되지 않고,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에 의해 압박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대직경 축부(232)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를 폐색시킨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32)가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구멍(49)을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고,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파일럿실(140)이, 로드내 통로(32)를 통해 상부실(16)에만 연통된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22)에 시트부(117)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140)은,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구멍(49),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실(16)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어, 상부실(16)의 압력 상승과 함께 파일럿압도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감쇠 밸브 본체(122)는, 받는 차압이 작아지고,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신장 행정의 감쇠력은 높아지고,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에 작용한다. 이 때, 디스크(185)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에 의해 압박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지고, 수축측 통로(112)의 유액이, 압박 기구(274)의 스프링 베어링(276)을 압박 스프링(27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면서 디스크(185)를 개방하고, 피스톤(15)과 디스크(185)의 간극을 통해 상부실(16)측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수축 행정의 감쇠력은, 신장 행정의 감쇠력에 비교해서 감쇠력이 낮아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에 따르면, 위치 감응의 수축측의 감쇠력 특성을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를 주로 도 11 및 도 12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18)가 일부 상이하다. 제3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18)는, 제2 실시형태의 통로 구멍(49, 5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부착 축부(59)에 삽입 구멍(271) 내에 개구되는 오리피스로서의 통로 구멍(291)이 직경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18)에는, 통로 구멍(291)과 수나사(62) 사이의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 홈(29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의 전달 부재(71) 및 웨이브 스프링(72)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에, 제2 실시형태의 돌출부(67)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압박 기구(274)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덧붙여, 신장측의 감쇠 밸브 본체(122), 복수매의 디스크(123), 시트 부재(124) 및 밸브 규제부(126)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신장측의 복수매의 디스크(125)가, 피스톤(15)의 시트부(117)에 직접 접촉하여 통로(111)를 개폐한다. 즉, 신장측의 디스크(125)와 피스톤(15)의 시트부(117)가 디스크 밸브(15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피스톤(15)측에 전달 부재(29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달 부재(295)는, 원통형부(296)와 그 축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의 내플랜지부(297)를 갖고 있고, 내플랜지부(297)의 내주부에 피스톤 로드(18)를 감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달 부재(295)는, 피스톤 로드(18)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원통형부(296)의 피스톤(15)측의 단부에는, 피스톤(15)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98)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부(296)의 축방향의 돌기부(298)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홈(29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플랜지부(297)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300)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전달 부재(295)는, 원통형부(296)의 축방향의 돌기부(298)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접촉 플랜지부(66)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18)의 부착 축부(59)측의 단차면(225)과 디스크(185) 사이에, 단차면(225)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단차면(225)에 접촉하는 복수의 원환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개재부(303), 체크 밸브 기구(305),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개폐 디스크(밸브부)(306),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중간 디스크(307),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접촉 디스크(308),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베이스 부재(309) 및 복수의 원환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 규제부(310)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 기구(305)는, 전달 부재(295)의 원통형부(296)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축방향으로부터 순서대로, 시트 부재(313)와, 밸브 디스크(314)와, 통로 형성 부재(315)와, 덮개부(316)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313)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기판부(317)와, 기판부(317)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부(318)로 이루어져 있고, 기판부(317)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319)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밸브 디스크(314)는 기판부(317)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되어 통로 구멍(319)을 폐색 및 개방하게 되고, 밸브 디스크(314) 및 기판부(317)가 체크 밸브(320)를 구성하고 있다. 체크 밸브(320)는, 통로 구멍(319)이 상부실(16) 내에 개구되도록 배치되며, 상부실(16)측으로부터의 유액의 흐름만을 허용하게 된다. 즉, 체크 밸브(320)는 신장측의 체크 밸브로 되어 있고, 따라서, 체크 밸브 기구(305)도 신장측의 체크 밸브 기구로 되어 있다. 통로 형성 부재(315)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321)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이들 통로 구멍(321)이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구멍(291)에 연통되어 있다. 덮개부(316)는, 복수의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시트 부재(313)의 원통형부(318)의 기판부(317)와는 반대측에 접촉하여 시트 부재(313) 내에 내부 통로(322)를 구획한다.
체크 밸브 기구(305)의 내부 통로(322)와, 통로 형성 부재(315)의 통로 구멍(321)과,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구멍(291)과, 로드내 통로(32)와, 오리피스(235)가, 상부실(16)과 하부실(17)을 연통시키는 통로(제2 통로)(323)를 구성한다. 따라서, 미터링 핀(31)이 오리피스(235)를 개폐함으로써, 상부실(16)과 하부실(17)을 연통시키는 통로(323)를 개폐한다.
개폐 디스크(306)는, 전달 부재(295)의 돌기부(298)에 접촉 가능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중간 디스크(307)는, 개폐 디스크(306)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접촉 디스크(308)는, 개폐 디스크(306)와 동일 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309)는, 접촉 디스크(308)보다 약간 대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중간 디스크(307), 접촉 디스크(308) 및 베이스 부재(309)에는, 중간 디스크(307)의 직경 방향 외측을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홈(292)에 연통시키는 통로(324)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324)는, 중간 디스크(307)의 외주부에 형성된 노치부와, 접촉 디스크(308)의 내주부에 형성된 노치부와, 베이스 부재(309)의 내주부의 접촉 디스크(308)측에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져 있다. 밸브 규제부(310)는, 수축측의 복수매의 디스크(185)에 접촉하며, 그 개방 방향으로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18)의 부착 축부(59)의 디스크(125)와 너트(220) 사이에, 너트(220)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복수의 원환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개재부(325) 및 체크 밸브 기구(327)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 기구(327)는, 축방향으로부터 순서대로, 시트 부재(329)와, 밸브 디스크(330)와, 통로 형성 부재(331)와, 덮개부(333)를 갖고 있다. 시트 부재(329)는,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기판부(334)와 기판부(334)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부(335)로 이루어져 있고, 기판부(334)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336)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밸브 디스크(330)는 기판부(334)에 대하여 접촉 및 이격되어 통로 구멍(336)을 폐색 및 개방하게 되고, 밸브 디스크(330) 및 기판부(334)가 체크 밸브(337)를 구성하고 있다. 체크 밸브(337)는, 통로 구멍(336)이 하부실(17) 내에 개구되도록 배치되며, 하부실(17)측으로부터의 유액의 흐름만을 허용하게 된다. 즉, 체크 밸브(337)는 수축측의 체크 밸브로 되어 있고, 따라서, 체크 밸브 기구(327)도 수축측의 체크 밸브 기구로 되어 있다. 통로 형성 부재(331)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구멍(338)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이들 통로 구멍(338)이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홈(292)에 연통되어 있다. 덮개부(333)는, 복수의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시트 부재(329)의 원통형부(335)의 기판부(334)와는 반대측에 접촉하여, 시트 부재(329) 내에 내부 통로(341)를 구획한다.
상기한 개폐 디스크(306)는, 접촉 디스크(308)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전달 부재(295)를 통해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을 플랜지 부재(27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있다. 개폐 디스크(306)와 접촉 디스크(308)의 간극이 오리피스(340)를 구성하고 있다. 이 오리피스(340)와, 중간 디스크(307), 접촉 디스크(308) 및 베이스 부재(309)의 통로(324)와,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홈(292)과, 통로 형성 부재(331)의 통로 구멍(338)과, 체크 밸브 기구(327)의 내부 통로(341)가, 상부실(16)과 하부실(17)을 연통시키는 통로(제2 통로)(342)를 구성한다.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의 가압력에 의해, 그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이 플랜지 부재(270)에 접촉하도록 이동되면,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에 접촉하는 전달 부재(295)가 개폐 디스크(306)를 접촉 디스크(308)에 접촉하게 되고, 오리피스(340)를 폐색시켜, 오리피스(340)를 포함하는 통로(342)를 통하게 하는 상부실(16)과 하부실(17)의 연통을 차단한다.
전달 부재(295),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 리바운드 스프링(38), 도 1에 도시된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 및 완충체(39)는, 실린더(11) 내에 설치되고, 일단이 개폐 디스크(306)와 접촉 가능하며 타단이 실린더(11)의 단부측의 로드 가이드(21)에 접촉 가능한 스프링 기구(100)를 구성하고 있다. 이 스프링 기구(10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스프링력에 의해 개폐 디스크(306)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이 스프링 기구(100)와, 오리피스(340)를 개폐하는 개폐 디스크(306) 및 접촉 디스크(308)가,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 변화되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에 따라서 오리피스(340), 즉 통로(342)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343)를 구성하고 있다. 오리피스(340)는, 바꿔 말하면 통로 면적이 가변인 가변 오리피스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제3 실시형태의 유압 회로도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상부실(16) 및 하부실(17) 사이에 병렬로,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153) 및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가 설치되어 있고, 로드내 통로(32)가, 미터링 핀(31)으로 제어되는 오리피스(235)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며, 오리피스로서의 통로 구멍(291) 및 체크 밸브(320)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리바운드 스프링(38)으로 제어되는 오리피스(340)의 하부실(17)측에 체크 밸브(337)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가 압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로 면적 조정 기구(343)가, 스프링 기구(100)의 전달 부재(295)에 의해서 개폐 디스크(306)를 접촉 디스크(308)에 접촉시켜 오리피스(340)를 폐색시킨다. 또한,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소직경 축부(234)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하고, 로드내 통로(32)를 하부실(17)에 연통시킨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전달 부재(295)의 통로 홈(299) 및 통로 구멍(300)을 통해 신장측의 체크 밸브 기구(305)의 통로 구멍(319)으로부터 밸브 디스크(314)의 한쪽측으로 상부실(16)측의 압력이 작용하고, 하부실(17)로부터 오리피스(235), 로드내 통로(32), 통로 구멍(291) 및 통로 구멍(321)을 통해 밸브 디스크(314)의 다른쪽측으로 하부실(17)측에 가까운 압력이 작용하여, 밸브 디스크(314)의 차압이 커진다. 따라서, 밸브 디스크(314)가 비교적 쉽게 기판부(317)로부터 이좌하여 체크 밸브(320)가 개방되고, 통로 구멍(321), 통로 구멍(291), 로드내 통로(32) 및 오리피스(235)를 통해 하부실(17)측으로 유액이 흐른다. 이에 따라,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에 작용한다. 디스크(185)에는 다른쪽에서 상부실(16)측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디스크(185)는 체크 밸브(320)의 밸브 디스크(314)보다 강성이 높기 때문에, 쉽게 피스톤(15)의 시트부(118)로부터 이좌하지 않고, 상기한 신장 행정보다 감쇠력은 올라간다. 즉, 수축 행정의 감쇠력은, 신장 행정의 감쇠력에 비교해서 높아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이 압축되지 않고, 통로 면적 조정 기구(343)는, 개폐 디스크(306)를 접촉 디스크(308)로부터 이격시켜 오리피스(340)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하며,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대직경 축부(232)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를 폐색시킨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오리피스(340), 통로(324), 통로 홈(292) 및 통로 구멍(338)을 통해 수축측의 체크 밸브 기구(327)의 내부 통로(341)에 연통된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153)의 디스크(125)에 작용한다. 디스크(125)에는 다른쪽에서 하부실(17)측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디스크(125)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쉽게 피스톤(15)의 시트부(117)로부터 이좌하지 않고, 감쇠력은 올라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수축측의 체크 밸브 기구(327)의 통로 구멍(336)으로부터 밸브 디스크(330)의 한쪽측으로 하부실(17)측의 압력이 작용하고, 오리피스(340), 통로(323), 통로 홈(292), 통로 구멍(338)을 통해 다른쪽측으로 상부실(16)측의 압력이 작용한다. 체크 밸브(337)의 밸브 디스크(330)는, 디스크 밸브(153)의 디스크(125)보다 강성이 낮기 때문에, 쉽게 기판부(334)로부터 이좌하여, 통로 구멍(336)으로부터 내부 통로(341), 통로 구멍(338), 통로 홈(292), 통로(323) 및 오리피스(340), 즉 통로(342)를 통해 상부실(16)로 흐르게 되고, 상기한 신장 행정보다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수축 행정의 감쇠력은, 신장 행정의 감쇠력에 비교해서 낮아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에 따르면, 상부실(16)과 하부실(17)을 연통시키는 통로(323)가, 체크 밸브(320)가 설치된 신장측의 내부 통로(322)를 갖고 있고, 상부실(16)과 하부실(17)을 연통시키는 통로(342)가, 체크 밸브(337)가 설치된 수축측의 내부 통로(341)를 갖고 있기 때문에, 체크 밸브(320, 337)를 이용하여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을 용이하게 소프트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축측의 체크 밸브 기구(327) 및 통로 면적 조정 기구(343)를 없애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고,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며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특성이 얻어진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를 주로 도 13 및 도 14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18)는, 제3 실시형태의 통로 홈(292)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스프링 기구(100), 웨이브 스프링(72) 및 압박 기구(274)가 이용되고 있고, 압박 기구(274)와 피스톤 로드(18)의 단차면(225) 사이에 제3 실시형태의 신장측의 체크 밸브 기구(305)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디스크(125)가 피스톤(15)의 시트부(117)에 직접 접촉하여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15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수축측의 체크 밸브 기구(327)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상의 구성의 제4 실시형태의 유압 회로도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상부실(16) 및 하부실(17) 사이에 병렬로,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153) 및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가 설치되어 있고, 로드내 통로(32)가, 미터링 핀(31)으로 제어되는 오리피스(235)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며, 오리피스로서의 통로 구멍(291) 및 체크 밸브(320)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다. 덧붙여,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에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가 압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기구(100)는,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에 의해서 전달 부재(71)를 통해 플랜지 부재(270)와 함께 웨이브 스프링(72)을 눌러 변형시키고, 돌출부(67)를 스프링 베어링(276)에 접촉시켜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소직경 축부(234)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한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통로 구멍(272)을 통해 신장측의 체크 밸브 기구(305)의 통로 구멍(319)으로부터 밸브 디스크(314)의 한쪽측으로 상부실(16)측의 압력이 작용하고, 하부실(17)로부터 오리피스(235), 로드내 통로(32), 통로 구멍(291) 및 통로 구멍(321)을 통해 밸브 디스크(314)의 다른쪽측으로 하부실(17)측에 가까운 압력이 작용하여, 밸브 디스크(314)의 차압이 커진다. 따라서, 밸브 디스크(314)가 비교적 쉽게 기판부(317)로부터 이좌하여 체크 밸브(320)가 개방되고, 통로 구멍(321), 통로 구멍(291), 로드내 통로(32) 및 오리피스(235)를 통해 하부실(17)측으로 유액이 흐른다. 이에 따라,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에 작용한다. 이 때, 스프링 기구(100)가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을 통해 디스크(185)에 시트부(118)의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작용시키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 밸브(213)가 밸브 개방되기 어려워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신장 행정의 신장측 감쇠력에 비교해서 높아져 하드 상태가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이 압축되지 않고,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에 의해 압박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대직경 축부(232)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를 폐색시킨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을 때, 신장 행정에서는,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153)의, 한쪽으로부터 하부실(17)의 압력이 작용하는 디스크(125)에 다른쪽으로부터 작용하게 되어 디스크(125)의 차압이 커지고, 수축 행정에서는, 하부실(17)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한쪽으로부터 상부실(16)의 압력이 작용하는 디스크(185)에 다른쪽으로부터 작용하게 되어 디스크(185)의 차압이 커지며, 모두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 양쪽 모두가 소프트 상태가 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며,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는 특성을,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에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액이 유통하는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기 때문에, 감쇠력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고, 탑재 차량의 승차감이 양호해진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를 주로 도 15 및 도 16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미터링 핀(31)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피스톤 로드(18)가 일부 상이하다. 제5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18)는, 제1 실시형태의 로드 본체(26) 및 선단 로드(27)와 같이 분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외주측에 제1 실시형태의 플랜지부(56)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별개 부재인 플랜지 부재(270)가 코킹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18)에는, 제1 실시형태의 삽입 구멍(30) 및 통로 구멍(49∼51)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부착 축부(59)의 외주부에 축방향을 따라서, 로드내 통로(제2 통로)(500)를 구성하는 통로 홈(501)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 홈(501)에, 감쇠력 발생 기구(114, 115)의 오리피스(151, 211)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23)(도 15에서는 도시 생략, 도 1 참조)로부터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수축측 스프링(502)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수축측 스프링(502)의 피스톤(15)측의 단부에 스프링 베어링(503)이 감합되어 있다. 스프링 베어링(503)은, 수축측 스프링(502)에 감합되는 원통형부(504)와, 수축측 스프링(502)의 단부에 접촉하는 접촉 플랜지부(505)를 갖고 있다.
또한,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에 제1 실시형태의 돌출부(67) 및 원통형부(65)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바닥이 있는 원판형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피스톤(15)측에, 제1 전달체(508), 제2 전달체(509) 및 개재부(510)가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전달 부재(511)가 설치되어 있다. 전달 부재(511)는 스프링 기구(100)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전달체(508)는, 원통형부(513)와 그 축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의 내플랜지부(514)를 갖고 있고, 원통형부(513)의 축방향의 내플랜지부(514)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홈(51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전달체(509)는, 원통형부(518)와, 원통형부(518)의 축방향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의 단차부(519)와, 단차부(519)의 축방향의 원통형부(518)와는 반대측에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의 외플랜지부(521)를 갖고 있다. 제2 전달체(509)는, 원통형부(518)의 내주부에 피스톤 로드(18)를 감합하고 있고, 원통형부(518)의 외주부를 제1 전달체(508)의 내플랜지부(514)의 내주부에 감합하고 있다. 제2 전달체(509)는, 피스톤 로드(18)의 외주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한다. 외플랜지부(521)의 축방향의 원통형부(518)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에는, 피스톤(15)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522)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개재부(510)는, 복수매의 바닥이 있는 원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전달체(508)의 원통형부(513)와 제2 전달체(509)의 외플랜지부(521)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전달체(508)는, 원통형부(513)의 축방향의 통로 홈(515)측의 단부에서,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18)의 부착 축부(59)측의 단차면(225)과 밸브 규제부(186) 사이에, 단차면(225)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단차면(225)에 접촉하는 복수의 원환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개재부(525),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복수매의 디스크(85), 개폐 디스크(86), 중간 디스크(87) 및 접촉 디스크(88)가 설치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디스크(86)에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실시형태의 개폐부(93)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복수매의 디스크(85)가 개폐 디스크(86)와 동일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오리피스(98)를 구성하는 통로(96)가, 중간 디스크(87) 및 접촉 디스크(88)에 형성되어 있고, 이 통로(96)가 피스톤 로드(18)의 로드내 통로(500)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매의 디스크(85)의 접촉 디스크(88)는 반대측에 전달 부재(511)의 돌기부(522)가 접촉하고 있다. 한편, 피스톤(15)의 양측의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121, 181)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피스톤(15)과 감쇠 밸브 본체(122, 182) 사이에 축방향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달 부재(511)가 피스톤 로드(18)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개폐 디스크(86)를 접촉 디스크(88)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18)의 부착 축부(59)에, 밸브 규제부(126)의 피스톤(15)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한 접촉 디스크(88)와 동일한 접촉 디스크(528), 상기한 복수매의 중간 디스크(87)와 동일한 중간 디스크(529), 상기한 개폐 디스크(86)와 동일한 개폐 디스크(밸브부)(530), 상기한 복수매의 디스크(85)와 동일한 복수매의 디스크(531), 복수의 원환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개재부(532), 원환형의 베이스 부재(533) 및 너트(22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디스크(530)와 접촉 디스크(528)의 간극과, 중간 디스크(529) 및 접촉 디스크(528)에 형성된 상기 통로(96)와 동일한 통로(535)가, 오리피스(98)와 동일한 오리피스(제2 통로)(536)를 구성하고 있고, 통로(535)가 피스톤 로드(18)의 로드내 통로(500)에 개구되어 있다. 오리피스(536)는, 로드내 통로(500)와 하부실(17)을 연통시킨다.
베이스 부재(533)에는 외주부에 감합 돌기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너트(220)를 덮으면서 이 감합 돌기부(540)에 감합되도록 전달체(541)가 부착되어 있다. 전달체(541)는 원통형부(542)와 그 일단을 폐색하는 덮개부(543)를 갖고 있고, 원통형부(542)의 축방향의 덮개부(543)와는 반대측의 내주부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544)에 상기한 베이스 부재(533)의 감합 돌기부(540)를 감합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533)와 일체화되어 전달 부재(546)가 된다. 원통형부(542)의 축방향의 덮개부(543)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에는, 피스톤(15)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545)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매의 디스크(531)의 접촉 디스크(528)와는 반대측에 돌기부(545)가 접촉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피스톤(15)과 감쇠 밸브 본체(122, 182) 사이의 축방향의 간극에 의해서 전달 부재(546)가 피스톤 로드(18)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개폐 디스크(530)를 접촉 디스크(528)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축측 스프링(502), 스프링 베어링(503) 및 전달 부재(546)는, 스프링 기구(550)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 기구(550)와, 오리피스(536)를 개폐하는 개폐 디스크(530) 및 접촉 디스크(528)가,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 변화되는 수축측 스프링(502)의 가압력에 따라서 오리피스(536)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551)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너트(220)에는, 제1 실시형태의 내플랜지부(223)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상의 구성의 제5 실시형태의 유압 회로도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상부실(16) 및 하부실(17) 사이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와,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감쇠력 발생 기구(114, 115)의 파일럿실(140, 200)이 로드내 통로(500)에 오리피스(151, 211)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부실(16)과 로드내 통로(500) 사이의 오리피스(98)에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하부실(17)과 로드내 통로(500) 사이의 오리피스(536)에 수축측 스프링(502)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리바운드 스프링(38)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가 압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가, 스프링 기구(100)의 전달 부재(511)의 돌기부(522)에 의해서 복수매의 디스크(85)를 통해 개폐 디스크(86)를 압박하여 오리피스(98)를 폐색시킨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500)가 오리피스(536)를 통해 하부실(17)에만 연통되고, 감쇠력 발생 기구(114, 115)의 파일럿실(140, 200)이 오리피스(536), 로드내 통로(500) 및 오리피스(151, 211)를 통해 하부실(17)에만 연통된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22)에 시트부(117)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140)은, 오리피스(151), 로드내 통로(500) 및 오리피스(536)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실(17)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어, 파일럿압이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22)는, 받는 차압이 커져, 비교적 쉽게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지도록 개방되어, 피스톤(15)과 시트 부재(124) 사이의 직경 방향의 통로(148)를 통해 하부실(17)측으로 유액을 흘린다. 이에 따라,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감쇠 밸브(207)의 감쇠 밸브 본체(18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82)에 시트부(118)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200)은, 오리피스(211), 로드내 통로(500) 및 오리피스(536)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실(17)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어, 파일럿압이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82)는, 받는 차압이 작아지고,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지며 밸브 개방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수축측 감쇠력이 신장 행정의 신장측 감쇠력에 비교해서 높아지고 하드 상태가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스프링 베어링(503)이 전달 부재(546)에 접촉하고, 수축측 스프링(502)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550)가 압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로 면적 조정 기구(551)가, 전달 부재(546)의 돌기부(545)에 의해서 복수매의 디스크(531)를 통해 개폐 디스크(530)를 압박하여 오리피스(536)를 폐색시킨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500)가 오리피스(98)를 통해 상부실(16)에만 연통되고, 감쇠력 발생 기구(114, 115)의 파일럿실(140, 200)이, 오리피스(98), 로드내 통로(500) 및 오리피스(151, 211)를 통해 상부실(16)에만 연통된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22)에 시트부(117)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140)은, 오리피스(151), 로드내 통로(500) 및 오리피스(98)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실(16)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어, 상부실(16)의 압력 상승과 함께 파일럿압도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는, 감쇠 밸브 본체(122)는, 받는 차압이 작아지고,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신장 행정의 감쇠력은 높아지고,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감쇠 밸브(207)의 감쇠 밸브 본체(18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82)에 시트부(118)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200)은, 오리피스(211), 로드내 통로(500) 및 오리피스(98)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실(16)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어, 파일럿압이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82)는, 받는 차압이 커져, 비교적 쉽게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도록 개방되고, 피스톤(15)과 시트 부재(184) 사이의 직경 방향의 통로(208)를 통해 상부실(16)측으로 흘린다. 이에 따라, 수축 행정의 감쇠력은, 신장 행정의 감쇠력에 비교해서 감쇠력이 낮아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제6 실시형태」
다음에, 제6 실시형태를 주로 도 17 및 도 18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의 전달 부재(71), 웨이브 스프링(72) 및 압박 기구(27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17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에 플랜지 부재(270) 및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이, 디스크(185)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터링 핀(31)의 대직경 축부(232)와 소직경 축부(234) 사이에, 대직경 축부(232)보다 소직경이고 소직경 축부(234)보다 대직경인 일정 직경의 중직경 축부(560)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직경 축부(232)와 중직경 축부(560) 사이에 테이퍼 축부(561)가, 중직경 축부(560)와 소직경 축부(234) 사이에 테이퍼 축부(56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축부(561)는, 대직경 축부(232)의 중직경 축부(560)측의 단부에 연속되면서 중직경 축부(560)의 대직경 축부(232)측의 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이들을 잇도록 중직경 축부(560)측만큼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다. 테이퍼 축부(562)는, 중직경 축부(560)의 소직경 축부(234)측의 단부에 연속되면서 소직경 축부(234)의 중직경 축부(560)측의 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이들을 잇도록 소직경 축부(234)측만큼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제6 실시형태의 유압 회로도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에 리바운드 스프링(38)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라도, 도시 생략의 리바운드 스프링이 디스크 밸브(213)의 디스크(185)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하지는 않는다. 한편,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소직경 축부(234)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최대로 한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32)가 오리피스(235)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고, 또한 피스톤 로드(18)의 오리피스로서의 통로 구멍(49)을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된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파일럿실(140)의 압력이 상부실(16)과 하부실(17)과의 중간이 되고, 제2 실시형태와 같이,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한쪽으로부터 상부실(16)의 압력을 받는 디스크(185)에 다른쪽으로부터 작용한다. 그 결과, 디스크(185)의 차압이 커져, 디스크 밸브(213)가 밸브 개방되기 쉬워지고, 수축측 감쇠력도 소프트 상태가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대직경 축부(232)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어, 오리피스(235)를 폐색시킨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32)가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구멍(49)을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고,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파일럿실(140)이, 로드내 통로(32)를 통해 상부실(16)에만 연통된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이 때,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파일럿실(140)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실(16)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고, 감쇠 밸브 본체(122)는 차압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신장 행정의 감쇠력은 높아지고,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한쪽으로부터 상부실(16)의 압력을 받는 디스크(185)에 다른쪽으로부터 작용한다. 그 결과, 디스크(185)의 차압이 커져, 디스크 밸브(213)가 밸브 개방되기 쉬워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 사이의 중간 정해진 범위에 있을 때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가, 미터링 핀(31)의 중직경 축부(560)의 축방향 위치에 내플랜지부(223)를 맞추고 있어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보다 넓게,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좁게 한다. 이 중간 정해진 범위에서는, 파일럿실(140)의 압력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을 때보다 상부실(16)의 압력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신장 행정에서는, 파일럿실(140)의 압력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가 받는 차압이 약간 작아지고, 감쇠력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을 때의 하드 상태보다는 낮지만,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는 소프트 상태보다는 높은 미디엄 상태가 된다. 한편, 수축 행정에서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 및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와 동일하게 감쇠력이 낮아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이상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며,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특성을,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따라서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에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 유체가 유통하는 오리피스(235)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기 때문에, 감쇠력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어, 탑재 차량의 승차감이 양호해진다.
한편, 제6 실시형태의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 대신에, 제5 실시형태의 통로 면적 조정 기구(551)를 이용하여, 오리피스(536)의 통로 면적을 조정해도,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며,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특성이 얻어진다.
「제7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7 실시형태를 주로 도 19 및 도 20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18)가 일부 상이하다. 제7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18)는, 제1 실시형태의 로드 본체(26) 및 선단 로드(27)와 같이 분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외주측에 제1 실시형태의 플랜지부(56)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별개 부재인 플랜지 부재(270)가 코킹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미터링 핀(31)도 설치되어 있지 않고, 로드내 통로(32)를 형성하는 삽입 구멍(571)이 일정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 구멍(49, 50)은 삽입 구멍(571)에 연통되어 있고, 제1 실시형태의 통로 구멍(51)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리바운드 스프링(38)이 리바운드 스프링 본체(572)와 보조 스프링(573)으로 분할되고,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의 피스톤(15)과는 반대측에, 피스톤 로드(18)에 미끄럼 이동 가능해지도록 중간 스프링 베어링(575)이 설치되어 있다. 리바운드 스프링 본체(572)가 로드 가이드측 스프링 베어링(36)(도 19에서는 도시 생략, 도 1 참조)과 중간 스프링 베어링(575) 사이에 장착되고, 보조 스프링(573)이 중간 스프링 베어링(575)과 피스톤측 스프링 베어링(35)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중간 스프링 베어링(575)은, 원통형부(576)와, 그 축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577)를 갖고 있고, 원통형부(576)의 내주부로부터 피스톤 로드(18)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속하며, 플랜지부(577)에서 리바운드 스프링 본체(572)와 보조 스프링(573)에 접촉한다. 중간 스프링 베어링(575)은, 리바운드 스프링(38)을 신축시키면서 피스톤 로드(18)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통로 구멍(49) 내의 오리피스(578)의 통로 면적을 가변시킨다. 중간 스프링 베어링(575)을 포함하는 스프링 기구(100)와 오리피스(578)가, 상부실(16)과 하부실(17)을 로드내 통로(32)를 통해 연통시키는 통로의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582)를 구성하고 있다.
덧붙여, 제1 실시형태의 복수매의 디스크(85), 개폐 디스크(86), 복수매의 중간 디스크(87), 접촉 디스크(88), 통로 형성 부재(89), 개재부(90) 및 너트(91)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신장측의 감쇠 밸브 본체(122), 복수매의 디스크(123) 및 시트 부재(124)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신장측의 디스크(125)가, 피스톤(15)의 시트부(117)에 직접 접촉하여 통로(111)를 개폐한다. 즉, 신장측의 디스크(125)와 피스톤(15)의 시트부(117)가 디스크 밸브(15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너트(220)의 내플랜지부(223)의 내측이, 통로 면적이 일정한 오리피스(580)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제7 실시형태의 유압 회로도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상부실(16) 및 하부실(17) 사이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와,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153)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파일럿실(200)이 로드내 통로(32)에 오리피스(211)를 통해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로드내 통로(32)는, 리바운드 스프링(38)에 의해 통로 면적이 가변이 되는 오리피스(578)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고, 통로 면적이 일정한 오리피스(580)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어 있다.
제7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이면, 통로 면적 조정 기구(582)의 리바운드 스프링(38)이 압축되어 중간 스프링 베어링(575)이 오리피스(578)를 폐색하고 있다. 또한, 로드내 통로(32)가 너트(220)의 오리피스(580)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어 있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153)의, 한쪽으로부터 하부실(17)의 압력이 작용하는 디스크(125)에 다른쪽으로부터 작용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25)는 쉽게 개방되고, 이에 따라,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5)의 감쇠 밸브 본체(18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82)에 시트부(118)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200)은, 오리피스(580)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되기 어려워지고, 수축측 감쇠력이 신장 행정의 신장측 감쇠력에 비교해서 높아져 하드 상태가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 이외에 있는, 중간 정해진 범위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이면, 리바운드 스프링(38)이 압축되지 않고, 중간 스프링 베어링(575)이 오리피스(578)를 개방하게 된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로드내 통로(32)가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구멍(49)을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며 오리피스(580)를 통해 하부실(17)에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된다.
「제8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8 실시형태를 주로 도 21∼도 24에 기초로 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8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통로 면적 조정 기구(101) 및 통로(99)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수축측의 감쇠 밸브 본체(182), 복수매의 디스크(183) 및 시트 부재(184)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수축측의 디스크(185)가, 피스톤(15)의 시트부(118)에 직접 접촉하여 통로(112)를 개폐한다. 즉, 수축측의 디스크(185)와 피스톤(15)의 시트부(118)가 디스크 밸브(213)를 구성하고 있다.
너트(220)에는, 별개 부재인 유지 부재(610)에 의해 원환형의 시일 부재(611)가 유지되어 있고, 너트(220)와 미터링 핀(31)의 간극은 항상 폐색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너트(220)에는 본체부(222)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부(612)를 갖고 있고, 이 통형부(612)의 본체부(222)와는 반대측에 내플랜지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플랜지부(223)에는 축방향 외측이면서 내주측에 유지 구멍부(6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 구멍부(613)에 시일 부재(611)가 감합되어 있다. 유지 부재(610)는, 통형부(612)의 외주부의 수나사(614)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615)가 형성된 통형부(616)와, 통형부(616)의 축방향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안쪽으로 넓어지는 내플랜지부(617)를 갖고 있고, 유지 구멍부(613)의 시일 부재(611)의 탈락을 내플랜지부(617)에 의해서 규제한다. 따라서, 제8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통로 면적 조정 기구(236)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덧붙여, 미터링 핀(31)은, 제1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베이스 밸브(23)(도 21에서는 도시 생략, 도 1 참조)측에 소직경 축부(234)가 형성되고, 축방향의 로드 가이드(21)(도 21에서는 도시 생략, 도 1 참조)측에 대직경 축부(232)가 형성되며, 이들 사이에 이들을 잇도록 테이퍼 축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18)의 로드 본체(26)에, 로드내 통로(32)를 상부실(16)에 연통시키는 오리피스(제2 통로)(600)를 형성하는 통로 구멍(6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 로드(27)의 대직경 구멍부(47)의 소직경 구멍부(48)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감합 구멍부(60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감합 구멍부(602)에 링부재(603)가 압입되어 있다. 이 링부재(603)는, 내직경이 대직경 구멍부(47)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고, 로드내 통로(32)에 소직경 구멍부(604)를 형성한다. 이 소직경 구멍부(604)가 미터링 핀(31)과의 사이에, 오리피스(605)를 구성하고 있고, 스프링 기구(100)와, 미터링 핀(31)과 소직경 구멍부(604)가, 피스톤 로드(18)의 위치에 의해 로드내 통로(32)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606)를 구성하고 있다. 오리피스(605)에 의해서 로드내 통로(32)는, 오리피스(605)보다 상부실(16)측이 통로부(607)로 되고, 오리피스(605)보다 파일럿실(140)측이 통로부(608)로 되어 있다.
오리피스(605)의 통로 면적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 S12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측의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좁아지고,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 S11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측의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넓어진다.
이상의 구성의 제8 실시형태의 유압 회로도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상부실(16) 및 하부실(17) 사이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와,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파일럿실(140)이 로드내 통로(32)의 통로부(608)에 오리피스(151)를 통해 연통된다. 또한, 로드내 통로(32)의 통로부(607, 608) 사이에, 미터링 핀(31)에 의해서 통로 면적이 가변이 되는 오리피스(605)가 설치되고, 통로부(607)와 상부실(16) 사이에 오리피스(600)가 설치되어 있다.
제8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피스톤 로드(18)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 S12보다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미터링 핀(31)의 대직경 축부(232)에 피스톤 로드(18)의 소직경 구멍부(604)가 축방향 위치를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통로 면적 조정 기구(606)가, 로드내 통로(32)의 통로부(608), 즉 파일럿실(140)의, 상부실(16)로의 연통을 규제하고 있다.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22)에 시트부(117)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140)은, 상부실(16)로의 연통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파일럿압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감쇠 밸브 본체(122)는, 받는 차압이 커져, 쉽게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쇠력은 내려간다. 즉,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한쪽으로부터 상부실(16)의 압력을 받고 있는 디스크(185)에 다른쪽으로부터 작용한다. 이에 따라, 차압이 커져, 디스크 밸브(213)가 밸브 개방되기 쉬워지고, 수축측 감쇠력도 낮아지며,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18)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 S11보다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서는, 미터링 핀(31)의 소직경 축부(234)에 피스톤 로드(18)의 소직경 구멍부(604)가 축방향 위치를 맞춘다. 이에 따라, 통로 면적 조정 기구(606)가, 오리피스(605)의 통로 면적을 넓히고, 로드내 통로(32)를 통해 파일럿실(140)을 상부실(16)로 연통시키게 된다.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신장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상부실(16)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실(16)의 압력이 올라가고 하부실(17)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상부실(16)의 압력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신장측 통로(111)를 통해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114)의 감쇠 밸브(147)의 감쇠 밸브 본체(122)에 작용한다. 이 때, 감쇠 밸브 본체(122)에 시트부(117)의 방향으로의 파일럿압을 작용시키는 파일럿실(140)은, 피스톤 로드(18)의 통로 구멍(601), 로드내 통로(32) 및 파일럿실 유입 통로(141)를 통해 상부실(16)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실(16)에 가까운 압력 상태가 되고, 상부실(16)의 압력 상승과 함께 파일럿압도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감쇠 밸브 본체(122)는, 받는 차압이 작아지고, 시트부(117)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행정의 감쇠력은 높아지고,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범위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8)가 실린더(11)의 내부로 진입되는 수축 행정에서는, 피스톤(15)이 하부실(17)측으로 이동하여, 하부실(17)의 압력이 올라가고 상부실(16)의 압력이 내려간다. 그러면, 하부실(17)의 유압이 피스톤(15)에 형성된 수축측 통로(112)를 통해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213)의, 한쪽으로부터 상부실(16)의 압력을 받는 디스크(185)에 다른쪽으로부터 작용한다. 따라서, 디스크(185)의 차압이 높아져, 시트부(118)로부터 떨어지기 쉬워지고, 수축측 통로(112)의 유액이, 디스크(185)를 개방하여, 피스톤(15)과 디스크(185)의 간극을 통해 상부실(16)측으로 흐른다. 이에 따라, 수축 행정의 감쇠력은, 신장 행정의 감쇠력에 비교해서 감쇠력이 낮아지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된다.
「제9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9 실시형태를 주로 도 25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9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로부터 제8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완충기와 병렬로 차고를 조정하는 기구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5에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9 실시형태의 서스펜션 장치(700)는, 차체(701)와 차륜(702) 사이에 배치되고, 차륜(702)을 차체(701)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 서스펜션 장치(700)는, 하나의 차륜(702)에 전술한 제1 실시형태로부터 제8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완충기 중 어느 하나의 완충기(703) 및 차고 조정 기구(704)가 설치되어 있고, 도 25에서는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4개 모두의 차륜(702) 각각에는 완충기(703) 및 차고 조정 기구(704) 2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고 조정 기구(704)는 모든 차륜에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후륜측에만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의 제9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로부터 제8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완충기(703)를, 중립위치[1G의 위치(수평 위치에 정지한 차체를 지지하는 위치)]의 부근에서 위치의 변화에 민감하게 감응하도록 조정한다. 즉, 도 6에 있어서 S1로부터 S4의 사이에 있는 1G 위치에서의 기울기를 크게 하도록 하면, 승차 인원이나 적재 하중에 의한 차고의 변화에 의해 승차감이나 조종 안정성에 대한 영향이 커진다. 그래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형태로부터 제8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완충기(703)와 병렬로 차고를 조정하는 차고 조정 기구(701)를 배치하도록 구성한다. 차고 조정 기구(704)를 완충기(703)와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차고 조정 기구(704)로 승차 인원이나 적재 하중에 상관없이 중립위치로 유지할 수 있고, 완충기(703)의 특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차고 조정 기구(704)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0-12058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컴프레서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의 공급량을 조정함으로써 차고를 조정하는 에어 서스펜션이나,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18035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고의 변화에 따라서 차량을 원래의 높이로 조정하는 펌핑 기능을 구비한 셀프 레벨라이저 등을 이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는 최대 길이측 특성과,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최소 길이측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성이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했다. 이와 같이, 작동 유체가 유통하는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기 때문에, 감쇠력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어, 탑재 차량의 승차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했다. 이와 같이, 작동 유체가 유통하는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기 때문에, 감쇠력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어, 탑재 차량의 승차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했다. 이와 같이, 작동 유체가 유통하는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기 때문에, 감쇠력을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어, 탑재 차량의 승차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감쇠 밸브는, 신장측 및 수축측의 감쇠 밸브로서, 신장측 및 수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감쇠 밸브는, 파일럿실을 갖는 파일럿 타입의 감쇠 밸브이며,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파일럿실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쇠 밸브의 파일럿실의 파일럿압을,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통로 면적 조정 기구로 조정하여 감쇠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감쇠력을 보다 매끄럽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 면적 조정 기구는, 상기 제2 통로를 미터링 핀에 의해 조정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통로 면적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감쇠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 면적 조정 기구는, 상기 제2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밸브부와 접촉 가능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 단부측에 접촉 가능한 스프링 기구를 포함하며, 이 스프링 기구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밸브부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밸브부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기구를, 피스톤 로드의 신장을 규제하는 기구와 겸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통로는, 체크 밸브를 갖는 신장측 및 수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통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체크 밸브를 이용하여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용이하게 소프트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의 형태는, 복통식의 유압 완충기에 본 발명을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통을 없애 실린더(11) 내의 하부실(17)의 상부실(16)과는 반대측에 미끄럼 이동 가능한 구획체로 가스실을 형성하는 모노 튜브식의 유압 완충기에 이용해도 좋고, 모든 완충기에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베이스 밸브(23)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린더(11)의 외부에 실린더(11) 내와 연통되는 오일 통로를 설치하고, 이 오일 통로에 감쇠력 발생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압 완충기를 예로 나타냈지만, 유체로서 물이나 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기한 완충기에 따르면, 감쇠 특성이나 반력 등의 설정 자유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1 : 실린더
15 : 피스톤
16 : 상부실
17 : 하부실
18 : 피스톤 로드
31 : 미터링 핀
32 : 로드내 통로(제2 통로)
86, 306, 530 : 개폐 디스크(밸브부)
99 : 통로(제2 통로)
100, 550 : 스프링기구
101, 236, 343, 551, 582, 606 : 통로 면적 조정 기구
111 : 통로(제1 통로)
112 : 통로(제1 통로)
140, 200 : 파일럿실(제2 통로)
141, 201 : 파일럿실 유입 통로(제2 통로)
147, 207 : 감쇠 밸브
235, 536, 600 : 오리피스(제2 통로)
320, 337 : 체크 밸브
323, 342 : 통로(제2 통로)
500 : 로드내 통로(제2 통로)

Claims (8)

  1.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 그리고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며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는 최대 길이측 특성과,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최소 길이측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성이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한 것인 완충기.
  2.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 그리고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며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한 것인 완충기.
  3.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 그리고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 및 수축측 감쇠력이 모두 소프트 상태가 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설치한 것인 완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밸브는, 신장측 및 수축측의 감쇠 밸브로서, 신장측 및 수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감쇠 밸브는, 파일럿실을 갖는 파일럿 타입의 감쇠 밸브이며,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파일럿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면적 조정 기구는, 상기 제2 통로를 미터링 핀에 의해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면적 조정 기구는, 상기 제2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밸브부와 접촉 가능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 단부측에 접촉 가능한 스프링 기구를 포함하며, 이 스프링 기구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밸브부를 폐쇄 밸브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는, 체크 밸브를 갖는 신장측 및 수축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8.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2실 사이를 작동 유체가 흐르도록 연통시키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 그리고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서 생기는 상기 작동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대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며 수축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는 최대 길이측 특성과, 상기 피스톤 로드가 최소 길이측의 정해진 위치보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되는 범위에서는, 신장측 감쇠력이 하드 상태가 되고 수축측 감쇠력이 소프트 상태가 되는 최소 길이측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특성이 되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 통로의 통로 면적을 조정하는 통로 면적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차체와 차륜 사이에 설치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와 병렬로 상기 차체의 차고(車高)를 조정하는 차고 조정 기구를 배치하는 것인 완충기.
KR1020147007631A 2011-11-30 2012-11-28 완충기 KR101986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2009 2011-11-30
JP2011262009 2011-11-30
PCT/JP2012/080739 WO2013081004A1 (ja) 2011-11-30 2012-11-28 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439A true KR20140099439A (ko) 2014-08-12
KR101986862B1 KR101986862B1 (ko) 2019-06-07

Family

ID=4853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631A KR101986862B1 (ko) 2011-11-30 2012-11-28 완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39065B2 (ko)
JP (2) JP5684925B2 (ko)
KR (1) KR101986862B1 (ko)
CN (1) CN104094013B (ko)
DE (1) DE112012004968B4 (ko)
RU (1) RU2570243C1 (ko)
WO (1) WO20130810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595A (ko) * 2014-10-31 2017-07-07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5832B2 (en) * 2012-01-23 2017-01-1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Electrically switchable locking torque strut
WO2014045965A1 (ja) * 2012-09-20 2014-03-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5068439A (ja) * 2013-09-30 2015-04-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US9868331B2 (en) * 2013-11-29 2018-01-1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hock absorber
KR101615256B1 (ko) * 2014-07-16 2016-04-25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어셈블리
DE102014214654B4 (de) * 2014-07-25 2023-07-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ntil-Kolben-Anordn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JP6324254B2 (ja) * 2014-07-31 2018-05-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付き車両
JP6468016B2 (ja) * 2015-03-18 2019-02-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緩衝器
BR112018004817B1 (pt) * 2015-09-14 2022-12-13 Hitachi Astemo, Ltd Amortecedor
DE112016004157T5 (de) * 2015-09-14 2018-06-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toßdämpfer
KR102482569B1 (ko) * 2015-09-17 2022-12-2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쇽업소버
WO2018163868A1 (ja) 2017-03-10 2018-09-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US11261932B2 (en) * 2017-07-27 2022-03-01 Hitachi Astemo, Ltd. Shock absorber
DE102018201297B4 (de) * 2018-01-29 2022-07-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wingungsdämpfer für ein Fahrzeug
US11898615B2 (en) * 2018-05-16 2024-02-13 Hitachi Astemo, Ltd. Cylinder apparatus
DE102019106203A1 (de) * 2019-03-12 2020-09-17 Ottobock Se & Co. Kgaa Pneumatische Dämpfereinrichtung
DE102019212964A1 (de) * 2019-08-29 2021-03-04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Zusatzdämpfung
US20210214041A1 (en) * 2020-01-13 2021-07-15 Sram, Llc Bicycle suspension components
DE102022204341A1 (de) 2022-05-03 2023-11-09 Zf Friedrichshafen Ag Zuganschlag für eine Zuganschlagfeder eines Schwingungsdämpfers sowie Schwingungsdämpfer mit dem Zuganschlag
CN115856228B (zh) * 2023-02-21 2023-04-28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隧道有害气体监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928A (ja) 1989-04-24 1990-11-21 Atsugi Unisia Corp 変位感応型液圧緩衝器
JPH02283929A (ja) 1989-04-24 1990-11-21 Atsugi Unisia Corp 変位感応型液圧緩衝器
JPH06147252A (ja) * 1992-09-18 1994-05-27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H07233840A (ja) * 1994-02-22 1995-09-05 Unisia Jecs Corp 減衰力可変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05478A1 (de) * 1965-10-29 1969-09-25 Bilstein August Fa Stufenlos verstellbarer Stossdaempfer,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S617639U (ja) * 1984-06-20 1986-01-17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S62123042A (ja) 1985-11-20 1987-06-0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審美性に優れた歯科材料用結晶化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3861Y2 (ja) * 1986-01-28 1995-05-31 日新電機株式会社 遮断器用油緩衝装置
JPH0251637A (ja) 1988-08-12 1990-02-21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CA2015119C (en) 1989-04-24 1994-11-08 Fumiyuki Yamaoka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with stroke dependent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damping force
JP3117014B2 (ja) * 1989-07-10 2000-12-11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5307907A (en) * 1991-06-11 1994-05-03 Atsugi Unisia Corporation Hydraulic damper
JPH0579526A (ja) * 1991-09-20 1993-03-30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3137209B2 (ja) * 1992-04-03 2001-02-1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セミ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H05238227A (ja) * 1992-02-26 1993-09-17 Kayaba Ind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5368142A (en) * 1991-12-07 1994-11-29 Tokico Ltd. Damping force control typ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US5823305A (en) * 1992-10-08 1998-10-20 Ricor Racing & Development, L.P. Flow sensitive, acceleration sensitive shock absorber
JP3383863B2 (ja) * 1993-03-08 2003-03-10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5797594A (en) 1995-07-22 1998-08-25 Tokico, Ltd.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01241485A (ja) 1999-12-22 2001-09-07 Kayaba Ind Co Ltd 位置依存式油圧緩衝器
CN2496696Y (zh) * 2001-09-04 2002-06-26 锦州万得汽车减振器有限公司 双向调节阻尼的减振器活塞结构
RU2361134C2 (ru) * 2007-07-12 2009-07-10 Борис Батразович Карсанов Гидро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110285B2 (ja) 2008-01-31 2012-12-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2010120580A (ja) 2008-11-21 2010-06-0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載用流体圧縮装置
JP5812650B2 (ja) * 2011-03-31 2015-11-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101254287B1 (ko) 2011-06-09 2013-04-12 주식회사 만도 가변유로를 갖는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928A (ja) 1989-04-24 1990-11-21 Atsugi Unisia Corp 変位感応型液圧緩衝器
JPH02283929A (ja) 1989-04-24 1990-11-21 Atsugi Unisia Corp 変位感応型液圧緩衝器
JPH06147252A (ja) * 1992-09-18 1994-05-27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H07233840A (ja) * 1994-02-22 1995-09-05 Unisia Jecs Corp 減衰力可変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595A (ko) * 2014-10-31 2017-07-07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862B1 (ko) 2019-06-07
JP2015111006A (ja) 2015-06-18
CN104094013A (zh) 2014-10-08
JP5684925B2 (ja) 2015-03-18
US20140252735A1 (en) 2014-09-11
WO2013081004A1 (ja) 2013-06-06
DE112012004968B4 (de) 2019-10-02
RU2570243C1 (ru) 2015-12-10
US9139065B2 (en) 2015-09-22
CN104094013B (zh) 2016-02-03
DE112012004968T5 (de) 2014-08-28
JPWO2013081004A1 (ja)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862B1 (ko) 완충기
KR101945027B1 (ko) 완충기
CN103256335B (zh) 嵌套式单向高速阀
KR101629593B1 (ko) 서스펜션 장치
KR102139846B1 (ko) 완충기
US10012283B2 (en) Shock absorber and vehicle using the same
KR20130025818A (ko)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WO2014149534A1 (en) Piston assembly with open bleed
WO2021061539A1 (en) Shock absorber base valve assembly
WO2019182858A1 (en) Damper with valve preload limiter
US6899207B2 (en) Extra support area for valve disc
EP1664581B1 (en) Shock absorber
JP6202726B2 (ja) 緩衝器
JP2013228092A (ja) 車両用液圧緩衝器
JP2014231854A (ja) 緩衝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
JP7378634B2 (ja) 緩衝器
JP6506934B2 (ja) 緩衝器
JP2013204779A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