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736A -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736A
KR20140016736A KR1020120083965A KR20120083965A KR20140016736A KR 20140016736 A KR20140016736 A KR 20140016736A KR 1020120083965 A KR1020120083965 A KR 1020120083965A KR 20120083965 A KR20120083965 A KR 20120083965A KR 20140016736 A KR20140016736 A KR 20140016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erminated
powder
grain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252B1 (ko
Inventor
표재호
Original Assignee
표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재호 filed Critical 표재호
Priority to KR1020120083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2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5Cooked; Precooked; Fried or pre-fried in a non-aqueous liquid frying medium, e.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을 분말환으로 가공하는 분말환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말환 가공단계에서, 상기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은 각각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개당 0.1~8g의 중량을 갖는 환으로 가공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발아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는 발아곡물과, 약용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약용재료와, 고유의 향과 맛을 갖는 산채재료를 곡물과 적절하게 배합되어 있어 식품으로서의 영양학적 측면에서나 맛 그리고 풍미 면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스럽지 않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인체에 유익한 유효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전의 주먹밥이나 김밥류가 지닌 유통 및 보관의 불편함과 보존성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냉동으로 포장되는 경우 별도의 조리 과정없이 해동만으로도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Containing extract of medicinal crops and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발아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영양소와 약용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인체에 유익한 약선재료 그리고 식감과 맛을 풍부하게 하여 맛을 구현하는 산채재료를 환이나 분말 형태로 가공하고 이를 수세척된 곡물과 혼합하여 맛과 기능성을 높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인스턴트 가공식품의 소비가 늘고 있는데, 이러한 인스턴트 가공식품에는 도정, 정제에 의해 당분 대사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섬유질과 대사 영양소인 비타민, 미네랄이 거의 제거되어 있는 상태이며, 방부를 목적으로 하는 합성 보존료, 색깔과 향을 유지하기 위한 발색제와 향료, 맛을 내기 위한 화학 조미료 등 인체에 유해한 각종 첨가물들이 다양한 통로로 유입되어 우리 몸의 대사 과정을 방해하여 발암물질로 작용하는 것들도 있으며, 이외에도 글루탐산 나트륨, 아질산 나트륨 등 첨가물에 함유된 염의 형태의 나트륨들이 과다하게 첨가되어 인체의 미네랄 불균형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 각종 성인병 질환의 부작용으로 인한 심각한 폐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채식 위주의 식단이었으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점차 육식과 인스턴트 가공식품 위주로 식단이 바뀌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비만 등의 각종 성인병 질환에 노출되어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인스턴트 가공식품과 육류의 섭취를 줄이고, 과일,채소,곡물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특히, 전통 발효 식품과 발아 식품은 생리활성 물질과 소화효소를 돕는 각종 활성 영양소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곡물의 경우 대부분 단단한 껍질막으로 싸여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물질도 포함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섭취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발효 식품 역시 오랜 기간 숙성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즉, 발아 곡물로 널리 권장되고 있는 현미는 백미에 비해 배아가 살아 있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혈액의 산화 현상을 억제하여 노화방지 및 장내 기능 강화에 유용하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껍질이 단단하여 부드럽게 씹히지 않아 식감과 소화율이 떨어지고, 일반 밥솥으로 조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전통 발효식품의 경우 미생물 혹은 효소를 이용하여 먹거리의 특성을 변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발효를 위한 조건이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바쁜 현대인에게 있어 위의 발아식품과 발효식품을 간편하게 섭취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물론, 쌀밥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1회용 용기에 담겨진 가공 즉석밥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단순히 백미를 찐 형태의 것이어서 발아 곡물이 지닌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뿐더러 별도로 반찬을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즉석에서 먹을 수 있도록 조미가 된 주먹밥이나 또는 밥과 여러 가지 속재료를 김으로 말아서 된 김밥이 있으나, 이들 주먹밥이나 김밥 역시 쌀밥을 주재료로 하고 있어 건강식으로는 부족하며, 또한 유통 및 보존기간이 짧아 쉽게 변질됨에 따라 여름철의 경우 섭취시 주의가 필요한 식품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건강식품으로 널리 권장되고 있는 발아 및 발효 식품이 지닌 영양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맛과 풍미 그리고 보존성을 지닌 식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68042호, 3쪽, 청구항 4, 도면 1. 상기 특허문헌1은 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청구항 1에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 직경이 3mm에서 8mm 범위인 대나무용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나무용기에 쌀을 소정 높이까지 채워넣는 단계; 편편한 바닥을 가지는 솥에 쌀이 채워진 대나무용기를 채워넣는 단계; 상기 솥에 물을 넣은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솥이 가열됨에 따라 가열된 물과 열이, 상기 대나무용기의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대나무용기 내부로 전달되고, 물이 가열되어 발생된 수증기와 열은 입구를 통하여 상기 대나무용기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 영양소를 지닌 발아 곡물과, 약용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약선재료 그리고 맛과 풍미가 뛰어난 산채재료를 적절하게 혼합하되, 이들을 환이나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섭취를 용이하게 하면서 흡수율을 높이도록 한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으로서의 영양학적 측면과 맛과 풍미를 높여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유용한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장기보관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전의 주먹밥이나 김밥류에 비하여 유통의 불편함과 보존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선별한 곡물을 수세척하여 상온에서 2~24시간 용수에 침지시켜 불리는 1차 불림단계;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을 분말환으로 가공하는 분말환 가공단계; 불림곡물과 분말환을 혼합한 혼합물을 2~24시간 불리는 2차 불림단계; 2차 불림이 끝난 혼합물을 증숙하여 밥을 제조하는 증숙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분말환 가공단계에서, 상기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은 각각 20~500 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개당 0.1~8g의 중량을 갖는 환으로 가공되며; 상기 증숙단계에서, 상기 불림곡물 100 중량비에 발아곡물 20~80 중량비, 산채 5~80 중량비, 첨가물 2~10중량비와 용수 100중량비를 혼합하여 증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용수는 산죽잎, 뽕잎, 겨우살이, 오가피, 들깨, 영지, 결명자, 감잎, 감초, 국화, 두충, 구기자, 대추, 쑥, 다시마, 작설, 인삼, 칡, 구기자, 둥굴레, 황정, 생강, 율무, 박하, 계피, 겨우살이, 홍화씨를 물에 넣고 가열 추출하여 된 추출물 또는 녹차, 홍차, 우롱차, 자스민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 곡물은 쌀· 현미· 밀· 강낭콩· 동부· 팥· 참깨· 들깨· 수수· 황기장· 찹쌀· 메근· 차근· 율무· 현미· 메밀· 현미찹쌀· 흑미· 대두· 검은콩· 옥수수· 녹두· 좁쌀· 잡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발아 곡물은 세척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린 뒤 이를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킨 것으로,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약선은 둥굴레·황정· 홍화씨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이며; 상기 산채는 부추· 깻잎· 근대· 냉이· 상추· 쑥· 쑥갓· 샐러리· 씀바퀴· 고추나물· 유채나물· 익모초· 케일· 네트· 영지· 당근· 돌나물· 미나리· 시금치· 청경채· 파프리카· 호박잎· 양배추· 수세미·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달래· 양파· 무· 피망· 아욱· 고추냉이· 무싹· 겨자싹· 염교· 미역· 다시마· 톳· 콩잎· 파래· 함초· 청각· 콩나물· 고사리· 가지· 오이· 우엉· 숙주· 동충하초· 상황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등의 나물류 및 옆채류 및 버섯류 중 하나 이상을 끓는 물에 30초~3분 가량 데친 후 탈 수 건조한 것이며; 상기 첨가물은 누룽지· 견과류· 크로렐라· 호박· 감자· 고구마· 죽순· 건포도· 뚱딴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2차 불림단계에서, 세척된 대나무통을 준비하고 불림곡물과 분말환 그리고 용수를 넣고 2~24시간 불리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증숙단계에서는 상기 2차 불림이 끝난 내용물이 수용된 대나무통을 증숙하여 밥을 제조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발아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는 발아곡물과, 약용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약용재료와, 고유의 향과 맛을 갖는 산채재료를 곡물과 적절하게 배합되어 있어 식품으로서의 영양학적 측면에서나 맛 그리고 풍미 면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스럽지 않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인체에 유익한 유효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전의 주먹밥이나 김밥류가 지닌 유통 및 보관의 불편함과 보존성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냉동으로 포장되는 경우 별도의 조리 과정없이 해동만으로도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발아곡물과 약용재료 그리고 산채재료를 분말이나 환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섭취를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소화율과 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을 분말환으로 가공하는 분말환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은, 상기 분말환 가공단계에서, 상기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은 각각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개당 0.1~8g의 중량을 갖는 환으로 가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수는 산죽잎, 뽕잎, 겨우살이, 오가피, 들깨, 영지, 결명자, 감잎, 감초, 국화, 두충, 구기자, 대추, 쑥, 다시마, 작설, 인삼, 칡, 구기자, 둥굴레, 황정, 생강, 율무, 박하, 계피, 겨우살이, 홍화씨를 물에 넣고 가열 추출하여 된 추출물 또는 녹차, 홍차, 우롱차, 자스민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한 곡물은 쌀· 현미· 밀· 강낭콩· 동부· 팥· 참깨· 들깨· 수수· 황기장· 찹쌀· 메근· 차근· 율무· 현미· 메밀· 현미찹쌀· 흑미· 대두· 검은콩· 옥수수· 녹두· 좁쌀· 잡곡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아 곡물은 세척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린 뒤 이를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킨 것으로,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선은 둥굴레·황정·홍화씨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채는 부추· 깻잎· 근대· 냉이· 상추· 쑥· 쑥갓· 샐러리· 씀바퀴· 고추나물· 유채나물· 익모초· 케일· 네트· 영지· 당근· 돌나물· 미나리· 시금치· 청경채· 파프리카· 호박잎· 양배추· 수세미·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달래· 양파· 무· 피망· 아욱· 고추냉이· 무싹· 겨자싹· 염교· 미역· 다시마· 톳· 콩잎· 파래· 함초· 청각· 콩나물· 고사리· 가지· 오이· 우엉· 숙주· 동충하초· 상황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등의 나물류 및 옆채류 및 버섯류 중 하나 이상을 끓는 물에 30초~3분 가량 데친 후 탈 수 건조한 것이거나 또는 자연 건조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첨가물은 누룽지· 견과류· 크로렐라· 호박· 감자· 고구마· 죽순· 건포도· 뚱딴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곡물과, 약선, 발아곡물, 산채 및 첨가물은 각각 유용한 약용 효과 또는 풍미와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은 곡물과 각종 약용성분과 유효성분을 함유한 분말환을 넣고 밥을 지은 것으로, 다음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제1공정 : 곡물을 선별하여 세척하는 준비단계.(s10)
먼저,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과 형태가 불량한 것들을 솎아 내면서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되, 세척과정에서 발아에 적합한 곡물과 그렇지 않은 곡물을 분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곡물은 인체에 유익한 활성 영양소가 생성되는 곡물이 사용되는 것을 제안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쌀· 현미· 밀· 강낭콩· 동부· 팥· 참깨· 들깨· 수수· 황기장· 찹쌀· 메근· 차근· 율무· 현미· 메밀· 현미찹쌀· 흑미· 대두· 검은콩· 옥수수· 녹두· 좁쌀· 잡곡이 사용되며, 이들 곡물은 모두 동일한 비율로 배합되는 것 보다는 소화율과 식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밥을 짓게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배합률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배합률은 제안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현미, 현미찹쌀, 보리, 수수, 조의 비율은 타 곡물에 비해 많이 혼입될 수 있을 것이다.
제2공정 : 세척된 곡물을 불리는 1차 불림단계.(s20)
상기 세척과정을 마친 곡물을 곡물의 종류에 따라 2~24시간 용수에 침지시켜 불림처리를 한다. 이때, 불림온도는 상온에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0~24℃ 온도를 갖는 용수가 사용되는 것이며, 이때의 사용 용수는 깨끗한 물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산죽잎, 뽕잎, 겨우살이, 오가피, 들깨, 영지, 결명자, 감잎, 감초, 국화, 두충, 구기자, 대추, 쑥, 다시마, 작설, 인삼, 칡, 구기자, 둥굴레, 황정, 생강, 율무, 박하, 계피, 겨우살이, 홍화씨를 물에 넣고 가열 추출하여 된 추출물 또는 녹차, 홍차, 우롱차, 자스민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된 용수가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제3공정 : 분말환 가공단계.(s30)
발아율이 양호한 발아곡물과, 약용성분을 다량 함유한 약선재료 그리고 산채 및 첨가물을 준비하고, 이들을 각 재료가 갖는 성질에 따라 분말 또는 환으로 가공 한다. 이때, 상기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은 각각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개당 0.1~8g의 중량을 갖는 환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재료가 지닌 식감과 풍미 그리고 소화흡수율을 고려하여 재료에 따라 분말로 가공하거나 또는 환 형태로 가공하여 이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아 곡물은 세척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린 뒤 이를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킨 것으로,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이러한 발아과정을 마친 곡물은 발아작용에 의해 외피의 섬유질이 연화된 상태를 이루면서 활성 영양소가 생성된다. 일례로 발아 콩의 경우에는 비타민C가 생성되며, 발아 현미의 경우에는 비타민 아미노산 효소 등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약선은 둥굴레·황정·홍화씨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채는 부추· 깻잎· 근대· 냉이· 상추· 쑥· 쑥갓· 샐러리· 씀바퀴· 고추나물· 유채나물· 익모초· 케일· 네트· 영지· 당근· 돌나물· 미나리· 시금치· 청경채· 파프리카· 호박잎· 양배추· 수세미·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달래· 양파· 무· 피망· 아욱· 고추냉이· 무싹· 겨자싹· 염교· 미역· 다시마· 톳· 콩잎· 파래· 함초· 청각· 콩나물· 고사리· 가지· 오이· 우엉· 숙주· 동충하초· 상황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등의 나물류 및 옆채류 및 버섯류 중 하나 이상을 끓는 물에 30초~3분 가량 데친 후 탈 수 건조한 것이다.
상기 첨가물은 누룽지· 견과류· 크로렐라· 호박· 감자· 고구마· 죽순· 건포도· 뚱딴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4공정 : 불림된 곡물과 분말환을 혼합한 혼합물을 불리는 2차 불림단계.(s40)
상기 제2공정에서 불림된 곡물과 제3공정에서 분말 가공된 분말환을 용수에 침지시켜 2~24시간 불린다. 이때의 불림온도는 1차 불림단계와 마찬가지로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지며 바람직하게는 0~24℃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2차 불림단계에서, 세척된 대나무통을 준비하고 상기 불림곡물과 분말환 그리고 용수를 넣고 대나무통에 넣은 뒤 2~24시간 불리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2차 불림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수는, 1차 불림단계와 마찬가지로 깨끗한 물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산죽잎, 뽕잎, 겨우살이, 오가피, 들깨, 영지, 결명자, 감잎, 감초, 국화, 두충, 구기자, 대추, 쑥, 다시마, 작설, 인삼, 칡, 구기자, 둥굴레, 황정, 생강, 율무, 박하, 계피, 겨우살이, 홍화씨를 물에 넣고 가열 추출하여 된 추출물 또는 녹차, 홍차, 우롱차, 자스민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된 용수가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제5공정 : 2차 불림된 혼합물을 증숙하여 밥을 짓는 증숙단계.(s50)
상기 2차 불림이 끝난 내용물이 수용된 혼합물을 압력밥솥이나 스팀솥을 사용하여 30~1시간 가량 증숙하여 밥을 짓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증숙단계에서 상기 불림곡물 100 중량비에 발아곡물 20~80 중량비, 산채 5~80 중량비, 첨가물 2~10중량비와 용수 100중량비를 혼합하여 증숙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불림된 혼합물을 대나무통에 넣은 상태에서 불린 경우에는 대나무통을 증숙시키는 것에 의해 밥을 짓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6공정 : 증숙된 대나무통밥을 포장하는 포장단계.(s60)
앞서, 제5공정에서 제조된 대나무통밥은 그 상태로 섭취가 가능하나, 상품의 유통과 보존성이 낮으므로 다음의 포장공정이 더 수반될 수 있다.
즉, 제5공정에서 제조된 대나무통밥은 급속동결실에 넣고 -25~-45℃에서 급속 동결하고, 동결된 대나무통밥을 1회용 파우치나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한다.
한편, 상기 제5공정에서 제조된 대나무통밥은 포장공장에 앞서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한 자외선 살균을 통해 살균하거나, 또는 주정이나 자몽씨 추출액과 같은 천연 방부 성분을 갖는 방부재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곡물의 발아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영양소와, 약초잎이 지닌 고유의 약용성분 및 풍미와 맛이 적절하게 배합되어 있어 식품으로서의 영양학적 측면에서나 맛 그리고 풍미 면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스럽지 않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리 과정없이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60 : 제1~6공정

Claims (4)

  1.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을 분말환으로 가공하는 분말환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말환 가공단계에서, 상기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은 각각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개당 0.1~8g의 중량을 갖는 환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선별한 곡물을 수세척하여 상온에서 2~24시간 용수에 침지시켜 불리는 1차 불림단계 및 불림곡물과 분말환을 혼합한 혼합물을 2~24시간 불리는 2차 불림단계 및 상기 2차 불림이 끝난 혼합물을 증숙하여 밥을 제조하는 증숙단계를 포함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한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말환 가공단계에서, 상기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은 각각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개당 0.1~8g의 중량을 갖는 환으로 가공되며;
    상기 증숙단계에서, 상기 불림곡물 100 중량비에 발아곡물 20~80 중량비, 산채 5~80 중량비, 첨가물 2~10중량비와 용수 100중량비를 혼합하여 증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는 산죽잎, 뽕잎, 겨우살이, 오가피, 들깨, 영지, 결명자, 감잎, 감초, 국화, 두충, 구기자, 대추, 쑥, 다시마, 작설, 인삼, 칡, 구기자, 둥굴레, 황정, 생강, 율무, 박하, 계피, 겨우살이, 홍화씨를 물에 넣고 가열 추출하여 된 추출물 또는 녹차, 홍차, 우롱차, 자스민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 곡물은 쌀· 현미· 밀· 강낭콩· 동부· 팥· 참깨· 들깨· 수수· 황기장· 찹쌀· 메근· 차근· 율무· 현미· 메밀· 현미찹쌀· 흑미· 대두· 검은콩· 옥수수· 녹두· 좁쌀· 잡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발아 곡물은 세척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린 뒤 이를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킨 것으로,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약선은 둥굴레·황정·홍화씨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이며,
    상기 산채는 부추· 깻잎· 근대· 냉이· 상추· 쑥· 쑥갓· 샐러리· 씀바퀴· 고추나물· 유채나물· 익모초· 케일· 네트· 영지· 당근· 돌나물· 미나리· 시금치· 청경채· 파프리카· 호박잎· 양배추· 수세미·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달래· 양파· 무· 피망· 아욱· 고추냉이· 무싹· 겨자싹· 염교· 미역· 다시마· 톳· 콩잎· 파래· 함초· 청각· 콩나물· 고사리· 가지· 오이· 우엉· 숙주· 동충하초· 상황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 등의 나물류 및 옆채류 및 버섯류 중 하나 이상을 끓는 물에 30초~3분 가량 데친 후 탈 수 건조한 것이거나 또는 자연 건조시킨 것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상기 첨가물은 누룽지· 견과류· 크로렐라· 호박· 감자· 고구마· 죽순· 건포도· 뚱딴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불림단계에서, 세척된 대나무통을 준비하고 불림곡물과 분말환 그리고 용수를 넣고 2~24시간 불리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증숙단계에서는 상기 2차 불림이 끝난 내용물이 수용된 대나무통을 증숙하여 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1020120083965A 2012-07-31 2012-07-31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10145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65A KR101455252B1 (ko) 2012-07-31 2012-07-31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965A KR101455252B1 (ko) 2012-07-31 2012-07-31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36A true KR20140016736A (ko) 2014-02-10
KR101455252B1 KR101455252B1 (ko) 2014-10-31

Family

ID=5026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965A KR101455252B1 (ko) 2012-07-31 2012-07-31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252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4968A (zh) * 2014-11-21 2015-01-28 王姣姣 一种食用营养复合粉及其制备方法
KR101504060B1 (ko) * 2014-02-14 2015-03-20 최승희 갈아만든 채소반 제조방법
CN104623273A (zh) * 2014-12-02 2015-05-20 江西江中中药饮片有限公司 酒制黄精的制作工艺
CN104623274A (zh) * 2014-12-02 2015-05-20 江西江中中药饮片有限公司 黄精产地加工炮制一体化新工艺
CN104643089A (zh) * 2015-03-15 2015-05-27 宁波高新区苗姑养生科技有限公司 一种适合脂肪肝患者调理身体专用的营养蛋白质粉
CN105011163A (zh) * 2015-07-27 2015-11-04 池州市九华山黄精研究所 黄精白姜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20160018609A (ko) 2015-03-02 2016-02-17 (주)링커 실시간 통합회계 기반의 시장 시스템
CN106509573A (zh) * 2015-09-10 2017-03-22 石家庄以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黄精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509917A (zh) * 2016-06-15 2017-12-26 上海真草参茸制品有限公司 一种粗粮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741028A (zh) * 2018-05-25 2018-11-06 何会平 一种美容养颜食品
CN109221921A (zh) * 2018-11-12 2019-01-18 黑河农耕大健康食品有限公司 一种粗粮营养粉及其制作方法
CN111543271A (zh) * 2020-06-08 2020-08-18 普洱淞茂谷林下中药材开发有限公司 一种黄精的种苗繁育方法
CN111657082A (zh) * 2020-06-08 2020-09-15 普洱淞茂谷林下中药材开发有限公司 一种黄精的种植方法
KR20200140089A (ko) * 2019-06-05 2020-12-15 김샤론 영양누룽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00807A (ko) * 2019-06-25 2021-01-06 오섬뜰농특산물영농조합법인 잡곡류와 약용식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KR20210093583A (ko) * 2020-01-20 2021-07-2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15264A (ko) * 2020-07-30 2022-02-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영양 성분이 강화된 밥 조리수
KR102643047B1 (ko) * 2023-08-08 2024-03-04 홍장협 전기밥솥 또는 즉석밥으로 조리가 가능한 솥밥 밀키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0319A (zh) * 2015-07-29 2015-10-14 庞锦霞 一种清肠排毒的食疗配方及其制备方法
KR200485991Y1 (ko) 2016-12-20 2018-03-20 김영희 약선밥 포장체
KR101935996B1 (ko) 2017-05-18 2019-04-03 표재호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36423B1 (ko) * 2020-06-03 2021-04-05 최홍식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748B1 (ko) * 2000-09-04 2004-07-12 주식회사 지엠에프 당뇨환자의 혈당조절 생식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5143A (ko) * 2002-03-05 2002-04-03 김수경 지방간 치유 생식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67310A (ko)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퓨전비티 한약재가 혼합된 기능성 생식분말
KR20090101397A (ko) * 2008-03-23 2009-09-28 장선택 한약재가 혼합된 나노공법에 의한 초미세 기능성 생식분말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060B1 (ko) * 2014-02-14 2015-03-20 최승희 갈아만든 채소반 제조방법
CN104304968A (zh) * 2014-11-21 2015-01-28 王姣姣 一种食用营养复合粉及其制备方法
CN104623273A (zh) * 2014-12-02 2015-05-20 江西江中中药饮片有限公司 酒制黄精的制作工艺
CN104623274A (zh) * 2014-12-02 2015-05-20 江西江中中药饮片有限公司 黄精产地加工炮制一体化新工艺
KR20160018609A (ko) 2015-03-02 2016-02-17 (주)링커 실시간 통합회계 기반의 시장 시스템
CN104643089A (zh) * 2015-03-15 2015-05-27 宁波高新区苗姑养生科技有限公司 一种适合脂肪肝患者调理身体专用的营养蛋白质粉
CN105011163A (zh) * 2015-07-27 2015-11-04 池州市九华山黄精研究所 黄精白姜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6509573A (zh) * 2015-09-10 2017-03-22 石家庄以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黄精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509917A (zh) * 2016-06-15 2017-12-26 上海真草参茸制品有限公司 一种粗粮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741028A (zh) * 2018-05-25 2018-11-06 何会平 一种美容养颜食品
CN109221921A (zh) * 2018-11-12 2019-01-18 黑河农耕大健康食品有限公司 一种粗粮营养粉及其制作方法
KR20200140089A (ko) * 2019-06-05 2020-12-15 김샤론 영양누룽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00807A (ko) * 2019-06-25 2021-01-06 오섬뜰농특산물영농조합법인 잡곡류와 약용식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KR20210093583A (ko) * 2020-01-20 2021-07-2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543271A (zh) * 2020-06-08 2020-08-18 普洱淞茂谷林下中药材开发有限公司 一种黄精的种苗繁育方法
CN111657082A (zh) * 2020-06-08 2020-09-15 普洱淞茂谷林下中药材开发有限公司 一种黄精的种植方法
KR20220015264A (ko) * 2020-07-30 2022-02-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영양 성분이 강화된 밥 조리수
KR102643047B1 (ko) * 2023-08-08 2024-03-04 홍장협 전기밥솥 또는 즉석밥으로 조리가 가능한 솥밥 밀키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252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252B1 (ko)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101275762B1 (ko)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닭고기 숙성 방법 및 숙성된 닭고기
KR101935996B1 (ko)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4256737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1342517B1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CN105876765A (zh) 一种海鲜素肉酱及其制备方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1265290B1 (ko) 발아곡물과 발효된 약초잎 그리고 된장을 이용한 편의선식 및 그 제조방법
CN103404562A (zh) 一种香椿香辣豆面饼及其制作方法
KR101163562B1 (ko)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KR102387524B1 (ko) 인삼, 맥문동, 오미자 추출물 및 사과즙과 금산인삼1뿌리를 포함하는 고영양 잡곡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126681B1 (ko) 저 자극성 생 두부 쌈장 제조 방법 및 저 자극성 생두부 쌈장
KR20150102279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N101940299A (zh) 含大枣的新型营养健康产品
CN104305242A (zh)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KR20150048296A (ko) 홍화와 식용작물을 주재로 한 과립식품의 제조방법
KR100660408B1 (ko) 퓨전김치양념 및 이를 이용한 퓨전김치
CN110731481A (zh) 一种干黄花菜酱菜制作方法
KR20200112527A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10454B1 (ko)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026594A (zh) 一种营养兔肉及其制备方法
CN104286780A (zh) 鱿鱼须藠头酱菜及其制备方法
KR101547576B1 (ko) 기능성 곡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