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423B1 -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423B1
KR102236423B1 KR1020200067225A KR20200067225A KR102236423B1 KR 102236423 B1 KR102236423 B1 KR 102236423B1 KR 1020200067225 A KR1020200067225 A KR 1020200067225A KR 20200067225 A KR20200067225 A KR 20200067225A KR 102236423 B1 KR102236423 B1 KR 10223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icky rice
safflower
steamed
stick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식
Original Assignee
최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식 filed Critical 최홍식
Priority to KR102020006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찹쌀과 추가잡곡류를 각각 1차로 찌고, 여기에 홍화씨 수를 섞어 한 번 더 찌는 과정을 통해, 차별화된 맛과 식감과 풍미를 갖는 영양 찰밥을 제조할 수 있으며 홍화씨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 효능을 별도의 과정 없이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홍화씨 수를 이용해 제조한 영양찰밥은 외관상으로도 먹음직스러울 뿐만 아니라 구수한 향과 맛이 추가되고 씹힘성이 낮아지고 조직이 부드러워져 관능평가에서 기호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홍화씨 수를 이용해 제조한 영양찰밥은 이후 추가 공정을 통해 일정 크기로 소포장함으로써 휴대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Nutritious glutinous rice using boiled water from safflower seeds and the process of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찹쌀과 추가 잡곡류를 각각 1차로 찌고, 여기에 홍화씨 수를 섞어 한 번 더 찌는 과정을 통해, 홍화씨의 기능성과 함께 차별화된 맛과 식감과 풍미를 갖는 영양 찰밥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식품의 고급화, 다양화 추세에 따라 건강식품, 기능성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면서 쌀에 있어서도 단순 식량자원으로서의 의미를 넘어 영양과 기능성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하루 중 섭취빈도가 높은 밥류의 경우 잡곡류 및 두류의 영양학적 우수성 등이 보고되면서, 백미 중심의 쌀밥에서 다양한 잡곡류 및 두류를 혼합하여 섭취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잡곡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쌀의 2~3배, 식이섬유소도 2~3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 이처럼 쌀밥 대신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그리고 식이섬유소 등의 함량이 높은 잡곡밥 섭취는 영양상으로 좋은 식품이다. 또한 통곡에 들어 있는 영양성분들은 자연적인 미각을 형성하게 해주어 변질된 입맛과 편식을 교정하는데도 도움을 주며 장내 환경을 건강하게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고 중금속을 비롯한 노폐물의 배설을 도와준다. (이승림, 2011)
한편 잡곡류 및 두류를 이용하여 혼식하는 경우 관능적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김윤선 등 2006, 윤석원 등 2011) 잡곡밥을 선호하는 이유로 ‘영양가가 백미보다 우수해서’라고 답한 반면, 잡곡밥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로 ‘부드럽지 못해서’, ‘맛이 없어서’, ‘색·조직감이 좋지 못해서’ 등으로 나타나 잡곡밥의 관능적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규상 2013, 김윤선 등 2006) 일반적으로 밥의 식미는 곡류의 품종, 재배조건, 가공특성, 그리고 취반할 때의 조건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한국쌀연구회, 2010), 취반 조건을 분석하여 밥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거나 곡류 이외의 특용작물을 첨가하는 등, 잡곡밥의 관능적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찹쌀(Glutinous rice)은 성질이 따뜻하여 위와 장을 따뜻하게 해주고 원기 보충의 효능이 있어 만성피로 및 식은땀, 야뇨증 등에 좋다. 또한 비타민 D가 풍부해 뼈를 튼튼하게 해주어 골다공증 예방의 효능을 가진다.
또한 차진 기운이 높고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되는 특징이 있어, 찰떡, 인절미, 경단, 단자 등 여러 가지 떡을 만들거나 찰밥, 약식, 식혜, 술, 고추장 등을 만드는 데에 쓰인다.
홍화(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목으로 홍화의 꽃과 씨를 약용 부위로 쓰며, 특히 홍화씨에는 세로토닌, 리그난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페놀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강한 항산화, 항고지혈증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칼륨, 마그네슘, 칼슘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골다공증과 퇴행성관절염 등 뼈 관절 계통의 질환과 혈액순환에도 효과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45825호와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54791호에서는 볶은 홍화씨에 존재하는 리그난, 플라보노이드 및 세로토닌 성분을 추출 및 분리하여, 상기 성분들이 뼈 형성 촉진작용, 골다공증 및 골절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밝힌 바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24629호에는 2~5시간 불린 찹쌀을 1차 증숙하고, 1차 증숙된 찰밥에 팥물을 뿌려 2차 증숙한 보양 찰밥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나, 1차로 찌는 과정을 거친 찹쌀과 추가잡곡류에 홍화씨 수를 섞어 2차로 찌는 과정을 포함하여 홍화씨 수의 영양과 풍미를 내는 본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139893호에는 찹쌀과 멥쌀을 홍화씨 수에 불려 반죽 재료를 준비하고, 준비된 반죽 재료에 홍화씨 분말을 첨가하여 찌는 과정을 거쳐 홍화씨를 함유한 모시 인절미를 제조하는 것에 기재하고 있으나, 1차로 찌는 과정을 거친 찹쌀과 추가잡곡류에 홍화씨 수를 섞어 2차로 찌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본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자는 찹쌀과 추가잡곡류를 각각 1차로 찌고, 여기에 홍화씨 수를 섞어 한 번 더 찌는 과정을 통해, 차별화된 맛과 식감과 풍미를 갖는 영양 찰밥과 그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0345825호, 홍화씨로부터 뼈 형성을 촉진하는 세로토닌, 리그난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추출방법, 2002년 7월 11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0354791호, 홍화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2002년 9월 17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24629호, 보양 찰밥, 2005년 3월 11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9893호, 홍화씨를 함유한 모시 인절미의 제조방법, 2017년 12월 20일 공개.
이승림, 보약이 되는 건강한 밥상: 몸에 좋은 잡곡밥, 건강하게 먹는 법. 건강생활, 2011.72: pp. 16-17, 2011. 김윤선·이귀주, 서울·경기와 강원지역의 잡곡밥의 섭취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6), pp. 661-669, 2006. 윤석원·정종성·진현정, 양곡판매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혼합곡 구매속성에 관한 컨조인트 분석. 식품유통연구, 28(1), pp. 99-115, 2011. 한규상, 잡곡밥의 섭취 실태 및 식미 향상을 위한 곡류 혼합비 최적화, PhD Thesis. 서울대학교 대학원. pp. 10, 2013. 한국쌀연구회, 벼와 쌀 Ⅱ, 에피스테메,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솥에서 홍화씨를 120~150℃ 온도로 5~20분간 노릇할 정도로 볶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볶아진 홍화씨를 끓는 물에 20~60분간 우려내어 홍화씨 수를 제조하는 단계(제2단계);
찹쌀을 3~12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00~120℃ 온도로 15~20분간 찌는 단계(제3단계);
찰밥에 첨가될 추가잡곡류를 12~36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00~120℃ 온도로 30~40분간 찌는 단계(제4단계);
시루에 잣, 밤, 및 은행 중에서 1종 이상을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넣고 100~120℃ 온도로 15~20분간 찌는 단계(제5단계);
상기 제3단계의 찐 찹쌀과 상기 제4단계의 찐 추가잡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제6단계);
하부가 막힌 큰 그릇에 상기 제6단계의 혼합된 찐 찹쌀과 추가잡곡류, 및 상기 제2단계의 홍화씨 수를 넣고 골고루 섞은 다음 찜기에 옮겨담아 100~120℃ 온도로 15~30분간 한번 더 쪄서 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의 찰밥을 잘 펴고, 그 위에 상기 제5단계의 찐 잣, 밤 및 은행을 골고루 뿌려주어 영양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8단계);
를 포함하는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 150℃를 초과하여 온도를 높이면 홍화씨가 타거나 탄내가 배어 관능적 기호도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고, 120℃ 미만으로 온도를 낮추게 되면 홍화씨가 속까지 골고루 볶아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홍화씨를 볶는 시간이 20분 이상 지속되면 홍화씨가 타거나 탄내가 배어 관능적 기호도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고, 5분 미만으로 짧게 볶게 되면 홍화씨가 균일하게 볶아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1단계에서 볶아진 홍화씨 100중량부 기준으로 끓는 물 1500~2500중량부에서, 바람직하게는 물 1800~2200 중량부에서 20~60분간 우려내어 얻은 홍화씨 수를 얻는다.
상기 제2단계에서 찹쌀 100중량부 기준으로 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3중량부의 볶은 홍화씨를 끓는 물에 우린 다음, 면보자기에 거르는 방법으로 상층부 및 하층부에 남아있는 찌꺼기를 제거하여 홍화씨 수를 여과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가 사용가능한 방법으로 상층부 및 하층부에 남아있는 찌꺼기를 제거하여 홍화씨 수를 여과할 수도 있다.
상기 제4단계에서 찰밥에 첨가되는 추가잡곡류는 서리태, 완두콩, 울타리콩, 팥, 귀리 및 흑미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찰밥에 첨가되는 추가잡곡류는 찹쌀 100중량부 기준 서리태는 8~12중량부, 완두콩은 4~8중량부, 울타리콩은 8~12중량부, 팥은 10~15중량부, 귀리는 3~7중량부, 그리고 흑미는 3~7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범위를 벗어나 더 많이 첨가되면 찰기와 식감이 떨어져 관능적 기호도가 감소하고, 반대로 추가잡곡류가 적게 첨가되면 이로부터 얻는 영양성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찰밥에 첨가되는 모든 추가잡곡류는 찰밥이 완성되기 전에 24시간 동안 물에 담가 불리고 각각 1차 찜으로써 더욱 부드러운 식감을 얻어 낼 수 있다.
상기 제7단계에서 2차로 찌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각종 곡류와 두류 본연의 식감을 유지함과 더불어 더욱 연한 식감과 풍부한 맛을 내는 찰밥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단계에서 홍화씨 수를 첨가함으로써 홍화씨로부터 유래한 유효영양성분을 별도의 과정 없이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홍화씨 수 특유의 구수한 풍미를 찰밥에 입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8단계에서 잣, 밤, 은행 중에서 1종 이상을 첨가함으로써 찰밥에 없는 영양성분을 부가적으로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고소한 풍미와 식감을 끌어올려 관능적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8단계에서 완성된 영양찰밥은 이후 추가 공정을 통해 일정 크기로 소포장함으로써 휴대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찹쌀과 추가잡곡류를 각각 1차로 찌고, 여기에 홍화씨 수를 섞어 한 번 더 찌는 과정을 통해, 차별화된 맛과 식감과 풍미를 갖는 영양 찰밥을 제조할 수 있으며 홍화씨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 효능을 별도의 과정 없이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홍화씨 수를 이용해 제조한 영양찰밥은 외관상으로도 먹음직스러울 뿐만 아니라 구수한 향과 맛이 추가되고 씹힘성이 낮아지고 조직이 부드러워져 관능평가에서 기호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홍화씨 수를 이용해 제조한 영양찰밥은 이후 추가 공정을 통해 일정 크기로 소포장함으로써 휴대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양찰밥을 제조하는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홍화씨 수 영양찰밥의 제조>
하기의 조건으로 홍화씨 수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솥에서 홍화씨 100g을 120~130℃ 온도로 15분간 노릇할 정도로 볶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볶아진 홍화씨를 끓는 물 2L에 30분간 우려내어 홍화씨 수를 제조하는 단계(제2단계);
찹쌀 8kg을 3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3단계);
찰밥에 첨가되는 서리태 800g, 완두콩 500g, 울타리콩 800g, 팥 900g, 귀리 400g, 흑미 400g로 구성된 추가잡곡류를 24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40분간 찌는 단계(제4단계);
시루에 잣 400g, 밤 500g 및 은행 400g을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넣고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5단계);
상기 제3단계의 찐 찹쌀과 상기 제4단계의 서리태, 완두콩, 울타리콩, 팥, 귀리 및 흑미로 구성된 찐 추가잡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제6단계);
하부가 막힌 큰 그릇에 상기 제6단계의 혼합된 찐 찹쌀과 추가잡곡류, 및 상기 제2단계의 홍화씨 수를 넣고 골고루 섞은 다음 찜기에 옮겨담아 110~120℃ 온도로 20분간 한번 더 쪄서 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의 찰밥을 잘 펴고, 그 위에 상기 제5단계의 찐 잣, 밤 및 은행을 골고루 뿌려주어 영양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8단계); 의 과정을 거쳐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대상 영양찰밥 1 제조>
하기의 조건으로 홍화씨 수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찹쌀 8kg을 3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1단계);
찰밥에 첨가되는 서리태 800g, 완두콩 500g, 울타리콩 800g, 팥 900g, 귀리 400g, 흑미 400g로 구성된 추가잡곡류를 24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40분간 찌는 단계(제2단계);
시루에 잣 400g, 밤 500g 및 은행 400g을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넣고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3단계);
상기 제1단계의 찐 찹쌀과 상기 제2단계의 서리태, 완두콩, 울타리콩, 팥, 귀리 및 흑미로 구성된 찐 추가잡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제4단계);
하부가 막힌 큰 그릇에 상기 제4단계의 혼합된 찐 찹쌀과 추가잡곡류, 및 물 2L를 넣고 섞은 다음 찜기에 옮겨담아 110~120℃ 온도로 20분간 한번 더 찌는 단계(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의 찰밥을 잘 펴고, 그 위에 상기 제3단계의 찐 잣, 밤 및 은행을 골고루 뿌려주어 영양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6단계); 의 과정을 거쳐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대상 영양찰밥 2 제조>
하기의 조건으로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솥에서 홍화씨 100g을 끓는 물 2L에 30분간 우려내어 홍화씨 수를 제조하는 단계(제1단계);
찹쌀 8kg을 3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2단계);
찰밥에 첨가되는 서리태 800g, 완두콩 500g, 울타리콩 800g, 팥 900g, 귀리 400g, 흑미 400g로 구성된 추가잡곡류를 24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40분간 찌는 단계(제3단계);
시루에 잣 400g, 밤 500g 및 은행 400g을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넣고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4단계);
상기 제2단계의 찐 찹쌀과 상기 제3단계의 서리태, 완두콩, 울타리콩, 팥, 귀리 및 흑미로 구성된 찐 추가잡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제5단계);
하부가 막힌 큰 그릇에 상기 제5단계의 혼합된 찐 찹쌀과 추가잡곡류, 및 상기 제1단계의 홍화씨 수를 넣고 섞은 다음 찜기에 옮겨담아 110~120℃ 온도로 20분간 한번 더 쪄서 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6단계); 및
상기 제6단계의 찰밥을 잘 펴고, 그 위에 상기 제4단계의 찐 잣, 밤 및 은행을 골고루 뿌려주어 영양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7단계); 의 과정을 거쳐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대상 영양찰밥 3 제조>
하기의 조건으로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솥에서 홍화씨 20g을 120~130℃ 온도로 15분간 노릇할 정도로 볶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볶아진 홍화씨를 끓는 물 2.0L에 30분간 우려내어 홍화씨 수를 제조하는 단계(제2단계);
찹쌀 8kg을 3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3단계);
찰밥에 첨가되는 서리태 800g, 완두콩 500g, 울타리콩 800g, 팥 900g, 귀리 400g, 흑미 400g로 구성된 추가잡곡류를 24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40분간 찌는 단계(제4단계);
시루에 잣 400g, 밤 500g 및 은행 400g을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넣고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5단계);
상기 제3단계의 찐 찹쌀과 상기 제4단계의 서리태, 완두콩, 울타리콩, 팥, 귀리 및 흑미로 구성된 찐 추가잡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제6단계);
하부가 막힌 큰 그릇에 상기 제6단계의 혼합된 찐 찹쌀과 추가잡곡류, 및 상기 제2단계의 홍화씨 수를 넣고 섞은 다음 찜기에 옮겨담아 110~120℃ 온도로 20분간 한번 더 쪄서 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의 찰밥을 잘 펴고, 그 위에 상기 제5단계의 찐 잣, 밤 및 은행을 골고루 뿌려주어 영양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8단계); 의 과정을 거쳐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대상 영양찰밥 4 제조>
하기의 조건으로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솥에서 홍화씨 1200g을 120℃ 온도로 15분간 노릇할 정도로 볶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볶아진 홍화씨를 끓는 물 2L에 30분간 우려내어 홍화씨 수를 제조하는 단계(제2단계);
찹쌀 8kg을 3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3단계);
찰밥에 첨가되는 서리태 800g, 완두콩 500g, 울타리콩 800g, 팥 900g, 귀리 400g, 흑미 400g로 구성된 추가잡곡류를 24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110~120℃ 온도로 40분간 찌는 단계(제4단계);
시루에 잣 400g, 밤 500g 및 은행 400g을 공간을 분리하여 각각 넣고 110~120℃ 온도로 20분간 찌는 단계(제5단계);
상기 제3단계의 찐 찹쌀과 상기 제4단계의 서리태, 완두콩, 울타리콩, 팥, 귀리 및 흑미로 구성된 찐 추가잡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제6단계);
하부가 막힌 큰 그릇에 상기 제6단계의 혼합된 찐 찹쌀과 추가잡곡류, 및 상기 제2단계의 홍화씨 수를 넣고 섞은 다음 찜기에 옮겨담아 110~120℃ 온도로 20분간 한번 더 쪄서 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의 찰밥을 잘 펴고, 그 위에 상기 제5단계의 찐 잣, 밤 및 은행을 골고루 뿌려주어 영양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8단계); 의 과정을 거쳐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관능평가>
성인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영양찰밥을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와 같이 제조한 다음, 비교 평가표에 따라 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57296713-pat00001
실시예 1, 비교예 1, 2, 3 및 4의 방법으로 제조한 영양찰밥의 외관, 향, 맛, 찰기 및 조직감을 기호도에 따라 최저 1점(매우 나쁨)에서 최고 5점(매우 좋음)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점수를 합산하여 총 25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각 항목별 점수를 평균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외관은 겉보기 색감이 먹음직스러운지 아닌지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매우 먹음직스럽고 식욕이 돋우는 모습인 경우 최고 5점, 그렇지 않은 경우 최하 1점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상기 향은 풍기는 냄새 또는 입에 넣고 음미하였을 때의 향이 먹음직스러운지 아닌지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매우 먹음직스럽고 식욕이 돋우는 향인 경우 최고 5점, 그렇지 않은 경우 최하 1점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상기 맛은 입에 넣고 음미하였을 때 거부감이 없고 이질스러운 맛이 없으며 입맛을 돋우는지 아닌지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매우 식욕을 돋우는 맛인 경우 최고 5점, 그렇지 않은 경우 최하 1점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상기 찰기는 수저를 사용하였을 때 밥알이 달라붙는 정도에 따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밥알간에 점성이 있어 서로 끈끈하게 잘 달라붙는 경우 최고 5점, 밥알간에 점성이 없이 서로 흩어지는 경우 최하 1점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상기 조직감은 밥을 입에 넣고 씹었을 때 삼키기 직전까지의 저작운동의 세기와 지속시간의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씹히는 정도가 적고 쉽게 조직이 부드러워지는 경우 최고 5점, 그렇지 않은 경우 최하 1점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표 1에 나타낸 관능평가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영양찰밥은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볶은 홍화씨를 우려낸 홍화씨 수로 인해 은은하게 노르스름한 색이 입혀지면서 외관상 기호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고온에 한번 볶아낸 홍화씨를 이용함으로써 구수한 향과 맛이 추가되어 기호도가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 1와 비교예 2, 3 및 4는 홍화씨 수를 부어주고 찌는 과정을 통해, 물을 사용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영양찰밥의 외관에 윤기가 흘러 먹음직스러울 뿐만 아니라 씹힘성이 낮아지고 조직이 부드러워져 기호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찰기’ 항목은 실시예와 비교예들 간 기호도 평가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같은 조건으로 설정한 찹쌀의 양과 취반 조건에 큰 영향을 받으며 홍화씨 수와 관련한 요인들은 부수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짐작할 수 있다.
비교예 3의 경우, 바람직한 양보다 더 적은 볶은 홍화씨를 끓는 물에 우리고 찰밥에 투입하여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홍화씨에서 유래한 색깔뿐만 아니라 구수한 향과 맛, 부드러운 조직감 면에서 실시예 1보다 선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4의 경우, 바람직한 양보다 더 많은 볶은 홍화씨를 끓는 물에 우리고 찰밥에 투입하여 영양찰밥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홍화씨에서 유래한 색깔이 매우 짙을뿐만 아니라 홍화씨 특유의 향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어 실시예 1보다 선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볶은 홍화씨를 우린 물을 찰밥에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적절한 농도범위의 홍화씨 수를 이용하는 것 또한 기호도에 큰 영향을 미침을 짐작할 수 있다.
상기 관능평가를 통해, 홍화씨 수를 이용해 제조한 영양찰밥은 외관상으로도 더욱 윤기가 흘러 먹음직스러울 뿐만 아니라 볶은 홍화씨 특유의 부드럽고 구수한 향과 맛이 추가되고, 조직이 부드러워져 기호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찰밥에 첨가된 볶은 홍화씨 수와 다양한 잡곡의 조화로 인해 독특한 풍미를 느낄 수 있으나 그 맛과 향이 부담스럽지 않아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누구나 거부감 없이 섭취가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찰밥의 적당한 찰기 때문에 잡곡이 떨어지거나 흩어지지 않아 먹기에 매우 용이하였으며,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상기 홍화씨 수를 이용해 제조한 영양찰밥은 이후 추가 공정을 통해 일정 크기로 소포장함으로써 휴대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홍화씨를 120~150℃ 온도에서 5~20분 정도로 볶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볶아진 홍화씨 100중량부 기준으로 끓는 물 1500~2500중량부에서 20~60분간 우려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 수를 제조하는 단계(제2단계);
    별도로 찹쌀을 3~12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찌는 단계(제3단계);
    별도로 서리태, 완두콩, 울타리콩, 팥, 귀리 및 흑미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밥에 첨가될 추가 잡곡류를 물에 불린 다음 찌는 단계(제4단계);
    별도로 시루에 잣, 밤, 및 은행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넣고 찌는 단계(제5단계);
    상기 제3단계의 찐 찹쌀과 상기 제4단계의 찐 추가 잡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제6단계);
    상기 제6단계의 혼합된 찐 찹쌀과 추가잡곡류에 상기 제2단계의 홍화씨 수를 부어주고 한번 더 쪄서 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의 찰밥을 잘 펴고, 그 위에 상기 제5단계의 찐 잣, 밤, 및 은행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골고루 뿌려주어 영양찰밥을 제조하는 단계(제8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찰밥에 첨가되는 추가 잡곡류는 찹쌀 100중량부 기준으로 서리태는 8~12중량부, 완두콩은 4~8중량부, 울타리콩은 8~12중량부, 팥은 10~15중량부, 귀리는 3~7중량부, 그리고 흑미는 3~7중량부로 선택적으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이 소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찰밥.
KR1020200067225A 2020-06-03 2020-06-03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 KR10223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25A KR102236423B1 (ko) 2020-06-03 2020-06-03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225A KR102236423B1 (ko) 2020-06-03 2020-06-03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423B1 true KR102236423B1 (ko) 2021-04-05

Family

ID=7546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25A KR102236423B1 (ko) 2020-06-03 2020-06-03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4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684A (ko) * 1998-04-20 1999-11-15 이태영 대나무밥의 제조방법
KR100345825B1 (ko) 2000-01-22 2002-07-24 우리홍화인영농조합법인 홍화씨로부터 뼈 형성을 촉진하는 세로토닌, 리그난 및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추출방법
KR100354791B1 (ko) 2000-04-04 2002-10-05 최상원 홍화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KR20050024629A (ko) 2003-09-01 2005-03-11 박광애 보양 찰밥
KR20050065490A (ko) * 2005-06-03 2005-06-29 (주)맛있는세상 흑미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흑미영양찰약밥
KR101455252B1 (ko) * 2012-07-31 2014-10-31 표재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20170139893A (ko) 2016-06-10 2017-12-20 박선주 홍화씨를 함유한 모시 인절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684A (ko) * 1998-04-20 1999-11-15 이태영 대나무밥의 제조방법
KR100345825B1 (ko) 2000-01-22 2002-07-24 우리홍화인영농조합법인 홍화씨로부터 뼈 형성을 촉진하는 세로토닌, 리그난 및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추출방법
KR100354791B1 (ko) 2000-04-04 2002-10-05 최상원 홍화씨에서 추출한 폴리페놀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KR20050024629A (ko) 2003-09-01 2005-03-11 박광애 보양 찰밥
KR20050065490A (ko) * 2005-06-03 2005-06-29 (주)맛있는세상 흑미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흑미영양찰약밥
KR101455252B1 (ko) * 2012-07-31 2014-10-31 표재호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20170139893A (ko) 2016-06-10 2017-12-20 박선주 홍화씨를 함유한 모시 인절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윤선·이귀주, 서울·경기와 강원지역의 잡곡밥의 섭취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6), pp. 661-669, 2006.
윤석원·정종성·진현정, 양곡판매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혼합곡 구매속성에 관한 컨조인트 분석. 식품유통연구, 28(1), pp. 99-115, 2011.
이승림, 보약이 되는 건강한 밥상: 몸에 좋은 잡곡밥, 건강하게 먹는 법. 건강생활, 2011.72: pp. 16-17, 2011.
한국쌀연구회, 벼와 쌀 Ⅱ, 에피스테메, 2010.
한규상, 잡곡밥의 섭취 실태 및 식미 향상을 위한 곡류 혼합비 최적화, PhD Thesis. 서울대학교 대학원. pp. 10, 2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4325B (zh) 一种香辣青豆猪肉干及其制备方法
KR20120134168A (ko) 호박 순대의 제조방법
KR20180096244A (ko) 곡물 생식의 제조 방법
CN112602914A (zh) 一种椰奶味纯植物油固体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KR102096179B1 (ko) 산삼 소스, 산삼 소스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갈비탕, 삼계탕 및 백숙
CN106805097A (zh) 营养米饭/米粥/米粉/河粉/米糕/米饼及其制作方法
Mulei et al. Grain Legume Processing Handbook: Value Addition to Bean, Cowpea, Groundnut and Soybean by Small-Scale African Farmers
KR102236423B1 (ko) 홍화씨 수를 이용한 영양 찰밥 및 그 제조방법
CN109077227A (zh) 饺子馅料、饺子及其制备方法
Zaroual et al. Traditional foods in Maghreb: production and research progress
CN104839573A (zh) 一种泡椒风味黄豆酱及其制备方法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101974210B1 (ko) 카레 불 닭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551364A (zh) 一种麻辣酸笋鱼调料及其制作方法
CN111418812A (zh) 一种炖菜用调味料
CN106879662A (zh) 一种卤猪肉夹馍的制作方法
CN105192731A (zh) 一种碳锅兔肉的制作方法
KR100884091B1 (ko) 굴비 혼합 고추장 및 그 제조 방법
CN107373318A (zh) 一种羊肉臊子焖搅团及其制作方法
CN103549509A (zh) 一种鱼制品及其制备方法
KR102456194B1 (ko) 한방 누룽지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2632977B1 (ko) 표고버섯을 함유한 면류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668547B1 (ko) 명란을 이용한 페스토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명란 페스토
KR101569105B1 (ko) 치즈죽
KR20120060437A (ko) 기능성 인절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