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562B1 -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562B1
KR101163562B1 KR1020100116554A KR20100116554A KR101163562B1 KR 101163562 B1 KR101163562 B1 KR 101163562B1 KR 1020100116554 A KR1020100116554 A KR 1020100116554A KR 20100116554 A KR20100116554 A KR 20100116554A KR 101163562 B1 KR101163562 B1 KR 101163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erminated
herbal
grains
he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060A (ko
Inventor
표재호
손미예
Original Assignee
손미예
표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미예, 표재호 filed Critical 손미예
Priority to KR1020100116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5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약초밥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한방 약초밥은 불량한 곡물을 제거하고 발아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고 세척하는 준비단계; 세척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단계;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킨 뒤 이를 증숙하여 발아밥을 제조하는 증숙단계; 증숙된 발아밥에 식염과 식초를 첨가하여 버무려서 덩어리로 만드는 단계; 음용수, 식초, 식염, 매실액, 설탕을 혼합하여 된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약초잎을 선별하여 세척하고 이를 절임 소스에 6~24시간 절임하는 절임단계; 절임 약초잎을 세척하고 탈수한 뒤 덩어리 발아밥을 감싸는 단계; 약초잎이 감싸진 발아밥을 급속동결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초밥은, 곡물의 발아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영양소와, 약초잎이 지닌 고유의 약용성분 그리고 약초잎 절임용 소스가 지닌 풍미와 맛이 적절하게 배합되어 있어 식품으로서의 영양학적 측면에서나 맛 그리고 풍미 면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스럽지 않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리 과정없이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Steamed rice containing extract of medicinal crops and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발아 곡물로 된 밥을 식용 가능한 절임 약초잎으로 말아 급속 동결하여 된 한방 약초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발아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영양소와 약초의 약용성분으로 이루어진 인체에 유익한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 없이 즉석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감과 맛을 구현하고 종전의 주먹밥이나 김밥류에 비하여 유통과 보존성을 개선시킨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인스턴트 가공식품의 소비가 늘고 있는데, 이러한 인스턴트 가공식품에는 도정, 정제에 의해 당분 대사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섬유질과 대사 영양소인 비타민, 미네랄이 거의 제거되어 있는 상태이며, 방부를 목적으로 하는 합성 보존료, 색깔과 향을 유지하기 위한 발색제와 향료, 맛을 내기 위한 화학 조미료 등 인체에 유해한 각종 첨가물들이 다양한 통로로 유입되어 우리 몸의 대사 과정을 방해하여 발암물질로 작용하는 것들도 있으며, 이외에도 글루탐산 나트륨, 아질산 나트륨 등 첨가물에 함유된 염의 형태의 나트륨들이 과다하게 첨가되어 인체의 미네랄 불균형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 각종 성인병 질환의 부작용으로 인한 심각한 폐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채식 위주의 식단이었으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점차 육식과 인스턴트 가공식품 위주로 식단이 바뀌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비만 등의 각종 성인병 질환에 노출되어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인스턴트 가공식품과 육류의 섭취를 줄이고, 과일,채소,곡물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특히, 전통 발효 식품과 발아 식품은 생리활성 물질과 소화효소를 돕는 각종 활성 영양소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곡물의 경우 대부분 단단한 껍질막으로 싸여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물질도 포함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섭취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발효 식품 역시 오랜 기간 숙성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즉, 발아 곡물로 널리 권장되고 있는 현미는 백미에 비해 배아가 살아 있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혈액의 산화 현상을 억제하여 노화방지 및 장내 기능 강화에 유용하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껍질이 단단하여 부드럽게 씹히지 않아 식감과 소화율이 떨어지고, 일반 밥솥으로 조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전통 발효식품의 경우 미생물 혹은 효소를 이용하여 먹거리의 특성을 변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발효를 위한 조건이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바쁜 현대인에게 있어 위의 발아식품과 발효식품을 간편하게 섭취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물론, 쌀밥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1회용 용기에 담겨진 가공 즉석밥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단순히 백미를 찐 형태의 것이어서 발아 곡물이 지닌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뿐더러 별도로 반찬을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즉석에서 먹을 수 있도록 조미가 된 주먹밥이나 또는 밥과 여러 가지 속재료를 김으로 말아서 된 김밥이 있으나, 이들 주먹밥이나 김밥 역시 쌀밥을 주재료로 하고 있어 건강식으로는 부족하며, 또한 유통 및 보존기간이 짧아 쉽게 변질됨에 따라 여름철의 경우 섭취시 주의가 필요한 식품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건강식품으로 널리 권장되고 있는 발아 및 발효 식품이 지닌 영양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맛과 풍미 그리고 보존성을 지닌 식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아된 곡물이 지닌 활성 영양소와 약초의 약용성분으로 이루어진 인체에 유익한 유효한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도록 하면서 다양한 천연 첨가물에 의한 식감과 풍미를 높이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식품으로서의 영양학적 측면과 맛 그리고 풍미를 높여 누구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효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전의 주먹밥이나 김밥류에 비하여 유통의 불편함과 보존성을 크게 개선시키고, 별도의 조리 과정 없이도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도록 한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방 약초밥의 제조방법은, 불량한 곡물을 제거하고 발아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고 세척하는 준비단계; 세척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단계;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발아 곡물을 증숙하여 발아밥을 제조하는 증숙단계; 증숙된 발아밥에 식염과 식초를 첨가하여 버무려서 덩어리로 만드는 단계; 음용수, 식초, 식염, 매실액, 설탕을 혼합하여 된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약초잎을 선별하여 세척하고 이를 소스에 6~24시간 절임하는 절임단계; 절임 약초잎을 세척하고 탈수한 뒤 덩어리 발아밥을 감싸는 단계; 약초잎이 감싸진 발아밥을 급속동결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곡물 준비단계에서 곡물은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건조단계에서 발아 곡물은 건조기에서 16~48시간 건조되거나 또는 24~72시간 자연 건조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증숙단계에서 상기 발아곡물은 스팀기에서 45~60분 가량 증숙과정을 거친 뒤, 15~20분 가량 뜸 과정을 거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절임단계에서 약초잎은 물에 넣어 살짝 익히는 과정을 거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절임단계에서 절임된 약초잎과 소스를 분리하여 소스를 끓여서 식힌 후 약초잎을 침지시키는 과정을 1~3회 반복한 뒤 냉장 보관하거나 또는 절임된 약초잎과 소스를 분리하지 않고 1~7일간 냉장보관 한 뒤 냉동시키는 과정 중 어느 한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초밥은, 곡물의 발아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영양소와, 약초잎이 지닌 고유의 약용성분 그리고 약초잎 절임용 소스가 지닌 풍미와 맛이 적절하게 배합되어 있어 식품으로서의 영양학적 측면에서나 맛 그리고 풍미 면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스럽지 않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인체에 유익한 유효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전의 주먹밥이나 김밥류가 지닌 유통 및 보관의 불편함과 보존성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별도의 조리 과정없이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초밥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초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발아시킨 곡물로 밥을 짓고, 절임한 약초잎으로 발아밥을 싸도록 한 뒤 동결 포장으로 제조된다.
상기 한방 약초밥은 다음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제1공정 : 곡물을 선별하여 세척하는 준비단계.
먼저,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과 형태가 불량한 것들을 솎아 내면서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되, 세척과정에서 발아에 적합한 곡물과 그렇지 않은 곡물을 분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곡물은 발아율이 양호하고, 발아 과정에서 인체에 유익한 활성 영양소가 생성되는 곡물이 사용되는 것을 제안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가 사용된다. 이들 곡물은 모두 동일한 비율로 배합되는 것 보다는 소화율과 식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밥을 짓게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배합률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배합률은 제안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현미, 현미찹쌀, 보리, 수수, 조의 비율은 타 곡물에 비해 많이 혼입될 수 있을 것이다.
제2공정 : 세척된 곡물을 불리는 불림단계.
상기 세척과정을 마친 곡물을 곡물의 종류에 따라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림처리를 한다.
이러한 불림처리는 곡물에 수분을 공급하여 발아를 유도하기 위한 전공정으로, 통상 미지근한 물에 담가두거나 또는 미지근한 물을 지속적으로 뿌려주는 방법이 사용된다.
제3공정 : 불림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상기 불림단계를 마친 곡물을 24~48시간 동안 20~28℃의 온도 조건에서 발아를 시킨다. 이때 상기 곡물의 발아싹은 5mm 이하를 갖도록 하여 발아시킨다.
이러한 발아과정을 마친 곡물은 발아작용에 의해 외피의 섬유질이 연화된 상태를 이루면서 활성 영양소가 생성된다. 일례로 발아 콩의 경우에는 비타민C가 생성되며, 발아 현미의 경우에는 비타민 아미노산 효소 등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4공정 :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키고 이를 증숙하여 발아밥을 제조하는 증숙단계.
상기 발아단계를 마친 발아 곡물은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거나 또는 자연 건조를 통해 건조시킨 뒤, 이를 스팀솥에서 45~60분 가량 증숙시키고, 15~20분 가량 뜸을 들여 밥을 짓는다.
여기서, 상기 건조과정을 부연하여 설명하면, 건조기를 이용한 강제 건조방법과 햇볕을 이용한 자연 건조방법으로 가능하며, 강제 건조방법의 경우 곡물 건조기를 이용하여 16~48시간 건조시키는 것이며, 자연 건조방법은 햇볕에서 24~72시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때의 곡물의 수분 함유량은 5~20% 정도이다.
제5공정 : 발아밥에 첨가물을 첨가하고 덩어리로 만드는 단계.
상기 증숙과정에서 제조된 발아밥에 소금 등의 식염과 식초를 첨가하여 버무려서 주먹밥 또는 초밥 크기로 만든다. 이때, 식염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소금류나 간장류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발아밥에 첨가되는 소금과 식초는 보존성을 높여 변질을 늦추면서 식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제6공정 : 절임용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음용수에 식초와 식염 그리고 매실액과 설탕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절임 소스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절임 소스는 음용수 1리터를 기준으로 식초 1리터, 식염 1리터, 매실액 0.5리터, 설탕 1kg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식염은 양조간장이 사용된다.
제7공정 : 약초잎 절임단계.
식용이 가능한 약초잎을 선별한 뒤 이를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그리고 세척된 약초잎을 앞서 제6공정에서 제조된 절임용 소스에 6~24시간 절임시킨다.
이때, 상기 약초잎은 약용 나무의 잎이나 식물의 잎이 사용되며, 구체적으로 고로쇠나무, 오갈피, 얼룩조릿대, 소나무, 옷나무, 찔레꽃, 두충나무, 산마늘, 취나물,삼백초, 죽순, 감나무, 화살나무, 다래나무, 두릅, 참죽나무, 뽕나무, 오미자, 딱총나무, 깻잎, 콩잎, 당귀, 어성초, 곰취, 떡취, 토란, 헛개나무, 노박덩굴, 생강나무, 참느릅 나무, 왕느릅 나무, 개느릅 나무 등의 잎이 사용된다.
이러한 약초잎은 채취한 상태 그대로의 것을 사용하여 절임시켜도 무방하나, 채취한 상태 그대로 섭취가 곤란한 식감을 가진 잎의 경우에는 물에 살짝 익혀서 식감과 소화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호박잎의 경우 그대로 섭취가 곤란하므로 물에 살짝 데쳐서 익힌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절임단계는 다음의 두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첫째, 상기 절임과정을 마친 뒤 절임된 약초잎과 절임 소스를 분리하고, 분리된 절임 소스를 끓여서 식힌다. 그리고 앞서 분리한 약초잎을 식힌 소스에 담그는 침지 과정을 1~3회 반복 수행하여 약초잎이 확실하게 절여지도록 한 뒤 냉장 보관한다.
둘째, 절임과정을 마친 뒤 절임된 약초잎과 소스를 분리하지 않고 하루에서 일주일정도 냉장 보관하여 숙성시킨 뒤 냉동 보관한다.
제8공정 : 약초잎 쌈밥 제조단계.
상기 제7공정에서 제조된 절임된 약초잎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이어서 세척된 절임 약초잎을 탈수하여 물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물기가 제거된 절임 약초잎을 앞서 제5공정에서 제조된 주먹밥이나 초밥 크기의 덩어리로 소분된 발아밥을 감싸도록 하여 한방 약초밥 형태로 만든다.
제9공정 : 쌈밥을 포장하는 포장단계.
앞서 제8공정에서 제조된 약초잎이 감싸진 발아밥은 그 상태로 섭취가 가능하나, 상품의 유통과 보존성이 낮으므로 다음의 포장공정을 제안한다.
즉, 제8공정에서 제조된 한방 약초밥은 급속동결실에 넣고 -25~-45℃에서 급속 동결하고, 동결된 한방 약초밥을 일회용 파우치나 용기에 투입하여 포장한다.
한편, 상기 제8공정에서 제조된 한방 약초밥은 포장공장에 앞서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한 자외선 살균을 통해 살균하거나, 또는 주정이나 자몽씨 추출액과 같은 천연 방부성분을 갖는 방부재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크게 발아밥을 제조공정과, 절임 약초잎 제조공정으로 구분된다.
첫째, 발아밥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아가 가능한 곡물을 선별하고 이를 깨끗한 물에 넣어 수세척한다.
그리고, 세척된 곡물을 4시간에서 8시간 가량 온도 18~24℃에서 불린다.
이어서 물에 불려진 곡물은 온도 20~28℃에서 하루에서 이틀 가량 발아시키면 발아싹이 대략 5mm 미만이 된다.
만약 발아싹이 5mm 이상인 경우에는 솎아 내고, 발아시간을 단축시켜 발아싹이 5mm 미만 상태에서 발아를 끝내도록 해야 한다.
이어서,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킨 뒤 스팀기에 넣고 45~60분 가량 증숙시킨 뒤, 15~20분가량 뜸을 들여 발아밥을 짓는다.
그리고, 발아밥에 소금(뽕소금 또는 죽염)과 식초를 첨가하여 보존성을 높이도록 함과 동시에 간을 맞춘 뒤, 주먹밥 또는 초밥 크기의 덩어리로 소분하여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보관한다.
둘째, 절임 약초잎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용이 가능한 약초잎을 선별하여 깨끗하게 씻는다.
이어서, 음용수 1리터(liter), 식초 1리터, 양조간장 1리터(또는 소금 1kg), 매실액 0.5리터, 설탕 1kg의 비율로 혼합하여 절임용 소스를 제조한다.
이어서, 식용 약초잎 중 거칠거나 두께가 두꺼운 잎은 데쳐서 살짝 삶은 뒤, 상기 절임용 소스에 6~24시간 담가둔다.
이렇게 제조된 절임 약초잎은 앞서 설명한 소분된 덩어리 형태의 발아밥을 감싸도록 하여 쌈밥 형태로 성형한다.
끝으로, 완성된 약초잎이 감싸진 발아밥은 -25~-45℃의 급속동결실내에서 대략 30분 이내에 급속 동결하고, 이렇게 동결된 약초잎이 싸여진 발아밥은 일회용 파우치나 용기에 밀봉 포장되는 것에 의해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인스턴트 식품 형태로 포장된 한방 약초밥은 건강에 유익한 발아 곡물에서 생성되는 활성 영양소와, 약초잎이 지닌 약리 성분 그리고 각종 첨가물에 의한 맛을 포함하고 있어 건강 기능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약초잎이 지닌 특유의 강하고 자극적인 향과 냄새를 최소화하면서 각종 첨가물에 의한 풍미와 향미가 추가됨에 따라 현대인의 까다로운 입맛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리 도구 없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불량한 곡물을 제거하고 발아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고 세척하는 준비단계;
    세척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단계;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킨 뒤 이를 증숙하여 발아밥을 제조하는 증숙단계;
    증숙된 발아밥에 식염과 식초를 첨가하여 버무려서 덩어리로 만드는 단계;
    음용수, 식초, 식염, 매실액, 설탕을 혼합하여 된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약초잎을 선별하여 세척하고 이를 절임 소스에 6~24시간 절임하는 절임단계;
    절임 약초잎을 세척하고 탈수한 뒤 덩어리 발아밥을 감싸는 단계;
    약초잎이 감싸진 발아밥을 급속동결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
    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초밥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준비단계에서 곡물은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건조과정에서 발아 곡물은 건조기에서 16~48시간 건조되거나 또는 24~72시간 자연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초밥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단계에서 상기 발아곡물은 스팀기에서 45~60분 가량 증숙과정을 거친 뒤, 15~20분 가량 뜸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초밥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단계에서 약초잎은 물에 넣어 살짝 익히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초밥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단계에서 절임된 약초잎과 소스를 분리하여 소스를 끓여서 식힌 후 약초잎을 침지시키는 과정을 1~3회 반복한 뒤 냉장 보관하거나 또는 절임된 약초잎과 소스를 분리하지 않고 1~7일간 냉장보관 한 뒤 냉동시키는 과정 중 어느 한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초밥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약초밥.
KR1020100116554A 2010-11-23 2010-11-23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163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554A KR101163562B1 (ko) 2010-11-23 2010-11-23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554A KR101163562B1 (ko) 2010-11-23 2010-11-23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060A KR20120055060A (ko) 2012-05-31
KR101163562B1 true KR101163562B1 (ko) 2012-07-06

Family

ID=4627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554A KR101163562B1 (ko) 2010-11-23 2010-11-23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90B1 (ko) 2012-11-27 2014-08-13 (주)로가닉 깻잎 쌈밥의 제조방법
KR20210093583A (ko) 2020-01-20 2021-07-2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05B1 (ko) * 2018-01-04 2018-09-12 남현옥 블루베리를 첨가한 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90B1 (ko) 2012-11-27 2014-08-13 (주)로가닉 깻잎 쌈밥의 제조방법
KR20210093583A (ko) 2020-01-20 2021-07-2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060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252B1 (ko)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101935996B1 (ko)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1557A (ko)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닭고기 숙성 방법 및 숙성된 닭고기
CN103039952A (zh) 一种风味金针菇韭菜花酱的制作方法
KR101241863B1 (ko)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464B1 (ko)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닭갈비의 가공방법
KR20130105953A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KR20170136710A (ko)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163562B1 (ko)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952904B1 (ko) 보리소금을 이용한 보리성분 함유 굴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181B1 (ko)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KR101265290B1 (ko) 발아곡물과 발효된 약초잎 그리고 된장을 이용한 편의선식 및 그 제조방법
CN103005394A (zh) 一种果仁养生腌制杏鲍菇
KR101518412B1 (ko)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KR20030048370A (ko)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1003563B1 (ko) 홍삼김치의 제조방법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CN104473146A (zh) 调味食用菌及其深加工工艺
KR100917682B1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KR101173211B1 (ko) 즉석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8296A (ko) 홍화와 식용작물을 주재로 한 과립식품의 제조방법
KR102454489B1 (ko) 우수한 식감을 가지는 소시지 제조방법
KR102160696B1 (ko) 한방장각치킨 수제비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한방장각치킨 수제비
KR20130117492A (ko) 참마 찰순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25900A (ko) 연속적인 축합반응을 이용한 약용식물과 곡물 혼합 건강식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