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454B1 -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0454B1 KR102410454B1 KR1020200007342A KR20200007342A KR102410454B1 KR 102410454 B1 KR102410454 B1 KR 102410454B1 KR 1020200007342 A KR1020200007342 A KR 1020200007342A KR 20200007342 A KR20200007342 A KR 20200007342A KR 102410454 B1 KR102410454 B1 KR 102410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water
- mesh
- germination
- siz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382353 Pup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371652 Curvularia clav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190633 Cordycep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37858 Gastro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5824 cor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54032 Acrid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82988 Capreo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54173 Coleopt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1474 Portula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1855 Portulaca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39226 Scorpion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33546 Pallo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6919 Ribes petrae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5505 Ribes rub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355 Ribes spi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1535 curra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1537 curra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3291 Armoracia rustican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1330 Armoracia rusticana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7208 balanced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046 balanced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0760 Wasabia japo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195452 Wasabi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149 Ze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252 protein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087 Apium graveo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49 Apium graveolens Dulce Gr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591 Appi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30 Arctium lap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078 Arctium mi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701 Artemisia arbuscu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57 Artemisia triden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198 Bras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647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345396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604 Chrysanthemum parthen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646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6 Chrysanthemum x morifol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397 Ganoderma lucid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37 Ganoderma lucid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447437 Ger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96 Leonu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890 Leonurus card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OYHQOLUKZRVURQ-IXWMQOLASA-N 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IXWMQOLA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581 Luffa acutangu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814 Luffa aegypt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982 Malva neglec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060 Malva neglec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199 Oenanthe sarment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243 Oenanthe sarmento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893 Pteridium aqui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385 Pteridium aquilinum subsp decomposi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779 Pteridium aquilinum subsp latiuscul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777 Pteridium aquilinum subsp pseudocaud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722 Pteridium aquilinum subsp pub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286 Sed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28 Sium sua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PXPTNMVRIOKMN-UHFFFAOYSA-M Sodium nitrite Chemical compound [Na+].[O-]N=O LPXPTNMVRIOKM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686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453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11 capsicum annu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21 digesti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639 Anthemis cotu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28 Arctium lap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27 Arctium m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32 Brassica jun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66 Brassica jun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3 Brassica nap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77 Brassica sinapist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01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538 Chamaemelum nobi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6 Chamaemelum nobi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61 Embryo, Mammali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8010068370 Glut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834713 Gog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613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32 Matricaria chamom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814 Orth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IKGXIBQEEMLURG-BKUODXTL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BKUODXTL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67 Ru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73490 Sodium Glutam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30 Ulex europae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64 Ulex europa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99 Verbascum thap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195 Vultu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5 anim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8 cardiovascular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544 chamomi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12 glut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0 hep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71 intestin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8 lin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3 monosodium glutam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UQAYUQRXPFSQ-UHFFFAOYSA-M monosodium 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O-]C(=O)C(N)CCC(O)=O LPUQAYUQRXPFS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93 oils an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6 rut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7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88 sodium nitr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61 vacuum pack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63 vegetarian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24—Organic nitrogen compounds
- A21D2/26—Proteins
- A21D2/261—Animal prote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수세척한 보리와 쌀을 준비하고 이를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곡물분말 준비단계; 뽕나무잎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킨 뒤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뽕잎분말 준비단계; 식용곤충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80~120℃의 온도에서 1~10초 가열처리하여 표피를 정리하는 표피정리과정 및 표피가 정리된 곤충을 5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과정을 통해 얻은 곤충분말 준비단계; 발아용 곡물을 발아시킨 것으로, 용수에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과정 및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과정 및 발아된 곡물을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발아분말 준비단계; 수세척 한 산채나물을 증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2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 상기 곡물분말과 뽕잎분말과 유지성분을 함유한 곤충분말과 발아분말 그리고 산채나물분말을 용수와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물을 만드는 반죽물 제조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분쇄된 쌀과 보리를 주재로 하여 이에 산채나물과 이에 활성영양소를 다량 함유한 발아곡물 그리고 단백질과 지방을 함유한 식용곤충을 혼합하여 반죽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식품으로서의 균형있는 영양과 맛을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풍미 면에서도 남녀 노소 누구나 부담스럽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섭취 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수세척한 보리와 쌀을 준비하고 이를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곡물분말 준비단계; 뽕나무잎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킨 뒤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뽕잎분말 준비단계; 식용곤충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80~120℃의 온도에서 1~10초 가열처리하여 표피를 정리하는 표피정리과정 및 표피가 정리된 곤충을 5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과정을 통해 얻은 곤충분말 준비단계; 발아용 곡물을 발아시킨 것으로, 용수에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과정 및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과정 및 발아된 곡물을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발아분말 준비단계; 수세척 한 산채나물을 증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2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 상기 곡물분말과 뽕잎분말과 유지성분을 함유한 곤충분말과 발아분말 그리고 산채나물분말을 용수와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물을 만드는 반죽물 제조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분쇄된 쌀과 보리를 주재로 하여 이에 산채나물과 이에 활성영양소를 다량 함유한 발아곡물 그리고 단백질과 지방을 함유한 식용곤충을 혼합하여 반죽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식품으로서의 균형있는 영양과 맛을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풍미 면에서도 남녀 노소 누구나 부담스럽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섭취 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 영양소가 다량 함유된 발아곡물과 약용성과 맛과 풍미가 우수한 산나물과 해초류 그리고 고단백질 영양원인 식용곤충을 첨가물로 하여 인체에 유익하면서 균형 있는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한 수제비 또는 칼국수 등과 같은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인스턴트 가공식품의 소비가 늘고 있는데, 이러한 인스턴트 가공식품에는 도정, 정제에 의해 당분 대사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섬유질과 대사 영양소인 비타민, 미네랄이 거의 제거되어 있는 상태이며, 방부를 목적으로 하는 합성 보존료, 색깔과 향을 유지하기 위한 발색제와 향료, 맛을 내기 위한 화학 조미료 등 인체에 유해한 각종 첨가물들이 다양한 통로로 유입되어 우리 몸의 대사 과정을 방해하여 발암물질로 작용하는 것들도 있으며, 이외에도 글루탐산 나트륨, 아질산 나트륨 등 첨가물에 함유된 염의 형태의 나트륨들이 과다하게 첨가되어 인체의 미네랄 불균형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 각종 성인병 질환의 부작용으로 인한 심각한 폐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채식 위주의 식단이었으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점차 육식과 인스턴트 가공식품 위주로 식단이 바뀌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비만 등의 각종 성인병 질환에 노출되어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인스턴트 가공식품과 육류의 섭취를 줄이고, 과일,채소,곡물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특히, 전통 발효 식품과 발아 식품은 생리활성 물질과 소화효소를 돕는 각종 활성 영양소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곡물의 경우 대부분 단단한 껍질막으로 싸여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물질도 포함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섭취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발효 식품 역시 오랜 기간 숙성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즉, 발아 곡물로 널리 권장되고 있는 현미는 백미에 비해 배아가 살아 있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혈액의 산화 현상을 억제하여 노화방지 및 장내 기능 강화에 유용하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껍질이 단단하여 부드럽게 씹히지 않아 식감과 소화율이 떨어지고, 일반 밥솥으로 조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전통 발효식품의 경우 미생물 혹은 효소를 이용하여 먹거리의 특성을 변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발효를 위한 조건이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바쁜 현대인에게 있어 위의 발아식품과 발효식품을 간편하게 섭취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물론, 쌀밥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1회용 용기에 담겨진 가공 즉석밥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단순히 백미를 찐 형태의 것이어서 발아 곡물이 지닌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뿐더러 별도로 반찬을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즉석에서 먹을 수 있도록 조미가 된 주먹밥이나 또는 밥과 여러 가지 속재료를 김으로 말아서 된 김밥이 있으나, 이들 주먹밥이나 김밥 역시 쌀밥을 주재료로 하고 있어 건강식으로는 부족하며, 또한 유통 및 보존기간이 짧아 쉽게 변질됨에 따라 여름철의 경우 섭취시 주의가 필요한 식품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건강식품으로 널리 권장되고 있는 발아 및 발효 식품이 지닌 영양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맛과 풍미 그리고 보존성을 지닌 식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3562호를 통해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한방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은 그 청구항 1에, 불량한 곡물을 제거하고 발아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고 세척하는 준비단계; 세척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단계;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킨 뒤 이를 증숙하여 발아밥을 제조하는 증숙단계; 증숙된 발아밥에 식염과 식초를 첨가하여 버무려서 덩어리로 만드는 단계; 음용수, 식초, 식염, 매실액, 설탕을 혼합하여 된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약초잎을 선별하여 세척하고 이를 절임 소스에 6~24시간 절임하는 절임단계; 절임 약초잎을 세척하고 탈수한 뒤 덩어리 발아밥을 감싸는 단계; 약초잎이 감싸진 발아밥을 급속동결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약초밥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5290호를 통해 ‘발아곡물과 발효된 약초잎 그리고 된장을 이용한 편의선식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며, 그 청구항1에는 선별된 곡물을 세척하고 4~8시간 동안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곡물 불림단계;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된장을 식염수에 1~3:10의 중량비율로 희석시킨 된장물 준비단계; 상기 발아된 곡물을 된장물에 1:1.5의 중량비율로 투입한 뒤 이를 증숙하여 된장 발아밥을 제조하는 증숙단계; 증숙된 된장 발아밥을 건조시키고, 이를 150~200 메쉬의 크기를 갖도록 분쇄시키는 분쇄 발아밥 제조단계; 선별하여 세척된 약초잎을 소금물에 50~70분 동안 침지시켜 절인 뒤, 이를 용수로 세척하여 염분을 제거하는 약초잎 절임단계; 염분이 제거된 약초잎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이를 발효실에서 28~45℃의 온도에서 24~48시간 발효시키는 약초잎 발효단계; 발효된 약초잎을 건조시키고, 이를 150~200메쉬의 크기를 갖도록 분쇄하는 분쇄 약초잎 제조단계; 상기 분쇄발아밥과 분쇄 약초잎을 10: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완성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곡물과 발효된 약초잎 그리고 된장을 이용한 편의선식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5252호를 통해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며, 그 청구항1에는 발아곡물과 약선과 산채 그리고 첨가물을 각각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개당 0.1~8g의 중량을 갖는 분말환으로 가공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아곡물은 세척한 곡물을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린 뒤 이를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킨 것으로,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약선은 둥굴레·황정·홍화씨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이며, 상기 산채는 부추· 깻잎· 근대· 냉이· 상추· 쑥· 쑥갓· 샐러리· 씀바퀴· 고추나물· 유채나물· 익모초· 케일· 네트· 영지· 당근· 돌나물· 미나리· 시금치· 청경채· 파프리카· 호박잎· 양배추· 수세미·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달래· 양파· 무· 피망· 아욱· 고추냉이· 무싹· 겨자싹· 염교· 콩잎· 파래· 함초· 청각· 콩나물· 고사리· 가지· 오이· 우엉· 숙주· 동충하초· 상황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의 나물류, 옆채류, 버섯류 중 하나 이상을 끓는 물에 30초~3분 가량 데친 후 탈 수 건조한 것이거나 또는 자연 건조시킨 것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상기 첨가물은 누룽지· 견과류· 크로렐라· 호박· 감자· 고구마· 죽순· 건포도· 뚱딴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선재료와 산채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이 제안한 등록특허는 주재료가 곡물과 나물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장기보관이 곤란하여 냉장보관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유통과정에서 변질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식사대용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음식 중의 하나라 수제비나 칼국수 등과 같이 면류 음식이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첨가물을 혼합하여 녹차 칼국수나 마 칼국수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칼국수나 수제비 등의 면류 음식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82382 “잣뽕잎 수제비 및 그 제조방법”, 2005-0099718 “장어 육수 김치 칼국수 또는 수제비 및 그 제조 방법”, 특1991-025898 “즉석수제비의 제조방법, 2003-0087873 “다슬기 수제비 제조방법 및 다슬기 수제비”, 2001 -0071621 “감자수제비를 제조하는 방법”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면류 음식의 제조방법은 단순히 밀가루를 주재로 하여 첨가물을 단순 혼합한 것에 불과하여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은 단점이 있어 균형있는 완전식품으로의 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쌀과 보리를 주재로 하여 이에 식이섬유와 약용 성분을 다량 함유한 산채 나물과 이에 활성영양소를 함유한 발아곡물 그리고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식용 곤충을 혼합하여 반죽물 형태로 가공하여 수제비나 칼국수 등과 같은 면류 음식으로의 제공이 가능한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 특산물이나 계절 나물 등을 첨가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킴과 아울러 밀가루에 다량 포함된 글루텐 성분의 과다 섭취로 인한 영양학적인 불균형을 해소하고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농산물의 생산확대로 농가소득 증대와 국민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되는 식품의 개발과 그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수세척한 보리와 쌀을 준비하고 이를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곡물분말 준비단계; 뽕나무잎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킨 뒤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뽕잎분말 준비단계; 식용곤충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80~120℃의 온도에서 1~10초 가열처리하여 표피를 정리하는 표피정리과정 및 표피가 정리된 곤충을 5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과정을 통해 얻은 곤충분말 준비단계; 발아용 곡물을 발아시킨 것으로, 용수에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과정 및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과정 및 발아된 곡물을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발아분말 준비단계; 수세척 한 산채나물을 증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2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 상기 곡물분말과 뽕잎분말과 유지성분을 함유한 곤충분말과 발아분말 그리고 산채나물분말을 용수와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물을 만드는 반죽물 제조단계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에서 상기 산채나물분말은 상기 곤충분말과 혼합되어 20~200메쉬의 크기로 재분쇄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발아곡물은 발아과정 후 건조기에서 16~48시간 건조되거나 또는 24~72시간 자연 건조되는 건조과정을 마친 후 분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곤충분말 준비단계에서, 상기 식용곤충은 누에,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밀웜, 전갈, 메뚜기, 번데기, 박각시 애벌레, 고소에, 백강잠, 굼벵이, 꽃뱅이, 누에번데기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분쇄된 곤충분말을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착유과정을 통해 곤충기름을 얻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죽물 제조단계에서 상기 착유된 곤충기름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발아용 곡물은 맵쌀,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산채나물은 꾸지뽕나무잎·쇠비름·죽순·동충하초· 상황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의 나물류, 옆채류, 버섯류 중 하나 이상을 끓는 물에 30초~3분 가량 데친 후 탈 수 건조한 것이거나 또는 자연 건조시킨 것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음식용 반죽 조성물은 분쇄된 쌀과 보리를 주재로 하여 이에 산채나물과 이에 활성영양소를 다량 함유한 발아곡물 그리고 단백질과 지방을 함유한 식용곤충을 혼합하여 반죽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식품으로서의 균형있는 영양과 맛을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풍미 면에서도 남녀 노소 누구나 부담스럽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섭취 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양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양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면에는 곡물분말 준비단계(s10)과, 뽕잎분말 준비단계(s20)와, 곤축분말 준비단계(s30)와, 발아분말 준비단계(s40)와.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s50) 그리고 반죽물 제조단계(s60)로 이루어진 면류 음식용 반죽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보리와 쌀을 분쇄하여 된 곡물 분말을 주재로 하여, 이에 뽕잎 분말과, 곤충분말과 발아분말과 산채나물분말을 혼합한 것으로, 특히 식용 곤충에 포함된 기름성분과 단백질 성분이 기름기 없는 산채나물과 적절하게 혼합됨에 따라 산채나물에 대한 미세 분쇄를 가능하게 하여 식감을 높이도록 제조되는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양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면에는 곡물분말 준비단계(s10)과, 뽕잎분말 준비단계(s20)와, 곤축분말 준비단계(s30)와, 발아분말 준비단계(s40)와.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s50) 그리고 반죽물 제조단계(s60)로 이루어진 면류 음식용 반죽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 공정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공정(s10)
본 발명은 수제비나 칼국수 등의 면류 음식을 만들기 위한 반죽 조성물로서, 주재료로는 보리와 쌀로 이루어진 곡물이 사용된다.
먼저, 보리와 쌀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세척한다.
이어서, 세척과정을 마친 보리와 쌀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시킨다.
제2공정(s20)
뽕은 쌍떡잎 식물 쐐기품목 뽕나무과 뽕나무속에 속하는 낙옆교목 또는 관목을 총칭하는 것으로 나무 뿌리에서부터 나무, 열패, 잎 모두 식용이 가능하며, 뽕잎에는 칼슘, 단백질, 아미노산, 루틴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뽕잎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킨 뒤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한다.
만약 뽕잎에 포함된 섬유질로 인하여 15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가 곤란한 경우에는 후술할 식용곤충에서 추출한 기름을 혼합하여 분쇄시키거나 또는 상기 1차 분쇄된 뽕잎분말과 식용곤충분말을 혼합하여 재 분쇄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식용곤충에 포함된 기름성분과 단백질 성분이 뽕잎과 적절하게 혼합됨에 따라 뽕잎에 대한 미세(100~200메쉬)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3공정(s30)
본 발명에서의 식용곤충은 널리 알려진 누에가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외에도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밀웜, 전갈, 메뚜기, 번데기, 박각시 애벌레, 고소에, 백강잠, 굼벵이, 꽃뱅이, 번데기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식용이 가능한 곤충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식용곤충의 영양소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고소에는 탄수화물이 3%,단백질이 65%, 지방이 21% 기타 11%를 함유하고 있는 반면, 돼지고기는 탄수화물이 0.2%, 단백질이 33%, 지방이 65%기타 1.8%가 들어 있고, 닭은 탄수화물이 0.1%, 단백질이 65%, 지방이 29%, 기타는 5.9%가 들어이쓰며,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곤충은 육류에 비해 단백질 함유량이 월등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식용곤충 중 누에 번데기에는 탄수화물4%, 단백질 22%, 지방 13%, 기타 61%를 함유하고 있고, 귀뚜라미는 탄수화물 0%, 단백질 26%, 지방 11%, 기타 63% 함유 그리고 꽃벵이에는 탄수화물 10%, 단백질 58%, 지방 17% 기타 15%를, 백강잠에는 탄수화물 20%, 단백질 57%, 지방 9%, 기타 14%가, 메뚜기에는 탄수화물 0%, 단백질 70%, 지방 11%, 기타 19%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육류에 비해 식용곤충에는 영양가가 풍부하고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지방의 경우 동물성기름과 식물성기름의 중간적 성질을 띄고 있고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과 리놀레산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지방은 인체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1g당 9킬로칼로로의 열량을 발생시키며, 특히 곤충에 포함된 불포화지방산은 녹는점이 낮아 상온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인체내에 흡수가 용이한 반면 육류에 포함된 불포화지방산은 녹는점이 높아 인체내에서 고체로 존재하여 심혈관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용곤충은 그대로 섭취하기에는 여러 불편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식용곤충에 포함된 유지성분으로 인해 산패에 따른 변질의 우려가 큰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섭취를 용이하게하고 소화흡수율을 높이도록 하였다.
먼저, 선별한 식용곤충을 깨끗한 용수를 사용하여 수세척한 뒤 건조기에 투입하여 표피의 물기가 마를정도로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된 식용곤충을 80~120℃의 온도에서 1~10초 가열처리하여 표피의 잔털이나 다리 또는 이물질 등을 가열처리하여 태워서 제거한다. 이때의 가열처리 방법은 가스토치 등을 사용하여 직접 열을 가하는 방법과, 프라이팬 등과 같은 조리도구에 식용곤충을 투입한 뒤 가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피정리과정을 수행한 식용곤충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쇄과정은 식용곤충에 대한 형태를 잘게 부수어 섭취시의 혐오감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후술할 증숙과정에서 유지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증숙과정을 수행한 식용곤충은 증숙기에 투입하여 증숙시킴으로써 유지성분을 제거한다. 이는 식용곤충은 유지성분이 높으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패 등의 변질의 우려가 높기 때문에 유지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증숙과정을 수행한다. 물론, 유지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면 증숙방법외의 찌거나 볶는 방법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분쇄된 곤충분말을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착유과정을 통해 곤충기름을 얻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렇게 착유된 곤충기름은 상기 반죽물 제조단계에서 착유된 곤충기름과 반죽물을 구성하는여러 분쇄물들과 혼합하여 반죽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4공정(s40)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곡물은 발아율이 양호하고, 발아 과정에서 인체에 유익한 활성 영양소가 생성되는 곡물이 사용되는 것을 제안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맵쌀,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곡물은 모두 동일한 비율로 배합되는 것 보다는 소화율과 식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밥을 짓게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배합률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배합률은 제안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현미, 현미찹쌀, 보리, 수수, 조의 비율은 타 곡물에 비해 많이 혼입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과 형태가 불량한 것들을 솎아 내면서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되, 세척과정에서 발아에 적합한 곡물과 그렇지 않은 곡물을 분리한다.
이어서, 세척과정을 마친 곡물을 곡물의 종류에 따라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림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곡물을 불리기 위한 용수는 상기 산채나물의 증숙과정에서 우러난 용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불림처리는 곡물에 수분을 공급하여 발아를 유도하기 위한 전공정으로, 통상 미지근한 물에 담가두거나 또는 미지근한 물을 지속적으로 뿌려주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불림단계를 마친 곡물을 24~48시간 동안 20~28℃의 온도 조건에서 발아를 시키는 발아과정을 수행하되, 곡물의 발아싹은 5mm 이하를 갖도록 하여 발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아과정을 마친 곡물은 발아작용에 의해 외피의 섬유질이 연화된 상태를 이루면서 활성 영양소가 생성된다. 일례로 발아 콩의 경우에는 비타민C가 생성되며, 발아 현미의 경우에는 비타민 아미노산 효소 등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발아과정을 마친 발아 곡물은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거나 또는 자연 건조를 통해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건조과정을 부연하여 설명하면, 건조기를 이용한 강제 건조방법과 햇볕을 이용한 자연 건조방법으로 가능하며, 강제 건조방법의 경우 곡물 건조기를 이용하여 16~48시간 건조시키는 것이며, 자연 건조방법은 햇볕에서 24~72시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때의 곡물의 수분 함유량은 5~20% 정도이다.
상기 건조과정을 수행한 발아곡물은 균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분쇄기를 사용하여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제5공정(50)
본 발명에서의 산채나물은 부추· 깻잎· 근대· 냉이· 상추· 쑥· 쑥갓· 샐러리· 씀바퀴· 고추나물· 유채나물· 익모초· 케일· 네트· 영지· 당근· 돌나물· 미나리· 시금치· 청경채· 파프리카· 호박잎· 양배추· 수세미·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달래· 양파· 무· 피망· 아욱· 고추냉이· 무싹· 겨자싹· 염교· 콩잎· 파래· 함초· 청각· 콩나물· 고사리· 가지· 오이· 우엉·숙주· 동충하초· 상황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의 나물류, 옆채류, 버섯류 중 하나 이상을 끓는 물에 30초~3분 가량 데친 후 탈 수 건조한 것이거나 또는 자연 건조시킨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나물 또는 산나물 또는 식용 가능한 잎이나 채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꾸지뽕나무잎·쇠비름·죽순·참취잎이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먼저 각종 산채나물을 준비하고 이를 깨끗한 용수에 여러 차례 씻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척한다.
그리고 수세척된 산채나물을 증숙기에 투입하여 증숙시킨 뒤 이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20~5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한다. 이때, 상기 증숙된 산채나물을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분쇄과정에서 으깨지는 등의 형태변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시킨 뒤 분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건조정도는 산채나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이면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산채나물외에도 식용 가능한 다양한 채소나 야채 또는 약용 잎사귀나 열매 또는 뿌리채소 등이 첨가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6공정(630)
상기 곡물분말과 뽕잎분말과 그리고 유지성분을 함유한 곤충분말과 발아분말 그리고 산채나물분말을 용수와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물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반죽물은 상품의 유통을 위해 포장과정을 수행하며, 이러한 포장과정은 공지의 포장방법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일례로, 자외선 살균과정을 경유한 뒤 진공포장이 이루어질 수있을 것이다. 또한, 포장과정에서 천연 방부성분을 갖는 방부재가 첨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음식용 반죽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조성비율로 제조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발아곡물은 발아과정 후 건조기에서 16~48시간 건조되거나 또는 24~72시간 자연 건조되는 건조과정을 마친 후 분쇄될 수 있으며, 상기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에서 상기 산채나물분말은 상기 곤충분말과 혼합되어 20~200메쉬의 크기로 재분쇄될 수 있다. 이는 산채나물분말의 경우 섬유질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미세 분쇄가 곤란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곤충에 포함된 기름성분과 단백질 성분을 산채나물과 혼합시킴으로써 분쇄 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별된 보리와 쌀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킨 뒤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곡물분말 준비한다.
둘째, 뽕나무잎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킨 뒤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뽕잎분말 준비한다.
셋째, 누에 등의 식용곤충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80~120℃의 온도에서 1~10초 가열 처리하여 표피를 정리하는 표피정리과정 및 표피가 정리된 곤충을 5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과정을 통해 얻은 곤충분말 준비한다.
넷째, 현미, 흑미, 보리, 밀로 된 발아용 곡물을 발아시킨 것으로, 용수에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과정 및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과정 및 발아된 곡물을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발아분말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발아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현미는 15~30중량부, 현미 찹쌀은 15~30 중량부, 보리는 10~15 중량부, 밀은 10~15 중량부, 흑미는 10~15 중량부로 제공될 수 있다.
다섯째, 수세척 한 산채나물을 증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2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산채나물분말을 준비한다.
여섯째, 상기 준비된 곡물분말과 뽕잎분말 그리고 유지성분을 함유한 곤충분말과 발아분말 그리고 산채나물분말을 정제염수와 혼합하여 반죽하여 반죽물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 수세척한 보리와 쌀을 준비하고 이를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곡물분말 준비단계;
뽕나무잎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킨 뒤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뽕잎분말 준비단계;
식용곤충을 수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80~120℃의 온도에서 1~10초 가열처리하여 표피를 정리하는 표피정리과정 및 표피가 정리된 곤충을 5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과정을 통해 얻은 곤충분말 준비단계;
발아용 곡물을 발아시킨 것으로, 용수에 4~8시간 18~24℃의 온도에서 불리는 불림과정 및 불림된 곡물을 24~48시간 20~28℃의 온도에서 발아싹이 5mm 이하를 갖도록 발아시키는 발아과정 및 발아된 곡물을 10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된 발아분말 준비단계;
수세척 한 산채나물을 증숙하여 건조시키고 이를 20~2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여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
상기 곡물분말과 뽕잎분말과 유지성분을 함유한 곤충분말과 발아분말 그리고 산채나물분말을 용수와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물을 만드는 반죽물 제조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곡물은 발아과정 후 건조기에서 16~48시간 건조되거나 또는 24~72시간 자연 건조되는 건조과정을 마친 후 분쇄되며;,
상기 산채나물분말 준비단계에서 상기 산채나물분말은 상기 곤충분말과 혼합되어 20~200메쉬의 크기로 재분쇄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분말 준비단계에서,
상기 식용곤충은 누에, 장수풍뎅이 유충, 밀웜, 전갈, 메뚜기, 번데기, 박각시 애벌레, 고소에, 백강잠, 굼벵이, 꽃뱅이, 누에번데기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분쇄된 곤충분말을 압착하여 유지를 분리하는 착유과정을 통해 곤충기름을 얻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반죽물 제조단계에서 상기 착유된 곤충기름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용 곡물은 멥쌀, 현미· 현미찹쌀· 흑미· 보리· 밀· 수수· 조· 콩· 율무· 옥수수· 녹두· 참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산채나물은 꾸지뽕나무잎·쇠비름·죽순·동충하초· 상황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 버섯의 나물류, 엽채류, 버섯류 중 하나 이상을 끓는 물에 30초~3분 가량 데친 후 탈수 건조한 것이거나 또는 자연 건조시킨 것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음식용 반죽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 음식용 반죽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342A KR102410454B1 (ko) | 2020-01-20 | 2020-01-20 |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342A KR102410454B1 (ko) | 2020-01-20 | 2020-01-20 |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583A KR20210093583A (ko) | 2021-07-28 |
KR102410454B1 true KR102410454B1 (ko) | 2022-06-16 |
Family
ID=7712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7342A KR102410454B1 (ko) | 2020-01-20 | 2020-01-20 |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045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916B1 (ko) | 2014-09-29 | 2015-02-17 | 김용욱 | 곤충의 식용화 방법, 그 식용화된 곤충, 이러한 식용화된 곤충을 이용한 식품용 반죽의 제조방법 |
KR101848701B1 (ko) | 2016-05-02 | 2018-04-13 | 신예원 | 메뚜기라면 면발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6939B1 (ko) | 2010-03-12 | 2012-11-05 | 배화여자대학 산학협력단 | 약선 닭육수로 만든 테린을 곁들인 장군차 수제비 제조방법 |
KR101163562B1 (ko) | 2010-11-23 | 2012-07-06 | 손미예 | 한방 약초밥 및 그 제조방법 |
KR101265290B1 (ko) | 2011-04-22 | 2013-05-16 | 손미예 | 발아곡물과 발효된 약초잎 그리고 된장을 이용한 편의선식 및 그 제조방법 |
KR101455252B1 (ko) * | 2012-07-31 | 2014-10-31 | 표재호 |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
KR101935996B1 (ko) * | 2017-05-18 | 2019-04-03 | 표재호 |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
-
2020
- 2020-01-20 KR KR1020200007342A patent/KR1024104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916B1 (ko) | 2014-09-29 | 2015-02-17 | 김용욱 | 곤충의 식용화 방법, 그 식용화된 곤충, 이러한 식용화된 곤충을 이용한 식품용 반죽의 제조방법 |
KR101848701B1 (ko) | 2016-05-02 | 2018-04-13 | 신예원 | 메뚜기라면 면발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583A (ko) | 2021-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5996B1 (ko) |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55252B1 (ko) |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 |
CN104351500A (zh) | 一种改善鸡蛋风味的蛋鸡饲料及其制作方法 | |
KR102180642B1 (ko) | 식이섬유를 함유한 어묵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23390B1 (ko) |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60028826A (ko) |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하는 식품조성물 | |
CN106690232B (zh) | 一种富含异硫氰酸酯的蔬菜调味粉及其生产方法 | |
KR101121738B1 (ko) | 김치의 제조 방법 | |
CN102783637A (zh) | 薏米养生粉 | |
KR20130105953A (ko) |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 |
KR101931953B1 (ko) | 동결건조 처리한 옥수수 혼합분말의 믹스콘 제조방법 | |
KR20140075310A (ko) | 견과류를 포함하는 죽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66288B1 (ko) |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 |
KR102410454B1 (ko) | 면류 음식용 반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37760B1 (ko) |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 |
KR102082642B1 (ko) | 브로콜리 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브로콜리 만두 | |
CN104137971A (zh) | 马铃薯方便面的加工方法 | |
KR102060402B1 (ko) | 엽채류 조분쇄물을 포함하는 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95654B1 (ko) | 고추장 굴비의 제조 방법 및 고추장 굴비 | |
CN106616317A (zh) | 一种桂香莲藕面条及其制备方法 | |
KR101265290B1 (ko) | 발아곡물과 발효된 약초잎 그리고 된장을 이용한 편의선식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29959B1 (ko) | 국수 호박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국수 | |
KR101711334B1 (ko) | 발효 양파의 제조방법 | |
KR20200134099A (ko) | 산야초 백숙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산야초 백숙 | |
KR101813496B1 (ko) | 생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