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444A - 커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커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444A
KR20140008444A KR1020137032054A KR20137032054A KR20140008444A KR 20140008444 A KR20140008444 A KR 20140008444A KR 1020137032054 A KR1020137032054 A KR 1020137032054A KR 20137032054 A KR20137032054 A KR 20137032054A KR 20140008444 A KR20140008444 A KR 20140008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onnector
female
mail
fema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사토
카즈히데 타카하시
켄지 타카하시
토모나리 오카모토
테루오 카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메일 단자 커넥터(10)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50)가 상호 결합할 때, 상호 대향하는 돌출경사면(20a)과 격벽경사면(59)은 상호 접촉하거나 상호 대향하고 정합철부(61)가 정합요부(21)에 삽입되어 정합철부(61)와 정합요부(21)가 사이에 간극을 두고 유지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유닛{CONNECTOR UNIT}
본 발명은 복수의 메일 단자가 설치된 메일 단자 커넥터와, 복수의 메일 단자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가 설치된 피메일 단자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메일 단자가 설치된 메일 단자 커넥터와, 복수의 메일 단자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가 설치된 피메일 단자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는,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 간의 접속부분에 대해 이물질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쇼트 회로의 원인을 저감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특허문헌1에는 메일 단자 및 피메일 단자 간의 접속부분을 개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커넥터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
JP-A-2010-27507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는, 하우징 결합에 의해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가 각각 접속된다. 메일 커넥터의 단자 하우징에는 단자 하우징의 전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차단용 돌출부가 설치되고, 하우징들을 상호 결합할 때 차단용 돌출부가 메일 커넥터의 단자 하우징에서 그 후방벽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인접하는 단자들 간의 연면거리(沿面距離: creepage distance)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단자의 다극화의 경향으로 인해 작은 피치가 대세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인접 단자들 간의 연면거리를 확보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메일 단자(110) 간의 연면거리는 경사면(120) 및 저면(130)을 따르는 거리가 된다. 메일 단자(110)의 피치가 작아짐에 따라서, 메일 단자(110)들 간의 연면거리를 길게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절연성능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자들 간의 피치가 작아져도, 쇼트 회로의 발생을 억제하는 한편,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유닛은: 메일 단자 커넥터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는 복수의 메일 단자, 및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메일 단자가 병렬로 배열된 전방벽과, 각 메일 단자의 측면을 따라서 상기 전방벽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유지부를 구비한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 및 복수의 피메일 단자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수용실 내에 상기 메일 단자의 삽입이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단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가 상기 전방벽의 내면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에서, 상기 돌출유지부는 돌출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경사면은 상기 메일 단자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일 단자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전방벽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작아지도록 경사지며, 인근하는 2개의 메일 단자들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한 쌍의 돌출유지부 사이에는 정합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에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할 때 상기 돌출경사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경사진 격벽경사면과, 상기 전단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정합요부에 삽입되는 정합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할 경우, 상기 돌출경사면과 상기 격벽경사면이 상호 접촉하거나 상호 대향하고, 상기 정합철부는 상기 정합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정합철부와 상기 정합요부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유지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는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은 복수의 메일 단자의 배열방향으로 상기 돌출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돌출유지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는 피메일 단자측 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단자측 연장면은 복수의 피메일 단자의 배열방향으로 상기 격벽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과 상기 피메일 단자측 연장면은 상호 접촉하거나 대향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정합철부 각각은 직방체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는, 메일 단자의 연면거리가 정합요부 및 돌출경사면에 따른 거리가 되기 때문에 정합요부의 내부측면에 따른 거리에 의해 연면거리를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의 전단부와 메일 단자 커넥터의 전방벽 간의 상대부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메일 단자 및 피메일 단자 간의 접속부분 내에 이물질이 침입하기 어렵다. 그 결과, 이물질 원인에 의한 쇼트 회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이물질에 의한 쇼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는, 메일 단자 커넥터가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을 구비하며, 이 연장면은 전방벽 내면측에서 돌출경사면의 말단으로부터 추가로 연장되어 복수의 메일 단자의 배열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을 구비하며, 이 연장면은 격벽경사면의 격벽 전단측 말단으로부터 더욱 연장된다. 따라서, 메일 단자 커넥터 및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될 때,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과 피메일 단자 커넥터 측 연장면이 상호 접촉되거나 상호 대향한다. 그러므로, 돌출경사면에 의해서만 형성된 부분은 돌출경사면과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그에 따라서 연면거리가 보다 길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절연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일 단자 커넥터의 전단부와 메일 단자 커넥터의 전방벽 간의 상대부는 형상이 더욱 복잡해지기 때문에,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 간의 접속부분 내에 이물질이 삽입 또는 침입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는, 정합요부가 직방체 형상의 정합철부에 대응한 오목한 형상이며, 이에 따라서 돌출경사면과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에 의해 증가된 연면거리를 이용하여 정합요부의 깊이와 저면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합요부의 인서트 성형에 이용하기 위한 금형 피스에서 직방체 형상인 돌기부분의 높이를 단축하고, 이와 아울러 돌기부분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서트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 피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결합 이전 일부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유닛의 결합 이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를 전방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메일 단자의 주변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격벽의 전단부 주변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결합 이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커넥터 유닛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연면거리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금형 피스의 내구성 향상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유닛(1)의 결합 이전 일부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 유닛(1)의 결합 이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50)를 전방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메일 단자(11)의 주변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격벽(56)의 전단부(56b) 주변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상호 직교하는 화살표 방향을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한다. 즉,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메일 단자 커넥터(10)와 결합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칭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칭한다. 메일 단자(11) 및 피메일 단자(51)가 병렬로 배열된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칭한다. 이들 전후 방향면, 좌우 방향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 유닛(1)은 메일 단자 커넥터(10) 및 피메일 단자 커넥터(50)를 포함한다.
먼저, 메일 단자 커넥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일 단자 커넥터(10)는 5개의 메일 단자(11)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설치된 커넥터이다. 메일 단자 커넥터(10)가 피메일 단자 커넥터(50)와 결합할 때, 피메일 단자 커넥터(50)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51)가 각각 메일 단자(11)에 접속된다. 메일 단자 커넥터(10)에는 복수의 메일 단자(11)와,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12)가 설치된다.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12)는 장방형 전방벽(13)과, 전방벽(13)의 에지를 따라서 기립 설치된 상부벽(14)과, 하부벽(15)과, 한 쌍의 측벽(16)을 포함하고, 후단부(17)에 개구(1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방벽(13), 상부벽(14), 하부벽(15), 및 한 쌍의 측벽(16)이 조합하여 내부수용공간(12a)이 형성된다. 내부수용공간(12a)은 후술하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의 외표면을 덮도록 피메일 단자 커넥터(50)와 결합하는 커넥터 결합부(19)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전방벽(13)에는 5개의 메일 단자(11)가 병렬로 설치되며, 그 설치 방식은 메일 단자(11)들이 전방벽(13)의 내면(13a)으로부터 커넥터 결합부(19)로 돌출되는 방식이다. 즉, 메일 단자(11)는 외면으로부터 커넥터 결합부(19)에 대향하는 내면으로 전방벽(13)을 관통하고, 그것에 의해 전방벽(13)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12)에는 돌출유지부(20), 정합요부(21), 및 잠금 관통구멍(22)이 형성된다.
돌출유지부(20) 각각은 한 쌍의 돌출경사면(20a)을 구비하며, 이 한 쌍의 돌출경사면(20a)은 각 메일 단자(11)의 전방벽측 단부 외주(11a)를 둘러싸도록 전방벽(13)의 내면(13a)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그 양 측면이 돌출말단(20b)을 향하여 메일 단자(11)에 이르는 거리가 단축되도록 경사진다. 즉, 돌출유지부(20)는 전방벽(13)의 내면으로부터 커넥터 결합부(19)를 향하여 깊게 돌출되어 있다. 돌출유지부(20)는 메일 단자(11)의 폭방향[즉 메일 단자 좌우방향]으로 메일 단자(11)의 측면을 따라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출유지부(20)가 메일 단자(11)를 따라서 연장되기 때문에, 메일 단자(11)는 보다 강고하게 전방벽(13)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돌출유지부(20)는 각 메일 단자(11)의 폭방향(즉, 메일 단자의 좌우방향)으로 각 메일 단자(11)의 양측에 형성되고, 돌출경사면(20a)이 메일 단자(11)로부터 떨어지면서 전방벽(13)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정합요부(21)는 각 메일 단자(11) 사이 위치에서 전방벽(13)의 내면(13a)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다. 즉, 정합요부(21)는 인접하는 2개의 메일 단자(11)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돌출유지부(20) 사이에 형성된 구멍이다. 정합요부(21)에는 후술하는 정합철부(61)가 삽입된다. 이 경우, 정합요부(21)와 정합철부(61)는 사이에 간극을 두고 유지된다. 정합요부(21)의 각 상부에지(21a) 양측은 전방벽 내면측에서 돌출경사면(20a)의 말단(20c)이 된다.
메일 단자 커넥터(10)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50)가 상호 결합할 때, 잠금 관통구멍(22)은 후술하는 잠금돌기부(58)에 잠금 결합되는 것에 의해 피메일 단자 커넥터(50)를 커넥터 결합부(19) 내에 잠금 결합한다.
다음에, 피메일 단자 커넥터(50)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메일 단자 커넥터(50)는 5개의 피메일 단자(51)가 수용되는 커넥터이다. 피메일 단자 커넥터(50)가 메일 단자 커넥터(10)와 결합할 때, 피메일 단자 커넥터(50)에 수용된 피메일 단자(51)가 메일 단자(11)에 각각 접속된다.
피메일 단자 커넥터(50)는 피메일 단자(51)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를 포함한다.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는 상부벽(53), 하부벽(54), 한 쌍의 측벽(55)을 포함하며, 횡단면이 장방형인 기둥형상이다.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의 상부벽(53), 하부벽(54), 한 쌍의 측벽(55)을 조합하여 내부수용공간(52a)이 형성되고, 이 내부수용공간(52a)에 5개의 피메일 단자(51)가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메일 커넥터 본체(52)를 격벽(56)으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피메일 단자 수용실(57)에는 5개의 피메일 단자(51)가 각각 수용된다. 메일 단자(11)가 피메일 단자 수용실(57) 내에 각각 삽입가능하게 열려있는 전단 개구(52c)가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의 전단부(52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의 후단면(52d)에는 피메일 단자(51)가 각각 피메일 단자 수용실(57) 내에 삽입가능하게 열려진 후단 개구(52e)가 형성되어 있다.
피메일 단자 수용실(57)에는 피메일 단자(51)가 각각 후단 개구(52e)로부터 삽입되고, 피메일 단자 수용실(57) 내의 정합 위치에 예를 들면 2중 잠금수단(미도시)에 의해 잠금 결합된다.
본 실시예 1의 커넥터 유닛(1)에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의 양측벽(55)이 또한 격벽(56)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는 잠금돌기부(58), 격벽경사면(59) 및 돌출전단부(60)를 구비한다.
잠금돌기부(58)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의 각 측벽(55)의 외면(55a)으로부터 랜스 형상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분이다. 메일 단자 커넥터(10)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50)가 상호 결합할 경우, 잠금돌기부(58)는 잠금 관통구멍(22)과 결합되어 피메일 단자 커넥터(50)를 커넥터 결합부(19) 내에 잠금 결합한다.
격벽경사면(59)은 격벽(56)의 전단측면(56a)에 형성되고, 또한 돌출경사면(20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경사진 면이다. 즉, 격벽경사면(59)은 메일 단자 커넥터(10)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50)가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돌출경사면(20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경사진 면이다.
돌출전단부(60)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52)의 전단부(52b)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메일 단자 커넥터(10)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50)가 상호 결합할 때, 메일 단자 커넥터(10)의 전방벽(13)의 내면(13a)을 향한다. 이 돌출전단부(60)는 정합철부(61) 및 포위벽부(62)를 구비한다. 정합철부(61)는 격벽(56)의 전단부(56b)로부터 돌출전단부(60)를 향하여 돌출되어 정합요부(21)에 삽입하는 직방체 형상의 부분이다.
포위벽부(62)는 각 격벽(56)으로부터 돌출된 정합철부(61) 무리를 포위하도록 형성된 벽이다.
상기 설명한 커넥터 유닛(1)은 메일 단자 커넥터(10)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50)가 상호 결합될 경우, 상호 대향하는 돌출경사면(20a)과 격벽경사면(59)이 상호 접촉하거나, 상호 대향하고, 또한 정합철부(61)가 정합요부(21) 내에 삽입되어 정합철부(61)와 정합요부(21)가 사이에 간극을 두고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일 단자(11)의 연면거리가 정합요부(21) 및 돌출경사면(20a)을 따르는 거리가 되기 때문에, 정합요부(21)의 내부측면(21b)에 따른 거리에 의해 연면거리를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50)의 전단부(52b)와 메일 단자 커넥터(10)의 전방벽(13) 사이의 상대부는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메일 단자 및 피메일 단자 간의 접속부분으로 이물질이 삽입되기 어렵다. 그 결과, 이물질에 기인한 쇼트 회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이물질에 의한 쇼트 회로의 발생을 억제하는 한편,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 1의 커넥터 유닛(1)에 있어서는, 메일 단자(11)의 연면거리가 정합요부(21) 및 돌출경사면(20a)에 따른 거리가 되기 때문에, 정합요부(21)의 내부측면(21b)을 따르는 거리에 의해 연면거리를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50)의 전단부(52b)와 메일 단자 커넥터(10)의 전방벽(13) 간의 상대부는 형상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메일 단자(11)와 피메일 단자(51) 간의 접속부분으로 이물질이 삽입되기 어렵다. 그 결과, 이물질의 원인에 의한 쇼트 회로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이물질에 의한 쇼트 회로의 발생을 억제한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유닛(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유닛(2)의 결합 이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커넥터 유닛(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연면거리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금형 피스(S)의 내구성 향상에 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유닛(2)에 있어서, 메일 단자 커넥터(70)에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71)이 추가로 설치되고, 피메일 단자 커넥터(80)에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81)이 설치된다.
실시예 2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한다.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71)은 전방벽 내면측에서 돌출경사면(20a)의 말단(20c)으로부터 복수의 메일 단자(11)의 정렬 방향으로 더욱 연장된 면이다.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81)은 격벽경사면(59)의 격벽전단측 말단(59a)으로부터 복수의 피메일 단자(51)의 정렬방향으로 더욱 연장된 면이다.
메일 단자 커넥터(70)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80)가 상호 결합하는 경우,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71)과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81)이 상호 접촉되거나 상호 대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 유닛(2)은 메일 단자 커넥터(70)가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71)을 구비하며, 이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71)은 전방벽 내면측에서 돌출 경사면(20a)의 말단(20c)으로부터 더욱 연장되고, 복수의 메일 단자(11)의 배열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80)는 격벽경사면(59)의 격벽전단측 말단(59a)으로부터 더욱 연장되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81)을 구비한다. 메일 단자 커넥터(70)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80)가 상호 결합할 경우,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71)과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81)이 상호 접촉되거나 상호 대향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커넥터 유닛(1)에서 돌출경사면(20a) 만으로 형성된 부분이 돌출경사면(20a)과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7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연면거리가 보다 길어지고, 결과적으로 절연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80)의 전단부(80b)와 메일 단자 커넥터(70)의 전방벽(72) 간의 상대부 는 형상이 더욱 복잡해지기 때문에, 메일 단자(11)와 피메일 단자(51) 간의 접속부분으로 이물질이 삽입 또는 침입되기 더욱 어렵다.
커넥터 유닛(2)에서 메일 단자(11)의 연면거리를 실시예 1의 커넥터 유닛(1)과 같은 방식으로 확보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경사면(20a)과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71)에 의해 증가된 연면거리를 이용하여 정합요부(21)의 깊이(D)와 저면의 폭(T1)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정합요부(21)의 인서트 성형을 위해 이용되는 금형 피스(S)에서 그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분(S1)의 높이(H)를 감소시키고, 이와 아울러 돌기부분의 폭(T2)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인서트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 피스(S)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1, 2에서 그 커넥터 유닛(1, 2)에는 복수의 메일 단자(11)가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12)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항상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메일 단자(11)가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12)의 전방벽(13, 72)에 병렬로 배열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메일 단자(11)가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12)의 전방벽(13, 72)에 압입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 커넥터 유닛(1, 2)은 정합철부(61)가 직방체 형상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항상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정합돌기(61)는 격벽(56)의 전단부(56b)로부터 돌출되기만 하면 그 밖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정합철부(61)가 입방체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한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는 특정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1. 06. 03.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11-124772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메일 단자 및 피메일 단자 사이의 접속부분에 이물질이 칩입하는 것이 어렵게 구성되어 이물질 원인에 의한 쇼트 회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이물질에 의한 쇼트 회로의 발생을 억제하는 장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메일 단자가 설치된 메일 단자 커넥터와, 각 메일 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가 수용되는 피메일 단자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2. 커넥터 유닛
10, 70. 메일 단자 커넥터
11. 메일 단자
11a. 전단측 단부의 외주
12.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
12a. 내부수용공간
13, 72. 전방벽
13a, 72a. 내면
14. 상부벽
15. 하부벽
16. 측벽
17. 후단부
18. 개구
19. 커넥터 결합부
20. 돌출유지부
20a. 돌출경사면
20b. 돌출말단
20c. 전방벽 내면측 말단
21. 정합요부
21a. 에지
21b. 내측면
22. 잠금 관통구멍
50, 80. 피메일 단자 커넥터
51. 피메일 단자
52.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
52a. 내부수용공간
52b, 80b. 전단부
52c. 전단 개구
52d. 후단면
52e. 후단 개구
53. 상부벽
54. 하부벽
55. 측벽
55a. 외면
56. 격벽
56a. 전단부측면
56b. 전단부
57. 피메일 단자 수용실
58. 잠금돌기부
59. 격벽경사면
59a. 격벽 전단측 말단
60. 돌출전단부
61. 정합철부
62. 포위벽부
71.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
81. 피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
S. 금형 피스

Claims (3)

  1. 메일 단자 커넥터와 피메일 단자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으로서: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는:
    복수의 메일 단자; 및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메일 단자가 병렬로 배열된 전방벽과, 각 메일 단자의 측면을 따라서 상기 전방벽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유지부를 구비한 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 및
    복수의 피메일 단자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수용실 내에 상기 메일 단자의 삽입이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단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커넥터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가 상기 전방벽의 내면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에서, 상기 돌출유지부는 돌출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경사면은 상기 메일 단자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일 단자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전방벽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작아지도록 경사지며, 인근하는 2개의 메일 단자들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한 쌍의 돌출유지부 사이에는 정합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에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할 때 상기 돌출경사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경사진 격벽경사면과, 상기 전단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정합요부에 삽입되는 정합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할 경우, 상기 돌출경사면과 상기 격벽경사면이 상호 접촉하거나 상호 대향하고, 상기 정합철부는 상기 정합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정합철부와 상기 정합요부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는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은 복수의 메일 단자의 배열방향으로 상기 돌출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돌출유지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는 피메일 단자측 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단자측 연장면은 복수의 피메일 단자의 배열방향으로 상기 격벽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격벽에 형성되고;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단자 커넥터가 상호 결합될 때, 상기 메일 단자 커넥터측 연장면과 상기 피메일 단자측 연장면은 상호 접촉하거나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철부 각각은 직방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KR1020137032054A 2011-06-03 2012-06-01 커넥터 유닛 KR20140008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4772 2011-06-03
JP2011124772A JP5730132B2 (ja) 2011-06-03 2011-06-03 コネクタユニット
PCT/JP2012/064330 WO2012165635A1 (ja) 2011-06-03 2012-06-01 コネクタ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444A true KR20140008444A (ko) 2014-01-21

Family

ID=4725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054A KR20140008444A (ko) 2011-06-03 2012-06-01 커넥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2305B2 (ko)
JP (1) JP5730132B2 (ko)
KR (1) KR20140008444A (ko)
CN (1) CN103620879B (ko)
DE (1) DE112012002358B4 (ko)
WO (1) WO20121656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0320B2 (en) 2014-07-22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FPCB cabl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190020440A (ko)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7085A (ja) * 2012-07-06 2014-01-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5591374B1 (ja) 2013-05-07 2014-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防水型主端子
JP6117632B2 (ja) * 2013-06-24 2017-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DE102013222143A1 (de) * 2013-10-30 2015-04-30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element für einen Steckverbinder und Anordnung umfassend ein Kontaktelement
JP6367600B2 (ja) * 2014-04-18 2018-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A2960676C (en) * 2014-09-10 2019-08-13 Micro Motion, Inc. An enhanced safety serial bus connector
JP6532665B2 (ja) * 2014-11-07 2019-06-19 松定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オス型コネクタおよびメス型コネクタ
JP7356635B2 (ja) * 2019-10-29 2023-10-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2023156607A (ja) * 2022-04-13 2023-10-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417A (ja) * 1995-07-25 1997-02-14 Toshiro Morita コンセント及びプラグ
JP3377400B2 (ja) * 1997-04-30 2003-02-17 行田電線株式会社 差込プラグ
JP3685290B2 (ja) * 1997-07-01 2005-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69838570T2 (de) * 1997-08-05 2008-07-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Verbinder mit Kupplungserkennungsmitteln
US6196687B1 (en) 1999-04-16 2001-03-06 Intel Corporation Measuring convergence alignment of a projection system
JP4158877B2 (ja) * 2001-07-04 2008-10-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3123894A (ja) * 2001-10-18 2003-04-25 Smk Corp 高電圧接続用コネクタ
JP4075709B2 (ja) * 2003-07-02 2008-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29948B2 (ja) * 2003-08-04 2007-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07230B2 (ja) * 2003-12-05 2008-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2005197167A (ja) * 2004-01-09 2005-07-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345594B2 (ja) * 2004-07-02 2009-10-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8028325B4 (de) * 2007-06-19 2011-02-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shi Fluiddichter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JP4941745B2 (ja) * 2007-06-19 2012-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2053702B1 (en) * 2007-10-24 2012-06-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JP5050820B2 (ja) * 2007-12-05 2012-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50823B2 (ja) * 2007-12-10 2012-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13565B2 (ja) * 2008-07-23 2013-06-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5569267B2 (ja) * 2010-09-03 2014-08-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0320B2 (en) 2014-07-22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FPCB cabl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190020440A (ko)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2305B2 (en) 2015-08-18
JP2012252882A (ja) 2012-12-20
CN103620879A (zh) 2014-03-05
US20140134868A1 (en) 2014-05-15
WO2012165635A1 (ja) 2012-12-06
CN103620879B (zh) 2015-12-09
DE112012002358B4 (de) 2018-10-25
DE112012002358T5 (de) 2014-04-10
JP5730132B2 (ja)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8444A (ko) 커넥터 유닛
JP4574692B2 (ja) 電気コネクタ
US8167634B2 (en) Connector with a sealing ring having a bulge at its inner peripheral side of its main body
JP6235199B2 (ja) コネクタ
US9337568B2 (en) Waterproof connector
TW201810830A (zh) 連接器組合
US20170117675A1 (en) Electric connector
US8202123B1 (en) Connector
US9246257B2 (en) Connector
JP2002124329A (ja)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5213565B2 (ja) コネクタ構造
JP2008160963A (ja) 自動車搭載用の電気接続箱
JP6352676B2 (ja) コネクタ
US10511117B2 (en) Connector
JP2013093226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11431158B2 (en) Resin structure
JP4338084B2 (ja) ロックアーム付電気コネクタ
US20200203880A1 (en) Connector assembly
KR101424545B1 (ko) 커넥터
JP5543707B2 (ja) スペーサ付きコネクタ
JP2020167035A (ja) コネクタ
JP5201101B2 (ja) コネクタ
JP2009004174A (ja) コネクタ
JP5180035B2 (ja) スタッキング構造付き電気コネクタ
JP2014127406A (ja) 多段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