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440A -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440A
KR20190020440A KR1020170105413A KR20170105413A KR20190020440A KR 20190020440 A KR20190020440 A KR 20190020440A KR 1020170105413 A KR1020170105413 A KR 1020170105413A KR 20170105413 A KR20170105413 A KR 20170105413A KR 20190020440 A KR20190020440 A KR 2019002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dhesive material
male connector
mail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283B1 (ko
Inventor
김두열
정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0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2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몰딩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유입시킴으로써,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간의 결합을 강력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CONNECTOR HAVING ADHESHIVE MATERIAL}
본 발명은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몰딩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유입시킴으로써,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간의 결합을 강력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란, 전기 기구와 코드, 코드와 코드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기구이며, 전기기기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메일(Male) 커넥터와 피메일(Female) 커넥터로 구성되고, 피메일 커넥터가 메일 커넥터 내부에 삽입되어 메일 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핀과 결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완전히 합치될 수 있도록 제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된 후에 결합 상태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불량으로 인해 전기 기구의 전원, 신호가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 큰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종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간의 결합 상태를 강화할 수 있는 구성 요소들을 추가하였으나, 구성 요소 추가로 인해 커넥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진동으로 인해 결합 상태가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한 후에 결합된 커넥터를 실리콘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테이핑하는 경우, 부품의 단가 뿐만 아니라 테이핑(Taping)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커넥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메일 커넥터 내부에 점착성 물질을 구비하고,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하는 경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 사이에 접착성 물질을 유입시킴으로써,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간의 결합을 강력하게 유지시키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8444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메일 커넥터부 내부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피메일 커넥터부가 메일 커넥터부에 삽입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에 기초하여 오목부에 구비된 접착성 물질을 메일 커넥터부와 피메일 커넥터부 사이에 유입시킴으로써, 메일 커넥터부와 피메일 커넥터부간의 결합 상태를 강력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는, 메일(Male) 커넥터부, 피메일(Female) 커넥터부 및 상기 메일 커넥터 내측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내부에 접착성 물질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상기 메일 커넥터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에 기초하여 상기 접착성 물질을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 사이에 유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일 커넥터부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부는 몰딩(Molding) 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좌우 측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후면부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일 커넥터는, 상기 메일 커넥터 좌우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고정하는 경우, 상기 피메일 커넥터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일부분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일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피메일 커넥터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일부분이 상기 메일 커넥터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 전면부측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상기 메일 커넥터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피메일 커넥터 전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일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일 커넥터부 내부에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피메일 커넥터부가 메일 커넥터부에 삽입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에 기초하여 오목부에 구비된 접착성 물질을 메일 커넥터부와 피메일 커넥터부 사이에 유입시킴으로써, 메일 커넥터부와 피메일 커넥터부간의 결합 상태를 강력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에서 메일 커넥터부(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에서 메일 커넥터부(110) 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111)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에서 피메일 커넥터부(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에서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결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에서 메일 커넥터부(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에서 메일 커넥터부(110) 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111)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에서 피메일 커넥터부(1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에서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결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는 메일 커넥터부(110) 및 피메일 커넥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교체,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먼저, 메일 커넥터부(11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일 커넥터부(110)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 및 고정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는 메일 커넥터부(110) 내측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부(110)가 일측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인 경우, 오목부(11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태인 메일 커넥터부(110)의 좌우 측면부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부(110)의 정면부 즉, 메일 커넥터부(110)의 개방된 일측면과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와 도 2(b)의 형태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는 메일 커넥터부(110) 내측에 형성되되, 후술되는 피메일 커넥터부(120) 전면부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일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는 내부에 접착성 물질(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성 물질(10)은 접착력이 있으며, 접착력을 이용하여 금속, 비금속, 그 밖의 물건을 접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성 물질은 카제인, 클리코겐과 같은 동물성 접착제, 옻, 풀과 같은 식물성 접착제, 에폭시드 수지, 페놀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성 물질(10)은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110) 내부에 저장될 수 있고,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 사이에 유입될 수 있도록 기밀성과 유동성을 가지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접착성 물질(10)은 본드(Bond)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는 유동성의 접착성 물질(10)이 흐를 수 있도록 미세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접착성 물질(10)은 유로를 통해 흘러나와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 사이에 골고루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는 내부에 접착성 물질(10)을 담을 수 있는 주머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메일 커넥터부(110) 내부로 삽입되면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된 오목부(111)가 터짐으로써, 내부에 있던 접착성 물질(10)이 퍼져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메일 커넥터부(110)사이에 유입될 수 있다.
고정부(112)는 메일 커넥터부(110) 좌우 측면에 위치하며,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결합되는 경우, 피메일 커넥터부(12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12)는 리테이너(Retainer)일 수 있으며,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메일 커넥터부(110)에 삽입되는 경우, 피메일 커넥터부(120)와 체결됨으로써, 피메일 커넥터부(120)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12)는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결합되는 경우, 후술되는 피메일 커넥터부(120)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일부분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12)는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결합되는 경우에 외부로 결합 완료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을 입력 받아 후술되는 피메일 커넥터부(120)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일부분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피메일 커넥터부(120)는 메일 커넥터부(110)에 삽입될 수 있고, 메일 커넥터부(110) 내측에 형성된 메일 터미널(Terminal)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일 커넥터(110)와 피메일 커넥터(120)는 몰딩(Molding) 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피메일 커넥터부(120)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피메일 커넥터부(12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피메일 커넥터부(12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피메일 커넥터부(120)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피메일 커넥터부(120) 후면부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메일 커넥터부(120)는 걸림턱(122) 및 스프링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적어도 일부분에 하나 이상의 걸림턱(122)이 형성될 수 있고, 최전단에 위치한 걸림턱(122)과 피메일 커넥터부(120)의 전면부 사이에 스프링부(123)가 위치할 수 있다. 스프링부(123)는 피메일 커넥터부(120)의 후면부측 방향으로 최전단에 위치한 걸림턱(122)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탄성력으로 인해 피메일 커넥터부(120) 후면부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피메일 커넥터부(120)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일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피메일 커넥터부(120)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일부분이 메일 커넥터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고, 피메일 커넥터부(120) 전면부측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메일 커넥터부(120)가 메일 커넥터부(110)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경우, 메일 커넥터부(110) 좌우측에 위치한 고정부(112)가 피메일 커넥터부(120) 좌우측에 위치한 피메일 커넥터부(120)의 후면부측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충격의 방향은 메일 커넥터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일 수 있다. 충격이 입력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일부분은 충격의 방향에 기초하여, 메일 커넥터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메일 커넥터부(110)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입력된 충격을 이용하여 스프링부(123)를 압축시키며 메일 커넥터부(110)의 전면부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고정부(11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적어도 일부분이 피메일 커넥터부(120)의 전면부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메일 커넥터부(110) 내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와 접촉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와 접촉하는 경우, 내부에 구비된 접착성 물질(10)을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 사이에 유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가 내부에 접착성 물질(10)을 구비하고, 구비된 접착성 물질(10)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막 형태로 커버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는 적어도 일부분이 피메일 커넥터부(120)의 전면부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의 일부분이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를 커버하고 있던 막을 파손시킬 수 있으며, 막이 파손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오목부(111) 내부에 구비된 접착성 물질(10)이 새어나와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 사이에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100)는 하나 이상의 돌불부(121)의 적어도 일부분이 피메일 커넥터부(120) 후면부측에 돌출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으며,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간의 영구결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를 피메일 커넥터부(120) 후면부측에 돌출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영구 결합을 원하는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에 충격을 가하여 하나 이상의 돌출부(121)가 피메일 커넥터부(120) 전면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성 물질(10)이 메일 커넥터부(110)와 피메일 커넥터부(120)사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접착성 물질
110: 메일 커넥터부
111: 오목부
112: 고정부
120: 피메일 커넥터부
121: 돌출부
122: 걸림턱
123: 스프링부

Claims (6)

  1. 메일(Male) 커넥터부;
    피메일(Female) 커넥터부; 및
    상기 메일 커넥터 내측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내부에 접착성 물질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상기 메일 커넥터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에 기초하여 상기 접착성 물질을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 사이에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부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부는 몰딩(Molding)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좌우 측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후면부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는,
    상기 메일 커넥터 좌우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를 고정하는 경우, 상기 피메일 커넥터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일부분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일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피메일 커넥터 후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일부분이 상기 메일 커넥터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 전면부측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상기 메일 커넥터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피메일 커넥터 전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일부분과 접촉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KR1020170105413A 2017-08-21 2017-08-21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KR102308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13A KR102308283B1 (ko) 2017-08-21 2017-08-21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13A KR102308283B1 (ko) 2017-08-21 2017-08-21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40A true KR20190020440A (ko) 2019-03-04
KR102308283B1 KR102308283B1 (ko) 2021-10-01

Family

ID=6576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413A KR102308283B1 (ko) 2017-08-21 2017-08-21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2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810B1 (ko) * 1997-03-18 2002-08-0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11028905A (ja) * 2009-07-22 2011-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140008444A (ko) 2011-06-03 2014-01-21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유닛
JP2016170857A (ja) * 2015-03-11 2016-09-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回路装置
KR20170044710A (ko) * 2014-10-27 2017-04-25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수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810B1 (ko) * 1997-03-18 2002-08-0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11028905A (ja) * 2009-07-22 2011-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140008444A (ko) 2011-06-03 2014-01-21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유닛
KR20170044710A (ko) * 2014-10-27 2017-04-25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수 커넥터
JP2016170857A (ja) * 2015-03-11 2016-09-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283B1 (ko)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5436B2 (en) USB type-C electrical plug connector
US5257763A (en) Cable holder
US8759696B2 (en) Trigger switch for power tool
US10141679B2 (en) Electrical connector
TW201535877A (zh) 電連接器及其組合
KR20190020440A (ko) 접착성 물질을 구비한 커넥터
KR102433125B1 (ko) 모듈용 커넥터
KR101391476B1 (ko) 커넥터 결합장치
JP2006294410A (ja) コネクタ及び開口窓部材
KR101485440B1 (ko) 방수 이어 커넥터의 실링구조 및 실링방법
US10270203B2 (en) Adapter housing with socket for waterproof mounting a power supply to an appliance
KR102114698B1 (ko) 드로잉쉘형 소켓 커넥터
CN110392962B (zh) 电子零件的连接结构及马达、电子零件的连接方法
JP2018133333A (ja)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接続システム
KR101413604B1 (ko) 펄스폭 변조장치
JP2017174876A (ja) 電子機器ユニット
JP5708855B1 (ja)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150098541A (ko) 리셉터클 어셈블리
KR200481342Y1 (ko) 통쉘형 전자기기용 플러그 커넥터
US10673177B2 (en) Electric devic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device terminal apparatus
CN212908171U (zh) 滑盖式连接座结构
JP2018160361A (ja) コネクタ
KR102421406B1 (ko)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JPH06250045A (ja) 光素子収納筺体用光ファイバ接続スリーブ
KR20160042549A (ko) 보강 결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