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29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292A
KR20130084292A KR1020137008847A KR20137008847A KR20130084292A KR 20130084292 A KR20130084292 A KR 20130084292A KR 1020137008847 A KR1020137008847 A KR 1020137008847A KR 20137008847 A KR20137008847 A KR 20137008847A KR 20130084292 A KR20130084292 A KR 2013008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ceiving housing
lever
pane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2665B1 (ko
Inventor
나오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기술되는 과제는 비용 증가 없이, 작은 힘과 간단한 작업으로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리시빙 하우징(12)은 연결 작업에 의해 바닥 패널(18)의 개구(18a)로부터 바깥으로 밀리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레버(41)의 일 단은 대응 하우징(13)과 맞물리고, 타 단은 바닥 패널(18)의 회전축 돌출부(19)와 맞물린다; 그리고 대응 하우징(13)은 연결 작업을 함께 하는 리시빙 하우징(12)의 변위에 의해, 지주처럼 바닥 패널(18)의 회전축 돌출부(19)와 맞물리는 부분 주위를 회동하는 레버(41) 수단에 의해, 리시빙 하우징(12)을 향해 당겨진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버 장치에 의해 쉽게 삽입되고 제거되는 커넥터가 활용되었다(특허문헌 1 내지 4 참조).
상기 종류의 커넥터에 따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가 암 커넥터(1)에 대해 이동될 때, 레버(4)가 수 커넥터(6)상에 제공되는 맞물림 부분(5)의 혀(5a)와 맞물린 상태에서, 수 커넥터(6)에 의해 회동 지지되는 레버(4)의 회전에 의해, 삽입력이 감소된다.
JP-A-2001-176604 JP-A-2001-250634 JP-A-2002-056939 JP-A-2001-351743
그러나, 암 커넥터(1)는 수 커넥터(6)를 당기도록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레버(4)와 레버(4)를 회전시키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공되는 슬라이딩 부재(3)를 포함한다. 상기 이유로 인해, 구성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따라서 구조가 복잡해지며, 그 결과 비용이 상승한다.
게다가, 레버(4)를 회동시키기 위해, 암 커넥터(1)와 수 커넥터(6)를 끼워 맞추는 작업 이외에도, 슬라이딩 부재(3)를 슬라이딩 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 이유로 인해, 레버 형태의 커넥터는 작업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의 관점에서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증가 없이, 작은 힘과 간단한 작업으로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커넥터는 이하의 (1)과 (2)에 의해 특징된다.
(1) 커넥터로서,
패널 개구에서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리시빙(receiving) 하우징;
상기 리시빙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대응 하우징;
상기 리시빙 하우징 상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대응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대응 하우징을 당기도록 구성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빙 하우징은 상기 연결 작업에 의해 상기 패널의 개구로부터 밖으로 밀리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대응 하우징과 맞물리는 일 단과 상기 패널과 맞물리는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하우징은 상기 연결 작업에 따라 상기 리시빙 하우징의 변위에 의해, 지주로서 상기 패널과 맞물리는 부분 주변에서 회동하는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리시빙 하우징을 향해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상기 (1)을 따르는 커넥터로서,
상기 대응 하우징은 케이스의 종단면을 형성하는 종단면 패널 상에 장착되고;
상기 리시빙 하우징은 케이스가 끼워 맞추어지는 박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 상에 장착되고, 바닥은 종단면 패널에 대항한다.
구성(1)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연결 작업이 수행되면, 대응 하우징은 리시빙 하우징의 변위에 의해 패널과 맞물린 부분 주위를 회동하는 레버에 의해 리시빙 하우징을 향해 당겨지고, 따라서 리시빙 하우징과 대응 하우징은 작은 힘으로도 쉽게 서로 연결된다.
레버를 회동시켜 하우징을 상호적으로 당기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부재가 미끄러져 하우징들을 연결시키는 구조와 비교하여,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된다. 따라서 구성이 단순화되고,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게다가 복잡한 작업을 건너 뛰고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구성 (2)를 포함하는 커넥터에서, 케이스를 박스에 끼워 맞춤으로써 리시빙 하우징은 쉽게 대응 하우징에 연결된다. 게다가, 연결 작업을 수반하여, 리시빙 하우징은 바닥 패널의 개구로부터 바깥으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므로, 케이스의 종단면 패널과 박스의 바닥 패널과의 사이 공간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박스와 케이스로 구성되는 전기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용 증가 없이, 작은 힘과 간단한 작업으로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하게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 실시예를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커넥터를 채택하는 ECU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커넥터를 채택하는 ECU가 ECU 박스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커넥터의 리시빙 하우징이 대응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ECU의 케이스 내부에서 볼 때 커넥터의 후방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연결 이전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도 5에서 (a)-(a)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며, (b)는 도 5에서 (b)-(b)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며, (c)는 도 5에서 (c)-(c)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대응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리시빙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리시빙 하우징의 연결 단자측에서 바라볼 때 리시빙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리시빙 하우징의 하부측에서 바라볼 때 리시빙 하우징의 연결 단자측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리시빙 하우징이 장착되는 ECU 박스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리시빙 하우징이 장착되는 ECU 박스의 바닥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13 (a) 내지 (c)는 연결 작업을 시작할 때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도 5에서 (a)-(a)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며, (b)는 도 5에서 (b)-(b)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며, (c)는 도 5에서 (c)-(c)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4 (a) 내지 (c)는 연결 작업 도중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도 5에서 (a)-(a)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b)는 도 5에서 (b)-(b)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며, (c)는 도 5에서 (c)-(c)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5 (a) 내지 (c)는 연결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도 5에서 (a)-(a)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며, (b)는 도 5에서 (b)-(b)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c)는 도 5에서 (c)-(c)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라 커넥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커넥터를 채택하는 ECU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를 채택하는 ECU가 ECU 박스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의 리시빙 하우징이 대응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를 따르는 커넥터(11)는 리시빙 하우징(12)과 리시빙 하우징(12)에 연결되는 대응 하우징(13)을 포함한다.
대응 하우징(13)은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에 장착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14)의 케이스(15)의 종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종단면 패널(16)상에 제공된다. 회로 보드(미도시)는 ECU(14)내에 수용되고 회로 보드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13)에서 수용된다.
리시빙 하우징(12)은 ECU(14)에 장착되는 ECU 박스(17)의 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 패널(18) 상에 제공되고, 복수의 전선 W로 한데 묶인 와이어 하네스(W/H)는 리시빙 하우징(12)에 연결된다. ECU 박스(17)는 바닥 패널(18)에 대항하는 측에서 개구(17a)를 구비하고, ECU(14)는 개구(17a)를 통해 끼워진다. ECU(14)가 개구(17a)를 거쳐 ECU 박스(17)에 끼워지면, 대응 하우징(13)은 ECU 박스(17)의 리시빙 하우징(12)에 연결되고, 와이어 하네스 W/H의 전선 W는 커넥터(11)를 거쳐 ECU(14)에서 전기적으로 회로 보드와 연결된다.
대응 하우징(13)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하우징(13)은 리시빙 하우징(12)과 연결되는 측에서 피팅 홀(21)을 구비하는 후드 파트(22)가 제공되어 리시빙 하우징(12)과 연결된다. 대응 하우징(13)은 리시빙 하우징(12)의 연결 측에 대항하는 측에서 폭 방향으로 배열된 2개줄의 상부 및 하부의 복수의 캐비티(23)가 제공되고, ECU(14)에서 회로 보드에 연결된 수 단자(24)가 캐비티(23) 내에 수용된다(도 6 (b) 참조).
게다가, 대응 하우징(13)은 후드 파트(22)에서 바닥 측에서 레버 수용 오목부(25)가 제공되고, 이후 기술될 레버(41)는 레버 수용 오목부(15)에 수용된다. 레버 수용 오목부(25)는 레버 맞물림 계단(26)이 제공되고 레버 수용 오목부(26)의 일 측에서는 레버 가압 곡선 부분(27)이 제공된다.
대응 하우징(13)의 상부 부분은 피팅 홀(21)의 개구측에서 대응 하우징(13)의 양 측면 근처에서 해제 부분(28)이 제공된다. 해제 부분(28)은 상부 측을 향해 돌출한 해제 피스(29) 쌍을 구비하고, 상기 방출 피스(29)의 전면 종단에는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해제 갈고리(29a)가 제공된다.
대응 하우징(13)은 ECU(14)의 내부로부터 개구(16a)에 끼워지며, 상기 개구(16a)는 ECU(14)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종단면 패널(16)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대응 하우징(13)은 ECU(14)의 종단면 패널(16)의 개구(16a)를 통해 돌출한다.
리시빙 하우징(12)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도 6 (a) 내지 (c), 그리고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빙 하우징(12)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단자 수용 하우징(31)을 포함한다. 단자 수용 하우징(31)은 폭방향으로 배열된 2개줄의 상부 및 하부의 복수의 캐비티(32)가 제공되고, 상기 캐비티(32)는 와이어 하네스 W/H 의 전선 W 와 연결된 암 단자(33)에 수용된다(도 6(b) 참조).
단자 수용 하우징(31)은 피팅 홀(21)을 통해 대응 하우징(13)에 끼워지고, 대응 하우징(13)의 수 단자(24)는 전기적으로 리시빙 하우징(12)의 암 단자(33)와 연결된다. 한편, 암 단자(33)는 대응 하우징(13)의 연결 종단(31a)에 대항하는 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캐비티(32)에 수용된다.
단자 수용 하우징(31)에는 그 바닥 측에서 홀(35)이 제공된다. 홀(35)은 캐비티(32)의 중간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암 단자(33)는 홀(35) 대신 연결 종단(31a)에 배치된다. 로킹 스페이서(36)는 홀(35)에 삽입되고, 각 캐비티(32)에 수용된 삽입 방향에서 암 단자(33)의 후방 종단 측은 로킹 스페이서(36)에 의해 잠긴다(locked).
리시빙 하우징(12)은 단자 수용 하우징(31)의 바닥 측에서 판형 레버(41)가 제공된다. 레버(41)는 중간 부분에서 연장 슬롯(42)이 제공되고, 단자 수용 하우징(31)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레버 지지 보스(37)는 연장 슬롯(42)으로 삽입된다. 상기 방식에서, 레버(41)는 레버 지지 보스(37) 주위를 회동할 수 있다. 게다가, 레버 지지 보스(37)는 레버 지지 보스(37)가 연장 슬롯(42)의 양 종단에 대항하여 인접하는 영역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레버(41)는 레버(41)의 일 단으로부터 돌출된 당김 갈고리 부분(43)이 제공된다. 당김 갈고리 부분(43)은 연결 종단(31a)를 향해 볼록 나온 곡선 표면(43a)을 구비한다. 레버(41)의 타 단에는 맞물림 오목 부분(44)이 제공되고, 맞물림 오목 부분(44)은 ECU 박스(17)의 바닥 패널(18) 상에 형성되는 회전축 돌출부(19)와 맞물리게 구성된다.
리시빙 하우징(12)은 평면의 판 부분(51)을 구비한다. 판 부분(51)은 단자 수용 하우징(31)에서 연결 종단(31a)에 대항하는 측 근처에서 제공된다. 판 부분(51)은 연결 종단(31a) 측 네 개의 코너에서 가이드 돌출부(52)가 제공된다. 게다가, 판 부분(51)은 단자 수용 하우징(31)의 양 측면과 단자 수용 하우징(31)의 상부 측의 양 측면의 근처 각각에서 홀들(53,54)이 제공된다.
리시빙 하우징(12)은 단자 수용 하우징(31)의 양 측면에서 피팅 지지 고정 피스(56)를 구비한다. 피팅 지지 고정 피스(56)는 단자 수용 하우징(31)의 연결 종단(31a)에 대항하는 종단에 연결되어 연결 종단(31a)을 향해 연장된다. 피팅 지지 고정 피스(56)는 판 부분(51)에 형성된 홀(53)에 삽입되고 판 부분(51)이 아닌 연결 종단(31a)에 도달한다. 피팅 지지 고정 피스(56)는 그 정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한 맞물림 갈고리 부분(56a)이 제공된다.
리시빙 하우징(12)은 단자 수용 하우징(31)의 상부 부분의 양 측면 근처에서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를 구비한다.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는 또한 단자 수용 하우징(31)의 연결 종단(31a)에 대항하는 종단에 연결되어 연결 종단(31a)을 향해 연장된다.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는 판 부분(51)에 형성된 홀(53)로 삽입되고, 판 부분(51)이 아닌 연결 종단(31a)에 도달한다.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는 바깥쪽을 향해 돌출한 임시 맞물림 갈고리 부분(58)이 제공된다.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는 그 전방 종단으로부터 양 측면을 향해 돌출한 해제 돌출부(58b)가 제공된다.
판 부분(51)으로부터 피팅 지지 고정 피스(56)의 맞물림 갈고리 부분(56a)의 치수는 판 부분(51)으로부터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의 임시 맞물림 갈고리 부분(58a)의 치수보다 크다. 게다가 판 부분(51)으로부터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의 임시 맞물림 갈고리 부분(58a)의 치수는 실질적으로 ECU 박스(17)의 바닥 패널(18)의 바닥 두께와 같다.
리시빙 하우징(12)은 ECU 박스(17)의 개구(17a)에 대항하는 측인 바깥쪽으로부터 바닥 패널(18)에 형성되는 개구(18a)에 끼워지고 장착된다.
리시빙 하우징(12)은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패널(18)에서 개구(18a)가 제공되고, 리시빙 하우징(12)의 판 부분(51)이 아닌 연결 종단(31a)이 개구(18a)에 삽입된다. 개구(18a)는 판 부분(51)의 형상보다 작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판 부분(51)은 ECU 박스(17)의 바깥쪽으로부터 리시빙 하우징(12)을 개구(18a)에 삽입하고 장착함으로써 바닥 패널(18)에 대항하여 인접하고, 따라서 추가적인 삽입을 억제한다.
게다가, 회전축 돌출부(19)는 바닥 패널(18)에 형성된 개구(18a)의 하부 에지로부터 상방 돌출한다. 회전축 돌출부(19)는 개구(18a)로 삽입되는 리시빙 하우징(12)의 레버(41)의 맞물림 오목 부분(44)에 제공된다. 상기 방식으로, 리시빙 하우징(12)이 개구(18a)에 장착되면, 회전축 돌출부(19)가 레버(19)의 맞물림 오목 부분(44)과 맞물린다.
리시빙 하우징(12)이 대응 하우징(13)에 연결되어 커넥터(11)를 구성하는 경우가 이하 도 13 (a) 내지 도 15 (c)를 참고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3 (a) 내지 (c)는 연결 작업이 시작할 때 커넥터를 기술하는 도면이다. 도 14 (a) 내지 (c)는 연결 작업 중에 커넥터를 기술하는 도면이다. 도 15 (a) 내지 (c)는 연결 작업이 완료된 시점의 커넥터를 기술하는 도면이다.
우선, 예비 준비로서 리시빙 하우징(12)이 ECU 박스(17)에 장착된다. 특히, 와이어 하네스 W/H의 전선 W에 연결된 암 단자(33)가 각각 리시빙 하우징(12)의 단자 리시빙 하우징(31)의 캐비티(32)에 수용되고, 로킹 스페이서(36)는 홀(35)로 삽입되어, 암 단자(33)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레버(41)는 리시빙 하우징(12)의 바닥측에 부착된다. 리시빙 하우징(12)은 판 부분(51)이 바닥 패널(18)에 대항하여 인접할 때까지 ECU 박스(17)의 바닥 패널(18)의 개구(18a)에 삽입된다. 상기 방식으로,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의 임시 맞물림 갈고리 부분(58a)은 바닥 패널(18)의 개구(18a)의 에지와 맞물리고, 리시빙 하우징(12)은 바닥 패널(18)에 임시 고정되고, 대응 하우징(13)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도 6 (a) 내지 (c) 참조).
대기 상태에서, 레버의 맞물림 오목 부분(44)은 개구(18a) 에지에서 형성된 회전 축 돌출부(19)와 맞물린다(도 6(a) 참조).
리시빙 하우징(12)이 ECU 박스(17)에서 임시 장착되어 대기 상태가 되면, ECU(14)는 ECU 박스(17)의 개구(17a)에서 끼워진다.
도 13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부분(28)의 해제 피스(29)상에 형성된 해제 갈고리(29a)는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의 전방 종단의 해제 돌출부(58b)에 대항하여 인접하고, 따라서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는 밀리고, 따라서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의 임시 맞물림 갈고리 부분(58a)과 바닥 패널(18)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한다.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와의 맞물림 상태로부터 해제된 리시빙 하우징(12)은 대응 하우징(13)에 의해 바닥 패널(18)의 개구(18a)로부터 미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게다가 레버(41)의 당김 갈고리 부분(43)은 대응 하우징(13)의 레버 맞물림 계단(26)과 맞물린다.
상기 방식에서 리시빙 하우징(12)이 바닥 패널(18)의 개구(18a)로부터 밖으로 밀려지면, 레버(41)의 중간 부분은 레버 지지 돌출부(37)에 의해 리시빙 하우징(18)의 변위방향으로 당겨지고, 레버(41)는 지주처럼, 맞물림 오목 부분(44)과 맞물린 바닥 패널(18)의 회전축 돌출부(19) 주위를 회동한다. 레버(41)가 회동하면, 대응 하우징(13)은 리시빙 하우징(12)을 향해 당겨지고, 리시빙 하우징(12)의 단자 수용 하우징(31)은 대응 하우징(13)의 피팅 홀(21)로 진입한다.
게다가, 리시빙 하우징(12)의 양 측면에서 제공되는 피팅 지지 고정 피스(56)는 대응 하우징(13)의 후드 파트(22)의 양 측면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리고 확장되어, 개구(18a)의 양 측면 에지에 의해 가압된다.
도 14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U가 ECU 박스(17)의 개구(17a)에 추가적으로 끼워질 때, 리시빙 하우징(12)은 바닥 패널(18)의 개구(18a)로부터 더 바깥쪽으로 밀리고, 그리고 변위되어, 레버(41)는 지주처럼 바닥 패널(18)의 회전축 돌출부(19) 근처를 더 회동하게 된다. 상기 방식에서, 대응 하우징(13)은 레버(41)에 의해 리시빙 하우징(12)을 향하여 더 당겨지고, 리시빙 하우징(12)의 단자 수용 하우징(31)은 대응 하우징(13)의 피팅 홀(21)에 더 진입하여, 리시빙 하우징(12)의 암 단자(33)와 대응 하우징(13)의 수 단자(22)의 연결이 시작된다.
도 15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U(14)가 ECU 박스(17)의 개구(17a)에 완벽하게 끼워지면, 리시빙 하우징(12)은 바닥 패널(18)의 개구(18a)로부터 더욱 바깥쪽으로 밀리고, 따라서 레버(41)는 지주처럼 회전축 돌출부(19) 주위를 더 회동한다. 따라서, 대응 하우징(13)은 레버(41)에 의해 리시빙 하우징을 향해 더 당겨지고, 리시빙 하우징(12)의 단자 수용 하우징(31)은 대응 하우징(13)의 피팅 홀(21)에 더 진입하여, 리시빙 하우징(12)의 암 단자(33)와 대응 하우징(13)의 수 단자(24)의 연결이 완결된다. 그 결과, 와이어 하네스 W/H 의 전선 W는 ECU(14)에서 배선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바깥쪽으로 밀리고 확장된 피팅 지지 고정 피스(56)의 맞물림 갈고리 부분(56a)은 개구(18a)의 양 측면에서 에지에 끼워져, 리시빙 하우징(12)은 바닥 패널(18)에 고정된다.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서로 연결된 대응 하우징(13)과 리시빙 하우징(12)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ECU(14)는 ECU 박스(17)로부터 연결의 역순으로 바깥으로 당겨진다.
상기 방식으로, 레버(41)의 중간 부분은 레버 지지 돌출부(37)에 의해 대응 하우징(13)에서 당겨지고, 레버(41)는 지주로서 연결의 역방향으로 회전축 돌출부(19) 주위를 회동한다.
레버(41)가 역방향으로 회동하면, 레버(41)의 곡선 표면(43a)은 대응 하우징(13)의 레버 가압 곡선 부분(27)을 압박한다. 따라서 대응 하우징(13)은 레버(41)의 누르는 힘에 의해 리시빙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고, 리시빙 하우징(12)의 단자 수용 하우징(31)은 대응 하우징(13)의 피팅 홀(21)로부터 밖으로 당겨지고, 따라서 리시빙 하우징(12)의 암 단자(33)는 대응 하우징(13)의 수 단자(24)로부터 분리되어 ECU(14)에서 배선 보드와 와이어 하네스 W/H의 전선 W 간의 전기적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대응 하우징(13)을 향해 당겨진 리시빙 하우징(12)의 판 부분은 바닥 패널(18)에 대항하여 인접하고, 해제 돌출부(58b)가 해제 부분(28)의 해제 피스(29)로부터 분리되는, 패널 임시 고정 피스(58)의 임시 맞물림 갈고리 부분(58a)은 바닥 패널(180과 맞물린다. 즉, 리시빙 하우징(12)이 ECU 박스(17)의 바닥 패널(18)에 임시 고정되어 대기 상태가 되므로, 리시빙 하우징은 대응 하우징(13)과의 연결을 해제하더라도 ECU 박스(17)로부터 해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를 따르는 커넥터는 연결 작업이 수행되기만 하면, 리시빙 하우징(12)의 변위에 의해 바닥 패널(18)의 회전축 돌출부(19)와 맞물리는 부분 주위를 회동하는 빌트-인 레버(41)에 의해 리시빙 하우징(12)을 향해 대응 하우징(13)이 당겨지고, 따라서 리시빙 하우징(12)과 대응 하우징(13)은 작은 힘으로도 쉽게 서로 연결된다.
레버를 회동하여 하우징들을 상호적으로 당기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부재가 미끄러져 하우징들을 연결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구성이 간단해지며, 결국 비용을 절감시킨다. 게다가 슬라이딩 부재를 미끄러지게 하는 복잡한 작업을 건너뛸 수 있다.
커넥터(11)가 활용되면, ECU(14)의 케이스(15)를 ECU 박스(17)에 끼움으로써 리시빙 하우징(12)은 아주 쉽게 대응 하우징(13)에 연결된다. 게다가, 연결 작업을 수반하면, 리시빙 하우징(12)이 바닥 패널(18)의 개구(18a)로부터 바깥쪽으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므로, 케이스(15)의 종단면 패널(16)과 ECU 박스(17)의 바닥 패널(18) 사이의 공간이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ECU 박스(17)와 케이스(15)를 포함하는 ECU(14)로 구성되는 전기 디바이스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변경, 변화등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 각 구성 부품의 재료, 형상, 크기, 숫자, 위치등은 임의적이며 본 발명에 이르기만 한다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이하 청구항에서 규정된 발명의 정신이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0년 10월 7일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2010-227478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작은 힘과 간단한 작업으로 비용 증가 없이 커넥터가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는 효과를 구비한다.
11 : 커넥터
12 : 리시빙 하우징
13 : 대응 하우징
15 : 케이스
16 : 종단면 패널(패널)
17 : ECU 박스(박스)
18 : 바닥 패널(패널)
18a: 개구
41 : 레버

Claims (2)

  1. 커넥터로서,
    패널의 개구에서 삽입되고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리시빙 하우징:
    상기 리시빙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대응 하우징: 및
    상기 리시빙 하우징 상에 회동하게 제공되어 대응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대응 하우징을 당기도록 구성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빙 하우징은 상기 연결 작업에 의해 상기 패널의 상기 개구로부터 밖으로 밀리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대응 하우징과 맞물리는 일 단과 상기 패널과 맞물리는 타 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대응 하우징은 상기 연결 작업을 따르는 상기 리시빙 하우징의 변위에 의해, 지주로서 상기 패널과 맞물리는 부분 주위를 회동하는 상기 레버를 통해, 상기 리시빙 하우징을 향해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하우징은 케이스의 종단면을 형성하는 종단면 패널상에 장착되고,
    상기 리시빙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가 끼워지는 박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은 상기 종단면 패널에 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7008847A 2010-10-07 2011-10-06 커넥터 KR101452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7478A JP5618748B2 (ja) 2010-10-07 2010-10-07 コネクタ
JPJP-P-2010-227478 2010-10-07
PCT/JP2011/073135 WO2012046820A1 (ja) 2010-10-07 2011-10-0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92A true KR20130084292A (ko) 2013-07-24
KR101452665B1 KR101452665B1 (ko) 2014-10-22

Family

ID=4592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847A KR101452665B1 (ko) 2010-10-07 2011-10-06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51910B2 (ko)
JP (1) JP5618748B2 (ko)
KR (1) KR101452665B1 (ko)
CN (1) CN103155300B (ko)
BR (1) BR112013008343A2 (ko)
DE (1) DE112011103396B4 (ko)
RU (1) RU2533161C1 (ko)
WO (1) WO2012046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3246B2 (ja) * 2011-02-15 2015-0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7287875B2 (ja) * 2019-10-15 2023-06-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87876B2 (ja) * 2019-10-15 2023-06-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2686B2 (ja) * 1997-06-27 2003-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JPH1126079A (ja) * 1997-07-01 1999-01-29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気コネクタの結合構造
JP3643283B2 (ja) * 1999-12-17 2005-04-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ネクタの連結装置
JP2001250634A (ja) * 2000-03-02 2001-09-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結合構造およびそのホルダユニット
JP3567856B2 (ja) 2000-06-08 2004-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支持構造
JP2002056939A (ja) * 2000-08-10 2002-02-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支持構造
JP3729330B2 (ja) * 2000-10-03 2005-12-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44180B2 (ja) * 2004-03-12 2007-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060040535A1 (en) * 2004-08-20 2006-02-23 Vijy Koshy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slide members
JP4395784B2 (ja) * 2006-03-03 2010-01-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180553B2 (ja) * 2007-10-02 2013-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00445B2 (ja) 2009-03-30 2014-01-29 株式会社松永製作所 片麻痺者用車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18748B2 (ja) 2014-11-05
DE112011103396B4 (de) 2015-12-10
WO2012046820A1 (ja) 2012-04-12
CN103155300B (zh) 2015-08-19
JP2012084266A (ja) 2012-04-26
KR101452665B1 (ko) 2014-10-22
US20130224985A1 (en) 2013-08-29
US8851910B2 (en) 2014-10-07
CN103155300A (zh) 2013-06-12
BR112013008343A2 (pt) 2016-06-14
RU2533161C1 (ru) 2014-11-20
DE112011103396T5 (de) 2013-08-14
RU2013120323A (ru)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674B2 (en) Connector provided with a wire cover and a connector assembly
US20070232140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e-assist and a wire dress cover
EP2075880A1 (en) Lever-type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JP3945306B2 (ja) 電気接続箱
JP580920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452665B1 (ko) 커넥터
JP5748252B1 (ja) 電子機器及び該電子機器用増設ユニット
JP2008027691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のレバー製造方法
US7186129B2 (en) Lock structure and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of lock structure
US9214744B2 (en) Connector device
US802119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rge locking force
KR101671866B1 (ko) 컨벤셔널 타입 박스의 프런트 티피에이 조립구조
JP2008103224A (ja) レバーコネクタ
JP3851840B2 (ja) コネクタの離脱構造及びコネクタ離脱用治具
CN103222117B (zh) 卡连接器
JP6788556B2 (ja) 電子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1658003B1 (ko) 전기 커넥터
JP2004335114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20140148037A1 (en) Connector having insertion detection
WO2014111133A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501158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3677596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2005235512A (ja) 電線余長吸収コネクタおよび電線余長吸収構造
JP6410166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3580167B2 (ja) コネ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