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228A -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228A
KR20130030228A KR20120102131A KR20120102131A KR20130030228A KR 20130030228 A KR20130030228 A KR 20130030228A KR 20120102131 A KR20120102131 A KR 20120102131A KR 20120102131 A KR20120102131 A KR 20120102131A KR 20130030228 A KR20130030228 A KR 20130030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on layer
micrometers
less
base material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호리우치
미치오 우루노
히로아키 다카하시
도모유키 나카무라
미쓰요시 시마무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10T83/0341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점착 필름은, 필름형의 점착층과, 점착층을 협지하는 한쌍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세퍼레이터의 각각의 외연(外緣)은, 점착층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고, 중박리(重剝離) 세퍼레이터의 점착층 측의 면에는, 점착층의 외연을 따라 블레이드에 의한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중박리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50㎛ 이상 200㎛ 이하,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은 5㎛ 이상 45㎛ 이하,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는 15㎛ 이하로 되어 있다. 절입부의 깊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함으로써, 점착층을 블레이드로 완전히 절단할 수 있고, 또한 중박리 세퍼레이터와 점착층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ADHES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휴대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카 네비게이션, 휴대용 소형 PC, 휴대 정보 단말기(PDA) 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터치 패널이 탑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이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의 경우에는, 보호 패널, 터치 패널, 및 액정 패널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구조로 되어 있고,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 사이, 또는 터치 패널과 액정 패널 사이에 투명한 점착층을 개재시키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점착층은, 디스플레이의 휘도나 선명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점 외에 충격 흡수재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의 구성에 빠뜨릴 수 없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8-83491호 공보
전술한 점착층은, 보관·운반시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리 가능한 기재(基材)로 상기 점착층의 양면을 협지한 상태의 점착 필름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대응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크기로 사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착층을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기재를 포함하여 절단하고, 점착층의 외연(外緣)과 기재의 외연을 맞추게 되면, 점착층의 절단면에 먼지 등이 쉽게 부착되거나, 또는 점착층으로부터 기재를 박리시키기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므로, 적어도 한쪽 기재의 외연은, 점착층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점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한쪽 기재 상에 점착층을 형성한 후, 한쪽 기재를 절단하지 않고 점착층만을 절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때, 점착층만을 완전히 절단하기 위해서는, 한쪽 기재에 도달하는 깊이로 블레이드 등을 도달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한쪽 기재에는 점착층의 외연을 따라 절입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한쪽 기재에 형성된 절입부의 상태에 따라서는, 점착층으로부터 기재를 박리시킬 때의 박리 불량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밝혀졌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점착층과 기재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필름은, 필름형의 점착층과, 점착층을 협지하는 한쌍의 기재를 구비한 점착 필름으로서, 기재의 각각의 외연은, 점착층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고, 한쪽 기재의 점착층 측의 면에는, 점착층의 외연을 따라 절입부가 형성되고, 한쪽 기재의 두께가 50㎛ 이상 200㎛ 이하이며,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이며,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점착 필름에 의하면, 기재의 각각의 외연이 점착층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점착층의 외연부가, 점착 필름의 보관·운반 시 등에 확실하게 보호된다. 또한, 두께가 50㎛ 이상 200㎛ 이하인 한쪽 기재의 점착층 측의 면에는, 블레이드 등에 의하여 절입부가 형성되고,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은 5㎛ 이상이 된다. 이로써, 한쪽 기재 측에 확실하게 블레이드 등이 통과하여 점착층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은 45㎛ 이하가 된다. 이로써, 블레이드 등으로 점착층을 절단할 때 점착층의 일부가 절입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입부 내로 점착층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점착층과 기재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는 15㎛가 된다. 이로써, 절입부의 깊이의 불균일이 작아지므로, 점착층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고, 또한 점착층과 기재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절입부의 깊이를 표준 편차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점착층의 외연을 따르는 절입부 중, 전술한 깊이의 범위를 넘는 개소가 다소 존재하고 있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점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한쪽 기재와 점착층 사이의 박리 강도가, 다른 쪽 기재와 점착층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쪽 기재 측의 박리 강도와 다른 쪽 기재 측의 박리 강도 사이에 차이를 둠으로써, 기재를 차례대로 박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점착층의 외연이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이루고, 점착층의 외연의 각각의 변 상에 적어도 1개소씩 할당된 복수의 측정점에서의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이며, 복수의 측정점에서의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점착층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고, 또한 점착층과 기재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율은, 1.0×103 Pa 이상 1.0×106 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절입부의 깊이와 점착층의 절단성 및 박리성의 관계가 더욱 밀접하게 되므로, 절입부의 깊이를 전술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된다.
또한, 점착층의 유리 기판에 대한 박리 강도가 5N/10mm 이상 20N/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절입부의 깊이와 점착층의 절단성 및 박리성의 관계가 더 한층 밀접하게 되므로, 절입부의 깊이를 전술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더 한층 현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은, 필름형의 점착층과, 점착층을 협지하는 한쌍의 기재를 구비한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점착층을 한쪽 기재 상에 형성한 모재(母材) 필름에 대하여, 점착층 측으로부터 한쪽 기재에 도달하는 깊이로 블레이드를 통과시켜, 점착층의 외연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포함하고, 절단 공정에서는, 블레이드에 의해 한쪽 기재에 형성되는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로 되고,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가 되도록 블레이드를 한쪽 기재에 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이 5㎛ 이상으로 된다. 이로써, 한쪽 기재 측에 확실하게 블레이드가 통과하여 점착층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이 45㎛ 이하로 된다. 이로써, 블레이드로 점착층을 절단할 때 점착층의 일부가 절입부 내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입부 내로 점착층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점착층과 기재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로 된다. 이로써, 절입부의 깊이의 불균일이 작아지므로, 점착층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고, 또한 점착층과 기재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절단 공정 후에, 점착층에 다른 쪽 기재를 부착하는 부착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다른 쪽 기재에 방해받지 않고, 블레이드를 점착층에 통과시키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점착층과 기재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필름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점착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모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절단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거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거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부착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부착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경박리(輕剝離) 세퍼레이터의 박리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피착물로의 점착면의 부착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중박리(重剝離) 세퍼레이터의 박리 공정을 나타낸 단면이다.
도 12는 피착물로의 점착면의 부착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절입부의 깊이가 부족한 경우의 점착층의 외연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경우에 중박리 세퍼레이터를 박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절입부의 깊이가 과잉이 되는 경우의 점착층의 외연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경우에 중박리 세퍼레이터를 박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광역동적점탄성(廣域動的粘彈性) 측정 장치에 샘플을 세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필름(1)은, 투명한 필름형의 점착층(2)과, 점착층(2)을 협지하는 중박리 세퍼레이터(3)(한쪽 기재) 및 경박리 세퍼레이터(4)(다른 쪽 기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착 필름(1)은,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용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 사이, 또는 터치 패널과 액정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한 필름이다.
점착층(2)은, 예를 들면, (A) 아크릴산계 유도체 폴리머, (B) 아크릴산계 유도체, (C) 중합 개시제 등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A) 아크릴산계 유도체 폴리머로서는, (B) 아크릴산계 유도체를 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중량 평균 분자량(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의 검량선을 사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한다. 아크릴산계 유도체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인 다공성 폴리머 겔을 사용한 HPLC용의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사용하여, 측정 온도 25~40 ℃에서 측정할 수 있다. 검출기는 시차 굴절계(RI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10,000 이상 1,0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계 유도체 폴리머는, 아크릴산계 유도체 이외의 모노머를 병용하여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머라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아크릴산계 유도체 폴리머의 함유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 45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B) 아크릴산계 유도체로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이들의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1개 가지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 알킬,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아릴에테르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지환식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불소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1개 가지는 모노머와 함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2개 이상 가지는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노머로서는, 비스페놀 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쇄와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100,000;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의 검량선을 사용하여 측정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다공성 폴리머 겔을 사용한 HPLC용의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사용하여, 측정 온도 25~ 40 ℃에서 측정할 수 있다. 검출기는 시차 굴절계(RI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2)의 성형성의 관점에서는, (B) 성분에서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2개 이상 가지는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타)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크리로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B) 아크릴산계 유도체의 함유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5질량% 이상 89.9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5질량% 이상 79.9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50질량% 이상 74.9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C) 중합 개시제로서는,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케톤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안트라퀴논계, 벤조인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설포늄염, 디아조늄염, 오늄염 등의 재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케톤계 화합물,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투명성 및 경화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C)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2질량% 이상 4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 2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점착층(2)은, 예를 들면, 중박리 세퍼레이터(3) 상에, 상기 (A)~(C)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상의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두께로 도포하고, 원하는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도포된 점착제 조성물에, 자외선 등의 활성 광선을 조사해도 된다. 점착층(2)은, 점착성의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18인 (메타)아크릴산 알킬로부터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로 포함하는」이란, 점착층(2)을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점착층(2)의 두께는, 0.1mm 이상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mm(150㎛) 이상 0.5mm(5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로 함으로써, 점착층(2)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경우에 더 한층 우수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점착층(2)의 25℃에서의 저장 탄성율은, 1.0×103 Pa 이상 1.0×106 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4 Pa 이상 5.0×105 Pa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저장 탄성율은, 두께 0.5mm, 길이 10mm, 및 폭 10mm의 시료(점착층(2))를 제조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예를 들면, Reometric Scientific RSA II: 측정 주파수 1Hz: 쉐어 샌드위치 모드)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2)의 유리(소다 라임 유리)기판에 대한 박리 강도(필 강도)는, 5N/10mm 이상 20N/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N/10mm 이상 15N/1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층(2)의 두께는, 100㎛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 4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층(2)의 평면 형상은, 적용되는 피착물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되지만, 예를 들면, 장변이 50mm 이상 500mm 이하, 단변이 30mm 이상 400mm 이하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되고, 장변이 100mm 이상 300mm 이하, 단변이 80mm 이상 280mm 이하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된다. 점착층(2)의 광투과율은, 가시광선 영역(파장: 380~780 nm)의 광선에 대하여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9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광투과율은,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분광 광도계로서는, 예를 들면, 히타치 U-3310형 분광 광도계(적분구 사용)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2)의 광 투과율은, 예를 들면 두께 500㎛의 유리판과, 두께 175㎛가 되도록 제조된 점착층(2)을 접합한, 접착층 부착 유리판의 광투과율을 분광 광도계의 의해 측정하고, 상기 점착층 부착 유리판의 광투과율로부터 유리판의 광투과율을 뺄셈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중박리 세퍼레이터(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중합체 필름이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 필름」이라고 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박리 세퍼레이터(3)의 두께는, 50㎛ 이상 200㎛ 이하이며, 60㎛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0㎛ 이상 1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박리 세퍼레이터(3)의 평면 형상은, 점착층(2)의 평면 형상보다 크고, 중박리 세퍼레이터(3)의 외연(3a)은 점착층(2)의 외연(2a)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연(3a)이 외연(2a)보다 돌출되는 양은, 취급의 용이성, 박리의 용이성, 및 먼지 등의 부착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2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층(2) 및 중박리 세퍼레이터(3)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외연(3a)이 외연(2a)보다 돌출되는 양은, 적어도 하나의 변에서 2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에서 4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모든 변에서 2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모든 변에서 4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경박리 세퍼레이터(4)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중합체 필름이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 필름」이라고 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박리 세퍼레이터(4)의 두께는, 25㎛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0㎛ 이상 7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경박리 세퍼레이터(4)의 평면 형상은, 점착층(2)의 평면 형상보다 크고, 경박리 세퍼레이터(4)의 외연(4a)은 점착층(2)의 외연(2a)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연(4a)이 외연(2a)보다 돌출되는 양은, 취급의 용이성, 박리의 용이성, 및 먼지 등의 부착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2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층(2) 및 경박리 세퍼레이터(4)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외연(4a)이 외연(2a)보다 돌출되는 양은, 적어도 하나의 변에서 2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에서 4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모든 변에서 2mm 이상 20m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모든 변에서 4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 높게 되어 있다.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필(peel) 강도)는, 0.3N/25mm 이상 1.5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5N/25mm 이상 1.0N/25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0.01N/25mm 이상 0.4N/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N/25mm 이상 0.35N/25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를 T,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를 S로 한 경우, T>S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3, 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예를 들면, 세퍼레이터(3, 4)의 표면 처리 등에 의해 조정된다.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는, 실리콘계 화합물 또는 불소계 화합물로 이형 처리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박리 강도는, (주) 에이·앤드·데이에서 제조한 만능 시험기 「텐시론 RTG-1210」에 의해 25℃에서 측정한 것으로 한다. 측정 조건은,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 및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90도 필에 따른다. 또한, 「유리 기판과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180도 필에 따른다. 또한, 90도 필 및 180도 필의 인장 속도는 300mm/분이다.
중박리 세퍼레이터(3)의 점착층(2) 측의 면(3b)에는, 점착층(2)의 외연(2a)을 따라 절입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외연(2a) 전체에서의, 절입부(3c)의 깊이 D의 평균값은, 5㎛ 이상 45㎛ 이하로 되어 있지만, 1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외연(2a) 전체에서의 깊이 D의 표준 편차는, 15㎛ 이하로 되어 있지만, 1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절입부(3c)의 최소 깊이 Dmin이 5㎛ 이상이며, 최대 깊이 Dmax이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절입부(3c)의 최소 깊이 Dmin이 10㎛ 이상이며, 최대 깊이 Dmax이 4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절입부(3c)의 깊이 D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는, 예를 들면, 점착층(2)의 외연(2a) 상에 할당된 복수의 측정점에서 측정된 깊이 D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이하의 식에 의해 용이하게 산출된다.
평균값(산술평균) XAV = (X1+X2+X3+·····+Xn)/n
표준 편차 σ = [{(X1-XAV)2 + (X2-XAV)2 + (X3-XAV)2+···+(Xn-XAV)2}/n]1/2
X1, X2, X3, ·····Xn: n개소의 측정점에서의 측정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깊이 D의 측정점 P는, 점착층(2)의 외연(2a) 상의 보다 많은 개소로 분산되어 할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점착층(2)의 외연(2a)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측정점 P는, 외연(2a)의 각각의 변에 적어도 1개소씩 할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측정점 P는, 외연(2a)의 각각의 변에 3개소씩 할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입부(3c)의 깊이 D는, 예를 들면,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 비접촉 단차 측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점착 필름(1)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박리 세퍼레이터(3) 상에 점착층(2)이 형성되고, 점착층(2) 상에 가(假)세퍼레이터(5)가 형성된 모재 필름(10)을 준비한다. 가세퍼레이터(5)는, 예를 들면,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B를 구비한 타발(打拔)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세퍼레이터(5) 및 점착층(2)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한다. 타발 장치는, 크랭크식 타발 장치라도 되고, 레시프로식 타발 장치라도 되고, 로터리식 타발 장치라도 된다. 각 기재의 박리성의 관점에서는, 로터리식 타발 장치가 바람직하다. 이 공정에서는, 중박리 세퍼레이터(3)에 도달하는 깊이로 블레이드 B를 가세퍼레이터(5) 및 점착층(2)으로 통과시켜, 가세퍼레이터(5) 및 점착층(2)을 절단한다. 이로써, 중박리 세퍼레이터(3)에는 절입부(3c)가 형성된다. 또한, 이 공정에서는, 점착층(2)의 외연(2a) 전체에서의, 절입부(3c)의 깊이 D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가 되도록 블레이드 B를 중박리 세퍼레이터(3)에 도달시킨다. 또한, 이 공정에서는, 점착층(2)의 외연(2a) 전체에서의, 절입부(3c)의 깊이 D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가 되도록, 블레이드 B를 중박리 세퍼레이터(3)에 도달시킨다. 절입분(3c)의 깊이 D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 및 표준 편차가 「15㎛ 이하」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로터리 블레이드를 사용하고, 이것과 연동하는 제어 장치(컴퓨터 등)를 조합함으로써 깊이 D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세퍼레이터(5) 및 점착층(2)의 외측 부분을 제거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2)으로부터 가세퍼레이터(5)를 박리시키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박리 세퍼레이터(3)과 거의 중첩되도록 경박리 세퍼레이터(4)를 배치하고, 점착층(2)에 부착한다. 이상의 공정에서 점착 필름(1)이 완성된다. 그리고, 중박리 세퍼레이터(3) 및 경박리 세퍼레이터(4)의 형상 및 크기는 거의 동일해도 되지만, 어느 한 쪽이 다른 쪽보다 커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성의 관점에서, 경박리 세퍼레이터(4)가 중박리 세퍼레이터(3)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필름(1)은,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의 조립 등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박리 세퍼레이터(4)를 점착층(2)으로부터 박리시켜 점착층(2)의 점착면(2b)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2)의 점착면(2b)을 피착물 A1에 부착하고, 롤러 R 등으로 가압한다. 피착물 A1은,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보호 패널(유리 기판, 아크릴 수지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 터치 패널 등이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박리 세퍼레이터(3)를 점착층(2)으로부터 박리시켜 점착층(2)의 점착면(2c)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2)의 점착면(2c)을 피착물 A2에 부착하고, 가온·가압한다. 피착물 A2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보호 패널(유리 기판, 아크릴 수지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 터치 패널 등이다. 이상의 공정에서, 피착물 A1과 피착물 A2 사이에 점착층(2)이 배치된다. 점착층(2)은, 특히,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 사이, 또는 터치 패널과 액정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온셀(on-cell) 구조 또는 인셀(in-cell) 구조로 불리는 구조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온셀 구조 또는 인셀 구조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널 기능이 액정 패널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온셀 구조 또는 인셀 구조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는, 보호 패널, 편광판, 액정 패널(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는 액정 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착물 A1, A2는, 온셀 구조 또는 인셀 구조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의 보호 패널, 편광판, 액정 패널이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점착 필름(1)에 의하면, 세퍼레이터(3, 4)의 외연(3a, 4a)이 점착층(2)의 외연(2a)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점착층(2)의 외연부가, 점착 필름(1)의 보관·운반 시 등에 확실하게 보호된다. 또한, 중박리 세퍼레이터(3)의 점착층(2) 측의 면(3b)에는 블레이드 B에 의한 절입부(3c)가 형성된다.
절입부(3c)의 깊이 D가 지나치게 작으면, 점착층(2)의 절단이 불완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점착층(2)의 절단이 불완전하게 되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2)의 외연(2a) 중에서 중박리 세퍼레이터(3) 측의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잔편(殘片)(2d)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잔편(2d)이 형성되면,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박리 세퍼레이터(3)를 박리시켰을 때 잔편(2d)이 점착면(2c) 상에 접혀져서 점착층(2)의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점착 필름(1)에서는, 절입부(3c)의 깊이 D의 평균값은 5㎛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중박리 세퍼레이터(3) 측으로 블레이드 B가 확실하게 통과하여, 점착층(2)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절입부(3c)의 깊이 D가 지나치게 크면, 블레이드 B로 점착층(2)을 절단할 때 점착층(2)의 일부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입부(3c) 내에 깊게 들어갈 우려가 있다. 절입부(3c) 내로 깊게 들어간 부분(2e)은, 절입부(3c)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중박리 세퍼레이터(3)의 박리성이 저하되어 박리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박리 세퍼레이터(3)를 박리시킬 때 점착층(2)의 외연부가 뜯어져서 박리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점착 필름(1)에서는, 절입부(3c)의 깊이 D의 평균값은 45㎛ 이하로 되어 있다. 이로써, 블레이드 B로 점착층(2)을 절단할 때 점착층(2)의 일부가 절입부(3c) 내에 깊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입부(3c) 내로 점착층(2)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점착층(2)과 중박리 세퍼레이터(3)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입부(3c)의 깊이 D의 표준 편차는 15㎛ 이하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절입부(3c)의 깊이 D의 불균일이 작아지므로, 점착층(2)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고, 또한 점착층(2)과 중박리 세퍼레이터(3)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절입부(3c)의 깊이 D를 표준 편차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점착층(2)의 외연(2a)을 따르는 절입부(3c) 중, 전술한 깊이의 범위를 넘는 개소가 다소 존재하고 있어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점에 기초한 것이다.
여기서, 절입부(3c)의 깊이 D의 불균일이 크면, 점착층(2)의 절단 불량, 및 점착층(2)과 중박리 세퍼레이터(3) 사이의 박리 불량뿐만 아니라, 점착층(2)과 경박리 세퍼레이터(4) 사이의 박리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층(2)과 경박리 세퍼레이터(4) 사이의 박리 불량이란,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가 설계값보다 높아지는 것을 지칭한다. 이 경우에,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의 조립 시의 작업성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절입부(3c)의 깊이 D의 표준 편차를 15㎛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층(2)과 경박리 세퍼레이터(4) 사이의 박리 불량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점착층(2)과 경박리 세퍼레이터(4) 사이의 박리 불량이 쉽게 발생하는 요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절입부(3c)의 깊이 D가 불균일해짐에 따라 절입부(3c) 부근에서의 점착층(2)의 단면 형상이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이로써, 중박리 세퍼레이터(3)는 경박리 세퍼레이터(4)보다 점착층(2)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층(2)에는, 중박리 세퍼레이터(3) 측을 향해 블레이드 B가 통과하므로, 점착층(2)의 외연부가 중박리 세퍼레이터(3)로 가압된다. 이로써, 중박리 세퍼레이터(3)는 경박리 세퍼레이터(4)보다 점착층(2)으로부터 더욱 박리되기 어려워지고, 중박리 세퍼레이터(3)에 박리가 일어나기 전에 경박리 세퍼레이터(4)를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3, 4)를 한쪽씩 박리할 수 있어, 세퍼레이터(3, 4)를 박리시켜 점착층(2)을 피착물 A1, A2에 부착하는 작업을, 한쪽씩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2)의 25℃에서의 저장 탄성율은, 1.0×103 Pa 이상 1.0×106 Pa 이하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절입부(3c)의 깊이와 점착층(2)의 절단성 및 박리성의 관계가 더욱 밀접하게 되므로, 절입부(3c)의 깊이를 전술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된다.
또한, 점착층(2)의 유리 기판으로의 박리 강도는, 5N/10mm 이상 20N/10mm 이하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절입부(3c)의 깊이와 점착층(2)의 절단성 및 박리성의 관계가 더 한층 밀접하게 되므로, 절입부(3c)의 깊이를 전술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더 한층 현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점착 필름(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점착층(2) 두께가 175㎛인 점착 필름(1)의 제조]
중박리 세퍼레이터(3)를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후지모리 공업(주)사 제조), 경박리 세퍼레이터(4)를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후지모리 공업(주)사 제조)로 하고, 점착층(2)의 두께를 175㎛로 하여, 이하의 (I)~(V)의 수순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점착 필름(1)을 제조하였다.
(I) 이하의 A~C 성분을 포함하는, 상온에서 액상(液狀)의 점착제 조성물을 중박리 세퍼레이터(3) 상에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7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점착층(2)을 조제하였다.
A: 아크릴산계 유도체 폴리머 :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 7/3(질량비)으로부터 합성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만의 공중합체: 30질량부
B: 아크릴산계 유도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폴리알킬렌글리콜쇄와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 40/10/14/5(질량비): 69질량부
C: 중합 개시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질량부
그리고, 폴리알킬렌글리콜쇄와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는,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냉각관, 온도계, 교반 장치, 적하 깔때기 및 공기 주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폴리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2000) 303.92 g, ε-카프로락톤 2몰로 변성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플락셀 FA2D: 다이셀 화학 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상품명) 8.66 g,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99.74 g, p-메톡시페놀 O.12 g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5 g을 더하여 공기를 흐르게 하면서 75℃로 승온시키고, 나아가서는 75℃에서 교반하면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36.41 g을 2시간에 걸쳐 균일하게 적하시켜, 반응시켰다. 적하 종료 후, 5시간 반응시킨 후,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4.88 g을 반응액에 추가하여, 1시간 더 반응시켰다. IR 측정의 결과, 이소시아네이트가 소실된 것을 확인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로써, 폴리알킬렌글리콜쇄와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중량 평균 분자량 20000)를 얻었다.
상기 아크릴산계 유도체 폴리머 및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쇄와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하기의 장치 및 측정 조건을 사용하여 표준 폴리스티렌의 검량선을 사용해서 환산함으로써 결정된 값이다. 검량선의 작성 시에는, 표준 폴리스티렌으로서 5 샘플 세트(PSt Quick MP-H, PSt Quick B (도소(주) 제조, 상품명))를 사용하였다.
장치: 고속 GPC 장치 HCL-8320GPC(검출기: 시차 굴절계)(도소(주) 제조, 상품명)
사용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컬럼: 컬럼 TSKGEL SuperMultipore HZ-H(도소(주) 제조, 상품명)
컬럼 사이즈: 컬럼 길이 15 cm, 컬럼 내경 4.6 mm
측정 온도: 40℃
유량: 0.35 ml/분
시료 농도: 10mg/THF 5m1
주입량: 20㎕
(II) 점착층(2) 상에 가세퍼레이터(5)(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후지모리 공업(주), 두께 50㎛)를 적층시켰다.
(III) 220mm×180mm로 되도록 중박리 세퍼레이터(3), 점착층(2), 및 가세퍼레이터(5)를 직경 72mm의 로터리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하였다.
(IV) 점착층(2) 및 가세퍼레이터(5)를 205mm×160mm로 되도록 직경 72mm의 로터리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하였다. 실시에 1~4 및 비교예 1~2에서는, 로터리 식 타발 장치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에서는, 레시프로식 타발 장치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서의 중박리 세퍼레이터(3)에 대한 절입부(3c)의 깊이 D의 측정값,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측정값은, 도 2에 나타내는 12점에서 측정한 것이다.
(V) 가세퍼레이터(5)를 박리시키고, 215mm×170mm의 경박리 세퍼레이터(4)를 점착층(2) 상에 적층시켰다. 이 때, 경박리 세퍼레이터(4)의 장변이, 점착층(2)의 장변보다 5mm 돌출하도록, 또한, 경박리 세퍼레이터(4)의 단변이 점착층(2)의 단변보다 5mm 돌출하도록 적층시켰다.
그리고,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점착층(2)의 25℃에서의 저장 탄성율은, 약 2×105 Pa였다. 점착층(2)의 유리 기판으로의 25℃에서의 박리 강도는, 8N/10mm였다. 또한, 실시예 1~4에서의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약 1N/25mm이며,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약 0.3N/25mm였다.
저장 탄성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두께 250㎛의 점착층(2)을 상기와 마찬가지의 조성 및 조건에서 제조하고, 이것을 2장 중첩하여 두께 약 500㎛로 만들고, 한 변 10 mm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샘플 S를 제조한다. 2개의 샘플 S를 준비하고, 지그(100)를 개재시켜 광역동적점탄성 측정 장치에 세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100)는, 서로 대향하도록 광역동적점탄성 측정 장치에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 지그(100A, 100B)를 가지고 있다. 장착 지그(100A)에는, 장착 지그(100B)를 향하여 연장되는 플레이트 P1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 지그(100B)에는, 장착 지그(100A)를 향해 연장되고, 플레이트 P1의 각 면에 대향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 P2, P2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 P2와 플레이트 P1은, 샘플 S를 통하여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광역동적점탄성 측정 장치에 의해 장착 지그(100A, 100B)를 서로 이격시켜, 저장 탄성률을 측정한다. 광역동적점탄성 측정 장치로서는, Rheometric Scientific사에서 제조한 Solids Analyzer RSA-II를 사용하였고, 측정 조건은 「쉐어샌드위치모드, 주파수 1.0 Hz, 측정 온도 범위 -20~100℃에서 승온 속도 5℃/분」으로 하였다.
[점착층(2) 두께가 350㎛인 점착 필름(1)의 제조]
중박리 세퍼레이터(3)를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후지모리 공업(주)사 제조), 경박리 세퍼레이터(4)를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후지모리 공업(주)사 제조)로 하고, 점착층(2)의 두께를 350㎛로 하여, 실시예 1~4와 동일한 수순으로 실시예 5의 점착 필름(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에서의 절입부(3c)의 깊이 D의 측정값, 평균값, 및 표준 편차를 표 1에 나타낸다. 점착층(2)의 25℃에서의 저장 탄성율, 유리 기판으로의 박리 강도,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 및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는, 실시예 1~4와 거의 동일하였다.
[절단성의 평가]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절단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OK: 점착층(2)의 외측 부분의 제거가 용이함. 또는 외측 부분을 제거한 후에 점착층(2)의 외연(2a)에 잔편(2d)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
NG: 점착층(2)의 외측 부분의 제거가 곤란함. 또는 외측 부분을 제거한 후에 점착층(2)의 외연(2a)에 잔편(2d)이 형성되어 있음.
[중박리 세퍼레이터(3)의 박리성의 평가]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박리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OK: 중박리 세퍼레이터(3)를 박리시킨 후에 점착층(2)의 외연부에 뜯김이 일어나지 않음. 또는 점착층(2)의 외연부의 형상이 변화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음.
NG: 중박리 세퍼레이터(3)를 박리시킨 후에 점착층(2)의 외연부에 뜯김이 일어남. 또는 점착층(2)의 외연부의 형상이 변화되어 박리시키기 곤란함.
[경박리 세퍼레이터(4)의 박리성의 평가]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박리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OK: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가,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 낮고,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음.
NG: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가,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강도와 동등, 또는 이에 가까운 값이 되어 박리시키기 곤란함.
[표 1]
Figure pat00001
[평가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입부(3c)의 깊이 D의 평균값이 5㎛ 이상이면, 점착층(2)의 외연(2a)에 잔편(2d)이 형성되지 않고, 중박리 세퍼레이터(3)가 완전히 절단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절입부(3c)의 깊이 D의 평균값이 45㎛ 이하이면, 중박리 세퍼레이터(3)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절입부(3c)의 깊이 D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라도, 절입부(3c)의 깊이 D의 표준 편차가 15㎛를 초과하면, 점착층(2)의 절단 불량, 및 경박리 세퍼레이터(4)와 점착층(2) 사이의 박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비교예 3).

Claims (7)

  1. 필름형의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협지하는 한쌍의 기재(基材)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의 각각의 외연(外緣)은, 상기 점착층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한쪽의 상기 기재의 상기 점착층 측의 면에는, 상기 점착층의 상기 외연을 따라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상기 기재의 두께가 50㎛ 이상 200㎛ 이하이며,
    상기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이며,
    상기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인, 점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상기 기재와 상기 점착층 사이의 박리 강도가, 다른 쪽의 상기 기재와 상기 점착층 사이의 박리 강도보다 높게 되어 있는, 점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외연이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점착층의 외연의 각각의 변 상에 적어도 1개소씩 할당된 복수의 측정점에서의 상기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이며,
    상기 복수의 측정점에서의 상기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인, 점착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율은, 1.0×103 이상 1.0×106 Pa 이하인, 점착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유리 기판에 대한 박리 강도가 5N/10mm 이상 20N/10mm 이하인, 점착 필름.
  6. 필름형의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협지하는 한쌍의 기재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층을 한쪽의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모재(母材) 필름에 대하여, 상기 점착층 측으로부터 상기 한쪽의 상기 기재에 도달하는 깊이로 블레이드를 통과시켜, 상기 점착층의 외연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공정에서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한쪽의 상기 기재에 형성되는 절입부의 깊이의 평균값이, 5㎛ 이상 45㎛ 이하로 되고,
    상기 절입부의 깊이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한쪽의 상기 기재에 도달시키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 후에, 상기 점착층에 다른 쪽의 상기 기재를 부착시키는 부착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20102131A 2011-09-16 2012-09-14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300302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3447 2011-09-16
JP2011203447 2011-09-16
JPJP-P-2012-145805 2012-06-28
JP2012145805 2012-06-28
JPJP-P-2012-175137 2012-08-07
JP2012175137A JP5998730B2 (ja) 2011-09-16 2012-08-07 粘着フィルム及び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228A true KR20130030228A (ko) 2013-03-26

Family

ID=4788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2131A KR20130030228A (ko) 2011-09-16 2012-09-14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7418B2 (ko)
JP (1) JP5998730B2 (ko)
KR (1) KR20130030228A (ko)
CN (2) CN203021491U (ko)
TW (1) TWI5750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046A (ko) * 2018-02-13 2019-08-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8422B (zh) * 2013-10-21 2017-07-07 琳得科株式会社 树脂膜形成用片材
CN104485294A (zh) * 2014-12-12 2015-04-01 浙江中纳晶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晶圆临时键合及分离方法
CN113050545B (zh) * 2015-03-16 2023-08-15 彩滋公司 制备切割热粘合膜中的自动计算机辅助设计
DE102016201433A1 (de) * 2016-02-01 2017-08-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arbeiten und/oder Herstellen eines Bauteils
US10359391B2 (en) 2016-07-07 2019-07-23 e-SENS, Inc. Sensor with a membrane having full circumferential adhesion
US10464063B2 (en) * 2017-04-07 2019-11-05 e-SENS, Inc. Microfluidics chip with sensor die clamping structures
CN110132838B (zh) * 2018-02-09 2022-03-11 义乌市易开盖实业公司 覆膜材料附着力检测夹具及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786A (en) * 1971-05-28 1973-06-26 Avery Products Corp Transfer tape having non-contiguou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atterns
EP0298448B1 (en) 1987-07-08 1994-06-29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Radiation-curable adhesive tape
JPH0271878A (ja) 1988-09-08 1990-03-12 Kawasaki Steel Corp 細粒焼結鉱の篩分方法
JP2678655B2 (ja) 1989-03-20 1997-11-17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固着キャリヤの製造方法及びウエハ固定部材
JPH0321645A (ja) 1989-06-20 1991-01-30 Mitsui Toatsu Chem Inc 発泡ポリスチレン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74485A (ja) * 1989-08-17 1991-03-29 Tama Nukigata:Kk リング状両面接着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5035741A (en) 1989-10-13 1991-07-30 Safer, Inc. Fatty acid based emulsifiable concentrate having herbicidal activity
US5131686A (en) 1990-09-20 1992-07-21 Carlson Thomas S Method for producing identification cards
DE69131963T2 (de) 1990-11-13 2000-10-05 Mobil Oil Corp Polypropylenfolienmaterial mit verbesserter beständigkeit gegen schneiden
JPH0618383A (ja) 1992-06-30 1994-01-25 S R L:Kk 押圧器具
JP2759590B2 (ja) 1993-01-12 1998-05-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に貼着する粘着テープの貼着方法
JP3226065B2 (ja) 1993-06-28 200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単一波長半導体レーザ
JP3348923B2 (ja) 1993-07-27 2002-11-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ェハ貼着用粘着シート
JP3521099B2 (ja) 1994-11-29 2004-04-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ダイシング用リングフレームへの接着剤の付着防止用粘着シートおよび該粘着シートを備えたウェハ加工用シート
JPH08243997A (ja) 1995-03-10 1996-09-24 New Oji Paper Co Ltd ダイカット装置
JPH0985696A (ja) 1995-09-25 1997-03-31 Ckd Corp Ptpシートのチップ片打ち抜き装置
JP3722394B2 (ja) 1996-11-06 2005-11-3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ハーフカットセパレータ付きヒートシールコネクタ
JPH10291376A (ja) 1997-04-18 1998-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
JPH10335271A (ja) 1997-06-02 1998-12-18 Texas Instr Japan Ltd ウェハ貼着用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34281A (ja) 1997-07-14 1999-02-09 Somar Corp フィルム張付方法及び装置
JP3905628B2 (ja) 1997-10-22 2007-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張付制御方法
JPH11309792A (ja) 1998-04-28 1999-11-09 Sankyo Co Ltd 包装用袋の製造方法
JP2000212519A (ja) * 1999-01-25 2000-08-02 Nishiyodo Seisakusho:Kk 両面粘着材を被貼着体に自動貼着するための積層シ―ト巻回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21888A (ja) 1999-01-29 2000-08-11 Nitto Denko Corp 半導体ウエハ用粘着ラベルシート
JP2000254891A (ja) 1999-03-04 2000-09-19 Makita Corp ラベルシートのハーフカット装置
JP2001051604A (ja) 1999-08-17 2001-02-23 Sato Corp ラベル連続体
JP2001059074A (ja) 1999-08-24 2001-03-06 Nichiei Kako Kk ロール状粘着シート
JP3340979B2 (ja) 1999-09-06 2002-11-05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用粘着シート
JP2001162594A (ja) 1999-12-08 2001-06-19 Canon Inc 軟弱部材の加工供給装置及び方法
DE10052955A1 (de) 2000-10-25 2002-06-06 Tesa Ag Verwendung von Haftklebemassen mit anisotropen Eigenschaften für Stanzprodukte
KR101029235B1 (ko) 2001-08-10 2011-04-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싱용 점착 시트 및 다이싱 방법
JP2004043763A (ja) 2001-08-27 2004-02-12 Hitachi Chem Co Ltd 接着シート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39305B2 (ja) 2001-11-07 2006-11-01 日栄化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の型抜き方法
JP3941106B2 (ja) 2002-07-09 2007-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用テープ及びテープ印字装置
JP2004045812A (ja) 2002-07-12 2004-02-12 Brother Ind Ltd 印字媒体およびこれを収納したテープカセット
JP2004046763A (ja) 2002-07-12 2004-02-12 X Denshi Sekkei:Kk コンピュータによる自動制御装置
KR100468748B1 (ko) 2002-07-12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컷 다이싱 테이프와 범용 다이싱 테이프를 웨이퍼에 마운팅할 수 있는 다이싱 테이프 부착 장비 및 이를포함하는 인라인 시스템
JP2004047823A (ja) 2002-07-12 2004-02-12 Tokyo Seimitsu Co Ltd ダイシングテープ貼付装置およびバックグラインド・ダイシングテープ貼付システム
JP2004072040A (ja) 2002-08-09 2004-03-04 Lintec Corp 属性表示付ダイシング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7417B2 (ja) 2002-10-15 2008-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チップ状ワークの固定方法
JP5058428B2 (ja) 2003-01-15 2012-10-2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シートならびに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19409B2 (ja) 2003-02-24 2010-08-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4714406B2 (ja) 2003-03-03 2011-06-2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ダイボンディング材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5064239A (ja) 2003-08-12 2005-03-10 Lint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162818A (ja) 2003-12-01 2005-06-23 Hitachi Chem Co Ltd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シート
JP2005239759A (ja) 2004-02-24 2005-09-08 Nitto Shinko Kk フィルム粘着シート
US20050084641A1 (en) * 2004-05-14 2005-04-21 Glue Dots International, Llc Perforated adhesive dispensing sheets
JP4677758B2 (ja) * 2004-10-14 2011-04-2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ダイボンドダイシ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350520A (ja) 2004-06-08 2005-12-22 Hitachi Chem Co Ltd 接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4614126B2 (ja) * 2005-02-21 2011-01-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の巻取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413937B2 (ja) 2006-09-28 2014-0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DE602008006377D1 (de) 2007-05-02 2011-06-01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anordnung in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JP5388792B2 (ja) * 2009-10-23 2014-01-15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多層接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408571B2 (ja) * 2010-10-06 2014-02-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ウエハ加工用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046A (ko) * 2018-02-13 2019-08-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93999A (zh) 2013-03-27
CN203021491U (zh) 2013-06-26
US9327418B2 (en) 2016-05-03
TWI575051B (zh) 2017-03-21
TW201323564A (zh) 2013-06-16
US20130071596A1 (en) 2013-03-21
JP2014028907A (ja) 2014-02-13
JP5998730B2 (ja)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0228A (ko)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EP2816090B1 (e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EP3093832B1 (en) Image display device
JP6388023B2 (ja) 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
JP6340765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907570B1 (ko) 투명 점착 시트
WO2013161666A1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50299520A1 (en)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30018190A (ko) 점착 필름
JP6030316B2 (ja)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構成部材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185023A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997347B2 (ja)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これを用いた透明両面粘着シート付き画像表示装置用構成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40349100A1 (en)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349080A1 (en)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20125370A (ja) 光硬化性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光硬化性粘着シート、光硬化性粘着シート付き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構成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TWI824017B (zh) 表面保護薄片用黏著劑組成物及表面保護薄片
KR102567177B1 (ko) 표면 보호 시트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시트
JP6155793B2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4047345A (ja) 粘着フィルム
WO2021199787A1 (ja) 両面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33296A (ko)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 시트, 이형 필름을 가지는 점착시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TW202216939A (zh) 光硬化性組成物及透明黏著片
JP2020066671A (ja) 樹脂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