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581A - 혼합 유체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혼합 유체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581A
KR20130012581A KR1020127025534A KR20127025534A KR20130012581A KR 20130012581 A KR20130012581 A KR 20130012581A KR 1020127025534 A KR1020127025534 A KR 1020127025534A KR 20127025534 A KR20127025534 A KR 20127025534A KR 20130012581 A KR20130012581 A KR 2013001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mixed fluid
washing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미치 다니
류타로 다케다
Original Assignee
아이.택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택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택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41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one inner conduit of liquid surrounded by an external conduit of gas upstream the mixing chamber
    • B05B7/045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one inner conduit of liquid surrounded by an external conduit of gas upstream the mixing chamber the gas and liquid flows being parallel just upstream the mix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Abstract

미소 세정수 입자를 포함한 공기와의 혼합 유체를 분사하여, 도장 표면에 부착된 카본 등을 포함한 티끌을 제거할 수 있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혼합 유체 분사 장치(10)는, 유입된 공기(1)와 세제를 포함하는 세정수(3A)를 동일한 압력으로 하는 이류체 혼합 탱크(11)와, 이류체 혼합 탱크(11)로부터 접속하는 공기 통로(12)와, 세정수 통로(13A)와, 공기 통로(12)와 세정수 통로(13A)를 접속하여 세정수(3A)를 미소 세정수 입자로 형성하는 이젝터부(15)와, 압축된 공기(1)와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의 혼합 유체(5)를 고속으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16)을 구비하고,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를 포함한 혼합 유체(5)를 고속으로 분사함으로써,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를 파괴시켜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도장 표면으로부터 제거한다.

Description

혼합 유체 분사 장치{FLUID MIXTURE SPRAY DEVICE}
본 발명은 혼합 유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유체를 분사하여 차체의 표면에 부착된 잔류 오염 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세정수란, 세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단순한 물이나 순수, 물이나 순수에 세제가 포함되어 있는 액체를 말한다. 또, 간단히 「물」「순수」라고 한 경우에는, 세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물이나 순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차체의 도장(塗裝)면에 부착된 진흙이나 매연 등의 오염은, 고압수를 충돌 시킴으로써 대부분 제거할 수 있지만, 도장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은 고압수를 충돌시키는 것만으로는, 그 오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었다. 이 잔류 오염 물질의 대부분은, 카본 입자나 산화 규소로 이루어진 진흙의 미소한 입자인 것이 분석 결과에 의해 밝혀져 있다.
이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특허문헌 1에 알려져 있는 수작업용 청소 도구나, 브러시, 천, 스펀지 등으로 닦아냄으로써 행하여지고 있었다.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09888호 공보
그러나, 자동 세차 장치로 세차하는 경우, 수작업용 청소 도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행하는 것은,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세차 시간이 길어짐과 함께, 인건비를 필요로 하게 되어 있었다. 또, 브러시, 천, 스펀지 등으로 닦아내는 것은 차체에 상처를 내게 되어 있었다.
또, 고압수를 분사하여도 도무지 오염 물질의 미소한 잔류 입자를 제거할 수 없는 원인은, 오염 물질의 미소한 잔류 입자가 반데르발스력으로 도장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압수를 도장 표면에 분사하여 도장 표면에 충돌시켰을 때, 도장 표면 상에 「물의 막」을 발생시키게 되고, 고압수의 수류가 「물의 막」의 내측에 도달할 수 없어, 물의 막을 파괴하지 못하여 잔류 입자를 움직일 수 없는 것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장 표면에 충돌시키는 고압수 안에, 미소한 고형물이나 플라스틱 입자, 얼음, 전분 등의 미소분(微小粉), 화학 물질 등을 혼입시켜서, 도장 표면에 충돌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도장 자체를 파괴할 가능성이 있어, 「물의 막」만을 파괴하는 것에는 한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미소한 물의 입자를 발생시켜서, 도장 표면을 파괴하지 않고 「물의 막」만을 파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된 혼합 유체 분사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유체를 고속·고밀도로 분사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로서, 압축된 상기 공기가 흐르는 공기 통로에, 가압된 상기 세정수가 흐르는 세정수 통로를 합류시켜서, 상기 세정수의 미소 세정수 입자를 발생시키는 이젝터부를 형성하고, 당해 이젝터부에 접속된 노즐로부터, 압축된 상기 공기와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상기 세정수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공기와 물의 혼합 유체를 고속·고밀도로 분사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로서, 상기 공기와 상기 물을 각각 유입하고, 상기 공기와 상기 물을 동일한 압력으로 형성하는 이류체(二流體) 압력 발생 장치와, 상기 이류체 압력 발생 장치에 접속되고 일방에서 압축된 상기 공기를 유출하는 공기 통로와, 상기 이류체 압력 발생 장치에 접속되고 타방에서 압축된 상기 공기보다 적은 비율로 가압된 물을 유출하는 물 통로와, 상기 공기 통로의 일부를 협소하게 형성한 스로틀부를 배치하여 설치함과 함께, 상기 스로틀부를 향하여 가압된 상기 물을 유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에 합류시킴으로써, 가압된 상기 물이 입상화(粒狀化)되어 미소 물 입자를 형성하는 이젝터부와, 압축된 상기 공기와 미소 물 입자가 된 상기 물이 혼합된 혼합 유체를 외부에 고속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혼합 유체의 비율이, 압축된 상기 공기 용량:미소 물 입자가 된 상기 물 용량=99:1~94: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물 통로를 흐르는 가압된 상기 물은, 상기 이젝터부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서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물이, 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혼합 유체가, 공기와,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의 발명 중 어느 것에 관련된 것으로서, 차체를 세차하는 세차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혼합 유체를 상기 차체를 향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유체를 고속·고밀도로 분사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로서, 압축된 상기 공기를 유통하는 공기 통로와, 가압된 상기 세정수를 유통하는 세정수 통로와, 상기 공기 통로의 일부를 협소하게 형성한 스로틀부를 배치하여 설치함과 함께, 상기 스로틀부를 향하여 가압된 상기 세정수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에 합류시킴으로써, 가압된 상기 세정수가 입상화되어 미소 세정수 입자를 형성하는 이젝터부와, 상기 압축 공기와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상기 세정수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외부에 고속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혼합 유체의 비율이, 압축된 상기 공기 용량: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상기 세정수 용량=99.9:0.1~70: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8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세정수가, 물, 또는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9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액체에 포함되는 세제가, 계면 활성제 또는 알칼리제 또는 킬레이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혼합 유체 분사 장치는,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유체를 고속·고밀도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이젝터부에서 합류된 세정수는, 압축된 미소 세정수 입자를 형성하게 되고, 이 압축된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를 노즐로부터 분사하기 때문에, 피분사 물체가, 예를 들면, 차량이면, 차량의 도장면에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를 포함한 혼합 유체가 충돌함으로써, 차량의 도장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공기와 물은 동일한 압력으로 형성되는 이류체 압력 발생 장치로 유입된다. 동일한 압력으로 형성된 압축된 공기와 가압된 물은, 각각 유체 압력 발생 장치에 접속된 공기 통로 및 물 통로에서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물 통로에서 보내진 소량의 가압된 물은 이젝터부에 있어서 공기 통로에서 보내진 대량의 압축된 공기 내에 합류된다. 이젝터부에 있어서 공기 통로를 협소하게 형성한 스로틀부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서, 스로틀부에 의해 압축된 공기의 흐름이 가속되어, 베르누이의 법칙으로 공기의 압력이 떨어져 부압(負壓)이 발생한다. 이 부압 부분에 소량의 가압된 물이 흐르면, 가압된 물은 공기 중에서 입상으로 확산되어 미소 입자가 되어서 공기 통로 내에 유입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압축된 공기와 미소 물 입자가 된 물의 혼합 유체가 형성되게 된다. 이 혼합 유체를 고속이며 또한 고밀도로 노즐로부터 외부의 피분사 물체를 향하여 분출한다.
이 피분사 물체가, 예를 들면, 차량이면, 차량의 도장면에 미소 물 입자가 된 물을 포함한 혼합 유체가 충돌하게 된다. 이때, 미소 물 입자가 된 물이 집합된 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도장 표면에 충돌하면, 도장 표면에 일순간, 물의 막이 발생하지만, 물의 체적이 너무 작기 때문에, 물의 막은 두꺼워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직후에 미소 물 입자가 된 물이 충돌하는 것에 의해 얇은 물의 막이 파괴되고, 그 반복에 의해 물의 막이 단속적(斷續的)으로 파괴된다. 그리고, 물의 미소 입자가 오염 물질의 잔류 입자에 직접 충돌하게 되고, 잔류 입자가 도장 표면에 부착된 반데르발스력을 상회하게 되어, 잔류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피분사물이 차량이면, 차량의 도장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실험 결과에 있어서, 혼합 유체의 비율이, 압축된 공기 용량:미소 물 입자가 된 물 용량=99:1~94:6의 범위인 경우에, 예를 들면, 차량의 도장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있는 것이 실증되어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물 통로를 흐르는 가압된 물을, 압축된 공기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입시키는(예를 들면, 이젝터부 내에 엘보 형상의 파이프를 배치하여 설치하고, 물의 유입 안내를 하는) 것에 의해, 공기의 흐름 중에 미소 입자가 된 물의 흐름을 만들 수 있어, 물의 미소 입자(미소 물 입자)를 외부로 분사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물이 순수이기 때문에, 순수는, 물의 분자 이상의 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상태보다 물의 분자끼리의 사슬 형상의 연속, 클러스터가 분자 레벨에서의 작은 상태에 있어, 상당히 미소한 물의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혼합 유체가, 공기와,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혼합 유체에 있어서의 미소 액체 입자의 비율을 늘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의 비율을 늘림으로써,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혼합 액체의 확산을 방지하기 쉽게 하게 되기 때문에, 노즐의 분사구의 위치를 피분사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멀리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혼합 유체가 분사되는 피분사 물체가 차량이면, 혼합 분사 장치를 세차 장치 내에 배치하여 설치하고, 혼합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차량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혼합 유체는, 공기와, 세정수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압축된 공기와 가압된 세정수는, 각각 공기 통로 및 세정수 통로에서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세정수 통로에서 보내진 소량의 가압된 세정수는 이젝터부에 있어서 공기 통로에서 보내진 대량의 압축된 공기 내에 합류된다. 이젝터부에 있어서 공기 통로를 협소하게 형성한 스로틀부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서, 스로틀부에 의해 압축된 공기의 흐름이 가속되어, 베르누이의 법칙으로 공기의 압력이 떨어져 부압이 발생한다. 이 부압 부분에 소량의 가압된 세정수가 흐르면, 가압된 세정수는 공기 중에서 입상으로 확산되어 미소 입자가 되어서 공기 통로 내로 유입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압축된 공기와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의 혼합 유체가 형성되게 된다. 이 혼합 유체를 고속이며 또한 고밀도로 노즐로부터 외부의 피분사 물체를 향하여 분출한다.
이 피분사 물체가, 예를 들면, 차량이면, 차량의 도장면에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를 포함한 혼합 유체가 충돌하게 된다. 이때,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가 집합된 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도장 표면에 충돌하면, 도장 표면에 일순간, 세정수의 막이 발생하지만,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의 체적이 너무 작은 것이나, 세제의 표면 장력 저하 효과 등에 의해, 세정수의 막은 두꺼워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직후에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가 충돌하게 되어 얇은 세정수의 막이 파괴되고, 그 반복에 의해 액체의 막이 단속적으로 파괴된다. 그리고, 세정수의 미소 입자가 오염 물질의 잔류 입자에 직접 충돌하게 되고, 세제의 세정 효과에 더하여, 잔류 입자가 도장 표면에 부착된 반데르발스력을 상회하게 되어, 잔류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피분사물이 차량이면, 차량의 도장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세정수가 단순한 물인 경우, 혼합 유체는 공기와 단순한 물로 혼합된 것으로 형성된다. 이 혼합 유체에 있어서는, 공기의 비율이 크면, 혼합 유체가 노즐로부터 분사될 때에 대기에 부딪혀 확산되는 힘이 작용하는 점에서, 노즐로부터 멀어진 지점에서의 세정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노즐과 피분사물, 즉 차량과의 거리를 짧게 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문에, 혼합 유체가, 공기와 단순한 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와,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로서의 세정수로 구성함으로써, 혼합 유체에 있어서의 공기의 비율을 작게 할 수 있어, 노즐로부터의 분사 시에 확산되기 어려워져서, 노즐을 차량으로부터 멀리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유체의 비율에 있어서, 압축된 공기 용량: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 용량=99.9:0.1~70:30의 범위로 함으로써, 세정수의 비율을 크게 하여 혼합 유체에 있어서의 공기의 비율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을 차량으로부터 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실험 결과에 의해, 압축된 공기 용량: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 용량이 99.9:0.1~70:30이어도,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세정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물, 또는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이어도 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액체에 포함되는 세제가, 구체적으로는 계면 활성제 또는 알칼리제 또는 킬레이트제이면, 청구항 8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혼합 유체 분사 장치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이젝터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분사 노즐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순수 생성 장치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세차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제 분사 처리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동(同) 혼합 유체 분사 처리 공정의 복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동 건조 처리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동 최종 건조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노즐과 차체 표면의 거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세제 처리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순수 처리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혼합 유체 분사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로서는, 도 1의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사되는 혼합 유체(5)는, 공기(1)와 단순한 물, 혹은 공기(1)와 단순한 물로부터 생성된 순수(3)로 설명한다. 도 1은, 혼합 유체 분사 장치(10)의 플로우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공기(1)와 순수(3)의 이류체를 합류하여 미소 물 입자를 발생시키는 이젝터부(15)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혼합 유체 분사 장치(10)는, 공기(1)와 순수(3)를 유입하여 공기(1)의 압력과 순수(3)의 압력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이류체 압력 발생 장치(이하, 이류체 합류 탱크라고 한다.)(11)와, 이류체 합류 탱크(11)에 접속되어서, 압축된 공기(1)를 흘려보내는 공기 통로(12)와, 이류체 합류 탱크(11)에 접속되어서, 압축된 공기(1)보다 적은 비율로 가압된 순수(3)를 흘려보내는 물 통로(13)와, 공기 통로(12)와 물 통로(13)를 접속시킴과 함께 순수(3)의 미소 입자인 미소 물 입자를 발생시키는 이젝터부(15)와, 이젝터부(15)에 접속된 분사 노즐(1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류체 합류 탱크(11)에 유입되는 순수(3)는, 후술하는 순수 발생 장치에서 생성되고 있다. 이류체 합류 탱크(11)에서는, 공기(1)와 순수(3)를 동일한 압력, 예를 들면 0.7MPa~0.8MPa로 형성하여 그 압력 내에서 유출한다.
이젝터부(15)에 있어서는, 공기 통로(12)와 물 통로(13)는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관되고, 이젝터부(15)에 형성된 유입구(14)에, 물 통로(13)로부터 배관된 엘보(131)가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터부(15)의 공기 통로(12) 내에 있어서, 유입구(14) 측으로부터 공기 통로(12)의 하류측을 향하여 굴곡하는 L자 형상 파이프(17)가 매설되어 있다. L자 형상 파이프(17)는, 공기 통로(12) 내에 있어서, 관의 중심이 공기 통로(12)의 중심과 일치한 위치에 매설되어 있다.
한편, 이젝터부(15)는, 공기 통로(12)를 협소하게 한 스로틀부(15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유입측 단부(端部)(171)를 유입구(14) 측에 배치한 L자 형상 파이프(17)의 유출측 단부(172)는, 스로틀부(151) 내를 지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물 통로(13) 내를 흐르는 순수(3)는, 공기 통로(12) 내에 합류할 때에, 스로틀부(151)를 향하여 흐름과 함께, 이류체 합류 탱크(11)에서 압축된 공기(1)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서 합류되게 된다.
스로틀부(151)를 형성함으로써, 「베르누이의 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스로틀부(151)의 형성에 의해 공기 통로(12) 내를 흐르는 압축된 공기(1)의 유속이 가속되어 그 부위를 부압으로 할 수 있다. 부압으로 함으로써, 압축된 공기(1)와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온 압축된 공기(1)보다 적은 비율의 순수(3)는 입상으로 확산되어서 미소 물 입자가 되어 공기 통로(12) 내로 유입되게 된다. 대량의 압축된 공기(1)와 소량의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는, 혼합 유체(5)가 되어서 하류측으로 흐른다.
분사 노즐(16)은, 혼합 유체(5)를, 피분사 물체, 예를 들면, 차량(42)의 차체(42A) 표면에 가능한 한 넓은 범위에서 충돌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분사 노즐(16)의 선단에 이젝터부(15)보다 폭이 넓은 관(管) 형상의 어태치먼트(18)를 장착하고,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분사 노즐(161, 161)을 배치하고, 2개의 분사 노즐(161, 161)을 공기 통로(12)의 관 축을 중심으로 모터(162)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예를 들면 5개)의 분사 노즐(161)을 일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도 있다.
순수(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침투막식 순수 생성 장치(이하, 역침투막 모듈이라고 한다.)(30)에 의해 생성된다. 이 역침투막 모듈(30)은 역침투막법에 의해 순수(3)를 생성한다. 역침투막법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도가 옅은 희박 용액을 충전하는 제1조(31)와, 제1조(31)와 반투막(3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농도가 짙은 농후 용액을 충전하는 제2조(33)를 가지고 있다. 반투막(32)에는 물의 분자보다 약간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양 용액이 각 조에 충전되면, 도 4(a)와 같이, 용액은, 농도를 평형이 되도록 제1조(희박 용액측)(31)의 물의 분자가 반투막(32)을 지나 제2조(농후 용액측)(33)로 이동한다. 이것을 「침투」라고 부른다. 그리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농도가 평형에 도달했을 때, 양 액 사이에 생기는 압력차를 「침투압 P0」이라고 부른다.
이에 대하여,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조(농후 용액측)(33)에 침투압 P0 이상의 강제 압력 P를 가함으로써, 제2조(농후 용액측)(33)의 물의 분자가 제1조(희박 용액측)(31)로 이동한다. 이것을 「역침투압」이라고 부른다. 이 역침투압에 의해, 제2조(농후 용액측)(33)로부터 제1조(희박 용액측)(31)에 물의 분자만이 이동한다. 또한, 순수(3)를 제1조(31)로부터 취출하여 가압 탱크에 저류하고, 가압 탱크의 압력에 의해, 송출용 감압 밸브를 통하여 순수 공급구로부터 외부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혼합 유체 분사 장치(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기(1)와 역침투막 모듈(30)로 생성된 순수(3)는, 이류체 합류 탱크(11)에 유입되어서 가압되고, 동일한 압력(0.7MPa~0.8MPa)이 되어서 유출된다. 이류체 합류 탱크(11)에서 압축된 공기(1)는 공기 통로(12) 내를 하류측을 향하여 보내지고, 가압된 순수(3)는 물 통로(13) 내를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물 통로(13)를 통과한 가압된 순수(3)는, 이젝터부(15)에서 압축된 공기(1)와 합류한다. 이때, 가압된 순수(3)는, 이젝터부(15) 내에서 L자 형상 파이프(17) 내를 통과함으로써, 압축된 공기(1)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 통로(12) 내에 합류하게 된다.
압축된 공기(1)는 이젝터부(15)에 있어서, 스로틀부(151) 내를 돌입하면, 가속됨과 함께 압력이 저하된다. 압력이 저하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스로틀부(151)에서는 부압실이 형성되게 되고, 압축된 공기(1)보다 적은 비율의 순수(3)가 보내지게 된다. 소량의 순수(3)는 입상화되고 미소 물 입자가 되어서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압축된 공기(1)와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는 혼합 유체(5)가 되어, 분사 노즐(16)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분사되게 된다.
피분사 물체가, 예를 들면, 도 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42)의 차체(42A)이면, 분사된 혼합 유체(5)는,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가 집합된 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차체(42A)의 도장 표면에 충돌한다. 도장 표면에 일순간, 물의 막이 발생하지만, 물의 체적이 너무 작기 때문에, 물의 막은 두꺼워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직후에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가 충돌함에 따라 얇은 물의 막이 파괴되고, 그 반복에 의해 물의 막이 단속적으로 파괴된다. 그리고,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가 오염 물질의 잔류 입자에 직접 충돌하게 되고, 잔류 입자가 차체(42A)의 도장 표면에 부착된 반데르발스력을 상회하게 되어, 잔류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42)의 도장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의 세차 방법에 대하여, 도 5~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차량(42)을 세차 장치(41)에 정차시키고, 문형(門型)의 세차 장치(41)를 왕복 이동시켜서 세차하는 것이다. 이 세차 방법에서는,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접촉 세차로 세차하는 것이다.
무접촉 세차를 행하는 실시 형태의 세차 방법으로서는, 먼저, 차체(42A)에 부착된 큰 먼지나 티끌은, 세정제를 포함한 고압수(43)를 분사함으로써 제거되고, 도장 표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은,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를 포함한 고압의 혼합 유체(5)를 분사 노즐(16)로 분사함으로써 제거된다. 또한, 순수(3)를 생성함으로써 미소한 물의 입자를 형성함과 함께, 수돗물에 포함되는 칼슘염이나 마그네슘염 등의 미네랄분이 부착되어서 발생하는 얼룩을 방지하는 것이다. 모두 이동하는 세차 장치(41)로부터 차체(42A)를 향하여 각 유체를 분사시키는 점에서, 사람의 손이나 회전 브러시 등의 세차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5는, 제1 공정으로서, 세정제 분사 처리 공정 M1을 나타내는 것이며, 주행 가능한 문형의 세차 장치(41)가, 정차하고 있는 차량(42)을 걸치도록 하여 왕로 A를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하는 사이에 세정제를 포함한 고압수(43)를 분사하는 것이다. 세정제를 포함한 고압수(43)는 세차 장치(41)에 세정제 통로(44)를 개재하여 장착된 가동식 스프레이(45)로부터 분사된다. 세정제를 포함한 고압수(43)는, 차량(42)의 차체(42A)에 부착된 큰 먼지나 티끌을 제거한다.
도 6은, 제2 공정으로서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를 포함한 혼합 유체(5)를 분사하는 혼합 유체 분사 처리 공정 M2를 나타내는 것이며, 세차 장치(41)는 복로 B를 이동함으로써, 차체(42A)에 혼합 유체(5)를 고속으로 분사한다. 차량(42)의 상방이나 측방에 배치된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사된 혼합 유체(5)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체(42A)의 도장 표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미소 물 입자는 순수(3)인 점에서, 더욱 미소한 물 입자를 만듦과 동시에 차체(42A)에 분사한 순수(3)는, 수돗물의 미네랄분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얼룩 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차 장치(41)는, 왕로 A를 이동함으로써, 차체(42A)에 에어(46)를 분사하는 제3 공정으로서의 건조 처리 공정 M3으로 이행한다. 에어(46)는 세차 장치(41)의 상부 또는 측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에어 노즐(47)로부터, 차체(42A) 전체에 걸쳐 분사된다. 에어(46)를 분사함으로써, 차체(42A)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혼합 유체(5)의 순수(3)를 날려버린다.
건조 처리 공정 M3을 종료하고, 세차 장치(41)가 처음의 위치로 돌아가면, 마지막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공정으로서의 최종 건조 공정 M4로 이행한다. 이 공정에서는, 차량(42)이 세차 장치(41)를 통과하여 드라이 박스(48) 내로 이동한다. 드라이 박스(48) 내에서는, 수납된 차량(42) 전체에 걸쳐 도시 생략한 송풍기에 의하여 바람을 보내 건조시키고, 전(前)공정의 건조 처리 공정 M3에서 제거되지 않은 혼합 유체(5)의 순수(3)를,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무접촉 세차 방법에서는, 미소한 먼지나 티끌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를 포함한 혼합 유체(5)를 차체(42A)에 충돌시켜서, 차체(42A)에 부착된 먼지나 티끌을 제거하고, 차체(42A)에 세정액을 뿌려 회전 브러시 등으로 차체(42A)에 접촉시키는 작업을 삭제할 수 있어 무접촉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처리 공정에 있어서도, 자동적으로 세정제나 에어(46)를 분사할 수 있는 점에서, 모든 처리 공정을 무접촉으로 행할 수 있어, 완전한 무접촉 세차를 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체(42A)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고, 또한, 단시간에 세차를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혼합 유체가, 공기와, 물에 세제를 포함한 세정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이하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청구항 6에 관련된 발명의 효과의 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물이 세제를 포함하지 않는 단순한 물인 경우, 혼합 유체는 공기와 단순한 물로 혼합된 것으로 형성된다. 이 혼합 유체에 있어서는, 공기의 비율이 크기 때문에, 혼합 유체가 노즐로부터 분사될 때에 대기에 부딪혀 확산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혼합 유체가 확산되면 노즐의 구멍을 차체(42A) 표면에 가까이하지 않는 한 세정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분사 노즐(16)과 차체(42A)의 거리 H를 짧게 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혼합 유체(5A)가, 공기(1)와 단순한 물로 구성하는 혼합 유체가 아니라, 공기(1)와,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인 세정수(3A)로 구성함으로써, 혼합 유체(5A)에 있어서의 세정수(3A)의 비율을 많게 하고 공기(1)의 비율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사 노즐(16)으로부터의 분사 시에, 혼합 유체(5A)가 확산되기 어려워져서 분사 노즐(16)의 분사구와 차량(42)의 차체(42A) 표면의 거리 H를 10cm 정도 멀어지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실험 결과에 의해, 압축된 공기[이류체 합류 탱크(11)에서 압축된 공기(1)] 용량: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 용량이 99.9:0.1~70:30(바람직하게는, 99:1~94:6)이어도,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세정수(3A)는, 순수(3)에 계면 활성제 또는 알칼리제 또는 킬레이트제등의 세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계면 활성제는, 아니온 계면 활성제, 카티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등이다. 또, 알칼리제는, 가성소다, 탄산수소나트륨, 가성칼리, 탄산소다, 메타규산소다, 오르토규산소다, 세스키탄산소다 등이다. 또한,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EDTA)4아세트산, L글루타민산, 아미노카르본산 등 및 염류 등, 또는 사과산, 시트르산, 옥살산 등의 유기산 등 및 염류 등이다. 그 외로서, 과탄산소다, 과산화수소 등의 산소계, 차아염소산소다 등의 염소계 표백제 등, 또 각 성분을 활성화하기 위한 효소 등, 또 안정화를 위하여 C1~3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콜에테르류 등을 첨가하는 경우가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세정수(3A)를, 물[순수(3)]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를, 물 또는 순수(3)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로서의 세정수 3A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혼합 유체(5)는, 공기(1)와,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로서의 세정수(3A)로 이루어지는 혼합 유체(5A)가 되고,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물 통로(13)는, 세정수 통로(13A)가 되며, 세정수(3A), 혼합 유체(5A), 세정수 통로(13A) 이외의 부품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구성도 및 그 설명에 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 분사 노즐(16)과 차체(42A)의 사이의 거리 H의 설명을, 도 9에 나타내는 것으로써 추가함과 함께, 본 건의 작용 설명에 있어서, 도 10과 도 11을 도 6~7의 사이의 새로운 공정으로서 추가한다.
즉, 다음으로 실시 형태의 세차 방법에 대하여, 도 6~11에 기초하여 이하와같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42)을 세차 장치(41)에 정차시키고, 문형의 세차 장치(41)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세차하는 것이다. 이 세차 방법에서는, 사람의 손을 요하지 않는 무접촉 세차로 세차하는 것이다.
무접촉 세차를 행하는 실시 형태의 세차 방법으로서는, 먼저, 차체(42A)에 부착된 큰 먼지나 티끌은, 세정제를 포함한 고압수(43)를 분사함으로써 제거되고, 도장 표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은,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 (3A)를 포함한 고압의 혼합 유체(5)를 분사 노즐(16)로 분사함으로써 제거된다. 또한 순수(3)를 생성함으로써 미소한 물의 입자를 형성함과 함께, 수돗물에 포함되는 칼슘염이나 마그네슘염 등의 미네랄분이 부착되어서 발생하는 얼룩을 방지하는 것이다. 모두 이동하는 세차 장치(41)로부터 차체(42A)를 향하여 각 유체를 분사시키는 점에서, 사람의 손이나 회전 브러시 등의 세차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5~6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도 6에서 나타낸 혼합 유체 분사 처리 공정 M2의 후에, 세제를 흘려보내는 세제 처리 공정 M1, 순수 처리 공정 M2를 행한다.
도 6은, 제2 공정으로서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3A)를 포함한 혼합 유체(5A)를 분사하는 혼합 유체 분사 처리 공정 M2를 나타내는 것이며, 세차 장치(41)는 복로 B를 이동함으로써, 차체(42A)에 혼합 유체(5A)를 고속으로 분사한다. 차량(42)의 상방이나 측방에 배치된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사된 혼합 유체(5A)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체(42A)의 도장 표면에 부착된 소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이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제 처리 공정 M1로서 세차 장치(41)가 왕로 A를 이동하여 차체(42A) 표면에 부착된 세제를, 노즐(49)로부터 물을 분사함으로써 흘려 떨어뜨린다.
다음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수 처리 공정 M2로서 세차 장치 (41)는 복로 B를 이동하여, 차체(42A) 전체에 노즐(50)로부터 순수(3)를 가한다. 차체(42A)에 분사한 순수(3)에는, 수돗물의 미네랄 분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얼룩 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차 장치(41)는, 왕로 A를 이동함으로써, 차체(42A)에 에어(46)를 분사하는 제3 공정으로서의 건조 처리 공정 M3으로 이행한다. 에어(46)는 세차 장치(41)의 상부 또는 측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에어 노즐(47)로부터, 차체(42A) 전체에 걸쳐 분사된다. 에어(46)를 분사함으로써, 차체(42A)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혼합 유체(5)의 물을 날려보낸다.
건조 처리 공정 M3을 종료하고, 세차 장치(41)가 처음의 위치로 돌아가면, 마지막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공정으로서의 최종 건조 공정 M4로 이행한다. 이 공정에서는, 차량(42)이 세차 장치(41)를 통과하여 드라이 박스(48) 내로 이동한다. 드라이 박스(48) 내에서는, 수납된 차량(42) 전체에 걸쳐 도시 생략한 송풍기에 의하여 바람을 보내 건조시켜서, 전공정의 건조 처리 공정 M3에서 제거되지 않은 혼합 유체(5)의 물을,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무접촉 세차 방법에서는, 미소한 먼지나 티끌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3A)를 포함한 혼합 유체(5A)를 차체(42A)에 충돌시켜서, 차체(42A)에 부착된 먼지나 티끌을 제거하고, 차체(42A)에 세정액을 뿌려서 회전 브러시 등으로 차체(42A)에 접촉시키는 작업을 삭제할 수 있어 무접촉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처리 공정에 있어서도, 자동적으로 세정제나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점에서, 모든 처리 공정을 무접촉으로 행할 수 있어, 완전한 무접촉 세차를 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체(42A)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고, 또한, 단시간에 세차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유체 분사 장치에서는, 상기 서술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이젝터부(15)에 있어서는, 순수(3)(물)나 세정수(3A)를 압축된 공기(1)의 흐름의 방향을 따라 합류할 수 있는 것이면, L자 형상 파이프(17)를 매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무접촉 세차 방법에서는, 미소 물 입자가 된 순수(3)[(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세정수(3A)]를 포함한 혼합 유체(5)(5A)를 분사하여 세차 할 수 있으면, 세차 장치(41) 자체는 상기 서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노즐이나 분사 노즐(16)을 세차 장치(41)의 어느 장소에 어떠한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세차 장치(41)는, 문형으로 한정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세차 장치(41) 자체가 이동하지 않고 차량 측이 이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 혼합 유체 분사 장치(10)를, 세차 장치(41)에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직접 차체(42A)를 향하여 분사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차체(42A) 이외의 피분사 물체를 향하여 분사시켜도 된다.
1: 공기 3: 순수(물)
3A: 세정수 5: 혼합 유체
5A: 혼합 유체 10: 혼합 유체 분사 장치
11: 이류체 합류 탱크 12: 공기 통로
13: 물 통로 13A: 세정수 통로
15: 이젝터부 151: 스로틀부
16: 분사 노즐 17: L자 형상 파이프
42: 차량(피분사 물체) 42A: 차체

Claims (10)

  1.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유체를 고속·고밀도로 분사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로서,
    압축된 상기 공기가 흐르는 공기 통로에, 가압된 상기 세정수가 흐르는 세정수 통로를 합류시켜서, 상기 세정수의 미소 세정수 입자를 발생시키는 이젝터부를 형성하고, 당해 이젝터부에 접속된 노즐로부터, 압축된 상기 공기와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상기 세정수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2. 공기와 물의 혼합 유체를 고속·고밀도로 분사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로서,
    상기 공기와 상기 물을 각각 유입하여, 상기 공기와 상기 물을 동일한 압력으로 형성하는 이류체(二流體) 압력 발생 장치와,
    상기 이류체 압력 발생 장치에 접속되고 일방에서 압축된 상기 공기를 유출하는 공기 통로와,
    상기 이류체 압력 발생 장치에 접속되고 타방에서 압축된 상기 공기보다 적은 비율로 가압된 물을 유출하는 물 통로와,
    상기 공기 통로의 일부를 협소하게 형성한 스로틀부를 배치하여 설치함과 함께, 상기 스로틀부를 향하여 가압된 상기 물을 유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에 합류시킴으로써, 가압된 상기 물이 입상화(粒狀化)되어 미소 물 입자를 형성하는 이젝터부와,
    압축된 상기 공기와 미소 물 입자가 된 상기 물이 혼합된 혼합 유체를 외부로 고속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유체의 비율이, 압축된 상기 공기 용량:미소 물 입자가 된 상기 물 용량=99:1~94: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로를 흐르는 가압된 상기 물은, 상기 이젝터부에 있어서 압축된 상기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흘러서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유체가, 공기와,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차체를 세차하는 세차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혼합 유체를 상기 차체를 향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8.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유체를 고속·고밀도로 분사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로서,
    압축된 상기 공기를 유통하는 공기 통로와,
    가압된 상기 세정수를 유통하는 세정수 통로와,
    상기 공기 통로의 일부를 협소하게 형성한 스로틀부를 배치하여 설치함과 함께, 상기 스로틀부를 향하여 가압된 상기 세정수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 통로에 합류시킴으로써, 가압된 상기 세정수가 입상화되어 미소 세정수 입자를 형성하는 이젝터부와,
    압축된 상기 공기와 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상기 세정수가 혼합된 혼합 유체를 외부에 고속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혼합 유체의 비율이, 압축된 상기 공기 용량:미소 세정수 입자가 된 상기 세정수 용량=99.9:0.1~70: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물, 또는 물에 세제를 포함한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에 포함되는 세제가, 계면 활성제 또는 알칼리제 또는 킬레이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체 분사 장치.
KR1020127025534A 2010-03-31 2011-03-15 혼합 유체 분사 장치 KR20130012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1528 2010-03-31
JPJP-P-2010-081528 2010-03-31
JPJP-P-2010-286800 2010-12-23
JP2010286800A JP2011224541A (ja) 2010-03-31 2010-12-23 混合流体噴射装置
PCT/JP2011/055999 WO2011122325A1 (ja) 2010-03-31 2011-03-15 混合流体噴射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581A true KR20130012581A (ko) 2013-02-04

Family

ID=4471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534A KR20130012581A (ko) 2010-03-31 2011-03-15 혼합 유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325932A1 (ko)
EP (1) EP2554441A4 (ko)
JP (1) JP2011224541A (ko)
KR (1) KR20130012581A (ko)
CN (1) CN102822019B (ko)
HK (1) HK1178856A1 (ko)
WO (1) WO2011122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0873A (zh) * 2011-11-15 2012-07-18 马绍清 节水冲洗喷头
JP2014000558A (ja) * 2012-06-21 2014-01-09 Tohotech Corp 洗浄装置
ITMI20130782A1 (it) * 2013-05-13 2014-11-14 Fra Ber S R L Prodotti per autolavaggi a base enzimatica
JP6551962B2 (ja) * 2013-11-28 2019-07-31 Necエンベデッドプロダクツ株式会社 車載カメラの洗浄装置及び車載カメラの洗浄方法
WO2017169140A1 (ja) * 2016-03-31 2017-10-05 アスモ 株式会社 車載光学センサ洗浄装置
CN105862640A (zh) * 2016-05-31 2016-08-17 秦皇岛首创思泰意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水气清洗路面装置及其清洗方法
JP6558806B2 (ja) * 2016-06-27 2019-08-14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2018198742A (ja) * 2017-05-26 2018-12-20 株式会社ニイタカ 粉粒状洗剤自動供給装置用混合室及び粉粒状洗剤自動供給装置
WO2018230637A1 (ja) * 2017-06-16 2018-12-20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スパッタ飛散防止装置及び該スパッタ飛散防止装置を備えたフラッシュバット溶接機
CN107224879A (zh) * 2017-06-30 2017-10-03 河南新投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平板膜擦洗装置
JP6423495B1 (ja) * 2017-07-21 2018-11-14 株式会社メンテック ノズルキャップ、それを備えたノズル装置及び薬液の散布方法
CN109317442B (zh) * 2018-08-24 2020-07-03 湖南吉利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喷涂高速涡轮清洗装置
CN109204241B (zh) * 2018-09-26 2020-11-03 宁波中令清洁技术有限公司 一种清洗车辆表面的清洗方法
CN109807102A (zh) * 2019-02-20 2019-05-28 贵州工程应用技术学院 一种用于机械加工的切屑冲洗一体化装置
CN114789160B (zh) * 2022-03-29 2023-08-11 武汉宝钢华中贸易有限公司 一种矫直机的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728A (en) * 1982-03-26 1985-05-14 Northern Engineering Industries Plc Liquid fuel atomizer
US4537357A (en) * 1982-05-03 1985-08-27 Binks Manufacturing Company Spray guns
JPS6080961A (ja) * 1983-10-08 1985-05-08 Suzuki Giken Kogyo Kk 洗浄装置
JP2872704B2 (ja) 1989-09-25 1999-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疑似垂直同期信号挿入装置
DE4011891A1 (de) * 1990-04-12 1991-10-17 Lechler Gmbh & Co Kg Zweistoffzerstaeubungsduese
CN2178664Y (zh) * 1993-09-03 1994-10-05 四川省机械研究设计院 他驱式自动化洗车线
CN2212531Y (zh) * 1994-03-11 1995-11-15 徐州通域集团公司 全自动车辆清洗机
CN2191141Y (zh) * 1994-06-10 1995-03-08 袁立建 自动式汽车清洗机
US5553783A (en) * 1995-01-09 1996-09-10 Bete Fog Nozzle, Inc. Flat fan spray nozzle
CN2226547Y (zh) * 1995-05-19 1996-05-08 王之滇 洗车机
JPH09175341A (ja) * 1995-12-28 1997-07-08 Sumoto Seibiki Seisakusho:Kk 洗浄装置
US5899387A (en) * 1997-09-19 1999-05-04 Spraying Systems Co. Air assisted spray system
US6322003B1 (en) * 1999-06-11 2001-11-27 Spraying Systems Co. Air assisted spray nozzle
WO2001074495A1 (en) * 2000-04-04 2001-10-11 Johnsondiverse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ater sprays, and methods of cleaning using water sprays
JP2002011419A (ja) * 2000-06-28 2002-01-15 Hitachi Ltd 洗浄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洗浄装置
GB0122208D0 (en) * 2001-09-14 2001-11-07 Vincent Ltd G Spray gun
JP2003245614A (ja) * 2002-02-26 2003-09-02 Flowing Techno:Kk 洗浄装置
EP1501638B1 (en) * 2002-05-07 2010-06-09 Spraying Systems Co. Internal mix air atomizing spray nozzle assembly
US6997405B2 (en) * 2002-09-23 2006-02-14 Spraying Systems Co. External mix air atomizing spray nozzle assembly
JP4190341B2 (ja) * 2003-04-24 2008-12-03 シブヤマシナリー株式会社 手持ち操作用洗浄装置
DE10319582B4 (de) * 2003-04-24 2007-03-22 Lechler Gmbh Zweistoffsprühdüse
DE10349642A1 (de) * 2003-10-21 2005-05-19 Bielomatik Leuz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erosolerzeugung und Injektoreinheit
JP3109888U (ja) * 2005-01-18 2005-06-02 アイ・タック技研株式会社 手作業用清掃具
WO2006109356A1 (ja) * 2005-04-11 2006-10-19 Satoshi Miyashita 気液二層流放出装置及びその用途
JP2007216862A (ja) * 2006-02-17 2007-08-30 Takashi Yanai 洗浄装置
JP5311938B2 (ja) * 2008-09-08 2013-10-09 Ns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JP3155334U (ja) * 2009-09-01 2009-11-12 和綸企業股▲ふん▼有限公司 二流体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78856A1 (en) 2013-09-19
CN102822019B (zh) 2015-05-20
JP2011224541A (ja) 2011-11-10
US20120325932A1 (en) 2012-12-27
EP2554441A4 (en) 2015-02-25
EP2554441A1 (en) 2013-02-06
WO2011122325A1 (ja) 2011-10-06
CN102822019A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2581A (ko) 혼합 유체 분사 장치
JP2005296312A (ja) 洗浄方法
JP2007000837A (ja) 洗浄泡噴射ポンプ
JP4360407B2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2007136275A (ja) 洗浄装置
KR20110137745A (ko) 세정 방법 및 세정 장치
JP2013116441A (ja) 洗浄装置
JP4748247B2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2009082854A (ja) 純水生成ユニット及び純水洗車装置
JP2009154059A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20160066382A (ko) 초음파 세정 시스템
KR200437131Y1 (ko) 세차용 거품분사 유니트
JP4023453B2 (ja) 食器洗い機
JP2009283842A (ja) メタル版の洗浄方法
JP2015112506A (ja) 洗浄装置
JP4788800B2 (ja) 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WO2014148084A1 (ja) 濾過装置および濾過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H0586274B2 (ko)
JP2006081724A (ja) 浴室洗浄装置
JPH0810726A (ja) 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2010083342A (ja) 無接触洗車方法
KR101568924B1 (ko) 유체 노즐 및 기판 세정 장치, 및 기판의 세정 방법
JP2018015747A (ja) 微細気泡洗浄装置
JP7032726B2 (ja) 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2010188938A (ja) 洗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