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856A - 광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856A
KR20130009856A KR1020127030788A KR20127030788A KR20130009856A KR 20130009856 A KR20130009856 A KR 20130009856A KR 1020127030788 A KR1020127030788 A KR 1020127030788A KR 20127030788 A KR20127030788 A KR 20127030788A KR 20130009856 A KR20130009856 A KR 2013000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eth
photocurable composition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히코 기시
히로유키 미쿠니
가즈히로 히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736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89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96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3694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ublication of KR2013000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08C or C08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4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36/06Butadi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A)말단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B)포화지방족탄화수소계 일래스터머 및 (C)광중합 개시제로 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 탄성 봉합제로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조성물{PHOTOCURABLE COMPOSITION}
본 발명은 경화성 조성물에 관하고, 특히 자외선이나 가시광 등의 활성 에너지 선의 조사(照射)에 의해 신속하게 중합해, 각종 부재의 탄성 봉합제로서 유용한 광경화성 조성물에 관한다.
전기·전자기기 부품, 자동차 부품·광학 기기 부품, 각종 기계 부품 등을 조립 라인 접합해, 봉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고무 등에서 만들어진 성형 개스킷을 봉합면 사이에 개재시켜 압접(壓接)하는 방법이나 액상 봉합제를 봉합면 사이에 개재시켜 봉합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이 중 성형 개스킷을 이용하는 방법은, 펀칭에 의한 재료 손실이나 개스킷의 성형 가공비가 비싸다고 하는 문제나, 개스킷을 장시간 사용하면 내구성이 약화(弱化) 되어 볼트의 조임 토크다운이나 접면에서 빠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플랜지 면에 대기중의 수분과 반응해 경화하는 실온 경화형 실리콘 재료 (실리콘 RTV)나 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혐기성(嫌氣性) 액상 봉합제를 자동 도포기 등으로 도포하면서 그대로 달라 붙어서 봉합을 행하는 수법도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것들은 달라붙은 후의 봉합제 경화시간이 충분히 잡힌다고는 할 수 없고, 미 경화의 액상 봉합제가 내압에 의해 흘려서 빠짐이 생긴다고 하는, 이른바 초기 내압성의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근년, 빛에 의해 신속하게 경화해, 봉합제 조성물을 형성하는 수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여러 가지의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일례로서는, 다관능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가교(架橋) 환 구조를 가지는 2 관능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광중합 개시제로 되는 광경화성 조성물 (특허 제 2953598호 공보), 분자중에 (메타) 아크릴기와 가수분해성기를 가지는 폴리이소부틸렌, 광중합 개발제 및 습기 경화 촉매로 되는 빛 및 습기 경화성 조성물 (특개 2000-178535호 공보) 에폭시 수지, 고무상 폴리머 미립자, 무기 충전제, 열잠재성 에폭시 경화제 및 고연화점 폴리머 미립자로 되는 열경화성 조성물 (특개 2000-347203호 공보) 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충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경화성 봉합제 조성물 (특개 2001-163931호 공보)등이 있다.
봉합제는 일반적으로 그 경화물이 충분한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내용제성이나 투습 배리어(barrier)성 등에 뛰어나고, 또 고온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도 그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제 2953598호 일본 특개 2000-178535호 일본 특개 2000-347203호 일본 특개 2001-1639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봉합제로서 뛰어난 성능을 나타내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화물이 특히 내용제성, 투습 배리어성,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액정표시소자, 유기EL소자, 색소증감형 태양전지, 전자페이퍼, 리튬이온전지, 포리아센전지, 옥시라이드전지, 커패시터, 연료전지 등의 봉합제로서 특히 유용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화물이 고온 조건하에서도 충분한 봉합기능을 갖고, 자동차 엔진부 등의 고열이 걸리기 쉬운 부재의 봉합제로서 특히 유용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제 1 에, (A)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B) 포화 지방족탄화수소계 일래스터머 및 (C) 광중합 개시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2 에,
(A) 성분의 일반식:
Figure pat00001

(식 중, Rl및 R2는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R3및 R4는 각각 독립해 단순한 연결기, 산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6의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x:y =0 ~ 100 : 100 ~ 0, n은 15 ~ 150이다)로 나타내는 상기 제 1의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3 에, 더욱이 (D) 탄소수 5 이상의 쇄상지방족 또는 지환식단관능(메타)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상기 제 l 및 제 2의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4 에,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B) 성분이 20 ~ 80 중량부, (C) 성분이 0.5 ~ 5 중량부 및 (D) 성분이 0 ~ 80 중량부 이하인 상기 제 1 ~ 제 3의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5 에, (B) 성분이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이소부틸렌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상기 제 1 ~ 제 4의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6 에, (B) 성분이 5,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상기 제 1 ~ 제 5의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7 에, (B) 성분이 분자량 500 ~ 50,000의 폴리이소부틸렌이며, (B)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A) 성분이 20 ~ 60 중량부인 상기 제 1 및 제 2의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8 에,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의 JIS K6262 시험에 있어서 150℃의 압축 영구 일그러짐이 20 % 이하인 상기 제 7의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9 에, (B) 성분의 일반식:
Figure pat00002
(R l, R 2 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m은 8 ~ 800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폴리이소부틸렌인 상기 제 7 및 제 8의 광경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10 에, (B) 성분의 분자량이 2,000 ~ 50,000인 상기 제 7 ~ 제 9의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제 11 에, 접합해 봉합해야 할 고체기재상(基材上)에 상기 제 l ~ 제 10의 어느 것인가의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빛을 조사해서 그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방법이다.
발명의 실시의 태양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의 (A) 성분은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이다. 여기서 「(메타) 아크릴로일기」라는 용어는, 아크릴로일기 및 /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의미한다.
(A) 성분은, 분자 구조로서 주 골격이 수소첨가(수소화)된 폴리부타디엔 골격을 갖고, 말단에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것이고,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분자와 (메타) 아크릴로일기 와는 직접 또는 적당의 2가의 결합기로 결합 되고 있다. 그 전형 예는 상기의 일반식 (1)에서 나타난다. 주 골격의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의 반복 단위를 구성하는 수소첨가 부타디엔 단위는, 수소첨가l, 2-부타디엔 단위 단독, 수소첨가l, 4-부타디엔 단위 단독 또는 양자의 병용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즉 x:y = 0 ~ 100 : 100 ~ 0)이, 수소첨가l, 2-부타디엔 단위(x) 수소첨가l, 4-부타디엔 단위 (y) =10 ~ 100 : 90 ~ 0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 95 : 80 : 5의 병용계(倂用系)가 바람직하다. (A) 성분은, 통상, 부타디엔을 나트륨 촉매에 의한 음이온 중합법이나 프리델 크라프트( Fridel-crafts)촉매에 의한 양이온 중합법등으로 중합 시켜 액상 폴리부타디엔을 만들어, 이것을 천이금속 등의 수소첨가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화한 후, 말단에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액상 물질이며, 시판품에서 적당히 선택해 이용할 수가 있다.
(B) 성분의 포화 지방족탄화수소 일래스터머는, 주 골격이 포화 지방족탄화수소인 일래스터머를 말하고, 분자 말단은 제조 방법 등에 따라 알릴기 등의 불포화기라도 괜찮다. (B) 성분은 (A) 성분과의 상용성이 뛰어나고 한편 상온에서도 고무탄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부틸렌이 바람직하다.
(C) 성분의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적당히 이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는, 화학 구조 (분자 결합 에넬기)의 차에 의해, 분자내 개열형(開裂型) (P1 형)과 수소 빼내기형 (P2 형)으로 분류된다. Pl 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트리클로로아세트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2-히드록시-2-메틸-l-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l-온, 1-(4-도데실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등의 아세트페논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질 디메틸 케탈등의 벤조인류, 아실포시핀옥사이드류, 티타노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P 2 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익에시드, 벤조일벤조익에시드메틸에테르,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졸-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메틸-4-메톡시벤조페논등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 2-크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 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등의 티옥산톤등을 들 수 있다.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1 종으로 이용해도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고, PI 형끼리, P2 형끼리 혹은 P1 형과 P2 형을 병용해도 좋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광중합을 행함에 충분한 양이면 좋고, 조성물중의 수지성분 100 중량부 당 0.1 ~ 10 중량부, 특히 0.5 ~ 5 중량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D) 성분은 탄소수 5 이상의 쇄상지방족 또는 지환식단관능 (메타) 아크릴레이트모노머이며, 지방족쇄부분의 직쇄(直鎖)의 탄소수가 5 ~ 20의 것이 바람직하고, 8 ~ 16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단관능 (메타) 아크릴레이트에는 수산기나 아미노기등의 극성을 가진 구조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에스테르 부분인 쇄상지방족 및, 지환식의 부분은 탄화수소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쇄상지방족단관능 (메타) 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 아크릴레이트, 헥사디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지환식 (메타) 아크릴레이트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시클로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시크로펜타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시크로펜테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 (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본 발명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른 첨가제를 적량 배합해도 좋다. 다른 첨가제로서는, 증감제, 안료, 염료등의 착색제, 중합 금지제, 안제(顔劑), 소포제, 커플링제, 유기나 무기 충전제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액상의 봉합제로서 접합해야 할 기재에 도포하고, 상법에 의해 광 조사해서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의 분야의 봉합제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되지만, 봉합제의 요구 특성에 따라 성분이나 양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l의 태양은, 경화물이 내용제성, 투습 배리어성,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나 액정표시소자, 유기EL소자, 색소증감형 태양전지, 전자페이퍼, 리튬이온전지, 포리아센전지, 옥시라이드전지, 커패시터, 연료전지 등의 봉합제로서 특히 유용한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이 경우는,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B) 성분이 20 ~ 80 중량부, (C) 성분이 촉매량, 특히 0.5 ~ 5 중량부, (D) 성분이 0 ~ 8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60 중량부의 배합 비율이 바람직하고, (A) 성분으로서는 분자량이 500 ~ 5,000 의 저분자량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1의 태양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내용제성, 투습 배리어성, 유연성, 내충격성을 겸비한 경화물을 주어 색소증감형 태양전지 등으로 접착시킬 수 있는 용도에 있어서 봉합제로서 이용했을 경우, 히트 사이클에 의한 피착재의 팽창, 수축에 추종할 수 있고, 접착계면에 생기는 응력을 흡수, 완화할 수가 있다. (D) 성분을 병용한 경우는, 더욱이 경화시에 있어서 표면 턱성(tuck 性)의 저감성으로부터, CIPG 나 봉지제 표면이 오픈이 되는 부위에의 매우 적합한 사용도 가능해진다.
제 2의 태양은, 경화물이 고온 조건하에서도 충분한 봉합기능을 갖고, 자동차 엔진부등의 고열이 걸리기 쉬운 부재의 봉합제로서 특히 유용한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이 경우는, 조성물이 (A) 성분 ~ (C) 성분으로 되고, (B) 성분이 분자량 500 ~ 50,000, 바람직하게는 2,000 ~ 50,000의 폴리이소부틸렌이며, (B)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A) 성분이 20 ~ 60 중량부, (C) 성분이 촉매량, 특히 0.5 ~ 5 중량부의 배합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소부틸렌의 전형 예는 상기의 일반식 (2)에서 표시하며, 시판품에서 적당히 선택해 이용할 수가 있다.
이 제 2의 태양의 조성물은, 그 경화물이 JIS K6262 시험에 있어서 150℃에서의 압축 영구 일그러짐이 20%이하인 탄성 봉합제를 제공할 수 있어 특히 자동차 엔진부 등 내열성이 요구되는 부재의 봉합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예에 의해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제 1의 태양의 실시예 :
이용한 재료는 이하와 같다. 말단에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수첨 폴리부타디엔 (A)으로서 「TEAI1000」(니뽄소다츠사제), 「SPBDA」(오사카유기사제), 또, 성분 (A)의 비교로서 「TEAl000」(니뽄소다츠사제 말단에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미수첨 폴리부타디엔)「UE8200」 (다이니폰잉크사제 에폭시아크릴레이트), 「UE800l」(쿄에이샤카가꾸사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포화 지방족 일래스터머 (B)로서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 BI2000 」 : 니뽄소다츠사제), 폴리이소부틸렌 (「G1000」및 「G3000」: BASF 재팬사제, 성분 (C)의 비교로서 미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BI2000」: 니뽄소다츠사제), 폴리이소플렌(LIR-30) : 쿠라레사제), 광중합 개시제 (C)로서 「이르가큐어(Irgacure)184」 (#184, 치바·스페샬티·케미컬즈사제), 탄소수가 5 이상의 쇄상지방족 및 지환식단관능 (메타) 아크릴레이트 성분 (D)으로서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IBXA),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INA), 라우릴아크릴레이트 (LA), 성분 (D)의 비교로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n-BA),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EMA) N, 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MMA).
이러한 재료를, 표 1 ~ 3(표 중에 기재한 배합량은 중량부를 의미한다)에 표시한바와 같이 배합하고, 믹서를 이용해 50℃에서 1 시간 교반(攪拌)하여 각 조성물을 얻었다. 얻은 각 조성물을 다음에 나타내는 각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하고, 그 의미를 표 1 ~ 표 3 에 아울러 기재했다.
[ 상용성 시험 ]
상용성의 확인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근거한 각 조성물을 50mL 유리병에 약 20g 넣어 25℃에서 24 시간 방치 후의 분리 상태를 눈으로 봐서 확인하고, 분리 없음을 ○, 분리 있음을 ×로서 판정했다.
[ 경도 시험 ]
수지 경도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근거한 각 조성물 약 2g을 25φ의 폴리캡에 넣어 자외선을 3000mJ/㎠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경도계 (티로메타 타입A)에서 임의 5점 측정하여 그 값의 평균으로 했다. 목표치는 50 이하로 했다.
[ 내용제성 시험 ]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근거한 각 조성물 약 2g을 25φ의 폴리캡에 넣어 자외선을 3000mJ/㎠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아세트니트릴에 앞의 경화물을 중량 측정 후에 침지(浸漬) 시켰다 (조건: 60℃×96시간). 그 후, 경화물을 꺼내, 표면에 가볍게 와이프 해서 중량을 측정하여, 침지 전과의 중량 변화율을 구했다. 목표치는 중량 분율로 ±15% 이하로 했다.
[ 투습도 시험 ]
JIS Z 0208에 기초하여 측정을 행했다 (측정 조건: 60℃×95%RH).
측정막의 작성은, 폴리불화 에틸렌제 판 위에 수지를 코팅 해(막두깨 약 100 미크론), 자외선을 3000mJ/㎠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을 지정 용기 형상으로 컷하여, 염화 칼슘을 약 1g용기에 넣어 양생시켰다. 측정은 24시간 후의 중량을 기준치로 하고, 그 후 시간 경과로 중량 변화가 포화한 시점을 종점으로 했다. 목표치는 80g/㎠·24h로 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참고예8
TEAI10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SPBDA 100
TEA1000
UF8001
UE8200
G1000 20 40 50 60 80 50
G3000 50
BI2000 50
EP600A
LIR-30
이르가큐어184 2.5 2.5 2.5 2.5 2.5 2.5 2.5 2.5
상용성
경도(A) 50 42 33 27 19 32 27 30
내용제성
(%)
14.7 12.5 9.1 5.2 4.7 7.1 11.0 10.1
투습도
(g/㎠·4h)
54.0 49.4 48.7 44.4 37.9 53.2 27.2 68.0
참고예9 참고예10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TEAI1000 100 100 100
SPBDA
TEA1000 100
UF8001 100
UE8200 100
G1000 15 85 50 50 50
G3000
BI2000
EP600A
LIR-30 50
이르가큐어 184 2.5 2.5 2.5 2.5 2.5 2.5
상용성 × × ×
경도(A) 67 18 48 - - -
내용제성(%) 27.7 6.4 18.2 - - -
투습도
(g/㎠·4h)
66.7 118.8 198.8 - - -
표 1 및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말단에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미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의 경우에는, 내용제성과 투습도가 주쇄(主鎖)가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의 경우와 비교해 모두 충분한 결과는 얻을 수 없다. 한편, 중합체 주쇄(主鎖)가 우레탄아크릴레이트나 에폭시아크릴레이트의 경우는 (B) 성분과의 상용성이 나빠진다. 포화 지방족 일래스터머가 적으면 내용제성이 저하하고, 또 너무 많으면 투습성이 저하한다. 또, 포화 지방족 일래스터머의 주쇄(主鎖)가, 탄소수 5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폴리이소프로플렌에서는 상용성이 나빠진다.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TEAI1000 100 100 100 100 100 100
SPBDA
TEA1000
UF8001
UE8200
IBXA 25 50 75 50
INA 50
LA 50
n-BA
HEMA
DMMA
G1000 50 50 50 50 50
G3000 50
이르가큐어184 2.5 2.5 2.5 2.5 2.5 2.5
상용성
경도(A) 35 47 66 35 22 20
내용제성(%) 5.0 6.4 9.2 14.0 9.8 10.1
투습도
(g/㎠·4h)
43.9 43.9 43.5 59.8 77.9 71.9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TEAI1000 100 100 100 100
SPBDA
TEA1000
UF8001
UE8200
IBXA 85
INA
LA
n-BA 50
HEMA 50
DMMA 25
G1000 50 50 50 25
G3000
이르가큐어184 2.5 2.5 2.5 2.5
상용성 ×
경도(A) 80 30 56 -
내용제성(%) 14.1 18.9 6.7 -
투습도(g/㎠·4h) 36.2 86.6 88.1 -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수가 5이상의 쇄상지방족 또는 지환식단관능 (메타) 아크릴레이트를 (A) 성분에 대해서 80 중량부 이상 첨가하면, 내용제성 및 투습성은 우수하지만 유연성을 얻을 수 없다. 또, 탄소수가 5 미만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성분을 첨가하면, 수지의 상용성이 나빠져서, 투습성도 저하한다.
제 2의 태양의 실시 예 :
이용한 재료는 다음과 같다. EP600A(가네후치카가꾸고교사제 말단 아릴화 폴리이소부틸렌 (분자량 20,000)), EP400A(가네후치카가꾸고교사제 말단 아릴화 폴리 이소부틸렌 (분자량 10,000)), EP200A(가네후치카가꾸고교사제 말단 아릴화 폴리이소부틸렌 (분자량 5,000)), G3000(BASF사제 폴리이소부틸렌 (분자량 2,200)), EP100S(가네후치카가꾸고교사제 말단 알콕시시릴화 폴리이소부틸렌), SPBDA(오사카유기사제 말단 아크릴로일화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분자량 6,000)), L-1253(크레이톤 폴리머 재팬사제 한쪽 말단 메타아크릴로일화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BAC-45(오사카유기사제 말단 아크릴로일화 미수첨 폴리부타디엔), UC-l02(크라레사제 말단 아크릴로일화 수첨 폴리이소플렌), L-207(크레이톤폴리머 재펜사제 말단 에폭시화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다로큐아(Darocure) 1173(니뽄치바가이기사제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 1-온)), Rhodorsil 2074(Rhodia사제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트리크밀) 요드늄테트라키스 (펜타플로로페닐) 보레이트)).
이것들 재료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 교반해서 각각의 시료를 조제했다. 얻은 각 시료에 대해 아래의 항목에 나타낸 평가 시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 상용성 시험 ]
상용성의 확인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근거한 각 조성물을 50mL 유리병에 약 20g 넣어 25℃에서 24시간 방치 후의 액의 상태를 눈으로 봐서 관찰했다.
[ 광경화성 시험 ]
광경화성은,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근거한 각 조성물 약 3g을 25φ의 폴리캡에 넣어 3,000mJ/㎠에서 경화시켜, 경화 상태를 눈으로 봐서 관찰했다.
[ 경도 시험 ]
수지 경도는 광경화성 확인 시험에 이용한 경화물을 2매 겹쳐 경도계 (티로메타 타입 A 또는 C )에서 임의 5점의 측정치의 평균으로 했다.
[ 압축 영구 일그러짐 시험 후 경화물의 상태, 압축 영구 일그러짐 시험 ]
압축 영구 일그러짐 시험은 아래 조작(JIS K6262 시험)에 의해 행했다. 즉, 직경 29.0 ± 0.5mm, 두께 12.5 ± 0.3mm의 원반상에 경화시킨 각 조성물을, 표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한 스텐레스 강판 사이에 끼워, 볼트/낙트에 의해 두께 9.38 ± 0.01mm의 연강제 스펜서의 두께가 될 때까지 압축한다. 이 시험편을 150℃의 항온조에서 72시간 방치 후, 압축 장치로부터 재빠르게 꺼내, 23 ± 5℃에서 약 30분간 방치한다. 소정 시간 경과 후, 경화물의 외관 관찰과 두께 측정을 행한다. 또한 압축 영구 일그러짐은 아래 식에 의해 계산했다.
Figure pat00003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비교예14
EP600A 100 100 100 100
EP400A 100
EP200A 100
G3000 100
EP100S
SPBDA 20 40 60 40 40 40
L-1253 40
BAC-45
UC-102
L-207
Darocure 1173 2 2 2 2 2 2 2
Rhodial 2074
비교예15 비교예16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EP600A 100 100 100 100 100 100
EP400A
EP200A
G3000
EP100S 100
SPBDA 15 65 40
L-1253
BAC-45 40
UC-102 40
L-207 40 60
Darocure 1173 2 2 2 2 2
Rhodial 2074 2 2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비교예14
상용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광경화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경도 10(C) 2(A) 12(A) 3(A) 4(A) 10(C) 5(A)
영구압축일그러짐 시험후의경화물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영구압축일그러짐(%) 0 0 5.0 8.3 8.3 2.0 1.5
비교예15 비교예16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상용성 양호 양호 양호 분리 백탁
(白濁)
백탁
(白濁)
백탁
(白濁)
광경화성 겔상 양호 양호 경화하지않음 경화하지않음 경화하지않음 겔상
경도 측정불능 15(A) 3(A) - - - 측정불능
영구압축일그러짐
시험후의경화물상태

블리드

붕괴

붕괴

-

-

-

블리드
영구압축일그러짐(%) - - - - - - 260
-은 미측정을 나타냄
상기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적 고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 100 중량부에 (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20 ~ 60 중량부를 배합하면, 상용성이 양호하다는 것과 함께, 광경화성도 양호해지고, 더욱더 압축 영구 일그러짐 시험 결과도 양호하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액정표시소자, 유기EL소자, 색소증감형 태양전지, 전자 페이퍼, 리튬이온전지, 포리아센전지, 옥시라이드전지, 커페시터, 연료전지나 자동차 엔진부 등의 고열이 걸리기 쉬운 부재 등의 봉합제로서 쓰인다.

Claims (1)

  1. 접합하고 봉합해야 할 고체 기재상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빛을 조사하여 그 조성물을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방법으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A) 양 말단에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수소첨가 폴리부타디엔, (B)수평균 분자량 5,000 ~ 20,000의 폴리이소부틸렌 화합물 및 (C)광중합 개시제를 필수성분으로 함유하고,
    (A) 성분은 일반 식 (1)
    Figure pat00004

    (식 (1)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R3 및 R4 는 각각 독립한 2가의 연결기, 산소원자 또는 탄소수 1 ~ 16의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x:y =0 : 100 ~ 100 : 0, n은 15 ~ 150이다)로 나타내지고,
    (B) 성분은 일반 식(2)
    Figure pat00005

    (식 (2) 중, R1 및 R2가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이고, m은 8 ~ 800이다)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B)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A)성분이 20~60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의 JIS K 6262 시험에 있어서 150℃에서의 압축영구 뒤틀림이 20%이하인, 봉합방법.
KR1020127030788A 2004-06-25 2005-06-24 광경화성 조성물 KR20130009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187360 2004-06-25
JP2004187360A JP4918962B2 (ja) 2004-06-25 2004-06-25 光硬化性組成物
JPJP-P-2004-219612 2004-07-28
JP2004219612A JP2006036947A (ja) 2004-07-28 2004-07-28 放射線硬化性組成物
PCT/JP2005/012170 WO2006001522A1 (ja) 2004-06-25 2005-06-24 光硬化性組成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719A Division KR20120023123A (ko) 2004-06-25 2005-06-24 광경화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856A true KR20130009856A (ko) 2013-01-23

Family

ID=357819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719A KR20120023123A (ko) 2004-06-25 2005-06-24 광경화성 조성물
KR1020127030788A KR20130009856A (ko) 2004-06-25 2005-06-24 광경화성 조성물
KR1020067026613A KR20070039880A (ko) 2004-06-25 2005-06-24 광경화성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719A KR20120023123A (ko) 2004-06-25 2005-06-24 광경화성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613A KR20070039880A (ko) 2004-06-25 2005-06-24 광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20120023123A (ko)
TW (1) TWI401297B (ko)
WO (1) WO2006001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9713B2 (ja) * 2006-11-10 2013-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色素増感型太陽電池
KR101747179B1 (ko) 2010-08-18 2017-06-14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고온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복사선 경화성 임시 적층 접착제
JP6325984B2 (ja) * 2012-11-30 2018-05-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接着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5695101B2 (ja) * 2013-02-04 2015-04-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5675861B2 (ja) * 2013-02-04 2015-0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シール材、及び装置
JP5675862B2 (ja) * 2013-02-04 2015-0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5695102B2 (ja) * 2013-02-04 2015-04-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EP2952526B1 (en) * 2013-02-04 2018-04-18 Bridgestone Corporation Photocurable elastomer composition, seal material, gasket for hard disk drive, hard disk drive and device
JP5695100B2 (ja) * 2013-02-04 2015-04-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EP2952528B1 (en) 2013-02-04 2017-11-15 Bridgestone Corporation Photocurable elastomer composition, gasket for hard disk drive, and hard disk drive
JP6152319B2 (ja) * 2013-08-09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778303B2 (ja) 2014-02-28 2015-09-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334A (ja) * 1991-08-21 1994-03-08 Nippon Kayaku Co Ltd 電子部品用樹脂組成物
JP3296033B2 (ja) * 1993-07-20 2002-06-24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3897075B2 (ja) * 1998-12-14 2007-03-22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シール剤組成物
JP2000328042A (ja) * 1999-05-19 2000-11-28 Three Bond Co Ltd シール剤組成物
JP2003105320A (ja) * 2001-09-28 2003-04-09 Nippon Mektron Ltd 精密機器用液状ガスケット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精密機器用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WO2003086736A1 (fr) * 2002-03-28 2003-10-23 Bridgestone Corporation Procede de fabrication de joint pour dispositif de disque dur et joint
JP2005060465A (ja) * 2003-08-08 2005-03-10 Bridgestone Corp 光硬化性シール材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ル層付き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3451A (en) 2006-05-01
KR20120023123A (ko) 2012-03-12
KR20070039880A (ko) 2007-04-13
WO2006001522A1 (ja) 2006-01-05
TWI401297B (zh)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9856A (ko) 광경화성 조성물
JP6632653B2 (ja) 微細構造を有する光学的に透明な接着剤
JP5596588B2 (ja) 紫外線硬化型光学樹脂接着剤組成物
JP4459880B2 (ja) 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接着剤
KR102025108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WO2016196541A1 (en) Acrylic-based flexible assembly layer
JP2012172064A (ja) 紫外線硬化型光学樹脂接着剤組成物
KR101696332B1 (ko) 수지 조성물 및 접착제
JP4918962B2 (ja) 光硬化性組成物
TW201726876A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影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CN103052665A (zh) 固化性树脂组合物
JP6712459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8024818A (ja) 粘着性組成物
JPH0713173A (ja) 液晶シール剤
JP2005076017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CN110088159A (zh) 组合物
CN110930864A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20170049674A (ko)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JP2019156959A (ja) 光硬化性粘着樹脂組成物
KR102553298B1 (ko) 광경화성 조성물, 경화체 및 경화체를 사용한 개스킷 및 방수 구조 및 개스킷의 제조 방법
JP6825815B2 (ja) 視認性向上樹脂組成物
JP2017002260A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297272B1 (ko)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투명 광학 접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11167A (ko) 아크릴계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편광판
JP6292783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シー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