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711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711A
KR20130006711A KR1020127032435A KR20127032435A KR20130006711A KR 20130006711 A KR20130006711 A KR 20130006711A KR 1020127032435 A KR1020127032435 A KR 1020127032435A KR 20127032435 A KR20127032435 A KR 20127032435A KR 20130006711 A KR20130006711 A KR 20130006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oupling
developing ro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335B1 (ko
Inventor
고지 하시모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Abstract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E)으로 본체에 진입하며, 상기 카트리지(7)를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E)과 교차하는 방향(F)으로 가압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이며, 상기 카트리지(7)는, 결합부(48c)를 포함하는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 일 단부 측에 설치된, 축 커플링 부재(48)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48c)가 보유 지지부(27f)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경우보다 상기 카트리지(7)가 본체 위치 결정부(81 내지 83)로 위치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결합부(48c)의 축(48c5)과 상기 현상 롤러(25)의 축(25y) 사이의 거리(D)가 더 짧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PROCESS CARTRIDGE}
본 발명은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타입 방식을 이용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는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워드 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현상 수단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일체로 포함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닛이다. 현상 장치는 현상제에 의해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장치이다.
지금까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자 사진 감광 드럼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수단은 카트리지로서 일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에 따라, 조작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사용자가 서비스맨에게 의지하지 않고, 장치의 보수 작업을 수행한다. 그래서,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타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레이저, LED 또는 램프 등의 화상 정보에 대응한 빛이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조사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된다.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화상은 기록 매체 상으로 전사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255806호(9페이지 내지 11페이지, 도 7 내지 도 14)는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일렬로 배열한 인라인(inline) 형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40)는 감광체 드럼(44)을 구비한 드럼 유닛(41)과 현상 롤러(68)를 구비한 현상 유닛(42)을 포함하며, 요동 중심 축(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44)은 감광체 드럼(44)의 축방향 단부에 카트리지 커플링(60)을 구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40)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카트리지 커플링(60)이 장치 본체에 설치된 본체 커플링(61)과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동력은 아이들러(idler) 기어(65, 66)를 통해 현상 유닛(42)의 요동 중심(43)에 배치된 현상 구동력 전달 부재로서의 입력 기어(64)로부터 현상 롤러(68)로 전달된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40)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입력 기어(64)는 장치 본체에 설치된 기어(67)에 결합하여, 구동력을 받는다. 더 상세하게, 장치 본체로부터 현상 롤러(68) 및 감광체 드럼(44)의 구동 전달은 서로 독립하여 수행된다.
최근에, 한층 더 화상 품질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기어가 현상 유닛의 요동 움직임과 관계없는 위치에서 일정한 요동 중심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동 전달은 입력 기어로부터 아이들러 기어를 통해 현상 롤러로 수행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현상 롤러의 회전 정확도는 입력 기어, 아이들러 기어 및 본체 기어 사이의 결합에 의해 영향받는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 구조를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장치는 현상 장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부재를 이동시켜서 위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현상 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용 후퇴(retraction) 기구가 단순화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축 커플링 부재에 결합부가 제공되고, 축 커플링 부재에 배치된 결합부를 보유 지지부로 위치시켜서, 결합부와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의 결합을 위한 큰 가이드가 불필요하며,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소형화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 롤러의 회전 정확도를 개선하여 화상 품질이 개선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는,
회전 가능한 제1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와, 회전 가능한 제2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는 본체 위치 결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으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 위치 결정부에 위치 결정하도록 상기 길이 방향 및 그 교차 방향으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가압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와, 본체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사용해서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로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제1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 일단부 측에 설치된 드럼 커플링과,
상기 현상 롤러의 축과 상기 제2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의 축 사이서 어긋남이 허용되면서 상기 제2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로부터 제2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 방향 일단부 측에 설치된 축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축 커플링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2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2 회전 구동력을 받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설치된 보유 지지부로 위치 결정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본체 걸림 부재로 위치 결정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 위치 결정부로 위치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의 축과 상기 현상 롤러의 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경우보다 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회전 가능한 제1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 및 회전 가능한 제2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와,
(b)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는 본체 위치 결정부와,
(c)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 위치 결정부로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가압하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와,
(d) 본체 걸림 부재와,
(e)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를 사용해서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 위치 결정부로 위치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와 결합하여, 제1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으로 전달하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 일 단부 측에 설치되는 드럼 커플링과,
상기 제2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의 축과 상기 현상 롤러의 축 사이에서 어긋남이 허용되면서 상기 제2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로부터 제2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 방향 일 단부 측에 설치되는 축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축 커플링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본체 구동 전달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2 회전 구동력을 받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설치된 보유 지지부로 위치 결정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 걸림 부재로 위치 결정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 위치 결정부로 위치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결합부의 축과 상기 현상 롤러의 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경우보다 작은,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f)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첨부 도면과 결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로의 장착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로의 장착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로의 장착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현상 롤러의 지지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올덤 커플링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a는 올덤 커플링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6b는 올덤 커플링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7a는 장치 본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의 커플링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b는 장치 본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의 커플링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a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8b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9a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9b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9c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a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했을 때 올덤 커플링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b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했을 때 올덤 커플링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c는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했을 때 올덤 커플링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a는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b는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a는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b는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a는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b는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a는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b는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5a는 제2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을 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5b는 제2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을 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서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a는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b는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c는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3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0a는 제4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0b는 제4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1a는 제4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1b는 제4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2a는 제4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2b는 제4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할 때 올덤 커플링의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우선,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우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장착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7a, 7b, 7c, 7d)가 장착된다. 도 1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병설된다.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1)(감광체 드럼)(1a, lb, 1c, 1d)과, 대전 롤러(2)(2a, 2b, 2c, 2d)와, 현상 롤러(25)(25a, 25b, 25c, 25d)와, 클리닝 부재(6)(6a, 6b, 6c, 6d) 등의 프로세스 수단이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 일체로 배치된다. 대전 롤러(2)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현상 롤러(25)는 감광체 드럼(1)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클리닝 부재(6)는 감광체 드럼(1)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로 전사한 후, 감광체 드럼(1)에 잔류한 현상제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하방에는 화상 정보를 기초로 감광체 드럼(1)에 선택적인 노광을 행하고, 그에 의해 감광체 드럼(1)에 잠상을 형성하는 스캐너 유닛(3)이 설치된다.
장치 본체(100A)의 하부에는 기록 매체(S)를 수납하는 카세트(17)가 장착된다. 기록 매체(S)를 상향으로 급송하는 장치 본체(100A)의 기록 매체 반송 수단이 설치된다. 더 자세하게는, 카세트(17) 내의 기록 매체(S)를 1매씩 분리하여 급송하는 급송 롤러(18)와, 급송된 기록 매체(S)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 쌍(19)과, 감광체 드럼(1)에 형성된 잠상과 기록 매체(S) 사이를 동기시키기 위한 레지스트 롤러 쌍(20)이 설치된다. 감광체 드럼(1)(1a, 1b, 1c, 1d)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 수단으로서의 중간 전사 유닛(5)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7a, 7b, 7c, 7d)의 상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중간 전사 유닛(5)은 구동 롤러(21), 종동 롤러(22), 각각의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1차 전사 롤러(23)(23a, 23b, 23c, 23d), 2차 전사 롤러(24), 2차 전사 롤러(24)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대향 롤러(87) 그리고 이러한 롤러들 주위로 연장된 중간 전사 벨트(5a)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간 전사 벨트(5a)는 모든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며 접하도록 순환되고, 1차 전사 롤러(23)로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5a) 위로 1차 전사를 수행한다. 중간 전사 벨트(5a)에 배치된 대향 롤러(87)와 2차 전사 롤러(24) 사이의 전압 인가에 의해서, 중간 전사 벨트(5a)로부터 기록 매체(S)에 토너가 전사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의 경우에, 각각의 감광체 드럼(1)이 회전되고,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드럼(1)이 스캐너 유닛(3)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1)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잠상이 현상 롤러(25)에 의해 현상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감광체 드럼(1)에 컬러 현상제 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과 동기하여, 레지스트 롤러 쌍(20)은 대향 롤러(87)와 2차 전사 롤러(24)가 중간 전사 벨트(5a)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2차 전사 위치로 기록 매체(S)를 반송한다. 2차 전사 롤러(24)로 화상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중간 전사 벨트(5a) 상의 각각의 컬러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S)로 2차 전사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S)에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컬러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S)는 정착부(88)에 의해 가압되고 가열되어, 현상제 화상이 정착된다. 그 후, 기록 매체(S)는 배출 롤러(89)에 의해 배출부(90)로 배출된다. 정착부(88)는 장치 본체(100A)의 상부에 배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도 2를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설명한다. 도 2는 현상제(토너)를 수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주단면을 도시한다. 옐로 색 토너를 수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a), 마젠타 색 토너를 수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b), 시안 색 토너를 수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c), 블랙 색 토너를 수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d)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현상 부재를 갖는 현상 유닛(4)(4a 내지 4d) 및 대전 롤러(2) 및 클리닝 부재(6), 감광체 드럼(1)이 구비된 드럼 유닛(26)(26a 내지 26d)을 포함한다.
이러한 드럼 유닛(26)의 클리닝 프레임(27)에는 감광체 드럼(1)이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 대전 롤러(2) 및 클리닝 부재(6)가 배치된다. 클리닝 부재(6)에 의해 감광체 드럼(1)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는 제거 토너 실(27a)로 낙하한다. 드럼 유닛(26)의 구동원인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감광체 드럼(1)이 회전된다. 대전 롤러 베어링(28)은 클리닝 프레임(27)에 대해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대전 롤러(2)의 축(2j)이 대전 롤러 베어링(2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대전 롤러 베어링(28)은 감광체 드럼(1)을 향해 대전 롤러 가압 부재(46)에 의해 가압된다.
현상 장치인 현상 유닛(4)은 현상 장치 프레임(31) 및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하며,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현상 롤러(25)를 포함한다. 이러한 현상 롤러(25)는 현상 장치 프레임(31)의 단부에 장착된 베어링 부재(32)(32R 및 32L)를 통해 현상 장치 프레임(3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현상 롤러(25)의 주위에는, 현상 롤러(25)와 접촉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되는 토너 공급 롤러(34)와, 현상 롤러(25) 상에 토너층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35)가 배치된다. 현상 장치 프레임(31)의 토너 수용부(31a)에 수용된 토너를 혼합하고, 토너 공급 롤러(34)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 반송 부재(36)가 설치된다.
현상 유닛(4)은 베어링 부재(32R, 32L)의 구멍(32Rb, 32Lb)에 결합된 축(37R, 37L)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드럼 유닛(26)과 결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화상 형성을 하는 동안, 현상 유닛(4)은 가압 스프링(38)에 의해 가압되고, 축(37R, 37L)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현상 롤러(25)가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의 장착 기구)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하는 기구를 설명한다.
도 3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A)의 전방측판(front side plate)(82)의 개구부(82b)를 통해 화살표(E) 방향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방향(E)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은 감광체 드럼(1)의 축선 방향이며,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이기도 하다. 장착 동작 시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클리닝 프레임(27)에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부(27b)가,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81)의 가이드부(81a)에 놓여진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화살표(E) 방향으로 장착된다. 가이드 부재(8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이다.
도 3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착 방향으로 후방측판(rear side plate)(83)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살표(E) 방향으로 전진되면, 클리닝 프레임(27)에 일체로 설치된 맞닿음부(27c)가 장치 본체(100A)의 후방측판(83)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후방측판(83)으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가 정해지지만, 이러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100A)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완전하게 위치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위치 결정이 되지 않는다. 감광체 드럼(1)도 중간 전사 유닛(5)의 전사 벨트(5a)와 접촉되지 않는다.
도 3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길이 방향으로 후방측판(83)에 장착된 후,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이동 부재(84R, 84L)가 클리닝 프레임(27)에 일체로 설치된 피가압부(portion-to-be-urged)(27Ld, 27Rd)를 화살표(F)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동 부재(84R, 84L)는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개폐 커버(도시하지 않음)와 연동하여 이동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에 있어서, 개폐 커버(도시하지 않음)는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개폐한다. 클리닝 프레임(27)에 일체로 설치된 위치 결정부(27Re , 27Le)는 장치 본체(100A)의 전방측판(82)의 맞닿음부(82a) 및 후방측판(83)의 맞닿음부(83a)에 각각 접촉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A)에 완전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감광체 드럼(1) 및 전사 벨트(5a)도 서로 접촉된다.
달리 말하면, 맞닿음부(27c)에 의해 맞닿는 후방측판(8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부이다. 위치 결정부(27Re , 27Le)에 의해 맞닿는 맞닿음부(82a, 83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본체 위치 결정부이다.
장치 본체(100A)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진입되는 경우, 이동 부재(84R, 84L)는 그 진입이 허용되는 제1 위치(도 3a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진입이 방해되지 않도록, 이동 부재(84R, 84L)가 가이드(81a)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를 취한다. 이때, 개폐 커버(도시하지 않음)는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다. 이동 부재(84R, 84L)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본체 위치 결정부에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가압하는 제2 위치(도 3c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이동 부재(84R, 84L)가 가이드(81a)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있다. 이때, 개폐 커버(도시하지 않음)는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다. 더 상세하게는, 개폐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개방하는 위치로부터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이동 부재(84R, 84L)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 3a에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길이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경우, 감광체 드럼(1)을 전사 벨트(5a)로부터 이격시켜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감광체 드럼(1)과 전사 벨트(5a)가 서로 마찰하지 않는다. 이동 부재(84R, 84L)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함에 의해서 감광체 드럼(1)이 전사 벨트(5a)와 접촉될 수 있다.
(올덤 커플링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의 현상 롤러의 지지 구성)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서, 축 커플링 부재로서의 올덤 커플링(48)을 사용한 현상 롤러(25)의 구성 및 지지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현상 롤러(25) 지지부의 길이 방향 일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현상 롤러(25)의 현상 롤러 축(25j)은 베어링 부재(32L)에 일체로 설치된 베어링부(32Lc)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현상 롤러(25)의 고무 롤러부(25g)와 베어링부(32Lc)의 사이에, 현상 롤러(25)의 감광체 드럼(1)에의 접촉량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롤러(47)가 현상 롤러 축(25j)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금까지 현상 롤러(25)의 길이 방향 일 단부의 지지 구성을 설명했지만, 길이 방향 타 단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베어링 부재에 베어링부가 일체로 설치되며, 현상 롤러 축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축 커플링 부재인 올덤 커플링(48)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올덤 커플링(48)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베어링 부재(32L)는 생략된다.
도 5에서, 올덤 커플링(48)은 종동측 결합부(48a), 중간 결합부(48b) 및 구동측 결합부(48c)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동측 결합부(48a)는 현상 롤러 축(25j)의 단부에 고정된다. 고정 방법으로는, 스프링 핀이나 평행 핀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다. 도 5에서, 현상 롤러 축(25j)의 단부면에 컷트부(25c)가 설치되고, 종동측 결합부(48a) 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컷트하여 연결된다.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인 구동측 결합부(48c)에는, 장치 본체(100A)의 제2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인 본체 현상 커플링(53)(도 7)과 결합된 돌출부(48c1 내지 48c4)가 설치된다. 이러한 올덤 커플링(48)은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과 현상 롤러(25)의 축 사이의 어긋남을 허용하여, 장치 본체(100A)로부터 현상 롤러(25)로 회전 구동력(제2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올덤 커플링(48)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도 5의 화살표(H) 방향으로 보여지는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5의 화살표(G) 방향으로 보여지는 단면도이다.
도 6a에서, 종동측 결합부(48a)에는 일체형 리브(48a1)가 설치된다. 중간 결합부(48b)에는 홈(48ba1)이 설치되며, 리브(48a1)와 홈(48ba1)은 도 5에서의 화살표(G)방향으로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b에서, 리브(48c6)는 구동측 결합부(48c)에 일체로 설치된다. 중간 결합부(48b)에는 홈(48bc1)이 설치되며, 상기 리브(48c6)와 홈(48bc1)은 도 6에서의 화살표(H)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설치된 커플링의 구성을 도시한다. 현상 유닛(4)에 설치된 올덤 커플링(48)의 구동측 결합부(48c)의 단부면에는 축선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48c1 내지 48c3)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 커플링(53)과 축을 서로 정렬하기 위한 결합부 위치 결정부인 중심 결정 돌출부(48c4)는, 구동측 결합부(48c)의 단부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된다. 감광체 드럼(1)의 자유단에는 삼각기둥 형태의 드럼 커플링(1c)이 설치된다.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의 가이드부(49b)는,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도시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하여 현상 유닛(4)에 고정된 사이드 커버(50)의 홈(50a)으로 가이드된다. 즉, 구동측 결합부(48c)가 현상 롤러(25)의 축(25)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7b는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커플링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b에서, 장치 본체(100A)로부터 감광체 드럼(1)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인 드럼 구동 커플링(66)에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구멍(66a)이 설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이동 부재(84R, 84L)에 의해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된 후, 커플링 이동 기구(66b)가 화살표(m)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드럼 구동 커플링(66)은 감광체 드럼(1)의 축선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향해 커플링 이동 기구(66b)와 함께 이동된다. 드럼 구동 커플링(66) 및 드럼 커플링(1c)의 구멍(66a)의 위상이 정렬되지 않은 경우, 드럼 커플링(1c)의 단부면(1c1)과 드럼 구동 커플링(66)의 단부면(66c)이 서로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 드럼 구동 커플링(66)은 이동판(66b2)에 설치된 스프링(66b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n) 방향으로 후퇴된다. 드럼 구동 커플링(66)의 회전에 의해 구멍(66a)과 드럼 커플링(1c)의 위상이 서로 정렬하는 경우, 드럼 구동 커플링(66)은 스프링(66b1)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r) 방향으로 이동되고, 커플링(1c)과 구멍(66a)이 서로 결합된다. 드럼 구동 커플링(66)에 의해 감광체 드럼(1)으로 회전 구동력(제1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드럼 커플링(1c)이 드럼 구동 커플링(66)과 결합되어, 이동 부재(84R, 84L)에 의해, 도 3c에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될 때까지, 드럼 구동 커플링(66)이 후퇴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커플링 이동 기구(66)가 이용된다.
한편, 본체 현상 커플링(53)은 압축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53c)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향해 단순히 가압된다. 현상 롤러(25)에는 올덤 커플링(48)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되기 전에,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올덤 커플링(48)이 서로 결합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로 진입하는 경우에,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결합하기 위한 위치로 위치 결정을 하는 한, 구동측 결합부(48c)가 현상 롤러(25)의 축으로부터 어긋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 현상 커플링(53)에서의 후퇴 기구는 드럼 구동 커플링(66)에 의해 사용되는 커플링 이동 기구일 필요는 없으므로, 간단한 구성이 충족된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에는 구멍(53b1, 53b2, 53b3)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 현상 커플링(53)은 현상 롤러(25)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53c)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향해 가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로 진입할 때, 구동측 결합부(48c)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 사이에 위상이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48c1 내지 48c3)의 자유단이 구멍(53b1 내지 53b3) 이외의 부위와 접촉하며, 가압 부재(53c)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축선 방향으로 후퇴한다. 그러나,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정렬되는 경우, 본체 현상 커플링(53)은 가압 부재(53c)의 가압력에 의해 전진된다. 그 후,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이 서로 결합하고, 전달 부재 위치 결정부인 중심 결정 구멍(53b4)과 중심 결정 보스(48c4)가 서로 결합하여,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구동측 결합부(48c)의 축(회전축)이 서로 정렬한다. 그리고,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 사이에 위상이 정렬하는 경우, 현상 롤러(25)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이 서로 결합한다.
여기서, 장치 본체(100A) 내에 설치된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드럼 구동 커플링(66) 및 본체 현상 커플링(53)으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모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해 각 1대의 모터를 사용하거나, 모터 1대로 모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커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으로의 구동 입력과는 독립해서, 장치 본체(100A)로부터 현상 롤러(25)로 구동력이 직접 입력된다. 따라서,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정확도는 현상 롤러(25) 회전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고, 또한, 현상 롤러(25) 자체의 회전 정밀도가 개선되므로, 화상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시 올덤 커플링의 동작)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로 장착 시 올덤 커플링(48)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a는 후방측판(83)을 향해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도 3a)의 (장착 방향에 대해)하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b는 길이 방향 단부면{화살표(V1)}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A)의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현상 롤러(25) 축(25k)으로부터 어긋난다. 더 상세하게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로 진입하는 경우,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하강되어 감광체 드럼(1)과 전사 벨트(5a)가 마찰될 수도 있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이 설치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로 위치 결정된 경우, 축(53a)과 현상 롤러(25)의 축(25k)이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한다.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를 통해 가압 부재(54)에 의해 가압되어서, 클리닝 프레임(27)에 설치된 보유 지지부(27f)에 위치 결정된다. 이로 인해, 축(53a)과 실질적으로 정렬된 위치에 구동측 결합부(48c)의 축(48c5)이 배치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착된 경우, 구동측 결합부(48c)가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쉽게 결합한다. 즉, 구동측 결합부(48c)가 보유 지지부(27f)에 위치 결정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 내로 진입하는 경우, 축(48c5)이 축(25k)보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에 더 가까운 위치에 있다.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가 D1이다. 그러므로, 결합부(48c)를 보유 지지부(27f)에 위치 결정함으로써, 결합부(48c)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결합을 위한 큰 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를 가압하기 위해 가압 부재(54)가 사용된다. 그러나,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에 일체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설치함으로써, 결합부 베어링 부재(49)가 보유 지지부(27f)와 접촉될 수도 있다.
도 9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치 본체(100A)의 후방측판(83)에 장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도 3b)의, 하류측(장착 방향에 대해)에서 본 도면이다. 도 9b는 길이 방향 단부면{화살표(V2)}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후방측판(83)에 장착되는 경우, 장치 본체(100A)의 가이드 부재(81)에 가이드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이동 부재(84)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에 완전하게 위치 결정되지 않으나, 감광체 드럼(1)은 전사 벨트(5a)로부터 이격한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서로에 대하여 정렬하지 않은 경우, 접촉부(49b)는 보유 지지부(27f)를 대신해서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본체 걸림 부재(85)에 접촉되고, 위치 결정된다. 접촉부(49b)가 본체 걸림 부재(85)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경우, 도 9b의 본체 걸림 부재(85)의 자유단에 설치된 경사면(85a)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접촉부(49b)와 보유 지지부(27f) 사이가 이격된다. 여기서,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를 통해 본체 걸림 부재(85)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D2)가 전술한 D1보다 작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은 도면에서의 화살표(J) 방향(축선 방향)으로 후퇴하기 위해 구동측 결합부(48c)의 돌출부(48c1 내지 48c3)에 의해 밀어진다.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후방측판(83)(도 3)으로 삽입된 후,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서로 정렬하는 경우, 돌출부(48c4)와 구멍(53b4)이 서로 결합하여, 구동측 결합부(48c)가 위치 결정된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와 본체 걸림 부재(85)의 접촉부(49b)는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와 축(48c5) 사이의 거리(D3)가 전술한 D1, D2보다 작다.
도 10a는 이동 부재(84R, 84L)(도 3c)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에 대해)하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대해 길이 방향 측면{화살표(V3)}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클리닝 프레임(27)은 이동 부재(84)로부터 힘을 받으므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27g1)가 장치 본체(100A)의 후방측판의 맞닿음부(83a)에 접촉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A)에 완전하게 위치 결정되며, 감광체 드럼(1) 및 전사 벨트(5a)와 서로 접촉한다. 현상 롤러(25)의 축(25k)은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여기서,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27g1)는 클리닝 프레임(2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감광체 드럼(1)을 지지하는 드럼 베어링(27g)의 일부이다.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의 접촉부(49b)는 본체 걸림 부재(85)에 의해 접촉되어 멈춰지거나(도 10b), 구동측 결합부(48c)의 돌출부(48c4)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구멍(53b4)이 결합되어서, 구동측 결합부(48c)가 위치 결정된다(도 10c). 이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살표(I)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구동측 결합부(48c)는 이동이 규제되고,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함께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체 걸림 부재(8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이동 방향(화살표 방향)에 있어서,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하류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D4)(도 10b)와 거리(D5)(도 10c)는 전술한 D1, D2, D3 보다 작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정렬하지 않는 경우,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정렬한다. 그리고, 구동측 결합부(48c)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이 서로 결합한다. 한편,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결합부(48c)의 돌출부(48c1 내지 48c3)가 본체 현상 커플링(53)에 설치되어, 구멍(53b1 내지 53b3)과 위상이 정렬하면, 구동측 결합부(48c)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이 서로 결합한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회전에 의해 구동측 결합부(48c)로 회전 구동력(제2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부재(84R, 84L)에 의해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본체 현상 커플링(53)을 위한 후퇴 기구가 단순화될 수 있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소형화될 수 있다.
올덤 커플링(48)에 설치된 구동측 결합부(48c)를 보유 지지부(27f)에 위치 결정 함으로써,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구동측 결합부(48c)의 결합을 위한 큰 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올덤 커플링(48)을 사용한 예를 설명했으나, 입력부 및 출력축(회전축)이 서로 어긋난 경우 발생되는 회전 변동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는 또 다른 커플링(예를 들어, 래터럴 커플링)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 장착 시 올덤 커플링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에 대응하는 소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간략화를 위하여 생략된다.
도 11a는 후방측판(83)을 향해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도 3a)의 하류측(장착 방향에 대하여)에서 본 도면이며, 도 11b는 길이 방향 단부면{화살표(V4)}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의 가이드 부재(81)에 장착되고 가이드되는 상태에서는, 이동 부재(84)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장치 본체(100A)에 완전하게 위치 결정되지 않는다. 현상 유닛(4)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 단일의 상태에서 현상 유닛(4)을 감광체 드럼(1)에 대하여 현상 롤러(25)을 이격시키는 이격 위치에 현상 유닛(4)을 유지하기 위한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가 설치된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현상 유닛(4)은 가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축(37)과 현상 롤러(25)의 중심이 정렬하여 현상 롤러(25)가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가 클리닝 프레임(27)의 측면에 설치된 구멍(27e)에 결합하므로, 현상 유닛(4)은 축(37)과 현상 유닛(4)의 중심이 정렬하여 화살표(L)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이격 위치로 유지된다. 이때의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의 위치가 결합 위치이다.
그러나,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는 가압 부재(54)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에서 화살표(I)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의 접촉부(49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클리닝 프레임(27)에 설치된 보유 지지부(27f)에 접촉되어서,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의 위치가 결정된다. 구동측 결합부(48c)의 축(회전축)(48c5)과 현상 롤러의 축(25k)이 서로 어긋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로 진입할 때, 감광체 드럼(1)과 전사 벨트(5a)가 서로 마찰하지 않도록,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하강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체 현상 커플링(53)이 설치되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었을 때에,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53a)이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한다.
보유 지지부(27f)는 감광체 드럼(1)이 설치된 클리닝 프레임(27)에 설치되고, 위치 결정을 위해 접촉부(49b)가 보유 지지부(27f)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는 장치 본체(100A)에 대하여 높은 위치 정밀도로 장착된 감광체 드럼(1)에 대하여 높은 위치 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더 상세하게는,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또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입되면, 구동측 결합부(48c)가 본체 현상 커플링(53)에 결합하기 쉽도록, 구동측 결합부(48c)의 축(48b5)이 축(53a)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구동측 결합부(48c)가 보유 지지부(27f)에서 위치 결정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 내로 진입하는 경우, 축(48c5)이 축(25k)보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에 근접하다.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가 S1이다. 결합부(48c)는 보유 지지부(27f)에 위치 결정되므로,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결합부(48c)의 결합을 위한 큰 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도 12a는 후방측판(83)과 충돌할 때까지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도 3b)를 하류 측(장착 방향에 대하여)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b는 길이 방향 단부면{화살표(V5)}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이동 부재(84)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의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 감광체 드럼(1)이 전사 벨트(5a)로부터 이격한다. 이때,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과 현상 롤러(25)의 축(25k)이 서로 어긋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서로 정렬하지 않은 경우, 접촉부(49b)가 보유 지지부(27f)를 대신하여 본체 걸림 부재(85)에 접촉되고 위치 결정된다. 접촉부(49b)가 본체 걸림 부재(85)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때에는, 도 11b에 도시한 본체 걸림 부재(85)의 자유단에 설치된 경사면(85a)에 의해 가이드된다. 그러므로, 접촉부(49b)는 보유 지지부(27f)로부터 이격된다. 여기서, 올덤 커플링(48)의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를 통해 본체 걸림 부재(85)에 위치 결정된다. 그러므로,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인 S2가 전술한 S1보다 작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은 구동측 결합부(48c)의 돌출부(48c1 내지 48c3)로 가압되어, 도면에서의 화살표(J) 방향(축선 방향)으로 후퇴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후방측판(83)(도 3)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서로 정렬한 경우에는, 도 9c에서의 경우와 같은 상황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길이 방향으로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된 경우,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에 접촉하는 본체 해제 부재(87)가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다.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본체 위치 결정부(82b, 83a)에 위치 결정되기 전에, 본체 해제 부재(87)가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와 접촉하여서,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와 구멍(27e)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때,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의 위치가 해제 위치이다.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가 해제되는 경우, 현상 유닛(4)이 접촉 위치로 이동하여서, 현상 롤러(25)가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보통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되는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이격 기구(91)가 현상 장치 프레임(31)의 힘수용부(31b)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된 후,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가 해제된 경우에도, 현상 롤러(25)는 감광체 드럼(1)에 접촉되지 않는다.
도 13a는 이동 부재(84)에 의해 장치 본체(100A)의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하류 측(장착 방향에 대하여)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b는 길이 방향 단부면{화살표(V6)}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클리닝 프레임(27)은 이동 부재(84)로부터 힘을 받아, 화살표(I)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27g1)가 장치 본체(100A)의 후방측판의 맞닿음부(83a)에 접촉하여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에 위치 결정되며, 감광체 드럼(1)과 전사 벨트(5a)가 서로 접촉한다. 여기서,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27g1)는 클리닝 프레임(27)에 설치된, 감광체 드럼(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드럼 베어링(27g)의 일부이다.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의 접촉부(49b)가 본체 걸림 부재(85)에 접촉되어 걸리거나, 구동측 결합부(48c)에 설치된 돌출부(48c4)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에 설치된 구멍(53b4) 사이의 결합에 의해 구동측 결합부(48c)가 위치 결정된다. 이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살표(I)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구동측 결합부(48c)는 도 12의 위치에서 유지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7)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체 걸림 부재(8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이동 방향(화살표 방향)에 대하여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하류 측에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인 S3는 전술한 S1, S2보다 작다.
현상 유닛(4)에 설치된 힘수용부(31b)는 이격 기구(9)로부터 화살표(N) 방향으로 계속하여 힘을 받으므로, 현상 롤러(25)가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에서 현상 유닛(4)이 유지된다.
도 14a는 이격 기구(91)의 동작에 의한 현상 유닛(4)의 회전에 의해 현상 롤러(25)가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로 이동하는 카트리지의, 하류 측(장착 방향에 대하여)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b는 길이 방향 단부면{화살표(V7)}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 기구(91)는 화살표(P) 방향으로 이동하고, 현상 유닛(4)의 힘수용부(31b)로부터 이격되므로, 가압 스프링(3)(도 2)의 힘에 따라 축(37)을 중심으로 현상 유닛(4)이 화살표(Q)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은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 위치로 이동한다. 현상 롤러(25)의 축(25k)도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인 S4는 전술한 S1, S2, S3보다 작다.
도 15a는 화상 형성 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하류 측(장착 방향에 대하여)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b는 길이 방향으로 단부면{화살표(V8)}에서 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서로 정렬하지 않는 경우,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정렬한다. 그러므로,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구동측 결합부(48c)가 서로 결합하고, 장치 본체(100A)의 회전 구동력(제2 회전 구동력)이 현상 롤러(25)로 전달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 현상 커플링(53)에 설치된 구멍(53b4)과 구동측 결합부(48c)에 일체로 설치된 돌출부(48c5)가 서로 결합하므로, 구동측 결합부(48c)의 축(회전축)(48c5)과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이 서로 정렬한다. 유사하게, 현상 롤러(25)의 축(회전축)(25k)도 실질적으로 축(53a)과 정렬한다.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의 접촉부(49b)는 본체 걸림부(85)로부터 이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감광체 드럼과 현상 롤러(25)가 서로 이격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착한 경우에도, 축 커플링 부재(48)의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결합부(48c)가 서로 매끄럽게 결합하므로, 장착성이 개선된다.
제3 실시예: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재장착할 때의 이격 기구)
장치 본체(100A)로부터 일단 취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다시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하기 위한 이격 기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기능을 가진 부재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할당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된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A)로부터 취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클리닝 프레임(27)의 구멍(27e)으로부터 이격 보유 지지 부재(86)가 해제된다. 그러므로, 현상 유닛(4)이 접촉 위치에 있으며,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의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4)을 이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격 기구(91)가 이격력 수용부(31b)에 접촉시킨다. 이격 기구(91)의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로부터 제거되고, 현상 유닛(4)이 접촉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다시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되는 경우, 접촉 위치에 위치 결정된 현상 유닛(4)의 이격력 수용부(31b)가 이격 기구(91)의 측면과 맞닿아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취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재장착되는 경우, 이격된 위치로 현상 유닛(4)이 미리 이동하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A)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개구부(87)가 설치된다. 장치 본체(100A)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현상 유닛(4)에 설치된 이격력 수용부(31b)에 일체로 설치된 돌출부(31d)에 접촉될 수 있는 이격 가이드부(92)가 설치된다.
도 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장치 본체(100A)로 진입하기 전에, 현상 유닛(4)이 접촉 위치에 있으므로,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되는 경우, 우선, 클리닝 프레임(27)에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부(27b)가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본체 가이드 부재(81)로 가이드된다. 현상 장치 프레임(31)에 설치된 돌출부(31d)가 이격 가이드부(92)의 빗면(bevelled)부(92a)와 접촉한다. 또한, 도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더 진입하면, 현상 유닛(4)이 백(back) 베어링 부재(15)에 대하여 화살표(J)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현상 유닛(4)은 이격된 위치{화살표(K)}로 이동하고, 현상 롤러(25)가 감광체 드럼(1)과 이격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에 위치 결정되는 경우, 이격력 수용부(31b)는 이격 가이드부(92)의 장착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된 이격 기구(91)와 접촉된다. 그 경우, 현상 유닛(4)은 이격 위치에 있고, 현상 롤러(25)가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힘수용부(31b)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장착 방향상류 측에 설치된 힘받이 도피부(31e)(force clearance)는, 장착 가이드부(84)와 간섭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이격 가이드부(84)와 간섭없이, 현상 유닛(4)이 접촉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제2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가 제공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효과에 더하여, 감광체 드럼(1)과 현상 롤러(25)가 서로 이격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구동측 결합부(48c)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이 서로 매끄럽게 결합하므로, 장착성이 개선된다.
제4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도, 현상 장치만이 장치 본체(100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이 가능한 경우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현상 장치(4)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하는 때에 올덤 커플링의 동작을, 제4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가진 부재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참조 번호가 할당되며, 간략화를 위해 그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도 20a는 현상 장치(4)를 현상 장치(4)의 길이 방향으로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0b는 길이 방향으로 측면{화살표(V9)}에서 본 단면이다.
도 20a와 도 20b에서,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를 통해 가압 부재(54)에 의해 가압된다.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를 통해 현상 장치 프레임(31)에 설치된 보유 지지부(31f)에 위치 결정된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에 도시한 경우와 유사하게, 현상 장치(4)가 위치 결정되기 전에도, 올덤 커플링(48)은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결합 가능한 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현상 장치(4)의 장치 본체(100A)로 진입할 때, 현상 롤러(25)와 감광체 드럼(1)의 사이에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롤러(25)가 하강한다. 더 상세하게는, 현상 장치(4)가 장치 본체(100A) 내로 진입하는 경우, 구동측 결합부(48c)는 보유 지지부(31f)에 위치 결정되므로, 축(48c5)은 축(25k)보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에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결합부(48c)를 보유 지지부(31f)에 설정하여, 본체 현상 커플링(53)과 결합부(48c)에 결합을 위한 큰 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현상 장치(4)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가 L1이다.
도 21a는 장치 본체(100A)의 후방측판(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현상 장치(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b는 길이 방향 단부면{화살표(V10)}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4)가 장치 본체(100A)의 가이드 부재(81)로 가이드된 후, 후방측판(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100A)의 이동 부재(84)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상 롤러(25)는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이격한다.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서로 정렬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상태에서, 접촉부(49b)는 보유 지지부(31f)를 대신하여,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본체 걸림 부재(85)에 접촉되어 위치 결정된다. 접촉부(49b)가 본체 걸림 부재(85)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경우, 본체 걸림 부재(85)의 자유단에 설치된 경사면(85a)에 의해 도 21b에 도시한 상태로 가이드된다. 여기서, 올덤 커플링의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러므로, 구동측 결합부(48c)는 결합부 베어링 부재(49)를 통해 본체 걸림 부재(85)에 위치 결정된다. 그러므로,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인 L2가 전술한 L1보다 작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은 구동측 결합부(48c)에 가압되고, 도면에서의 화살표(J) 방향(축선 방향)으로 후퇴된다.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서로 정렬한 경우, 구동측 결합부(48c)에 설치된 돌출부(48c4)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에 설치된 구멍(53b4)이 서로 결합하고, 구동측 결합부(48c)가 위치 결정된다. 그 경우,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의 본체 걸림 부재(85)와 접촉부(49b)는 서로 이격한다.
도 22a는 현상 장치가 이동 부재(84)에 의해 장치 본체(100A)로 위치 결정되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b는 길이 방향 단부면{화살표(V11)}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84)로부터 화살표(I) 방향으로 힘을 받고 가압되는, 현상 장치(4)의 현상 장치 프레임(31)에 의해, 현상 롤러(25)의 양단부에 설치된 규제 롤러(47)가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한다. 현상 장치(4)는 장치 본체(100A)에 완전하게 위치 결정되고, 현상 롤러(25)와 감광체 드럼(1)이 서로 접촉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25)의 축(25k)은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축(53a)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여기서, 현상 장치가 화살표(I)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결합부 베어링 부재(49)의 접촉부(49b)는 본체 걸림 부재(85)에 의해 접촉되어 걸려지거나, 돌출부(48c4)와 구멍(53b4)이 결합하여서, 구동측 결합부(48c)가 본체 현상 커플링(53)에 위치 결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상 장치(4)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구동측 결합부(48c)가 도 21에서의 위치로 유지되며, 현상 장치(4)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상 장치(4)는 본체 걸림 부재(85)를이동 부재(84)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하류 측에 위치 결정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현상 롤러(25)의 축(25k)과 축(48c5) 사이의 거리인 L3가 전술한 L1, L2보다 작다.
여기서,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맞지 않는 경우,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회전에 의해,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의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서로 맞춰진다. 그리고 나서, 구동측 결합부(48c)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이 결합한다. 한편, 구동측 결합부(48c)의 돌출부(48c1 내지 48c3)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에 설치된 구멍(53b1 내지 53b3)의 위상이 정렬하는 경우, 구동측 결합부(48c)와 본체 현상 커플링(53)은 서로 결합하고 있다.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4)의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부재(84R, 84L)에 의해 본체 위치 결정부(82a, 83a)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성에서,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후퇴 기구가 간략화될 수 있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가 소형화될 수 있다.
축 커플링 부재(48)에 설치된 결합부(48c)가 보유 지지부(31f)로 위치 결정되므로, 결합부(48c) 및 본체 현상 커플링(53)의 결합을 위한 큰 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와 현상 장치(4)의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올덤 커플링을 사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입력측과 출력측의 축(회전 축)이 서로 어긋난 경우 발생되는 회전 변동을 흡수하는 효과를 가지는 또 다른 커플링{예를 들어, 래터럴(lateral) 커플링} 등을 사용하는 것도 만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 롤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의 후퇴 기구가 단순화될 수 있다.
결합부 및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의 결합을 위한 큰 가이드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축 커플링 부재에 설치된 결합부를 보유 지지부에 위치 결정함에 의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현상 롤러의 회전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으므로, 화상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구조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전술된 상세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에 포함되는 것과 같은 수정 또는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 롤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의 후퇴 기구가 단순화될 수 있다.
결합부 및 본체 구동력 전달 부재의 결합을 위한 큰 가이드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축 커플링 부재에 설치된 결합부를 보유 지지부에 위치 결정함에 의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1 : 감광체 드럼
1c : 드럼 커플링
4 : 현상 유닛
5 : 중간 전사 유닛
5a : 중간 전사 벨트
7 :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 현상 롤러
25k : 축
26 : 드럼 유닛
27 Re, 27 Le : 위치 결정부
27b : 피가이드부
27g : 위치 결정부
27f : 보유 지지부
48a : 종동측 결합부
48a1 : 리브
48b : 중간 결합부
48c : 구동측 결합부
49 : 결합부 베어링 부재
53 : 본체 현상 커플링
53 b1, 53 b2, 53 b3 : 구멍
66 : 드럼 구동 커플링
66a : 구멍
84 R, 84 L : 이동 부재
100 : 화상 형성 장치

Claims (1)

  1. 드럼 커플링 부재, 현상 커플링 부재 및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 방향 일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상기 감광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드럼 커플링 부재와 결합하는 드럼 커플링부와,
    상기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 방향 일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현상 커플링부로서, 상기 현상 롤러의 상기 축선 방향 일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피구동부; 상기 피구동부와 결합하고, 상기 피구동부와의 결합을 유지하면서, 상기 피구동부에 대해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중간 연결부; 및 상기 현상 커플링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와 결합하며, 상기 중간 연결부와의 결합을 유지하면서,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과 교차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의 이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중간 연결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현상 커플링부와,
    상기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구동부와 함께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유 지지부와,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유 지지부를 통해 상기 구동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장치의 본체 내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상기 현상 커플링 부재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보유 지지부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현상 커플링 부재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드럼 커플링부와 상기 드럼 커플링 부재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의 본체 내로 삽입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현상 롤러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접촉 부재에 대한 상기 보유 지지부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접촉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20127032435A 2006-12-11 2007-12-11 화상 형성 장치 KR101259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32790 2006-12-11
JP2006332790 2006-12-11
JP2007297474A JP4444999B2 (ja) 2006-12-11 2007-11-16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7-297474 2007-11-16
PCT/JP2007/074190 WO2008072757A2 (en) 2006-12-11 2007-12-11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339A Division KR101257632B1 (ko) 2006-12-11 2007-12-11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11A true KR20130006711A (ko) 2013-01-17
KR101259335B1 KR101259335B1 (ko) 2013-05-06

Family

ID=3947376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393A KR101078444B1 (ko) 2006-12-11 2007-12-11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KR1020127032435A KR101259335B1 (ko) 2006-12-11 2007-12-11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7002339A KR101257632B1 (ko) 2006-12-11 2007-12-11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KR1020117012918A KR101182967B1 (ko) 2006-12-11 2007-12-11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393A KR101078444B1 (ko) 2006-12-11 2007-12-11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339A KR101257632B1 (ko) 2006-12-11 2007-12-11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KR1020117012918A KR101182967B1 (ko) 2006-12-11 2007-12-11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8086135B2 (ko)
EP (3) EP3379340A1 (ko)
JP (1) JP4444999B2 (ko)
KR (4) KR101078444B1 (ko)
CN (3) CN101529342B (ko)
AU (1) AU2007332418B2 (ko)
BR (1) BRPI0719292B1 (ko)
CA (1) CA2669851C (ko)
HK (3) HK1158768A1 (ko)
MX (1) MX2009003818A (ko)
RU (3) RU2435185C2 (ko)
TW (3) TWI472886B (ko)
WO (1) WO20080727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4999B2 (ja)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36097B2 (ja) 2008-03-07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2009265628A (ja) * 2008-04-01 2009-1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127584B2 (ja) 2008-06-2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95671B2 (ja) * 2008-08-27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349999B2 (ja) * 2009-02-16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55131B2 (ja) * 2009-02-16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11228B2 (ja) 2010-01-29 2012-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72185B2 (ja) * 2011-03-24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92989B2 (ja) * 2011-04-25 201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43716B2 (ja) 2012-06-04 201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9355392B2 (en) 2012-09-14 2016-05-3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Gift card association with account
JP6184311B2 (ja) * 2012-12-14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025266B2 (en) 2012-12-14 2018-07-1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coupling member and a sheet that contacts the coupling member
RU2627944C2 (ru) * 2013-05-30 2017-08-14 Рикох Компани, Лимитед Контейнер тонера,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CN103308756A (zh) * 2013-06-14 2013-09-18 浙江海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变频器电压检测电路
JP2015079231A (ja) * 2013-09-03 2015-04-23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
JP6376749B2 (ja)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5319933B (zh) * 2014-08-05 2019-07-12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6425189B2 (ja) * 2014-10-07 2018-11-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52194B2 (ja) * 2014-12-26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
JP6873604B2 (ja) 2015-06-05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6325022B (zh) * 2015-06-19 2023-10-27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盒
WO2017057781A1 (ja) 2015-09-30 2017-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84463B2 (ja) * 2015-12-11 2018-09-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S2899280T3 (es) * 2016-07-14 2022-03-10 Ricoh Co Ltd Recipiente de polvo, cartucho de proceso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ágenes
KR102205704B1 (ko) 2016-08-26 2021-01-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US10524165B2 (en) 2017-06-22 2019-12-31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ynamic utilization of alternative resources based on token association
US10511692B2 (en) 2017-06-22 2019-12-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to a networked resource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US10313480B2 (en) 2017-06-22 2019-06-0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between networked resources
CN107272387A (zh) * 2017-08-07 2017-10-20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处理盒的再生方法和处理盒
CN107390493A (zh) * 2017-09-06 2017-11-2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处理盒和处理盒的再生方法
JP7009133B2 (ja) * 2017-09-21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2019060933A (ja) * 2017-09-25 2019-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27121B2 (ja) * 2017-10-27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N116184786A (zh) 2017-12-13 2023-05-30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CN108153126A (zh) * 2018-02-09 2018-06-1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粉盒
US11106172B2 (en) 2018-05-18 2021-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ller and coupler transitions
JP7230638B2 (ja) * 2019-03-28 2023-03-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10231762A (zh) * 2019-07-11 2019-09-1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驱动组件、处理盒及电子照相成像装置
BR102020017784A2 (pt) * 2019-09-17 2021-03-30 Canon Kabushiki Kaisha Cartucho e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EP3796100B1 (en) 2019-09-17 2023-05-03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U2769786C1 (ru) * 2021-02-09 2022-04-06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зел барабана, картридж,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муфта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1520B (en) * 1983-06-08 1986-08-28 Xerox Corp Drive shaft connector
US4835565A (en) * 1986-06-11 1989-05-30 Ricoh Company, Ltd. Image develop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y
JP2811568B2 (ja) 1987-12-14 1998-10-1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H02238469A (ja) * 1989-03-10 1990-09-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2287577A (ja) * 1989-04-28 1990-11-27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
EP0501497B1 (en) * 1991-03-01 1996-01-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and process cartridge removably mountable on same
EP0770932B1 (en) 1992-09-04 1999-08-2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046506B2 (ja) * 1994-09-20 2000-05-29 株式会社東芝 駆動連結機構およびドラム駆動連結機構
JP3839932B2 (ja) *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JPH08292703A (ja) 1995-04-21 1996-11-0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923924A (en) 1995-04-21 1999-07-1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a particular configuration for receiving driving for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a process cartridge
JPH08292704A (ja) 1995-04-21 1996-11-0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82465B2 (ja) *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71233A (ja) 1996-10-07 1998-06-26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72105B2 (ja) 1996-10-07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04919B2 (ja) 1998-08-31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437460B2 (ja) 1998-08-31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
JP3768706B2 (ja) * 1998-12-28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14654A (ja) 1999-01-20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画像形成装置
US6324357B1 (en) 1999-06-29 2001-11-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operly controlling ac voltage applied to a charger
JP3413173B2 (ja) 2000-01-05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505021B2 (en) 2000-03-27 2003-01-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ember for barring an electrification particle form leaking
JP2001281996A (ja) 2000-04-03 2001-10-10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06609A (ja) 2000-06-26 2002-01-11 Canon Inc トナーシール部材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23476A (ja) 2000-07-07 2002-01-23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66697B2 (ja) * 2001-02-09 2004-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隔機構
JP3467023B2 (ja) * 2001-04-27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57530B2 (ja) 2001-05-15 2005-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11930B2 (ja)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19779B2 (ja) 2003-08-29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099691A (ja) 2003-08-29 2005-04-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3B2 (ja) * 2003-08-2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58272B2 (ja) * 2003-09-25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134844A (ja) 2003-10-31 2005-05-26 Canon Inc シール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22035A (ja) * 2004-01-09 2005-08-18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299B2 (ja) * 2004-02-2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85062B2 (ja) *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44184B2 (ja) 2004-04-01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072312A (ja) * 2004-08-06 2006-03-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457570B2 (en) 2004-08-06 2008-11-2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magnetic brush developing system using a two-component developer comprising toner and carrier
KR100605165B1 (ko) * 2004-08-13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3962734B2 (ja) 2004-08-31 2007-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取り外し可能に装着する装着機構
JP3986077B2 (ja) 2005-03-18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0753B2 (ja) 2005-04-27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631219B1 (ko) 2005-08-26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070092291A1 (en) 2005-10-07 2007-04-26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artridge
JP4444999B2 (ja)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4997B2 (ja)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64435B2 (ja) * 2006-12-11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3141A1 (en) 2018-12-12
AU2007332418A1 (en) 2008-06-19
EP2064598A2 (en) 2009-06-03
WO2008072757A2 (en) 2008-06-19
HK1158768A1 (zh) 2012-07-20
AU2007332418B2 (en) 2011-12-22
TW201305750A (zh) 2013-02-01
TW200846851A (en) 2008-12-01
BRPI0719292B1 (pt) 2019-01-22
US20080170880A1 (en) 2008-07-17
CN101529342A (zh) 2009-09-09
KR20090090376A (ko) 2009-08-25
BRPI0719292A2 (pt) 2014-02-25
KR101078444B1 (ko) 2011-10-31
KR101257632B1 (ko) 2013-04-29
EP2064598B1 (en) 2018-07-11
TW201305749A (zh) 2013-02-01
TWI486728B (zh) 2015-06-01
WO2008072757B1 (en) 2008-12-04
KR101182967B1 (ko) 2012-09-18
KR101259335B1 (ko) 2013-05-06
RU2518135C2 (ru) 2014-06-10
RU2435185C2 (ru) 2011-11-27
US20110268473A1 (en) 2011-11-03
MX2009003818A (es) 2009-05-12
KR20110084981A (ko) 2011-07-26
US8467702B2 (en) 2013-06-18
EP3379340A1 (en) 2018-09-26
TWI472886B (zh) 2015-02-11
US20120003002A1 (en) 2012-01-05
CN102169317A (zh) 2011-08-31
CN102495542B (zh) 2014-06-04
WO2008072757A3 (en) 2008-09-25
EP3413141B1 (en) 2020-04-08
RU2518339C2 (ru) 2014-06-10
CA2669851C (en) 2016-06-21
CN102169317B (zh) 2015-11-25
RU2011132216A (ru) 2013-02-10
JP4444999B2 (ja) 2010-03-31
JP2008170961A (ja) 2008-07-24
HK1167187A1 (en) 2012-11-23
TWI383274B (zh) 2013-01-21
CN102495542A (zh) 2012-06-13
RU2009126551A (ru) 2011-01-20
US8086135B2 (en) 2011-12-27
CA2669851A1 (en) 2008-06-19
HK1131221A1 (en) 2010-01-15
KR20120029478A (ko) 2012-03-26
RU2011132214A (ru) 2013-02-10
US8285173B2 (en) 2012-10-09
CN101529342B (zh)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335B1 (ko) 화상 형성 장치
US11543769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054777B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6868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U2011254084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